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장의 하루
김홍석
창세기 1장의 ‘날’에 해당하는 단어 히브리어 ‘욤’은 날, 시간, 해, 낮, 생애, 시대, 어제, 오늘, 내일 등의 뜻으로 문맥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창세기 사용된 이 단어의 용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창 1:5> ”하나님이 빛(히. 오르)을 낮(히. 욤)이라 부르시고 어둠(히. 호쉐크)을 밤(히. 라예라)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히. 욤)이니라”
<창 2:4>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히. 욤)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창 2:17> ”…네가 먹는 날(히. 욤)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그러므로 ‘욤’은 문맥 속에서 그 의미를 살펴야 한다. 창세기 1장의 ‘하루’가 특별히 긴 어떤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문자적인 하루를 의미한다는 것을 왜곡하지 않도록 하는 문학적인 장치들이 존재한다. 성경의 최종본문의 모습(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성경, final form)이 왜 이렇게 서술되어 있는가를 깊이 사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문에 대한 이러한 탐구로부터 분명히 창세기 1장의 ‘하루’가 문자적으로 실제의 하루를 의미한 것인지 아니면 아닌 다른 어떤 긴 시간을 의미한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해주는 분명한 문학적 장치들을 발견할 수 있다.
1. 본문의 내부적 관계
첫째, 창조 주간의 여섯 번의 하루 앞에는 빠짐없이 각각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바예히 에레브 바예히 보케르)라는 수식어가 분명히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그 의도하는 바의 하나는, 하루가 다른 긴 기간이 아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는 길이의 시간 그저 하루라는 것이다.
둘째, 유독 첫째 날에 대한 서술에서만 서수가 아닌 기수를 사용하여(‘리숀’ 대신에 ‘에하드’) 맨 처음의 하루였다고 말한다. 이것은 맨 처음 하루는 아직 다른 날이 존재하기 전이므로 서수가 적절하지 않기도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하루’라고 하는 시간 단위가 만들어 진 것이다. 즉, 하루가 정의되었다. 그리고 이후로 이 ‘하루’라는 시간 단위가 일정하게 기능하기 시작한 것이다.
셋째, 하나의 열린 문단으로 구성된 넷째 날에 대한 서술인 창 1:14-19 내에 낮(욤), 밤(라예라), 계절(모에드), 날(욤), 해(솨네; 년, 해, year),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째 날이니라”는 시간 단위의 표현들이 공존하도록 서술함으로써 이는 단지 하루임을 의미하며 어떤 다른 시간으로도 해석할 수 없도록 하는 서술적 전략이며 문학적 장치이다.
넷째, 모든 날에 동일한 수식어를 사용한 것은 당연히 의도적인 것이며, 이는 태양이 만들어진 제4일 이후나 이전의 하루가 동일한 하루임을 의미한다. 아울러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해가 있어야 빛이 있는 것이 아니라, 빛이 있으라 하시므로 이미 빛이 존재하게 되었고, 하루라는 시간단위를 이루는 질서가 있게 된 연후에 넷째 날 만들어진 태양과 달 등은 하나님의 의도대로 첫날부터 기능하기 시작된 질서에 맞춰 넷째 날부터 기능하도록 임직을 주셨던 것이다. 그러므로 태양과 달에 의해 하루가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이미 창조된 하루에 맞춰서 태양과 달이 기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2. 정경적 상호관계
첫째, 창세기 5:15~17은 하나의 닫힌 문단(히, 쓰투마)이다. 짧은 한 문단 내에 65세에 자식을 낳은 사실과 895세를 살았다는 사실을 연결시켜 서술하고 있는 것은 그 나이는 기록된 그대로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전략적 배치로 보인다. 즉 895세가 믿기지 않아서 10분의 1로 줄이거나, 1개월을 한 살로 해석을 시도해보면 65세에 자식을 낳은 것은 6.5세나 65개월 나이에 자식을 낳게 되는 부조화를 초래하므로 다른 어떤 해석도 불가하도록 장치해 놓은 것이다.
창세기 5:15~17 ”마할랄렐은 육십오 세에 야렛을 낳았고 야렛을 낳은 후 팔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그는 팔백구십오 세를 살고 죽었더라”
둘째, 출애굽기 20:8~11, 31:15-18에서 명하신 7일째 안식일로 지켜야 하는 날은 다른 긴 시간이나 시대가 아니라 실제 ‘우리의 하루’였다. 그러므로 동일 문단 내 서술된 6일 또한 ‘우리의 6일’이다.
출애굽기 20:8~11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 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
출 31:15-18 ”엿새 동안은 일할 것이나 일곱째 날은 큰 안식일이니 여호와께 거룩한 것이라 안식일에 일하는 자는 누구든지 반드시 죽일지니라 …이는 나와 이스라엘 자손 사이에 영원한 표징이며 나 여호와가 엿새 동안에 천지를 창조하고 일곱째 날에 일을 마치고 쉬었음이니라 하라…증거판 둘을 모세에게 주시니 이는 돌판이요 하나님이 친히(=손가락으로) 쓰신 것이라”
우리의 생각이 어떠하든 간에 성경은 창세기 1장의 '하루'가 실제의 '하루'였다고 분명하게 서술하고 있다.
창세기 1:1과 1:2 사이에 긴 시간 간격이 존재할 수 있는가?
김홍석
창세기 1: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창세기 1: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1. 본문의 내부적 관계
히브리성서 맛소라텍스트는 하루가 끝날 때마다 문단구분 표식(프툭 하)을 두었다. 그러므로 만약 창세기 1:1절과 1:2절 사이에 간격(GAP)이 존재한다면, 창1:1절 뒤에도 문단구분 표식(프툭 하)이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문단구분 표식(프툭 하)이 없다. 즉 간격(GAP)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창1:1절이 창조 주간의 처음 하루에 포함되는 활동으로서 하늘과 땅을 이때 창조하신 것이며 동시에 이는 태초에 있었던 창조 사역의 시작이기 때문에 태초의 창조사역에 대한 선포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혼돈('토후')과 공허('보후')의 시간은 언제인가? 창조주간의 첫 날에 땅을 만드셨는데 그때 그것은 물속에 있었다(창 1:1-2). 둘째 날 그 물의 일부를 궁창 위로 올리신 다음, 셋째 날에 물속에 있던 땅을 끄집어 내셨다(창1:9-10). 바로 그 땅 위에 생명체들을 주셨다. 천지와 만물이 6일 동안 다 이루어져 일곱째 날에는 안식하셨다(창2:1-2). 그 땅 즉 첫 날의 땅이 혼돈('토후')하고 공허('보후')했던 것은 이틀 후에 물 밖으로 나와야 할 땅이 아직도 물속에 있었기 때문에 '토후'했고, 앞으로 식물들과 생명체들로 가득 채워져야 할 땅이 아직은 아무 것도 채워지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보후'했던 것이다. 쉬운성경은 ”태초에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땅은 지금처럼 짜임새 있는 모습이 아니었고, 생물 하나 없이 텅 비어 있었습니다.”라고 번역하였다. 하나님께서 지으신 것이 어찌 무질서하고 혼란스럽고 불안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전능하시며 완전하시기 때문에 ”혼돈(토후)하고 공허(보후)하며”라는 의미는 6일 간에 걸쳐 그 지어가시는 중간과정 중에 있는 최초의 날의 땅의 상태에 대한 묘사이며 그 날에는 하나님의 계획 가운데 있었던 혼돈과 공허이며 이 또한 하나님의 한시적인 창조물이었다. 창 1:1절과 1:2절 사이에 있었던 혼돈과 공허는 창조와 재창조 간의 긴 시간간격(gap)이 아니다.
2. 정경적 상호관계
땅의 존재시점은 출 20:11절에서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출 31장17-18절에서 ”이는 … 나 여호와가 엿새 동안에 천지를 창조하고 제 칠 일에 쉬어 평안하였음이니라 하라 여호와께서 시내 산 위에서 … 증거판 둘을 모세에게 주시니 이는 돌판이요 하나님이 친히 쓰신 것이더라”에서 땅은 6일 창조 안에 포함된 피조물이다. 창1:1의 땅이 6일 창조 이전에 이미 존재해왔다고 해석하는 간격이론은 성경에 근거한 해석이 아니라 어떤 사상을 담은 주장이다.
아담으로 말미암아 죽음이 들어왔다. 창세기 1:31절에는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칼 아쉐르 아싸 베힌네 토브 메오드). 하나님께서는 여섯째 날에 지으신 모든 것을 향하여 감탄하시며(힌네, behold, 보라!), 매우(메오드, very) 좋았다(토브, good)고 말씀하셨다. 이러한 말씀은 수많은 생물들이 죽음과 질병의 고통이 존재해 오고 있었던 후에 하시는 말씀으로 보기는 곤란하다. 또한 성경은 분명히 죽음이 죄의 대가임을 말씀한다. 죽음과 고통은 이후의 '죄의 대가'라고 엄중히 선포하고 있다. 창 2:17절에는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5:12절에는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라고 기록하였다. 따라서 사람이 창조되기 전에 이미 오랜 세월동안 수많은 생물들의 죽음이 존재해 왔다고 주장하는 간격이론은 성경적인 주장이 아니다.
*참조 : Gap theory revisited
http://creation.com/gap-theory-revisited
Creation compromises—Gap Theory
http://creation.com/creation-compromises#gap
초식을 하는 거미와 예상 밖의 초식동물들
(Unexpectedly Vegetarian Animals : What Does it Mean?)
Bodie Hodge
죽음과 고통이 가득한 세상에서, 어떤 생물체들은 난폭한 육식동물(carnivores)로 알려져 있다. 사실 다른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약육강식은 오늘날의 세속적 진화론적 사회에서는 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언제부터였는가?
육식동물의 기원
”또 땅의 모든 짐승과 하늘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먹을 거리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창 1:30)
이처럼 육식은 처음부터 있지 않았다. 태초의 창조 시에 죽음은 없었고, 동물들은 초식동물(vegetarian)로 창조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종종 거미, 맹금류, 고양잇과 동물 등은 식물만 먹고서는 살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오늘날 이들 동물들의 먹이는 오직 육류(또는 곤충)이기 때문에 그러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 주장이 사실인가?
거미
최근 ScienceNews 기사에서, 한 거미(spider)는 초식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다. 작고 뛰어오르는 거미인 Bagheera kiplingi 는 주로 초식을 하는 최초로 알려진 거미 종이다.[1]
과거에 과학자들은 어떤 종류의 거미는 거미줄에 꽃가루와 포자를 포획해 먹이로 삼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어떤 종류의 거미는 여기저기서 과즙을 먹기도 한다. 그러나 그 거미는 다른 동물을 먹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았다. 그것은 중앙아메리카의 아카시아 나무 근처에서 산다. 그리고 나무에 살고 있는 개미를 먹이로 하기보다 나무에서 먹이를 구한다.
그런 거미를 볼 때, 하나님의 원래의 창조는 실로 매우 좋았고 완벽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을 먹지 않았고, 사망은 최초 창조 시의 일부가 아니었다. (창 1:30). 그것이 완전하신 생명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예상되는 종류의 창조였다.
그러나 죄(sin)가 이 세상에 들어오고, 사망(death)도 들어왔다.(창세기 3장). 사물들은 더 이상 완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간단히 말하여, 하나님 없이 살아가는 삶이 되었던 것이다. 모든 피조물들은 죄로 인해 저주받았고 손상되었다. 그것이 우리가 구원자(Savior)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롬 5:12~19). 그리고 새 하늘과 새 땅이 필요한 이유이다. (롬 8:20~21, 계 21:1).
하나님의 완벽한 창조 세계에 죄가 들어온 후, 노아 홍수 이전의 어느 시점부터,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을 먹기 시작했다. 노아 홍수 때 퇴적된 암석 지층 속의 동물 화석들의 위 내용물은 동물들이 다른 동물들을 먹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거미와 같은 동물은 거미들이 보통은 육식을 함에도 불구하고, 초식을 하면서도 쉽게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이 이러한 능력을 보여주는 유일한 예가 아니다.
사자
두 마리의 사자가 초식을 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도 초식을 했던 가장 유명한 사자는 몇 년 전에 죽은 ‘리틀 타이크(Little Tyke)’이다. 이 큰 고양잇과 동물은 어느 농장에서 키워졌는데, 생애 동안에 고기를 먹는 것을 거부했다.[2] 이 암사자의 초식은 야생에서 육식동물인 고양잇과 동물들도 고기 없이 초식만으로도 쉽게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사자인 리아(Lea)는 처음의 칠년 동안은 초식을 하면서 살았다.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동물보호소로 옮겨졌는데, 그곳에서 이 커다란 고양잇과 동물은 한 달 만에 고기를 먹는 데에 익숙하게 되었다.
독수리
야자민목독수리(Palm-nut vulture, Gypohierax angolensis)는 심지어 쥐도 무서워하지 않을 맹금류이다. 이 독수리의 주된 먹이는 야자수 열매(palm fruits)이다. 때때로 물고기, 썩은 고기, 무척추동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독수리의 주된 먹이가 야자수 열매라는 사실은 생존하는 데에 고기가 필요하지 않음을 보여준다.[3]
파쿠
사람들이 피라냐(piranhas, 이빨이 날카로운 남미산 민물고기)를 생각할 때에 순식간에 뼈만 남기고 살을 먹어버리는 무서운 물고기라고 생각한다. 파쿠(Pacu)는 남미에 사는 여러 초식성 물고기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파쿠는 피라냐의 사촌으로 간주되고 있다. 파쿠는 피라냐처럼 같은 세라살무스 아과(subfamily Serrasalminae)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아마도 이 두 마리 물고기는 같은 종류(kind)로 창조되었을 것이다. 사실 파쿠는 피라냐와 종종 닮았기 때문에 헷갈리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보통 그들을 구분할 때 이빨을 가지고 평가하곤 한다 (이것은 약간의 차이이다).[4]
가끔씩 파쿠는 곤충을 먹던지 작은 물고기를 먹는데, 그러나 그들은 채식을 선호한다. 이것은 이러한 물고기는 육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래는 채식으로 살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론
오늘날 육식동물들이 항상 그렇게 육식을 해왔었다는 개념은 창조 시로 돌아가서 생각해볼 때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처음에 모든 동물들은 초식성이었다. 죄로 인해 사망과 고통이 이 세계로 들어온 이후에 육식은 생겨났다. 그것은 사람에게도 동물에게도 마찬가지였다. 거미나 고양잇과 동물처럼 육식성으로 보여지는 동물도 고기 없이 쉽게 살아갈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원래의 생물계가 어떠했을 지를 어렴풋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들 육식동물들은 원래 창조되었을 때에는 고기 없이도 쉽게 살아갈 수 있었던 초식동물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Footnotes
[1] Susan Milius, 'Spider Eats Trees, Not Bugs,” ScienceNews, August 30, 2008, p. 13.
[2] James A. Peden, 'Vegetarian Lioness: Little Tyke,”
[3] 'Palm-Nut Vulture,” Kenya Birds.
[4] Donna O’Daniel, Piranhas, the Feared Fish, Answers in Depth 4(1), May 6, 2009.
번역 - 김정화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2009/06/02/vegetarian-animals
출처 - AiG–U.S. 2009. 6. 2.
아프리카에 사는 이스라엘 제사장 부족
(The African Priestly Tribe of Israel)
Creation Moments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그들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요한복음 10:16)
유대인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지구상에 여러 그룹이 있다.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유대식 종교의식들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증명할 만한 유대인과의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렘바(Lemba)라고 불리는 한 부족이 남아프리카 지역에 존재한다. 이들은 반투어를 말한다. 전래에 따르면 먼 옛날에 부바(Buba)라고 하는 지도자에 의해서 유대로부터 아프리카로 왔다고 한다. 이 렘바 부족은 일 주일 중 하루를 거룩하게 지키는 것을 비롯하여 다른 유대의 전통들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이것들이 그저 우연의 일치라고 치부할 수도 있지만, 이들의 유산으로 증명할 수도 있다. 전에 우리는 소위 '코헨(cohen) 유전자”에 관하여 이야기 한 적이 있다. 코헨은 제사장을 의미한다. 이 유전적 변이는 Y-염색체에 존재하는데, 일반 사람들에서는 아주 희귀한 것이다. 유대인들 중에서도 약 3-5%만이 이 변이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아론의 자손들에게서는 이 변이가 아주 흔하게 나타나기에, 이 변이는 강력한 레위자손의 증거로 받아들여진다.
이 유전적 변이가 렘바 부족에게서 흔하게 보여진다. 이는 이 렘바 부족이 유전적으로 유대인일 뿐만아니라, 이들이 고대의 이스라엘의 제사장의 후손임을 보여준다!
렘바 부족이 어떻게 아프리카에 오게되었는지 아무도 알아낼 수 없을 지라도, 우리는 모든 족속이 하나님의 피조물임을 안다. 우리는 또한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모든 족속들의 구세주이심을 안다. 어느 누구도 하나님으로부터 너무도 멀리 방황해 떠나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
References : Science Frontiers, 1-2/00, p. 1, ”A Far Wandering Tribe?”
번역 - 김계환
링크 - http://www.creationmoments.com/content/african-priestly-tribe-israel
출처 - Creation Moments
요셉의 원래 무덤의 발견?
: 성경 기록처럼 이스라엘 자손들이 이집트에서 살았었다는 증거가 있는가?
(Has Joseph's original tomb been found?)
ChristianAnswers.net
성경은 야곱(Jacob)과 그의 가족이 아시아로부터 애굽(이집트)으로 이주했을 때, 라암셋(라암세스, 람세스, the land of Rameses)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생업을 얻고 번성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창 47:11, 27). 이스라엘 자손들은 결국 라암셋 성을 건축하는 노예 일꾼들로서 사용되었다.(출 1:11) 그리고 430년 후에 출애굽을 할 때(출 12:40), 그들은 라암셋에서 출발하였다.(출 12:37). 이러한 기록들로부터 우리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애굽에서 지내는 동안 라암셋과 그 주변 지역에 살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사실 라암셋 이라는 이름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이주보다 나중에 생겨났다. 그 이름은 위대한 왕 람세스(람세스 2세, Rameses II)에 의해서 BC 13세기에 나일강 삼각주 동쪽에 지어진 한 도시에 주어진 이름이었다. 이 친근한 이름은 후에 성경 본문을 필사할 때 필사가들에 의해서 소급되어 사용되었다. 라암셋의 위치에 대해 수년 동안 논란이 있어왔지만, 그 논란은 이제 불식되었다. 우리는 라암셋의 위치를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대 장소들의 역사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알고 있는 것이다.
1966년 이후로 광범위한 발굴이 카이로의 오스트리아 고고학 연구소(Austrian Archaeological Institute)의 맨프레드 비텍(Manfred Bietak)의 지휘 하에 이루어졌다. (for previous reports, see Shea 1990: 100-103; Wood 1991: 104-106; Aling 1996: 20-21). 비텍 교수는 이집트에 이스라엘 자손들이 살았었다는 물리적 증거를 최초로 발견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고고학은 라암셋의 역사를 밝혀내고 있다.
고대 라암셋은 카이로(Cairo)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100km 정도 떨어진, 나일강 삼각주 동쪽의 텔 엘-다바(Tell el-Daba)에 위치하고 있었다. 고대에 이곳은 나일강의 지류인 펠루시악(Pelusiac) 강이 흐르고 있어서, 지중해로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그곳은 가나안으로 나가는 육상 경로인 유명한 호러스 로드(Horus Road)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그곳은 상업적, 군사적으로 요충지였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 애굽을 다스리더니” (출 1:8)
우리는 그 장소의 역사를 힉소스 이전(pre-Hyksos), 힉소스(Hyksos) 왕조, 힉소스 이후(post-Hyksos)의 세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힉소스는 나일강 삼각주의 북동쪽에 거주했었던 시리아-팔레스틴으로부터 온 셈족 사람(Semitic people)들이었다. 이들은 결국 108년 동안(BC 1663-1555, 15th Dynasty) 이집트 북부를 지배했다.[1] 이스라엘 백성들은 BC 1450년 경에 출애굽을 하였음으로, 야곱과 그의 가족은 (430년 전인) BC 1880년 경에 이집트로 이주하였을 것이다. 이 시기는 힉소스 이전 시기로서, 그 마을의 이름은 ”두 도로의 문(the door of the two roads)”이라는 뜻의 로와티(Rowaty) 였다. (Bietak 1996: 9,19). [2]
이들은 이스라엘 자손들일 수 있을까?
로와티(후에 라암셋이라 이름 붙여진 도시)에 아시아인들이 살았다는 최초의 증거는 12대 왕조(12th Dynasty) 말에 (BC 19세기 중반) 나타난다.[3] 그 시기에 한 시골에 정착한 사람들이 있었음이 발견되었다. 거기에 많은 담장들이 있었지만, 요새화되지는 않았는데, 이것들은 동물들을 키우기 위한 것으로 보여졌다. 살았던 집들은 모래 벽돌(sand bricks)로 지어진 직사각형의 오두막(rectangular huts)들로 구성되어 있었다.(Bietak 1986: 237; 1991b: 32). 그것은 이집트에 이스라엘인들이 살았다는 최초의 구체적인 증거일 가능성이 높다. 정확한 시기에, 정확한 장소에, 정확한 문화가 있었던 것이다.
최초의 아시아인 정착지인 텔 엘-다바의 모든 주민들이 오두막에 거주했었던 것은 아니다. 그들 중 한 명은 작은 저택(small villa)에서 살았는데, 분명 중요한 고위 관리로 보였다. 성경은 요셉이 바로(pharaoh)의 꿈을 해석해준 이후에 총리가 되었다고 말해주고 있다.(창 41:39-45). 요셉이 이집트의 총리로서 일하는 동안 어디에 살았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흉년과 관련된 그의 직무를 잘 마친 후에, 아버지와 형제들이 살고 있었던 라암셋으로 내려가서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은 논리적이다.
이 저택이 요셉의 집이었을 수 있을까? [4]
그 저택은 크기가 10×12m 로서, 12×19m 의 울타리 한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 집은 뜰(courtyard) 주변으로 6 개의 방들이 말굽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그 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집의 평면도가 팔레스타인에 있었던 후기 철기시대(later Iron Age)의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살았던 ‘4개 방의 집(four-room house)’과 동일했다는 것이다.(Holladay 1992a). 이러한 형태의 집은 2개의 옆방과 하나의 뒷방이 중앙 공간 또는 뜰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5]
근처 저택 옆에는 반원 형태로 정렬된 2개 방으로 된 빈약한 집들이 있었는데, 대략 6×8 m 크기의 것이었다. 만약 그 저택이 요셉의 집이었다면, 주변 오두막들은 요셉의 아버지와 형제의 집들일 수도 있다. 그 정착촌에서 발견된 조각난 도자기(pottery)들의 대략 20%는 팔레스타인의 중기 청동기시대(Palestinian Middle Bronze Age) 형태의 것이었다. 그 저택의 남서쪽 열려진 공간에는 정착민들의 묘지가 있었다. 여기에서 가장 놀라운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히브리인들의 무덤?
무덤들은 이집트에서 많이 발견되는 진흙 벽돌로 지어져 있었다. 그러나 안의 내용은 철저히 아시아식이었다. 비록 그 무덤들은 철저하게 약탈당했지만, 매장된 남자들의 50%는 아직도 팔레스타인 타입의 무기들을 가지고 있었다. 전형적으로 죽은 남자들은 2 개의 창(javelins), 전투 도끼(battle-axes), 단도(daggers) 등을 갖고 있었다. 무덤 8(Tomb 8)은 세련된 오리부리 도끼와 양각된 청동 벨트를 포함하고 있었다. (Bietak 1996: 14). 그러나 그 무덤들 중 하나는 완전히 독특했고, 이집트에서 일찌기 발견된 그 어떤 무덤과도 같지 않았다.
요셉의 무덤?
집들이 있는 곳에서 83m 정도 떨어져있는 매장 지역의 남서쪽 끝에는, 한 기념비적 무덤인 무덤 1(Tomb 1)이 있었다. 그것은 주 묘실(main burial chamber)과 한 부속 장례실(chapel annex)을 포함하고 있는, 거의 사각형의 커다란 구조였다. 도굴꾼들이 파놓은 구덩이가 장례실 안에 나있었는데, 발굴자들은 한 아시아인 고관을 조각해 놓은 한 거대한 상(statue)의 조각들을 발견했다. 그것은 실물 크기의 앉아있는 고관 1의 것으로 보였다. 그것은 석회암으로 되어있었고, 탁월한 솜씨의 것으로 보였다. 피부색은 이집트 미술에서 아시아인들의 고유 색깔인 황색이었다. 그리고 버섯 모양의 헤어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이집트 미술에 등장하는 아시아인들에게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외국인을 가리키는 이집트식 상형문자인 내던져진 막대기(throwstick)를 오른쪽 어깨 위에 가지고 있었다. 그 상은 고의적으로 부서져있었고, 얼굴이 박살나 있었다.(Bietak 1996: 20-21).
데이비드 롤(David Rohl)은 그의 책 '파라오와 왕들: 성경적 탐색(Pharaohs and Kings: A Biblical Quest)‘에서, 이 무덤은 요셉의 무덤(tomb of Joseph)이라고 제안했다(1995: 360-67).[6] 증거들은 이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무덤 1에 묻힌 사람이 그 저택의 소유주였다고 추정할 수 있고, 따라서 요셉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성경은 요셉의 시체가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해 매우 특별하게 기록해 놓고 있다 :
”요셉이 백십 세에 죽으매 그들이 그의 몸에 향 재료를 넣고 애굽에서 입관하였더라” (창 50:26)
모세는 출애굽을 할 때, 요셉의 뼈들을 가지고 나왔다. 왜냐하면 요셉이 이스라엘의 자손들에게 단단히 맹세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대열을 지어 나올 때에 모세가 요셉의 유골을 가졌으니 이는 요셉이 이스라엘 자손으로 단단히 맹세하게 하여 이르기를 하나님이 반드시 너희를 찾아오시리니 너희는 내 유골을 여기서 가지고 나가라 하였음이더라” (출 13:18,19) (비교, 창 50:25)
묘실 내부에서, 발굴자들은 글씨가 새겨진 석회암 석관(sarcophagus)의 파편들과 약간의 뼈 조각들을 발견했다. 그러나 묘지의 다른 무덤들과 같지 않게 완전한 뼈들이 없었다.(Bietak 1991a: 61). 매장 후에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한 구덩이가 장례실 끝쪽에 파여져 있었고, 묘실 안으로 터널이 나있었다. 그리고 관(석관)은 깨어져 있었고, 이들 ‘무덤 도굴꾼’들에 의해서 죽은 사람의 유골이 강탈당했다.(Rohl 1995: 363). 도굴꾼들에 의해서 무덤에 있던 골동품이나 귀중품들이 없어지는 일은 흔하다. 그러나 죽은 사람의 사체를 가져가는 일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 상이 부서진 시점에 뼈들이 없어졌는지, 또는 서로 다른 시기에 일어난 것인지는 고고학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추정해 볼 수 있다.
그 상은 힉소스가 그 지역의 지배권을 갖게 되었던 정치적 혼란기 동안에 부서졌을 것으로 보인다.(Bietak 1996: 21).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 애굽을 다스리더니”(출 1:8). 출애굽기에 기록된 새 왕은 BC 1663년 경의 최초의 힉소스 왕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7] 그 시기에 이스라엘 자손들은 과도한 압제 속에 지내게 된다.(출 1:9-11). 아마도 힉소스 왕은 이집트의 지역 세력들을 타도할 때, 그 상을 파괴하였을 것이다. 무덤에 있던 유해도 위험에 처했을 수 있었다. 그래서 신실한 이스라엘 자손들이 이 시기에 요셉의 유해를 안전한 곳으로 옮겼을 수도 있다.
힉소스가 지배했었다는 증거
점령의 다음 단계로는 누추한 집들은 정리되고 거대한 궁전(성)들이 건축되는 것이었다. 새로운 정복자들은 아시아인들이기는 했지만, 이전 시대의 사람들과는 달랐다.[9]
궁전은 이집트 형식의 여러 거대한 건물들로 구성되었는데, 여러 층들, 지붕이 있는 현관(porticos), 뜰, 연못, 정원, 묘지 등을 포함했다.(Bietak 1996: 21-30). 이러한 면들은 점령자들이 외국 무역에 종사했던 고위 관료였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이것이 그 지역에 힉소스가 정착하게 되면서 일어났던 초기 단계에 나타났던 것이다.[10] 힉소스 인들의 도래로 야곱의 후손들은 힘든 시기를 맞게 되었던 것이다.(출 1:8-12a)
비문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의 사람들이 이스라엘 사람들이었는지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11] 그리고 야곱의 12 아들들에 대한 동시대의 참고 자료들도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야곱의 아들들은 요셉을 제외하고 양치는 목동들이었기 때문에, 고대 기록들에서 발견될 것으로는 전혀 예상되지 않는다.[12] 그러나 야곱의 아들들의 이름을 따라 불려졌던 여러 이스라엘 족속들이 존재했었다는 고대 자료들은 있다. 그래서 우리는 야곱의 아들들에 대한 간접적인 비문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라암셋에서 발견한 것에 대해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정도이다. 이 발견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이집트에서 살았었다면 예측될 수 있는 발견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었다.
Notes
[1] The Egyptian word Hyksos means 'foreign rulers.” In common usage, however, the term is used to refer in general to the Asiatics who settled in the eastern Delta of Egypt in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The dates for Hyksos rule are not known precisely. Those used here are based on the following:
a. Expulsion of the Hyksos in approximately the 15th year of Ahmose (Bietak 1991b: 48)
b. A total of 108 years for the rule of the Hyksos according to the Turin papyrus (Bietak 1991b: 48)
c. The chronology of Wente and Van Siclen for the 18th Dynasty (Wente and Van Siclen 1977: 218). This chronology gives a death date for Tuthmosis III of 1450 BC, which correlates with the Biblical date for the Exodus. According to Scripture, the Pharaoh of the Exodus perished in the Yam Suph (Exodus 14:5-9,18,28; 15:4,7; Psalm 106:9-11; 136:15), therefore, we correlate the date of the Exodus with the death date of the Pharaoh of the Exodus. The chronology of Wente and Van Siclen also incorporates the low date of 1279 BC for the accession of Rameses II accepted by most scholars today.
[2] In the 14th Dynasty, toward the end of the 18th century BC, the name of the town was changed to Avaris, 'the (royal) foundation of the district' (Bietak 1996:40). When the Hyksos later established their capital there, they retained the name Avaris. It was probably the Hyksos rulers who forced the Israelites to build the store cities of Pithom (= Tell el-Maskhuta) and Rameses (= Tell el-Daba = Avaris) (Exodus 1:11). When Rameses II rebuilt the city in the 13th century in the post-Hyksos period, and long after the Israelites had left Egypt, the name was changed to Rameses.
The location of Pithom has also been a matter of some debate. Now, however, it seems quite certain that it should be located at Tell el-Maskhuta at the eastern end of the Wadi Tumilat, 15 km west of Ismailiya. Asiatic remains similar to those found at Tell el-Daba have been found there and attributed to the Hyksos (Holladay 1992b: 588-89; 1997:332-34). According to Holladay, the Hyksos occupation at Tell el-Maskhuta took place ca. 1750-1625 BC. It would have been sometime during this time period, then, that the Israelites built the store city of Pithom.
[3] Area F/I, Str. d/2, and Area A/II, Str H
[4] Str. d/2 at Tell el-Daba
[5] In Palestine, the side rooms were usually delineated by stone columns. With the scarcity of stone in Egypt, this feature would not be expected. Holladay suggests that the ground floor of such a house was primarily utilized for the economic aspects of family life such as the storage of food, tools and supplies, and the housing of animals. The family living space, on the other hand, was most likely on the second floor.
[6] As a result of his nontraditional chronology of ancient Egypt, however, British historian David Rohl dates Tomb 1 to the late 17th century BC (1995: 339), rather than the mid-nineteenth century as determined by the excavators. Since Rohl believes the Sojourn to be only 215 years based on the Septuagint (1995: 329-32), Joseph and Tomb 1 end up being approximately contemporary by his chronology. The present author, however, disagrees with both of these views and holds to conventional Egyptian chronology and a Sojourn of 430 years (Ex 12:40) as recorded in the Masoretic text of the Hebrew Bible. Moreover, Rohl places Joseph and Tomb 1 in Str. d/1, while the present author accepts the excavators' dating of Tomb 1 to Str. d/2, and believes Str. d/2 to be a more compatible context for Joseph and the Israelites.
[7] We are not certain of the name of the first Hyksos king. Redford suggests Salitis/Saites based on literary references (1992: 342), while Ward suggests Khyan based on inscriptional evidence (1984:162-72).
[8] Str. d/1 dating to the early 13th Dynasty (early 18th century BC)
[9] Str. d/2
[10] Str. d/1
[11] Str. d/2
[12] There is a canal connecting the Nile with the Faiyum in the western desert named Bahr Yusuf, the 'canal of Joseph.” Development of the Faiyum is associated with Dynasty 12, the time when Joseph was in Egypt carrying out land reforms (Genesis 41:46-49; Gardiner 1961: 35-36). Whether the name of the canal is ancient or from a relatively modern tradition is not known. Otherwise, the name of Joseph has not turned up in Egypt (see Aling 1996).
Bibliography
▶ Y. Aharoni, The Land of the Bible, revised edition, translated and edited by A.F. Rainey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9).
▶ C.F. Aling, 'The Historicity of the Joseph Story,' Bible and Spade 9 (1996), pp. 17-28.
▶ M. Bietak, Avaris and Piramesse: Archaeological Exploration in the Eastern Nile Delta, (London: The British Academy, 1986); 'Der Friedhof in einem Palastgarten aus der Zeit des spten Mittleren Riches und andere Forschungsergebnisse aus dem stlichen Nildelta (Tell el-Daba 1984-1987),' Agypten und Levante 2 (1991a), pp. 47-109; 'Egypt and Canaan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281 (1991b), pp. 27-72; Avaris: The Capital of the Hyksos, (London: British Museum Press, 1996).
▶ A. Biran, 'City of the Golden Calf,' Bible and Spade, 5 (1976), pp. 22-27; 'To the God Who is in Dan,' in Temples and High Places in Biblical Times, A. Biran, editor, (Jerusalem: Hebrew Union College, 1981), pp. 142-51.
▶ A. Chambon, 'Tell el-Far'ah I: L'ge du Fer,' Mmoire 31 (Paris: Editions Recherche sur les Civilisations, 1984).
▶ I. Finkelstein, 'Izbet Sartah: An Early Iron Age Site Near Rosh Haayin, Israel,' BAR International Series 299 (Oxford: B.A.R., 1986).
▶ V. Fritz and A. Kempinski, Ergebnisse der Ausgrabunden auf der Hiebet el-Msas (Tel Masos) 1972-1975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83).
▶ A. Gardiner, Egypt of the Pharaoh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 H. Gauthier, Dictionnaire des noms go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roglyphiques, Volume 1 (Cairo: L'Institute Franais d'Archologie Orientale, 1925).
▶ H.L. Ginsberg, 'Aramaic Letters,” in J.B. Pritchard, editor,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pp. 491-492.
▶ D.V. Hadley, 'Asher,” in D.N. Freedman, editor,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 1 (New York: Doubleday, 1992), pp. 482-483.
▶ J.S. Holladay, Jr. 'House, Israelite,' in D.N. Freedman, editor,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ume 3 (New York: Doubleday, 1992a), pp. 308-18; 'Maskhuta, Tell el-,' in D.N. Freedman, editor,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ume 4 (New York: Doubleday, 1992b), pp. 588-92; 'Maskhuta, Tell el-,' in E.M. Meyers, editor,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Volume 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pp. 432-437.
▶ K.A. Kitchen, Ancient Orient and Old Testament,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1966); Ramesside Inscriptions Translated and Annotated: Notes and Comments, Volume 1 (Oxford: Blackwell, 1993).
▶ A. Lemaire, 'House of David Restored in Moabite Inscriptio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3 (1994), pp. 30-37.
▶ C.C. McCown, Tell en-Nasbeh I (Berkeley: The Palestine Institute of Pacific School of Religion, 1947).
▶ A.L. Oppenheim, 'Babylonian and Assyrian Historical Texts,' in J.B. Pritchard, editor,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pp. 265-317, 556-567.
▶ D.B. Redford, 'Hyksos: History,' in D.N. Freedman, editor,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ume 3 (New York: Doubleday, 1992), pp. 341-344.
▶ D.M. Rohl, Pharaohs and Kings: A Biblical Quest (New York: Crown, 1995).
▶ H. Shanks, 'Strata,”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3/2 (1997), p. 8.
▶ W.H. Shea, 'Leaving Egypt,” Archaeology and Biblical Research, 3 (1990), pp. 99-111.
▶ E. Stern, Material Culture of the Land of the Bible in the Persian Period 538-332 B.C. (Warminster: Aris & Phillips, 1982).
▶ W.A. Ward, 'Royal-Name Scarabs,' in Olga Tufnell, Studies on Scarab Seals, Volume 2 (Warminster: Aris & Phillips, 1984), pp. 151-192.
▶ E. Wente and C. Van Siclen III, 'A Chronology of the New Kingdom,' in Studies in Honor of George R. Hughes January 12, 1977, J.H. Johnson and E.F. Wente, editors,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39 (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1977), pp. 217-261.
▶ B.G. Wood, 'Recent Discoveries and Research on the Conquest,' Archaeology and Biblical Research, 4 (1991), pp. 104-110; 'Mesha, King of Moab,' Bible and Spade, 9 (1996), pp. 55-64.
▶ G.E. Wright, Shechem: The Biography of a Biblical City (London: Gerald Duckworth, 1965).
▶ Author: Dr. Bryant G. Wood of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dapted from the ABR article: 'The Sons of Jacob: New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the Israelites in Egypt'
*관련자료 : Has Joseph’s Tomb Been Found in Egypt?
https://www.levitt.com/essays/joseph
Patterns of Evidence: The Exodus - Full Trailer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assFIyLInE
Strong evidence for Joseph's Tomb and Palace in Egypt!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m9ATLhkujY
Joseph was Imhotep of Egypt
http://www.arkdiscovery.com/joseph.htm
JOSPEH was IMHOTEP in EGYPT, 1st after Pharaoh 'cause HE KEPT HIS FAITH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mlyhvVfBI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hristiananswers.net/q-abr/abr-a027.html
출처 - ChristianAnswers.net
뱀은 창세기의 말씀처럼 흙을 먹는가?
(Contradictions : Left in the Dust Do snakes really eat dust like Genesis says?)
어떤 사람들은 창세기 3:14절에 기록된 것처럼 뱀은 흙을 먹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창세기 말씀을 훼손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성경에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뱀이 하와를 유혹한 후에, 하나님은 뱀을 저주하시면서 ”네가 이렇게 하였으니 네가 모든 가축과 들의 모든 짐승보다 더욱 저주를 받아 배로 다니고 살아 있는 동안 흙을 먹을지니라”라고 말씀하셨다. 창세기 1장에 언급된 뱀(serpent)이 오늘날의 뱀(snake)과 같은 모습이었는지는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은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하나의 이유로서 이 구절을 사용한다. 왜냐하면 뱀은 흙을 먹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뱀의 입천장 앞쪽에 있는 화학물질 감지기관인 야콥슨기관(Jacobson’s organ)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응답한다. 야콥슨기관은 뱀이 냄새를 맡는 것을 도와준다. 뱀의 갈라진 혀는 뱀의 주변을 감지하기 위해서 빠르게 내밀어지면서, 간혹 땅을 핥고, 먼지 입자들을 채취해서 입속으로 가져온다. 뱀은 혀를 끌어당겨, 갈라진 혀의 끝을 야콥슨기관의 두 구멍 안으로 삽입한다. 그곳에서 입자들은 분석되어지고 확인되어진다. 뱀의 뇌는 그 냄새를 읽을 수 있고, 혀를 통해 맛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방법으로 뱀은 정말로 흙을 먹는 것이다.
하지만 정말로 이것이 하나님이 뱀을 저주하셨을 때 염두에 두셨던 것일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창세기 3:14-15절의 본문을 살펴보자 :
”14. 여호와 하나님이 뱀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렇게 하였으니
네가 모든 가축과 들의 모든 짐승보다 더욱 저주를 받아
배로 다니고 살아 있는 동안 흙을 먹을지니라
15.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
뱀의 저주는 배로 다니고, 흙을 먹으며, 여자의 후손의 발꿈치를 상하게 하며, 여자의 후손은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라.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창세기 3:15절을 원복음(protoevangelium, 최초 복음)으로서 인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시고 다시 살아나셔서 사탄을 패배시키실 메시야 예수님의 오심을 예언하셨다. 머리를 상하게 하고 발꿈치를 상하게 한다는 말은 위대한 진실을 가리키고 있는 분명히 상징적 언어이다. 그러나 이것이 창세기가 역사적 장르의 기록임을 위반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상징적 언어는 대부분의 문자적 구조틀 내에서 들어있을 수 있다.
그러면, 하나님은 동물을 저주하신 것인가, 사탄을 저주하신 것인가? 하나님은 그 둘을 함께 저주하신 것으로 나타난다. 성경 여러 곳에서 하나님은 흔히 사람에게 말씀하시며, 사탄에게도 말씀하고 계신다. 여기에 몇 가지 예가 있다 :
1. 에스겔 27-28장에서 여호와의 말씀은 두로(Tyre) 자체에 대해서(겔 27:2), 그리고 두로의 지배자(ruler of Tyre)에 대해서 말씀하셨고(겔 28:2), 28:11절에서는 ‘두로의 왕(King of Tyre)’에 대해서 한탄하시기 시작하신다. 이것은 특별히 두로 왕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존재인 사탄에게 향하고 있는 것이다.
2. 예수님은 마가복음 8:33절에서 베드로를 꾸짖으시면서 그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사탄에게 말씀하셨다.
3. 이사야 14장에서 하나님은 바벨론의 왕에게 말씀하시면서, 어느 부분에서는 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탄에게 말씀하셨다.
누군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탄에게 직접적으로 말씀하시고 있는 이러한 개념은 흔히 있는 것이다. 그래서 창세기 3장에서 하나님이 뱀에게 말씀하시면서 사탄에게 말씀하고 계신다고 이해하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 아니다. 창세기 3:14절은 뱀에게 말씀하셨다. 그리고 3:15절에서 하나님은 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탄에게 말씀하셨다.
흙을 먹을 것이라는 뱀에게 내려진 저주는 이제 흙 속을 배로 다니는 결과를 가져왔다. 뱀은 들짐승이나 가축 중에 하나와 같았을 것이다.(창 3:1, 14). 그러나 이제 배로 다니고 흙을 먹게 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흙을 먹는다는 이러한 묘사는 천하고, 비열하고, 혐오스럽고, 타락한 한 생물체에 대한 상징이다. 미가 7:16-17절에서 하나님은 여러 나라들이 여호와 앞에 두려워 떠는 시기가 올 것에 대해 예언하셨다 :
”이르되 여러 나라가 보고 자기의 세력을 부끄러워하여
손으로 그 입을 막을 것이요 귀는 막힐 것이며
그들이 뱀처럼 티끌을 핥으며
땅에 기는 벌레처럼 떨며
그 좁은 구멍에서 나와서 두려워하며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와서
주로 말미암아 두려워하리이다”
문맥에 대한 적절한 (문학적, 역사적, 신학적) 이해는 하나님께서 뱀을 저주하셨을 때에 의미하셨던 것을 우리가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여기에 어떠한 모순도 없다. 오히려 구세주이신 예수님의 놀라운 승리를 약속하고 계셨던 것이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2009/04/06/contradictions-left-in-the-dust
출처 - AiG–U.S. April 6, 2009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4752
참고 : 3170|4247|3396|3336|1904|3945
요셉 시대의 동전이 이집트에서 발견되었다.
(Archeologists Find ‘Joseph-Era’ Coins in Egypt)
AiG News
고고학자들은 이집트에서 창세기의 요셉에 대한 증거를 발견할 수도 있게 되었다. (The Jerusalem Post. 2009. 9. 25).
예루살렘 포스트(Jerusalem Post) 지는 이집트에서 성경에 등장하는 요셉의 이름과 형상이 새겨진 보관되어 있던 동전(coins)들이 발견되었다고 보도하였다. 그 뉴스는 이집트의 알-아흐람 신문이 보도했던 것으로, MEMRI(2009. 9. 24. 동전들을 볼 수 있음)에 의해서 해독되었다.
발견된 모두 5백여 개의 동전들은 이집트 박물관의 소형 유물 그룹에 속해있던 것으로서, 장신구류로 잘못 분류되어 있었다. 연구 팀의 리더인 무하마드 타베트(Sa‘id Muhammad Thabet)는 요셉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던 동안에 여러 지하실에서 그 동전들을 발견했다.
그 발견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고대 이집트인들은 동전을 친숙하지 않았고 주로 물물교환에 의존했다는 이전의 주장을 뒤엎는 것이다. 타베트는 나일강 다리 공사의 감독관으로 있었던 한 고대 이집트인의 편지를 읽고 있을 때에 그러한 생각에 의문을 품었었다. 토트-네헤트(Thot-Nehet) 라는 이름을 가진 그는 동전과 농산품들로 교환하는 임대 토지들에 대해서 기록했었다.
장신구로 분류됐던 동전들은 사실상 둥글었는데(또는 거의 원형), 한 쪽 면에는 문자가, 다른 쪽 면에는 형상이 새겨져 있는 것을 타베트는 주목했다. 이것은 오늘날의 것을 포함하여 수세기를 통하며 만들어졌던 동전들과 같은 형태이다. 동전의 문자가 새겨져 있는 면은 이집트 이름, 날짜, 값어치가 새겨져 있었고, 반면에 다른 쪽 면은 이집트 파라오의 얼굴 형상과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또한 동전들은 여러 크기였고, 비싼 물질로 만들어졌다. 또한 유사한 동전들이 여러 고고학적 장소들에서 발견되어 왔는데, 그것은 그 물체들이 장신구가 아니라, 동전들이라는 타베트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동전들은 이집트 역사의 여러 시대들의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요셉의 시대까지도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있었다. 매우 흥미로운 것은 창세기 41장의 기록과 일치하는 한 동전이었다. 그 동전에는 ”바로가 꿈에서 보았던 살진 일곱 암소와 파리한 일곱 암소들을 상징하는 한 암소의 형상과 충실한 일곱 이삭과 마른 일곱 이삭에 대한 형상이 새겨져 있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연구자들은 동전에 새겨진 문자들을(초기 알려진 상형문자와 대조하여) 해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요셉의 이미지 뿐만 아니라, 요셉의 이집트식 이름을 판독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만약 타베트의 연구가 정확하다면, 우리는 창세기 역사의 사실성에 대한 또 하나의 매력적인 증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그 연구는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리뷰되거나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의 정확성은 의문으로 남아있다. Baptist Press 지는 ”요셉의 동전들에 대해 회의적인 복음주의자들”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타베트의 주장을 의심하고 있는 복음주의 학자들의 말을 인용하고 있었다. ”나의 첫 반응은 동전들에 대한 해석이 꽤 주관적이라는 것이다.” 고대 이집트 전문가인 멤피스 대학의 로버트 그리핀(Robert Griffin)은 설명했다.
남서부 침례 신학교의 고고학자인 스티븐 오티즈(Steven Ortiz)는 타베트 팀이 그 발견으로 코란의 특별한 구절들을 입증하고자 했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었다. 물론 타베트의 연구 동기가 그 발견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발견 내용이 학술지에 게재되고 정확하게 검토될 때까지 판단을 보류할 것이다. 이제 계속되는 고고학적 발견들로 창세기(그리고 하나님 말씀의 나머지 책들) 기록의 신뢰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참조 1 : 성경의 요셉 이름 형상 동전 이집트서 발견 (2009. 9. 25.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09/09/25/0601170100AKR20090925201800079.HTML
Egyptian coins in the time of Joseph
http://creation.com/images/pdfs/tj/j26_3/j26_3_85-91.pdf
참조 2 : Is the story of Joseph in the Bible a true story?
http://christiananswers.net/q-abr/abr-a016.html
Is there evidence that the Israelites once lived in Egypt as the Bible says? Has Joseph's original tomb been found?
http://christiananswers.net/q-abr/abr-a027.html
For more information
Chapter 11: The Glorious Middle Kingdom
Does Archaeology Support the Bible?
Get Answers : Archaeology, Bible, Genesis, Histor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2009/10/10/news-to-note-10102009
출처 - AiG News, 2009. 10. 10.
하나님은 공격적인 행동도 창조하셨는가?
(Did God Create Aggressive Behavior?)
by Brian Thomas, Ph.D.
성경 창세기 1장에는 하나님이 창조 주간의 사역을 마치시고 ”그 지으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it was very good)...”고 기록하고 있다.[1] 그러나 오늘날 이 세계에서 보여지는 공격적인 행동과 같은 몇몇 일들은 부정적이고, 위험하며, 파괴적이다. 만약 모든 것들을 창조하신 하나님이 선하시다면 어떻게 그러한 일들이 생겨날 수 있었을까? 한 새로운 연구는 이러한 궁금증에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의 트루디 맥케이(Trudy MacKay)가 이끄는 연구팀은 초파리(fruit flies)들의 어떤 유전자의 영향을 조사하다가, 공격적 행동(aggressive behavior)을 야기시키는 특별한 돌연변이들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그러한 행동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57개 유전자들에서 59개 돌연변이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 돌연변이들의 32개는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반면에, 27개 돌연변이들은 초파리들이 더 평온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2] 그 연구 전까지 57개 유전자들 중에서 어떠한 것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지 않았었다.
더군다나 BMC Biology 저널에 게재된 그 연구의 결론 중 하나는 ”사람을 포함하여 다른 동물 종들 사이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미래 연구에 있어서, 이들 유전자들이 새로운 후보 유전자들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3]
공격적 행동들은 창세기 1장이 아니라, 창세기 3장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창세기 3장은 아담의 범죄로 인한 우주적인 비극을 기록하고 있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해 이 세계에는 타락, 고통, 질병, 죽음이 들어왔다.[4] 일부 동물들의 공격적인 행동들은 하나님의 원래의 완벽한 창조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죄로 인해 야기된 저주의 결과인 것이다. 그래서 피조물들이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하고 있는 것이다.[5]
References
[1] Genesis 1:31.
[2] 'Cross' breeding: What makes an angry fly? BioMed Central press release, via EurekAlert!, June 24, 2009.
[3] Edwards, A. C.. et al. 2009. Mutations in many genes affect aggressive behavior in Drosophila melanogaster. BMC Biology. 7: 29.
[4] Genesis 3:17-19.
[5] Romans 8:22.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4778/
출처 - ICR News, 2009. 7. 16.
보톡스 : 독물도 치료약이 될 수 있다.
(Botox : Toxin Becomes Treatment)
보톡스(Botox) 치료는 얼굴의 주름을 줄여주는 화장품처럼 잘 알려져 있다. 그것은 또한 눈 근육(eye muscles)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발견에 의하면,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s)으로 고통당하는 환자들에게 보톡스를 주사하여 도움을 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보톡스는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의 줄인 말로서, 의학적 치료 시에 사용되는 상품명이다. 독 물질로 간주되는 그것의 활성 성분은 어떤 박테리아들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들이다. 보툴리눔 톡신은 매우 소량이라 할지라도, 보툴리누스 중독(botulism)을 일으킨다. 특별히 유아들에게 이것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보툴리누스 중독은 보통 약물 사용, 부적절한 통조림 제품, 비위생적인 접시의 재사용 등으로 일어난다.
최근 실시한 한 연구에 의해서 영국 구이스 병원과 런던 킹스 컬리지의 비뇨기과 의사들은 방광조직 안으로 보톡스 주사가 과민성 방광으로 고통당하는 환자들의 배뇨 빈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1] 이것은 16명의 환자들에서 치료 후 적어도 24주 동안 더 안락한 삶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것이다.
많은 자연의 해로운 물질들의 경우에서처럼, 보톡스가 병을 일으키는 잠재력은 대게 부주의함과 오용 때문에 기인한다. 그러나 어떤 물질의 나쁜 영향만을 보고 그 선천적 잠재성을 무시해 버린다면, 보톡스의 의학적 장점은 이용되지 못했을 것이다.
만약 주의 깊게 조절되고 정확하게 사용된다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단백질이 고통을 경감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 물질의 잠재력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연구하고 시험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에게 명령하신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창 1:28)는 하나님의 말씀 안에 들어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창조물들에 대한 청지기로서, 과학적 탐사와 발견의 역할은 그를 힘입어 살며 기동하며 존재하는(행 17:28) 창조주의 작품들에 들어있는 경이로움을 드러내는 것이다.
References
[1]Botox injections can significantly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overactive bladders. Wiley-Blackwell publisher press release, June 9, 2009, reporting research published in Sahai, A. et al. 2009.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s for idiopathic detrusor overactivity: results from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BJU International. 103 (11) 1509-1515.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4766/
출처 - ICR News, 2009. 6. 26.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4677
참고 : 2365|2998|699|2996|2245|3046|4606
하나님은 마음이 변하시는 분인가?
(Contradictions : A Change of Heart. Does God change His mind?)
”나 여호와는 변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야곱의 자손들아 너희가 소멸되지 아니하느니라” (말 3:6)
”하나님은 사람이 아니시니 거짓말을 하지 않으시고 인생이 아니시니 후회가 없으시도다 어찌 그 말씀하신 바를 행하지 않으시며 하신 말씀을 실행하지 않으시랴”(민 23:19)
”이스라엘의 지존자는 거짓이나 변개함이 없으시니 그는 사람이 아니시므로 결코 변개하지 않으심이니이다 하니” (삼상 15:29)
이것과 같은 구절들로부터 하나님은 변하지 않는 분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그 분의 본성과 성품은 변하지 않으신다. 그 분은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다.(히 13:8). 그러나 아래와 같은 다른 구절들에서는, 중보자의 탄원이나 백성들의 회개가 있었을 경우 하나님이 한 국가나 한 그룹의 사람들에 대한 심판을 돌이키시고 계신다. 이것은 하나의 모순인가?
”여호와께서 뜻을 돌이키사 말씀하신 화를 그 백성에게 내리지 아니하시니라” (출 32:14)
”그들이 듣고 혹시 각각 그 악한 길에서 돌아오리라 그리하면 내가 그들의 악행으로 말미암아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려 하던 뜻을 돌이키리라” (렘 26:3)
”그런즉 너희는 너희 길과 행위를 고치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목소리를 청종하라 그리하면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선언하신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시리라” (렘 26:13)
”유다의 왕 히스기야와 모든 유다가 그를 죽였느냐 히스기야가 여호와를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간구하매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선언한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지 아니하셨느냐 우리가 이같이 하면 우리의 생명을 스스로 심히 해롭게 하는 것이니라” (렘 26:19)
”하나님이 그들이 행한 것 곧 그 악한 길에서 돌이켜 떠난 것을 보시고 하나님이 뜻을 돌이키사 그들에게 내리리라고 말씀하신 재앙을 내리지 아니하시니라” (욘 3:10)
성경으로부터, 우리는 거룩하시고 공의로우신 하나님이 죄(sin)를 벌하셔야만 한다는 것과 죄에 대한 하나님의 벌은 사망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창 2:15-17, 롬 6:23). 그러나 또한 우리는 하나님은 은혜가 충만하시고 죄를 회개한 자들에게 자비와 용서가 한량없으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이 두 특성 사이의 균형은 예레미야서의 이 구절들로부터 가장 잘 요약될 수 있다.
”내가 어느 민족이나 국가를 뽑거나 부수거나 멸하려 할 때에 만일 내가 말한 그 민족이 그의 악에서 돌이키면 내가 그에게 내리기로 생각하였던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겠고 내가 어느 민족이나 국가를 건설하거나 심으려 할 때에 만일 그들이 나 보기에 악한 것을 행하여 내 목소리를 청종하지 아니하면 내가 그에게 유익하게 하리라고 한 복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리라” (렘 18:7–10)
표현된 감정들
다음 구절들은 하나님께서 마음을 바꾸시는 분으로 비난될 때 인용되곤 한다.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 마음에 근심하시고” (창 6:6)
”내가 사울을 왕으로 세운 것을 후회하노니 그가 돌이켜서 나를 따르지 아니하며 내 명령을 행하지 아니하였음이니라 하신지라 사무엘이 근심하여 온 밤을 여호와께 부르짖으니라” (삼상 15:11)
성경 어느 곳에서도 하나님이 감정(emotions)이 없는 분이심을 가리키고 있지 않다. 사실, 감정은 자주 의인화된 언어로, 또는 인신동감론적(anthropopathic, 신의 감정을 사람의 감정처럼 표현하는) 언어로 하나님께 돌리고 있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행동과 감정을 사람의 행동과 감정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절들은 하나님이 자신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던 인간들의 죄에 대해서 가지셨던 감정적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그 구절들은 ”나는 그것을 처음에 즉시 시행하지 않았다. 나는 어떤 것을 더 잘 이해했다고 생각했다.”라고 표현하지 않았다. 대신에 하나님은 불순종과 사악함에 대해 우리 모두가 죄에 대해서 가져야만 하는 반응으로, 한탄하셨다 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님의 본성 또는 특성이 변하시는 분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사실, 슬픔의 반응을 요구하는 것은 그 분의 거룩하신 본성이다. 유한한 피조물인 우리는 우리의 도덕적 결정과 관련되어 있는 중요성을 알고 있다. 성경은 그 문제에 대해서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다. ”스스로 속이지 말라 하나님은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하시나니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6:7).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서 하나님의 가엾게 여기시는 마음은 은혜를 필요로 하는 죄 많은 인간들에 대한 오래 참으시는 하나님의 연민과 자비의 마음인 것이다.
하나님은 변하시는 분이 아니다. 그러나 그 분은 개인 또는 국가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선택하시는 데에는 변하실 수 있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2009/01/05/contradiction-a-change-of-heart
출처 - AiG, 2009. 1. 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4663
참고 : 4492|4608|4578|4540|4043|4480|4488|4452|4451|4450|4416|4413|4399|4387|3218|3166|3162|3065|3020|2805|2688|2530|2321|1793|1790|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