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히브리어/헬라어 참고의 중요성
성령님께서 한 단어 한 단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시므로 깊은 묵상과 연구를 위해서는 단어마다 그 의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히브리원어나 헬라어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King James Version의 각 단어마다 번호가 매겨져 있어서, 그에 해당하는 Greek(헬라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성구사전이 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21장에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세 번 물으시고 베드로가 그렇다고 세 번 대답합니다. 이 때 한글성경에서는 다 “사랑”으로 번역되었지만 실제로 예수님께서는 처음 두 번은 “아가페”(무조건적 사랑)로 물으시고 세 번째는 “필레오”(형제의 사랑)로 물으셨습니다. 이에 베드로는 세 번 다 “필레오”로 대답합니다. 이에서 어떤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차차 하고라도, 원어나 헬라어가 아닌 한글성경이나 영어성경에서는 외형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전혀 발견할 수 없습니다.
성경에서는 고린도전서 10:9, 출애굽기 17:2, 민수기 14:22, 시편 78:18, 시편 106:14, 사도행전 5:9등을 통하여 절대로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 것을 강조합니다. 그런데 말라기 3:10을 보면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고 되어있습니다. “하나님을 절대로 시험하지 말라는 성경이 이곳에서는 하나님을 시험하여 보라니 모순이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앞에서 보았듯이 성경 여러 곳에서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할 때의 시험하다(test, tempt)는 히브리어로 ‘나싸’(헬라어로 ‘페이라조’) 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말라기 3:10의 “나를 시험하여”는 원어 상으로는 ‘증명하다(prove)’의 히브리어 ‘바한’(헬라어 ‘도키마조’)입니다. 즉 원어 상으로 더 맞게 해석한다면 “나를 시험하여”는 “(너의 신앙을) 내게 증명하여”로 되어야 합니다. 이를 안다면 외견상 모순처럼 보였던 위의 성경구절들이 절대로 모순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에베소서 5:10 “주께 기쁘시게 할 것이 무엇인가 시험하여 보라.”에서도 ‘도키마조’가 쓰였는데, 그러므로 “시험하여 보라”는 “확인(입증)하여 보라”로 번역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참고로 영어 NIV성경에는 에베소서 5:10이 “find out what pleases the Lord”로 번역됨).
5) 주석과 관주 (Commentary and Concordance)
성경을 묵상할 때 주석(commentary)과 관주(concordance)를 참조하며 이해의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습니다. 주석(해설)은 될 수 있는 대로 자신의 개인적인 묵상이 끝난 후 참고로 읽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어진 주석으로 인하여 이미 자신의 시각이 고정되어, 하나님께서 특별히 나에게, 그리고 어떤 특별한 상황에서 들려주시는 음성을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주(concordance/chain-reference)는 성경의 각 내용 사이에서 구문과 구문, 단어와 단어가 어떻게 연관되어 그 의미가 전달되는지를 볼 수 있어, 본문의 좀 더 깊은 이해와 성경의 전체적인 맥을 잡아나가는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에 성경에 나오는 ‘창조’에 어떠한 의미들이 있는지 계속 관주를 통해서 찾아가다 보면, 다음의 세 가지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미 이루어진 자연계의 창조 창세기 1:1, 골로새서 1:16
● 일어나고 있는 창조(중생, 삶과 인격의 변화) 고린도후서 5:17, 갈라디아서 6:15
● 앞으로 일어날 새 창조 (새 하늘과 새 땅) 베드로후서 3:13, 요한계시록 21:1-5
창조에 관하여 위의 내용을 참조로 관주를 사용해가며 맥을 잡아가는 연습과 함께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십시오. (만약 Chain-reference English Bible 이나 English Concordance book이 있다면 Creation이라는 주제로 다시 시도해 보시고 전 내용과 비교하여 보십시오. 최근에는 또한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유용한 도구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류:기독교-세계관
출처:`성경적 세계관 세우기` 中
4) 히브리어/헬라어 참고의 중요성
성령님께서 한 단어 한 단어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시므로 깊은 묵상과 연구를 위해서는 단어마다 그 의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히브리원어나 헬라어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King James Version의 각 단어마다 번호가 매겨져 있어서, 그에 해당하는 Greek(헬라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성구사전이 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21장에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세 번 물으시고 베드로가 그렇다고 세 번 대답합니다. 이 때 한글성경에서는 다 “사랑”으로 번역되었지만 실제로 예수님께서는 처음 두 번은 “아가페”(무조건적 사랑)로 물으시고 세 번째는 “필레오”(형제의 사랑)로 물으셨습니다. 이에 베드로는 세 번 다 “필레오”로 대답합니다. 이에서 어떤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차차 하고라도, 원어나 헬라어가 아닌 한글성경이나 영어성경에서는 외형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전혀 발견할 수 없습니다.
성경에서는 고린도전서 10:9, 출애굽기 17:2, 민수기 14:22, 시편 78:18, 시편 106:14, 사도행전 5:9등을 통하여 절대로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 것을 강조합니다. 그런데 말라기 3:10을 보면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고 되어있습니다. “하나님을 절대로 시험하지 말라는 성경이 이곳에서는 하나님을 시험하여 보라니 모순이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앞에서 보았듯이 성경 여러 곳에서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할 때의 시험하다(test, tempt)는 히브리어로 ‘나싸’(헬라어로 ‘페이라조’) 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말라기 3:10의 “나를 시험하여”는 원어 상으로는 ‘증명하다(prove)’의 히브리어 ‘바한’(헬라어 ‘도키마조’)입니다. 즉 원어 상으로 더 맞게 해석한다면 “나를 시험하여”는 “(너의 신앙을) 내게 증명하여”로 되어야 합니다. 이를 안다면 외견상 모순처럼 보였던 위의 성경구절들이 절대로 모순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에베소서 5:10 “주께 기쁘시게 할 것이 무엇인가 시험하여 보라.”에서도 ‘도키마조’가 쓰였는데, 그러므로 “시험하여 보라”는 “확인(입증)하여 보라”로 번역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참고로 영어 NIV성경에는 에베소서 5:10이 “find out what pleases the Lord”로 번역됨).
5) 주석과 관주 (Commentary and Concordance)
성경을 묵상할 때 주석(commentary)과 관주(concordance)를 참조하며 이해의 깊이를 더해 갈 수 있습니다. 주석(해설)은 될 수 있는 대로 자신의 개인적인 묵상이 끝난 후 참고로 읽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어진 주석으로 인하여 이미 자신의 시각이 고정되어, 하나님께서 특별히 나에게, 그리고 어떤 특별한 상황에서 들려주시는 음성을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주(concordance/chain-reference)는 성경의 각 내용 사이에서 구문과 구문, 단어와 단어가 어떻게 연관되어 그 의미가 전달되는지를 볼 수 있어, 본문의 좀 더 깊은 이해와 성경의 전체적인 맥을 잡아나가는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에 성경에 나오는 ‘창조’에 어떠한 의미들이 있는지 계속 관주를 통해서 찾아가다 보면, 다음의 세 가지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미 이루어진 자연계의 창조 창세기 1:1, 골로새서 1:16
● 일어나고 있는 창조(중생, 삶과 인격의 변화) 고린도후서 5:17, 갈라디아서 6:15
● 앞으로 일어날 새 창조 (새 하늘과 새 땅) 베드로후서 3:13, 요한계시록 21:1-5
창조에 관하여 위의 내용을 참조로 관주를 사용해가며 맥을 잡아가는 연습과 함께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십시오. (만약 Chain-reference English Bible 이나 English Concordance book이 있다면 Creation이라는 주제로 다시 시도해 보시고 전 내용과 비교하여 보십시오. 최근에는 또한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유용한 도구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류:기독교-세계관
출처:`성경적 세계관 세우기`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