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권영헌
2006-04-24

하나님의 섭리하심에 대한 정보 이론적 접근 

(Information Theoretic Approach to Providence of God)


요지

"하나님의 섭리하심의 방식이 물리적(physical)이며 모든 정보(information)는 양자 상태(quantum state)로 표현 된다"라는 가정 하에 우주 내의 모든 물질이 얽힘 상태(entangled state)로 존재한다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님의 섭리하심이 가능함을 보인다. 이는 얽힘 상태를 이용하여 선택내용의 결과가 공간적, 시간적 제약 없이 전달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양자역학의 중요 정리인 삭제 불가정리(No deleting Theorem)와 복제 불가정리(No cloning Theorem)에 따라 얽힘 상태의 수를 감소시킬 수도 증가시킬 수도 없음을 살펴본다. 이는 우리의 우주에 대한 무지(無智)의 이해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하심을 설명할 수 있는(실제와 매우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법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Abstract

We assume that Providence of God might be physical and every information is expressed in the quantum state. Under the assumption, if everything in Universe exists in entangled state, we find that God can control everything without any limitation. It implies that the result of selection can be transmitted by the entangled state, without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 We can see that ,according to No deleting theorem and No cloning theorem, there cannot be any change in numbers of entangled state. It means that even in our ignorance there exists an method to explain Providence of God.


출처 - 창조과학 학술지 2005 제2권 제1호 PP. 11-15

구분 - 2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263

참고 :

미디어위원회
2006-04-06

물 위를 걸으신 예수님의 기적을 설명해보려는 과학자 

(Scientist Tries to Explain Away Miracle of Jesus Walking on Water)

David F. Coppedge


      부활절이 다가오고 있다. 회의론자들이 예수님의 기적을 훼손시키기 위한 활동을 시작하는 계절을 의미하기도 한다. 올 해 들어 첫 번째 시도가 플로리다 주립대학(Florida State University)의 도론 노프(Doron Nof)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예수님이 물 위를 걸으신 것이 아니라, 떠다니는 얼음 조각(an isolated patch of floating ice) 위를 걸었다고 주장한다. 갈릴리 호수(Sea of Galilee)는 극히 드물게 일부분이 얼음 층(sheets of ice)을 형성할 수 있었는데, 예수님이 얼음 위를 서있는 것을 물 위에 서있는 것으로 제자들이 착각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해수면 아래에서 얼음 층이 형성되는 상황은 오늘날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예수님 당시에는 30~160년 만에 한 번 꼴로 발생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그는 추정하고 있다. The Guardian(2006. 4. 6) 지의 보도를 보라. 이 이야기는 JPL을 포함하여 많은 신문 뉴스들에 게재되었다..



어찌하여 과학자들은 이러한 그들의 괴상한 과학 이론을 기독교인들이 반대 없이 그냥 앉아서 받아들여주기를 기대하는가? 그러면서 진화론이라는 그들의 괴상한 과학 이론에 누군가가 도전하면 편집증적인 반응을 보이며 소송을 하겠다고 위협을 하는가? 이 가설은 너무도 우스꽝스럽다. 서로 얼굴을 붉히지 않기 위해서, 이 장면을 헐리우드의 어떤 영화배우가 재현한다고 상상해 보자. 예수님의 역할을 하는 배우는 불안정한 얇은 얼음 조각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애를 쓰며 서있다. 제자들의 역을 맡은 배에 있는 배우들은 그들의 지도자가 얇은 얼음 조각 위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흔들흔들하며 애쓰는 모습을 바라보면서도 경외스러운 느낌을 갖는 것처럼 표정을 지어야 한다. 갑자기 그가 비틀거리며 미끄러져 풍덩 빠진다. 무서워하는 표정을 짓고 있던 배우들이 갑자기 우하하 웃어버린다. 컷!

두 번째 장면. 카메라가 돌아가기 시작하고, 얼음 위의 배우는 그의 발 받침대를 유지하고 서있다. 베드로 역을 맡은 배우가 배에서 뛰어 내린다. 그러나 그의 얼음 판은 그의 발 아래에서 미끄러져 버린다. 그는 물 속으로 풍덩 빠져 버린다. 다시 다른 배우들이 우하하 웃는다. 그는 얼음 판 위에서 수영하다가 점점 빠져들어가는 것처럼 연기를 하며 소리를 지른다. 주여 나를 구원하소서. 얼음 위에 있던 배우가 물 속에 있는 사람에게 손을 내밀어 끌어 올리려고 하다가, 그만 발이 미끄러져 풍덩 둘 다 물 속으로 빠져 버린다.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도론 노프는 전에도 홍해가 갈라진 것을 설명해보려고 노력했다. 그는 성경의 기적을 완전히 자연적인 현상으로 해석해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신뢰할만한 목격자들의 말을 믿는 것보다 더 많은 믿음을 필요로 하는 것을 믿고자 한다. 다음 번에는 예수님께서 폭풍을 잠잠케 하신 것은 특수 효과였다고 말할 것이다.


*관련기사 : 예수 그리스도 얼음 위를 걸었다? (2006. 4. 6. 전북일보)

https://www.jjan.kr/article/20060405182917

예수 그리스도 물 위가 아니라 얼음 위를 걸었다?  (2006. 4. 8.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6040576018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crev.info/2006/04/scientist_tries_to_explain_away_miracle_of_jesus_walking_on_water/

출처 - CEH, 2006. 4. 4.

James Patrick Holding
2006-04-05

곤충의 다리 숫자에 관한 성경 기록은 오류인가?

(Four Legs Good, Six Legs Bad : An Entomological Error?)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은 너희에게 가증하되, 오직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모든 곤충 중에 그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 땅에서 뛰는 것은 너희가 먹을찌니, 곧 그중에 메뚜기 종류와 베짱이 종류와 귀뚜라미 종류와 팟종이 종류는 너희가 먹으려니와, 오직 날개가 있고 기어다니는 곤충은 다 너희에게 가증하니라”  (레위기 11:20-23)

 ”All fowls that creep, going upon all four, shall be an abomination unto you. Yet these may ye eat of every flying creeping thing that goeth upon all four, which have legs above their feet, to leap withal upon the earth ; Even these of them ye may eat; the locust after his kind, and the bald locust after his kind, and the beetle after his kind, and the grasshopper after his kind. But all other flying creeping things, which have four feet, shall be an abomination unto you.” (Lev. 11:20-23)

곤충(insects)은 다리가 넷이 아니라 여섯이고, ‘조류(fowl)’는 다리가 둘 이므로, 위의 성경 구절은 오류인가? 성경을 의심하는 사람들은 ‘fowl’을 ‘조류’로 해석하지만, 20절과 21절의 원래 단어 ‘owph‘ 는 날개가 있는 생명체를 가리키는 말로서 곤충을 뜻한다. ”네 발로 기어다니는 모든 곤충” 이라는 구절을 시적 표현쯤으로 넘겨버릴 수도 있겠지만, 좀 더 나은 그리고 더 정확한 해석이 있다.


명백히 메뚜기의 커다란 뒷다리(big back legs)는 나머지 다리들과 같은 의미의 '발(feets)'들로 여겨지지 않았던 것이다. 유명한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동물농장(Animal Farm)' 에 유사한 예가 있다. 돼지 스노우볼(Snowball)은 인간을 동물농장에서 몰아내기 위하여 ”네 다리는 좋고 두 다리는 나쁘다(Four legs good, two legs bad)” 라는 슬로건을 만들었는데, 거위와 다른 새들이 자신들도 다리가 두 개라고 반대하자, 스노우볼이 (영화에서보다 소설책에서 더 명확히) 설명하기를, 동물사회에서 새의 날개는 몸을 움직이는 사지이고, 인간처럼 조작을 하는 팔이나 손이 아니므로 다리로 간주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제 위의 레위기 본문을 다시 살펴보면 ‘뛰는 다리(발 위의 다리, legs above their feet)’를 별도로 취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리이긴 하지만 단지 '발'의 기능만 하는 '네 개의' 다리와는 다른 의미의 다리인 것이다. 즉, 두 가지 종류의 다리가 있는데, 네 발로 기어 다니는 데 이용되는 다리와 (본문에서는 '다리'라 하지 않고 '발' 이라고만 되어있다 (20, 21절)) '뛰는 다리(21절)'가 그것이다. 히브리 사람들은 메뚜기와 그 유사한 곤충 (우리는 여기서 '딱정벌레(beetle)'를 '귀뚜라미(crickets)'로 해석한다)의 두 개의 크고 뛰어오르는 뒷 다리가 수직으로 운동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돌아다니는데 사용하는 나머지 네 다리와는 별도로 취급하였음이 분명하다.


받아들이기 어려운가? 그렇다면 대안은 히브리 사람들은 (하나님께 고기가 없다고 불평하여 이것들을 먹게된 사람들) 곤충들이 6개의 다리를 가지는 것을 몰랐다고(못봤다고) 말하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메뚜기를 먹기 전에 모두 눈을 감았을런지도 모른다(?).


 (어떤 회의론자들은 이 지적에 대하여, 이런 곤충들은 때때로 발견하기도 힘들고, 일부 곤충들은 수 십 년 동안 볼 수 없었기 때문에 레위기의 저자가 잘 몰랐던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아전인수격의 헛소리는 바르게 지적해줄 필요가 있다. 이런 종류의 곤충들이 어느 기간동안 완전히 사라질 수는 없으며, 고대 사회에서 레위기의 저자라면 당연히 오랜 경륜의 소유자였을 것이므로, 이미 이에 대한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그가 우연히 메뚜기를 볼 수 없었던 시대에 살았다거나, 그가 메뚜기의 다리 숫자를 알지못할 만큼 똑똑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있을 수 없다. 어떤 회의론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 중에서도 일부는 곤충의 다리가 여섯 개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말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11명 중에서 8명이 정답을 맞추었는데, 이중 2 명은 맞추기는 했지만 자신이 없어했고(아마 십중팔구는 질문자가 어리석은 질문으로 자신들을 놀린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2명은 모른다고 했고(아마도 종잡을 수 없는 회의론자의 변덕에 휘몰려봤자 더 좋을 것이 없다는 의미로), 1 명은 다리가 여덟 개라고 완전히 틀리게 대답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시대착오적 설문조사는 일부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과학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는 사실 외에 아무것도 증명하는 것이 아니며, 더욱이 이 아이들이 반찬으로 곤충을 먹는지, 그리고 히브리 사람들처럼 늘 곤충을 대하고 살았는지도 의문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 조사는 적절치 않다.)


미심쩍어하는 독자들을 위한 메모

* 여기서 사용된 성경은 King James Version (KJV)이다.

* ”오직 날개가 있고 기어다니는 곤충 (all other flying creeping things, which have four feet, 11장 23절)은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대부분의 독자들은 유추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겠지만, 일부 독자들에게는 답변이 필요할 지도 모르겠다. 날개 달린 많은 곤충들의 뒷부분에 있는 한 쌍의 다리는 뛰어오르거나, 이륙하도록 특별 제작되어서 다른 4 개의 다리와는 다른  기능을 보여준다. 이 세상의 몇백만 종이나 되는 곤충들로부터 단지 소수 (6개)만을 선택하고, 이들이 레위기 11장 23절의 말씀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것은 교만해 보이는 듯하다. 꿀벌의 예를 들어보자. 여기 꿀벌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인터넷 사이트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http://www.captted.com/bees/beemanual/cb05.htm). 꿀벌의 뒷다리는 나머지 네 다리와 전혀 다른 방향임을 알 수 있다. 좀더 전문적으로 얘기해 본다면, 다른 기능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뒷다리는 다른 다리보다 크고 넓고 평평하며, 그 크기는 여왕벌, 일벌, 수벌에서도 서로 다르다. 일벌만이 꽃가루를 모아서 뒷다리의 꽃가루 저장통에 넣는다. 뒷다리에는 길고 구부러진 털이 있는데, 이 털로 둘러싸인 공간을 꽃가루 저장통이라 한다. 꽃가루는 앞다리와 중간다리로 모아서 뒷다리 안쪽 평평한 면에 있는 잔털에 붙어서 벌통에 옮겨진다. 각각의 뒷다리는 뒤쪽으로 뻗어있는 열 개의 가로줄의 딱딱한 돌기로 덮여있다.”

비록 이 다리들은 (메뚜기의 경우에도 그렇듯이) 걷는 데에도 이용되기는 하지만, 기능과 형태적으로 명확히 구별된다. 특별한 '독심술(mind-reading)'을 사용하지 않아도, 히브리 사람들이 (메뚜기, 여치 등에서 사용했던 같은 분류방식을 적용하여) 메뚜기 이외의 날아다니는 곤충들에서도 뒷다리를 특별히 취급하여 앞의 네 다리만 본래 발로 부르고, 나머지는 '뛰는 다리(발 위의 다리)' 등 다른 이름을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회의론자들에 의해서 성경의 오류라고 주장되던 곤충의 다리 숫자에 관한 히브리 본문은 기능이 다른 다리들에 대해 다르게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참조 : Get Answers: Countering the Critic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aq/critics.asp#contradictions

Apologetics Press :: Alleged Discrepancies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sort-2-26-25-title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sort-2-51-25-title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sort-2-76-25-title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sort-2-101-25-title
http://www.apologeticspress.org/allegeddiscrepancies/sort-2-126-25-titl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tektonics.org/af/buglegs.html

구분 - 5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218

참고 : 2805|3020|1790|1756|2530|2321|2688|2996|3065|921|2362|1793|2030|3022|2525|2643|3166|3249|2737|2960|3220|3218|3208|3206|3170|3162|3036|2942|2797|2970|2425|2982|2549|666|1430|640|886|887|1922|2016|2936|303|87|777|416|930|2638|2378|902|3589|3331|3363|3233|2323|1412|1413|629|2746|1805|528|2545|2515|2458|522|521|3148|3289|3372|2793|2796|2799|2552|2534|910|2245|1798|1812|2135|939|370|655|77|617|665|2432|67|3101|3264|3302|3611|3135|3237|3398|3097|2710|2311|2313|3242|3241|3244|3164|2330|3055|3186|3155

미디어위원회
2006-03-30

성경의 기록자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는가? 

(Did Bible writers believe the earth was flat?)

ChristianAnswers.net


     아니다. 이 잘못된 생각은 성경에서 가르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일부 성경 비평가들은 요한계시록 7:1절에서 네 천사가 땅 ‘네 모퉁이’에 서 있다고 말하는 것을 근거로 성경은 지구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사실 이 구절은 동, 서, 남, 북의 방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현대에도 사실 태양이 아니라 지구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어법으로 태양이 뜨고 진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출시간, 일몰시간 같은 용어). 성경의 기록자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보이는 대로 말하는 언어(language of appearance)’를 사용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의도한 메세지가 잘 전달되지도 않고 어색하며, 잘 이해되지도 않았을 것이다.[DD]


구약성경 욥기 26:7절 ”그는 북편 하늘을 허공에 펴시며 땅을 공간에 다시며” 라는 말씀에 의하면, 지구는 공간에 매달려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구형의 태양과 달과 함께 지구가 구형이라는 분명한 예시이다.


욥기 26:10절 ”수면에 경계를 그으셨으되(He described a circle upon the face of the waters) 빛과 어두움의 지경까지 한정을 세우셨느니라” 라는 말씀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수면에 둥근 경계를 그으셨으되...”이다. 이사야 40:21,22절에서도 구형의 지구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그는 땅 위 궁창(the circle of the earth)”에 앉으시나니 땅의 거민들은 메뚜기 같으니라 그가 하늘을 차일 같이 펴셨으며 거할 천막 같이 베푸셨고”


잠언 8:27절 ”그가 하늘을 지으시며 궁창으로 해면에(a circle on the face of the deep) 두르실 때에 내가 거기 있었고” 에서도 원(circle)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둥근 지구임을 말하고 있다(NKJB, NASB). 만일 바다를 공중에서 바라본다면 수평선은 둥글게 보일 것이다. 이러한 둥근 수평선은 욥기 26:10절에서도 나타나 있다. 물 표면이 둥글다는 것은 그리스인들이 사용했던 둥근 지구에 대한 증거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여기 욥기의 기록을 보면 그리스인들 이전 세대가 그것을 발견했던 것이다. 욥기 26:10절은 빛이 끝나는 곳에 어둠이 시작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구형을 가진 지구에서의 낮과 밤을 말하고 있다.[JSM]


히브리 기록은 가장 오래된 것인데, 왜냐하면 욥기는 성경에서 가장 오래된 책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잘못되게) 처음으로 구형의 지구를 제안했던 사람들은 그리스인들이라고 말하고 있다. BC 6세기에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다. [JSM] 알렉산드리아의 에라스토테네스(Eratosthenes)는 지구의 둘레를 ‘현재 추산되는 것의 80km 이내’의 오차 안에서 계산해냈다. [Encyclopedia Brittanica]


그리스 사람들은 또한 위선(parallels)과 경선(meridians)도 그렸다. 그들은 극점, 적도, 회귀선 등을 확인했다. 이러한 둥근 지구에 대한 개념은 아직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다. 즉 로마인들은 지구를 바다가 둘러싼 평평한 원반의 형태로 그렸다. [JSM]


우리 행성의 둥근 모양은 배가 수평선 너머로 사라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과, 일식(혹은 월식)의 그림자 관측을 통해 쉽게 추론할 수 있는 결론이므로 이러한 정보가 신약성경의 기록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지구의 둥근 모양은 당연히 크리스토퍼 콜럼부스(Christopher Columbus)도 잘 이해하고 있었다. [DD]


둥근 지구에 대한 암시는 누가복음의 예수님께서 그의 재림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에서 또한 볼 수 있다. 누가복음 17:31절에서 예수님은 ”그 날에(In that day)”에라고 말씀하시고, 다시 34절에서 ”그 밤에(on that night)”라고 말씀하신다. 이것은 지구의 한쪽은 낮(day)이고 동시에 반대편은 밤(night)인 것에 대한 암시인 것이다. [JSM]

추가로 다음의 글들을 읽어보라..

.그러나 성경은 '땅의 네 모퉁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는가? 어떻게 둥근 지구가 모퉁이를 가질 수 있는가?  Answer...

.누가 평평한 지구의 개념을 창안했는가?   Answer...

 

*참조 : Is the ’erets (earth) flat?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1614

The flat-earth myth and creationism
http://creation.com/the-flat-earth-myth-and-creationis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hristiananswers.net/q-eden/edn-c015.html 

출처 - ChristianAnswers.net

Carl Wieland
2006-03-10

뱀은 흙을 먹는다!

(Snakes do eat dust!)


창세기 3:14절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뱀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렇게 하였으니 네가 모든 육축과 들의 모든 짐승보다 더욱 저주를 받아 배로 다니고 종신토록 흙을 먹을지니라”

뱀들은 실제로는 흙(dust)을 먹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구절은 사람들의 편견에 의해서 명백한 비유의 말씀이거나, 아니면 성경의 오류로서 간주되어져 왔다.   

미가서 7:17절에도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  

”그들이 뱀처럼 티끌을 핥으며...”

더 많은 정보들이 알려지면서, 다시 한번 성경은 정확할 뿐만이 아니라, 세밀한 사항까지도 정확함을 보여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뱀들은 신중하게 그리고 의도적으로 흙을 먹고, 핥는다.
 
뱀의 입 천장에는 ‘야콥손기관(Jacobson’s organ)‘이라고 불리는 기관이 있다. 이것은 뱀이 그 코와 함께 냄새를 맡는 것을 도와주고 있다. 뾰족하고 갈라진 뱀의 혀는 그 끝으로 약간의 흙을 찍어 시료를 채취한다. 그리고 그것을 입 안쪽에 있는 한 쌍의 감각기관에 가져간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그들은 냄새를 맡는 것이다. 그리고 혀가 깨끗하게 청소되어지면 즉각적으로 그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말로 뱀은 흙을 핥고, 먹는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10/i4/snakes.asp

출처 - Creation 10(4):38, September 1988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170

참고 : 2793|2796|2799|2552|2534|910|2245|1798|1812|2135|939|370|655|77|617|665|2432|67

미디어위원회
2006-03-09

첫 번째 아담 대 마지막 아담

 (First Adam—last Adam)

Russel M. Grigg 


둘 다 복음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 정확히 어떻게 중요한가?

성경은 아담을 첫 번째 사람이라고 말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는 ‘마지막 아담(the last Adam)’ 이라는 묘한 명칭을 부여한다 (고전 15:45). 이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며, 어째서 그런 명칭이 주어졌나? 아담과 예수님 사이의 유사성은 무엇이며, 어떤 이유로 예수님에게 이런 명칭이 주어졌을까?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


아담과 예수님의 비교

1. 기적적인 시작

첫 번째 사람 아담은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땅의 흙으로부터 하나님이 직접 창조하셨다고 성경은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하나님이 아담의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시니 그가 생령이 되었다.(창 1:26-27; 창 2:7)

그러므로 아담은 어떤 형태의 유신론적 진화의 산물이 아니다.[1] 하나님은 그를 원숭이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만들지 않았으며, 또한 유인원으로부터 기나긴 세월에 걸쳤다거나 또는 갑작스러운 돌연변이에 의해 만들지도 않으셨다.[2] 오히려, 하나님은 창조 주간의 여섯째 날 어느 시간에, 그분의 말씀에 의해(즉, 이것이 일어나기를 원하시거나 명령하심으로) 즉각적인 행동으로 아담을 창조하셨다.[3]

아담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반면, 그리스도는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이시다(골 1:15).

성경은 우리에게, 마지막 아담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만물을 지으신 분이라고 말해주고 있다(요 1:1-3, 골 1:15-20, 히 1:2). 그러므로 예수님은 아담이 살기 이전에 성부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과 함께 이미 계셨다(요 8:58, 미 5: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성에 있어서 그분 역시 기적적인 시작을 가지셨다. 그분은 성령에 의해 잉태되고 처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심으로 인간으로 성육신 하셨다(마 1:20-23, 눅 1:26-35).


2. 완전하시고, 흠이 없으시고, 거룩하심

아담은 인간의 모든 능력을 전부 소유한 완전한 사람으로 창조되었으며, 하나님의 심상(心像)을 갖고 있어서 하나님과 영적인 교제를 가질 수 있었다. 그가 처음에는 흠이 없고, 죄가 없고, 거룩했기 때문에 하나님과, 여자와, 자기 자신과, 및 자기 주변의 자연 세계에 대해 올바른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 아담이신 예수님도 역시 완전한 사람이었고, 하나님과 하나였으며(요 10:30; 17:21-22), 흠이 없고, 죄가 없고, 거룩했다(히 7:26).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두 번째 아담’이라고 잘못 말하고 있는데, 그런 용어는 성경에서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성경은 그리스도를 일컬어 ‘둘째 사람(second man)’ (고전 15:47)이라고 말한다. 아담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있어왔지만, 예수 그리스도만이 전적으로 죄가 없으신 두 번째 사람이셨다.

첫 번째 아담과는 달리 주 예수님은 그 외에도, 하나님의 속성과 직책과 특권과 이름을 가지신 신성한 분이셨다. 그분은 전적으로 하나님이셨기 때문에 예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다(계 5:11-14, 마 2:11, 히 1:6).


3. 인류의 머리

아담은 인류의 머리였다. 예수 그리스도는 구속된 인간의 머리이시다(예로써, 엡 5:23을 보라). 그리스도께서 단번에 죽으셨으므로(히 7:27; 9:28; 10:10-14), 더 이상의 ‘아담’이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분이 마지막 아담이시다.


4. 둘 다 생명을 주는 자

첫 번째 아담은 그의 모든 후손들에게 생명을 주었다. 마지막 아담인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들에게 '생명'과 '빛'을 전하시며, 그분을 영접하고 그분의 이름을 믿는 사람들에게 영생을 주시며,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요 1:1-14)를 주신다.


5. 두 지배자

인류를 대표하는 아담에게는 창조된 세상을 다스리는 지배권이 주어졌다(창 1:26). 예수 그리스도는 죽음에서 일어나신 후에 하나님의 우편에 올라가셨으며, ‘그분의 발아래 두신’ 만물에 대한 지배권을 받으셨다(고전 15:27, 엡 1:20-22). 첫 번째 아담은 제한된 지배권을 가진 주인(lord)이었고, 마지막 아담은 만유의 주님(Lord)이시다(행 10:36).


6. 깊은 잠이 아름다운 신부를 내다

창세기 2:21-23은 우리에게 말해준다. 하나님이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고, 그때 하나님은 아담의 옆구리에서 아담의 신부인 하와를 만드셨다. 아담 옆구리의 상처가 신부를 생기게 했다! 여기서도 유신론적 진화론이 맞지 않음을 주목하라. 성경은, 하나님이 그들 남자와 여자를 최초에 만드셨다고 말하고 있다(창 1:27; 2:7, 마 19:4). 하나님이 아담과 하와에게 생기를 불어넣으시기 이전에 그들이 유인원이었다면, 그들은 이미 남자와 여자가 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다면 이 단계에서는 하나님이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만들어 놓으실 필요가 없게 된다.

마지막 아담인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셨을 때 그분의 옆구리는 창에 찔리셨고(요 19:34), 그분은 모든 사람을 위한 죽음의 잠을 겪으셨다. 그분의 죽으심으로 그분은 인류의 죄를 위한 값을 치르셨다(고전 15:1-4). 회개하고 그분을 믿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성경이 남편에 대한 그의 신부로 비유하는 관계에 들어오게 된다(고후 11:2, 엡 5:27, 계 19:6-8). 따라서 마지막 아담의 옆구리에 난 상처 역시 신부인 진정한 교회를 생기게 했다. 영광스런 신부이며, ‘티나 주름잡힌 것이나 이런 것들이 없이 거룩하고 흠이 없는’(엡 5:27) 신부를.


7. 중대한 시험

아담의 인생 초기에 그는, 그가 하나님을 복종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시험의 시기를 겪었다.[5]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가라사대 동산 각종 나무의 실과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하시니라”(창 2:16-17).

마지막 아담의 사역 초기에, 예수님은 성령에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또는 유혹) 받으러 광야로 가셨다(마 4:1, 눅 4:1).[6]


8. 커다란 실패와 커다란 승리

첫 번째 아담은 시험에 실패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인간이 그의 실패에 연루되었고, 인류가 그와 더불어 타락하였다.[7] 결과적으로, 아담 안에서 우리 모두가 죄를 지은 상태이고, 영적으로 파산했으며, 죄에 사로잡혔고, 낙원에서 쫓겨났다(롬 5:12).

마지막 아담인 예수님은 죄와 육체와 마귀에 대해 승리하셨다. 결과적으로, 예수님 안에서 신자들은 의로운 상태에 있고 구속받았으며, 영적으로 부요하고, 죄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며, 하나님의 낙원 안에 속해있다(롬 5:18, 고전 15:21, 계 2:7).


9. 불복종 대 복종

첫 번째 아담은 하나님에게 불복종했다. 마지막 아담은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셨다”(빌 2:8).


10. 심판과 죽음

첫 번째 아담은 하나님의 심판을 겪었다. 궁극적으로 그는 죽었으며 그의 육신은 흙으로 돌아갔다. 그의 죄 때문에 죽음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롬 3:23) ('for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Romans 3:23, NIV).

마지막 아담인 예수 그리스도 역시 속죄를 위하여 십자가상에서 죽으셨다(사 53:5, 벧전 3:18, 히 2:9). 그러나 그분은 죽은 채로 머물러 있지 않으셨으며, 그분의 육체도 썩음을 당하지 않으셨다(행 2:27; 13:35-37). 세 번째 날에 그분은 다시 일어나셨으며, 그럼으로써 그분을 믿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마귀와 죽음의 권세를 이기셨고(히 2:14), 죽음으로부터의 부활을 가져왔다(고전 15:22-23).


11. 저주와 회복

원래의 창조는 ‘심히 좋았으므로’(창 1:31), ‘마지막 적(enemy)’인 죽음이 없었다(고전 15:26). 심지어 동물들에게도 처음에는 식물이 먹이로 주어졌다(창 1:30). 첫 번째 아담의 행동은 한때 완벽했던 세상에 죽음과 유혈의 지배를 가져왔고, 그때 이후로 고통 가운데 탄식하게 되었다(롬 8:22).[8] 정확하게, 마지막 아담이 죽으시며 흘린 피 때문에 이 죽음과 유혈의 저주가 제거될 것이며, 창조물이 죄와 죽음이 없는 상태로 회복될 것이다(계 21:1; 21:4; 22:3).


결론

우리는 모두 (인류의 자연적, 법적 머리가 되는) 첫 번째 아담과 연결되어, 타락하고 범죄한 죄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이 아담에게 선언하신 죽음의 선고 안에 들어 있다. 그러나 마지막 아담인 예수님의 구속 사역 안에서 회개와 신뢰를 통하여 그분과 연결된 사람들은 모두 용서를 받았고, (값없이) ‘의의 선물’을 받았으며,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골 1:14, 롬 5:17, 요 3:14).

 

각주

1. 창세기 1~5장에서 ‘아담’이라는 단어는 인류에 대해서 총칭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특정한 한 사람을 지칭하고 있다. 사도 바울은 한 사람의 불순종으로 죽음이 세상에 들어왔으며 의의 선물은 한 사람의 순종으로 기인한다고 말했는데, 창조와 타락에 관련하여 ‘아담’이 특정한 한 사람을 지칭하지 않는다면 그 말씀은 땅에 떨어질 것이다. 또한 바울은 디모데전서 2:13-14에서 아담과 하와가 실제적 개체라고 가르치고 있다.

2. 창세기 2:7에서 ‘되었다’라는 말은, 아담이 처음에 만들어졌을 때는 또 다른 생명체로 진화가 된 어떤 생명체가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그는 자신이 만들어졌을 때에야 살아나게(생령이) 되었다. 일부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창세기 2:7에서 아담이 흙으로부터 만들어졌다는 말이 짐승으로부터 인간의 진화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음을 주목하라. 만약 그렇다면, 창세기 3:19에서 죽음 이후에 흙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짐승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것은 터무니없는 말이다.

3. R. M. Grigg의 ‘Creation: How did God do it?Creation 13(2):36-38, March 1991을 보라.

4. 두 아담의 기원을 비교하기 위해 사도 바울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첫 사람은 땅에서 났으니 흙에 속한 자이거니와 둘째 사람은 하늘에서 나셨느니라”(고전 15:47)

5. 하나님은 아담이 도덕적 선택의 능력을 갖게 창조하셨으므로, 하나님에 대한 그의 복종은 그가 하나님에 대해 복종할 수도 있고 불복종할 수도 있는 선택권을 가진 상황 하에서만 확증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하나님은 그 결과가 타락으로 나올 것을 미리 알고 계셨다 할지라도, 아담 인생의 초기에 검증의 시기가 필요했다.

6. 이것이 예수님의 생애에서 사탄에게 시험받은 단 한번의 시험이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7. 아담은 즐거운 동산에 있었으며, 먹을 것이 풍부했고, 배가 고프지 않았음을 주목하라. 그런데, 살기에 가장 좋은 조건에서 살았으면서도 범죄했다. 예수님은 광야에 계셨고, 먹을 것이 없었으며 매우 배가 고프셨다.

8. 이것이 성경을 긴 시대로 해석하는 것이 복음 내용의 논리에 커다란 손상을 입힌다는 유력한 이유이다. 화석은 죽음과 고통과 질병의 증거를 보여준다. 죽음과 고통이 인간이 출현하기 이전 수백만 년 전부터 이미 존재했었다면, 그것들은 죄를 짓기 이전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창조물에 대해 죄로 인한 어떤 저주도 있을 필요가 없고, 만유를 회복하실 때에 어떤 죄도 없고 죽음도 없는 상태도 없는 것이다(행 3:21).        


번역 - 이종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21/i1/adam.asp 

출처 - Creation 21(1):37–39, December 1998.

김경태
2006-02-14

웃는 자의 복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즐겁고 유쾌한 마음으로 살아 가기를 원치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즐겁게 살아가기 위해서 돈이 필요하다고 한다. 돈이 있으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무엇이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돈이 있으면 내가 하기 싫은 구차한 일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더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을지 고민하며 생활한다. 유쾌한 삶을 얻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한데, 돈을 얻기 위해서 고민하며 즐겁지 않는 일도 해야 하는 아이로니를 경험한다. 그런데 평생을 써도 남을 만큼 충분한 재산을 소유한 자들이 과연 즐겁고 행복한 삶을 누리고 있을까? 그렇지 않다는 것은 억만장자들을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많은 재물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이 아님을 쉽게 인정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돈이 있으면 행복해질 것으로 생각하며 돈을 좇아가고 있다. 점심시간 학교 식당에 들어 가면서 게시판에 붙어 있는 행복에 관한 짧은 글을 보았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많이 웃어야 한다고 적힌 포스터였다.


주위를 살펴보면 조그만 일에도 잘 웃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사람마다 웃는 소리의 크기와 패턴이 달라 웃는 모습과 소리를 통해 우리는 누군지 알아낼 수가 있다. 각 사람에게 고유한 웃음의 패턴은 체질이라기보다 개개인의 성격 차이로 볼 수 있다. 내가 프랑스 파리의 루부르 박물관을 방문하였을 때, 레오나르드 다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를 찾았다. 유명한 그림이라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빼곡히 그림 앞에 서 있었다. 나는 약간의 거리를 두고 여러 각도에서 그 그림을 감상해 보았다. 희한하게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모나리자는 내가 어느 쪽에 서 있든지 마치 나를 향하여 알 듯 모를 듯한 미소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보면 볼수록 신기한 마음이 있었는데 모나리자의 이러한 은은한 미소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나 보다. 이렇게 얼굴에 잔잔히 피어 오른 미소가 아름다움을 주기도 하지만 크게 소리 내어 호탕하게 웃는 모습도 보기에 좋다. 소리 내어 크게 웃을 때는 신체의 많은 근육이 움직이고 심장이나 뇌에 영향을 주게 된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윌리엄 프라이 박사는 웃음의 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이 마음의 기쁨을 가지고 한번 크게 웃을 때 평상시 움직이지 않던 근육 중 230개 이상이 움직인다. 이로 인해 혈액순환이 활발해져 산소와 영양분이 피부 곳곳에 전달돼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사람이 1분 동안 마음껏 웃으면 10분 동안 에어로빅이나 조깅 또는 자전거를 탈 때 일어나는 것과 동일한 물리적 화학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몸 안에 일어나게 된다” 라고 자신의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말한다. 우리가 크게 웃으면 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가운데 육체적으로도 많은 근육들로 하여금 운동하게 하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크게 웃는 것은 훌륭한 유산소 운동이 되는 셈이다. 손으로 피부와 근육을 두드려 안마하거나 만지는 것을 외부 마사지라고 한다면 웃는 것은 내장을 마사지하는 셈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웃음을 연구한 과학자들이 조사한 결과 여섯 살짜리 어린이는 하루에 300-400번이나 웃지만 성인은 평균 17번밖에 웃지 않는다고 한다. 웃음은 인체의 신경계와 면역계 등 다양한 생리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어 지는데, 놀라거나 두려워 초조하며 스트레스를 받을 때 활성화되는 것이 교감신경이고 근육이 이완되고 편안할 때 작동하는 것이 부교감신경이다. 기분 좋게 웃으면 부교감신경이 자극을 받게 된다.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을 천천히 뛰도록 하고 소화를 돕고 몸을 편안하게 한다. 그러므로 웃으면 몸과 정신이 편안해 지는 것이다. 특히 배꼽을 빼는 웃음, 즉 포복절도할 웃음은 긴장을 이완시켜 주고 혈압을 낮추며 혈액순환과 질병 저항력 향상에 탁월한 효과를 보아는 것이다. 유쾌하게 웃으면 세균이 침입했을 때 이를 방어하는 T임파구 및 새로운 면역세포의 생산이 증가하고,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감소하여 면역체계가 강화된다. 그래서 웃음은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행복을 느끼게 하고, 에너지가 넘치며 전염성의 질병에 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웃음은 뇌를 자극하여 특정 화학물질을 생산하게 함으로써 불균형한 신경전달 물질을 정상으로 복귀시켜 준다고 한다. 그리고 웃음은 뇌의 대사에 직접 관여하여 슬픈 생각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시켜 주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고통스러운 일이 발생했을 때에도 웃게 되면 의식이 전환되어 순간적으로 기분이 풀어지는 효과가 있다. 어른이 되면 직장이나 사회적인 위치에서의 책임, 가정에서의 책임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가 쉽고 이로 인해 밝게 웃을 일이 적어진다. 반면에 어린 아이들은 어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별로 웃기지 않는 일이라도 금방 까르르 웃는 천진난만한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어른이 되면서 많은 웃음을 잃어 버리며 살고 있다. 어른이라도 어린 아이처럼 300번 이상 웃을 수 있다. 의식적으로 웃기를 연습하면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압감으로 인해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도 웃기를 시도하면 긴장을 이완시키고 무력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웃음은 스트레스를 치료하는 가장 쉽고도 효과적인 치료 약인 셈이다. 웃음을 참지 말고 호탕하게 웃어 보자. 하루의 시작도 감사함으로 하고 웃으며 일을 진행하면 창조적인 생각을 할 수 있고 자신 있는 태도로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감당할 수 있다.


행동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는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행복하기 때문에 웃는 것이 아니다. 웃기 때문에 행복한 것이다.” 행복은 돈이 많고 적음에 달려 있지 않고 작은 일에도 의미를 찾으며 즐거움을 느끼고 마음껏 웃을 때 얻어지는 것이다. 성경에도 데살로니가전서 5장 16-1절에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고 했다. 늘 기뻐하라고 명령하신 것이 쉬지 않고 기도하라는 것보다 먼저 말씀하셨다. 이는 우리가 모든 염려를 주께 맡겨 버리고 주안에서 즐겁게 살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웃는 얼굴에게 침 뱉지 못한다는 속담처럼 웃음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긴장을 이완시키고 건설적으로 만들어 준다. 웃음은 삶에 활력을 불어 넣고 지친 자에게 위로가 된다. 오늘 우리도 마음껏 웃어 보자. 웃고 싶지 않아도 웃는 연습을 하자. 우리 주위를 웃음으로 전염시키는 하루가 되길 원한다.



출처 - '과학으로 하나님을 만나다' 중에서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130

참고 :

김경태
2006-02-11

우는 자의 복


     서기 26년, 로마 제국 시대, 로마의 속국 유대나라 예루살렘에서 살고 있던 주다 벤허(Judah Ben-Hur)는 이스라엘의 제일가는 유대인 귀족이었다. 로마의 장군이 된 벤허의 옛 친구 멧살라(Messala)는 이스라엘 주둔 사령관으로 오게 되면서 벤허에게 로마 정부에 항거하는 반란 자들을 색출하는데 도움을 달라고 요청한다. 아무리 친구의 부탁이지만 자신의 동족을 팔아 넘길 수 없는 벤허는 친구의 제안을 거절하고 이로 인해 우정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벤허에 대해 앙심을 품은 멧살라는 유대인 반란에 대해서는 무자비하게 응징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단란한 벤허의 가정을 완전히 파괴해 버리고 만다.  어느 날 이스라엘에 새로운 총독이 부임해오는데, 신임 총독의 부임 축하 행진을 옥상에서 구경하던 벤허의 여동생, 틸자(Tirzah)의 실수로 기왓장이 떨어져 총독이 낙마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기와를 붙인 석회가 부스러져 일어난 우발적인 사건임을 알지만 멧살라는 이를 총독 암살 사건으로 몰아 간다. 그래서 벤허의 어머니 미리암(Miriam), 누이 동생 틸자, 연인 에스터(Esther)를 감옥에 가두고 모든 재산을 몰수한 채 벤허를 로마 해군 전투함의 노 젓는 노예로 보내버린다. 노예로 팔려가는 벤허가 지치고 목말라 쓰러질 때 이를 불쌍히 여겨 우물물을 떠다 주는 마을 사람들의 물바가지마저 발로 차 버리는 로마 호송군의 횡포에 울부짖는 벤허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한 순간에 가족과 재산을 잃어 버리고 비참한 노예의 신분으로 허기와 갈증에 시달리게 된 벤허는 물 한 모금마저 마음대로 마시지 못하는 상황에서 멧살라에 대한 증오와 현재의 억울한 처지에 대해 치를 떨며 눈물을 흘리는 그 모습을 영화 “벤허”에서 찰톤 헤스톤은 너무나 잘 표현하였다. 이렇듯 비통하여 우는 울음이 있는 반면에 너무 기뻐서 흘리는 눈물도 있다. 어릴 때 길을 잃어 가족과 떨어지게 된 형제가 오랫동안 소식을 알지 못하여 애를 태우다가 30여 년이 지난 다음 TV 방송을 통해 알게 되고 마침내 상봉하여 서로 끌어안고 흐느끼는 울음은 그 동안의 안타까움을 모두 날려 버리는 기쁨의 눈물일 것이다. 기쁠 때나 슬플 때, 혹은 아파서 울 때 눈물을 흘리며 우리의 감정을 표현한다.


그런데 눈물의 성분을 조사해 보면 98%가 물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소금 성분이다. 그리고 항 바이러스, 항균 역할을 하는 미량의 락토페린(lactoferrin)이라는 단백질과 세균을 용해하는 효소 단백질 인 라이소자임(lysozyme)이 섞여 있다. 이 눈물은 감정의 변화에 따라 흐르기도 하지만 평상시에도 조금씩 나오면서 눈 표면을 적셔주고 코팅해주는 역할을 한다. 평소에 눈에서는 약 6-7μl정도의 눈물이 안구를 적셔주고 있어 눈이 마르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눈물은 주 눈물샘, 부 눈물샘, 결막, 눈꺼풀의 마이봄선 등에서 분당 1.2μl정도 분비된다. 그리고 우리의 눈꺼풀은 5초에 한번 꼴로 깜박여서 눈물을 고르게 펴준다. 이 눈물은 눈 표면이 말라서 상처 나는 것을 막아주고, 영양이나 산소를 공급하고, 항균작용 및 이물질 제거 등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리고 우리 눈이 맑게 보이게 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평소에는 눈물이 아주 미량으로 나오기 때문에 우리가 잘 느끼지 못하지만 이것이 흘러 나오지 않으면 안구건조증으로 몹시 괴롭다. 평상시 흐르는 눈물이 부족하면 노화세포나 먼지, 찌꺼기 등과 함께 끈적끈적한 눈곱이 자주 끼게 된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눈물이 흘러 나와 눈의 건강과 작용을 돕고 있다. 한편으로 눈에 상처나 질병 등의 자극이 있거나 또는 슬프거나 기쁨의 감정에 북받쳐 반사적으로 흐르는 눈물도 있다. 이 때는 주로 주 눈물샘에서 눈물이 분비되는데 눈물의 기본 성분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나, 전해질이 약간 많고 단백질은 조금 적다.


만약 눈물이 없다면 눈 표면의 세포가 말라 죽고, 세균이나 먼지 등의 외부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만다. 따라서 평상시 흐르는 기본적인 눈물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며, 또한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나온 눈물도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이물질을 희석하고 배출하는 작용을 하므로 중요하다. 그리고 우리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눈물은 소중한 역할을 한다. 양파와 같은 매운 것들을 만질 때 흘리는 눈물과는 달리 슬픈 이야기나 소설 등을 읽으며 흘리는 눈물은 우리의 감정이 밖으로 드러나는 창문의 역할을 한다. 사랑하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서 대성통곡을 하고 나면 멍해지고 나른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이런 기분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카타르시스라고 했다. 마음속에 있던 감정들이 밖으로 분출하여 정화되고 깨끗해지는 현상이다. 그래서 눈물을 흘리고 나면 마음의 복잡한 생각들이 정리되고 새로운 생각들을 담을 준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눈물은 사람들 사이에 많은 교감을 나누게 된다. 특히 여자의 눈물에 남자들은 약하다고 하지 않는가! 미국의 통계를 살펴 보면 일반적으로 여자들의 경우 한 달에 평균 5회 정도 눈물을 흘리는 반면 남자들은 1-2회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들이 눈물을 보이면 남자답지 못하다라는 통념에 지배를 받아 우는 것을 억제하다 보니 나타나는 현상인 것 같다. 예수님께서도 이 땅에서 생활하실 때 눈물을 흘리신 경우가 있었다.


예루살렘에서 약 3Km 떨어진 베다니란 동네에 마리아와 마르다, 그리고 오라버니 나사로가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예수님을 존경하며 따랐다. 주님도 이들을 사랑하여 베다니를 지날 때는 이 집에 머무르곤 하였다. 그때마다 마르다는 주님을 위해 음식을 정성스럽게 만들어 대접하였다. 뿐만 아니라 마리아는 자신이 소중하게 간직하며 삼백 데나리온의 값어치가 되는 향유 옥합을 깨어 예수님께 붓고 자신의 머리털로 주님의 발을 씻김으로 주님에 대해 지극한 존경을 표했다. 어느 날 주님께서 사랑하시고 친밀하게 지내던 이 집안의 오라버니 나사로가 병들어 죽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듣고 오신 주님께서 베다니로 오셔서 마리아를 부르자, 마리아는 달려 나와 주님이 조금만 일찍 오셨더라면 오라버니가 죽지 않았을 거라고 통곡하며 함께 한 유대인들도 따라 우는 것을 보고 주님은 눈물을 흘리셨다. 그리곤 무덤으로 가셔서 죽은 지 나흘이나 되어 이미 썩는 냄새가 나는 나사로를 향해 나오라고 명하실 때 수족을 베로 동인 채로 나사로가 무덤에서 걸어 나왔다. 주님께서 나사로의 죽음 앞에서 눈물을 흘리신 것은 나사로가 병으로 고통당하며 죽기까지 육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당면했을 두려움과 고통의 과정들을 생각하신 것이다. 그리고 오라버니 나사로가 병들어 죽음으로써 겪었을 마리아와 마르다의 근심과 아울러 이들 가족과 삶을 함께 나누던 이웃들의 슬픔을 생각하신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이 사랑하던 자들의 슬픔에 동참하신 것이다. 나사로 가족뿐만 아니라 나사로의 죽음을 안타깝게 여기며 슬퍼하는 베다니 사람들에 대해 주님께서는 눈물을 흘리심으로 자신의 사랑을 극적으로 나타내신 것이다. 사랑한다는 말보다 그들 앞에 흘리는 눈물이야말로 주님의 심정을 더욱 웅변적으로 말해 주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도 불우한 환경으로 속절없이 약자가 되어 고통을 당하는 이웃들을 향하여 울어 줄 수 있어야 한다. 갑작스런 비극으로 슬픔에 잠긴 가족이나 친구를 위해 함께 애통해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주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믿음의 식구들과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눌 때 우리가 속한 공동체는 사랑으로 더욱 결속되리라 믿는다. 우리의 마음을 표현하는데 인색하지 않기를 원한다. 곤경에 처한 친구나 이웃을 돌아보고 그들을 붙잡고 함께 울어줄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있을 때 우리 사회는 좀 더 따스한 곳으로 바뀔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출처 - '과학으로 하나님을 만나다' 중에서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126

참고 :

김경태
2006-02-10

오래 사는 법


      지난 추석 연휴 기간에 나의 가족은 서울과 대구로 가서 친가와 처가를 방문하고 왔다. 서울에 사는 처가의 어른들을 방문하면서 온 식구가 함께 고궁을 찾았다. 창경궁을 둘러 보고 창경궁과 연결되어 있는 종묘를 또한 구경했다. 그런데 고궁에 갔을 때 특이한 점은 노인들이 많이 있다는 점이다. 노인들은 벤치에 앉아 담소를 하시며 시간을 보내고 계셨다. 특히 종묘의 입구에는 수백 명의 노인들이 모여 장기도 두시고 윷놀이도 하며 어떤 분은 손수 그린 그림과 붓글씨를 팔기도 했다.


이제 우리나라도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음을 느꼈다. 사람들의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에 출산율은 줄어들고 있어 상대적으로 나이 많은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 상태로 진행되면 2019년에는 총 인구 중에 14%가 노인이 되며 2026년에는 20%가 노인으로 구성되는 초 고령화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람들이 오래 살수 있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수돗물이라고 한다. 정화된 수돗물을 사용하고부터 갖가지 수인성 전염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어서 수명연장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의료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는데 예전에는 치명적인 질병이었지만 이제는 그 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들이 은퇴 후에도 어떻게 하면 생산적인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산업구조를 개편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요즘 많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한편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에 재직하다가 은퇴하신 김돈규 교수는 자신의 강연에서 노인들의 건강유지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침을 말한 적이 있다. 김 교수님의 주장에 의하면, 먼저 역기와 아령운동을 꾸준히 해 근력과 골밀도를 강화시켜야 한다. 미국 터프츠대 연구팀의 연구결과 50-60대 폐경기 여성들이 일주일에 2번씩 일년간 역기나 아령운동을 한 결과 골밀도가 높아지고 체력이 30대 후반 여성 수준으로 좋아졌다고 한다. 그리고 일주일에 3번, 30분씩 빠른 걸음으로 걸으면 생리학적 나이를 약 10년 정도 되돌릴 수 있는 것으로 캐나다 운동노화센터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그리고 담배를 피는 사람은 당장 끊을 것을 권유하고 있다.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에 따르면 30세 이전에 담배를 끊으면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과 수명이 비슷해지고 50세에 끊으면 15년 안에 사망할 위험이 흡연자보다 50%나 낮아진다. 일단 담배를 끊기만 해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건강유지에 필요한 식습관으로는 저지방 영양식을 하되 진녹색 야채, 고구마, 요쿠르트, 콩, 연어, 참치 등 한류성 어류를 많이 섭취하기를 권하며 미네랄이 첨가된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면서 특히 칼슘 농도 유지와 관절염 예방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D, 면역반응을 촉진하고 알츠하이머 병의 위험을 줄이는 비타민E를 꾸준히 복용하라고 한다. 생활습관에서는 외국어를 공부한다든지 어려운 책을 읽는 등 정신 활동으로 뇌를 자극하면 나이가 들어도 정신적인 기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잠은 하루에 7시간 정도 자는 것이 적당하다고 한다. 미국인 100만 명을 6년간 조사한 결과 하루 8시간 자는 사람과 4시간 자는 사람은 7시간 자는 사람보다 사망률이 각각 13%와 1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악기를 연주하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듣기만 해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살아갈 것을 권하는데 토마스 글레스 교수가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남녀 3천명을 13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사회활동 참여가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혈압을 떨어뜨리기 위한 치료 못지않게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늘 긍정적으로 희망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데 미국 뉴 잉글랜드 지방의 100세 노인들을 조사한 결과 장수 노인들의 공통점은 어려운 일에 마음을 쏟지 않고 실패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남을 돕는 생활을 하면 정신적인 면과 아울러 육체적으로도 건강해지는데 사회노인병학자인 니나 채펄 박사는 노년에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건강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애완동물을 키우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한 기분을 덜 느끼는 것으로 미국노인병학회 연구결과에 나타났다고 하는데, 이것도 다른 대상에게 애정을 주고 보살펴주는 삶이 건강하다는 의미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종교를 갖고 꾸준히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수명이 약 7년이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런 여러 가지 측면을 살펴볼 때 크리스천들은 생활습관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건전하기 때문에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성서에서는 우리가 이 땅에서 오래 사는 복을 받기 위해서 또 다른 비결을 말해 주고 있다. 시편 34편 12-14절에 보면 “생명을 사모하고 장수하여 복 받기를 원하는 사람이 누구뇨 네 혀를 악에서 금하며 네 입술을 궤사한 말에서 금할지어다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며 화평을 찾아 따를지어다” 했다. 다시 말해서 우리의 언어생활에 대해 말하고 있다. 거짓이나 교묘한 말로 다른 사람을 괴롭게 하지 말고 진실하게 말하고 말한 대로 살아야 함을 가르치고 있다. 언행이 일치하지 않으면 처음에는 속을지 모르나 나중에는 구역질이 나도록 추해지는 법이다. 지친 자에게 힘을 북돋워 주며 마음의 상처를 가진 자에게 사랑한다고 격려할 때 입술의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되며 이 땅에서도 장수할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잠언 28장 16절에 “무지한 치리자는 포학을 크게 행하거니와 탐욕을 미워하는 자는 장수하리라” 했다. 욕심을 버리는 자가 장수한다는 말이다. 마음의 탐욕을 다스리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돈에 대한 욕심이 가득하면 돈이 손에 쥐어지지 않을 때 스트레스를 받고,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심이 강할 때 자신에게 칭찬의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마음에 불만이 싹튼다. 마음에 스트레스가 쌓이고 불만이 가득하게 되면 육신에도 병이 찾아온다. 욕심을 다스릴 수 있는 자가 되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분복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이 우리로 하여금 건강하고 장수하게 한다. 


그리고 에베소서 6장 1-3절을 보면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했다. 우리를 낳아 주시고 길러 주신 부모님을 잘 모시고 공경하라고 한다. 그 상급은 땅에서 장수의 복을 누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부모님을 잘 모시는 것은 사람으로서 당연한 일지만 주님께서는 이를 장수의 복으로 갚아 주신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 땅에서 성경이 가르치는 대로 순종할 때 건강하고 오래 살 수 있는 복을 받을 뿐만 아니라 천국에서도 영원히 사는 복을 누린다. 이 땅에서 오래 사는 것도 복이지만 천국에서 영원히 누릴 장수의 복은 결코 놓쳐서는 안 된다. 로마서 6장 23절에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했다. 우리가 누려야 할 영원히 장수하는 복은 예수님 안에 있다. 예수님을 내 인생의 주인으로 고백할 때 영생의 복이 주어지는 것이다. 예수님을 모시고 있는 우리는 영생의 복을 받은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이다. 



출처 - '과학으로 하나님을 만나다' 중에서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124

참고 :

김경태
2006-02-04

세상의 소금


      내가 다니는 대학에서는 1년에 한차례씩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한다. 학교 일로 바쁘게 생활하다 보면 차일 피일 미루게 되는데 검사 기한이 거의 다 되어서야 병원을 찾았다. X-선 촬영이나, 피검사, 오줌 검사 등 다양한 검사항목 중에 대장 조영 촬영 검사가 있었다. 이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 전날부터 준비를 해야 하는데 검사 전날에는 흰죽을 먹어야 한다. 그리고 감사 당일 아침에는 아무 것도 먹지 않고 물만 마셔야 했다. 하루 종일 흰죽만 먹어야 하니 맛도 없거니와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배고픔을 느꼈는데 허기가 져서 흰죽을 더 먹어 보려 하지만 처음에는 먹기가 힘들었다. 왜냐하면 너무나 싱거워 몇 숟가락 넘기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장을 조금 쳐서 먹었을 때 입맛에 맞아 먹을 수 있었다.


늘 식사를 대할 때마다 간이 잘 맞는 반찬들과 함께 먹을 때는 미처 깨닫지 못하다가 이번에 흰죽을 먹으면서 소금으로 맛을 내는 일이 대단히 중요함을 새삼스럽게 깨달았다. 우리가 음식을 통해 염분을 섭취하는 일은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인 일이다. 우리의 세포는 세포막을 경계로 하여 세포 안과 세포 밖의 이온 농도가 다르다. 세포 밖의 나트륨 이온, 즉 소디움 이온은 145mM나 되고 세포 안쪽은 5-15mM 정도 되므로 세포 바깥이 세포 안보다 10-25배 정도 많다. 반면에 칼륨 이온, 즉 포타슘 이온은 세포 바깥 쪽이 5mM정도 밖에 안되고 세포 안 쪽이 140mM 정도 되므로 세포 안쪽이 바깥보다 약 30배 정도 많다. 그리고 칼슘 이온 같은 경우, 세포 밖에는 2-5mM 정도 되지만 세포 안은 100nM 밖에 안되기 때문에 세포 밖과 비교해 볼 때 거의 2만 배 이상의 농도 차이가 있다.


이렇게 각종 이온들의 농도가 세포 안과 밖을 비교할 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포에 어떤 자극이 오면 세포막을 가로질러 이온들이 세포 안이나 바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세포막 전위의 변화를 일으킨다. 세포막 전위의 변화는 세포의 중요한 신호로 작용을 하는데 예를 들어 신경세포의 경우 신경신호를 전달할 때, 세포막에 존재하는 소디움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이온 통로 단백질과 포타슘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이온 통로 단백질이 약간의 시간차이를 두고 열리고 닫힘으로써 이온 통로가 있는 근처의 세포막 전위가 일시적으로 변하게 된다. 소디움 이온 통로가 열리면 세포 바깥의 소디움 농도가 높기 때문에 세포 안으로 소디움 이온이 들어 오고, 포타슘 이온 통로가 열리면 세포 안의 포타슘 농도가 높기 때문에 포타슘 이온이 세포 밖으로 흘러 나간다. 이러한 이온의 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세포막 전위의 탈분극 현상을 활동 전위라고 하는데 활동 전위는 세포막의 한 지역에서 발생하면 계속해서 다른 지역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세포막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디움과 포타슘이 통과하는 이온 통로들이 배열해 있어서 바로 옆의 세포막에서 활동 전위가 발생하면 이를 차례로 인식하여 새로운 활동 전위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번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중간에 사라지지 않고 신경 말단까지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신경 말단에는 칼슘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이온 통로 단백질이 있어서 활동 전위가 말단에 도착하여 세포막 전위에 변화가 일어나면 이 변화에 반응하여 칼슘 이온 통로가 열리게 되고, 세포 바깥에 수 만 배의 칼슘이온이 있기 때문에 칼슘 이온은 이온 통로를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 온다. 그러면 일시적으로 세포 내 칼슘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런 변화는 신경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게 만든다. 이렇게 이온들의 농도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경신호에 의해 우리의 뇌세포가 작동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온들의 이동을 통해 내분비 세포에서는 호르몬의 분비가 조절되고 근육세포에서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필수적인 일들이 일어난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소금으로 간을 맞춰 먹는 것은 비단 맛을 내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소금이 우리 몸에 들어가서 세포 안과 밖의 이온을 보충해 주며 이온 농도에 균형을 맞추어 세포로 하여금 적절한 세포막 전위를 형성케 하기 위한 것이다.


요즘은 소금이 많이 생산되어 우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값싼 것이긴 하지만 우리 몸의 정상적인 반응과 작용에 없어서는 안 될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소금의 섭취가 중단되면 우리 몸에 있는 세포의 기능이 완전히 마비되어 생명이 위험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소금이 우리 몸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역할을 감당하듯이, 우리 그리스도인도 이 사회의 소금이라고 성경은 말하고 있다. 마태복음 5장 13절에 보면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리어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주님께서는 우리가 교회 안에서의 소금이 아니라 세상의 소금이라 했다. 많은 크리스천들이 교회 안에서는 거룩한 삶과 태도를 보여 주지만 사회에 나가서는 크리스천의 모습을 나타내지 못하고 자신이 주님을 따르는 자임을 드러내는 일에 소극적이거나 오히려 두려워하는 것을 많이 보게 된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치관을 수용하고 그들이 생활하는 방식대로 살아가면서 다수의 집단에 속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내가 특별히 크리스천이라는 것을 분명히 할 때에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왕따를 당하고 알게 모르게 불이익을 받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떳떳하게 자신의 삶에서 예수님이 주인이심을 드러내지 못한다.


우리 크리스천을 세상의 소금으로서 세상을 변화시킬 임무가 주어졌다. 엘리야 선지자를 따르던 엘리사는 엘리야가 하늘로 승천한 직후, 요단 강물을 가르고 건너 여리고로 온다. 엘리사가 여리고에 머무는 동안에 여리고 성의 사람들이 엘리사에게 하소연 한다. 여리고의 터는 아름답지만 물이 좋지 못해서 토지의 소산이 익지 못하고 떨어져버린다고 한다. 그런 어려움을 들은 엘리사는 새 그릇에 소금을 담아 가져 오라고 명한 후 물이 발원하는 곳으로 가서 소금을 뿌리며 여호와의 이름으로 물의 성질을 고쳐 다시는 토지의 소산이 익지 않고 떨어지는 일이 없으리라고 한다. 그 이후에 여리고 땅에서는 농사의 어려움을 벗어나 토산물을 풍족히 거두는 변화가 있었다. 엘리사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소금으로 여리고 성의 물을 바꾸었듯이 지금 이 순간 하나님께서는 소금인 우리를 사용하셔서 세상을 바꾸시려 한다. 이 땅에서 사는 것에만 관심의 초점이 가 있는 사람들은 가지고 싶은 것 마음껏 소유하며 풍족하게 살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대접 받으며 사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생각한다. 이런 사람들에게 육신의 죽음 이후에도 영원한 삶이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이 영원을 위해 준비하는 자로 바뀌어지게 해야 한다.


사람들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구원의 길이 세상 철학이나 학문, 신념, 혹은 다양한 종교를 통해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변하여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직장이나 사회에서 정직하지 못하더라도 들키지 않으면 괜찮다는 생각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하나님께서 불꽃 같은 눈으로 늘 감찰하며 지켜 보신다는 사실을 알려서 정직하고 바르게 사는 모습으로 변화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세상의 부조리와 부패에 대해서도 용감히 고발하여 공평하며 정의로운 모습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금이 짠 맛을 가져야 소금의 가치를 지니듯이 우리 크리스천들도 크리스천답게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한다. 거룩한 삶이란 구별된 삶인데 세상의 풍조와 가치관을 따르지 않고 성경의 가치관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하나님께서 옳다 하는 것은 옳게 여겨 순종하고 하나님께서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서는 분명한 선을 긋는 모습이 우리에게 있어야 한다. 우리의 삶이 세상 사람들의 눈에도 매력적이고 본받고 싶은 삶이 되어야 우리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소금이 소금으로서 그 역할을 다할 때 전정한 존재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우리도 거룩한 삶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가치 있는 삶이 되기를 기도해 본다.


출처 - '과학으로 하나님을 만나다' 중에서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113

참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