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위원회
2004-11-24

진화론의 역사 1 (20세기 이전) 

(History of Evolutionary Theory 1)


      진화론의 역사는 거짓과 사기극과 절망의 이야기이다. 이것은 탁상공론이요,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같은 동화이다. 또한 이것은 공산주의와 나치즘의 여행 동료였다.

진화론의 역사 1
20세기 이전 : 오히려 일관되고 훌륭한 과학자들은 이 이론을 거부했다.

진화론의 역사 2
1900 ~ 1950년 : 이 이론을 구조하려는 절망적인 노력

진화론의 역사 3
1950 ~ 현재 : 위스타(Wistar)나 다른 회의들은 그것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마지막 희망을 무너뜨렸다.

 

진화론의 역사 1 (History of Evolutionary Theory 1)

시종일관 진화론의 기초를 만들어 낸 사람들은 과학적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그들이 꿈꾸었던 탁상공론에 올라 앉아있다. 1장에서는 20세기 이전에 이루어진 진화론의 역사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과학 대 진화이다. Creation-Evolution Encyclopedia은 당신에게 창조과학의 진실을 알려줄 것이다. ( * 표를 한 사람들은 비창조론자들이다.)

 

진화론자들은 우주의 모든 것들이 스스로 만들어졌다는 이론을 논리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상당히 애를 먹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입장을 지지해줄 사람이 충분할 때까지, 그들의 입장을 고수하였다. 이 글은 당신에게 이러한 사실들을 밝히 알려줄 것이다. 이것은 몽상가들이 서양과학을 어떻게 탈취해왔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20세기 이전

일찍이 사람들은 우리의 세계와 우주를 이해하려고 애썼다. 이들은 뛰어난 이성을 가진 신중한 사람들이었다.

대부분의 사실들 속에서 그들은 하나님께서 모든 걸 만들었다고 믿었다. 자연의 사실들은 이러한 위대한 진리를 가리키고 있었다. 에거시, 베비지, 보일, 페러데이, 플레밍, 허셀, 주울, 켈빈, 케플러, 린네, 리스터, 맥스웰, 멘델, 모르스, 뉴튼, 파스퇴르 등은 그 당시의 과학을 이끌어 나가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현대 과학의 기반을 닦았다. 그 때는 진화론자가 없었기 때문에, 당신이 진화론자가 아니라고, 과학선생이나 과학자가 될 수 없다고 말하는 위원회는 없었다. 그때는 지금과 같이 철저하게 통제되는 과학위원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윌리엄 페일리(William Paley, 1743~1805)는 하나님이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지으신 유일한 분이라는 것에 대한 이유를 자세히 기술한 고전적 책인 '자연이론(Natural Theology)' 을 저술한 18세기의 특출한 사상가이다. 그가 가르친 그것은 '설계에 의한 논쟁(the argument by design)'이라 불린다. 그것은 식물과 동물의 놀라운 구조, 그것들의 뛰어난 적응능력, 그리고 그들을 만들어낸 지적설계들은 창조자로서, 또 생명을 주신 자로서의 하나님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놀라운 과학적 성취들을 이루어낸 현자들은 창조론자들이었고, 그러한 생각들을 비웃던 사람들은 비겁하고, 깊은 연구를 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는 사람들이었다.


*뷔퐁(Georges Louis Comte de Buffin, 1707∼1788)이 그런 사람이었다. 그는 가치 있는 어떠한 것도 성취하지 않았으며, 신에 대한 믿음을 거부하는 자였다. 생명체의 기원을 다른 곳에서 찾으면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는 연구를 했다.


린네(Calrolus Linnaeus, 1707∼1778)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동식물의 유형을 연구하고 공부하는데 일생을 바쳤다. 많은 수의 동식물이 그에 의해서 이름지어졌다. 많은 정보자료를 모으면서 그가 알아낸 것은 하나님에 의해서 창조되지 않고서는 종들의 구별은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 1744∼1829)은 많은 부인과 첩을 거느리고, 일생의 대부분을 가난하게 보낸 사람이다. 과학계에서 그는 '후천적 획득형질의 유전' 이론으로 유명하다. 그는 또한 'Lamarckism' 이란 이론으로도 유명한데, 그 내용은 만약 당신이 다리를 잃으면 후대의 자식도 다리가 없는 채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퀴비에(Baron Cuvier, 1769∼1832)는 프랑스의 개신교인으로서, 뛰어난 동식물학자이고 연구자이었다. 파리 박물관의 총책임자인 그는, 하나의 뼈조각 화석으로 생물을 규명해낼 수 있는 학자로 세계적 명성을 갖고 있었다. 수년간의 연구분석결과 그는 생명체를 가진 종은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바뀔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던 것이다.


*에라스무스 다윈(Erasmus Darwin, 1731∼1802)은 인정받기 원했으나, 가치 있는 아무 것도 이루어낸 것이 없었다. 그래서 그는 항상 동경하던 라마르키즘(Lamarckism)과 진화론의 내용을 담은 'Zoonomia' 라는 책을 써낸다. 자유개혁주의자들은 그의 책을 좋아했다. 그는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였기에 후에 더 큰 명성을 얻게된다.

*제임스 허튼(James Hutton, 1726∼1797)은 스콜틀랜드의 지질학자이다. 그는 오랫동안 만들어져온 굽어진 지층이나 굴곡이 있는 지형이 대홍수와 같은 것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수백 년간에 걸쳐 지구가 조금씩 침전하고 눌려서 형성된 것이라 주장했다. 그는 그의 이론 '동일과정설(uniformitarianism)'에서 '현재는 과거를 알아내는 열쇠이다.' 라는 모토를 주장한다.


*로버트 챔버스(Robert Chambers, 1802∼1883)는 스코틀랜드 사람으로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첫 번째 진화론 책인 '자연역사의 흔적(Vestiges of natural History)'을 썼다. 그의 이론에서 보면, 종은 하나가 다른 것의 기원임을 말하고 있다.

챔버스의 책에서 강하게 영향을 받은 자들 중에는 3명의 심령술사(spiritualist)가 있었다. *임마누엘 스웨덴보그(Immanuel Swedenborg)는 1734년에 모든 별과 행성은 소용돌이치는 가스로부터 만들어졌다는 '성운 가설(nebular hypothesis)'을 창안해낸 사람이고, 또 다른 심령술사는 *알프레드 월리스(Alfred Wallace)와 종의 기원의 저자 *찰스 다윈이다. 심령술사들은 악령들과의 대화를 계속하고 있었다. (스웨덴보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책 3권을 보시오 : 'Origin of the Solar system from the Order Sheet')


*찰스 라이엘(Charles Lyell, 1797∼1875)은 찰스 다윈과 더불어 가장 영향력있는 19세기의 진화론자였다. 어떠한 과학적인 노력 없이도 그들의 이론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라이엘은 과거의 기록들이 여러 사실들과 일치하지 않으며 나타날 때 매우 고심했다. 그는 그것을 '지질학적 기록의 불완전함'에 기인한다며 변명했다. 그는 3권의 책인 '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를 저술했다.


*알프레드 월리스(Alfred Wallace, 1823∼1913)은 앞에서 언급한 심령술사이다. 동남 아시아에서 열병에 걸려있는 동안, 진화의 원인으로서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이라는 문구를 생각해 내었다. 그는 영국으로 돌아가 기록하기를, 이 생각은 나에게 영감처럼 떠올랐다고 하면서, 그것은 진화의 원인임에 틀림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생존은 진화가 아니다. 만약 당신이 70살까지 살았다고 하자. 그만큼 진화한 것인가? 월리스는 그러한 생각들을 정리하는 동안, 찰스 다윈에 의해 그 이론을 도둑맞았다. 1875년 월리스는 공공연히 자신은 심령술과 막시즘주의자 라고 말하였다.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은 그의 아버지에 의해 대학으로 보내어졌는데, 신학과정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공부에는 조금의 관심도 없었다. 그는 부유한 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전 세계를 여행하는 배를 자연학자(naturalist)로서 동승하게 된다. 다윈은 많은 곳은 여행했는데, 진화이론의 증거를 발견하게 되는 갈라파고스(Galapagos) 섬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 섬에는 18종류의 핀치새를 발견한다. 그것들은 확실히 모두 같은 종이었지만, 몇몇은 다른 것보다 긴 부리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 그는 진화가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확신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핀치새들에 관한 한 그들은 진화하지 않았다.

집으로 돌아온 이후, 다윈은 결혼하여 가정생활을 꾸렸고, 유산으로 생계를 유지해 나갔다. 그는 비둘기를 가지고 새로운 종으로 바꿔보려고 계속 실험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그는 옆 가게에서 발견한 연장으로(잣대로) 다른 것들을 측정해 버렸던 것이다. 그는 편지들을 썼고, 생각하고 생각했다. 그의 이론에 근거하여 그는 사람들에게 한 세기 안에 백인들이 모든 열등한 민족들을 짓밟아 버릴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Shrewsbury에서 고양이 꼬리를 잘랐을 때 새끼들도 짧은 꼬리를 가졌다는 소리를 듣고 매우 흥미를 느꼈다. 이것은 그가 책으로 쓰고 싶은 꿈같은 정보들이었다. 하지만 몇 년뒤 그는 너무 게을러서 이러한 사실들을 가지고 책을 쓰지 못했다. 그때 그의 경쟁자가 유사한 생각을 출판하고자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래서 그는 자기의 생각이 맨 처음으로 인쇄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무엇보다도 다윈은 그의 할아버지 에라스무스 다윈(Erasmus Darwin) 처럼(무신론적 책을 출판한) 유명해지기를 바랬다. 그 결과가 '종의 기원(Origin of the Species)' 이라는 책이었다. 그것은 너무도 터무니없어서 현재 진화론자들도 쉽사리 적용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윈은 여러 종들이 기원될 수 있는 방법을 결코 고안하지 않았다. 그가 해낸 최선은 그렇게 일어나길 바란다는 것뿐이었다.

다윈은 전문적인 과학자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 시대에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연구한 아마추어였다. 그는 과학과정을 학교에서 결코 공부한 적이 없다. 다윈이 남아메리카의 나라들로부터 마술(witchcraft)을 시작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는 그 지방의 종교의식에 참여했고, 어떤 것이 그에게 발생했다. 그가 영국에 돌아왔을 때, 창조자를 가리키고 있는 자연세계와 사실들을 오로지 부정하면서 살았다.


그레고르 멘델(Gregor Mendel, 1822∼1884)은 동유럽에서 살며 연구하던 창조론자이다. 그는 과학과 수학선생이었다. 그는 혼돈스러운 Darwin과 추종자들의 생각과 주장들을 읽어본 뒤에, 실제로 과학연구를 하는 사람에 대한 글들을 봐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완두콩에 관한 연구로부터, 그는 유전학에 대한 여러 개념들을 확립하게 된다.

그는 1865년에 그의 발견을 정리해 발표하였으나, 전부 무시당하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다윈의 진기한 생각이 대중들에게 전해져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결국 1900년에 과학자들은 멘델의 연구결과의 가치를 발견하였고, 그의 실험은 현대 유전학의 기초로 확립되었던 것이다.

그의 발견은 종의 진화에 대한 기초를 무너뜨릴 만큼 영향력이 있었다. 왜냐하면 동물이나 식물은 오직 같은 종의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를 통해서만 다시 태어난다는 사실을 명확히 밝혔기 때문이었다.


루이스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1895)는 화학, 의학, 산업에 지대한 공헌을 세운 화학자이다. 그는 또한 창조론자이었다. 진화론이 대두되어 과학계를 흔들어놓고 지지를 얻을 때, 파스퇴르는 이에 맞서 싸우면서,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했음을 선포했다.


오구에일 운석(The Orgueil Meteorite). 진화론의 역사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자주 속임수나 몽상적인 생각, 거짓, 그리고 오류 등을 보게된다. 그 예중에 하나가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유기물질을 함유한 운석이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사건이었다. 결국 그것은 사기극으로 밝혀졌다.


*허버트 스펜서(Herbert Spencer, 1820∼1903)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칼 막스(Karl Marx), *프로이드(Sigmund Freud),*존 듀이(John Dewey)와 같은 사람들과 함께 했던 인물로, 사회분야(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경제학 등)에 진화론적인 가르침과 도덕을 도입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진화와 사회(Evolution and Society)를 보라. 스펜서는 또 한 명의 심령술사로 진화론이라는 동전에 영감을 불어넣은 사람이었다. 그는 *월리스의 '적자생존'이라는 문구를 *다윈에게 전달하였다. 그는 결코 연구를 하지 않았고, 이론들에 대해서 논평만 하였다.


*토마스 헉슬리(Thomas Huxley, 1825∼1895)는 다윈의 '불독' 이라고 불려지던 사람이다. 그들은 한 팀이었다. 다윈은 연약한 몸으로 자신의 이론을 꿈꾸었고, 헉슬리는 강인하고 끈끈한 힘으로 모든 곳에 그 이론을 전파했다.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 1834∼1919)은 진화론자로서 과학분야 학위를 취득한 진화론자였다. 그러나 그는 거짓도표들과 사기적 주장들로 진화론을 발전시켰다. (그에 대한 더 자세한 자료는 Recapitulation을 보시오)

다른 여러 진화론자들을 따라, 그는 '열등한 종족'을 없애버리자는 투사이었다. (진화와 사회의 부분에서 이것에 대한 자료가 나온다.) 후에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가 그의 진화론에 관한 책에서 그 의견을 차용하여 쓰게된다. 히틀러는 다윈과 그의 동료들이 자신의 생각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말하였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sdadefend.com/pathlights/ce_encyclopedia/Encyclopedia/20hist02.htm

출처 - Creation-Evolution Encyclopedia


김무현
2004-11-17

진화론은 순환논리 

(circular reasoning)


      필자는 지금까지 진화론의 여러 모순점들과 불가능성에 대해서 계속 지적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뿐 아니라 우리 자녀들도 공교육을 통하여 너무나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과학적 사실로 배웠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몇년 전, 필자의 자녀가 학교에서 생물학 숙제를 가져왔는데, "최근 유전자 연구의 성과로 침팬지와 인간의 유전자간에 95-98% 유사성이 입증됨으로 침팬지가 인류의 조상이라는 진화론이 검증 되었는데, 그것에 대한 에세이를 쓰라”는 것이었다. 난감한 표정으로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묻길래, "그 연구 결과는 공통조상(common ancestor)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 설계자(common designer)가 비슷한 설계도와 비슷한 재료와 방법을 사용하여 만든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라고 쓰라고 훈수한 적이 있다. 그리고 "100% 물인 구름과 98% 이상이 물인 수박이 공통조상에서 온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아주 다른 것” 이란 코멘트도 덧붙이라고 하였다. 아마 그 생물 선생이 화가 나서 에세이 점수를 박하게 준 것으로 기억한다.


진화론이 나오기 전 역사지질학의 패러다임은 성경적인 젊은 지구와 노아의 홍수에 의한 퇴적암 지층형성이었다. 그러나 진화론이 과학적 사실로 받아 들여지면서, 진화가 가능할 만큼의 오랜 세월이 꼭 필요하게 되었고, 그와 보조를 맞추기 위해 오래된 지구와 균일론적인 지질학(약 5,000년 정도에 약 1ft 정도의 지층이 일정 속도로 쌓인다고 주장함)이 과학계의 패러다임으로 자라잡게 되었다.


이러한 균일론적 가정(Uniformitarianismic assumption)은 1795년 영국의 허튼(James Hutton)과 그 후 라이엘(Charles Lyell)에 의해 절대 불변할 수 없는 지질학적 원리처럼 주창되었고, 그와 병행하여 다윈(Charles Darwin)은 1859년 『종의 기원』을 출판하게 되어, 진화론의 개념이 기원에 관한 모든 사실을 설명할 수 있는 듯이 과장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로는 그 가정 하에 만들어진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등의 지질주상도(geological column)가 과학적 사실(scientific fact)처럼 공인 된 것이다 (이 지질주상도는 진화론의 배경신념하에 만들어 낸 상상도이며, 지구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필자의 이전 칼럼에서 이미 지적 한 바 있음). 그 후, 지구의 나이는 진화론의 필요와 과학자들의 합의에 따라 수 백번씩 수정되는 해프닝도 있었다.

 

즉, 작금의 역사지질학은 진화론의 가정 하에 그 기초가 만들어진 것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화론자들에게 진화론의 증거를 대라하면 바로 역사지질학에서 보여주는 오래된 지구가 그 증거라고 한다. 이것이야말로 전형적인 순환논리(circular reasoning)이다. 순환논리라 함은 두 가지가 있어 서로가 서로를 증거하는 것처럼 보이나, 서로가 서로를 가정하기 때문에 사실은 증거가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쉬운 예를 들자면, 어느 한 왕에게 가서 "Are you a king?”라고 물었더니 "Yes.”라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How do you know?”하고 물었더니 "Because my wife is a queen.”이라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여왕에게로 가서 "Are you a queen?”하고 물었더니 "Yes.”하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How do you know?”하고 물었더니 "Because my husband is a king.”이라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은 것이 전형적인 순환논리이다. 진화론과 역사지질학은 이와 같이 king과 queen의 관계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일본 창조과학회의 회장이었던 우사미 마사미 박사는 그의 간증문에서 진화론을 열심히 공부하던 중, 생물교과서에는 "고생대 지층에서 나오는 것이 고생대에 살았던 생물들이다”라고 되어있고, 지학교과서에는 "고생대 생물의 화석이 나오는 지층이 고생대 지층이다”라고 적혀 있는 사실에서 진화론의 순환논리의 모순을 깨닫고 창조신앙을 갖기 시작하였다 라고 회고한 바 있다.

 

이러한 순환논리는 진화론자들의 주장을 잘 검토해 보면 어김없이 드러나게 되어 있다. 한 예를 들자면, 진화론 지질학자인 루어케(O' Rourke)박사는 "지층이 화석의 연대를 정한다. 하지만, 화석이 지층의 연대를 더 정확히 보여준다(The rocks date the fossils, but fossils date the rocks more accurately.)”라는 과학적이라기엔 너무나 아리송한 결론을 주장하고 있다. 지금도 역사지질학자들은 오래된 지구의 가장 확실한 증거는 암석의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법이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의 문제점은 이미 필자의 이전 칼럼에 지적한 바 있음). 하지만, 그들조차도 화석의 배열순서와 동위원소법 사이에 모순이 생길 때, 오히려 화석의 배열에 더 신뢰를 두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진화론의 배경신념이 다른 무엇보다도 가장 우선되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법이 그렇게 믿을만한 것이 못된다는 것을 진화론자들 마저도 이미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셈이기도 하다.

”스스로 지혜있다 하나 우준하게 되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 (롬 1:22-2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319

참고 : 6553|6486|6550|6149|6132|5081|5130|4639|5740|5683|5420|5994|6449|4821|6263|6018|6468|6148|6474|5510|5947|5954|5591|6211|5589|5602|5966|4837|6090|485|3890|390|2349|3782|6438|4510|5474|6495|5458|6243|5863|2698|6399|5460|6489|5135|5000|4828|6118|6394|6168|6138|5996|774|5497|5827|5158|5962|6358|6258|6119|4066|5544|5443|6556|6501|6096|5459|5274|5450|5909|6461|6436|5586|4542|5041|3391|6393|6476|6292|5796|5768|6271|5462|6146|6439|3591|6125|3426|6285|6152|6153

John Woodmorappe
2004-11-16

하나님이 진화론과 연합될 수 없는 이유 

: 유신론적 진화론의 어리석음 

(Why God Cannot be Combined with Evolution)


말과 트랙터에 대한 비유

어느 날, 한 세일즈맨이 농부를 찾아갔다. 농부는 만족하게 말(horse)이 끄는 쟁기(plow)를 사용하고 있었다. 세일즈맨이 농부에게 최근에 발명된 디젤 트랙터에 대하여 말했다. ”당신에게 굉장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한 기계를 소개하려고 방문했습니다.” 세일즈맨이 말했다.

트랙터가 어떻게 작동되는 지를 들은 후에, 농부는 말했다. ”트랙터는 말이 쟁기를 끌게 하는 새로운 수단이군요, 그렇죠?”

”아닙니다” 세일즈맨은 말했다. ”트랙터는 말과 함께 일하지 않습니다. 트랙터는 말을 대체하는 것입니다.” 세일즈맨은 트랙터는 스스로 추진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말이 필요하지 않음을 농부에게 설명했다.

”이제 알겠습니다.” 농부는 중얼거렸다. ”그러나, 나는 트랙터를 중립에 두고 트랙터와 말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말이 트랙터와 쟁기를 같이 끌게 하는 것이지요.”

”잠깐만요” 세일즈맨은 말했다. ”말을 잘 못알아 들으시는군요. 왜 말이 트랙터와 쟁기를 같이 끌게 합니까? 당신이 트랙터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트랙터의 힘으로 작동하도록 하시면 됩니다. 만약 당신이 말을 정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말이 쟁기 하나만 끌게 하면 됩니다. 불쌍한 동물이 무거운 기계까지 끌게 할 아무런 이유가 없지 않습니까?”

”그 경우에” 농부가 대답했다. ”나는 트랙터를 운전할 것이고, 말은 단지 휴식을 취하도록 사용하는 것입니다. 내가 나의 트랙터를 운전할 때마다, 나는 나의 말이 그것을 정말로 끌어당기고 있다고 모두에게 말할 것입니다.”

세일즈맨은 당황하여 그의 머리를 흔들면서 말했다. ”당신은 당신 맘대로 무슨 말이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억해야할 것은, 트랙터는 자기 힘으로 추진되도록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말은 그것과 상관이 없습니다.”

”오, 그러나 당신은 틀렸습니다.” 신념을 가지고 농부는 말했다. ”단지 우리가 트랙터 주변에서 말을 볼 수 없다고, 말이 그곳에 없다고는 말할 수는 없습니다. 말은 보이지 않게 끌어당기고 있는 것입니다.”

세일즈맨은 한숨을 쉬면서 코트를 입었다. ”예, 맞습니다” 그는 문쪽으로 걸어가며 중얼거렸다. ”당신과는 말이 통하지 않는군요. 당신에게 트랙터를 움직이고 추진력을 갖게 하는 상상의 존재는 오직 말이군요. 사실, 트랙터가 혼자서 움직인다는 것과, 당신이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말에 의해서 움직인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는 다른 고객을 찾기 위해 나갔다.

말과 트랙터를 연합하려는 어리석음은 하나님과 진화론을 연합시키려는 것(소위 '유신론적 진화론', theistic evolution)과 동일하다. 자연주의적, 진화론적 설명은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 데에 하나님의 역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말처럼 매우 부적절하다. 만일 트랙터가 적절히 작동되고 있다면, 말은 초원에서 서성거릴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자연주의적 진화를 사용하여 일하시는 하나님을 상상해 보자. 이것은 트랙터를 중립으로 두고 끌고 있는 말처럼 넌센스이다. 만약 자연주의적 진화론이 진실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은 자신의 힘으로 달릴 것이다. 즉,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추진력과 본질이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사람들이 아직도 하나님을 필요로 한다면) 하나님에게는 다른 일을 드려야할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서도 생물들의 창조하심은 없다.

반면에 진화가 충분하지 않다면 (트랙터가 가동되지 않는다면), 왜 하나님을 그 설명에 끌어넣는가? 왜 창조주 하나님을 거짓된, 그리고 잔인하고, 낭비적인 진화론적 과정을 끌고 가시는 것으로 짐을 지우는가? 가장 이상한 것은 하나님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과정에서의 명목상, 또는 엄격히 수사적인 하나님의 역할이다. 농부가 주장한 것처럼, 모두가 관측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랙터는 그의 말이 보이지 않게 끌고 있기 때문에 움직인다고 말할 수는 있다. 이것은 이웃들의 신뢰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대신 이웃들은 아마도 그가 자기망상에 사로잡혔다고 불쌍히 여길 것이다.

유신론적 진화론(theistic evolution)과 자연주의적 진화론(naturalistic evolution)은 기능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단지 차이는 전자인 경우에는 허울뿐인 신학적 용어가 붙어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트랙터 앞에 있는 보이지 않는 말과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이다.


* 유사 용어 : 하나님과 진화론의 연합,   진화와 창조의 연합,   진화론과 하나님의 화해,   진화론적 창조,   창조를 통한 진화,   창조적 진화론,   하나님에 의해 지시된 진화...

  

*관련기사 : 유신 진화론은 복음을 어떻게 파괴하는가? (2016. 1. 9. 기독일보)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rae.org/tractor.html

         http://creation.com/the-horse-and-the-tractor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1999. 7. 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314

참고 : 4636|4635|4579|3591|3426|4548|4542|4585|4238|4549|4039|4146|3077|3026|5462|5461|5413|5272|5211|5210|5112|4766|4765|6285|6152|6153|6110|3242|3241|3244|6099

Jerry Bergman
2004-11-11

두 교수에 대한 이야기 

: 진화론을 가르치는 교수, 창조론을 가르치는 교수 

(A Story of Two Professors)


    오늘날의 고등교육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는 2 명의 교수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하디슨(Hardison) 교수는 생물학에 대해 논의하기를 좋아했던 철학 교수였고, 비숍(Bishop)은 철학을 논의하기 좋아했던 해부학 교수였다. 그러나 그들의 유사성은 거기서 끝난다.


리차드 하디슨 (Richard Hardison)

하디슨 박사는 하나님, 진화론, 그리고 삶의 목적에 관한 자신의 의견이 옳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확신시키려고 열심히 노력하였다. 하디슨은 ”철학과 신학, 특히 이성과 믿음에 관해서 명확히 생각할 수 있도록” 특별히 효과적으로 도왔다고 그를 존경하는 학생 중 한 명은 말했다 (Shermer, p.15). 하디슨이 많은 사람들에게 그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이도록 영향을 끼쳤지만, 그 중의 한 명인 마이클 셔머(Michael Shermer)에 대한 이야기만 여기에서 말하고자 한다.

마이클 셔머 박사는 어릴 때 기독교를 알게 되었고, 고등학교 3학년 때 정식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했다(p. 2). 사역을 위해 나아가는 가운데, 그는 페퍼딘 대학(Pepperdine University, 그리스도의 교회 학교)에 신학을 전공하기 위해서 등록했다. 글렌데일(Glendale) 대학에서 철학 강의를 들을 때, 이 예비 목사는 하디슨의 강의를 택했다. 마이클 셔머는 그의 교수에게 예수님을 증거하기로 결심하고, 그에게 기독교 신학에 관한 책을 주었다. 그의 교수인 하디슨은 그 책을 논박할 결심을 하고서, 문제점들의 목록을 타이핑해서 마이클에게 주었다. 곧 수업 도중과 후에 오랫동안에 걸친 많은 토론이 있은 뒤, 하디슨이 마이클을 이겼고, 마이클은 열성적인 기독교인에서 열성적인 무신론자로 전향하여, 기독교와 하나님에 대항하는 개종활동에 활약하게 되었다.

현재 마이클 셔머는 특히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과학과 이성을 사용하는’ 믿는 자들의 모든 시도에 대항하고 있다 (p.13). 얄궂게도 그는 회의론자 잡지(Skeptic Magazine)의 편집자로서, 그리고 수많은 책의 저자로서, ‘과학과 이성(science and reason)’을 사용해 하나님의 존재를 반증하기(최소 반박 주장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는 특히 창조론을 공격하는 일에 적극적이다. 왜냐하면 그의 말로 하자면, ”하나님을 믿는 이유에 대해 사람들이 제시하는 첫 번째 이유가... 고전적인 우주론이나 설계 논증이기 때문이다. 즉 훌륭한 설계, 자연의 아름다움, 세상과 우주의 완전성과 복잡성은 지적설계자 없이는 발생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사람들은 자신의 감각에 대한 증거가 그렇다고 말하기 때문에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한다 (p.14).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하디슨 같은) 많은 교수들이 고전적인 우주론의 설계논쟁을 공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무신론으로 돌아서도록 만들고 있다.

하디슨이 학생들을 그의 세계관으로 전환시키는데 매우 활동적이었지만, 그의 무신론적 전환 활동에 대해 (학교측이) 불평이나 염려하는 어떠한 기록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심지어 그가 활발하게 학생들의 신앙을 무너뜨리고, 때때로 분명하게 학생들을 자신의 관점으로 바꿀 때조차도 학생들에게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선생으로 여겨졌다. 때때로 몇몇 학생들은 그가 종교를 전향시키려고 한다고 느끼면서 반대를 했지만, 그들의 불평은 결코 법정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만약 그랬다면, ACLU와 다른 기관들은 십중팔구 하디슨의 학문적 자유를 지지했을 것이다.)


필립 비솝 박사 (Dr. Philip Bishop)

필립 비숍(Philip Bishop) 박사는 앨라배마 대학교의 생리학 부교수이자, 학내의 인간행동 실험실의 책임자이다. 그도 또한 인기 있는 선생으로 진화론적 자연주의 대신에 지적인 설계에 관한 풍부한 생리학적 연구들을 통해 제공된 증거들로부터 얻어진 결론을 가지고 2분간 토론을 함으로서 매 학기 강의를 시작했다 (McFarland, p.2). 이것에 대한 도전으로, 제 11대 미연방 순회 항소 법원의 3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수업 중에 그의 종교적 신앙에 대해 결코 언급하지 말라는 대학측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비숍은 또한 자신만의 시간에 인간 생리학 내 하나님에 대한 증거 (Evidence of God in Human Physiology) 라는 선택과목도 포함시켰으나, 법정은 그것도 또한 그만두도록 명령했다 (Jaschik, p. A23).

그 대학은 단지 비숍에게만 (그 외의 사람은 없음) 수업 시간에 그의 개인적인 세계관을 아주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조차도 못하도록 했다 (Bishop brief, p.7). 비숍의 소송 적요서(brief)는, 만약 오직 무신론적이거나 불가지론적인 세계관을 가진 교수들만이 자유롭게 그들의 견해를 표현할 수 있다면, 학생들은 모든 교수들이 그러한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는 그릇된 결론을 내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맥팔랜드(McFarland)는 이 소송을 다음과 같이 특징지었다.

”대학당국은 비숍 박사에게, 강의실에서의 말뿐 아니라 캠퍼스에서의 임의적인 이야기까지도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어떤 교수도 그리고 다른 어떤 주제도 그와 같이 박탈되지는 않았었다. 비숍 박사는 그의 언론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는 연방 법원의 명령을 얻어냈지만, 그것은 제 11대 미연방 순회 항소 법원의 파괴적 의견에 의해 기각되었다. 법원은, 공립대학교 교수는 학문의 자유에 대한 어떠한 헌법상의 권리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강의실 내의 언론의 자유권은 대학당국에 의한 절대적인 관리(검열)에 속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p. 2).

비숍 사건의 초점은, 수업시간이건 강의실 밖에서건, 학문적 전문 지식의 주제에 관한 교수 개인의 관점을 언급하는 것을 제한하는 절대적 권리를 대학이 가지고 있다는 대학측의 주장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비록 비숍의 의견제시가 파괴적이지 않고, 위압적이지 않으며 분명히 개인적 성향으로 인정되었지만, 대학측에서는 교수들이 자신의 관점을 제시하도록 허용한 것은 대학이 그들에게 부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고 주장하였다. 즉, ‘검열되지 않은 모든 것’은 양도되었다고 주장하였다 (Bishop, p.10). 비숍은 공립 대학교에서 개인적 믿음에 대한 간혹적인 표현은 "대학의 허가를 받아야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므로, 따라서 그것들이 파괴적이지 않고 위압적이지 않을 때는 헌법 수정 제 1조항에 따라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Bishop, p.9).

항소에서 대학 측은 비숍 박사의 말을 ”단지 종교적인 내용 때문에” 제한했다는 것과, ”종교적 관점을 갖는 말은 다른 형태의 말과 같이 차별적인 취급을 받지 않아야한다”고 주장됨으로서 압박을 받았다.  (p.13). 항소 법원의 결정은 광범위한 판례(case law)나 헌법에 반하여, 만일 그것이 종교적이거나, 심지어 종교적인 동기로 해석될 수 있거나, 심지어 표현된 관점이 분명히 사적인 것으로 확인될 때조차도 ”사실상 교수의 수업 중 혹은 수업과 관련된 말에 대한 무제한적인 검열”(Bishop, p.9)을 승인했다.

엄격하게 적용하자면, 이번 판정은 교수가 자기는 유대인이라고 말하거나, 이슬람교도라고 말하거나, 교회에 간다거나,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하는 것은 부적당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같은 교수가 하나님을 믿지 않는다거나, 종교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허용된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교수는 ”종교적인” 가치나 믿음으로 정의되는 말과 반대되는 것은 무엇이나 강의할 수 있지만, 그것에 찬성하여 강의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항소 법원은 ”종교적 관점의 표현은 그것이 얼마나 주의 깊게 제시되었든지 간에 학생들에게 괴로움(anxiety)을 일으키므로” 학생들이 종교에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합법적인 권리”를 학교 측이 가지도록 판정했던 것이다 (Bishop, p.15).

항소 법원은 또한 ”얼마나 주의 깊게 제시되었든지 간에, 세속적 과목 안에서 종교적인 태도의 표현은 대학측이 그러한 입장을 부여한 것으로 비춰지며, 유사한 믿음을 가지도록 더 나아가 자신의 믿음을 부정하라고 압박당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괴로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Bishop, 16). 만약 유신론을 지지하는 약간의 기미라도 있다면, 다른 모든 고려 사항(헌법 수정 제1조항을 포함하여)들은 통제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오직 무신론만이 가르쳐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대법원은 사건 이송 명령(certiorari)에 대한 탄원을 기각했고, 그 사건은 끝이 났다.


비숍 사건에 대한 기타 논평

교수들은 대개, 자주 노골적으로 그들 자신의 무신론적인(또는 불가지론적인) 종교적 관점을 수업 시간 중에 주입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관점은 대게 제한받고 있지 않으며, 만일 제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학계의 거센 반발에 직면할 것이다 (Johnson, pp. 179-184). 법원은 수업시간에 반종교적이거나 무신론적이거나 혹은 불가지론적인 자료들을 계속 제시하고 주입한 교수들은 정당하지만, 반대되는 것을 주입한 교수들은 잘못이라는 판결을 내렸던 것이다 (Bergman, pp. 1-34).

코넬 대학의 생명과학 교수인 프로빈(William B. Provine)은 처음에는 자기의 수업시간에 유신론을 믿는 학생들이 많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나머지 학기 동안에 유신론적 논쟁을 뒤집기 위해 노력했다. 강좌 초기에는 약 75%의 학생들이 창조론자이거나, 적어도 진화의 목적을 믿었었다고 그는 말한다. 다시 말해서 유신론자이거나 하나님이 진화를 지시했다고 믿었었다. 프로빈은 자랑스럽게 말하기를(p.63), 강의가 끝날 무렵에는 유신론자들의 비율이 50%로 떨어졌다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 전체에서 약 90%에 상당한다) (Shermer, p. 156). 명백하게 그는 그의 학생들에게 무신론적인 영향을 주는데 성공적이었고, 그의 성공에 대해 매우 공개적임에도 불구하고, 대학과 법원은 간섭하지 않았다.

 

결론 (Conclusions)

2명의 교수 사이에는 많은 유사점이 존재한다. 둘 다 인기 있었고, 훌륭한 선생으로 간주되면서 자신의 분야에서 식견이 있었다. 둘 다 학생들이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도록 돕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하디슨 박사는 학생들에게 저서를 통해, 수업 시간 중에, 공개적으로, 그리고 수업 시간 후에 그들을 만나면서 그러한 노력을 기울였다. 반대로 비숍은 단지 수업 시간 후에만 유신론을 지지하는 그의 관점을 들려주기 위해서 학생들을 신중하게 초대했다. 한 경우에 있어서는 법정과 연루되도록 요구조차 되지 않았다. 다른 경우는 명백한 법원 판결로 끝났다. 비숍은 그의 관점을 심지어 교실 밖에서조차 꺼내지 못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기독교 학생들을 불편하게(uncomfortable) 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적 종교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말하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한 교수는 최대한의 학문적 자유를 가지는 한편, 다른 교수의 학문적 자유는 분명하게 박탈되었다. 차이점은 한 사람은 무신론자이고, 다른 사람은 유신론자라는 것뿐이었다. 한 사람은 그의 관점을 학생들에게 수업 시간에 상관없이 공개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격려되었고, 기독교인 학생들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해 조금도 언급되지 않았다. 해고의 고통 아래에 있는 다른 교수는 그가 개인적으로 믿는 것을 학생들에게 암시조차 하지 못하게 되었다. 비숍 박사는 또한 그가 개인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관점을 가르쳐야 했고, 학생들에게 그것에 대하여 그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유사한 더 많은 경우가 인용될 수 있겠으나, 이 사례는 대학이 유신론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종교에 대해 적대적인 세계관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수단이 되었다는 많은 사람들의 염려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법원은 어떻게 이 논쟁에서 중립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인가?



References

Bergman, Jerry. The Criterion; Religious Discrimination in America. Richfield, MN: Onesimus, 1984. Out of print.

Bishop, Phillip A. v. O.H. Delchamps, Jr., et al. Brief submitted to the U.S. Supreme Court, Oct. Term, 1991.

Hartwig, Mark. 'Christian Prof. Loses Free-Speech Case.' Moody Monthly, June 24, 1991, p. 55.

Jaschik, Scott. 'Academic Freedom Could Be Limited by Court Ruling.'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Apr. 17, 1991, p. A23.

Johnson, Phillip E. Reason in the Balance: The Case Against Naturalism in Science, Law, & Education.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5.

Myers, John (Ed.). 'U.S. Supreme Court Denies Review of Bishop: Academic Freedom stumbles in wake of 11th Circuit Court Ruling.' The Real Issue, 11(3), Oct. 1992.

Provine, William. 'Response to Johnson Review.' Creation/Evolution, Issue No. 32, Summer, 1993, pp. 62-63.

Shermer, Michael. How We Believe: The Search for God in an Age of Science. NY: Freeman, 2000.

Shermer, Michael. Why People Believe Weird Things. NY: Freeman, 1997, p. 156.

* Dr. Bergman is on the Biology faculty at Northwest State College in Ohio.


번역 - 한국창조과학회 대구지부

링크 - http://www.icr.org/pubs/imp/imp-372.htm

출처 - ICR, Impact No. 372, June 2004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307

참고 : 5462|5461|5413|5272|5211|5210|5112|4766|4765|4636|4635|4542|4140|4039|3812|3682|3426|3423|3244|3241|3077|3055|3041|3039|3037|3024|2864|2579|2359|2353|2330|2307|2114|2039|2016|1174


미디어위원회
2004-10-12

성경 허물기 작전 : 유럽의 전철을 밟으려나

이재만 


     유럽의 교회가 텅텅 비어가고 있다는 것은 그리 특별한 뉴스가 아니다. 사실 비어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텅 비어있다. 그 수 많은 신학자들과 선교사들, 독실한 기독교인들을 배출했던 이들이 단지 수십 년 만에 이지경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교회성장에 대하여 연구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유럽교회가 타락하는데 여러 가지 그 원인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카톨릭이 타락 했어도 종교개혁이 있었다. 정치적 영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근본은 남아있었다. 많은 도전과 문제들이 있었지만 그래도 끈끈이 하나님을 신뢰하는 근본이 사라지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성경이 무너지는 것은 다른 국면을 맞이했다. 유럽교회가 소생의 기미를 보이지 않게 되었다. 성경의 진리가 무너지면서 유럽교회는 도미노처럼 쓰러졌다.

서양이 하나님을 배제한 상태로 이성과 합리주의를 추구하기 시작한 계몽주의가 시작할 때만 해도 유럽교회의 위기가 크게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초 진화론적인 사고와 자연주의의 여파는 성경의 근본을 강타하는 전기를 마련했다. 성경을 믿어야 할 근거를 잃어버린 것이다. 기독교인이 되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하게 된 것이다. 기독교가 타 종교 중에 하나로 떨어져 버렸다. 기독교인들이 설 자리를 찾지 못했다. “터가 무너지면 의인이 무엇을 할꼬(시 11:3)”. 19세기에 등장한 진화론은 20세기 교회의 뿌리를 흔들었고, 유럽은 더 이상 기독교가 발부칠 곳이 못 되었다.

미국은 어떠한가?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기독교 국가로서 선교의 중심지였던 미국도 성경이 무너지는 데는 맥을 못 추고 있다. 과학교과서가 진화론을 수용하고, 진화론의 영향을 받은 과목들을 배우는 절차를 밟으면서 차세대들은 진화론 공습을 받기 시작했다. 오늘날 미국의 많은 교회들이 해결책을 찾으려고 부심하고 있지만 소수의 대형교회를 제외하고 지역사회의 중심이었던 대부분의 교회들은 수십 명의 노인들만이 교회를 지키고 있다. 결국 총 교인 숫자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어떠한가? 1세들의 믿음으로 나날이 증가추세를 멈추지 않았던 교인숫자는 2세들로 넘어가면서 어떠한 국면을 맞고 있는지는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그대로이다. 대학에 들어가서 자신이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기가 되면 교회와는 멀어지고, 설령 교회에 출석한다 할지라도 아슬아슬하고 힘없는 신앙만을 유지하고 있다.

2세들을 위해 적지 않은 재정을 책정하고, 건물도 지어주고, 하자는 데로 예배형태도 바꾸어주고 있지만 결과는 그리 만족스럽지만은 않다. 물론 이러한 노력들이 쓸데없다는 말이 아니라, 어떤 풀리지 않는 매듭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1세들이 하던 방식대로 이끌려고 해도 2세들이 이끌려오지도 않는 것도 현실이다.

유럽의 전철을 볼 때, 결국 해답은 말씀의 권위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설득력 있느냐에 달려 있다. 사탄은 유럽에 적용했던 성경 허물기 전략을 미국에 이어 우리 2세들에게도 이어가고 있다. 이대로 나가다간 50년 후의 한국교회도 불 보듯이 뻔하다. 유럽이 첫 번째로 당했다. 미국이 두 번째로 당했다. 사탄은 세 번째로 똑 같은 방법으로 우리 2세를 공략하고 있다. 우리는 유럽과 미국이 어떻게 당했는지 보아왔다.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할 때다. 다른 방법은 없다. 오직 영원한 말씀만이 해답이 되어야 한다.

“여호와여 주의 말씀이 영원히 하늘에 굳게 섰사오며 (시 119:89)”


미디어위원회
2004-10-07

무덤에서도 악영향을 주는 자들 - 결론

이재만 


      죽어서도 세상에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여섯 명을 다루어 보았다. 진화론의 시작인 다아윈을 비롯하여, 진화론을 인간의 지배원리로 적용시킨 마르크스, 진화론을 성경보다 위에 올려놓아 자유주의 신학을 태동시킨 뵐하우젠, 하나님의 형상을 심리학적 힘의 집합체로 격하시킨 프로이드, 진화론과 그 사고를 교실 안으로 끌어들여 진화론 확장에 불을 지른 듀우이였다. 키에르케고르는 진화론이 등장하기 이전 사람이었지만, 진화론적 낙관주의의 붕괴 동안 100년 만에 부활하여 실존주의를 낳게 하였다. 그 실존주의는 급기야는 신학에도 영향을 주어 오늘날 신정통주의라는 하나님과 분리된 복잡한 신학이 나오게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19세기에 잘못 꿰어진 단추로 인해 20세기가 신음해왔는데, 21세기를 맞이하는 기독교인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한 답을 두 가지로 단순화 시켜보자. 하나는 누가 이 일을 할 것인가와 다른 하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 가이다. "영원부터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 속에 감추었던 비밀의 경륜이 어떠한 것을 드러내게 하려 하심이라. 이는 이제 교회로 말미암아 하늘에서 정사와 권세들에게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이니"(엡 3:9-10).  창조자이신 예수님께서 교회를 세우셨다. 이제 그의 몸 된 교회(엡 1:23)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시기로 결정하셨다. 이 일은 바로 교회가 해야 할 일이다. 전 우주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기대하실 곳은 교회뿐이다. 왜냐하면 교회를 그 이유로 세우셨으며, 교회만이 만물이 창조하신 목적과 그 비밀이 드러나는 성경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의 역사를 돌아볼 때 어떤 경우도 세상이 바로 섰기 때문에 교회가 제대로 변화된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세상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함이 없기 때문이며, 그렇다면 거기에는 곧 사탄의 영 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요일 4:2). 언제나 순서는 성경을 가진 교회가 바로 설 때만 사회가 변한다. 실제로 교회가 사회를 변화시키느냐 하는 문제 이전에 교회가 예수님의 몸 된 존재가 되기 위해서도 교회가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는 절대로 스스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지도 않을 뿐더러, 이를 따르면 교회도 무너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누가 그 담당자가 되야 하는지 답이 정해졌다. 바로 교회이며, 교회밖에 없다.


그러면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 그래도 다행한 일은 문제의 뿌리를 발견했다는데 있다. 그 뿌리는 다름아닌 진화론이다. 진화론의 문제점을 지적함 없이 거기서 파생된 생각들을 이해시킬 수 없다. 뿌리인 진화론의 바른 이해가 없다면 진화론의 출현 이후에 변화된 사고의 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다. 오직 그 문제 안에서 허우적거릴 뿐이다.


그런데 할일 많은 교회가 과학에까지 신경 써야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해야 한다. 현실이 그렇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과학을 하는 것은 하나님이 아닌 과학자이기 때문이다. 죄인이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명히 과학도 하나님의 각종 지혜 속(엡3:10)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과학이라는 이름 하에 과학이 아닌 부분은 정확히 교회가 분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곧 지적해야 한다. 과학이라는 이름 하에 만연되어있는 사이비과학, 바로 진화론 때문에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이 무너지고 있고 것을 막아야 한다.


계시록의 일곱 교회 중에 라오디게아 교회에 나타나실 때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참된 증인이며 창조의 근본이신 자라 하시며 등장하셨다 (계3:14). 그리고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 네가 차지도 아니하고 더웁지도 아니하도다… 내 입에서 너를 토하여 내치리라"(15, 16) 하셨다. 창조에 관한 사실과 방법에 미지근하여서는 안 된다고 하셨다. 창조냐 진화냐 중간에 서 있으면 안 된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토해내실 지 모른다. 라오디게아 교회에 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마치 지금의 우리 교회들에게 하는듯하지 않은가? 교회! 예수님은 교회에 모든 것을 걸으셨고 담당시키셨다. 진화론에 대하여서도 말이다.

미디어위원회
2004-10-05

무덤에서도 악영향을 주는 자들(6) - 키에르케고르

이재만 


      1800년대 말 종교계는 뵐하우젠이 성경의 영감설을 부인하는 자유주의 신학이 등장하여 성경은 점차 인간의 책으로 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는 단순한 선생을 너머 결국에는 정상적인 사람들에게 부담만 주는 존재로 떨어졌다. 1920-30년대 통해 자유주의 교회들은 진화론적 사고를 지적하기 보다는 오히려 진화론적 낙관주의와 발맞추어 앞으로 곧 원대한 천 년을 맞이할 것이라고 설교했다. 실제로 그때까지 세상은 점점 좋아지는 것 같았다. 

그러나 그러한 기대는 오래가지 않았다. 히틀러에 의한 나치즘, 러시아의 공산주의 혁명, 이태리에서 파시즘이 일어났다. 세계대전의 히로시마 원폭이 있었으며, 전쟁 중에 사천만 명이 이상이 죽었다. 결국 세상은 낙천주의 사고로부터 흔들렸으며, 오히려 비관적 사고가 지배적이 되었다.

그렇지만 그 두려움 가운데서도 교회는 제 역할을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자유신학으로는 교회가 세상을 지적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세상조차도 비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지만 자유주의 교회들은 세상이 점점 좋아질 것이라고 설교했다. 자유주의 신학으로는 하나님 없는 미래가 어떻다는 것을 제대로 지적할 수가 없었다. 이는 많은 자유주의 신학이 신뢰를 잃게 되는 계기로 이어지도록 했다. 그 이유는 자유주의 신학은 성경과도 거리가 멀 뿐 아니라, 실제와도 맞지 않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때 고전적 자유주의 신학은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그러면 이제 다시 교회는 성경적으로 돌아갔어야 되지 않았을까? 그러나 자유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기보다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신학 바로 자유주의를 대치할 무엇인가를 찾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세속적인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진화론적 낙관주의로 창창한 앞날만을 기대했던 세계관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될지 감을 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 공백을 메울 것을 찾기 시작했다.

이때 이 공백을 메운 것이 있었는데, 바로 우울한 덴마크사람으로 불리는 키에르케고르(Soren Kierkegaard, 1813-55, 덴마크) 였다. 그가 죽은 지 백여 년이 지난 뒤에 부활한 것이다. 실제로 그의 글이 영어로 번역되기 전까지만 해도 영어권 국가에서는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가, 사망한지 한 세기가 지난 다음에야 세상에 영향력을 끼친 것이다. 그는 짧은 인생이었지만 다양한 주제로 많은 글들을 썼으며, 세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그의 글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그럼에도 그의 글들은 믿음에서 이성까지의 범위를 다시 정의 내리는 길을 열어주었다. 바로 실존주의(existentialism)라는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아버지는 덴마크에서 부자상인이었으며, 아들에게 평생 일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의 부를 유산으로 남겼다. 사실 그는 결코 돈 벌기 위해 일을 한 적이 없다. 스물한 살 때부터 그는 집요하게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문제는 당시 자신의 심리적 상태가 흥분과 우울증이 동시에 반복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의 글은 한편으로는 환희가 있었고 한편으로는 혼돈이 있었다. 그러므로 그의 글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아주 어려웠다. 이는 그의 글의 번역가가 "Either/Or가 출판되어 고향에서는 떠들썩하였지만, 어떤 사람도 글의 목적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었으며, 어떤 서평도 할 수 없었다고 하였다"는 표현을 쓸 정도였다.

키에르케고르의 가장 큰 영향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산만(diffusion)'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개인은 전적으로 믿었으나 그룹에 대하여는 개념조차 싫어했다. 그는 "군중은 비 진리이다"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그는 많은 것에 대하여 동의와 부정을 동시에 했다. 그러므로 그의 사고에 영향을 받으면 어떤 대상에 대하여 전체 의견보다는 개인의 판단을 의지하게 되며, 결국에는 그 자체가 진리냐 아니냐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게 된다.

20세기 중엽부터 최종적인 진리는 사라지고 산만함만이 무성해지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실존주의이다. 실존주의에 대하여 글을 쓴 커프만은 "실존주의는 철학이 아니라 기존 철학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반란이다. 이들은 실체에 대하여 다양하게 부정만 할 뿐이다"라고 표현했다. 실존주의는 기존의 통념을 부인만 한다. 단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입으라고 말한다. 당신이 옳다고 하는 것을 행하라. 거기에는 규칙도 원리도 없다.

실존주의는 오늘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철학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비철학이다. 이는 다른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 자체를 부정한다. 이는 1960년도부터 젊은이들로부터 여자 같은 남자, 남자 같은 여자를 추구하도록 만들었다. 자유사랑, 자유섹스, 술 파티, 자살 등이 급증하게 만들었다. 하나님의 형상을 모욕했다. 진화론과 공산주의같이 실존주의는 인류를 더 저급으로 만들었다. 그들은 논리를 이야기하지만 결국에는 규칙이 없다. 실존주의는 다른 철학과 다른 점이 있다. 거기에는 진리의 추구가 없다. 거기에는 원인도 없고 결과도 없는 순간만이 존재한다.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의 또 다른 형태가 태어났다. 다름아닌 신정통주의 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는 한마디로 기독교적 실존주의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사고는 20세기 중엽부터 신학교와 교회 안으로 거침없이 들어갔다.  Barth, Bultman, Tillich, Macquarrie 등이 이를 받아들여 발전시킨 신학자들이다. 이들의 영향은 성경해석학과 설교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이들은 하나님을 "만물"이 아닌 "우리의 존재 영역"으로 해석했다. 당장에 하나님의 존재와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신정통주의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다룰 수는 없으나, 분명한 것은 키에르케고르의 글이 그렇듯이 이들의 신학도 아주 어렵다는 것이다. 어떤 것은 자신도 무엇을 이야기 하는지 모르는 듯한 내용도 많이 있다. 단순하고 분명한 하나님의 진리말씀이 개인의 그릇되고 한정된 생각으로 설명하려다 보니 복잡해진 것이다.

신정통주의가 출현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한계를 느껴왔던 자유주의 신학은 마치 정통주의로 들어가는 것인 냥 변화를 추구했다. 그러나 거기에는 성경으로 돌아가려는 의지가 빠져있었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쓰여진 것이다"라고 다시 가르치기 시작한 것 같았으나, 그 '영감' 이라는 의미를 퇴색시켰다. 영감이라는 의미가 하나님께서 무슨 말씀을 주셨는가 보다, 그 말이 사람들에게 어떤 효과를 주었는지가 중요했다.

구원에 관하여도 '구원'은 그리스도 피로 인한 죄의 사함으로 영생을 얻는 것이었지만, 예수와의 심리적인 개인적 경험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질되었다. 죽음에서 부활이 아니라, 하나의 변화된 관계로 퇴색됐다. 구원이 전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영적 의미로 변했다. 그러므로 이들이 강조하는 것은 거룩한 하나님과의 화해가 아니라, 삶 가운데 깨달음과 평안이 되었다. 갈보리, 보혈, 용서, 원죄 등의 기독교의 중요한 주제들이 적당히 무시되었다. 구원은 경험 위주로, 신학은 문맥연구로, 진리는 모순덩어리로 변했다.

신정통주의는 많은 지식층 신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으며 지금까지 아주 번영을 누리고 있다. 그리고 교회에 깊숙히 영향을 주어왔다. 왜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셨나? 우리가 구원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세상에서 교회의 목적인 무엇인가? 천국은 어떠한 곳인가? 이들에 대한 대답인 근본적인 신조가 사라졌다. 실존주의의 산만이 곧 혼돈으로 이어진 것이다.

위의 모든 것들이 키에르케고르가 이룬 것들은 아니나, 그는 아직도 실존주의의 아버지로 남아있으며, 여전히 그 영향을 기독교와 세상에 끼치고 있다. 우리는 다아윈의 진화론을 통해 성경에서 멀어진 생각들이 실존주의 신학인 신정통주의까지 변화하는 그 맥락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내가 저희 팔을 연습시켜 강건케 하였으나 저희는 내게 대하여 악을 꾀하는 도다.  저희가 돌아오나 높으신 자에게로 돌아오지 아니하니 속이는 활과 같으며 그 방백들은 그 혀의 거친 말로 인하여 칼에 엎드러지리니 이것이 애굽 땅에서 조롱거리가 되리라" (호 7:16)

미디어위원회
2004-10-04

무덤에서도 악영향을 주는 자들(5) - 듀우이

이재만 


      1900년대 초에 진화론은 그 실체를 망각할 정도로 서양 전체를 덮고 있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자연에게 선택되어 자신들이 현 위치에 왔다고 하는 '자연선택'의 생각을 갖게 되었다. 한편 사회진화론은 진화라고 하는 낙관적인 사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풀지 못할 어떤 문제도 없으며, 시간만 주어지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는 교만한 생각도 주었다. 

진화론의 확산은 또한 진리의 책인 성경을 희미하게 만들어 버렸는데, 이것은 바로 기독교적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눈도 가려버렸다. 20세기 들어서 미국을 포함한 서구사회는 다른 어느 때보다도 경제, 정치, 국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문제가 있었는데, 바로 "이들에 대하여 하나님께서는 뭐라고 대답하실까?" 하는 질문이 빠진 것이다. 바로 인본주의적 사고인 것이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진화론적 인본주의 사고가 어떻게 이토록 빨리 확산될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바로 새로운 교육시스템의 변화와 이를 주도한 존 듀우이(John Dewey, 1859-1952, 미국)가 있었다. 그는 존스 홉킨스(Johns Hopkins) 대학에서 칸트의 심리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894년 시카고 대학에서 철학, 심리학, 교육학 학과장이 되었고, 1904년에 컬럼비아대학의 교육학과장을 지냈다. 

자서전은 그를 미국의 가장 뛰어난 철학가며 교육가며 미국의 교육시스템을 재 개편한 자로 평가했다. 그는 교과서에 진리의 본질부터 교사의 책임감과 인간의 특징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부분에 새로운 정의를 부여했다. 대학시절 듀우이는 헤겔 철학에 심취했으며, 실제로 헤겔이 말하는 어떤 본질도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생각에 동의한다고 스스로 말했다. 그의 영향으로 인간을 변하고 있는 생각, 논쟁, 관심, 문제 등이 뒤엉켜있는 일련의 집합체로 보았다. 이는 역사에 관하여도 진화론적 유토피아로 바라보게 하였다. 그의 생각은 미국 전역에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의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일반적으로 듀우이를 도구주의자(instrumentalist)라고 부르는데, "인간의 지성을 그 목적이나 이상에 도달하기 위한 도구"라는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는 교육활동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교육에 진리가 얼마만큼 들어있느냐 보다는 학생들의 경험을 강조했다. 그는 "엄청난 질문을 받을지라도, 나에게는 그것들에 대한 대답을 할 욕심이 없다"라고 말하곤 했다. 그런 막연한 마음을 가진 채로 그는 지도자의 위치에서 끊임없이 연설하며 많은 글을 썼다. 그러나 어떤 것도 일관성이 있거나 궁극적인 답을 주는 것이 없었으며, 오히려 모든 것이 정황에 따라 변하고 재해석되기 쉬운 것들을 그때마다 메워나가는 식이었다. 철학대백과(1967)에서도 듀우이에 대하여 "그의 글은 자주 과장되고, 불분명하고, 문장력이 부족했다"라고 평할 정도였다. 

그의 교육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궁극적 진리는 허상이다. 2)진리가 아니라 의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3)진리는 경험에서 얻어진다. 4)가르침은 근본적으로 실험에 의존한다(그러나 그의 실험주의의 가장 위험한 요소는 인간을 실험한다는데 있다). 5)하나님은 믿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그는 "하나님이란 생각은 자연의 힘과 연결된다. 나는 생각과 실재 사이를 움직이는 관계를 하나님이라 부르고 싶다"라는 식의 뉴에이지적 언급을 서슴지 않았다. 오늘날 젊은이들이 쉽게 뉴에이지 운동에 동화되고 있는 것은 듀우이 식 교육의 영향임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무엇이 미국교육의 문제인가?  교수방법, 자금, 건물, 도시화 등 많은 이유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 뒤에 하나님과 그의 말씀에 대한 가치상실이 있다. 진화론, 마르크스 이론, 자유주의 신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 듀우이를 통해 우리 교실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들이 기본 전제가 되어버린 것이다. 아직도 오늘날의 세상과 그 혼란한 생각은 그의 스승 듀우이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과연 어떻게 이 현실을 극복해야 할까? 

  "악인이 음부로 돌아감이여 하나님을 잊어버린 열방이 그리하리로다" (시9:17)

하나님을 다시 찾아야 할 때다.

미디어위원회
2004-10-04

좌초되고 있는 진화론 

(Evolution Theory Runs Aground)

Jim Russell 


      나는 나의 조상이 고릴라였다는 생각으로 행복하지 않았으며, 늘 매우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왔다. 나는 위엄이 있고, 고상하며, 훌륭한 가계의 후손일지도 모른다고 자주 상상했었다. 크리스천이 되고, 나는 생물들의 시작과 인류의 창조에 대한 창세기 말씀을 믿게 되었다.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세기 1:26,27)

지난 40 년 동안 생화학 분야의 깜짝 놀랄만한 발견들은 다윈의 진화론을 매우 탐탁지 않은 이론으로 재고하려는 움직임을 일으키며, 과학 사회의 근본을 뒤흔들고 있는 중이다. 전자현미경이 출현하기 이전에, 인간의 세포(각 사람당 수조 개)는 매우 단순한 유기체인 것으로 믿어졌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인간 세포의 미소 세계와 생화학 과정들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다윈니즘은 세포는 아주 단순한 원형질과 핵을 가졌을 것으로 가정함으로서 시작하였다. 그러나 세포는 극도로 복잡한 살아있는 유기체임을 전자현미경은 밝혀내었던 것이다. 세포들은 극도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과 기능에 있어서도 극도로 다양하다. 이들 거대한 세포 집단들 사이에서는, 세균의 침입을 판단하고, 상처를 복구하며, 항체를 만들어서 수송하는 등의 수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레히(Lehigh) 대학의 생화학 교수인 마이클 베히(Michael J. Behe)는 그의 책 '다윈의 블랙박스(Darwin's Black Box)' 에서 다윈니즘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수년에 걸쳐 수학자들은 다윈니즘이 일어날 경우의 수가 조금도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해오고 있다.”

무작위적인 선택에 의한 우연한 과정으로, 사람의 눈(eye)이 만들어지는데 필요한 천문학적인 횟수의 돌연변이가 일어나기에는 지구의 나이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 수학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다윈주의적 진화론에는 상당한 간격(gap)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간격이 신다윈주의적 진화론이 현대 생물학과 연결되어질 수 없는 본질인 것으로 믿고 있다.”

베히 교수에 의해 제시된 또 하나의 진화론의 장애물은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irreducible complexity)"이다. 이것은 여러 필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한 장기(organ)에서 단 하나의 구성요소라도 결여된다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쓸모없는 장기가 되어버린다는 것이다.    

이것은 무작위적인 선택과 우연적인 과정들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인 것이다. 왜냐하면, 한 장기의 임무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서로 잘 조직되어질 때만 어떤 훌륭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한 구성요소가 돌연변이로 생겨나지 않았다면,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만든 돌연변이들은 모두 쓸데없는 것들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세포(cell)와 같은 매우 복잡한 극소의 유기체들은 무작위적인 선택과 우연한 과정들, 그리고 다윈 이론의 신뢰성을 무너뜨려 버리는 진화론의 결정적인 장애물이 되는 것으로 입증될 수도 있다. 20세기에서 이 진화론은 비용면에서나 역사적 측면에서 가장 값비싼 수업이 되었다.

‘지적 설계(Intelligent Design)’ 라는 제목의 단원에서, 베히 교수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현대 생화학이 밝혀낸 세포의 엄청난 복잡성에 직면하여, 과학 사회는 마비되어 버렸다. 하버드 대학의 그 어느 누구도, 국립 보건원의 그 누구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그 어떤 회원도, 그리고 노벨상 수상자들 중의 어느 누구도, 어떻게 섬모(cilium)가 진화로 만들어질 수 있었는지, 어떻게 시각(vision)을 얻게 됐는지, 어떻게 혈액 응고반응이 생겨났는지, 무수히 많은 극도로 복잡한 생화학적 과정들이 어떻게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로 생겨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 있다. 식물과 동물들도 여기에 있다. 복잡한 시스템들도 여기에 존재하고 있다. 어쨌든 이 모든 것들은 이곳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다윈의 방법이 아니라면, 그러면 이것들은 어떻게 있게 되었을까?”

21세기의 아이러니는 무작위적 선택이라는 진화론적 과정들에 대한 과학적인 질문들을 조금씩 이끌어 내며, 다윈의 진화론이 허구였음을 하나씩 단계적으로 밝혀내는 것일 수 있다. 

마침내 궁극적인 실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것은 인간과 동식물들은 지적 설계의 결과라는 것이다. 즉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누가 창조하였는가? 그 분은 하나님이신 것이다.


* Jim Russell is president of The Amy Foundation of Lansing and author of the book 'Awakening the Giant.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rinted in the Lansing State Journal, Lansing, Michigan, February 25, 1999.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rae.org/aground.html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1999. 3. 1

미디어위원회
2004-10-02

무덤에서도 악영향을 주는 자들(4) - 프로이드

이재만 


프로이드: 인간을 심리학적 힘의 집합체로

과학이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에 한 심리학자가 등장해서 한 시대를 움직이고 혼란케 만들었다. 바로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 오스트리아)이다. 일생 동안 그는 수백만 사람의 삶과 정신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사실 오늘날 서방을 포함한 전 세계의 지식층에 그의 생각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프로이드는 우울증이나 소화불량 치료를 위해서 코카인이 효과가 있으며, 심리치료의 답이라고 여겨 전문가들로부터 고소를 당한 적이 있다. 소아과에 있을 때는 최면을 이용한 어린 시절 경험의 회상을 통하여 심리치료를 하였었다. 코카인이나 최면은 당시에 전문가들에 의해 반대를 받았지만, 그는 개의치 않고 시도했다. 최면방법이 한 동안 인기리에 실시했지만,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환자가 최면상태에서 말했던 것이 발생한 적이 없다는 것을 발견한 후에 자신의 최면이론이 문제 있다는 것을 깨닫고 버리게 되었다.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켜 나가는 가운데 프로이드는 인간성을 세 가지의 겹쳐진 요소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바로 본능적 충동인 이드(id), 고통과 불쾌함을 피하려는 자아(ego), 도덕적 기준이 되는 초자아(superego)이다. 그리고 사람은 성적충동(libido)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성적충동에 따라 발달단계를 나누었다. 그는 성적충동을 일차적 동기이며 모든 것이 존재하는 이유로 보았다. 그는 사람이 성적충동의 힘에 반대할 것이냐 찬성할 것이냐에 따라 성공하고 실패하는 것이 달렸다고 보았다.

프로이드는 무식할 정도로 문화적 진화론의 개념을 지지했다. 스스로 "문화적 진화과정과 개인성장 사이는 유사하며, 문화적 진화의 영향 하에서 사회와 개인의 도덕기준은 계속해서 발전된다"고 언급하였다. 그는 예수그리스도의 믿음에 대하여도 유치하게 취급했으며, 그는 천국도 믿지 않았으며, 다시 생명을 찾는다는 것도 몰랐다. 기독교와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면 상대방에게 경멸하는 표현을 썼다. 대화를 할 때면 결론은 정신분석학이 새로운 계시이며, 심리치료가 새로운 구원방법으로 여기게 하였다. 그에게 사람은 단순히 이드, 자아, 초자아였으며, 곧 사라질 존재였다.

그는 우리에게 이드가 자발적으로 존재하며, 인간의 근본적인 구성원이라고 믿었다. 이는 인간은 심리학적 힘의 집합체라는 것을 우리에게 심어주었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은 영, 육, 혼으로 구성된 존재인 하나님의 창조능력을 갖고 있는 육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인간의 성격은 하나님 그 자체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프로이드가 성적인 면을 부각시킴과 함께 성 혁명이 일어났다. 그러나 과연 그 후에 세상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성 문제에 보수적인 행동을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심리치료의 대상으로 변했다. 어떤 사람이 성적인 면을 가지고 판단하려 하면, 타락된 내용이라고 말하지 않고 프로이드적 사고라고 말하게 되었다. 미국에서만 두 쌍 중에 한 쌍이 이혼을 한다. 신성한 결혼이 파괴되고 있다. 영원한 축복 받는 장소가 아닌 일시적으로 들렸다 가는 장소가 되어버렸다. 섹스는 육체뿐 아니라, 정신도 파괴시켰다. 또한 성 혁명은 상업에도 침투해 들어갔으며, 포르노와 나체사진이 만연해 버렸다.

"우리는 진리를 거스려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오직 진리를 위할 뿐이니" (고후 13:8).  성경은 진리를 떠나서 우리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진리를 위하는 자는 하나님의 엄청난 축복이 있으며, 진리를 거스리는 자는 엄청난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하나님 없이 인간을 다루려는 인기있던 한 심리학자에 때문에 신음하고 있는 오늘의 세상을 본다. 역사학자 Paul Johnson(1984)은 "80년간의 경험에서 얻어진 그의 치료방법은 완전한 실패로 판명났으며, 병을 치료하기보다는 불행 쪽으로 몰고 갔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