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불타는 산
: 장구한 진화론적 시간 틀에 대한 한 심각한 도전
(Australia's Burning Mountain)
윙겐 산(Wingen Mountain)은 누구라도 기억할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정상을 따라 나있는 균열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연기와 매캐한 유황 냄새와 더불어 불타 오르고 있다. 유럽의 이주자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훨씬 오래 전부터 호주 원주민은 이 불타는 산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오자마자 이 광경에 과학적 관심이 쏠렸다. 비록 이 불타는 산이 그 당시에 화산(volcano)이나 위화산(pseudo-volcano)으로 외국에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인 C.P.N. Wilton 목사(1828-1832년 사이)와 Thomas Mitchell 경은(1829년과 1831년에), 그 원인을 정확하게 알아내었다.1
불타는 석탄 (Burning Coal)
불타는 산(Burning Mountain)은 브리즈번과 시드니 사이의 주요 도로 상에 있는 Wingen 마을에서 북쪽으로 5 km에 위치해 있다. 시드니는 남쪽으로 약 200 km 떨어져 있다(그림 1). (이 웹사이트 상에서는 볼 수 없음). 그러나 호주는 오늘날 여전히 활동하고 있는 어떠한 활화산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불타는 산은 화산이 아니다. 그 대신, Wingen 산 내부에는 자연적으로 불타고 있는 석탄층(a layer of coal)이 있다.
Wingen 산에 있는 석탄층과 주변의 사암, 셰일, 점토암 지층은 진화론적 지질시대에 의하면 초기 페름기 지층으로 Koogah Formation 지층이라 불린다.2 Koogah 지층 아래에는 Werrie 현무암이라는 두꺼운 용암층이 있는데, 이것 또한 초기 페름기로 분류된다. Koogah 지층 위에는 완족류(brachiopods)와 부족류(pelecypods)의 조개화석을 가지고 있는 역암성 이암(conglomeratic mudstones)과 사암(sandstones)이 교대로 나타나는 Bickham Formation 지층이 있다. 이러한 지질학적 관계는 그림 2의 지질단면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이 단면은 서쪽으로 흐르는 지류가 불타는 산에서 북쪽으로 1.5 km에 있는 Wingen 산등성이를 횡단하는 곳에서 지층들을 볼 수 있다.3
침강과 용융된 암석 (Subsidence and Fused Rocks)
'타버린’지대는 불타는 산의 현재 타고 있는 지역으로부터 북동쪽으로 적어도 6.5 km(4 마일)에 달한다. 타버린 지대 위의 지표면은 균열, 조밀한 간격의 평행한 단층, 작은 지구(graben, 地溝; 두 개의 단층 사이의 지괴가 하강하여 형성된 협곡)와 벌어진 열극(fissures, 틈, 그림 3)과 같은 침강 특징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은 Koogah Fomlation 층 내의 절리 계(jointing system)에 의해 통제되었던 것처럼 나타난다.4
심하게 변질되고 용융된 암석을 포함하는, 작고, 붕괴되어 무질서하게 부서진 이 지역은 고온의 기체가 빠져나간(그림 2 참고)‘굴뚝’을 보여주는 듯하다. 이 굴뚝 주변의 용융된 사암에는 드물게 고온형의 석영광물과 지저분한 다공상(거품이 많은)의 암석유리 내에 있는 또 다른 고온광물이 들어있다.
'타버린' 지역 내의 다른 곳에서는 고온에서 내화성이 강한(refractory) 고령석(kaolinite)을 함유한 점토암이 있는데, 이것들은 타지 않은 석탄층 아래에 있었으며, 석탄발화에 의해 상대적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림 4). 단지 타버린 석탄층(그림 4 참고) 아래의 얇은 점토암 부분은 매우 흔한 내화성의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인 멀라이트(mullite)로 바뀌어있었다.5
하지만, 타오르는 기체의 주된 원인이었던 타버린 석탄층 위의 고령석을 함유한 점토암은 보다 광범위하게 고온형의 석영과 알루미늄 규산염(멀라이트를 포함하는)으로 변성되어 있었다.
용광로 효과 (A Blast-Furnace Effect)
석탄층이 타게되면, 이미 위에서 설명한 대로 다양한 열적, 화학적 치환 효과와 광물적 변화가 발생한다. 현재도 타고 있는 불타는 산(그림 5)에는 100 m2 미만의 면적에 걸쳐 작열하는 온도까지 가열된 갈라진 열극대(fissured zone)가 있다.9
열극을 통한 공기의 흡입은 석탄의 자연 연소를 증가시키면서, 지표면으로부터 30 m(거의 100 피트) 아래까지 연소를 용이하게 만든 용광로 효과(blast-furnace effect)를 가져왔던 것으로 보인다. 열극(갈라진 틈)은 지하붕괴가 발생함에 따라 열적 활동이 일어나는 현재 지역의 남쪽 바로 가까이에 아직까지 타지 않은 지면 내에서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불타는 지역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는 석탄에서 발견되는 유황광물, 주로 황철석(pyrite, 황화철)으로부터 나온 유황성분으로 덮인 적철석(hematite, 제일산화철)과 고온형의 석영으로 구성된 침전물을 퇴적시킨다. 이 증기에서 지독한 유황 냄새가 나며, 이 증기 응축물이 산성도가 높고 황산화가 강한 것도 이 때문이다.10
오랜 세월동안 '화도(volcanic vent)’내의 이 열극은 의학적 유용성이 있다고 추정하는 액체와 연고를 생산하기 위한 물과 가스의 추출을 위해 사용되었다.11 이 생산물은 1960년대까지 팔렸다. 그 당시의 방문객은 열극 여기 저기에 널려있는 여러 도관과 송수관들을 보았을 것이다.
불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How did the Fire Start?)
그러나, 이 석탄층이 어떻게 점화되었으며, 또 얼마나 오랫동안 불타고 있었던 것일까? 불타는 전선이 매년 대략 1 m (3피트 이상)의 속도로 남쪽으로 이동해 왔으며, 현재의 지점까지 약 6,000 m (거의 4 마일)를 옮겨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2
따라서, 만일 석탄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과거에도 불탔다면, 아마도 그 불은 기껏해야 약 6,000 년 전에 시작되었을 것이다. 속도의 다양성을 허용하더라도, 이것은 수백만 년 동안이 아니라, 몇 천 년 동안 타고 있었음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사람들은 석탄층이 낙뢰, 산불, 또는 어쩌면 자연발화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불이 붙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후자의 현상은 오늘날 탄광에서 이따금씩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하지만, 오늘날 석탄층의 자연발화는 지표면에 드러난 석탄층 노두(outcrop, 표토 아래에 있는 기반암의 일부가 지표로 나와 있는 부분. 지표에 드러난 지각 구성암석)가 풍화되는 곳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자연발화는 탄광작업, 노천광(open pit), 지하갱도 내에서, 석탄이 신선하게 노출되어 왔던 곳에서, 채굴작업으로 석탄 성분의 급속한 건조와 산화가 일어난 후 발화 요인이나, 발생된 열에 노출된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개나, 산불로 인한 또 다른 발화 메커니즘은, 간단한 이유들에 의해 가능성이 희박함을 보여준다. 먼저, 노두로 지표면에 노출된 석탄들은 폭풍우에 노출되면서 빠르게 산화되거나 활발하게 풍화가 일어날 것이다. 낙뢰나 산불이 노두로 있는 석탄층을 점화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노출된 석탄의 풍화 특성으로 말미암아 점화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만 유일한 문제점은 아니다. 일단 지표면에서 점화가 되면, 그 불은 먼저 지하수면을 관통하면서, 지하의 석탄층을 따라 타야만 한다. 그곳에 있는 석탄층은 물로 포화되어 있어서 불은 거의 대부분 꺼질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어떤 불이라도 지하의 석탄층을 따라 번질 경우에 연소 과정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은 끊임없이 감소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듯이, 만일 불이 지하에서 붙었다면, 불타는 산의 경우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불타고 있는 지대로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에 타버린 석탄층 위의 암석은 파쇄되거나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표면에서부터 불이 붙는 그런 상황이 되려면 처음에 공기 공급을 감소시키는 풍화지대와 지하수면을 통과해야하는 장애물들을 극복해야만 한다.
화산암의 관입 (A Volcanic Intrusion)
그렇다면, 만일 불타는 산의 지하 석탄층의 발화에 대한 이러한 설명들이 빈약하거나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장소에 대해 쓴 몇몇 논문들 중 하나에는 정교하게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설명이 들어있었다. 그러나, 이 설명은 동일과정적/진화론적 지질학자들과 그들의 수백만 년이라는 시간 척도(timescale)에 대한 강한 도전이 들어있었다.
뉴캐슬(뉴 사우스 웨일즈) 대학의 간부였던 한 지질학자는 이전에 용융된 화산암이 과거의 어느 시간에 그 석탄층을 가로질러 식은 곳을 관찰했다(그림 4).14, 15 이제 그러한 용암이 암석 내로 관입될 때, 열적 변성을 일으키는 약 1000℃ 의 온도에서 관입될 수 있으며, 그렇게 용융된 암석이 식으면서, 수주나 여러 달에 걸쳐 외부로 엄청난 열을 발산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몇몇 경우에서, 그렇게 용융된 암석이 석탄층을 가로질러 관입하면서, 석탄을 심하게 변성시키거나 점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불타는 산 아래에서 불타고 있는 석탄의 발화에 대한 가장 가능성 높은 메커니즘일 것이다. 더 나아가, 이것은 6,000 년전 이내에 일어났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관입은 발화된 석탄이 계속 타오르게 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균열이 있는 지표면까지 충분히 가까웠을 것이다.
도전받는 진화론적 시간 (Evolutionary Time Challenged)
그렇다면, 이 지역에 진화론적 시간 개념으로 언제 마지막 화산 활동이 있었는가? 석탄층을 가로지르는 이 용융된 암석은 Werrie 현무암 노두를 형성시킨 것과 같은 화산에서 흘러나와 형성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Werrie 현무암은 Koogah Formation의 석탄층 아래에 놓여있으므로 이 관입화산암(진화적 지질학 용어로)보다 훨씬 더 연대가 오래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Werrie 현무암은 고생대 페름기에 만들어진 즉, 약 2억6천만 년 이상된 암석으로 추정하고 있다.16, 17
이 석탄층이 형성된 후에 Wingen 산에서 발생한 가장 최근의 화산 활동은 북쪽과 서쪽으로 5 km 이내에 있는 리버풀 산맥의 현무암을 생성하였다.18 같은 현무암이 Wingen 산의 북동부에서 또한 발견된다. 그러나 이 현무암은 칼륨-아르곤(K-Ar) 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을 사용해서 3800 만년에서 4100 만년까지의 연대가 나왔다.19 오늘날 이 암석은 대략 6000 km2의 면적을 덮고 있으며, 어떤 지역에서는 두께가 최고 780 m 이상에 이른다. 그러므로, 막대한 양의 용암이 흘러나왔음을 보여준다.20
따라서, Wingen 산 부근 지역에서 비슷한 성분을 가진 이런 작은 관입암들은 같은 화산의 화산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말로, 남쪽으로 약 80 km 지점에 같은 시대에 같은 성분을 가진 관입암이 있었으며, 약 20 km와 50 km 지점에도 다른 관입암이 있었다. 그러므로, 화산 활동은 이 지역에 걸쳐 광범위했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불타는 산에 있는 이 관입암이 약 3800 만년에서 4100 만년으로 추정된다면, 이것은 석탄층이 광대한 시간 전에 발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명백히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현재의 관측 증거는 단지 6000 년 미만 동안 석탄이 타고 있다는 것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만일 이 관입암이 그 당시에 석탄을 점화했다면, 그것은 수천만년 동안 타고 있을 수가 없다.
불타는 산은 진화론적 시간 척도(evolutionary timescale)에 대한 도전이며, 일반적으로 지질학자들에 의해 무시되었던 것들에 대한 도전이라는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진화론적 세뇌에 의해 생긴 편견 때문에, 그들의 시간 척도에 도전하는 이와 같은 증거들을 허용할 수가 없었다. 반면에, 이러한 증거는 불타는 산 아래의 석탄층을 단지 수천 년 전에 발화시킨, 대홍수 후 이따금씩 일어났던 화산활동과 전적으로 일치한다.
References
1. Vallance, T.G., 1975. Presidential address: Origins of Australian geology.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Society of New South Wales. vol. 100(1) pp. 13-43.
2. Percival, 1985., 1985. Site 31. Mt Wingen (Burning Mountain). In: The Geological Heritage of New South Wales, Volume 1, New South Wales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Sydney, pp. 94-95.
3. Rattigan, J.H., 1967. Phenomene about Buming Mountain, Wingen, New South Wales. Australian Journal of Science, vol. 30(5), pp. 183-184.
4. Percival, Ref. 2.
5. Rattigan, Ref. 3.
6. Rattigan, Ref. 3.
7. Rattigan J.H., 1967. Occurrence ant genesis of halloysite, Upper Hunter Valley, New South Wales, Australia. American Mineralogist, vol. 52, pp. 1795-1805.
8. Rattigan, Ref 3.
9. Percival, Ref. 2.
10. Rattigan, Ref. 7.
11. New South Wales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1986. Burning Mountain Nature Reserve: Walking Track Guide.
12. New South Wales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Ref. 11.
13. New South Wales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Ref. 11.
14. Rattigan, Ref 7.
15. Loughnan, F.C. and Craig, D.C., 1950. An occurrence of fully hydrated halloysite. American Mineralogist vol.45, pp. 783-790.
16. Rattigan, Ref. 3.
17. Rattigan, Ref. 7.
18. Schon, R.W., 1985. Petrology of the Liverpool Range Volcanics, eastern New South Wales. In: Volcanism in Eastern Australia, F.L. Sutherland, B.J. Franklin and A.E. Waltho (Eds), Publications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NSW Division, vol. 1, pp. 73-85.
19. Wellman, P. and McDougall, I., 1974. Cainozoic igneous activity in eastern Australia Tectonophysics, vol. 23. pp. 49-65.
20. Schon, Ref. 18.
21. Schon, Ref. 18.
22. Martin, R.W., 1985. A small layered tholeiitic intrusion emplaced at shallow level, at Scone, New South Wales. In: Volcanism in Eastern Australia, F.L. Sutherland, B.J. Franklin and A.E. Waltho (Eds), Publications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NSW Division, vol. 1, pp. 107-140.
23. Rattigan, Ref. 7.
24. Rattigan, Ref. 15.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15/i2/mountain.asp
출처 - Creation 15(2):42–46, March 1993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73
참고 :
대륙 이동, 또는 한 번의 지구 팽창
(Continental Drift or an Expanding Globe)
계속하기 전에, 잠시 멈추어서, 숨을 한 번 들이키라. 자, 당신의 '편견으로 굳어진' 학문적, 철학적, 또는 종교적 선입견을 옆에 내려 놓으라. 걱정하지 말라. 당신은 이 연구의 끝에서 그것을 다시 집어들 수 있다. 자 여기를 클릭하여, 'Strickler's 1st Law of GeoFantasy'를 읽어 보라. (http://www.jersey.uoregon.edu/~mstrick/geology/geoFantasy_page.html)
전통적인(편견을 가진) 과학 사회와는 반대로, 과거에 하나로 연결되어 있던 대륙이 오늘날의 위치에 어떻게 도달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2 가지의 추상적 이론이 있다.
이것들은 1) the great-age & young-age 'Continental Drift Theory'
2) the great-age & young-age 'Expanding Earth Theory' 이다.
자, 학문적 자유의 정신으로 인내를 가지고, 그리고 마음을 열고, 당신의 선입견을 버리고, 출발하여 보자. 우리는 아래 두 이론의 '추상적이고, 종교적인' 요소와 마찬가지로 '지역적이고, 국소적인' 요소를 당신이 찾을 수 있도록 용기를 줄 것이다. 대륙 표류에 대한 젊은 연대의 창조론적 입장을 보려거든 여기를 클릭하시오.
http://www.icr.org/research/jb/largescaletectonics.htm
(http://www.icr.org/research/jb/largescaletectonicsfigures.ht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omniology.com/ContinentalDreamin'.html
출처 - The California Institute of Omniology
구분 - 2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42
참고 : 3964|4308|1420|1422|4276|4269|4283|4186|3909|2761|2505|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