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 현대 과학의 원인?
(Christianity : A Cause of Modern Science?)
by Eric V. Snow
듀헴-자키, 머톤의 논문들
기독교는 과학의 발전을 저해했는가? 오늘날 대부분의 지성인은 17세기 갈릴레오의 지동설에 대한 종교재판과 1860년에 있었던 토마스 헉슬리(Thomas Huxley)와 윌버포스 주교(Bishop Wilberforce) 사이의 진화 논쟁에서 주교를 당황하게 만든 것 등을 증거로 인용하면서 그렇게 했다고 믿고 있다. 그런 고정관념은 역사적으로 정확한가? 현대 과학(modern science)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가톨릭 대학과 수도원들에 있던 신학자들, 수도사들, 교수들에 의해서 일어났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만약 추측하는 것처럼 기독교와 과학이 서로 매우 맞지 않는다면, 어떻게 중세와 르네상스시대 동안 유럽에서 과학이 점차 발전할 수 있었을까? 어찌되었든 지동설을 믿었던 갈릴레오와 코페르니쿠스(Copernicus)도 역시 기독교 신자였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피에르 듀헴(Pierre Duhem), 스탠리 자키(Stanly Jaki), 그리고 로버트 머톤(Robert Merton)의 역사적 연구에서 보듯이, 기독교 세계관이 현대과학의 발전에 필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술적 발달과 과학은 같은 것이 아니다.
과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부정하기 위해서, 회의론자들은 과학의 일부 정의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하여, 모든 문명들이 과학을 발전시켰었던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이전의 시대에서 일상 생활에 영향을 주었던 발명품들은 자연의 법칙을 묵상했던 과학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능인들에 의한 ‘경험적인(empirical)‘ 발견이었다. 비록 그리스, 중국, 인도, 그리고 아랍 등에서 과학이라고 불려질 수 있는 것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의 과학은 곧 사그라졌고, 갈릴레오의 전진으로부터 기독교 과학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엄격한 적용과 활력이 확실히 결여되어 있었다.
듀헴-자키의 이론은 사회학적 요인, 유물론자(materialist), 현상론자(externalist) 등과 같은 원인들이 현대과학을 발생시키는 데에 충분한 조건들이 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다. 자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988, p.35),
“과학의 역사문헌들은 왜 세 개의 고대 문명(중국, 인도, 이집트)이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비슷한 패턴의 마주보는 과학(vis-a-vis science)을 보여주는 지에 대한 문제에 여전히 직면해 있다. 그 문명들 각각은 뛰어난 재능들이 있었고, 사회적인 조직도 잘 되어 있었으며, 평화로운 기간을 상당히 가지고 있었음에도 (이것들은 역사 문헌이 강하게 신뢰하는 과학의 전지사회학(all-knowing sociologies)에 의해서 제공되었던 표준적인 설명 안이다) 불구하고 과학의 사산아였다.”
비록 이런 모든 조건들은 문명이 과학의 발전을 허락하는 데에 필요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것으로는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왜 단지 하나의 특정한 문명만이 자립적으로 현대과학을 탄생시켰으며, 다른 문명들은 하지 못했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들의 지적, 철학적인 환경을 또한 살펴보아야만 할 것이다.
한 문화가 과학을 발전시키기에 필요한 철학적 개념들
듀헴과 자키에 의하면, 문명은 몇 세기 동안의 발전 이후에 소멸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과학을 지키려는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첫째로, 시간은 직선적인(linear) 것이며 잠재적으로 정량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에 대한 이해는 과거, 현재, 미래를 분명하게 구분해 주기 때문에, 자연(nature)의 원인-결과 관계를 훨씬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유대교과 기독교의 전통에서, 이러한 개념은 과거 어떤 특별한 시점에 무로부터 우주의 물질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행위로부터 시작한다. 시간은 현재로부터 미래의 심판의 날까지 행군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다른 이교도의 시선은 시간은 그 자체가 반복되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Great Year"의 개념은 수 세기에 걸쳐서 순환하는 시간들의 존재를 유지시켜왔다. 이론적으로 어떠한 종류의 발달이든지 영원히 진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고대 세계의 시간 개념은 미래는 과거의 반복이라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자기만족(complacency)이라는 의식을 갖게 하고, 이것은 과학의 발전을 방해한다. 영혼의 환생(reincarnation)과 윤회(transmigration)는 이러한 시간에 대한 관점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만약 과학이 존재한다면, 자연 현상에 대한 해석들은 사건들에 대한 실제적인 원인을 설명하지 않는 추측적인(priori), 의사 과학적 설명(pseudo-scientific explanations)을 피하여야만 한다.
셋째로, 자연에 대한 유기체적 관점(organismic view)은 과학의 발전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전체 우주가 살아있다는(alive) 믿는 것은 세계를 앞에서 언급한 순환적 과정인 탄생, 성장, 죽음, 그리고 재탄생을 진행하는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그것은 확실히 범신론(pantheism)과 결합되어 있다. 모든 것이 신(everything is God)이라고 믿는 이러한 개념은 힌두교(그리고 뉴에이지 운동)에서 보여지는 개념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서구 사람들은 바위, 별, 바다 같은 것들을 생명이 없는 사물로서 인식한다. 유기체적 관점은 위의 것들을 그것들 자신이 지적 능력을 가진 존재로서 간주한다.
넷째로, 우주의 기본적인 질서정연함과 실제성을 부정하는 것은 과학의 발달을 방해한다. 결코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을, 그리고 또한 신과 자연이 임의대로 예측할 수 없이 변화시키는 것을 사람은 주의 깊게 조사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섯째로, 자연 현상들에 대한 유기체적 개념의 한 작은 부분으로, 과학적 천문학(scientific astronomy)은 우주가 살아있다거나, 신이라고 믿지 않을 때 오직 발전할 수 있다.
여섯째로, 이성(reason)과 믿음(faith) 사이에 균형이 필요하다. 종교적인 사람들은 자연법칙들을 완전히 부정해서는 안 된다. 반면에 과학자들은 종교적 진실성의 가능성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
일곱째, 사람은 동물들과는 질적으로 다른 정신(mind)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에 있는 것들과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유대교-기독교 세계관에서, 창세기는 함축적으로 이 점을 나타내고 있다. 남자와 여자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고,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는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다 (창세기 1:26-29). 환생(reincarnation)은 사람이 죽고 다시 태어남으로서 동물의 영혼이 사람에게로 들어갈 수도 있고, 사람의 영혼이 동물에게로 들어갈 수도 있다고 주장함으로서 이것을 부정한다.
기독교 사상은 이교도 사상들을 몰아냈다.
상당히 많은 문명 지식인들이 이런 거짓된 사상의 모두 또는 대부분을 믿는 한, 스스로 유지되는 과학, 특히 외부적 실제 세계의 물리적 사물들에 대한 진정한 과학을 발생시킬 수 없다. 기독교 세계관은 이교도들의 개념에서 나온, 과학의 발달을 방해해 왔었던 우주의 본질에 대한 이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피에르 듀헴은 10권의 웅대한 저서인 Le Systeme du Monde 에서 과학의 탄생은 219 개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철학적 개념들을 구분했던(가르쳐지는 것을 금지했던) 파리의 주교였던 스테픈 템피어(Stephen Tempier)의 선언(condemnation)이 있었던 1277년에 이루어졌다고 선언했다.
어떤 문명들은 이런 거짓된 개념들의 모두 또는 대부분을 가지고 있고 (힌두 사상의 인도), 일부 문명은 적게 가지고 있고 (중국), 한 두 문명은 아직도 소수를 가지고 있다 (이슬람). 이에 일치하여, 이슬람은 인도와 중국에 비해서 과학이 더 발전되어 있었다. 왜냐하면 이슬람은 이러한 잘못된 개념을 적게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중국인들은 하늘이 신이고 살아있다 라는 잘못된 생각을 적게 가지고 있었지만, 이러한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매우 영향력 있었던 작품인 On the Heavens에 나타나 있었다. 이러한 개념은 고유의 이슬람 과학을 지속적으로 방해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런 불완전한 지적인 개념들은 궁극적으로 힌두 과학과 충돌하면서 결합했다. 그것은 외부의 진정한 세계와 질서를 거부했고, 영원한 순환과 자연의 유기체적인 개념을 지지했다. 그리고 하늘의 신성을 주장하였다. 힌두 개념의 확장이 불교를 통해서 중국인들의 생각에 영향을 미치면서, 중국의 과학은 초기에 질식되어져 버렸다. 만약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Quran)이 이성을 초월한 신의 의지와 권능을 강조하지 않았다면, 그리고 이슬람의 지도자급 신학자들이 매우 신비적으로 남아있었던 동안 이슬람 과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물리학에 대해 무비판적이 아니었다면, 이슬람의 과학은 자기 보존이 되어졌을 지도 모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와 갈릴레오(Galileo)의 새로운 개념이 그냥 아무데서 쉽게 튀어나온 개념이 아님을 깨닫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신 그들은 뷔리당(Buridan)과 오렘(Oresme)과 같은 중세의 전임자들의 기록을 통해서 그들의 개념을 확립하였다. 이들 두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물리학 개념을 깨뜨리기 시작함으로서 현대 물리학의 개념적인 기초를 형성하는 첫 걸음을 시작했다는 것을 듀헴과 자키는 매우 강조하고 있다.
머톤의 논문이 언급했던 것
머톤의 논문은 17세기 청교도들의 과학적 연구들을 장려하였던 확실한 도덕적 가치관을 보여준다. 그는 영국 청교도들 가운데서 과학을 장려했던 여러 가치들을 목록화 하였다. 첫째 한 사람의 기독교인은 중세 가톨릭에서 특성화되어졌던 사회로부터 은둔하여 묵상하는 수도사적 개념이 아니라, 전체의 삶을 사회에 유용하도록 행동함으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섬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사회에 유용한 직업들을 열거함으로서 직업을 강조하면서, 청교도주의(Puritanism)은 부지런함, 산업, 그리고 열심히 일하는 것을 장려하였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그의 능력에 가장 잘 맞는 직업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에 있어서 이성과 교육은 둘 다 칭송되었다. 교육은 내용에 있어서 문학적인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것이 되었다. 과학적인 방법론은 일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 경험적이고(실용적인) 합리적인(이론적인) 시도들을 둘 다 필요로 했다. 이것은 자키가 반복적으로 되돌아갔던 하나의 이슈였다. 청교도주의는 각자의 소명을 감당하는 데에 필요한, 그리고 전체 사회에 유익한 지식의 탐사를 장려함으로서 경험주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통해 이 둘을 제공했다.
영국 청교도 과학자들
이 기간 동안 많은 영국 과학자들의 종교적 가치관과 신념들에 대한 기록들을 찾아보는 것은 쉽다. 위대한 생물학자인 존 레이(John Ray, 1627-1705)는 그의 친구에게 자연을 조사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자네가 시간을 잘 보내고 있는 것처럼, 하나님의 작품과 자연을 조사하고 관찰하는 일에 시간들을 잘 보내고 있다네” 왕립협회(Royal Society, 영국의 우수한 과학적 조직)의 68명의 창립 멤버 중에 42명이 그들의 종교적 배경이 청교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인들의 대부분은 신앙적으로 영국 국교회(Anglican)가 주류였기 때문에, 높은 비율의 청교도들이 그들의 가치관에 따라 과학적인 연구들에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로버트 모레이(Robert Moray), 윌리암 페티(William Petty),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존 윌킨스(John Wilkins), 존 월리스(John Wallis), 조나단 고더드(Jonathan Goddard) 등은 모두 왕립협회의 유명한 지도자들이었고, 모두 청교도인(Puritans)들이었다.
과학과 기독교는 양립할 수 있다.
듀헴, 자키, 머톤의 글에서 보여지듯이, 역사의 확고한 사실들은 과학과 기독교가 절대로 양립할 수 없다는 진화론자들의 일상적인 주장을 거부하고 있다. 독일의 사회학자인 막스 웨버(Max Weber)가 자본주의의 발전은 프로테스탄티즘의 가치관에 의해 기인했다고 말했던 것과 같이, 머톤의 이론은 영국 청교도들의 가치관이 과학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다 더 중요하게, 듀헴과 자키의 연구는 기독교에 대한 철학적 믿음이 과학이 탄생하도록 이교도들의 반과학적 개념들을 몰아냈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성경에 대한 믿음은 궁극적으로 스스로 유지되는 과학을 통하여 이성적인 표현을 막았던 이교도적 사고로부터 사람들을 자유롭게 했던 것이다.
Selected References
.Stanley Jaki, The Origin of Science and the Science of Its Origin
(South Bend, IN: Regnery/Gateway, 1978).
.Stanley Jaki, The Savior of Science (Washington, DC: Regnery Gateway, 1988).
.Robert K. Merton, 'Science in Seventeenth Century England,' Osiris, 1938, pp. 360-632.
More specifics and further references are in my essay, 'Christianity: A Cause of Modern Science? The Duhem-Jaki and Merton Theses Explained.'
1 Empiricism maintains knowledge is mostly gained by the senses, while rationalism maintains knowledge is mostly gained by thinking, reasoning, and logic.
* Eric V. Snow has a master's degree in history.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christianity-cause-modern-science
출처 - ICR, Impact No. 298, April 1998.
툴사 동물원은 성경적인 것만 제외하고 종교에 대해서 관대하다.
(Tulsa Zoo Tolerates Religion - Except the Bible Kind)
미국 오클라호마에 있는 툴사 동물원(Tulsa zoo)에서 힌두교의 신인 가네사(Ganesha)를 찬양하고, 범신론(pantheism)을 외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성경적인 설명은 불가능하다. 동물원 위원회는 창조론적 설명의 전시를 허가하기 위한 첫 번째 미팅 후에 그것을 번복하였다고(2005. 7. 7) Agape Press는 보도하였다. 기독교 관계자들은 동물원 측이 힌두교에서 신성한 것으로 취급하고 있는 코끼리와 같은 동상을 포함하여 종교적인 심볼들을 나타내는 여러 전시물들을 이미 특성화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전시가 금지되는 것은 오직 유대교-기독교의 창조론적 설명 만에 해당하는 것처럼 보인다. 처음에 동물원 측은 동의했었다. 그러나 전시 디자이너인 힉스(Dan Hicks, an AiG friend)는 위원회가 특별히 몇몇 그룹들에 대해서는 조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힉스는 동물원에서 창조론의 전시를 원래 승인했던 툴사 공원과 레크레이션 위원회가 시끄럽게 떠드는 소수의 요구들을 조심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는 이종교간 동맹(Interfaith Alliance), 툴사 메트로폴리탄 미니스트리(Tulsa Metropolitan Ministries), 그리고 모든 것을 관용하고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몇몇 그룹들은 사실 교회와 정부의 분리를 위한 미국인 연합(Americans United for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과 제휴하고 있는 정치적 활동단체 라고 주장하였다.
AiG(Answers in Genesis)는 또한 창조론적 전시의 취소에 대한 엄중한 논평을 하였다. 여론 조사는 대중들의 76%가 창세기의 전시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힌두-범신론적 전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외치고 있다. ”지구는 우리의 어머니이고, 하늘은 우리의 아버지이다”
우리 문화에서 관용(tolerance)은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크리스천들의 손을 뒤로 묶고, 입에는 재갈을 물리고, 상황 청구권도 없이, 목격되는 모든 악한 행동들과 타락하고 사악한 퍼레이드들이 앞으로 지나가는 것을 견디도록 강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항하려는 시도를 하려고 하면, 교회와 정부는 분리되어야 한다 또는 진화는 사실이다 라는 주문(mantras)들이 끊임없이 외쳐지는 것을 들어야 한다. 얼마나 많은 인내를 해야만 하는가. 피해자들이 도저히 참을 수 없어 그들의 묶여진 끈을 끊고 싸우려 나설 때, 그들은 웃으며 실제로는 그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단지 포함되기를 원했던 것이었다고 위장한다. 시간이 지나 평온해지고 나면 피해자들은 또 다시 느슨해진다. 이제 당신은 자유주의(liberalism)에 대해서 훨씬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시될 예정이었던 창조에 대한 성경적 설명.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200507.htm
출처 - CEH, 2005. 7. 16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763
참고 :
걷는 물고기 : 유전적 다리?
(The Fish that Walks : A Genetic Bridge?)
진화론자들은 어류와 양서류 사이의 연결 고리(link)로 부를 수 있는 다수의 물고기 종들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말뚝망둥어(mudskipper), 등목어(climbing perch), 폐어(lungfish) 등은 모두 얼마 시간 동안 물 밖에 있을 수 있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기물로부터 사람으로까지 모든 생화학적 정보들이 물에서 육지로 올라가는 동안 유전적 다리(genetic bridge)를 통하여 전달되었다는 것을 믿기 위해서는 논리적 도약이 있어야 한다.
양쪽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소수의 생물체들이 있다는 사실은, 이들 특성들은 처음부터 창조된 것이라는 창조론자들의 주장을 반박하지 못한다. 진화론자들은 과거 수억 수천만년 동안 발생된 진화론적 변화(transition)의 예로서 오늘날 존재하는 이들 종들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면 그들은 말뚝망둥어나 폐어가 충분한 시간만 주어진다면 사람으로 계속 진화해 갈 것으로 기대하는가? 아마도 그런 생물들은 진화론자에게 표면적인 수준에서 일부 위안을 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러한 주장은 포크가 스푼으로부터 진화했음을 입증하기 위해 수저세트를 정렬시켜 놓는 것만큼이나 오류가 있는 것이다.
한 유사한 문제가 비행의 기원(origin of flight)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조류(birds)에서, 박쥐(bats)에서, 곤충(insects)에서, 나는 파충류(flying reptiles)에서 적어도 4번을 각각 진화했어야만 한다. 관련이 없는 생물 종들에서 각기 4번이나 엄청난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는 것을 믿는 것보다 창조주가 한 번에 그러한 것들을 창조하셨음을 믿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우리의 목적 중 하나는, 창조론자들의 관점은 합리적이고, 주어진 과학적 사실을 더 쉽게 믿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창조주가 모든 동물들을 다르게, 그러나 비슷한 마스터 플랜을 가지고 만들었다는 것을 믿는다는 것은 비논리적인 것이 아니다.
생명을 유지시키는 풍부한 단백질들이 같은 생화학적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먹이(food)로부터 공급되지 않는다면, 생물체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진화론자들은 우리에게 모든 육상동물들에 암호화되어 있는 유전정보들이 말뚝망둥어와 같은 한 도관(conduit)을 통하여 전달되었다는 것을, 또는 어떻게 해서든지 후에 실현되었음을 믿으라고 요구한다.
나는 내 생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사용한다. 컴퓨터 암호는 프로그래머 없이 실현되지 않는다. 살아있는 생물체는 3차원적인 컴퓨터 암호를 가지고 있다. 그 암호에는 손가락이 어느 정도 길이로 자라다가 멈추라는 명령이 들어가 있다. 당신의 눈동자는 직경 5cm 정도에서 더 자라지 않으며, 당신의 혀는 60cm씩 자라지 않는다. DNA, RNA, 단백질들의 경이로운 반응들은 한 종의 생물체 내에 엄청난 다양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관측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스스로 조절되고, 스스로 수선되며, 엄청난 정확성을 가지고 스스로를 복제한다. 이 놀라운 시스템이 처음에는 달랐고, 더 단순했다고 믿을 아무런 이유가 없다. 이 단계에서 다윈설의 논리적 논쟁은 실패하고 만다.
창조론자들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창조된 여러 종류들(kinds)로부터 출발했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생물체의 다양성(diversity)은 각 생물체들의 건설과 복제를 위해 암호화되어있던 ‘야생형(wild-type)‘의 유전정보 내에서 만들어졌다고 믿는다. 종의 분화(speciation)는 이들 생물체의 여러 집단들이 고립되고, 돌연변이나 유전학을 통하여 일부 정보들을 잃어버렸을 때 발생하였다. 진화론자들은 수백 수천만 년이 지나면서 정보의 획득이 일어났다는 불가능한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시스템들은 거꾸로 일어날 수 없다. 유전 정보(genetic information)는 만들어지기보다 없어지기가 훨씬 쉽다. 생물체에 대한 생화학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이들이 모두 우연히 동시에 저절로 생겨났다는 것을 믿는 것보다) 어떤 설계자가 생물체의 놀라운 시스템을 설계했다는 것을 믿는 것이 훨씬 더 쉬울 것이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rae.org/fishwalk.html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2000. 12. 2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713
참고 :
세계 언론들이 캔자스 주의 진화론 전투를 주목하고 있다.
(World Press Eyes Kansas Evolution Battle)
10여년에 걸친 ‘반-스코프스 재판(Un-Scopes trial)’이 미국 캔자스 주에서 진행 중이다. 그리고 세계 언론들이 주목하고 있다. 1925년의 스코프스 재판과는 달리, 이번에는 진화론이 주도적 이론이고, 지적설계 이론(intelligent design)이 경쟁자이다. 그러나 사실 지적설계 운동의 지도자들은 지적설계가 교실에서 가르쳐지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진화론에 대한 비판이 가르쳐지는 것을 허락해주기를 요청하고 있다. 위원회의 대다수가 '논쟁점 가르치기”를 허락하는 과학 기준을 찬성하는 쪽으로 변화되면서, 진화론자들은 거의 확실한 패배가 예상되고 있다. 그들은 법정에서처럼 찬반 양론을 듣는 것도 보이콧트 하고 있는 중이다. 여기에 이 이야기에 대한 최근 뉴스들이 있다. 아마도 다른 주들의 교육위원회에 입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이번 논의의 결과는 조정 상태에서 머물고 있다.
New York Times article (as analyzed by Discovery Institute)
Wichita Eagle : "진화론의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Kansas City Star : "생명체는 설계자가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고 지적설계 이론은 주장한다'
MSNBC : "증인들은 진화론이 가르쳐지고 있는 방법을 비판하고 있다”
MSNBC : "종국으로 향하고 있는 진화론 전쟁”
CNN : "진화론에 대한 비판들이 캔자스에서는 공개되게 되었다”
Science Daily : "교사들과 과학자들이 진화론 전쟁을 이끌고 있다”
Lawrence Journal-World : "과학자들: 교육위원회는 진화론에 대해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Washington Times op-ed : "다윈니즘에 대한 논란”
World Net Daily editorial : "폭발적인 메모가 캔자스에서 진화론자들의 전략을 나타내고 있다”
Insight on the News (UPI) : "진화론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더 많은 뉴스 출처들이 창조론 대 진화론에 관한 이야기를 보도하고 있다 :
California Agee : "지적설계 이론가(Behe)가 다윈주의에 도전하다”
Agape Press : "반창조론 글에서 명예를 훼손하였다며, 학부모들은 진화론자를 고발했다”
MSNBC : "산에 대한 소란(한 창조론자가 세인트 헬렌 산을 성경적 지질학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방법)'
Kentucky Post : "창조론에 대한 모든 것. 여기에서 하나의 사명이다 (Answers in Genesis 창조박물관)
과학 기준의 변화를 위해 제안된 모든 것들은 Kansas Science 2005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국가적 관심을 끌고 있는 이성에 대한 전쟁이며, 진실에 대한 전쟁이고, 선전에 대한 전쟁이 형태를 잡아가고 있다. 최선을 다해 잘 무장해야 할 것이다. 어리석은 감지기(Baloney Detector)를 제거하고, 배터리를 충전시켜라. 말하는 것만큼 말하지 않는 것을 주목하라. 허풍과 과학에 대한 재정의가 아니라, 진정한 확실한 증거를 가지고 진화론자들이 화석(fossils)들과 분자 기계(molecular machines)들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고 있는지 세심하게 살펴보라. 그들은 그것에 대해 답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그들은 커다란 거짓말로 시민들을 놀라게 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100% 진화론 이외의 어떤 것도 경제적으로 손실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04/21/2005과 04/29/2005 이야기를 보라).
그것을 믿지 말라. 아마도 부모들은 지적으로 디자인된 자녀들의 목구멍 아래로 다윈을 밀어 넣지 못하도록 떼를 지어 몰려올 것이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용돈도 줄 것이다. 산업체들은 ‘분석적 사고력(analytical thinking)‘을 가지도록 훈련된 젊은이들을 원할 것이다. 젊은이들은 진화론의 문제점들을 가르쳐달라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그들에게 다윈 이론에 대한 논쟁점을 분석할 수 있도록 가르치라. 진화론자들은 지적설계 이론은 '신념에 근거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다윈이라는 우상에 대한 그들의 경배처럼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신념도 없을 것이다. (04/30/2005을 보라)
이전에는 적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던 뉴스 언론들이 지적설계(ID)와 창조과학(creation science)을 다시 보기 시작했고,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획일적인 자유주의적 다윈당의 거대한 과학 제국(Big Science Empire)은 이러한 세밀한 조사에 견뎌낼 수 있을까? 골리앗이 거대하다 하더라도, 그의 무기와, 그의 목표와, 어떻게 그들이 연결되고 있는지를 잘 알고 있는 젊은이를 조심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지적 전투(intellectual battle)에서 필요한 모든 것이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200505.htm#zoo105
출처 - CEH, 2005. 5. 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678
참고 :
창조 교리에 대한 타협 : 점진론적 창조론
(Compromise in the Doctrine of Creation)
교회의 역사는 수많은 개별적인 싸움으로 점철되어 왔다. 그 모든 싸움에서 궁극적인 승리자는 하나님의 말씀 위에 굳건히 섰던 사람들이었다. 예컨대 초기 교회의 교부(敎父)들은 율법주의자와 그노시스주의자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였다. 종교개혁 기간 내내 논쟁점은 믿음을 통하여 은혜로 받는 구속 이론이었다. 이와 같은 싸움에서 매번 성경의 말씀을 순수하고 단순하게 주장하는 쪽이 승리를 거두었다. 창조론의 경우도 역시 논쟁을 피할 수 없다. 1800 년대 전반에는 간격 이론(Gap Theory)과, 1800 년대 후반에는 유신론적 진화론(Theistic Evolution)과 시작된 타협주의자들과 싸움에서 성경을 믿는 사람들은 진리의 방패를 들고 승리했던 것이다.
오늘날 선택된 타협 이론을 사람들은 '점진론적 창조론(Progressive Creation)' 이라고 부른다. 이 이론은 창조의 6 일을 지질학적, 그리고 천문학적 시간 개념으로 수십억 년에 해당할 수 있다는 날-시대 이론 (Day-Age Theory)의 현대적 수정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하나님의 창조사역이 시대적으로 광대한 간극을 넘는 별개의 시대들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이들이 신봉하는 아담 이전의 세계는 세속적인 지구관과 동일하다. 아담의 불순종한 결과로 죽음이란 징벌이 있기 이전에, 그 세계는 이미 질병, 피 흘림, 그리고 살육행위로 대다수 생명체가 멸종하던 세상이다. 그런 세계를 믿는 점진론적 창조론은 필연적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의 의미를 최소할 수밖에 없다. 실질적으로 그 이론은 십자가의 의미를 그리스도 당신의 육신, 또는 창조의 남은 숙제를 복원, 또는 완성하는데 두지 않고 인간영혼의 구속에 한정하려 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 사안을 '오늘날의 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발생관적 문제' 라고 정의한다. 대부분의 크리스천들은 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다수의 크리스천 지도자들이 그릇된 편에 서서 싸우고 있다. 문제를 각성하지 못한 사람이나, 그릇된 편에 서있는 크리스천 지도자나 구별 없이, 그들은 모두 일견 권위있는 과학자들의 위협적인 이론에 밀려서 성경을 타협하려 한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ICR을 타협하지 않고 성경을 믿는 과학자들의 집단으로 세우시어, 타협의 나락으로 추락하는 교회를 이끌어 올바로 세우려 하신다고 확실히 느끼고 있다.
이 사명을 다 하려고 ICR은 최근에 이름 있는 창조론자들을 소집하여 점진론적 창조론의 오류를 지적하게 하고, 성경의 창조진리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하기 위해 모든 준비를 갖추었다. ICR의 과학자 Dr. Henry Morris, Dr. John Morris, Dr. Russell Humphreys, Dr. John Whitcomb, Dr. Dou Phillips 등이 ICR 라디오 방송실에서 자리를 함께하였다. 이 모임은 4번에 걸친 일련의 1 시간짜리 프로그램을 녹화하였다. 이 녹화기록은 크리스천/창조주의자의 세계관을 제시하여 점진적 창조론의 잘못된 가르침을 폭로하고, 특히 우리의 녹화테이프와 유사한 녹화테이프에 담긴 Dr. Hugh Ross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우리의 녹화 내용의 발췌가 앞으로 몇 달 후에 '과학, 성경 그리고 구속'이라는 제하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서 송출될 것이다.
본 녹화내용이 조만간에 Dr. Henry Morris 3 세가 전사저술(傳寫著述)한 '에덴 이후━창조, 저주, 그리고 십자가의 이해' 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될 것이다.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과학적인 근거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성경을 믿는 크리스천들에게는 믿음의 방패 역할을 감당할 것이며, 타협자들에게는 맞대결자가 될 것이다.
교회는 전반적으로 전폭적인 성경적 세계관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과학'으로 가장한 그들의 세속적인 사고를 이제 그만 그쳐야만 한다. 점진론적 창조론 사상은 복음주의자들 중에 번지고 있는 그릇된 현대 사상의 아픈 가시이다. 여러분들은 ICR이 결코 이 과업에 위축되지 않을 것임을 믿어도 좋을 것이다.
*참조 : What’s wrong with ‘progressive creation?’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3358/
Progressive creationist anthropology: many reasons NOT to believe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0_3/j20_3_31-38.pdf
Pre-Adamic man: were there human beings on Earth before Adam?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453/
Is cruelty normal?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918/
The dubious apologetics of Hugh Ross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1665/
Exposé of The Genesis Question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1654/
Critique of the introductory chapter of Hugh Ross’ book A Matter of Days: Resolving a Creation Controversy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3138/
Hugh Ross lays down the gauntlet!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3973/
Jason Lisle vs. Hugh Ross debate: annotated transcript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3414/
Beaded ornaments challenge ‘progressive creationists’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205/
Progressive creationist anthropology: many reasons NOT to believe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0_3/j20_3_31-38.pdf
A pathetic case for an old earth : A review of A Biblical Case for an Old Earth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1_3/j21_3_52-54.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pubs/president/prz-0306.htm
출처 - ICR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891
참고 : 3689|3640|4345|3589|2638|2016|3931|4375|4380|3812|4440|3612|4516|5462|5461|5413|5272|5211|5210|5112|4766|4765|4636|4635|4542|3901|4351|4487|4869|5628|5627|5969|5870|6044|5084|5542|5923|6107|6135|6283|5381|6360|6414|6110|6152|6153|6285
원숭이(스코프스) 재판과 브라이언의 변론
(Scopes : Creation on Trial)
Richard M. Cornelius, John Morris
1925년 미국에서 일명 ”원숭이 재판 (Monkey Trial)”이라고 불리는 재판이 있었다. 피고인의 이름을 따서 ”스코프스 재판(Scopes Trial)”이라고도 하는 재판으로, 사건은 그 해 7월 미국의 테네시 주의 데이턴이라고 하는 작은 시골도시에서 발생하였다. 한 공립학교 교사인 스코프스가 수업 중에 진화론을 가르쳤다는 것과, 이에 대한 반진화론자인 기독교인들의 고소로 시작되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하기에는 참으로 우습고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당시의 주교육법상에 공립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었던 상태였기에, 이러한 고소가 가능하였던 것이다.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 그것도 우리에게는 일제의 압제하에 있었던 시기에 일어난 것이기에 생소한 이야기이지만, 당시 재판의 관심과 이 재판의 파장이 미국 교육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교과과정에 진화론이 자리를 잡게한 중요한 사건이기에, 당시 재판의 진행을 검토하여 보는 것은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욱이 재판의 기소자측의 변호를 맡았던 윌리암 제닝스 브라이언 (William Jennings Bryan)이 진화론자들의 심한 공격에도 불구하고, 진화론의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한 점과 성서에 대한 그의 곳곳한 자세는 현대 기독교인들에게도 많은 가르침이 되리라 생각한다.
1. 언론의 관심
진화론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시작된 작은 시골도시의 이 재판이 보도되자, 빠른 속도로 전 미국의 이목이 이곳으로 집중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모여든 언론의 규모를 통해서도 그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200 여명의 신문 기자들이 취재를 위하여 이 작은 도시로 몰려들었다. 방송계 대표자들도 대거 참가하였는데, 유명한 방송국인 시카코 트리뷴 WGN 에서는 이 재판을 미국내의 공판사상 처음으로 라디오 전국 중계를 준비하고 있었고, 65 개 전신 교환수들이 몰려들어 사상 최다의 기사를 유럽과 호주로 보내는 등, 그 관심은 대단하였다.
2. 목적의 이탈과 제시된 진화의 증거들
7 일간의 열띤 공방전이 오고 갔으며, 재판의 시작은 스코프스 교사가 주의 교육법상에 유죄인가 하는 문제에서 시작하였지만, 피고측의 변호사들은 피고인에 대한 무죄성을 변론하기 보다는 진화론의 정당성을 주장하는데 더욱 열을 올렸다. 예를 들면 그들은 ”스코프스 교사가 진화론을 가르쳤습니까?” 라는 질문 조차도 전혀 없이, 스코프스의 위법행위에 대하여는 아랑곳 하지 않았다. 당연히 재판의 진행은 진화론에 대한 정당성 문제로 확산되어, 이는 스코프스 교사의 위법문제에 대비하였던 기소자측을 적지않게 당황시켰다. 재판 과정에서 변호인측이 몇 가지의 증거들을 제시하였는데, 그들이 제시했던 증거들은 오늘날에는 오히려 진화의 허구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 증거들은 보면, 흔적기관, 태아(헥켈)의 배, 그리고 인류화석인 네안데르탈인, 호모에렉투스인, 필트다운인, 네브라스카인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이었다. (이들 증거들에 관한 허구성은 그 동안 창조지에서 여러 번에 걸쳐 언급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기 바람)
3. 성경에 대한 피고측 공격과 브라이언의 대답
재판은 진지하고 복잡한 질문들로 이어졌다. 특히 일곱째 날에 열띤 질문과 대답은 감정적인 분위기와 함께 재판의 절정을 이루었는데, 나중에 피고측 변호인은 성경의 무오성 문제까지 확대시켜 나갔다. 예를 들면, 뱀은 하나님이 기어다니라고 저주하기 전에 꼬리로 걸어 다녔습니까? 가인은 어디서 아내를 구하였습니까? 지구가 얼마나 오래되었습니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3500~5000 년 전에 이집트와 중국에서 살았습니까? 라는 식의 질문이었다. 그러나 기소자측 변호사인 브라이언은 이러한 난해한 질문에 대하여 성경적인 지식을가지고 능숙하게 응수하였고, 그가 모르는 대답에 대하여는 솔직히 시인하였다. 가열된 대화 중에 브라이언은 성경의 문구가 실제로 말하는 점들은 지적해 주며, 피고측 변호사에게 성경을 부연 설명하지 말고 그대로 인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표적인 대화내용을 보면,
문 : 당신이 요나가 고래에게 삼키웠다는 내용을 읽을 때 당신은 어떻게 문자적으로 해석하는가?
답 : 나는 큰 물고기가 요나를 삼키웠다고 읽었다. 고래라고 말하지 않았다.
문 : 그런가? 확실한가?
답 : 그것이 내가 기억하는 바이다. 큰 물고기, 나는 그렇다고 믿는다. 나는 고래를 만들고, 사람을 만들고 ,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하나님을 믿는다.
문 : 브라이언씨, 신약성경이 고래라고 말하지 않았는가?
답 : 잘 모르겠다. 나는 그것은 물고기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상황을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나는 성경이 물고기를 말한다는 것을 당신에게 주목시키고 싶을 뿐이다. 성경은 고래라고 말하지 않았다.
문 : 그러나 신약 성경은 고래라고 말하는데, 그렇지 않은가?
답 : 그것이 사실일 수도 있다. 내가 그것에 관하여 어떻게 읽었는지 기억하지 못하겠다.
문 : 자, 당신은 큰 물고기가 요나를 삼키었고, 그는 거기서 3 일 동안이나 지냈으며, 고래는 그를 땅 위로 토해내었다고 말하였다. 당신은 큰 물고기가 요나를 삼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믿는가?
답 : 나는 그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성경은 단지 그것이 그렇게 되었다고 말할 뿐이다.
문 : 당신은 그것이 일상의 물고기였는지 그 목적을 위하여 만들어졌는지 모른다.
답 : 당신은 추측해도 된다. 진화론자들은 추측한다.
문 : 그러나 우리가 추측할 때 , 우리는 바른 감각을 갖고 추측한다.
답 : 그러나 종종 그렇지가 않다.
문 : 당신은 물고기가 사람을 삼키기 위해서 특별히 만들어졌는지 아닌지 말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답 : 성경이 말하지 않기 때문에 나도 말하지 않는다.
문 : 당신은 하나님이 목적을 위하여 특별하게 물고기를 수리하셨는지도 모른다.
답 : 그렇다, 성경은 그것을 말하지 않는다.
문 : 그러나 당신은 하나님이 그들을 만들었다고 믿는다. 즉, 그는 그러한 물고기를 만드셨고 그것은 요나를 삼킬만큼 컸었다고 믿는다.
답 : 그렇다. 추가하자면, 하나의 기적은 다른 기적만큼이나 믿기가 아주 쉽다.
문 : 그것은 나에 관한 것이냐?
답 : 그것은 나에 관한 것이다.
문 : 그것이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냐?
답 : 당신에게는 믿기 어렵다. 그러나 나에게는 쉽다. 기적은 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이 행해지는 것이다. 당신은 사람이 할 수 없는 것을 보았을 때 기적의 영역 안에서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리고 요나의 기적을 믿는 것은 성경의 다른 기적을 믿는 것 만큼이나 아주 쉽다.
문 : 요나가 고래에 의해 삼키웠다는 것을 믿는 것이 완벽하게 쉽나?
답 : 만약에 성경이 그렇게 말한다면...(그러나) 성경은 진화론자들이 하는 것처럼 그렇게 극단적인 말을 하지 않는다. 질문의 초기에 브라이언은 ”성경 안에 모든 것이 거기에 적혀 있는 대로 받아 들여져야 한다는 것을 믿는다” 고 말하므로, 지나치게 문자적으로 해석한다고 몰아부치는 피고측의 함정을 피하였다. 그러나 브라이언은 ”성경의 어떤 부분들은 비유적인 곳이 있다” 라는 것과, 그러한 비유적인 언어는 적당히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언급을 피고측 변호인들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해석을 가질 권리가 있다” 라는 의미로 확대시켰다.
4. 재판의 결론과 그 결과
포성과 함께 시작하였던 ”스코프스의 재판”은 피고 스코프스가 유죄 판결과 100 불의 벌금형이 내림과 함께 막을 내렸다. 재판의 결과 미국의 일곱 주에서 연달아 비슷한 법적 논쟁을 일으키게 하는 발단이 되었다. 더욱이 이 재판은 1960 년대 까지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진화론을 크게 강조하지 않았던 당시의 추세에 큰 영향을 끼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당시 언론들의 보도방향은 사람들의 판단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대부분의 기자들은 재판의 시작전부터 이미 기독교인인 브라이언을 공격하려는 생각을 갖고 취재를 시작하였으며, 브라이언의 진화론의 문제점에 대한 분명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브라이언에게 불리한 쪽으로 기사를 실었다. 한 기자에게 왜 재판을 취재하러 왔는가 하는 질문을 하자, ”오, 저는 무슨 일인지 알 필요가 없습니다. 저는 무엇을 써야 하는지 이미 알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할 정도였다.
영화 관계자들도 가끔씩 흥미거리로 이 재판을 영화화 하였는데, 제작자들의 편견으로 재판의 중심 내용과는 많이 벗어난 경향이 있었다. ”세계의 가장 유명한 공판” 이란 영화제목으로 장식된 영화들은, 재판을 재연할 때마다 당시의 중요하고 근본적인 논쟁보다는 주로 유명한 관계자들, 극화한 논쟁들, 절정의 모습들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편견을 가진 기록들은 무모하게 성경을 고수하려는 기독인들에 의해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한 진화론자의 피해로서 이 재판을 인식시켰다.
5. 브라이언의 생각들
이러한 언론의 편견된 기록들은 브라이언의 진의를 파악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하도록 하였다. 재판 전후의 브라이언의 기록들은 그의 기본적인 생각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것을 잘 보여준다. 다음은 그의 기록중 몇 가지 예들이다.
# 192O년과 1923년, 네브라스카에서 있었던 입법총회
”우리는 공립학교 선생에게 종교를 가르치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세금으로 봉급을 받는 선생들이 학교에서 성경을 공격하는 것이 허락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기독교인들은 공립학교와 대학에서 선생들이 정통기독교를 설명하는 사람이 되라고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을 향한 신념과 성경의 믿음을 약화시키고 그리스도를 인간의 수준으로 낮추는 식의 가르침에 대하여 저지할 권리가 있다.”
”기독교인들이 자신들의 교리를 가르치기 원할 때 그들 자신의 학교를 설립한 것처럼, 진화론자들도 그들의 생각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다면 그들 자신의 학교를 설립하여야 한다.”
# 1923년, 상원의원 싱글테리에게 보낸 편지
”진화론은 계속된 관찰에 의한 확정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가설이며, 사실로서 가르치는 것은 위험하다.”
# 1923년 월간 대중과학
”모든 진실은 하나님으로부터 라는 문제를 논하며 자연의 책 안에서 혹은 책중의 책(성경)안에서 발견되든지 어떤 것도 추측하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진화가설과 같은 가설들은 진실이 아니다.”
# 1925년 5월 28일과 7월 12일, 데이턴 시의 법률가 수힉스에게 쓴 편지
”연설, 출판, 생각, 지식의 자유를 향한 어떤 공격도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분명히 부모들은 자식들의 종교적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를 가졌다.”
”허위로부터 그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을 맺고, 한 개인으로서 사고하기 위해 만든 집단의 권리는 그 개인의 권리와 동등하게 인정되야 한다” 라고 하며 진화론의 침투에 대하여 단체적인 행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브라이언은 정치적 사회적 활동에 대하여 자유롭고 진보적이었지만 성서적으로는 보수적이었다. 근본주의자들과 함께 성경의 성령의 감동과 권위, 신성, 처녀의 잉태, 기적들,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 인류의 죄를 위한 그리스도의 십자가상 대속능력의 믿음에 관하여 논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위치는 브라이언을 도덕과 종교의 문제에서 절대론적인 권위주의로 치우쳐 있는 사람으로 인식시키기도 하였는데, 그는 삶의 모든 관점에서 영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진화론의 가설을 하나님의 권위, 성경의 기초, 기독교 정신, 마지막에는 문화의 모든 면을 향한 도전으로 보았다.
6. 맺음말
”원숭이 재판”에서 피고인 스코프스는 유죄로 선언되었지만, 실제로 이 재판은 진화론이 전 미국으로 확산되는 동기가 되었다. 재판과정에서 진화론의 증거들은 오늘날에는 케케묵은 허구들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람들에게는 진화의 논리성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기소자측 변호사인 브라이언의 정확한 진화론의 문제지적과 그의 성경에 대한 믿음을 향해서, 언론들은 브라이언을 성경을 무모하게 신뢰하는 고집쟁이로서, 그리고 피고측 변호단을 진리를 향한 피해자로 표현하였다. 재판으로부터 70 년이 지난 지금 사람들은 어떠한 편견 속에서 살고 있는지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추측된 이론인 진화론이나 동일과정설과 같은 진리로 향하는 길목의 장애물들 앞에서, 진리를 지켜야 할 사람들은 이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 준비하여야 한다.
번역 - 이재만
주소 - https://www.amazon.com/Scopes-Creation-Trial-John-Morris/dp/0890512574
출처 - 창조지, 제 108호 [1998. 5~6]
창조를 믿는 것은 지적 자살 ?
김무현
창조에 관해서 어떠한 믿음을 갖느냐는 것은 개인의 신앙에도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과학과 시대정신의 패러다임(paradigm)을 잡아 나아가는 데에도 핵심적인 문제입니다. 이 창조에 관한 연재를 통해서 하나님의 전능하신 지적설계로 이루어진 (하지만 죄로인해 타락한 모습도 아울러 보여주는) 피조세계와, 과학이란 이름으로 위장된 진화론의 모순과, 그로 야기된 문제점들을 보시고 굳건한 창조신앙을 확립하시기를 바랍니다.
우리가 읽는 모든 책에는 저자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도 우리는 누군가가 그 책을 지었다는 것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가전제품과 생활필수품에는 제조 회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모든 건축물에는 설계자와 시공자가 있습니다. 만든 사람이 없이 저절로 생긴 것은 우리 주변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은 스스로 존재하지 않고 반드시 만든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시대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유사과학 진화론은 이러한 대전제를 부정하고 모든 피조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우연히 저절로 만들어 졌다고 주장 합니다.
진화론은 한마디로 말하면 “우주알 (cosmic egg)의 단 한번의 거대한 폭발에 의해서 모든 우주와 물질과 생명이 저절로 만들어 졌다“ 고 말하는 이론입니다. 마치 '먼지와 물과 바람으로부터 수많은 시간이 걸려서 난초가 만들어졌다.'고 하는것과 같지요. 예레미야 선지자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그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이 나무를 향하여 너는 나의 아비라 하고 돌을 향하여 너는 나를 낳았다'(예레미야 2:27) 라고 한다며 그들의 불신앙을 책망하였습니다. 놀랍게도 첨단으로 치닫고 있는 이 시대의 과학이 예레미아 선지자 때와 똑같은 모순에 빠져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과학적 가설과 추론에 불과한 진화론을 과학적 사실로 믿고 있으며, 모든 정규 교육과정에서도 진화론이 부정될수 없는 진리인 것처럼 가르쳐지고 있습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정규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화론에 세뇌되어 믿음이 흔들리기도 하고 혼란스러워 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유신론적 진화론”이란 허울좋은 타협안을 만들어 놓고 자위하기도 합니다. 기원에 관한한 창조와 진화 두가지 가능성 밖에 없습니다. 창조가 참이면 진화는 거짓이요, 진화가 참이면 창조가 거짓입니다. 서로 상반되는 두 대전제가 동시에 진리일수 없다는 것입니다.
18세기의 신학자 윌리엄 팔리(William Paley)는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시계공논증이라는 것을 통해서 자연의 지적설계를 설명하였습니다. 즉 길을 가다가 만약 시계를 하나 발견하면 그 사람은 시계를 바라보며 이 시계를 만든 시계공이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듯이, 시계보다도 훨씬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설계된 생명들을 바라볼 때는 반드시 창조자가 있을 것이라 믿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 후 진화론이 과학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혀 가고 있을 즈음에 다윈의 불독(Darwin's bulldog)으로 널리 알려진 신다윈주의의 지도자인 리차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눈먼 시계공(The blind watchmaker)“ 이라는 저서를 통해서 모든 생명은 누적된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의 결과로서, 설계논증은 낡고 비과학적인 것임으로 이것을 다시 거론하는 것은 과거의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시간낭비에 불과하다고 선언하였습니다. 마치 바벨탑을 쌓으며 '자, 성과 대를 쌓아 대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창세기 11:4) 으쓱대면서 하나님 자리에 앉아 보려 했던 인류의 교만함을 다시 연상케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본주의를 대표하는 리차드 도킨스의 도도하고 교만한 기대와는 반대로 오히려 진화론의 문제점들이 하나하나 드러나며 그 기둥들이 서서히 무너져 가고 있습니다. 한편, 첨단화된 분자생물학을 통하여 DNA의 구조와 엄청나게 복잡한 유전자코드(genetic code)가 해석되면서, 마이클 베히(Michael Behe)의 “다윈의 블랙박스(Darwin's blackbox)“ 나, 필립 존슨(Phillip Johnson)의 ”다윈주의 부수기(Defeating Darwinism)“, 윌리엄 뎀스키(William Dembski)의 ”설계추론(The design inference)“ 등 전능자의 지적 설계가 과학적으로 더 타당한 것임을 보여주는 책들이 연속적으로 출판되며 지적설계운동이 다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최근에 오하이오 주의 교육지침에서는 진화론과 함께 진화론의 문제점들도 함께 다루어야 한다고 권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의학자이며 컴퓨터 공학자인 마크 이스트맨(Mark Eastman)과 찰스 미슬러(Chuck Missler)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창조(The creation beyond time and space)” 라는 저서를 통해 '다윈 이후 수세기 동안 창조를 믿는다는 것은 지적자살을 기도하는 것(committing intellectual suicide)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성경비평이 가장 극심했던 20세기에 걸쳐, 그 전의 인류역사 모두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창조를 뒷받침해주는 자료들이 발견되고 축적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라고 지적한바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자들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진리를 추구하고 있다고 전제합니다. 과학자들에 대해서 당신은 어떠한 믿음을 갖고 계십니까? 편견이 없고, 객관적이고, 항상 진리만을 말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만약 당신이 그렇게 믿고 있다면 당신도 이미 과학주의(과학의 우상)에 물들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과학자들도 우리와 같은 한계성을 지닌 사람들이며, 그들의 의견은 시대에 따라 변하며, 배경신념하에 연구하므로 객관적이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실험실에서 증명할 수도 없고 자연계에서 관찰할 수도 없는 기원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합니다.
토마스 쿤(Thomas Kuhn)은 “과학세계에서는 절대적인 진리가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패러다임이 지배한다”고 하였습니다. 그의 지적대로 과학자는 그시대 패러다임의 절대적 권위와 영향력 하에서 연구에 임하게 됩니다. 아인슈타인도 “과학자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잡다한 감각자료를 기반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그에게는 반드시 주관적 요소가 개입되게 되어있다.”고 했습니다. 마이클 폴라니(Michael Polanyi)도 “관찰자는 언제나 거기(어떤 주관적 견해)에 있어 결론을 만들므로 그는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프랜시스 쉐퍼도 “과학자는 일정한 사고방식의 틀을 갖고 그 안에서 실험을 고안하고, 관찰결과를 배열하고 결론을 맺게된다.” “심지어 현대과학은 사회학적 과학의 성향을 갖고 있는데, 즉 객관성을 거의 확신하지 않으면서도 자기가 얻고 싶어하는 사회학적 목적을 달성하려고 자신들이 요구하는 어떤 결론으로 쉽게 도달하게 된다.”고 지적하며 그 예 중의 하나가 진화론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이 연재를 통하여 진화론은 과학적 사실인가? 이 피조세계에 전능자의 창조와 설계의 흔적이 있는가? 또한 진화론으로 교육받은 우리의 상식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성경에 적힌 사실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창조과학에서 성경에 근거해서 주장하는 것들은 과연 과학적사고체계로도 설득력이 있는가? 기독교인으로서 과학과 종교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계속 생각해 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창조과학 사역을 “창조를 과학적으로 증명해 보이려는 무모한 시도”로 오해하고 있습니다. 진화가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없듯이 초월적 창조도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없습니다. 다만 로마서 1장 20절 말씀처럼 피조세계에 남겨놓으신 전능자의 설계와 창조의 흔적을 추적하며, 다른 한편으로 진화론의 모순과 불가능성을 드러내고 알리는 사역인 것입니다.
왜 우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에 대해 배워야만 하는가?
(Why Should I Learn About the Creation vs Evolution Controversy?)
Curt Sewell
여러 종류의 독자들이 있듯이, 이 질문에 대한 대답 역시 여러 종류가 있다. 어떤 사람은 ”나는 상관없어, 그것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도 않잖아, 그리고 난 과학에 흥미 없어.” 라고 말할 지도 모른다. 그러면 질문들을 조금 더 해보기로 하자. 당신의 친구나 가족 구성원 중에서 학교에 다니는 사람이 있는가? 당신은 지난 수십년 간의 국가 윤리나 사회 관습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았는가? 만약 당신의 대답이 '네' 라면 부디 계속해서 읽어 주기 바란다. 이 질문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질문이 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는 것은 ”창조론과 진화론”은 커다란 논쟁 중에서 단지 한 단면이라는 사실이다. 이 논쟁은 인류의 처음 시작부터 있어왔던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에 대항하는 오랜 전쟁(The Long War Against God)” 이라고 불려져 왔다. 지난 2 세기 동안 그 전쟁에서의 중요한 격전지는 유물론 대 유신론이라는 관점이었다. 이 두 종류의 철학적 믿음은 창조론과 진화론의 관점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정상적인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당신은 아마도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 중에 90% 안에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셨다고 믿는 60%가 넘는 사람들 중에 한 명일 것이다. 하지만 당신은 또한 성경은 어떤 부분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이 꼭 사실이라고는 할 수 없는 오래된 책이라고 생각하는 다른 부류중의 한 사람일 지도 모르겠다. 그러한 경우에,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성경 속의 권능과 영감에 대한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중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이라면, 당신은 당연히 과학이나, 사회, 역사, 철학, 중에 어느 수업을 들었던지 간에 진화론에 관해 어떤 내용이든 배웠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기독교 가정이나 교회와 같은 곳에서 종교적인 가르침을 받은 적이 있었다면, 아마도 당신의 부모님이나 주일학교 선생님으로부터 배운 가르침과 학교에서 배운 것 사이에서의 차이 때문에 궁금해 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어떤 사람에게는 이런 차이점이 자신의 인생관에 있어서 엄청난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었다.
만약 당신이 이런 학생의 학부모라면, 그리고 특히 당신이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강한 신념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논쟁에 날카로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논쟁이 그 학생들로 하여금 기독교적 믿음을 버리도록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세속의 학교에서, 특히 과학을 가르치는 미국의 국립대학들은 진화론적 유물론을 설득시키고 있는 호교론자들이다. 그들은 '물리적인 우주 속에서 어떤 종류의 초자연적인 것의 개입은 과학에서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신이 존재한다면, 신은 우리들이 그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어떤 것도 하지 않았다.' 라는 이론을 펼친다. 이것은 종교적인 믿음을 황폐화 시키는 것이다. 만약 크리스천 청소년이 대학에 다닐 때 그의 신앙을 잃어버렸다면, 그것은 아마도 확실히 이러한 이유에서일 것이다.
만약 당신이 과학에 흥미가 있다면, 그리고 교회나 어떤 종교적인 것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당신은 아마도 수천만년 전에 살았던 공룡들에 관해, 또 그들이 어떻게 멸종하게 되었는가에 관해 더 흥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확실히 과학은 우리가 사는 이 세계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곳에는 누가 거주했었는지에 관한 흥미진진하게 이야기들을 지어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지구의 나이는 수십억 년이고, 또 그곳의 모든 생물들은 수억 수천만 년의 시간을 거쳐서 천천히 진화했다고 확신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야기들이 정말 사실일까? 그들의 주장을 증명할 만한 어떠한 뚜렷한 증거들을 그들은 가지고 있을까? 당신은 이제 놀라게 될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많은 과학적 이론들을 기술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적인 증거들을 논하면서, 당신이 믿고 있는 것만큼 그 이론은 진실이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 우리는 모든 것들이 천천히 진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들보다, 신이 우리 세상을 갑자기 창조하셨다는 것을 나타내는 실제적인 증거들이 더욱 많다는 것을 보여 줄 것이다. 한때 나 자신도 그러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놀랐던 것처럼,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이야기들을 들으면 놀랄 것이다. 이러한 놀라움이 마침내 나로 하여금 진화론을 믿다가 창조론을 믿도록 바꾸어지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내가 왜 이 작은 글을 쓰고 있는 지에 대한 이유를 리스트로 간단하게 작성하여 보고자 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기적적인 창조가 수십억년 동안 천천히 발전되어간다는 진화론과 동일과정설의 주장보다 이 세계와 모든 생물체들을 훨씬 더 잘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한다. 추후의 글에서는 이러한 것들에 대한 많은 증거들을 제시할 것이다.
ㆍ나는 물리적인 증거들을 기술함으로써, 진화론은 대중들을 속이려고 노력하는 것이지, 확고한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제 나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과학자들과 교과서들이 사용하고 있는 여러 순환논리들과 철학적인 기초를 보여드리겠다. 그들은 이러한 것들을 가르침으로서, 학생들의 논리력을 흐리게 만들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교육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중에 하나이다. 모든 사실들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명백할 때, 사람들은 어떻게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고할 수 있겠는가?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 중에 하나는 학생들이 이 두 관점에 대한 이야기들을 모두 듣고, 그들이 지적으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ㆍ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진화론을 반대하는 가장 커다란 이유는 신앙에 있다. 성경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명백하게 수천년 전의 일이지 수십억년 전의 일이 아니라고 가르치고 있다.
ㆍ또한 성경은 예수님께서도 진화가 아닌 창조를 믿으셨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는 실제로 지구 의 지표를 파괴하고 대부분의 동물과 사람들을 멸망시켰던 전 세계적인 노아의 대홍수를 믿으셨다. 그는 확실히 그러한 성경적인 기적을 믿으셨다. 예수님께서 이런 사실들을 믿으셨다면, 우리들도 믿어야하지 않겠는가.
ㆍ많은 기독교 교리들은 창세기의 가르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창세기는 많은 부분을 창조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만약 그러한 창조 사건들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던 사건이라면, 그것은 기독교 사상의 기초를 붕괴시키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또한 우리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는 하나님의 권위에 대한 도전이기도 한 것이다. 그리고 우리들에게는 다가올 심판이 남아 있다. 만약 우리가 그것을 깨닫지 못한다면, 우리들은 천국에 있기 보다는 지옥에 있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ㆍ완전한 비종교적인 이유에서도, 나는 또한 진실된 과학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과학은 진실만을 가르쳐야 하며,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진실은 진화가 아닌 하나님의 창조임을 나는 확신하게 되었다. 만약 과학자들이 하나님을 이 우주의 설계자로서 창조자로서 받아들인다면, 훨씬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연구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ㆍ우리의 사회는 유물론과 진화론의 교육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만약 진화론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동물들의 후손들이고, 우리들의 잘못된 행동은 단지 동물들의 본성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우리들은 죄를 범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진화론은 도덕적 책임감을 사라지게 하고, 상황에 따른 윤리만을 대체해 놓았다. 우리의 사회는 범죄, 질병, 사생아, 수백만 건의 낙태, 그리고 수많은 여러 문제들로 신음하고 있다.
나는 창조론과 진화론은 다음과 같이 말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
ㆍ창조론과 진화론은 둘 다 실제적으로 과학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먼 과거에 일어난 일이고, 실제로 관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둘 다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입증될 수도, 반증될 수도 없다.
ㆍ창조론과 진화론은 둘 다 종교적인 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둘 다 어떤 종류의 신앙과 믿음 체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한 믿음은 유신론이고, 다른 하나는 무신론이다.
번역 - 한동대학교 창조과학연구소
링크 - http://www.rae.org/bits01.htm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1999.11. 2.
우연이라는 견해
(Accidental angle)
"만약 태양계가 우연한 충돌에 의해서 만들어졌다면, 그리고 이 행성에서의 생명체들의 출현이 또한 우연히 이루어졌다면, 그리고 인간의 진화 역시 우연한 사건이었다면, 만약 그렇다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생각(thoughts)들도 또한 모두 우연적으로 (원자들의 운동에 의한 우연한 부산물로서) 생겨난 것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사람들의 생각들에 해당되며, 유물론자들과 천문학자들의 생각에도 적용될 것이다.
만약 유물론과 천문학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 단지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라면, 왜 우리들은 그들의 생각이 진실일 것이라고 믿어야만 하는가? 한 우연적인 사건이 모든 우연적인 사건들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을만한 아무런 이유가 없다. 그것은 우유병이 쏟아졌을 때 만들어진 우연한 얼룩이 당신에게 병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왜 그것이 쏟아졌는지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과 같다.”
* C.S. Lewis (1898–1963), The Business of Heaven, Fount Paperbacks, U.K., p. 97, 1984.
* 참조 : 1. 생각의 유효성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71
2. 진화론 : 진정한 과학인가, 어리석은 생각인가?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114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21/i2/angle.asp
출처 - Creation 21(2):47, March 1999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239
참고 :
창조가 과학적이고, 진화는 종교적이다.
(Creation is Scientific but Evolution is Religious)
Doug Sharp
”진화론은 과학이지만, 창조론은 종교이다!” 당신은 종종 이런 말을 진화론자로부터 들었을 것이다. 나는 우리 기독교인들이 창조론을 주장하는 동기가 종교적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종교적(religious)’ 이라는 단어가 궁극적으로 하나님을 경배하고 섬기는 것이라고 정의된다면, 어찌됐든 그들의 말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같은 맥락에서, 진화론 역시 그들 자신의 신들을 숭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적이다.
기원(origin)에 관한 학문의 목적은 하나님을 찾는 것이거나, 그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각자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기원에 과한 이론은 과학적 실험으로 입증될 수 없기 때문에, 두 믿음 다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것이다.
하지만 창조론이 더 과학적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알려진 과학 법칙들에 위배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진화론은 훨씬 더 큰 ‘신앙(faith)’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진화론은 열역학 법칙들을 위반하며, 확률적으로 도저히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수초 안에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생체 시스템과 그것을 복제해보려는 인간의 시도가 비교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한 팀의 뛰어난 과학자들과, 많은 양의 비싼 화학 시약들, 수백 개의 반응 단계들, 자동화된 실험 장비들, 그리고 수개월에 걸친 계획 등이 요구된다.
진화론를 기초로 한 예측들은 현실성을 반영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화석과 지층들은 잘못된 위치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어떤 동물의 DNA 함량은 진화론적 패턴을 따르지 않으며, 생물체들 사이의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은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하고 있다.
만약 진화론이 사실이었다면, 매우 많은 전이형태의 중간 생물들이 존재했을 것이고, 이것은 생물체들을 분류하는 데에 어려움을 초래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든 동물들은 번식(breeding)이라는 장벽에 의해서 유전적인 구분되는 분명한 '종류(kinds)”들로 분류된다.
진화론자들을 향한 기독교인의 자세
창조와 진화의 논쟁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기독교인은 이 주제에 접근하기 위해 조심해야하며 기도해야 한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나는 하나님께서 세계를 어떻게 창조하셨는지 알 필요가 없다. 나는 단지 그가 하셨다는 것을 알고 있다” 라고 말하며, 이 논쟁을 무시하는 자세를 선택한다. 나는 그러한 사람들의 자세는 별 문제는 없지만, 불신자들 특히 자신이 기독교를 믿지 않는 이유로서 진화론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늘 항상, 크리스천들은 자신의 믿음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려 할 때, 많은 시간을 진화론적 논쟁들과 부딪치게 된다. 다른 사람들을 진리에 이르도록 인도하는 일에 대해 아무런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사람들은, 그들에게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한다.
어떤 기독교인들은 타당한 자료와 생각 없이 자신의 주장만을 펼치다가 많은 손해를 본다. 그러한 주장(이론)은 과학적이지도 않고, 좋은 신학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몸을 나눠지게 하며,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짜 과학 (진화론)”과 타협하면서 많은 이상한 교리와 이교(cults)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성숙한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남아있는 이러한 이교적 자세는 진리에 대한 또 다른 방해물이 된다. 만약 한 사람이 도덕주의적이고 심판자적인 자세를 보인다면, 그는 즉시 사람들에게서 하나님에 대한 관심을 잃게 만들 것이다. 우리의 믿음을 나누는 것은 매우 민감한 과정이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의 관점에서는 매우 귀중하고 엄청난 가치가 있으며, 금이나 은보다 훨씬 더 귀중하다는 자세를 포함하고 있다. 비난하거나 부정적인 자세는 금이나 은을 쓰레기 속으로 버리는 것과 같다. 우리는 결코 논쟁(debate)에서 "이기려고(win)" 노력하거나, 진화론자들을 개인적으로 비난(condemn)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우리는 사람들을 잘못된 학설로부터 분리해내는 데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종종 기독교인들은 자기방어에 사로잡혀서, 하나님이 그를 부르시고 사명을 맡겨주셨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곤 한다. 우리들의 싸움은 혈과 육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정사와 권세와 그리고 어둠의 주관자들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진화론이라는 속임수를 미워하지만, 그것에 기만당한 사람들을 미워해서는 안 된다. 대신, 그들은 우리 크리스천들이 사랑해야하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 남을 박해하는 기독교인은 결코 다른 사람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지 못한다.
진화론자를 이해하기
진화론자들의 동기 부여(motivation)는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것이지, 과학적인 것이 아니다. 말하자면 그들의 '하나님'은 '인간 자신'인 것이다. 그들의 교리는 바로 인간이 진화의 생존 경쟁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서있다는 것이고, 인간은 스스로가 그들 자신의 주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한 예로, 한 화학교수의 연구실 문에서 들은 말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한 학생이 교수에게 인류를 더 낫게 하는 과학을 공부하길 원한다고 말하자, 교수는 학생에게 자선단체로 가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조언해 주는 것이었다.
”과학은 자존가(egotist)를 필요로 한다. 과학 자체를 사랑하는 진정한 자기중심주의자”
과학자들은 과학적 방법에 매료되어 있는 듯한 경향을 가지고 있다. 발견해내는 것이 더 많을수록, 과학자들은 스스로가 신이 되는 것처럼 생각한다. 때문에, 그러한 생각과 대립되는 이론이나 사실들을 외부로 밀어내는 것이다.
동일과정설(uniformitarianism)이 유명해진 이유는 과학적 증거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공간과 시간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밀어내는 데에 편리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고 운행되도록 하신 후, 간섭하시지 않고 포기하여 버린 기계론적 우주론을 주장한다. 무신론자들은 인간의 삶에서 하나님을 완전히 밀어낸다. 조지 심슨 (George Gaylord Simpson)은 그의 책 '과거의 삶(Life of the Past)'에서 이러한 진화론자들의 주장을 쓰고 있다.
”인류는 독특한 이해력과 잠재력을 가지고 우주 속에 홀로 서 있는, 길고 무의식적이고 비인격적인 물질 과정으로 생겨난 독특한 생성물이다. 인간의 존재는 누군가에게 빚진 것이 아니라, 그 스스로에게 있는 것이며, 그 자신 스스로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다. 인간은 통제할 수 없으며 감지할 수 없는 힘에 의해 창조된 창조물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가 주인인 것이다. 그는 그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룰 수 있으며, 그래야만 한다.”
진화론은 과학자들의 자기 경배(selfworship)를 강화시켰다. 만약 인류가 ”진화의 길고 무의식적이고 비인격적인 물질 과정”의 산물이라면, 인간은 어떻게 해서든지 그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살아가며, 자신의 길을 걸어갈 것이다. ”왜 내가 하나님을 필요로 해야 하는가? 나는 스스로 존재하게 된 사람이다!” 이것이 그들의 이유이다.
진화론이라는 종교는 자신의 교리, 전통, 생활방식, 그리고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회학적 진화론(Social Darwinism)은 진화론의 논리적인 확장으로서, 많은 다른 철학과 종교들을 명시하고 있다. 이것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당신 자신의 것을 행하라"는 철학
*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 최적자' 라는 사고방식
* 자본주의의 '고달픈 개인(rugged individual)'의 형태 (Ayn Rand와 같은)
* 뉴 에이지 운동 (New Age movement)
* 신비주의 (Rosicrucianism)
* 신지학 (접신학, Theosophy)
* 심령술 (Spiritism)
* 악마숭배주의 (Satanism)
* 마르크스주의 (Marxism)
* 사회주의 (Socialism)
* 민족우월주의 (Racism)
* 나치주의 (Nazism)
* 낙태 (Abortion)
기독교를 믿으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경을 읽기 시작하면, 사탄은 창세기에서부터 강력하게 공격한다. 지난 150 여년 동안 공들인 진화론은 그에 반하는 압도적인 과학적인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꽃을 피웠고 유지되어 왔다.
만약 창세기가 의심스러운 기록이라면, 인류의 타락과 구속도 역시 의심스러운 일인 것이다. 진화론에 대한 의문은 주변적인 논쟁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한 중심적인 논쟁인 것이다. 로마서 1장에 보면, 타락한 길로 나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묘사하고 있다. 로마서 1:18~20 절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치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 좇아 나타나나니, 이는 하나님을 알 만한 것이 저희 속에 보임이라. 하나님께서 이를 저희에게 보이셨느니라.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찌니라.”
그들은 불의로 진리를 막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창조물들을 통해 이미 그의 능력과 신성을 보여주셨다. 그러므로 그들은 핑계치 못한다는 것이다. 불신앙에는 핑계가 없다. 그들의 생각은 허망하여지고, 그들의 미련한 마음은 어두워졌던 것이다. 그들은 스스로 지혜있다 생각하나, 우준하게 되었고, 하나님을 경배하는 대신에, 사람과 금수를 경배하게 되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자신의 정욕대로 내어버려두셨고, 그들은 자신 스스로 죄의 욕망에 사로잡혀 버렸던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를 사람들에게 설명함에 있어서 공격적이어야 한다. 창조주이신 하나님을 부정하는 것은 인간이 타락의 길을 걸어가게 되는 첫 번째 표시임을, 성경은 명백히 기록하고 있다. 만약 창세기가 사람들에게 정말로 사실로서 이해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수께로 돌아올 것이다. 만약 그들이 더 이상 의심 없이 믿는다면, 하나님은 그들 안에서 일하실 수 있을 것이다.
진화론적 편견을 확인하기
진화론적 편견은 많은 형태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크리스천들에게 사용되어지는 여러 논쟁과 책략들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가장 흔한 책략 중에 하나가 시류에(우세한 쪽에) 편승하도록 하는(bandwagon) 수단이다. 이러한 책략은, 모든 지식인들은 진화론을 믿는다는 것을 당신에게 알게 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창조론을 믿는 사람은 단지 소수이며, 광신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책략에 대해 무엇보다도 먼저, 대다수 의견이 언제나 진리를 말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둘째, 시류에 편승하는 사람들은 단지 대다수의 의견은 시끄러운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시류에 편승하도록 하는 방법은 창조에 관한 논쟁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모든 삶 속에서 알아야할 필요가 있는 전형적인 사탄의 책략인 것이다. 만일 우리가 소수(minority)에 속한다면, 협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길이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니라”(마태복음 7:13,14)고 말씀하고 있다.
진리로 나아가는 자는 언제나 소수임을 기대해야만 한다.
질문 공세(barrage) 수단은 창조론자들을 반대하는 데에 자주 사용되는 또 하나의 무기이다. 토론 시에 질문들은 대담자를 당황하게 하기 위해서 매우 빠르게 요청되어진다. 그러한 사람들은 늘상 목소리가 크고, 무례하며, 전혀 대담자의 대답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 만일 그러한 상황에 당신이 놓여 있다면, 당신의 유일한 수단은 똑같이 무례하게 그 사람에게 맞서거나, 같이 질문 공세를 퍼붓는 일이 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듣고 있는 자리에서, 당신은 그에게 엄하게 대해야 될 것이고 그러한 행동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그러한 사람은 진리를 구하는 사람이 아니라, 단지 논쟁을 이기고자 하는 사람이다.
창조론자들의 글에 대한 검열(censorship)은 진화론자들에 의해서 사용되는 또 다른 전술이다. 활발한 검열은 과학교과서를 쓰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리고 창조론 교육에 반대하는 법안을 만드는 사람들에 의해서 사용되어진다.
논쟁에 대해 반응을 하지 않고 무시해(ignore) 버리는 것은 창조론자들을 냉대해버리는 하나의 방법이다. 자주, 창조를 지지하는 결정적인 사실들도 교과서에서는 무시되어진다. 또는 만약 그것이 언급되었다 하더라도 얼버무리거나, 기각시키거나, 비웃어버리고 만다.
인신 공격(Ad Hominem)도 한 사람의 평판을 나쁘게 하여, 실제 논쟁으로부터 사람들의 주의를 멀어지게 하려는 또 하나의 전략이다.
성급한 결론(hasty conclusion)은 부족한 증거에 기초해서 내리게 되는 불합리한 논증이다. 예를 들어, 어떤 교회에 먼저 출석한 10명의 사람이 빨간 내의를 입었다는 것이 관측된다면, 성급한 결론은 모든 교인들이 빨간 내의를 입었다고 결론내리는 것일 수 있다.
크리스천은 진실을 발견하기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먼저, 그는 의견(opinion)으로부터 사실(fact)를 구별할 수 있어야만 한다. 아마도, 아마, 가능성이 있다, 그럴 것이다, 그럴지도 모른다, 예측된다....등등과 같은 추측성 단어들 밑에 빨간 색으로 밑줄을 그어라. 어떤 과학책들은 빨간 색으로 인해 홍역에 걸린 것처럼 보일 것이다.
진화론과 모순되는 사실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를 계속하라. 이러한 증거들은 너무도 풍부하다. 예를 들어, 물고기는 몇몇 포유류의 DNA 양보다 25 배나 더 가지고 있음을 생화학 교과서에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문장들을 노트로 옮겨 적고, 그러한 사실들을 수집해 보라. 가정(assumptions)들에 밑줄을 긋고, 그것들을 적어 두고, 그리고 그것들이 유효한지를 테스트해 보라.
학생들을 좌절시키는 또 하나의 문제는 어려운 과학 전문 용어들의 남용이다. 이것은 학생들을 혼란의 바다 속으로 파묻어 버린다. 전형적으로, 진화론자들은 어떤 것들을 의미하는 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어렵게 재명칭 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판단력의 암흑화(obfuscation) 라고 불려진다. 그리고 이것은 창조론자들에 대해 사용되는 전술일 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정신이상 상태를 만들어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질환의 또 다른 특별히 유해한 균주는 단지 이해하기 힘든 도표와 그래프들과 함께 ‘그리고’ ‘그러므로’에 의해서 나열되어있는 수학적 공식들로 구성되어있는 논문들이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것들을 모두 치워버리고, 학생은 자신에게 이와 같은 질문들을 물어보라.
* 가정(assumptions)들은 무엇인가?
* 그 가정들은 유효한가?
* 결론은 무엇인가?
* 결론은 유효한가?
* 그는 어떻게 가정들로부터 결론을 얻었는가?
* 이 논문은 모두에게 읽혀질 가치가 있는 것인가?
창조론자들도 또한 이러한 형태의 저술을 피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당신이 독자들을 잃어버리려면 어떤 글을 이치에 맞지 않도록 쓰면 된다. 암흑화는 늘상 지나친 자기 아집의 결과이다. 이것은 자기가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표현이 될 수 없다. 과학자는 만약 시간을 낸다면, 그의 저술을 이해 가능하도록, 읽기 쉽도록 쓰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 방법을 개발하기
만약 크리스천 학생이 과학을 공부하여 성공하려고 한다면, 그는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그(또는 그녀)가 관측한 모든 것에서 하나님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는 것과, 그가 연구하는 모든 것에서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서 기도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대한 연구가 건조하고 지루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에 상당 부분은 연구의 목적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초기의 과학자들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 안에서 과학적 연구를 실시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뜻을 생각해보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하나님의 창조는 아직도 많은 것들이 발견되어지기를 기다리고 있고, 창조하신 자연에는 발견되어야할 것과 탐사되어야할 것들이 너무도 많다.
크리스천 학생들은 질(quality)로서 나타내져야만 한다. 모든 것에서 뛰어나도록 노력해야 한다. 비록 선생님의 의견이 당신과 다르다고 할지라도, 선생님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시험 때에 선생님이 동의하지 않는 답을 제시함으로서, 당신의 주장을 증명해보려고 노력하지 말라. 시험은 그러한 장소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우리와 동의할 것이라고는 기대할 수 없다. 당신의 믿음에 반대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당황하지 말라. 대신 기뻐하라! (야고보서 1:2). 만약 당신이 당신의 선생님과 의견을 달리하기를 원한다면, 그것은 사랑과 존경의 자세 안에서 행하여야 한다. 그가 당신은 광신자라는 고정 관념을 갖을 기회를 주지 말라. 당신의 행동이 나무랄 데가 없도록 하라.
꼭 배워야할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라. 중요한 이슈를 마음 속에 새기는 비결이 있다. 책이 당신의 것이라면, 중요한 부분에는 반드시 표시를 해두라. 노트에 적어두고, 논리적인 순서로 그것들을 조직하라.
크리스천 학생은 창조성, 완전성, 우수성으로 특징되어야 한다. 과제를 받았을 때마다, 통찰력, 아이디어, 신선한 접근을 위하여 주님께 의존하라. 모든 일에 정직하고, 다른 사람의 작업을 도용하거나 복사하지 말고, 자신의 작업을 수행하라. 할당된 것보다 10%를 더 하라. 그것은 100 배로 늘어날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창조론을 공유하기
당신이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당황해 하지 말라. 만약 당신이 답을 모르고 있다면, 그것을 위장하려고 하지 말라. 당신은 전능하지 않으며, 모든 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라. 만약 할 수 있다면, 대답을 발견할 때까지 질문을 연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라. 자주, 이것은 깊은 영적 성장의 시간이 될 것이다.
조롱하는 자들은 당신이 알지 못하는 주제나 질문에 대해서 대부분 전혀 올바른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당신이 답을 알지 못한다면, 그에게 답을 조사해서 오겠으니 다시 만나자고 제안하라. 그가 거절한다면, 그는 아마도 그 답을 듣기를 원치 않을 것이다. 또는 당신이 그 답을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당신과 토론하기를 원치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실망하지 말라. 우리가 천국에 들어갔을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 시험을 보도록 하지 않으시고,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기 전까지 모든 질문에 대답을 하리라 기대하지도 않으실 것이다.
또 하나 기억해야할 것은, 창조론(creationism)은 예수 그리스도를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도구로서 사용하라는 것이다. 창조론은 소금(salt)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토론과 관심분야를 나눌 때 양념처럼 가미되어야 한다.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 안에서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라. 그리고 창조와 진화에 관한 긴 토론으로 옆길로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금은 그 자체만으로는 전혀 음식이 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창조론은 작은 양으로 첨가된다면, 그 목적을 잘 맞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들은 사람들의 영적 갈급함을 채워주는 것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만약 우리가 사람들의 지적인 질문에 대해 만족할만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는 데에 방해가 되는 주요한 장애물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물들이 제거될 때, 복음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
번역 - 한동대학교 창조과학연구소
주소 - https://www.rae.org/essay-links/issues/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1999.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