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미디어위원회
2004-07-26

과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깨뜨리다! 

(Eureka! Scientists break speed of light!)


      과학자들이 최대의 속도 장벽인 빛의 속도를 깼다고 주장했다.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입자 물리학자들은 빛의 파동(pulses)이 빛의 정상적인 속도인 초당 186,000 마일의 300 배까지 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속도처럼 이 의미는 믿기 어려울 만큼 놀랍다. 하나의 해석으로, 그것은 빛이 여행을 시작하기 전에 거의 목적지에 도착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그것은 시간을 앞쪽으로 뛰어 넘는다는 것이다.

이 발견에 대한 정확한 설명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공식적인 발표를 하기 전에 국제적인 과학 잡지인 Nature 지에 검토를 위해 제출되었기 때문이다.

이 작업은 특별히 처리된 세슘 가스로 가득 채워진 챔버에서 빛을 투과시켰던 프린스턴의 NEC 연구소의 Lijun Wang 박사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펄스가 챔버로 충분히 들어가기 전에, 그것은 챔버를 통과하여 즉시 나갔고, 실험실을 가로질러 18 m를 더 멀리 여행했다. 사실상, 그것은 한 번에 두 장소에 존재했다. Wang은 펄스가 빛보다 300 배는 빠르게 여행했다고 말함으로서 그 현상을 설명했다.

이 연구는 벌써 물리학자들 간에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들을 괴롭히는 것은 만일 빛이 시간 앞쪽으로 여행할 수 있는지, 그것이 정보를 나를 수 있는 지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물리학에서 가장 기초적인 원리 중의 하나인 인과율(causality)을 위반하는 것이다. 즉, 원인(cause)은 결과(effect) 이전에 발생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산산이 부수어 버릴 것이다. 왜냐하면 상대성 이론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것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이다. Wang은 자세한 것은 말할 수 없지만 확신한다고 말했다. ”빛의 파동은 허락된 빛의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여행했었다. 나는 그것이 우리에게 빛의 성질과 빛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훨씬 많은 이해를 줄 수 있으리라 희망한다.”

Wang의 작업에 정통한,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물리학 교수인 Raymond Chiao 박사는 그 발견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것은 매력적인 실험입니다.” 그는 말했다.

이탈리아에서 또 다른 물리학자들이 빛의 속도 장벽을 깨뜨리는데 성공하였다. 새로이 출판된 논문에서 이탈리아 국립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은 빛의 속도보다 25%가 빠른 극초단파(microwaves)를 어떻게 증식시켰는지를 기술하고 있었다.

이 분야의 전문가인 쾰른 대학의 Guenter Nimtz 박사는 동의하였다. 그는 정보가 빛보다 빠르게 보내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지난 주 에딘버러 회의에서 어떻게 그것들이 행해졌는지를 기술한 논문을 주었다. 그러나 그는 이것이 인과율의 원리를 깨뜨리지 않을 것으로 믿고 있다. 왜냐하면 신호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때문에 절약해 놓았던 모든 것들을 써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적용은 시간 여행이 아니라, 컴퓨터 전자회로를 통하여 움직이는 시그날 전송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라고 그는 말했다.

Wang의 실험은 가장 최신의 것으로 물질계(physical world)가 기존에 허락된 관례에 따라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장 중요한 증거이다. 현대 과학이 인지하기 시작한 새로운 세계에서, 아원자 입자들(sub-atomic particles)은 분명히 공간과 시간 사이에 구별 없이 동시에 두 장소에서 존재할 수 있다.

Chiao에 의해 수행된 분리된 실험은 이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는 어떤 환경에서 빛을 만드는 입자인 광자(photons)가 제로 시점에서 장벽에 의해서 분리된 두 지점 사이를 분명히 점프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터널링(tunneling)으로 알려진 이 과정은 가장 민감한 전자현미경 중의 일부를 만드는데 사용되어왔다.

Wang의 실험의 의미는 격렬한 토론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그의 작업이 빛이 그 정상 속도를 초과할 수 있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 있을지도 모르는 또 다른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는 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것이다.

캠브리지 대학의 수리 물리학 교수인 Neil Turok는 흥미를 갖고 상세한 사항을 기다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음의 말을 덧붙였다. ”나는 이것이 물리학의 기초 법칙들에 대한 우리들의 견해를 바꿀 것인 지에 대해서는 의심스럽다.”

Wang은 그의 실험이 단지 빛에 관련되고, 다른 물리적 실체에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결국에는 성간 우주여행에 이러한 몇몇 특성들을 개발할지도 모른다라는 것을 인정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면, 진화와 창조라는 형이상학적인 과학을 위해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진화론과 '오래된 연대 창조론'은 문자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두 개의 교리적인 '신념의 기둥'에 기초하고 있다.

첫째, ”물리학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과거의 열쇠이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특히 빛의 속도는 깨지지 않는 ”물리학의 법칙” 이라는것이다.

둘째, 모든 방사성 연대측정 방법들은 ”의심없이 신뢰할 만하며, 아무런 오염도 일어나지 않았고, 변경될 수도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지구와 우주의 나이가 수십억 년이 되었다는 그들의 추상적인 이론을 '입증하고' 있다는 그들의 '두 가지 계명 (Two Commandments)' 이다.

'젊은 연대 창조론'은 성경을 기록된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하나의 교리적인 '신념의 기둥' 에 기초하고 있다. ”과거에 대한 성경적인, 역사적인 기록은 현재를 이해하는 열쇠이다.”그리고 ”경험적인 과학적 방법 (Empirical Scientific Method)” 만이 유일하게 합법적이며, 추상적인 과학을 테스트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도구라는 것이다.

오래된 연대 주장자들의 '제 2 계명'은 '경험적인 과학적 방법들'을 사용하는 일반과학자들에 의해서 '단호하게 오류' 라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의 연구는 ”제 1 계명'이 분명한 오류일 가능성을 말하고 있으며, 그것은 또한 '젊은 연대 창조론'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젊은 연대 창조론은 ”하루 24 시간의 6 일간 창조” 라는 성경적인 믿음을 견지하고 있다. 형이상학적으로, 태양, 달, 별들은 4 일째에 창조되었다. 그리고 식물과 채소는 3 일째에 창조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빛이 광합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발광체에서 지구에 23시간 59분 이내에 도달되는 것이 요구된다.

성경에 기록된 바와 같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사람은 오래된 연대의 진화론, 오래된 연대의 창조론의 제 1계명을 '창조적으로' 변경하여 왔다. 창조주 하나님이 사람을 포함하여 전 물리적 우주를 24 시간의 6 일 동안 창조하셨다고 믿는, 젊은 연대 창조론은 더 이상 비합리적이지도 않고, 비과학적이지도 않다.      

형이상학적인 진화와 창조는 전적으로 과학자들이 믿고있는 가설과 이론들의 기초를 세우기 위해 사용된 '종교적 주의들(religious doctrines)' 로서 그들의 종교관을 지지한다.

관찰과 실험에 의해서 입증되는 '경험적인 과학적 방법 (Empirical Scientific Method)'은 어떠한 '과학적 주의들'이 인류에 유익하고 실용적 가치를 위해 옳은지, 또는 오류인지를 밝히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도구이다.


*참조 : Physicists Slow Speed of Light (Harvard Gazette, 1999. 2. 18)

https://news.harvard.edu/gazette/story/1999/02/physicists-slow-speed-of-light/

Slowing The Speed Of Light (CBS News, 1999. 2. 19)

https://www.cbsnews.com/news/slowing-the-speed-of-light/

Scientists Slow Down Speed of Light (ABC News, 2001. 2. 19) 

https://abcnews.go.com/Technology/story?id=99111&page=1

Danish physicist stores light, moves it around, and makes it reappear(Science Nordic, 2014. 10. 17)

https://sciencenordic.com/computers-denmark-light/danish-physicist-stores-light-moves-it-around-and-makes-it-reappear/1408618

Scientists slow the speed of light (BBC News, 2015. 1. 23)

https://www.bbc.com/news/uk-scotland-glasgow-west-30944584

Physics : Speed of Light Could Be Brought to a Complete Stop By Trapping Particles Inside Crystals (Newsweek, 2018. 2. 1)

https://www.newsweek.com/physics-speed-light-stop-trapping-particles-inside-crystals-796385

Is the speed of light slowing down? (Big Think, 2018. 3. 25)

https://bigthink.com/surprising-science/is-the-speed-of-light-slowing-down/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omniology.com/BrokenSpeedOfLight.html

출처 - The California Institute of Omniology

미디어위원회
2004-07-26

진화론자들은 우주의 나이를 얼마라고 말하는가? 

: 구상성단과 시간 

(How Old Do Evolutionists Say The Universe Is?)

Walt Brown 


   1920년대 말, 진화론자들은 우주의 나이를 20억 년으로 생각했다. 후에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 지구의 암석들은 훨씬 오래된 나이로 측정되었다.1 분명히 우주의 한 부분이 우주 자체의 나이보다 오래될 수는 없었다. 이 불합리한 점은 우주의 나이를 늘림으로서 곧 제거되었다.

비슷한 문제들이 지금 널리 인정되고 있다. 만일 빅뱅이 일어났다면, 그것은 137억 년 전에 일어났다. 만일 별들이 진화했다면, 아래의 구상성단의 별들과 같은 몇몇 별들은 160억 년이 되었다.2 분명히 별들의 나이가 우주의 나이보다 오래될 수는 없다.

그림 41 : 구상성단(Globular Cluster).  구상성단은 1만~100만 개의 별들이 매우 촘촘히 구형으로 뭉쳐져 있다. M13 이라고 불리는 이 구상성단은 2만2천 광년 떨어져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찰되는 먼 은하들은 비슷한 문제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빅뱅이 일어났다는 가정에 기초하면, 그들의 나이는 우주의 나이를 초과한다.3

여기에 이런 종류의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우주의 나이가 100억 년이 되었다고 생각하여 보자. 이러한 긴 기간도 극도로 먼 거리에 있는 별과 은하가 생성되고, 지구로 그 빛을 보내기에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먼 별들로부터 온 빛은 그 별들에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화학적 원소들(탄소, 철, 우라늄 등과 같은)을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빅뱅은 단지 기본적인 수소와 헬륨으로 일어났다고 보기 때문에, 첫 세대의 별들은 어떠한 무거운 화학 원소들을 가지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진화론자들은 우주에 있는 거의 모든(97%) 화학 원소들은 나중에 초신성으로 폭발하는 별들의 내부에서 만들어졌다고 믿고있다. 그리고 훨씬 후에 폭발한 찌꺼기로부터 두 번째 세대의 별들이 형성되었다고 추정한다. 이것이 우리가 무거운 원소들을 가진 것으로 보게되는 첫 번째 별들이다.

만약 빅뱅이 발생했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일어날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만 한다.

a) 첫 번째 세대의 별들의 생성.
b) 그러한 많은 별들이 별들의 일생을 보내고, 마지막으로 초신성으로 폭발하여, 더 무거운 화학 원소들을 생산한다.
c) 폭발한 찌꺼기들이 두 번째 세대의 별들을 형성하기 위해 어느 정도 충분해져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라. 일부는 태양의 수십억 배 무게를 가진, 블랙홀에 의해서 동력을 얻게 되었다고 생각되는 퀘이사(quasars)들이다.4
d) 이러한 무거운 원소들로부터 빛이 출발하여 지구까지 광대한 거리를 이동한다.

몇몇 새롭고 정교한 집광(light-gathering) 기기들은 과학자들에게 극도로 먼 곳의 은하들과5무거운 원소들로 둘러싸인 퀘이사들의 발견도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에 기록된 극도로 먼 거리의 은하는 중심에 퀘이사를 가지고 있는 은하로6, 만약 빛의 속도가 일정했다면, 별빛이 우리에게 도착하기 위해서 우주 나이의 94 %를 소모했을 것이다.

이것은 우주 나이의 단지 6 % 안에 진화론자들이 일어났다고 믿고있는 사건들(위에서 a-c 과정)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100억 년의 우주 나이에서 단지 6억 년 안에 이 모든 과정이 일어나야 하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a-c의 그러한 느린 과정들이 모두 일어났다면, 그것들이 매우 빠르게 일어났을 것으로 믿는 천문학자들은 거의 없다.7

진화론자들은 틀림없이 자신들이 소중히 여겼던 믿음들을 포기하는 대가를 치르면서, 이러한 시간에 대한 모순점을 해결할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빛의 속도가 과거에는 훨씬 빨랐었다는 가능성을 받아들일 것이다. (이러한 혁명적인 생각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이미 존재한다. 홈페이지 자료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빛을 보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는 수십억 년 된 것이 아닌가?” 참조). 아마도 그들은 빅뱅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거나, 무거운 원소들이 첫 세대의 별들에서부터 어느 정도 있었다거나, 적색편이는 항상 후퇴속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그리고 별들의 진화는 발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결론을 내릴 것이다.

많은 증거들이 이러한 생각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모든 것이 최근 창조와 일치한다.

이러한 모순을 알고있는 진화론자들은 매우 적다. 그러나, 더 강력한 망원경이 우주의 훨씬 먼 곳까지 볼 수 있게 된다면, 이 문제들은 더 악화될 것이고,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만약 과학자들이 기대하고 있는 대로, 더욱 먼 거리에 있는 별과 은하들에서 무거운 원소들이 발견된다면, 우주의 나이에 대한 문제는 더 이상 소수의 진화론자들에게만 비밀일 수는 없을 것이다.8

 

*참조 : The Age of the Universe, Part 1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tba/age-of-the-universe-1

The Age of the Universe, Part 2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tba/age-of-the-universe-2

  

References and Notes 

1. Arthur N. Strahler, Science and Earth History (Buffalo, New York: Prometheus Books, 1987), pp. 102, 129.
2. Ivan R. King, 'Globular Clusters,” Scientific American, Vol. 252, June 1985, pp. 79-88.
3. Robert C. Kennicutt Jr., 'An Old Galaxy in a Young Universe,” Nature, Vol. 381, 13 June 1996, pp. 555-556.
*James Dunlop, 'A 3.5-Gyr-Old Galaxy at Redshift 1.55,” Nature, Vol. 381, 13 June 1996, pp. 581-584.
4. 'The daunting problem for theories of structure formation in the Universe is to understand how such huge black holes [3 billion solar masses] and the vast reservoirs of gaseous fuel were assembled so soon after the Big Bang ... .” Edwin L. Turner, 'Through a Lens Brightly,” Nature, 27 June 2002, p. 905.
5. Ohta et al., 'Detection of Molecular Gas in the Quasar BR 1202-0725 at Redshift z = 4.69,” Nature, Vol. 382, 1 August 1996, pp. 426-431.
*James Glanz, 'CO in the Early Universe Clouds Cosmologists’ Views,” Science, Vol. 273, 2 August 1996, p. 581.
6. Ron Cowen, 'Newfound Galaxy Goes the Distance,” Science News, Vol. 157, 27 May 2000, p. 340.
7. Jeff Kanipe, 'Galaxies at the Confusion Limit,” Astronomy, December 1988, pp. 56-58.
*R. F. Carswell, 'Distant Galaxy Observed,” Nature, Vol. 335, 8 September 1988, p. 119.
8. Dietrick E. Thomsen, 'Farthest Galaxy Is Cosmic Question,” Science News, Vol. 133, 23 April 1988, pp. 262-263.
*M. Mitchell Waldrop, 'The Farthest Galaxies: A New Champion,” Science, Vol. 241, 19 August 1988, p. 905.
*Dietrick E. Thomsen, 'Galaxies in a Primitive State,” Science News, Vol. 133, 23 January 1988, p. 52.
*M. Mitchell Waldrop, 'Pushing Back the Redshift Limit,” Science, Vol. 239, 12 February 1988, pp. 727-728.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cience.com/onlinebook/FAQ117.html#wp1573636

출처 - CSC

미디어위원회
2004-07-26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빛을 보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는 수십억 년 된 것이 아닌가?

Walt Brown 


      우리가 흔히 듣게되는 이러한 질문의 근거에는 몇 가지의 숨겨진 가정들(assumptions)이 있다. 아마도 가장 의문스러운 가정은 ‘별빛은 항상 같은 속도로 여행해 왔다’ 라는 것이다. 정말 그럴까? 빛의 속도는 초당 18만 6천마일, 초당 299,792.458 km로 항상 일정했을까? 한 간단한 실험이 역사적으로 있었던 광속에 관한 측정들을 비교했다.

 

역사적인 계측 (Historical Measurements)

과거 300여년 동안, 광속에 대한 측정은 적어도 164 회에 걸쳐 독립적으로 실시되어 문헌화되어 보고되었다. 16 종류의 각각 다른 측정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호주의 천문학자인 Barry Setterfield 는 이 측정들에 대해 연구를 수행했고, 특히 그들 측정방법들의 정밀도와 실험 오차를 연구했다.1 그의 결과에 의하면, 분명히 광속은 실험적인 오차로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수년동안 같은 과학자들이 같은 실험장비로 광속을 측정했던 7 번의 예에서 빛의 감소는 항상 보고되었다. 감소 정도는 보고된 실험 오차들보다 자주 몇 배나 컸다. 나는 그 정확도에 따라 각 측정의 비중(또는 유의성)에 대해 다른 분석들을 수행했다. 심지어 통계학적으로 정확도의 오차범위를 엄밀히 고려하여 보면, 광속이 일정했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2

M.E.J. Gheury De Bray는 1927 년 프랑스 천문학 잡지에 공식적으로는 처음으로 광속의 감소에 대해 제안했다.그의 결론은 75 년 간의 측정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후에, 그는 더욱 확신을 하게 되었고, 그의 결과는 두 번이나 세계적 권위의 과학 학술지인 Nature 지에 실리게 되었다.4  그는 강조했다. '만일 광속이 일정하다면, 어떻게 새로운 측정결과들은 마지막에 얻어진 결과보다 항상 적은가.....광속의 감소를 지지하는 22 번의 결과들이 있었다. 반면에 그것에 반하는 결과는 한 번도 없었다.' 5

측정된 빛의 속도가 과거 3 세기 동안 약 1% 정도 감소되었다 할지라도, 그 감소는 통계학적으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측정 기술은 수천 배의 더 작은 변화도 측정해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오래 전에 행해졌던 측정들은 큰 오차를 가질 수는 있지만, 데이터가 보여주고 있는 경향은 매우 놀랄만한 것이었다. 빛의 속도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가속율을 가지고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 수학적 곡선이 과거 3 세기 동안의 자료들에 적합한 것처럼 보인다. 이 곡선을 먼 과거까지 적용한다면, 빛의 속도는 너무 빨라서, 상상컨대 먼 은하로부터의 빛이 수천년 안에 지구에 도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과학적 법칙은 빛의 속도가 항상 일정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6 많은 이들은 오래된 사고를 바꾼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한다. 러시아의 우주 과학자로 Gorky에 있는 방사물리연구소의 V.S. Troitskii 는 몇몇 오래된 믿음들에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Setterfield 와는 독립적으로, 광속은 태초에 100 억 배는 빨랐었다고 결론지었다.7 더 나아가 그는 우주배경복사(cosmic background radiation)와 대부분의 적색편이(redshifts)들은 광속이 빠르게 감소함으로서 기인한다고 하였다. Setterfield는 다른 방법으로 적색편이에 관하여 같은 결론에 도달했었다. 만약 Setterfield 나 Troitskii 둘 중에 하나라도 옳다면, 빅뱅 이론은 큰 폭발과 함께 날아가 버릴 것이다.

다른 우주 학자들도 광속의 거대한 붕괴를 제안하고 있는 중이다.8 만일 빛이 한때  수백만 배로 빠르게 여행했었다면 많은 이론상의 문제들이 해결된다.9  

그림 138 : 원자 시계.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에 있는 이 원자시계는 NIST-7 이라고 불린다. 이 시계는 600 만년에 1초 정도의 오차를 보이는 시계이다. 새로 개발된 NIST F-1이라고 불려지는 시계는 절대 영도 근처로 냉각하여 원자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서 3 배정도 정밀성을 높였다. 원자시계의 극단적인 정밀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진실된(true) 시간에 대해 전혀 오차가 없다고 보장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는 원자시계의 정밀성에는 놀랄 수 있지만, 그러나 그것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다. 


원자시간 대 궤도시간 (Atomic vs. Orbital Time). 

왜 빛의 속도는 감소하는 것일까? 미국 해군관측소에서 근무하는 T.C. Van Flandern는 원자시계가 궤도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10 궤도시계는 천체 궤도, 특히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하는 일년 주기에 기초를 두고 있다. 1967년 이전에, 1초의 길이는 지구가 태양궤도를 공전하는 기간의 1/31,556,925.9747로서 국제적으로 정해졌다. 원자시계는 세슘-133 원자의 진동 주기에 기초를 두고 있다. 1967년에, 1초는 세슘-133 원자의 9,192,631,770 진동으로 다시 정해졌다. Van Flandern는 만일 원자 시계가 ‘정확’ 하다면, 수성, 금성, 화성의 궤도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중력 '상수(constant)'는 변화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궤도시계가 정확하다면, 중력상수는 정말로 일정하고, 원자진동과 빛의 속도는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시계 사이의 편차는 1 년에 단지 십억분의 몇 정도이다. 그러나 계측의 정밀도는 너무도 좋아서 편차는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 궤도시계가 정확히 맞는 것처럼 보이며, 아마도 원자진동수가 매우 천천히 느려지고 있다는 4 가지 이유가 있다.

1) 만약 원자시계와 Van Flanderns 연구가 맞는다면, 중력 상수(the gravitational constant)도 변화되어야 한다. 통계학적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찾아내지 못했다.

2) 만약 행성의 궤도속도가 증가한다면 (그리고 모든 다른 궤도변수들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면), 그 에너지는 증가하여야만 한다. 이것은 질량-에너지 보존 법칙을 위반하는 것이다.

3) 만약 원자시간이 느려진다면, 원자들의 방사성 붕괴에 기초한 시계들도 또한 느려져야만 한다. 방사성 연대측정 방법들은 매우 오랜 연대를 나타냈을 것이다. 이것은 방사성 시계들의 대부분이 다른 연대측정 시계와 함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최초의 동위원소들이 5000 만년 보다 적은 반감기를 가지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한 동위원소들은 방사성 붕괴율이 매우 컷을 때에 붕괴되어 버렸던 것이다.11

4) 만약 원자의 진동수가 감소하고 있다면, 플랑크 상수와 같은 원자의 5 가지 ‘특성들(properties)’도 또한 변화되어야만 한다. 과거 4-5번의 계측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는 정확히 이러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12

그래서 궤도시계는 극도로 정밀한 원자시계보다 더 정확한 것처럼 보인다.13

우리들 대부분은 Setterfield 의 초기 주장에 회의적이었다. 왜냐하면 광속의 측정시 나타나던 감소 경향은 1960년 이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만약 이전 3 세기 동안에 있었던 광속의 감소 경향이 계속되었다면, 측정기술은 충분히 정확하였기 때문에, 1960 년 이후 광속의 어떠한 감소도 찾아낼 수 있었을 것이다. 후에 Setterfield는 1960 년대가 시작되면서 원자시계가 광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만약 원자 진동수가 감소하고 있었다면, 측정대상(광속)과 측정도구(원자시계)가 같은 율로 변화되고 있었을 것이다. 당연히 어떠한 상대적인 변화도 발견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빛의 속도는 원자 시간과는 일치했을 것이나, 궤도시계와는 아니었을 것이다.


오해들 (Misconceptions).

광속이 감소한다는 것은 자주 ‘광속은 불변하다’ 라고 말했다는 아인슈타인의 말과 충돌하는가? 그것은 그렇지 않다. 아인슈타인은 ‘광속은 광원의 속도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라고 말했을 뿐이다. Setterfield는 광속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한다고 말한다. ‘광속은 광원의 속도에 대해 무관하다(the speed of light is independent of the velocity of the light source)’ 는 아인슈타인의 말은 아인슈타인의 2번째 가정 (Einstein's Second Postulate) 이라 불린다.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아인슈타인이 광속은 시간에 대해 일정하다’ (the speed of light is constant over time) 라고 말했다고 오해하였다. 아인슈타인의 2 번째 가정은 놀라운 것이었다.

빠르게 달려가는 기차 앞쪽 방향으로 공 하나를 던졌을 때, 지상에 있는 관측자에게는 이것은 반대 방향에서 던진 것보다 더 빠를 것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던진 공의 예에서는 그것이 사실이지만, 빛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님이 많은 실험적 증거들로 나타나고 있다.14

빠르게 움직이는 기차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모든 방향으로 똑 같은 속도로 퍼져 나갈 것이다. 빛의 이 이상한 성질은 더 광범위한 상대성 이론을 이끌어냈다.15   

몇몇 사람들은 젊은 우주에서 먼 별들을 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또 다른 설명을 하고있다.

그들은 하나님이 지구와 각 별들 사이에 빛의 광선을 만들었다 라고 생각한다. 물론, 창조는 즉각적으로 완벽한 것들로 만들어졌다. 수초 후에 그들은 성숙한 모습을 보게되었다. 이것은 ‘성숙한 모습으로의 창조(creation with the appearance of age)‘ 라고 불려진다. 그 개념은 건전하다. 그러나 별빛에 대해서는 두 가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1) 밝게 폭발하는 별들은 ‘초신성 (supernovas)‘ 이라고 불려진다. 만약 초신성으로부터의 별빛이 지구로 가는 도중으로 창조되었다면, 그 빛은 폭발하는 별의 표면에서 기원되지 않았다. 그러면 무엇이 폭발했는가? 만약 폭발 장면이 빛의 광선에 의해서 창조되었다면, 별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폭발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면 결코 일어나지 않은 어떤 것의 모습은 왜 주어졌는가? 또한 지구 근처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광선이 창조되었어야만 한다. 이것은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2) 모든 고온의 기체들은 독특한 일련의 색들을 방사하는데, 그것을 방사 스펙트럼(emission spectrum) 이라 부른다. 각각의 별을 둘러 싸고있는 가스들은 가스의 화학적 구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색을 띠고 있다. 모든 별빛은 방사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별빛이 춥고 텅 빈 우주공간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별로부터 기원했음을 강하게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별빛의 각 광선은 다른 정보들, 예를 들어 별의 회전율, 자기장, 표면온도, 별과 지구 사이에 있는 차가운 가스들에 대한 화학적 조성과 같은 정보들을 운반하고 있다. 물론 하나님은 이 빛의 광선 안에 모든 정보를 담아서 창조하실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의문은 '하나님이 그것을 하실 수 있느냐? 가 아니라, ”하나님이 그것을 했느냐?' 이다.

그러므로, 별빛은 텅빈 우주공간에서가 아니라, 별의 표면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39 : Hubble Deep Field North.

1995 년 진화하는 은하를 찾기 위해 허블 우주 망원경을 10 일 동안 팔 길이 정도에 모래알 크기의 수많은 은하들이 있는 하늘의 한 작은 부분에 초점이 고정되었다. 하늘의 이 작은 부분의 사진은 Hubble Deep Field North 라고 불려진다. 그 안에 관측되는 것들은 개개의 별이 아니라, 수십억 개의 별들을 가지고 있는 은하이다. 사진에 찍혀진 3,000 개의 은하들은 그들의 적색편이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별빛들을 방출했다. 이것들은 먼 거리로 측정되었고, 모두는 놀랍게도 성숙한 것처럼 보였다.     Scientific American에서 언급됐던 것처럼, 보통의 나선 은하들과 타원 은하들의 형태는 분명히 적색편이의 조사 영역 밖이었다.16 더군다나 완전히 형성된 은하들의 성단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인 것으로 보인다.17 1998 년에 비슷한 사진이 Southern Hemisphere 에서 얻어졌는데,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은하들의 성단을 구성하는 모든 입자들을 중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시간을 갖는 데에는 우주의 나이로는 충분하지 않다 (진화론자들이 그것을 10 억년으로 상상한다 할지라도).18 왜냐하면 은하들의 성단들은 언제나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허블 사진은 은하의 형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창조는 논리적이며 분명한 선택이 되는 것이다. 광대한 시간은 더 이상 필요 없다.  

 

놀라운 관측들 (Surprising Observations).

먼 별들이나 은하들로부터의 별빛은 적색으로 편이(redshift) 되고 있다. (그들의 빛은 기대하는 것보다 더 붉게 나타난다). 다른 해석들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적색편이는 기차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질 때 기적소리가 낮아지는 것처럼 파동의 영향(wave effect)으로 해석하여 왔다. 파동의 발생장소(기차나 별)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짐으로서, 파동은 늘어나고, 높은 소리는 낮아지며, 색깔은 붉어지게 된다. 별들과 은하의 적색편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것은 우리들로부터 빠르게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왔다.

1976년 이후 아리조나 대학의 천문학자인 William Tifft 는 먼 별과 은하들의 적색편이들은 단지 고정된 양(정도)에 의해서 서로 다르다고 하였다.19 만약 별들이 우리들로부터 실제적으로 멀어지고 있다면, 이것은 매우 이상한 것이었다. 이것은 마치 은하가 어떤 특정한 속도로 여행하다가, 갑자기 속도가 점프되어 중간 속도를 거치지 않고,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만약 별들이 빠른 속도로 우리로부터 멀어지지 않는다면, 빅뱅이론은 우주론 분야에서 관련된 다른 많은 믿음들과 같이 틀렸음이 분명하다. 처음에 Tifft의 결과를 믿지 않던 다른 천문학자들도 비슷한 작업들을 하게 되었고, 똑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모든 원자는 고정된 양으로 작은 에너지의 묶음들(quanta, 양자 라고 불림)을 내어놓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래서 Setterfield는 많은 사람들이 묘사하고 있는 '적색편이의 양자화 (quantization of redshifts)”는 이상한 후퇴 속도의 영향이 아니라, 원자의 영향(atomic effect)으로 믿고있다. 만약 우주가 방출된 모든 빛 에너지를 천천히 흡수한다면, 이것은 고정적인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이것은 별빛의 적색편이를 가져오고, 가장 먼 별빛은 가장 큰 적색편이를 보일 것이다. Setterfield는 이것과 광속의 감소를 함께 조화시키는 이론을 지금도 연구하고 있다. 만약 그가 옳다면, 몇몇 특별히 먼 은하들의 적색편이들은 갑작스런 감소를 일으킬 것이다. 이것은 두 개의 분명히 구별되는 적색편이들이 여러 개의 잘 연구된 은하들에서 각각 관찰되어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20그 밖의 전형적인 은하들은 떨어져서 여행하지 않는다. 

또 다른 놀라운 관측은 대부분의 먼 은하들은 놀랍게도 가까이에 있는 은하들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은하들은 완전히 발달되어 있고, 진화의 표시(signs)를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천문학자들에게 수수께끼이다.21 만약 광속이 극적으로 감소했다면, 이러한 먼 거리에 있으면서도 성숙한 은하는 더 이상 설명할 수가 없다. 또한 먼 은하에서 출발한 빛은 은하를 출발한 후 오래되지 않아 지구에 도착하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회전되어 비틀린 정도가 가까이 있는 은하나 먼 은하나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실제 사실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140을 보시오)

그림 140 : 나선 은하들 (Spiral Galaxies).


이 6 개의 대표적인 나선 은하의 팔들은 비틀린 정도가 거의 같다. 지구와 은하들과의 거리는 광년으로 표시되는데, 1 광년(빛이 1년 동안 여행한 거리)은 5,879,000,000,000의 마일과 같다. 오늘밤 지구에 은하의 빛들이 도착하기 위해서는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는 가까운 은하보다 오래 전에 빛들을 방출시켜야만 했다. 그러므로,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는 그들의 팔이 비틀어지는 시간을 많이 갖지 못했다. 반대로, 더 가까운 은하는 훨씬 더 비틀어져 있어야 한다. 물론, 만일 빛의 속도가 과거에 100만 배나 빨랐다면, 가장 먼 은하라도 가까운 은하에 비해 그들의 빛을 그렇게 일찍 방출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선 은하의 비틀림 정도는 비슷해야만 한다. 이것은 여러 경우에서 입증되었다. 사진 속의 은하는 다음과 같다. A)M33 or NGC598 (200만 광년),  B)M101 or NGC5457 (1800만 광년),  C)M51 or NGC5194 (2500만 광년),  D)NGC4559 (3200만 광년),  E)M88 or NGC4501 (6500만 광년), F)NGC 772 (1억600만 광년). 모든 거리는 R. Brent Tully가 쓴 Nearby Galaxies Catalo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에 적혀있는 것으로 하였다.


임계시험 (A Critical Test).

만약 빛의 속도가 백만 배나 감소된다면, 우리는 바깥 은하의 사건들을 극도의 느린 동작으로 관측하고 있는 것이 된다. 여기에 그 이유가 있다. 빛의 속도가 오늘날에 비해 1백만 배나 빨랐을 때의 먼 과거를 상상해 보자. 지구로부터 수십억 광년 떨어진, 한 이론적 행성에서 빛이 지구를 향하여 매초 마다 번쩍이며 출발했다. 각 섬광은 지구로의 매우 긴 여행을 시작했다. 빛의 속도가 오늘날에 비해 1 백만 배나 빨랐었기 때문에, 그 최초의 섬광은 오늘날의 빛의 속도가 가는 거리의 1백만 배의 거리를 여행한다. 자, 수 천년 후에, 우주를 통과하면서 빛의 속도가 오늘날의 속도로 느려졌다고 상상해보자. 긴 줄에 구슬이 꿰어져 미끌어 떨어지듯 첫 번째 빛의 섬광은 지구에 도착하게 된다. 인접한 섬광들을 분리시킨 먼 거리는 수천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왜냐하면 움직이는 섬광들은 같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지구와 부딪치는 처음의 섬광은 너무 먼 곳에서 여행해 왔기 때문에, 그들은 지구에 백만 초에 한 번씩 부딪칠 것이다. 다른 말로 해서, 우리는 그 빛을 보낸 행성의 과거를 매우 느린 동작으로 보게되는 것이다. 만약 빛의 속도가 창조 이후에 감소되어져 왔다면, 우리가 보는 우주가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더욱 극적인 느린 동작이 될 것이다. 우리 은하에 있는 별들의 대략 반 정도는 연성(binary)이다. 즉, 그들은 쌍을 이루어 질량의 공통 중심 둘레를 서로 돌고 있다. 만약 'slow-motion effect” 가 있다면, 연성의 분명한 궤도주기(orbital periods)는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야만 한다. 만약 빛의 속도가 감소해 왔다면, 허블 우주 망원경은 결과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느린 동작을 보이는) 연성들이 매우 긴 궤도주기를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References and Notes

1 . Trevor Norman and Barry Setterfield, The Atomic Constants, Light, and Time (Box 318, Blackwood, South Australia, 5051: self-published, 1987).

2 . Two creationist physicists have claimed that the speed of light has not changed.  See, for example: 

.Gerald E. Aardsma, 'Has the Speed of Light Decayed?' Impact, No. 179 (El Cajon, California: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May 1988.

 .Gerald E. Aardsma, 'Has the Speed of Light Decayed Recently?'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Vol. 25, June 1988, pp. 36-40.

 .Robert H. Brow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tomic Constants, Light and Time,'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Vol. 25, September 1988, pp. 91-95.

Their calculations contain mathematical errors which, if corrected, woul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speed of light has decreased. I have discussed these matters with each author. The following professional statisticians have verified my conclusions or have reached similar conclusions independently:

 .Michael Hasofer,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idney 2033, Australia.

 .David J. Merkel, 11 Sunnybank Road, Aston, Pennsylvania 19014, U.S.A.

 .Alan Montgomery, 218 McCurdy Drive, Kanata, Ontario K2L 2L6, Canada.

3 . 'The Velocity of Light,' Science, Vol. 66, Supplement x, 30 September 1927.

4 . M. E. J. Gheury de Bray, 'The Velocity of Light,' Nature, 24 March 1934, p. 464.

    .M. E. J. Gheury de Bray, 'The Velocity of Light,' Nature, 4 April 1931, p. 522.

5 . Ibid., p. 522.

6 . Light beams are considered to be traveling in a vacuum. Light traveling through any substance-such as air, water, or glass-travels at slightly slower speeds.

In two published experiments, the speed of light was apparently exceeded by as much as a factor of 100! The first experiment involved radio signals which, of course, are a type of light. [See P. T. Pappas and Alexis Guy Obolensky, 'Thirty Six Nanoseconds Faster Than Light,' Electronics and Wireless World, December 1988, pp. 1162-1165.] The second report referred to a theoretical derivation and a simple experiment that permitted electrical signals to greatly exceed the speed of light. This derivation follows directly from Maxwell's equations. The special conditions involved extremely thin electrical conductors with very low capacitance and inductance. [See Harold W. Milnes, 'Faster Than Light?' RadioElectronics, Vol. 54, January 1983, pp. 55-58.]

Another phenomena allows light to exceed slightly its normal speed. [See Julian Brown, 'Faster Than the Speed of Light,' New Scientist, 1 April 1995, pp. 26-29. Also see Jon Marangos, 'Faster than a Speeding Photon,'Nature, Vol. 406, 20 July 2000, pp. 243-244.] However, this effect does not explain distant light in a young universe.

7 . V. S. Troitskii, 'Physical Constants and the Evolution of the Universe,'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Vol. 139, No. 2, December 1987, pp. 389-411.

8 . 'We have shown how a time varying speed of light could provide a resolution to the well-known cosmological puzzles.' Andreas Albrecht and Joao Magueijo, 'A Time Varying Speed of Light as a Solution to Cosmological Puzzles,' Physical Review D, 15 February 1999, p.  043516-9. [The authors state that light may have traveled thirty orders of magnitude faster than it does today!]

 .'It is remarkable when you can find one simple idea [a decaying speed of light] that has so many appealing consequences.'  John D. Barrow, Professor of Astronomy and Director of the Astronomy Centre at the University of Sussex, as quoted by Steve Farrar, 'Speed of Light Slowing Down,' London Sunday Times, 15 November 1998.

 .'If light initially moved much faster than it does today and then decelerated sufficiently rapidly early in the history of the Universe, then all three cosmological problems-the horizon, flatness and lambda problems-can be solved at once.' John D. Barrow, 'Is Nothing Sacred?' New Scientist, Vol. 163, 24 July 1999, p. 28.

Two comments. First, each problem Barrow mentions is actually a reason for concluding the big bang theory is wrong. Second, no scientific law says the speed of light is a constant. It has only been assumed to be such. In fact, today it is arbitrarily defined as a constant.  W.B.

9 . For example, 'the horizon problem' recognizes that opposite extremes of the universe have the same temperature and laws of physics. Why should this be? The universe isn't old enough for such vastly separated regions to have ever had contact with each other.  Light doesn't travel fast enough-at least today.

10 . T. C. Van Flandern, 'Is the Gravitational Constant Changing?'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 248, 1 September 1981, pp. 813-816.

. T. C. Van Flandern, 'Is the Gravitational Constant Changing?' Precision Measurement and Fundamental Constants II, editors B. N. Taylor and W. D. Phillip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U.S.A.), Special Publication 617, 1984, pp. 625-627.

11 . Some who believe in an old universe have a different explanation. Those isotopes are extinct because so much time has passed. However, this explanation raises a counterbalancing question: How did those isotopes, and 97% of all elements, form? The standard answer is that these elements appeared during supernova explosions. This is actually speculation, because essentially no supporting evidence has been found. Besides, all supernova remnants we see in our galaxy appear to be less than 10,000 years old. This is based on the well-established decay pattern of a supernova's light intensity in the radio-wave frequency range. [Keith Davies, 'Distribution of Supernova Remnants in the Galaxy,'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1994), pp. 175-184.]

12 . Alan Montgomery and Lambert Dolphin, 'Is the Velocity of Light Constant in Time?' Galilean Electrodynamics, Vol. 4, No. 5, September-October 1993, pp. 93-97.

13 . 'Precision' should not be confused with 'accuracy.' Atomic clocks are very precise, but not necessarily accurate. They keep very consistent time with each other, and each atomic clock can subdivide a second into nine billion parts. This is remarkable precision. But what if this entire global network of atomic clocks is drifting-speeding up or slowing down? Precision, while impressive, is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requirement for accuracy.

14 . Kenneth Brecher, 'Is the Speed of Light Independent of the Velocity of the Source?' Physical Review Letters, Vol. 39, No. 17, 24 October 1977, pp. 1051-1054.

15 . Another question concerns Einstein's well-known formula, E=mc2, which supposedly gives the energy (E) released when a nuclear reaction annihilates a mass (m). If the speed of light (c) decreases, then one might think that either E must decrease or m must increase. Not necessarily.

In the universe, time could flow according to either atomic time or orbital time. Under which standard would E=mc2 be a true statement? Mass-energy would be conserved under both; in other words, the energy or mass of an isolated system would not depend on how fast time passed. Obviously, E=mc2 would be absolutely true in atomic time where c is constant, but not in orbital time where c decreases. Today, E=mc2 will be approximately correct even in orbital time.

Nuclear reactions convert mass to energy. Unfortunately, the extremely small mass lost and large energy produced cannot be measured precisely enough to test whether E=mc2 is absolutely true in orbital time. Even if mass and energy were precisely measured, this formula has embedded in it an experimentally-derived, unit-conversion factor that requires a time measurement by some clock. Which type of clock should be used: an orbital clock or an atomic clock? Again, we can see that E=mc2 is 'clock dependent.'

If c has decreased (using the orbital time standard), neither length, electrical charge, nor temperature standards would change. Therefore, chemical and nuclear reactions would not change. However, the speed of chemical and nuclear reactions would change, because the vibrational frequencies of atoms and nuclei would change. Also, radioactive decay rates, which depend on the vibrational frequency of the nucleus, would decrease if c decreased.

16 . F. Duccio Macchetto and Mark Dickerson,'Galaxies in the Young Universe,' Scientific American, Vol. 276, May 1997, p. 95.

17 . Govert Schilling, 'Early Start for Lumpy Universe,' Science, Vol. 281, 11 September 1998, p. 1593. [See also, E. J. Ostrander et al., 'The Hubble Space Telescope Medium Deep Survey Cluster Sample: Methodology and Data,' The Astronomical Journal, Vol. 116, December 1998, pp. 2644-2658.]

18 . This problem for conventional astronomy has been quietly recognized for several decades. Having a photograph of so many galaxies so far away simply makes the public more aware of it.

 .'Gravity can't, over the age of the universe, amplify these irregularities enough [to form huge clusters of galaxies].' Margaret Geller, as quoted by John Travis, 'Cosmic Structures Fill Southern Sky,' Science, Vol. 263, 25 March 1994, p. 1684.

 .'The theorists know of no way such a monster could have condensed in the time available since the Big Bang,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2.7 K background radiation reveals a universe that was very homogeneous in the beginning.' M. Mitchell Waldrop,

'The Large-Scale Structure of the Universe Gets Larger-Maybe,'Science, Vol. 238, 13 November 1987, p. 894.

 .'But this uniformity [in the cosmic background radiation] is difficult to reconcile with the obvious clumping of matter into galaxies, clusters of galaxies and even larger features extending across vast regions of the universe, such as 'walls' and 'bubbles'.' Ivars Peterson, 'Seeding the Universe,' Science News, Vol. 137, 24 March 1990, p. 184.

19 . William G. Tifft, 'Properties of the Redshift. III. Temporal Vari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 382, 1 December 1991, pp. 396-415.

20 . William G. Tifft and W. John Cocke, 'Quantized Galaxy Redshifts,' Sky & Telescope, January 1987, p. 19.

21 . 'Most Distant Galaxies: Surprisingly Mature,' Science News, Vol. 119, 7 March 1981, p. 148.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cience.com/onlinebook/FAQ15.html#wp1621525 

출처 - CSC

한국창조과학회
2004-07-26

먼 곳으로부터의 별빛은 오래된 우주를 증명하는가?


       빛이 1년 간 진행한 거리가 1광년이고 수 백만 광년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이 있다는 것은 우주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연대문제는 우주와 지구가 젊다는 성경과 과학적 증거가 있음에도 오랫동안 어려운 문제였다 기원의 과학적 측면에 대한 설명은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풀려야만 할 문제들 중의 하나다. 

질문에 내재된 가정은 일반상식처럼 보이지만, 긴 시간과 짧은 시간에 대한 격렬한 논증이다. 최근 수십 년 간 과학계는 지금까지의 일반상식을 뒤엎는 개념들을 사실로 증명하는 양자역학과 상대론 분야의 실험과 수학적 증명들에 의해 당혹해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 수학이 말하는 휘어진 공간이라는 개념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것과 관계되는 흥미로운 예로는 수년 전에 두 명의 비창조론 과학자들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빛이 멀리 떨어진 별로부터 휘어진 공간을 통하여 진행한다는 내용이다. 그들의 계산에 의하면 수 십억 광년 떨어진 별에서 출발한 빛이 휘어진 공간을 통하면 20년 이내에 우리들에게 도달한다고 한다.(1) 그러나 이것은 우리들이 모든 것의 복제된 상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밝혀졌지 때문에, 이러한 생각은 아마도 맞지 않을 것이다.(2)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설명은 하나님께서 별을 처음부터‘공간에 존재하도록’ 창조하셨다는 것이며, 따라서 아담은 가장 가까운 별로 부터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수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즉시 별들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능력을 제한하지 않는다면 가능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들이 보고 있는 멀리 떨어진 별에서의 사건들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의 예를 들어보자. 수 백만광년 떨어진 물체가 폭발하였다면, 우리들의 망원경을 통해 받아들인 빛에는 폭발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그러면 폭발이 언제 일어났는가? 만일 별이 태초에 창조되었고, 그 시기가 6,000년 전이라면 별의 폭발은 창조 이후에 일어났을 것이다. 만일 폭발이 5,000년 전에 일어났고 빛의 속도가 오늘날의 속도와 같았었다면 폭발에 의한 빛은 아직 지구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빛은 단지 5,000광년의 거리만 진행했을 것이며 이 거리는 백만광년이라는 거리에 비하면 극히 짧은 거리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망원경을 통해 보고 있는 폭발은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가? 

다음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생각해 보자. 하나님께서 태초에 빛을 창조하시고 6,000년 전에 창조된 별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퍼지게 하셨다면, 우리들이 지금 보고 있는 빛은 지구로부터 6,000광년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출발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폭발을 보여주는 듯한 빛은 별의 실제적인 폭발에 의한 것이 아니라, 폭발을 보여 주는 정보는 말하자면‘별의 여행모습’으로 창조된 것이라는 것이다. 6,000년 된 우주를 생각할 때 6,000광년 거리 이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은 일들의 거대한 영화의 한 부분일 것이라는 설명은 여러 각도에서 볼 때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해결책은 없는가? 

분명한 해결책 중의 하나는 과거에 빛의 속도가 매우 빨라서 빛이 먼 거리도 짧은 시간에 빨리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왜 그리고 언제 빛의 빠른 속도가 느린 속도로 변환되었는가? 이러한 설명은 사실 유무를 떠나서 처음보기에 너무 손쉽고 특별한 설명처럼 보인다.

그러나, 호주의 과학자 Barry Setterfiled는 흥미로운 방법으로 위 내용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다음과 같은 1930년대의 과학 논문을 발견하여 관심을 갖고 연구하게 되었다. 천체학자인 Gheury de Bray는 계속적으로 측정된 광속의 값이 이전에 측정된 값보다 항상 작다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광속은 감소하고 있는가?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과거에는 빛의 속도가 빨랐으며, 이것은 앞에서의 우리가 토의한 내용들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말한다. 

Setterfield와 공동 연구자인 남 호주 Finders 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Trevor Norman은 광속에 관한 모든 측정값들을 조사하였다. (광속은 일반적으로 C로 표현한다). 지난 300년 간 광속은 목성의 위성들을 이용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번 측정되었다. 정확히 알고 있는 매우 먼 거리를 이용한 위의 방법들은 초기의 정확도가 높은 정확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측정된 광속들은 감소하는 경향만 가질 뿐 아니라 초기 측정값들의 감소율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 준다. 광속의 감소율은 1960년까지 계속해서 줄어들며 현재의 감소율은 거의 0의 된 것 같다. 즉 현재의 광속은 거의 일정한 값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광속의 감소가 대수 또는 기하 함수로 잘 표현될 수 있음을 말한다. Norman과 Setterfield는 관측된 자료들을 몇 개의 수학함수 곡선에 맞추어 보았다. 

예를 들어 그림1의 곡선은 수천년 전에는 광속(C)이 거의 무한대 였음을 말해주며, 이것은 창세기의 시간단위 안에 가장 먼 우주에서 온 빛도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오늘날 우리가 관측하는 빛은 마치 비행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날다가 속도를 줄이어 격납고로 느리게 들어가는 것과 같다.

과거의 광속이 빨랐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는 흥미롭고 중요한 것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광속이 크면 방사성 붕괴를 포함하여 광속과 연관된 원자현상들은 빠른 진행과정을 갖게 된다. 따라서 방사성 붕괴 방법에 의해 가정된 수십억 년이라는 지구 연대는 수천 년으로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명은 위의 개념이 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말해준다. 

 

과학적 논쟁 

최근에 창조론자들과 통계학자들간에 광속의 감소를 보여주는데 사용된 통계적 방법의 확실성에 대한 심각한 논쟁이 있다. 광속의 감소하는 개념을 통계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역사적 자료가 사용될 수 없다는 내용에 의해 논쟁이 설명되더라도, 설명을 필요로 하는 명백한 경향이 있다.

비판론자들이 주장하는 주된 설명은 광속의 감속 경향이 심리적인 영향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각 연구자들이 먼저 발표된 결과들과 너무 다른 결과를 발표하는 것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이 설명에 의하면, 첫 번째 결과가 너무 크면 다음 것들은 정확한 값으로 점차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설명은 확실성을 점검하는데 더 어려운 개념일 뿐 아니라,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동료 과학자들의 잘못을 증명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는 것과 상치된다. 

 

다른 증거가 있는가? 

Norman과 Setterfield의 전공논문(3)(최근에 개정이 진행중임)에 실린 수립된 증거들은 측정값들 이상의 범위로 확장된다. 수집된 자료 중 대부분이 광속의 감소라는 예상된 결과를 보여주는 2차적 증거로 볼 수 있는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플랑크 상수와 같은 대부분의 원자상수들을 설명하는 식 안에는 광속 C가 포함된다. 물론 광속 C가 상쇄되어 광속을 포함하지 않는 원자상수도 일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원자상수값이 일정하지만, 광속 C를 포함한 경우에는 광속이 감소함에 따라 상수값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등의 변화의 경향을 보여준다. 유감스럽게 많은 상수 중에서 초창기에 측정이 가능한 것들은 소수였지만, 저자들에 의해 제시된 13가지의 상수들은 각 경우에 기대하던 대로 광속 C가 감소하는 경향을 쉽게 확인 시켜준다. 그러나 그 당시 인정된 광속의 값으로부터 계산된 상수 값으로부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의 가능성이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독립된 확증으로서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광속의 감소에 의해 예상되는 다른 결과는 원자시간이 천체시간(달의 운동과 같은 천체 운동에 기초한 시간)에 비해 느려지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증거로써 저자들은 저명한 과학자인 Van Flandern에 의해 1955년에서 1981년까지 계속적으로 관측된 두 시계의 비교연구에서 원자시계는 점차 느려지고 천체시계는 점차 빨라지는 상대적 변화율을 인용하였다. 어떤 사람들은 두 시계의 차이를 만유인력상수 G의 변화를 제안함으로써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확인된 것이 아니며 원자 시계가 점차 느려진다면 이것은 Norman과 Setterfield의 제안을 확인시켜주는 증거가 된다. 그리고 Van Flandern의 측정에 반대되는 논문을 발표한 과학자들과 접촉은 실패하였다. 

 

몇 가지 문제점 

위의 이론에 대한 문제점중의 하나는 만일 C가 수백만 배였었다면, Einstein의 질량에너지 공식 E=mc²에 의하면 핵반응에 의한 에너지는 수백만 배의 수백만 배가 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점에 대한 대답은 광속의 감소에 대한 연구의 초기 단계에 해결되었으며, 그 외에도 문제의 역, 역에 대한 역 등도 많이 있었다. Norman과 Setterfield의 연구는 충분한 자질의 과학자들 뿐 아니라 심지어 반대자들의 의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이것은 분명히 감정적인 논점일 수 있으나 여러 분야의 전문적인 의견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것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동안 저자들이 공동집필자로 된 새롭고 향상된 전공논문이 준비중에 있다.

아담이 초기의 높은 방사열에 견딜 수 없었을 것이라는 문제점도 제안되었다. 창조론자의 논문에 나타난 천문학적 문제점과 자료의 선택 뿐 아니라, 광속의 초기 측정의 새로운 값들에 대한 의견교환이 계속 진행중이다.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최근에 많이 대두되었으며, 현재 진행중인 연구에 이 모든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무시하기에는 너무 중요하며, 또한 문제의 복잡성은 훌륭한 과학자들이 문제점을 충분히 풀 수 있는 오랜 기간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예기치 못한 새로운 정보  

소련 천문학자인 Troitskii 교수의 논문이(4)1987년에 유명 천문학 논문집에 실렸다. 그는 진화론자였지만 현재 가능한 천문학의 자료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우주모델은 우주의 초기에는 광속이 무한대이었다가 현재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는 확신으로부터 나온다고 하였다. 그는 광속의 측정들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광속의 감소가 물리의 기본원리들과 상반된다는 주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적절한 기여를 하였다. 결과야 어떻게 되든 간에 그의 논문은 ‘창조론자들은 과학의 법칙을 그들에 맞게 뜯어고친다’라는 주장을 쉽게 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또 다른 결과들 

만일 광속이 감소하였다면 다음 내용들이 사실일 것이다.

 

적색편이

멀리 떨어진 별에서 우리에게 도달한 빛의 속도는 가까운 별에서 출발한 빛의 초기속도와 비교해서 더욱 감소했을 것이다. 이 내용은 멀리 떨어진 별들이 내는 빛은 대부분 적색편이(파장이 긴 방향으로 이동)를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우리들이 관측하는 사실과 같다. 별들의 적색편이에 대해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설명방법은 기차의 기적소리가 기차가 다가오는지 멀어지는지에 관계되는 도플러 효과이다.

최근에 잘 알려진, 대폭발(빅뱅) 이론에 의하면 멀리 떨어진 별들은 빠른 속도를 갖고 있으므로 큰 적색편이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Halton Arp을 비롯한 많은 비창조론 천문학자들은 관측된 적색편이가 모두 도플러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고, 광속의 감소에 의한 것이라면 우주가 팽창하는 것이 아니라 수축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경마이크로파

30K의 온도에서 흑체복사가 나오듯이 우주의 모든 곳으로부터의‘배경복사’가 존재한다. 이것을 상상의 우주 유성의 잔존 메아리로 해석한다. 그러나 적색변이에 대한 광속 감소의 설명이 맞다면 태초에 가까운 시간에 멀리 떨어진 물체로부터의 빛은 강한 적색변이를 나타낼 것이고, 이것에 의한 ‘배경복사’를 생각할 수 있다. 사실 배경복사의 에너지 밀도는 적색편이된 별빛의 것과 일치한다. 광속의 감소에 의해 제안될 수 있는 재미있는 설명 중에는 소위 별의 진화라고 불리우는 별의 과거 빠른 핵과정에 의한 항상성천체(Quastar)로의 변화이다. 관심있는 독자들은 최근 논쟁에 관한 논문을 참조하시기 바란다.(5) 

 

반증될 수 있는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과거의 측정들이 광속의 감속에 대한 통계적 증거로 사용될 수 없음이 밝혀질 수도 있으며, 광속이 필자들에 의해 제안된 방법과 똑같지 않게 감소할 수도 있다. 우리들의 개념이 광속이 증가한다는 지의 (거의 가능성이 없지만) 난제에 부딪쳐서 반증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것들에 의해 들어 날 수도 있는 무식함을 인해 매우 조심성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광속의 감소에 대한 난제 중에는 현재는 매우 발전했지만 1930년대의 원자물리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것들도 있다. 

 

앞으로 가능한 실험적 증거는? 

만일 광속이 감소해 왔다면, 1960년대에 이르러 광속의 감소가 멈추게 된 이유가 원자시계를 사용한 후에 행하여진 모든 측정에 나타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측정들은 광속과 관계되어 변할 것이므로, 설사 변화가 있더라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면 앞으로 수년간 광속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안된 수학곡선중의 하나에 의하면 광속이 최소값에 이른 후에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광속이 지난 수세기동안 변했다는 개념을 무효화시킬 앞으로의 연구는 무엇인가? 

우리의 관심을 끄는 모든 자료들이 놀랄만한 일치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위의 일이 사실로 들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했듯이 광속의 변화가 지금은 없다면 최종적인 증명이든 반증명은 우리의 손을 떠난 논의로 판명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많은 과학자들은 아직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 광속변화의 중요성을 보증하는 많은 수의 이론적 연구들은 태초에는 광속이 거의 무한대이었다가 현재의 값으로 감소되었다는 개념을 현실화 시켰으며, 처음에 예상했던 것보다 상반되는 논쟁들은 적다. 광속의 측정이 있기 전부터 제기되었던 이러한 개념은 대폭발이론 보다 더 견실한 우주론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진화론인 Troitskii에 의해 부지중에 지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현재의 증거로써 과거를 설명할 때 나타나는 과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재미있는 한 예가 되고 있다. 즉 확실한 단편의 정보가 지금까지는 완전하게 정립되었다고 생각하던 문제들의 해석에 깊고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만일 초기에 거의 무한대이던 광속이 현재의 변화율 0으로 감소된 것이 사실이라면(자연계에는 이런 종류의 수학적 감소현상이 많이 있다) 광속을 측정하기 수백년 전이든 최근이든 간에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자동적으로 인정될 것이다. 

매우 먼 별로부터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데 수십 억년이 걸린다는 가정이 필요 없다.

동위 방사성 방법에 의해 수십 억년으로 측정된 값은 큰 광속으로 인해 일어나는 빠른 붕괴현상의 결과이므로 사실상 수 천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들의 적색편이나 우주의 배경 마이크로파 등은 대폭발에 의한 우주팽창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광속의 감소에 의한 결과일 것이다. 

 

먼 곳으로 부터의 별빛은 오래된 우주를 증명하는가? 

과거의 광속의 변화를 무시하는 현대 과학자들은 중력의 법칙같이 잘 정립된 것으로 생각하는 과거의 이론들에 아직까지 집착하여 자신들을 정당화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예를 들어 성경에 분명하게 기록된 부분이 과학적 증거에 반대되거나 틀린 것들에 대해서 매우 완고한 입장을 취하고 말지만, 새로운 정보로 인해 성경이 결국 옳다고 밝혀지는 경우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것은 제한되어 있으며 심지어 과학자라도 모든 것을 알 수 없다. 진화론자들은 후에 난처함을 야기시키기 쉬운 과거에 관하여 말하면서 확실성을 설명하는 독단적인 학설을 계속하여 만들어 내고 있다. 물론 창조과학자들도 성경이 침묵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비슷한 독단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들은 하나님께서 우주를 언제 얼마만한 크기로 창조하셨는가에 대해 과학적으로 정확히 알 수 없을 것이다. 광속의 변화에 대한 제안은 젊은 지구에 반대되는 것으로 보이는 자료들을 설명하기 위해 과학법칙들의 기적적이고 특히 어중간한 연결을 위한 가정이 필요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러분들은 모든 분야의 학설들이, 그것이 얼마나 확신되어 졌든 간에, 새로운 증거들에 의해 새로운 다른 학설로 대치되었다는 것을 잘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진화론자의 학설뿐아니라, 창조론자의 학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반면에, 모든 증거에 접근할 수 있는 성경말씀은 변하지 않는 반석과 같다. 계시된 진리에 반대되는 가정에 기초한 연구로 부정확하여 틀린 것으로 판명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1. Moon, P. and Spencer, D.T., 1953. Binaly stars and the velocity of light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vol-43(8),pp.653-641

2. Bounds, V., 1984. Toward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basis of the idea that light has slowed down. Ex Nihilo Technical Journal, voll, pp.105-117.

3. Norman T. and Setterfield, B., 1987. The Atomic Constants, Light and Time.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School of Mathematical Sciences. Technical Reprt Prepared for : Lambert T. dolphin, Who was at that time Senior Research Physicist, Geoscience and Engineering Center, Stanford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4. Troitskii, V.S., 1987. Physical constants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vol. 139, pp. 389-411.

5. For example, scc Creation Magazine Vol.12 No.3, June-August, 1990, pp.40-41.


최신 기사 

이 글을 마지막으로 준비할 때에, 저자들증 Carl Wieland 박사는 호주의 시드니에 위치한 남 웨일즈 대학의 통계학 교수인 Michael Hasofer 박사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그에게 사용된 통계적 방법에 대한 논쟁에 대해 편견없는 평가를 내려주도록 요구했었다 (의견의 본질성은 적당한 통계학의 가중치 방법이 사용될 때, 광속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증거가 없는가에 관한 것이다.). 올바른 가중치 자료의 사용에 동의하는 Hasofer 교수의 의견에 따르면 자료들을 직선으로 맞추는 것은 가정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아니다. 그는 전화통화에서 ‘가중치 소급(Weighted Refression)’이라는 통계학 방법을 사용하면 자료들이 광속의 감소라는 중요한 결과를 보여주는 특별한 곡선으로 표현된다고 말했다.

* 역자주 : 

‘'먼곳으로 부터의 별빛은 오래된 우주를 증명하는가?'’는 호주창조과학회(CSF)의 Ken Hen, Andrew Snelling과 Carl-Wieland 등이 저술한 ‘The Answer Book’의 11장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따라서 위의 내용은 역자나 한국창조과학회의 공식입장이 아닐 수도 있음을 밝히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연구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먼저 빛의 속도가 변한다는 제안은 물리학에 있어서 혁명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현대 물리학의 대부분의 이론들은 광속이 일정하다는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들의 광속의 감소라는 제안은 창조론과 상치되는 적색편이, 우주연대 등의 우주론의 일부문제를 설명할 수 있지만, 물리학의 근간이 되는 이론들을 설명하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광속이 상대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상대론은 원자세계에서의 실험 등으로 증명이 되고 있으며, 전자기학에서 광속이 C=1/√?o μo로 표현되므로 C가 무한대려면 ?0 또는 μo 등의 상수가 0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저자들의 제안에서는 과거의 광속측정값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과거의 측정값들의 정확도를 잘 모르고 있으며, 현재는 광속의 변화율이 거의 없어, 현대의 정밀한 실험장치로도 광속의 감소를 증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저자들이 제안한 광속의 감소곡선은 우리들의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것들과는 달리 로그, 삼각함수 등과 많은 상수들을 포함하고 있는 복잡한 형태이다.

본 책에는 광속의 감소에 대하여 일반적인 설명만 실려 있고, 광속의 감소를 보여 주는 구체적인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참고문헌과 위의 내용 이후에 발표된 논문 등은 구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이들을 참고로 하여 더 많은 주의 깊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광속의 감소라는 제안은 우주생성과 우주연대에 관하여 새로운 설명의 시도를 보여 주는 것이며, 아직 물리학의 많은 부분들의 설명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저자들도 밝혔듯이 광속의 감소문제는 매우 조심성 있는 지속적인 연구를 요구한다. 

※이 글은 호주창조과학회(CSF)발행 The Answers Book의 일부로 본회 강원지부장이신 차성도 박사(강윈대 물리학과)께서 번역해 주셨습니다.

 

*참조 : Distant starlight and Genesis : conventions of time measurement
http://www.answersingenesis.org/tj/v15/i1/starlight.asp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천문학/빛의 속도에 있는 자료들을 참조하세요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E05



제 76호 [1991. 10~12]

출처 - 창조지 1992년 1~3월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34

참고 : 4428|4429

미디어위원회
2004-07-26

물리학에 나타난 창조의 증거들

권영헌 


      우리 우주에는 수많은 하나님의 창조하심의 증거들이 존재한다. 사실 모든 만상이 하나님께서 우주를 고안하시고 창조하셨음을 증거한다. 조그만 미생물에서부터 우주전체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창조를 증거하지 않은 곳은 없다. 그 수많은 영역들 중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근원적인 부분들 가운데 생명이 존재할 수 있도록 제공된 특별한 환경들과 고안되어짐(design)의 증거들을 살펴봄으로써 창조의 손길을 함께 느껴 보도록 하자.

고안된 특별한 환경들 


우리 우주에는 4가지 근원적인 힘들이 있다. 중력,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바로 그 근원적인 힘들이다. 이 힘들의 세기를 결정하는 상수들은 근원적인 상수들이다 (근원적이란 의미는 이 상수들은 다른 값들로부터 유도되지 않으며, 이 상수들에 의해 다른 모든 값들을 유도해 낼 수 있음을 말함).  또한 양성자의 질량, 전자의 질량, 전하 등도 근원적인 상수들이다. 이 상수들은 각각 특별한 성격들을 지니고 있다. 


중력상수

중력은 우리 우주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 힘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중력상수이다. 이 중력상수의 미세한 변화는 우리 우주의 엄청난 변화를 야기시킨다. 가장 쉬운 예들중 하나를 들어보자. 만일 중력상수가 현재의 값보다 조금 더 커지면, 태양에 의한 중력 때문에 지구는 지금보다 더 가까운 궤도를 돌아야하고, 지구는 그 결과 생명이 살 수 없을 정도의 뜨거운 상태가 될 것이다 (이 외에도 여러 많은 다른 효과들 때문에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중력상수가 지금보다 약해진다면, 역으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멀어져 생명이 살 수 없는 추운 상태가 될 것이다.(이전과 마찬가지로 다른 많은 요인들이 작용하여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된다). 


강한 상호작용 상수

강력은 원자의 핵안에 있는 입자들을 묶어두는 작용을 한다. 이 힘의 정도를 나타나는 양이 강한 상호작용 상수이다. 만일 이 강한 상호작용 상수가 지금의 값보다 약간만 작아도 여러 개의 양성자를 갖는 핵들은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수소 원자만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반대로 이 강한 상호작용 상수다 조금만 커도(약 2~3%정도) 양성자들조차 퀴크로부터 존재할 수 없다.

또한 강한 상호작용 상수의 값이 현재의 값보다 조금만 달라도 이중수소 (Deuterium)는 생성되지 못한다. 이 이중수소는 태양과 다른 별들의 에너지의 근원(source)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양은 두 양성자가 융합하여 이중 수소와 양전자, 그리고 전자중성미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하는 일련의 핵반응에 의해 타고 있다.

이 이중수소는 양성자와 결합하여 3He를 만들고, 이 두 3He들은 4He와 두개의 양성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핵융합 과정으로 태양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하지만 이중수소 없이 위의 일련의 과정들이 진행될지는 매우 회의적이다. 


약한 상호작용 상수

약한 상호작용은 핵들을 붕괴시키는 힘이다. 이 힘의 대표적인 예는 핵반응에서 나타나는 중성자가 양성자와 전자, 전자중성미자로 붕괴하는 베타붕괴 과정이다. 이 약한 상호작용이 어떤 세기를 갖느냐는 별이 에너지원을 얻는 핵융합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자기 상호작용 결합 상수

전자기 상호작용은 전하를 가지는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이 상호작용은 원자들에서 양성자들과 전자들을 묶어두는 역할을 한다(양성자는 +전하를 지니고 있고, 전자는 -전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원자주위를 도는 전자들의 궤도 특성은 원자들의 분자성형 정도를 결정한다. 만일 전자기적 상호작용 상수값이 지금보다 약간 작아진다면, 원자 주위 궤도에는 전자들이 거의 없을 것이다. 반대로 전자기적 상호작용 상수값이 지금보다 약간만 크다면 다른 원자들과 전자 궤도를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어느 쪽이건 생명 존재에 필수적인 분자들이 존재할 수 없다.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차이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차이는 양성자 질량의 약 0.001 정도이다. 이 질량 차이가 현 값의 1/3정도라면 전자를 생성할 만한 질량을 갖지 못하므로 자유 중성자는 양성자로 붕괴하지 못한다. 그러면 태양이 에너지를 얻는 일련의 모든 핵반응들은 일어날 수 없게 되어,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들을 얻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역으로, 중성자의 질량이 현재의 중성자 질량의 0.998배 정도라면(업쿼크가 다운쿼크보다 약간 더 무겁다면), 양성자는 바로 중성자로 붕괴해 버려 원자들은 전혀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빛의 속도

빛의 속도는 물리학에서 앞에서 언급한 가장 근본적인 활동 중 어떤 하나의 힘이나 미세 구조상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빛의 속도에서의 변화는 이 모두를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빛의 속도에서의 조그만 변화들은 생명의 존재에 대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설계 (Design) 


우리 우주에는 설계됨을 증거하는 수많은 증거들이 있다.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본다. 


대칭성(Symmetries)들

자연계에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네 가지 상호작용들, 즉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 중력 등은 각각에 해당하는 특별한 대칭성들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대칭성들은 우연히 생겨난 게 아니다. 


시간의 특이성

우리 우주는 4차원의 시공구조를 갖고 있다. 즉 3차원은 공간구조를 나머지 1차원은 시간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 공간과 시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공간은 어느 쪽으로나 이동이 가능한데 반해 시간은 그렇지 못하다. 다시 말하면 공간은 상하좌우,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시간은 오직 한 방향의 이동만 허용된다. 이것을 시간축의 방향성이라 한다. 즉 공간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지만, 시간 축에서는 오직 한 방향 앞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것을 엔트로피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해하면 우리 우주에는 시작과 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우주는 엔트로피가 영인 상태, 즉 완벽한 질서의 상태에서 엔트로피가 무한대인 상태, 즉 더 이상 무질서해질 수 없는 상태로 이동해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완벽한 질서의 상태에서 어떻게 우리 우주가 시작했을까? 


물의 물리학

대부분의 물질들은 가열하면 팽창한다. 하지만 물은 그 예외이다. 0℃와 4℃ 사이에서 물은 특이한 현상을 나타낸다. 4℃에서 그 체적이 최소가 되며 밀도는 극대가 된다. 그러므로 4℃이하에서 물을 가열하면 체적은 점점 줄어들고 밀도는 점점 커진다. 이 특별한 성질이 어떤 중요한 결과를 미치는지 살펴본다. 호수의 물은 4℃이하의 온도에서는 냉각함에 따라 밀도는 작아진다. 따라서 4℃ 이하의 물은 다른 물(4℃ 정도의 물)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물 표면에 머무르게 된다. 그러므로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낮아 표면에 머무르게 되고 밑에 있는 물을 보호하는, 밖의 온도에 대한 절연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만일 대부분의 물질과 같이 물이 얼었을 때에 그 밀도가 높아진다면 얼음은 바닥으로 가라앉고 밑의 새로운 물이 표면으로 올라가 다시 얼음이 되고 그 얼음은 다시 바닥으로 내려가 호수는 바닥으로부터 꽁꽁 얼게 되어 호수 안의 모든 생명체들이 살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 그 근본적인 원인은 수소와 산소의 특성적인 원자구조에 기인하는 반데르발즈힘(Van Der Waals Force) 때문이다. 즉 수소와 산소가 이러한 특성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러한 현상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특성적 구조는 우연이 생겨지지 않는다. 


약한 상호작용 상수

약한 상호작용은 핵들을 붕괴시키는 힘이다. 이 힘의 대표적인 예는 핵반응에서 나타나는 중성자가 양성자와 전자, 전자 중성미자로 붕괴하는 베타 붕괴 과정이다. 이 약한 상호작용은 원자들에서 양성자들과 전자들을 묶어두는 역할을 한다(양성자는 +전하를 지니고 있고, 전자는 -전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원자주위를 도는 전자들의 궤도들은 이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원자주위를 도는 전자들의 궤도특성은 원자들의 분자형성 정도를 결정한다. 만일 전자기적 상호작용 상수값이 지금보다 약간 작다면 원자 주위 궤도에는 전자들이 거의 없을 것이다. 반대로 전자기적 상호작용 상수값이 지금보다 약간만 크다면 다른 원자들과 전자궤도를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어느 쪽이건 생명존재에 필수적인 분자들이 존재할 수 없다. 


전자(Electron)의 질량

전자의 질량이 현재의 값보다 조금만 더 커지면 자유중성자는 양성자로 붕괴할 수 가 없게 된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태양이 에너지를 얻는 일련의 모든 과정들은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양성자의 안전성

양성자는 우주에 존재하는 입자중 몇 안 되는 안정한 입자다. 양성자가 안정한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 쉬운 예를 들자. 사람을 구성하는 원소의 2/3 이상은 물(H2O)이다. 양성자가 안정하지 않다면, 이 물을 구성하고 있는 수소 원자핵들과 산소 원자핵들은 다른 것들로 바뀌어 버릴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존재하지 못할 것이다.

양성자의 붕괴를 실험하기 위해 클리블랜드 가까이에 있는 해안에 길이 21m의 대형탱크에 정제한 물을 채워 양성자의 붕괴를 알아보았다. 1033보다 더 많은 양성자를 가지는 물 속에서 거의 3년 동안 조사하였는데, 하나도 붕괴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써 양성자의 평균수명은 1030보다 긴 것으로 측정되어 진다.

위에서 우리는 우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성질들이 특별한 하나의 값에 특별한 성질들만을 가지고 있음을 보았다. 위의 특별한 값들과 특이한 성질들을 갖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이유 이외에도 다른 많은 이유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별성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

양성자의 질량값을 생각해 보자. 양성자의 질량은 1.67×10-27Kg이다. 수많은 아니 무한의 수 가운데 어떻게 양성자의 질량은 이 값만을 가질까? 이 값을 선택할 확률은 물론 제로(0)이다 (1/무한). 

비단 양성자의 질량뿐인가? 위에서 살펴본 모든 값들이 다 이러한 특별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가 우주에 대한 지식이 늘어가면 늘어갈수록 우주에 만재되어 있는 창조의 증거들을 접하게 될 것이다. 위에서 열거한 내용들은 그 중 너무나도 작은 한 부분일 뿐이다.

 

창조지 제 90호 [1994. 4~6]

신재헌
2004-07-26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God)


      1987년 봄, 나는 업무차 코넬 대학교에 갔었고 그 때 CCC로부터 신앙과 과학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강연을 부탁 받았다. 근 10년 동안 강연해왔던 '열역학과 생명의 기원'이라는 주제는 평범한 대중들이 듣기에는 너무도 전문적이었으므로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이라는 넓고도 대중적인 수준의 강연을 시험삼아 해보기로 결정하였다.

나는 그 날 저녁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날 지에 대해 전혀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 무려 550명 이상의 학생들과 교원들이 금요일 밤 그 강연장을 매웠고, 50명 이상은 서 있을 자리조차 없어서 돌아가야만 했었다. 

내가 그 날 저녁 열의를 가지고 그 발표를 했을 때, 나는 하나님께서 내 삶에서 그리고 내 삶을 통하여 무언가 특별한 일을 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 발표가 끝난 후 2시간이나 지속된 활발한 질문과 답변의 시간이 있었고 또한 그 이후에도 50명 정도의 학생들이 남아서 비공식적 토론을 밤늦게 까지 하게 되었다. 

그것은 내 삶에 있어서 가장 흥분되었던 한 모험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학생들과 교원들에게 똑같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현대과학의 압도적인 증거들을 고려하게끔 한 도전이었다. 지난 7년 동안, 그것은 나로하여금 콜럼비아대학을 제외한 모든 아이비리그 대학들, 아이오와대학을 제외한 상위 10 위권 대학들, 그리고 남서부의 상위 8 위권 학회들, 그리고 10 개의 서해안 대학들을 순회하게 만들었다. 

비록 청중들의 대다수는 비기독교인이거나 무신론자임에도 불구하고 어디서나 그 강연의 반응은 대단한 것이었다. 또한 전문적으로 제작된 비디오가 주님께서 내게 주신 이 러한 강연의 사역을 좀 더 확장시켰다. 

다행하게도, 그러한 과정에서 나는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대체적 증거들을 찾아낼 수 있는 또 다른 여러 분야들을 접하게 되었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1) 피조세계를 통하여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의 명백한 증거를 보여 주시면서 하나님의 지문은 모든 피조물에 편재해 있다.(롬1:19-20); 그리고 (2) 과학에 종사하는 자라면 거의 누구나 잠재적으로 그의 전문분야에서 이러한 형태의 강연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한 강연에서는 분명한 목표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데 즉, 지적인 창조주의 존재를 명백히 증거해주는 우주적 특성을 드러내 보여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비록 흄과 칸트는 신의 존재를 목적론적이거나 설계론적인 논의들로 증명할 수 없다고 확신있게 논하였지만, 이 우주를 똑같이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은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우주가 단지 화학적 그리고 물리적 법칙들만으로 생겨날 수 있음을 가정하는 것과, 이 우주가 어떤 지적인 창조주에 의한 흔적을 가지고 있음을 가정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온당한 것인가?' 

내가 처음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던 당시, 그러한 기획은 완전히 부적당하다거나 과학으로부터 하나님에 대한 어떤 것을 도출해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라는 강한 반대에 부딪치곤 하였다. 

그러나 지난 6년 동안 이 분야에 대한 비종교적인 과학자들의 많은 저술들과 함께 이러한 반대는 점점 작아지고 있다. 유명한 잡지에서도 활발한 토론 중이다. (예를 들어 1992년 12월자 타임지의 커버스토리로 다루어진 '하나님에 대하여 과학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우주는 하나님에 대한 단서를 지니고 있는가?', 고등교육 신문 1993년 5월; '과학의 10대 미스테리', 디스커버지, 1992년 11월; '과학과 정신', Omni지, 1993년 10월). 

'하나님에 대한 논쟁의 새로운 가이드' 라는 흥미있는 책에서 철학자이자 비기독교인인 Martin Prozesky는 신의 존재를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여러 논증들을 평가한다. 그는 특별히 빅뱅과 생명의 기원 그리고 인간원리등과 같은 과학으로부터 신의 존재에 대한 긍정적인 논증들을 소개하지만 철학적이고 신학적으로는 일신론적인 기독교적 하나님에 대한 강한 반대를 표명한다.(예를 들어 왜 많은 사람들이 단지 예수님을 듣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지옥에 가야하는가? 라는 질문) 

기독교와 과학 사이에 있었던 지난 35년 동안의 그 많은 대화들이 지구의 연령과 창조과학에 국한되었다는 사실은 부끄러운 일이다. 그것은 평균적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에게 똑같이 현대과학과 성경은 서로 조화될 수 없다는 인상만 남겨주고 떠나가 버렸다. 

지난 35년 동안 발견된 과학적 사실들로 인하여 많은 현대 과학자들의 과학적 태도를 창조주에 대한 믿음으로 이끌었던 그 기간에 이러한 인상 또한 심화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연령문제에 대한 선입견은 성경적 유신론에 대한 강력하고도 과학적인 증거들에 대한 관심을 딴 데로 돌렸는데 말하자면 이 긍정적인 빛을 바구니 속으로 집어넣은 것이다. 

이 기고의 남은 부분에서, 나는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을 요약하고자 한다. 물론 나는 지금 이것이 언제든지 더 좋은 자료들로 업그레이드 될 것들임을 미리 밝히는 바이다. 

나는 교원들에게 그들의 개인적인 만족과 그들 자신만의 강연자료를 위하여 이 주제를 좀 더 연구하기를 격려하는 바이다. 나는 세 개의 책을 추천한다. J. P. Moreland가 지은 The Creation Hypothesis (IVP, 1994)와 Hugh Ross가 지은 The Fingerprint of God (Promise Publishing Co., 1989), 그리고 The Creator and The Cosmos (Navpress, 1992)이다. 나는 매년 내가 수락할 수 있는 양보다 다섯 배나 많은 강연초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이 주제에 대해 강연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서도 이러한 초청들이 위임될 수 있는 공동의 교수요원들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이 주제에 대해 강연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서도 이러한 초청들이 위임될 수 있는 공동의 교수요원들을 필요로 한다. 

 

과학적 증거의 핵심 요소들 (Key Elements for Scientific Evidence)

1960년대까지, 우리에게는 우리가 과학적 탐구를 통하여 자연을 더 많이 알면 알수록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세상과 그것의 기원을 더 확실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그래서 신에 대한 믿음을 불필요하게 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낙관론이 있어왔다. 그러나 지난 30년동안, 우리는 서서히 그러한 자연주의의 처방에 결함이 있음을 알게되었고, 그것들이 과연 제거될 수 있을 지에 대한 의문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1980년대 말 워싱턴 D. C. 에서 열렸던 한 국제학회를 보도하면서 워싱턴포스트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우주가 단지 우연에 의하여 창조되었고 진화되었다고 확신했던 많은 과학자들은 지금 두 가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즉 창조에 있어서 어떤 지성의 역할도 있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다.'

여기서 우리는 한가지 사실을 강조해야만 하는데 그것은 바로 우리가 하나님이 존재하신다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우주의 특성을 연구하고 다음과 같이 질문해보는 것은 전적으로 용납될 수 있다. '과연 이 우주가 제시하는 것 중 이치에 맞는 것은 어떤 지적인 창조주인가? 아니면 어떠한 원인도 갖고 있지 않으며 자기 스스로 조직된 우주인가?' 나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요소들을 짧게나마 살펴볼 것이다. (1) 우주안에 있는 설계의 증거들; (2) 우주의 기원; (3) 생명의 기원. 

 

첫번째 요소 : 설계의 증거 (Edence for Design)

설계의 증거들은 다음과 같이 세 부류가 있다. (1) 자연이 취하고 있는 단순한 수학적 형태; (2) 어떠한 형태로든 간에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모든 우주 상수들의 절묘한 일치; (3) 그러한 절묘한 일치를 주기위한 결정적인 초기조건. 

수학적인 면에서 우리는 이 우주가 믿기 어려울 정도로 간단하고 우아한 미분방정식에 의하여 묘사된다고 말할 수 있는데 절묘하게도 그러한 방정식들은 꼭 그러한 값을 갖어야만 되는 적절한 우주 상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생명체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펼치게끔 처음부터 아주 정밀하게 규정된 초기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1) 간단한 수학으로 표현되는 자연 (Nature Bound by Simple Mathematics)

고등학교 시절 한 사람의 젊은 물리학도로서 나는 자연의 다양한 현상들이 뉴튼의 운동법칙과 중력법칙, 맥스웰의 전자기 방정식과 같은 간단한 몇 개의 수학식들로 묘사된다는 사실에 놀랐었고 또 즐겁게 그러한 것을 배웠다. 아마도 옛날 과학자들이 오늘날 이 우주가 단 한장의 종이에 우아한 수학식으로 간단히 표현되는 것을 본다면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천체물리학자인 Paul Davies는 Superforce (1984)라는 그의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물리학의 방정식들은 그 안에 믿을 수 없을 정도의 간단함과 우아함 그리고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그 자체로서 이 우주와 이들 법칙들의 근거가 되는 하나님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사실을 내게 증명해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러시아의 유명한 물리학자인 Alexander Polyakov는 Fortune지(1986,8)에서 그것을 이러한 방법으로 표현했다. '이 자연은 가능한 모든 수학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것만으로 표현되는 데 이는 바로 하나님께서 이 자연을 창조하셨기 때문이다.' 

 

2) 우주 상수들의 조화 (Coincidence of the Universal Constants)

지난 30년동안의 가장 놀라운 발견들 중 하나는 바로 어떠한 우주 상수이건 간에 조금이라도 그 값에 변화가 생기면 이 우주에서 어떠한 형태의 생명체라도 살 수 없게 되는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한 예들의 약 100개 이상이 전문 문헌들에 실려있고 Anthropic Cosmological Principle(1986)이라는 책에 요약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자핵 내부에서 작용하는 강력이 만약 5% 작아지면 이 우주는 단지 수소만으로 꽉 차 있게 되어 어떠한 형태의 정보, 에너지의 흐름, 복제와 같은 생명 현상이 구현될 수 없다. 반면 만약 그 강력이 2% 커지면 이 우주는 매우 무거운 원자핵들로 가득차게 되는데 이는 생명체의 화학활동에 부적당하다. 또한 지금과 같은 형태의 수소는 매우 불안정하게 되어 모든 별들은 생성되자마자 짧은 기간안에 다시 폭발하게 되고 수소화합물들은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 

두번째 예를 들어보자. 강력과 전자기력 간의 힘의 균형이 조금이라도 변화된다면 우리는 베릴륨에서 탄소로 거의 100%의 효율로 절묘하게 전환되는 양자에너지 준위와 탄소에서 산소로 부분적으로만 전환되는 양자에너지 준위를 갖지 못할 것이다. 즉 우리 우주는 베릴륨으로 꽉 차 있거나 아니면 산소로 꽉 차 있게 되어 생명현상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탄소는 존재하게 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예들도 얼마든지 들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만약 한번 주사위를 던져 6이 나오면 별로 놀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5번을 던져도 계속 6이 나오면 우리는 약간 의심하게 될 것이며 만약 1000번을 던져도 계속 6이 나오면 우리는 그 주사위는 처음부터 오직 6으로만 설계되어 있다고 확신하게 될 것이다. 이 우주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것이 그렇게 되어 있어야만 하는 그런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며 그런 상태로 관찰되고 있는 것이다. 흄을 비롯한 일단의 사람들은 이 우주의 모든 것이 그저 그런 상태로 있는 것이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닌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았다면 이러한 상태의 우주를 관측하며 놀라워 할 수 있는 우리 인간이 여기에 존재치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이상야릇한 논증을 하였다. 잘 알려진 무신론자 J. L. Mackie는 Miracle of Thesism이라는 책에서 흄의 논증에 존재하는 결함을 언급하고 있다. 

'하나의 실제적인 우주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기본물질들과 물리적 상수들의 독특한 체계가 있다. 그러므로 그 체계의 요소들이 잘못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체계가 생명체에 적절하다는 사실은 놀라운 것이다. 이 경이로움은 그것이 그렇지 않았다면 그렇게 놀라워하는 존재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사실에 의해 전혀 감소되지 않는다. 우리는 우리의 존재를 포함하지 않는 우주를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의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불가지론자인 Fred Hoyle경은 Mackie에 의해 토의된 우주론적 일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그러한 특징들은 마치 이어져 있는 실같이 자연세계라는 조직물을 관통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자연계에는 생명에게 필수적인 이상한 일치성들이 그렇게 많기 때문에 모종의 설명이 그러한 것을 평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프린스턴 대학의 물리학 교수인 John Wheeler는 '중력이나 전자기력과 같은 물리법칙의 약간의 변화가 생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생명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것이 우주의 전체 기구와 설계의 중심에 놓여있다.'라고 진술했다.(Reader's Digest, 1986,9) 

버지니아 대학의 천문학자인 R. T. Rood와 J. S. Trefil은 'Are We Alone?' 이라는 그들의 책에서 이 우주의 어느 곳이든지 생명이 살 확률이 10억분의 1이라고 추정하면서 이 지구에 생명이 존재하는 것은 엄청난 일치들의 결과라고 결론 맺는다. 

Trefil은 그 책의 마지막 장에서 '내가 만약 종교인이라면 나는 우리가 지난 20여년 동안 생명에 대하여 연구해온 모든 것들이 우리가 유일무이하며, 그러므로 신의 관점에서 매우 특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할 것이다.'라고 썼다. 대신 그는 이 지구상의 생명은 우주 어느 곳에서도 다시 재현될 수 없는 매우 엄청난 사건이라고 결론짓는데 이는 그의 책이 강력히 주장하는 것이다. 

 

3) 초기 조건들 (Initial Conditions)

초기조건 문제는 우주의 기원이라는 시나리오 -생명의 기원과 적절한 환경으로의 발전- 의 많은 곳에서 발견된다. 이들 초기조건 문제들은 사실상 기원시나리오에서 매우 아슬아슬한 과정들이 비선형적이고 그러므로 매우 정밀한 초기조건들을 요구한다는 인식과 함께 더욱 심각해져왔다. 앞에서 인용한 Trefil과 Rood의 책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나도 역시 이 초기조건들이 우주의 기원과 생명의 기원에 관계한다는 사실을 짧게나마 토의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섹션을 요약하면, 이 우주안에 우리 존재의 유일무이성과 특별함을 보여주는 무언가가 있음이 명백하다. 

 

두번째 요소 : 우주의 기원 (Origin of the Universe)

우주론이 철학과 신학의 영역으로 들어오면 중립적이지 않게 된다. 영원히 존재하는 우주 모델은 무신론자나 불가지론자의 세계관에 더 부합된다. 마찬가지로 시작이 있는 우주 모델은 처음 원인을 필요로(하는 세계관에 부합)한다; 왜냐하면 누가 충분한 원인없이 어찌 그런 효과를 상상할수 있을 것인가? 

1977년 미국과학진흥협회(American A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에서 콜럼비아 대학의 교수이며 고다드 우주센터의 설립자이자 지도자인 Robert Jastrow는 극적인 발표를 했는데 이는 후에 '하나님과 천문학자들'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기까지 하였다. 이 발표에서 무신론자인 Jastrow는 1929년 이래로 빅뱅우주론에 대한 증거가 다른 우주론의 그것에 비해 매우 탁월하였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단지 그 철학적 함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빅뱅설을 거부해왔다고 논의했다. 

예를들어, Author Eddington경은 1950년대에 빅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철학적으로, 지금과 같은 자연에 시작이 있었다는 개념은 불유쾌하다... 나는 차라리 참된 탈출구를 찾길 원한다.' 

1965년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이후 1970년대 즈음에 John Gribbin은 Nature 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주의 기원에 관한 이론으로서 빅뱅설의 가장 큰 문제는 철학적 -아마도 신학적 - 인 것이다. 과연 그 폭발 전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이 문제는 그 자체만으로 정상상태이론에 큰 힘을 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정상상태이론은 현재 관측사실들과 많은 불일치가 있으므로 이 초기 문제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우주가 팽창했다가 다시 수축하고 다시 팽창하는 것을 반복하는 그러한 모델이 될 것이다.' 

[1984년 Nature 지에 실린 Guth와 Bludman의 논문들에서는 이러한 수축-팽창 우주모델의 불가능성이 증명되어 있다.] Jastrow는 지금이 바로 천문학자들이 그들의 발견들에 포함되어 있는 철학적 의미의 인식을 새로이 시작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Jastrow는 그의 발표(그리고 그의 책)을 다음과 같이 결론맺었다. '이성의 힘에 대한 믿음으로 살아왔던 과학자들에게 빅뱅의 이야기는 나쁜 꿈으로 끝나게 된다. 왜냐하면 지난 3백년동안 과학자들은 무지의 산을 정복해 오면서 그들이 마지막 바위로 자신들을 끌어올렸을 때 거기에는 이미 수세기동안 그 자리에 앉아있던 신학자들의 환영식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최근 COBE위성과 허블망원경에 의한 측정들(둘 다 1992연도 발표되었음)은 빅뱅우주론이 정말로 옳다라는 것에 대한 모든 가능한 의심들을 종식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교수이자 COBE 팀의 주요 연구원인 George Smoot는 이 새로운 관측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가 발견한 것은 우주탄생의 증거이다... 그것은 마치 하나님을 보는 것 같다.' 

과학사학자인 Frederic B. Burnham은 다음과 같이 표명했다. '오늘날의 과학계는 100여년 동안의 그 어는때보다 하나님이 이 우주를 창조하셨다는 아이디어를 더 그럴듯한 가설로 고려할 준비가 되어있다.' 

스테펜 호킹의 책 'A Brief History of Time'이 빅뱅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함의로 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본연의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주목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데 호킹은 과학적 이유보다는 단지 철학적 이유로 인하여 그 함의를 강력히 반대하는 것이다. 그의 책은 과학적 관측에 기반을 두지 않는 추측으로 가득하기 때문에 그것을 진지한 과학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호킹 자신의 '종교적' 믿음에 동기를 둔 논의의 하나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호킹이 그러한 책을 성급히 쓰게 된 바로 그 사실이 유신론적 우주를 논증하는 빅뱅설의 잠재력을 시사하는 것이다. 

 

세번째 요소 : 정보 이론과 생명의 기원 (Information Theory and Origin of Life)

에너지 처리, 정보 저장, 그리고 복제등과 같은 최소한의 생명작용을 제공하는데는 그에 필요한 분자적 복잡성이 요구되는 것은 자명하다. 생물학적 진화와는 구별된 화학진화는 단지 변이와 자연선택만으로 설명이 될 것 같진 않다.(물론 대진화에 대한 설명 역시 힘들지만). 

화학진화는 복제 가능한 매우 단순한 체계의 분자들을 처음부터 가지고 있지 않았던 원시스프로부터 생명체로의 진전을 다루고 있다. 그 원시스프로부터 단백질, RNA, DNA와 같은 분자들이 생성되었다고 상상하기란 지극히 어렵다. 1952년도에 Stanley Miller에 의하여 원시상태로부터 아미노산 같은 토막 분자들의 생성이 성공했던 그 당시 그 도취감은 그 후 그러한 토막 분자들의 이합집산이 생명현상을 일으키는 생물고분자로 탄생하게 되는 것 자체가 또 하나의 엄청난 문제라는 암울한 인식으로 점점 대체되어 왔다. 그 이합집산은 마치 식자판으로부터 무작위로 글자들을 뽑아내어 우연히 의미있는 단어와 문장 그리고 일관성있는 문단을 만드려는 시도와 별반 다를게 없는 것이다. 

Fred Hoyle경은 '생명의 기원에 대한 현대의 시나리오는 마치 토네이도가 보잉항공사의 한 고물창고를 휩쓸고 지나갈 때 우연히 747 비행기가 탄생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라고 제시한다. 

Scientific American(1991,2)의 한 기사에서 Francis Crick경은 다음과 같이 썼다. '생명의 기원은 거의 기적처럼 보인다. 생명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만족되어야만 하는 너무나 많은 상태들이 있다.' 

같은 기사에서 생명의 기원에 대해 개관했던 국립과학학회 위원회의 의장이었던 Harold Klein은 '가장 간단한 박테리아도 화학자의 관점에서 볼 때 너무나 복잡해서 그것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상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고 지적했다. 

최근의 RNA에 대한 연구가 혹 생명의 기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이 있다면 다음의 책을 읽기를 추천하는 바이다. Origins of Life and Evolution of the Bioshpere(1988)에 실린 Robert Shapiro의 기사와 Interdisciplinary Science Reviews(1988)에 실린 Klaus Dose의 기사(Origin of Life: More Questions than Answers).

 

요약

지적인 창조주의 존재에 대한 명백한 증거들이 풍부하게 있다. 나는 단지 3가지 측면에서 증거들을 제시했지만, 비슷한 논의들이 다른 많은 과학적 분야에서 쉽게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누구도 지적 창조주에 대한 믿음을 지성적으로 존중하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 할 필요가 없다. 현대 과학은 그러한 믿음을 가정하려는 사람들 편으로 결정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신의 존재를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흄과 칸트의 논의는 올바른 반면 그들은 신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완벽히 이성적임을 말해주는 어쩔 수 없는 증거를 대면한다면 내가 받은 그러한 감동을 똑같이 받을 것이다.

 

*참조 : Harmony and discord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570/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천문학/우주의 미세조율에 있는 많은 자료들을 참조하세요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E06



출처 - 기타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9


미디어위원회
2004-07-26

우주의 기본 힘-상호작용 

(The Elemental Forces Of The Universe)


     물질과 우주의 기본 힘들은 경이롭다. 그것들이 어떤 우연한 사건에 의해 존재할 수는 없다. 자연에는 서로간의 정교한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전 우주를 파괴하거나, 또는 어떤 것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는 몇몇 힘들이 있다. 여기에 과학적인 증거가 있다.

진화론은 신화이며, 창조과학은 정확하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만드셨으며, 거기에는 여러 증거들이 있다. 이것은 과학대 진화이다.

내용 : 우주의 기본 힘들  

(1) 기본 힘 - 세 기본 비율들의 정교한 균형

  1. 중력 (Gravity) - 우리가 알고있는 것처럼, 만약 중력이 아주 완벽한 조화를 이루지 않는다면 우주는 파괴될 수 있다.

  2.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 (Proton to Neutron Ratio) - 중성자는 양성자의 무게를 오직 어떤 특정한 양만큼만 초과할 수 있다.

  3. 광자와 중입자의 비율 (Photon to Baryon Ratio) - 광자와 중입자의 비율은 만유인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4. 핵력 (Nuclear Force) - 원자들은 특정한 인력의 크기에 의하여 서로 붙잡혀 있을 수 있다.

  5. 전자기력 (Electromagnetic Force) - 만약 이것이 달라진다면 어떤 화학결합(chemical bonds)도 일어날수 없다. 

(2) 과학자들은 우주의 완벽한 질서에 대해 말하고 있다 - 저명한 과학자들은 그들이 우주에서 발견한 것에 놀라고 있다.

(3) 우주에서의 인류지향(Anthropic) 원리 - 우리가 알고있는 생명체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많은 다른 관계들, 거리, 그리고 요인들.

(이 자료는 ORIGIN OF MATTER, 에서 발췌한 것이고, * 표시는 창조론자가 아닌 사람들의 이름앞에 표시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책안에 있는 4,000여개의 인용구들 가운데, 창조론자들에 의한 것은 오직 164개에 불과하다.) 

 

 

(1) 기본 힘 (The Elemental Forces) 

세 가지 기본 비율의 정교한 균형. 

”우주의 갑작스런 탄생을 지지하는 주목할만한 현대의 천문학적인 발견들이 있었는데, 거기에는 또 다른 면이 있었다. 천문학자들과 그의 동료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우주의 진화 그림에 따르면, 자연의 힘들의 상대적인 크기 또는 기본입자들의 성질과 같은 자연환경의 그 어떤 것에서 아무리 작다할지라도 미세한 변화가 있다면, 그 영향으로 지구에는 사람은 물론 그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게될 수도 있다.” - *Robert Jastrow, 'The Astronomer and God,' in The Intellectuals Speak Out About God(1984), p.15 (Jastrow는 자기 자신을 불가지론자(agonostic)로 분류했다.) 

1. 중력(Gravity).

중력은 우주에서 가장 약한 힘이다. 그러나 그것은 완벽한 균형(balance)을 이루고있다. 만약 중력이 더 강해진다면, 더 작은 별들은 형성될 수 없으며, 그리고 중력이 작아진다면, 더 큰 별들이 형성될 수 없다. 또한 어떤 무거운 원소(heavy elements)들도 존재 할 수 없게된다. 오직 '적색왜성(red dwarf)' 만 존재할 것이고, 이것은 행성에 생명을 지탱해주기 위해 필요한 빛을 너무 약하게 방출할 것이다.

질량이 있는 두 물체는 서로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잡아당기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것을 가리켜 중력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그 제곱(떨어진 거리의 2승)이라는 숫자는 어디서 왔을까?왜 힘은 정확히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할까? 왜 1.87, 1.92, 2.001, 또는 3.3378 과 같은 수가 아닌 정확히 2 란 말인가? 모든 실험적 결과들은 그 수가 정확히 2 라는 것을 확증해주고 있다. 그 숫자가 2가 아닌 다른 것이라면, 행성의 궤도는 결국 무너지기 쉬우며, 전우주는 자기 스스로 파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는 역제곱의 법칙(the inverse-square law)일 것이다. 그것은 종종 적색편이와 퀘사의 가시도(the visibility of quasars)와 관련되어 언급된다. 그 이론에 따르면, 빛은 관측자로부터 정확히 떨어진 거리의 제곱(2승)에 비례해서 감소한다. 1.8, 0.97 또는 다른 숫자가 아닌 정확히 2 인 것이다.) 


2.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 (Proton to Neutron Ratio).

양성자는 모든 원자에서 발견되는 아원자(subatomic) 입자이다. 양성자는 양전하를 가진 입자로서 크기는 전자의 전하량과 같다. 한편 중성자는 전하가 없는 아원자 입자이다. 중성자의 질량은 그것이 안정하게 존재하기 위하여 양성자의 질량보다 더 커야한다. 그러나 중성자의 질량은 양성자의 질량보다 아주 조금만 크다 - 전자의 질량의 정확히 두 배만큼. 균형을 이루는 가장 결정적인 점은 단지 천분의 일 정도인 것이다. 만약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의 비가 그 한계 밖으로 변화한다면 혼돈(chaos)이 일어날 것이다. 

양성자의 질량은 정확히 그것이 전 우주의 안정성을 보장해줄 만큼 된다. 만약 그 질량이 더 작거나 더 커지면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날아가 버리거나 서로 충돌해서 뭉개질 것이며,양성자로 구성된 모든 것들은 (사실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다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 파괴될 것이다. 만약 양성자의 질량이 조금이라도 더 커지면, 그 커진 질량 때문에 그 양성자가 이루고 있는 원자자체가 불안정해지고, 결국 중성자, 양전자, 그리고 뉴트리노로 붕괴할 것이다. 수소 원자는 양성자 한 개를 가지고 있는데, 만일 그것이 붕괴하면 모든 수소원자(우주에 존재하는 입자중에서 그 수가 월등히 많다)가 붕괴하게 된다. 실로 최초의 설계자가 양성자의 질량을 중성자의 질량보다 약간만 더 작게 만든 것이다! 이런 정교한 균형이 깨진다면, 우주는 붕괴할 것이다. 


3. 광자와 중입자의 비 (Photon to Baryon Ratio).

전자기장을 양자화시킨 것이 바로 광자인데, 그것은 빛 또는 전자기 복사의 기본단위이다. 중입자는 양성자의 질량과 같거나 더 큰 아원자 입자이다. 이러한 광자와 중입자의 질량의 비는 아주 결정적인 요소이다. 만약 그 둘 사이의 질량의 비가 더 커진다면, 별들과 은하들은 만유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없다. 


4. 핵력 (Nuclear Force).

원자들을 결합시켜주는 것이 바로 핵력이다. 그 힘에도 역시 어떤 결정적인 크기(critical level)가 있다. 그것이 더 커지면, 수소 원자는 있을 수 없고, 헬륨같은 무것운 원자들만 존재하게 된다. 반면 그 힘이 더 작아지면, 수소원자만 있고, 무거운 원자들은 없게 된다. 수소원자나 다른 무거운 원자들이 없이 생명은 없을 것이다. 또한 수소없이는 안정한 별은 있을 수 없다. 만일 핵력이 현재보다 천분의 일이 더 작거나, 커진다면, 탄소(모든 살아있는 생물의 기본 구성 원소)는 존재할 수 없게 되고, 만일 핵력이 현재보다 2%가 증가한다면, 그 핵력은 양성자를 제거해버릴 것이다. 


5. 전자기력 (Electromagnetic Force).

또 다른 결정적인 요소가 바로 전자기력이다. 그것이 아주 조금이라도 작거나 커지면, 그 어떤 화학결합도 있을 수 없다. 그 힘이 1.6배 정도만 감소해도, 결국 양성자에서 lepton 으로 빠른 붕괴가 일어나고, 전자전하의 3배만 더 증가해도 수소 이외의 다른 어떠한 원자도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반면 3배만 작아져도, 그것은 가장 낮은 온도(바깥 우주에서 찾을 수 있는 온도)에서도 모든 중성원자들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다. 

그들 네 가지 힘(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사이의 정교한 비율의 균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네 가지 힘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은 가장 약한 것보다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의 만 배(ten thousand billion billion billion billion 배) 더 강력한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그러나 진화론적 이론은 빅뱅이 일어났을 그 순간과 그 직후동안, 이 네 가지 힘은 본래 같은 크기의 힘을 갖을 것을 요구한다. 


진화론자들은 이러한 정교한 균형이 '자연선택' 또는 '돌연변이'의 결과라고 주장할 수 없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우린 물질의 기본 성질을 다루고 있다.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의 비는 태초이래 처음 그대로 계속 똑같이 유지되어 왔다. 그것은 변하지 않았고,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매우 정확히 시작하였고, 한 순간도 우연일 수가 없다. 모든 다른 요소들과 균형들은 동일하게 기본 물질과 그것을 지배하는 물리법칙에서 발견된다.

 

(2) 우주의 질서 (The Order Of The Universe) 

존경받는 과학자들은 그들이 우주에서 발견한 것에 놀라고 있다.

우리가 우주 안에서 어디를 관찰한다해도 우린 가장 완벽하게 설계된 배치(arrangements)를 알게된다. 실로 기절할 정도이다. 우리가 더 많은 지식을 얻을수록, 더 복잡하게 보이지만, 그 설계와 질서는 매우 섬세하게 고안된 것이다. 

”저 멀리 있는 은하계들로부터 가장 작은 원자에 이르기까지, 이 우주 안에서 보이는 모든 곳에서 우리는 어떤 질서를 만나게 된다. ... 우리는 진기한 질문들을 받게된다. 만일 정보와 질서가 자연스럽게 점점 사라지는 경향을 갖는다면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해서), 이 특별한 장소의 세계를 만든 모든 정보는 본래 어디서 왔을까? 우주는 서서히 느리게 가는 시계와 같다. 최초에 태엽은 어떻게 감겼는가?”- *P. Davies, 'Chance or Choice : Is the Universe an Accident?' in New Scientist 80 (1978), p.506 

”지능에 의해서 만들어진 시스템은 아름다움을 기뻐하는 것 외에 다른 목적이 없기 때문에, 사람의 두뇌를 앞선 자연적 질서의 복잡한 디자인과 관계된다.” - *W. Pollard, Man on a Spaceship(1967), p.49  

이 모든 것은 정직하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커다란 신비이다. 

”과학적인 방법에서의 성공은 물리적 세계가 이성적인 조사를 통해 식별될 수 있는 합리적인 원리에 따라 작동된다는 사실에 의존한다. 논리적으로 우주는 이러한 방법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는 혼돈이 지배하는 우주를 생각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물질과 에너지의 규칙적이고 조직적인 행동 대신에, 임의적이고 우연한 작동을 원할는지 모른다. 원자들, 별들 또는 사람들과 같은 안정된 구조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실제 세계는 이렇지 않다. 그것은 질서정연하고 복잡하다. 그것은 감탄할만한 경이로운 사실이 아닌가.”- *P. Davies, Superfore : The Search for a Grand Unified Theory of Natrue (1984), p.223. 

가장 위대한 정신은 엄청난 양의 정보와 전 우주를 통해 나타나 있는 지적 질서에 대해 경외감을 갖는 마음이다. : 

막스 플랑크(Max Plank) - ”자연의 무한한 영역에 대해 과학적으로 정확히 조사된 모든 것들에 의하면, 우리의 작은 행성에는 사람의 정신과는 독립되어진 어떤 질서가 있다는 것으로, 모든 결과들을 요약해서 말할 수 있다. 아직까지 우리의 감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이 질서는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것 같다. 우주에는 어떤 지적인 질서(intelligent order)가 있다는 증거들이 있다.” - *Max Planck, May 1937 address, quoted in A. Barth, The Creation(1968), p.144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 ”이전의 사람들은(원인으로부터 결과를 추론하는데 있어서..) 인간이 질서정연한 지성을 간섭할 때까지, 세계는 규칙적(법칙과 질서에 복종하는)이라고 기대했었다. 그러나 대신 우리는 객관적으로 이 세계에는 이전의 사람들이 기대하지 못했던 매우 고도의 질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의 지식이 발전하면 할수록 이 사실이 점점 강해지는 것은 '기적(miracle)' 이다.” - *Albert Einstein, Letters to Maurice Solovine(1956), pp. 114-115. 

제임스 진(Sir James Jeans) - ”순수 수학의 개념의 형태로 자연을 이해하고자 하는 우리의 노력은 이제껏 매우 훌륭하게 성공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어 왔다.” - Sir James Jeans, The Mysterious Univers(1930), p, 143 

이삭 뉴튼(Sir Isaac Newton) - ”6개의 주요 행성들은 거의 같은 평면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리며 공전궤도를 돌고 있다. 10개의 달들은 지구와 목성과 토성 주위를 같은 운동방향으로, 그리고 거의 행성궤도와 평면상에서 각각의 행성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기계적인 원인이 이러한 수많은 규칙적인 운동들을 탄생시켰다는 것을 상상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혜성들은 하늘의 매우 넓은 부분에서 매우 편심적인 궤도(eccentric orbits)를 그리며 움직이기 때문이다.” - Sir Isaac Newton, Mathematical Principles (2nd Ed, 1686), pp. 543-544.

 

(3) 우주에서의 인류지향의 원리 

우리가 알고있는 생명체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많은 다른 관계들, 거리, 그리고 요인들. 

과학자들은 우리와 관계되어 모든 자연에는 질 높은 강한 흐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러한 것이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것을 가리켜 '인류지향의 원리(anthropic principle)' 이라고 한다. 이 이론은 지구안에 있는 물, 대기, 화학물질들은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도록, 특히 인류가 존재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의지를 갖고 생각하는 각각의 개인들이 우리의 세상 안과 밖의 자연현상들을 편견없이 숙고하여 본다면 명백해진다. 

(그러나, 당신은 원자와 분자들이 마술적으로 자기들 스스로 적당히 잘 배열되어서 별, 행성, 물, 공기, 그리고 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말함으로서, '인류지향의 원리(anthropic principle)'를 비꼬는 진화론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무신론자들의 생각에서, 이러한 생각은 모든 진화론적 과정을 유도해내었던 원리였다. 따라서 '인류지향의 원리' 라는 용어는 때때로 창조론자들이 사용하는 뜻과 다르게 사용된다. ) 

”오늘날의 과학에서 목적론(teleology)과 관련된 개념들이 실제 존재한다....주로 현대 이론적 우주론에서 나온 주장들이 그러한데, 이러한 주장들은 독자들에게 놀라운 주장을 확신시키려하고 있다 : 우주 안에는 지적 생명체의 발전을 지지하는 웅대한 설계가 있다. 이 주장이(어떤 변동 안에서), 'anthropic cosmological principle' 이다.” - *W. Press, 'A Place for Teleology?' in Nature 320 (1986), p. 315 

별들과 행성, 생명체, 그리고 인류가 존재하기 위하여 극도로 정교한 균형을 필요로 하는데, 자연이 보여주는 이러한 예는 수없이 많다. 

이 글을 마무리하기 전에 한가지만 더 즉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만약 그 거리가 더 가까워지면, 달은 지구로 돌진해 충돌할 것이며, 만약 그 거리가 더 멀어지면, 달은 우주 멀리로 날아가 버리게된다. 만약 달이 지구와 더 가까이 있으면, 달에 의하여 생기는 조수(tide)는 위험스럽게 커지고, 파도는 낮은 대륙을 휩쓸어 버리게 된다. 그 결과 생기는 마찰열은 대양을 데우고, 지구에 생명체가 살기에 필요한 정교한 열적 평형을 깨뜨리게 된다.

달이 더 멀리 있으면, 조수의 활동은 감소되고, 바다는 더욱 활발치 못하게 된다. 흐르지 않는 물은 바다생물들을 위협하는데, 그것은 곧 우리가 숨쉬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바로 그 바다생명체들이다. (우리는 땅위의 식물보다 바다의 식물로부터 더 많은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 

왜 달은 하늘에서 그렇게 정확하게 현재 그 위치에 있을까? 누가 달을 거기에 놓았을까? 어떻게 달은 달리는 기차처럼 지구로 돌진해 와서 충돌하지 않고, 멈추기로 결정한 다음, 균형 잡힌 궤도로 조심스럽게 들어와 정확히 돌기 시작했을까?

 

*창조의 증거 : 우주의 미세조정 (Fine tuning of the universe)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FIzGdharx-A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sdadefend.com/pathlights/ce_encyclopedia/Encyclopedia/01-ma10.htm

출처 - Creation-Evolution Encyclopedia

Richard Niessen
2004-07-26

수백만 광년의 별빛은 오래된 우주를 말한다고 볼 수 없다.


      빛은 1초에 18만6천 마일, 1년에 6조 마일을 여행하는데 이 거리를 일 광년이라 한다. 우주에는 지구로부터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들이 있다고 한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별빛은 수십억 년 전에 출발하였던 별빛이 이제 지구에 도착하여 우리가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주의 탄생이 수십억 년 전이라는 것을 뜻하고 있으며, 진화론에서 오래된 우주와 지구의 나이를 얘기할 때 자주 인용되곤 하는 것이다. 정말 빛이 수십억 년을 날아갈 정도의 엄청난 거리에 별이 존재하는 것일까? 그 거리는 어떻게 측정되었으며, 믿을 수 있을만한 것일까?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의하면 이러한 별들의 거리는 잘못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첫째, 별들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상에 오류가능성이 매우 크다. 별들의 거리는 삼각측량법(triangulation or parallax(視差))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한변의 길이와 양끝각을 알면 삼각형을 그릴 수 있듯이, 지구의 반대편 지점에서 바라본 별들의 각도의 차이로 별들의 거리(삼각형의 높이)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멀리 떨어진 별의 경우 양끝 지점의 각도가 89도를 넘으면(높이 : 밑변의 비율이 28.5 : 1을 넘으면) 분, 초로 다시 세분하게 되는데, 지구의 양끝 지점에서 측정하는 방법은 우리 태양계내에서도 사용할 수 없는 정도인 것이다. 왜냐하면 태양도 지구의 양 끝지점에서 바라볼 때 시차(시각도)가 10초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먼 별의 측정에는 태양을 공전하는 지구의 공전면 지름과 공전면 양끝지점에서 바라본 별의 각도, 즉 6개월후의 별의 각도 차이를 가지고 별의 거리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별들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 각도는 사실상 수직이며, 이 방법으로도 200광년 떨어진 별의 거리 정도가 최대 측정한계라는 것이다. 일예로 태양은 광속으로 8분 거리이기 때문에 공전면의 지름은 16분이고, 가장 가까운 별인 Alpha Centauris 별은 4.5광년(광속 236만 5천분)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높이와 한변의 비율은 148,000 : 1 인데, 이것은 A4 용지의 양끝을 44 km 떨어져서 관측한 각도의 차이와 같은 것이다. 1억광년이라면 9억8천만km의 거리(태양과 지구의 거리의 6.5배)에서 A4 용지의 양끝을 측정하여 벌어진 각도의 차이로 측정된 결과와 같은 것이다. 사실 매우 먼 거리의 별은 거리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별의 예상되는 크기, 밝기, 적색편이, 여러 의심스러운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몇몇 천문학자들은 200광년의 거리안에 전 우주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도 말하고 있다.

  

둘째, 빛은 우주공간을 'shortcut'를 통하여 여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우주의 모양에는 2가지 개념이 있다. 하나는 직선 모양의 유클리드(Euclidean) 기하학이고, 또 하나는 휘어진 모양의 리매니안(Riemannian) 기하학이다. 27개의 binary star를 연구한 결과 빛은 Reimannian surfaces를 휘어져 여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곡선거리를 직선거리로 바꾸는 식은 S = 2 R tan-1 ( r / 2R )로서, 이 식에 의하면 4광년은 3.81광년, 30광년은 12.5광년, 100광년은 14.7광년, 1만광년은 15.7광년, 그 이상은 15.71광년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빛이 우주공간을 휘어서 여행할 수 있다면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 빛의 속도가 과거에는 더 빨랐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별들은 실제 멀리 떨어진 것도 아니며, 생성연대도 얼마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Barry Setterfield 박사는 1675년부터 1976년까지 52회에 걸쳐 빛의 속도에 관한 측정이 있었는데, 실제 빛의 속도(광속, c)는 수천년 전에는 거의 무한대였으며, 과거 300년 동안 일정하게 감소되었고, 1960년대에 와서 일정해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는 감소하는 빛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 식을 만들었는데, 그 식에 의하면 빛의 속도는 B.C.4082±100년부터 늦어지기 시작하였으며, 가장 먼 곳으로부터 지구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은 6000년 미만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구소련의 천문학자이며 진화론자인 Troitskii 교수는 1987년 연구에서 빅뱅의 증거로 사용되는 별들의 적색편이과 배경복사는 우주폭발에 의한 별들의 후퇴때문이 아니라 사실 빛의 속도인 의 감소때문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방사선붕괴속도 측정방법에 의해 가정된 수십억년이라는 지구의 연대는 수천년으로 축소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광속이 크면 방사선붕괴를 포함하여 광속과 연관된 원자현상들은 빠른 진행과정을 갖기 때문이다.

  

넷째, 우주와 지구가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초자연적인 방법으로 빛이 도달된 상태로 창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경에 의하면 최초의 식물은 열매를 맺을 정도로 성장된 상태로 창조되었으며(창1:11~12), 동물이나(창1:20~25), 아담(창2:7), 하와(창2:21~23)도 성숙된 상태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성경에는 여러군데에서 하늘을 창조하실 때 하늘을 펴셨다(stretched or spread) 라고 말씀하고 있다(사42:5, 사45:12, 사51:13, 렘10:12).

  결론적으로 수십억 광년의 별빛은 우주의 나이가 수십억 년 이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지구가 젊다면 우리가 어떻게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빛을 볼 수 있는가? (youtube 동영상)
- 캔트 호빈드. 한글 자막.

https://www.youtube.com/watch?v=8WnMKeyKixI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천문학/빛의 속도에 있는 자료들을 참조하세요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E05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pubs/imp/imp-121.htm

출처 - ICR, Impact No. 121, 1983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5

참고 : 6581|6577|6265|6188|4429|4428|3943|2834|2833|6339|6281|3933|5289|3941|6139|5150|3910|3686|6538|6517|6473|6460|6454|6412|6398|6362|6357|6356|6368|6343|6342|6273|6267|6261|6231|6195|6169|6140|5777|6121|6068|6045|6348|6498|6377|6375|6367|6294|6279|6259|2464|1922|2302|2304|2016|4869|4664|4665|4666|6360|6351|2942|6283|6189|6133|6066|5969|5275|5035|5033|4540|4492|4440|4240|3932|4297|4375|3707|3689|3628|3024|6512|5542|6480|6414|3589|6135|5381|6107|4487

미디어위원회
2004-07-26

현대의 항성 이론을 만든 세 사람

(Three men who gave us our modern stellar theories)



     물질과 별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관한 추론적인 이론을 만드는데 매우 큰 영향을 준 3 사람이 있다. 그들의 이론이 과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에 우리는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우리가 모든 곳에서 살펴본 것에 의하면, 과학적 증거들은 그들의 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과학 대진화이다. Creation-Evolution Encyclopedia는 당신에게 창조과학이 사실임을 알려줄 것이다. 

이 글은 물질의 기원(Origin of Matter)에서 인용하였다. (*)표시가 되어있는 이름의 사람은 창조론자가 아니다. 이 책은 4,000 여개의 인용구들을 근거로 하였고, 창조론자들의 진술은 단지 164개이다. 당신이 '물질의 기원'을 읽는다면, 다음 과학자들의 진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첫번째 사람은 *엠마뉴엘 스베덴보리(Emmanuel Swedenborg)이다. 그는 1734년에 강신술 집회(spiritualistic seance)에서 우주의 가스가 소용돌이치다가 스스로 뭉쳐져서 별과 행성을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른 어떤 이론보다 그의 이론이 성운설(nebular hypothesis)을 위한 주요한 원천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번째 사람은 *조지 가모프(George Gamow)로서, 그는 1949년에 빅뱅(Big Bang) 이론을 (무(nothing)가 모이고, 폭발하여 수소를 만들고, 수소가 다시 별들과 행성 등을 만들었다는) 무게있게 공표했다. 그의 작은 그림들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용어들은 (예를들어 'ylem'(팽창초기의 시원물질)과 같은) 진화론적 사고를 가진 과학자들을 매혹시켰다. 그리고 조지는 그의 만화를 읽는데, 돈을 부과시켰고, 대중을 위해 만화책을 쓰는데 모든 시간을 쏟았다. 몇 년후에 그는 천문학자들에게 그의 Big Bang 속편을 소개했다. 그것은 800억 년의 주기를 가지는 '진동우주이론(oscillation universe theory)'으로서, 바깥으로 팽창하던 우주가 다시 안쪽으로 모여들어 1인치 보다 적은 한 점(single dot)으로 모이고, 다시 바깥쪽으로 폭발한다는 것이었다. 


세번째 사람은 프레드 호일(Fred Hoyle)로서, 그는 1948년에, 우주에서 물질(hydrogen)의 자발적인 생성을 주장하는 이른바, '정적우주이론(steady state universe theory)'을 공표하며 나타난 사람이다. 10년후, 그는 공상과학소설을 쓰는데 수년 동안 전념하였고, 후에 그 이론을 가치없는 것으로 여기고 포기하였다. 


위 이야기는 각각의 행성이론들이 어디서 나왔는지를 말해준다. 과학적인 사실들로 무장된 연구하는 사람들이 아닌, 심령술사나 자신들의 상상을 글로 적어 다른 사람에게 팔던, 두 명의 공상과학작가로부터 나온 것이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sdadefend.com/pathlights/ce_encyclopedia/Encyclopedia/01-ma11.htm

출처 - Creation- Evolution Encyclopedia


Encyclopedia
2004-07-26

천문학 수업에서의 토론 

(Astronomy Class Discussion)


     한 대학생이 교수님과 천문학적인 증거에 대해서 토론한다. 그 대화를 들어보자. 이것은 과학대 진화이다. Creation-Evolution Encyclopedia는 당신에게 창조과학이 사실임을 알려줄 것이다.

(이 재료는 태양계의 기원이라는 책으로부터 발췌했다. 이름 앞에 있는 별표(*)는 창조론자가 아닌 사람을 나타낸다. 이 Encyclopedia 책은 4,000개가 넘는 인용문들을 기초로 하였는데, 그중 단지 164개의 인용문이 창조론자에 의한 것이다.) 

 

교수 : 모든 것은 빅뱅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때 갑자기 무에서부터 생겨난 것들이 폭발하였던 것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무는 폭발할 수 없습니다. 

교수 : 이론가들은 충분히 압축만 되어있다면, 적절한 조건하에서는 무가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이론화 해오고 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무를 압축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중력은 확실히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교수 : 그것은 거대한 양의 에너지에 의해 연료를 제공받는 아주 거대한 폭발이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거기에 아무 것도 없었다면, 거기에 물질도 에너지도 없었습니다. 오직 물질이 폭발할 수 있고, 그것에 불을 붙여주는 것은 에너지의 원천을 필요로 합니다. 

교수 : 이 수소가 외부로 발사되었고, 멈추었고, 그리고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그 자체로서 별을 형성하였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밖으로 달려가는 수소는 외부공간에서 결코 멈출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회전을 시작해야할 아무런 방법이 없습니다. 

교수 : 이 수소들은 스스로 뭉쳐져서 별을 형성하였습니다. 이것은 별에 의한 거대한 중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진공상태인 외부 우주공간에 있는 수소는 결코 스스로 뭉쳐질 수 없습니다. 그 대신 계속하여 외부로 흘러나가 밀도가 점점 더 낮아집니다. 별은 거대한 중력을 갖지만 그것은 별이 형성되기 전이 아니라, 별이 형성된 후입니다. 

교수 : 그리고 그 최초 별들의 많은 수가 폭발했습니다. 매우 큰 폭발(초신성)은 우주에 있는 모든 후속 헬륨(post-helium) 원소를 만들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헬륨 질량 4 차이 때문에, 더 무거운 원소들은 수소와 헬륨으로 부터 거의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AD 1045년 게자리 초신성의 폭발로부터 외부로 방출된 가스의 분석에 의하면, 수소와 헬륨만이 존재하였고, 더 무거운 원소들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교수 : 각각의 초신성 폭발은 압축되었고, 더 많은 별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폭발하는 별은 단지 외부로 유출되는 가스를 만들뿐이지, 또 다른 별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느슨한 가스상 물질들은 진공상태의 우주 공간에서는 스스로 압축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심지어 여기 지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교수 : 빅뱅 후에 무작위적인 별들의 폭발은 현재 존재하는 모든 별들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복잡하게 균형잡힌 궤도를 형성했습니다. 우리는 무작위적인 운동이 그러한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론화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무질서한 폭발은 결코 섬세하게 균형잡힌 별들의 궤도, 연성, 성운, 은하들을 결코 형성할 수 없습니다 

교수 : 그리고 그러한 별들의 폭발들은 모두 갑자기 멈추었습니다. 공교롭게도 우리는 인간 문명 바로 전에 그 폭발이 멈추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기록들은 갑자기 수천년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그것은 그 모든 폭발이 일어났다고 말하는 단지 하나의 이론일 뿐입니다. 왜 갑자기 폭발이 멈추었을까요? 우리의 행성보다 더 밝은 수천개의 초신성 의 폭발들이 밤마다 일어나야 합니다. 

교수 : 우리는 읽어버린 질량(missing mass)를 여러 해 동안 찾아오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이론적인 빅뱅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물질들의 90%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마침내 그것을 찾았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볼 수 없고, 우리 주위 모든 곳에 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이것은 증거가 없다는 또 하나의 예입니다. 

교수 : 이렇게 해서 빅뱅 때문에 우리는 모든 우주공간에 별과 은하수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빅뱅 폭발은 우주의 끝을 향하여 외부로 영원히 흘러가는 가스를 만든 것 뿐입니다. 그것은 스스로 회전할 수도 없으며, 방향을 돌이킬 수도 없고, 더군다나 별이 될 수도 없습니다. 

교수 : 행성들(planets)은 별들로부터 떨어져 나온 가스들입니다. 그들은 스스로 압축되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그러면 왜 행성들은 전혀 다른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나요? 그리고 별로부터 외부로 흘러가던 가스가 스스로 압축되어 행성을 형성할 수 있나요? 

교수 : 이제 천체 역학(celestial mechanics)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별들, 연성들, 행성들, 위성들, 은하계 등이 충돌없이 서로 비행하면서, 정확히 궤도를 유지하며, 공전과 자전 등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은 각운동량(angular momentum) 때문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빅뱅으로 외부로 향하던 폭발이 어떻게 별들이 되며, 어떻게 회전과 궤도를 형성할 수 있습니까? 어떻게 직선운동(linear motion)이 각운동량으로 바뀔 수 있습니까? 

교수 : 그러한 빅뱅은 현재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을 만들어냈습니다. 다행히도 반물질은 거의 없습니다. 만약 두 가지가 동일한 양으로 만들어졌다면, 그 둘은 서로 서로를 순간적으로 파괴했을 것이고, 어떠한 물질도 남아있지 않았을 겁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모든 계산들은 물질과 반물질이 동일한 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요구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서로 서로를 완전히 파괴했을 겁니다. 

교수 : 우리는 그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이론가들은 그러한 모든 반물질은 스스로 어떤 곳을 여행할 수 있는지 의심합니다. 그것은 아마도 어떤 별이나 은하수 뒤에 숨겨져 있었고, 여태까지 우리를 교묘히 피해왔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그러한 반물질은 스스로 여행할 수도 없고, 여행하지도 않았습니다. 실험실 조건 하에서 그 둘은 즉각적으로 서로에게 날라가 함께 무가 되어버렸습니다. 

교수 : 빅뱅은 이론적으로 단지 부드러운 가스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외부로 흘러가면서 스스로 별들과 은하계로 변화되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이론가들이라도 부드러운 가스가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교수 : 빅뱅의 가장 좋은 증거는 배경복사(background radiation)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140 억년 전에 폭발한 빅뱅의 마지막 속삭임(last whisper)으로 생각합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배경복사는 그 이론과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잘못된 온도이고, 전적으로 평탄하며(smooth), 잘못된 스펙트럼을 가졌고, 오직 한 방향이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부터 옵니다. 

교수 : 빅뱅의 또 다른 훌륭한 증거는 우리가 적색편이에 관해 고안해낸 이론입니다. 먼 별의 스펙트럼의 변동은 별들이 우리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별이 우리로부터 멀어질수록, 외부로 빨리 움직이는 것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속도이론(speed theory)에 반하는 풍부한 증거들과, 그리고 적색편이를 다르게 설명하는 이론들이 있습니다. 

교수 : 팽창하는 우주 이론으로 관심을 돌려봅시다. 그것은 속도이론에 기초를 둡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빅뱅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우주가 외부로 팽창하고 있다는 이유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그것은 종속된 또 다른 이론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이론입니다. 모든 것들이 결정적인 증거가 없는 이론들일 뿐입니다. 

교수 : 그러면 퀘이사(quasars)가 있습니다. 속도이론에 따르면, 그들은 빛의 속도보다 8 배나 빠르게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우리가 속도이론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퀘이사 문제는 해결될 수 있습니다. 

교수 : 정말로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우리는 그 이론에 맞게하기 위해 빛의 속도가 변하는 것을 고려중입니다. 퀘이사는 우리로부터 극도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그들은 아직도 망원경을 통하여 볼 수있을 정도로 충분히 밝다는 사실은 매우 놀랄만한 것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그것은 유행하는 속도이론과 퀘이사이론이 둘 다 부정확하다는 또 다른 증거입니다. 퀘이사는 너무 멀리 있기 때문에 보이는 것이 불가능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이는 퀘이사는 역제곱 법칙(inverse-square law)을 위반합니다. 

교수 : 물질과 별의 기원에 관한 우리의 이론은, 우주 전역에 걸친 어느 곳에서나, 물질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며, 무질서에서 질서가 태어난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열역학 제1, 제2 법칙은 그러한 일이 일어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교수 : 몇몇 별은 오래되었고, 다른 것들은 젊습니다. 우리는 이것에 대한 3 가지 이유를 알고 있습니다. 첫째는, 제 일 세대의 별들(Population Ⅰ star)의 많은 수가 폭발하여, 제이, 제삼 세대의 별들(Population Ⅱ and Ⅲ)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수소나 헬륨보다 무거운 금속의 원소들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하늘 어딘가에는 Population Ⅲ 의 별들이 있어야할 것입니다. 그러나 어느 것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교수 : 두번째 이유로, 우리는 적색거성은 매우 오래되었고, 청색별은 더 젊고, 그리고 왜성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는 것을 이론화했습니다. 이것은 별들도 나이가 다름을 보여주며, 우리의 이론을 입증합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당신은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런 모든 별들의 금속성은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그리고 모두는 본질적으로 같은 화학구성을 보여줍니다. 만약 그 이론이 옳다면, 가장 최근에 생겨난 젊은 별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들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가장 오래된 별은 금속성 원소는 없고 단지 수소나 헬륨 만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덧붙여서 적색 거성이나 왜성들은 각 은하에서 같이 발견됩니다. 질량-광도의 법칙 (mass-luminosity law)은 가장 밝고 가장 뜨거운 별이 가장 빨리 타버릴 것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그들 모두는 아직까지 같은 은하계에서 함께 발견되고 있으며, 그리고 새로운 별들이 형성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교수 : 세번째 이유는, 은하계의 바깥쪽에 있는 별들의 대부분은 무척 오래된 반면, 중심에 있는 별들은 훨씬 젊은 별이라는 것을 이론화했습니다. 게다가 구형성단을 이루고 있는 별들은 아직까지 매우 젊은 별임이 틀림없다고 결정하였습니다. 이것은 별들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일반적인 우리 이론이 사실임에 틀림없다는 뛰어난 증거입니다

학생 : 그러나 교수님, 은하계에 있는 두 종류의 별들의 금속성은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그리고 구형성단의 별과 원반형 은하의 중심 별들에 대해서도 같습니다. 그 이론은 가장 젊은 별은 극도의 금속성을 가져야 하고, 가장 오래된 별은 가장 낮은 금속성 또는 전혀 금속성을 갖지 말아야 할 것을 요구합니다.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천문학/별, 태양계, 혜성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E02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연대문제/젊은 우주와 지구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L04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천문학/빅뱅설에 있는 많은 자료들을 참조하세요

    http://www.kacr.or.kr/library/listview.asp?category=E01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pathlights.com/ce_encyclopedia/Encyclopedia/03-ss6.htm

출처 - Encyclopedia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8

참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