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토의문제
1. 다윈에 의해 진화론이 주창되었을 때, 많은 비판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그 이후 급속도로 지식인 사회 및 일반에게 사실로 받아들여지게 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요? 그와 관련되어 어떠한 역사적/사회적 배경들이 영향을 주었을까요?
2. 기원과학이 참 과학인가?
과학을 정의해봅시다. 과학은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과학이라고 부를 수 있나요? 과학적 가설(scientific hypothesis)과 과학적 이론/법칙(scientific theory/law)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기원과학(origin science; 역사지질학과 진화론 등)이 과학적 이론에 해당될까요? 과학적 법칙인가요? 함께 토의해 보십시오. 또한 진화론이 과학(특히 생물학)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생각해봅시다.
흔히 통용되는 재현가능성(reproducibility)을 과학적 사실의 준거로 사용한다면 기원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들은 과학적 연구의 범주를 벗어납니다. 기원에 관한 논의들은 단지 재현이 불가능한 간접적인 증거에 기초한 추론내지 추측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3. 지나치게 부풀려진 진화론
과학자들(특히 생물학자들)은 왜 진화론에 대하여 의심하거나 포기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의 윌리암 뎀스키 박사의 글을 참조하여 이 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사고해 봅시다.
우리가 지적설계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진화론이 그 실제 내용에 비해 너무도 지나치고 과장되게 선전되고 가르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적설계는 이제 시작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진화론보다 과학적 논리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지적설계를 믿는 과학자들은, 의문을 억누르고, 교육을 붕괴시키고, 과학자들을 인본주의의 제사장으로 만들고, 지적설계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철저히 배제시키는 그러한 임의적 억압으로부터 과학을 구출해 내기를 원한다. 지적설계에 관한 증거를 검토해 보기도 전에 『오직 자연주의』라는 도그마(dogma) 때문에 그것을 거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지적설계가 옳은가 옳지 않은가는 과학적 연구에 의해서 결정되어야지 진화론으로 학설(doctrine)화 된 현 과학의 제도적 장치에 의해서 철저히 배제된다면 그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다.
- William Dembski -
4. 본분대로 삽시다
전도서 12:13에 보면,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사람의 본분이니라.” 라고 가르칩니다. 비행기는 하늘을 날고 젖소는 먹을 젖을 내는 것이 본분입니다. 비행기가 날지 못하고 젖소가 독 젖을 낸다면 더 이상 가치가 없게 됩니다. 곧 폐기되거나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 본분이란 자기 스스로가 좋은 대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만든자, 즉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즉, 비행기는 사람이 날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나는 것이고, 젖소는 창조주께서 먹을 젖을 내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창조주께서 사람들을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말씀을 지키며 살도록 지으셨습니다. 그것이 사람의 본분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본분과 소명대로 사는 사람이 됩시다. 하나님을 대적하여 진화론적 인본주의의 바벨탑을 쌓는 일에 동참하지 맙시다. 진리의 말씀을 연구하며, 묵상하며, 기도하며, 전하며,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본분대로 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향하여 전도서는 12장 14절에 다음과 같이 선포하며 그 끝을 맺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행위와 모든 은밀한 일을 선 악간에 심판하시리라.
[적용] 혹시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주의/인본주의의 바벨탑을 쌓는데 동조하고 있는 것이 있는지 각자 자신을 살펴봅시다.
[단원정리문제]
1. 다윈주의와 신다윈주의는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까?
2. 신다윈주의와 단속평형이론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3. 단속 평형이론이 진화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출현하게 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_____
4. 프랜시스 크릭 등의 과학자가 주장하는 생명의 우주 씨앗설/기원설 (directed panspermia)가 출현하게 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입니까?
5. 최근의 분자생물학계 진화론자들에 의해 주장된 “Out of Africa 이론”은 어떠한 면에서 성경과 일치하며 어떠한 점에서 다릅니까?
6. 분자생물학계에서 첨단의 측정방식이라고 주장하는 ‘분자시계’의 보정에 사용된 방법에 어떠한 문제점들이 있습니까? 왜 순환이론의 모순에 해당합니까?
7. 인간의 유전자 (Genome) 연구가 계속될 경우 어떠한 긍정적인 그리고 부정적인 측면들이 있겠으며, 만약 심각한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면 그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리스천들의 어떠한 운동이 필요할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8. 인간의 유전자 정보에 대한 지적 소유권 및 특허권이 잘못 사용될 경우 어떠한 비극적 결과들을 초래할 수 있겠습니까?
참고문헌
1) Modern Creation Trilogy (by Henry Morris & John Morris,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2) The Wedge of Truth (by Phillip Johnson, IVP, Inter Varsity Press)
3) 기원과학 (한국창조과학회, 두란노출판)
4) 기독교와 과학 (조덕영 저, 두루마리)
5) Precept Bible Study Material 『Genesis』
6) Evolutionism and Creationism (by Ben Sonder, 1999, Franklin Watts Pub.)
7) 인간 게놈의 창조자와 해독자 (한국창조과학회 이은일 교수 논문), 2000
8) Intelligent Design Coming Clean (by William Dembski), 2000 Digital Publishing Solutions Inc.
9) 자연과학 (한국창조과학회 편, 생능출판사), 1990
10) Refuting Evolution (by Jonathan Sarfati, 1999 by Answers in Genesis)
11) How now shall we live (by C. Colson & N. Pearsey) LifeWay Press, 1999
12) Grand Canyon, Monument to Catastrophe (1994 by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13) 진화론의 붕괴 (스콧 휴스 저, 정동수․유상수 역, 말씀과 만남)
14) The lie, Evolution (by Ken Ham, by Answers in Genesis)
15) Ready with an Answer (1997 by John Anderberg & John Weldon, Harvest House Publishers)
16) Various Papers and Articles from
●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www.icr.org
● Answers in Genesis: www.answersingenesis.org
● 한국창조과학회: www.kacr.or.kr
● Center for Scientific Creation: www.creationscience.com
● 과기원 창조론 연구회 RACS: www.racs.org
● ORIGINS (Intelligence Design): www.origins.org
● Discovery Institute, www.discovery.org
분류:기독교-세계관
출처:창세기 믿어 말어?
III. 토의문제
1. 다윈에 의해 진화론이 주창되었을 때, 많은 비판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그 이후 급속도로 지식인 사회 및 일반에게 사실로 받아들여지게 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요? 그와 관련되어 어떠한 역사적/사회적 배경들이 영향을 주었을까요?
2. 기원과학이 참 과학인가?
과학을 정의해봅시다. 과학은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과학이라고 부를 수 있나요? 과학적 가설(scientific hypothesis)과 과학적 이론/법칙(scientific theory/law)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기원과학(origin science; 역사지질학과 진화론 등)이 과학적 이론에 해당될까요? 과학적 법칙인가요? 함께 토의해 보십시오. 또한 진화론이 과학(특히 생물학)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생각해봅시다.
3. 지나치게 부풀려진 진화론
과학자들(특히 생물학자들)은 왜 진화론에 대하여 의심하거나 포기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의 윌리암 뎀스키 박사의 글을 참조하여 이 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사고해 봅시다.
- William Dembski -
4. 본분대로 삽시다
전도서 12:13에 보면,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킬지어다. 이것이 사람의 본분이니라.” 라고 가르칩니다. 비행기는 하늘을 날고 젖소는 먹을 젖을 내는 것이 본분입니다. 비행기가 날지 못하고 젖소가 독 젖을 낸다면 더 이상 가치가 없게 됩니다. 곧 폐기되거나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 본분이란 자기 스스로가 좋은 대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만든자, 즉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즉, 비행기는 사람이 날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나는 것이고, 젖소는 창조주께서 먹을 젖을 내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창조주께서 사람들을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말씀을 지키며 살도록 지으셨습니다. 그것이 사람의 본분입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본분과 소명대로 사는 사람이 됩시다. 하나님을 대적하여 진화론적 인본주의의 바벨탑을 쌓는 일에 동참하지 맙시다. 진리의 말씀을 연구하며, 묵상하며, 기도하며, 전하며,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본분대로 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향하여 전도서는 12장 14절에 다음과 같이 선포하며 그 끝을 맺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행위와 모든 은밀한 일을 선 악간에 심판하시리라.
[적용] 혹시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주의/인본주의의 바벨탑을 쌓는데 동조하고 있는 것이 있는지 각자 자신을 살펴봅시다.
[단원정리문제]
1. 다윈주의와 신다윈주의는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까?
2. 신다윈주의와 단속평형이론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3. 단속 평형이론이 진화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출현하게 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_____
4. 프랜시스 크릭 등의 과학자가 주장하는 생명의 우주 씨앗설/기원설 (directed panspermia)가 출현하게 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입니까?
5. 최근의 분자생물학계 진화론자들에 의해 주장된 “Out of Africa 이론”은 어떠한 면에서 성경과 일치하며 어떠한 점에서 다릅니까?
6. 분자생물학계에서 첨단의 측정방식이라고 주장하는 ‘분자시계’의 보정에 사용된 방법에 어떠한 문제점들이 있습니까? 왜 순환이론의 모순에 해당합니까?
7. 인간의 유전자 (Genome) 연구가 계속될 경우 어떠한 긍정적인 그리고 부정적인 측면들이 있겠으며, 만약 심각한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면 그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리스천들의 어떠한 운동이 필요할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8. 인간의 유전자 정보에 대한 지적 소유권 및 특허권이 잘못 사용될 경우 어떠한 비극적 결과들을 초래할 수 있겠습니까?
참고문헌
1) Modern Creation Trilogy (by Henry Morris & John Morris,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2) The Wedge of Truth (by Phillip Johnson, IVP, Inter Varsity Press)
3) 기원과학 (한국창조과학회, 두란노출판)
4) 기독교와 과학 (조덕영 저, 두루마리)
5) Precept Bible Study Material 『Genesis』
6) Evolutionism and Creationism (by Ben Sonder, 1999, Franklin Watts Pub.)
7) 인간 게놈의 창조자와 해독자 (한국창조과학회 이은일 교수 논문), 2000
8) Intelligent Design Coming Clean (by William Dembski), 2000 Digital Publishing Solutions Inc.
9) 자연과학 (한국창조과학회 편, 생능출판사), 1990
10) Refuting Evolution (by Jonathan Sarfati, 1999 by Answers in Genesis)
11) How now shall we live (by C. Colson & N. Pearsey) LifeWay Press, 1999
12) Grand Canyon, Monument to Catastrophe (1994 by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13) 진화론의 붕괴 (스콧 휴스 저, 정동수․유상수 역, 말씀과 만남)
14) The lie, Evolution (by Ken Ham, by Answers in Genesis)
15) Ready with an Answer (1997 by John Anderberg & John Weldon, Harvest House Publishers)
16) Various Papers and Articles from
●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www.icr.org
● Answers in Genesis: www.answersingenesis.org
● 한국창조과학회: www.kacr.or.kr
● Center for Scientific Creation: www.creationscience.com
● 과기원 창조론 연구회 RACS: www.racs.org
● ORIGINS (Intelligence Design): www.origins.org
● Discovery Institute, www.discovery.org
분류:기독교-세계관
출처:창세기 믿어 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