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미디어위원회
2018-05-11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10장 

: 빙하들의 격변적 융해 

(Frozen in Time, Chapter 10. Catastrophic Melting)

by Michael J. Oard, Ph.D.


가속화 된 융해는 빙하기의 끝을 의미한다.

창조-대홍수 빙하기 모델(Creation-Flood Ice Age model)에서, 빙하기의 정점은 해수 온도가 평균 10°C로 내려갔을 때 도달했다. 이러한 해수 온도에서 빙하의 순 융해(net melting)는 느렸을 것이다. 강설량은 여전히 상당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했다. 해양이 계속 냉각되면서, 대기로 증발하는 물의 양은 해양의 표면온도에 비례하여 계속 감소했을 것이다. 가속화 된 융해는 빙하기의 끝을 의미한다.

 

더 따뜻했던 여름들, 더 추웠던 겨울들

빙하기의 후반기로 가면서, 지구가 대홍수로 인한 육지와 물의 새로운 구성에 익숙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화산활동도 감소했다. 성층권으로 퍼져나갔던 가스와 화산재는 줄어들었고, 더 많은 햇빛이 여름을 따뜻하게 했다. 물론, 인근 빙상과 해빙의 증가로 인해, 육지는 다소 차갑게 유지됐기 때문에,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의 여름은 오늘날처럼 따뜻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화산 활동의 감소는 열대지방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 지역의 온도는 매우 빨리 따뜻해져서, 곧 오늘날의 기후와 비슷하게 되었을 것이다. 고위도 지역의 빙상은 보다 느리게 녹아서, 열대지방과 극지방의 온도차는 오늘날보다 컸을 것이다. 대기 온도의 이러한 차이는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의 죽음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큰 온도차는 강력하고 거친 바람의 건조한 폭풍우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화산 활동의 감소와 동시에, 해수는 계속해서 냉각되고, 극지방에서 바다 얼음(sea ice)은 점차적으로 증가했다. 이 두 요소는 이 단계의 빙하기에 건조한 대기를 초래했을 것이다. 융해된 빙상에서 녹은 물이 중위도 및 고위도의 해수 위로 흘렀기 때문에, 바다 얼음들은 빠르게 형성되었을 것이다. 민물은 밀도가 높은 소금 물 위로 뜨는 경향이 있어서, 얼음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그 위에 신선한 눈이 쌓인 바다 얼음들은 햇빛을 다시 우주로 반사시켜, 겨울의 냉각을 더 강화했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따뜻한 물의 열이 대기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따라서, 바다 얼음은 대기의 온도를 더 냉각시킴으로써, 해양 냉각을 더욱 증가시켜, 일종의 연쇄 반응과 같은 것이 되게 했을 것이다.

이러한 기후 변화의 순 영향으로, 겨울은 꽤 춥고, 여름은 빙상이 녹음에 따라 온화하게 되었다. 겨울은 오늘날보다 훨씬 더 추웠을 것이고, 여름은 따뜻했을 것이지만, 오늘날만큼 따뜻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대기도 점점 더 건조해졌다. 중위도 및 고위도 대륙의 기후는 더 추운 겨울과 따뜻한 여름의 대륙성 기후가 되었다. 얼음이 쌓이기 시작한 초기 단계 동안에는, 계절적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균형적이었지만, 해빙기 동안에는 빙상 위에 더 적은 눈이 내렸을 것이고, 여름이 되면 쉽게 녹았을 것이다. 겨울의 냉각 및 건조는 빙상이 녹을 때까지 계속됐을 것이다. 그림 10.1은 북반구의 중위도 및 고위도 대륙에서, 빙하기를 거쳐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기온 추세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림 10.1. 북반구의 중위도와 고위도 지역에서, 빙하기를 거쳐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겨울과 여름의 온도 변화.

빙하기 말에 오늘날보다 더 추웠던 겨울과 여름은 해수 온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잠시 동안 평균 해수 온도는 현재의 평균인 4°C 이하로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다.(지난 글의 그림 9.1을 보라).

 

빙상은 얼마나 빨리 녹았을까?

여름철 눈과 얼음의 융해 속도(melting rate)는 눈이나 얼음 덮개의 열평형 방정식(heat balance equation)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1] 이것은 대기와 해양의 열평형 방정식과 유사하게 작동했을 것이다. 가열 및 냉각 항은 융해 속도의 차이와 함께 추가되었다(그림 10.2). 이 방정식은 적용하기가 쉽고, 오늘날에도 종종 눈의 녹는 속도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빙상이 융해되는 과정에 이 방정식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유일한 어려움은, 빙상 근처와 그 위에 있는 대기 중의 여름 온도를 예측하는데 있다. 그래서 나는 여기에 몇 가지 합리적인 가정을 했다. 우선, 빙상 위의 대기가 오늘날보다 약 10°C 더 시원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이는 성층권에 화산재 물질이 없이 행해지는 기후 시뮬레이션에서는 합리적일 수 있다. 계산을 위해, 나는 미시간 중부의 온도와 일조량 데이터를 사용했다. 미시간 주가 선택된 이유는 그것이 로렌타이드 빙상(Laurentide ice sheet) 가장자리의 전형적인 기후에 가깝기 때문이었다. 나는 빙하가 사라지는 동안, 겨울은 너무 건조하고 추웠기 때문에, 새로운 눈이 거의 쌓이지 않았을 것이고, 쌓인 눈은 5월 1일부터 쉽게 녹았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또한 융해 과정은 오늘날보다 훨씬 빠른 9월 30일에 멈췄을 것으로 가정했다. 이와 같은 가정은 융해 시간을 합리적이고 보수적으로 추정한 것으로, 5월 1일에 빙상의 상단은 최고가 되었고, 0°C로 더워졌고, 따뜻한 다섯 달 동안 녹은 모든 물은 빙상 밖으로 흘러나왔고, 그 안에서 재결빙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았다.


그림 10.2. 눈 덮개 위에서의 에너지 평형. 여기서 주된 융해 변수인 태양 복사는 F로 표시했고, 빙상의 상단에서 흡수된 태양복사는 F(1-a)로 표시했으며, 여기서 'a”는 표면의 알베도(albedo) 혹은 태양 복사 반사율이다. 적외선 복사 냉각(F1)은 꾸불꾸불한 점선으로 표시했다. 녹은 물은 빙상 위에서 개울로써 흐르거나, 0°C(32°F) 층을 따라 수직으로 가라앉았다. (AiG의 Dan Lietha 그림)


이전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방정식 안에 들어있는 항들에 대해서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사용했다. 눈의 융해 방정식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눈의 반사율(reflectivity)인데, 이것은 신선하고 차가운 눈의 경우 태양 광선의 약 80%를 반사하고, 젖은 눈의 경우 40% 혹은 그 이하까지 반사한다. 40%의 반사율은 수주일 동안의 융해 이후에 도달된다. 얼음이 표면에 노출되면, 반사율은 20%에서 40% 사이로 더 감소한다. 노르웨이의 낮은 고도의 빙하에서, 해빙 구역의 반사율은 28%까지 낮게 떨어지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그래서 여름 융해 동안에 빙상 주변의 반사율은 최대 40%로 가정하였다.

건조한 먼지 폭풍(dust storms)이 얼음 표면에 더해지면, 반사율은 더 낮아질 수 있다. 빙하기의 말에는 거대한 먼지 폭풍들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빙상의 바로 남쪽이 그러하다. 이러한 폭풍들은 극위도와 아열대 사이의 큰 온도 차이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그래서 주변을 따라 있던 빙상 면들은 많은 양의 먼지를 축적했을 가능성이 크다. 해빙기가 지나면서, 먼지들은 눈이나 얼음표면에 응집했을 것이다. 그림 10.3의 a-c는 눈 폭풍 이후의 눈 더미에 대한 세 개의 사진을 보여준다. 눈이 녹음에 따라, 눈 속의 먼지들이 점점 더 표면에 응집됐다. 표면에 더 많은 먼지들이 응집된 결과, 더 많은 햇빛이 눈에 흡수되어, 반사되는 양이 줄어들었다. 일본에서 영구적인 눈 덮개의 반사율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먼지 때문에, 늦여름에 15%까지 낮게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래서 먼지 쌓인 눈이나 얼음 표면을 대표하는 15% 반사율을 최소 반사율로 사용하였다.

그림 10.3 a-c

반사율에 대한 최소 및 최대 추정치와 다른 변수들을 눈 융해 방정식(snowmelt equation)에 대입하여, 융해에 대한 최소 및 최대 추정치를 얻었다. 최적의 추정치를 위해서, 두 개의 극한 융해 속도를 평균하여, 결과적으로 연간 약 10m(30feet/yr)의 융해 속도를 얻었다.

이 추정치에 따르면, 미시간 중부의 얼음 깊이가 평균 700m였다면, 이 얼음은 불과 75년 만에 녹아버렸을 것이다! 물론 북쪽으로 갈수록, 태양 복사량은 더 적고, 눈 표면은 먼지가 덜 했을 것이다. 그래서 얼음은 빙상 안쪽에서는 더 천천히 녹았을 것이다. 빙상 안쪽에서도 평균 두께의 얼음이었다면, 이 얼음이 사라지는 데는 약 200년이 걸렸을 것이다. 다른 빙상들과 산꼭대기의 빙모들에 대한 융해 속도는 로렌타이드 빙상의 융해 속도와 유사했을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총 융해 시간은 거의 200년이 될 것이다. 이는 놀라울 정도로 빠른 융해 속도로서, 융해는 격변적으로 일어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융해 시간은 동일과정설에서 주장하는 추정치에 비해 훨씬 짧다. 대홍수 모델에서 빙하 주변부의 연간 10m라는 융해 속도는 오늘날 알래스카,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의 서늘하고 구름 많은 빙하 지역들에서 측정된 빙하들의 융해 속도와 매우 비슷한 수치이다. Sugden 및 John[2]는 빙하의 융해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빙하의 융해 지역에서 텐트를 치고 있는 많은 등반가들은 얼음이 단지 몇 일내에 녹을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오늘날의 빙하들은 이런 융해 속도로 사라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겨울에 산에 있는 엄청난 양의 눈들이 계속해서 융해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 질문이 즉각적으로 떠오른다. 왜 동일과정설을 믿는 과학자들은 빙상이 녹는 데 수 천 년이 걸린다고 믿고 있는 것일까? 많은 빙하기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그 이유는 그들의 연대측정 방법과 이론 때문이다. 특히 빙하기에 대한 천문학적 이론 때문이고, 이것은 모든 물리적 과정들을 크게 잡아 늘리게 만들었다. 주류 과학자들은 눈과 얼음의 융해 방정식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은 긴 시간 동안 일어났을 것이라는 가정에 의존한다.

모든 지표들은 빙하 주변부에서 10m/년의 얼음 융해 속도가 합리적임을 가리킨다. 서늘한 빙하기 기후에서 그러한 융해 속도는, 동일과정설적 가정이나 현재의 진행 과정에 의존하고 있는 이론과 모델들에는 불길한 결과이다. 이러한 융해 속도에서는, 충분히 추운 온도에서의 메커니즘이 발견될 수 있다 하더라도, 빙상(ice sheets)은 동일과정설적 기후 모델에서는 시작조차 될 수 없었다. Rind, Peteet 및 Kukla[3]이 실시했던 빙하기 시뮬레이션은, 빙상이 덮여 있었던 모든 곳에 약 10m의 얼음을 배치해 놓고 시작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모델에 눈과 얼음이 제공되어, 반사율이 더 높아져서, 얼음이 증가할 것을 예상하는, 그들의 빙하기 기후 모델을 작동시켰다. 시뮬레이션 결과, 빙하가 증가하는 대신에, 모든 곳에서 5년 안에 10m의 얼음이 녹아버렸다! 주된 이유는 중위도와 고위도 지역에서 여름의 햇빛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이었다. 이 실험은 동일과정설적인 기후 모델에서 어떻게 빙상이 발달할 수 있었는지 의구심을 갖게 만들었다. 우리는 이전 제3장에서 이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해볼 때, 나는 빙하기가 최대에 도달하는데 약 500년이 걸렸고, 해빙에 이르는데 약 200년이 걸렸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시작부터 끝까지 총 700년이 걸렸다는 것으로, 동일과정설 이론과는 훨씬 다른 시간이다. 전 지구적 대홍수 이후에 존재했던 독특한 조건들을 감안할 때, 나는 또한 단 한 번의 빙하기가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것은 참으로 급속하고, 심지어 격변적인 빙하기였다. 빙하기(Ice Age)는 창세기 홍수와 북유럽에서 역사적 기록이 처음 쓰였던 시기 사이에 발생했을 것이다.

 

융해에 의한 격변적 홍수들

빙하기 말에 격변적 해빙의 증거들이 있는가? 과학자들은 빙하들의 융해 과정에서 격변적 홍수들이 발생했었다는 증거를 점점 더 많이 발견해왔다. 한 예는 미졸라 호수의 홍수(Lake Missoula flood)인데, 이것은 너무나 '성경적”으로 보였기 때문에, 세속적 지질학자들에 의해서 40년 넘게 거부되어 왔었다.(이 장의 뒷부분에 ‘빙하기의 미졸라 호수에 의한 격변적 해빙 홍수’를 보라). 그러나 그것에 대한 증거들은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마침내 1960년대에 받아들여졌다.[4]

미졸라 호수의 홍수를 받아들임으로써, 지질학자들은 북반구의 다른 지역에서도 빙하기의 격변적 홍수들에 대한 강력한 증거들을 발견했다.[5] 미졸라 호수의 홍수와 동일한 수준의 홍수가 중앙 시베리아의 남부 알타이 산맥에서 발생했던 것으로 밝혀졌다.[6] 빙하기 동안 거대한 호수에 485m 깊이로 빙하가 갇혀 있었다. 얼음 댐이 무너지면서, 약 450m 깊이의 물이 추자강 계곡(Chuja River Valley)으로 쏟아져 내려, 결국 시베리아 서부의 오브 강(Ob river)으로 흘러들어 갔었다는 것이다. 빙하기의 또 다른 홍수는 보너빌 홍수(Bonneville flood)로써, 미국 남서부에서 가장 큰 빙하기 호수였던 고대의 보너빌 호수가 몇 주 동안 약 100m가 낮아지면서 발생했던 홍수로, 아이다호의 스네이크 강(Snake River)으로 격변적으로 유입되었다.

존 쇼(John Shaw)와 다른 연구자들이 추정했던, 보다 더 흥미로운 빙하기 홍수 중 하나로 추정되는 것은, 빙하 밑(얼음 아래)의 격변적 파열(subglacial(under the ice) catastrophic bursts)이라는 것이었다.[8] 쇼는 그의 가장 급진적인 제안에서, 미졸라 빙하 호수보다 약 50배나 많은 물을 방출했던 거대한 호수가 허드슨 만( Hudson Bay) 근처에 있었다고 가정했다.(그림 10.4). 이 빙하 밑 홍수의 한 주요한 경로는 캐나다 북서부 지역에서 시작하여, 북쪽 서스캐처원 주를 관통하여 남서부로 지나갔고, 앨버타 주를 가로질러 흐른 후, 북쪽 몬태나 주에서 끝났다.[9] 두 번째 주요 경로는 남부 허드슨 만 또는 래브라도 주변에서 시작되었고, 남쪽을 향해 남부 온타리오 주, 동부 오대호 및 뉴욕으로 흘러간 것으로 여겨진다. 후에 발생한 이 빙하 밑 홍수는 뉴욕의 핑거 레이크(Finger Lakes)를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그림 10.4. 허드슨 만 근처에 있었던 호수의 가정된 위치 및 이 호수로부터의 빙하 밑 물의 흐름 경로. 하단의 그림은 북동–남서쪽 단면도이다. (쇼의 그림을[7] 마크 울프(Mark Wolfe)가 다시 그렸다.)

물론, 쇼의 가설은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특히 허드슨 만 근처에 거대한 호수가 있었다는 제안이 그랬다. 나는 대부분의 증거들을 검토한 후, 그의 주장이 강력하다고 결론지었다. 만일 그가 옳거나 부분적으로 옳다면, 현재의 동일과정설적 빙하기 패러다임은 허드슨 만 근처의 거대한 호수를 허용하도록 거의 완전히 다시 쓰여져야 한다. 그는 그 호수가 빙하기의 절정 즈음에 존재했었음에 틀림없다고 제안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빙하의 경계가 최대로 확장됐던 시기와 가깝게 홍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캐나다 위로 거대한 빙상이 뒤덮여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그러한 거대한 호수와 격변적 홍수가 있었다는 추정은, 적어도 지금까지의 동일과정설적 빙하기 이론들에게는 이단적인 것이다. 늘어나는 증거들은 많은 주류 과학자들로 하여금 빙하기가 동일과정설의 예상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이다.

 

미졸라 빙하 호수의 융해에 의한 격변적인 홍수?

지질학자였던 하렌 브레츠(J. Harlen Bretz)는 1920년대에 워싱톤 주 동부의 지질을 조사하면서, 매우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단단한 용암에 새겨진 거대하고 깊은 협곡들을 발견했다. 이것 때문에 그는 지금까지 결코 전에는 보지 못했던 거대한 크기의 홍수만이 그것들을 형성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랜드 쿨리(Grand Coulee) 협곡은 깊이가 275m, 길이가 80km에 달해 있었다. 그 홍수는 워싱톤 주 남동쪽의 팔루스 폭포(Palouse  Falls)가 있는 협곡을 깎아냈는데, 물이 용암능선을 넘쳐흘렀을 때, 길이 10km, 깊이 150m의 협곡이 파여져 형성됐던 것이다.

처음에 브레츠는 이 모든 물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동시에 파디(J. T. Pardee)는 몬태나 서부, 아이다호 북부에 있는 코딜레란 빙상(Cordilleran Ice Sheet)의 둥근 돌출부에 의해 갇힌 거대한 호수가 있었다고 가정했다. 마침내 브레츠는 그것들을 연결하여 이 홍수를 미졸라 호수 홍수, 또는 스포케인 홍수(Spokane flood)라고 불렀다. 그림 10.5는 몬태나 서부에 위치한 빙하 호수 미졸라와 태평양 북서부를 통과하여 흘렀던 미졸라 호수의 배출 경로를 보여준다.

그림 10.5. 과거 태평양 북서부에 있었던, 빙하 호수였던 콜럼비아 호수와 미졸라 호수(짙은 지역), 그리고 미졸라 호수의 홍수가 쓸고 내려갔던 지역(점 지역)을 보여주는 지도. 워싱톤 주 동부의 수로가 있는 딱지 땅(Channeled Scabland)은 미졸라 홍수가 쓸고 내려갔던 경로의 일부이다. (Mark Wolfe가 작성)


그 시대의 지질학자들은 그러한 격변에 대해서, 마음을 열고 들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들은 성경에 나오는 홍수에 대해 강한 편견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브레츠의 아이디어는 극심한 도전을 받았다. 40년 동안 지질학계는 그의 생각을 조롱하면서 비판했고, 설득력이 없어 보이는 다른 이론들을 만들어냈다. 마침내, 1960년대에 항공사진과 더불어 더 나은 지질학적 연구의 출현으로, 브레츠의 '터무니 없던 가설”은 마침내 입증되었던 것이다.

빙하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아이다호 주 북부의 레이크 펜드 오레 강 계곡(Lake Pend Oreille River Valley)에는 두꺼운 얼음들이 가득 차서, 클라크 포크 강(Clark Fork River)을 막았다. 얼음의 녹은 물이 몬태나 서부의 계곡에 범람하여, 점차적으로 그곳을 가득 채우면서, 더 이상 버틸 수 없게 되었다. 그것은 해수면으로부터 1,280m 정도까지 올라갔는데, 그 호수면은 서부 몬태나 계곡에서 관찰되는 풍부한 호안선에 근거한 것이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미졸라 호수의 동쪽과 북동쪽에 있는 언덕들이다.(그림 10.6). 얼음 댐에서 수심은 600m였다. 이 호수는 540입방마일(2,200입방km)의 물을 담고 있었는데, 그것은 현재 미시간 호수물의 절반에 해당한다.

그림 10.6. 몬태나 주 미졸라 호수의 북서쪽으로 120km 떨어진 리틀 비터루트(Little Bitterroot) 계곡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미졸라 빙하 호수의 호안선.


미졸라 빙하 호수는 아마도 몇 시간 안에 얼음 댐을 터뜨리고, 워싱톤 주 동부를 거쳐 콜럼비아 협곡으로 시간당 초당 30m 이상의 속도로 포효하며 태평양으로 흘러들어갔다. 워싱톤 주의 스포케인(Spokane)을 덮쳤을 때 수심은 무려 135m였다. 그 물은 워싱톤 주 동부에서 200입방km의 단단한 용암과 침니를 침식시켰다. 워싱톤 주 동부로 밀려나온 용암을 위성사진으로 보면, 하천의 폭은 160km이나 되었지만, 거대한 망상하천(braided stream)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의 현무암 암석들은 물에 의해 이동되면서 거대한 자갈사주(gravel bars)를 형성했는데, 워싱톤 주 동부의 건조한 화산 용암지대에 걸쳐 흔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것들은 강에서 발견되는 평범한 자갈사주로 보이지만, 거대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워싱톤 주 밴티지(Vantage) 남쪽의 컬럼비아 강 근처에 있는 자갈사주는 길이가 32km이고 두께가 약 30m이다. 또 다른 자갈사주는 두께가 90m이며, 스네이크 강(Snake River) 계곡의 일부를 채우고 있다(그림 10.7). 흐르는 물이 용암을 너무 심하게 침식시켜서, 워싱톤 주 모지스 레이크(Moses Lake) 호수 근처는 용암 불모지가 되었다.

그림 10.7. 워싱톤 주 스네이크 강가에 있는 미졸라 호수 홍수로 인한 자갈 사주.


홍수가 와룰라 갭(Wallula Gap)이라 불리는, 호스 헤븐 힐스(Horse Heaven Hills)를 통해 좁은 지역으로 밀려오자, 홍수 물은 후진해서 245m 깊이의 호수를 만들었다. 그곳에서부터, 물은 왈라왈라 계곡(Walla Walla Valleys)과 야키마 강 계곡(Yakima River Valleys)을 포함하여, 주변의 계곡으로 밀려갔다. 급하게 흐르는 물은 리드마이트(rhythmite)이라고 불리는 모래와 진흙이 반복되는 일련의 지층을 형성했다. 브레츠는 용암 흐름 위에 놓여 있는 이러한 특이한 퇴적물을 발견했고, 미졸라 호수 홍수에 대한 그의 증거에 그것들을 포함시켰다. 최고의 노두(outcrop)는 왈라왈라 계곡에 있는 버링감 캐니언(Burlingame Canyon)에서 발견된다.(그림 10.8). 이 협곡은 약 1주일 동안 관개용 수로에서 물길이 돌려져 만들어졌으며, 그 결과 일련의 리드마이트를 드러냈다. 모래와 토사의 39번의 적층이 확인되었고, 미졸라 호수 홍수 동안 그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론이 제시되었다.

그림 10.8. 워싱톤 주, 로우든 남쪽, 왈라왈라 계곡의 버링감 캐니언(Burlingame Canyon). 양옆에 층을 이룬 리드마이트(rhythmite)를 주목해보라.


흙탕물이 콜럼비아 강의 협곡을 휩쓸었을 때, 홍수는 오렌곤 주의 Dalles와 Portland 사이의 협곡을 확장시켰다. 그 물은 협곡을 떠나, 빌라메트 계곡(Willamette Valley)의 넓은 저지대로 퍼져나갔고, 약 15m 두께의 실트 리드마이트(silt rhythmites) 층을 퇴적시켰고, 포틀랜드(Portland) 지역에 120m 두께와 500평방km의 거대한 자갈사주를 남겨놓았다. 물은 태평양 쪽으로 계속 돌진해 갔고, 그곳에서 작은 협곡을 대륙의 사면에 깎아놓았다. 미졸라 호수가 비워지는데 약 1주일이 걸렸다.

미졸라 홍수의 모든 경로에는 거대하고 울퉁불퉁한 표석(boulders)들이 흩어져 있다. 이것은 단지 빙산에 의해서만 옮겨질 수 있을만한 거대한 것들이었다. 대부분의 표석들은 아이다호 주 북부와 워싱톤 주 북부의 노두에서 떨어져 나온 화강암들이다. 빌라메트 계곡 중앙에서 발견된 한 거대한 표석은 미졸라 호수의 홍수 동안 돌들을 운반했던 물의 힘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관광객들이 기념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잘게 깨뜨리기 전에, 그 바위의 원래 무게는 160톤(145,000kg) 정도였는데, 오늘날 이 바위는 90톤(82,000kg)이다. 이 정도 크기의 거대한 암석이 일상적인 물 흐름으로는 그곳으로 옮겨질 수 없다. 이 암석은 약간 변성된 셰일인 규질점판암(argillite)으로, 너무나 약해서 혹독한 물의 운반을 견딜 수 없다. 그것의 근원으로 가장 가까운 곳은 워싱톤 주 북동쪽 극단에 있다. 규질점판암은 아이다호 북부와 몬태나 주 서부지역에도 풍부하게 있다. 그 표석은 적어도 800km를 운반되어야 했다. 미졸라 호수 홍수 동안 유빙(ice rafting)으로 인한 운반이 합리적인 유일한 설명이다.

오늘날 지질학자들은 미졸라 호수의 홍수를 압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전에, 그들은 이러한 규모의 홍수가 있었다는 것을 믿지 않았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빙하기에 이러한 홍수들이 얼마나 많이 일어났었을 지에 대해서 토론했다. 1980년대에, 빙하기 홍수의 횟수가 한 두 개에서 40에서 100개 사이로 의견이 갈렸다. 버링감 캐니언에서 발견되는 리드마이트들이 이 논쟁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다. 많은 자료들에 의한 최근의 한 분석에 따르면, 아마도 미졸라 호수 홍수는 단지 한번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10] 이것은 브레츠가 원래 믿고 있었던 것과 유사한 것이다.



참고문헌
1. Oard, M.J., An Ice Age Caused by the Genesis Floo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El Cajon, CA, p. 114–119, 217–223, 1990. Peixoto, J.P. and A.H. Oort, Physics of climate,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New York, 1992.
2. Sugden, D.E., and B.S. John, Glaciers and landscape: A geomorphological approach, Edward Arnold, London, p. 39, 1976.
3. Rind, D., D. Peteet, and G. Kukla, Can Milankovitch orbital variations initiate the growth of ice sheets in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4(D10):12,851–12,871, 1989.
4. Oard, M.J., The Missoula Flood Controversy and the Genesis Flood, Monograph No. 13, Creation Research Society, Chino Valley, AZ, 2004.
5. Ibid., pp. 59–67.
6. Baker, V.R., G. Benito, and A.N. Rudoy, Paleohydrology of late Pleistocene superflooding Altay Mountains, Siberia, Science 259:348–350, 1993. Carling, P.A.,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palaeohydraulic significance of large gravel dunes, Altai Mountains, Siberia, Sedimentology 43:647–664, 1996.
7. Shaw, J., B. Rains, R. Eyton, and L. Weissling, Laurentide subglacial outburst floods: Landform evidence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3:226, 1996.
8. Sharpe, D.R., and J. Shaw, Erosion of bedrock by subglacial meltwater, Cantley, Quebec,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1:1011–1020, 1989. Shaw, J., and R. Gilbert, Evidence for large-scale subglacial meltwater flood events in southern Ontario and northern New York state, Geology 18:1169–1172, 1990. Shoemaker, E.M., Water sheet outburst floods from the Laurentide ice sheet,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29:1250–1264, 1992. Shoemaker, E.M., Subglacial floods and the origin of low-relief ice-sheet lobes, Journal of Glaciology 38(128):105–112, 1992. Gilbert, R., and J. Shaw, Inferred subglacial meltwater origin of lakes on the southern border of the Canadian shield,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31:1630–1637, 1994. Sjogren, D.B., and R.B. Rains, Glaciofluvial erosional morphology and sediments of the Coronation — Spondin Scabland, east-central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2:565–578, 1995. Shaw, J., Subglacial erosional marks, Wilton Creek, Ontario,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25:1256–1267, 1988. Shaw, J., A meltwater model for Laurentide subglacial landscapes; in: Geomorphology Sans Frontiere. S.B. McCann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81–236, 1996. Shaw, J., B. Rains, R. Eyton, and L. Weissling, Laurentide subglacial outburst floods: Landform evidence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3:226, 1996. Brennand, T.A., J. Shaw, and D.R. Sharpe, Regional-scale meltwater erosion and deposition patterns, northern Quebec, Canada, Annals of Glaciology 22:85–92, 1996. Kor, P.S.G., and D.W. Cowell, Evidence for catastrophic subglacial meltwater sheetflood events on the Bruce Peninsula, Ontario,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5:1180–1202, 1998. Munro-Stasiuk, M.J., Evidence for water storage and drainage at the base of the Laurentide ice sheet, south-central Alberta, Canada, Annals of Glaciology 28:175–180, 1999. Beaney, C.L., and J. Shaw, The subglacial geomorphology of southeast Alberta: Evidence for subglacial meltwater erosion,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7:51–61, 2000.
9. Rains, B., J. Shaw, R. Skoye, D. Sjogren, and D. Kvill, Late Wisconsin subglacial
megaflood paths in Alberta, Geology 21:323–326, 1993.
10. Shaw, J., et al., The channeled Scabland: Back to Bretz? Geology 27(7):605–608, 1999. Oard, M.J., Only one Lake Missoula flood, TJ 14(2):14–17, 2000. Oard, M.J., The Missoula Flood Controversy and the Genesis Flood, Monograph No. 13, Creation Research Society, Chino Valley, AZ, 2004.


*Michael Oard의 책 'Frozen in Time” 원문.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asp
2. Why live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2.asp
3. The mystery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3.asp
4. A mammoth number of mammoth hypothes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4.asp
5. The extinction w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5.asp
6. The multiplication of ice age theori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6.asp
7. The Genesis flood caused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7.asp
8. The snowblitz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8.asp
9. The peak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9.asp
10. Catastrophic melting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0.asp
11. Only on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1.asp
12. Do ice cores show many tens of thousands of ye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2.asp
13. Where was man during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3.asp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nvironmental-science/ice-age/catastrophic-melting/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8-04-13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9장 

: 빙하기의 절정

(Frozen in Time, Chapter 9. The Peak of the Ice Age)

by Michael J. Oard, Ph.D.


      노아홍수 동안 범람했던 물이 육지에서 물러간 후, 세계의 대양과 육지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상대적 평형으로 나아갔다. 이것이 작동되면서 수세기에 걸쳐 기후 변화가 일어났다. 빙하가 성장하고 확장되면서, 따뜻했던 바다는 점차적으로 냉각되었다. 성층권의 화산재와 분진의 양이 천천히 감소하고, 지구의 기후가 더욱 안정되면서, 빙하기는 서서히 멈추어졌다. 마침내, 빙하기의 두 가지 주요 메커니즘인 성층권의 화산재와 따뜻한 바다가 더욱 줄어들면서, 전 지구에 얼음이 더 이상 쌓일 수 없는 시기가 왔다. 이때가 빙하기의 절정인 최대 빙하였다.


최대 빙하 (Glacial maximum)

빙하가 최대치에 가까이 감에 따라, 중위도와 고위도의 해수와 대기는 충분히 냉각되어, 바다 근처의 많은 지역들은 빙하로 뒤덮였다(그림 3.8과 3.9를 보라). 수온과 육지 온도의 변화로 빙상이 캐나다 동부와 뉴잉글랜드 대륙붕으로 확장되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와 워싱턴 주 산에서 주변 저지대로 얼음이 확장되었다. 록키산맥의 동쪽에 있는 얼음은 높은 평원으로 내려갔고, 로렌타이드(Laurentide) 빙상과 합쳐져서 얼음이 없는 통로(ice-free corridor)를 막았다.

그린란드와 스칸디나비아의 산에서 시작된 빙모(Ice caps)는 저지대로 밀려 내려갔다. 그때까지 발트해는 얼음으로 뒤덮여 있었기 때문에, 북부 유럽과 북서 아시아의 많은 부분이 얼음으로 뒤덮였다. 빙하기의 중간쯤 영국 제도(잉글랜드, 아일랜드 및 그 주변의 작은 섬을 포함하여)에는 빙모가 형성되었다. 빙하기가 끝날 무렵, 빙모들은 계곡을 가득 메웠고, 아일랜드 해를 덮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국 제도의 작은 빙상과 북해를 가로지르는 스칸디나비아 빙상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최대 빙하 때에 남반구의 동남극 빙상(East Antarctica ice sheet)은 거대해졌다. 서남극에서는 얼음이 산에서 내려 와서, 해수면 아래에 있었던 주변의 움푹 패인 곳을 채워, 하나의 커다란 서남극 빙상(West Antarctica ice sheet)을 형성했다. 서남극 빙상은 동남극 빙상과 합쳐졌다. 남미, 뉴질랜드, 태즈메이니아의 산들은 빙모로 덮였다. 호주 남동부에 있는 산의 작은 부분들에도 얼음이 뒤덮였다.

열대지방에서 빙하는 높은 산에서 슬금슬금 내려와, 상당히 낮은 고도까지 흘러갔다.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 산과 케냐 산은 오늘날까지 빙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빙하기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에 얼음은 오늘날보다 900m 아래까지 내려가 있었다. 900m 낮은 높이까지의 빙하의 확장은 열대지방의 다른 높은 산들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했다.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열대지방의 산에 빙하가 있었다는 것으로 인해 당혹스러워 해왔다. 인기 있는 천문학적 빙하기 이론을 포함하여, 동일과정설적인 이론들 중에서 빙하기 동안 열대지방의 산에 빙하를 예측하는 이론은 거의 없다. 창세기 대홍수의 기후 영향에 기초한 빙하기 모델은 모든 빙하들이 북반구에서부터 열대지방을 거쳐 남반구로 동시에 진행됐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빙하 형성에 오랜 시간이 필요할까?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빙하기는 약 10만 년 주기로 일어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홍수 모델에서는 빙하기는 빠르게 진행됐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격변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성층권의 화산재와 따뜻한 바다는 강력한 빙하기를 형성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빙하기의 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주로 노아홍수 이후에 따뜻한 바다가 식는데 얼마나 오래 걸렸는가에 달려 있다. 해양이 어떤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빙상의 성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대양의 증발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강설이 적고, 화산재의 오염이 줄어들면서, 여름의 태양은 여름철에 빙상을 녹이는데 더 효과적이 된다. 따뜻한 대양이 냉각되는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나는 노아홍수가 끝난 해의 바다의 평균 온도와 최대 빙하 때의 바다의 임계 온도를 추정했다. 그런 다음 바다와 대기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최대 빙하에 도달하는 시간과 빙하기를 가져오는데 걸렸던 시간을 예측했다. 방정식의 항목에는 예측 추정치가 있기 때문에, 관련 변수에 대한 최소값 및 최대값을 예측하고, 그 중간값을 선택하여 근사치를 사용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창세기 홍수로 원인된 빙하기(An Ice Age Caused by the Genesis Flood)’라는 책에 기술해 놓았다.[1]

그림 9.1. 노아홍수 이후 바다의 평균 온도 그래프. 고위도의 대기 온도는 오늘날보다 훨씬 낮았을 것이기 때문에, 해수의 평균 온도는 빙하기의 빙하가 녹으면서 오늘날의 온도 이하로 내려갔다.

나는 노아홍수 직후의 바다의 평균 온도를 30°C 정도로 따뜻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온도는 노아홍수 동안 (해저 용암분출 등으로 인한) 모든 열의 투입(input)이 엄청났을 것이기 때문에 선택했으며, 바다생물들은 그 온도에서도 여전히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물은 꽤 따뜻했음에 틀림없었으며, 그렇더라도 너무 뜨거워서 생물들이 죽지는 않을 정도였을 것이다. 오늘날 바다의 평균 온도는 4°C이고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를 제외하고는 빙상이 없기 때문에, 최대 빙하에 도달했던 임계 온도는 오늘날보다 따뜻했을 것이다. 나는 빙하기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 바다의 평균 온도는 10°C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것은 대양의 냉각이 20°C나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대양의 냉각 방정식에 변수의 최대 및 최소 추정치를 대입했을 때, 최소 냉각 시간은 174년이었고, 최대 냉각 시간은 1,765년이었다. 변수의 중간 범위의 값을 사용하여, 최대 빙하에 도달하는 데에는 약 500년이 걸렸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림 9.1은 빙하기 사건과 관련하여, 대홍수 이후의 시간에 따른 해수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방정식에 최소값 또는 최대값이 사용됐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빙상은 동일과정설적 추정치인 10만 년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하였다.

나는 또한 어떤 순간 빙하의 성장 속도가 성층권의 화산 먼지와 가스의 양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화산분출물이 많을수록, 증발 속도가 빨랐으며, 얼음이 더 많이 쌓였고, 더 잘 퍼져나갔다. 화산재가 적으면 적을수록, 얼음은 더 천천히 형성되었다. 화산 활동이 잠잠할 동안 빙하의 성장은 줄어들었고, 화산 활동이 활발해지면 급격히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양한 화산활동은 왕성한 빙상을 초래했을 것이다.


빙상의 두께

빙하기의 정점일 때 빙상의 두께를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일 수도 있지만, 대략적인 추정치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유용한 수분의 양, 빙상에 떨어지는 강설의 비율, 최대 빙하에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내용은 다른 곳에서 자세히 설명되었다.[2] 나는 독자들에게 오직 중요한 내용만 제시할 것이다.

수증기의 주요 출처는 두 가지가 있다: (1)중위도 및 고위도의 따뜻한 바다에서의 증발과, (2)저위도에서 이동된 대기 중 수증기이다. 첫 번째 변수는 주요 수분 공급원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빙상에 떨어지는 습기의 비율에 대한 최대값과 최소값을 기반으로, 북반구에서 최소 깊이는 500m, 최대 깊이는 900m를 얻었다. 중간 범위의 변수를 사용하면, 평균 깊이는 700m로 추정되었다. 이런 빙상을 형성하기 위한 연평균 강수량은 1.4m/년이었을 것이다. 이 비율은 북위 40° 육지의 현재 평균 강수량의 3배이다.[3] 이것은 오늘날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에서 따뜻한 바다로부터의 엄청난 양의 증발을 고려했을 때, 보수적인 증가이다.

남반구에서는 거의 모든 얼음은 남극대륙 위에 놓여졌기 때문에, 남극의 평균 얼음 깊이에 대해서도 유사한 계산을 했다. 흥미롭게도, 가장 좋은 추정치는 1,200m로 나왔다. 눈을 물로 환산하여 연간 평균 강수량은 2.4m/년이었을 것이다. 남극 대륙은 육지에 비해 둘러싼 바다의 비율이 더 크기 때문에, 더 두꺼운 빙상을 가지고 있었다. 즉, 남반구 대양은 남극대륙 주위로부터 더 많은 수증기를 폭풍으로 공급할 수 있었다.

빙하의 두께에 대한 위의 추정은 평균치이다. 빙상의 일부 지역은 더 두꺼웠고, 다른 지역은 더 얇았을 것이 예상된다. 빙하의 두께는 주요 폭풍 진로에 얼마나 가까웠는지, 그리고 폭풍우가 동반했던 습기의 양에 의존한다. 후자의 요인은 대개 폭풍이 수분 공급원인 따뜻한 바다에서 얼마나 가까웠는 지와 관련이 있다.

위의 추정치는 또한 여름에 녹지 않았다는 가정에 의한 추정치이다. 이것은 아마도 대부분의 빙상에 대해 적절한 가정일 것이지만, 빙상의 주변부에서는 여름철에 약간의 용융이 예상된다. 여기서 주변부란 빙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640km 넓이의 띠 지역이다. 여름철 용융은 가장자리를 따라 얼음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는 세 번째의 수분 공급 근원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의 습했던 비빙하 지역에서 발생됐던 수분이다. 현재 사막과 반건조 지역에 있었던, 커다란 호수들을 가졌던 비빙하 지역의 땅에서, 오늘날에 비해 세 배나 많은 강수량을 보였다면, 육지에서도 상당한 증발이 일어났을 것이다. 이 세 번째 수분 공급원으로부터의 일부 증발은 빙상에 눈을 추가시켰을 것이다. 이것은 여름에 녹는 양의 대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빙하의 두께 계산에서 더 이상의 변수는 고려하지 않았다. 나는 여름에 녹는 양이 비빙하 지역에서 증발로 인해 공급됐던 여분의 눈과 서로 상쇄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동일과정설적 얼음 두께의 추정치는 과장되었다.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빙하기 동안 얼음은 캐나다 동부에서 3,000m 이상 두께로 형성되었고 평균이 1,500m 이상 되었다고 주장했다(그림 9.2). 스칸디나비아 빙상 및 코딜레란 빙상도 마찬가지로 두꺼운 것으로 생각했었다. 이들 얼음 두께는 대홍수 빙하기 모델에 의해서 계산된 두께보다 훨씬 두껍다. 어떤 추정치가 실제 두께에 가장 가까울까? 먼저 동일과정설적 계산에 대한 근거를 조사한 다음, 빙상이 더 얇았다는 것을 가리키는 자료를 제시할 것이다.[4]


그림 9.2. 캐나다 동부 및 중부의 로렌타이드 빙상(Laurentide ice sheet)과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걸쳐 있는 코딜레란 빙상(Cordilleran ice sheet)에 대한 덴톤 및 휴즈의 그림.

대부분의 동일과정설 지질학자들은 빙하기로부터 용융된 빙상의 두께가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에서 녹는 얼음 두께와 비슷했다고 가정했다. 이것은 '수백만 년에 걸쳐 현재와 동일한 과정이 일어난다”는 사고방식의 일부이다. 그들은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과거의 빙상이 현재의 빙상의 크기만큼 만들어졌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왔다. 아서 블룸(Arthur Bloom)은[5] 과거의 로렌타이드 빙상을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불행하게도 그 두께에 관한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로렌타이드 빙상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유추와 이론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우리가 갖고 있는 유일한 유추 또는 사례는 그린란드 빙상과 남극 빙상이다. 이론적으로,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빙하가 북아메리카의 먼 북쪽에서 시작되었고, 수천 년 후에 남쪽 주변으로 흘러내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경우 캐나다의 중심에 있는 얼음은 매우 두꺼웠을 것이다. 왜냐하면 평평한 지형에 있는 빙하는 더 두꺼운 얼음 지역으로부터 더 얇은 얼음 지역으로 흘렀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빙상 상단에서 아래 방향 경사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에서의 빙하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따라서, 유추와 이론에 근거하면, 얼음의 두께에 대한 동일과정설적인 추정치는 상당히 크지만, 이는 완전히 추측에 근거한 것이다.

지질학자들은 또한 빙상의 두께를 추론하기 위해서 해수면의 추정치를 낮게 사용해왔다. 하지만 그 증거가 물속에 있기 때문에, 빙하기의 절정 동안에 바다 해수면이 얼마나 낮게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지질학자들은 종종 그들이 가정하는 빙상의 두께에 기초하여 해수면의 하락을 추정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이는 해수면이 낮아진 것과 얼음 두께, 둘 다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순환논리인 것이다. 정확히 말해서 지질학자들은 빙상의 두께를 짐작만 할 뿐이다. 에릭손(Ericson)과 울린(Wollinn)[6]은 이렇게 인정하고 있다: '빙상이 얼마나 두꺼웠는지는 추측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추정치는 다양하다.”

하지만, 과거의 빙상의 두께가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낮았다는 최근의 몇몇 증거들이 있다. 허드슨만 위에 중심을 둔 하나의 큰 로렌타이드 빙상 대신에, 이제 대부분의 지질학자들은 적어도 두 개의 주요한 얼음 돔(ice domes)이 있었다고 결론 내린다. 하나는 허드슨 만 동쪽 래브라도에 있었고, 또 하나는 허드슨 만의 서쪽과 북서쪽에 있었던 키와틴 돔(Keewatin dome)이다(그림 9.3). 이것은 주로 줄무니가 있는 기반암의 방향과 빙하 파편의 분산에 기초한 것이다. 아마도 다른 얼음 돔들이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그림 9.3에 있는 Poxe/Baffin 돔이 있다. 또 다른 돔이 그레이트호 바로 북쪽에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개의 돔 대신에 둘 혹은 그 이상의 돔들이 있었다는 것은 빙상의 두께가 더 얇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9.3. 래브라도와 키와틴의 두 개의 주요 중심을 가지는 로렌타이드 빙상의 새로운 다중 돔 모델(multidomed model). 화살표는 이들 돔들이 흘러나간 경로를 추정한 것이다. 여러 다른 작은 돔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하나는 Foxe/Baffin 얼음 돔이다.

더군다나, 미국 북부 중앙의 로렌타이드 빙상 주변 부분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얇았던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 얼음이 두꺼웠다는 원래의 추정은 남극대륙 빙상의 두꺼운 주변부에 기초한 것이었다. 주변부가 얇았다는 증거는 몬타나 중북부의 산꼭대기, 앨버타 남동부의 사이프러스 힐스(Cypress Hills) 서쪽, 그리고 서스캐처원(Saskatchewan) 남서부의 우드 마운틴 고원(Wood Mountain Plateau) 위에 얼음이 있었다는 발견으로부터 온 것이다.[7] 남부 앨버타와 서스캐처원에 있는 얼음의 두께는 다소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대략 깊이가 300m 정도였다. 남부 앨버타에서 남쪽 빙하 끝까지의 얼음 표면의 기울기는 거의 평평했다.[8] 이 두께는 남극 대륙 빙상의 가장자리를 유추로 하여 가정한 두께의 약 1/5이다. 이렇게 평평한 경사도와 남부 캐나다로부터 몬타나로의 전반적인 오르막 지형으로 인해, 주류 과학자들은 빙상이 어떻게 오르막 지형으로 이동하여, 북부 몬타나주 중심부로 퍼져 나갔는지 난처한 입장에 처해있다. 빙하가 움직이는 방식에 따르면, 그것은 불가능했다. 가장 가능성 있는 설명은 대홍수 이후 빙하기 모델에서 예측한 것처럼, 눈과 얼음이 일반적으로 제자리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빙상이 얇았다는 것에 대한 또 다른 증거는, 미국 중서부의 북쪽 지역에서 나온다. 현재 이 지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얼음 엽편은 남쪽으로 밀려 올라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측퇴석의 뒤에 남겨졌다. 이러한 측면 특징의 완만한 경사는 빙상이 분명히 얇았다는 것을 나타낸다.[9] 위스콘신 남서부의 표류가 없는 지역(driftless area) (한때 대륙 빙하로 둘러싸인 적은 있지만 덮인 적이 없기 때문에 빙하 성층(成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광대한 지역, 네이버 지식사전)은 얇은 얼음 엽편이 이 영역을 완전히 벗어났음을 보여준다. 주변 얼음이 얇지 않았다면, 표류가 없는 지역은 얼음으로 덮였을 것이다.

로렌타이드 빙상의 남서부와 남부 중앙의 주변 지역이 얇았을 뿐만 아니라, 최근의 증거에 따르면 동부 유콘 지역의 북서쪽 경계 지역도 역시 얇았다는 것을 나타낸다.[10] 뉴잉글랜드의 남동쪽 경계 지역은 비교적 두꺼웠다.[10] 로렌타이드 빙상의 다른 주변 지역에서는 정보가 거의 없다.

오르키에테(Orchiette)[11]는 새로운 관측 데이터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었다 :

이러한 결과는 로렌타이드 빙상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그것들은 특히 얼음의 부피가 훨씬 더 작았고, 경계가 복잡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Footnotes
1. Oard, M.J., An Ice Age Caused by the Genesis Floo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El Cajon, CA, pp. 93–98, 199–210.
2. Ibid. pp. 98–100, 211–215.
3. Peixoto, J.P., and A.H. Oort, Physics of climate,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New York,
p. 168, 1992.
4. Oard, Ice Age, pp. 100–107.
5. Bloom, A.L., Glacial-eustatic and isostatic controls of sea level; in: The late Cenozoic glacial ages, K.K. Turekian (Ed.),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p. 367, 1971.
6. Ericson, D.B., and G. Wollin, The ever-changing sea, Albert A. Knopf, New York, p. 136, 1967.
7. Klassen, R.W., Late Wisconsinan and Holocene history of southwestern Saskatchewan,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1:1822–1837, 1994.
8. Mathews, W.H., Surface profiles of the Laurentide ice sheet in its marginal areas, Journal of Glaciology 13(67):37–43, 1974.
9. Clayton, L., J.T. Teller, and J.W. Attig, Surging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urentide ice sheet, Boreas 14:235–241, 1985.
Beget, J.E., Modeling the influence of till rheology on the flow and profile of the Lake Michigan lobe, southern Laurentide ice sheet, U.S.A., Journal of Glaciology 32(111):235–241, 1986.
10. Beget, J., Low profile of the northwest Laurentide ice sheet, Arctic and Alpine Research 19:81–88, 1987.
11. Occhietti, S., Laurentide ice sheet: Oceanic and climatic implication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4:13, 1983.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nvironmental-science/ice-age/peak-of-ice-age/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8-03-20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8장 : 폭설

 (Frozen in Time, Chapter 8. The Snowblitz)

by Michael J. Oard, Ph.D.


 창세기의 홍수는 빙하기에 필요한 두 가지 필수 조건을 제공한다. 이 시점부터 우리는 기초적인 기상학을 사용하여, 폭풍의 패턴과 빙상이 발생되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다.

창세기의 홍수는 독특하고 섭리적으로 빙하기에 필요한 두 가지 필수요소를 제공한다. 이 시점부터 우리는 기초적인 기상학을 사용하여 폭풍의 패턴과 빙상이 발생되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다. 따뜻한 대양과 인접한 중위도 및 고위도 대륙에서 차가운 여름의 역동적인 결합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신속하게 빙상(ice sheets)이 형성되었을 것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육지 쪽으로 부는 온난한 바람에 의해 일부 지역이 너무 따뜻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그곳에 빙상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대양이 충분히 냉각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놀랍게도, 알래스카와 시베리아의 저지대와 같이 처음 보았을 때 빙하 작용에 이상적으로 보이는 몇몇 지역은 전혀 빙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폭설(Snowblitz)”은 넓은 지역이 눈과 얼음으로 빠르게 덮이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단어이다. 이것은 빙상이 고위도의 높은 산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남쪽으로 뻗어 나온다는 생각과 대조된다. 대홍수 이후의 빙하기 모델은 노아 홍수 직후에 빙하기가 한꺼번에 넓은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보여준다.[1]


눈과 얼음의 빠른 축적(Rapid accumulation of snow and ice)

빙하기에 내린 대부분의 눈은 연속적인 강설보다는 폭풍과 관련이 있었다. 폭풍 진로의 위치를 이해하는 것은 눈과 얼음이 처음으로 쌓인 곳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이다. 오늘날의 기후에서 폭풍은 다양한 경로를 취하지만, 지구의 지형과 전반적인 기온 패턴 때문에, 폭풍은 특정 지역을 선호한다. 현재는 북대서양의 아이슬란드와 북태평양의 알류샨 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것들을 각각 아이슬란드 저기압과 알류샨 저기압이라고 부른다.

빙하기에는 폭풍도 특정 경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육지와 바다의 엄청난 온도 차이 때문에, 북반구의 폭풍우는 성장하고 있는 빙상의 바로 남쪽과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동해안을 따라 더욱 자주 발생했을 것이다(그림 8.1)[2]. 이러한 폭풍의 진로는 상당히 많은 무질서한 폭풍 진로들의 평균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8.1. 빙하기가 절정에 도달했을 때, 눈과 얼음 분포 및 폭풍 진로. 북아메리카 빙상 안쪽의 원형 지역은 가정된 아이스돔을 나타낸다. 아직 바다 얼음이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북반구에서 눈보라에 의한 대부분의 강설은 폭풍의 북쪽과 북서쪽에 떨어진다(그림 8.2 참조). 이곳은 폭풍의 가장 추운 부분이다. 발달 중인 빙상의 바로 남쪽에 있는 주요 폭풍 진로의 영향으로 빙상은 특히 주변을 따라 계속 증가했을 것이다. 대홍수 이후 처음 몇 년 동안, 눈은 중위도와 고위도의 대륙 내부의 넓은 지역을 덮었을 것이다. 빙하기는 캐나다와 미국 북부의 많은 지역을 즉시 눈으로 덮고, 많은 산악지대에 눈을 축적시키는 폭설로 시작했을 것이다. 빙하는 북부 캐나다에서 발달하여 미국 북부로 천천히 이동할 필요가 없었다.

그림 8.2. 빙하기에 전형적이어야 하는 북동풍의 폭풍. 점선 안에 강수 지역이 있음을 보여준다. 저기압 중심(L)의 북쪽 화살표가 이동 방향이다. 여러 개의 화살표는 바람의 방향이다.

화산재와 가스가 성층권에서 두꺼운 채로 유지되고, 중위도 및 고위도의 해양 표면이 따뜻하게 유지되는 한, 눈이 계속해서 떨어지면서 빠르게 쌓였을 것이다. 빙하기 초기에 주로 빙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약하게 여름 해빙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몇몇 작은 기상 작용은 성층권의 화산재와 먼지에 의한 냉각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켰을 것이다. 그 중 하나는 적설 냉각(snow cover cooling)이다. 적설이 진행되면 눈의 햇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져서, 기온이 6°C 정도 더 낮아진다. 이것은 이미 화산재와 가스로 인한 냉각을 강화시킨다.

눈이 빠르고 지속적으로 축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수면 온도가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 따뜻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다에서 급격한 증발이 일어나고, 차가운 대륙성 공기가 바다 위로 불면서 해수면이 냉각된다. 이로 인해 증발 감쇄 효과가 일어난다. 그런데 차가운 지표수는 침하하고, 아래에서의 더 따뜻한 물이 대체되어, 잠시 동안 그것에 저항한다. 또한, 강화된 해양 순환은 계속해서 더 남쪽에서 더 높은 위도로 따뜻한 물을 공급할 것이다(그림 8.3). 따라서 냉각 효과에도 불구하고,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 해양 표면 온도는 오랫동안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유지되어, 폭설을 위해 필요한 많은 양의 수증기를 보장한다.

빙하기 때에도 여전히 태양의 고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계절은 있었지만 여름은 더 시원했으며, 겨울은 더 온화했을 것이다. 대륙 지역에 걸친 계절적 기온 차이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것보다 훨씬 적었을 것이며, 대략 8°C 정도로 예상된다.

빠른 빙하 형성의 가능성은 북아메리카의 동해안에서 잘 알려진 유형의 폭풍인 북동풍의 폭풍(그림 8.2)을 고려하여 입증할 수 있다. 이 폭풍은 일반적으로 25cm 이상의 눈을 퍼붓는다. 1993년 3월 12~15일에 있었던 세기의 폭풍은 미국 동부에 눈을 140cm까지 퍼부었다.[3] 그림 8.4는 대서양으로부터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가진 북동풍이 북부지역을 통과하며 육지의 차갑고 조밀한 공기를 표면 위에서 반전시키며 올라가는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실상,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를 덮으며, 빙상이 발달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반전이 일어났을 것으로 예상한다. 빙하기 시대에는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것보다 북동풍이 훨씬 빈번하고 강했을 것이다. 그 폭풍들은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빙상과 따뜻한 바다 사이의 더 큰 온도 차이 때문에, 주로 두 배 이상의 면적에 걸쳐 3배 정도의 강설을 만들었을 것이다.

그림 8.4. 북동풍이 지나는 북부 지역을 통과하는 대기 단면. 직선 경사 선은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 사이의 경계이다.

북동풍이 폭설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동부 해안과 평행 이동하며 1년 동안, 매주 한번 불어오는 북동풍이 뉴잉글랜드와 캐나다 남동부에 50cm의 눈을 내리게 했다고 가정하자. 이것은 이러한 유형의 폭풍에 대해 평균의 두 배 정도의 양이지만, 빙하기 동안에 가능한 수증기 양을 고려하면 다소 보수적인 수치이다. 물에 대한 눈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 cm의 물에 대해 눈이 10cm이다. 눈이 얼음으로 변환 된 후에, 이 50cm의 눈은 약 5cm의 얼음이 된다. 빙하기의 첫해에, 여름에 눈이 녹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얼음이 264cm 쌓였을 것이다. 이 비율이 200년 동안 지속되었다면, 얼음의 깊이는 빙하기가 발달하기에 충분할 정도인 530m가 되었을 것이다.

캐나다 남동부와 뉴잉글랜드를 가로지르는 또 다른 폭풍 진로를 가정해 보자. 북동풍에 더하여, 빙붕의 남쪽 경계와 평행하게 뻗은 주된 폭풍 진로가 되었을 것이다(그림 8.1 참조). 이것은 육상의 경로를 가지며, 동해안의 따뜻한 대양에서 공급을 받는 북동풍만큼의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았을 것이다. 200년 동안에, 대륙 폭풍 경로는 150m의 얼음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불과 200년 안에 두 개의 주요 폭풍 진로로부터 670m 정도의 얼음이 쌓일 수 있다.


초기의 빙상 (The early ice sheets)

빙하기 초반에 빙하기의 시기와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다. 빙상(ice sheets, 대륙빙하)은 주된 폭풍 진로와 수분 공급원인 따뜻한 바다에 가장 가까운 지역에서 빠르게 축적되었을 것이다. 따뜻한 바다와 너무 가까운 지역에서는 빙하기가 지연될 것이다. 따뜻한 대양은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하며, 육지쪽으로의 공기가 내륙으로 퍼져 나가면서 인접한 육지를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했을 것이다. 이것이 워싱톤 주의 시애틀이 영하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거의 눈을 볼 수 없는 이유이다.

그림 8.5. 대홍수 이후 빙하기가 시작될 때 북반구의 눈 덮힌 지역 및 대폭풍(실선) 및 소푹풍(점선)의 가상 진로. (Ruddiman과 McIntyre의 그림을 다시 그렸음)[4].

그림 8.5는 초기 얼음 생성의 예상 영역을 보여준다. 캐나다 남동부와 뉴잉글랜드는 눈과 얼음이 빠르게 축적되기에 매우 유리한 지역에 놓여 있다. 이것은 래브라도가 캐나다 중부 및 동부에 있는 로렌타이드 빙상(Laurentide Ice Sheet)의 얼음 돔 중 하나였던 이유일 것이다(9장의 그림 9.3 참조). 수분 공급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캐나다의 남쪽 내부와 미국 중서부의 북쪽은 이 당시 비교적 얇은 빙상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한동안 스칸디나비아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저지대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강하게 육지쪽으로 불어와, 너무 따뜻해서 얼음이 만들어지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산들은 빠르게 빙모가 형성되어서, 그것이 점차적으로 계곡으로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을 것이다. 발틱해와 북대서양이 따뜻했기 때문에, 유럽 대륙에 눈과 얼음이 쌓이는 것이 지연되었을 것이다. 따뜻한 물에 둘러싸인 영국 제도는 처음에는 전혀 빙하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때 그린란드 역시 따뜻한 물에 둘러싸여 있었을 것이고, 대부분 산에만 눈과 얼음이 있었을 것이다.

북극해의 경계를 이루는 지역인 빙상의 북부 지역에는 눈과 얼음이 흥미로운 분포를 했을 것이다. 대홍수 직후에 북극해는 수온이 매우 따뜻했을 것이므로, 바다 얼음이 없었을 것임을 기억하라. 빙하기의 처음 몇 년 동안은, 이 따뜻한 물이 종종 그것을 압도하는 차가운 대기 질량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것은 강한 증발을 일으켰을 것이다. 동시에, 따뜻한 바다와의 접촉 및 응축될 때, 수증기로부터 잠열의 방출에 의해 공기가 가열될 것이다. 따뜻한 공기는 빙하기가 시작될 때, 북극해 경계지역을 얼음이 없는 상태로 유지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지역의 무거운 수분은 눈과 얼음이 북극해에서 내륙으로 더 멀리 쌓이게 했을 것이다. 이것은 Donn과 Ewing의 빙하기 이론과 같다(6장을 보라). 이것은 허드슨 만 북서부의 로렌타이드 빙상의 키와틴(Keewatin) 부분이 빙하기 동안에 얼음 돔(ice dome)이었던 이유를 설명해 준다(9장의 그림 9.3 참조).

반면에, 동일과정설적 빙하기 모델은 이 얼음 돔을 설명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Donn과 Ewing[5]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커다란 로렌타이드 빙상의 남쪽으로의 뚜렷한 장벽 효과를 고려할 때, 캐나다 빙상이 북서쪽으로 현저히 확장을(키와틴 지역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분 공급원을 상상하기 어렵다.

오늘날 키와틴 지역은 북미에서 가장 건조한 곳 중 하나이다.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의 생각으로, 빙하기 동안 키와틴 지역은 너무 북쪽에 있어서 많은 강수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의 시나리오에서 북극해는 해빙으로 덮여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그 바다로부터 습기가 오는 것을 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대홍수 이후 빙하기 모델에서는 북극해가 얼음이 없고 따뜻했기 때문에, 키와틴의 얼음 돔을 설명될 수 있다.

대홍수 직후 따뜻한 물의 분포는 또 다른 흥미로운 결과를 낳는다. 오대호 및 허드슨만( Great Lakes and Hudson Bay)은 따뜻한 물의 커다란 수역이 되어, 그 위와 가까이에 얼음이 쌓이는 것을 억제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수역에서 강한 증발은 그들 주변, 그러나 해안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곳에 눈과 얼음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북미의 록키 산맥 바로 동쪽 지역은 태평양에서 오는 따뜻한 공기가 산을 타고 넘은 후, 온화한 치누크 바람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빙하가 될 수 없었다. 이것을 얼음이 없는 복도( ice-free corridor)라고 불린다. 또한 따뜻한 북극해 및 북태평양 바다는 이 당시 대부분의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빙하가 되지 못하게 했다.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의 저지대와 얼음이 없는 복도가 충분히 따뜻했기 때문에, 빙하기 초기와 중기 동안 모든 동물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 이제는 빙하기 동안 털북숭이 매머드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살 수 있었던 이유와 저지대에 빙하가 없었던 이유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남반구는 남극대륙 연안까지 뻗어있는 큰 규모의 따뜻한 바다로 인하여, 다소 단순한 폭풍 패턴을 가졌을 것이다. 따뜻한 물이 남극 동쪽 해안에 접하고 있어서, 폭풍의 주 진로는 이 차가운 대륙 주위를 돌았을 것이다. 이 거대한 육지 면적은 특히 남반구의 광대한 해양에서 오는 따뜻한 물을 고려할 때, 급속하게 빙하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남극 대륙의 서쪽은 더 복잡했을 것이다. 남극 대륙 서쪽의 상당 부분은 일련의 섬들로서 아직도 사이사이에 따뜻한 물이 있었을 것이다. 빙하기 초기에는 남극 대륙 서쪽의 산들 만이 빙모(ice caps)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그림 8.6).


그림 8.6. 대홍수 이후 빙하기가 시작될 때 남극 대륙의 눈 덮힌 지역(어두운 부분)과 대폭풍(실선) 및 소푹풍(점선)의 가상 진로

빙하기의 초기에는 남반구와 열대 지역의 높은 산지 중 일부만이 빙모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나중에는 이것이 작아졌을 것이다.


습윤 사막 (The wet deserts)

3장에 열거된 빙하기의 주요한 수수께끼 중 하나는 현재의 사막과 반건조(semi-arid) 지역에 있는 큰 호수, 강, 수생 화석의 증거이다. 창세기 대홍수와 창세기 대홍수로 인한 빙하기는 ”습윤 사막”의 증거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그림 8.1에서 보인 대폭풍 진로 외에, 빙하기 동안의 대기 순환을 예측하는 것은 도전을 받고 있다. 또한 이 순환계가 지구의 강수량을 결정한다. 그 이유는 따뜻한 바닷물과 대기의 증발은 대기 순환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바다 위의 대기로 직접 유입되는 수분의 영향과 북반구 주변으로 발산하는 잠열의 방출은 계산하기 어렵다. 대륙이 차갑고 계절에 따른 차이가 적다는 것은, 오늘날과 너무 다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더한다. 이러한 조건에 가까운 어떤 것을 가지고 대기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적이 없다. 창조연구소(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의 래리 바디만(Larry Vardiman)[6]은 따뜻한 바다를 이용한 간단한 기후 모델로 몇 가지 작업을 수행했으며, 많은 독특한 가능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오늘날과 크게 다른 대기 패턴을 암시한다. 폭풍 진로, 많은 강우대, 몬순 및 기타 기후 특성은 이 빙하기 시대에 독특했었을 것이다. 아마도 장래에는 정교한 대양-대기 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 언급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독특한 빙하기 기후가 단순히 따뜻한 바다에서 더 많은 증발로 인해 지구 전체에 훨씬 더 많은 강우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 강우는 오늘날과 다르게 분포되었을 것이다. 이 기후는 현재 미국 남서부와 같이 건조하고 반 건조한 지역에서 풍부한 강우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미국 남서부의 호수에 있는 모든 물이 빙하기의 많은 강우로부터 온 것일 필요는 없다. 대홍수가 끝나갈 무렵 육지가 올라가고, 대륙에서 대홍수 물이 빠져 나감에 따라, 물이 배출구가 없는 유역에 갇히게 되었을 것이다. 대홍수 이후의 빙하기 동안의 강우는 단순히 대홍수로부터 남겨진 호수를 유지했을 것이다. 이 호수의 유지에 대한 증거는 캘리포니아 모노호(Mono Lake) 근처의 말단 빙퇴석 및 유타주 중부의 와사치 산맥(Wasatch Range)에 연하여 있는 계곡 가장자리에 새겨진 해변 옆에서 볼 수 있다(그림 8.7 및 8.8).

그림 8.7. 빙하기 동안 모노호가 훨씬 더 높이 있었을 때, 말단 빙퇴석으로 패인 해안선.

그림 8.8. 유타주 와사치 산맥의 Little Cottonwood Creek와 Bells Canyons 입구에 있는 빙퇴석 위에 있는 보너빌(Bonneville) 호수의 해안선

사하라 사막은 ”물이 많았던 사막”의 또 다른 좋은 예이다. 그곳은 수백 년 동안 상당히 습한 기후였다. 이것은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동물들에게 건강하고 번성하는 환경을 제공했다.

빙하기 말기에 주로 빙하가 물러가던 시기 동안에 거대한 건조작용이 일어나서 오늘날 우리가 관찰하는 사막과 반건조 지역이 생성되었다. 주목해야 하는 중요한 점은, 대홍수가 초래한 빙하기 모델은 습윤 사막을 설명할 수 있는 반면, 차가운 빙하기를 주장하는 동일과정설 모델은 습윤 사막을 설명하는 데에 커다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Footnotes
1. Oard, M.J., An Ice Age Caused by the Genesis Floo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El Cajon, CA, pp. 38–65, 1990.
2. Ibid., pp. 46–55.
3. Oard, M.J., The Weather Book, Master Books, Green Forest, AR, p. 56–57, 1997.
4. Ruddiman, W. F., and A. McIntyre, Warmth of the subpolar north Atlantic Ocean during Northern Hemisphere ice-sheet growth, Science, 204(4389): 173–175, 1979.
5. Donn, W.L., and M. Ewing, The theory of an ice-free Arctic Ocean; in: The causes of climatic change, J.M. Mitchell Jr. (Ed.), Meteorological Monographs 8(30),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p. 102–103, 1968.
6. Vardiman, L., Climates before and after the Genesis flood: Numerical models and their implications,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El Cajon, CA, p. 81–92, 2001.


*Michael Oard의 책 'Frozen in Time” 원문.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asp
2. Why live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2.asp
3. The mystery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3.asp
4. A mammoth number of mammoth hypothes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4.asp
5. The extinction w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5.asp
6. The multiplication of ice age theori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6.asp
7. The Genesis flood caused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7.asp
8. The snowblitz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8.asp
9. The peak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9.asp
10. Catastrophic melting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0.asp
11. Only on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1.asp
12. Do ice cores show many tens of thousands of ye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2.asp
13. Where was man during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3.asp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nvironmental-science/ice-age/the-snowblitz/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8-02-13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7장 

: 창세기 대홍수에 의해 원인된 빙하기 

(Frozen in Time, Chapter 7. The Genesis Flood caused the Ice Age)

by Michael J. Oard, Ph.D.


     빙하기에 필요한 두 요소인 낮은 기온과 엄청난 양의 강설은 창세기 홍수 직후에 극적으로 성취되었다.

털북숭이 매머드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서는, 먼저 빙하기를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털북숭이 매머드가 빙하기에 살았던 생물이기 때문이다(부록 4 참조). 나는 먼저 빙하기의 전개에 대한 성경적 이론을 탐구할 것이다. 그러면 털북숭이 매머드를 둘러싼 질문에 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과학자들은 한때 얼음이 캐나다의 대부분과 미국 북부와 중부 일부 지역을 덮었다는 많은 증거들을 수집해왔다. 얼음은 북유럽, 아시아 북서부, 유라시아의 많은 산악지대, 남반구와 열대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도 있었다는 증거들이 발견된다. 그러나 David Alt[1]가 간결하게 언급했던 것처럼, 진실로 과학자들은 여전히 빙하기의 원인을 알지 못한다: ”많은 이론들이 있지만, 빙하기를 일으킨 원인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오늘날 과학적 패러다임이 되어버린 동일과정설은 빙하기 혹은 빙하기와 관련된 사건을 설명하지 못한다. 현재 빙상은 생겨나지 않고, 녹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어떻게 빙하들이 생겨났는지, 실제로 관찰할 방법이 없다.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어떻게 시베리아에서 살아남았다가 멸종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큰 호수들도 지구의 사막을 다 채우지 못한다. 빙하기 때 동물과 식물들의 분포는 오늘날 관찰되고 있는 어떠한 패턴과도 달랐다. 그리고 오늘날 빙하기 말에 발생했던 많은 종류의 대량 멸종이 관측되지 않는다.

세속적 과학자들은 빙하기의 기원이나 거대한 포유류의 대량 멸종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떤 과정도 발견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2세기 이상 동안 축적된 데이터에서 빙하기의 원인을 찾지 않고, 동일과정설적 가정들 속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고 있기 때문이다. 동일과정설의 기초 가정들은 거부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자, 다른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다. 나는 주류 과학자들의 동일과정설적 가정과, 전 지구적 대홍수에 대한 적대감이 털북숭이 매머드뿐만 아니라, 빙하기의 원인에 대한 그들의 눈을 멀게 했다고 믿는다. Guthrie[2]는 빙하기와 관련된 조화되지 않는 연관성과 뒤따른 대량멸종에 관해 언급하면서, 그의 경력 초기에 다음과 같이 밝혔다:

1960년대 초반에 젊은 고생물학자의 눈을 통해 멸종 문제를 살펴본 결과,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는 데에는 정말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처음으로 얻었다. 사실상, 과거의 많은 부분들은 현대와 유사성이 없을 수도 있다.

Larry Marshall[3]은 빙하기 멸종에 관한 책에서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많은 연구자들은 오래된 공리, 즉 ”현재는 과거를 아는 열쇠”라는 것이 더 이상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현재는 정상적이라고 생각되는 기준이 홍적세에서는 잘못된 것일 수 있다고 Guthrie(13장)는 말한다. 현재는 더 이상 표준으로 간주될 수 없다.

그들은 동일과정설을 가까운 과거에도, 즉 빙하기와 털북숭이 매머드 시대에도 적용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 많은 미스터리들을 풀지 못하도록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 동일과정설이라는 교리 때문이다. 전 지구적 대홍수설은 이 두 미스터리들에 대한 논리적이고, 결함이 적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나는 사람들이 거부했던 성경적 세계관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믿는다. 창세기 1~11 장에는 초기 지구 역사에 대한 간결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창세기 기록과 다른 많은 고대의 문헌들은 전 지구적 대홍수를 묘사하고 있다. 1700년대와 180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믿고 있었던 전 지구적 대홍수는 결코 틀린 것이 아니었다. 1800년대 중반에서 후반부터 과학자들은 전 지구적 대홍수 대신에, 동일과정설을 가정했고, 그것을 믿기 시작했다. 전 지구적 대홍수의 결과 중 하나는, 기후가 오늘날 우리가 관찰하는 평형에 도달하기 전까지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는 것이다(그림 7.1). 이 변해왔던 기후 내에서 빙하기와 매머드 미스터리에 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림 7.1. 대홍수와 관련된 빙하기의 시간 틀(Illustration by Daniel Lewis of AiG.)


첫 번째 필요조건 – 서늘한 여름(cooler summers)

창세기 홍수에 대한 성경 기록으로부터, 우리는 대홍수 동안과 그 직후에 이 세계가 어떠했었는지에 관한 약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창세기 7장과 8장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노아가 육백 세 되던 해 둘째 달 곧 그 달 열이렛날이라 그 날에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지며 하늘의 창문들이 열려 사십 주야를 비가 땅에 쏟아졌더라... 물이 땅에 더욱 넘치매 천하의 높은 산이 다 잠겼더니... 물이 백오십 일을 땅에 넘쳤더라... 물이 땅에서 물러가고 점점 물러가서 백오십 일 후에 줄어들고... 둘째 달 스무이렛날에 땅이 말랐더라... (창세기 7:11~8:14)

대홍수를 일으킨 물의 대부분은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지면서(all the fountains of the great deep broken up) 나왔다고 성경은 말하고 있다. 깊음 또는 큰 깊음은 바다를 의미한다.[4] 큰 깊음의 샘들이 터졌다는 것은 바닷물이 터져 나와 땅을 뒤덮었음을 의미한다. 즉 해양지각 또는 대륙지각이 갈라지면서 지하 깊은 곳에서부터 물들이 분출했다는 것이다.[5]

대홍수 초기에 기념비적인 지질학 및 수문학적 활동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거대한 지진들이 일어나, 지각에 커다란 균열들을 만들었을 것이며, 폭발적으로 지하수를 방출했고, 엄청난 화산 폭발들이 일어났을 것이다. 추론을 통해 대홍수 이전의 산들은 상당히 낮았으며, 산이 3,000m 이상이었더라도, 전 지구적 대홍수의 강렬한 물 흐름은 기존의 산들을 침식시켰을 것이다.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진 것이, 비가 내리는 것에 앞서서 언급되어 있으므로, 그것이 대부분의 강우를 초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강우는 대홍수를 일으킨 두 번째 요인이었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대홍수 물은 150일 동안 증가하여 땅을 뒤덮었고, 가장 빠른 상승은 처음 40일 동안 일어났으며, 다음 110일 동안은 느리게 상승하거나 ”창일한” 것이었다(그림 7.2). (일부 창조론자들은 대홍수가 40일 동안 절정에 달했을 것으로 믿는다. 그림 7.2의 대체 점선) 그리고 대홍수는 이후 221 일간 대륙에서 물러나면서, 시편 104:6~9에 기록된 바와 같이, 산은 오르고 골짜기는 내려갔다.(지판들의 급속한 이동과 융기 및 침강으로 인해 물들이 대륙으로부터 물러가기 시작했다).[6]

그림 7.2. 이 그래프는 홍수 시작 후 150일 동안의 해수면 높이의 상대적 상승과 그 이후 221일 동안의 해수면 높이의 점차적인 감소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곡선이 완만하지 않은 이유는 해수면의 일반적인 상승, 하강 동안 몇 가지 변수들이 해수면의 높이를 변동시켰기 때문이다. 점선은 홍수 시작 후 40일 만에 홍수의 정점에 도달했을 것이라는 가정을 나타낸다.

퇴적암 내의 교차(interbedded)된 층들은 오늘날 전례가 없는, 엄청난 화산활동들의 증거이다. 광대하고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화산 흐름과 화산재 층간 퇴적암들이 있으며, 이것들은 전 지구적 대홍수 패러다임과 잘 어울린다. 대홍수가 끝날 때쯤, 지구 대기는 많은 양의 화산재와 가스로 뒤덮여있었을 것으로 보인다.[7] 성층권에 갇혀있는 풍부한 화산재와 가스들은 ”반온실(anti-greenhouse)” 작용을 했을 것이다(그림 6.1을 보라). 그것은 지구를 데우는 대신, 햇빛을 우주로 반사시켜, 지구를 차갑게 식혔을 것이다. 동시에 지구의 적외선 복사도 계속 일어났을 것이다.

과학자들은 화산재와 가스가 지구를 상당히 냉각시킬 수 있음을 알고 있다. 미국 사람들은 1980년 5월 워싱턴 주에서 있었던 세인트 헬렌 산의 분출을 기억한다. 오레곤에서 중부 몬태나에 이르기까지, 어둡고 자욱한 마른 안개(dry fog)가 끼었던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어둠은 이틀 동안 지속되었다. 그 폭발도 작은 규모는 아니었지만, 이 폭발은 지난 200년 동안 일어난 많은 화산폭발 사건들에 비하면, 사실 작은 것이었다. 가장 큰 것으로는 1963년 발리 섬의 아궁(Agung) 화산, 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토아(Krakatoa) 화산, 1815년 인도네시아의 탐보라(Tambora) 화산, 1783년 아이슬란드의 라키(Laki) 화산 폭발 등을 들 수 있다. 현대의 커다란 화산 분출은 대개 한 지역 또는 반구의 온도를 섭씨 약 1도 정도 낮춘다. 화산재와 가스가 성층권에서 천천히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냉각은 1~3년간 지속된다.

탐보라(Tambora) 화산 폭발은 근래에 있었던 가장 컸던 폭발로 1816년에 ”여름이 없는 해”를 가져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해에 전례 없는 찬바람이 미국 북동부와 인접한 캐나다 지역의 온도를 낮추었고, 6월에 폭설이 내렸고, 7월과 8월에 서리가 내려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심지어 그해 여름은 유럽에서도 선선함을 경험했다.

David Keys[8]는 서기 535년에 기록된 인도네시아의 거대한 화산 폭발로 인해, 암흑, 냉해, 작물 파동 및 사회적 격변이 야기됐던 사례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전 지구적 대홍수로 인한 광범위한 화산 활동은 유사 이래로 어떤 사건보다 기후에 훨씬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대홍수로 인한 화산재와 가스는 아마도 적어도 3년 가까이 지속되었을 것이다. 3년은 빙하기를 시작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었을 것이다. 분출은 홍수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어야할 필요가 있었다.[9] 지질학자들은 빙하기에 광범위한 화산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빙하기 연구원인 Charlesworth[10]는 다음과 같이 썼다:

... 홍적세(빙하기) 화산활동과 지각 이동의 징후들은 세계의 모든 곳에서 보인다.

미국 서부에만 해도 68개가 넘는 종류의 화산재 퇴적물이 확인되고 있으며, 대부분 빙하기와 일치한다. 화산 폭발들 중 일부는 매우 광범위했다.

남태평양에서는 뉴질랜드에서 분출한 엄청나게 큰 화산재 층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400만 평방 마일(1천만 평방 킬로미터) 이상의 화산재를 두껍게 쌓아 놓았으며, 몇 달 동안 지구 전체를 어둡게 만들었을 것이다. 이 폭발은 대륙에 엄청난 냉각을 가져왔을 것이다.

빙하기의 화산 폭발은 지난 200년 동안 우리가 경험했던 것보다 훨씬 컸다. 그래서 증거에 따르면, 대홍수 이후에 화산 분출은 성층권의 먼지와 가스를 보충하고, 냉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전 지구적 대홍수 이후 점차적으로 지구가 안정되면서, 분출이 다소 무작위적이었기 때문에, 화산 활동은 약간의 증감을 보이며, 점차적으로 감소했을 것이다(그림 7.3).

그림 7.3 대홍수 이후 줄어드는 화산 활동

화산 활동이 그토록 좋은 냉각 메커니즘이라면, 왜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그것을 그들의 빙하기 모델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일까? 그들은 화산재와 가스가 지구를 냉각시킨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각 빙하기가 10만 년 정도 지속됐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오랜 기간 동안 화산 활동이 지속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Paul Damon[12]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 위스콘신 빙하기와 같은 대륙 빙하기를 초래하기 위해 화산폭발은 지난 160년 동안보다 10배는 더 많아야 한다.

위스콘신 빙하기는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여러 번의 빙하기 체계에 있어서 마지막 빙하기이다. 그러나 한 연구원은 빙하기의 시작에 화산 활동을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었다. Bray[13]는 짧은 기간 동안 많은 화산 활동들이 눈 덮인 여름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가정하고 있다. Bray[14]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는 여기서 짧은 간격을 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거대한 화산재 분출로 인해 (눈이) 보존될 수 있었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나서 그는 빙하기를 위해서는 눈이 덮이는 것에 이어서, 여름철 냉각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불행하게도 지속적인 화산 폭발 없이 수 년 이상 빙하기가 지속될 수는 없다. 햇빛이 증가하면, 눈은 빠르게 녹기 때문이다.

창조론자들의 시간 틀은 이보다 매우 단축된 것으로, 이 엄청난 화산 분출은 대홍수 이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 차이를 만드는 것은 짧은 시간 틀이다. 잦은 화산 폭발로 인해 대기 중에 도입된 화산재와 가스들은 빙하기가 시작되고, 유지되도록 해주었을 것이다.
 

두 번째 필요조건 – 많은 강설(heavy snow)

광범위한 지역의 육지가 여름철에 차가워야 한다는 것은 빙하기가 시작되는데 필요한 첫 번째 조건이다. 그리고 그 다음의 두 번째 조건은 많은 강설량이다. 차가운 공기는 습기가 적기 때문에, 냉각만으로는 많은 강설이 일어날 수 없다. 이것이 동일과정설적 빙하기 이론이 실패하는 주된 이유이다.

전 지구적 대홍수가 초래한 빙하기 모델에서는, 중위도와 고위도의 따뜻한 바다에서 막대한 증발이 일어남으로써, 빙하기에 필요한 풍부한 수분을 대기 중으로 공급하게 되었다. 왜 대양이 따뜻했을까? 첫째, 대홍수 이전의 환경은 지금보다 더 따뜻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큰 깊음의 샘”에서 터져 나온 물이 지구 내부에서 나왔다면, 많은 량의 따뜻한 물이 대홍수 시기의 대양에 더해졌을 것이다. 지구의 지각은 지하 100m 당 2°C 정도로 따뜻하다. 큰 깊음의 샘들에서 터져 나온 물이 지하 900m에서 나왔다면, 그것은 꽤 따뜻했을 것이다. 만약 3,000m 이상의 깊이에서 왔다면, 물은 뜨거웠을 것이다. 셋째, 대홍수 동안 격렬한 판구조 활동과 분출된 용암은 더 많은 열을 대양에 추가시켰을 것이다. 대홍수 동안의 지진과 빠른 해류는 이 따뜻한 물을 대홍수 이전 바다와 뒤섞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대홍수 직후의 대양은 극지방에서 극지방까지, 그리고 위에서 아래까지 따뜻해졌을 것이다. 이 때문에 북극해와 남극해에는 바다 얼음이 없었을 것이고, 오늘날의 기후에서 볼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따뜻했을 것이다.

지표수 온도가 중요한 것은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증발이 많기 때문이다(그림 7.4). 예를 들어, 다른 모든 변수들이 일정할 때, 30°C의 바닷물은 10°C에서보다 3배 더 빠르게 증발하고, 0°C에서보다 7배 더 빠르게 증발한다. 보편적으로 따뜻한 바다는 많은 양의 증발을 일으킨다.

그림 7.4. 추운 대기 온도와 따뜻한 물로 인해, 연못에서 생기는 증기 안개

따뜻한 대양이 갖고 있던 열은 빙하기 동안 고위도와 중위도 지역을 따뜻하게 유지시켰을까? 일부 지역에서는 증발과 냉기와의 접촉으로 대양이 충분히 냉각될 때까지 그러했을 것이다. 중위도와 고위도의 따뜻한 대양은 14장에서 설명될 털북숭이 매머드의 미스터리를 푸는 열쇠이다. 대양은 따뜻했을지라도, 대륙은 성층권의 화산재와 먼지로 인해 차가웠을 것이다. 따뜻한 바다에서 방출된 열과 땅 위의 공기가 혼합되어서, 겨울철 온도는 오늘날에 비해 더 온화했을 것이다. 화산재와 가스의 주요 효과는 여름 동안 땅을 서늘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요약하면, 전 지구적 대홍수와 그에 따른 여파는, 화산재와 가스들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켰고, 빙하기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 여름 냉각을 가져오게 했을 것이다. ”큰 깊음의 샘”에서 터져 나온 물은 대홍수 동안에 혼합되어, 따뜻한 바다를 만들었을 것이다. 중위도와 고위도의 따뜻한 바다에서 막대한 증발이 일어났고, 엄청난 양의 눈이 내렸을 것이다. 빙하기에 필요한 두 요소인, 서늘한 여름과 많은 강설량은 창세기 대홍수 직후에 극적으로 성취되었다. 이 독특한 기후는 두 메커니즘의 강도가 서서히 감소하기까지, 대홍수 이후 수백 년 동안 지속되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Alt, D., Glacial Lake Missoula and its humongous floods, Mountain Press Publishing Company, Missoula, MT, p. 180, 2001.
2. Guthrie, R.D.,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 An ecological theory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AZ, p. 292, 1984.
3. Marshall, L.G., Who killed cock robin?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an, AZ, pp. 791–792, 1984.
4. Batten, D. (Ed.), The Revised & Expanded Answers Book, Master Books, Green Forest, AR, p. 154, 2004.
5. Fouts, D.M., and K.P. Wise, Blotting out and breaking up: Miscellaneous Hebrew studies in geocatastrophism; in: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R.E. Walsh (Ed.), Creation Science Fellowship, Pittsburgh, PA, p. 217–228, 1998. Batten, Revised & Expanded Answers Book, p. 169-170.
6. Oard, M.J., Vertical tectonics and the drainage of Flood water: A model for the middle and late diluvian period — Part I,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38:3–17, 2001. Oard, M.J., Vertical tectonics and the drainage of Flood water: A model for the middle and late diluvian period — Part II,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38:79–95, 2001.
7. Oard, M.J., An Ice Age Caused by the Genesis Floo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El Cajon, CA, p. 23–38, 1990.
8. Keys, D., Catastrophe: An investigation into the origins of the modern world, Ballantine Books, New York, 1999.
9. Oard, Ice Age Caused, p. 67-70.
10. Charlesworth, J.K., The Quaternary era Edward Arnold, London, p. 601, 1957.
11. Toon, O.B., et al., Evolution of an impact-generated dust cloud and its effects on the atmospher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90,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oulder, CO, p. 197, 1982.
12. Damon, P.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restrial factors and climate; in: The causes of climatic change, J.M. Mitchell Jr. (Ed.), Meteorological Monographs 8(30),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p. 109, 1968.
13. Bray, J.R., Volcanic triggering of glaciation, Nature 260:414–415, 1976.
14. Ibid., p. 414.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7.asp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7-12-22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6장 

: 빙하기에 대한 많은 이론들과 문제점들 

(Frozen in Time, Chapter 6. The Multiplication of Ice Age Theories)

by Michael J. Oard, Ph.D.


        연구자들은 매머드를 둘러싼 미스터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이론을 만들어냈지만, 빙하기의 원인에 대한 질문은 또 다시 수많은 아이디어들을 만들어냈다. 빙하기 이론은 크게 두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한 그룹은 천체와 관련된 빙하기 이론(Extraterrestrial theories)이다. 태양계나 은하계에서, 또는 태양에서 발생한 사건에 기인하여 빙하기가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그룹은 지구의 환경적 변화에 기인한 빙하기 이론(Terrestrial theories)이다. 이 그룹의 연구자들은 지구의 기후 환경이 복잡하게 바뀌었고, 그로 인해 빙하기가 시작되었다고 제안한다.

 

천체의 사건에 기인했다는 빙하기 이론들

180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과학계가 마침내 빙하기가 실제로 일어났었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그 당시에 빙하기의 원인은 태양으로부터의 빛의 상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구의 온도는 지구에 도달하는 햇빛의 양에 좌우된다. 햇빛의 차이로 인해 추운 북극지방과 따뜻한 열대지방이 생긴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지구의 바람 체계와 태풍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 이론은 태양의 힘이 어떻게든 감소되었다면, 고위도 지역의 기온이 내려가고, 빙하기로 이어졌을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 태양 빛의 양이 바뀌었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한 변화를 관찰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어떤 아이디어가 과학적 이론으로 입증되기 위해서는 관찰이 필요하다. 흑점의 수에 따라 태양의 강도가 조금씩 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변화는 매우 작다. 모두가 알듯이, 태양은 지구 역사를 통틀어 거의 일정한 강도를 유지해왔다. 기상 전문용어에서 태양 출력의 가정된 신뢰도를 태양상수라고 말한다.

과거에 햇빛이 적었더라도, 그것이 반드시 빙하기로 이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기온이 추우면 수증기를 덜 함유하게 된다. 따라서 비나 눈이 증가하지 않고, 감소할 수 있다.

다른 과학자들은 태양계가 우주의 먼지 구름을 통과하며 이동하여, 빙하기를 일으켰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이 먼지 구름이 은하수의 더러운 팔(a dirty arm of the Milky Way galaxy)이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먼지는 태양광선 중 일부를 차단하여 얼음이 쌓이게 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 이론은 증거가 부족하기도 하고, 또한 빙하기를 만들기위해 필요한 충분한 양의 눈을 제공하지 못한다.

 

지구의 환경적 변화에 기인했다는 빙하기 이론들

오늘날 많은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온실효과를 가져 오기 때문에,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지구에서 복사되는 적외선 양이 늘어나서 하부의 대기가 가열된다. 반대로, 과거에 이산화탄소가 적었을 때는 기후가 더 추웠을 것이다. 과학자들은 빙하기 동안에는 산업혁명 초기에 비해 이산화탄소가 약 30% 가량 적었다고 믿고 있다. 이것은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의 작은 기포에 갇힌 이산화탄소의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기타 메탄과 같은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상당히 증가했지만, 온실의 온난화에는 영향을 덜 미친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이 다른 온실 가스들을 이산화탄소로 간주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이 다른 온실가스를 동일한 양의 이산화탄소로 바꾸었다. 이러한 다른 온실가스의 순 효과는 이산화탄소를 30% 더 증가시키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온실” 가스는 산업혁명 이후 60%가 증가했다. 그러나 이것은 지구온도를 기껏해야 1°F(0.6°C) 만큼만 상승시킬 뿐이다. 온난화의 이 부분은 온실가스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있지만[1], 그냥 그렇다고 치자. 빙하기에 이산화탄소가 30% 줄었다면, 아마도 기온은 1도보다 적게 떨어질 것이므로, 확실하게 빙하기가 시작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한 지역의 추운 기후를 설명하는데 조산운동(Mountain building)을 사용할 수 있다. 조산운동이 빙상(ice sheet)의 형성을 촉발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산에 올라가면 온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산들에는 인접한 계곡보다 훨씬 많은 비와 눈이 내린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이론대로 땅이 올라갔다면, 온도는 더 낮아지고 강설량은 더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북아메리카, 유럽 및 아시아의 산악지대는 높지만, 빙하가 거의 없으며, 빙상으로 덮여있지 않다. 또 하나의 문제는 북아메리카 지역의 빙상이 캐나다 북동부의 낮은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미국의 노스다코타 주에서 메인 주까지의 고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다. 과거의 조산운동이 빙하기를 야기했다는 가정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높은 산들은 여전히 우리와 함께 있으며, 북아메리카, 유럽 및 아시아를 덮고 있는 빙상도 없다.

또 하나의 독창적인 빙하기 이론은, 북극해에서 바다 얼음이 녹으면서 증발량이 증가하여, 고위도에 필요한 수분을 제공했다는 이론이다. 눈과 얼음이 쌓이면, 기후가 차가워지고, 북극해가 다시 얼고, 얼음이 쌓이게 된다. 주기가 계속 반복되었을 것이다. 이 이론은 지난 250만 년의 지질학적 시간에 과학자들이 주장한 많은 빙하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2]

이 이론은 대부분의 이론에서 무시하고 있었던, 빙하기에 필수적인 수분의 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추가된 수분은 빙하기를 시작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얼음이 없는 북극해에서의 증발이 증가하면, 캐나다 북부와 유라시아에서 더 많은 눈이 내릴 것이다. 그러나 겨울 동안 물에서 대기로 전달되는 열은 여름 동안 대륙을 너무 따뜻하게 유지해서, 눈과 얼음이 쌓이지 않을 수 있다. 이 이론은 빙하기에 요구되는 여름철의 엄청난 냉각을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북극해 얼음이 어떻게 녹을 수 있는지, 혹은 최근에 그러한 일이 일어난 증거가 있는지에 대해 언급한 사람은 없다. 표준보기(the standard view)에서, 북극해의 얼음은 지질학적 시간으로 적어도 과거의 수백만 년 동안 녹지 않았다.

또 다른 이론으로, 화산 먼지가 증가하여 상층 대기에 머물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기온을 냉각시켜 빙하기를 일으켰다는 것이다(그림 6.1). 이 이론은 화산 먼지와 가스가 기온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장점이 있다. 문제는 각각의 빙하기는 10만 년이나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화산먼지와 가스는 1년에서 몇 년 사이에 성층권에서 떨어진다. 그러한 긴 빙하기에 걸쳐 추운 여름 기온을 유지하려면, 과도한 화산작용이 필요하다.

그림 6.1. 화산 먼지와 에어로졸은 햇빛을 우주로 반사시켜 땅을 냉각시킨다.

한 절망적인 이론은, 해저에 계류되어 있던 남극 서쪽의 빙상이 깊은 바다로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그것이 남쪽 바다에 떠다닐 때, 더 많은 햇빛이 우주로 반사되어 되돌아가서 지구를 냉각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남극 서쪽 빙상이 현재의 위치를 바꾸는 것은 이미 우주로 되돌아간 햇빛의 양만큼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 더욱이 이 메커니즘에 의해 남반구에서 어떻게든 눈과 얼음이 증가했다면, 북반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일반적으로 서로 열이나 습기를 거의 교환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다른 이론들에서 포기했던 한 이론은, 빙하기가 단순히 우연한 기후의 요동( fluctuations)에 기인했다는 것이다. 작은 기후 변화는 단기간의 규모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는 큰 기후 변화가 일어났다고 추측하는 것이다. 이 주장은 복잡한 수학으로 뒷받침되었다. 그러나 이 이론의 타당성은 심각한 질문을 야기시킨다. 일반적으로 빙하기에 대해 믿고 있는 바에 따르면, 10번의 빙하기가 10만 년을 주기로 규칙적으로 강해지고 약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규칙적인 우연은 일어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그 이론은 검증될 수 없기 때문에 과학 이론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요약

과학자들은 이론의 공백을 싫어한다. 한 번의 빙하기조차도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찾기가 어렵다. 그 어려움에 더하여, 지질학자들은 여러 번의 빙하기가 있었다고 확신하고 있다. 그래서 하나 이상의 빙하기를 설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필요로 했다. 많은 이론들 중에서 한 가지 특별한 이론이 최근 1970년대 이래 대중화되었다. 그것은 빙하기의 '천문학적 이론', 또는 '밀란코비치(Milankovitch) 이론'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기상학자들은 이전에 그것을 한 번 이상 거부했었다(아래의 빙하기의 천문학적 이론 참조).

어떤 현상이 기존의 데이터로 설명될 수 없는 경우, 새로운 이론들이 늘어난다. 1968년 에릭 에릭손(Erik Eriksson)은 기후 변화의 원인에 관한 책에서, 빙하기의 원인에 관한 이론이 60가지가 넘는다고 집계했다. 많은 이론들이 장점이 있지만, 각각 치명적인 결함을 갖고 있었다. 빙하기를 평생 공부한 후에, 찰스워쓰(J. K. Charlesworth)는 천문학적 이론을 포함하여, 모든 이론들의 상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3] :

홍적세 (빙하기) 현상에 대한 상호 모순되고, 명백하게 부적절하며, 조금도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이론들로 가득하다.

빙하기 이론들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하지 않았다. 찰스워쓰는 본질적으로 이 모든 이론들은 거대한 실패(mammoth failures)라고 말하고 있었다. 22년 후인 1979년에 브라이언 존(Brian John)은 찰스워쓰의 말을 회상하면서,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실제로는 더 나빠졌다고 그는 말했다 : ”상황은 그때 이래로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4]


빙하기의 천문학적(밀란코비치) 이론

많은 사람들은 지구가 시계 장치처럼 태양 주위를 돌며, 그 궤도는 절대 변화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조금 변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경로는 원에서 타원이라 불리는 약간 납작한 원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으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매 사이클마다 10만 년 정도 걸릴 것으로 추정되었다.

진화 과학자들은 이 비정상적 궤도를 과거 수백만 년 전으로 외삽했다(그림 6.2 참조). 원 궤도와 타원 궤도의 차이를 이심률(eccentricity)이라고 한다. 이심률 0는 원이다.

그림 6.2. 지난 2백만 년 동안 가정된 지구 이심률의 변화. 단위는 천 년이다.[5] (이 그림은 미국기상학회에서 가져온 것이다.)

지구의 궤도 자체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 이것은 궤도가 타원일 때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사이클을 시각화하기는 어렵다. 이것을 태양 주위의 타원형 경로로 생각하고, 그 경로가 태양 주위를 천천히 회전한다고 생각하라. 궤도 경로는 대략 22,000년마다 1회전을 하며, 그것을 세차운동(precession of the equinoxes)이라고 한다. 지구의 현재 궤도에서 태양은 1월에 가장 가깝고, 7월에 가장 멀다(그림 6.3). 약 11,000년 후에, 태양은 7월에 지구에 더 가까워지고, 1월에는 가장 멀게 될 것이다.


그림 6.3. 지구 궤도의 이심률을 나타낸다(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평평하게 했다). 계절은 북반구를 기준으로 한다.

많은 사람들은 태양에 대한 지구 궤도면에 대해 지축의 기울기 23.5도가 절대 변하지 않으며, 그것이 계절을 일으킨다고 배워 왔다. 이 기울기가 계절을 초래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기울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변화한다. 그것은 22.1도에서 24.5도까지 그리고 다시 22.1도까지 앞뒤로 움직인다. 다른 힘이 없다고 가정할 때, 전체주기는 4만 년이 걸릴 것이다.

지구의 달과 행성들의 약간의 중력에 의한 끌어당김은 지구의 궤도의 이런 모든 주기적 변화를 일으킨다. 그 변화는 작으며, 지구상의 햇빛의 양에 상응하여 약간의 변화가 있다(그림 6.3). 3개의 궤도 변수 모두에 의한 일사량 변화는 그림 6.4와 같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궤도 기하학의 변화로 인한 여름 고위도의 햇빛 감소가 빙하기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와 반대로, 여름에 햇빛이 증가하면 빙상이 녹을 수 있다. 위의 햇빛 량의 변화는 주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규칙적인 방식으로 반복되는 여러 빙하기를 설명하는 매력적인 개념이다.

그림 6.4. 과거 16만 년과 미래 5만 년으로 가정된 기간 동안, 북반구와 남반구 여름의 상층 대기에서 받은 일별 태양복사에너지의 순변화량(랭를리 단위-1제곱센티미터당 1그램 칼로리), 마이너스 위도는 남반구를 의미한다. 시간의 단위는 천 년이다.[9]

제임스 크롤(James Croll)은 1800년대 후반에 (빙하기에 대한) 천문학적 이론(astronomical theory)을 처음 제안했다. 그것은 과학자들이 단 한 번의 빙하기가 아니라, 많은 빙하기를 믿도록 설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880년대 후반에 나왔던 이론에 따르면, 마지막 빙하기는 약 7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 이 종료시기가 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할 과학적 증거들이 모아졌다. 그러나 천문학적 이론은 세르비아의 기상학자 밀루틴 밀란코비치(Milutin Milankovitch)가 더 많은 세부사항에 대해 더 세밀하게 연구한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는 잘 발달하지 못했었다. 종종 천문학적 이론이라고 불리는 개정된 밀란코비치 이론에 따르면, 빙하기는 약 18,000년 전에 정점에 이르렀다. 데이터는 다시 한번 이 시기가 빙하기의 최대치임을 '입증'하도록 조정되었다. 밀란코비치가 이론을 정교히 가다듬은 직후, 주로 기상학자들로부터 비난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 이론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빠르게 폐기되었다.

과학의 역사에서는 폐기된 이론이 다시 돌아오는 것은 종종 있는 일이다.[6] 이것은 밀란코비치 이론에서 입증되었다. 해양 심층퇴적물에 적용된 새로운 기술과 몇몇 저명한 과학자들의 끈기가 이 이론을 되살렸다. 해양 심층퇴적물의 특성에 기초하여, 해양학자들은 3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빙하기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었고, 각각은 간빙기라는 기간 동안 완전히 녹았던 것으로 결론 내렸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빙하기의 미스터리를 해결했다고 생각했다.[7]

천문학적 이론에 대한 대부분의 과학자들의 열의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심각하고 거의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론에 의해 가정된 고위도의 여름 햇빛의 변화는 빙하기를 생성하기에는 너무 작다. 고위도 지역에서 더워지는 것은 햇빛의 양에 부분적으로만 의존한다. 대기와 해류에 의한 북쪽으로의 열전달 또한 중요하지만, 이 이론의 지지자들에 의해 대부분 무시되고 있다. 열전달은 태양광선의 감소로 인한 냉각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다. 열전달과 이미 감소된 일조량의 작은 영향 사이에서 냉각은 무시될 수 있다.

기상학자들은 이 이론의 약점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그것은 그 이론의 더 이른 서거에 공헌했다. 유명한 천문학자인 프레드 호일(Fred Hoyle)은 밀란코비치 이론에 대한 그의 감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8]:

”겨울철에 야간 히터가 넉넉히 들어오는 실내로 단순히 얼음 덩어리를 들여놓는 것만으로 빙하기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는 주장은 밀란코비치 이론만큼이나 있을 법하지 않는 주장이다.”

”야간 히터”는 고위도에 열을 공급하는 다른 과정들이며, ”얼음 덩어리”는 천문학적 이론으로 야기된 약간의 냉각을 나타낸다.

해양 퇴적물 자료에 의해, 10만 년 이심률 주기가 빙하기를 반복하는 가장 중요한 주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특정주기는 3개의 궤도 변동 중 가장 작은 것이다. 그것은 고위도의 여름 햇살에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매우 당혹스러워 하면서, 자기들의 이론을 지지해줄 보조 메커니즘을 찾아다니고 있다.

또 다른 심각한 문제점은 빙하기의 주기가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차운동에 의해 야기된 햇빛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그림 6.4와 같이 반 구체 사이에서 번갈아 나타난다. 여름 동안 북반구의 햇빛 강도가 약간 낮으면, 남반구는 여름 햇빛의 강도가 증가한다. 두 반구는 일반적으로 기후학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된 빙하기와 간빙기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에 대해 결코 답을 주지 못한다.

빙하기에 대한 천문학적 이론에 수많은 과학적 반대가 있음에도, 왜 그것이 그렇게 대중적 이론이 됐는지를 물어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심해 퇴적물 코어의 통계적 일치가 대부분의 과학자들을 흔들어놨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나 심해코어의 특성을 천문학적 이론과 관련짓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퇴적물 코어에 대한 정확한 연대가 필요하지만, 연대측정 방법들은 대게 정확하지 않다. 불행하게도, 그 통계를 구성하는 연대들에는 고도의 해석(진화론적 고정관념 또는 동일과정설적 신념)이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얼마나 많은 부분이 해석이고, 얼마나 많은 부분이 사실인지, 사람들은 결코 모른다. 그 이론이 인기가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최근의 빙하기는 언제였는가와 같은 질문이 있을 때, 문제가 많은 천문학적 이론 일지라도, 아무 것도 없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Michaels, P.J., and R.C. Balling Jr., The satanic gases: Clearing the air about global
warming, Cato Institute, Washington, DC, 2000.
2. Donn, W.L., and M. Ewing, The theory of an ice-free Arctic Ocean; in: The causes of
climatic change, J.M. Mitchell Jr. (Ed.), Meteorological Monographs 8(30),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p. 100–105, 1968.
3. Charlesworth, J.K., The Quaternary era, Edward Arnold, London, p. 1532, 1957.
4. John, B., Ice ages: A search for reasons; in: Winters of the world, B.S. John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 57, 1979.
5. Vernekar, A.D., Long-period global variations of incoming solar radiation, Meteorological
Monographs 12(34),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1972.
6. Charlesworth, The Quaternary era, p. viii.
7. Imbrie, J., and K.P. Imbrie, Ice ages: Solving the mystery, Enslow Publishers, Short Hills,
NJ, 1979.
8. Hoyle, F., Ice, the ultimate human catastrophe, Continuum, New York, p. 77, 1981.
9. Vernekar, A.D., Long-period global variations of incoming solar radiation, Meteorological
Monographs 12(34),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 1972.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nvironmental-science/ice-age/the-multiplication-of-ice-age-theories/

출처 - Michael Oard's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7-12-13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5장 

: 멸종 전쟁 ; 멸종의 원인은 기후변화? 과다살육? 

(Frozen in Time, Chapter 5. The Extinction Wars)

by Michael J. Oard, Ph.D.


       동일과정설을 따르는 과학자들에게 있어서 시베리아 털북숭이 매머드의 멸종에 관련된 가장 큰 문제는, 그들이 시베리아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곳에서 거의 동시에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들이 직면하는 또 다른 큰 어려움은, 빙하기가 끝날 무렵에 다른 많은 동물들도 동시에 멸종되었다는 것이다. 북미에서는 무게가 100파운드(40kg) 이상인 포유동물의 70%가 사라졌다.[1] 이들은 매머드(mammoths), 마스토돈(mastodons), 검치고양이(saber-toothed cats), 자이언트 땅늘보(giant ground sloths), 자이언트 비버(giant beavers), 자이언트 패커리(giant peccaries, 멧돼지류), 다이어 울프(dire wolves), 짧은얼굴 곰(short-faced bears,) 등을 포함하는 약 100여종의 대형 동물들이다. 아메리칸 마스토돈은 빙하기 동안 미국 동쪽 반 지역에 주로 살았던 코끼리의 일종이다. 그것은 털북숭이 매머드와 달리 더 짧고 더 무거우며, 털이 적고 엄니가 덜 구부러져 있었다.[2] 유라시아에서는 약 3/4의 포유류 종들이 멸종했다.[3] 남반구에서도 대량멸종이 일어났다. 호주에서는 거대한 캥거루와 웜뱃(wombats)을 포함한 거대 동물의 90%가 멸종했다.[4] 이상하게도, 기후가 따뜻해지기 시작해서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했던 빙하기 말에 대량멸종이 일어났다. 동일과정설의 패러다임이나 주요 신념 체계에서, 그들이 말하는 기후로는 동물들이 번성하기에 충분한 먹이를 어떻게 찾았는지, 또는 그들이 어떻게 황량한 빙하기 기후 가운데 살아남았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 (이런 부조화의 조합(disharmonious associations)에 관하여 가능한 설명은 부록 2에 나와 있다.)

빙하기 말의 이런 대량멸종을 설명하는 최근에 유행하는 두 가지 주류 가설이 있다: (1)기후변화로 인해 사망했거나(overchill, 과다혹한 가설) (2)사람들이 대부분의 큰 동물들을 대량학살로 죽였다(overkill, 과다살육 가설).[5] 이 대립하는 양측은 가설 전쟁을 벌이며, 서로 반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 논쟁에 세 번째 가설이 끼어들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전염병을 도입하여 멸종을 촉발했다는 가설이다(overill, 과다질병 가설).[6] 질병의 매개체가 개, 고양이, 쥐, 벼룩 등 보통 인간과 동반하는 유기체에 의해 야생동물에게 도입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새로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7] 호워스(Howorth)는 오래 전에 질병의 가능성을 조사했고, 극히 희박하다고 결론지었다.[8] 이것은 질병이 그러한 넓은 지역에서 많은 동물들에게 영향을 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체에 질병에 대한 증거가 남아있어야 하는데, 동물들이 죽었을 때는 건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에 의한 멸종?

많은 지질학자들은 빙하기가 끝날 때쯤 일어난 기후변화로 인해서 대량멸종이 일어났을 것이라는 가설을 선호한다. 그 시기는 확실히 추정적이다. 불행하게도, 기후변화 한 가지만으로 멸종이 일어났다는 가설에는 몇 가지 반론이 있다. 가장 흔하고 심각한 논쟁은 동물들이 이전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많은 빙하기와 간빙기에도 거의 멸종되지 않고 생존했다는 것이다.[9] 지금은 약 30개의 분리된 빙하기들이 있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10], 왜 마지막 빙하기 이후에만 그러한 대량멸종이 일어났는가? 라는 의문이 남는다. 다니엘 피셔(Daniel Fisher)는 이 주장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었다[11] :

홍적세 후기의 멸종에 대한 기후 가설은, 왜 이 [마지막] 퇴빙기 사건이 동물군에 대해 이전의 [빙하기] 사건보다 훨씬 더 격렬한 결과를 가져왔는지 설명해야 한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기후변화 가설의 열렬한 지지자들은 빙하기에서 현재 기후에 이르기까지의 기후변화가 과거의 간빙기보다 독특하고 훨씬 더 가혹했다고 반론을 편다.[12] 그러나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스튜어트(Stuart)는 현재의 간빙기와 이전의 간빙기에 차이가 거의 없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13]

또 다른 반대는 빙상이 사라지고 기후가 따뜻해짐에 따라, 동물들이 생육할 수 있는 토지가 더 많이 생겨났다는 것이다.[14] 과다혹한(overchill) 가설이 아니라, 과소혹한(underchill) 가설이 되어야 한다.[15] 또한 동물들은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더 적합한 서식지로 이주할 수 있었다.[16]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하여 그들이 멸종했을 가능성은 여전히 의문스럽다.

만약 매머드가 기후변화로 인하여 죽었다면, 그들의 상태는 굶주림이나 기후로 인한 외상의 증거를 보여줄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관련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매머드들은 죽었을 때 분명히 건강했다. 제프리 손더스(Jeffrey Saunders)에 따르면, 미국 대평원의 컬럼비아 매머드들은 빙하기가 끝날 때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증거를 보여주지 않는다.[17]

기후변화가 멸종을 야기했다면, 미국 남부 지역보다 빙상에 더 가까운 북부 지역에서 더 많은 사망이 발생했을 것이 예측될 수 있다. 그러나 사망의 60%가 남부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것은 몇 가지 이유로 기후변화 가설에 대한 확고한 반증으로 여겨진다.[18] 표 5.1은 기후변화 가설에 반대되는 증거들을 요약한 것이다. 이들은 논박하기 힘든 반박들이다.

표 5.1. 빙하기의 말에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대형 포유동물의 멸종에 대한 기후변화 가설에 반대되는 증거 요약

1. 이전의 여러 번의 빙하기와 간빙기에 동물들이 생존했다.
2. 현재의 간빙기가 이전의 간빙기보다 가혹하지 않았다.
3. 빙상이 녹는 동안에 기후가 따뜻했다.
4. 빙상이 녹으면서 더 많은 땅이 드러났다.
5. 골격과 사체를 보면 그들이 죽을 때 분명히 건강했다.
6. 미국 내 대부분의 빙하기 동물 사체는 빙상 경계의 남쪽에 있었다.


사람에 의한 멸종?

대안적 가설은,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이 믿고 있는 이전의 29번의 빙하기와 비교할 때, 최근의 빙하기에 유일하게 추가된 변수가 사람으로 보이기 때문에, 사람이 빙하기 대량멸종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소위 말하는 과다살육(overkill) 가설은 다소 오래된 것으로, 1800년대 후반의 호워스(Howorth)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9] 그런데 폴 마틴(Paul Martin)과 동료들이 그것을 되살려냈다.[20] 기후변화 가설에 대한 반론들 때문에, 그리고 동물 멸종의 시기와 사람이 신대륙으로 들어온 시기가 일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마틴은 사람이 엄청난 학살로 동물들을 급속하게 대량멸종시켰다고 믿고 있었다. 스튜워트에 따르면, 멸종된 동물의 대부분이 크고 다른 동물에 의해 대체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사람이 범인이라는 것을 암시한다는 것이다.[21] 마틴의 과다살육 모델 중 하나가 제2차 세계대전 초기 독일의 격렬한 돌격을 본따서 명명된 "블리츠크리크 모델(Blitzkrieg model, 기습 모델)”이다.

물론, 과다살육 가설 지지자들은 기록된 역사 동안에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모든 동물과 새들을 재빨리 언급하고 있다. 그들은 AD 1000년경에 뉴질랜드에 도착한 사람들에 의해 약 600년 안에 모아(moa, 멸종된 거대한 새)를 포함하여, 많은 조류 종들이 멸종되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22] 과다살육 가설을 선호하는 과학자들은 신대륙에 있는 몇몇 매머드 잔해의 골격에 클로비스(Clovis) 사람들의 창촉(spear point)이 같이 있는 것을 지적한다. 클로비스 족은 약 11,000년 전에 알래스카에서 신대륙으로 들어온 최초의 인간으로 추정된다. 매머드에 클로비스 창촉이 있는 것이 적어도 12개 이상이 있다.[23]

그러나 과다살육 가설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당당하게 할 수 있다 : 인간이 수백 년 동안 그렇게 많은 동물을 다 죽일 수 있었을까? 특히 이 동물들 중 일부가 북반구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다양한 서식지에 매우 잘 적응하고 있었을 때, 그럴 수 있었을까? 그 당시 사람들은 희박하게 분포했을 것이다. 사냥꾼이 가진 것은 창 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수백만 마리의 동물들을 죽이는데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었다. 이 사람들의 식량은 단지 사냥에만 의존했다. 그들은 180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대평원에서 총으로 들소(buffalo)들을 죽이듯이, 엄청난 양의 동물들을 마음먹은 대로 죽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들이 스포츠로서 사냥을 했다거나, 고기를 버리는 일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사냥꾼과 채집자에게 엄니와 고기는 매우 유용할 것인데, 대부분의 매머드 엄니들은 손을 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24] 사냥을 했다면, 사냥꾼들은 틀림없이 엄니를 가지고 갔을 것이므로, 매머드의 골격에 엄니는 거의 남아있지 않아야만 한다. 스톤(Stone)은 과다살육 가설과 관련된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5] :

”멸종된 종의 전체 수를 고려해 볼 때, 클로비스 사람들이 아침부터 밤까지 사냥을 했다 하더라도, 그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과다살육(Overkill) 가설의 지지자들은, 적어도 북미지역의 동물들은 사람보다 북미지역에 먼저 들어왔으므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사람에 대한 방어책을 개발하지 않았다고 반론한다.[26] 따라서 그 이론에 의하면, 동물들은 본질적으로 ”길들여져 있었고”, 그것은 마치 소를 죽이는 것과 같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동물들이 공격적인 사람들에게 길들여졌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많은 속(genera)의 새들 또한 북미에서 멸종했다[27]는 반론에 대한 답으로, 스테드맨과 마틴(Steadman and Martin)은 그들 대부분이 썩은 고기를 먹는 큰 새들이었고, 커다란 포유류의 공급이 줄어들자, 그들도 사냥감이 되었고, 멸종하게 되었다고 대답했다.[28]

과다살육 가설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뉴질랜드와 같은 섬에 사는 조류와 동물들의 최근 멸종은 이 종들이 섬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할(피할) 수 없었으며, 특히 사냥 압박에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었다.[29] 게다가 오늘날의 대부분의 대량멸종 또는 대량살해는 총에 의한 사냥으로 발생하는데, 초기 사냥꾼들은 창 외에 다른 것을 갖고 있지 않았다.

과다살육 가설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신대륙에서 매머드와 창촉이 함께 발견되는 것과 관련하여, 북미 전역에 걸쳐 그러한 곳은 비교적 거의 없다는 점을 추가로 지적하고 있었다.[30] 심지어 매머드와 창촉의 발견도 사람이 매머드를 사냥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아프거나 죽어가는 매머드를 사람이 죽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31]

더욱이, 사람과 멸종된 동물의 잔해 사이에 관련성의 흔적이 거의 없다.[32] 이것이 마틴이 자기의 블리츠크리크 모델(기습 모델)을 홍보했던 이유이다. 즉 멸종은 매우 빨리 일어나서 많은 증거들을 남기지 않았다는 것이다. 마틴의 임시방편적 가설의 한 가지 문제점은, 역사적인 멸종으로 뉴질랜드에는 모아 새들이 살해되어있는 장소가 많이 있다는 것이다.[33] 과다살육은 땅 위에 많은 증거들을 남겨놓는다.

그레이슨(Grayson)는 마틴의 견해에 당당히 도전하며, 그러한 부수적인 설명으로 인해 과다살육 가설은 입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34] 이동을 하는 클로비스 족 사냥꾼들은 창과 같은 단순한 무기만을 사용했던 다소 미개했던 종족으로 가정되고 있다. 멸종된 동물들 중 일부는 위협적이며, 상처를 입은 경우에는 더욱 사나울 수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털북숭이 매머드를 죽이자고 감히 창을 던질 수 있을 것인가? 더욱이 매머드의 가죽은 아주 질겨서, 창으로 뚫기가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동물원에서 죽은 코끼리를 절개해 보았던 것을 근거로 라웁(Laub)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35]:

”우리가 코끼리 사체를 가지고 직접 경험해 본 결과, 근본적으로 창을 던져서 매머드나 마스토돈을 쓰러뜨리려는 생각에 회의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매머드의 냉동 사체에서 보존되어 있는 두꺼운 피부에, 최소한 일 년 중 일부 기간 동안에 가지고 있던 두꺼운 털 모피는 매스토돈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것은 던져진 창의 힘을 약화시켰을 것이다.”

스톤(Stone)은 클로비스 족의 무기와 죽은 동물원 코끼리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해본 실험을 통해서 그것을 확증하고 있었다.[36] 클로비스의 창촉은 대부분 고무질의 피부를 관통하지 못했다.

과다살육 가설을 반대하는 또 다른 논박은 아프리카에서 인간과 동물이 백만 년, 혹은 그 이상 동안 공존하면서, 동물들은 거의 멸종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래 전에 딕비(Digby)는 이러한 반박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하고 있었다.[37] : 아프리카에는 일 년 내내 식량이 풍부하므로, 사람이 동물을 쓸어낼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딕비의 주장은 북아메리카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 북미대륙에도 많은 사냥감들이 풍부하게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과다살육 가설의 또 다른 문제점은 사라진 동물들 중 일부는 인간의 식단에 오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38] 식사를 위해 사냥을 했다면, 들소, 엘크, 큰 사슴, 순록과 같은 동물들도 멸종했어야 하는데, 그들은 오늘날에도 살아남아 있다는 것이다.

과다살육 가설 지지자들이 북미대륙에서의 멸종 기록을 증거자료로 제시한다 하더라도, 유라시아 북부와 호주에서의 대량멸종과 (빈약한) 고고학적 기록 사이의 상관관계는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39] 유라시아와 호주 대륙에서의 멸종은 약 40,000년 이상 동안 지속되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기록은 과다살육 가설과 기후변화 가설 둘 다에 모순된다.[40]

멸종된 많은 포유동물이 검치호랑이(saber-tooth tiger)와 같은 육식동물이었다. 왜 이들 육식동물도 멸종했을까? 과다살육 가설 지지자들은 초식동물들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반박한다. 그러나 들소, 엘크, 사슴, 순록과 같은 거대한 초식동물들이 오늘날에도 살아있기 때문에 이 주장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41]

일부 과학자들은 북아메리카에서 대량멸종이 일어난 추정 시기가, 인류가 신대륙에 들어간 연대와 동일한 시기인 약 11,000년 전이라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 연대의 대부분은 방사성탄소(C-14) 연대측정을 근거하고 있다. 크리쉬탈카(Krishtalka)는 ”연대측정”이 일종의 선택적 과정일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42] :

모델에 들어맞는 ”좋은” 연대만이 (예를 들어 북미대륙에서 인류의 연대는 12,000년 미만의 연대만이, 그리고 매머드의 연대는 10,000년 보다 오래된 연대만이) 선택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모델에 맞지 않는 연대측정 결과들은 버려진다.

그레이슨(Grayson)은 미리 정해놓은 결론에 도달하는 것만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C-14 연대측정의 조작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

”빙하기 멸종 시기는 실제로 거의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북아메리카에서는 잘못되었고, 유럽에서는 더욱 잘못되었다.”[43]

표 5.2는 과다살육 가설에 반대되는 증거들을 요약한 것이다.

표 5.2. 빙하기 말에 털북숭이 매머드와 기타 대형 포유동물의 멸종에 관한 과다살육 가설(overkill hypothesis)에 반대되는 증거들 요약.

1. 북반구의 넓은 지역에 동물들이 퍼져있을 때, 사람들의 인구는 희박했다.
2. 사냥꾼들은 창과 칼만 가지고 있었다.
3. 창으로 매머드 가죽과 털을 뚫기 어렵다.
4. 사냥꾼은 일반적으로 식량 외에 동물들을 고의로 죽이지 않는다.
5. 매머드 엄니들의 대부분은 골격과 함께 그대로 남아있다.
6. 동물들이 멀리 달아날 수 없는 섬에서의 과다살육과 비교할 수는 없다.
7. 매머드와 창촉의 연관성은 매우 적다.
8. 매머드에 박힌 창촉은 약하거나 죽어가는 동물을 사람이 죽인 결과일 수 있다.
9. 사람과 다른 멸종된 동물들 사이에는 연관성이 거의 없다.
10. 뉴질랜드에는 많은 모아새의 살해 장소가 있지만, 매머드들의 살해 장소는 거의 없다.
11. 아프리카인은 수천 년 동안 많은 동물들을 죽여 없애지 않았다.
12. 멸종된 많은 동물들은 사람의 식단에 들어있지 않는 것들이다.
13. 사냥으로 멸종당했어야 하는 많은 동물들이 오늘날에도 살아있다.
14. 사람과 멸종 사이에 관련성의 기초가 되는 연대측정은 의심스러운 것이다.


둘 다 맞을 수 있을까?

많은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 인간의 과다살육, 두 가지가 결합되어 빙하기 말의 멸종을 일으켰을 것으로 주장한다.[44] 그들은 각각의 가설만으로는 가능성이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44] 예를 들어 와드(Ward)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45] :

”그러나 1980년대 후반까지 두 가설이 틀릴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베크(Beck)는 블리츠크리크 모델(기습 모델)을 테스트 한 후, 두 주요 모델이 모두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46] 두 가설 각각에 대한 많은 반론들과 실험 결과로 인해, 많은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 과다살육의 조합이 멸종을 설명해준다고 믿게 되었다. 게리 헤인즈(Gary Haynes)는 두 가설의 문제점을 조사했지만[47], 이미 죽어가는 동물을 죽이는 인간과 함께, 기후변화가 일어났다는 쪽으로 크게 기울어졌다. 나는 이 이슈에 대한 그의 견해에 장점이 있다고 믿는다.

어떤 사람들은 두 가설의 결합이 약한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결합은 거의 검증될 수 없기 때문이다.[48] 그러나 버니(Burney)는 보다 복잡한 해법은 단지 복잡하다는 이유만으로 거절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의를 주고 있었다.[49]


논란이 격렬해지다.

딕비가 매머드에 대한 책을 썼던 1926년 이후로, 털북숭이 매머드의 멸종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100여 년 동안 많은 놀라움을 불러일으켜왔다.

세계 각국의 위대한 고생물학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과학자들이 매머드의 살과 피 문제에 대해, 한 세기 동안 그들의 이맛살을 찌푸려왔다.

사람들은 75년이 지난 오늘날,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털북숭이 매머드뿐만 아니라, 멸종된 다른 동물들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었을 것이라고 예상할 것이다. 그레이슨(Grayson)은 멸종에 관한 한 회의 결과를 요약하면서, 좌절감으로 다음과 같이 쓰고 있었다 [51]:

우리는 고대 식물군, 동물상, 과거 기후, 인간 선사시대 및 그 모든 것들에 관한 연대 등 많은 사실들을 축적했다. 이것들은 정확히 과학자들이 홍적세 말의 멸종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종류의 것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책에서 배울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교훈 중 하나는, 우리가 적절한 설명 또는 적절한 설명에 이르렀다고 할 만한 것에 명백히 가까이 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증거들의 축적은, 포유류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대면하는 주요한 문제들 중 하나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작은 도움도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이 피하기 힘든 질문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멸종의 원인 자체만큼이나 흥미로운 것이다: 과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막대하게 증가했음에도, 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에는 약간이라도 더 가까이 나아갈 수 없는 것일까? 그렇게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왜 조금의 진전도 없는 것일까?

대량멸종에 관한 보다 최근의 한 회의에서, 알로이(Alroy)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었다[52] :

”수십 년 동안의 논란 후에도, 북아메리카 대륙의 홍적세 말기 거대동물군의 멸종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책에서 표현된 매우 다른 의견들은 아무런 해결책도 없음을 보여준다.”

엄청난 연구비용이 지불되었고,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좌절하고 있는 것이다. 멸종에 관한 전쟁(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그 원인은 과거에 관한 기본적인 가정에 문제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Footnotes
1. Martin, P.S., and R.G. Klein (Eds.),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1984. Stone, R., Mammoth: The resurrection of an Ice Age giant, Perseus Publishing, Cambridge, MA, pp. 94–143, 2001. Agenbroad, L.D. and L.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Lerner Publications Company, Minneapolis, MN, pp. 87–99, 2002.
2. Haynes, G.,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Y, 1991.
3. Stone, R., Mammoth: The resurrection of an Ice Age giant, Perseus Publishing, Cambridge, MA, p. 102, 2001.
4. Agenbroad and Nelson, Mammoths, p. 88.
5. Martin, P.S., and R.G. Klein (Eds.),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1984. Stone, R., Mammoth: The resurrection of an Ice Age giant, Perseus Publishing, Cambridge, MA, pp. 94–143, 2001. Agenbroad, L.D. and L.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Lerner Publications Company, Minneapolis, MN, pp. 87–99, 2002.
6. Monastersky, R., The killing fields — What robbed the Americas of their most charismatic mammals? Science News 156:360–361, 1999.
7. Agenbroad, L.D., Pygmy (dwarf ) mammoths of the Channel Islands of California,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D, Inc., Hot Springs, SD, p. 23, 1998. Martin, P.S., and D.W. Steadman, Prehistoric extinctions on islands and continents;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8, 1999.
8.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p. 179, 1887.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9. Stuart, A.J., Mammalian extinctions in the Late Pleistocene of northern Eurasia and North America, Review of Biology 66:457, 1991.
10. Ehlers, J., Quaternary and glacial ge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 5, 1996.
11. Fisher, D.C., Extinction of proboscideans in North America; in: The Proboscidea — Evolution and palaeoecology of elephants and their relatives, J. Shoshani and P. Tassy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315, 1996.
12. Graham, R.W., and E.L. Lundelius Jr., Coevolutionary disequilibrium and Pleistocene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p. 223–249, 1984. Guthrie, R.D.,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 An ecological theory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290, 1984
13.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546.
14. Agenbroad, L.D., Pygmy (dwarf ) mammoths of the Channel Islands of California,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D, Inc., Hot Springs, SD, p. 23, 1998.
15. Agenbroad and Nelson, Mammoths, p. 97.
16.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7.
17. Saunders, J.J., Blackwater Draws: Mammoths and mammoth hunters in the terminal Pleistocene; in: Proboscidean and paleoindian interactions, J.W. Fox, C.B. Smith, and K.T. Wilkins (Eds.), Baylor University Press, Waco, TX, p. 140, 1992.
18. Monastersky, The killing fields, p. 360.
19. Howorth, Mammoth and the flood, p. 170.
20. Martin and Klein, Quaternary extinctions. Steadman, D.W., and J.I. Mead (Eds.),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and deep history: A tribute to Paul S. Martin,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1995. MacPhee, R.D.E. (Ed.),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1999.
21.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3–562.
22.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8.
23. Fisher, Extinction of proboscideans, p. 300.
24. Howorth, Mammoth and the flood, p. 171.
25. Stone, Mammoth, p. 116.
26. Monastersky, The killing fields.
27. Grayson, D.K., Pleistocene avifaunas and the overkill hypothesis, Science 195:691–693, 1977.
28. Steadman, D.W., and P.S. Martin, Extinction of birds in the Late Pleistocene of North America;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466–477, 1984.
29.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9.
30.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8.
31. Haynes, G., The role of mammoths in rapid Clovis dispersal; in: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G. Haynes, J. Klimowicz, and J.W.F. Reumer(Ed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Mammoth Conference, Jaarbericht Van Het Natuurmuseum, Rotterdam, p. 9–38, 1999.
32. Fisher, Extinction of proboscideans, p. 300.
33. Haynes, Role of mammoths, p. 230.
34. Grayson, D.K., Explaining Pleistocene extinctions — Thoughts on the structure of a debate;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807–823, 1984.
35. Laub, R.S., On disassembling an elephant: Anatomical observations bearing on paleoindian exploitation of Proboscidea; in: Proboscidean and paleoindian interactions, J.W., Fox, C.B. Smith, and K.T. Wilkins (Eds.), Baylor University Press, Waco, TX, p. 101, 1992.
36. Stone, Mammoth, p. 116.
37.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67, 1926.
38.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9.
39.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459, 547–548. Agenbroad, Pygmy (dwarf ) mammoths, p. 23.
40.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546.
41. Pielou, E.C., After the Ice Age — The return of life to glaciated North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266, 1991.
42. Krishtalka, L., The Pleistocene ways of death: Book review of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Nature 312:226, 1984.
43. Bower, B., Extinctions on ice, Science News 132:285, 1987.
44. Stuart, Mammalian extinctions, p. 548–549.
45. Ward, P.D., The call of distant mammoths — Why the Ice Age mammoths disappeared, Springer-Verlag, New York, p. 162, 1997.
46. Beck, M.W., On discerning the cause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Paleobiology 22(1):91–103, 1996.
47. Haynes,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p. 264–317.
48. Martin, P.S., and D.W. Steadman, Prehistoric extinctions on islands and continents;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8, 1999.
49. Burney, D.A., Rates, patterns, and processes of landscape transformation and extinction in Madagascar;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62, 1999.
50. Digby, Mammoth and mammoth-hunting, p. 51.
51. Grayson, Explaining Pleistocene extinctions, p. 807.
52. Alroy, J., Putting North America’s end-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 in context;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05, 1999.


출처 - 'Frozen in Time'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xtinct-animals/ice-age/the-extinction-wars/ 

미디어위원회
2017-11-16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4장 

: 매머드에 관한 많은 가설들 

(Frozen in Time, Chapter 4. A Mammoth Number of Mammoth)

by Michael J. Oard, Ph.D.


       털북숭이 매머드에 관한 많은 미스터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십 년에 걸쳐 매머드에 관한 많은 아이디어나 가설들이 제안되어왔다. 털북숭이 매머드에 관한 미스터리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많은 가설들을 만들어냈는데, 그 모든 가설들은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가설들은 토착 신앙에서부터 천체의 재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고대 원주민들의 믿음

중세시대의 지역 주민들은 털북숭이 매머드의 잔해가 선사시대의 거대한 동물이라고 생각했다.[1] 지질학이 발전하기 이전, 러시아의 유명한 한 지식인은 매머드들은 징기스칸이 이끌었던 대규모의 군사 작전 동안에 죽은 코끼리들이라고 주장했다.[2] 게다가 그 뼈들은 한니발의 군대가 스위스 알프스를 넘을 때 도망친 코끼리의 것이라는 우스운 주장도 있었다.[3]

시베리아의 많은 원주민들은 미신에 사로잡혀 있어서, 시체를 보면 병이 나거나 죽는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매머드의 뼈와 사체를 두려워했다.[4] 원주민들은 그 거대한 짐승이 한때 지하에서 살았고, 앞뒤로 터널을 뚫었다고 생각했다.[5] 그들은 강기슭을 따라 유해가 발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그 짐승이 공기를 맡으려고 지표면 가까이로 올라오거나, 빛을 보게 되었을 때, 즉시 죽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약 1600년 경, 중국의 황제 강희는 동물에 관한 책을 한 권 썼는데, 거기에서 그는 동물 시체가 지표면 아래에서 살았던 5톤 무게의 설치류 유해라는 시베리아 신앙을 지지했다.[6] 시체에서 나온 일부 고기가 ”신선하다”는 것은 그 짐승이 여전히 지하에 살고 있으며, 빛을 보자마자 곧 죽었다는 그들의 신앙을 고무시켰다.[7]


초기 지질학자들의 생각

초기 지질학자들의 아이디어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들 대부분은 동일과정설과 같은 현대적 해석에 편향되지 않고, 증거에 대한 직접적인 해석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1600년대에 유럽으로 털북숭이 매머드 화석의 존재가 알려졌다.[8] 매머드 상아 무역은 1700년대에 시작되었다. 아가시(Agassiz), 퀴비에(Cuvier), 버클랜드(Buckland) 및 그 시대 대부분의 지질학자들은 매머드 화석들은 시베리아가 한때 따뜻한 기후였음을 가리킨다고 믿었다.[9] 퀴비에는 갑작스런 기후 악화로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멸종했으며, 지역적 홍수 혹은 다른 사건에 의해 매몰되었다고 생각했다.[10] 주기적인 격변적 홍수와 멸종을 주장했던 퀴비에를 따라, 많은 과학자들은 노아시대의 홍수가 매머드를 휩쓸어버린 많은 격변들 중에서 마지막 격변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다.

찰스 라이엘(Charles Lyell)은 처음에는 매머드가 남부 시베리아에 살았었는데, 매장되기 전에 강을 따라 북부 시베리아로 흘러내려왔다고 믿었다.[11] 이 생각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뼈들이 이동됐다는 징후가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고[12], 많은 뼈들이 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발견되었기 때문이었다.[13] 동일과정설의 아버지인 찰스 라이엘은 기후가 약간 따뜻했어야 함을 마지못해 인정했지만, 매머드와 얼어붙은 시체를 자기의 신념인 점진적 멸종과 동물상의 교체라는 것에 끼워 맞추려고 했다.[14]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런 라이엘의 설명을 더 좋아한다.[15]

헨리 호워스(Henry Howorth) 경은[16] 아마도 시베리아에서 털북숭이 매머드의 멸종에 대한 주장을 종합하려고 시도했던 최초의 인물일 것이다. 그는 최초로 특별히 시베리아에서의 털북숭이 매머드에 대한 엄청난 양의 정보를 수집했다. 그리고 지구의 표면에만 영향을 미쳤을 노아 시대에 얕은 홍수와 같은 커다란 홍수가 전 세계의 모든 땅을 휩쓸고 지나갔으며, 시베리아의 매머드들을 죽였다고 결론 내렸다. 그는 전 세계 여러 문화에 남아있는 홍수 설화를 지적했다. 호워스는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라고 말하는 동일과정설은 매머드의 미스터리를 설명하기에는 전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다. 오늘날 호워스는 공룡이 운석 충돌로 죽었다고 믿고 있는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신격변주의자(neo-catastrophist)로 간주될 것이다.

호워스가 쓴 글을 다시 읽어보면서, 나는 그가 탐험가와 여행자들의 초기 관측으로부터 상당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톨마쵸프(Tolmachoff)[17]는 알려진 시베리아의 동물 시체 목록을 작성하면서, 호워스가 수집한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언급했다.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매머드를 동반한 다른 동물상과 묻혀있는 식물상의 광범위한 분포와 특성에 대한 호워스의 설명은 놀라울 정도로 최신의 정보로 여겨진다.


천체의 대재앙과 격변적 지각 이동

시베리아에 있는 털북숭이 매머드 시체의 변형은 과학에 관심 있는, 지구적 재앙을 염려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전 지구적 격변에 대한 몇 가지 가설들이 제안되게 했다. 호워스는 최초의 격변론자로 여겨지지만, 이 섹션에서 논의된 아이디어는 보다 더 현대적인 개념이다. 내가 알고 있는 바로는 이러한 개인들 중 누구도 기독교인은 아니다.

임마누엘 벨리코프스키(Immanuel Velikovsky)는 ‘충돌하는 세계’(Worlds in Collision)[18]와 ‘지구의 대변동’(Earths of Upheaval)[19]이라는 천문학적 재앙, 또는 천체의 재앙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의 책은 수백만 권이 팔렸다. 하지만 벨리코프스키나 그의 생각을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그는 정통파 과학자들을 상당히 당황시켰다. 찰스 지넨탈(Charles Ginenthal)[20]은 벨리코프스키의 가설에 대한 현대적이고 최신의 변호를 제공한다.

벨리코프스키에 따르면, 천체의 재앙은 지구에 대변동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그의 책에서 천체의 재앙은 시베리아에 있는 털북숭이 매머드들의 멸종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매머드의 미스터리, 빙하기, 지구과학의 다른 많은 수수께끼들을 태양계 안에서 지구에 근접해서 움직였던 금성과 화성에 의한 대격변 모형으로 설명했다. 그리고는 다소간, 천문학적으로 엉뚱하기는 하지만, 이 두 행성은 태양 주위의 안정된 궤도에 붙들려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약 3,500년 전에 천체의 재앙이 일어났었다고 상상했다. 그는 구약의 많은 기적들을 믿었는데, 거기에 천문학적인 설명을 제시했다. 벨리코프스키는 과거를 설명할 때, 내재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었다. 벨리코프스키는 호워스와 마찬가지로, 동일과정설적 지질학이 과거의 많은 미스터리들을 풀기에는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다만 알래스카의 '흑니토(muck)”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과장된 요소를 추가할 수밖에 없었다.

도대체 어떤 상황이 수백만 마리의 동물들의 사지를 찢고, 뿌리 뽑힌 나무들과 함께 섞어놓을 수 있었을까?[21]

또한 다른 사람들도 알래스카의 흑니토에서 사지가 절단된 포유류와 함께 비틀어지고 절단된 나무들이 들어있는 것을 지적했다.[22] 알래스카의 흑니토에 식물과 동물의 유해가 혼합되어 있는 것은 어떤 사람이 제안했던 것처럼, 전혀 미스터리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보다 더 평범하게 설명될 수 있는데, 나중에 이 책에서 논의할 것이다.

벨리코프스키와 지넨탈은 화성 혹은 금성이 지구를 근접하여 지나갔을 때, 지구의 자전축이 갑자기 수직으로 변했다고 제안했다. 이것이 빙하기를 끝나게 했다는 것이다. 시베리아 기후가 따뜻해지자, 매머드들이 이동하도록 유혹했다. 그 이후 약 3,500년 전에 지구의 자전축이 현재의 23.5도로 되돌아와서, 급속한 냉각을 가져왔고, 매머드들은 길을 가던 도중에 빠른 냉각에 의해서 결빙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몇몇 매머드들은 입에서 음식을 삼키기도 전에, 그리고 그들의 위에 마지막 식사가 남아있는 채로 죽어있었다. 벨리코프스키와 지넨달은 매머드의 멸종, 빙하기의 원인, 최근의 다른 많은 수수께끼들을 이 지구 자전축의 이동으로 설명하고 있다.

벨리코프스키와 지넨달의 가설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치명적이다. 자전축이 지금보다 수직으로 이동했다면, 그것은 갑작스런 온난화가 아니라, 빙하기를 초래했을 것이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영구적인 봄이나 가을은 이상적인 것처럼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극의 봄과 가을이 따뜻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노래 ”알래스카의 혼(North to Alaska)”에서 알래스카의 봄이 –40C 까지도 내려간다는 것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지구의 축이 수직일 때, 영구적인 봄이나 가을은 눈과 얼음이 쌓이게 할 것이다. 눈과 얼음은 더 많은 햇빛을 공중으로 반사시켜 냉각 효과를 더할 것이다. 냉각과 빙하기는 중위도 지역으로 서서히 퍼져나갔을 것이다. 그들의 이론에 더 나쁜 상황은, 눈과 얼음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의 저지대에 축적됐을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알기로 이들 지역은 절대 빙하작용이 일어난 적이 없다. 이들 저지대는 매머드의 땅이었고, 이것은 벨리코프스키의 가설에 첫 번째로 영감을 줬었다. 천체의 재앙 이론은 실제로 그들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과 반대가 될 것이다.

다른 유명한 지식인들과 작가들은 벨리코프스키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각색했다. 이반 샌더슨(Ivan Sanderson)[23]은 지축의 이동이 아니라, 지구의 지각이 맨틀 위에서 급격히 이동했다는 내용의 짧은 글을 ‘토요일 저녁 포스트’(Saturday Evening Post)에 발표했다. 그는 이것이 전 지구적 화산활동과 냉각, 그리고 털북숭이 매머드들의 빠른 동결을 초래했다고 생각했다.

찰스 햅구드(Charles Hapgood)[24] 역시 벨리코프스키의 아이디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고, 지구의 지각(earth’s crust)이 이동했다는 샌더슨의 의견에 동의했다. 그는 시베리아는 북쪽으로 이동됐고, 북아메리카는 남쪽으로 이동되어, 매머드들을 동결시켰고, 빙하기가 끝나게 되었다고 제안했다. 그는 지구 지각의 마지막 변위로 인하여 야기된, 극심한 대기의 교란과 화산의 냉각이 특별하게 시베리아 매머드를 죽게 만들었다고 생각했다. 심지어 그의 첫 번째 책은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서문을 써서 지지를 받았는데, 아인슈타인은 주류 지질학자들이 과거의 기후에 관한 많은 미스터리들을 잘 설명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인식했던 것 같다.

그와 같은 격변을 가정하고 있는 햅구드와 몇몇 사람들은 두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들은 자기들의 데이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서둘러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이에 대한 좋은 예가 시베리아 탐험가인 바론 톨(Baron Toll)이 븍극해의 뉴시베리안제도(New Siberian Islands)에서 27m 되는 높은 과일나무를 발견했다는 보고를 햅구드[25]가 인용하는 경우이다. 그 나무는 뿌리가 온전한 상태로, 그리고 씨앗, 녹색 잎, 잘 익은 과일이 여전히 나뭇가지에 붙어있는 상태로 영구동토층에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그런데 햅구드는 톨의 보고를 전혀 언급하지 않고, 바셋 딕비(Bassett Digby)[26]의 보고를 통해 간접적으로 인용했는데, 딕비는 바론 톨이 뉴시베리안제도 중 하나인 볼쇼이 라호프제도(Bol'shoi Lyakhov Island)에서, 빙하기 동물들 사이에서 27m의 오리나무(alder tree)를 발견했음을 보고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오리나무(Alnus fructicosa)는 뿌리와 씨앗이 완벽한 상태였다. 햅구드는 분명히 사실을 각색하고 있었다.


급속 동결

위의 많은 가설들에서, 매머드는 급속 동결되었다. 이러한 가설은 여러 매머드들의 위 내용물이 절반만 소화된 상태로 발견되고, 몇몇 매머드의 사체가 부패하지 않았고, 많은 뼈와 엄니들이 상하지 않은 채로 발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다. 실제로 급속 동결 아이디어는 19세기 초반에 시작된 오래된 아이디어이다. 그것은 아마 바론 퀴비에(Baron Cuvier)에서 시작되었고, 그의 시대에는 대중적이었던 것 같다.[27] 관찰된 내용을 고려해볼 때, 합리적인 제안이었다. 급속 동결 가설은 1960년 Birds Eye Frozen Foods Company에 의해 부각되었다. 소고기를 통과하는 열전도에 근거하여, 베레소브카 매머드(Beresovka mammoth)의 위 내용물의 보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150°F(-100°C) 이하의 온도로 갑자기 급냉되어야 한다고 계산했다.[28] 급속 동결 아이디어의 지지자들은 그러한 격변적 냉각을 설명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메커니즘을 찾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이 흥미로운 가설에 대해 나중에 더 많이 언급할 것이다.


주류 과학의 가설

주류 과학자들은 실제 데이터를 정직하게 바라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동일과정설이라는 철창에 정신적으로 갇혀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들의 해석과 결론을 단단히 붙들어 매고 있다.

윌리엄 파랜드(William Farrand)[29]는 시베리아에서의 털북숭이 매머드의 삶과 멸종에 관한 많은 과학자들의 입장에 대한 전형이 되고 있다. 그는 동물들이 추위에 잘 적응했기 때문에 시베리아 매머드의 멸종에 있어서 기후는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믿고 있다. 그는 고대 시베리아가 오늘날과 비슷한 기후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들이 많이 있다고 결론 내렸지만, 다소 따뜻한 기후를 나타내는 수수께끼 같은 데이터가 약간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는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영구동토층에 묻혀 있다고 믿지 않으며, 그곳에서 살았던 동물들은 오늘날 시베리아에서 자라는 식물을 먹으며 생활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파랜드는[30] 털북숭이 매머드에 대한 데이터를... ”우리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일상적인 과정으로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말하며, 동일과정설적 관점을 강하게 의지하고 있었다.

털북숭이 매머드가 시베리아의 현재의 혹독한 기온이나, 심지어 빙하기의 더 추운 기후에 적응할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시베리아의 여름을 지배하는 늪지대 식생은 ”섭생이 좋은 큰 덩치의 매머드”에게는 부적절한 먹이와 영양을 제공했을 것이다. 게다가 시베리아 여름은 영구동토층을 녹여서 매머드들을 진창의 늪에 빠지게 만들었을 것이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시베리아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존재했었다는 것은 잘 입증되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일과정설은 한때 시베리아에 살았던 많은 식량이 필요했던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존재했었다는 것과, 그들이 짧은 시간 안에 멸종되었다는, 몇 가지 매우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1.Kurtén, B., How to deep-freeze a mammoth,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p. 50, 1986.
2.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 1880.
3.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viii, 1929.
4.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p. 83, 1887.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5.Ibid., p. 73–74.
6.Kiger, P.J., Great mammoth discoveries, Discovery Channel online, 2000.
7.Dillow, J.C., The waters above: Earth’s pre-Flood vapor canopy, Moody Press, Chicago, IL, p. 323, 1981.
8.Howorth, The Mammoth and the flood, p. 48.
9.Grayson, D.K., Nineteenth-century explanations of Pleistocene extinctions: A review;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11–16, 1984.
10.Ibid., p. 9. Berger, W.H., On the extinction of the mammoth: Science and myth; in: Controversies in modern geology — Evolution of geological theories in sedimentology, earth history, and tectonics, D.W. Müller, J.A. McKenzie, and H. Weissert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116, 1991.
11.Howorth, The Mammoth and the flood, p. 60.
12.Tolmachoff, Carcasses, p. ix.
13.Howorth, The mammoths in Siberia, p. 551.
14.Grayson, Explanations of Pleistocene extinctions, p. 16.
15.Hopkins, D.M.,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Paleoecology of Beringia,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16.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1887.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17.Tolmachoff, Carcasses, p. 11–74.
18.Velikovsky, I., Worlds in collision, Pocket Books, New York, 1950.
19.Velikovsky, I., Earth in upheaval, Doubleday & Co., New York, 1955.
20.Ginenthal, C., The extinction of the mammoth, Ivy Press Books, Forest Hills, NY, 1997.
21.Velikovsky, Earth in upheaval, p. 13.
22.Hibben, F.C., Evidence of early man in Alaska, American Antiquity 8:256, 1943.
23.Sanderson, I.T., Riddle of the frozen giants, The Saturday Evening Post, p. 39, 82, 83, January 16, 1960.
24.Hapgood, C.H., Earth’s shifting crust — A key to some basic problems of earth science, Pantheon Books, New York, 1958.
Hapgood, C.H., The path of the pole, Chilton Book Co., New York, 1970.
25.Hapgood, C.H., Earth’s shifting crust — A key to some basic problems of earth science, Pantheon Books, New York, p. 234–235, 1958.
26.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151, 1926.
27.Grayson, Explanations of Pleistocene extinctions, p. 5–39.
28.Sanderson, Riddle of the Frozen Giants.
29.Farrand, W.R., Frozen mammoths and modern geology, Science 133:729–735, 1961. Farrand, W.R., Frozen mammoths, Science 137:450–452, 1962.
30.Farrand, W.R., Frozen mammoths, Science 137:450, 1962.

*Michael Oard의 책 'Frozen in Time” 원문.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asp
2. Why live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2.asp
3. The mystery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3.asp
4. A mammoth number of mammoth hypothes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4.asp
5. The extinction w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5.asp
6. The multiplication of ice age theori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6.asp
7. The Genesis flood caused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7.asp
8. The snowblitz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8.asp
9. The peak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9.asp
10. Catastrophic melting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0.asp
11. Only on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1.asp
12. Do ice cores show many tens of thousands of ye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2.asp
13. Where was man during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3.asp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xtinct-animals/ice-age/a-mammoth-number-of-mammoth-hypotheses/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7-11-07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3장 

: 빙하기의 미스터리 

(Frozen in Time, Chapter 3. The Mystery of the Ice Age)

by Michael J. Oard, Ph.D.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털북숭이 매머드(woolly mammoths)가 빙하기(ice ages)에 살았고, 빙하기 말에 멸종했다고 믿고 있다. 매머드들에게 일어났던 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빙하기를 더 잘 이해해야 한다. 빙하기가 있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과학자들이 그 원인을 제시하고자할 때는 막다른 벽에 부딪힌다. 그들은 연이은 미스터리에 빠져든다.

 

정말로 빙하기가 있었는가?

오늘날의 세계를 보면 한때 빙하기가 있었다고 상상하기 어렵다. 얼음이 한때 지구 표면의 30%를 덮었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것 같다. 빙하기가 있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빙하기에 대한 많은 증거들은 현대 빙하 연구들에서 비롯된 것이다. 빙하는 오늘날 빙퇴석(moraines)이라 불리는 암설(debris) 더미를 남겨놓았다. 암설은 모래, 이토, 또는 심지어 점토 모암(matrix)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무작위로 분류된 암석으로 구성된다. 이 암설은 빙력토(till)라고 한다. 빙퇴석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1)종퇴석(terminal or end moraine, 말단 빙퇴석)은 앞으로 이동할 때, 빙하의 앞으로 밀려나온 빙력토 더미이다. 2)측퇴석(lateral moraine)은 빙하가 이동할 때, 빙하의 측면으로 밀려난 암설이 만들어놓은 것이다. 3)저퇴석(ground moraine)은 빙하 아래에 생긴 것이다. 저퇴석은 일반적으로 거친 언덕 모양이다.

빙퇴석 내에서는 흔히 긁힌 암석이나 줄무늬 암석이 발견된다. 긁힌 자국과 홈은 암석과 암석이 마찰되거나, 빙하가 아래의 기반암을 긁을 때 암석에 새겨진다. 긁힌 자국은 빙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북아메리카의 평원과 미국 서부의 산 계곡뿐만 아니라,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 이러한 동일한 특성들이 발견되는데, 이것은 이들 지역이 한때 빙하로 덮였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분명히 빙하기는 있었다. 그림 3.5는 세계에서 가장 독특한 측퇴석 및 종퇴석 중 하나를 보여준다. 그것은 해발 1,300m에 위치한 오레곤 북동부의 왈로와 산맥(Wallowa Mountains) 북쪽에 있다. 빙하기 동안에 빙하가 왈로와 산맥 북쪽에서 계곡 아래쪽 밖으로 약 3km 되는 오레곤 주 엔터프라이스 근처의 작은 평원으로 내려왔다. 종퇴석은 다소 작아서, 높이가 약 30m에 불과하다. 양쪽에 날카로운 정상부가 있는 측면 빙퇴석은 산 전면 근처에 약 210m 높이로 있다. 그 두 개의 빙퇴석은 말굽 모양을 형성하며, 이제는 아름다운 왈로와 호수(Wallowa Lake)가 그곳을 차지하고 있다. 그 호수는 피요르드( fjord)와 비슷하게 생긴 깊게 패인 계곡을 뒤덮고 있다. 피요르드란 해안을 따라 펼쳐진 바다의 길고 좁은 지류이다. 그것은 한때 빙하에 의해 깊게 파여진 해안의 계곡이었다. 왈로와 호수 주변의 종퇴석과 측퇴석은 가는 입자의 모암 내부에 여러 크기의 암석들이 혼합된 빙력토(till)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까지 빙하가 있었던 중위도, 고위도, 열대 지방의 산들

빙하작용(glaciation)에 대한 많은 흔적들을 관찰함으로써, 빙상(ice sheet)이 형성됐던 곳을 추정할 수 있다. 북미 대륙에는 두 개의 커다란 빙상이 뒤덮고 있었다. 하나는 코딜레란 빙상(Cordilleran Ice Sheet)이라는 것으로, 캐나다 서부 산악지역과 미국 북서부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로렌타이드 빙상(Laurentide ice sheet)이라는 것으로, 캐나다의 나머지 지역과 미국 북부지역에 형성되어 있었다(그림 3.8을 보라). 북부 캐나다가 얼마나 많이 빙하로 덮였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빙하기 초에 두 개의 빙상을 나누었던, 얼음 없는 지역이 로키산맥의 동쪽 경사면을 따라 놓여 있다.

그림 3.8. 북아메리카 지역의 빙상

미국 대륙에서는 빙상의 남쪽 가장자리가 워싱턴 주 북서쪽에서 미국 북부까지 뻗어 있었다. 중서부 지역에서는 그 가장자리가 북위 38°에 있는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만큼 멀리 남쪽까지 도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얼음은 아마도 세인트루이스 아래까지는 확장되지 않았을 것이다. 남쪽의 퇴적물은 빙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빙하 호수 및 빙하가 녹으면서 만든 지형(meltwater features)의 잔해일 수 있다. 빙하기의 강과 호수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뚜렷한 종퇴석이 없는 지역에서 빙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을 수 있다.

또한 빙하작용이 결코 없었던 두 지역이 있었다. 그곳은 로렌타이드 빙상 둘레의 안쪽에 있다. 이 지역을 표류가 없는(driftless) 지역이라고 한다. 첫 번째 지역은 위스콘신 주 남서부와 인접한 작은 영역인 미네소타 남동부, 아이오와 북동부, 일리노이 북서부를 포함하는 약 40,000 평방킬로미터에 해당된다.[1] 두 번째 지역은 몬타나 북동부와 중앙 서스캐처원(캐나다 남서부의 주)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15,000 평방킬로미터의 면적을 차지한다.[2]

미국 서부의 많은 산악지역에는 빙관(ice cap, 만년설)이 있었다. 이 지역은 로키산맥의 대부분과, 태평양 북서부의 캐스케이드 산맥, 캘리포니아의 시에라네바다 산맥이 있는 지역이다. 빙관은 오레곤 주 북동부에 있는 왈로와 산맥, 샌프란시스코 산맥, 아리조나 주의 그랜드 캐니언 남부와 같은 많은 작은 산악지역을 덮었었다.

유사한 빙상의 흔적이 북유럽과 북서아시아에서도 발견된다. 이 빙상을 스칸디나비아 빙상이라고 한다. 러시아 북서쪽에 있는 이 빙상과 노르웨이의 북쪽에 있는 얕은 바다의 정확한 경계는 여전히 논쟁이 되고 있다.[3]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알프스, 코카서스, 피레네 산맥과 같은 유럽의 많은 산들이 빙관으로 덮여있었다.

그림 3.9 유럽과 아시아에 있는 빙상

빙하기는 북반구에서만 발생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남반구 고위도의 산에서도 있었다. 호주의 태즈메니아, 뉴질랜드, 칠레, 아르헨티나 남부의 산들과 심지어 호주 남동부의 작은 산악 지대에도 모두 빙하가 있었다. 남반구에서 빙하기의 얼음 대부분은 남극 대륙에까지 이른다. 남극 대륙뿐만 아니라, 그린란드의 현재 얼음 덩어리는 거대한 빙하기에 대한 증거물로 남아 있다.

열대지방도 예외가 아니었다. 시원했던 기후로 인해, 오늘날 가장 높은 산에 존재하는 빙관은 약 900m 더 낮은 곳까지 내려와 있었다. 킬리만자로, 케냐, 루웬조리 산맥, 사하라 사막의 높은 봉우리 여러 개 등을 포함하는 중앙아프리카 동부의 화산 봉우리들은 빙관으로 덮였었다.[4] 오늘날 빙하가 없는 많은 다른 열대 산맥에도 빙관이 존재했었다. 중위도와 고위도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열대지역의 산악지역에 빙관이 있었다는 것은 빙력토, 빙퇴석, 긁힌 자국 있는 암석, 줄무늬가 있는 기반암 등으로부터 유추되고 있다.

빙하작용의 많은 특징들은 아직도 모양이 날카롭고, 침식이 아주 약간만 되었다는 것인데, 이것은 빙하기가 비교적 최근에 있었음을 가리킨다. 이에 대한 좋은 예는 왈로와 산맥에서 돌출된 편자 모양의 빙퇴석이다(그림 3.5). 크릭메이(Crickmay)[5]는 많은 빙하작용의 모습이 신선하다는 것에 주목했다:

대기의 영향이 비교적 적었다는 것은 홍적세(Pleistocene)에 빙하가 있었던 지역에서 강하게 보여지는데, 15,000~20,000년 동안에는 빙하작용이 없었다. 그 기간 동안에 많은 물의 흐름이 100m 이상의 깊은 계곡을 파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는 빙하의 줄무늬(glacial striae)를 거의 지우지 못했다.

빙하작용은 15,000년에서 20,000년 전보다도 더 최근에 쉽게 가능했을 것이다. 크릭메이는 단순히 전통적인 지질학적 지식을 되풀이하고 있었다. 빙하 특성의 신선함은 훨씬 더 젊은 연대를 지지한다. 지질학자 조지 프레데릭 라이트(G. Frederick Wright)[6]는 위스콘신 주의 빙하작용은 거의 침식되지 않았으며, 유럽과 북아메리카 빙하 케임(glacial kames, 빙하가 운반해온 모래나 자갈로 된 언덕)도 약간만 침식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허드슨 만(Hudson Bay)의 동부 해안에 있는 빙하 줄무늬(glacial striations)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허드슨의 만의 동해안에 있는 포틀랜드 곶에서, 위도 58o 되는 곳에 남쪽 방향으로, 높은 암석질의 언덕은 완전히 빙하작용이 일어나있고 민둥산이다. 그 줄무늬들은 얼음이 어제 막 만들어놓은 것처럼 신선해 보인다. 비에 젖었던 직후에 이 언덕 위에 태양이 작열하면, 몬트리올 시의 주석 지붕처럼 반짝이고 빛난다.[7]

줄무늬들은 일단 노출되고 난 후에는 비교적 빨리 제거되어야 한다. 15,000~20,000년 풍화를 겪고 나서도 모습이 매우 뚜렷하다는 것은 가능할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빙하기를 초래하는 데 얼마나 많은 기후 변화가 필요할까?

빙하기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겨울에 내린 눈이 여름과 가을 동안에도 녹지 않고 지속되어서, 매년 축적되어야 한다. 따라서 중위도 및 고위도 대륙 지역에 빙상이나 빙하를 만들려면, 더 추운 여름과 더 많은 눈의 조합이 필요하다. 얼음이 쌓인 대부분의 지역에서 겨울은 이미 눈과 얼음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추운 반면에, 여름에는 그것이 녹을 수 있다.

눈이 계속 쌓이는 경우,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얼음으로 변한다. 하나는 여름에 부분적으로 녹은 눈이 아래쪽으로 침투한 다음, 다시 얼어서 얼음으로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메커니즘은 추운 환경에서 눈이 충분한 깊이(최대 60m)가 된 후에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눈의 무게가 바닥에 있는 눈으로부터 대부분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눈을 얼음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것은 남극 및 그린란드 빙상 위에서 눈이 얼음으로 되는 방식이다.

더 추운 여름과 더 많은 강설의 조건은 어려운 요구사항이다. 미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인 미니애폴리스에서 빙상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했을지 생각해보자. 이 지역은 비교적 최근까지 두께가 약 300m에 이르는 빙상으로 덮여있었다.

6월에서 8월까지 미니애폴리스의 평균 기온은 21°C이다. 겨울의 눈이 녹지 않도록 하려면, 봄, 여름 및 가을의 기온은 적어도 빙점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여름 기온이 적어도 3.3°C 이하로 차가워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때 햇빛의 강렬함은 대부분의 눈을 녹게 한다. 즉, 온도는 작은 요인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중요하다. 미니애폴리스는 여름에 햇빛을 많이 받기 때문에, 다음 겨울까지 평균기온은 1인치의 눈이 얼어붙는 것보다 훨씬 더 낮을 필요가 있다. 고위도의 남극 대륙에서는 여름 동안은 태양이 낮게 뜨지만, 24시간 동안 낮이 지속되며, 평균온도가 –10°C일 때 빙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눈이 녹는 것이 관찰된다.[8] 미니애폴리스의 태양각(sun angle)은 남극 대륙의 가장자리보다 훨씬 높지만, 밤은 더 길기 때문에, 평균 여름 기온은 미니애폴리스에서의 여름 해빙과 유사할 것이다. 약간의 겨울눈도 사라지지 않는 보수적인 여름 평균 기온은 -6.7°C 이다. 따라서 여름 온도가 오늘날의 평균 온도인 21°C에서 -6.7°C로 떨어지는 것은, 무려 28°C에 달하는 엄청난 변화이다! 물론, 가을과 봄에는 태양으로부터 열을 적게 받고, 계절적으로 온도가 자연히 더 낮기 때문에, 더 적은 온도 강하가 필요하다.

위의 계산은 강설량이 현대 기후에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 것이다. 다른 메커니즘에 따라 훨씬 더 많은 눈이 내렸다면, 지상에서 눈이 1인치 이상 유지되는데, 여름 냉각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나중에 증명하겠지만, 건조하고 시원한 빙하기 기후(여름 평균 온도인 10°C)에서 빙상의 가장자리 근처의 얼음이 녹는 양은 일 년에 약 400인치(10m)이다. 얼음 1인치는 평균 10인치의 눈가루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것을 미니애폴리스에 적용하면 연간 4,000인치(100m)의 강설이 내려야 하며, 이는 연 평균 강설량의 약 100배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시원한 여름 동안에도 엄청난 강설량이 필요하다. 물론, 여름 평균 기온이 약 -1°C인 경우라면, 보통의 강설량의 20배만 내리면 될 것이다.

이 매우 특별한 상황이 수년 동안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수년 동안 미니애폴리스에서 온도는 4.4C°로 냉각되고, 강설량은 20배가 되게 하는 기후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조합 되어야할까? 문제를 더 복잡하게 하는 것은, 많은 냉각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이 발견될 수 있다하더라도, 대기 중의 습도(많은 강설에 필요)를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대기의 냉각은 대기를 더 건조하게 만들 것이므로, 필요한 많은 양의 눈을 생산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것은 모든 빙하기 이론들에 있어서 가장 큰 도전 중 하나이다.


얼음이 캐나다에서 미국까지 내려왔을까?

또 다른 가능성은, 실제로 빙상이 캐나다의 북동부와 서부 고지대와 스칸디나비아 산맥에 걸쳐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 지역은 오늘날에도 아주 높은 지형에 빙하가 여전히 남아 있다. 캐나다는 미니애폴리스 보다 북극에 더 가깝기 때문에, 여름철 냉각뿐만 아니라, 강설량이 많이 증가하여, 북쪽 멀리까지 빙상이 조성되었을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 북쪽 지역에서 빙상이 생겨났으며, 수천 년에 걸쳐 조금씩 움직여서, 북미대륙에서는 미니애폴리스까지 남쪽으로, 심지어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까지 이르렀다고 믿고 있다. 이런 식으로 과학자들은 북쪽에서부터 서서히 뻗어나가던 빙상이 세인트루이스까지 다다르는 데 필요한 기후변화를 야기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얼음이 스칸디나비아 산맥에서 뻗어나가, 잠시 후 저지대로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는 빙상이 지속적으로 뻗어나가 발트해를 가로 질러 조금씩 진출하여, 유럽 대륙의 북부와 러시아의 북서부에까지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림 3.10. 여름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10°C와 12°C 더 차가울 때, 여름 해빙 이후 1인치의 눈이 남아 있을 지역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표시한 캐나다 지도.

그러한 시각에서 빙하기가 가능할까? 래리 윌리엄(Larry Williams)[9]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했다. 그는 캐나다에서 한 여름 동안 눈이 덮여 있으려면, 얼마나 많은 여름철 냉각과 추가 강설량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했다. 빙하기가 시작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는 보통의 겨울 강설량을 두 배로 늘렸고, 여름 기온을 2°C만큼 낮췄다. 또한 윌리엄은 지표면을 120m 높여서 허드슨만의 영향을 차단했으며, 여름 햇살의 강도를 약간 줄였다. 이 모든 조건들은 여름철에 눈이 덮여 있도록 하는 데에 유리하다. 그는 캐나다 북동부에 빙하에 불리하게 나오는 그의 결과를 검토하여, 그가 세운 용융 방정식이 맞는지 확인했다. 그의 방정식은 현실적이었다. 그는 기온을 2°C씩 계속 낮춰가면서, 따뜻한 계절의 보다 많은 강우가 비대신 눈으로 내리게 했다. 결국 그는 실험에서 허드슨 만의 북서부와 동부에 영구적으로 눈이 덮이게 했다(그림 3.10). 그는 캐나다 북동부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1°C까지 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캐나다 북동부에 1인치 두께의 눈이 남아있기 위해서는, 10°C인 여름 평균 기온이 11°C 더 냉각되는 것에 해당한다. 윌리엄스는 캐나다 북동부에 영구적으로 눈이 덮여 있으려면, 이전에 그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여름철 냉각과 강설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제 우리에게는 다시 온도의 하강과 강설의 증가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이 남는다.

기후 때문에 캐나다 북동부 지역을 빙하로 덮을 수 있었다 할지라도, 어떤 원인으로 더 냉각되고 더 강설이 많아져서, 얼음이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또는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까지 남쪽으로 확장되게 할 수 있었을까? 1인치만큼이라도 남쪽으로 확장되려면, 그런 개념에는 미니애폴리스의 대폭적인 기후 변화가 여전히 필수적이다. 유럽 북부와 아시아 북서부뿐만 아니라, 남반구와 열대지역의 산맥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다.


과학자들은 당혹해하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빙하기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많은 과학자들은 빙하기 자체의 어려움 외에도, 빙하기의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빙하기를 처음으로 가정했던 1800년대 중반에,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거의 믿지 못했다:

그 광대한 대륙 빙상의 개념은 지질학자들이 믿기 어려운 것이었다... 1850년경의 빙하기 이론의 상황은 앞의 빙하기라기보다 간빙기에 더 가까웠다. 버클랜드(Buckland)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이든 지질학자들은 여전히 빙하기 이론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고, 그것을 받아들이더라도 거의 내키지 않게, 그리고 많은 단서 조항을 붙여서 였다.[10]

빙하기 이론은 너무나 지나친 것으로 보였다. 기후 변화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급진적이었다. 그러나 빙하기에 대한 증거들은 강력했다. 그래서 결국,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어쩔 수 없이, 그 가능성을 인정했다.

그렇다면 그 다음 큰 질문은 ”어떻게?”이다. 과학자들은 1800년대 중반 이래로 이 문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왔다. 그것은 여전히 과학의 주요한 미해결 미스터리이다. 미국 News & World Report 지는 1997년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과학의 18가지 커다란 미스터리에 관한 기사를 연재했다. 그 미스터리 중 하나가 ”무엇이 빙하기를 일으켰는가?”[11]이었다. 1996년 6월, Earth라는 유명한 과학 잡지는 빙하기의 새로운 이론에 관한 기사를 발표했다. 다니엘 펜딕(Daniel Pendick)[12]은 이런 말로 기사를 시작했다: ”빙하기가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면, 그것은 공상과학처럼 들렸을 것이다.” 워싱턴 동부를 휩쓸었던 미졸라 호수의 홍수(Lake Missoula flood)에 관한 책에서, 데이비드 알트(David Alt)[13]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많은 이론들이 있지만, 무엇이 빙하기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는 실제로 아무도 모른다.” 아주 먼 선사시대가 아니라, 최근에 끝난 빙하기의 원인을 오늘날의 과학자들이 알지 못한다는 것이 놀랍지 않은가? 몇 사람이 제안하듯이, 우리의 기후는 근본적으로 불안정하여, 조만간 또 다른 빙하기를 맞이함으로,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인가? 아니면 빙하기가 특수한 조건에서 일어났으므로, 매우 희귀하여, 결코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인가?


빙하기 동안 축축했던 사막?

빙하기의 원인이 큰 미스터리 일뿐만 아니라, 이 시대와 관련된 다른 많은 수수께끼 같은 특징들도 미스터리이다.

그림 3.11. 지구 대기의 일반적인 순환. 위도 30°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공기를 건조시킨다. (지도를 전체 크기로 보라.)

사막이나 반건조 지역은 오늘날 지구상에서 흔하다. 그런 지역은 특히 남위 30도와 북위 30도 주위에 널려 있는데, 그 부근에서 건조한 공기가 순환하기 때문이다(그림 3.11을 보라). 이 건조 및 반건조 지역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특별한 발견을 했는데, 한때는 많은 지역들이 축축한 습식 사막이었다는 것이었다!

미국 남서부의 그레이트 베이슨(Great Basin)에는 네바다, 유타 서부, 캘리포니아 남동부, 오레곤 남동부가 포함된다. 이 지역의 모든 강들은 안쪽으로 물이 배수된다. 그레이트 베이슨에서는 물이 흘러나가지 않는다.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Great Salt Lake)는 유입과 증발이 균형을 이루어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그레이트 베이슨 내에 있는 많은 작은 호수들은 말라 있다. 그 유역의 수직범위는 해수면 아래 86m인 데스 밸리(Death Valley)에서부터, 해수면 위 약 1,200m에 이르는 유역까지이다. 3,000m가 훌쩍 넘는 많은 높은 산들이 낮은 지역과 구분된다. 캘리포니아의 시에라 네바다 산맥이 바다로부터의 습한 서풍을 차단하기 때문에, 그레이트 베이슨은 여름에 습기가 있는 반건조 지역이다. 데스 벨리는 여름 평균 기온이 최고 44°C의 기록을 갖고 있으며, 연간 60mm의 비만 내린다. 실제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뜨거운 기온인 56.7°C의 기록을 데스 벨리는 갖고 있다.[14]

그레이트 베이슨이 한때 물이 풍부하고 신록이 우거졌다는 증거들은 풍부하다. 호수의 해안선은 산이나 언덕의 측면에 높이 새겨져 있다. 해안선 중 일부는 날카롭고 드러나게 침식되어 있어서,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호수가 존재했음을 나타낸다. 빙하기 후반, 그레이트 베이슨은 120개의 호수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일부는 상당히 컸다(그림 3.12).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는 현재 크기의 약 6배였고, 깊이가 240m 더 깊었다.[15] 보네빌 호수(Lake Bonneville)라고 불렸던 이 호수는 미시간 호와 비슷한 크기였다. 고대 보네빌 호수의 해안선은 주변 언덕을 따라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네바다 북서부의 라호탄 호수(Lahontan Lake)는 시에라 네바다 산맥의 동쪽에 일련의 상호 연결된 계곡으로 이어져 있었다. 그것은 이리 호수(Lake Erie)와 같은 크기였다. 피라미드 호수, 워커 호수(Walker Lake) 및 여러 다른 염호들은 모두 한때 거대한 라호탄 호수에 들어 있었다. 데스 밸리의 측면을 따라 눈에 띄는 경계는, 한때는 맨리 호수(Lake Manly)라고 불리는 약 180m 깊이의 호수를 보유했던 매우 뜨거운 분지였음을 나타낸다.[16] 캘리포니아 남동부에 있는 여러 호수들은 빙하기에 데스 밸리로 흘러들었다. 빙하기 동안에는 기후가 훨씬 더 시원하고, 더 습했던 것이 분명하다.

그림 3.12. 빙하기 동안 미국 남서부에 있었던 호수들.

두 번째 예는 사하라 사막이다. 지질학자들은 사하라 사막에서 코끼리, 기린, 버팔로, 영양, 코뿔소 및 다른 동물의 화석들이 발견되는 것에 놀라고 있다. 오늘날 이런 종류의 동물 다양성은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볼 수 있다. 다양한 양서류, 하마, 악어, 물고기, 대합조개, 다른 수생생물 화석들은 그 사막이 한때 습한 환경이었던 것임을 증명한다.[17] 난쟁이악어(dwarf crocodile)는 20세기까지 살아남았으며, 사하라 서부 고지대의 여러 와디를 따라 고립되었던 호수 또는 웅덩이에서 살았었다.[18]

얕은 모래를 관통할 수 있는 레이더를 가진 위성[19]으로부터, 사하라 동부의 오래된 배수망(drainage network)이 관측되었다. 이 배수망은 대형 담수호와 나일강 계곡 크기의 여러 수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오늘날, 사하라 사막 동부는 단지 30년에서 50년마다 한 번 정도 모든 지역에 비가 내린다! 사하라[20]와 중동의 다른 지역에서도 대형 배수망이 발견되었다.

한때 사람들은 동물과 함께 사하라 사막에 살았었다. 그들은 수많은 석기 도구, 도기류, 바위에 새겨진 동물의 그림 등을 남겼다.[21] 심지어 탐험가들은 낚싯대와 작살도 발견했다![22] 이 예술품 중 일부는 장관이다(그림 3.13). 사하라 탐험가인 제임스 웰라드(James Wellard)[23]는 암석 작품에 대해 이렇게 기술하고 있었다:

사하라 사막은 선사시대 회화의 진정한 미술 갤러리이다. ... 그 증거는 사하라 사막이 선사시대 세상에서 인구밀집 지역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사막 중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구석진 곳에는 문자 그대로 수천 마리의 열대어와 수생 동물, 거대한 소떼, 활과 부메랑으로 무장한 사냥꾼, 심지어는 여성과 어린이가 그들이 함께 살았던 오두막집과 함께 있는 '가정”의 모습들이 그려져 있다.


그림 3.13. 사하라의 빙하시대 작품(사진: Corbis)

습한 사하라와 최근에 사막 지역이 되어버린 모든 호수들은 빙하기를 둘러싼 또 다른 많은 기후 미스터리들 중 하나이다. 과학자들은 과거 사막 지역에 풍부한 강우가 있었던 이 ”다우기(多雨期)”가 빙하기 사이의 따뜻한 기간인 간빙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 그러한 ”간빙기”에 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우리가 간빙기에 있다면, 지금의 사막은 왜 건조할까? 다우기는 현재 사람들이 생각하는 시기가 아니라, 더 시원하고 더 습한 빙하기 동안에 발생했다는 설명이 더 합리적이다. 어쨌든, 이 ”습한” 사막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온대동물과 한대동물이 공존했던 수수께끼

빙하기 화석은 종종 공존했을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던 이상한 조합의 동물들을 보여준다. 추위에 적응된 동물의 화석이 예상보다 훨씬 더 남쪽에서 발견된다. 따뜻한 것을 좋아하는 동물들은 오늘날 그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가는 지역보다 훨씬 더 북쪽에서 화석으로 발견된다. 그러나 그들은 분명히 빙하기 환경에서 번창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독특한 동물의 조합에 특별한 이름이 붙어있다 – ”부조화의 조합(disharmonious associations)”.

이들 부조화의 조합은 예외가 아니라, 규칙이 되고 있다. 추운 날씨를 잘 견디는 동물과 더운 날씨를 잘 견디는 동물의 혼합은 시베리아, 알래스카, 유콘 준주를 포함하여 북반구 전체에 걸쳐[24] 발견된다.[25] 부조화의 조합은 남반구에서도 발견된다.[26]

부조화의 조합은 대형 포유류뿐만 아니라, 작은 포유류, 식물, 곤충, 새, 양서류, 파충류에도 적용된다! 그라함(Graham)과 룬델리우스(Lundelius)는 이렇게 말한다[27]:

홍적세 후기의 사회는 오늘날 이소(異所)성의(기후와 연관되지 않은) 생물 종들이, 그리고 아마도 생태학적으로 조화성이 없는 생물 종들이 공존했던 것이 특징이다... 이런 부조화의 조합은 홍적세 후기(빙하기)의 생물상... 육지 무척추동물... 하등한 척추동물... 새들... 그리고 포유류에서도 나타난다.

가장 특별한 사례 중 하나는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하마(hippopotamus)의 화석이 순록(reindeer), 사향소(musk oxen), 털북숭이 매머드 등의 화석과 함께 존재한다는 사실이다.[28] 서트클리프(Sutcliffe)는 이렇게 말했다[29]:

(현재는 적도 지역에 사는) 하마가 살기 좋은 환경을 찾아가다보니까, 영국과 웨일즈의 대부분 지역을 가로질러, 현재는 황무지인 요크셔 광야에까지 퍼지게 되었다.

게다가, 하마 화석은 희귀한 것이 아니라,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마 화석은 영국과 웨일즈 지방의 약 100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30]

북아메리카에서도 대부분의 홍적세 말기의 동물군과 식물상은 부조화의 조합을 보여준다.[31] 순록은 알라바마와 그루지아처럼 먼 남쪽의 따뜻함을 좋아하는 동물들과 섞여있었다. 온화한 기후를 선호하는 오소리, 검은 발의 흰 족제비, 땅 나무늘보, 낙타, 거대한 비버 등은 털북숭이 매머드 및 추위를 견디는 다른 동물들과 섞여서, 알래스카에서 훨씬 더 먼 북쪽에서까지 발견된다.[32]

부조화의 조합은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켜왔다.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제 빙하기의 부조화의 조합이 사실임을 인정하고 있다.[33] 이것이 딜레마인 이유는 빙하기의 기후가 현재의 기후보다 훨씬 추웠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빙하기의 화석에서 얻은 증거들은 온화했던 겨울과 시원했던 여름으로, 균등화된 기후를 의미한다. 케네스 콜(Kenneth Cole)[34]이 매우 추운 빙하기(very cold Ice Age)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했을 때 실감했듯이, 관측된 화석 증거로부터 추론한 기후는 당혹스러웠다:

고생물학자들은 과거의 기후가 균등했다고 종종 결론을 내리기는 하지만, 기후순환 모델을 사용하여 대륙 내부에 균등한 기후를 만들어내는 것은 어렵다.

빙하기 동안의 부조화의 조합에 대한 설명은 150년이 넘는 논쟁을 불러왔다. 콜[35]은 또 다음과 같이 말한다[35]:

고생물학적 해석에서 가장 오랫동안 진행되고 있는 철학적 논쟁 중 하나는, 과거의 사회가 지금과 전혀 닮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혼합 또는 부조화의 조합이다. 이러한 혼합된 조합은 우리의 세계관에 도전한다... 부조화의 조합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기후가 오늘날의 기후보다 훨씬 더 ”균등”했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사실, 이런 부조화의 조합은 빙하기 세계관의 본 줄거리에 도전하고 있다. 이런 수수께끼에 대해 어떤 가능한 해결책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빙하기 말의 대량 멸종

과학자들은 빙하기 동안에 동물 및 식물과 곤충들이 부조화의 조합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매우 어려워하고 있다. 그런데 거기에다가, 기후가 온난해지기 시작하고, 생물들이 살 수 있는 지역이 넓어지기 시작했던 빙하기 말기에, 혼합되어 살아가던 동물들이 대량 멸종과 함께 갑자기 끝나버린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빙하기 말에 시베리아에 살던 털북숭이 매머드들만 죽은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곳에서도 죽었다. 톨마초프(Tolmachoff)[36]는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사라진 문제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우리는 한때 변화무쌍한 물리지리학적 조건에서 넓은 지역에 걸쳐 명백히 매우 번성했던 많은 수의 동물들이 지질학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죽었다는 그 멸종에 대해 설명해야만 한다.

최근에 예상치 못했던 약간의 사건적 변화가 일어났다. 과학자들은 털북숭이 매머드가 빙하기의 거의 마지막에 멸종됐다고 믿었었는데, 시베리아 북쪽 북극해의 랑겔 섬에서 발견된 매머드 화석의 탄소-14 연대는 기원전 2000년 전으로 확인되었다.[37] 즉 털북숭이 매머드는 빙하기 말기를 넘어서, 비교적 최근까지 고립된 섬에 살아남았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탄소-14의 연대가 잘못되었거나, 또는 빙하기가 기원전 2000년(약 4,000년 전)에 끝났다는 것이다.

매머드 스텝지대의 다른 많은 동물들이 털북숭이 매머드와 함께 동시에 대륙 전체에서 멸종되거나 사라졌다. 북아메리카 하나에서만도 33개 속 135개 종의 대형 포유류들이 사라졌다.[38] 빙하기 말에 북아메리카에서 22개 속의 새들이 멸종했다.[39] 남아메리카와 호주를 포함한 다른 대륙들에서는 빙하기와 그 직후에 멸종 위기에 처했다. 전체 대륙에서 45kg 이상 되는 대형 포유류 167개 속이 사라졌다.[40]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과학자들은 왜 멸종이 일어났는지 모른다. 그리고 그 질문은 200년 이상 동안 그들을 괴롭혀왔다! 기후와 환경이 개선되고 있던 시점인, 빙하기 말에 대량 멸종이 일어난 이유는 오늘날까지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와드(Ward)[41]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거대한 멸종은 진정한 대량 멸종으로, 고생물학의 가장 근본적인 미스터리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1. Hobbs, H., Origin of the driftless area by subglacial drainage — A new hypothesi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337,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oulder, CO, p. 93–102, 1999.
2. Klassen, R.W., Late Wisconsinan and Holocene history of southwestern Saskatchewan,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1:1822–1837, 1994.
3. Thiede, J., and H.A. Bauch, The Late Quaternary history of northern Eurasia and the adjacent Arctic Ocean: An introduction to QUEEN, Boreas 28:3–5, 1999.
Thiede, J., and J. Mangerud, New map revises extent of last ice sheet over Barents and Kara Seas. Eos 80(42):493–494, 1999.
4. Rosqvist, G., Quaternary glaciations in Africa, Quaternary Science Reviews 9:281–297, 1990.
5. Crickmay, C.H., The hypothesis of unequal activity; in: Theories of landform development, W.N. Melhorn and R.C. Flemal (Eds.), George Allen & Unwin, London, p. 7, 1975.
6. Wright, G.F., The Ice Age in North America,Bibliotheca Sacra Co., Oberlin, OH, 1911.
7. Ibid., p. 569.
8. Pickard, J., Comments on 'Wastage of the Klutlan ice-cored moraines, Yukon Territory, Canada” by Driscoll (1980), Quaternary Research 22(2):259, 1984.
9. Williams, L.D., An energy balance model of potential glacierization of northern Canada, Arctic and Alpine Research 11:445–456, 1979.
10. Chorley, R.J., A.J. Dunn, and R.P. Beckinsale, The history of the study of landforms or the development of geomorphology — Volume one: Geomorphology before Davis, John Wiley & Sons, New York, p. 213, 232, 1964.
11. Watson, T., What causes ice ages? U.S. News & World Report 123(7):58–60, 1997.
12. Pendick, D., The dust ages, Earth 5(3):22, 1996.
13. Alt, D., Glacial Lake Missoula and its humongous floods, Mountain Press Publishing Company, Missoula, MT, p. 180, 2001.
14. Schmidli, R.J., Weather Extremes,NOAA Technical Memorandum NWS WR-28, U.S. Department of Commerce, Rockville, MD, p. 1, 1991.
15. Smith, G.I., and F.A. Street-Perrott, Pluvial lake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n: Late-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United States, H.E. Wright Jr.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 190–212, 1983.
16. Hooke, R.L., Lake Manly shorelines in the eastern Mojave Desert, California, Quaternary Research 52:328–336, 1999.
17. Pachur, H.J., and S. Kröpelin, Wadi Howar: Paleoclimatic evidence from an extinct river system in the southeastern Sahara, Science 237:298–300, 1987. Kröpelin, S., and I. Soulié-Märsche, Charophyte remains from Wadi Howar as evidence for deep Mid-Holocene freshwater lakes in the Eastern Sahara of Northwest Sudan, Quaternary Research 36:210–223, 1991.
18. Charlesworth, J.K., The Quaternary era, Edward Arnold, London, p. 1113, 1957. Shaw, B.D., Climate, environment and prehistory in the Sahara, World Archaeology 8(2):133–149, 1976.
19. McCauley, J.F., et al., Subsurface valleys and geoarcheology of the eastern Sahara revealed by shuttle radar, Science 218:1004–1020, 1982.
20. Chorowicz, J., and J. Fabre, Organiza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space imagery in the Tanezrouft plateau (Western Sahara): Implications for recent intracratonic deformations, Geomorphology 21:139–151, 1997.
21. Kröpelin, S., and I. Soulié-Märsche, Charophyte remains from Wadi Howar as evidence for deep Mid-Holocene freshwater lakes in the Eastern Sahara of Northwest Sudan, Quaternary Research 36:210–223, 1991. Coulson, D., Preserving Sahara’s prehistoric art, National Geographic 196(3):82–89, 1999.
22. Shaw, B.D., Climate, environment and prehistory in the Sahara, World Archaeology 8(2):142, 1976.
23. Wellard, J., The great Sahara, E.P. Dutton and Co., New York, p. 33–34, 1964.
24.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1887;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Stuart, A.J., Mammalian extinctions in the Late Pleistocene of northern Eurasia and North America, Review of Biology 66:453–562, 1991. Rensberger, J.M., and A.D. Barnosky, Short-term fluctuations in small mammals of the late Pleistocene from eastern Washington; in: Morphological change in Quaternary mammals of North America,R.A. Martin and A.D. Barnosk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Y, p. 330, 1993.
25. Guthrie, R.D.,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 An ecological theory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259, 1984. Graham, R.W., and E.L. Lundelius Jr., Coevolutionary disequilibrium and Pleistocene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237, 1984.
26. Graham, R.W., and E.L. Lundelius Jr., Coevolutionary disequilibrium and Pleistocene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238, 1984.
27. Ibid., p. 224.
28. Nilsson, T., The Pleistocene — Geology and life in the Quaternary ice age, D. Reidel Publishing Co., Boston, MA, p. 223–233, 1983. Sutcliffe, A.J., On the tracks of Ice Age mammal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p. 24, 1985.
29. Sutcliffe, A.J., On the tracks of Ice Age mammal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p. 120, 1985.
30. Stuart, A.J., Pleistocene vertebrates in the British Isles, Longman, London, p. 52, 1982.
31. Graham and Lundelius, Coevolutionary disequilibrium and Pleistocene extinctions, p. 236.
32. Guthrie, R.D., Late Pleistocene faunal revolution: A new perspective on the extinction debate; in: Megafauna and man — Discovery of America’s heartland, scientific papers, volume 1,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45, 1990. Stuart, A.J., Mammalian extinctions in the Late Pleistocene of northern Eurasia and North America, Review of Biology 66:523, 1991.
33. Alroy, J., Putting North America’s end-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 in context;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07, 1999.
34. Cole, K.L., Equable climates, mixed assemblages, and the regression fallacy;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and deep history: A tribute to Paul S. Martin, D.W. Steadman and J.I. Mead (Eds.),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133, 1995.
35. Ibid., p. 131.
36. 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65, 1929.
37. Vartanyan, S.L., V.E. Garutt, and A.V. Sher., Holocene dwarf mammoths from Wrangel Island in the Siberian Arctic, Nature 362:337–340, 1993. Lister, A.M., Mammoths in miniature, Nature 362:288–289, 1993. Long, A., A. Sher, and S. Vartanyan, Holocene mammoth dates, Nature 369:364, 1994.
38. Ward, P.D., The call of distant mammoths — Why the Ice Age mammoths disappeared, Springer-Verlag, New York, p. 141, 1997. Monastersky, R., The killing fields — What robbed the Americas of their most charismatic mammals? Science News 156:360, 1999.
39. Grayson, D.K., Pleistocene avifaunas and the overkill hypothesis, Science 195:691–693, 1977.
40. Martin, P.S., and D.W. Steadman, Prehistoric extinctions on islands and continents; in: Extinctions in near time —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D.E. MacPhee (Ed.), Kluwa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p. 17, 1999.
41. Ward, P.D., The call of distant mammoths — Why the Ice Age mammoths disappeared, Springer-Verlag, New York, p. 120, 1997.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nvironmental-science/ice-age/the-mystery-of-the-ice-age/

출처 - Frozen in Time

미디어위원회
2017-06-22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2장 

: 왜 시베리아에 살았을까? 

(Frozen in Time, Chapter 2. Why Live in Siberia?)

by Michael J. Oard, Ph.D.


      털북숭이 매머드의 죽음에 관한 이론을 탐구하기 전에, 몇 가지 예비 질문에 답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 수백만 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를, 겨울에는 혹독하게 춥고, 여름에는 매우 위험한 습지로 변하는, 그 먼 북쪽으로 이끌어갔는가? 그리고 그들이 거기 있는 동안 무엇을 먹고 살았는가?


시베리아의 겨울과 여름의 혹독한 환경

1970년대에 사향소(musk ox)가 시베리아 북부의 타이미르(Taimyr) 반도와 북극해에 위치한 랭글(Wrangel) 섬에서 다시 발견되었다.[1] 만약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을 클로닝(cloning, 복제)을 통해 되살릴 수 있다면, 그들은 시베리아에서 생존할 수 있을까? 일부 과학자들은 심지어 냉동된 매머드 사체의 세포들을 아시아 코끼리의 암컷에게 주입하여 잡종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한다.

시베리아의 겨울은 혹독한 추위로 잘 알려져 있다(아래의 그림 2.1을 보라). 시베리아의 겨울 평균 기온은 섭씨 영하 18도 이하이다. 하지만 겨울에 최저 기온은 영하 40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이 보통이다. 북반구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베르코얀스크(Verkhoyansk)에서 영하 68도였다.[2] 큰 포유류들이 상당한 추위를 견딜 수 있기는 하지만, 그들이 겨울의 혹독한 눈보라와 극심한 냉기를 견딜 수 있었을까? 시베리아의 이런 추운 기간은 1년에 거의 9개월 동안 지속된다.

흥미롭게도, 오늘날 시베리아에는 큰 포유류가 거의 살고 있지 않다. Vereshchagin과 Baryshnikov는 털북숭이 매머드에 관한 일부 러시아 과학자들의 의견을 이렇게 대변한다[3]:

”짙은 눈보라를 동반하는 매서운 바람이 부는 오늘날 유라시아의 북극 툰드라 지역에 매머드가 살아갈 수 있는 곳은 없을 것이다.”

주류 과학자들은 빙하기 동안에는 겨울 기온이 6~12℃ 정도 더 내려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있는데, 이는 생존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조건이 된다.

그림 2.1. 1월과 7월의 평균 기온 분포

반면에, 여름은 거의 종일 내리쬐는 햇빛 때문에 꽤 따뜻해 질 수 있다. Digby는 시베리아의 야쿠츠크(Yakutsk)에서 보낸 일주일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4] ”수은주는 밤에도 낮에도 결코 영상 27℃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어요! 동물들이 겨울에 살아남았다고 가정하면, 여름은 편안했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털북숭이 매머드가 따뜻한 봄과 여름 동안에 시베리아로 쉽게 이동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초목이 무성한 여름이 지난 후, 겨울이 오기 전 가을에, 그들은 다시 남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비록 몇몇 과학자들이 이 가능성에 의미를 둘지라도[5], 이 이론은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매머드는 겨울이 되기 전에 수천 마일을 이주해야만 하므로, 이로 인해 매머드는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했을 것이다.[6] 매머드는 다리가 무거워서 다른 포유동물들보다 걷는데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호워스(Howorth)는 시베리아 북동부에 있는 어떤 동물이라도 추운 겨울을 피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7] 그들 경로의 바로 남쪽에는 북태평양이 있기 때문에, 매머드들이 남쪽으로 가기 위해서는 서쪽으로 몇 천 마일을 더 멀리 여행하며 내려가야 했다. 이주 이론의 또 다른 문제점은, 봄에 시베리아 북부로 다시 돌아온다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베리아 남부나 더 남쪽에서 적절한 식량 공급이 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8] 따라서 북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마지막 문제점으로 매머드는 임신 기간이 22개월 정도 되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연간 이주는 상당히 위험한 도전이 될 수 있다. 매머드 전문가인 게리 헤인즈(Gary Haynes)는 이런 거대한 이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9] :

매머드는 순록이 여행하듯이 거의 일 년이 걸리는 왕복여행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장비목의 동물(코가 긴 동물)은 식량 공급 요구량이 너무 많아 지속적인 여행을 할 수 없으며, 무리의 더 작은 멤버들, 특히 12세 이하의 젖을 뗀 새끼들의 경우, 나이든 성체들과 같은 속도로 여행을 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매머드의 임신 기간이 적어도 22개월이나 되고, 임신한 암컷들은 임신 기간 동안 두 번이나 연간 이주를 했어야 했다. 이러한 연간 이주는 그들 자신과 자궁 내 태아에게 견딜 수 없는 부담을 지우게 된다.

그림 2.2. 북반구의 영구동토층 지도 (영구동토층은 일반적으로 연평균 기온이 -6 ~ -8℃인 등온선의 북쪽에 위치한다.)

여름 이주가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또 다른 압도적인 이유가 있다. 그것은 여름에 생겨나는 늪지이다. 여름 늪지가 있는 기간 동안 여행하는 것은 매머드에게는 치명적이었을 것이다. 시베리아는 현재 100m 이상 깊이의 흙이 영구히 얼어 있는 영구동토층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매 여름마다 상부의 약 0.5m 정도가 녹는다. 그 아래의 땅은 계속 얼어붙어있다. 지표층에서 녹은 물은 거대한 습지대와 물이끼가 있는 소택지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여름 여행은 사람과 짐승 모두에게 힘든 일이 된다.[10] Pfizenmayer는 그의 팀이 여름 동안 베레소프카(Beresovka) 매머드가 있는 곳까지 시베리아를 횡단 여행하는 데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고 보고하고 있다.[11] 그의 팀은 한 겨울 중반이 되어서야 매머드를 끌어낼 수 있었다. 그는 끈적거리는 습지의 진흙은 많은 동물 떼들을 죽였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Tolmachoff는 이 끈적끈적한 진흙이 5cm 정도만 있어도, 사람들이 툰드라 지대를 통행할 수 없었을 것이고, 30cm 혹은 그 이상의 진흙 수렁은 매머드를 가두기까지 했을 것이라고 말한다.[12] 특히 털북숭이 매머드는 기둥 모양의 다리 구조와 뻣뻣한 다리 운동으로 인해 늪 같은 지반을 헤쳐 나가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13] 또한 최대 보폭 길이를 약간 초과하는 어떠한 도랑도 통과하지 못했을 것이다. Vereshchagin는 분명하게 선언한다[14] : ”매머드와 들소는 오늘날 시베리아와 같은 툰드라 지역에서 살 수 없었을 것이다.”

사향 소, 순록(caribou), 무스(moose, 큰 사슴) 같은 대형 포유류들은 오늘날 고위도의 북극 지방에서 살아가면서 생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 초식동물들은 늪지대에 살기 적합하며, 오늘날 시베리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먹을 수 있다. 순록은 눈 속에서 냄새를 맡아 이끼를 찾아내서 먹는다. 그들은 더 심한 겨울이 오기 전에 남쪽으로 이주한다. 그들의 발굽은 눈과 늪지에서 걷기에 적합하다. 무스는 긴 다리를 가지고 있어서 비교적 깊은 눈이나 습지를 건널 수 있다. 이들 초식동물들은 바깥쪽으로 벌어진 발굽을 가지고 있어서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습지를 쉽게 헤쳐 나갈 수 있다.[15] 그들의 장점과 상관없이, 시베리아 겨울은 여전히 이 포유류들에게 고통스럽다 : ”북부 유제류(ungulates, 발굽이 있는 동물)는 겨울 동안 체중과 몸 상태가 서서히 감소한다.”[16] 매머드들과 많은 다른 종류의 포유동물들은 시베리아의 여름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그렇다면 시베리아에서 수백 만 마리의 매머드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풍요 가운데 굶어 죽다?

빙하기의 포유동물들이 추운 겨울과 늪지대가 있는 여름 동안에 살아남았다할지라도, 그들은 여전히 식량을 찾아야 했을 것이다. 시베리아의 여름에는 풍부한 식물들이 있다. 몇몇 과학자들은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이 이런 풍부한 식물들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믿고 있다. 파랜드(Farrand)는 다음과 같이 낙관적으로 얘기하고 있다[17] :

”고위도의 북극지역에 가본 적이 없는 사람들은 초목, 꽃, 관목 및 난쟁이나무 등 비교적 울창한 초목에 대한 개념을 거의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하루 24시간 계속해서 햇빛이 비치는 놀라운 광경 역시 상상하지 못하겠죠!”

파랜드의 논리에는 한 가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수백만 마리의 포유류들이 풀과 작은 관목들을 먹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시베리아 초목은 주로 늪지 식물과 소택지 식물들이다. 현재의 식물들에는 이 거대한 동물들의 건강에 필요한 영양분이 부족하다.[18] 현재 툰드라의 남쪽에 있는 타이가(taiga) 숲 식물들 또한 이러한 동물들을 위한 영양분을 공급하기에 불충분하다.[19] 타이가 식물을 포함하여 오늘날 시베리아에서 자라는 가문비나무, 소형의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나무껍질에는 포유류에게 유독한 독소가 많이 들어 있다.[20] 동물들은 이러한 빈약한 영양 공급 속에서 생존할 수 없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식량 부족을 ”생산성 역설(the productivity paradox)”이라고 명명했다.[21] 다시 말해, 오늘날 시베리아에는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을 위한 식량은 거의 없다! 작은 초원지대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곳에 사는 모든 동물들에게, 특히 몸집이 큰 포유동물들을 위한 식량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털북숭이 매머드와 그들의 동료들은 외관상 풍요로운 식물이 있는 가운데 굶어 죽었을 것이다.

매머드의 식사량과 음수량을 이해한다면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털북숭이 매머드는 그들과 크기가 매우 비슷한 현대의 코끼리와 비교될 수 있다. 거대한 털북숭이 매머드는 하루에 180~300kg의 즙이 많은 음식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22] 시베리아에서 이러한 많은 량의 먹이를 어디에서 구했을까?

또한 털북숭이 매머드는 매일 140~200리터의 물을 마셔야 했을 것이다.[23] 겨울 동안에 시베리아의 거의 모든 물은 얼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 매머드가 절벽에서 고드름을 깨기 위해 어금니를 사용하거나, 물을 얻기 위해 눈을 먹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24] 그러나 눈이나 얼음을 먹는 것은 물을 얻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그것은 몸을 춥게 만든다. 만약 그랬다면, 겨울 동안 매머드에 의해 소모된 에너지의 절반은 그들의 위장 속의 눈을 녹이고 위장을 따뜻하게 하는데 사용되었을 것이다.[25] 또한 시베리아의 평원에는 고드름 달린 절벽이 많지 않다.


기후 수수께끼

이제 분명해 보이는 것은 털북숭이 매머드가 살았을 당시, 시베리아의 기후와 환경은 지금보다 훨씬 더 따뜻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그들은 빙하기에 살았다. 빙하기 기후에 대한 컴퓨터 모델은 질적으로 다양하지만, 결과는 일관성이 있다: 즉, 시베리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추웠어야 했다. Arkhipov는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26] : ”빙하기와 아빙기(glacial and stadial stages)에 시베리아의 기후는 현재보다 훨씬 추웠을 것이다.” 아빙기는 빙하기의 가장 추운 기간이다. Manabe와 Broccoli는 그들의 빙하기 기후 모델을 사용하여, 현재의 시베리아 겨울보다 12℃ 더 추웠을 것으로 계산했다.[27]

많은 빙하기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심지어 시베리아에 빙상(ice sheet)을 만들기도 한다. 좋은 예는 Dong과 Valdes의 시뮬레이션이다.[28] 더욱 흥미로운 일반적 순환 모델들 중 하나는 처음 무에서부터 빙상이 만들어지는 것을 시도한 시뮬레이션이었다. 지구일조량을 6%까지 줄임으로써 빙상의 성장을 유도했다. 역설적인 것은 이 시뮬레이션 결과, 알래스카, 시베리아의 일부 지역 및 서부 캐나다에 영구적인 적설을 만들었지만, 실제로 빙상이 발달됐던 지역에는 눈이 거의 덮이지 않았다. 빙하기 동안에 얼음이 형성됐던 지역과 정반대가 된 것이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빙하형성을 만들었지만, 마지막 빙하기에 실제 빙하가 존재했던 지역 외곽에 형성되었다.”[29]

이러한 컴퓨터 시뮬레이션들은 시베리아에 빙하가 얼마나 쉽게 형성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어떤 점에서는 매우 잘못된 것이다. 시베리아가 빙하로 뒤덮였을 때, 털북숭이 매머드가 어떻게 시베리아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빙하 암설(glacial debris)은 시베리아, 알래스카 및 유콘의 산들만이 실제로 빙하로 덮여 있었음을 나타낸다. 매머드 뼈들이 발견된 저지대는 결코 빙하가 없었다! 그것은 빙하기에 동물들이 이 지역에서 어떻게 살 수 있었는지를 설명해 준다. 그런데 왜 이 저지대는 빙하가 형성되지 않았을까?

그림 2.3. 빙하기 동안 시베리아, 알래스카 및 유콘의 빙하 및 비빙하 지역. 얕은 대륙붕은 330 피트(100m)의 등심선으로 표시했다.

자기들의 모델을 정당화하기를 열망하는 일부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더 추운 빙하기 기후가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시베리아에서 살 수 있도록 도왔을 것이라고 말한다. 더 추운 기온으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덜 녹았을 것이고, 이로 인해 툰드라와 타이가 지역이 여름에 습지가 훨씬 적게 형성됐을 것이라는 것이다. 만약에 그곳이 얼은 상태로 유지됐었다면, 이 상황은 확실히 매머드가 늪지대를 헤쳐 나가기 쉽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더 추운 기후로 인해 생장 기간이 짧아져서, 식량과 물은 많이 부족한 상태가 됐을 것이다. 게다가 일부 동물들은 혹독했던 빙하기보다, 훨씬 덜 추운 오늘날의 추위에서도 견디기 힘들어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모든 동물들이 그렇게 추운 빙하기 동안에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그러한 추운 기후에서는 먹을 수 있는 식용 식물이 많이 자라지 않는다. 더 추운 빙하기의 기온은 생산성 역설을 악화시킨다. Charles Schweger는 이 문제를 이렇게 설명한다[30] :

아마도 일차 생산성이 여전히 낮았던 시기에 북쪽의 빙하 가장자리(빙하 근처)에 더 크고 더 다양한 유제류가 과거에 존재했었다는 것은 역설적이다. 지나치게 단순화해서 질문을 한다면, 빙하기 때 베링기아(Beringia) 지역의 겉보기에 살아가기 불가능한 조건 하에서, 어떻게 매머드들이 살아갈 수 있었을까? (베링기아는 동시베리아, 알래스카 및 유콘 지역이다.)

그 곳에 살았던 동물들을 살펴볼 때, 기후의 역설은 더 악화된다. 물론 죽은 뼈는 말할 수 없지만, 동물들은 그들이 살았던 환경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포유동물들이 살았었다는 것과, 그들의 생태학적 요구 사항들은 오늘날의 혹독한 시베리아 환경과는 매우 차이가 나며, 빙하기 기후 시뮬레이션과도 많은 차이가 난다. 빙하기 동안의 시베리아 환경은 동아프리카 세렝게티(Serengeti) 평원의 환경과 비교할만하다![31]

실제적으로 이 모든 대형 포유류들은 다양한 초본식물, 즉 주로 목초를 먹는 초식동물이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우리는 시베리아의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추론의 기초는 다음과 같다. (1)생존한 포유동물의 먹이 선호도. (2)매머드는 코끼리와 유사하다. (3)냉동 사체의 위 내용물에 풍부한 풀이 들어있었다. (4)미국 남서부의 동굴에 매머드의 배설물이 보존되어 있다.[32]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빙하기 동안에 시베리아가 거대한 목초지였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내가 털북숭이 매머드 시대의 시베리아 환경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데일 거스리(Dale Guthrie)는 시베리아를 매머드 스텝지대(mammoth steppe)라고 부르고 있다. 스텝지대란 풀이 무성하고, 나무가 거의 없는, 반 건조 초원이다. 오늘날 세계에는 두 개의 주요한 스텝지대가 있다: (1)미국 로키산맥의 동쪽에 있는 고원지대. (2) 중앙아시아 산맥의 북쪽 경사면.

몇몇 작은 포유류들은 거스리의 매머드 스텝지대 이론을 특히 더 강화시켜주고 있다. 오소리와 흰족제비(badgers and ferrets)의 뼈를 포함하여 작은 포유류의 뼈들이 발견되었다. 그들은 오늘날 짧은 풀이 있는 평원에서 살아가고 있는데, 북아메리카 중부인 로키산맥 동쪽의 고원 평야와 같은 곳에서 살고 있다.[33] 이 동물들은 꽤 깊은 곳까지 굴을 파고 살기 때문에, 영구동토층이 있는 곳에서는 거의 살아갈 수 없다. 또한 땅다람쥐(ground squirrels)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북극지역에 초원(grassland)이 넓게 분포했음을 가리킨다. 이들 땅다람쥐는 개방된 공간에서 살아가며, 에너지가 풍부한 씨앗과 단백질이 풍부한 초본을 필요로 한다.[34]

이 많은 동물 집단들이 계속 유지되려면, 그 초원에는 다른 초원들과 비슷하게 다양한 식물들이 풍부하게 있어야만 한다. 거스리는 식물 역시 매우 다양했다는 논리적인 결론을 내렸다.[35] 그 다양성은 오늘날의 식물에 없는 다양성이었다.[36] 키 큰 관목과 나무들의 작은 군락들이 이 거대한 초원지대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이것들이 영구동토층에 보존되어 발견되고 잇는 것이다.[37]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거스리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및 유콘 뿐만 아니라, 유럽과 러시아 서부가 하나의 거대한 초원이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매머드 스텝지대는 북반구의 비빙하 지역의 대부분을 뒤덮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다양한 식물들이 있는 초원지대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토양은 매우 비옥했음이 틀림없다.[38] 시베리아 포유동물의 뼈에 피카(pica)라고 불리는 씹은 표시(chew marks)가 없는 것을 볼 때, 거기에 풍부한 양분을 가진 비옥한 토양이 존재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39] 오늘날 많은 환경에서 흙이 충분한 양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작은 동물들은 그들의 음식에서 충분한 미네랄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부족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 죽은 동물의 뼈를 씹는다.

포유동물의 성장 패턴, 또한 비옥한 초지를 암시한다.[40] 당시의 대부분의 포유류들은 잘 성장한 자이언트들로 기술되어 왔다. 말, 털북숭이 코뿔소, 털북숭이 매머드는 먼 남쪽의 동물보다 작았지만, 다른 모든 동물들은 오늘날의 동물보다 훨씬 컸다. 게다가, 많은 동물들이 가진 덥수룩한 목 털, 무거운 뿔, 긴 어금니, 거대한 뿔 등을 볼 때, 경쟁이 거의 없었고, 성장기가 길었고, 양질의 서식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1] 토양 영양분은 특히 동물의 크기와 사회공동체의 크기에 영향을 끼친다.[42] 베르그만(Bergmann)의 법칙은 기후가 더 추울수록 동물이 더 크다고 말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베르그의 법칙에 강력히 반대하며, 동물의 크기는 성장기 동안의 먹이의 질에 비례한다고 주장한다.[43] 거스리는 알래스카의 돌산양(dall sheep, 북미 북서부 산악지방의 털이 횐 야생 양)에 대한 실험을 통해, 동물의 크기와 먹이와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먹이가 많을수록 더 크게 자랐다.[44]

그림 2.4. 사이가산양(saiga antelope)의 분포: 현재(실선), 역사적(점선), 빙하기 동안(점).

이렇게 다양한 초본 식물을 유지하려면, 따뜻한 토양과 봄의 빠른 성장으로 길게 자라나는 계절이 필요하다.[45] 이러한 기후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북부 시베리아에서 녹색의 새싹조차 찾을 수 없는 현재의 환경과는 크게 다르다.[46] 스텝기후는 초원 유지에 필요한 기후의 일종인 비가 많은 봄, 건조한 늦여름과 초가을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매머드 시대의 시베리아에도 이와 비슷한 강수량 패턴을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초지 생물량(grass biomass)의 90%는 지표 아래의 뿌리에 있다. 눈이 녹고 토양이 따뜻해질 때까지, 식물은 신선한 싹을 발아시킬 수 없다. 스텝 환경은 토양 수분 함량이 적고, 겨울 강설량이 적은 특징을 갖고 있다.[47] 이것은 겨울에 강설량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일찍 녹았음을 의미한다. 온화하고 비교적 건조한 겨울은 봄을 재촉한다.

사이가영양, 큰뿔양, 돌산양, 늑대와 같이, 많은 눈을 견딜 수 없는 여러 동물들의 존재는 겨울 강설량이 적었음을 추정하게 한다.[48] 들소는 머리와 뿔로 눈을 긁어내는데 아주 효율적이지만, 눈이 60cm를 넘으면 음식을 충분히 얻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영구동토층에서 많은 들소(bison) 유해들이 발견되는 중앙 알래스카 지역에는 눈이 보통 90cm 이상 쌓인다. 들소는 바람이 부는 일부 작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알래스카 중부에 살 수 없다.[49]

요약하면, 시베리아 동물들의 생태학은 비옥한 토양을 가진 훨씬 더 다양한 식물들이 있었음을 추정하게 한다. 또한 이것은 적은 강설량과 긴 성장 시기를 가진 비교적 온화한 겨울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들은 오늘날의 환경과 기후와는 매우 현저하게 달랐으며, 이것은 동일과정설에 기초한 빙하기 기후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1. Stuart, A.J., Mammalian extinctions in the Late Pleistocene of northern Eurasia and North America, Review of Biology 66:508, 1991.
2. Knystautas, A., The natural history of the USSR, McGraw-Hill, New York, p. 27, 1987.
3. Vereshchagin, N.K., and G.F. Baryshnikov, Quaternary mammalian extinctions in Northern Eurasia;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AZ, p. 492, 1984.
4.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195, 1926.
5. Soffer, O., The upper paleolithic of the Central Russian Plain, Academic Press, New York, 1985.
6.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246, 1990.
7.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62–63, 1887.
8. Haynes, G.,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Y, p. 97, 1991.
9. Haynes, G., The mountains that fell down: Life and death of heartland mammoths; in: Megafauna and man— Discovery of America’s heartland, L. Agenbroad, J.I. Mead, and L.W. Nelson (Eds.),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scientific papers, vol. 1, p. 25–26, 1990.
10. Digby, Mammoth and mammoth-hunting, p. 15–16. Vereshchagin and Baryshnikov, Quaternary mammalian extinctions, p. 492.
11. Pfizenmayer, E.W., 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
12. 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57, 1929.
13. Farrand, W.R., Frozen mammoths and modern geology, Science 133:734, 1961.
14. Vereshchagin, N.K., The mammoth 'cemeteries” of north-east Siberia, Polar Record 17(106):12, 1974.
15. Guthrie, R.D., Mammals of the mammoth steppe as paleoenvironmental indicators;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310, 1982.
16. Ibid., p. 320.
17. Farrand, W.R., Frozen mammoths, Science 137:451, 1962.
18. Chapin, III, F.S., G.R. Shaver, A.E. Giblin, K.J. Nadelhoffer, and J.A. Laundre, Responses of Arctic tundra to experimental and observed changes in climate, Ecology 76(3):694, 1995.
19. Sher, A.V., Late-Quaternary extinction of large mammals in northern Eurasia: A new look at the Siberian contribution; in: Past and futur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e spati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of terrestrial biota, B. Huntley, W. Cramer, A.V. Morgan, H.C. Prentice, and J.R.M. Allen (Eds.), Springer, New York,
p. 322, 1997.
20. Guthrie, R.D., and M.L. Guthrie, On the mammoth’s dusty trail, Natural History 99(7):40, 1990.
21. Hopkins, D.M.,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Paleoecology of Beringia,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22. Vereshchagin, N.K., and G.F. Baryshnikov, Paleoecology of the mammoth fauna in the Eurasian Arctic;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269, 1982.
23. Webb, S.D., A brief history of new world Proboscidea with emphasis on their adaptations and interactions with man; in: Proboscidean and paleoindian interactions, J.W. Fox, C.B. Smith, and K.T. Wilkins (Eds.), Baylor University Press, Waco, TX, p. 27, 1992.
24. Digby, Mammoth and mammoth-hunting, p. 52. Vereshchagin and Baryshnikov, Quaternary mammalian extinctions, p. 490.
25. Olivier, R.C.D., Ecology and behavior of living elephants: Bases for assumptions concerning the extinct woolly mammoths;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303, 1982.
26. Arkhipov, S.A., Environment and climate of Sartan maximum and late glacial in Siberia; in: Late glacial and postglacial environmental changes — Quaternary, Carboniferous-Permian, and Proterozoic, I.P. Martini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54, 1997.
27. Manabe, S., and A.J. Broccoli, The influence of continental ice sheets on the climate of an ice ag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C2):2167–2190, 1985.
28. Dong, B., and P.J. Valdes, Sensitivity studies of Northern Hemisphere glaciation using an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Climate 8:2471–2496, 1995.
29. Phillips, P.J., and I.M. Held, The response to orbital perturbations in an atmospheric model coupled to a slab ocean, Journal of Climate 7:780, 1994.
30. Schweger, C.E., Primary production and the Pleistocene ungulates — The productivity paradox;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 219, 1982.
31. Guthrie, Mammals, p. 313. Bocherens, H., G. Pacaud, P.A. Lazarev, and A. Mariotti, Stable isotope abundances (13C, 15N) in collagen and soft tissues from Pleistocene mammals from Yakutia: Implications for the palaeobiology of the mammoth steppe,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26:31, 1996.
32. Guthrie, Mammals, p. 307–326. Guthrie, Frozen fauna. Haynes,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p.59.
33. Guthrie, Frozen fauna, p. 248–249. Pielou, E.C., After the Ice Age — The return of life to glaciated North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51, 1991.
34. Guthrie, Mammals, p. 311.
35. Guthrie, Mammals, p. 315.
36. Wright Jr., H.E., and C.W. Barnosky, Introduction to the English edition;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Soviet Union, A.A. Velichko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 xiii–xxii, 1984. Guthrie, R.D.,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 An ecological theory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in: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S. Martin and R.G. Klein (Ed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scon, AZ, p. 259–297, 1984.
37. Tolmachoff, Carcasses, p. 47. Kaplina, T.N., and A.V. Lozhkin, Age and history of accumulation of the 'ice complex” of the maritime lowlands of Yakutia;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Soviet Union, A.A. Velichko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 147, 1984. Anderson, P.M., Late Quaternary vegetational change in the Kotzebue Sound area, Northwestern Alaska, Quaternary Research 24:307–321, 1985. Sher, Late-Quaternary extinction, p. 322.
38. Guthrie,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p. 267.
39. Guthrie, Frozen fauna, p. 215–219.
40. Guthrie, Mammals, p. 307–326.
41. Guthrie, Mammals, p. 309.
42. Guthrie,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43. Geist, V., Bergmann’s rule is invalid, Canadian Journal of Zoology 65:1035–1038, 1987. Guthrie,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p. 269, 271.
44. Guthrie,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p. 271.
45. Guthrie, Mammals, p. 322–324.
46.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3, 1880.
47. Berman, D., S. Armbruster, A. Alfimov, and M. Edwards, Subarctic steppe communities in Beringia; in: Bridges of the science between North America and the Russian Far East, 45th Arctic science conference, section 2 — Beringia revisited: Recent discoveries and interpretations, p. 10, 1994.
48. Guthrie, Frozen fauna, p. 201.
49. Guthrie, Frozen fauna.


*Michael Oard의 책 'Frozen in Time” 원문.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asp
2. Why live in Siberia?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2.asp
3. The mystery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3.asp
4. A mammoth number of mammoth hypothes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4.asp
5. The extinction w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5.asp
6. The multiplication of ice age theorie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6.asp
7. The Genesis flood caused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7.asp
8. The snowblitz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8.asp
9. The peak of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9.asp
10. Catastrophic melting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0.asp
11. Only on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1.asp
12. Do ice cores show many tens of thousands of years?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2.asp
13. Where was man during the Ice Age?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13.asp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it/chapter2.asp

출처 - AiG

미디어위원회
2017-06-20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1장 

: 시베리아에 얼어붙은 매머드 사체들 

(Frozen in Time, Chapter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by Michael J. Oard, Ph.D.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냉동 매머드 사체는 수세기 동안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매머드의 사체에는 때로 피부, 머리카락, 심장을 포함하는 내장기관들이 남아있었다.[1]

이러한 발견에 대한 보고들은 이유는 다르지만 성인과 아이들에게 모두 흥미롭게 다가온다. 북극해 연안에 있는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의 한 섬은 대부분 매머드 뼈로 덮여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년 동안 수천 톤의 아이보리 상아가 시베리아에서 발굴되고 수출되면서, 수익성 있는 상아 무역이 발달했다. 과학자들은 왜 이 동물들이 시베리아에 살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죽었는지, 이해하려고 애쓴다. 아이들은 먹을 수 있을 만큼 신선한 고기가 붙어있는 상태로 냉동된 동물 사체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림 1.1

이러한 이상한 발견으로 많은 질문들이 생겨난다. 털북숭이 매머드, 들소, 털북숭이 코뿔소, 말은 왜 시베리아에 이끌렸을까? 오늘날 시베리아는 황량하고,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황량한 지역이다. 동물들은 극도로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일까? 그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짐승이 눈과 얼음 속에 고립되었을 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엄청난 양의 물을 어디에서 구할 수 있었을까? 겨울마다 강조차도 몇 피트의 얼음으로 덮여 있다. 모든 것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매머드와 그 동료들이 어떻게 한꺼번에 죽었으며, 어떻게 영구동토층에 갇혀 있을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망 당시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단서들이 발견되고 연구되었다. 과학자들은 일부 사체의 위장 내에 부분적으로 보존된 식물들을 발견했고, 털북숭이 매머드의 마지막 식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미스터리를 풀고 나면, 다른 미스터리를 만나게 된다.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얼어붙는 동안, 위장 내용물이 어떻게 해서 반만 부패된 채 남아있는지 궁금해 했다. 코끼리처럼 거대한 동물이 동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식물이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었다는 것은 빠른 동결을 의미하는 것이다. Birds Eye Frozen Foods Company는 계산을 해본 결과 –150℉(–100℃)라는 엄청나게 낮은 온도를 산출해냈다. 다시 한 번 과학자들은 의아해했다. 급속 냉동 이전의 지구 온도는 명백히 온난했을 텐데, 어떻게 그러한 낮은 온도에 도달할 수 있었을까?

많은 이론들이 가정되었다. 가장 인기 있는 이론 중 하나는 그 털북숭이 매머드가 풀과 목초지가 있는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다가, 갑자기 북극해에서 날아오는 거대하고 차가운 폭풍에 의해 수백만 마리가 즉시 얼어붙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빠른 동결은 관찰된 적이 없으므로, 일부 특별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언제나 한 가지 질문은 다른 질문들을 낳는 것과 같다. 이 이야기는 오토 헤르츠(Otto Herz)와 파이젠메이어(E. Pfizenmayer)가 이끌었던 영웅적인 탐사팀에 의해 발굴되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진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를 기반으로 한다. 이 탐사는 1901년 늦은 봄에 시작하여 1902년 2월 18일에 끝났다. 시베리아의 추운 가을과 겨울기간 동안 매머드 사체를 운반하기 위해 썰매로 6,000km를 여행해야 했다.[2]

우리는 이 책에서 이 질문들을 탐구하고, 빙하기를 바탕으로 또 다른 이론을 제시할 것이다. 이 빙하기는 시베리아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의 이주와 멸종에 관한 질문에 답을 준다. 빙하기의 원인은 여전히 주류 과학자들에게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래서 빙하기에 대한 이론을 성경에 기록된 창세기 홍수에 기초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림 1.2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


털북숭이 매머드는 정확하게 어떤 동물인가?

털북숭이 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는 본질적으로 커다란 어깨 혹, 경사진 등, 작은 귀와 꼬리, 독특한 이빨, 끝부분에서 두 개의 손가락 같은 돌출부를 갖는 작은 코 등을 갖고 있는, '털 많은 코끼리(hairy elephant)”이다. 그들은 보통 3.3m 길이의 나선형 커브의 어금니(tusks)를 갖고 있다. 세계 기록의 어금니는 길이가 4.11m이고, 아마도 무게는 약 100kg이다.[3] 털북숭이 매머드는 세 가지 유형의 털로 덮여있었다: (1)결이 거칠고 길이가 90cm가 넘는 바깥쪽 보호털, (2)다소 얇고 길이가 약 25~30cm인 솜털, (3)솜털 아래에 길이가 약 2~8cm인 두꺼운 모직 층.[4] 다 자란 매머드의 이빨은 다리 길이 보다 길며, 일련의 평행한 에나멜 능선이 있다. 아마도 긴 털, 작은 귀, 작은 꼬리는 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다.

그림 1.3 털북숭이 매머드의 두개골, 턱, 그리고 어금니.

털북숭이 매머드(woolly mammoth)는 매머드 속(genus Mammuthus)의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매머드 중 하나이다. 콜럼비아 매머드(Columbian mammoth)는 두 번째 유형이다. 콜럼비아 매머드는 섰을 때, 약 4m 높이로, 약 3m 정도인 털북숭이 매머드에 비해 더 컸다.[5] 둘 다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서 장비목(order Proboscidea)에 속해 있으며, 현대의 코끼리와 멸종된 코끼리가 여기에 포함된다. 코끼리와 매머드의 분류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부록 1 참조).

털북숭이 매머드는 콜럼비아 매머드보다 두꺼운 털을 갖는 등, 추운 날씨에 대해 몇 가지 독특한 적응 특성을 갖고 있다. 털북숭이 매머드는 추운 날씨 때문에 이러한 적응이 발달되었는가, 아니면 털북숭이 매머드가 항상 그런 특징을 갖고 있어서 그들에게는 북쪽으로 이주하는 것이 유리한 것이었을까? 나는 앞의 설명을 선호하지만,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추위에의 적응을 선호하는 이유는 그러한 적응이 오늘날 많은 포유류와 사람들의 유전자와 염색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겨울 온도에 적응하는 것은 피가 진해지는 것과 같은 우리 몸의 생리적 변화를 통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진화와는 아무런 관련 없이, 생물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유전자를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는 환경 신호에 의해 발동된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털북숭이 매머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믿는다. 추위가 휴면상태의 특정한 유전자를 발동시켜, 긴 털 및 추위에 적응된 형질을 만들어냈다.


시베리아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가 묻혀 있는가?

많은 사람들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매장되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것이 사실일 수 있을까, 아니면 큰 과장일까? 패런드(Farrand)는 죽어서 매장되어 있는 매머드들의 추정치를 줄여서 약 5만 마리로 보았다.[6] 시베리아와 같이 광활하고 거주 밀도가 낮은 영토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의 수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더군다나 죽어서 묻혀 있을만한 매머드의 숫자는 말할 것도 없다. 영구동토층에 얼마나 많은 사체가 남아있을 것인지 추정하는 것은 더 복잡한 문제이다.[7] 단지 매몰된 매머드가 얼마나 많은지가 시베리아 환경과 멸종에 관한 우리의 이론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1.4 북극해의 시베리아 및 근해에 대한 지도. 해발 고도가 표시되어 있다. 북서쪽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평원인 반면 남쪽과 동쪽에는 산맥이 있음을 주목하라.

매머드 뼈, 엄니, 사체의 수에 대해 언급할 때 연구자들은 흔히 발견된 뼈의 숫자가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발렌티나(Valentina Ukraintseva)는 수많은 잔존물을 바탕으로 시베리아의 매머드 개체가 정말 많았다고 말한다.[8] 페어뱅크 알래스카 대학의 데일 구스리(Dale Guthrie)는 수십만 마리의 포유류 뼈들이 알래스카 내륙의 강들을 따라 집중되어 있다고 추정했다.[9] 물론 한 동물도 많은 뼈를 가지고 있지만, 구스리의 추정치에는 아직 계곡의 퇴적물에서 씻겨나오지 않은 뼈나, 고지대에 묻혀있는 뼈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레나 드브로보(Irena Dubrovo)는 시베리아에 엄청난 수의 매머드들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10] 탐험가들은 항상 그 잔존물이 풍부하다고 보고했다.[11]

시베리아의 털복숭이 매머드에 대한 최고 전문가는 거의 반세기 동안 매머드 동물상을 연구해 온 니콜라이 베레시차긴(Nikolai Vereshchagin)이다. 그는 1940년 이래로 유라시아의 영구동토층에서 발견된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서 대략 1백만 개의 뼈 조각들을 식별하였다.[12] 그는 시베리아에 수많은 잔해들이 있는 것에 놀랍다고 말했다.[13] 시베리아에는 수십만 마리의 대형 포유류들과[14], 수백만 개의 뼈들이 묻혀있다.[15]

북극 해안의 침식은 해마다 1~7m로 다양하게 진행되어[16], 바다 절벽에서 엄청난 수의 털복숭이 매머드 뼈들이 쏟아져 내린다. Smithsonian 지에 실린 한 보고서에서, 스튜워트(Stewart)는 야나 강(Yana rivers)과 콜리마 강(Kolyma rivers) 사이의 북극 해안을 따라 있는 한 지역에 대해, 베레시차긴이 평가했던 부분을 언급하고 있었다[17] :

이러한 원인을 통해 1660년에서 1915년 사이에 시베리아에서 거의 50,000개의 매머드 어금니가 발견되어, 엄청난 양의 상아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아직도 묻혀있는 양에 비하면 비교가 되지 않는다. 베레시차긴에 따르면 북극 해안의 심한 침식은 해마다 수천 개의 어금니와 매몰된 수만 개의 뼈들을 매년 바다로 쏟아내고 있고, 야나 강과 콜리마 강 사이의 960km 연안에는 얕은 곳을 따라 50만 톤 이상의 매머드 어금니가 놓여있고, 연안 평지의 호수 바닥에도 또 다른 15만 톤이 놓여있다.

각 어금니의 무게를 45kg 정도로 계산하면, 합리적인 추산을 할 수 있는데[18], 그러면 베레시차긴이 언급한 어금니의 양은 500만 마리의 매머드가 이 지역에 묻혀 있음을 나타낸다. 그가 과장했던 것일까? 그가 과장을 했다면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이 지역에는 비옥한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Novosibirskye Ostrova)가 근해에 있기 때문에 매머드 잔존물의 밀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베레시차긴이 추정했던 서쪽 지역을 포함하는, 랍테프 해(Laptev Sea) 연안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매머드 묘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그림 1.5 북부 중앙 시베리아와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Novosibirskye Ostrova).

털북숭이 매머드의 개체 수는 북 시베리아에 더 많이 집중되어 있다.[20, 21] 매머드 잔존물은 본토에서 북쪽으로 230km 떨어진 라호프 제도(Lyakhov Islands)와[22], 뉴시베리안 제도에 놀라울 정도로 풍부하다.[23, 24] 뉴시베리안 제도 중 한 섬은 완전히 뼈로 이루어져 있다는 초기 보고서는 지나친 과장이다. 이 섬들에서 발견된 많은 뼈들은 시베리아 및 그 섬들과 함께 인접한 대륙붕이 한때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로 가득한 광대한 평원이었음을 나타낸다. 베레시차긴과 쿠즈미나(Kuz'mina)는 이렇게 말한다[25] :

(북극 대륙붕을 따라) 랍테프 해(Laptev Sea)와 동시베리아 해(East Siberian Seas)의 대륙붕에 있는 어떤 지역은 말, 순록(reindeer), 들소(bison), 사향소(musk ox), 조류에 밀려온 매머드 등의 뼈로 뒤덮여있다. 때때로 늑대(wolf), 갈색 곰(brown bear), 동굴 사자(cave lion), (드물게) 털북숭이 코뿔소(woolly rhinoceros), 큰 사슴(moose), 사이가산양(saiga antelope)의 뼈도 발견된다.

시베리아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다른 곳에서도 털북숭이 매머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빙하기 환경은 거대한 초원인 ‘매머드 스텝지대(mammoth steppe)’라고 불려왔다.

많은 보고서에 기초하여,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있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옳았다. 레이스트와 바흔(Leiste and Bahn)은 일부 과학자들이 시베리아의 깊은 얼음 속에 1천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에 주목했다.[26] 이것은 그들이 수수께끼 같은 추운 지역에서, 어떻게 충분한 양의 음식과 물을 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림 1.6 북반구에서 털북숭이 매머드 사체의 분포(Daniel Lewis가 유라시아를 함께 다시 그림).[27]

털북숭이의 매머드 화석은 시베리아에서 흔히 발견될 뿐만 아니라, 또한 북반구의 중위도 및 고위도의 굳지 않은 퇴적물에서도 발견된다. 때로는 그들 잔해들은 일부 지역의 대륙붕에서 준설 시에 파내지기도 했다. 매머드들은 빙하기와 관련되어 있지만, 이전에 빙하가 있던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매머드들은 주로 시베리아의 비빙하 지역(non-glaciated areas)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시베리아에서 베링 육교(Bering Land Bridge)를 경유하여, 알래스카와 유콘(Yukon)의 빙하가 없는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육지 다리는 빙하기 동안 거의 또는 전부 말라 있었다. 유콘에서 매머드들은 얼음이 없는 지역을 통해서, 서부 앨버타를 거쳐 미국 북부 전역을 통하여 남쪽으로 퍼져나갔다. 콜롬비아 매머드는 더 먼 남쪽, 즉 미국 남부, 멕시코, 중미에서도 발견된다.[28, 29] 전 세계에서 화석화된 털북숭이 매머드는 아마도 1천5백만 마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체에 대한 수수께끼

냉동 매머드 사체의 존재뿐만 아니라, 사체의 몇 가지 측면들은 매우 불가사의하다.

몇 개의 골격뿐만 아니라, 많은 사체들이 그냥 서있는 자세로 발견되었다. 동물이 늪지에서 가라앉은 것처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의 늪지는 그런 커다란 크기의 동물이 묻힐 정도로 깊지 않다. 또한, 사체를 둘러싼 퇴적물의 대부분은 늪지 퇴적물이 아니다.[30] 헨리 호워스(Henry Howort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31] :

매머드의 몸과 뼈대는, 그들이 선 자세로 마치 연약한 땅 속에 가라앉은 것처럼, 때때로 똑바로 선 채로 발견되었다는 브랜트(Brandt)의 보고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알란스카(Alansk) 근처에서 싸리체프(Ssarytschef)가 발견했던 표본이 그 경우였는데... 판더스(Panders)가 브랜트에게 보고했던 것처럼, 페테르부르크 근처에서 약 1827개의 뼈들이 발견됐는데 그 중 한 골격은 서있는 상태였으며, 세 번째는 오비 반도(peninsula of the Obi)의 예람베이(Yerambei) 입구에서 53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것이고, 네 번째는 모스크바의 정부에 의해서 발견된 것으로, 이들 모두는 브랜트에 의해서 논의되었다...

베레소브카 매머드는 발견되기 전에 아마도 얼음 블록이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앉은 자세로 발견되었다.[32] 이 매머드의 독특한 자세는 미끄러짐이 매머드가 죽을 때의 원래 자세를 변경시키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심지어 나무들조차도 언덕을 미끄러졌던 곳에서 여전히 똑바로 서 있었다.[33]

러시아 연구원 톨마초프(Tolmachoff)는 시베리아에서 몇 개의 똑바로 서 있는 매머드 사체(upright mammoth carcasses)를 보고했다. 사체 중 하나가 1839년에 인디기르카 강(Indigirka River)의 지류인 샹인 강(Shangin River)에서 똑 바로 서 있는 자세로 절벽에서 돌출된 채 발견되었다.[34] 뉴시베리안 제도의 벼랑에서 직립한 또 다른 매머드가 발견되었다.[35] 톨마초프 자신은 북극해 연안에서 매머드 뼈대의 일부를 발견했다.[36]  ”... 다소 똑바로 서있는 자세로 얼어붙은 절벽에서 돌출되어 있었다.” 그는 브랜트가 이러한 똑바로 서있는 매머드에 대해 감명을 받았는지에 대한, 호워스의 말과 비슷한 말로 이야기했다 :

브랜트는 매머드의 잔해가, 사체 및 뼈대와 마찬가지로, 마치 동물들이 수렁에 빠졌던 것처럼, 똑바로 서서 죽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자세로 발견되었다는 사실에 매우 깊은 인상을 받았다.[37]

이상하게도 베레소브카 매머드를 포함하여 3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2마리의 털북숭이 코뿔소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그들 모두가 질식(suffocation)으로 사망한 사실을 발견했다.[38] 살아있는 동물이 질식해서 죽기 위해서는, 그것이 빨리 파묻혔거나 익사해야 했다.

몇몇 사체들은 부러진 뼈를 갖고 있었다. 셀레리칸(Selerikan)에서 발견된 말의 윗 앞다리 뼈와 갈비뼈 중 일부가 부러져 있었다.[39] 그것의 머리는 없어졌다.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골반, 갈비뼈, 오른쪽 앞다리가 부러져 있었다.[40] 매머드의 뼈를 부러뜨리려면,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부러진 뼈들로부터 추론됐던 이야기들은, 베레소브카 매머드가 잔디와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다가, 사고로 영구동토층에 있던 크레바스에 떨어져 죽었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것은 빠르게 덮여졌고, 질식해죽었을 것이라는 것이다.[41]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입 속의 이빨과 혀 사이에서 식물 잎과 풀 뿐만 아니라, 미나리아재비(buttercups)가 발견되었다.[42]

직립 매장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어렵지만, 이들 많은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이 어떻게 해서 영구동토층 내에 죽어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더욱 더 어렵다. 사체와 뼈들 모두가 부패하기 전에 영구동토층의 여름철 용융층 아래에 빨리 매몰되어야만 했다. 호워스는 그 문제를 이렇게 설명한다[43] :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적인 과정으로는 어떻게 그런 부드러운 피부 조직이 분해되지 않고 부싯돌처럼 단단하게 동결된 채로 땅속에 묻혀 있을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우리가 커다란 코끼리의 몸 전체를 미세한 관절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단단한 얼음이나 꽁꽁 언 자갈과 진흙 속으, 마치 젤리 안으로 넣는 것처럼, 밀어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 과정은 땅을 완전히 교란시켜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단지 호워스 만의 의견이 아니다. 켄부시(Quackenbush)는 그의 주장을 이렇게 강조하고 있었다[44] :

그러나 만약 사체가 공기로부터 차단될 때에만 보존된다면, 사체 전체가 발견되었다는 것은 그것이 신속하고 완전하게 덮였다는 것이 분명하며, 어떤 종류의 연약하거나 습한 땅 속으로 그들이 가라앉았다는 것 말고는 달리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왜 털북숭이 매머드가 시베리아에 살았고, 어떻게 죽었는지 설명하는 그럴듯한 이론들은 표 1.1에 있는 것과 같은, 사체에 대한 이러한 수수께끼들을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표 1.1. 사체의 퍼즐

1. 일부 사체와 골격은 일반적으로 똑바로 선 자세로 발견된다.

2. 3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2마리의 털북숭이 코뿔소는 질식해서 숨졌다.

3. 수백만 마리의 동물이 암석처럼 단단한 영구동토층에 매몰되어 있다.

4. 포유류의 일부는 뼈가 부러져있다.



참고문헌

1. Agenbroad, L.D. and L.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Lerner Publications Company, Minneapolis, MN, p. 8, 2002.See all footnotes
2. Pfizenmayer, E.W., 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S
3.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4.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2–43.
5.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0.
6. Farrand, W.R., Frozen mammoths and modern geology, Science 133:729–735, 1961.
7.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of the 'Mammoth Epoch” in Siberia,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234, 1993.
8.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p. 224.
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67, 1990.
10. Dubrovo, I., The Pleistocene elephants of Siberia; in: Megafauna and man — Discovery of America’s heartland,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scientific papers, volume 1, p. 3, 1990.
11. Péwé, T.L., and D.M. Hopkins, Mammal remains of pre-Wisconsin age in Alaska; in: The Bering land bridge, D.M. Hopkins (Ed.),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p. 266, 1967.
12. Vereshchagin, N.K., An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visual assessment) of mammalian bones from sediments of the Quaternary Period;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and deep history: A tribute to Paul S. Martin, D.W. Steadman and J.I. Mead (Eds.),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61, 1995.
13. Vereshchagin, N.K., and G.F. Baryshnikov, Paleoecology of the mammoth fauna in the Eurasian Arctic;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New York: Academic Press, p. 267, 1982.
14. Vereshchagin, N.K., The mammoth 'cemeteries” of north-east Siberia, Polar Record 17(106), p. 3, 1974.
15. Vereshchagin, N.K.,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p. 62.
16. Thiede, J., H. Kassens, and L. Timokhov, Laptev Sea system discussed at Russian-German workshop, EOS 81(32):361, 366–367, 2000.
17. Stewart, J.M., Frozen mammoths from Siberia bring the ice ages to vivid life, Smithsonian 8, p. 68, 1977.
18.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19. Thiede, Laptev Sea system, p. 367.
20.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1.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14, 1926.
22. Baryshnikov, G., G. Haynes, and J. Klimowicz,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Introduction to the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in: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G. Haynes, J. Klimowicz, and J.W.F. Reumer (Ed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Mammoth Conference, Jaarbericht Van Het Natuurmuseum, Rotterdam, p. 5, 1999.
23.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4. Nordenskiöld, A.E., The voyage of the Vega round Asia and Europe, MacMillan and Co., London, p. 149, 155, 1883.
25. Vereshchagin, N.K., and I.Y. Kuz’mina, I, Late Pleistocene mammal fauna of Siberia;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Soviet Union, A.A. Velichko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219, 1984.
26. Lister, A., and P. Bahn, Mammoths, Macmillan, New York, p. 115, 1994.
27. From Kahlke, R.D., The history of the origin, evolution and dispersal of the Late Pleistocene Mammuthus-Coelodonta faunal complex in Eurasia (large mammals),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Hot Springs, SD, 1999; figure 13.
28. Fagen, B.M., The great journey — The peopling of ancient America, Thames and Hudson, London, 1987.
29. Siebe, C., P. Schaaf, and J. Urrutia-Fucugauchi, Mammoth bones embedded in a late Pleistocene lahar from Popocatépetl volcano, near Tocuila, central Mexi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1:1550–1562, 1999.
30.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61, 185, 1887. Pfizenmayer,Siberian man and mammoth, p. 7.
31.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 p. 551–552, 1880.
3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86.
33. Guthrie, Frozen fauna, p. 7.
34. 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 p. 26, 1929.
35.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2.
36.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6.
37.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56.
38.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54, 1926. Tolmachoff,Carcassesofthemammoth. Farrand,W.R.,Frozenmammothsandmoderngeology,p.734.
3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31, 1990.
40.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1926. Pfizenmayer,E.W.,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
41.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90.
4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39. Guthrie,R.D.,Frozen fauna, p. 4.
43.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95, 1887.
44. Quackenbush, L.S., Notes on Alaskan mammoth expedition of 1907 and 1908,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5:87–130, 1909.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xtinct-animals/ice-age/frozen-mammoth-carcasses-in-siberia/

출처 - AiG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