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미디어위원회
2024-03-12

히스기야 왕의 기념비 비문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에 대한 성경의 기록은 정확했다.

(Discovered—monumental inscriptions of King Hezekiah!)

by Keaton Halley


    예루살렘에서 새로 해독된 왕실 비문(inscriptions)은 유다의 왕 히스기야(Hezekiah)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강력하게 확인시켜 주었다.[1, 2] 히스기야는 BC 8세기 말 예루살렘에서 유다를 다스렸던 다윗의 경건한 후손이다. 성경은 “히스기야가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하였는데 그의 전후 유다 여러 왕 중에 그러한 자가 없었으니”(열왕기하 18:5)라고 그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발견 이전에 이미 히스기야에 관한 성경 기록의 많은 세부 사항들이 풍부한 고고학적 증거들에 의해 뒷받침됐었다.[3] 그러나 새로운 비문은 구체적으로 군사행동, 종교개혁, 건설 프로젝트 등 히스기야의 여러 행적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성경의 기록과 매우 일치하며, 그 정확성을 확인해주고 있었다.

그림 1. 기혼 샘(Gihon Spring) 근처에서 발견된 기념비 비문의 석회암 조각. 몇 글자가 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 히브리어의 두 단어는 '히스기야(Hezekiah)'와 '못(pool)'으로 해독되었다. <Klara Amit, Courtesy of the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기념비의 조각

고대 근동의 다른 왕들은 자신들의 위대한 업적을 기록하기 위해 돌로 된 기념비를 세운 반면, 지금까지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이 자신들의 업적을 새겨놓은 기념비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7년에 고고학자 엘리 슈크론(Eli Shukron)과 로니 라이히(Ronny Reich)에 의해 '기혼 샘(Gihon Spring)' 지역에서 커다란 석회암 기념비의 손 크기 정도의 부서진 조각이 발굴되었다. 이 석회암 돌 기념비는 BC 8세기의 도자기 더미 속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조각에는 단지 몇 개의 옛 히브리어 문자로 쓰여진 일부 단어들이 새겨져 있었다.[4] 2009년에 몇몇 학자들은 이 두 단어를 '히스기야(Hezekiah)'와 '못(pool)'으로 복원된다고 제안했다.[5, 6] 이것은 '히스기야'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가 예루살렘 동쪽에 있는 '기혼 샘'에서 서쪽 지역으로, 수로를 통해 못으로 물을 끌어오는 것이라고 성경이 말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열왕기하 20:20, 역대하 32:2–4, 30). 예루살렘 지하에 있는 '기혼 샘'으로부터 암반 533m를 지나 서쪽의 실로암 못(Pool of Siloam)까지 파낸, '실로암 터널(Siloam Tunnel)'은 히스기야의 '수로(conduit)'에 대한 성경의 기록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실로암 터널은 히스기야의 '수로'에 대한 성경의 기록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념비의 비문이 히스기야를 가리킨다는 제안은 다소 잠정적이고 모호하게 남아 있었다. 그러나 2022년 슈크론(Shukron)과 비문 전문가인 게르손 갈릴(Gershon Galil)은 첨단 사진 기법을 사용하여, 다시 본문을 분석함으로써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그들은 더 나아가, 1978년에 이갈 실로(Yigal Shiloh)가 발견했던 유사한 조각이 바로 동일한 기념비에 속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로의 비문에는 "열일곱 째(seventeenth)"라는 글자가 있었는데, 이것은 부가적 비문(다음에 논의함)에 의해서, 히스기야가 터널과 못을 건설했던 재위의 시기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기념비는 BC 8세기에 히스기야 왕의 존재와 그가 17년 째에 주목할만한 못(pool)을 건설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그의 공동 섭정을 시작한 시점을 고려하면, 이것은 BC 709년경이 될 것이다.

그림 2. 1978년 이갈 실로(Yigal Shiloh)가 발견한 석회암 조각은 현재 그림 1과 같은 기념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이 발굴은 다윗성(City of David)에서 라이히와 슈크론(R. Reich and E. Shukron)에 의해 수행되었다. <Photographer: V. Naikhin>

그림 3. CMI–US의 에린 휴즈(Erin Hughes)가 히스기야 터널(Hezekiah’s Tunnel)의 얕은 물을 헤치고 나아가고 있다. <Keaton Halley> (히스기야 터널에 대한 구글 사진은  여기를 클릭)


'빈' 터널 명판

그런데 더욱 흥미로운 것은 슈크론과 갈릴에 의해서, 터널 벽(tunnel walls)에 새겨져 있는 다섯 개의 왕실 비문들이 발견된 것이었다.[2] 한때 가나안 사람들의 못이 있었던, 기혼 샘 근처의 터널의 오래된 부분에는, 벽의 직사각형 부분이(48 × 38cm) 의도적으로 평평하게 만들어져 있었다. 그것은 히스기야의 터널로 통하는 통로 입구 바로 옆에 있었다. 1909년에 루이-위그 빈센트(Louis-Hugues Vincent)가 이 '문틀(frame, 명판)'을 발견했는데, 이 '문틀'은 비문을 담기 위한 의도적인 표면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거기에 비문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관광객들은 한 세기가 넘도록 히스기야의 터널을 거닐며, 잘 보이는 곳에 숨겨져 있었던 이런 메시지를 모르고 있었다.


그 터널의 서쪽 끝은 1880년에 발견된 유명한 '실로암 비문(Siloam Inscription)'을 포함하고 있고, 그 터널이 원래 어떻게 파여졌는 지를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동쪽 문틀은 그것과 대응되는 것으로 의도되었지만, 완성되지 않은 채로 남겨졌다고 가정했었다. 이것은 100년 이상 동안 일치되어온 의견이었다.

그림 4. 기혼 샘 근처 가나안 사람의 못. 오늘날 히스기야의 터널(Hezekiah’s Tunnel)로 통하는 어두운 입구 바로 옆에 새겨진 평평한 직사각형의 명판에서 히스기야 왕의 이름이 발견되었다. <Keaton Halley>


그러나 슈크론과 갈릴은 더 자세히 들여다보았고, 매우 침식되어 있었지만, 여전히 대부분 읽혀질 수 있는, 64단어들로 된 고대 히브리어 텍스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것은 히스기야의 몇몇 업적들을 자세히 묘사해놓은 '요약 비문(summary inscription)'이었다. 그러나 슈크론과 갈릴은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더 많은 조사 후에, 그들은 추가적인 왕실 비문들이 있는 수많은 다른 터널 명판(tunnel plaques)들을 발견했다. 또한 그들은 원래의 실로암 비문이 발견되었던 지역을 재분석했다. 그들은 현재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잘려나간 부분과, 아직도 터널 안에 있는 그것을 둘러싼 지역들을 모두 조사했다. 두 곳 모두에서, 그들은 추가적인 텍스트 글자들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실로암 비문의 글자는 200자에서, 428자로 두 배 이상 증가된 글자들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전에 보았던 텍스트와 달리, 새로 해독된 라인들은 ‘히스기야’라는 이름을 분명히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그것들은 구체적으로 히스기야의 업적들 중 더 많은 것을 언급하고 있었다. 관광객들이 쉽게 볼 수 있었던 곳에, 이러한 숨겨진 메시지를 알지 못한 채, 사람들이 히스기야의 터널을 한 세기 이상 걸어왔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가나안 사람의 못에 있는 '요약 비문'

그림 5. 이스라엘 박물관에 있는 원본 실로암 비문의 복제품. <Keaton Halley>


이 비문들에 대한 상세한 출판물은 조만간 나올 예정이지만, 가나안 사람의 못 명판(Canaanite pool plaque)에 대한 영어 번역문은 나왔다. 그 내용은 히스기야 왕에 대한 성경의 기록과 아주 잘 부합한다. 명판에 새겨져 있는 아래 인용문들을 성경 구절과 비교해보라.


“아하스의 아들 유다의 왕 히스기야가 못(pool)과 수도(conduit, 도랑)를 만들었다. 열일곱째 해에... 왕이 터널을 통해 물을 성 안으로 끌어들였고, 왕이 그 물을 못으로 이끌었다”

"히스기야의 남은 사적과 그의 모든 업적과 저수지와 수도를 만들어 물을 성 안으로 끌어들인 일은...." (열왕기하 20:20).


"그는 블레셋 사람들을 에글론(Ekron)에서부터 가자(Gaza, 가사)로 몰아냈다..."

“그가 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가사와 그 사방에 이르고 망대에서부터 견고한 성까지 이르렀더라” (열왕기하 18:8).


"그는 네후스탄(Nehu[sh]tan, 놋뱀)을 높은 곳에서 제거하고 상을 깨뜨리고, 아세라 상을 잘라버렸다."

“그는 산당을 헐어 버렸고, 돌기둥들을 부수었으며, 아세라 목상을 찍어 버렸다. 그는 또한 모세가 만든 구리 뱀도 산산조각으로 깨뜨려 버렸다. 이스라엘 자손이 그 때까지도 느후스단이라고 부르는 그 구리 뱀에게 분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열왕기하 18:4, 새번역)


“왕 히스기야는 그의 보물창고와 야훼의 집에 은과 금, 향수와 좋은 연고들을 많이 쌓아두었다.”

“히스기야가 사자들의 말을 듣고 자기 보물고의 금은과 향품과 보배로운 기름과 그의 군기고와 창고의 모든 것을 다 사자들에게 보였는데 왕궁과 그의 나라 안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히스기야가 그에게 보이지 아니한 것이 없더라” (열왕기하 20:13).

그림 6. 실로암 비문이 있는 곳에서 텍스트 일부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Keaton Halley>

그림 7. 예루살렘 지하의 ‘히스기야의 터널(Hezekiah’s Tunnel)’. <Image courtesy of the 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신뢰할 수 있는 기록

이 새로운 발견들은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놀랍도록 확증을 해주고 있었다. 이전에 몇몇 학자들은 실로암 터널이 히스기야의 업적이라는 주장을 비판했었다. 성경의 기록은 히스기야의 업적임을 기록하고 있었지만, 어떠한 현대의 고고학적 기록도 히스기야와 터널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지 못했었다.[7] 그러나 이제 그러한 견해들은 모두 반박되었고, 성경이 옳았음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성경의 본문은 역사에 대해 우리를 오도하지 않는다. 고고학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이라는 것을 몇 번이고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또 하나의 새로운 발견, 히스기야의 수문


히스기야 터널의 오랜 미스터리 중 하나는, 어떻게 그곳의 기술자들이 기혼 샘의 모든 물이 실로암 못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히스기야가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을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2022년에 연구자들은 히스기야가 실제로 이런 목적을 위해 수문(sluice gate)을 지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 그들은 그들의 발견을 Archaeological Discovery 지에 발표했다.[1]


터널이 완공될 무렵, 히스기야 터널의 굴착자들은 천장의 높이를 확장하고, 벽에 슬라이딩 장벽(sliding barrier)을 위한 나무 틀을 부착했다. 틀에서 나온 나무 잔해와 그것을 암반에 부착했던 8cm 길이의 철로 된 고정쇠 4개가 발견되었다. 또한 연구자들은 천장에서 석회화된 털로 된 섬유(wool fibers)를 발견했는데, 이것은 한때 밧줄이 슬라이딩 게이트로부터 천장을 따라 근처의 축을 통과해 표면까지 달렸었다는 증거였다. 이것은 게이트를 위에서 올렸다 내렸다를 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수문으로 이어지는 벽과 바닥은 방수 석고로 코팅되었으며, 그 잔해는 여전히 볼 수 있었다. 또한 주로 1.5m 높이에 '수선(waterline)'이라는 침니 잔여물(silty residue)이 남아 있는데, 이는 종종 물이 이 조절 수준까지 도달해 있었음을 나타낸다. 수문은 분명 터널이 건설될 때 설계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이 발견은 이러한 장치를 구상하고 실행한 히스기야와 그의 건설팀의 독창성에 더욱 감탄하게 만든다.


1. Shimron, A.E., Gutkin, V., and Uvarov, V., A Sluice Gate in Hezekiah’s (Iron Age II) Aqueduct in Jerusalem: Archaeology, Architecture and the Petrochemical Setting of Its Micro and Macro Structures. Archaeological Discovery 10(2):69–113, April 2022. (수문 그림도 볼 수 있음)

----------------------------------------------------------

Posted on CMI homepage : 5 June 2023


References and notes

1. Eames, C., ‘[He]zekiah’: first-of-its-kind ‘monumental’ inscription of a king of Judah revealed, armstronginstitute.org, 26 Oct 2022.

2. Siegel-Itzkovich, J., Was proof of biblical kings of Israel, Judah deciphered on Jerusalem rock inscriptions? Jerusalem Post, 16 Dec 2022. 

3. Halley, K.,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s 1, 2, and 3, creation.com/hezekiah-1, 10 Dec 2019. 

4. Falde, N., Inscription finally confirms biblical record of Hezekiah’s tunnel, ancient-origins.net, 20 Dec 2022. 

5. Gert van der Veen, P.G.M., König Hiskia in einer neuen Inschrift aus Jerusalem? [King Hezekiah in a new inscription from Jerusalem?] Studium Integrale Journal 16:51–52, 2009. 

6. Shanks, H., A tiny piece of the puzzle: Six-letter inscription suggests monumental building of Hezekiah, Biblical Archaeology Review 35(2):53–55, 2009. 

7. Shanks, H., Will King Hezekiah be dislodged from his tunnel? Biblical Archaeology Review 39(5):52–61, 2013. 


Related Articles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1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2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3

Pool of Siloam found

The prophet Isaiah’s signature?

Monuments from Ancient Assyria confirm biblical history

Belshazzar: The second most powerful man in Babylon

*Discovery of King Hezekiah’s Seal Confirms God’s Word

*Bulla of Hezekiah Discovered in Jerusalem


Further Reading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8823&bmode=view

▶ 성경의 오류 논란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792&t=board


출처 : Creation 45(3):24–27, July 2023

주소 : https://creation.com/hezekiah-inscription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4-03-12

실로암 못이 발견되었다.

(Pool of Siloam found)


    고고학자들이 예루살렘 구시가지에서 예수님이 태어날 때부터 맹인 된 사람을 고치셨던 장소(요 9:7)를 발견했다. 실로암 못(pool of Siloam)은 유명한 (물을 끌어들인) 히스기야의 터널(Hezekiah’s Tunnel, 왕하 20:20, 역대하 32: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았으며, 고고학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웅장한' 곳으로, 3열(tiers)의 돌계단들을 통해 물에 접근할 수 있었다.

.실로암 못(Pool of Siloam) <BiblePlaces.com> (구글에서 실로암 못 사진은 여기를 클릭)


고고학자들은 못의 한 구석 토양에서 AD 66~70년경에 만들어진 동전(coins)들을 발견했는데, 이는 그 무렵에 못이 메워지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 이 못은 예루살렘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계곡을 따라 흘러내린 겨울비가 진흙을 퇴적시켰다. 만약 더 이상 청소를 하지 않았다면, 못은 빠르게 진흙으로 덮여져, 퇴적물 아래에 묻혀버렸을 것이다.

프린스턴 신학교의 제임스 찰스워스(James Hamilton Charlesworth)는 말했다 : “학자들은 실로암 못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요한이 종교적 공상을 사용한 것이라고 말해왔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요한이 말했던 곳에서 정확하게 실로암 못을 찾아냈다.” “전적으로 신학이라고 생각했던 복음이 이제 역사에 근거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그는 말했다.

창세기도 역시 은유나 시, '종교적 공상'이 아니라, 실제 역사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창세기에서 우리는 복음의 논리적인 기초가 되는 죄와 죽음의 기원, 즉 생명의 주인이신 예수님이 왜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셔야 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역사에 대한 성경의 분명한 메시지를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성경에 기록된 구원에 대한 메시지도 믿지 못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 Biblical Pool Uncovered in Jerusalem. Los Angeles Times, 16 August 2005. www.latimes.com/news/science/la-sci-siloam9aug09,0,5974214.story

The Siloam Pool: Where Jesus Healed the Blind Man (Bible History Daily, 2023. 8. 23)

https://www.biblicalarchaeology.org/daily/biblical-sites-places/biblical-archaeology-sites/the-siloam-pool-where-jesus-healed-the-blind-man/

The Pool of Siloam (BiblePlaces.com)

https://www.bibleplaces.com/poolofsiloam/

Biblical site where Jesus 'healed blind man' is unearthed after 2,000 years (UNILAD, 2023. 9. 8.)

https://www.unilad.com/news/world-news/jerusalem-site-jesus-healed-blind-man-unearthed-225498-20230908

“예수께서 눈먼 자 고치셨던 실로암 못, 대중에게 공개 예정” (2023. 1. 1.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21458

예수님께서 눈먼 자 고친, 실로암 연못 8계단 발굴 (2023. 9. 10. 뉴스제이)

https://www.newsjesu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52

"기혼샘과 실로암을 잇다"…히스기야의 간절함이 낳은 형통 (2022. 12. 31. 데일리굿뉴스)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14835


*참조 :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22&t=board

▶ 아담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332&t=board


출처 : Creation 28(1):7–11, December 2005

주소 : https://creation.com/focus-281#siloa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4-03-05

가장 오래된 초기 히브리어 글자의 발견!

: 에발산의 납 서판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주장을 기각한다.

(The most ancient Proto-Hebrew inscription ever discovered!)

Gavin Cox


요약 :


   이 글은 성경의 구절과 관련된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에 대해 다룬다. 구체적으로, 성경의 신명기 11:27-29절과 여호수아 8:30절에 언급된 사건과 관련하여, 약속의 땅에 들어온 이스라엘 백성이 그리심 산(Mt Gerizim)과 에발 산(Mt Ebal, 저주)에서 축복과 저주를 선포한 사건을 지지하는, 납(lead)으로 된 작은(2 × 2cm) 서판(tablet)의 발견을 기술하고 있다. 이 서판은 2019년에 에발 산의 발 모양의 금지구역 내에서 발견되었다.

.2019년 에발산(Mt Ebal)에서 발견된 작은 접혀진 납으로 된 서판(tablet).

.이전에 발굴된 두 희생 제단이 있든, 발 모양의 금지구역에서 납 서판(lead tablet)이 발견되었다.


납 서판은 분석되었고, 그 금속은 BC 1400~1200년 경 그리스 광산에서 온 것으로, 서판의 연대측정 결과는 후기 청동기 I-II 시대(Late Bronze I–II period, LB I-II) 동안인, 이스라엘 백성들의 출애굽 시기(BC 1446년)와 광야에서 40년 방황 후, 가나안 정복 첫해의 시기(BC 1406년)와 일치한다. 글자가 새겨져 있는 납 서판은 히타이트(Hittite) 제국과 신-히타이트(Neo-Hittite) 제국(오늘날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 북부)에서도 발견되었다. 이것은 에발 산에서 발견된 이스라엘 서판의 고대성을 인정해주는 또 다른 이유가 된다. 접혀있는 납 서판은 파괴하지 않고 펼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수천 번의 단층촬영을 포함한 첨단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내부 표면에 숨겨진 문장을 시각화했다. 새겨진 문장은 교차대구 병행법(chiastic parallelism) 구조로 되어있었으며, 이렇게 새겨져 있었다 :

당신은 YHW 신의 저주를 받았다, 저주를 받았다.

당신은 죽을 것이다, 저주받고 저주받고, 당신은 반드시 죽을 것이다.

저주받은 당신은 YHW에 의해서 저주받았다.[11]


중요한 것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야훼)에 대한 약식 철자인 'YHW'가 두 번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은 맹세자가 언약의 저주를 읽도록 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의 법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법적 맹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에 따르면, 서판의 내부 표면에는 44개의 초기 알파벳 철자(proto-alphabetic letters, 구 히브리어 이전의 문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이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보다 수 세기 더 오래된 문자이다. 성서연구협회의 더글라스 페트로비치(Douglas Petrovich)는 시나이 반도에서 발견된, BC 184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더 오래된 원시 자음 문자를 연구하고 있다.


이 발견은 많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후기 청동기시대에는 알파벳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경이 모세의 시대보다 훨씬 후대에 쓰여졌다는 주장에 대한 명백한 반증을 제공한다. 이 서판은 성경이 모세의 시대보다 늦게 후대에 쓰여졌다거나, 이스라엘 국가의 형성에 대한 회의적인 주장들을 영구히 종식시키며, 성지에서 나온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성서연구협회는 서판의 바깥쪽 표면 텍스트의 번역을 아직 발표하지 않았으며, 이는 서판이 누구의 것인지, 누가 썼는지, 또는 누구에게 보내었는지를 밝힐 수 있다. 이 고고학적 발견에 대한 추가적인 텍스트 분석과 발견이 기대되고 있다.


원문 보기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57/c15744/j36_2_14-15.pdf


*참조 : 에발 산에서 여호수아의 제단과 저주 서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302135&bmode=view

가장 오래된 히브리 문자가 해독됐다 :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한 또 하나의 증거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82&bmode=view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5639096&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언어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973&t=board

▶ 문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960&t=board

▶ 점토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20&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6(2):14–15, August 2022 

요약 및 교정 : ChatGPT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12-05

유전학과 고고학 사이의 줄다리기

: 창세기 10장, 11장의 기록과 바벨 이후 인류의 분산

(The Tug of War Between Genetics and Archaeology)

by Troy Lacey


요약

바벨탑 이후 빙하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 기간 동안에 유럽에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다. 한때 단일 문화로 여겨졌던 벨 비커 문화(Bell Beaker culture)는 이제는 유럽을 지배했던 독특한 도자기 스타일을 가졌던 두 개의 별개의 문화로 밝혀졌다. 이것은 정복, 무역, 또는 문화적 동화를 통해 이루어졌을까? 고고학(archaeology)과 유전학(genetics)은 이 주제에 대해 서로 상충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들을 검토하고, 창세기 10장의 민족들의 표(Table of Nations)가 이 주제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세계의 역사를 이해하려는 우리의 탐구에서 고고학과 유전학 분야는 종종 상충되는 경우가 많으며, 간단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드물게 서로를 보완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Nature 지에 실린 논문과 기사는 고고학적 발견과 유전자 연구 사이의 때때로 불안한 휴전을 강조하고 있었다.[1] 이 두 분야의 충돌은 때때로 다른 결론으로 이어지거나, 유적지의 역사에 대해 이전에 갖고 있던 생각을 뒤집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비커 문화(Beaker culture)에 관한 위의 논문과 기사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간단히 보기

∙유럽은 빙하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에 이주의 물결에 휩싸였다.

∙이주와 침입을 했던 벨 비커(Bell Beaker) 집단은 두 개의 다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지역은 유라시아 벨 비커 민족의 정복을 피했고, 다른 지역은 거의 완전히 전멸하고 대체되었다.

∙창세기 10장과 11장은 유전학적 및 고고학적 데이터와 잘 연관되며 타당하다.

 

고분, 뼈, 벨 비커

오래된 전통적 고고학 연구에서 도자기의 종류나 양식(pottery types or styles)은 종종 한 문명의 연대를 측정하거나(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함께) 문명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였다. 이후 고고학적 사고의 변화로 인해, 이러한 포괄적인 주장이 축소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도자기 유형을 특정 문화와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다. 도자기 유형의 변화는 특정 유적지의 문화가 점령되어 변화했거나, 토착 문화가 새로운 스타일을 채택했거나 발명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잉글랜드 남서부, 스톤헨지(Stonehenge)에서 약 30km 떨어진 아베베리(Avebury) 마을 근처에는 최대 46명의 유해들이 묻혀있던 긴 무덤(long barrow, 언덕이나 언덕 아래에 파묻어 놓은 무덤)이 있다.[2] 일반적으로 BC 3600년 전으로 추정되는[3] 이 지역은 BC 2450년까지 지속적으로 점령된 것으로 여겨졌었다. 거의 천 년 동안 사람들이 무덤으로 돌아와 도자기와 구슬 등을 기념품으로 가져갔다는 증거가 있다.[4]

이 시기(BC 2750~2500년 경으로 평가되는)[5]에는 동유럽에서 새로운 도자기 양식이 등장했고, 이 새로운 종 모양의 도자기 양식(이하 벨 비커<Bell Beaker>라고 표기)은 중부, 서부, 북부 유럽을 휩쓸고 영국까지 점령했다.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이것이 이주 영향인지, 아니면 문화적 접촉/교역 영향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앞에서 언급한 웨스트 케넷 긴 무덤(West Kennet Long Barrow)과 유럽 전역의 매장된 유해 시료에서 채취한 대규모 유전자 프로젝트가 그 해답을 밝혀주었다.

 .독일 베를린의 포르-운드 프뤼게시히테 박물관(Museum für Vor- und Frühgeschichte, 선사 및 초기 역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벨 비커(Bell Beaker) 문화권의 도자기들. <Image by Alfons Åberg, via Wikimedia Commons>.

 

죽은 사람은 이야기를 들려준다(하지만 그들의 연대는 아니다)

벨 비커 문화(Bell Beaker culture)는 포르투갈 리스본(Lisbon) 인근 유적지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BC 2700년 경)의 벨 비커 도자기가 나왔기 때문에[6], 이베리아 반도(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이 있었다.[7] 그러나 다른 고고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벨 비커 문화의 동유럽 기원을 얌나 또는 얌나야 문화(Yamna or Yamnaya culture)로 추정했다.[8] 최근 Nature 지의 논문은 둘 다 부분적으로는 사실이라는 것을 밝혀냈다.[9]

Nature 지 논문의 저자들은 136곳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BC 4700~800년 사이로 추정되는 고대 유럽인 400명의 새로운 DNA 염기서열 데이터를 분석했다.[10] 이 중 266명은 벨 비커 문화(BC 2750~1800년경)와 관련된 개인들이었고, 174명은 벨 비커 문화 전후로 추정되는 다른 문화권에서 발굴된 개인들이었다.[11] 후자 그룹 중 118명은 영국에 묻힌 개인이었고, 51명은 벨 비커 이전, 67명은 벨 비커 이후였다. 데이터를 정제하고, 다른 알려진 고대 유전체 세트 및 현대 개인과 결합한 후, 3,500명 이상의 표본 크기를 확보했다.[12]

이 유전자 데이터는 이베리아 벨 비커인 그룹과 동유럽 또는 유라시아 벨 비커인 그룹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유라시아 벨 비커와 관련된 개인들은 세 가지 주요 유전적 요소를 갖고 있었는데, 하나는 유럽 수렵채집인(European hunter-gatherers)의 특성이었고, 다른 하나는 레반트(Levant-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와 아나톨리아(Anatolia-터키) 사람들에서 보여지는 특성을, 다른 하나는 이란 사람에서 극대화되고 대초원 개체군(현재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일부 포함)에서는 적게 갖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그들[유라시아 벨 비커 민족]의 조상은 중석기시대 서유럽 수렵채집인, 북서부 아나톨리아 신석기시대 농경민, 초기 청동기시대 대초원 인구가 혼합된 것으로 모델링됐으며, 이중 처음 두 집단은 초기 신석기시대 유럽인의 조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칠리아를 제외한 이베리아 이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표본으로 추출한 비커 혼합체와 관련된 개체의 대부분이 대초원 집단 조상으로부터 상당 부분 파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베리아에서는 분석 대상 32명 중 8명만이 그러한 조상을 갖고 있었다.[13]

그들의 연구 결과는 벨 비커 혼합체와 관련된 개체의 기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뒷받침했으며, 이베리아 관련 벨 비커 그룹이 유라시아 혼합체와 섞여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없었다. 이는 특정 출처에서 비롯된 하나의 "비커 민족"이라는 생각을 불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베리아의 개인들은 동유럽 및 중부 유럽의 사람들과 조상을 거의 공유하지 않았다.

벨 비커 이전과 이후의 영국인의 데이터를 조사했을 때, 훨씬 더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유라시아 벨 비커 그룹은 초기 영국인들을 거의 완전히 대체했다. 수백 년 만에 인구의 90% 이상이 벨 비커인이 된 것이었다. 유전자 분석은 또한 벨 비커 민족의 "영국 침략"이 네덜란드에서 온 것으로 강력하게 시사했다.[14] 유라시아 벨 비커에게는 일반적이지만, 초기 영국인에게는 없는 특정 대립유전자(특정 염색체의 동일한 지점에 있는 유전자 변이체)를 통해 연구자들은 벨 비커 이후 영국인의 밝은 피부 색소 침착과 눈 색깔의 증가를 추적할 수 있었다.[15]

 

도자기는 도자기고, 사람은 사람이다

이 글의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과 데이터가 인류의 이주와 문화적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그리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고고학자, 유전학자,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짧은 인용문에서 이러한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

"고고학자의 절반은 고대 DNA가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머지 절반은 고대 DNA가 악마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독일 뮌헨의 루드비히 막시밀리안(Ludwig-Maximilians) 대학에서 유전학자 및 분자생물학자와 긴밀히 협력하며 몇 년 전 두 분야 간의 가교 역할을 위해 설립된 연구소의 연구원인 필립 스톡하머(Philipp Stockhammer)는 말한다. 그는 이 기술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고고학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일부 고고학자들은 분자적 접근 방식이 뉘앙스의 영역(the field of nuance)을 빼앗아 갔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생물학과 문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부당하고 심지어 위험한 가정을 하는 광범위한 DNA 연구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고고학자 마크 밴더 린든(Marc Vander Linden)은 "그들은 마치 모든 것을 정리한 듯한 인상을 준다"라고 말했다. "그것은 약간 짜증나게 한다."[16]

저자인 유웬 캘러웨이(Ewen Callaway)는 그의 Nature 지 글에서 당면한 몇 가지 문제를 언급하고 있었다. 고고학자들에게 이주(migrations)는 항상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정복을 통한 문화와 도자기 및 기타 유물의 교체가 고고학 기록에 나타나는 것일까? 아니면 문화가 섞이면서 더 나은 도구/도구를 제공하거나 모방을 촉발하는 문화 간의 교역이 더 나은 설명일까?

연구자들은 유전학을 통해 이러한 질문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위치한 하버드 의과대학의 인구 유전학자인 데이비드 라이히(David Reich) 박사는 "유전학이 특히 잘하는 것은 인구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17]

라이히 박사는 일부 유전자 연구에도 참여했으며, 2018년 Nature 지의 기고 저자이기도 하다. 또한 그는 현대 독일인과 북유럽인의 유전체를 조사하여, 그들의 유전체에 얌나야(Yamnaya) 조상이 생존해 있다는 결론을 내린 2015년 Nature 지의 두 논문 중 하나에도 참여했다. 이러한 유사성은 유럽 동쪽 가장자리에서 중앙 유럽으로 대규모 이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18]

이들 Nature 지 논문들을 모두 종합해보면, 아마도 무역을 통해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이베리아 및 동유럽) 간에 도자기 스타일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 영국인이 벨 비커 민족으로 90% 교체된 시기와 일치하는 영국 정복으로 인해, 도자기 스타일이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조상을 가진 대규모 민족 집단들이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이주한 것도 지적했다. 이 그룹들은 먼 거리를 이동했지만, 폭발적으로 이동했다. 캘러웨이(Callaway)의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오늘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초원에서 이주해온 목축인들의 유입은 구덩이 고분과 같은 얌나야 문화 유물 및 관습과 연관되어 약 4,500~5,000년 전에 중부 및 서유럽의 유전자 풀(the gene pool)의 대부분을 대체했다. 이는 신석기시대 도자기, 매장 양식 및 기타 문화적 표현이 사라지고, 북부 유럽과 중부 유럽 전역에 분포하는 코드웨어 문화(Corded Ware cultural, 매듭무늬토기 문화, 또는 전부문화, Battle Axe culture)의 유물들이 출현한 시기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고고학계에 충격을 주었다"라고 크리스티안센(Kristiansen,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은 말한다.[19]

 

벨 비커, 또는 바벨탑 이후 성경적 이주?

그렇다면 성경적 관점에서 이 연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그리고 세속적인 중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는 성경적 연대기에서 어디에 부합할까? 두 벨 비커 그룹과 유라시아 벨 비커 혼합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전자 그룹의 이주 패턴이 바벨탑 사건 이후의 이야기 및 연대기와 일치할까?

우선 세속적 이야기는 이들 유라시아 인류가 중석기 시대 수렵채집인으로서 시작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런 다음 신석기 시대 목동과 초보적인 농경민으로 발전하여, 이제 막 영구적인 마을에 정착하고 도자기를 만드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속 도구와 무기를 개발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에 농경민으로 발전했다. 이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북유럽은 일반적으로 남유럽, 중동, 터키의 시기보다 뒤쳐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럽에서는 세속적 연대 틀로 BC 12,000년에서 BC 600년까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성경에 따르면, 인류 역사가 시작될 때부터 인간은 농부(창세기 2:15, 4:2)였으며[20], 목동이었고(창세기 4:2, 20), 금속 가공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켜(22절), 악기를 만들고(21절) 도시를 건설하여 살았다(17절). 사실 이러한 기술은 창조 후 7세대 만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홍수 이후와 바벨 이후 세상에서 '석기 시대'는 없었고, 야금, 목축, 농경, 도시화가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이 모든 것들은 홍수 이후에 상당히 빠르게 시작되었지만, 빙하기와 홍수와 바벨로 인한 초기 기술적 좌절과 리셋으로 인해, 일부 그룹, 특히 북유럽의 일부 그룹은 한동안 기술적으로 퇴보했던 것을 볼 수 있다.[21]

유럽의 역사는 대홍수 이후 그리고 바벨탑 사건 이후 한 그룹의 사람들의 역사이다. 그리고 적절한 시간 틀을 고려하면, 위의 서술은 유전학[22] 및 고고학[23] 데이터들과 매우 잘 맞아떨어진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베리아(Iberia)에 정착한 민족 그룹으로 시작하여, 러시아 및/또는 우크라이나 대초원을 떠나, 중앙 및 북부 유럽을 침략하기 전에, 얌나(또는 얌나야) 민족을 구성한 사람들을 살펴보겠다.

바디 호지(Bodie Hodge)는 그의 책 '바벨탑(Tower of Babel)'에서 여러 족보들, 지도들, 역사를 수집하여, 창세기 10장(민족들의 표<the Table of Nations>라 불려짐)과 창세기 11장을 비교했다. 그는 성경에 언급된 지파, 민족, 국가, 고대 및 현대 국가의 지명과 성경의 이름을 동일시하려고 시도했다. 인류가 우라르투(Urartu, 아라랏 산맥) 지역(현재의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조지아, 이라크, 이란, 아제르바이잔 일부 포함)에 거주하게 된 창세기 9장의 홍수 이후 성경 이야기를 시작으로, 우리는 인류가 바벨(일반적으로 이라크 남부와 관련됨)에 모여 하나님의 명령대로 땅을 채우기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 후 하나님은 언어를 혼잡하게 하시고, 민족들을 흩으셨다(창세기 11:7~9).

성경과 역사 기록에 따르면, 유럽은 주로 노아의 장남 야벳의 후손들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창세기 10:21). 그러나 일부 함족 조상(Hamitic ancestry)도 있었는데, 그들의 후손들 대부분은 튀르키예 일부 지역에 정착한, 함의 손자인 헷(Heth, 15절)의 후손들인 헷 족속(Hittites, 헷 또는 히타이트 족속)들이었다. 그리고 2018년 Nature 지 논문에서 논의된 데이터와 성경 및 고대 역사 기록 사이에는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다.

 

창세기 : 문화들을 이해하는 열쇠

바디 호지는 이베리아인에 대한 기록을 야벳의 아들들, 주로 두발(Tubal, 그림 8)[24] 뿐만 아니라, 고멜과 고멜의 아들 리밧(Ripath, 그림 2)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25] 이 그룹은 상당히 가까운 시간 간격으로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에 정착한 후 결혼했을 가능성이 높다. 원래 형제들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인구 집단은 비슷한 유전적 프로필을 가졌을 것이다.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이베리아 반도는 당시 사람들이 이주한 가장 먼 서쪽 지역이었으며, 고멜에서 유래된 창시자(founders)들은 이전에 프랑스, 갈라티아(튀르키예), 루마니아에 정착해 있었기 때문에, 이베리아인들은 유럽 역사에서 훨씬 후대까지 전쟁과 침략의 위협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완충지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주 지도

이 지도들은 창세기 10장의 민족들의 표(the Table of Nations)에 따라 노아의 아들 야벳, 함, 셈의 후손들 중 일부의 분포를 보여준다*.

 

야벳의 후손들

그림 1. 고멜(Gomer)의 아들 아스그나스(Ashkenaz)의 이주.

그림 2. 고멜과 그의 아들 리밧(Riphath)의 이주.

그림 3. 야완(Javan)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4. 야벳의 아들 마대(Madai)와 셈의 아들 엘람(Elam)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5. 마곡(Magog)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6. 메섹(Meshech)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7. 고멜의 아들 도갈마(Togarmah)의 이주.

 

그림 8. 두발(Tubal)의 후손들의 이주.

 

셈의 후손들

 그림 9. 아람(Aram)의 후손들의 이주.

 

함의 후손들

그림 10. 가나안(Canaan)의 이주.

그림 11. 함의 아들 구스(Cush)의 이주.

<* 이미지 제공: 바디 호지(Bodie Hodge). 노아 아들들의 나이와 거주 지역에 따라 지도가 표시되었다.>

 

이제 유라시아 대초원(Eurasian Steppe)으로 눈을 돌리면 여러 민족들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멜의 아들 도갈마(Togarmah)와 그의 후손들은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의 대부분에 정착했다(그림 7).[26] 야벳의 아들 마곡(Magog)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헝가리의 대부분에 정착했고(그림 5),[27] 야벳의 다른 아들 메섹(Meshech)도 러시아, 핀란드, 조지아의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그림 6).[28] 그러나 유라시아에는 특히 중국, 몽골, 시베리아(동부 스텝 지역 대부분) 일부에 정착한 가나안의 두 아들, 즉 신 족속(Sinites)과 하맛 족속(Hamathites)(창 10:17-18) 등의 함족 조상(Hamitic ancestry)들도 많이 있었다. 또한 함의 아들 구스(Cush))로부터 유전적 유입이 있었는데, 그 후손 중 일부는 인도 북부에 정착했다(그림 11).[29] 마지막으로 페르시아(Persia, 이란 Iran, 그림 4)에 정착한 엘람(Elam)과 박트리아(Bactria-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 그림 9)에 정착한 아람(Aram)을 통해 이 지역에도 셈족의 조상들이 있었다.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위의 민족들과 유라시아 대초원의 벨 비커 그룹(the Bell Beaker group)에 대한 유전자 연구를 비교해 보면, 몇 가지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세 개의 다른 유전자 그룹(셈족, 함족, 야벳족)은 성경과 세속 역사에서 이들이 이주한 것으로 기록된 지역(서부 및 동부 대초원, 레반트, 터키, 이란,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같은 "교차로" 국가)에서 유래했다. 이베리아 벨 비커 그룹의 고립과 구별은 성경적 세계관에서도 이해가 되는데, 특히 여러 세대에 걸쳐 다른 민족 집단과 결혼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텝 벨 비커(Steppe Bell Beaker) 민족이 서쪽으로 이동해오면서 결국 뒤늦게 유전적 상호작용이 있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스텝 벨 비커 그룹의 영국 침공이다. 유전학은 매우 짧은 기간에 거의 완전한 인구 교체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성경적 증거와 다시 한 번 매우 잘 일치한다. 영국은 이베리아처럼 야벳의 아들과 손자 두발, 고멜, 리밧에 의해 처음에 정착한 것으로 보이지만, 나중에 스페인 남부 일부에 정착한 야벳의 아들 야완(Javan)이 지브롤터(Gibraltar) 해협을 거쳐 영국 남부 일부에 정착한 해안 이동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그림 3).[31] 이베리아처럼 영국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한동안 침략의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러한 해안 이주가 영국인의 DNA에 추가되었다는 사실은 Nature 지 논문에서도 언급되었다 :

프랑스 남부와 영국의 신석기인은 중부 유럽 초기 신석기인보다 이베리아 초기 신석기인과 훨씬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일랜드의 신석기 유전체에 대한 이전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혼합 그래프 프레임워크(an admixture graph framework)에서 신석기시대 인구와 중석기시대 서유럽 수렵 채집인을 모델링은 이러한 결과를 재현해주고 있으며, 수렵채집인의 혼합 비율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영국 신석기시대 인구의 조상 중 일부가 대서양 연안을 따라 퍼져 나간 이주민에게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32]

벨 비커 이후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구(위에서 언급한)의 유전적 친화성은 바벨탑 사건 이후 사람들의 이동을 보면 알 수 있다. 야벳의 손자 아스그나스(Ashkenaz)는 처음에는 튀르키예(Turkey)로 이주했다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흑해 연안 지역(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에 정착하여, 일부 함족 및 셈족을 정복하거나 혼합되었다(그림 1).[33] 이후 서쪽으로 눈을 돌려 중부 및 서유럽 대부분을 정복하고 정착하기 시작했다.

흥미롭게도 중세 독일에서 유대인의 이름은 아스그나스(Ashkenaz 아슈케나즈)이며, 독일 또는 중부 유럽 혈통의 유대인은 여전히 아슈케나지(Ashkenazi 아슈케나즈 땅에 사는 유대인)로 불린다. 그리고 아스그나스의 손자 인가본(Ingaevon) 또는 증손자 이스타에본(Istaevon)이 독일 북부에 정착한 후, 덴마크와 네덜란드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그 연관성을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후 아스그나스(Ashkenaz, Suevus)로부터 8대까지는 스웨덴을 식민지로 삼고 영국을 정복했다. [34] 역사학자 제임스 앤더슨(James Anderson)에 따르면, 이 시기는 BC 1900~1652년 사이로, 북유럽의 빙하기 말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에 딱 들어맞는다.[35]

세속적 고고학과 역사의 재구성에서 지배적인 진화론적 가정을 버리고, 실제 성경과 세속 족보를 연구해보면, 이주, 식민지화, 무역/문화적 상호작용, 유전자 데이터의 시기가 상당히 잘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창세기 10장과 11장을 읽을 때 우리는 (이 특별한 경우) 바벨-이후 유라시아인(post-Babel Eurasians)으로 추적할 수 있는 진정한 역사와 민족들을 보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다. 창세기 10장에 기록된 민족들의 표(또는 열국의 표)는 실제로 바벨 이후 민족 집단(과 그들의 이주)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며, 벨 비커의 연구에서 지적됐듯이 이베리아인의 경우처럼 "이동은 사람이 아니라, 토기(pots)가 했지만“[36], 인구 교체가 90% 이상인 영국에서는 때때로 이동을 한 것은 사람이었다. 바벨(그리고 창세기 10장)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해준다.

  

Footnotes

1.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Nature, March 28, 2018, https://www.nature.com/magazine-assets/d41586-018-03773-6/d41586-018-03773-6.pdf; and Iñigo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Nature 555 (March 8, 2018): 190–196, doi:10.1038/nature25738.

2. “History of West Kennet Long Barrow,” English Heritage, http://www.english-heritage.org.uk/visit/places/west-kennet-long-barrow/history/.

3. The conventional dating is based on anthropological evolutionary assumptions and radiocarbon dating methods which also have built-in assumptions. All of the supposed stone age, bronze age and iron age time periods are post-Flood, and most are post-Babel. In Eurasia as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we are looking at dates of c. 2200–1700 BC.

4.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Nature 555 (2018): 573.

5. See footnote 3.

6. See footnote 3.

7. João Luís Cardoso, “Absolute Chronology of the Beaker Phenomenon North of the Tagus Estuary: Demographic and Social Implications,” Trabajos de Prehistoria 71, No. 1, (2014): 73, doi:10.3989/tp.2014.12124.

8. “Bell Beaker Culture,” Indo-European.info, https://indo-european.info/wiki/index.php/Bell_Beaker_culture.

9.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0–192.

10. See footnote 3.

11. See footnote 3.

12. Olalde et.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0.

13. Ibid., 191.

14. Ibid., 193.

15. Ibid., 194.

16.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4.

17. Ibid.

18. Wolfgang Haak et al.,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Nature 522 (June 11, 2015): 207, doi:10.1038/nature14317 (Abstract).

19.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5.

20. All Scripture references are from NKJV unless otherwise noted.

21. David Menton and John UpChurch, “Who Were Cavemen?,”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who-were-cavemen/.

22. Georgia Purdom, “How Are Cavemen Different?,”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how-are-cavemen-different/.

23. Andrew Snelling and Mike Matthews, “When Did Cavemen Live?,”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when-did-cavemen-live/.

24. Bodie Hodge, Tower of Babel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2014), 169–171.

25. Ibid., 149–151.

26. Ibid., 157–159.

27. Ibid., 160–163.

28. Ibid., 173–174.

29. Ibid., 129–131.

30. Ibid., 133–134.

31. Ibid., 165–168.

32.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2.

33. Hodge, Tower of Babel, 151–155.

34. Ibid.

35. James Anderson, Royal Genealogies (Westminster Hall, England, 1732), 441–442, https://archive.org/details/AndersonJRoyalGenealogiesOrTheGenealogicalTablesOfEmperorsKingsAndPrincesTo1732 (PDF).

36.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6.

 

*참조 :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왕국들 : 고고학으로 확인되고 있는 암몬, 모압, 에돔 족속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389145&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고고학적 연대가 성경적 연대와 충돌할 때 : 방사성탄소 연대와 나무 나이테 연대의 문제점

https://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6277984&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16067923

바벨탑 사건과 민족 이동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9&bmode=view

바벨탑 : 전설인가, 역사인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8&bmode=view

고대 인류에 대한 DNA 분석은 바벨탑의 인류 분산을 확증하고 있었다.

https://creation.kr/Genesis/?idx=1289139&bmode=view

가나안 인의 DNA 분석은 성경의 정확성을 입증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5&bmode=view

Y-염색체 연구는 창세기 시간 틀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2881356&bmode=view

인류는 3 조상 가족으로부터 유래했음을 유전자 연구는 가리킨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08&bmode=view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는 무엇인가?

https://creation.kr/Apes/?idx=12687892&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대홍수 후 인류 이동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02&t=board

▶ 구석기시대와 타제석기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1060&t=board

▶ 동굴인과 동굴벽화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1100&t=board

▶ 문명의 시작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0905&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22&t=board

 

출처 : AiG, Answers, May 5, 2018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tug-war-between-genetics-and-archaeolog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9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왕국들

: 고고학으로 확인되고 있는 암몬, 모압, 에돔 족속 

(Ancient Jordan's Forgotten Kingdoms)

by Mark Looy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많은 사건들의 실체에 대해 뜨거운 논쟁이 있어 왔다. 우리는 이스라엘에 관한 많은 논쟁에 익숙하지만, 이웃해 있는 고대 요르단은 어떤가? 성경은 그곳에서 여러 왕들이 일어나 이스라엘에 대항했다고 말한다. 성경의 기록은 믿을 수 있는 것일까?


    성경에는 -ite로 끝나는 이상하게 들리는 여러 나라들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우리에게는 그저 한 페이지에 나오는 이름일 뿐이지만, 고대 유대인들에게는 때때로 두려워하거나 정복해야 할 무시무시한 이웃들이었다. 그중에는 암몬 족속(Ammonites), 모압 족속(Moabites), 에돔 족속(Edomites)이 있었다. 그들은 누구였을까? 그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2,000~3,000년 전에 살았던 이 민족의 유물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고고학자들은 이들을 유대인의 상상의 산물이나, 미화된 유목민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경에는 그들의 존재가 분명히 드러나 있다. 이들에 대한 하나님의 정죄는 종종 맹렬하다. 예를 들어 말라기(Malachi)는 에돔(Edom)에 대해 이렇게 예언하고 있다 : 

“에서는 미워하였으며 그의 산들을 황폐하게 하였고 그의 산업을 광야의 이리들에게 넘겼느니라” (말라기 1:3).

그들의 존재에 대해 누구의 말이 옳을까? 온 세상의 심판자이신 분, 아니면 회의적인 고고학자들?

이에 대한 답은 현대 요르단을 방문하기만 하면 알 수 있다.[1] 블록버스터 영화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으로 유명해진 페트라(Petra)의 유명한 사암 황무지를 걸어보라. 페트라의 빈 방들과 절벽을 깎아 만든 무덤에서 발자국 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들으면, 적막감을 느끼며,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 수 있다. 이 지역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초기 민족이 살았던 곳이다.

.요르단의 고대 유적도시 페트라의 알 카즈네(Al Khazneh).


성경 시대의 고대 요르단

페트라는 요르단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고학 유적지이지만, 요르단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른 많은 유적지들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구약과 신약의 주요 사건들이 이곳에서 일어났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2] 요르단(Jordan)은 그 이름 자체가 성경의 강(요단)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성경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요르단의 국경은 독수리가 날아가는 정도의 거리인, 예루살렘에서 불과 32km 정도 떨어져 있다.

창세기 14:1절부터 아브라함의 이웃들이었던 '평지 성읍들(cities of the plain, 그 지역의 도시들, 창 13:12, 개역한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도시들은 거의 틀림없이 요르단에 있었을 것이다. 민수기에는 광야에서 방황하던 이스라엘 백성이 기적적으로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까지의 마지막 여정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그 마지막 여정은 요르단에서 이루어졌는데, 그곳에서 모세는 느보산(Mt. Nebo)에서 사망한다. 


고고학은 이들 세 민족 그룹에 대한 성경 기록이 정확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약 성경에서 세례 요한(John the Baptist)은 요단강(Jordan River) 동쪽에서 예수님께 세례를 베풀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가 요세푸스(Josephus)는 세례 요한은 사해 근처 요르단에 있는 헤롯의 요새인 마케루스(Machaerus)에서 참수당했다고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 바울도 예루살렘에서 갈릴리로 가는 길에 이 지역을 지나가셨을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의 초점은 구약 시대에 요르단에 살았던 세 고대 민족에 맞추도록 하겠다. 흥미롭게도 이 세 민족은 사무엘상 14:47절 한 구절에 모두 언급되어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암몬 족속, 모압 족속, 에돔 족속이 살았다.

그들의 역사는 성경을 제외하면, 상당히 모호하다. 따라서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낮게 보는 많은 고고학자들은 최소주의(minimalism)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들은 암몬 족속(Ammonites), 모압 족속(Moabites), 에돔 족속(Edomites)에 대한 성경의 언급을 독립적인 확증이 없다면, 의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상호 작용한 역사와 모든 사람에게 선포된 하나님의 구속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역사서라고 할 수 있다. 고고학이라는 과학은 오늘날 요르단으로 알려진 이 지역에 위치했던 이들 세 민족들에 대한 성경 기록이 정확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150년 동안의 발견으로 고고학자들은 암몬 족속, 모압 족속, 에돔 족속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하지만 구약성경에 기록된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발견을 주의 깊게 해석해보면, 매번 성경의 기록이 진실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세 민족

.성경은 이스라엘 동쪽 국경에 있던 고대 세 민족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고고학자들은 이들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회의적인 태도를 취해 왔다. 새로운 증거들은 이스라엘의 이웃에 있던 이 국가들이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왕국이었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암몬 족속

요르단 북쪽에는 암몬 족속(Ammonites)이 살았다. 성경의 여러 곳에서 언급된 암몬 족속은 아브라함의 조카인 롯(Lot)의 후손이다(창세기 19:38). 요르단의 현대 수도인 암만(Amman)의 철자에서 암몬 족속의 역사성을 엿볼 수 있다. 암만은 성경에 언급된 유일한 암몬 족속의 성읍이자 수도였던, 고대 랍바-암몬(Rabbath-Ammon, 신명기 3:11 참조)이 있던 자리에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 근처의 이웃 도시 국가 중 하나인 암몬 족속은 이스라엘과 자주 싸웠다(사사기 11:33, 사무엘하 12:29-31, 역대하 27:5). 헷 사람 우리아(Uriah)가 간음을 은폐하기 위한 다윗의 명령에 따라 죽음을 맞이한 곳도 랍바-암만이다(사무엘하 11장). BC 9세기(이스라엘의 다윗과 솔로몬 왕 직후)에 만들어진 암몬 비문(Ammonite inscription)은 한 암몬 왕의 봉헌을 나타내고 있다.

고고학 및 성경 외 고대 문헌의 증거들은 그리스도 시대 훨씬 이전에 암몬 족속이라 불렸던 집단이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암만의 한 요새(랍바-암만에 있는 고대 언덕)에서 고고학적 발굴 작업을 통해, 방어 성벽을 포함하여 암몬 족속의 궁전 유적이 발견되었다.

.암몬 왕 예라 아자르(Yerah Azar)의 동상(BC 8세기)이 2010년 암만 요새(Amman Citadel, 암만 성채)에서 발견되었다. <Erich Lessing Culture and Fine Arts Archive>


모압 족속

요르단 한가운데에 위치한 모압 족속(Moabites)도 롯의 후손이었다(창세기 19:37). 그들은 이스라엘 건너편 사해 동쪽에 살았다. 모압 족속은 창세기 19:37과 신명기 2:9절에 언급되어 있다. 민수기 22~24장에서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발람(Balaam)을 불러온 사람은 모압 왕 발락(Balak)이었다. 또한 룻기에는 그리스도의 혈통에 등장하는 모압 여인 룻(Ruth)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마태복음 1:5).

성경 밖에서 모압 족속이라는 고대 민족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1868년, 구약성경의 왕들로 연대가 거슬러 올라가는 모압 석비(Moabite Stone, 메사 석비)가 발견되었다. 모압의 왕 메사(Mesha, 열왕기하 3:4-27절에 나오는 유다에 반란을 일으킨 왕)에 의해서 세워진 이 기념비에는 "이스라엘의 왕 오므리(Omri, king of Israel)"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이 석비에는 모압 신의 이름인 그모스(Chemosh, 민수기 21:29)뿐만 아니라, 구약성경에 기록된 다른 많은 지명들이 새겨져 있었다.

비문의 손상된 한 부분은 "다윗의 집(The House of David)"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첫 글자 "D"는 소실되어 있다. 이 판독이 정확하다면, 다윗 왕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최소주의자(minimalists)들에게 또 다른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에돔 족속

암몬 족속과 모압 족속의 남쪽에는 야곱의 쌍둥이 형 에서(Esau)의 후손인 에돔 족속(Edomites)이 살았다.(창세기 36장).

성경에 나오는 에돔 족속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더 이상 심각한 논란이 없지만, 대부분의 최소주의자들은 역대상 1:43절에 나오는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 전에 에돔 땅을 다스린 왕은 이러 하니라..."는 주장을 거부해 왔다. 하지만 최근 요르단의 키르밧 엔 나하스(Khirbat en-Nahas)에서 발견된 유적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키르밧 엔 나하스에서의 발굴 작업을 통해서, BC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대규모 구리 제련(copper-smelting) 작업의 증거가 발견되었다.[3] 이 시기는 도자기 잔해, 올리브 구덩이(olive pits)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이집트 유물 등에 의해서 뒷받침된다. 솔로몬이 이 지역을 통치했을 당시, 이집트와 무역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BC 10세기 솔로몬의 사후에 이집트가 잠시동안 이곳을 지배했었다.[4]

수천 톤의 슬래그(slag, 광석을 제련할 때 나오는 부산물)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대규모 구리 광산이 운영되고 있었음이 분명하다.[5] 단순한 부족 사회에서는 이 정도 규모의 채굴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에돔은 분명히 한 국가(또는 다른 잘 정립된 왕국의 일부)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강력한 증거는 최소주의자들의 주장과 상반된다.

.최근 고대 에돔에서 구리 슬래그(copper slag)라고 불리는 폐기물 더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왕들이 대규모로 광산을 운영했음을 시사한다. <Daniel Frese/BiblePlaces.com>


에돔(Edom)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붉은(red)"이라는 뜻이다. 원래 에서(Esau, 창 25:30)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이 지역의 유명한 붉은 사암과도 연결될 수 있다. 에돔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말라기 선지자는 그들의 몰락을 예언했다. 그리고 우리는 페트라에 버려진 웅장한 수도를 포함하여, 결국 그들을 대체한 나바테아인(Nabataeans)들의 석조 건축물을 여전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기독교인이 요르단을 방문해보면, 성경과 그 역사에 대한 이해가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창세기부터 시작하여 성경을 로드맵으로 삼으면, 성경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들이 요르단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요르단을 방문하면, 우리가 이미 사실로 알고 있는 구약의 역사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Footnotes

1. Technically, this tourist-friendly Muslim nation is called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The Jordan Tourism Board hosted the author on a media tour of the country last year.

2. For a listing of the several Bible places located in modern-day Jordan, go to the ABR website, www.biblearchaeology.org. Or see the book Travel through Jordan by Edward Dawson, although some of the ancient dates presented in the book are not necessarily accepted by all biblical creationists. The author extends his thanks to Mr. Dawson, an instructor at JETS seminary in Jordan, for his kind assistance with parts of this article.

3. Answers magazine is well known for taking carbon dates with a great deal of salt. However, the margin of error is lower when it comes to dating things within the past 3,000 years; it becomes more unreliable further back into history.

4. Contrary to popular opinion, the Bible does not speak of a “King Solomon’s Mine.” It’s the fictional theme of a popular novel and a few Hollywood movies. Yet 1 Kings and 2 Chronicles do mention gold in relation to Solomon, suggesting there may have been mining operations under his control (though Solomon may have imported the gol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ines near Khirbat en-Nahas may have belonged to Solomon. Hence the possible origin of a real King Solomon’s Mine.

5. Claire Harlin, “UCSD Professor Uncovers Clues that King Solomon’s Mines Existed,” http://sdnews.com, November 2010.

*Mark Looy is CCO of Answers in Genesis and is one of the ministry’s founders. Mark has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history from San Diego State University and is the author of countless articles on a great variety of topics.


*Excerpt from a Christian Travel Guide to Jordan

https://assets.answersingenesis.org/doc/articles/am/v7/n3/jordan-travel-guide-excerpt.pdf


*참조 :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적 사실성! :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임을 계속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0&bmode=view

솔로몬 시대의 광산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0&bmode=view

팀나의 구리 광산은 솔로몬 왕국의 부강함을 보여준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6&bmode=view

성경 밖의 기록에서 성경 사건들에 대한 어떤 확증이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4&bmode=view

새로 발견된 이집트 석비는 예레미야서에 기록된 왕이 실존했음을 증거한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426800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예언자 발람의 존재를 증명할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2&bmode=view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성경 속 이름의 인장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 느헤미야에 기록된 데마의 인장은 성경의 고고학적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0&bmode=view

이사야 선지자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 왕의 인장에 이은 놀라운 발견!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7&bmode=view

느헤미야의 성벽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8&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출처 : AiG, July 1, 2012; last featured May 24, 2020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the-forgotten-kingdoms-of-jordan/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2

앗수르의 최근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을 확증하고 있다.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Assyria Corroborate Scripture)

by Troy Lacey


     2014년 이슬람 테러리스트 단체 ISIS는 고대 앗수르(Assyria, 아시리아)의 수도였던 니느웨(Nineveh, 니네베)가 있던 모술(Mosul) 전역을 포함하여, 이라크 일부를 다시 장악했다. 이 지역을 장악한 3년 동안 그들은 문화 파괴 캠페인을 시작하여, 여러 모스크와 무덤들을 파괴했다. (2014. 7. 24일에는 전통적으로 무슬림과 일부 기독교인들이[1] 예언자 요나(Jonah)의 무덤으로 믿고 있는[2] 모스크가 파괴되었다). 이슬람교의 엄격한 해석에 따르면, 이러한 모스크 내에 있는 제단과 무덤들은 이슬람교에 위배되거나 부패한 것으로 여겨져,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2017년 1월 말 ISIS가 패배하면서, 모술과 주변 지역은 이라크군에 의해서 재탈환되었다.


피의 도시

성경에서 니느웨(앗수르 나라를 의미하는)는 북왕국 이스라엘의 적이자, 정복자이자, 유다 왕국을 괴롭혔던 국가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요나의 설교를 듣고 일괄 회개한 나라로도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니느웨 사람들은 분명히 우상 숭배로 되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후에 나훔과 같은 선지자들은 그들을 꾸짖고, 니느웨 성읍과 앗수르 제국의 멸망을 예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앗수르 왕들 중 몇몇이 언급되고 있는데, 대개 분열왕국 기간 동안 북이스라엘이나 유다 왕국과의 무역과 관련해서이다.

최근 이라크 매거진(Iraq magazine,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발행하는 고고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에서[3], 저자인 알리 야신 알주부리(Ali Yaseen Al-Juboori) 박사는 니느웨에서 발굴된 여러 비문(inscriptions)과 유물 중 아직 공개되지 않은 1987~1992년에 발굴된 비문과 유물을 살펴보았다. 최근 ISIS가 묻혀 있는 앗수르의 보물이나 유물을 찾기 위해 파놓은 터널에서 다른 유물과 비문들이 발견되었는데[4], 암시장에서 그것들을 판매하여 테러 조직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러니하게도 1987~1992년 네비 유누스(Nebi Yunus, 선지자 요나) 언덕과 네르갈 게이트(Nergal Gate)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은 모스크와 요나의 전통 무덤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ISIS는 그러한 제약을 받지 않고, 이라크 및 외국 고고학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까지 깊숙이 파고들어 도굴하고 있었다.

2017년 1월 도시가 탈환된 후, 고고학자들은 철거(파괴)되거나 약탈당한 유적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들은 수많은 터널들을 발견했다. 일부 유물들이 약탈당하고, 다른 유물들은 깨지거나 손상되었지만, 많은 유물들이 가치가 없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아마도 해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ISIS에 의해 약탈당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발견 중 일부는 앗수르 왕들이 남긴 비문들이었다. 저자들은 2017년 3월에 이 새로운 발견을 조사하고,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되었지만 공개되지 않은 유사한 비문들을 리뷰했다. 아래에서는 번역된 비문 중 일부를, 특히 성경의 역사와 사건을 다룬 비문을 소개한다.


벽에 새겨진 글

새로 발견된 비문(inscriptions) 중 일부는 1987~1992년에 발견된 비문과 마찬가지로 벽면 패널(wall panels)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비문은 동상과 기둥(statues and pillars, 또는 거상(colossi))에서 발견되었다. 저자들이 앗수르어로부터 영어로 번역한 문장은 아래와 같다.


에살핫돈(Esarhaddon, 에사르하돈)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Sumer)와 아카드(Akkad)의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Sennacherib)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Sargon Ⅱ)의 후손.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인 에살핫돈의 궁전,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성전을 (재)건설한 사람

아슈르 신(god Aššur)은 에사길(Esagil)과 바빌론(Babylon)을 (재)건설하고, (그리고) 위대한 신들의 동상을 복원했다.

산헤립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후손,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인 에살핫돈의 궁전,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하부) 이집트와 상부 이집트의 왕, 네 지역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아들,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아들.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에살핫돈의 아들,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후손.


성경의 증언

에살핫돈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는 앗수르 왕들은 모두 성경에 정확한 순서로 언급되어 있다. 사르곤 2세(Sargon II, 성경에서는 그냥 사르곤이라고 부름)는 이사야 20:1절에 한 번만 언급되어 있고, 산헤립(Sennacherib)은 여러 번 언급되어 있다(열왕기하 18~19장, 역대하 32장, 이사야 36~37장). 성경은 산헤립이 두 아들(아드람멜렉, 사레셀)에게 암살당했으며, 다른 아들인 에살핫돈이 그의 뒤를 이어 통치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에살핫돈은 열왕기하 19:37절과 이사야 37:38절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고, 세 번 언급되어 있다. 에스라서 4:2절에도 앗수르가 정복한 사마리아인과 다른 나라의 혼합 민족이 에살핫돈에 의해 그곳에 정착했다고 언급되어 있다(BC 722년 이스라엘 북왕국이 정복된 후 언젠가). 위의 마지막 비문의 저자인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은 에살핫돈의 아들로서, 성경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번역에 따라 아슈르바니팔로 불리기도 하고, 에스라 4:10절에서 오스납발(Asnappar, Osnapper, or Asenaphar)로 불리기도 하며, 사마리아 지역으로 비-이스라엘 사람들을 이주시킨 앗수르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몇몇 비문은 ...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된 몇 가지 비문과 새로 발견된 터널 비문은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 위에 언급된 왕의 전임 통치자, 통치 기간은 일반적으로 BC 883-859년으로 알려져 있음)의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다,

나 이전의 통치자였던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Shalmaneser)이 건설했던 옛 도시 갈라(Calah)는 황폐해져 폐허의 언덕으로 변해버렸다. 나는 이 도시를 재건했다. 나는 내가 정복한 땅들에서 사람들을 데려와, 즉 수쿠(Suḫu) 땅, 라쿠(Laqû) 땅 전체, 유프라테스 강 건너편에 있는 성읍 시르쿠(Sirqu), 자무아(Zamua) 전 지역, 비트-아디니(Bīt-Adini), 하티(Ḫatti), 루바르나(Lubarna, 리부르나-Liburna), 하티누(Ḫatinu)의 사람들을 데려와 (그들을) 그 안에 정착시켰다. 


위의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의 비문에 쓰여진 글은 에스라 4:10절(NKJV)의 기록처럼,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도 이주 정책은 여전히 실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창세기 10:11~12절에 언급되어 있는 성읍 갈라(Calah)가 실존했음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소수의 비문들만 살펴보더라도, 성경과 모순되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실제로 모두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확증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성경은 사건들이 기술된 후 수백 년이 지난 후에 짜깁기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서술, 예언의 많은 부분들(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예언을 제외하고), 고대 민족과 왕국의 사람, 장소, 이름, 칭호, 관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부분들이 지난 150년 동안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발견되기 전까지 현대 고고학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이는 디모데후서 3:16~17절과 베드로후서 1:20~21절에 언급된 것처럼, 성경의 저자들이 성령의 영감을 받아 기록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해석학(hermeneutics)을 논의할 때 사용되는 주의점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면[5], 성경의 역사적 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인간의 죄와 그 죄에 대한 해결책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하여 말하는 것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


Footnotes

1. Accepted more so by Muslims than by the majority of Christians. “What Is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The Gates of Nineveh, July 11, 2014, https://gatesofnineveh.wordpress.com/2014/07/11/what-is-the-tomb-of-the-prophet-jonah/.

2. But Nineveh as the burial place for Jonah seems highly unlikely since Jonah detested the city and its inhabitants, even though God spared them. It is much more likely he was buried near his hometown of Gath-hepher (now called Mashad).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in Mashad,” Mystagogy Resource center, September 21, 2012, http://www.johnsanidopoulos.com/2012/09/the-tomb-of-prophet-jonah-in-mashad.html.

3. Ali. Y. Al-Juboori, “Recently Discovered Neo-Assyrian Royal Inscriptions from the Review Palace and Nergal Gate of Nineveh,” Iraq 79 (2017): doi:10.1017/irq.2017.7.

4. Josie Ensor, “Previously Untouched 600 BC Palace Discovered Under Shrine Demolished by Isil in Mosul,” February 28, 2017, The Telegraph, http://www.telegraph.co.uk/news/2017/02/27/previously-untouched-600bc-palace-discovered-shrine-demolished/.

5. We often state if you can’t trust the historical sections of Scripture then how can you be consistent and say you trust the sections which speak on moral issues, the miracles of the NT and the gospel?


*참조 : Evidentialism : the Bible and Assyrian chronology

https://creation.com/evidentialism-the-bible-and-assyrian-chronology

The Historic Jonah

https://creation.com/images/pdfs/tj/j02_1/j02_1_105-116.pdf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1.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 of Judah’s deliverance from Assyrian invaders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1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2.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Hezekiah’s preparations in Jerusalem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2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3.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Jerusalem’s deliverance and Sennacherib’s end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3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6&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적 사실성! :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임을 계속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0&bmode=view

성경의 연대를 확인해주는 지구자기장 데이터 : 고대 이스라엘의 파괴된 도시들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3449526&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인장(이세벨, 이사야, 히스기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34&t=board

▶ 느헤미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27&t=board


출처 : AiG, March 13, 2018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recent-archaeological-finds-assyria-corroborate-scriptur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0

에발 산에서 여호수아의 제단과 저주 서판의 발견.

: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의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다.

(Joshua’s Altar and the Mount Ebal Curse Tablet.

An archaeological find confirms biblical history)

by Simon Turpin


     성경 비판론자들은 종종 구약성경의 역사적 기록을 허구나 신화로 간주한다. 하지만 고고학(archaeology)이 구약성경에 기록된 내용을 확증해주고 있다면, 어떻게 말할까? 최근 에발 산(Mount Ebal)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은 구약성경의 기록들이 역사적 사실이었음을 강력하게 확인시켜주고 있었다.


여호수아의 제단이 발견되었는가?

신명기 27장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을 차지하기 전에, 모세는 가나안에 들어가면, 여섯 지파(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요셉, 베냐민 지파)는 그리심 산(Mount Gerizim)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지킬 경우에 받게 될 축복을 큰 소리로 낭독하고,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말할 것을 명령하셨다. 나머지 여섯 지파(르우벤, 갓, 아셀, 스불론, 단, 납달리 지파)는 에발 산(Mount Ebal)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불순종할 경우 받게 될 저주를 낭독하고, 백성들은 응답하여 말해야 했다.

여호수아 8장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요새(또는 도시)인 아이(Ai) 성에서 승리를 거둔 후, 한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에발 산이 있는 세겜 근처에서, 여호와(YHWH, יהוה)와 언약식을 거행했다(수 8:33). 여호수아가 여호와께 제단을 쌓은 곳은 에발 산이었다(여호수아 8:30). 에발 산은 사해 북서쪽,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에발 산 남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그 사이에는 세겜(city of Shechem)이 있다(수 24:25).[1] 세겜 북쪽의 에발 산의 높이는 약 940m(3,084 feet)이며, 산 동쪽에는 이스라엘 하이파 대학(University of Haifa)의 세속적 고고학자인 아담 제르탈(Adam Zertal, 1936~2015) 교수가 발견했던 제단(altar)이 있다.[2]

1980년 제르탈 교수는 에발 산에서 대형 직사각형 제단(30㎡, 높이 3m, 아래 그림 참조)을 발견했고, 1982년부터 1989년까지 발굴 작업이 이어졌다. 제르탈 교수는 이 대형 직사각형 구조물이 여호수아의 언약 기념 제단(Joshua’s covenant ceremony altar, 여호수아 8:30-35)이라고 믿었다. 제르탈의 발견에 대해 고고학계의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히브리 대학의 벤자민 마자르(Benjamin Mazar) 교수 등 몇몇 저명한 고고학자들은 확신을 가졌다.

대형 구조물 주변을 발굴한 결과, 많은 양의 재(ash)와 주로 어린 수컷 동물(주로 정결한)의 뼈 1,000여 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이 유적지가 성경적 기준에 따라, 동물 희생 제사를 지내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르탈은 발견된 도자기(pottery)와 스카라베(scarabs, 스카라브, 스캐럽, 부적으로 사용된 풍뎅이 모양의 조각)를 근거로, 이 제단의 연대를 BC 13세기에서 12세기(BC 1225년경)로 추정했다.[3] 이것이 여호수아의 제단이라면, BC 15세기(BC 1446~1400년) 경에 일어난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시기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르탈의 발굴 결과, 거대한 직사각형 제단 아래에 더 이른 초기의 제단이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아래 그림 참조).[4] 이 초기 제단은 원형으로, 지름이 2m에 불과했으며, 가공되지 않은(다듬지 않은) 중간 크기의 돌들로 만들어져 있었다. 제르탈은 이 작은 제단 바로 위에 깨끗한 재와 동물의 뼈들로 이루어진 10cm의 층이 있었고, 그 대부분은 불에 태워졌다고 말한다(신명기 27:7, 여호수아 8:31 참조). 제르탈은 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고 믿고 있었지만, 그 연대는 거의 같은 시기(BC 1250년경)로 추정했다.

몇 년 전, 고고학자 스콧 스트리플링(Scott Stripling)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했던 것에 주목했다. 그러나 정치적 이유로 인해,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한 것에 대한 발굴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제르탈이 발견한 대형 구조물(제단) 옆의 파편 더미에 남겨져 있는 물질들을 습식 선별(wet-sift, 물로 체에 쳐서)할 수 있었다.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작은 원형 제단이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으며, 이 제단에 대한 제르탈의 연대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높으며, 연대는 BC 15세기(BC 1400년경)로 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5]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제르탈에서 출토된 유물을 습식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증거들을 통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었다.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 유적지에서 더 이른 시기의 도자기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 장소가 더 일찍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원형 제단(round altar)과 관련된 물질에서, 파라오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BC 1504~1450년경)의 스크라베(scarab)가 발견되었다. 전통적인 견해는 투트모세 3세 스크라베는 기념품(commemorative)이며, BC 13세기의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에발 산, 실로(Shiloh), 여리고(Jericho)와 같은 유적지에서 제18왕조(Eighteenth Dynasty, BC 15세기) 스크라베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기념품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발견들은 지배적인 후기 연대설(late-date theory, 후기 출애굽설)에 도전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 경우도 그 이론이 해석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6] 그러나 스트리플링이 믿고 있는 것처럼, 투트모세 3세의 스크라베가 기념품이 아니라면, 이 풍뎅이 모양의 스크라베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일찍 건설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원형 제단은 초기 가나안 인들의 제단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여호수아는 그들의 제단을 허물라는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다.(따라서 모두 허물었을 것이다).(사사기 2:2; 출 34:13 참조). 또한 원형 제단에 속한 모든 돌들은 가공되지(쇠 연장으로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이는 여호수아 8:31절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경의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에발 산에 있는 여호수아의 제단(Joshua’s altar). <Image courtesy of Melissa Barreiro/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에발 산의 저주 서판

2022년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의 스트리플링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에발 산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비문이 새겨진 작은 납판(lead tablet, 가로 세로 2cm)을 발견했다고 밝혔다.[7] 이 납판은 2019년에 제르탈이 에발 산에서 발굴한 동쪽 파편 더미를 습식선별(wet-sift)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되었다. 고고학적 배경과 서문 분석에 따르면, 이 저주 서판(curse tablet, Defixio, 데픽시오)은 후기 청동기시대(BC 1400~12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었다.[8] 이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알려진 히브리어 비문보다 최소 2세기 이상 더 오래된 것이다.[9] 접힌 납으로 된 판에는 철필(iron stylus)로 납에 새겨놓은 고대 히브리어 비문이 들어 있었는데(욥기 19:23-24 참조), 원시 알파벳 문자(또는 원시 히브리어 문자)인 48개의 철자(하나는 하나님의 다른 히브리어 이름인 엘(El)과 결합된 신성한 이름 YHW(YHWH)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10] 비문은 교차대구 병행법(chiastic parallelism)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이렇게 읽혀진다 :

당신은 YHW 신의 저주를 받았다, 저주를 받았다.

당신은 죽을 것이다, 저주받고 저주받고, 당신은 반드시 죽을 것이다.

저주받은 당신은 YHW에 의해서 저주받았다.[11]

.에발 산에서 발굴된 납으로 된 저주 서판(Curse Tablet). <Image courtesy of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The Mount Ebal Curse Tablet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그분에 대한 다른 이름을 갖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


동일한 하나님을 두 히브리어 이름(YHW and EL)을 사용하여 함께 지칭하고 있는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문서가설((documentary hypothesis)의 한 주요 요소를 반박하는 것이다. 성경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토라(Torah, 오경)는 BC 15세기 경에 모세에 의해 쓰여진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시기(BC 960~550년경)에 여러 저자(약칭 J, E, D, P)들에 의해 편찬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신, 즉 여호와(YHWH)와 엘/엘로힘(El/Elohim)을 경배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The Documentary Hypothesis, 참조). 그러나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이름이 서로 달랐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Evidence for Mosaic Authorship of the Torah 참조). 또한 히브리인들이 글을 읽을 줄 알았다는 사실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6:9).

발견된 위치와 연대는 신명기 11:29절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가 가서 차지할 땅으로 너를 인도하여 들이실 때에 너는 그리심 산에서 축복을 선포하고 에발 산에서 저주를 선포하라”는 성경 말씀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신명기 27장과 여호수아 8장에 따르면, 에발 산은 저주의 산이었다.[12] 서판의 연대가 BC 1400년경이라면, 이는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정복한 시기와 일치하며, 성경의 출애굽 연도인 BC 1446년 경에서 약 46년 후(광야 40년 + 가나안 정복 약 6년)로서, 출애굽의 성경적 연대를 확고히 지지해주는 것이다(열왕기상 6:1 참조).

여호수아는 에발 산에서 모세의 율법을 돌에 새겼다(여호수아 8:32). 이 예표적 사건은 우리들 자신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갈라디아서 3:10절에서 사도 바울은 무릇 율법 행위에 의존하고 있는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다며 이렇게 말씀한다 : 

“무릇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나니 기록된 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모든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아담의 후손인 인류는 율법의 저주 아래 있으며, 그 저주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3:13절에서 이렇게 말씀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심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사람들은 죄의 저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예수님은 축복의 장소인 하늘로부터, 하나님의 저주 장소인 땅으로 오셔서(창세기 3:17), 인류의 죄를 사하시기 위한 희생 제물로 자신을 바치셨던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마땅히 받아야 할 저주를 받지 않고, 받을 수 없는 신령한 복을 받게 되는 것이다.(에베소서 1:3).


Footnotes

1. Shechem is where Abraham first sacrificed to God when he entered Canaan around 600 years earlier (Genesis 12:6–7).

2. The altar is oriented toward the east (a ramp was uncovered on the western side of the altar). If a priest was ascending the altar on the ramp to offer sacrifices, then he would be facing east (cf. Exodus 27:13).

3. Adam Zertal, “Has Joshua’s Altar Been Found on Mt. Ebal?” BAR 11, no. 1 (1985): 26–43.

4. Adam Zertal, “An Early Iron Age Cultic Site on Mount Ebal: Excavation Seasons 1982–1987,” Tel Aviv 14 (1987): 110.

5. Scott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in Five Views On the Exodus, ed. Mark D. Janzen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2021), 47.

6.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47–48.

7. The findings have been peer-reviewed. See Dr. Scott Stripling et al., “‘You are Cursed by the God YHW:’ an early Hebrew inscription from Mt. Ebal,” Heritage Science 11, no. 105 (May 2023): https://heritagesciencejournal.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40494-023-00920-9.

8. There are only two choices for dates for contents from the dump piles from Mount Ebal: Late Bronze Age II (1400–1200 BC) or Iron Age I (1200–1100 BC).

9. It would predate the Khirbet Qeiyafa ostracon (tenth century BC) by at least two centuries.

10. The inside of the curse tablet contains 48 “proto-alphabetic” letters, 9 of which are aleph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In the 23-word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scription, the word curse (’arur) appears six times and the sacred name, YHW, appears twice.

11. A tomographic scanner from the Institute of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in Telč (Czech Republic) was used to find the reading on the inside of the lead tablet. On the tablet, there was an image of an “Ox-Head,” the symbol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aleph. This symbol was part of the “proto-alphabetic” script and was used prior to 1200 BC. Some of the earliest known “proto-alphabetic” texts were discovered near turquoise mines in the Sinai Peninsula. These are similar to the text in the Mount Ebal curse tablet.

12. It is possible that the Mount Ebal curse tablet reflects a verdict against an individual sinner under a divine curse (see Deuteronomy 21:22–23).


*참조 :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창세기의 문서가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109&t=board

▶ 문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960&t=board

▶ 점토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20&t=board

▶ 출애굽의 증거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723&t=board

▶ 여리고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794&t=board


출처 : AiG, 2023. 7. 12.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joshuas-altar-and-mount-ebal-curse-tablet/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05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의 어떤 왕이었을까?

: 크세르크세스 1세? 다리우스 1세?

(Which Persian monarch was the Ahasuerus of the Book of Esther?)

James R. Hughes


    에스더서(book of Esther)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성경 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Ahasuerus) 왕은 크세르크세스 1세(Xerxes I)라고 믿고 있다. 가장 주된 이유는 아하수에로라는 이름과 고대 페르시아어인 크샤야르샤(xshayârshâ) 사이의 명백한 단어적 연관성 때문이다. 그러나 아하수에로를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인 다리우스 1세(Darius I, Hystaspes)로 보는 여러 이유들이 있는데, 다리우스 1세는 그가 지었던 중요한 궁전인 수산(Susa, Shushan) 궁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냈던 반면에, 크세르크세스 1세는 수산궁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았고,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에서 지냈다는 사실이 포함된다. 다리우스 1세 생애의 사건들은 크세르크세스 1세 생애의 사건보다, 에스더서의 사건들에 부여된 연대들과 더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다.

-----------------------------------------


   페르시아의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아하수에로(Ahasuerus)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성경에서만 등장한다. 에스더서에서 여러 번 등장하며, 다른 두 곳(다니엘 9:1, 에스라 4:6)에서 등장하고 있다. 다니엘서 9:1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와 에스더서에 언급된 아하수에로는 같을 수 없는데, 다니엘서 9:1절의 아하수에로는 메대 족속 다리오(Darius the Mede)의 아버지였기 때문이다. 반면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의 통치는 그보다 후대(전통적 연대에 따르면 BC 522~486년, 또는 BC 486~465년)이다[1]. 에스라 4:6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 역시 에스더서에 언급된 왕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는 아마도 고레스(Cyrus)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캄비세스 2세(Cambyses II)일 것이다[2].

에스더서의 시작(그리고 전체에 걸쳐)에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는 페르시아 왕은 누구였을까? 그는 인도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의 통치자였기 때문에, 페르시아 제국의 전성기에 통치했던 왕이었음이 분명하다(에 1:1). 그리스도 시대 이전부터 그에 대한 다양한 페르시아 왕들이 거론되어 왔다(예로, 외경(Apocrypha)과 칠십인역(LXX)에서는 아하수에로를 아닥사스다(Artaxerxes)로 번역함). 에스더서에 기록되어 있는 페르시아 영토의 범위(에 1:1), 왕이 수산궁에서 거주한 사실(에 1:2), 임명된 일곱 지방관(에 1:14), 연안/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함(에 10:1) 등은 다리우스 1세 이전의 왕들을 배제시킨다.

대부분의 현대 주석가들 사이에서 압도적인 합의는 아하수에로가 다리우스 1세(재위 BC 522~486년)의 아들인, 크세르크세스 1세(재위 BC 486~465년)라는 페르시아 왕이었으며, 다니엘서에 언급된 다리오(Darius)라는 왕과는 다른 인물이라는 것이다(단 5:31, 6:1ff, 9:1, 11:1). 일부 주석가들은 이러한 신원(identification)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 NIV의 번역자들은 이러한 신원 확인을 가정하여 에스더서의 번역본에 크세르크세스라는 이름을 포함시켰다. 이 견해는 네덜란드 학자였던 조셉 스칼리거(Joseph Scaliger, AD 1540~1609)가 역사 연대기 연구에서 처음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3] 제임스 어셔(James Ussher, AD 1581~1656)는 스칼리거와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데, 아하수에로를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 즉 다리우스 1세로 이해했다.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페르시아의 왕 아하수에로는 크세르크세스 1세(Xerxes I)였다는 주장에는 주로 세 가지 논거가 제시된다 :


1. 크세르크세스의 통치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성경 외의 사건들은[4] 에스더서에 기록된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과 서로 연관시켜볼 수 있다. 에스더서 1장에 기록된 잔치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와의 마라톤 전투(Battle of Marathon, BC 490년)에서 패배한 아버지(다리우스 1세)의 복수를 위해 준비하던 시기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이 잔치에는 수산궁에 소집된 각 지방의 지도자(종속된 왕과 총독)들과 함께 계획을 세우고, 그리스를 공격하기 위해 함대와 군대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려는 기회였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크세르크세스가 페르시아에 있을 때에는, 에스더서의 사건이 일어난 수산(Susa, Shushan)이 아닌,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에서 10년 이상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수산궁을 왕실 거주지로 사용하는 일은 다리우스 1세 이후 아닥사스다 2세 시대까지 줄어들었다.[5] 크세르크세스가 수산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증거는 없다.[6] 살라미스(Salamis)에서 크세르크세스의 해군이 패배하고(BC 480) 페르시아로 돌아온 후, 그가 재위 7년(BC 479년 또는 478년)에 에스더와 결혼했다면(2:16), 그 전 해에 멀리 그리스에 있었는데, 어떻게 수산성의 후궁(harem)으로 처녀들을 모으기로 한 결정(에 2:1-4, 12)에 동의했는지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헤로도토스(Herodotus, 고대 그리스 역사가)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변덕스럽고 폭압적인 성격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것은 에스더에 묘사된 아하수에로의 성격과 일치된다고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인에 대한 애정이 없던 그리스 사람이었다. 그는 그리스인들의 적이었던 많은 인물들에 대하여 가혹한 평가를 내리곤 했다.[7] 그리고 크세르크세스에게 부여된 것과 동일한 성격적 특성은 다른 페르시아(그리고 그 이전에는 바빌로니아, 그 이후에는 그리스와 로마) 왕들에게도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절대적인 권력을 갖게 되고, 신처럼 숭배받게 된다면, 폭압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며,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은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현상을 알 수 있다.


3. 펜실베니아 대학의 언어학자인 롤랜드 켄트(Roland G. Kent)는 당시의 많은 설형문자 비문(예: 수산 및 페르세폴리스 유적의 기둥, 석판, 벽, 동상 등)을 번역했다. 설형문자에서 크세르크세스는 자신을 크샤야르샤 크샤야티야(xshayârshâ xshâyathiya)라고 지칭하는데[8], 켄트는 이를 '크세르크세스 왕(Xerxes the King)'으로 번역했다. 일부 구약학자들은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의 크샤야르샤(khshayarsha)를 히브리어로 유사하게 기술한 것(approximation)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전 페르시아(또는 메대) 왕이었던 캄비세스 1세(Cambyses I)도 성경에서 아하수에로라고 불려지고 있다(단 9:1). 그는 메대 족속 다리오(Darius the Mede, 아마도 고레스 대왕)의 아버지였다. 그의 이름이 크세르크세스였다는 증거는 없다.[9] 또한 에스라 4:6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 역시 에스더서에 언급된 아하수에로와는 다른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10] '아하수에로(ahasuerus)'(이것이 고대 페르시아어 ‘크샤야르샤’의 비슷한 발음으로 음역된 것이라면)는 '아하(aha)'와 '수에로(suerus)'에서 '강력한 사람(mighty man)' 또는 '강력한 눈(mighty eye)'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칠십인역에서 에스더 1:1절의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이 번역된 것처럼, '아르타(arta)’와 '크세르크세스(xerxes)‘와 같을 수 있다. 만약 이 경우라면, 아하수에로는 영어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Artaxerxes, 아닥사스다)'로 번역될 수는 있지만, '크세르크세스(Xerxes)'로는 번역될 수는 없다. 구약 성경의 일부 기자들은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을 페르시아 왕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 에스더서의 저자는 "아하수에로 (왕) 때에(in the days of Ahasuerus), 아하수에로는...다스리는(the Ahasuerus who reigned)"(에 1:1)라는 문장으로 이것이 증명되는데, 이것은 "왕 때에(in the days of the king), 다스렸던 왕(the king who ruled),..."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크세르크세스 1세 이전에 메대-페르시아 제국에는 크세르크세스(Xerxes)라는 왕은 결코 없었다. 유대인의 관점에서, 구약에서 바로(Pharaoh, '큰 집(great house)'이라는 뜻의 히브리어 'pr-'o'에 해당하는 단어)라는 호칭이 개인 이름과 관계없이 많은 이집트 왕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페르시아 왕들의 개인 이름이라기보다는 호칭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카이사르(Caesar)'라는 호칭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가능성으로, 아하수에로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인 다리우스 1세(Darius I, Hystaspes, 재위 BC 522~486년)였다는 것이다.[11] 이러한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여러 이유들이 있다 :


1. 에스드라서 1서(1 Esdras, 외경) 3:1-2절은 이집트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을 통치한 왕으로 다리우스(Darius)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에스더 1:1-3)도 마찬가지이다.


2. 아하수에로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닌, 다리우스 1세(Darius I)라는 것은 에스라 6:14절에서 아닥사스다(Artaxerxes)라는 이름이 다리오와 같이(...Cyrus, Darius and Artaxerxes, kings of Persia) 등장하는 것을 통해 뒷받침된다. 만약 우리가 '그리고(and)'를 '같은(even)'으로 번역한다면[12], 아닥사스다는 다리우스 1세가 되며, 이는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이 아닥사스다라는 이름의 히브리어 묘사라는 롤랜드 켄트(Roland Kent)의 제안을 지지하는 것이다.


3. 다리우스 1세의 생애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시기는 성경 외적인 출처를 통해 에스더에 기록된 아하수에로 통치 기간과 상호 비교될 수 있다 : 

• 다리우스 1세는 여섯 명의 제후(1:14에 언급된 일곱 명 중 여섯 명일 가능성이 높음)들의 도움을 받아, 찬탈자 가우마타(Gaumata)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BC 522년에 왕위에 올랐다[13]. 그는 통치 초기 몇 년 동안 지방의 반란을 진압하고, 키루스(Cyrus, 고레스)가 세웠던 제국을 재정복하는 데 몰두했다.

• 이 기간 동안 그는 고레스의 딸인 아토사(Atossa)와 결혼했고, 그녀에게서 아들(Xerxes, 크세르크세스)을 낳았다(BC 518년).[15] (제임스 어셔는 ’세계 연대기(The Annals of the World)‘에서 아토사를 와스디(Vashti)와 동일시 하고 있다.[14])

• 다리우스 1세는 수산(Susa, Shushan)에 중요한 궁전을 지었고(그림 1)[16], 재위 3년째인 BC 519년에 수산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아하수에로가 재위 3년째에 수산에 있었던 것과 일치한다(1:3).

• 왕비 와스디(Vashti)가 폐위된 후, 다리우스 1세는 바빌론에서 일어난 반란에 대처하기 위해 수산을 떠나야 했다. 그는 바빌론을 포위 공격하여 탈환했다(BC 519년). 바빌론에서 돌아온 후, 그는 다시 수산에서 시간을 보냈다. 이 기간 동안 후궁(harem)으로 처녀들을 모으기로 결정하고(에 2:1-4), 1년 후(에 2:12) 에스더를 데려와 왕비로 임명한다(BC 516년).

• 그후 그는 스키티아(Scythia)를 침공하기 위해 몇 년을 떠나있었고, BC 515년에 인더스 강 유역까지 제국을 확장했다(에 1:1).

• 그가 돌아온 후, 하만(Haman)은 유대인들을 제거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에스더는 정복에서 돌아온 이후 아하수에로의 면전에 부름을 받지 못했다.

그림 1. 에스더가 살았던 수산에 있는 다리우스 궁전의 벽면 장식.


4. 페르시아 제국의 영토는 다리우스 1 세 통치 기간 동안 가장 컸다. 투키디데스(Thucydides, 고대 그리스 역사가)에 따르면[18], 다리우스는 에게 해의 섬들을 정복했다. 수산에 있는 한 비문에서 다리우스는 말하고 있었다 : "아후라마즈다(Ahuramazda)의 은총으로 내가 페르시아 밖에서 정복한 민족들이 여기 있다. 그들은 내게 복종하고 조공을 바친다. 내가 명령하는 것은 무엇이든 성취된다. 그들은 내 법을 존중한다... 바다를 지키는 그리스인들..."[19]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다리우스 1세는 연안/섬들에 세금을 부과했다 : "그의 통치 후반에 섬들과 먼 테살리아(Thessaly)까지 유럽 국가들의 조공은 그 액수가 늘어났다. 대왕은 이렇게 받은 조공물을 녹여, 액체 상태일 때 흙 그릇에 넣고 나중에 꺼내어 금속을 고체 덩어리로 만들어 저장했다. 돈이 필요할 때, 그는 이 금괴를 녹여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 주조했다."[20] 에스더 10:1절은 이러한 조공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영토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BC 480년 살라미스 전투에서 그리스군에게 패배한 후 잃어버렸다. 즉 에스더서의 왕이 크세르크세스 1세였다면, 에스더서가 작성되기 전에 조공들은 사라졌을 것이다.

표 1. 다리우스 1세 생애의 사건들과 에스더서의 사건들과의 상관관계


5.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수산에 도착하여 페르시아의 일곱 제후 공의회를 설립한 것은 다리우스 1세였다 (에 1:14).[21]


6.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내는 아메스트리스(Amestris)였다. 그녀가 크세르크세스로부터 폐위되었다거나, 좋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다. 그녀는 그녀의 아들 아닥사스다 1세(Artaxerxes I, 아르타크세르크세스)가 왕이 되었을 때에도, 계속해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다리우스 1세는 왕비 아토사(Atossa, 와스비일 가능성)를 폐위시켰거나, 덜 호의적으로 보았을 가능성이 있다. 다리우스 1세는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적 이유로, 이전에 두 번 결혼한 고레스의 딸인 아토사와 결혼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토사는 다리우스 1세의 여러 아내 중 한 명이었지만, 가장 총애를 받았던 아내는 아니었다고 한다. 다리우스 1세가 가장 총애했던 부인은 처녀 아르티스톤(Artystone)으로, 헤로도토스는 그녀가 고레스(Cyrus)의 어린 딸이라고 말하지만[22], 어셔(Ussher)는 그녀가 페르시아 역사가들에 의해 유대인 출신임이 숨겨졌던, 에스더(Esther, 에 2:17)라고 주장한다. 다리우스는 그녀의 황금 동상을 만들어 아르티스톤을 기렸다.[23] 아토사는 크세르크세스의 어머니였지만,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석판(Persepolis Fortification Tablets)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24]. 그러나 아르티스톤(요새화 석판에서 Irtašduna)은 큰 영지를 소유한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언급되고 있다(에 8:1).[25] 이것은 에스더서에 와스디(에 1:19-22)에 대해 기록되어있는 것처럼, 아토사가 다리우스에게 호감을 잃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7. 아하수에로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민(에 2:21) 왕의 내시인 빅단과 데레스(Bigthan and Teresh)의 이름은 그리스 외경의(모르드개 시대의) 에스더서에서는(12:1) 가바타와 타라(Gabatha and Tharra)로 알려져 있다. 외경에서 모르드개(Mordecai, 그리스어로는 Mardocheus)는 아닥사스다(Artaxerxes)에게 이 음모를 알렸다. 이 아닥사스다는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을 통치했다(에스더서의 외경 부분, 13:1).


8. 하만의 아들 중 한 사람의 이름은 바마스다(Vaizatha, 에 9:9)이다. 야마우치(Yamauchi)는 언어학 연구들을 인용하여, 이중모음 'ai'가 크세르크세스 1세와 아닥사스다 1세 통치 사이에 'e'로 바뀌었다고 결론내렸다.[26] "이것은 에스더서에 전해지는 이름들이 놀랍도록 오래되고 정통하다는 것을 나타낸다."[27] 이것은 에스더서가 종종 제안되는 것처럼 헬레니즘 후기 시대가 아니라, 에스더와 동시대에 쓰여졌다는 증거이다. 또한 에스더서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닌 다리우스 1세의 생애 중(또는 그 직후)에 히브리어로 작성되었음을 암시한다.


9. 에스더 2:6절에 보면 모르드개는 유다 왕 여고냐(Jeconiah) 시대(BC 597년)에 포로로 잡혀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을 BC 486~465년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13년(BC 473년)에 총리로 승진했다면(에 8:1-2), 최소 124세였을 것이다. 그러나 다리우스 1세에 의해 승진했다면, 대궐 문에 앉아 있던(에 2:19) 연장자에게 더 현실적인 나이인 대략 88세였을 것이다.


결론

이러한 역사적 증거들의 분석은 에스더의 남편인 아하수에로가 오늘날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믿고 있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니라, 다리우스 1세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Traditional dates for the Persian period are used in this article in order to correlate the dates provided in extra-biblical writings with the events in Esther. However, as David Austin has shown (Is Darius, the king of Ezra 6:14–15, the same king as the Artaxerxes of Ezra 7:1? J. Creation 22(2):46–52, 2007) the dates used to calculate the duration of the Persian period may be incorrect since they are generally based on Claudius Ptolemy’s king records, which could be mistaken, since he wrote centuries after the Persian period. Austin’s conclusions do not affect the relative correlation of dated events in the lives of Darius I and Xerxes I with the dates in the reign of Ahasuerus provided in Esther.

2. Easton, M.G., Easton’s Bible Dictionary, Harper & Brothers, New York, 1893.

3. Tyrwhitt, R.E., Esther and Ahasuerus: An Identification of the Persons So Named ..., Burntisland, Scotland, p. 3, 1868.

4. Identifying exact dates for most of the events in the lives of Persian monarchs is difficult. Dates for specific ev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source consulted.

5. Perrot, J. (Ed.), The Palace of Darius at Susa: The Great Royal Residence of Achaemenid Persia, I.B. Tauris, pp. 22, 119, 2013.

6. Perrot, ref. 5, pp. 454, 461, 464.

7. Baragwanath, E., Motivation and Narrative in Herodot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 Old Persian Texts, www.avesta.org/op/op.htm.

9. Based on this suggested word association, the NIV translates Ahasuerus as Xerxes in Daniel 9:1.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name, translated as Xerxes, was used by the Medes prior to the consolidation of the MedoPersian Empire under Cyrus. In addition, Xerxes I (518–465 bc) could not have been the father of the Darius (Cyrus) of Daniel, who was 62 years old in 539 bc (Daniel 5:31). The NIV translation introduces unnecessary confusion by translating Ahasuerus as Xerxes.

10. Spence-Jones, H.D.M. (Ed.), Esther, Funk & Wagnalls, London, p. 1, 1909; p. 45.

11. See, Jones, F.N., The identity of Ahasuerus in the Book of Esther; in: The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Master Books, Green Forest, AK, pp. 199–205, 2009.

12. Austin, ref. 1.

13. en.wikipedia.org/wiki/Darius_I; see: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84; 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dt.+3.84&fromdoc=Perseus%3Atext%3A1999.01.0126, accessed 29 June 2016.

14. James Ussher, The Annals of the World, archive.org/stream/AnnalsOfTheWorld/Annals_djvu.txt; sections: 1009, 1027, 1035, accessed 29 June 2016.

15. If Xerxes was born in 518 bc (some place his birth in 520 bc), this could appear to present a problem for the identification of Ahasuerus as Darius, since Vashti was deposed before Xerxes was born. However, the banquet lasted 180 days(1:4). It may have been started in late 520 bc and continued into 519 bc. If Xerxes was conceived near the end of the banquet period, he could have been born after his mother was deposed as queen, in 518 bc.

16. Jean Perrot (Ed.), John Curtis (Introduction), The Palace of Darius at Susa: The Great Royal Residence of Achaemenid Persia (I. B. Tauris, 2013).

17. Perrot, ref. 16, pp. 411–412.

18. Thucydides, History of Peloponnesian War; bk 1, chapter 1, classics.mit.edu/Thucydides/pelopwar.1.first.html, accessed 29 June 2016.

19. Perrot, ref. 16, p. 283.

20.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96;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1.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s 70, 71, 74, 76;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2.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88;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3.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7, chapter 69; 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dt.+7.69&fromdoc=Perseus%3Atext%3A1999.01.0126, accessed 29 June 2016.

24. www.livius.org/pen-pg/persepolis/fortification_tablets.html, accessed 29 June 2016.

25. www.livius.org/da-dd/darius/darius_i_4.html,  www.livius.org/arl-arz/artystone/artystone.html, accessed 29 June 2016.

26. Diphthong: two adjacent vowel sounds occurring within one syllable.

27. Yamauchi, E.M., The archaeological background of Esther: archaeological backgrounds of the exilic and postexilic era, pt 2, Bibliotheca Sacra 137(April–June):99–117, 1980; www.biblicalstudies.org.uk/pdf/bsac/1980_099_yamauchi.pdf, accessed 29 June 2016. 

*James R. Hughes is a graduate of Harvard University(B.A. cum laud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M.A.), and Ottawa Theological Hall. He taught Statistics for the Behavioural Sciences at Tyndale University College for ten years, served on the board of the Pregnancy Care Centre for over twenty-five years, and serves as an Elder in the RPCNA congregation in Toronto. He began his career as an urban planner, has managed large, complex, systems integration projects, and currently leads the Business Analysis capability for a major technology company.


*참조 : Is Darius, the king of Ezra 6:14–15, the same king as the Artaxerxes of Ezra 7:1?

https://creation.com/darius-is-artaxerxes

The Times of the 'Great Kings' of Persia.

https://dl0.creation.com/articles/p028/c02821/j03_1_128-134.pdf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요셉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07&t=board

▶ 모세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04&t=board

▶ 출애굽의 증거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723&t=board

▶ 하솔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788&t=board

▶ 인장(이세벨, 이사야, 히스기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34&t=board

▶ 느헤미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27&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0(3) 2016.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06/c10615/j30_3_74-77.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8-21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by Gavin Cox


개요 : 함이 노아 가족의 이름들과 지식, 홍수를 직접 겪었던 경험을 이집트로 가져갔다고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이 시리즈 글 4부에서는 대홍수의 생존자인 노아, 야벳, 셈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에서 알려져 있었을까? 그리고 이들이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을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시리즈 글 1부와 2부는 이를 입증하기 시작했으며, 3부에서는 첫 번째 테스트 사례로 함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증거들을 바탕으로, 4부에서는 노아, 야벳, 셈이 고대 이집트의 개인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대홍수의 족장 이름과 오그도아드를 비교하여, 이집트의 다신교 문화에서 노아와 아들들이 신격화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언어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


이 연구의 기본 전제


이집트의 파라오, 사제, 조상들은 이집트인들에 의해서 신격화되고 숭배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은 이집트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제3왕조 파라오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의 건축가이자 사제인 임호텝(Imhotep, 이모텝)은 신이 된 사람의 대표적인 예이다.[1] (참조 :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2). 이 연구에서는 함의 영향을 받아 신격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노아, 야벳, 셈의 이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나는 그들의 이름과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오그도아드 사이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확립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


히브리어 노아(Noa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누(Nu)'(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셈(Shem)(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셈(Shem)'(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노아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히브리어 노아(ַחֹנ)와 가장 가까운 발음상의 인명을 찾기 위해 이집트 사전을 참조했다. 이집트어와 히브리어에서 어떤 소리가 동등한지 고려하여 단어 검색 매개변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고려했다. 로프리노(Loprieno)는 "아시아-아프리카어족(Afroasiatic, Hamito-Semitic)의 *n과 같은 '치음(dental consonants)'은 이집트어/n/으로 유지되었고"[2], 콥트어 n,은 이 강한 자음에서 유래했다고 지적한다. 맛소라 사본(MT)에서 öª로 지적된 히브리어 모음은 이집트 모음 /w/ 및 /u/에 해당한다. (w = u는 다른 표기법 내에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히브리어 노아(Noah)의 '말단 무성 인두 마찰음'()은 이집트어 //로 표현된다. 이러한 음성학적 사항들을 고려하여, 다음의 검색 음소에 대한 제약 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으로 3개의 자음 근 nwḥ와 그 기본적인 쌍자음 근 nw.을 테스트 사례로 사용하였다.[4] 표 1의 데이터는 대표적인 예로 이집트어 어휘에서 검색되었다.


결과 논의

사전에서 이중자음 어근 'nw'가 접두사로 붙은 18개의 개인 이름들과 146개의 신성한 이름들이 집계되었으며, 그 예는 표 3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OK) 피라미드 텍스트(PT)에 일찍부터 등장한다. 히브리어 노아 'nwḥ'와 정확히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름의 10가지 예는 제6왕조 시대부터 일반적으로 신성한 별칭의 접두사로 발견되었다. 비슷한 이름인 nwy는 제6왕조 PT-1525에 등장한다. 대부분의 누(Nu) 이름에는 히브리어 노아에 있는 마찰음 'ḥ'가 없는데, 이는 그리스어(Νῶε)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다. 누는 히브리어 노아와 비슷한 가장 일반적인 이집트어 이중자음 발음 이름이다.

표 1. 노아(Noah)와 '유사음'을 가진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


노아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성경 본문은 홍수 이야기의 음성학적 단서에서 파생된 '노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출발점이다. 가르시엘(Garsiel)은 이렇게 말한다 :

"학자들은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에 다양한 미드라쉬 이름 파생어[midrashic name derivations, MNDs]가 부착되어있다고[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를 확고히 하며] 지적했다."[5]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은 주요 단계에서 반영되어 있는데,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이 현상을 '확장된 언어유희(paronomasia)'(단어의 유희)라고 불렀다.[6] 폴락(Polak)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노아라는 이름은 홍수 이야기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유사한 어휘들의 광범위한 집합의 중심에 서 있다." [7]

이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창세기의 핵심 구절은 다음 5개 구절이다 :

וַיִּקְרָ֧א אֶת־שְׁמ֛וֹ נ֖חַֹ לֵאמ֑רֹ זֶה יְנחֲַמֵ֤נוּ מִֽמַּעֲשֵׂ֙נוּ...

“(라멕이) 이름을 노아(nōaḥ)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naḥăm)하리라 하였더라” (창세기 5:29).

ווַיּנִָּח֣םֶ יְהוָ֔ה כִּֽי־עָשָׂ֥ה אֶת־הָֽאָדָ֖ם בָּאָ֑רֶץ...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nähem) 마음에 근심하시고"(창세기 6:6).

... ותַָּנ֤חַ הַתֵּבָה֙ ... עַ֖ל הָרֵ֥י

"... 방주가 아라랏 산에 머물러 쉬었다(naḥ) ..."(창세기 8:4, 새번역).

... וְלֹֽא־מָצְאָה֩ הַיּוֹנהָ֙ מָנ֜וֹח לְכַף־רַגְלָ֗

"... 그 비둘기(nāh)는 발을 붙이고 쉴 만한(nôªḥ) 곳을 찾지 못하여..."(창세기 8:9, 새번역).

...ויַּרַָ֣ח יְהוָה֮ אֶת־רֵ֣יחַ הַניִּחחַֹ֒... וַיִּבֶ֥ן נ֛חַֹ מִזְבֵּ֖חַ

"노아(nôªḥ)가 제단을 쌓으니.... 여호와께서 그 향기(nîḥōaḥ)를 받으시고..."(창세기 8:20-21).

노아에 대한 라멕의 예언적 이름에 대한 설명(창세기 5:29)에서, naḥăm(piel imperfect, 강한 능동 미완료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라멕이 동사 어근의 '편안함/안식'이라는 측면을 끌어들였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홍수 이야기에서 "방주가 쉬었다", "비둘기가 안식을 찾지 못했다", "여호와께서 달콤한 향기를 맡으셨다"와 같은 언어유희(paronomasia)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으로 관찰된다. (BDB-5967은 nîḥōaḥ를 "하나님이 받으시는 제물의 평온한 진정시키는 향기(냄새)"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는 여호와께서 심판하시는 일을 쉬시도록 하게 한다는 뜻이다). 창세기 6:6절에서 한탄(nahem)은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으로,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BDB-6037은 이것을 "미안해하고, 동정심을 느끼고, 동정심을 가지고 ... [더 나아가 보살피다]"로 번역하고 있다.)

성경 본문은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제공한다. 노아의 이름 어원(etymology)에 대한 TWOT-1323f 해설은 주목할 만하다 :

"[노아와 공유된] 어근(root)은 움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장소에 정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mānôaḥ, 휴식처(resting place)... 이 명사는 동물이나 사람을 위한 nûaḥ (움직이지 않는, 안전)의 장소, 즉 정착할 장소, 집을 나타낸다."

이러한 성경적 개념을 염두에 두고, 표 2는 '노아'에 대한 성경적 의미 범위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TWOT는 어근과 관련된 5개의 단어가 나열되어 있는데, 표 2를 보라.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설정한 후, 의미와 소리가 동일한 이집트어 단어(의미 및 음성 대응어)를 TLA(Thesaurus Linguae Aegyptiae)에서 검색했다. 표 3에는 이 검색 결과가 나와 있다.

표 2. 음성 어근에 의한 노아의 의미 범위


결과 논의

nw 음성 어근이 포함된 단어에 대한 TLA 검색을 수행하여 116개의 단어가 검색되었다. 표 3에는 창세기 홍수에 상응하는 확장된 언어유희로 사용된 17개의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음성 어근 nw(N35 '물결(water ripple)'과 W24 '누 포트(nu pot)'로 상징됨)는 이중자음 어근 또는 가장 가까운 음성 등가로 간주되었다. 이들 중 13개 단어는 고왕국(OK)에서, 4개 단어는 중왕국(MK) 이후에서 유래했다. 표 3에 제시된 TLA 데이터는 노아라는 성경적 이름의 의미 범위와 강력한 음성적, 의미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의 이름을 지을 때 사용된, 히브리어 피엘 불완전 동사 '위로/슬픔'(naḥăm)과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한탄'을 묘사하는 6:6절의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 nahem과 고왕국 이집트어가 유사하다는 점이다. "세상에 대한 창조주의 관심"(Wb II, 223.4)으로 번역된 고왕국 'nwr'과, "돌보다"(Wb II, 220.5–14)로 번역된 고왕국 'nwi'에서도 놀랍도록 동일한 개념이 등장한다. 또한 노아의 이름에 내재된 '안식'과 '가정'의 측면은 '안식처', '휴식', '거처'를 의미하는 고왕국 nni, ḫni, mn.w에 반영되어 있다. 특히 이집트어 어휘(Wörterbuch)는 niwy를 "쉼을 얻다(홍수와 관계되어)"라고 번역하고 있다(Wb II, 203.2).

표 3. 음성 'nw' 어근 단어를 포함하는 이집트어 어휘


표 3은 '노아'와 직접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갖거나, 의미를 공유하는 단어들이 고왕국에 걸쳐 후대에 퍼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고왕국의 신 'Nu(누)'는 (이집트인들이 태고의 홍수에서 출현했다고 믿었던 8명의 신들로 구성된) 오그도아드(Ogdoad, 1~3부에서 설명함)의 우두머리 남성 신으로, 그 이름 자체는 nwnn이다.


문맥에서 nw의 어원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고왕국 텍스트 예시

아래 목록은 문맥에서 nw와 관련된 어근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집트어 텍스트 다섯 가지이다(더 많은 예가 인용될 수 있음).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와 이름에 발음 어근 nw가 있는 오그도아드 구성원을 다시 선택한 예시이다. (로그인 후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user'로 로그인 화면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림 1. 함이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하여 미친 영향.


중왕국. 세소스트fl스 1 세의 비문, 엘 토드의 달 사원, col.[7]

(MK. Inscription of Sesostris I, Month-temple of El-Tod, col. 7.)

    …wbnmsbꜢwꜤ,tjḫr=sḥrwn(n)ẖrnw,ttꜢpn

"... 이 땅에 대한 염려로 가득 차 있으면서 ... 그들과 함께 외로운 별이 되어 떠오르는 사람."[8]


c. BC 518년, 다리우스 1세, 하이비스 신전, 창조주 찬가, 아문 레의 탄생, cols. 22, 23.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Creator Hymn, Birthof Amun Re, cols. 22 and 23.)

nwi.n=fp.ttꜢdwꜢ.t

"하늘과 땅과 지하 세계를 돌보셨다."[9]


고왕국. 파피루스 베를린 P 10474AB recto, 92A-93A, Line b3-6/7.

(OK. From Papyrus Berlin P 10474 AB recto, 92A–93A, line b3–6/7.)

šmirẖnwrjni.tḥtp-nṯr

"신에게 바칠 제물을 가져오기 위해 집(거주)으로 가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 PT 578§1534a.

(OK. Pyramid Pepis I, PT 578§1534a.)

jnṯwtjśḫ(w)inni.w=śnm-ẖnwꜤ=k

"그들이 당신의 품에서 지치거나/피곤하여 [쉬는] 것을 막는 것은 바로 당신이기 때문입니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I, PT 486§1040a-c.

(OK. Pyramid Pepis II, PT 486§1040a-c)

{i:} mi.w mnw, w n ẖpr.t p, t n ẖpr.t tꜢn ẖpr.t

"나는 (?) 하늘이 존재하기 전에 땅이 존재하기 전에 누/(물)에서 태어났다."


c. BC 518년, 다리우스 I. 하비스 신전, 카르낙의 대아문찬송, cols. 40–42.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Great Amun Hymn of Karnak, cols. 40–42.)

ntkNwn-wr,nniswḥrꜢḫ.t

"당신은 들판에 정착하는 눈(Nun) 대왕이시여..."


대아문찬송가의 이 언어유희에서 편안함으로서의 nw의 개념이 드러난다. 클로츠(Klotz)는 "문자 그대로 '움직임이 완만하게 되다'라는 동사 nni는 범람을 기술할 때 '가라앉다' 또는 '정착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10] (즉, '쉬다'라는 의미)라고 지적한다.


요약

위에서 설명한 언어적 증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히브리어 노아(Noah) ('위로', '집', '안식') ≈ 이집트 누(Nu) ('위로', '집', '안식') 

  ≈ 오그도아드 누(Nu) ('위로', '집', '안식').

이집트의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노아와 음성적으로 동일하며, 홍수의 별칭을 형성한다. 누(Nu)에 어원을 가진 어휘는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고왕국(OK)에서 동등한 의미 범위를 공유하므로, 이 이름들이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고, 노아와 그의 아내가 오그도아드 부부 누(Nu)와 누트(Nu.t.)처럼 신성한 조상이 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1).


야벳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성경의 이름 '야벳(Japheth)'은 영어 자음 'j'와 'th'가 포함된 발음으로 영어화 되었다. 히브리어 yäºpet(יֶפֶת)을 영어로 옮기면 'j'는 'j'로, ‘t’는 'th'로 대체된다; 그러한 것은 이집트 자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야벳'의 첫 모음에 관해서는 로프리에노(Loprieno)의 주석이 적절해 보인다 : "반자음 또는 반모음 활음/j/[‘i’로 발음] 과, /w/, 모음은... 대부분 표현되지 않고 남아있다."[11] 그리고 "후기 이집트에서는 삭제되었다."[12] 이집트어 순음의 ‘동음이의자음(homorganic sounds)’ /p/ 과 /b/에 대해, 로프리에노는 그것들은 합쳐졌다고(즉,../p/ > /b/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석하였다.[13] 또한 '치간 마찰음(interdental fricative)' 음소 ḏ와 t는 고왕국 이집트어에서 후기 이집트어 /t/ 및 /d/로 합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였다.[14] 이러한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염두에 두고, 삼자음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개인 및 신성한 이름 ipt/ibt/wpt/wbt가 검색어로 사용되었다. 아래 표 4는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4. 히브리어 야벳(Japheth)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인명 및 신명.


결과 논의

RPN에서 6개의 ipt, 7개의 ibt, 6개의 wpt, 1개의 wbt 개인 이름이 발견되었고, LGG에서는 19개 ipt; 1개 ibt; 0 wbt; 41 wpt의 신성한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는 표 4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신왕국 시대에서 발견된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하며 홍수 별칭으로도 나타난다. 그러나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 변형은 ipt와 wpt 두 가지뿐이다.


야벳: 성경적 이름의 의미

    ...ַיְ֤פּתֱאֹלהיםְליֶפת

    "하나님이 야벳(yapT)을 창대하게(yeºpet) 하사..."(창세기 9:27).

'야벳'의 성경적 의미는 창세기 9:27절의 본문에서 유래되었다. 노아는 창 9:21-27에 기록된 야벳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따라, 야벳의 이름에 담긴 의미를 바탕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축복을 공식화했다. 히브리어 ְתְּפַ֤י (HALOT-3882)는 노아가 분명히 사용하고 있는 단어이다. 단순 능동인 칼(qal) 1 어간에서는 "단순하다", 니팔(niph’al)과 푸엘(puel)에서는 "속다", 피엘(piel)에서는 "유혹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야벳이 축복을 받은 문맥에서는 이러한 측면 중 어느 것도 의미가 없다. 또는 ‘ְתְּפַ֤י는 칼 2 어간에서 "열리다"를 의미하고, 히필(hiphil)에서는 "넓게 하다"를 의미한다. 동사를 분석해 보면, 히필은 형태와 의미 모두에서 불완전하고 불규칙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넓게'와 '넓게 열리다'라는 의미가 받아들여져야 한다(HALOT-7802). 존스(Jones)는 야벳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 몇 가지 적절한 언급을 하고 있다 :

"노아의 장남. 그는 야벳이라고 불려졌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하나님의 약속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나님이 야벳을 창대하게 하시겠다는 약속에 응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후손들이 많고, 널리 퍼진 것은 그의 이름의 어원과 잘 일치하며, 그는 영토와 자녀 모두에서 확대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 고대에 스키타이인들이 살았던 지구의 광활한 지역을 소유했으며, 지구의 서쪽과 북쪽 지역을 망라했다."[15]

표 5. '야벳'에 대한 히브리어 어휘 범위


다른 연구자들은 야벳의 이름이 그리스의 신 이아페토스(Iapetos)[16] 또는 주피터(Jupiter)와[17]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이는 그의 후손들이 북쪽으로 이주한 것과 잘 어울린다. 표 5는 야벳의 이름과 의미 범위를 갖는 연관된 성경 어휘들을 나열한 것이다. 성경의 '야벳(Japeth)'이 이집트 이름과 공통된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검색어로 wb/wp/pḏ 어근을 사용하였다. 표 6은 TLA에 대한 이집트어 탐색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표 6. wb/wp/pḏ 어근이 포함된 이집트 어휘


결과 논의

TLA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찾아주었다: ip–34; ib–72; wp–38; wb–33. 표 6에는 '야벳'과 의미를 공유하는 모든 어근들이 나열되어 있다. 표 5와 표 6은 야벳과 유사한 음성 어근을 가진 이집트 단어의 의미 범위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집트어 ḏ는 '넓은', '넓직한'이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pötè와 의미적으로 공유된다. 고왕국(OK) 개인 이름 Wepet(wp.t)은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난다 ; 즉, "창시자"와 홍수 별칭인 wp-n.t "홍수를 나눈 자"로 나타난다. 이집트어 'wpt'는 '열리다, 넓다'('홍수' 관련)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ypt'와 음성학적으로 유사하며, 이는 'wpt'가 '야벳'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되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함이 이름과 관련 어휘 측면에서 이집트 언어와 관계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2).

그림 2. 이집트 어휘에 미친 함의 영향 


'야벳'과 오그도아드 비교하기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의 이름은 1부와 2부 글에서 언급되어 있으며, 특히 한 구성원인 헤흐(Heh)는 '확장(expansiveness, 광활)'이라는 개념 측면에서 야벳과 즉각적인 의미적(음성적 의미는 아님) 연관성을 갖고 있다. 표 7에는 '헤흐(Heh)'의 음성 어근을 비교할 때, 공유되는 어휘들을 나타내고 있다.

표 7. 헤흐(Heh)의 관련 의미 범위


야벳의 이름의 의미 범위에는 '뻗다', '넓다', '열리다'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헤흐(Heh)와 잘 일치한다. 헤흐의 이름은 고왕국 단어들, 즉 '영원', '무한', '백만', '탐사' 등에 해당하는 단어들과 음성적 어근을 공유한다. 또한 헤흐(Heh)는 이집트 홍수를 묘사하는 신왕국 단어이기도 하다. 더나아가 헤흐(Heh)는 민족 집단인 '부족, 씨족'을 의미하는 고왕국 단어로, 야벳의 후손(Gentiles-Gôyìm)이 멀리 퍼져나간 것과 일치한다.


어근 ipt, pd을 가진 대표적인 텍스트 예 

아래는 음성 어근 ipt, pḏ를 가진 단어가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텍스트이다. 선택된 예문은 야벳의 이름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헤흐(Heh)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OK. Unas Pyramid, PT 54, line 52.

    (w)sjr (|wnjs|) wpi rꜤ = k m mḥ.t im = k 

    "오시리스 우나스, 이것으로 입을 벌려라."

    

OK. Pyramid of Neith, PT 71J, line 328.

    pḏ pf aḥa pn

    "저쪽은 펴고, 이쪽은 서 있어요."

    

OK. Pyramid of Teti, PT 406, line 340.

    …gwꜢ = k m-ḫnt ḥḥ.y = f

    “... 그의 헤흐(하늘을 지지하는) 신들 앞에 착륙한다면.”

    

OK. Pyramid Pepis I., PT 1007, line 95.

    wḏ = k mdw n ḥḥ ḥwi n = k ḥfn. sḏb

    “주께서 악을 물리치라는 수십만, 수백만의 명령을 [당신에게] 주실 것입니다.”


NK. KV 9: Tomb of Ramses VI, Celestial Cow, line 6.

    bꜢ pw n ḥḥw ḥw.t

    "헤흐(Heh)의 바[ba, 정신-spirit]는 홍수이다." ('Heh'의 ḥḥw와 'flood'의 ḥw.t에서 보여지는 언어유희에 주목하라).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브리어 야벳 (Japheth 열린, 넓은)

≈ 이집트어 wb/wp/pḏ (열다, 넓다) ≈ 이집트어 헤흐(Heh 무한, 백만, 홍수).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적 이름은 동등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이름이 성경의 야벳과 일치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이름들은 신성한 이름과 홍수의 별칭으로 등장하며, 오그도아드의 신성한 쌍(남신과 여신)인 헤흐(Heh) 및 헤헤트(Heh.t)와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셈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로프리에노(Loprieno)는 세 가지 관련 치찰음(sibilants)에 대해 설명한다 : "고왕국 이집트어는 세 개의 음소를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z(또는 s), s(또는 ś), š로 표기된다".[18] 로프리에노는 함셈어족(Hamo-Semitic) š와 ś가 이집트어 s(ś)로 이어졌다고 말한다. 이집트어 š는 콥트어 로 살아남았다. 또한 단자음 /m/은[10] 콥트어 비강 순음으로 살아남았다.[19] 이러한 음성적 고려를 통해, 동등한 소리를 내는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을 음성 어근으로 검색할 수 있다 : šm, sm, śm. 아래 표 8은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8. šm/sm/śem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


결과 논의

RPN으로부터 33개의 šm, 32개의 šm, 12개의 śm의 개인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LGG는 300개의 šm, 223개의 šm, 11개의 śm의 변형된 신성한 이름들을 기록하고 있다. 표 8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치찰음(sibilant) š, s, ś를 가진 대표적인 예로, 고왕국 텍스트에 나타나지만, 신왕국에도 지속되어 세 치찰음을 가진 이름 변형들이 모두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 이름들은 결정될 수 있는 한, 성경의 셈과 동일하게 들린다.


셈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셈(šëm)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라..." (창세기 9:26).

셈의 의미는 창세기 9:24~27절에서, 셈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대한 노아의 공식적인 축복 내에서 문맥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로스(Ross)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여호와는 셈의 하나님이 됨으로써, 자신의 이름을 셈의 이름으로 삼고, 자신의 이름과 셈의 이름을 엮어 놓았다." [20] 신학적으로 셈은 여호와와 매우 밀접하고 동일시되는 제사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21] 존스의 언급은 주목할 만하다 :

"셈... 노아의 아들. 그가 형제들 앞에 위치시킨 것은, 아마도 하나님께서 그에게 메시아의 조상이라는 영광을 주셨기 때문이며, 그가 우상숭배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를 형제들 중에서 구별하셨고, 노아가 단호하게 선언한 것처럼, 그는 독특하게 그분의 것이 되었다." [22]

셈의 의미론적 범위는 표준 히브리어 사전에 의해 주어진다 : šëm "이름, 브랜드(brand), 마크(mark), 명성, 대표, 영광"[23]; "이름, 신의 이름, 명성, 유명"[24]; "이름, 유명한, 구별된"[21]. 표 9는 문맥에서 'šëm'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론적 의미 범위를 보여주는 예이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의 '셈'이 공통적 의미를 공유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šm, sm, śm 어근을 검색어로 사용했다. 표 10은 TLA에 대한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셈(Shem)'이라는 이름과 연관된 의미 범위

표 10.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이집트어 어휘들 


결과 논의

음성 어근 šm, sm, śm을 포함하는 단어에 대해 TLA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 šm-141; sm-284; śm-85개의 단어들. 표 10은 히브리어 셈의 의미 범위와 šm, sm, śm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이집트 어휘들 간에 공유되는 어휘의 예를 제시하며, 이는 함의 영향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3). (그러나 일부 주요 상관 어휘는 후기 텍스트에만 나타나며, 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이름'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 rn은 중왕국에서만 '제목'을 의미하는 smꜢ, šmꜢ 과, '이름을 영속하다'를 의미하는 śmnḫ과 같이, 의미적으로 동등한 음성 단어가 등장한다. '형상(image)'과 '상(statues)'들은 중왕국 śmnḫ와 신왕국 śšm.w.로 나타난다(형상 또는 상은 이름이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람 또는 신을 나타낸다). 제사장으로서의 셈의 개념은 'sem’, “priest(제사장)"이라는 고왕국 용어에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노아, 함, 야벳에 대해 제시된 증거들에 비해, 이 세 가지 음성 어근과의 의미적 연결은 고왕국에서는 약하다. 고왕국에서 셈의 '비슷한 소리' 이름들이 성경의 셈과 같은 의미로 이해되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림 3.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한 함의 영향


성경의 셈은 오그도아드에 해당한다. 

'셈(Shem)'은 '이름(nam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된다. 1부와 2부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숨겨진 이름"(jmn-rn, Wb 1, 84.1)은 괜찮은 제목이다.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은 이와 동일한 음성 어근(jmn)을 가지고 있다. 표 11은 셈의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 단어들과 오그도아드 구성원인 '아문(mn)'이 공유하는 이중자음의 음성적 어근을 갖는 어휘들을 비교한 것이다.

표 11은 성경의 셈과 어휘 영역을 공유하는 단어들을 음성적 어근별로 나열한 것으로, 아문이라는 이름이 셈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해되었을 가능성, 특히 '정체성(identity)'을 나타내는 명사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흥미롭게도 mn 어근(mndf.ti)이 포함된 고왕국 단어는 "홍수의 저자(창시자)(Author of the Flood)"를 의미하는데, 이는 피라미드 텍스트(Pepis I, PT 486)에도 등장한다.


문맥에서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대표적인 텍스트 예시

아래는 음성 어근 šm, sm, śm을 가진 단어들이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문장이다. 선택한 예문은 셈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MK. Tomb of Chnumhotep II (Beni Hasan 3), Biography Chnumhoteps II, lines 41.

smn.n = fn = j wḏ šma smnḫ wḏ = sn mi pt

    "... 그는 나를 위해 남쪽 석비(stele)를 세웠고, 하늘처럼 훌륭한 북부 석비를 만들었다..." 

    

NK. Papyrus Cairo CG 24095 (pMaiherperi), Tb 127, line 559.

dwꜢ nṯr. sšm, w. ḏwꜢ.t jn ḏd = f

    "지하 세계의 신들과 형상들을 경배하라 ... 그는 말한다 ..."

    

OK. Unas Pyramid, PT 301, line 558.

    jmn ḥna jmn.t m ẖnm, tj nṯr. šnm nṯr. m š {j} w = sn

    "아문 아무네트, (당신) 둘 다... 신들과 그들의 그림자를 하나로 묶는..."

    

NK. Papyrus Anastasi (Pap. Brit. Mus. 10247), Line 12, 6.

wn-f nk Ꜣs ḥr pꜢi-i smi

    "... 그가 내 평판을 빨리 당신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25]

표 11. 셈의 어휘 영역과 mn 어근 단어 비교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가 이루어진다 :

히브리어 셈(이름, 평판...) ≈ 이집트어 sm, šm, śm(이름, 평판...) 

≈ 아문(Amun) mn(외관, 형상).

이집트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셈과 음성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고왕국에서는 동등한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려우나, 중왕국 이후에는 더 강한 의미가 부여된다. 고왕국에서 셈의 의미는 오그도아드의 부부인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t.)와 연속적으로 비교된다.


결론


3부와 4부 글에서는, 노아, 함, 셈, 야벳은 함의 영향을 받아 고대 이집트에서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로 알려졌음을 보여준다. 3부에서는 성경의 이름이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그리고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단어가 이름 의미를 도출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이름도 비슷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을까? 이 이름들은 히브리어 이름과 비교했을 때, 동등한 의미 범위를 가지고 있는가? 이 '소리가 비슷한' 이름들은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는가? 4부 글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경적-역사적 관점에서 문화적-언어적 영향력이 가장 강한 고왕국(OK)에서 증거가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요약하면, 히브리어 대홍수의 족장들의 이름들은 이집트의 음성학적 이름과 비교할 때, 동등한 의미를 공유한다. 이것은 가장 오래된 예에서 발생하므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그도아드의 이름들과 비교하면, 의미적으로 매우 유사한 점이 눈에 띈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은 이집트의 '비슷한' 개인/신의 이름 및 오그도아드 이름과 비교될 수 있다 :

노아 ≈ nw ≈ Nw(누)

함 ≈ ḥm/hm/ḫm/km ≈ Kek(켁) 

야벳 ≈ ipt/wpt ≈ Heh(헤흐)

셈 ≈ šm/sm/śm ≈ Amun(아문)

오래 전에 사라진 고대 이집트인들을 개인적으로 참조할 수 없기 때문에, 제시된 증거들은 이러한 이름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홍수 족장들의 이름이 함의 영향을 통해, 이집트의 어휘체계(onomastics)와 관련 어휘에 근본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이는 히브리어와 의미적 연관성을 공유하는 동등한 음성학적 이집트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함이 이집트의 음운론과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 즉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적 범위를 뒷받침한다(그림 1-3). 이러한 의미의 공유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을 오그도아드(Ogdoad) 이름들과 비교할 때 관찰되며, 따라서 오그도아드가 노아 가족에 대한 다신교적 기억을 나타낸다는, 이 시리즈 글에서 설정했던 가설을 강화시켜 준다.


*Gavin M. Cox has two masters degrees, one in biblical studies from Exeter University, the other in Egyptology from Birmingham University, an honours degree in theology from London Bible College, and a Higher National Diploma of minerals engineering from Camborne School of Mines. He now works full time for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UK/Europe) as a speaker/writer since June of 2018. Prior to this, his work included 10 years in the seismic industry as a geophysicist and topographic land surveyor both on land and marine in Africa, the Middle East, Europe, and the UK.


References and notes

1. Wildung, D., Egyptian Saints: Deificationin Pharaonic Egypt, New York University Press, NY, p. 34, 1977.

2.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31, 40, 1995.

3. Loprieno,ref. 2, p. 40.

4. Why the terminal fricative ḥ is dropped in some cases is a matter of speculation.

5.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203, 1991.

6. Cassuto, U., Commentary on Genesis I, Magnes Press, Jerusalem, p.289, 1972.

7. Polak, F.H., The restful waters of Noah, JANES 23:69–74, 1995; p.71.

8. Redford, D.B., The Tod Inscription of Senwosret Iandearly 12th dynasty involvement in Nubia and the South, figs. 1–5, SSEAJ 17:36–55, 1987.

9.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eminars, p. 155, 2006.

10. Klotz, ref. 9, p. 129.

11. Loprieno,ref. 2, p. 12.

12. Loprieno,ref. 2, p. 44.

13. Loprieno,ref. 2, p. 24.

14. Loprieno,ref. 2, pp. 34, 38.

15. Jones, A., The Proper Names of the Old Testament Scriptures(JNS), Expounded and Illustrated, p. 176, 1872.

16. Cooper, B., The early history of man: part 1. The table of nations, CEN Tech. J. 4:67–92, 1990; p. 70.

17. Hunt, H. and Grigg, R., The sixteen grandsons of Noah, Creation 20(4):22–25,1998.

18. Loprieno,ref. 2, p. 34.

19. Loprieno,ref. 2, p. 40.

20. Ross, A.P., The curse of Canaan, Bibliotheca Sacra 137:223–240, 1980; 235.

21. Garsiel, ref. 5, p. 202.

22. Jones, ref. 15, pp. 329–330.

23. HALOT, 1549–1551; BDB-10046.

24. BDB-10047.

25. Gardiner, A.H., Egyptian Hieratic Texts, Leipzig,pp.15, 42, 1911.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4(2): 75–84, August 2020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37/c13758/j34-2_75-84.pdf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8-17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orus—the deified Ham : part 2)

by Gavin Cox


    이집트의 많은 신들 중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신 중 하나는 팔콘 태양신(falcon sun-god)인 호루스(Horus)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 호루스 신과 노아의 셋째 아들 함(Ham) 사이의 연관성들을 탐구해 볼 것이다. 2부에서는 창세기 5~11장에서 드러난 특색(motifs) 5~12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특색들 간의 비교 즉, 5)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6) 함과 호루스, 그리고 전 지구적 홍수 심판, 7) 성경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의 여정, 8)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9)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10)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11)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12) 함과 호루스는 매우 오래 살았다는 점 등이다. 나는 이 일곱 가지 성경적 특색들을 이집트에서의 증거들과 비교하여,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

그림 1. ‘사자의 서(BOD)’에 수록된 삽화: “두 번 죽지 않는 방법”, 제18왕조 초기(BC 1275년) 아니(Ani)의 파피루스 EA10470(역자 주: Ani는 제18왕조 때의 서기관) (Budge[14]).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1부에서는 노아의 셋째 아들인 함(Ham)과 이집트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신들 중 하나인 호루스(Horus, 일반적으로 태양 매, 또는 매의 머리를 가진 사람으로 표현됨) 사이에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다는 긍정적인 사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2부에서는 함의 삶에서 가져온 다음 8가지 특색들(창세기에서 추출)을 호루스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특색 5 -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비교, 

특색 6 - 함과 호루스의 홍수 여정, 

특색 7 - 노아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 

특색 8 -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특색 9 -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특색 10 -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특색 11 -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특색 12 - 함과 호루스가 오래도록 산 것 등이다.


여기서 논의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는다.


특색 5(a~d) - 함과 호루스의 아버지


특색 5a, 아버지 : 게브/오시리스 대 노아

함의 아버지는 홍수 시의 족장 노아(Noah)였다(창세기 5:32ff).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의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의 아버지는 대부분 오시리스(Osiris)이지만, 몇몇 경우에는 게브(Geb)이다. 게브는 대지의 신(earth-god, of the Ennead)으로, 동시에 오시리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Pepis 1세 피라미드 텍스트 Pepis I PT-518§1195a-b). 예를 들면 :

Pepis II PT-478§973a

jy r=f ḥr.w Ꜣ(.t)=f tp=f ẖsf ḥr=f m jt(j)=f gbb.

"그래서 호루스는 그의 힘을 가지고, 그의 아버지 게브(Geb)에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나온다."


Unas PT-219§176a (역주: Unas는 제9왕조의 파라오)

ḥr(.w) jt(j)=k pw p(w)-nn (w)sjr ḏi.n=k sḏb=f anẖ=f.

"호루스, 이 사람은 당신이 부활시켜 살게 한 당신의 아버지 오시리스이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게브와 오시리스는 어떤 면에서 노아와 비슷할까? 게브의 역할에 대해 이집트 학자인 벨데(H. te Velde)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이집트 역사의 모든 시대에서 거슬러 올라가는 수많은 텍스트들과 표현은 게브와 대지(땅) 사이의 연관성을 증언해 준다... 땅이라는 의미의 gbb 라는 단어[Wb 5, 164.7-8] 역시 신의 이름에서 파생된 것이다...[1]

예를 들어, 관 텍스트(Coffin Text) CT-78은 슈(Shu)가 창조 과정에서 그의 아이 게브(Geb, the earth, 땅)를 어떻게 누트(Nut, the sky, 하늘)로부터 분리했는지를 설명한다.[2] 창세기 5:29절에서 노아는 라멕에 의해서 예언적으로 땅과 연관되어 있다: 

"... 이름을 노아라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ăd̲āmāh]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이 구절은 창세기 8:20-21절과 연결되는데, 여기서 노아의 위로하는(nîḥōaḥ) 희생제사가 땅/흙(ăd̲āmāh)에 대한 여호와의 저주로부터 구원를 가져다주었다. 나중에 창세기 9:20절은 이렇게 말씀한다 : "노아가 농업을[ʾîš hāʾăd̲āmāh] 시작하여 포도나무를 심었더니."(ESV). 여기서 노아는 홍수 이후의 새로운 세상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 "흙의 사람(man of the soil)"인 둘째 아담이 되었다. 노아가 땅에서 얻은 소산(포도주)은 노아의 수고함(새로운 저주)에 대해 위로하는/(nîḥōaḥ) 쉼(rest)을 가져왔다.(창세기 9:21). (특색 8 참조).


특색 5b : 노아의 쉼과 오시리스의 피곤함

오시리스의 신성한 별명으로 Nny가 있는데, 이는 음성학적으로 '노아(Noah)'를  연상시킨다. Nny는 '피곤한 자(The Tired One)'(LGG IV, 248-249)를 의미하는 중왕국(Middle Kingdom) 시대의 상형 문자로 '쉬는 모습', ‘nupot’, '앉아있는 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CT-431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 "물의 심연(nn)에서 올라오는 무기력한 자(nny)".[3] 중요한 것은 ,nny는 또한 '지쳐있는(tired)'을 의미하는 고왕국의 형용사라는 점이다(예: PT-578§1534a). 신성한 이름인 ‘Nun(Nw.w)’(Wb 2, 215.5-6)은  PT(Pyramid Texts)에서 흔히 발견된다(예: PT-233§237a). 제26왕조 텍스트(BC 664-610년)에서도 오시리스를 심연에 직접 위치시킨다 :

pBrooklyn 47.218.84

wnn wsjr m n.t nw.w

"오시리스(Osiris)심연(Nun)에 있다“

노아는 '쉼/안위(rest/comfort)'을 의미하며(창세기 5:29 참조), 개념적으로 오시리스(Nw/nny)('피곤/무기력(tired/inert)')과 동일하여, 뜻과 발음에서 노아와 놀라운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색 5c.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Ogdoad Nu)

이전 글[4]에서 오그도아드(Ogdoad)의 일원인 누(Nu)를 노아(Noah)에 대한 이교화된 기억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를 누(Nu)와 연결시킬 수 있을까?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Nu)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다며, 언급하기를 :

"엔네아드(Ennead)의 목록 중 하나에서 오시리스의 이름은 태고의 물(primaeval water)인 누(Nu)의 이름으로 대체되어 있다... ."[5]

티라드는 아마도 제30왕조의 "위대한 기도(Great Litany)"를 언급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Nun(Nu)는 "기도문 11-20"에서 오시리스(Osiris)를 대체하며, 헬리오폴리스의 "위대한 엔네아드(Great Ennead)"를 "아툼(Atum), 케프리(Khepri), 슈(Shu), 테프누트(Tefnut), 게브(Geb), 누트(Nut), 이시스(Isis), 네프티스(Nephthys), 호루스(Horus), 눈(Nun)"으로 구별하고 있다.[6]


특색 5d. 코이악 축제는 노아의 반영인가? (특색 7, 8 포함)

코이악(Khoiak)이라 불리는 오시리스(Osiris)의 한 축제(festival)는[7] 오시리스와 세트(Seth) 사이의 투쟁을 극화하여,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로 결론지어진다. 이 축제는 1년 중 세 번째 달인 하토르(Hathor)(그리스어로 Athyr)의 12일과, 아케트(Akhet, 홍수)의 계절에 시작한다. 코이악은 새 농사가 시작될 때 농작물을 심는 것으로, 오시리스의 소생을 기념하며 월말까지 계속되었다. 학자들은 여러 자료들을 활용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재구성했다. 그 자료들로는 아비도스(Abydos)에서 발견된 제12왕조(BC 1870~1831년)의 한 석비(stela)와, (이케르노프레(Ikhernofret)에 속하는) 제13왕조(BC 1741~1730년)의 네페로테프 1세(Neferhotep I)의 왕실 석비 등이 포함된다.[8] 중요한 것은 코이악의 많은 면면들이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s)에서 메아리처럼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 축제는 세트(Seth)에 의해 수장된 왕 오시리스(King Osiris)를 기념한다. 그의 시신은 토막 내어져 조각들은 오시리스의 왕국 전역에 전달되었다.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Isis)는 끈질기게 조각들을 찾아 나섰고, 남근을 제외한 모든 조각들을 찾아냈다. 그래서 이시스는 새로운 남근을 만들었다. 이시스는 그 조각들을 미라로 만들어 오시리스를 부활시켰고, 그녀는 새로운 오시리스와 관계하여, 호루스(Horus)를 낳았다. 그 후 오시리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 죽은 자들의 왕이 되었다. 이 일 후에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호루스는 세트와 격렬한 근친 간의 투쟁을 벌였고, 결국 호루스가 승리한다(특색 8 참조). 그러나 축제에서 세트는 오시리스의 아들이 아니라(일부 PT에 따르면), 그의 사악한 형제로 나온다.

덴데하(Dendera, 역주: 나일강 동안(東岸)에 있는 도시)에 있는 그리스-로마 신전 텍스트(Greco-Roman Temple Text)에는 코이악(Khoiak) 축제가 각색되어 있다. 사제들은 호루스가 오시리스의 시신을 신성한 호수 물에서 건져내 신전으로 옮긴다. 오시리스는 역청(bitumen)으로 만든 미라 모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작은 나무 배에 실려 의례용 호수(Nu/Primeval Ocean)를 건너 호루스 사제들에 의해 신전에 묻힌다. 사제들은 다른 신들과 함께 오시리스의 부활을 상징하기 위해 세워진 덴데라의 오벨리스크(Benben 또는 태고의 언덕을 상징)를 지나 줄지어 걸어간다.[9]

그리스 철학자 풀르타르크(Plutarch, BC 46~119년)는 이집트 사제들[10]이 오시리스가 아티르(Athyr, 역주: 이집트 달력의 3번째 달, 하토르(Hathor)와 동일)의 17일에 죽었다고 믿고 있었는데, 그때 세트(Seth, Typhon)가 속임수로 오시리스를 나무 상자에 가두어 나일강에 던져 바다로 보냈다고 한다(13, 356C-D, 69, 378E).[11] 풀르타르크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오시리스에 대한 한 별명은 "상자 안에 있는 남자(He-who-is-in-the-box, 오시리스)(dbn.j)"(Wb 5, 437.17)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우나스(Unas), PT-219§179-184에서 오시리스의 잘린 팔다리에 대한 암시와 함께 등장한다 : 

§179. "누트(Nut), 이것은 당신의 아들 오시리스이다. 당신이 '나에게서 태어났다'고 말한 그이다... 그의 사랑하는 아들 호루스가 입을 열고, 신들이 그의 팔다리를 세고 나서, 당신은 말했다.“  

§184a. "당신의 이름으로"... 상자(dbn) 안에 있는 사람...“

오시리스의 '물로 인한 시련', 그의 dbn '둥근 나무 상자'(Wb 5, 437.16) 안에서의 시련은 노아 및 모세와 흥미로운 유사점을 갖고 있다. 후자의 두 성경 인물에 대해 구약학자 존 커리드(John Currid)는 이렇게 말한다 :

"... 모세가 겪은 물의 시련은 창세기 6~8장에 나오는 노아의 구원을 연상시킨다. 모세가 태어난 후 그의 어머니 요게벳은 그를 석 달 이상 숨길 수 없어서 '갈대상자(tēb̲at̲ gōme)에 넣었다(출 2:3)... '궤, 관'을 의미하는 테바(Tēb̲at)는 노아의 방주에도 사용되었다. [ʿTēb̲at̲ ăṣê-g̲p̲er' 고페르 나무로 만든 방주, 창 6:14]. 출애굽기 2:3절에서 요게벳이 노아가 방주를 만들 때처럼, 갈대 상자를 '타르와 피치(tar and pitch)'로 칠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창세기 6:14). 노아의 구원을 재창조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창세기 1:28절의 문명적 명령을 노아와 그의 후손에게 지시하셨기 때문이다 : “하나님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창세기 9:1). 이 명령은 출애굽기 1장에서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서 번성하고 증가하면서 성취했던 것과 동일한 명령이다. 따라서 성경 기자는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구출된 것을 재창조로 묘사하고 있다."[12]

노아(와 가족)는 둘째 달 17일(창세기 7:11)에 방주(Tēb̲at̲̲)에 들어갔고, 그 이듬해 일곱째 달 17일(창세기 8:4)에 아라랏에 안착했다. 노아가 방주에서 나온 것(홍수로부터의 구원)과 홍수 이후의 문명을 다시 시작한 것은 신학적으로 부활/재창조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오시리스가 홍수의 계절인 셋째 달 17일에 자신의 무덤에 들어간 후 부활/재창조됐다는 플루타르크의 증언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오시리스의 역청 미라(bitumen mummy)는 노아의 방주에 칠한 '역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창세기 6:14). 물론 그러한 증거는 이집트 역사 후반에도 나타난다.


특색 5a-d 요약

호루스의 아버지를 함의 아버지 노아와 비교하면, 몇 가지 놀라운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색 5a의 게브를 통한 오시리스와 땅의 연관성은 땅이 저주를 받았기 때문에, 그 저주로부터 안식을 가져다주는 '땅의 사람'으로서의 노아를 연상시킨다. 특색 5b의 '지친' 오시리스는 '안식하는' 노아와 유사하다. 특색 7에서 노아가 홍수가 있던 해 둘째 달 17일에 방주에 들어가고, 그해 일곱째 달 17일에 아라랏에 안착하는 것은, 나일강 범람의 달 17일에 오시리스가 자신의 상자에 들어가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호루스의 아버지로서의 오시리스/게브는 함의 아버지로서의 노아와 닮았다.


특색 6~7. 전 지구적 홍수 심판 때, 함과 호루스의 방주를 통한 여정


창세기(7:7, 8:16-18)는 함을 포함한 노아의 가족들이 어떻게 노아의 방주에서 전 지구적 홍수로부터 심판을 피할 수 있었는지를 이야기한다. 호루스도 마찬가지일까? ‘사자의 서(BOD)’ 175장은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두 번 죽지 않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아니의 파피루스(papyrus of Ani, 제18왕조 BC 1275년경)의 왼쪽 상단의 삽화 이미지(그림 1)는 죽은 아니(Ani)와 그의 아내가 토트(Thoth, 켐뉘(Khemnw, Ogdoad city)의 군주)를 경배하는 모습이다.[13] 

이 장의 문맥을 보면, 이 홍수는 "악"과 "반역"을 행한 "누트(Nut)의 자식들"에 대해 토트(Thoth)가 아툼(Atum)에게 제기한 신성한 불평에 대한 심판으로 보내진 것이 분명하다.[15]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175장에는 땅을 파묻어버릴 대홍수[ḥwḥw]가 언급되어 있다... 본문은 계속해서 오시리스가 백만 크기의 배[ḥḥ]를 타고... 그의 아들 호루스가 왕좌를 물려받을, 화염의 섬(Isle of Flames)으로 항해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6]

이집트 학자 에드워드 네빌(Edward Neville)은 이 장(175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광범위하게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

"... 신[Atum]은 지구 표면의 모든 것을 물로 덮어 파괴하여, 다시 큰 바다, 모든 것이 시작된 태고의 물인 누(Nu)가 되게 할 것이다. 태초와 같이 다시 누(Nu)가 될 것이다... ."[17]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18], ’사자의 서’ 175장 내에서 오그도아드(Ogdoad) 이름은 본문 내에서 언어유희로 나타난다 : Nu(누, 태고의 바다), Amun(아문, 숨겨진), Heh(헤흐, 수많은), Kek(켁, 어둠)이 그것이다. 누(Nu)에서 오시리스, 호루스(오시리스의 아들), 세트(형제), 토트(가까운 동료/형제, 특색 8 참조)와 함께 배(bark)을 타고 항해한다.[19] 또한, 배의 이름(wi Ꜣ-n-ḥḥ, Wb 1, 271. 11; 3, 153.15)은 오그도아드의 쌍들(ḥḥ and ḥḥ.t.)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오그도아드의 한 변형인 여덟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 ḥḥ)과 음성학적 뿌리로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6:15-16절에 방주의 치수(300 × 50 × 30 규빗)가 나와 있다. MK CT-759는 거대한 태양의 배(solar bark)의 치수를 제공하고 있다 :

"1백만(ḥḥ, 규빗, cubits)은 배 길이의 절반이고 : 우현, 선수, 선미, 좌현[포트]의 길이는 4백만(ḥḥ, 규빗)이다..."[20]


특색 6, 7 요약

호루스가 아버지 오시리스, 형제 세트, 토트와 함께 '거대한 배(ḥḥ)'를 타고 전 지구적 심판의 홍수를 헤쳐나가는 여정은 노아와 형제들과 함께 홍수에서 살아남은 함의 방주에서의 여정과 매우 유사하다.


특색 8. 함과 호루스의 정치적, 성적, 형제적 적대성


창세기(9:22, 9:24-27)는 함이 벌거벗고 술에 취한 채 장막에 누워 있던 노아에게 심각한 죄를 저질렀음을 알려준다. 함의 범죄, 즉 "... 그의 아버지의 하체를 보고... 그의 두 형제에게 알리매"(9:22)의 의미에 대해서는 수세기 동안 논쟁이 계속 되어왔다. 다양한 랍비들의 추측에 따르면, 함의 죄에는 남색, 거세(emasculation), 심지어 노아의 거세(castration)까지 포함된다는 것이다. 노아의 거세에 대한 추측은 노아가 함 이후 추가로 후손을 낳지 않았다는 것으로 설명된다는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노아의 아내와 함이 근친상간을 통해 권력을 잡으려는 시도를 했고, 가나안에게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1] 그러나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성경은 의도적으로 "고상한 언어와 간결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현명하게 훈계하고 있다 :

"... 우리는 오경의 이야기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지, 실제보다 더 많은 것을 읽어서는 안된다."[22]

노아의 축복과 저주에 대한 반응은 가나안에 대한 셈과 야벳의 지배권과 관련하여, 그의 아들들에게 정치적 파급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이 사건에서 함이 "가나안의 아버지"라고 두 번이나 불린 것은 주목할 만하다(창세기 9:18, 22). 그들의 죄의 본질은 레위기 18:3절에서 이스라엘에게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며...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라고 권고하면서(참조: 레 18:24, 27, 28b), 근친상간(18:6-16), 성적 부도덕, 변태(18:17-20, 22, 23), 우상 숭배(18:21)를 금지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이 목록은 이러한 죄의 범주를 이집트와 가나안에 관련된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성경은 함의 형제들에 대한 감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함의 아들 가나안이 셈과 야벳의 "종들의 종(a servant of servants)"으로 전락한 것에 대한 함의 질투와 분노를 생각하면, 당연히 형제간의 적대감을 예상할 수 있다(창세기 9:25). 특히 가나안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받은 함의 형 셈(Shem)에 대한 분노는 컸을 것이다.(창세기 9:26).

호루스(Horus)를 둘러싼 초기 신화와 관련하여, 그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비슷한 특색들을 식별해 낼 수 있을까? 형제간의 적대감? 정치적 지배에 대한 투쟁? 성적 변태, 근친상간? 호루스의 아버지의 거세에 관한 이집트인의 추측들이 있을까?

이집트 신화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The Contendings of Horus and Seth)“(제26왕조, Chester Beatty Pap. I, Oxford)에서도 비슷한 특색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신화는 오시리스 왕위의 정치적 계승과 관련하여,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지저분하고 폭력적인 투쟁을 묘사하고 있다. 이 싸움은 '형제로 보이는' 신(오그도아드 도시(Ogdoad city)의 군주)인 토트(Thoth)가 중재한다. 

코이악(Khoiak) 축제(특색 5에 설명되어 있음)는 이 투쟁의 서막이었다. 세트는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그의 시신을 dbn 상자에 넣어 물 위에 띄워 보냈다. 그로 인해 야기된 쌍방간의 싸움은 격렬한데, 호루스는 눈을, 세트는 고환을 잃게 된다. 따라서 두 장기는 정치적 상징으로 보여질 수밖에 없다. 이후의 비문에 따르면, 호루스는 세트에 의해 남색을 당하는데, 이는 호루스를 지배하기 위한 정치적 책략으로 보인다.[23].


특색 8 요약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은 함과 그의 가족 사이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투쟁의 이교도 버전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저자의 의견이다. 나는 이집트인들이 셈(Shem)을, 왕관을 훔치기 위해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호루스를 (성적으로) 지배했던, 악당 세트(Seth)로 다시 캐스팅했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함은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에 '반기'를 든 것이며, 정치적 교란을 시도한 것이었다. 그 결과 함은 형 셈(창세기 9:22-27) 밑에서 (맏아들 가나안을 통해) 정치적 예속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함은 형 야벳(Japheth)과 더 가까운 관계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는 호루스와 세트 사이에 평화를 유지하도록 개입하는 토트(Thoth)로 다시 캐스팅되었다고 제안한다. 정치적 음모, 성적 폭력(오시리스의 거세, 세트의 부분 거세 포함)은 함이 아버지와 가족을 상대로 저지른 범죄에 대한 후대 랍비들의 추측을 낳게 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추정에 불과하지만, PT(Pyramid Text)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이 후대의 축제(코이악)는, 실제적인 성경적 역사를 함(Ham)의 눈으로 바라본,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된 이교도적-정치적 재해석으로 볼 수 있다.


특색 9. 함과 호루스는 4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림 2.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로 표현된, 호루스의 네 아들( <Image: British Museum / PublicDomain>


창세기 10:6절은 함에게 네 아들(붓, 구스, 미스라임, 가나안)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호루스에게도 네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목적은 사후(死後)에 죽은 파라오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그들의 내부 장기를 네 개의 뚜껑달린 항아리인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안에 보관하는 것이었다(그림 2).[24] ‘사자의 서(BOD)’ 141:4에서 이들은 나침반(compass)의 네 지점(방향)과 연관되어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PTs)에 보면 호루스의 아들들 이름이 있는데, 예를 들면:

PT Pepis I, 580§1548a

"... 그가 사랑하는 호루스의 자녀들 : 하피(Hapi), 암세트(Amset), 두아무테프(Duamutef), 케베세누프(Qebehsenuef).“

PT-688§2078-2079는 이 네 사람을 "켐(Khem, ḥr.w ḫm)의 호루스의 아이들"로 묘사하고 있어, 특히 주목할만하다.[25]

호루스의 네 아들은 후네페르(Hunefer, 역주: 제19왕조 시대 서기관)의 ‘사자의 서’에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이집트 학자 버지(E.A.W. Budge)는 이 그림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그림 3) : 

"신[오시리스]은 신전 안 왕좌에 앉아 있고... 연꽃 앞에는 호루스의 네 자녀가 서 있다... 신의 왕좌는 물[Nu] 위에 놓여 있다... 호루스가 오시리스에게 죽은 아니(Ani)의 의로움을 설명하고 있다...."[26]

그림 3. 호루스와 그의 네 아들들이 오시리스와 함께 등장한다(후네페르의 ‘사자의 서’ 17장 삽화에서...) (Vignette from Hunefer BOD chapter 17, EA9901-3, c.1450BC19thDyn).[26]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특색 9. 요약

숫자적으로 호루스의 네 아들은 함의 네 아들과 일치한다. 이 이름들의 의미 사이의 언어적 연관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색 10. 함과 호루스는 동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


창세기 11:2절은 이렇게 말한다: "이에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가 시날 평지를 만나 거기 거류하며." 여기서 함의 손자 니므롯(Nimrod)은 바벨을 건설하고 탑을 쌓아 반란을 일으켰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스럽게 하시고,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창세기 11:8). 지리적으로 시날은 이집트 동쪽에 있으며, 카이로에서 현대의 바빌론 구역까지 약 1,300km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경로는 함과 그의 부족이 이집트로 들어가기 위해 따라갔을 경로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 길은 거친 사막과 산들로 이루어진 광활한 광야를 횡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옵션은 배를 이용하는 것이다. GoogleEarth를 사용하여 측정한 두 가지 경로(그림 4, 녹색-북쪽, 빨간색-남쪽)가 가능하다.

그림 4. 빨간색 루트는 함이 시날에서 가장 실용적으로 여행할 수 있는 경로를 나타낸다. 붉은색 원은 호루스의 사각형 배(Horus-square boat) 암벽화가 발견된 유적지. <Image: Google Earth (modified)>


북쪽(녹색) 경로는 항해 가능한 최단 거리인 1,846km이지만, 시리아 북부의 산과 사막을 가로지른 후에 188km을 배로 이동해야 하므로, 쉽지 않은 일이다. 

남부(빨간색) 경로는 아라비아 반도를 경유하며 총 거리는 약 6,823km이다. 홍해 서부 해안(Quseer 근처)에서 나일강 계곡(Luxor 근처)까지의 최단 육로 횡단 거리는 약 142km이다. 북쪽 경로의 4배가 넘는 거리이지만, 남쪽 경로는 대부분 물로 가기 때문에,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다.

성경 본문의 의미는 함의 지파가 동쪽에서부터 최단거리 육로로 이동해 왔음을 암시한다. 이 여정과 일치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그렇다, 몇몇 놀라운 왕조시대 이전의 암각화들은 창세기 11:2,8절이 예언한 대로, 호루스의 추종자인 셈수 호르(Shemsu Hor)가 그러한 여정을 떠났음을 나타낸다. 쿠세르(Quseer)와 룩소르(Luxor)의 중간 지점에 있는 고고학 유적지(지도-그림 4)에는 호루스의 휘장이 새겨진 대형 배 그림이 많이 남아 있다(그림 6a, b). 이집트 학자 한스 윙클러(Hans Winkler)[27]는 이를 처음 기술했으며, 최근에는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롤(David Rohl)[28]도 더 많은 것을 기술하고 있다. 높은 뱃머리와 선미를 가진, 독특한 정사각형에 평탄한 용골을 가진 암각화의 배 이미지는 우루크 시대(Uruk Period)의 원통인장(cylinder-seal) 모양의 배(BC 4천 년, 수메르/시날의 것)와 놀랍도록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그림 7).[29] 이 암각화는 동쪽에서부터 해로 이동을 증명하는 것으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이 된 에드푸(Edfu) 근처 사막을 가로질러, 70명이 탑승한 대형 배(그림 8)를 끌고 가는 것으로 절정을 이룬다.


‘특색 10’. 호루스는 ‘아주 먼 곳에서 온 사람’, 또는 ‘동쪽에서 온 사람’을 의미한다

고왕국 PT에 나오는 호루스(ḥr.w)에 대한 신성한 별칭은 공통된 음성학적 어근을 통해, 그의 이름이 '먼 곳에서 온 사람(far distant one)'(ḥr.tj)을 의미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eti PT-370§645 c-d

sja kw n ḥr.w j: ms k(w)jr=f m ḥri jr=f m rn k n(.j) ḥr.t(j)

"가까이 가라 호루스여 ; 그[오시리스]에게 가라. 당신의 이름 '멀리 있는 자'로 그로부터 멀어지지 말라.“

호루스는 또한 '동쪽에서(from the east) 온 사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nas PT-301§450c

jy.n(|wnjs|)ẖr=k ḥr.w -jꜢ b.tj

"우나스(Unas)가 당신에게 왔다, 동방의 호루스여.“

호루스에 대한 이러한 신성한 별칭('먼 곳에서 온 자', '동방의 호루스')은 함이 동방의 시날로부터 해상 및 육상 경로로 약 7,000km의 여행을 했다는 것과 일치한다.


특색 10. 요약

창세기 11:2, 9절은 함과 그의 부족이 동쪽의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음을 알려준다. 가장 실용적인 여정은 배를 타고 와서 가장 짧은 육지를 횡단하는 것이었으며, 가장 가까운 지점은 홍해 연안(쿠세르)에서 나일강 계곡(룩소르/에드푸)까지였을 것이다. 인근에 있는 왕조시대 이전의 암벽화는 많은 호루스 추종자들이 배를 끌고 사막을 가로질러 이러한 여행을 했음을 보여준다. 호루스가 동쪽에서 멀리 왔다는 것은 피라미드 텍스트(PT)에 나오는 신성한 별칭 '동방의 호루스'와 '먼 곳에서 온 자'에서 알 수 있으며, 이는 함의 여정과 일치한다. 수메르에서 유래한 배의 독특한 높은 뱃머리와 선미, 평탄한 용골, 고정된 후미 형태 등은 이집트 예술의 종교적 상징 그림(iconography, 圖像)인 ‘태양의 배(solar barks)’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배는 함과 그의 부족을 구세계에서 신세계로 데려다줬던, 새로운 '노아의 방주'가 되었다.


특색 11. 함 대 호루스 – 시조의 이름을 딴 이집트


성경은 이집트의 시조로서 함(Ham)을 연결하고 있다(시편 78:51; 105:23, 27; 106:22). 이집트와 그 민족을 의미하는 최초 상형문자 비문(고왕국 이후)은 km.t 이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히브리어 ḥām과 유사하며(1부의 ‘음성학적 고려 사항’ 참조), 여성 보통명사는 km.t 로(그래서 t로 끝남) 비옥하고 검은 나일강 홍수 토양을 나타내는 '검은 땅'(Wb 5, 127.4-127.17)을 의미한다. "이집트인" Km.tı는 문자 그대로 "검은 땅의 사람들"(Wb 5, 127.18-20)을 의미한다. 창세기 11:3, 14:10과 출애굽기 2:3(ḥēmār, ḥōmer)의 검은 땅의 소산물과 이집트의 "검은 땅"(km) 사이의 연관성은 이제 함(ḥām)이 이집트를 건국했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증거로 분명해진다(1부 참조). 이집트에 대한 명칭인 km.t는 다음과 같은 고왕국 PT에서 나타난다 :

Pyramid Pepis I., PT 674 + PT 462§1998b

ꜤḥꜤ =k ẖntj km.t(j).w

"당신[네프티스]은 이집트 백성들 앞에 설게 될 것이다... ...“

'검은 땅의 사람' 함은 호루스 및 '검은 땅' 아프리카의 이집트인들과 잘 어울린다. 

그림 5. 카움움부(Kawm Umbu, 남쪽)와 나일강 서쪽의 지역 퀴나(Qina, 북쪽) 사이에 있는 암각화 유적지.[30] <Archéologie et Arts/Open Access>


아트리비스(Athribis, km)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나일강 동안(東岸)의 Tell Atrib(그리스어로 Athribis)는 하이집트의 10번째 지역(영토 구분)이다. 원래 이집트 이름인 km-wr은 "위대한 검음"을 의미하며, 그것의 상형문자는 검은 황소 km을 포함하며, 그 지역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                 

호루스는 아트리비스에서 "장엄한 검은 황소"의 모습으로 숭배되었다(LGG VII, 285). Km-wr은 고왕국 PT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eti PT-342§556b–c

m(j) mꜢ =ṯ sꜢ = ṯ pḫr n=f km-wr

"...와서 위대한 검은 황소(Great black-bull)에 의해 섬김을 받는, 당신의 아들을 보시오...“


레토폴리스(ḫm)

호루스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레토폴리스(Letopolis, Λητοῦς Πόλις)라고 불리는, 켐(Khem, ḫm)의 신이기도 했다. 켐은 하이집트의 두 번째 주의 이름이다. 이 도시는 PT에서 언급된 Khenty-khem의 형태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지였다 :

Pepis I 438§810a–b

Ꜥnḫ Ꜥnḫ n m(w)t=k js m(w)t.t mj Ꜥnḫ ḥr.w ḫnt(.j) ḫm.“

"살아라, 살아라 – 당신은 호루스처럼, 죽지 않을 것이다." 그는 hm(Letopolis)의 수장으로 살아있다.“

그림 6a–c. 사각형의 배와 호루스 휘장(insignia)이 새겨진 암각화 (Winkler [27]).


텍스트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 신전은 이집트 역사의 초기부터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31] 비문은 호루스가 ‘이집트’라는(두 강둑으로 불려지는) 이름을 지었음을 암시하는데, 이것은 나일강이 '두 강둑(two banks)'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Pyramid of Pepi II, PT 439§812a

(|ppy|) (|nfr-kꜢ-rꜤw|) [p]w [s] ṯ.t j ṯi.t tꜢ, rkḥ.t šsp.t jdb=s.

"이는 페피 네페르카르(Pepi Neferkare), 사테트(Satet, 역주: 나일강 범람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그녀는 두 나라를 소유하고... 그들의 두 강둑[이집트]을 받았다.

의미심장하게도 호루스는 '두 강둑(two banks)'이라고도 불리며, 그래서 그는 이집트의 시조로 직접 연결된다. 즉, "호루스(이집트)의 두 강둑(jdb.wj-ḥr.w) "(Wb 1, 153.7). 여기서 이집트는 두 개의 강둑을 의미하는 상징과 호루스를 상징하는 매(falcon)로 묘사된다 :

예를 들어 : 

(Ptolomaic) Papyri of Nesmin from Thebes, pBM 10208

sb ḥr m ḥꜤꜤ.

"호루스(이집트)의 기슭은 (그때) 환희에 차 있었다!“


PT-532§1258

ḥr.w nb-tꜢ (.wj).

"호루스, 두 땅의 군주."[32]

따라서 호루스(Horus)는 성경의 함(Ham)과 동의어이고, 마찬가지로 이집트(Egypt)와 동의어인 것이다.

그림 7. 우루크(Uruk, Sumer/Shinar)와 이집트의 암각화에서 배 그림. (Winkler가 비교했다)[27]. <Hans Alexander Winkler / Open Source>


일반적인 고왕국의 한 용어(함과 정확히 음성학적으로 동일한)는 'ḥm' 이다. 이는 '왕 또는 신의 위엄'을 의미하는 말이다(Wb 3, 91.1-92.11). Ḥm은 호루스에 대한 별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면  

12thDyn. (1971–1926 BC) Sesostris I Month Temple of Tod, Column 32 

ḥm ḥr  “… the majesty of Horus… ”

"..호루스위엄..."


특색 11. 요약

함(Ham, ḥām)은 이집트(시편 78:51, 105:23,27, 106:22) 이름의 시조이고, 시조로서 호루스는 수호신이자 위엄자로서, 이집트(km.t)와 두 지역의 이름을 지었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함(km,ḫm,ḥm)과 관련된 이름들이다.


특색 12. 함과 호루스 – 매우 오래 살았다.


창세기 11:11절은 셈이 600년을 살았다고 알려주는 데, 성경에는 없지만 함의 경우도 그 정도의 수명을 살았음을 지지해 준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호루스는 고대의 원로 신으로 기념되고 있을까? 그렇다. PT 303§466a에서 호루스는 '최고 원로의 신(the eldest god)'으로 불린다. 호루스의 신적 별칭은 (PT-256§301b)에 나오는 Hr.w-sms.w 이며, 이는 "원로신 호루스"(LGG V, 290)를 의미한다. 이미 ‘1부’ 글에서 언급했듯이, ‘죽음의 서’ 19장(제22왕조)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이시스의 아들이자 오시리스의 아들 호루스는 수백만 번의 희년(jubilees)을 반복했다..." 이러한 별칭은 호루스가 고대 신으로 간주되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함이 대단한 나이까지 살았다는 것과 일치된다.

표 1. 창세기 5~11에 묘사된 함의 생애에 관한 특색 12개와 호루스 관련 이집트 증거들과의 비교 

그림 8. 이집트 중동부의 사막, 와디 바라미야-9(Wadi Baramiya-9)에 있는 왕조 이전 암벽화. 70명의 사람들이 탄 호루스의 '사각형 보트'가 사막을 가로질러 끌려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Lankester[30] 그림 7).


결론  


필자는 2편의 글을 통해, 창세기 5~11장에 나오는 함의 생애에 대한 12가지 특색을 호루스와 비교하여 조사했다(표 1). 2부에서는 특색 5~12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다음으로 요약된다.


∙ 특색 5 : 함의 아버지 노아 대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게브’는 다음과 같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즉, '안위'와 '피곤함', '땅의 사람'과 '대지의 신'. 또한 오시리스는 노아에 대한 이교도의 기억인 오그도아드(Ogdoad) 누(Nu)와 동의어이다.

∙ 특색 6 : 노아는 17일에 방주(ark, tbt)에 들어갔다 vs 오시리스는 17일에 상자(chest, dbn)에 들어갔다.

∙ 특색 7 : 홍수에서 살아남은 방주 안의 함의 가족은 Nun(역주: Nu와 동일한 이집트 최고의 신, 태고의 바다를 의미)의 ‘태양의 배’에 있는 호루스, 오시리스, 토트, 세트를 연상시킨다(BOD-175).

∙ 특색 8 : 노아의 저주와 축복은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에서 극명하게 전환될 수 있다.

∙ 특색 9 : 호루스와 함은 4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 특색 10 : 창세기 11:2, 9절에 의하면, 함의 부족은 동방, 특히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던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왕조 이전의 암각화는 호루스의 추종자들이 사막을 건너 나일강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 특색 11 : 이집트는 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이집트(두 개의 지명 포함)는 호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특색 12 : 함은 매우 오래 살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호루스는 ‘원로 신’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두 글에서 제시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고대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증거들(물론 해석에 좀 더 추측적인 부분이 있음을 인정하면서)은 창세기 5~11장의 역사적 사건과 일치한다. 대홍수 생존자인 함은 문명의 재개에 도움을 주었고, 이집트를 건국했으며, 매우 장수했다. 따라서 이교도 이집트인들은 함(Ham)을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인 호루스(Horus)로 신격화했던 것이다.


감사의 말

초안에 대해 유용한 제안을 해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비판적인 의견을 주신 익명의 검토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Posted on homepage(CMI) : 17 March 2023


References and notes

1. te Velde, H., “Geb” In Lexikon der Ägyptologie II, Wiesbaden, Germany, pp. 427–429, 1977. 

2. Pinch, G.,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Oxford, pp. 65–66; 195–197, 2002. 

3.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vol. II, Spells 355–787, Aris & Phillips Ltd., Warminster, p. 73, 1977.

4.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J. Creation 34(2):75–78, 2020. 

5.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PCK, London, p. 91, 1910. 

6. Manassa, C., The Late Egyptian Underworld: Sarcophagi and related texts from the Nectanebid period,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Germany, p. 265, 2007. 

7. Hedges, A., The Egyptian Dionysus: Osiris and the development of theater in Ancient Egypt; in: Proceedings of the XI International Congress of Egyptologists Florence Egyptian Museum Florence, pp. 271–275, August 23–30, 2015. 

8. Hedges, ref. 7, p. 274. 

9. Chassinat, E., Les Mystères d’Osiris au mois de Khoiak, IFAO, Cairo, 1966. 

10. Griffiths, J.G., Plutarch’s De Iside et Osiride, University of Wales Press, Cardiff, pp. 56, 68, 75, 1970. 

11. Griffiths, ref. 10, pp. 63, 139, 181, 185. 

12.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Books, Grand Rapids, MI, p. 114, 1997. 

13.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J. Creation 33(3):105–106, 2020. 

14. Budge, E.A.W., The book of the dead (BOD): the Papyrus Ani in the British Museum, The Egyptian text with interlinear transliteration and translation, a running translation, intros, etc., Longmans & Co., London, 1894;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43. 

15. Cox, ref. 13, p. 104. 

16.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London, pp. 92–93, 1910. 

17. Naville, E., Mention of a flood in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vol. 26, Harrisons and Sons, London, pp. 251–257; 287–294, 1904; p. 289. 

18. Cox, ref. 13, p. 104–105. 

19. Cox, ref. 13, p. 105. 

20. Faulkner, ref. 3, p. 290. 

21. Bergsma, J.S. and Hahn, S.W., Noah’s Nakedness and the Curse on Canaan (Genesis 9:20–27), JBL 124(1):25–40, 2005. 

22. Cassuto, U., A Commentary on the Book of Genesis II, Verda Books, Woodstock, IL, p. 152, 2005. 

23. Allen, T.G., Horus in the Pyramid Tex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IL, p. 12, 1916. 

24. Pinch, ref. 2, p. 204. 

25. Faulkner, ref. 3, p. 296. 

26. Budge, E.A.W., Facsimiles of the papyri of Hunefer, Ankhai, Kērasher and Netchemet, Longmans and Co., Oxford, plate 5, 1899;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18. 

27. Winkler, H.A., Rock Drawings of Southern Upper Egypt I,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938. 

28. Rohl, D., Legend, the Genesis of civilisation, Century, UK, pp. 1–9, 1988; Rohl, D., The Lost Testament, Century, UK, pp. 80–90, 2002. Rohl does not equate Horus directly with Ham but sees the followers of Horus as the descendants of Ham. 

Winkler, ref. 27, pl. XXXIX. 

29. Lankester, F.D., Predynastic Egyptian rock art as evidence for early elites’ rite of passage, Afrique: Archéologie & Arts 12:81–92, 2016. 

30. Snape, S., The Complete Ci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London, p. 185, 2014. 

31.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Press, Oxford, p. 200, 1969. 


Related Articles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Horus—the deified Ham: part 1


Further Reading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5(3):64–72, December 2021

주소 : https://creation.com/horus-and-ham-2

번역 : 석원석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