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미디어위원회
2005-02-16

요나를 삼킨 물고기

최윤 


Ⅰ. 서론

구약의 요나서 1장에는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는 요나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타락한 니느웨로 가서 주께서 명한 바를 선포하라는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다시스로 향하는 요나에 대해 하나님께서 큰 물고기를 예비하셨고, 선원들에 의해 바다에 던져진 요나는 3일 동안 물고기 뱃속에 들어가 회개하게 된다. 그렇다면 요나가 3일을 지낸 ‘큰 물고기’는 어떤 물고기일까? 일설에는 이 물고기가 고래라고도 하며 또는 상어라고도 하는데, 성경을 읽고 또 어류학자로서 물고기를 연구하면서 내가 얻은 결론은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백상아리’라는 것이다. 1800년대 학명을 처음 사용한 스웨덴의 생물학자 린네 역시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고래가 아니라, 백상아리다’ 라고 주장한 바 있다. 

자연을 창조하신 하나님께서는 과학과 자연을 초월한 역사를 행하시는 분이다 ( '주께서는 무소불능하시오며, 무슨 경영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욥기 42:2)'). 하나님께서는 자연을 뛰어넘는 초자연적인 일을 하시며, 이러한 모든 일을 과학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창조과학회를 중심으로 성경 말씀이 과학적으로도 많은 분야에서 입증되고 있고, 필자 또한 상어를 연구하면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상어의 일반적인 생태적 특징과 함께 요나를 삼킨 물고기가 백상아리로 판단되는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상어의 특징

어류(물고기)의 조건을 충족시키려면 3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척추(등뼈)를 가지고 있다. 둘째, 지느러미를 가지고 헤엄치며 생활한다. 셋째, 아가미로 호흡을 한다. 고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조건을 충족시키지만, 아가미로 호흡하는 것이 아니라 허파로 호흡을 하므로 어류가 아니며, 사람과 같은 포유류에 해당된다.

어류는 크게 연골어류와 경골어류로 구분된다. 몸을 구성하는 모든 뼈가 사람의 귓바퀴와 같은 물렁뼈로 구성된 어류를 연골어류라고 하는데, 연골어류에는 상어무리와 홍어·가오리 무리가 있다. 따라서 상어의 가장 큰 특징은 뼈가 연골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상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턱과 이빨이 잘 발달되어 있고, 각 종마다 이빨의 모양이 다르다.

바다의 포식자 상어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날카로운 이빨이다. 상어의 이빨 모양은 종에 따라 다른데, 보기만 해도 소름 끼치도록 날카로운 것이 있는가 하면, 나뭇잎 모양이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등 각양각색이다. 인간과는 달리 상어는 살아 있는 동안 몇 번이고 이갈이를 하는데, 상어의 이빨은 턱에 깊이 박혀 있지 않아서 단단한 것을 씹을 때 부러지거나 쉽게 빠진다. 그래서 상어의 공격을 받은 사람의 몸 속이나 보트의 나무 속에서 상어의 이빨 조각이 발견되기도 하고, 이것으로 사람을 공격한 상어의 종류를 알아내기도 한다. 상어 이빨의 모양은 종에 따라 아주 독특해서 단 한 조각의 이빨로도 어떤 상어인지 그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 상어의 이빨은 일생동안 계속해서 바뀌며, 상어 한 마리가 평생 사용하는 이빨이 종에 따라서는 약 3만 개인 상어도 있다. 어미 백상아리의 이빨은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먹이를 자르고 찢기에 편리하며, 이런 모양의 이빨을 가진 상어는 자기보다 큰 고깃덩어리를 물어뜯는데 유리하다. 청상아리의 이빨은 뾰족한 송곳 모양으로 안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오징어나 물고기를 포크처럼 찌를 수가 있으며 먹이를 한번 물면 놓치지 않는다. 고래상어와 돌묵상어는 몸길이가 10m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들이지만 플랑크톤이나 새우,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아간다. 고래상어와 돌묵상어가 먹이를 잡는 방법은 먹이와 함께 물을 마시고, 아가미로 물을 내보내는 여과식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먹이를 물어뜯거나 씹을 필요가 없는 고래상어와 돌묵상어의 이빨의 크기는 쌀알만 하다.

 

2. 5∼7개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고 있다.

물고기(경골어류)는 단 1개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고 있지만, 상어는 5∼7개의 아가미 구멍(새공)을 가지고 있다.

 

3. 피부는 방패비늘(순린)로 덮여있다.

상어 피부의 까칠까칠한 감촉은 방패모양의 작은 비늘 때문이다. 방패비늘의 크기와 모양은 종에 따라 달라서 종을 구별하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한 마리의 상어를 놓고 봐도 몸의 부위에 따라 비늘의 모양이 다르다. 이 비늘은 끝이 눌려 구부러진 압정과 같은 모양인데, 헤엄치는 동안 물의 저항을 적게 받기 위해 끝이 모두 꼬리 방향을 향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어의 방패비늘과 같은 구조를 가진 가죽을 항공기나 배에 이용하여 공기나 물의 저항을 줄인 실험도 하고 있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수영장에서는 상어의 비늘구조를 이용한 전신 수영복이 등장하기도 했다. 상어의 공격을 받은 사람은 이 비늘에 의해 살갗이 벗겨지기도 하는데, 상어는 이처럼 단단한 피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물고기에 비해 외부의 상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이러한 피부는 몸의 보호와 함께 기생충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4. 부레가 없다.

상어의 가장 독특한 몸 안의 기관은 간이다. 경골어류 몸 속에는 공기로 채워진 부레가 있어서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떠다닐 수 있다. 상어는 부레 대신 지방질의 아주 큰 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몸 속에서 가장 큰 장기이며 내장 전체의 약 25%를 차지한다. 어떤 상어는 간이 내장의 90%를 차지하는 종도 있다. 지방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지방질의 간은 상어가 물에 뜨는 것을 돕는다.

 

5. 청각과 후각이 매우 발달되었고, ‘로렌치니병’이라고 하는 특수한 감각기관이 있다.

상어는 먹이를 사냥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감각기관을 이용한다. 먼저 ‘소리’로 먹이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아낸 다음 ‘냄새’로 수백m 떨어진 곳에 있는 먹이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다. 약 100m 정도 접근하면 옆줄로 먹이가 움직이는 진동을 알아내고 10m 이내로 접근하면 눈을 이용한다. 그밖에도 상어의 주둥이와 머리에는 동물에게서 나오는 미약한 전류를 감지하는 ‘로렌치니병’이라고 하는 특수한 감각기관이 있다. 이 기관은 약 2m 미만인 곳에 있는 먹이를 찾아낼 때 이용되며, 어두운 곳이나 바닥에 몸을 묻고 숨어있는 먹이를 찾아내는데 매우 유용하다. 상어는 2개의 콧구멍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숨쉬는 것과는 관계가 없고 단지 냄새를 맡기 위한 기관인데, 수 백m 떨어진 곳에서 나는 냄새도 알아낸다.

 

6. 체내수정을 한다.

일반적으로 물고기(경골어류)는 수천 수만 개의 알을 정해진 장소에 낳거나, 알을 물 속에 내보내면 수컷이 그 위에 정액을 뿌려 알이 수정되고 새끼가 태어난다. 이것을 체외수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어는 수컷과 암컷이 서로 짝짓기를 해서 체내수정에 의해 새끼가 태어난다. 체내수정을 마친 상어의 암컷은 새끼를 낳기도 하고, 또는 알을 낳기도 하는데 알을 낳는 경우 바다속에서 약 2∼15개월 후에 알을 깨고 부화되어 나온다.

 

7. 세계적으로 400여종, 우리나라에 40종이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분포하는 상어의 수는 약 400종이며, 우리나라 연근해에는 모두 40종의 상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작은 상어는 콜롬비아 해역에 서식하는 돔발상어 과의 Squaliolus laticaudus로 어미의 몸길이가 20㎝ 미만이고, 새끼는 6㎝에 불과하다. 반면에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는 우리나라 연안에서도 자주 잡히는 고래상어이며, 어미의 몸길이가 18m에 달한다. 이 상어는 세계에 살고 있는 물고기 가운데 가장 크지만, 성격은 매우 온순해서 사람이 다가가거나 등에 올라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고래상어는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아주 작은 물고기와 플랑크톤을 먹는다. 


Ⅲ. 사람을 공격하는 상어

 FAO 에서는 400여 종의 상어 가운데 사람이나 보트를 공격한 예가 있는 상어를 27종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사람에게 가장 위협적인 상어는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이다. 다 자란 어미 백상아리의 몸길이는 약 6m이다. 이 밖에도 뱀상어(Galeocerdo cuvier)와 청새리상어(Prionacea glauca), 흉상어과에 속하는 일부 상어들이 사람을 자주 공격하는 상어들이다. 백상아리는 호주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스쿠버다이버를 공격하기도 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6명의 희생자를 낸 가장 무서운 상어이다. 백상아리의 먹이는 물개, 바다표범 등의 해산포유류이다.

 

Ⅳ.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요나를 삼킨 물고기에 대해 주로 고래와 상어가 언급되고 있다. 그러면 고래는 분류학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 동물일까? 고래는 물론 척추를 가지고 있고, 지느러미를 가지고 물고기처럼 물 속에서 헤엄치며 살아가지만 아가미가 없다. 아가미가 아닌 허파로 호흡을 하고, 따라서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며 사람과 같은 포유류에 포함된다. 물론 구약 시대의 사람들이 분류학적으로 고래를 포유류로서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을 것이고, 물 속에 사는 고래 또한 물고기로 여겼을 것이며, 요나를 삼킨 물고기에 대해서도 고래로 생각했을 수 있다. 그러나 요나서 1장 4절 “여호와께서 대풍을 바다 위에 내리시매 바다 가운데 폭풍이 대작하여 배가 거의 깨어지게 된지라”라는 구절을 고려해 볼 때, 일반적으로 고래보다는 사나운 백상아리가 당시의 긴박한 주변 상황에 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200년 전 학명을 처음으로 사용한 스웨덴의 생물학자 린네 또한 요나서의 상황을 고려하여,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고래가 아닌 상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약 400여 종의 상어 가운데서 몸의 크기만을 고려해 볼 때 사람을 삼킬 수 있는 큰 상어는 고래상어(Rhincodon typus), 돌묵상어(Cetorhinus maximus), 큰입상어(Megachasma pelagios),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 뱀상어(Galeocerdo cuvier), 기타 흉상어류 등 약 10종정도가 있다. 고래상어와 큰입상어, 돌묵상어는 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로 하므로 생태적으로 사람을 삼킬 가능성은 매우 적다. 백상아리의 먹이는 고래와 물개, 바다사자, 바다표범 등 해산포유류이다. 백상아리는 매우 난폭한 상어로 영화 「죠스」의 주인공으로도 잘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와 세계적으로 바다에서 희생자를 내고 있는 사나운 상어이다. 따라서 백상아리와 뱀상어(Galeocerdo cuvier), 일부 흉상어류(Carcharhinidae)가 사람을 삼킬 수 있는 상어에 포함된다. 그러나 상어의 세계적인 분포로 볼 때 뱀상어와 흉상어류는 북위 40。 미만의 열대해역에 분포하는 어종이다. 요나가 욥바에서 배를 타고 가려던 다시스는 오늘날의 스페인으로 당시 광물이 풍부하고 무역이 성행하던 곳이다. 따라서 요나가 타고 있던 배는 지중해를 항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람을 삼킬 수 있는 상어 가운데 지중해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상어는 백상아리이기 때문에 역시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백상아리일 가능성이 크다.

상어의 위는 J자 모양으로 아래 부분이 왼쪽으로 굽어 있다. 상어는 다른 동물과 달리 먹이를 자주 먹지 않으며, 위 속은 음식물이 있을 때보다 비어 있을 때가 더 많다.

백상아리는 일반적으로 큰 먹이를 먹기 때문에 위의 용량이 매우 크다. 또 일부 상어는 거북이의 등이나 무엇인가 소화되지 않는 것을 먹었을 때 토해내는 것이 목격되기도 하였다. 몸길이가 5m 이상인 사육된 뱀상어가 먹이를 1개월 이상이나 소화시키지 않은 채로 위 속에 저장하고 있었던 일이 있었고, 뱀상어 뿐만 아니라 다른 대형 상어들도 위가 단순히 소화만 시키는 기능 외에, 먹이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어는 먹이를 씹지 않고, 상당히 큰 먹이도 통째로 삼키는 경우가 많다. 또 오늘날 화석으로 발견되는 백상아리류인 메갈로돈은 그 이빨 크기로 볼 때 몸의 크기가 13m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크기의 백상아리의 위라면 어른 2∼3명은 충분이 들어갈 공간을 가지게 된다. 물론 화석으로 발견되는 이 물고기가 요나가 활동하던 때, 지금으로부터 약 3000년 전에 살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전장 5∼6m 정도의 백상아리보다는 더 큰 백상아리가 서식했을 가능성은 크고, 이러한 백상아리의 위는 어른이 들어가기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게 된다.

 

Ⅴ. 결론

․ 욥바-다시스 연안 (지중해)에 서식하는 큰 물고기는 분포 상으로 고래나 다른 상어류보다 백상아리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 백상아리는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큰 위를 가지고 있다.

․ 상어는 먹이를 소화하지 않고 오래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한 달 동안 먹이를 소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뱃속에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 백상아리는 육지 가까운 연안에도 자주 출현한다.

․ 상어는 때때로 위 속의 먹이를 토해내기도 한다.

․ “여호와께서 그 물고기에 명하시매 요나를 육지에 토하니라” (요나서 2: 10)


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요나를 삼킨 물고기는 백상아리로 판단된다.


출처 - 창조 140호.

미디어위원회
2005-02-02

성경에 있는 과학적 암시들

(Scientific Allusions in Scripture…)


      ICR(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의 헨리 모리스(Henry Morris) 박사는 성경 속에서 과학적 원리들을 암시하는 인상 깊은 구절들을 발췌하여 목록을 만들었다. 이러한 목록은 실제로 과학적 원리들이 성경의 기초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원리들은 성경의 각 기록들이 쓰여질 당시에는 알려져 있지 않던 과학적 사실들이며, 사실 많은 부분들이 그 당시에 가르쳐지던 것들과 상반되는 것들이었다. 이 목록은 성경이 과학적으로도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확증하고 있다. 더 나아가 그것은 성경이 영감에 의해서 초자연적으로 쓰여진 것임을 확증하고 있다.

(Compiled by Dr. Henry M. Morris, Defender’s Bible) 

과학현상 또는 과정성경
수문학
(Hydrology)
수문학 사이클
증발
응결 핵
응결
강우
땅 위를 흐르는 빗물
대양 저장고

수문학적 균형
바다의 샘들
전도서 1:7; 이사야 55:10
시편 135:7; 예레미야 10:13
잠언 8:26
욥기 26:8; 37:11,16
욥기 36:27-28
욥기 28:10
시편 33:7
욥기 38:22; 시편 147:16
이사야 40:12, 욥기 28:24-26
욥기 38:16
지질학
(Geology)
지각평형 원리
지구의 모양
지구의 회전
중력
암석의 침식
빙하기
동일과정설
공룡들
이사야 40:12; 시편 104:5-9
이사야 40:22; 욥기 26:10; 시편 103:12
욥기 38:12,14
욥기 26:7; 38:6
욥기 14:18,19
욥기 38:29,30
베드로후서 3:4
욥기 40,41
천문학
(Astronomy)
우주의 크기
항성들의 수
각 별들의 독특성
공전궤도의 정확성
욥기 11:7-9; 22:12; 이사야 55:9; 예레미야31:37
창세기 22:17; 예레미야 33:22
고린도전서 15:41
예레미야 31:35,36
기상학
(Meteorology)
대기의 순환
대기의 보호 효과
비(rain)의 바다 기원
비와 전기의 관계
유체 역학
전도서 1:6
이사야 40:22
전도서 1:7
욥기 28:26; 예레미야 10:13
욥기 28:25
생물학
(Biology)
혈액의 순환
심리 치료
생물발생설과 안정성
사람의 독특성
살(Flesh)의 화학적 본질
동굴인
레위기 17:11
잠언 16:24; 17:22
창세기 1:11,21,25
창세기 1:26
창세기 1:11,24-2:7;3:19
욥기 12:23-25; 30:3-8
물리학
(Physics)
질량-에너지 등가
지구의 에너지 근원
원자의 붕괴
정보의 전송
텔레비젼
빠른 운송
골로새서 1:17; 히브리서 1:3
창세기 1:14,17; 시편 19:6
베드로후서 3:10
욥기 38:35
요한계시록 11:9-11
다니엘 12:4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evidence.org/

출처 - CEM

미디어위원회
2004-12-21

병균과 독물들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Germs and Venoms Can Heal)

by David F. Coppedge


     최근의 세 이야기는 해로운 것들도 올바른 환경 하에서는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병균과 노화 (Germs and Aging)

Science News의  한 보고에 의하면, 병균들은 생명을 연장시키고 있을 수도 있음을 보고했다. 초파리(fruit flies)들에 대한 한 연구에서, 배아(embryos)가 박테리아에 노출되었던 초파리들은 무균 상태에서 자랐던 초파리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는 것이다. 분명히 병균들은 수명(longevity)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제목은 “청결하게 살 것인가, 일찍 죽을 것인가 (Live Clean, Die Young)” 이었다.   


뱀 독 (Snake Venom)

호주에는 독을 가지고 있는 여러 뱀들이 있다. 이 뱀독들은 잠재적인 의약품을 찾아내기 위해 오지를 샅샅이 뒤지고 있는 의학자들에게 하나의 희망을 주고 있다고 National Geographic News는 보고 하였다. 제목은 “호주의 치명적인 독사들이 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가? (Could Australia’s Deadly Snakes Put Bite on Cancer?)” 이었다. 


거미 독 (Spider Venom)

또한 내쇼날 지오그래픽스(National Geographic)는 '독물질 사업(Venom Venture)‘ 이라는 제목으로, 코넬사에서 실시하고 거미독의 의학적 사용에 대한 한 생명공학 프로젝트를 보고하였다.


이 이야기들은 생물학적 물질과 유기체들이 그들 자체로는 나쁘지 않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단지 상황에 따라 고통을 줄 수도 있고, 치료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자연에 있는 독성물질들도 다른 상황 하에서는 유익을 줄 수도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caspases’ 라고 불리는 세포사멸 인자들도 자연적 재순환(recycling) 과정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우리들 대부분은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약탈과 방어라는 개념으로만 들어왔다. 실족하지 않도록 늘 조심해야할 것이다.


*관련기사 : 뱀독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약이 될 수 있습니다" (2017. 4. 27. 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7042602492

뱀독으로 암치료제 개발한다 (2013. 2. 8. Science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1%80%EB%8F%85%EC%9C%BC%EB%A1%9C-%EC%95%94%EC%B9%98%EB%A3%8C%EC%A0%9C-%EA%B0%9C%EB%B0%9C%ED%95%9C%EB%8B%A4/

전갈의 독도 잘 쓰면 약이 된다? 감염력 뛰어난 유해균 항생제로 활용. (2019. 7. 9. Science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A0%84%EA%B0%88%EC%9D%98-%EB%8F%85%EB%8F%84-%EC%9E%98-%EC%93%B0%EB%A9%B4-%EC%95%BD%EC%9D%B4-%EB%90%9C%EB%8B%A4/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crev.info/2004/08/germs_and_venoms_can_heal/

출처 - CEH, 2004. 8. 19.

미디어위원회
2004-11-24

성경의 권위로 다시 돌아가자!

김무현 


     성경은 인간의 머리에서 만들어 낸 종교적 경전이 아니다. 창조주 하나님의 영감과 계시로 기록된 무오한 책이며, 그러므로 모든 신자의 삶과 세계관에 최종 권위가 되어야 한다.

성경은 과학이나 고고학적 관점으로도 신뢰할만 하며, 비과학적이 아니라 초과학적이다. 성경은 실험실에서 증명할 수 있고, 자연에서 관찰 가능한 참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다. 오히려 참과학을 하면 할수록 자연과 우주와 생명의 신비에 감탄하게 되며 초월적 설계자의 능력에 감탄하게 될 뿐이다. 성경은 다만 '기원에 관하여 인간의 상상과 추론속에서 만들어진 배경 신념이며 종교인 진화론'과 충돌할 뿐이다.

40명이 넘는 저자가 1500년 이상에 걸쳐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놀랍도록 완벽한 일관성을 유지하는 성경과 창조주 앞에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다.

성경전체의 27%가 예언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완벽한 성취들을 바라보며, 성경이야 말로 창조주의 영감으로 기록된 참 진리임을 고백힐 수 밖에 없다.

인류를 향한 언약들을 미리 선포 하시고, 역사 속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그 언약들을 신실하게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경배하고 찬양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성경은 진화론과 인본주의, 자유/비평 신학 등의 공격으로, 세상 사람들 뿐 아니라 심지어 일부 크리스챤들에게 까지도 그 내용을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누가 어느 부분은 옳고, 어느 부분은 그르다고 판단할 것인가? 누가 어느 부분은 영감된 것이고, 어느 부분은 영감되지 않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단 말인가? 하나님께서 과연 그분의 말씀을 선포 하시면서 우리가 그러한 혼란과 고통 가운데 놓이기를 원하셨을까? 그러한 발상이야 말로 인간의 이성을 하나님의 보좌위에 높이려는 시도가 아닌가?

성경의 권위가 사라진 성경적 세계관이란 그 존재 가치가 너무도 미약하다. 성경의 권위로 다시 돌아가자. 그곳에서 부터 모든 가치와 윤리와 학문의 기준과 체계를 세우자. 그리고 그 말씀대로 살자. 이것이야말로 청지기로 우리를 부르신 창조주 하나님의 우리를 향한 기대와 소망이 아니겠는가?

미디어위원회
2004-11-13

문화 전쟁 (1) : 신앙과 과학의 분리 

(PART 1 : Culture Wars : Bacon vs Ham)

by Carl Wieland and Jonathan Sarfati


      400 여년 전에 살았던 영국의 철학자이며 법률가였던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과학적 방법론(scientific method)’의 아버지이다. 뉴턴(Isaac Newton)과 같은 다른 많은 위대한 과학자들처럼, 그 또한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의 저서들은 서구 사회에 큰 유익을 끼쳤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심각한 악영향을 후대에 남겼다.


당시 그의 주된 목적은 자연철학인 과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모든 장애물들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인류의 공동선을 위해 과학의 발전에 저해되는 모든 요소들을 철저히 배제할 것을 촉구하였다. 베이컨은 과학적 발전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들에게 너무도 공격적이었고, 그는 그것들을 ‘우상(idols)’ 이라고 불렀으며, 그의 독자들에게 그러한 것들을 완전히 버리라고 주장했다.


끌어 내려진 성경

베이컨이 반드시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우상들의 목록에는1 성경의 창세기(1장), 욥기서, 그리고 성경의 다른 부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2  그가 후세에 끼친 가장 큰 악영향은 바로 성경과 과학이 무관하다는 사고를 심어준 것이었다. 사실 과학과 성경이 분리된 것은 라이엘(Lyell)의 3 권의 책 ‘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 1830-1833)’나 다윈(Darwin)의 ‘종의 기원(Origin of Species, 1859)’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들 보다 200년이나 앞선 베이컨의 저서들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3 베이컨의 과학적 방법론은 하나님의 신성한 계시를 불허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간은 관찰력이 허용하는 만큼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은 인식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도록 했다.4


새로운 신념.

세상 과학자들에게는 일치하는 신념이 있다. 그것은 시간만 충분하다면 언젠가는 과학이 우주의 모든 비밀을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며, 결국 인류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다. 진리의 궁극적인 권위자로서 과학지식에 대한 이러한 신념은 오늘날의 현대 세계에서 가장 큰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새 믿음의 조상이 된 베이컨은 과학지식에 대한 찬사로 "지식(knowledge)이 지시하는 계명은 의지(will)가 지시하는 계명보다 한층 더 숭고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 마음의 최고 부분인 이성, 신념, 이해에 대한 계명이며, 스스로의 의지를 다스리는 법이 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영혼과 정신, 그리고 사고, 상상, 의견, 믿음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러나 지식과 학습은 가능하다" 라고 말하였다. 5 


오늘날 과학의 진정한 본질은 다음과 같이 말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신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에 관해 알지 못한다. 만약 성경이 진리라면, 그것은 오직 신앙과 관련된 일에서만 진리일 뿐, 세상 사물에 관해서는 전혀 권위를 주장할 수 없다” 저명한 세속 과학자들은 "우리는 이 우주를 지배하고 있는 모든 법칙들을 연구하고, 실험하고, 배울 것이다. 그것들이 완료되었을 때, 신은 그곳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기적을 무시하는 쪽을 선택한다. 왜냐하면 그것을 설명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관찰과 실험을 통한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입증될 수 없는 모든 것들을 받아들이지 않고, 믿지 않으려는 자세는 진정한 베이컨식 과학(Baconian science)인 것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만약 사람이 확실성을 가지고 시작한다면, 그는 의구심으로 마칠 것이다. 그러나 기꺼이 의구심으로 시작한다면, 그는 확실성으로 마칠 수 있을 것이다.” 6  


창조론자였던 베이컨, 그러나...

베이컨은 분명히 기독교적 사고에 기초를 둔 현대과학(modern science)의 설립자 중에 가장 영향력 있는 한 사람이었다. 그는 우주가 어떻게 운행되고 있는지를 발견하고자 하는 각종 실험들을 옹호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384-322 BC)와 같은 자연철학자에 의존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러나 베이컨의 저서들은 수수께끼 같은 많은 모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케플러(Kepler, 1571-1630)와 뉴톤(Newton, 1642-1727)과 같은 초기 현대 과학자들처럼, 지구의 젊은 나이와 문자적 6일 창조를 믿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었다.그러나 그는 장차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비극적인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헬라 철학에 기초한 과학을 반대한 그는 동시에 성경을 지식(과학)의 근거로 삼는 것을 거부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는 말했다. "아직도 일부 현대인들은 매우 경솔하게 이러한 어리석음에 빠져들어 있다. 그들은 창세기의 1장, 욥기, 성경의 다른 부분들에서 자연적 철학 체계를 세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것은 살아있는 것 가운데서 죽은 것을 찾으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어리석음은 방지되고 제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하나님과 인간의 일이 불합리하게 혼합됨으로부터, 몽상적인 철학뿐만 아니라, 이단적인 종교가 생겨나는 것이다.” 8    


분리된 종교와 과학

베이컨은 종종 독실한 신앙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오늘날의 많은 크리스천들처럼 그도 하나님의 두 계시, 곧 성경(His Word)과 피조물(His Works) 모두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영적세계에 관하여 성경을 믿는 신앙을 고수하는 동시에, 물질세계에 관해서는 과학을 의존하는 신앙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바로 이 세상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종말이 오며, 인간 역사에 왜 하나님이 개입하는지 등 모든 일에 대하여 성경에 해답이 있다는 사실이었다.


실험을 통한 과학적 방법이 도달할 수 없는 과거의 사건들에 대해서, 성경은 그 자체가 증인들에 의한 역사적 사실임을 주장하고 있었다. 그러기에 성경이 가르치고 있는 6천여 년 전의 창조와 타락, 그에 따른 저주, 그리고 지구 전체를 덮은 대홍수와 같은 사실들을 무시하는 과거에 대한 어떠한 다른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었다. 베이컨의 태도는 제일 처음 창세기의 대홍수 기록과 11장의 연대기를 거부한 오래된 지구를 믿는 지질학자들의 길을 닦았다.9 그리고 그 다음으로 다윈이 베이컨의 방법론을 전격적으로 생물학에 적용함으로써, 성경의 권위를 철저하게 훼손시켰다.10 그의 논리에 의하면, 만약 작은 변화들이 장구한 세월동안 축적되어 현재의 지질학적 형태들을 만들어냈다면, 역시 같은 이치로 생물들 가운데서 일어나는 작은 변화들도 계속 축적되어 새로운 생물 형태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 것이었다.


어떤 것을 믿을지 선택하라

각 분야의 현대과학 창시자들 대다수는 성경을 믿는 과학자들이었다. 그러나 현대과학의 시작부터 성경의 계시를 무시하고 제쳐 놓으려는 흐름이 있었다. 고린도후서 10:5절을 보면 우리는 사도 바울이 "모든 이론을 파하며 하나님 아는 것을 대적하여 높아진 것을 다 파하고 모든 생각(모든 논쟁과 추론)을 사로잡아 그리스도에게 복종케 하는” 일을 수행했음을 알게 된다. 엘리야 선지자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여호와를 섬길 것인지, 혹은 바알을 섬길 것인지 결단하도록 질타했던 것처럼(열왕기상 18:21), 오늘날 우리들도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신앙 고백을 한 남녀들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야만 할 것이다. 만약 과학이 당신으로 하여금 창세기는 진리가 될 수 없다고 확신하게 만든다면, 요한복음 5:47절에 기록된 예수님의 질문, 즉 너희가 "그(모세)의 글도 믿지 아니하거든 어찌 내 말을 믿겠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당신의 대답은 무엇인가?


전제 조건적 시도

성경은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그 자체에 권위가 있다. 성경은 사람들 혹은 사탄들이 고안해 낸 온갖 시험을 다 통과한 책이다. 왜냐하면 성경은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진실로 하나님의 말씀이기 때문이다. AiG (Answers in Genesis)는 계속해서 이 점을 강조해 왔다. 현대 사상가들도 인정하듯, 사실들은 결코 스스로 말해지지 않는 법이다. 우리가 어떤 사실을 해석하려 할 때 성경적 가정(전제 조건)들로 시작한다면, 증거는 강력하게 성경과 일치되어 나타나게 된다.11 하지만 베이컨식의 이치에 맞지 않고 모순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가정들로 시작한다면, 인간적인 결론에 필연적으로 도달하게 될 것이다.


요약과 결론

현대과학의 사고 체계의 철학적 기초는, 성경을 거부하는 증거들이라고 제시된 것들이 나타나기 오래 전부터, 이미 존재해 왔다. 오늘날 모든 실존하는 것들에 대한 설명으로, 전 우주적 이론 체계인 진화론을 이끌어 낸 라이엘과 다윈 등과 같은 사람들의 연속적인 등장은 도덕적 사회적 타락이 가져온 필연적인 결과였다. 과학에 대한 베이컨의 관념에 미혹되어서, 교회는 믿음을 수호하는데 불가결한 대전제적 요소들을 완전히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 결과 성경은 베이컨식(인본주의적 인간중심적)의 관점으로 대체되었고, 왜곡되면서 원형경기장 안에서 공격당하게 되었다. 분명한 패배의 모습으로 교회는 자주 안전한 지역으로 후퇴했고, 기원 문제는 중요한 이슈가 아닌 것처럼, 또는 성경은 신앙과 도덕성에만 관여할 뿐, 과학과 역사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함으로서, 베이컨식 덫에 점점 더 깊이 걸려들게 되었던 것이다.


AiG (Answers in Genesis)는 종종 사역의 핵심이 젊은 지구나 창조의 문자적 날에 촛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성경의 권위(authority of the Bible)에 있음을 지적해 왔다. 문자적 6일 창조와 지구의 젊은 나이는 성경의 권위에 근거하여 따라오는 부수적 주장일 뿐,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 베이컨은 성경의 연구와 물리적 창조의 연구 사이에 쐐기를 박음으로, 창조에 대한 자신의 분명한 신앙고백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추종하는 사람들이 그것을 거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진화론적 인본주의에 대한 최선의 대응책은 하나님의 사람들과 교회의 사고 속에 성경의 권위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Special thanks to Paul Blackmore, whose essay on Bacon inspired, and provided much material for, this article.


References and notes

1. These he listed as idols of the tribe (universal intellectual faults), idols of the cave (intellectual peculiarities of individuals), idols of the marketplace (errors for which language is responsible), and idols of the theatre (mistaken systems of philosophy). See Encyclopaedia Britannica 14:566–567, 1992.

2. Bacon, F., Novum Organum, Encyclopaedia BritannicaInc., Chicago, 1952, p. 114, published in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Hutchins, R.M., ed. in chief, No. 30, Francis Bacon.

3. In his 1607 book, Advancement of Learning, as well as Novum Organum, 1620.

4. Ref. 2, p. 107.

5. Bacon, F., Advancement of Learning,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Chicago, 1952, p. 27, published in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Hutchins, R.M., ed. in chief, No. 30, Francis Bacon.

6. Ref. 5. p. 16.

7. Ref. 5, p. 17.

8. Ref. 2.

9. Mortenson, T., British Scriptural geologists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Part 1, CEN Tech. Journal 11(2):221–226, 1997.

10. ‘Francis Bacon’, Encylopaedia Britannica, 15th edition, 14:568, 1992. .

11. That does not mean one will have all the answers, as human knowledge is finite and more is being added all the time. But the same is true for evolutionary science, and both evolutionists and creationists have to change their arguments (though not their conclusions) from time to time as more information comes in.


번역 - 한국창조과학회 시카고지부

주소 - https://creation.com/part-1-culture-wars-bacon-vs-ham

출처 - Creation 25(1):46-48, December 2002.

김무현
2004-11-10

아브라함과 욥은 어떻게 그것을 알았을까?


     창세기 22장 17절에는 다음과 같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축복하며 그 자손이 번성할 것과 그 자손에서 온 인류를 위하여 사단의 권세를 멸할 메시아가 올 것이라는 약속의 말씀이 나온다. 

"내가 네게 큰 복을 주고 네 씨로 크게 성하여 하늘의 별과 같고 바닷가의 모래와 같게 하리니 네 씨가 그 대적의 문을 얻으리라 또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만민이 복을 얻으리니..." (창세기 22:17-18)

여기에 보면, 앞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 셀 수도 없이 많아질 것이라는 비유로, 하늘의 별과 바닷가의 모래가 나온다. 천문학자 케플러 시대에만 해도 하늘에 있는 별의 총수는 1,000-1,500개 정도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 후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발명하면서 그 수가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최근에는 전자 망원경의 발명과 대기권 밖 우주망원경의 공로로 이 우주에 충만해 있는 별의 수는 그야말로 엄청나며 바닷가의 모래와 같이 세는 것이 불가능함이 밝혀졌다.


구약성경 욥기에는 하나님이 자연과 피조물 등을 통해 욥에게 창조주 하나님의 전능 하심을 알려주시는 시청각 교육들이 많이 나오는데, 그 중 38:31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네가 묘성을 매어 떨기 되게 하겠느냐 삼성의 띠를 풀겠느냐" (욥기 38:31). 

묘성(Pleiades)으로 알려진 처녀좌의 별들은 육안으로는 7개밖에 보이지 않고, 특정한 형체가 없이 서로 흩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천체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수백 개의 별들이 서로 만유인력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성단 즉 '떨기(cluster of stars)' 임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묘성은 모여서 '떨기' 되어 있음을 이미 4000년 전에 하나님께서 욥에게 말하고 계셨던 것이다.  아브라함 이전의 부족시대에 살았던 욥이 그러한 사실을 다 이해하고 자기의 생각대로 그렇게 기록할 수 있었을까? 성령의 인도로 성경이 기록되었음을 믿으려 하지 않는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경종을 울려주는 성경구절이라 할 수 있다.


성경은 우주가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초월하심을 선포한다고 한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 도다." (시편 19:1).

 "주의 진리는 궁창에 이르나이다" (시편 57:10). 

한편, 성경에서는 이 우주에도 분명히 종말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늘의 만상이 사라지고 하늘들이 두루마리같이 말리되 그 만상의 쇠잔함이..." (이사야 34:4). 

"하늘이 연기같이 사라지고 땅이 옷같이 헤어지며 거기 거한 자들이 하루살이 같이 죽으려니와 나의 구원은 영원히 있고 나의 의는 폐하여지지 아니하리라." (이사야 51:6)

이와 같은 배경을 고려할 때, 이사야나 시편 기자도 자기 상식에 의해 기록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님께서 계시하여 주셨으므로 그렇게 쓴 것이다.


하나님의 천지 창조 시, 이 모든 우주만물을 사람을 위하여 만드셨음을 믿는 것 같이, 마지막 때 모든 인류를 심판하러 오시는 날, 이 우주를 새 하늘과 새 땅으로 재창조/재편성하실 것임도 굳게 믿기 바란다.

 

 

*참조 : Pleiades and Orion: two ancient Hebrew words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0_2/j20_2_100-103.pdf
Pleiades and Orion: bound, unbound, or … ?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8_2/j18_2_44-48.pdf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308

참고 :

미디어위원회
2004-11-09

성경은 과연 비과학적인가?

김무현 


      이 세상의 진리나 과학적 패러다임은 시대가 바뀌어 가면서 변해 간다. 하지만, 성령님에 의해 기록 된 성경은 시대의 흐름에 관계없이 참 진리로 아직까지 남아 있다. 이러한 무오성은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현 과학의 패러다임으로 뿌리를 내린 진화가 과학적 사실이라면 창세기의 창조내용이 근거 없는 비과학적인 것으로 결론이 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창세기가 폐기되기보다는 진화론의 문제점들만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디 과학연구소의 소장이었던 어윈 문(Erwin Moon) 박사는 다음과 같이 고백하였다. "내가 일생동안 성경의 첫 페이지부터 끝까지 수 차례에 걸쳐 과학적으로 어떤 문제나 모순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하여 보았으나 그러한 오류를 찾을 수 없었다."


에스겔 7:2과 이사야 11:12에 '땅사방'이라는 말이 나온다. 영어로는 네 구석들(four corners)로 번역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성경은 지구가 사각형으로 되어있다 하니 비과학적이고 오류가 있다"라고 비웃었다. 하지만 'corners'로 번역된 히브리어 '카나프'의 일반적인 의미는 '극한(extremity)'이다. 이 '카나프'는 욥기 37:3과 38:13에서도 쓰였는데 그곳에서는 땅끝(ends)으로 번역되었다. 땅 끝이란 번역도 땅에 끝이 있는 것처럼 잘못 전달될 위험이 있다(실제로 중세 및 그 이전의 사람들 중에는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음). 실제로 욥기 37:3은 "빛으로 아주 먼 곳(extremity)까지 이르게 하시고"란 뜻이다. 하나님께서 정말로 네 모퉁이를 가진 사각형을 말하고자 했다면 '파무드'라는 정확한 의미의 히브리 단어를 주셨을 것이다. 히브리 원어의 부적절한 번역 표현으로 발생된 오해들이다.


또 간혹 성경에 지구가 평평한 것 (flat earth)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이 있는데 유감스럽게도 성경에는 그런 구절이 전혀 없다. 오히려 욥기 26:7에는 "그는 땅을 공간에 다시며(He suspends the earth over nothing: NIV)" 와 같이 우주 공간 속에 아무런 지지도 없이 중력에 의해 떠있는 지구를 정확히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이사야 40:22에는 "그는 땅 위의 궁창에 앉으시나니(NIV: He sits enthroned above the circle of the earth)"와 같이 지구가 원형임을 증거하고 있다. 'circle'이라는 말은 구상/원형을 의미하는 히브리 원어 '쿠그(khug=sphericity or roundness)'를 번역한 것이다. 잠언 8:27 "그가 하늘을 지으시며 궁창으로 해면을 두르실 때"에서도 같은 원어 '쿠그'가 'compass'로 번역되었다. 하여튼 성경에서는 분명히 지구가 구형으로 되어 있으며, 우주 공간에 존재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오히려 더욱 놀라는 것은 B.C. 700년경에 살았던 이사야 선지자가 어떻게 지구가 구형임을 알았으며, 아브라함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욥이 어떻게 지구가 이 우주 공간에 덩그마니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겠냐는 것이다. 문명이 발달했다고 하는 그리이스나 로마 사람들, 심지어 중세의 사람들까지도 지구를 거대한 코끼리나 거북이 또는 헤라클레스등이 받치고 있다고 이해했던 것과 비교해 본다면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오직 성령님께서 그들의 손을 빌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였음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누가복음 17:34-35을 읽어보면 예수님의 재림시 지구의 한편에서는 밤이 되어 잠자리에 들고 다른 한편에서는 낮에 일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예수님의 재림은 순간적이며 전지구적 사건일 것임을 강조하기 위해 주신 말씀이다. 이 당시 어느 누구도 지구가 구상이며 자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지구 상에 밤과 낮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몰랐을 것이다.


과학의 여러 분야의 박사학위를 가진 윌더스미스 (A. E. Wilder-Smith)는 그의 『성경의 신뢰성(The Reliability of the Bible)』이라는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증거한다. "성경은 과학교과서도 아니고 과학적 전문 용어로 쓰여지지도 않았다. 하지만 성경은 여러 과학적 현상들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평범한 어휘들로 명확하고도 무오하게 기록하였다."

당신은 당신의 친구로부터 성경은 오류가 많고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본 적이 있는가? 이러한 조롱에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사도 베드로의 말씀처럼 우리의 소망에 관해 묻는 자들에게 대답할 것을 온유와 두려움으로 준비하고 있는가?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예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하고" (베드로전서 3:15)

미디어위원회
2004-10-10

고기를 먹지 않는 사자 

: 육식동물도 채식으로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 사례. 

(The lion that wouldn't eat meat)

David Catchpoole 


     금세기 초, 아프리카산 암사자 한 마리가 미국에서 태어났고 자랐었는데, 9년 동안의 전 생애 동안 전혀 육식을 하지 않고 살았었다.1 사실 사자의 주인이었던 조지(Georges Westbeau)와 마가렛 웨스트뷰(Margaret Westbeau) 부부는육식동물들은 육류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과학자들의 보고에 경각심을 가졌었고, 그들의 특별한 애완동물 (‘리틀 타이크(Little Tyke)' 라는 이름의)에게 육류를 먹이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노력했었다. 심지어 그들은 그 암사자가 좋아할 육류가 함유된 식사를 고안하는 사람에게 현상금을 걸기도 하였다. 뉴욕 동물원의 사육사는 웨스트뷰 부부에게 리틀 타이크의 우유병에 혈액을 몇 방울 섞는 것이 젖을 떼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충고했지만, 그 새끼 암사자는 단 한 방울의 혈액이라도 섞여있는 경우에 그것을 건드리지도 않았다.

웨스트뷰 부부의 100에이커(40 헥타르)의 목장을 방문한 많은 방문객들 중 많은 식견 있는 동물 전문가들 또한 조언을 했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그러는 동안, 리틀 타이크는 조리된 곡물과 날달걀, 그리고 우유를 주식으로 매우 건강하게 자랐다. 네 살이 되었을 때 그녀는 완전히 성장했고, 몸무게는 160kg 이나 되었다.


조지 웨스트뷰는 리틀 타이크를 달래서 (육식동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어떻게든 육식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으로, 그의 마음을 홀가분하게 해준 사람은 히든 밸리(Hidden Valley) 목장의 ' 젊은 방문자' 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

 ”그는 진지한 눈으로 나를 바라본 후 물었다. ”성경을 읽지 않습니까?” 나는 아마도 내게 필요한 만큼 읽지는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그는 말을 이었다. ”창세기 1장 30절을 읽으면 답을 얻게 될 것입니다”. 나는 처음으로 성경을 갖고 그가 말했던 그 문구를 펼쳤다. 놀랍게도 나는 다음의 말씀을 읽게 되었다. ”또 땅의 모든 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식물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리틀 타이크의 주인들은 사실 기독교인들은 아니었지만, 그 암사자가 육식을 거부하는 것에 대해 더 이상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대해 안심했고, 그 대신 태도를 바꾸어 그 암사자의 채식성 3사료에 추가할 새로운 곡물들에 대해 더욱 주의를 기울여 배웠다. 수많은 곡물들을 가루로 만들고 말린 상태에서 섞은 후, 조리하고 우유와 설탕을 혼합했다. 암사자는 가끔 점심을 포함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에 이 혼합물로 사육되었다. (이빨과 잇몸의 조절을 위해  갉아먹기 위한 뼈들의 제공을 단호하게 거부했기 때문에, 리틀 타이크에게 씹는 용도로 무거운 고무장화를  주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삼 주 가량을 견디었다.) 이 암사자는 이러한 사료로 겨우 생존만 하는 정도가 아니라, 매우 튼튼하게 성장하였다. 미국의 가장 유능한 동물원 사육사 중 한 명은 분명히 ”그가 지금까지 보았던 사자 중에서 최상의 암사자 였다”고 말했다.


웨스트뷰 부부는 그들의 목장에서 리틀 타이크와 마찬가지로 다른 무리의 동물들도 돌보았다.  히든 밸리 (Hidden Valley)의 많은 방문객들 중 다수는, 이사야 11:6절의 예언과 흡사한 상황인 ”사자들이 어린 양과 뛰노는” 장면을 떠올리게 되었다. 암사자가 평온하게 양, 소, 그리고 공작들과 사는 모습은 많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리틀 타이크의 TV 장면들과4 신문의 사진들 또한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는데, 그 중 한 명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당신의 사자와 어린 양의 사진 만큼 저를 행복하게 한 것도 없었습니다. 이것은 제가 성경을 믿도록 도와주었습니다.”

 리틀 타이크의 경우를 비추어 볼 때, 다른 육식동물들의 선조들도 채식성 식사로 살아갈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5, 이것은 아담의 원죄 사건 이전에 동물들은 식물들을 먹이로 살았었다는 창세기의 기록과 쉽게 연관된다.6


”위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그 암사자는 한 번에 한 시간 가량을 소요하며 평원에서 즙이 많은 키 큰 풀들을 먹었다”는 웨스트뷰 씨의 관찰 또한 이사야 11:7, 65:25절의 ”사자가 소처럼 풀을 먹을 것이며”라는 예언을 생생하게 기억나게 한다.



References and notes

1. Westbeau, G., Little Tyke: the story of a gentle vegetarian lioness,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IL, USA, 1986. (Information is drawn from pp. 36, 17, 3235, 5960, 113114.)

2. 이 암사자는 생후 하루가 지난 새끼로서 매우 심하게 할퀸 상처를 입은 채, 그 어미가 있는 동물원에 의하여 웨스트뷰 부부에게 보내졌다. 그 어미는 이전에 네 번의 출산에서 새끼들을 낳자마자 모두 죽여 버렸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동물원 관계자들이 출산 순간에 그 새끼를 서둘러 구출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었다. '리틀 타이크'의 구출은 성공했지만, 그 어미의 재빠르고 강력한 아래턱이 새끼 사자의 오른쪽 앞다리에 상처를 입혔었다.

3. 최근 많은 사람들은 달걀을 '채식주의' 식단에 포함시킨다. 이것은 수정이 안 되었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는 것과 상관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달걀 (또는 장성한 동물들을 위한 우유)이 원죄 이전에는 식품의 일부로 포함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사자가 생존하는 데에 육식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는 많은 식물들이 멸종되었다. 이는 원죄 이전(또는 홍수 이전)에는 식물계에는 매우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게 한다.

4. 슬프게도, 헐리우드의 전국 TV 방송용 영화 제작 도중, 리틀 타이크는 폐렴이 걸려 몇 주 후 죽고 말았다.

5. 1980년 인도네시아에서 살았을 때, 몇몇 가족들은 그들의 애완견들이 먹는 음식 찌꺼기 중에 뼈들이 섞여있을 가능성은 있었지만, 그들에게 전혀 육류를 먹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보고서들은 그 나라에서는 매우 흔하게 있는 일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6. 성경은 원죄 이후에 어떻게 채식에서 육식으로 바뀌게 되었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려주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성은 하나님에 의한 '재설계(redesign)' 일 수 있다. 그래서 비록 오늘날의 사자들에게 고기가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일지라도, 이것으로 창세기에 오류가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Answers in Genesis'의 글들을 살펴보라. 좀 더 깊은 논의를 위한 답들이 들어있다. 


* 관련기사 : 전주동물원: 독수리-닭 아름다운 동거 (2007. 4. 2. 연합뉴스)

http://www.consume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35

 

Related Articles

Lea, the spaghetti lioness

Tigers and pigs … together?

The cat who refuses to eat meat

Echoes of Eden

The ‘bird of prey’ that’s not

Catching a kinkajou

Vegan dog

Piranha

Pollen-eating spiders

Vegetarian spider

Thoughts on the nutritional challenges faced by felines


Further Reading

The Dracula connection to a young Earth

Vampire birds

Bird-killing sheep

Hen-hunting horse

Wild and woolly

A meat-eating parrot!

Vampire finches of the Galápagos

‘Vampire moth’ discovered

*The Scriptural advent of animal carnivory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5_1/j15_1_69-75.pdf

The carnivorous nature and suffering of animals
http://creation.com/the-carnivorous-nature-and-suffering-of-animals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creation.com/the-lion-that-wouldnt-eat-meat

출처 - Creation 22(2):22–23, March 2000.

미디어위원회
2004-07-28

성경과 과학은 잘 조화되고 있다.

최무용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성경과 과학의 관계는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갈등의 관계가 아닙니다.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과학관으로 인해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성경은 과학에 비교해 시대에 뒤떨어진 책일까요? 아니면 과학과 성경은 다른 결코 연결될 수 없는 책일까요? 아닙니다. 성경이 너무나 초과학적이어서 그 당시 과학이 이해할 수 없었을 뿐이지, 천지만물을 지으신 분은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과학도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 세계의 한 부분으로서 성경과 과학은 자연스럽게 잘 화합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창조섭리 안에서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종교인들의 고집만이 아니고, 실제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많은 증거들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이 과학에 위배된다는 생각을 사람들이 가지게 된 것은 오늘날 진화론 일색의 교육이 마치 성경이 비과학적인 것처럼 사람들을 세뇌시키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바로 무기물에서 우연한 충돌에 의해 유기물이 생겨나고, 여기서 최초의 생명체가 우연히 탄생했다는 화학진화론적 생명의 기원관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최초의 한 생명체에서 진화되어 나온 것에 불과하다는 생물학적 진화론이 그 원인인 것입니다. 이런 기원관으로 보면 결국 인간은 그 기원에 있어서 다른 동물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으며, 궁극적으로 무생물에서부터 생겨난 우연의 산물일 뿐입니다. 이런 인간 속에 무슨 도덕과 영원한 세계가 있겠습니까? 그냥 우연히 무기물에서 왔다 무기물로 돌아가면 그만이 아니겠습니까? 또한 이러한 철저한 유물론적 사고에 근거한 진화론적 사고는 인간의 도덕관념을 흐리게 합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인간은 동물과 같은 조상에서 진화된 존재에 불과하며, 결국 동물과 같은 모든 행동을 할 수 있다고 까지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진화론은 이미 신앙을 소유한 기독교인에게도 신앙성장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믿음으로 신앙이 시작된 후에도 이 문제가 분명히 해결되지 않으면 늘 방황하기 쉽습니다. 현재까지도 많은 젊은이들이 대학시절에 교회를 떠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까지는 부모님의 강권에 못 이겨 교회를 나가고 자연히 창조에 관해 들어왔지만, 학교 교육을 통해 진화론만이 과학적 정설로 꾸준히 강요되면서 자연스럽게 진화론으로 세뇌되어 왔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대학에 들어가면 한꺼번에 밀려오는 너무 많은 자유 속에서 부모님과 교회에 의해 강요되어 온 비과학적인 창조론을 포기하는 것은 아주 당연한 현실이 아니겠습니까? 이러한 진화론적 교육을 강요당한 이들에게는 창조주 하나님은 하나의 우스운 전설 정도로 밖에 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철저한 유물론적 사고로 세뇌된 이들에게 영적인 세계란 하나의 허황된 꿈과 같은 얘기일 뿐이며, 이러한 영원한 세계를 갈망할 필요도 없게 됩니다. 결국 하나님의 독생자도 예수 그리스도도 별 의미 없게 되고 맙니다.

 

그러므로 교회 주일학교에서도 청소년 때부터 신앙과 함께 진화론의 비과학성과 창조론의 과학성을 가르침으로 성경은 현대과학과 모순된다는 잘못된 학교 교육을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일단 이렇게 기본적인 것에 확신이 생기면 그 후에 새로운 이론과 반론이 엄습해 올 때 스스로 방어할 준비를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진화론과 창조론이 서로 공격하는 장면 . 진화론은 기독교의 창조(근원)를 공격하는 반면, 기독교에서는 진화론의 열매만 공격하고 있다.


출처 - 목회자사모신문

미디어위원회
2004-07-28

성경 속의 신기한 과학이야기 ② : 해로의 발견자 매튜 머리

최무용 


    오늘은 바다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여러분 혹시 바다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바로 해로를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 듯이 바닷물은 고여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패턴을 갖고 흐르고 있습니다. 이것을 해류라고 하지요. 배들이 바로 이 해류를 따라 이동하면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바다의 길을 최초로 학문적으로 연구하여 해양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물은 바로 매튜 머리 박사(1806~1873)입니다. 매튜 머리 박사는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바다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는 일찌감치 선원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항해 중 불의의 부상을 입게되었고 사고 후부터 해양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842년 그는 워싱턴에 있는 해양관측소의 소장이 되었습니다.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매튜 머리 박사가 바다의 길을 발견하게 된데는 다음과 같은 성경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1927년 찰스 루이스라는 사람이 쓴 「해류의 발견자 매튜 머리」라는 책에 보면 그가 아파서 침대에 누워 꼼짝 못하고 있을 때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부탁으로 밤마다 그에게 성경을 읽어주었다고 합니다.그러던 어느날 아들은 시편 8편을 읽게 되었는데 “공중의 새와 바다의 어족과 해로에 다니는 것이니이다”라는 8절의 말씀을 듣는 순간 영감을 받고 “내가 해양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데 해로라는 것이 있다는 것은 처음 들어보았다. 그러나 성경에 해로가 있다고 말씀하셨다면 틀림없이 있을 것이다.병이 나으면 한번 그것을 찾아야보아야겠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윽고 그는 대서양 바닷물의 온도와 해류 그리고 바람의 흐름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시행하여 바람과 해류의 순환 사이에는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또한 1855년 그는 항해일지를 참고하고 바람과 해류에 관한 보다 자세한 연구 끝에 북대서양을 가로지르는 항로와 기상도를 작성하였습니다.그가 작성한 항로는 후에 국제협정의 기초가 되었고 이것이 최초의 해도와 해상 기상도였던 것입니다.

미국의 남동부에 있는 바다인 멕시코만에는 적도의 북쪽을 흐르던 해류가 쿠바의 남쪽에 위치한 카리브해를 거쳐 흘러 들어와서는 플로리다해협을 지나 대서양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이 해류는 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닷물을 몰고 와서 대서양을 거쳐 멀리 서유럽에까지 이르게 되는데,서부유럽의 온화한 기후가 바로 이 해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이 해류를 멕시코만류라고 부르는데 바로 매튜 머리 박사가 발견한 것입니다.

이렇게 해양학 연구를 위해 평생을 바친 매튜 머리박사는 1873년 2월 1일 그의 고향인 버지니아주 렉싱턴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그 후 사람들은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23 그가 태어난 버지니아주의 리치먼드와 고쉔 지방에서는 그의 동상을 세웠습니다. 고쉔 지방에 있는 그의 기념동상의 비명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쓰여 있습니다.

"해로의 발견자인 그는 대양과 바다로부터 처음으로 그 법칙을 찾아낸 천재였다. 오가며 바다를 항해하는 모든 세대의 항해자들은 해도를 볼 때마다 당신을 생각하리라. 특히 성경의 시편 8편8절과 107편 23.24절,전도서 1장7절이 그에게 영감을 주었음을 밝힌다."

이것은 2000여년 전에 쓰여진 성경말씀에 대한 신뢰가 위대한 과학적 업적을 이루어 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성경이 과학책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주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지혜가 충만한 책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과학이란 이름으로 성경을 교회 안에 묻어버린다면, 과학의 근본 목적인 자연세계 탐구는 잘못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출처 - 목회자사모신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