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신앙

미디어위원회
2023-05-31

창조는 복음의 기초이다

(The Creation foundation for the Gospel)

Lita Sanders 


    니케아 신경(Nicene creed)의 첫 번째 조항은 이렇다 : “우리는 한 분 하나님, 전능하신 성부를 믿습니다. 그분은 하늘과 땅,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창조하신 분입니다.” 창조(Creation)는 모든 기독교 종파들이 만장일치로 지지하고 있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이다. 가장 열렬한 타협론자들조차도 설령 그들이 창조에 대한 성경의 세부 사항들을 부인하더라도, 이것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적 창조론을 방어할 때, 사람들은 종종 “그것은 구원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반대한다. 그 의미는, 기원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더라도, 사람들이 구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창조)은 중요한 것이 아니며, 그로 인해 ‘불화를 일으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창조가 그 자체로 구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데에는 동의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복음(Gospel)의 문제이다.


창세기는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소개한다.

인간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은 누구신가? 우리가 우리의 믿음을 나눌 때, 사람들이 하나님에 대한 성경적 견해를 갖고 있다고 가정할 수는 없다. 사실,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가정하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실 때, 특히 그분을 잘 알지 못하는 종족들에게 계시하실 때, 종종 자신을 다른 어떤 신들과 구별되는, 더 높은 창조주로서 계시하신다.

신약의 저자들도 마찬가지이다. 바울이 아레오바고 언덕에서 연설할 때, 그는 청중으로 있던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 사람들이 갖고 있던 핵심 오류에 도전하기 위해서, 창조로 돌아갔다.(사도행전 17장)[1]

마찬가지로 루스드라에서 바울과 바나바는 그들의 하나님을 천지의 창조주로 증언하고 있다(사도행전 14:15).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에게 3년 동안의 전도와 제자도를 가르쳤고, 나중에 그들에게 보낸 편지들은 창세기에 대한 정교한 언급으로 가득 차 있다. 바울이 그의 신학의 선례로 창세기를 자주 언급하고 있었다는 것은, 이방 신자들에게 창조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바울에게 있어서 제자도의 핵심 요소였음을 시사한다.[2]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하나님은 선하신 창조주이시며, 그분의 율례는 유익하다. 그리고 우리가 그분의 계명을 거역할 때, 하나님의 율례를 어기는 자들을 심판하시며, 그 율례를 옹호하실 권리와 의무를 갖고 계신다.


창세기는 우리에게 복음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죄의 기원과 우리가 구원받아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창세기가 필요하다. 창세기 1-3장의 창조 기록은 하나님이 죄와 죽음을 포함시켜 세상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에덴에서 아담의 불순종에 의해 들어온 침입자였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바울은 복음과 몸의 부활에 관한 그의 위대한 장인 고린도전서 15장에서 특히 이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바울은 먼저 우리가 구원받는 복음을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 무덤에 장사되심, 사흘 만의 부활하심 등에 대한 믿음(1-4절)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바울은 예수님의 부활을 그분이 죽기 위해 오신 이유인 아담의 죄와 죽음과 연결하고 있다.

"사망이 한 사람으로 말미암았으니 죽은 자의 부활도 한 사람으로 말미암는도다 아담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 (고린도전서 15:21-22).

몇 절 더 나아가(45절) 그는 아담을 유인원과 같은 조상 집단에서 진화한 인간 집단 중 하나가 아니라, “첫 사람”이라고 명시적으로 부르고 있다. 그리고 바울은 아담을 그가 “마지막 아담”이라고 부르는 예수님과 대조하고 있다 : 첫 사람은 땅에서 났으니 생명을 받아야만 했고, 둘째 사람은 하늘에서 나셨으니 생명을 주시는 분이다.

창세기의 역사적 해석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최초 타락의 이야기가 영적 또는 은유적 수준에서 사실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성경은 역사적 수준에서 그것이 사실임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것은 바울이 전하는 복음의 기초였다. 아담은 에덴동산에서 죄를 지은 사람일 뿐만이 아니라, 예수님을 포함하여 이 땅에 태어난 모든 사람들의 조상인 것이다. 누가복음 3:23~38절은 의심할 여지없이, 아담에서부터 아브라함과 다윗 왕과 같은 역사적 인물을 거쳐 그리스도까지 이어지는 끊김 없는 족보로 구성되어 있다. 창세기가 역사적 진리임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영적인 측면도 거부하는 것은 훨씬 더 내적으로 일관성이 있다.


창세기는 우리에게 복음의 첫 번째 선포를 하고 있다

최초의 범죄 직후에, 하나님은 뱀과 하와와 아담에게 선포하신다. 하나님은 뱀을 저주하시고, 여자와 뱀, 그 둘의 후손 사이에 전쟁을 선포하신다. 그리고 여자의 특정한 후손이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며, 뱀은 그분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라고 말씀한다(창세기 3:15). 이것은 죄로부터의 구원이 있을 것이라는 복음의 첫 번째 선포이기 때문에, 종종 원시복음(protevangelion)이라고 불린다.

하와에 대한 하나님의 선포는 이것을 확증한다. 그녀는 고통 속에서 아이들을 낳을 것이지만, 여자인 그녀의 후손에서 뱀의 머리를 부수는 약속된 후손이 나오게 될 것이다.


창세기는 우리가 구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아담과 그리스도 사이에 약 4,00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하나님과의 관계를 갖는 방법은 훨씬 이전에 소개되고 있었다.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 이것은 하나님이 관계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그를 육신으로 낙원으로 데려가시므로, 에녹은 다소 독특한 방식으로 구원을 받았다. 

노아는 하나님이 그에게 전 세계적인 대홍수에 대해 말씀하셨을 때, 그분을 믿었다. 그러한 홍수는 이전에도 이후에도 본 적이 없는 것이었는데, 노아는 그분을 믿어 방주를 지었고, 그의 가족(우리 조상들)과 방주에 태워진 동물들이 구원을 받았다.

아브라함은 믿음을 통해 은혜로 구원을 받았다고 명시적으로 언급된 첫 번째 사람이다.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창세기 15:6). 이것은 구원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로 제시되며, 신약에서 세 번이나 인용될 만큼 중요하다.

로마서 4장에서 바울은 이것이 아브라함이 할례받기 전의 일이므로, 의롭게 되는 것은 행위나 율법 없이 믿음으로 말미암는 것이라고 말한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6장에서 같은 구절을 인용하여,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은 후에 할례 곧 율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 갈라디아인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흥미롭게도 야고보서 2장은 이와 동일한 구절을 사용하여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고,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 믿음은 그가 이삭을 제단에 드렸을 때, 그의 행위로 입증되었다. 이삭을 바친 것이 아브라함을 구원한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그것은 아브라함의 구원하는 믿음의 진정성에 대한 증거였다.


구원은 시간과 공간에 근거하고 있다.

기독교는 우리 신앙의 근본적인 주장이 역사적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은 지도와 달력에 기록될 수 있다. 성경 속 인물들은 동화 속 영웅이나 악당들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장소에 살았던 실존 인물들이었다. 그것은 신약에서도 사실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믿음의 기초를 찾는 태초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성경을 얼마나 믿지 않고도 여전히 구원받을 수 있는지 알아내려고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우리는 창세기의 기초가 되는 장들을 포함하여, 그 모든 것을 전심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Related Articles

The Gospel— evidence for creation

Good News!

Is Jesus the Creator?

The Incarnation: Why did God become Man?

The use of Genesis in the New Testament

Christ as the last Adam: Paul’s use of the Creation narrative in 1 Corinthians 15


Further Reading

Genesis Questions and Answers

Jesus Christ Questions and Answers

Why did Jesus die?

Genesis : The Missing Piece of the Puzzle


References and notes

1. Cosner, L., Creation evangelism at Mars Hill, Creation 39(4):17–19, 2017; creation.com/mars-hill.

2. Cosner, L. What the New Testament doesn’t say, Creation 36(4):49–51, 2014; creation.com/nt-doesnt-say.

*LITA COSNER SANDERS, B.A., M.A.

Lita has a B.A. in biblical studies from Oklahoma Wesleyan University and an M.A. in New Testament from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For more: creation.com/lita-sanders.


*참조 : 창조론은 근본적 진리이다. 이레네우스: 선지자들과 사도들은 창조를 근본으로 여겼다.

https://creation.kr/Faith/?idx=12538164&bmode=view

교회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은 어떤 창조론을 믿고 있었는가?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5052&bmode=view

창세기는 말하고 있는 그대로를 의미한다고 칼뱅은 말했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82&bmode=view

진화론이 만연한 이 시대에도 필요한 외침, ‘오직 성경’ 

http://creation.kr/Faith/?idx=1293853&bmode=view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는 이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대중문화는 진화론을 과학으로 선전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0&bmode=view

과학과 종교의 싸움이 아닌 세계관의 싸움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43&bmode=view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22&t=board

▶ 성경적 창조신앙의 중요성 

https://creation.kr/Topic501/?idx=6790739&bmode=view

▶ 예수님의 가르침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5625&t=board

▶ 교회에서 창조신앙 교육 

https://creation.kr/Topic501/?idx=6790619&bmode=view


출처 : Creation 44(1):16–17, January 2022

주소 : https://creation.com/creation-gospel

번역 : 이종헌

미디어위원회
2023-03-01

성경적 역사에서 중요한 네 개의 ‘C’

(The Big Four : Creation, Corruption, Catastrophe, Confusion) 

by Ken Ham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네 가지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근본적인 대답은 창세기 1~11장에 있다.


    때때로 하나님께서 우리 각자의 삶에 소명을 맡기시고, 허락하신 상황과 사람들을 되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돌이켜보면 주님께서 어떻게 나에게 부담을 주셔서, 많은 크리스천들에게 용기를 주고 믿음을 회복할 수 있게 해주는, AiG(Answers in Genesis), 창조박물관(Creation Museum), 노아방주 전시관(Ark Encounter) 등을 시작하게 하시고 인도하셨는지 감사할 뿐이다. 

창조박물관에서 우리는 7개의 C, 즉 창조(Creation), 부패(Corruption, 타락), 격변(Catastrophe), 혼돈(Confusion), 그리스도(Christ), 십자가(Cross), 완성(Consummation)을 통해 사람들을 안내한다. 처음 네 개의 C는 복음을 포함하여, 모든 기독교 교리의 기초가 되는 천문학적, 지질학적, 생물학적, 인류학적 역사와 관련되어 있다.

.켄 햄(Ken Ham. Founder and CEO Answers in Genesis). <Illustration by Viktor Miller-Gausa>


창조(Creation)

1975년에 나는 호주 퀸즐랜드에서 공립학교 과학교사로 경력을 시작했다. 나는 한 학생이 이렇게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 “선생님, 우리는 당신이 기독교인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성경을 믿을 수 있습니까? 우리는 성경이 사실일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성경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아니?" 나는 물었다.

그 학생은 “과학 교과서가 우주와 생명체는 수억 수천만 년에 걸쳐 진화했다고 알려주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때 주님은 나에게 학생들에게 과학과 기원에 대해 올바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부담을 주셨다. 나는 그들에게 관찰과학(observational science, 작동과학, 현재의 오감을 사용하여 기술을 구축하는 과학)과 역사과학(historical science, 기원 연구, 관찰할 수 없는 과거를 연구하는 과학)의 차이점을 가르쳤다.

나는 학생들에게 모든 증거들은 현재에 존재하고, 진화론이 말하는 무기물 분자로부터 인간으로의 진화는 과거에 대한 믿음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 나는 또한 창조와 홍수에 관한 성경의 역사를 확증해주는 관찰과학의 많은 증거들을 보여주었다. 정말로, 나는 첫 번째 C인 창조(Creation)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고 있었다.


그때 주님은 나에게 학생들에게 과학과 기원에 대해 올바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부담을 주셨다.


격변(Catastrophe, 대홍수)

수업 시간에 화석이 나왔을 때, 나는 노아의 홍수가 화석 기록의 대부분을 만들었다고 말해주었다. 노아가 방주에 모든 동물들을 다 실을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한 학생이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 하지만 나는 ‘창세기 대홍수(The Genesis Flood)’와 관련된 자료들을 읽었기 때문에, 방주로 들어갔던 동물들은 인간의 분류 체계에 의한 모든 생물 종(species)들이 아니라, 육상동물의 대표 종류(kinds)들이 들어갔다고 설명해줄 수 있었다. 나는 실제로 그 세 번째 C인 격변(대홍수)을 다루고 있었다.


혼돈(Confusion)

인간 진화론을 다루어야 할 때, 우리 모두는 아담과 하와의 후손이기 때문에, 모든 인간들이 한 인종에 속한다는 것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했다. (최근 인간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하나의 인종만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성경이 가르쳤던 것을 관측과학으로 확인해주었다.)

그때 나는 모든 인간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바벨탑의 결과로 어떻게 다른 문화를 가진 다른 종족들이 형성되었는지를 설명해주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진화론자들이 주장하는 유인원들은 사실이 아니며, 뼈에 부여된 진화론적 이야기라는 것을 말해주었다. 나는 네 번째 C인 혼돈(Confusion)을 실제로 다루고 있었다.

일부 호주원주민 학생은 수업이 끝난 후에도 남아서, 자세한 내용을 물어보았고 대답해주었다. 학생들은 내가 가르친 내용들을 좋아했다. 슬프게도 많은 사람들은(학생들을 포함하여) 호주원주민이 유인원과 유사한 조상의 후손이며, 심지어 진화론적으로 ‘잃어버린 고리’라고 배워왔다.

주님은 이 학생들의 교육에 대해 저에게 큰 부담을 주셨고, 그 이후로 저는 인간이 모두 한 인종, 즉 모두 아담의 후손이며, 하나님 앞에서 모두 평등하며, 인종차별과 편견이 생겨나게 된 원인에 대해 이야기해주었고, 우리 모두는 죄인이며, 구원이 필요하다고 말해주었다.


부패(Corruption, 타락)

나는 1975년 처음으로 교회에서 창조론을 변증하는 발표를 했다. 주로 과학이 어떻게 성경을 확증해주고 있는지와, 진화론의 문제점들에 대해서 발표했다. 나는 그 후 몇 년 동안, 이 메시지를 계속해서 나누었다. 그러나 나는 계속해서 한 질문을 받았다. 크리스천들이 진화론을 믿는 것과, 믿지 않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관한 것이었다. 

나는 헨리 모리스(Henry Morris) 박사의 창세기 주석서인 ‘창세기 강해(The Genesis Record)’를 갖고 있었는데, 어떻게 모든 기독교 교리가 궁극적으로 창세기에 기초하는지 설명해주었다. 나는 또한 아담이 죄를 짓기 전에는 죽음, 피흘림, 질병이 존재할 수 없었다고 설명하는 영국에서 나온 소책자를 갖고 있었다. 또한 아버지께서는 창세기의 역사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모든 교리에 얼마나 기초가 되는지를 가르쳐주셨다.

그래서 이 모든 정보들을 사용하여 Answers in Genesis의 근간이 된 "창세기의 타당성(Relevance of Genesis)" 메시지를 개발했다. 나는 첫 번째 C인 창조(Creation)가 두 번째 C인 부패(Corruption, 죽음과 고통의 시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내가 교회에서 이 관련성 있는 메시지를 처음 전했을 때, 사람들은 이전에 이런 메시지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고, 기록된 그대로의 창세기 입장을 취하고, 진화론을 거부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수년 동안 우리는 처음 네 개의 C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이해를 발전시켰지만, 기본 메시지는 여전히 동일하다. “창세기 1-11장은 역사적 사실이다. 따라서 그 역사에 근거한 복음은 참된 것이다.”

또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처음 네 개의 C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기에 기초한 기독교 메시지는 참된 것이다.” 그렇다. 빅 포(Big Four)는 매우 중요하다.


*Ken Ham is the founder and CEO of Answers in Genesis–US. He has edited and authored many books about the authority of God’s Word and the impact of evolutionary thinking on our culture, including Already Compromised and The Lie.


*참조 : 자료실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22&t=board

자료실 / 수십억 년의 연대 수용 문제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488&t=board

자료실 / 유신진화론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971&t=board


출처 : Answers Magazine, 2017. 11. 1., last featured 2022. 7. 31.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bible-history/big-four/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1-02

2023년 새해 아침에

: "다음세대에 꽃피울 디지털 창조과학 사역을 꿈꾸며“


      코로나의 힘들고 긴 터널을 통과하고 있지만, 끝이 없어 보이던 긴 터널도 이제는 밝은 빛이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제는 점점 일상을 회복하고 있고, 왠지 들뜬 마음으로 2023년 계묘년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 지난 한 해 저희 한국창조과학회에 부어 주신 창조주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와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창조과학회의 사역도 이제 점차 일상을 회복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부산에서 개최된 창조과학회 학술대회는 6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으며, 3년 만에 대면으로 가평 필그림하우스에서 개최된 송년모임 및 정기총회도 70여명의 회원이 모여 창조주 하나님의 은혜를 함께 나누었습니다.

지난 3년간의 비대면 상황은 어려운 고난이었지만, 우리 학회 교육체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고 확신합니다. 1년 동안의 교육과정을 비대면으로 진행하면서, 현실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웠던 해외 선교사님들과 군 선교사님들, 전국에 흩어져 있는 기독대안학교, 교회학교 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2023년부터의 사역은 과거의 대면사역과 비대면 교육사역을 함께 추진하며 효율적인 학회의 운영을 해 나가고자 합니다.

우리 창조과학회는 2021년부터 다음세대를 위한 창조과학 사역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사역 전반에 걸친 ‘디지털 전환’을 선포하였습니다. 이제 온라인 ‘창조지’의 정착과 창조과학 온라인 저널인 ORJ(Origin Research Journal) 저널이 안정적인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지난 2년동안 추진해 온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노아방주 전시관’의 1차 버전 릴리즈를 회원들에게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들이 이 디지털 공간에서 재미있게 창조과학 컨텐츠를 접하도록 하며, 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차세대 창조과학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가려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물리적인 세상뿐만 아니라 디지털 세상을 어떻게 돌보고 세워나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은 지금부터 우리 창조과학회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라고 생각됩니다.

2023년부터는 다음세대 젊은 창조과학자를 세워가는데 초점을 맞추어 나갈 것입니다. 각 전문 학술 분야별 연구회를 통해 젊은 크리스쳔 과학자들이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창조주 하나님을 학문적으로 마음껏 드러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젊은 창조과학자를 집중 교육시키기 위한 집중교육과정(Intensive Training Course)을 개설하여 좀 더 능동적으로 젊은 크리스쳔 과학자들과 소통하며 동역해 나갈 것입니다.

한국교회 미래의 유일한 대안은 건전한 성경적 창조신앙의 선포와 실천이라고 생각합니다. 특별히 다음 세대를 세워가는 일에 표어나 말로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대안과 도구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창조과학회는 2023년도 열정과 창의적인 도전으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 나갈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창조주 하나님을 선포하는 일에 함께 부르심을 받아 동역하는 것이 너무나 큰 기쁨입니다. 위기의 한국교회와 다음 세대를 성격적 창조신앙으로 세워나가는 일에 눈물로 기도해 주시고, 끝까지 함께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2023. 1. 1.

한국창조과학회 회장 이경호 올림

미디어위원회
2022-08-07

창조론은 근본적 진리이다.

이레네우스: 선지자들과 사도들은 창조를 근본으로 여겼다.

(Creation is a foundational truth.

Irenaeus : the prophets and apostles regarded creation as foundational)

by Jim Hughes


    초대 교회의 중요한 지도자였던 이레네우스(Irenaeus, AD 130~202년)는 그의 시대에 잘못된 사상에 대항하기 위해서 "이단 반박(Against Heresies)"이라는 책을 썼다. 사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의 저자들에 대해 이레네우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이 사람들(복음서 저자들)은 우리에게 하늘과 땅의 창조주이신 하나님과, 율법과 선지자들이 예언했던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선포하고 있다. 누구든지 이러한 진리에 동의하지 않으면, 그는 주님의 동행을 멸시하는 것이고, 주님이신 그리스도 자체를 멸시하는 것이며, 하나님 아버지를 멸시하는 것이고, 주님의 구원을 멸시하는 것이며, 모든 이단자들이 그렇듯이 스스로 자책하고, 저항하고, 자신의 구원에 반대하는 것이다.(Against Heresies III.1.21).

이레네우스는 어떤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아버지를 멸시하지 않고, 이단으로 비난받지 않기 위한 근본적인 믿음으로서, 하나님이 창조주(Creator)라는 진리에 동의해야만 한다는 것을 포함시켰다.

슬프게도 오늘날의 교회에 창조의 교리를 근본적 진리로 보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창조의 교리가 부차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우리가 죄를 뉘우치고 예수님을 구세주로 믿는 한, 하나님이 어떻게, 언제 창조하셨는지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믿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CMI(그리고 AiG, ICR, CRS, CEH, KACR 등의 성경적 창조론 단체들)은 "창조주와 창조의 교리는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See, What we believe).  우리들이 이러한 입장을 고수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해 성경에서 가르치신 것이 바로 이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선지자들과 사도들은 창조의 교리를 부차적인 문제나 부차적인 중요성으로 여기지 않았다.

성경의 첫 말씀은 이렇게 시작된다 :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창세기 1:1~3)

우리가 이 구절들로부터 배울 것이 많다. 몇 가지만 언급하겠다.

1.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를 옹호하거나 증명하지 않는다. 그분은 그것을 전제로 하고 선포하고 계신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이 이 진리를 숨기려 할지도 모르지만, 그의 존재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로마서 1:19–20)

2.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분은 시간 밖의 존재이시며, 비물질적 존재라는 것과 같은 그분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그분은 자신이 만물의 창조주임을 나타낸다.

4. 그분은 자신이 강력한 의사 전달자("하나님이 이르시되“)이심을 증거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인류에게 주신 계시의 말씀 첫 구절에서 자신이 창조주라는 말로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진리를 말씀하시기 전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가장 먼저 알려주시기 원하셨던 것은 그분이 창조주라는 것이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십계명을 전달하실 때도,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 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출애굽기 20:11)

하나님은 창조주간에 행하신 일에 따라, 한 주(week)의 주기를 정하셨다.(The Seven-Day Week 참조). 이 계명에서 사용된 표현인 "천지를 지으신(made heaven and earth)"이라는 표현은 구약에서 총 10번 사용되었다.[2]

히람(Hiram, 비유대인)은 이스라엘에 지혜로운 왕 솔로몬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릴 때 이 표현을 썼고(역대하 2:12), 히스기야는 앗수르 군대가 예루살렘을 포위했을 때, 기도하면서 이 표현을 사용했다(열왕기하 19:15). 시편 저자들은 하나님을 찬양하면서 이 표현을 다섯 번 사용했다.

욥과 그의 위로자(친구)들은 악의 기원과 인간 고통의 원인과 같은 주제에 대한 긴 토론을 벌였다. 그들은 논쟁을 끝내지 못했고, 하나님이 개입하셔서 폭풍우 가운데에서 욥에게 말씀하셨다 :

“내가 땅의 기초를 놓을 때에 네가 어디 있었느냐 네가 깨달아 알았거든 말할지니라“ (욥기 38:4)

이 질문은 하나님이 욥에게 경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적 우주 통치는 항상 정의롭다는 진리를 알려주시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그분은 창조주이시기 때문이다.

선지자 이사야와 예레미야 모두 하나님을 창조주라고 선언하고 있는데, 이는 주변 이교도 국가들의 무가치한 신들과 대조된다.

”너는 알지 못하였느냐 듣지 못하였느냐 영원하신 하나님 여호와, 땅 끝까지 창조하신 이는 피곤하지 않으시며 곤비하지 않으시며 명철이 한이 없으시며“ (이사야 40:28)

“너희는 이같이 그들에게 이르기를 천지를 짓지 아니한 신들은 땅 위에서, 이 하늘 아래에서 망하리라 하라 여호와께서 그의 권능으로 땅을 지으셨고 그의 지혜로 세계를 세우셨고 그의 명철로 하늘을 펴셨으며” (예레미야 10:11~12)

이 메시지들은 유다 왕국이 외국 군대의 위협에 직면했을 때, 그들을 격려하기 위해서 주어졌다. 마찬가지로, 그 말씀들은 우리를 격려하고 있다. 천지를 만드신 분이 이 땅의 민족들을 계속 다스리신다는 것이다.


사도 바울은 아레오바고에서 교육을 받은 아테네 사람들에게 예수님을 소개할 때,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께서는 천지의 주재시니...”라는 말로 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시작했다. 


예수님은 구약성경의 내용을 역사적 사실로서 여기셨고, 그의 가르침에 창세기를 사용하셨다. 마가복음 10:6절에서 예수님은 “창조 때로부터(at the beginning of creation, 태초에서부터 138억 년 후가 아니라)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지으셨으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사도 바울은 아레오바고에서 교육을 받은 아테네 사람들에게 예수님을 소개할 때,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 범사에 종교심이 많도다...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물을 지으신 하나님께서는 천지의 주재시니...”라는 말로 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시작했다. 하나님은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창조주이시며,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살게 하시고”라고 말하며, 모든 인류는 한 사람(아담)의 후손이라는 진리를 이용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메시지를 시작했다. 그는 하나님을 창조주로서 제시한 후에, 아테네 사람들에게 그들의 죄를 회개할 것을 요구했다.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하나님이 간과하셨거니와 이제는 어디든지 사람에게 다 명하사 회개하라 하셨으니”. 그리고 나서 예수님의 부활에 대해 말했다.(사도행전 17:22~34). 바울이 다신교를 믿던 그리스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을 때, 하나님이 창조주 되심은 주변적이거나 부차적인 교리가 아니었다. 그것은 그 시대의 지식 엘리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데 있어서 근본적인 진리였다.

히브리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진정한 신앙의 기초는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하셨다는 믿음임을 상기시키며, 믿음을 지켰던 사람들에 대한 고찰을 시작한다.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히브리서 11:3)

우리는 이 진술에서 히브리서의 저자는 창조된 각 존재들은 더 원시적인 것들로부터 오랜 세월 동안의 우주론적 또는 생물학적 진화로 나타나지 않은, 독특한 창조물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관찰해야 한다.

성경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에서 요한은 자신의 환상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가 천국을 언뜻 보았을 때, 그는 하나님 보좌 주변의 장로들이 이렇게 선언하는 것을 들었다.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요한계시록 4:11)

분명히 천국 백성들은 하나님이 창조주이시며, 경배 받으실 가치가 있는 분으로서 여기고 있었다.

나중에 요한은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하고 있는 천사를 보았다고 전하고 있다.

”내가 본 바 바다와 땅을 밟고 서 있는 천사가 하늘을 향하여 오른손을 들고 세세토록 살아 계신 이 곧 하늘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땅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바다와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을 창조하신 이를 가리켜 맹세하여 이르되 지체하지 아니하리니“ (요한계시록 10:5~6).

천사의 이 말씀은 창조주 하나님이 이 땅의 역사를 마무리하실 것임을 나타낸다.

그래서 성경의 처음 책에서부터 마지막 책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사이의 많은 곳에서, 성경의 저자들은 하나님은 위대하신 창조주이시며, 민족을 지배하실 권리와, 경배를 받으실 가치가 있으신 분이라는, 그들의 믿음의 기초가 되는 근본적인 진리임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이레네우스가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성경의 인간 저자들은 천지의 창조주이신 한 분 하나님이 우리에게 계시다고 선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선지자들과 사도들, 그리고 예수님이 믿고 있었던 것처럼, 우리는 하나님께서 약 6000년 전인 창조주간의 6일 동안 무엇을 창조하셨는지를 기록하고 있는 창세기 1장을 역사적 기록으로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는 성경의 나머지 부분들을 이해하고, 복음을 제시할 수 있는 근본적 진리로서, 하나님이 창조주라는 진리를 믿어야할 것이다.


References and notes

1. Irenaeus of Lyons. (1885). Irenaeus against Heresies. In A. Roberts, J. Donaldson, & A. C. Coxe (Eds.), The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Vol. 1, pp. 414–415). Christian Literature Company. 

2. Exodus 20:11; 31:17; 2 Kings 19:15; 2 Chronicles 2:12; Psalm 115:15; 121:2; 124:8; 134:3; 146:6; Isaiah 37:16.

 

Related Articles

New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Genesis creation for early apologist’s Christology

 The use of Genesis in the New Testament


Further Reading

Famous preacher: ‘Creation, not evolution’

 Street preacher says creation ‘is the issue’

Preaching the Gospel in today’s society

 Revival? What is missing?

 Is it possible to be a Christian and an evolutionist?


*참조 : 교회 교부들과 종교개혁자들은 어떤 창조론을 믿고 있었는가?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5052&bmode=view

창조신앙의 역사, 그 교회사적 고찰 : 초대교회를 중심으로

http://creation.kr/Faith/?idx=1293813&bmode=view

창세기는 말하고 있는 그대로를 의미한다고, 요세푸스는 말했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83&bmode=view

창세기는 말하고 있는 그대로를 의미한다고 칼뱅은 말했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82&bmode=view

진화론이 만연한 이 시대에도 필요한 외침, ‘오직 성경’ 

http://creation.kr/Faith/?idx=1293853&bmode=view

예수님은 최근 창조를 가르치셨다.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88&bmode=view

성경에서 어린 양과 창세기의 역사성

http://creation.kr/Genesis/?idx=1289141&bmode=view

창세기로부터 큰 그림을 가르치셨던 예수님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61&bmode=view

창세기에 대한 타협은 성경의 기초를 허무는 일이다.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90&bmode=view

성경의 창조주 하나님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12&bmode=view

창조 복음주의자였던 사도 요한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26&bmode=view

첫 번째 아담 대 마지막 아담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60&bmode=view

속지마라 : 세속적 과학이라는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영적으로 훈련하라

https://creation.kr/Faith/?idx=12486901&bmode=view

어리석은 자의 어리석음에 대답하기 : 창조론자들은 비과학적인 사람들인가?

https://creation.kr/Faith/?idx=1293823&bmode=view

일반계시 :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https://creation.kr/Faith/?idx=11074907&bmode=view

용기는 기독교인의 필수 덕목이다

https://creation.kr/Faith/?idx=11050286&bmode=view

창조신앙으로 지혜롭게 살아가기!

https://creation.kr/Faith/?idx=9004045&bmode=view

기독교 신앙과 진화론은 양립할 수 없다.

https://creation.kr/Faith/?idx=1293785&bmode=view

이 세상을 붙잡고 있는 강력한 힘

https://creation.kr/Faith/?idx=8908433&bmode=view

진화론-창조론 논쟁이 중요한 이유 : 토양, 나무, 그리고 그들의 열매

http://creation.kr/Faith/?idx=1293858&bmode=view

창조론 대 진화론 - 교회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7&bmode=view

이 시대 교회의 뜨거운 감자, 창조론 대 진화론 논쟁! : 청소년 사역자를 놀라게 하는 조사 결과

http://creation.kr/Faith/?idx=1293846&bmode=view

창조 복음주의(창조의 타당성 제 2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8&bmode=view

창조 : 그 증거는 어디에 있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588&bmode=view

교회와 믿음의 분리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50&bmode=view

벤 스타인의 “추방: 허용되지 않는 지성” : 진화론을 고발한 영화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3&bmode=view

단지 복음만 전하는 것! 창세기 없는 복음은 무신론자들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http://creation.kr/Faith/?idx=1293821&bmode=view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는 이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대중문화는 진화론을 과학으로 선전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0&bmode=view

과학과 종교의 싸움이 아닌 세계관의 싸움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43&bmode=view

두 가지 뿐인 세계관

http://creation.kr/Faith/?idx=5605260&bmode=view

가이아 이론과 자연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3128683&bmode=view

현대 과학에서 이루어지는 교묘한 우상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4009252&bmode=view

왜 우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에 대해 배워야만 하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606&bmode=view

진화론과 하나님의 형상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22&bmode=view

진화론이라는 신비주의와 과학의 종말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84&bmode=view

진화론은 현대의 신화들에 기초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16&bmode=view

애매모호주의 : 애매모호함을 추구하는 하나의 종교 : 무신론적 진화론자들의 사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위키백과 : 진화론적 편견의 반창조론적 웹사이트

http://creation.kr/Debate/?idx=1757518&bmode=view

진화론 - 영적 세계에 대한 거부 수단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8&bmode=view

내가 변증가가 되어야하는 이유

http://creation.kr/Faith/?idx=3658351&bmode=view

균형잡힌 변증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26&bmode=view

현대의 변증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4&bmode=view

침묵할 때와 말할 때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31&bmode=view


출처 : CMI, 2022. 7. 26.

주소 : https://creation.com/creation-is-a-foundational-truth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7-31

속지마라 : 세속적 과학이라는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영적으로 훈련하라

(Be Not Deceived: Spiritually Train to Overcome Secular Science Obstacles)

by Jonathan K. Corrado, PH.D., P. E.


    강한 군인을 만들기 위해서 철저한 교육과 규율은 필수적이다. 잘 훈련된 군인은 그들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올바른 선택을 통해 직면하는 장애물들을 극복하고, 맡겨진 임무를 완수한다. 군인들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인들은 영적으로 훈련해야 하고, 영적인 장애물들, 즉 속임수 앞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설명해줄 수 있는 한 사례가 있다. 1983년 9월 26일 소련 방공군의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Stanislav Petrov) 중령은 조기경보위성 사령부에서 근무했다. 페트로프의 임무는 인공위성 조기경보 시스템을 감시하고, 지휘부에 핵미사일의 공격을 알리는 것이었다. 조기경보시스템이 적의 공격을 가리킨다면, 소련은 즉각적으로 반격하며 대응할 것이었다.

자정 때 즈음 조기경보 시스템은 미국으로부터 5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발사됐음을 알렸다. 페트로프는 미국의 첫 번째 핵 공격이 실제로 이루어졌다면, 반격을 무력화할 목적으로 수백 발의 핵미사일이 동시에 발사됐을 것이기 때문에, 이번 탐지는 오류로 간주했다. 페트로프는 결국 그 경고를 거부하고, 허위 경보로 분류했다. (소련 군부는 핵무기의 대응 발사와 전쟁 돌입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던 중, 당시 상황을 담당했던 페트로프는 이 신호를 컴퓨터 오류로 보고 핵전쟁 취소코드를 입력하여 핵전쟁을 막았다). 후에 이 거짓 경보는 조기경보 시스템의 위성 궤도에서 햇빛의 비정상적인 방향과 고지대 구름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1]

이 극적인 예는 우리 삶에도 반영될 수 있다. 우리는 외부 자극에 대한 프로그램된 반응을 갖고 있는 로봇이 아니다. 하나님은 사람에게 생각하고 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과 자유의지를 주셨다. 다만 페트로프 중령의 경우처럼, 우리 앞에 제시된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잘못된 정보에 '속아서는 안 된다'(딤후 3:13). 우리는 기독교의 가르침(성경의 진리를 배우는 것)과 영적 훈련(성경의 진리를 고수하는 것)을 통해 이것을 성취할 수 있다.

성경 전체에서 분명히 표현되어 있듯이, 속임(deception, 기만)은 적들의 주된 공격 도구이다. "속지 마라" 또는 이와 비슷한 문구는 신약성경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영적 속임수와 거짓 선지자의 출현에 대해서 마태복음과 요한계시록 사이 적어도 44개의 구절에서 말씀하고 있다. 속지 않는 것은 우리의 책무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을 상대함이라”(엡 6:12)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이다.

태양계의 기원, 지구의 기원, 생명의 기원 등은 속임수가 널리 퍼져있는 분야이다. 무신론적 인본주의의 중심 이론인 진화론이 주장하는 것과 다르게, 지구의 설계적 증거들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천체물리학, 양자물리학, 지질학, 생물학, 식물학, 화학 등에서의 발견들은 설계자를 더욱 명확하게 가리키고 있다. 히브리서 3:4절 “집마다 지은 이가 있으니 만물을 지으신 이는 하나님이시라”는 이러한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기독교인으로서 우리는 단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만으로 속임수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속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편견이 없는 진실된 과학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성경의 무오성을 방어하고, 성경 말씀을 붙잡고, 믿는 것을 수반한다.

다행스럽게도 속임(기만)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이 주신 진리를 통해 극복될 수 있다. 이 진리는 세 가지로 주어졌다. 그분의 말씀은 진리이고(요 17:17), 그분의 아들은 진리이고(요 14:6), 그분의 영은 진리이시다(요일 5:6). 우리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진리를 배운다. 우리는 그분의 아들을 통해 마음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게 된다. 우리는 성령님께 복종하고 하나님의 진리로 매일 살아가야 한다.[2] 속임수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가 모두 철저히 교육되고 훈련된 기독교인이 되어야만 한다.


References  

1. Hoffman, D. “I Had a Funny Feeling in My Gut.”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February 10, 1999, A19.

2. Commentary on John 17:17. Wiersbe, W. W. 2007. The Wiersbe Bible Commentary. Colorado Springs, CO: David C. Cook.

*Dr. Corrado earned a Ph.D. in Systems Engineering from Colorado State University and an M.Div. from Nations University. He is a freelance contributor to ICR’s Creation Science Update, works in the nuclear industry, and is a senior officer in the U.S. Naval Reserve.


*참조 : 용기는 기독교인의 필수 덕목이다

https://creation.kr/Faith/?idx=11050286&bmode=view

진화론-창조론 논쟁이 중요한 이유 : 토양, 나무, 그리고 그들의 열매

http://creation.kr/Faith/?idx=1293858&bmode=view

창조론 대 진화론 - 교회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7&bmode=view

이 시대 교회의 뜨거운 감자, 창조론 대 진화론 논쟁! : 청소년 사역자를 놀라게 하는 조사 결과

http://creation.kr/Faith/?idx=1293846&bmode=view

창조 복음주의(창조의 타당성 제 2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8&bmode=view

창조 : 그 증거는 어디에 있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588&bmode=view

교회와 믿음의 분리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50&bmode=view

벤 스타인의 “추방: 허용되지 않는 지성” : 진화론을 고발한 영화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3&bmode=view

단지 복음만 전하는 것! 창세기 없는 복음은 무신론자들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http://creation.kr/Faith/?idx=1293821&bmode=view

현대 과학에서 이루어지는 교묘한 우상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4009252&bmode=view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는 이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대중문화는 진화론을 과학으로 선전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0&bmode=view

과학과 종교의 싸움이 아닌 세계관의 싸움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43&bmode=view

두 가지 뿐인 세계관

http://creation.kr/Faith/?idx=5605260&bmode=view

가이아 이론과 자연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3128683&bmode=view

현대 과학에서 이루어지는 교묘한 우상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4009252&bmode=view

왜 우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에 대해 배워야만 하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606&bmode=view

진화론과 하나님의 형상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22&bmode=view

진화론이라는 신비주의와 과학의 종말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84&bmode=view

진화론은 현대의 신화들에 기초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16&bmode=view

애매모호주의 : 애매모호함을 추구하는 하나의 종교 : 무신론적 진화론자들의 사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위키백과 : 진화론적 편견의 반창조론적 웹사이트

http://creation.kr/Debate/?idx=1757518&bmode=view

진화론 - 영적 세계에 대한 거부 수단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8&bmode=view

문화 전쟁 (1) : 신앙과 과학의 분리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34&bmode=view

문화 전쟁 (2) : 신앙과 과학의 분리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35&bmode=view

내가 변증가가 되어야하는 이유

http://creation.kr/Faith/?idx=3658351&bmode=view

균형잡힌 변증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26&bmode=view

현대의 변증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4&bmode=view

침묵할 때와 말할 때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31&bmode=view

무신론은 진화론을 필요로 한다 : 진화론은 사실로부터 생겨난 것이 아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77&bmode=view

인본주의자 선언 2000 에서 언급된 현대 무신론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016&bmode=view

무신론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진화론 : 미국 대학생의 무종교 비율에 관한 새로운 조사

http://creation.kr/Faith/?idx=1293854&bmode=view

무신론은 하나의 종교라고 법원은 말한다.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06&bmode=view

진화론의 뿌리와 열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70&bmode=view

진화론 : 고대의 이교도 개념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5&bmode=view

세속적 인본주의란 무엇인가?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040&bmode=view

도킨스는 “하나님은 없다”라는 광고를 지원하고 있다 : 영국 런던의 버스에 등장한 무신론자들의 광고

http://creation.kr/Debate/?idx=1293647&bmode=view

사람이 하나님을 창조했다는 무신론자들의 광고가 시카고에 등장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9&bmode=view

도킨스의 최근의 책 : 지상 최대의 거짓말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1&bmode=view

스티븐 호킹의 무신론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6&bmode=view

나는 믿지 않는다! : 창조과학을 비판하던 한 젊은이에 대한 이야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033&bmode=view

진화론으로 인해 불신앙의 늪으로 떨어졌던, 한때 유명했던 복음전도자 찰스 템플턴

http://creation.kr/Faith/?idx=5963913&bmode=view

템플턴, 그레함, 라이엘, 그리고 의심 : 어떻게 ‘거짓말’이 한 복음전도자를 실족시켰는가?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75&bmode=view

성경적 창조신앙과 교회교육의 중요성 

http://creation.kr/Faith/?idx=1293862&bmode=view

교실에서 하나님이 하신 일을 기뻐하기

http://creation.kr/Education/?idx=3905486&bmode=view

창조론이 학교 수업시간에 가르쳐져야만 한다. : 영국과 웨일즈의 교사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24&bmode=view

비누방울 속에서 살아가기 : 교회가 창조과학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084&bmode=view

기독교 대학에서 창조론의 위기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10&bmode=view

어떤 기독교 대학들은 예수님보다 다윈을 더 사랑한다.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22&bmode=view

창세기에 대한 타협은 성경의 기초를 허무는 일이다.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90&bmode=view

성경에 기록된 그대로 하나님의 창조를 믿는 것이 기독교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인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87&bmode=view


출처 : ICR, 2022. 7. 25.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Be-not-deceived/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5-16

어리석은 자의 어리석음에 대답하기 

: 창조론자들은 비과학적인 사람들인가? 

(Answering fools’ folly)

David Catchpoole 


      오늘날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자기들의 친구나 사랑하는 사람 중에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을 묘사하는데 매우 거친 단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성경은 그들을 ‘어리석은 자’라고 부른다.

”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는도다” (시 14:1, 시 53:1)

마찬가지로 로마서 1:18~32절에서는 하나님이 손으로 만드신 작품이라는 증거가 도처에 널려있는데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창조주이시라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그들(혹은 다른 사람들)이 아무리 ‘현명하다’고 생각할지라도, 실제로는 그로 인하여 ”어리석게 되었으며”, 그들의 ”어리석은 마음”이 어두워졌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그들을 덜 사랑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어떤 의심하는 자들을 긍휼히 여기라 또 어떤 자를 불에서 끌어내어 구원하라”(유 1:22-23a)고 말씀하신다. 우리는 우리의 믿음에 관해 묻는 자들에게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해야 한다.(벧전 3:15).

이제 고백하는데, 나는 기독교인이 된 이후 처음 12년 동안은(즉, 내가 20대 중반에 무신론을 포기하고 그때 이후로는 예수님을 따르기로 고백한 이후로) 심지어 ‘내가 종교적이 되었다고’ 하면서 몇 명의 무신론자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받던 때를 포함하여 내가 누구에겐가 ”답을 준 적이” 결코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1997년에 어떤 세미나에 참석한 이후로 모든 것이 변했다. 갑자기 나는 성경이 믿는 자들로 하여금 무신론자 및 기타 비기독교인들의 질문과 도전에 답을 줄 수 있게 하는 강력한 설명의 틀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누군가 나의 믿음에 관해 물을 때, 수줍게 안으로 움츠러드는 대신에, 믿지 않는 사람들과 일대일로 대화하는 것이, 최소한 그들에게 영원한 이익이 잠재되어 있다는 것 때문에 재미있고 흥분되게 되었다! 그러한 대화 중 하나를 여기서 자세히 이야기하고 싶다. 그것이 나에게 상당히 격려가 되고 기억이 되기 때문만이 아니라, 무신론자들이 모순된다고 잘못 알고 말하는 구절인 잠언 26:4~5절을 포함하여, 복음전도에 관련된 수많은 성경의 권고들을 내가 부지중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대화는 여객기를 타고 호주의 북부 도시인 ‘다윈’에서 동부 해안에 있는 ‘브리스베인’까지 가는 세 시간 이상 동안 끊임없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다윈에서 출발하여 ... 그리스도까지?

내 옆에 앉은 젊은 아가씨는 전형적인 북부지방의 솔직함으로 자기 자신을 소개했다. 레베카는 약 15살쯤 되었고, 분명히 매우 영리했으며, 전국과학경시대회에서 높은 성적을 받았다. 그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는 ‘과학과 종교’에 관한 주제를 토론하게 되었다. 그녀는 자신이 진화론을 믿고 있다는 무신론적 관점을 솔직하게 말하며, 내가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신론자에서 (우주가 6,000년 정도 되었다고 믿는) 성경적 기독교인이 되었다는 것을 알고는 소스라치게 놀랐다. (순수하게 성경을 믿는 박사 과학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무신론자들에게는 정면으로 부딪히는 일이다!)

넓은 범위에 걸친 대화를 나누는 동안에, 레베카는 고릴라와 긴팔원숭이와 같은 멸종 위기에 있는 원시 종들을 돌보아서 건강하게 되돌리는, 제인 구달(Jane Goodall)과 같은 열정을 만족시킬 준비를 하기 위하여 수의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그녀의 열망에 대해 말했다.

내가 말했다. ”잠깐 기다려 보세요. 진화론적인 적자생존의 세계에서 그들은 우리의 경쟁자예요! 우리에게 쓸모없으며, 사람에게 필적할 수 없고, 어떻든 죽어버리게 될 동물들을 돌보느라고 왜 자원을 낭비해야 하지요? 그것은 이치에 맞지도 않을 뿐 아니라, 당신은 당신의 종에 대한 배반자가 되는 것 아니예요?”

레베카는 창백해지고, 낙담하여 뒤로 기댄 채 이렇게 말했다. ”내가 이 비행기에 탈 때만 해도 나는 내가 누구인지 알았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정확히 알았지만, 지금은 ... 무엇을 믿어야 하는지에 대해 더 이상 확신할 수가 없고, 게다가 당신은 지금 내가 살아가는 이유를 제거해 버렸어요...”

내가 대답했다. ”잠깐, 거기서 멈춰봅시다! 내가 당신에게 말한 것은 내 관점이 아니라 기원에 관한 당신의 관점을 따른 거예요. 나는 기원에 관하여 성경의 설명을 믿어요. 당신이 아픈 동물들을 돌보겠다는 열망은 진화론적 사고틀 안에서는 완전히 비논리적이예요. 하지만 성경에서 하나님이 사람으로 하여금 창조물을 다스리라고 말씀하신 것(창 1:28)과는 절대적으로 일치하고 있어요. 그러므로 이 저주받고 타락한 세상에서 그분이 창조하신 아프고 다친 창조물들을 돌보라는 열정을 하나님이 당신 마음속에 불어 넣으셨다고 하면 완벽히 일리가 있어요.”

그것이 급소를 찌른 것이 분명하다. 레베카가 이렇게 말했다. ”더 듣고 싶어요.”

그래서 우리의 대화가 계속되었다. 나는 그녀의 점차적으로 진지해지는 삶과, 우주 및 모든 것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해 주었다.’

비행을 마칠 때, 비행기가 정류지로 이동할 때, 최대한 태연하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당신이 아직 기독교로 개종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죠?”

레베카는 바로 뒤에 있는 나를 바라보고 부드럽게 그러나 단호하게 대답했다. ”나는 매우 매우 가까이 와 있어요.”


어리석음에 직면하기

당신이 상상할 수 있듯이, 레베카가 마지막에 언급한 말과 성경을 스스로 읽어보기 위해서 성경 구입하겠다는 확고한 말(주장!)은 나의 원기를 북돋아 주었다.

도착한 후에 우리가 나누었던 대화를 마음속으로 되뇌어 보았을 때, 나는 부지불식간에 잠언 26:4절과 26:5절의 충고를 둘 다 적용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련한 자의 어리석은 것을 따라 대답하지 말라 두렵건대 너도 그와 같을까 하노라” (잠언 26:4)

”미련한 자에게는 그의 어리석음을 따라 대답하라 두렵건대 그가 스스로 지혜롭게 여길까 하노라” (잠언 26:5)

일부 회의론자들은 이 구절들이 ‘모순된다’고 조롱하기를 좋아하는데, 마치 저자가 미련하여 순전히 모순된 문장을 함께 놓았다고 하지만, 그것은 분명히 의도적인 것이다.

레베카에게 그녀는 자기와 동종(species)에 대해 ‘배반자’라고 했을 때는 5절의 맥락에서 옳은 것이다. 나는 진화론적 패러다임의 어리석음을 드러내는 기회를 포착한 것이다(골 4:5~6). 그리고 일단 레베카가 그 요점을 파악한 이후에는 (”당신은 지금 내가 살아가는 이유를 제거해 버렸어요”) 급히 수정하여 그 어리석음을 하나님의 말씀에서 나오는 지혜로 대신한 것은 4절의 맥락에서 옳은 것이었다.

자, 결과를 보라. 비행기가 출발할 때는 무신론자라고 공언하던 진화론자가 한 번의 대화과정 동안에 극적으로 입장이 변했다. 그녀는 내가 성경을 믿는다는 사실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시작하여, ”더 듣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사도 바울이 그리스 사상가들에게 기원으로 돌아가기에 대해 연설할 때 사용했던 전략을 사용할 때 성취할 수 있는 훌륭한 예이다. ”...이 일에 대하여 네 말을 다시 듣겠다 하니” (행 17:16~34).

4절과 5절 둘 다를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주목하라. 내가 ‘배반자’라는 언급까지만 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은 나로 하여금 성경 없이 논쟁만 하는 것으로 제한했을 것이다. 그 경우에는 슬프게도 내가 논쟁하는 사람과 똑 같은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불행하게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오직 진화론자들이 주장하는 가설들만 가지고 진화론(혹은 게이들의 ‘결혼’ 혹은 낙태 등과 같은 다른 논제들)에 대항하여 논쟁할 수 있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진화론자들이 논쟁할 때 사용하는 용어들 즉 ”성경은 치워라!”는 말에 암암리에 동의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오직 성경에 근거할 때만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잠언 26장에서 이들 두 구절을 적용하려고 할 때는 둘 중에 하나가 아니라 둘 다의 경우가 된다. 그 둘은 서로 모순되는 가르침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다.


성경 - 복음전도에 대한 위대한 안내서

레베카와 일대일로 대화를 나누는 중에,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돌봐주실 것을 알고(시 37:4, 벧전 5:7), 그녀의 개인적인 희망과 야망에 관해 언급할 기회를 가졌다. 아픈 동물을 간호하고자 하는 그녀의 욕구는 선한 일로써, 그것은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이며(딤전 4:4), 그녀의 마음에 새겨진 것이다(롬 2:15). 그러나 그녀가 기원에 관하여 진화론의 개념을 받아들이는 한 그녀의 사고는 비논리적이어서, ”스스로 분쟁하는” 것이 되며(마 12:25), ”성립할 수 없는” 즉 지지할 수 없는 것이다. 나는 그녀가 ”선에 속할 것”을 권했다(롬 12:9).

그녀가 아직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단계까지 이르지 않아서 내가 실망했는가? 음, 그녀가 그랬다면 좋았겠지만, 우리가 혼자 일하는 것이 아니며(고전 3:6), 기도가 중요한 것임을(행 26:29, 롬 10:1) 성경이 우리에게 일깨워준다.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이 주권자이시며(요 6:44),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우리의 수고가 헛되지 않다(고전 15:58)는 것을 알면 만족을 얻을 수 있다.

확실히 내가 눈으로 보고 만족을 얻은 것은, 다윈을 뒤로 하고 떠나 브리스베인까지 가는 비행기 안에서 만난 누군가가 단지 다윈이라는 도시만을 떠난 것이 아니라, 희망적이게도 그 도시가 이름을 따온 사람의 개념까지 떠났다는 것이다. 나는 다른 많은 사람들도 역시 진화론 개념을 뒤로하고 떠나서,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요 14:6)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기를 기도한다.


References and notes

  1. See Sarfati, J., Is the design explanation legitimate? (chapter 9 in Refuting Evolution, available via creation.com/store), creation.com/design-legit. 
  2. The presenters were CMI–Australia’s Dr Carl Wieland and Dr Don Batten, who have since become my colleagues (quite a story in itself). 
  3. Not her real name.
  4. See Creation scientists and other specialists of interest .
  5. Considered the world’s foremost expert on chimpanzees, Jane Goodall is renowned for her 45-year study of chimps in the wild in Tanzania, and for her advocacy of animal conservation and protection. 
  6. The skeptics are also logic-challenged. A contradiction is A and not-A. These two pieces of advice are logically a dilemma, not a contradiction—each alternative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7. For more on this see the DVD presentation Creation Evangelism, available via creation.com/store. 
  8. See also Loving God with all your mind: logic and creation. 
  9. On 9 September 1839, HMS Beagle sailed into Darwin harbour during its surveying of the area. The Beagle’s captain, John Clements Wickham (promoted into the position after the retirement of Captain Fitzroy), named the region ‘Port Darwin’ in honour of his former shipmate Charles Darwin (who had left the ship in October 1836). The settlement there became the town of Palmerston in 1869, and was renamed Darwin in 1911.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번역 - 이종헌

링크 - https://creation.com/answering-fools-folly

출처 - Creation, Vol. 35(4), 14-15, Oct. 2013.

미디어위원회
2022-03-30

일반계시 :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General Revelation: "So That They Are Without Excuse")

by Jonathan K. Corrado, PH.D., P. E.


    기독교인들이 평생을 통해 추구해야 하는 숭고한 목표는 하나님이 진정 누구이신지를 아는 것이다. 하나님은 무한하시기 때문에, 유한한 피조물에 의해서 완전히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자신을 드러내시는 것이 필요하다. 그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인간과 관계를 갖기 원하시기 때문에, 하나님은 항상 그분의 말씀과 작품 모두에서 자신을 계시하셨다. 그분은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소통하고, 성경 저자들과 대화하며, 그의 작품인 피조물에 그분의 특성을 표현하셨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누구이신지를 우리에게 알려주시기 위해서, 그분 자신을 우리에게 드러내셔야 했다. 이에 따라 하나님은 인류에게 일반계시(general revelation)와 특별계시(special revelation)라는 두 기본 범주에서 자신을 드러내셨다. 일반계시는 하나님이 자연 또는 자연적 수단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시는 것에 관한 것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고, 광범위한 특별계시는 주로 성경을 통해서, 그리고 특히 사람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이 기적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드러내신 것에 관한 것이다.[1]

일반계시는 예수님에 대한 믿음이나 장소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깨달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시편 19:1~4절은 이렇게 말씀한다 :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날은 날에게 말하고 밤은 밤에게 지식을 전하니 언어도 없고 말씀도 없으며 들리는 소리도 없으나 그의 소리가 온 땅에 통하고 그의 말씀이 세상 끝까지 이르도다 하나님이 해를 위하여 하늘에 장막을 베푸셨도다“

일반계시는 보편적이며,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며,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증거들을 보여준다. 신약성경에서 사도 바울은 로마서 1:20절에서 일반계시를 이와 같이 논하고 있다 :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이 구절은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계시다는 분명한 증거를 제공하는, 일반계시의 정확한 이유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일반계시의 중요성과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즉 자연의 관찰과 인간의 이성을 사용하여 신의 존재와 신성한 목적을 증명하는 신학에 있어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선구자는 18세기의 이성적 변증가 윌리엄 페일리(William Paley, 1743~1805)였다.[2] 그는 그의 저서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or Evidences of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the Deity, 1802)’에서, 지적이신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그의 시계공(watchmaker) 논증으로 유명하다. 페일리는 예를 들어 인간의 눈은 지적설계의 증거이며, 우연히 생겨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눈(eye)과 시계를 연관시켰다. 길에서 발견한 시계가 완전히 우연하게 생겨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물론 없을 것이다. 시계와 같이 복잡한 장치는 그것을 제작한 시계공이 있음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눈과 질서정연한 우주도 무한한 지성의 결과물임에 틀림없다는 것이었다.[3]

인간은 이 일반계시를 부정하기 위해 저항할 수는 있지만, 피할 수는 없다. 모든 자연은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뿐만 아니라, 그의 놀라운 능력과 위대하심도 선포하고 있다. 인간은 이 명백한 진실을 적극적으로 부정해야만, 일반계시의 증거들을 부인할 수 있다. 

"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는도다 그들은 부패하고 그 행실이 가증하니 선을 행하는 자가 없도다“ (시편 14:1)

창조의 장엄함은 하나님이 계심을 확증시켜주고, 창조물들은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의 설계자이시며, 창조자이시고, 붙들고 계시는 분임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여호와께서 행하시는 일들이 크시오니 이를 즐거워하는 자들이 다 기리는도다 그의 행하시는 일이 존귀하고 엄위하며 그의 의가 영원히 서 있도다“(시편 111:2-3)


References
1. Grudem, W. A. 2004.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Leicester, UK: InterVarsity Press.
2. Barrett, P. 2013. Natural Theology. In Encyclopedia of Sciences and Religions. A. L. C. Runehov and L. Oviedo, eds. Dordrecht: Springer.
3. Olson, R. E. 2013. The Journey of Modern Theology: From Reconstruction to Deconstruction.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Dr. Corrado earned a Ph.D. in Systems Engineering from Colorado State University and an M.Div. from Nations University. He is a freelance contributor to ICR’s Creation Science Update, works in the nuclear industry, and is a senior officer in the U.S. Naval Reserve.


*참조 : 하나님의 창조 속에 나타나 있는 형태, 수, 패턴, 황금비율 : 피보나치 수열, 황금 나선, 그리고 행성의 공전주기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588&bmode=view

식물의 수학적 패턴은 진화론자들을 난처하게 만들고 있다 : 피보나치 수열이 돌연변이로 우연히?
http://creation.kr/Plants/?idx=1291374&bmode=view

황금의 수 : 해바라기 꽃에서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열.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587&bmode=view

생명체에 작용하는 동력학 법칙 Ⅰ
http://creation.kr/Plants/?idx=1291342&bmode=view

생명체에 작용하는 동력학 법칙 Ⅱ
http://creation.kr/Plants/?idx=1291340&bmode=view

하나님이 주신 두 권의 책 : 자연에서 보여지는 놀라운 설계
https://creation.kr/Faith/?idx=1293796&bmode=view

물리학 전공자들도 모르는 우주의 놀라운 비밀
https://www.youtube.com/watch?v=de6MxoVwkz0

우주는 생명체를 위해 미세하게 조정되어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882&bmode=view

미세 조정 우주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은 왜 창조주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S1uLGI6bKfw

우주의 미세조정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 미세 조정된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 차이.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7&bmode=view

하나의 특별한 우주 : 그 개념을 취할 것인가 버릴 것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35&bmode=view

우주의 미세조정 (YouTube 동영상)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2&bmode=view

우리의 창조된 지구 : 생명체를 위해 독특하게 설계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4&bmode=view

자연 속의 디자인 : 인류지향의 원리 : 우주와 지구는 생명체를 위해 미세 조정되어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885&bmode=view

사람이 거주하도록 창조된 지구 : 지구 행성의 놀라운 설계 특징
http://creation.kr/Earth/?idx=1294102&bmode=view

정교하게 설계된 지구 - 누가 만들었을까?
http://creation.kr/Earth/?idx=1294101&bmode=view

북극광(오로라)은 지구가 보호되도록 설계된 것임을 보여준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095&bmode=view

지구의 크기는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좁은 범위 내에 있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093&bmode=view

지구는 매우 특별한 행성이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091&bmode=view

지구의 물은 처음부터 있었다 : 바다의 기원에 관한 소행성 운반 이론의 증발
http://creation.kr/Earth/?idx=1294109&bmode=view

초기 지구는 물을 가진 채로 시작했다고 새로운 연구는 주장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107&bmode=view

초기 지구는 평탄하며 물로 뒤덮여 있었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112&bmode=view

우리는 극히 드문 태양계에서 살고 있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07&bmode=view

태양계의 완벽한 균형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314&bmode=view

인공지능을 상상해 보라. : 로봇, 사람, 우주선, 지구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24&bmode=view

개기일식 : 설계인가, 우연의 일치인가?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332&bmode=view

우리의 극히 드문 달에 대해 감사하라.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16&bmode=view

달 : 밤을 지배하는 빛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52&bmode=view

달과 다른 위성들의 각지름: 설계에 대한 논증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51&bmode=view

화학 원소 주기율표와 하나님의 질서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5&bmode=view

화학 원소 주기율표에서 발견되는 경이로운 설계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757500&bmode=view

브롬이 없다면, 생물들은 존재할 수 없었다 :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필수적 원소는 28개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60&bmode=view

미시적 걸작품 : 눈 결정 속에서 발견되는 설계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8&bmode=view

눈송이의 설계 추론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5910876&bmode=view

만들어진 사물들 : 당신은 창조의 과학적 증거를 어떻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인가?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585&bmode=view

물의 놀라움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07&bmode=view

창조의 양 극단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22&bmode=view


출처 : ICR, 2022. 3. 17.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general-revelation-corrado/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3-27

용기는 기독교인의 필수 덕목이다

(Christian Courage Is Imperative)

by Randy J. Guliuzza, President of ICR


    ‘용기(courage)’는 내가 자라면서 주로 아버지로부터 들었던, 그리고 선생님들, 심지어 TV 프로그램에서도 많이 들었던 사람이 갖추어야할 중요한 덕목이다. 나는 컴뱃(Combat, 1962~1967년 방영됐던 전쟁 드라마)에서 의무를 다하는 용기를 보았다! 그리고 라이플맨(The Rifleman, 1958~1963년 방영됐던 드라마)에서 묘사된 조용하고 원칙적인 용기,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들에서 용감한 주인공들을 보았다.

내가 고등학교 때 기독교인이 된 후, 성경은 예수님의 제자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용감하게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을 나에게 알려주었다. 그후 무디 성경연구소(Moody Bible Institute)의 교회사 수업에서, 나는 용기 있는 믿음과 용서하는 마음으로 박해를 받았던 많은 기독교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 모든 기독교인들은 용감하게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향해 담대하게 믿음의 길을 걸어갔다.[1]

오늘날에도 여전히 용기 있는 기독교인들이 필요하다. ICR 모임에서 나는 종종 "ICR이 기독교인들과 교회지도자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어떤 자원을 갖고 있는가?"라고 묻곤 한다. 그 질문은 많은 교회지도자들이 창세기 1-11장을 실제 역사로 가르치는 것을 머뭇거리며 부적절한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상, 목사님들이 창세기를 실제 역사로 가르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뿌리 깊은 공포(fear) 때문이다. 문제는 교육이 아니라, 용기 부족과 관련 있을지 모른다.

용기를 말할 때, 우리는 세 가지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첫째, 우리는 하나님이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의 마음속을 들여다보고, 용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둘째, 갑자기 두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솔직히 우리 자신의 행동을 예측할 수 없다. 심지어 강인했던 미국의 조지 패튼(George Patton) 장군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이것을 인정했다.[2] 셋째, 자신이 반드시 견뎌낼 것이라고 확신하는 사람은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베드로가 자신 있게 예수님께 말했다. “베드로가 여짜오되 다 버릴지라도 나는 그리하지 않겠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이 밤 닭이 두 번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베드로가 힘있게 말하되 내가 주와 함께 죽을지언정 주를 부인하지 않겠나이다 하고 모든 제자도 이와 같이 말하니라”(마가복음 14:29~31). 베드로에게 일어났던 일이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


두려움이 문제다

나는 기독교인과의 대화나 인터뷰에서, 많은 크리스천들이 마음속의 두려움을 고백하는 것을 듣고 자주 놀란다. 그들은 기독교인들이 불신자들에게 비과학적인 무식한 사람으로 보여지는 것, 부정적 시선, 직장 및 승진의 위협, 금전적 손해, 또는 전도에 방해됨 등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내가 ICR에서 일하면서 겪은 몇 가지 경험담을 간략하게 말씀드리겠다.

ICR 과학자들은 여러 연례 목회자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곤 한다. 컨퍼런스 동안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목사님이 나에게 다가와 조용히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곤 했다. "나는 진화론을 믿지 않으며, 당신이 말한 것처럼 성경이 최근의 창조를 가르친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리고 나서 덧붙인다. "하지만 내가 그것을 강단에서 가르친다면, 교인들의 절반은 떠날 것이다." (또는 목회자가 사임할 수도 있고, 직업을 잃을 수도 있다). 그러한 목사님의 우려는 종종 꽤 명백하다.

다음으로 일부 기독교인들은 진화론자들에 의해 과학적으로 무식하다는(사이비 과학자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진화론의 끔찍한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4]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현대 과학(진화론)"의 반성경적(antibiblical) 개념을 복음적 진리 내로 받아들인다.

창세기의 정상적인 의미(기록된 그대로의 의미)를 바꾸려는 노력은 결국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귀결된다 : 창세기 1~11장은 실제 역사인가 신화인가? 예를 들어, 하나님은 땅의 흙으로 아담을, 그의 갈빗대로 하와를 창조하셨을까? 하나님이 에덴동산을 거니셨는가? 하와는 말하는 뱀의 유혹에 넘어갔는가? 불안한 기독교인들에게 이러한 설명은 신화적으로 들릴 수 있다.

기독교 변증가인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William Lane Craig)는 동료 변증가인 션 맥도웰(Sean McDowell)에게 그러한 두려움을 드러냈었다.[5] 크레이그는 어떻게 그가 창세기 1~11장이 실제 역사가 아니고, "신화적 역사"로 믿게 되었는지를 기술하고 있었다. 이 인터뷰에서 크레이그는 모든 증거들을 공평하게 따져보려는 자신의 몸부림을 솔직하게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비뚤어진 결론을 이끌어낸 근원적인 두려움, 즉 현대과학에 모순되는 두려움을 인정하고 있었다. 크레이그는 그의 생각을 이렇게 드러냈다 :

나는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의 해석이 사실이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나에게 그것은 악몽일 것이다. 나의 가장 큰 두려움은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의 해석이(창세기의 창조된 날들은 약 6,000년 전의 24시간의 하루이며, 육상동물들을 멸절시킨 전 지구적 홍수가 실제로 있었고, 하나님이 바벨에서 모든 언어 그룹들을 창조하셨다는) 옳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5]

휘턴 대학(Wheaton College)의 존 월튼(John Walton, 창세기 1장은 고대 우주론이라는 견해를 가졌던)과 동일한 해석을 하는, 크레이그의 성경 해석 방식은 성경 외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6] 성령이 성경 저자들에게 그러한 해석을 포함하도록 영감을 주지 않았지만, 크레이그와 월튼은 그러한 해석이 필수적이라고 믿고 있다. 그들은 성경을 읽는 평균적인 기독교인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어떤 식으로든 "원래 청중"의 마음에 들어가 성경이 "쓰이고 읽혔던" 시절 그들의 생각을 분별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론자 진영 내에서도 사람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다른 창조론 지도자에게 다윈이 창조주를 자연선택으로 대체함으로써, 주 예수가 어떤 불명예를 당하고 있는지를 말했다. 그리고 나와 아내는 그의 대답을 듣고 깜짝 놀랐다 : “만약 우리가 자연선택을 믿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할까요?"

이러한 경험은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이 창세기를 진화론과 타협하여 해석하려는 유력한 이유가 불충분한 교육 때문이 아니라, 두려움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가정, 교회, 신학대학들이 놓치고 있는 것은?

만약 한 국가가 외국 군대의 병사들에게 최고의 장비와 물자를 지원했는데, 그 병사들이 전투에서 도망치고, 그 장비들을 두고 떠나간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이러한 실망스러운 시나리오에서 놓치고 있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마찬가지로 만약 최고의 진리와 기독교의 정통성을 가르치는 신학대학에서, 기독교 지도자들이 세상(또는 교회 위원회)으로부터 험악한 위협을 받을 때, 학생들에게 이에 굴복하는 성명서에 서명하도록 요구한다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 성도들은 교회지도자들이 확고한 교리를 고수하고, 그 모든 것을 용기 있게 가르치지 않는다면, 교화되지 않을 것이다.

용기는 어떤 사람은 갖고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없는, 인격적 특성이라고 성경은 말하지 않는다. 용기에는 분명히 자발적인 요소가 있다. 이와 관련된 구절은 너무도 많다. “... 이스라엘아 들으라 너희가 오늘 너희의 대적과 싸우려고 나아왔으니 마음에 겁내지 말며 두려워하지 말며 떨지 말며 그들로 말미암아 놀라지 말라”(신명기 20:3). “여호와는 내 편이시라 내가 두려워하지 아니하리니 사람이 내게 어찌할까”(시편 118:6). 이러한 진리를 가르치는 목사님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튼튼하게 만들고 있지만, 모든 기독교인들도 한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

신학대학은 용기를 기독교인의 핵심 덕목으로 가르쳐야 하고, 학생들은 양육과 멘토링을 통해 용기를 갖는 훈련을 받아야할 것이다.


성경적 용기 : 5가지 실천적 진리

용기는 부모, 교회, 교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만큼, 실천을 통해서 자신의 것이 될 수 있다. 용기를 가르치는 우리의 노력을 배가시켜야 한다. 우선 용기에 관한 성경적 진리를 살펴보자.


1. 용기는 우리가 깊이 사랑하는 것을 보존하려는 마음과 비례한다.

“그러나 관리 중에도 그를 믿는 자가 많되 바리새인들 때문에 드러나게 말하지 못하니 이는 출교를 당할까 두려워함이라 그들은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요한복음 12:42-43). 우선순위에서 얼마나 극명한 차이가 있는지 보라. 이 관리들의 선택은 무엇이었는가? 사람들인가, 예수님인가?

저항하는 자를 처벌하고, 순종하는 자를 보상해주는 세상의 방식은 사랑을 포함하여 기독교인의 우선순위를 바꿀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을 극도로 사랑한다. 그러한 사람은 살아남기 위해서 무슨 짓이든 한다. 대부분의 신자들은 (불신자들도)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자신을 기꺼이 희생할 것처럼 보이지만, 오직 기독교인들만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걸 수 있다. 당신은 무엇을 더 사랑하는가? 사람의 칭찬인가, 그리스도의 칭찬인가?


2. 용기는 헌신과 비례한다.

느부갓네살 왕은 샤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를 위협하며 말했다. “...내가 만든 신상 앞에 엎드려 절하면 좋거니와 너희가 만일 절하지 아니하면 즉시 너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 던져 넣을 것이니 능히 너희를 내 손에서 건져낼 신이 누구이겠느냐 하니”, 그들이 대답했다. “왕이여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이 계시다면 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서 능히 건져내시겠고 왕의 손에서도 건져내시리이다 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 왕이여 우리가 왕의 신들을 섬기지도 아니하고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다니엘 3:15,17~18). 확실히 그들의 용기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지만, 그들이 옳은 일을 하는데에도 강하게 헌신했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악한 자들은 개인의 삶이나 평판을 파괴하기도 하지만, 더욱 진리, 고상함, 자유와 같은 가치 있는 것들을 파괴하려 할 수 있다. 이러한 귀중한 것들은 지키려는 사람들은 어느 사회에나 선(goodness)을 가져온다. 그것들을 지키기를 강하게 원하고 (자신과 후세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은 거짓말, 거짓이론, 무질서, 폭정, 비진리 등에 용기 있게 대항한다.


3. 용기는 희망에 비례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인간으로 오신 이유 중 하나는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세력을 잡은 자 곧 마귀를 멸하시며 또 죽기를 무서워하므로 한평생 매여 종노릇 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 주려 하심이니”이었다.(히브리서 2:14-15). 그래서 두려움은 종노릇으로 이어지지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는 자유를 낳는다. 자신감(confidence)과 용기는 형제지간이다. 용기가 없는 군대는 자주 패배와 죽음에 직면하지만, 용기 있는 군대는 대개 생존 가능성이 높다. 최종 승리를 확신하는 군대는 용감하다.

따라서 ICR(그리고 전 세계 창조과학 단체들)의 자신감 구축 작업은 중요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자신감은 준비를 잘 하면 커진다. ICR의 중요한 임무는 교회를 위협하는 조롱꾼들에게 대답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목사님들이 그들의 양떼를 이끌고, 먹이를 주고, 방어하도록 돕는 것이다. 다음으로 예수님에서 발견할 수 있는 풍요로움과 우리의 이해는 믿음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준다. 기독교인들은 창조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에 대해 잘 들어보지 못했다. ICR는 예수 그리스도의 놀라운 창조물들에서 보여지는, 그분의 천재성, 지혜, 능력 등을 크리스천들이 볼 수 있도록 도와서, 자신감과 용기를 갖게 하는 것이다.


4. 용기는 다른 사람을 용기 있게 만든다.

골리앗은 매일 겁에 질린 이스라엘의 군대를 조롱했지만, 다윗이 골리앗을 죽인 뒤, “이스라엘과 유다 사람들이 일어나서 소리 지르며 블레셋 사람들을 쫓아 가이와 에그론 성문까지 이르렀고 블레셋 사람들의 부상자들은 사아라임 가는 길에서부터 가드와 에그론까지 엎드러졌더라”(사무엘상 17:52)고 기록되어 있다. 용기는 용기를 가져온다.

무디(Moody)에서 1학년 때 토요일 밤 참가자들과 함께 노방전도를 나갔다. 나는 첫 노방전도에 조금 긴장했다. 나는 젊은 기독교인으로서 사람들, 특히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에 초보자였다. 하지만 팀장이 말씀 팻말을 설치하고, 구경하는 사람들에게 과감하게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았을 때, 나는 용기가 생겼고, 몇 주 동안 자신감이 솟구쳤으며, 곧 용기 있게 복음을 전하게 되었다.


5. 용기는 성령의 힘으로 주어진다.

하나님이 에스겔에게 특별한 용기를 주시면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보라 내가 그들의 얼굴을 마주보도록 네 얼굴을 굳게 하였고 그들의 이마를 마주보도록 네 이마를 굳게 하였으되 네 이마를 화석보다 굳은 금강석 같이 하였으니 그들이 비록 반역하는 족속이라도 두려워하지 말며 그들의 얼굴을 무서워하지 말라 하시니라”(에스겔 3:8-9). 이 말씀은 용기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을 주고 있다. 주님은 우리에게 강함과 용기의 길을 선택하라고 명령하시면서도, 그 길을 넉넉히 걸어갈 수 있도록 그분의 은혜를 넘치도록 부어주시는 것이다.


결론

오늘날 용기의 중요성이 약화 되고, 기독교를 공격하는 경향이 커짐에 따라, 기독교인들은 그들의 지도자들을 용기의 모델로서 바라봐야 한다. 나는 목회자 청빙위원회에 참여하여, 지원자의 자질, 성경적 자격 등을 평가한 적이 있다. 나는 목회자가 갖추어야할 자격 중에서 간과되고 있는 것이 있다고 본다 : “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거니와 삯꾼은 목자가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물어 가고 또 헤치느니라”(요한복음 10:11~12). 나는 확실히 건전한 교리를 갖고 계시는 분을 찾았지만, "당신은 작년에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무엇을 했습니까?"라고 물었다.

(예수님을 모른다는) 베드로의 부정은 우리가 실족하지 않기 위해서, “자기 확신”에 대해 주의해야 함을 상기시킨다.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린도전서 10:12). 반대로 유대 지도자들이 예수님 믿기를 꺼려했던 것은 우리에게도 경고가 되고 있다. “그들은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요한복음 12:43). 삶의 우선순위를 예수 그리스도에게 두고, 예수님으로 인한 담대함으로,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용기 있게 그분의 진리와 이름을 선포하자. 예수님은 그럴 가치가 있다.


References
1. Luke 9:51.
2. Cunningham, J. General Patton’s Speech. Posted on cunninghamjeff.medium.com August 10, 2016, accessed December 24, 2021.
3. Mark 14:29, 31.
4. Guliuzza, R. J. 2017. Twenty Evolutionary Blunders.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5. Craig continued, “And I say that would be a nightmare because if that’s what the Bible teaches it puts the Bible into massive, I think irredeemable, conflict with modern science, history, and linguistics, and I don’t want that to happen. So, yes, yes, it’s true I don’t want young earth creationists’ interpretation to be right.” Sean McDowell Interviews William Lane Craig: Is Adam Historical? Uncommon Descent. Posted on uncommondescent.com September 26, 2021, accessed December 23, 2021. Emphasis in original.
6. Guliuzza, R. J. 2021. Walton’s Lost World Obscures Biblical Clarity. Acts & Facts. 50 (7): 4-6.
7. John 10:11-12.

* Dr. Guliuzza is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his Doctorate of Medicine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his Master of Public Health from Harvard University, and served in the U.S. Air Force as 28th Bomb Wing Flight Surgeon and Chief of Aerospace Medicine. Dr. Guliuzza is also a registered Professional Engineer and holds a B.A. in theology from Moody Bible Institute.
.Cite this article: Randy J. Guliuzza, P.E., M.D. 2022. Christian Courage Is Imperative. Acts & Facts. 51 (3).


*참조 : 진화론-창조론 논쟁이 중요한 이유 : 토양, 나무, 그리고 그들의 열매
http://creation.kr/Faith/?idx=1293858&bmode=view

창조론 대 진화론 - 교회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7&bmode=view

이 시대 교회의 뜨거운 감자, 창조론 대 진화론 논쟁! : 청소년 사역자를 놀라게 하는 조사 결과
http://creation.kr/Faith/?idx=1293846&bmode=view

창조 복음주의(창조의 타당성 제 2부)
http://creation.kr/Faith/?idx=1293758&bmode=view

창조 : 그 증거는 어디에 있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588&bmode=view

교회와 믿음의 분리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50&bmode=view

벤 스타인의 “추방: 허용되지 않는 지성” : 진화론을 고발한 영화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3&bmode=view

단지 복음만 전하는 것! 창세기 없는 복음은 무신론자들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http://creation.kr/Faith/?idx=1293821&bmode=view

현대 과학에서 이루어지는 교묘한 우상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4009252&bmode=view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는 이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대중문화는 진화론을 과학으로 선전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50&bmode=view

과학과 종교의 싸움이 아닌 세계관의 싸움
http://creation.kr/Worldview/?idx=1288143&bmode=view

두 가지 뿐인 세계관
http://creation.kr/Faith/?idx=5605260&bmode=view

가이아 이론과 자연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3128683&bmode=view

현대 과학에서 이루어지는 교묘한 우상숭배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4009252&bmode=view

왜 우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에 대해 배워야만 하는가?
http://creation.kr/Debate/?idx=1293606&bmode=view

진화론은 현대의 신화들에 기초하고 있다.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16&bmode=view

애매모호주의 : 애매모호함을 추구하는 하나의 종교 : 무신론적 진화론자들의 사고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308&bmode=view

위키백과 : 진화론적 편견의 반창조론적 웹사이트
http://creation.kr/Debate/?idx=1757518&bmode=view

진화론 - 영적 세계에 대한 거부 수단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148&bmode=view

내가 변증가가 되어야하는 이유
http://creation.kr/Faith/?idx=3658351&bmode=view

균형잡힌 변증
http://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26&bmode=view

현대의 변증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4&bmode=view

침묵할 때와 말할 때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31&bmode=view

성경적 창조신앙과 교회교육의 중요성
http://creation.kr/Faith/?idx=1293862&bmode=view

교실에서 하나님이 하신 일을 기뻐하기
http://creation.kr/Education/?idx=3905486&bmode=view

창조론이 학교 수업시간에 가르쳐져야만 한다. : 영국과 웨일즈의 교사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24&bmode=view

비누방울 속에서 살아가기 : 교회가 창조과학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
http://creation.kr/HistoryofEvolution/?idx=1290084&bmode=view

기독교 대학에서 창조론의 위기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10&bmode=view

어떤 기독교 대학들은 예수님보다 다윈을 더 사랑한다.
http://creation.kr/Education/?idx=1293522&bmode=view

창세기에 대한 타협은 성경의 기초를 허무는 일이다.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90&bmode=view

성경에 기록된 그대로 하나님의 창조를 믿는 것이 기독교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일인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87&bmode=view


출처 : ICR, 2022. 2. 28.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christian-courage-is-imperativ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1-31

창조과학을 통한 선교전략과 선교전망

고재형 


서언

창조과학회는 지난 1981년 창립 이래 지금까지  한국교회에서 진리의 파수꾼이요 복음의 전파자로서의 역할을 매우 잘 감당해 왔다고 생각한다. 필자도 과학도의 한 사람으로서 이 사역에 몸담아 온지 15년째를 맞고 있다. 나 자신과 다른 여러 사람들에게 신앙적 확신과 성숙을 가져다줄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해 감사하고 있다. 이는 나 한 사람의 경험이 아니라 보편적인 일이 되었다는 것을 많은 사람의 증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창조과학사역은 많은 사람들에게 신앙적 유익을 끼쳐왔던 것이 사실이고, 보이든 보이지 않던 간에 사회의 변화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쳐왔다고 생각한다. 즉 창조신앙의 확립은 개인적인 차원에만 머물지 않는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감과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인식시켜 왔을 뿐 아니라, 자연과 환경에 대한 파괴된 창조질서를 회복하게 하였다. 이것이 왜곡된 사회질서와 관계들을 바로 세우는 근본적인 힘으로 작용해 왔다고 믿는다. 이러한 영향이 이제 미국과 한국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에 확산되어 나아가고 있는 것도 감사한 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회가 점점 복음에 대해 냉담해지며 세속화되어 더욱 복잡하고 불건전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날로 늘어가는 가정파괴와 청소년 성범죄, 낙태, 동성애, 포로노산업과 인터넷 음란사이트의 증가 등은 마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는 문제들 즉 생물 및 인간복제, 게놈연구를 통한 인간조작, 유전자변형식품, 그리고 성전환수술 등은 그리스도인들까지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나아가 지구환경과 생태계의 심각한 파괴, 에이즈와 광우병과 같은 새로운 질병들, 그리고 암과 성인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증가 등 전반적으로 자연과 사회 속에서 점점 창조의 질서와 그 안에 있는 피조물들이 파괴되고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은 누구나 쉽게 느끼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문제들이 결코 창조신앙의 정립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 대해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나서 창조신앙을 공격해 왔던 진화론적 철학은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걸림돌이 되어 왔을 뿐 아니라, 오히려 복음을 무너뜨리고 나아가 가정과 사회를 파괴해 왔다는 사실이다. 또한 한국 밖의 수많은 미전도 종족들도  현대사회의 변화 속에서 진화론의 영향으로 무신론적 공산주의와 세속주의화되어 창조론이 바탕이 되지 않은 그릇된 세계관 안에 갇혀 왜곡된 삶들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소고에서는 복음전도와 선교적 관점에서 창조과학과 기독교신앙과의 연관성을 재고함으로써, 창조과학 선교의 중요성과 시대적 사명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21세기를 맞아 세계선교를 위한 창조과학 선교의 비전을 나누고, 다가올 세대를 바르게 준비하기 위한 그 선교적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창조과학 선교의 필요성 : 창조신앙의 의미와 선교적 중요성

창조는 성경에 들어오는 대문과 같아서 이를 통과하지 않고는 타락과 구원, 중생과 부활, 그리고 마지막 심판과 같은 근본적 기독교 교리와 언약에 이를 수 없다. 또한 인간과 자연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고 이것들 간의 관계들도 정립하기 어렵다.


1) 전도전략으로서의 창조과학 선교의 필요성 : 사도바울의 아덴 설교의 재조명

여기서 ‘창조과학 선교’는 창조론적 복음전도, 즉 복음의 씨를 뿌리는 데 있어서 과학적  합리적 증거에 근거한 창조론적 세계관을 먼저 전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역을 말한다. 사도행전 17장에서 사도 바울이 2차 전도 여행 중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서 이방인들에게 주님의 복음을 전하고자 할 때 창조론적 복음전도의 좋은 모범을 보여 주었다. 즉 바울 또는 베드로가 창조신앙이 있었던 유대인들의 회당에서는 메시지의 처음에 창조주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하지 않고 바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복음을 전했으나(사도행전 2장), 마케도니아 지방의 아테네에서 헬라인들에게 복음을 전할 때에는 창조주 하나님이 만물을 창조하셨음을 먼저 선포한 후, 그 창조주가 우리를 구원하러 오셨음을 전했다.

이 때 비록 소수이긴 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했고 복음이 전파되는 역사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사도행전 17:24-31). 이렇게 복음을 전파하기 전에 창조론으로 마음의 밭을 가는 작업은 예수님의 ‘씨 뿌리는 자와 씨의 비유’에서  그 필요성을 찾아 볼 수 있다. 그 당시 고대 헬라사상의 하나인 진화론적 철학을 갈아 엎고 창조론으로 마음 밭을 고르게 하지 않았다면, 복음의 씨가 그들에게 떨어져서 열매 맺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성령께서 역사하셨기에 가능했으리라 믿는다. 이렇게 복음을 본격적으로 전도하기 전에 창조론으로 미리 마음의 토양을 변화시키고 준비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복음증거를 이루는 전도방법을 ‘창조론적 복음전도(Creation Evangelism)’ 또는 ‘예비 복음전도(Pre-Evangelism)’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제 과학의 진보를 통해 발견한 창조론의 합리적 증거를 기반으로 선교하는 사역을 ‘창조과학 선교’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선교적 접근은 바울의 시대에만 필요했던 것이 아니다. 무신론적 자연주의와 진화론적 철학에 물든 현대판 헬라인이 살고 있는 이 시대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2) 창조신앙의 의미와 중요성

창조과학 선교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사건이 한 개인에게 접목되었을 때 가져다 주는 신앙적 의미와 유익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는 기독교신앙의 근본이요 삶의 기초이다. 창조신앙을 바탕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하면 보다 확고한 신앙을 학립할 수 있다.

둘째, 창조는 복음의 기반이요 성경적 세계관의 기본 틀이다. 성경적 세계관은 창조와 타락, 구속과 완성이라는 틀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본 틀 중에서도 창조론적 세계관이 바로 잡힐 때 다른 틀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셋째, 창조신앙은 예수와 복음을 재발견하게 한다. 창세기의 창조기사를 인정한다면 신약 복음서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적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더구나 성경은 예수님이 태초부터 계신 창조주이심을 강조하고 있고(요한복음1장; 요한1서1장), 창조주로서의 많은 표적들(물로 포도주를 만드심과 오병이어의 기적 등)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예수님이야말로 참된 구원자로서의 자격과 능력이 있음을 선포하고 있다. 즉 예수는 2천년 전에 유대 땅 베들레헴에 태어난 한 위대한 선지자요 성현이 아니라 바로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볼 수 있다.

넷째, 창조신앙은 자아의 발견을 열어 준다. 창조주의 모든 창조물에는 목적이 있고 계획이 있다. 이 세상에 의미없이 던져진 존재는 하나도 없는 것이다. 더구나 가장 아름답고 의미있게 창조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이 있음을 알기에 각 개인을 향하신 주님의 계획과 삶의 목적을 발견해나갈 수 있다.

다섯째, 창조신앙은 윤리를 참된 예배와 헌신으로 인도한다. 창조신앙으로 발견된 자아는 이제 더 큰 주님의 뜻을 발견하게 된다. 나를 위한 주님의 계획이 이제 주님을 위해 사용되어야 함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성경은 우리가 창조주 하나님의 소유이며 주의 영광을 위해 지음 받은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사 40:12-25, 사 43:1-3, 롬 11:33-12:2, 마 6:33). 특히 로마서 12장에서 바울이 성도들에게 ‘너희 몸을 하나님이 원하시는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예배니라’ 라고 헌신을 촉구했던 근거는 바로 앞절에 나오는 바 그 분이 우리 인간과 만물의 창조주가 되신다는 사실에 기인한 다. 또한 시편과 요한계시록에 많은 생물들과 성도들이 주를 찬양하고 경배하라고 선포했던 말씀에는 항상 ‘하나님은 우리의 창조주이시다’라는 선언이 동반된다.


2. 창조과학 선교의 비전과 과제

창조과학 선교의 필요성에서 보았듯이 이 사역은 이 시대에 매우 중요한 선교 사역이다. 이 사역이 활성화될 때 복음은 힘 있게 증거되고 세상은 기독교 세계관을 기초로 변화되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창조과학사역의 비전과 선교적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복음의 장애물 제거와 창조론적 복음전도의 활성화

창조과학을 통해 무신론적 진화론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창조론의 과학적 증거들을 알림으로써 복음의 장애물인 가시밭과 돌밭을 고르게 한다. 밭을 복음의 씨를 받기에 합당하게 준비시키는 일은 이 사역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사역이다. 교회가 줄어가고 있는 한국교회 상황 속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창조주와 구세주되신 예수님을 전파하고 해야 한다. 창세기를 비롯한 성경전체의 권위를 보호함으로써 성경적 세계관의 초석을 교회 안에 확립하고 하나님의 주권과 성숙한 성도의 삶이 회복되도록 창조론적 복음전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오래전부터 서울 온누리교회를 비롯한 여러 교회에서 새신자 양육반 첫 번째 과정을 ‘창조주 하나님’이라는 주제로 7영리(‘당신은 창조주를 아십니까’라는 전도용 소책자)를 가르치고 있다. 이것을 전도용으로도 많이 활용하고 있어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더 많은 교회에서 이런 시도를 하도록  추천하고 싶다.


2) 예배자, 사역자로서의 준비를 위한 재교육과정 및 대학원설립

창조신앙은 참된 예배와 헌신으로 인도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된다. 따라서 목회자, 선교사, 찬양인도자 등의 예배자와 사역자들에게 재교육과정으로 창조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성경적 세계관을 가르친다면, 사역에 지친 그들이 바른 세계관 안에서 예배할 것이다. 이러한 재교육과정은 새로운 관심을 일으키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일 뿐만 아니라, 일반 성도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역이 될 것이다. 이것을 위해 교회나 신학교 내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며 평생교육원 또는 정식 교과과정으로 도입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교육과정이 국내에 정착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창조과학대학원 과정의 설립이 요구된다.


3) 창조과학전시관 및 야외현장학습장의 건립

현재 국내에는 창조과학회 대전지부에서 운영하는 창조과학전시관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대학원과 같이 연구와 전시, 그리고 교육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교육환경이 되면 가장 적합할 것이다. 일천만이 넘는 한국교회 안에서 큰 교회 건물은 수없이 많지만, 이 시대의 정신과 영적전쟁을 수행하는 창조과학전시관과 교육연구 센터 하나를 건립하지 못하는 실정이 너무나 안타깝다.

이제 이러한 전시관은 건물 안으로 제한할 필요가 없다. 하나님의 창조솜씨를 직접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야외학습장과 관광단 개발이 필요하며, 전 세계의 천연지역에 많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21세기에는 문화시대에 걸맞은 창조과학문화전시관과 현장학습장이 우리나라에도 속히 설립되어야 한다. 한편 사이버 창조과학전시관의 구축도 시대적으로 먼저 시작해야 할 놓쳐서는 안 될 과제라 생각한다. 3차원 가상공간을 이용한 전시관은 공간을 뛰어넘어 국내지방과 선교지에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전문인선교의 전략사역으로서 창조과학 선교의 강화

위와 같은 창조과학의 사역들과 선교비전은 전 세계, 특히 미전도종족 선교지역에서도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과학자와 과학도들의 헌신이 필요하다. 물론 교수와 교사는 말할 것도 없다. 이 사역이 과학 분야 전문인들로만 구성될 필요는 없다. 과학이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과 편견 때문에 이미 잘 정리된 결론들을 배우고 전하는 통로역할을 기피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자격지심을 갖기보다 적극적으로 배우고 알려 이 시대에 창조론적 세계관이 전 세계에 퍼지고 자리 잡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창조사실로부터 예수님을 전하는 7영리를 제작한 바 있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로 이미 다 번역되어 있다. 목회자들도 이런 부분에 더 관심을 갖고 전문 강사를 모셔서 세미나도 해야겠지만, 직접 배우고 익혀서 교회양육에 잘 접목시키고 이 사역에 관심을 갖고 헌신하는 사람들이 나오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한 차원 더 끌어 올려 신학교의 선교학 과정에 또는 전문인선교훈련에 도입해서 선교사를 양성하여 파견하고, 선교지에서 사람들과 만날 때 지체 없이 이 교육선교가 활용되도록 하면 선교지의 초기교회가 건전하고 든든하게 성장하게 될 것이다.

책과 정기간행물을 기본으로 하는 문서출판사역을 시작하고 영어를 기본으로 해서 아시아 주요언어로 번역한다면 파급력이 클 것이다. 물론 오디오, 영상 테이프와 CD 등의 미디어와 인터넷 홈페이지 콘텐츠도 번역물까지 나온다면 이는 대단한 선교도구가 될 것이다. 아는 바와 같이 선교지에서 ‘예수’ 영화 한 가지의 영향력과 열매는 이미 검증된 바 있다. 따라서 해외선교단체와 창조과학회 등이 파트너쉽을 가지고 이 사역에 대한 전문분야 트랙을 만들고  구체적 실행계획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3. 창조과학 선교의 지역별 접근전략과 전망

창조과학 선교는 이 시대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과 유럽에도 그리고 아직 복음이 전파되어 본 적이 없는 미전도 종족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접근전략이 될 수 있다. 그동안의 사역경험을 토대로 각 지역별로 어떤 전략과 방향성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지, 그리고 그 기대효과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1) 구공산권과 불교권 :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등

창조과학 선교가 가장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는 지역이 바로 이 지역들이라 하겠다. 아직도 철저한 공산주의 사상을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중국은 유물론적 사관과 진화론적 철학으로 그들의 세계관이 물들어 있으므로 기독교신앙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반드시 바른 창조-진화와 관련된 기원론을 다루지 않고는 확고한 신앙을 가질 수 없다. 더구나 우리민족과 다른 특성을 가진 한족은 믿음이 정서적으로 공감되는 것 이상으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정립을 요구하기에 창조과학의 합리적 설명을 통한 창조론적 복음전도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지식인들과 대학생들은 말할 것도 없다. 벌써 오래전부터 이러한 선교적 접근이 좋은 호응을 얻고 있고 많은 열매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그리고 엄청난 인구수에 비해 창조과학사역자가 너무나 적을 뿐 아니라, 아직도 이러한 것을 보급할 학회조차 없다. 물론 정부에 등록이 쉽지 않겠지만 이러한 사역을 추진할 공동체가 없다. 필자는 최근 북경에서 캠퍼스사역을 주로 하는 지하교회의 리더 중 대학교수로 활동하는 분을 만난 적이 있은데, 아직도 제대로 창조과학강의나 내용을 접하기가 쉽지 않아 지원을 요청받은 적이 있다. 다행히 몇 년 전부터 중국에서 열리는 한국인 유학생 선교대회인 중국 코스타(KOSTA)에서 창조과학이 정기적인 강의로 채택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제 뭔가 시작되는 조짐이 보인다. 그렇지만 이것도 한국인들과 소수 조선족 중심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한족 과학자 주도의 모임들이 형성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조선족 공동체를 먼저 세우는 사역이라도 시급한 실정이다.

러시아는 구소련연방이 무너진 후 경제적으로는 어렵지만 빨리 개방화되어 있고, 이미 모스크바 창조과학회가 1990년대 초반기에 세워져 대전에서 개최된 1993년 엑스포과학박람회 때 KAIST에서 열린 국제창조과학학술대회에 그 회장인 드미트리히가 내한하여 강연까지 한 바가 있다.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창조론에 대한 입장이 적대적이지 않고 기원론의 하나로 그 입장으로 존중하는 분위기이기에 앞으로 러시아의 창조과학활동은 생각보다 흥미롭게 진전될 수 있는 면이 있다. 1923년에 구소련의 과학자 오파린이 그의 저서 ‘생명의 기원’에서 생명의 자연발생설의 기초인 ‘화학진화설’을 처음 제안할 만큼 비록 진화론적 입장이었지만 순수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이 크고 그 수준이 발전해 있다. 여기에다 창조론에 대한 개방적인 학문풍토를 더하여 창조과학활동을 할 수 있다면 선교적인 열매 뿐 아니라 학문적인 발전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국제창조과학학술대회 전후로 러시아 창조과학자들과 함께 ‘공룡뼈가 발견된 지층의 연대측정법 연구과제’를 같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일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보다 전략적으로 한국창조과학자들이 가서 러시아과학자들을 변화시켜 이러한 사역이 확대되도록 여러 가지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에 들어와 있는 상당수의 러시아 과학자들도 잊지 말아야 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소유하고 있는 러시아의 동유럽에서부터 시베리아까지 흩어져 있는 120여개 미전도종족들을 생각할 때, 각 공화국들의 수도에 관문대학들을 중심으로 캠퍼스사역과 함께 창조과학 선교운동이 일어나도록 관심과 인력을 모아야 할 것이다.

몽골도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창조과학 선교의 좋은 장이다. 몽골이 1990년대 초에 러시아에서 정치적으로 독립한 뒤부터 급속도로 개방화되어 독립된 구공산권 중 전체적으로는 미약하지만 가장 빨리 교회가 성장하는 곳 중에 하나다. 독립하기 전에는 한 명의 그리스도인도 없다가 지금은 2만명이 넘는 성도가 있고 지상교회가 세워지고 있다. 이렇게 교회의 성장과 함께 그 신앙적 기초를 든든히 해줄 창조과학 선교는 시기적절하다 하겠다. 이미 1995년 본인의 제안으로 단기선교로 KAIST에서 창조과학팀을 파송해 몽골국립대학에서 교수들과 과학연구소 소장들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한 적이 있다. 그들은 러시아와 독일 등에서 진화론을 기초로 수학하고 많은 책을 저술한 석학들임에도 불구하고 겸손하게 우리들의 강의와 토론에 대해 기꺼이 응했고 환대를 해 주었다. 이 일은 공영방송에도 소개가 될 정도였다. 미주 CCC에서는 이미 그 곳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예수영화와 창조과학 영화 비디오를 상영하는 사역으로 접근하여 그리스도인으로 제자화하는 사역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 몽골현지에 세운 교육기관들이 늘어가고 있다. 몽골의 울란바토르대학과 밝은 미래 초중고종합학교, 선교사와 주재원들을 위한 MK스쿨이 그것이다. 2002년 9월 개교한 몽골국제대학교(MIU)와 기타 학교들도 있다. 필자가 사역중인 MIU에서는 BT학부(생명공학과)가 있어서 생명과학 수업시간을 이용해서 생명의 기원과목을 가르치면서 자연스럽게 대학생들에게 창조론적 생명관을 심어주고 있고,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그룹 스터디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많은 현지교회에서 창조과학 강의를 초청받아 사역하고 있다. 이렇게 현지 교육기관 내에서 또 자체적으로 세우는 학교와 교회를 통해 창조과학사역은 매우 활성화되어 오히려 주변 시베리아 지역과 내몽골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좋은 창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때에 몽골 창조과학회를 세워 교육선교 센타로 운영할 수 있다면 너무나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특히 몽골에는 장기적으로 창조과학전시관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싶다. 몽골의 고비사막에는 세계적인 공룡화석 집산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해서 현장에 또는 수도 울란바토르에 전시관을 운영한다면, 거대공룡화석을 한 눈에 보면서 노아홍수 전후의 지구생태계의 변화와 생물멸종의 창조섭리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현장에서 제공하는 현장학습장이 될 것이다. 더불어 몽골의 넓은 초원과 호수 등 때 묻지 않은 천연지형을 투어하며 창조주 하나님을 느끼고 찬양하며 전할 수 있도록 선교적 필드트립과 연결할 수 있다면 좋겠다.

인도차이나의 베트남과 캄보디아도 점점 열리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한국과의 교류가 깊어지고 있고 대학차원의 교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베트남의 강한 민족성과 뛰어난 머리에 복음이 접목되어 인도차이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두보가 되도록 중국과 러시아 등과 유사한 선교접근 전략을 가지고 그들에게도 다가가야 할 것이다.


2) 이슬람권 : 터키, 우즈벡 등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그리고 동남아

이슬람권에서의 창조과학사역은 우선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그 지역은 이슬람화된 이래로 이미 위대한 창조주 알라를 믿고 경배하고 있다. 눈으로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교과서도 아직 창조론적인 내용이 실린다고 한다. 오히려 복음화된 서구와 한국보다도 낫다. 그런데 그들은 창조주 예수님을 모르고 있다. 물론 예수님을 공개적으로 직접 전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창조과학 그 자체를 통해 예수를 직접 증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중요한 통로가 있다. 최근에 밀려 들어오는 서구 세속주의와 인본주의적 진화론은 서서히 학교와 젊은이들을 혼란하게 하고 있다. 더구나 공산주의 러시아체제에서 공부한 중앙아시아의 카작, 우즈벡 등지의 사람들은 철저한 진화론 교육 안에 70년 동안 있었고, 그 전에도 근본주의적이 아닌 민속 전통적 이슬람(수피즘)이었기 때문에 종교적 사상이 강하기 보다는 형식에 매여 있어서 기원에 대한 통일된 세계관이 부재한 채 혼란한 상태에 빠져 있다. 오래전부터 이슬람국가가 된 터키와 중동의 모슬렘들도 서구의 기독교 국가들이 세속화되듯 세속 자본주의의 영향 속에 어느 정도 이와 같은 길을 걷고 있고 젊은이들이 정신적 공백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도 반드시 창조과학사역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할 이슬람권 전문사역자들이 요청된다. 이 지역 사람들에게 쿠란과 알라에게서 느끼지 못했던 창조주와 창조섭리를 확실하게 전하고 열려진 마음에 더하여 창조주 예수님과 성경의 진리를 소개함으로써 복음의 열매를 맺는 사역이 정말 필요하다. 벌써 오래된 경험이지만 1994년경에 터키에서 한국을 방문한 형제들을 대상으로 노아홍수의 역사성에 대해 강의했을 때 그들이 표정이 달라지고 구약을 새롭게 보게 되었다는 고백을 들은 일이 있다....이렇듯 이슬람권 사람들을 향한 창조과학 선교는 그들이 어렴풋하게 믿고 있는 창조주 하나님에 대해 다시금 눈뜨게 하고 그 분이 지금도 우리를 사랑하시는 아버지로서 함께 하신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의미있는 사역이 될 것이다. 원래부터 창조주를 경배하는 이슬람의 예배 문화 때문에 오히려 공산권과 달리 창세기와 복음서를 변증하는 창조과학을 공식적으로 전하는 기회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에게 예수님의 신성, 십자가 대속과 부활에 대해 어떻게 지혜롭게 접근할 것인가는 좀 더 고려되어야 할 과제라 본다.

소아시아와 중앙아시아와는 달리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아랍권의 경우는 근본주의 이슬람들이 많으므로 그곳 상황에 맞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그 지역들이 과거 성경상의 성지들이 많고 역사와 고고학을 비롯한 학문적 접근이 용의하므로, 이미 그 지역을 많이 탐사했던 창조사학회 등과 함께 선교전략을 논의해 볼 수 있겠다. 한편 동남아 회교국가들의 경우 창조과학회에서 공식적으로는 처음 해외에 파송한 창조과학선교사가 인도네시아의 한 대학에서 교수사역을 하며 자연과학관련 교과과정을 이용해 창조과학을 전하고 있다. 기존의 OMF소속 교수선교사와 함께 동역하고 있는데 한국창조과학회 회원 중에서도 그 곳에 지사장으로 있으면서 이 사역을 활성화시켜 좋은 구심점을 만들기도 했다.  인도네시아의 수많은 인구를 생각할 때 좋은 배경과 베이스를 이용해서 많은 섬들과 말레이 반도까지 연결하는 더 적극적인 사역이 요청된다.


3) 세속 자본주의 자유세계 및 기타 부족선교 : 유럽, 일본, 남미, 남아프리카 등

이미 복음이 들어가서 교회가 많이 있는 자유세계에도 이 사역들이 너무도 중요하다. 서구 유럽은 말할 것도 없이 우리나라도 벌써 복음전파가 식어지고 교회성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 사역은 새로운 차원의 접근전략으로서 이 세계에서 역할과 사명을 다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서술한 바대로 기독교의 활동이 개방되어 있지만 오히려 강한 세속 물질주의와 인본주의로 인해 형식화되어 가고 있는 현대인의 신앙과 교회활동에 창조과학은 창조주의 존재와 주권에 대한 새로운 신앙적 도전과 확신을 심어주고 다시금 거룩한 성도의 삶을 회복하는 데 큰 기여를 하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미 미국과 호주, 그리고 독일 등에서 창조과학회가 설립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시대의 마지막 대적 중에 하나인 세속 물질주의 앞에서 무너져가는 창조신앙을 지켜가고 있다. 최근 일본 창조과학의 설립으로 황금만능주의와 과학우상주의, 그리고 신사를 비롯한 수만의 종교신들로 복음전파가 어려운 일본에서 효과적인 선교사역이 되고 있음을 들은 바 있다.  재일교포중심의 한국창조과학회 일본지부와 연합하여 더 영향력 있는 사역을 기대하고 있다. 남미와 남아프리카에도 이러한 사역이 필요하겠지만, 아직 구심점이 없고 우리나라가 선교해야 할 우선 대상지역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미국과 호주 등 서구의 창조과학 단체들을 네트웍하여 접근하고, 한국교회는 위에 언급한 민족과 나라에 집중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본다. 한편 ‘New Tribes Mission'(새부족선교회)이라는 단체는 뉴기니에서와 또 다른 원주민부족에서 지금까지 수년간 창조론적 복음전도방법을 사용해 왔는데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것은 초기 선교사들이 복음서 강의와 주제별 설교로 접근했을 때 보다 훨씬 효과적이었기에 이제 새로운 부족에게 복음을 전할 때는 창세기와 그와 연관된 근본적인 지식과 진리들을 먼저 가르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원주민들이 시간이 지나도 신앙이 흔들리지 않고 성장해 가는 것을 보면서 연결된 다른 선교단체들도 이 본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이며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4) 창조과학 선교의 도구 : 세미나와 각종 미디어

이제 이렇게 여러 지역에 필요한 창조과학 선교를 활성화시키고 준비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로서 그 동안 교육적으로 개발되어 왔던 중요한 도구인 자료와 미디어 등 그것의 제목과 내용을 살펴보자. 전문 강사를 초청하지 못해도 얼마든지 교육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즉 구입이 가능한 책, 전도용 소책자, 오디오 및 비디오 테이프, CD 등을 대상과 관심에 따라 적용한다면 비록 본인이 과학전문가가 아니라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물론 창조과학자의 강의 세미나를 직접 녹화한 미디어도 활용할 수 있고 여건만 된다면 인터넷으로 사이버교육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onnuritv.com의 창조과학 사이트를 활용하라). 혹시 더 궁금한 사람이 있을 때 적절한 책을 소개해주거나 창조과학회나 관련 과학자들에게 전자메일을 띄워 답변을 연결해 준다면 훌륭한 창조과학 선교를 감당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창조과학 교육주제와 그것에 관련된 자료를 알 때 누구나 필요에 맞게 적극 활용할 수 있다.


5) 현지 창조과학 선교의 중심거점 마련

한편 이러한 교육을 실제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소와 모임 즉 창조과학 교육 센타가 필요하다. 이것은 현지에서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연결될 수 있겠다. 먼저는 교회를 통해서이다. 현지에 세워진 원주민 교회에서 언제든지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교회가 아직 없거나 미전도 지역일 경우는 기존 학교나 교육기관을 이용해서 정규수업시간 또는 특강을 이용해서 지혜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미 이러한 사례는 위에서 언급한 중국, 인도네시아와 몽골의 경우 외에도 많이 있다. 또 한 가지는 국내에서와 같이 해외 NGO등록단체를 통해서 영어, 한국어, 컴퓨터 교육활동을 하면서 접목하여 이를 진행할 수 있다. 아시아문화개발협력구(IACD), 국제교육문화교류기구 등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물론 정식등록단체가 아니라도 공동체 모임을 통해 이를 실행해 나가면 될 것이다. 최근에는 사설학원이나 홈스쿨형태의 교육비지니스 형태로도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유명한 미국의 홈스쿨 교육기관이자 회사인 '아베카(A-beka)'와 ‘스쿨 오브 투머로우’(School of Tomorrow) 등은 바로 창조과학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교육교재를 가지고 가정에서 아이들과 동시에 부모들을 영어로 교육하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번역해서 교재를 만들거나 처음부터 한국교인들이 교재를 만든다면 현지인 선교 뿐 아니라 선교사 자녀를 위해서 너무나 필요한 교육도구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현재 이 부분은 창조과학사역을 포함한 한국교회의 선교과제 중 핵심적인 과제라 하겠다.

 

지금까지 많은 내용을 통해 이 시대에 창조과학이 어떤 비전과 방향성을 가지고 선교적 과제와 전략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서술했다. 앞으로 이 사역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더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러한 결과들을 활용하고 사역을 추진할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진화론과 자연주의 철학이이라는 시대정신을 무너뜨리고 효과적인 선교적 토양을 일구기위해서는 무엇보다 다학제적으로 종합하고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연합사역을 함으로써 네트웍이 형성되어야 하겠다. 즉 과학인들 외에 신학, 역사학, 법률전문가, 언론인, 교육가 등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과 모든 세대 간의 노력으로 총체적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연히 사이버 상의 공간과 문화까지도 연결되어야 하겠다. 이미 인본주의적 진화론은 각 분야의 보이지 않는 철학과 지배사상으로 자리 잡았기에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종합적이고도 총체적인 접근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사역의 효과적 열매를 위해서도 그렇다. 제품을 시장에서 경쟁력 있게 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발명가만이 아니라, 상품개발팀과 관리팀, 그리고 마케팅과 기획홍보팀이 필요하듯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합해서 오케스트라를 이룰 때 철학과 사상이 변하고 법과 제도가 바뀌며 교육과 문화가 달라져서, 마침내 진화론적 세계관은 과거 공산주의가 순식간에 무너지듯이 힘을 잃고 말 것이다. 정보화시대와 게놈시대가 진행되고 있는 21세기는 그런 면에서 창조과학의 합리적 증거들과 창조섭리들을 확립하고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좋은 선교적 환경이 열리고 있다. 이 때 한국 교회는 세계교회와 함께 이를 최대한 활용하며 또 전문인선교의 인력풀을 동원한다면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한다.

아직 진화론은 너무도 강한 세력과 영적 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진화 사상이야말로 한 시대를 지적으로 지배하며 인류와 지구촌을 병들게 했던 교묘한 사단의 전략이며 영적전쟁의 대상이다. 창조과학 선교가 이를 극복하는 전략적 대안임을 고려해 볼 때 한국창조과학회를 비롯한 한국교회와 선교공동체는 보다 깊이 있고 전략적인 논의와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모든 종족에게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우는 ‘여호수아 프로젝트’를 하루속히 성취하고 주님의 재림을 앞당기며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이루는 초석이 되리라 확신한다. 우리는 이 시대에 다시 한번 사도 바울이 아덴에서 타문화권 선교전략으로 행했던 ‘창조론적 복음 전도’의 메시지를 되새겨보는 성령의 지혜가 필요하다.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유를 지으신 신께서는 천지의 주재시니 손으로 지은 전에 계시지 아니하시고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 이는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자이심이라.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거하게 하시고 저희의 연대를 정하시며 거주의 경계를 한하셨으니 이는 사람으로 하나님을 혹 더듬어 찾아 발견케 하려 하심이로되 그는 우리 각 사람에게서 멀리 떠나 계시지 아니하도다.....” (사도행전 17: 24-31)


출처 - 창조 138호

미디어위원회
2022-01-03

다음세대를 위한 디지털 전환을 시작하며


온 세상과 교회가 너무나 힘들었던 2021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희망과 꿈을 꾸며 2022년 임인년 새해를 맞이했습니다. 지난 한해 저희 한국창조과학회에 부어 주신 창조주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와 영광을 올려 드립니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저희 창조과학회의 사역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모든 대면 강의가 불가능해지고 내부적으로도 모든 모임과 행사가 온라인화되다 보니 우리 창조과학회 특유의 끈끈한 결속력이 점점 약해지는 것 같이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창조주 하나님은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당신의 일을 새롭게 시작하셨습니다. 지난해 저희 한국창조과학회 온라인 교육과정은 역대 경험해 보지 못한 많은 분이 전국적으로 참여해 주셨습니다. 기본과정부터 전문사역자과정을 수료하신 많은 분이 다음 과정의 조장으로 섬겨주시는 동역이 일어나며, 무엇보다 해외에 계신 많은 선교사님과 군 선교사님들이 함께 하셔서 놀라운 창조과학 사역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습니다. 슬픔이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


작년 한국창조과학회 40주년을 맞이하면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에 대한 돌봄’이라는 비전을 선포하며 이를 위한 학회 사역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4차산업혁명 시대 속에서 사역하는 우리 학회의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창조과학회는 전임 회장님 재임부터 ‘한국교회와 다음 세대’를 세워가는 것을 우리의 비전으로 목표로 선포하였습니다. 우리 다음 세대들을 세우기 위해서는 그들의 중심 세상인 디지털 세상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폭력과 음란으로 물들어 있는 디지털 세계에서 창조주 하나님의 거룩한 컨텐츠로 다음 세대와 접촉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작년부터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노아방주 전시관’ 구축을 1차 3년 계획으로 시작하였습니다. 다음 세대들이 이 디지털 공간에서 재미있게 창조과학 컨텐츠를 접하도록 하며, 차세대 창조과학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가려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물리적인 세상뿐만 아니라 디지털 세상을 어떻게 돌보고 세워나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은 지금부터 우리 창조과학회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라고 생각됩니다. 2022년 새로운 디지털 전환 사역을 시작하며 우리 학회의 ‘창조지’를 전면 디지털로 전환하였으며, 이번에 새롭게 시작한 ORJ(Origin Research Journal) 학술지도 온라인으로 발간을 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회 미래의 유일한 대안은 건전한 성경적 창조신앙의 선포와 실천이라고 생각합니다. 특별히 다음 세대를 세워가는 일에 표어나 말로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대안과 도구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창조과학회는 2022년도 열정과 창의적인 도전으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 나갈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창조주 하나님을 선포하는 일에 함께 부르심을 받아 동역하는 것이 너무나 큰 기쁨입니다. 위기의 한국교회와 다음 세대를 성격적 창조신앙으로 세워나가는 일에 눈물로 기도해 주시고 끝까지 함께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교회와 온 세상을 향한 ‘거룩한 충격(Holy Impact)’입니다.


2022년 첫날 폭풍우로 시작하는 미국에서..


2022년 1월 1일

한국창조과학회 8대 회장

이경호 배상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