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김정훈
2005-05-06

비축소적 복잡성


     생물이 우연히 생겨난 것인지 아니면 누군가의 설계에 의해 된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생물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이 각기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쉬운 한 가지 예를 들어 보자. 가장 단순한 생명체의 하나인 박테리아의 어떤 것들은 그 몸 밖에 기다란 하나의 채찍과도 같이 생긴 소위 편모라고 불리는 구조를 갖고 있다. 박테리아는 마치 모터보트에 붙어 있는 발동기와도 같이 이것을 회전시켜 자신의 몸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제 그 구조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기로 하자.


편모는 일종의 회전 기구인데, 플라젤린(flagellin)이라고 부르는 단백질이 추진기(propeller) 역할을 한다. 추진기는 갈고리(hook) 역할을 하는 다른 단백질에 의하여 구동축 (drive shaft)에 붙어 있는데, 갈고리는 만능이음새(universal joint)로 작용하여 추진기와 구동축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구동축은 회전발동기(rotary motor)에 붙어 있는데, 회전발동기는 그것을 돌아가게 하기 위한 힘을 얻기 위하여 박테리아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는 산(acid)의 흐름을 사용한다. 구동축은 박테리아의 세포막을 뚫고 통과하여 박혀 있어야 하는데, 몇 가지 종류의 단백질이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투관물질(bushing material)로 사용된다. 이제까지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제대로 기능을 하는 하나의 편모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 40여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더 놀라운 사실은, 이들 단백질 중의 일부가 없는 경우 정상적인 편모의 절반 혹은 1/4 빠르기로 회전하는 편모를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편모가 만들어지지 않거나, 아니면 만들어져도 전혀 작동되지 않는 편모가 될 뿐이다. 즉, 이 말은 하나의 편모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서로 다른 단백질 부품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어떤 체계가 어떤 기본적인 기능에 기여하는 몇 개의 잘 짝 지워지고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그 중의 어느 한 부분을 제거하면 효과적으로 체계의 기능을 멈추게 하는 그런 하나의 체계를 이룰 때 우리는 그것을 가리켜 “비축소적 복잡성 (irreducibly complex)”을 갖는다고 말한다. 좀 더 쉽게 말하면, “비축소적 복잡성”을 갖는 어떤 한 체계에 있어 서로 상호 작용하는 몇 개의 부품 중 어떤 하나가 빠지게 되면 그 체계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박테리아의 편모는 그 좋은 한 예이다.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여러 기관이나, 생물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체계 가운데, 비축소적 복잡성을 수없이 발견한다는 사실은 그것들이 처음부터 한 자리에 그렇게 구성되도록 존재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뜻이고, 이 말은 결국 생물은 설계되어졌다는 뜻이 된다. 진화론은 모든 생물이 오랜 세월 동안 우연의 연속으로 저절로 생겨났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박테리아의 몸에 기다랗게 달려 있는 편모 하나 조차도 우연으로는 만들어 질 수 없음을 현대 과학은 증거하고 있다. 성경은 말한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지니라(롬 1:20).”


- 이브의 배꼽, 아담의 갈비뼈- 중에서


출처 - 이브의 배꼽, 아담의 갈비뼈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617

참고 :

미디어위원회
2005-04-21

황금의 수 (The Golden Number) 

: 해바라기 꽃에서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열.

Stephen Caesar 


      천지만물(Universe)이 지적 설계자에 의해 창조된 거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라는 주된 증거는 소위 '황금의 수(golden number)” 라는 것이다. 파이(phi)로서 알려져 있는 이것은 기하학의 아버지인 유클리드(Euclid)에 의해 약 B.C. 300 년 경에 처음 계산되었다. 이것은 한 선분이 동일하지 않은 두 개의 선분으로 나뉘어질 때, 전체 선분에 대한 긴 선분의 비율과 긴 선분에 대한 짧은 선분의 비율이 똑 같은 비율로 나뉘어질 때 나타난다. 유클리드는 두 선분의 길이의 비(ratio)를 1.6180339887…으로 계산했다. 이 비율은 모든 자연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Livio 2003: 65).


볼티모어에 있는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의 과학 부장이자 ‘황금의 수(golden number)’에 대한 주도적 전문가인, 천체 물리학자 마리오 리비오(Mario Livio)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만약 파이 라는 수가 기대될 수 없는 곳에서 갑자기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 수는 순수 수학의 비교적 난해한 부분 속에서 남아 있었을 것이다.” (Ibid. 66).

한 가지 예는 해바라기(sunflower) 꽃에서 나타난다. 해바라기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나선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서로 얽히면서 교차하고 있다. 해바라기 씨가 꽃의 중심을 향하면서 서로 감겨질 때, 한쪽 방향으로 감겨지는 씨앗의 수와 다른 방향으로 감겨지는 씨앗의 수 사이에는 특정한 비율을 가지고 있다. 리비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놀랍게도, 만약 이것들의 비율 (55/34, 89/55, 144/89, 233/144)을 계산하면, 그것들은 황금의 수인 파이 수에 점점 더 가까워진다는 사실을 당신은 발견하게 될 것이다.” (Ibid. 66).

.해바라기 씨에는 시계방향으로 34 개, 반시계방향으로 55 개의 두 나선이 존재한다. 꽃이 크면 55/89,  89/144 도 발견된다. 

1837년, 결정학자(crystallographer)인 브라바이스(Auguste Bravais)와 그의 형제이자 식물학자인 루이스(Louis)는 새로운 잎이 줄기에서 돋아날 때, 파이에 의해 결정된 특정한 각도에서 자란다는 것을 발견했다. 리비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파이에 의해 결정된 각도에 따라 잎들이 배열함으로써, 거의 겹쳐지지 않으면서 가장 유효한 방식으로 공간을 채울 수 있게 된다.” (Ibid. 66).

황금 직사각형(golden rectangle)은 황금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황금 직사각형의 세로에 대한 가로의 비율은 파이와 같다. 만일 계속해서 황금 직사각형 안으로 점점 더 작은 황금 직사각형을 만들어서 어떤 점들을 연결시키면, 대수 나선(logarithmic spiral)이라고 불리는 안으로 향하는 곡선을 얻게 된다. 이것은 17세기 수학자 베르누이(Jakob Bernoulli)에 의해 처음으로 공식화되었다. 만약 당신이 주변의 한 점에서 대수 나선 위의 어떤 점까지 직선을 긋는다면, 그 선은 항상 정확히 같은 각도로 곡선을 가로 지를 것이다 (Ibid. 66-7). 또한, 이것이 자연계에서 나타나고 있다.

듀크 대학의 생물학자인 반스 터커(Vance Tucker)는 수 년 동안 매(falcon)를 연구해서 매가 비스듬히 비행할 때, 사냥감을 향해 똑바로 급강하하기 보다는 약간의 곡선궤도를 따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곡선모양의 하강은 베르누이의 대수 나선과 일치하였다 (Ibid. 67). 리비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자연은 대수 나선을 너무나 좋아한다. 앵무조개(nautilus)의 껍질에서부터 허리케인, 나선은하(spiral galaxies)에 이르기까지, 자연 현상 속에서 대수 나선은 쉽게 발견된다. 때때로 앵무조개의 경우에서처럼, 그것들은 성장해가면서 생겨나는 자연적 무늬(pattern)이다. 그리고 그 무늬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황금 비율은, 13세기 초 이탈리아 수학자인 피사의 Leonardo (Fibonacci 로 알려져 있는)에 의해 발견된 유명한 일련의 수인 피보나치 수열(Fibonacci sequence)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Ibid. 67).

피보나치 수열은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등과 같이 계속되는 수열이다. 이것은 1+1=2, 1+2=3, 2+3=5, 3+5=8, 5+8=13, 8+13=21, 13+21=34, 21+34=55, 34+55=89, 55+89=144, 89+144=233 처럼 인접한 두 수의 합이 그 다음 수가 된다. 이것은 정확히 해바라기 씨의 비율과 일치한다. 피보나치 수가 커질수록, 파이의 정확한 값에 점점 더 가까이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Ibid. 67-8). 리비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따라서 피보나치 수는 일종의 황금비율로서, 가장 뜻밖의 장소에서 갑자기 나타난다. 하나는 단백질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속이 빈 원통형 튜브인 동물 세포의 미소관(microtubules)에서 나타난다. 그것들은 함께 모여 세포골격(cytoskeleton)을 유지하는데, 이 구조는 세포의 모양을 결정하고, 일종의 ‘신경’ 세포처럼 작용한다. 각 포유류의 미소관은 전형적으로 13 개의 기둥(columns)으로 되어있는데, 우선형의 5 개와 좌선형의 8 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5, 8, 13 등은 모두 피보나치 수이다). 게다가, 외피를 가진 이중 미소관도 가끔 발견되어지는데, 그것은 여러분도 추측할 수 있듯이, 다음 피보나치 수인 21 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Ibid. 68).

많은 은하들에 있어서 나선 팔(spiral arms)들은 대수 나선에 가깝다. 또한, 회전하는 블랙홀도 질량의 제곱이 그것의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의 파이 배 제곱과 정확히 일치할 때만 가열상에서 냉각상으로 변할 수 있다. 리비오는 이것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러한 파이 수의 신비한 출현은 황금 비율의 또 다른 특이한 수학적 특성으로부터 유래한다. 파이 수의 제곱은 단순히 파이에 1을 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휴대용 계산기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즉, 1.618 × 1.618 = 2.617924).  (Ibid. 68).

자연계 전체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는 이 놀라운 황금 비율은 (우연히 저절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질서와 조화의 우주(Cosmos) 라는 거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창조하신 지적인 설계자가 계시다는 강력한 증거인 것이다. 

 

References

Livio, M. 2003. The Golden Number. Natural History 112, no. 2.

Stephen Caesar holds his master’s degree in anthropology/archaeology from Harvard. He is a staff member at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nd the author of the e-book The Bible Encounters Modern Science, available at www.1stbooks.com.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rae.org/essay-links/goldennumber/

출처 - Revolution against Evolution, 2003. 9. 2.

미디어위원회
2005-04-07

생체 분자 모터 시스템의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연구

(Irreducible Complexity of Biomolecular Motor Systems)

이승엽


Abstract

본 논문은 생물학의 근간이 되는 반 다윈주의 개념을 갖는 지적설계의 학술적인 연구 동향과 그 적용 분야를 살펴보고 지적설계 운동에 있어서 생화학적 설계 증거로 제시되는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개념을 소개한다. 최근 연구들을 토해서 밝혀진 편모의 모터 구조나 ATP 합성에 관련된 다양한 생물 분자 모터(biomolecular motor)의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적용하여 설계의 증거들을 다룬다. 무신론적 자연주의 세계관에 기초한 현재의 학문 체계에 도전하는 '쐐기운동”으로서의 지적설계운동은 학문 활동에 유신론적 대안을 제공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다양한 저서 및 학술 논문에 나타난 지적설계의 학술적인 뒷받침과 연구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설계 분야의 확대 및 학문 활동 분야로의 의미 있는 시도 등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지적설계의 학술적인 연구는 오하이오주와 텍사스주 교육위원회에서 결정된 과학 교과과정 개편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올해 8월 21일 국내의 지적설계 단체들과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지적설계연구회의 창립을 계기로 국내의 지적설계 운동의 현황과 향후 전략적인 방향 설정을 논의한다.

 

I.  지적설계운동의 역사

지적설계운동은 199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창조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 지적설계운동을 이끌고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인 윌리엄 뎀스키는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Dembski, 2002). '지적설계운동은 지적인 원인들의 영향을 연구하는 과학의 연구 프로그램이고, 다윈주의와 다윈주의의 자연주의적 유산에 대해 도전하는 지적인 운동이며,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지적설계운동의 역사를 살펴보기 전에 설계논증과 진화론-창조론 논쟁 역사를 간단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19세기 초 윌리엄 팔레이(William Paley)는 그의 책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Paley, 1802). 우리가 들판에서 시계를 보았다면, 목적에 대한 적합성은 (즉, 그 각 부분들이 시간을 말해주는 데에 대한 적합성은) 그것이 지성의 산물이며 단순히 방향성이 없는 자연적 과정의 결과가 아님을 보증한다. 따라서 유기체에서의 목적에 대한 놀라운 적합성은, 전체 유기체의 수준에서든 여러 기관의 수준에서든 유기체가 지성의 산물임을 증명한다는 설계 같은 논증을 폈다.

팔레이의 시대에는 자연의 작품, 특히 생명체가 지적 설계의 산물이라는 관점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이 학계를 석권하게 되어 생명체가 설계되었다는 관점은 폐기처분되었고, 다윈이 제안한 진화 메커니즘 즉, 자연선택/돌연변이가 생명체의 복잡성에 대한 표준적인 설명이 되었다. 진화론은 1859년 다윈의 '종의 기원”의 출간과 함께 시작되었다. '종의 기원”은 영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출간되었으나 초기의 논쟁은 주로 영국에서 발생했다. 이 논쟁은 생물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철학 등 사회 각 영역에 걸쳐 다층적으로 이루어 졌다. 영국에서의 논쟁은 대략 지식인들 간의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반진화론적 흐름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보아 영국교회는 진화론과 타협 또는 화해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반면 미국의 경우는 반진화론적 경향이 우세했으며, 진화론 논쟁은 처음부터 사회적인 논쟁으로 치달았다.

1920년대 본격화된 이 논쟁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으며, 따라서 창조-진화 논쟁사에 있어서 중심무대를 차지하는 것은 미국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창조-진화 논쟁은 1960년을 전후로 대략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각 시기의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1920년대 스코프스 법정 논쟁으로 대표되는 반진화론 운동과 1980년 아칸소 법정논쟁으로 정점을 이룬 창조과학운동이 그것이다.

1990년대 초 등장한 지적설계운동은 최근 미국 창조-진화논쟁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지적설계운동의 효시는 UC 버클리의 법학 교수인 필립 존슨이 1991년에 출판한 '심판대 위의 다윈(Darwin on Trial)”이라 볼 수 있다 (Johnson, 1990). 이 책에서 존슨은 진화론이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자연주의 철학에 근거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물론 진화론이 자연주의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은 존슨이 처음 지적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저명한 법학자였던 존슨의 책은 수없이 많이 팔렸고, 그에 따라 많은 지식인들이 존슨이 제기한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다.

저명한 법학자인 존슨은 다윈 이후 150년 이상 지속되어 온 '창조-진화' 논쟁의 본질이 과학적인 증거로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무신론 대 유신론이라는 두 개의 상충되는 세계관 사이의 대결이라고 결론 내리게 되었다. 더 나아가 두 개의 상충되는 세계관들이 서로 동등한 입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 학문, 공공 교육, 대중매체 등에서 무신론적인 세계관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입장에서 유신론적 세계관을 억누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그는 이러한 자연주의의 부당한 우세에 도전장을 내밀게 된다. 학문과 문화에서의 자연주의의 독점을 해체시킨다는 것으로 목표를 정한 후 존슨은 이후 '균형잡힌 이성(Reason in the Balance)' (1995), '다윈주의 허물기(Defeating Darwinism)' (1997), ”Wedge of Truth' (2000), ”The Right Questions' (2002) 등의 책을 지속적으로 출판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다윈주의 더 나아가 자연주의 철학 및 학문의 통나무를 지적설계라는 '쐐기(wedge)”로 허무는 일명 쐐기운동에 동참하도록 독려하였다.

1996년에는 지적설계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전기가 된 큰 사건들이 두 가지가 일어난다. 첫 번째 사건은 ‘Mere Creation’ 이라는 학술대회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창조론을 지지하든 상관없이 순수하게 '창조'에 대해서만 언급하는 것에 대해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을 연합시키고자 하였다. 이 학술대회에서는 지적설계에 관심이 있는 200여명의 과학자, 철학자, 그리고 일반인들이 모였는데, 학술대회 결과 지적설계라는 창조론 운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윤곽이 확실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여기에서 철학 및 수학 박사인 윌리엄 뎀스키는 스티븐 메이어, 폴 넬슨 등과 함께 '설명을 찾아내는 여과기'(explanatory filter)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지적설계를 과학의 연구 프로그램으로 만들자고 제안한다. 1996년에 일어난 두 번째 중요한 사건은 미국 리하이(Lehigh) 대학의 생화학 교수인 마이클 베히 박사가 '다윈의 블랙 박스” (Darwin's Black Box)를 출판한 것이다 [6]. 이 책에서 베히는 생화학 시스템 중에는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irreducible complexity)의 성질을 갖고 있는 시스템들이 많이 있고, 이런 시스템들은 설계에 대한 증거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책을 통해서 처음으로 설계를 접목시킨 생물학 연구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나게 되었다. 베히의 책은 뉴욕타임즈 등 신문, 잡지뿐만 아니라, Science나 Nature 등 전문 학술지에서도 비평되었고, Christianity Today 에서는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 후 1998년에는 윌리엄 뎀스키가 'The Design Inference”(1998)과 'Intelligent Design” (1999)를 출간하면서, 과학적 연구 활동에 적합한 '설계”의 개념을 정보 이론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윌리엄 뎀스키는 지적 원인이 경험적으로 탐지가능하며 관찰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적 원인과 방향성이 없는 자연적 원인을 믿을 만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며, 여러 특정 과학에서 이미 이런 구분을 끌어내기 위한 방법들이 법의학, 암호학, 고고학, 그리고 외계지성탐사(SETI)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베히의 책을 통해서 나타난 생물학 시스템의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이 윌리엄 뎀스키의 '복잡 특수 정보(complex specified information)” 이론으로 구체화되어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으로서 가능성을 열게 해주었다. 지적 원인의 경험적 탐지가능성은 지적 설계를 전적으로 과학 이론이 되게 하였고, 그것을 철학자들의 설계논증이나 전통적으로 '자연신학'이라고 불린 것과 구별되게 하였다.

지적설계의 적용 중에서 중요한 분야는 창조과학운동과 마찬가지로 교과서 개편에 관련된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일어난 사건으로는 교과서에서 대진화 내용을 삭제하도록 한 1999년 캔사스주의 교육위원회의 결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진화론 지지자들의 압력에 못 이겨 그 다음 해 예전의 진화론 교육으로 환원되었다. 2002년 오하이오주와 2003년 텍사스주의 생물학 교과서 개편도 유사한 사건인데, 여기에는 지적설계 단체가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Ohio, 2002; 이승엽 2003). 2002년 12월 10일에 오하이오주 교육위원회에서는 18명 전원일치로 일명 '논쟁점 가르치기(The teach-the controversy)” 제안을 오하이오 공립학교에서 과학 교과 표준으로 허락하는 결정을 내렸다. 새로운 법안의 3가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생물학적 진화 (대진화-공통조상이론)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모든 증거를 가르친다.
(2)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선생님들이 지적설계와 같은 대안 이론에 대해서 토론하는 것을 허용한다.
(3) 자연 현상에 대한 모든 논리적인 설명을 허용할 수 있도록 과학에 대한 정의를 수정한다.

이와 같이 3가지 결정은 그 동안 과학 교과서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누려온 진화론을 공립학교에서 공개적으로 비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적 설계라는 용어가 진화론의 대안으로 교과서에 공식적으로 등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과학의 정의에 대한 수정안은 자연주의적인 해석만을 강요해왔던 과학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과학을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정의하였다. '과학은 관찰, 가정 검증, 측정, 실험, 그리고 이론 성립에 근거하여 자연 현상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시하는 계속적인 연구의 규칙적인 방법이다” (Science is a systematic method of continuing investigation, based on observation, hypothesis testing, measurement, experimentation, and theory building, which leads to more adequate explanations of natural phenomena). 이와 같은 지적설계 진영의 승리 이면에는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지적설계의 연구 프로그램과 전략적인 쐐기운동이 실효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실제 Discovery Institute의 Stephen Meyer와 Jonathan Wells 박사가 오하이오주 교육위원회 패널 토의에 참여하였고, 교육위원회에 많은 지적설계에 관련된 증빙 자료를 제출하였다. 이 중에는 최근에 유명 학술저널에서 발표된 논문 중 지적설계에 연관된 44개의 중요 논문을 제출하여 지적설계가 이미 학술적으로 연구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이면서, 지적설계는 학술적인 기반이 없음을 비난하는 진화론자들의 의견을 반박하였다 (Discovery, 2002).

올해 9월에는 지적설계 학술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과가 이루어졌는데, Discovery Institute CSC director인 Meyer 박사가 전문 학술저널인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에 지적설계에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게 되었다 (Meyer, 2004). 반진화론적인 이론에 관한 연구 논문이 국제적인 학술 저널에 처음으로 발표됨으로써, 이 논문을 시작으로 해서 지적설계 개념이 향후 학술적인 연구로서 활발히 이루어지리라 예상된다.

국내 지적설계 운동은 한국창조과학회의 일부 회원들과 NOAH와 KAIST 창조론 연구회(RACS), 서울대학교 창조과학 연구회(SCR)이 주축이 되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모임들이 주축이 되어 마이클 베히의 '다윈의 블랙박스”, 필립존스의 '위기에 처한 이성”, 그리고 윌리엄 뎀스키의 '지적설계”를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NOAH는 정기적인 모임을 갖으며 지적설계에 관련된 토론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 동안 8번의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여 지적설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초기에는 지적설계에 관련된 자료 소개 및 기본적인 연구에 치우쳤으나 최근에는 지적설계에 관한 창의적인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http://noah.creation.net).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2001년부터 매년 정기적인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2002년 창조과학학술대회에서 이승엽 등이 '지적설계를 적용한 정보저장기기 매커니즘 연구”가 지적설계에 관련된 최초의 연구 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이승엽, 2002). 최근에 통합연구학술대회에서 3편의 지적설계 관련 논문이 발표된 바 있다 (이승엽, 2004; 조정일, 2004; 현창기, 2004). 2004년 8월 21일에는 국내의 지적설계 연구자들과 관련 단체들이 연합하여 순수 연구단체인 지적설계연구회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Intelligent Design: KRAID)를 창립하여 학술 연구 및 관련 서적 출판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II. 지적설계 관련 학술연구

서적 출판


앞의 II 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립 존슨의 '심판대 위의 다윈” 이후로 지적설계에 관련된 많은 서적들이 출간되었다. 생화학 시스템에서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을 논한 마이클 베히의 '다윈의 블랙박스”와 정보 이론을 통하여 지적설계의 검증 가능한 과학적 도구를 제시한 윌리엄 뎀스키의 '지적설계”가 출간되어서 지적설계 운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지적설계 운동에 참여한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설계에 관련된 많은 서적들을 출간하였는데 대표적인 저서로는 Jonathan Wells의 'Icons of Evolution” (2000), 필립 존슨의 'The Wedge of Truth” (2000)와 'The Right Questions” (2002), 윌리엄 뎀스키의 'No Free Lunch: Why Specified Complexity Cannot Be Purchased Without Intelligence” (2001)와 'The Design Revolution' (2004), Thomas Woodward의 'Doubts About Darwin: A History of Intelligent Design” (2003), Cornelius Hunter의 'Darwin's Proof' (2003), Guillermo Gonzalez와 Jay Wesley Richards의 'The Privileged Planet” (2004), 등을 들 수 있다.

지적설계에 관련된 논문 및 글들을 모아서 편집된 책들에는 ”Mere Creation; Science, Faith & Intelligent Design' (1998), 'Science and Evidence for Design in the Universe” (2000), 'Signs of Intelligence: Understanding Intelligent Design” (2001), 'Darwinism, Design, and Public Education' (2003), 'Debating Design : From Darwin to DNA” (2004), 등이 있다. 이밖에도 최근에 지적설계에 관련된 많은 저서와 편집본들이 출간되고 있다.


학술 연구

진화론자들은 기존의 창조과학운동에 대해서 진화론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서 창조과학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과학적인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라고 주장하였다. 지적설계운동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요구들이 있어왔다. 설계이론이 과학의 주류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진화론 및 자연주의적 학문에 대한 비판보다는 설계이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 성과가 필요하며, 이는 과학 전문 저널에 논문으로 출간된 구체적인 연구 결과들을 의미한다. Discovery Institute에서도 이 점을 강조하면서 학술 연구 분야로서 (1) 지적설계 연구자들이 설계 이론에 입각한 순수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2) 지적설계이론에 관련된 전문 학술 저널을 창간하며 (예를 들면 Origins & Designs Journal (www.arn.org/odesign/odesign.htm), (3) 또한 기존 전문 저널에 실린 논문들 중에서 진화론의 중대한 문제 및 설계 이론을 뒷받침 할 수 연구 결과들을 인용하여 설계이론의 과학적 근거들을 내세우는 데 적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2002년도 3월에 Discovery Institute의 Stephen Meyer와 Jonathan Wells 박사가 '논쟁점 가르치기(The teach-the controversy)” 제안을 오하이오 공립학교에서 과학 교과 표준으로 하도록오하이오주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이다 (Discovery, 2002). 이 보고서에서는진화론이 직면한 중요한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학교 교육에서 토론의 여지가 있다고 본 44개 저널 논문을 다루었으며, 인용된 논문들은 Cell, Nature, Science,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등 유명과학저널에 게재된 학술 논문들이다.

이 논문들 중 가장 주가 되는 내용은 공통조상으로부터 모든 생물들이 진화되었다는 다윈의 진화나무에 대한 과학적 적합성 및 생물학적 복잡성의 기원에 대한 논쟁이다. 무생물로부터 만들어진 하나의 생명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생명체들이 진화되어 만들어졌다는 것이 현대 생물학에서 다루는 기원에 대한 기본 내용이다. 2000년 6월에 발표된 인간 지놈 프로젝트의 결과로 인하여 최근에는 수십여 종의 생명체의 염기 서열이 밝혀지면서, 종들 간의 유전자의 중복성 및 관련성을 연구하는 비교지노믹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진화론적인 방법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많은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생명체에서 나타나는 매우 복잡한 패턴들은 인류에 의해 설계된 최첨단 기계 시스템과 비교하여 훨씬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Ball, 1991, Goodsell, 2004),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명체의 작동 메커니즘에서 설계 관점과 주목되는 분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the machinery of DNA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 biomolecular motors
● the information-driven synthesis of biological molecules
● the energetics and regulation of biological processes
● the traffic across membranes and signal transduction along them
● the interplay of myosin and actin filaments within the muscle sarcomere

올해 9월에는 지적설계 학술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과가 이루어졌는데, Discovery Institutie CSC director인 Meyer 박사가 전문 학술저널인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에 지적설계에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게 되었다. 논문에서는 생명체 각각의 발생학적인 형태의 기원과 생명체의 역사에서 불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유기적 형태의 기원 (origination of organismal form) 에 관하여, 기존의 자연선택과 돌연변이의 신다윈주의 진화론 이론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더 나아가서 지적설계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반진화론적인 이론에 관한 연구 논문이 국제적인 학술 저널에 처음으로 발표됨으로써, 이 논문을 시작으로 해서 지적설계 개념이 향후 학술적인 연구로서 활발히 이루어지리라 예상된다. 이러한 성취는 진화론적인 설명만이 허용되었던 생명 기원에 관한 학술적인 논의에서 반진화론적인 이론을 허용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는 그동안 오랜 창조과학운동이 성취하지 못한 한 중요한 역할을 지적설계 연구자들이 이루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IV. 분자모터 (Biomolecular Motor)

분자 모터는 단백질의 특별한 형태로서 생명체 속에서 근육의 이완, 세포의 동작 및 운동, 신호 전달, DNA 복제 및 전사 등과 관련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분자모터에 관련되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지적설계 연구 분야에서 분자 모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마이클 베히 교수가 다윈의 블랙박스를 출간한 이후이다 (Behe, 2001). 그는 책에서 지적설계의 증거인 환원불가능한 복잡성 개념을 도입하면서, 대표적인 예로 박테리아 편모의 모터 구조를 언급하였는데, 기계 시스템으로서 전기 모터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설계 시스템이므로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분자모터는 지적으로 설계된 메커니즘의 좋은 증거라 할 수 있다.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자모터 중에서 kinesin 과 dynein 계열과 myosin 계열, 그리고 DNA와 관련된 단백질 등은 ATP 가수분해에 의해서 화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Alberts et al., 1994). 분자 모터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운동을 발생시키고 모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러한 단백질 에너지 변환을 이용하며 (Vale and Milligan, 2000), 이러한 분자 모터의 3차원 구조 (Cramet et al., 2000)와 운동 (Walker et al., 2000)이 많은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게 되었다. 현재는 분자 모터의 구조와 기능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자모터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ATP 합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최종적인 기계적인 힘이 분자 구조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음에서는 베히 교수의 환원불가능한 복잡성 개념과 다양한 분자모터 메커니즘과 지적설계와 관련된 부분을 설명하도록 한다.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Irreducible Complexity)


자연 과학에서 생명체의 구체적인 설계의 증거를 발견하고 과학적인 도구로서 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가에 대한 중요 질문에 대해서 펜실베니아에 있는 리하이 대학의 생화학 교수인 마이클 베히 박사는 그것이 가능하다고 말하면서 그의 저서 다윈의 블랙박스를 통해서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irreducible complexity)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 예로서 쥐덫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쥐덫은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제 위치에 있음으로 해서 쥐덫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하나의 구성 요소가 없어진다면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들이 모두 제자리에 있다고 하더라도 쥐덫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부품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어느 하나라도 없다면 그 기능을 잃어버리는 시스템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시스템이라 말한다.

베히는 실제적인 생화학 시스템에서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을 나타내는 시스템이 매우 많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베히는 그의 책에서 박테리아의 섬모/편모, 혈액 응고 메커니즘, 세포 내 운송 시스템, 항원 항체 반응, AMP 생합성 등을 환원 불가능하게 복잡한 시스템의 예로서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의 매우 중요한 특징은 우리가 생화학 실험실에서 각각의 메커니즘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 어느 하나를 제거시켜 봄으로써 그 시스템이 환원불가능한지 아닌지를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1.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인 쥐덫 시스템

편모의 분자 모터

편모는 50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생물의 운동기관이다[17]. 편모는 원핵생물이나 진핵생물에서 발견이 되는데, 진핵생물의 편모와 원핵생물의 편모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갖는다. 진핵 생물의 편모는 아홉 개의 이중체 (13개의 원형섬유와 10개의 원형섬유로 이루어 진 두개의 융합된 고리)의 미세소관과 중앙의 두개의 단일 미세소관을 갖는 9+2 구조로 섬모와 동일한 구조와 운동 메커니즘을 갖는다 (Behe, 2001). 편모의 작동 원리는 ATP가 디네인에 공급되어 미세소관을 들어올림으로 인해 활주운동이 생기고, 넥신이 한계 이상의 활주 운동을 막기 위해 미세소관을 잡아당김으로 인해 활주운동이 굽힘운동으로 전환된다.


그림 2. 원핵 및 진핵생물의 크기와 운동기관

한편 박테리아에서 볼 수 있는 원핵생물의 편모는 플라젤린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직경은 머리카락 직경의 500분의 1에 해당하는 12-19 nm이고, 길이는 세균의 수 배이다. Fig.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편모는 세포 표면의 근처에 돌출되어 있어서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운동을 하며 초당 세균의 길이의 10배 정도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같이 기본적으로 회전자(로터)와 정지자(스테이터), 그리고 회전을 시킬 수 있는 가동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DC-모터의 작동원리는 플라밍의 왼손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전류와 자기장, 그리고 힘의 상호관계를 나타낸다. 회전자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고 정지자에는 영구자석이 붙어있어서, 코일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도선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힘이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 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편모의 경우도 회전자와 정지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있고, 에너지원으로 ATP가 아닌 박테리아 막을 통과하여 흐르는 산(acid)의 유동을 통해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승엽 2002).


그림 3. 박테리아 편모의 모터구조

 

Kinesin과 Myosin 모터

분자 모터와 관련하여 최근 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가 근육 myosin과 kinesin 이다. Myosin II는 양 방향 리니어 모터로서 actin과 myosin 섬유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발생시킨다. 주어진 시간에 오직 하나의 헤드만이 actin에 결합한다.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myosin 헤드는 motor domain 과 레버 암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Skeletal 근육 미요신은 4 nm의 간격으로 smooth 근육 미요신은 7 nm의 step 간격으로 움직인다 (Mooly et al., 1995). Kinesin은 미세소관을 따라서 vesicle을 전달하는 두 헤드 리니어 모터이다. 그림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헤드는 ATP 결합 domain과 연결되어 있는 heavy chain과 전달체가 연결되어 있는 light 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요신과 다르게 하나의 kinetisn은 8 nm 스텝 간격으로 분리전까지 수 마이크로 미터를 미세소관을 통하여 움직이게 된다 (Schnitzer and Block, 1997).

그림 4 Kinesin과 myosin 모터 구조

(a) ATP 가수분해를 통한 myosin 분자의 미끄러짐 운동
(b) 두개의 heavy chain을 binding이나 unbinding 하면서 미세소관을 따라 walk 운동을 kinesin 분자

그림 5. (a) ATP synthase 구조: transmembrane인 F0와 가용성 부분인 F1로 구성됨
(b) ATP 가수분해는 도메인의 힌지 운동을 통하여 F1을 회전시킨다.
 

ATP Synthase

분자 모터(biomolecular motor)의 ATP 합성에 관한 회전 구조에 대한 연구로 1997년 노벨상이 수여된 후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ATP synthase는 마이클 베히가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의 대표적인 예인 편모의 모터 구조와는 또 다른 매우 정교한 초소형 단백질 모터 효소 로서 양자를 사용하여 ATP 가수분해를 이용해 전기화학적 변환을 일으킨다. 그림 5에 나타난 ATP synthase의 기본 구조는 생체막 부분은 F0와 가용성 부분인 F1-ATPase로 구성되어 있다.  양자가 주입되면서 접촉 부분에 촉매부를 포함하는 F1의 -subunit의 회전은 ATP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domain의 힌지 운동에 의해 생긴다.

F0가 1 회전시 10개 양자가 필요하며, F1은 회전당 3개의 ATP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입력과 출력의 (양성자 와 ATP) 비인 10:3은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정수비가 아니다. 다시 말하면 F0의 1 회전하면서 양성자 3개나 4개 당 하나의 ATP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적이지 않고 유연한 비는 무작위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ATP 생성을 최대화하는 황금비임이 최근의 연구로 밝혀졌다. 누군가가 두 가지 다른 구조의 결합 시 최적설계로 정교하게 조절된 지적설계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Mitome et al., 2004).


DNA 관련 분자모터

DNA 유전자 전사, 복제, 압축 등을 수행하려면 RNA나 DNA의 형성 촉매 효소인 폴리메라아제와 같은 모터 단백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RNA 폴리메라아제는 원형 DNA를 1초당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를 지나가면서 RNA 복사를 수행한다. T7 DNA 폴리메라아제는 초당 100개 이상의 base 비율로 DNA 복제가 일어나도록 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효소에 가해지는 기계적 힘이 세포내에서 DNA 전사와 복제를 일으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적 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그림 6과 같이 RNA와 DNA의 폴리메라아제의 1개의 분자를 이용하여 힘과 DNA 전사와의 관계를 실험하였다 (Yin et al., 1995). 실험에서는 광학 기기를 이용하여 초소형 bead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bead에 DNA를 연결함으로써 가해지는 힘에 대한 DNA 전사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사 속도는 힘에 반비례함이 알려졌다. 이러한 기계적 힘의 역할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하나 분자들이 모터 단백질의 변환과 기능성과 관련된 에너지 한계를 변화하고자 할 때 DNA 변형이 이러한 변화를 일으킨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다.

그림 6. 가해지는 힘의 변화에 따른 DNA 전사 속도에 관련된 단 분자 실험

 

전기 모터와 편모 모터 비교

초소형 전기모터와 박테리아 편모는 구조상으로 유사하지만 그 크기에서 편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크기와 관련된 지배적인 힘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수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초소형의 세계에서는 거시적 세계와는 다른 물리 법칙이 지배한다.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면적은 길이의 제곱의 비율로 줄고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의 비율로 줄기 때문에 질량보다는 면적에 관계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래서 중력보다는 마찰력이나 점성력, 정전기력, 표면장력 등의 힘이 지배하게 된다.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면적은 길이의 제곱의 비율로 줄고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의 비율로 줄기 때문에 질량보다는 면적에 관계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래서 중력보다는 마찰력이나 점성력, 정전기력, 표면장력 등의 힘이 지배하게 된다. 질량과 가속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관성력과 주변의 유체의 점도와 속도에 비례하는 점성력의 비를 레이놀즈 수로 정의하는데 이는 다음의 식으로 설명된다.

여기에서 는 밀도, L은 길이, V는 속도를 나타낸다. 초소형 마이크로 모터와 같은 수 um의 기계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작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다. 이는 제작하기 위한 도구는 매우 정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리소그래피(Lithography)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실리콘 기판 위에 layer를 덮고 자외선에 의해 식각이 되는 PR(photo resist)을 일정한 높이로 덮은 후 원하는 형상을 인화한 필름을 사용하여 특정 부분만을 자외선에 투과시킴으로 PR을 감광한다. 그 후 불필요한 PR층과 layer를 식각액으로 제거시키면 원하는 형상이 만들어지게 된다. 하지만 MEMS 기술의 문제는 두께가 얇은 형상의 제작은 용이하지만 넓이에 비해 두께가 큰 형상의 경우 식각액이 제거해야 할 부분을 완벽하게 없애지 못해서 형상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강한 광선인 X-Ray를 사용하는 RIGA MEMS 기술이 도입되어 너비에 대한 높이의 비를 높이게 되는데, 최대 10 ㎛의 깊이에 대해 400 nm 정도 너비를 갖는 형상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높이가 커짐에 따라서 형상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림 7. MEMS 공정을 이용하여 만든 초소형 모터 (직경 100 um)

박테리아 편모의 형상은 길이가 50 ㎛ 정도 이상이고 직경은 12~19 nm 정도가 되는데 편모의 형상만을 제작하는 데에도 현재 기술로는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각각 회전자와 고정자 등의 역할을 하는 부분들은 편모 전체의 형상에 비해 충분히 작다. 또한 편모의 모터는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마이크로모터에 비해서 오히려 복잡한 구조를 갖는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있다.  박테리아의 편모는 관성력보다 점성력의 영향이 큰 레이놀즈 수의 세계에서 존재하고, 또한 몸길이가 5 ㎛ 이하이기 때문에 이보다 큰 분자의 확산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박테리아가 1초 동안에 20 ㎛를 이동하는데 비해 주위의 분자의 확산속도는 1초에 45 ㎛ 정도이기 때문에 정지해 있는 박테리아는 주위의 확산되는 물질에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수단인 편모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없다. 즉 이동수단이 발달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화론에서 말하는 근육으로의 진화의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지적설계운동의 학술 분야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지적설계 이론이 과학의 주류로 포함되도록 하는 쐐기운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설계 이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연구 프로그램의 수행이 필수적이다. 그 동안 창조과학 연구가 진화론을 반박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주류 과학으로 포함되기 위해서는 생명체가 갖고 있는 정교한 설계에 대한 단순한 관찰을 넘어서서 지적으로 설계된 것이라는 과학적인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선도적인 연구들이 요구된다. 생명현상의 근원이 물질들만의 집합 이외의 다른 원리가 존재한다는 것, 생명체의 분류가 다윈의 접근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 그 이외에도 기존 과학의 패러다임에서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실험적인 발견이나, 이미 연구된 결과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을 통하여 지적설계의 과학적인 기반이 확보 될 수 있을 것이다.


VI. 지적설계연구회 창립 및 비전

현재 미국에서 지적설계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쐐기” 운동을 통하여 전략적으로 사회 각 분야에 그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으므로,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지적설계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전략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이러한 일들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단체의 창립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명체 메커니즘과 생명정보의 지적인 원인과 설계 구조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지적설계연구회 (KRAID: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Intelligent Design)가 2004년 8월 21일에 창립된 것은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지적설계연구회는 미국의 비종교적인 연구 및 정책 단체인 Discovery Institute의 설립 목적과 유사하다. 지적설계연구회는 생명체의 작동 메커니즘과 생명정보가 지적으로 설계되었음을 연구하는 순수한 연구단체로서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갖는다.

● 중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개편을 위하여 학술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지적설계의 과학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 지적설계연구회는 국내 지적설계 관련 연구 결과를 해외 유명 저널 및 학술 저서로 발간하여 국제적인 공인받는 학문적인 성과를 이룩한다.

● 지적설계가 생물학을 포함한 자연과학 분야에서 주류과학으로 인정될 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과학 등 자연주의적인 세계관에 근거한 모든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비종교적인 관점을 이러한 학술연구단체는 자연주의적인 철학에 근거한 진화론 및 학문 분야에 대한 새로운 유신론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교적인 관점을 배제하기 때문에 많은 전문적인 연구자들을 '지적설계” 안으로 포용하게 됨으로서, 반진화론 운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Alberts, B., Bray, D., Lewis, J., Ra, M., Roberts, K., Watson, J.D., 1994.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3rd Edition. Garland Publishing, New York, NY.

Ball, P., 'Life’s lessons in design,” Nature 409, 2001: 413-416.

Behe, M. J., 김창환 외 역, 다윈의 블랙박스, 풀빛, 2001

Cramer, P., Bushnell, D.A., Fu, J., Gnatt, A.L., Maier-Davis, B., Thompson, N.E., Burgess, R.R., Edwards, A.M., David, P.R., Kornberg, R.D., 2000. Architecture of RNA polymerase II and implications for the transcription mechanism. Science 288, 640.649.

David K. DeWolf, S. C. Meyer and M. E. DeForrest, Teaching the Origins Controversy: Science, or Religion, or Speech?, Utah Law Review 39(1), 1994

Dembski, W., 서울대창조과학연구회 역, 지적설계 (Intelligent Design), IVP, 2002

Discovery Institute's Center for Science & Culture, Bibliography of Supplementary Resources for Ohio Science Instruction, Discovery Institute, www.discovery.org/csc/scientificResearch/ , 2002

Discovery Institute's Center for Science & Culture, The Wedge Strategy, www.antievolution.org/features/wedge.html , 1999

Goodsell, D. S.,  Bionanotechnology: Lessons from Nature, Wiely-Liss, 2004

Johnson, P. E.  이수현 역, 심판대 위의 다윈, 과학과 예술, 1993,

Meyer, S. C., The origin of biological information and the higher taxonomic categories,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Vol. 117, No.2, pp. 213-239, 2004

Mitome et al., Thermorphilic ATP synthase has a decamer-c-ring: Indication of noninteger 10:3 H+/ATP ratio and permissive elastic coupl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004

Molloy, J.E., Burns, J.E., Kendrick-Jones, J., Tregear, R.T., White, D.C., 1995. Movement and force produced by a single myosin head. Nature 378, 209.212.

Ohio Firestorm of 2002, www.sciohio.org/firestorm.htm

Origins & Designs Journal, http://www.arn.org/odesign/odesign.htm

Paley, W.  Natural Theology, 1802. Reprinted in 1972 by St Thomas Press, Houston, Texas

Schnitzer, M.J., Block, S.M., 1997. Kinesin hydrolyses one ATP per 8-nmstep. Nature 388, 386.390.

Vale, R. D., Milligan, R.A., 2000. The way things move: looking under the hood of molecular motor proteins. Science 288, 88.95.

Yin, H., Wang, M.D., Svoboda, K., Landick, R., Block, S.M., Gelles, J., 1995. Transcription against an applied force. Science 270, 1653.1656.

Walker, M.L., Burgess, S.A., Sellers, J.R., Wang, F., Hammer, J.A. 3rd., Trinick, J., Knight, P.J., 2000. Two-headed binding of a processive myosin to F-actin. Nature 405, 804.807.

이승엽, 지적 설계 운동의 현황과 적용, 2003년도 창조과학 학술대회 논문집. 2003

이승엽, 임효석, 지적설계를 적용한 정보저장기기 매커니즘 연구, 2002년 창조과학학술대회 논문집, 2002

이승엽, 신운섭, 지적설계운동과 연구프로그램, 통합연구학술대회 논문집, 2004

조정일, 이승엽, 생명의 기원에 대한 세계관에 기초한 수업 추구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근거: 진화와 지적 설계의 대립, 통합연구학술대회 논문집, 2004

현창기, 진화가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통합연구학술대회 논문집, 2004

 

*참조 : Life’s irreducible structure—Part 1 : autopoiesis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1_2/j21_2_109-115.pdf

Life’s irreducible structure—Part 2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1_3/j21_3_77-83.pdf


출처 - 2004 창조과학학술대회 논문집

미디어위원회
2005-01-06

지적설계의 증거가 무신론자에게 설계자를 확신시키다.

(Intelligent Design Evidence Convinces Atheist of Designer)

David F. Coppedge


      NBC News(2004. 12. 10)의 보도에 따르면, 한 유명한 무신론자가 과학적인 증거에 근거하여 이제는 하나님을 믿게 되었다는 것이다. ”81세의 나이에, 수십 년간 고집하던 믿음은 실수였다고 말하면서, 안토니 플루(Antony Flew)는 우주는 어떤 종류의 지적 능력과 첫 번째 원인에 의해서 창조되었음에 틀림없다고 결론지었다. 플루는 영국으로부터의 전화 인터뷰에서 초월적 지성(super-intelligence)은 생명체의 기원과 복잡한 자연에 대한 유일한 좋은 설명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 ”생물체의 최초의 번식이 자연주의적 진화론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지 않다” 라고 쓰고 있다.


거의 50년 동안 영국에서 가장 노골적인 무신론자 중에 한 사람이었던 안토니 플루는, 설계자가 있음을 가리키는 너무도 분명한 증거와 경우들을 항상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 DNA에 대한 연구는 생명체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믿을 수 없을 정도의 고도로 복잡한 정렬이 있어야함을 보여주었으며, 이것은 어떤 지성이 개입되었음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제 진정한 믿음으로 가는 길의 중간 휴게소에서 머물고 있는 한 자연신론자(deist) 이다. 불행하게도 중간은 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그러나 그는 적어도 과학적 증거들은 네이쳐 지가 가정하고 있는 무신론적 이야기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플루의 이러한 무신론자로부터 전환은 종교를 언급함 없이 과학적 증거들만으로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설계자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다는 지적설계 운동의 주장을 힘 있게 뒷받침하고 있다. 플루는 그의 견해가 지적설계 이론가들의 견해와 유사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설계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크리스마스의 기쁨을 누리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그의 설계자는 우리를 사랑하셔서 십자가에 달리시기 위해 이 땅에 오신 분이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한 시계공(watchmaker)이다. 이제는 나이가 많은 안토니 플루는 아직 천국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그의 모래시계는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그는 성경을 읽어야만 한다. 그리고 빛으로 나아가야 한다. 증거들은 유익하다. 그러나 연이어 증거들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계속 나아갈 필요가 있다.


*업데이트 (12/10/2004) : 안토니 플루와 크리스챤 변증자(Christian apologist)인 게리 하버마스(Gary Habermas)와의 오랜 인터뷰는 바이올라 대학(Biola University)의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 인터뷰 내용은 중간휴게소에 머물고 있는 플루의 견해를 매우 잘 살펴볼 수 있게 한다. 그는 아직까지는 성경의 내용들을 믿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 변화 도중의 사람이다. 그러나 적어도 성경의 많은 면에 대해 놀랍도록 호의적이다. 플루 박사에게 기독교와 성경은 어떠한 다른 종교(특히 이슬람) 이상의 범주이다. 자연주의(naturalism)는 생명체의 기원을 설명하기에 부적절함으로, 자연신론(deism)은 플루 박사의 텅 빈 마음을 채워줄 수 있을까? 시간은 지성적이고 경험 많고 성실하며 연민의 사람인 하버스 박사의 19년의 영향이, 마침내 66년전 감리교도인 아버지의 가르침을 떠나 세상으로 나갔던 이 탕자 아들의 삶에 열매를 맺을 수 있을지를 말해줄 것이다.


*참조 : There Is a God: How the World's Most Notorious Atheist Changed His Mind

https://www.amazon.com/There-God-Notorious-Atheist-Changed/dp/0061335304

Antony Flew dies at 87; atheist philosopher who changed his mind late in life (2010. 4. 14. LA Times)

https://www.latimes.com/local/obituaries/la-me-antony-flew15-2010apr15-story.html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crev.info/2004/12/intelligent_design_evidence_convinces_atheist_of_designer/

출처 - CEH, 2004.12. 9

미디어위원회
2004-11-17

중력 : 신비로운 힘 

(Gravity : The mystery force)

by Dr. Don DeYoung 


      중력(Gravity)은 우리들이 땅 위에 견고하게 서있도록 붙들고 있으며,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공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보이지 않는 힘은1 하늘로부터 비를 내리게 하고, 매일 바다의 밀물과 썰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것은 지구를 구형으로 유지하게 하고, 우리의 대기가 우주로 흩어져 나가는 것을 막고 있다. 이 일상적인 중력의 힘은 과학에서 가장 잘 이해되어야 하는 개념 중의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사실은 그 반대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력은 하나의 깊은 신비로 남아 있다. 중력은 오늘날 과학 지식의 한계에 대한 놀랄만한 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중력 - 궤도에 물체들을 붙잡고 있는 끈

그림 1. 지구를 공전하고 있는 달. 매 초 동안 달은 약 0.8km 정도 여행한다. 이 거리에서 달은 지구 중력에 의한 끌어당겨짐으로 인해 직선으로부터 1mm 정도 궤도가 구부러진다. 달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들처럼 지구 쪽으로(둘레를) 계속 돌게 된다.


중력은 무엇인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은 1686년에 이것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고, 결국 중력은 모든 물체들 사이에 존재하는 인력(attractive force)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는 사과가 땅에 떨어지도록 하는 힘과 같은 힘이 달을 공전궤도에 붙잡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구의 중력은 실제로 달이 매 초마다 직선 경로로 1 mm 멀어지는 것을 막아 공전궤도를 돌 수 있도록 하고 있다(그림 1). 뉴턴의 보편적인 중력의 법칙(Law of Gravity)은 고금을 통해서 가장 위대한 과학적 발견 중의 하나이다.

중력은 자연계에서 알려진 4 개의 기본적인 힘 중에 하나이다(표 1). 주목할 것은 중력은 네 개의 힘 중에서 가장, 그리고 매우 약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거대한 규모의 우주 공간의 물체들을 지배하고 있다. 뉴턴이 보여줬던 것처럼, 어떤 두 물체 사이에 끌어당기는 중력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훨씬 줄어든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제로(0)에 도달하지 않는다. (아래의 글 ‘설계된 중력’을 보라).

그러므로 전체 우주의 모든 입자들은 실제로 그 밖의 모든 입자들을 끌어당긴다. 중력은 강력과 약력(표 1)과는 대조적으로 장거리(long-range)에 작용하는 힘이다.2 자기력과 전자기력도 또한 장거리에 작용한다. 그러나 중력은 장거리에서 항상 인력을 가지고 있어서 결코 취소되지 않는(끌어당겼다 밀쳐냈다 할 수 있는 전자기력과 같지 않는) 것이 독특하다.

1849년 위대한 창조 물리학자인 패러데이(Michael Faraday)가 시작한 이후, 물리학자들은 중력과 전자기력 사이의 숨겨진 관계를 지속적으로 조사해왔다. 네 가지의 모든 기본적인 힘들을 하나의 방정식, 또는 ‘통일이론(theory of everything)‘으로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중력은 가장 적은 부분만 이해된 힘으로 남아 있다.

        힘의 이름상대적 강도    관여하는 일
 강력(Strong)    1   원자핵의 안정성
 전자기력(Electromagnetic)    10-2 원자, 분자의 결합
 약력(Weak)    10-6 방사성 붕괴 과정들
 중력(Gravity)    10-43 우주 물체들의 안정성

(표1) 자연의 네 가지 기본적인 힘들


중력은 어떤 방법으로도 차단될 수 없다. 두 분리된 물체 사이에 있는 물체는 구성물이 무엇이든 그들 사이의 인력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이것은 중력이 없는 방(antigravity chamber)이 실험실 내에서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력은 물체들의 화학적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무게로서 인식되고 있는 질량(mass)에만 의존한다.(어떤 것에 대한 중력의 강도는 무게에 달려있다. 질량이 클수록 중력은 더 커진다). 만약 유리, 납, 얼음, 심지어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덩어리들이 모두 같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면, 동일한 중력이 작용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설명이 아닌, 실험적 발견이다.

중력은 정말 무엇인가? 어떻게 이 힘은 비어 있는 광대한 우주 공간을 가로질러 작용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우선적으로 존재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은 자연에 관한 가장 기초적인 질문들에 답하는 것에 결코 성공적이지 못했다. 중력은 돌연변이 또는 자연선택에 의해 천천히 일어날 수 없다. 그것은 우주의 바로 태초부터 존재했어야만 한다. 다른 모든 물리법칙들과 함께, 중력은 계획된 설계에 의한 창조를 증거하는 명백한 증거판(testimony)인 것이다.

중력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에는 물체들 사이를 여행하는 중력양자(gravitons)라 불리는 보이지 않는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우주의 끈(cosmic strings)과 중력파(gravity waves)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것도 확인되지 않았다. 광대한 거리를 떨어져 있는 서로 다른 물체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 지를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중력과 성경

두 군데의 성경 구절은 일반적으로 중력과 자연과학의 본질을 고려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첫 번째, 골로새서 1:17절에는 그리스도가 만물보다 먼저 계셨고, 만물이 그에 의해서 서있음(consist)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섰느니라” 그리스어의 동사 ‘consist (sunistao)’는 응집하다(cohere), 보존하다(preserve), 함께 붙들다(hold together) 라는 의미가 있다.

성경 밖에서 이 그리스어 단어의 사용은 그 안에 물을 담고 있는 용기(container)로 사용되고 있다. 이 단어는 골로새서에서 완전 시제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통상 완성된 과거의 행동으로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사용되었던 한 물리적 메커니즘은 명백히 중력이다. 이 중력은 창조주에 의해서 확립되었고, 오늘날까지도 결점 없이 유지되어오고 있다. 반대를 생각해 보자. 만약 중력이 한 순간이라도 멈춰진다면, 즉각적으로 혼돈의 무질서한 상태가 되어버릴 것이다. 지구, 달, 항성들을 포함해서, 우주의 모든 물체들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을 것이다. 모든 것들은 즉시 작은 조각들로 붕괴될 것이다.

두 번째 구절인 히브리서 1:3절은 그리스도가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들고(uphold) 계시다고 선포한다. "이는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시요 그 본체의 형상이시라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시며...”. 붙들다(uphold, phero) 라는 단어는 다시 만물을(중력을 포함하여) 지속시키다(sustaining), 유지하다(maintaining)로 기술되고 있다. 이 구절에서 붙들다 라는 단어는 단순히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는 것보다 훨씬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거기에는 우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운동과 변화들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무한한 일이 주님의 전능하신 말씀에 의해서 우주가 처음 존재하게 된 이후 관리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력이라는 이 ‘신비로운 힘(mystery force)’은 거의 4세기 동안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매우 조금만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것은 우주를 붙들고 계시는 경이로운 신성의 발현(manifestations)들 중에 하나인 것이다.


Notes

1. Einstein said it is not a force in the way others are, but an effect of the curvature of space-time.

2. According to general relativity, the effects of gravity are not instantaneous, but transmitted at the speed of light.


* 여러 물체들 사이에 끌어당기는 중력의 힘에 대한 여러 예들   

        두 물체중력의 힘(kg, 해수면에서)
  당신과 책 4.5-10(10-10 lbs)
  당신과 달 0.00045
  두 대의 인접한 기관차 0.0022
  당신과 지구 (해수면에서) 당신의 몸무게
  달과 지구 1.8×1019
  지구와 태양 3.6×1021

NB : kg은 사실 질량의 단위이다 (힘의 단위는 N(뉴튼)이고, 1kg의 무게에 작용하는 힘은  해수면에서 9.8N 이다). 주어진 질량에 의해서 가해지는 무게(힘)는 지구의 중력에 얼마나 근접한 지에 달려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였다. 


설계된 중력 (Designer gravity)

거리 r 만큼 떨어진 두 물체 m1과 m사이의 힘 F는

         F =(G m1 m2)/r2 로 쓰여질 수 있다.

여기서 G는 중력상수(gravitational constant)이고, 1798년 헨리 카벤디쉬(Henry Cavendish)에 의해 첫 번째로 측정되었다.이 방정식은 두 물체 사이의 떨어진 거리 r이 커짐에 따라 감소된다는 것을, 그러나 결코 제로(0)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방정식에서 역 제곱의 성질은 흥미롭다. 중력이 왜 이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한 본질적인 이유가 없다. 만약 우연히 우주가 진화하는 도중에 중력이 생겨났다면, r1.97 또는 r2.3 과 같은 무작위적인 숫자가 더 그럴듯해 보인다. 그러나 정확히 측정된 계산치들에 의하면, r의 지수는 소수점 다섯째 자리까지 정확하게 2.00000 임으로 밝혀졌다. 한 연구자는 이것에 대해, 이 결과는 "너무도 깔끔하게 맞춘 것처럼 보인다" 라고 하였다.2 우리는 중력의 힘은 정확하게, 창조된 설계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실제로, 지수가 정확하게 2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행성들의 궤도와 전체 우주는 불안정하게 될 것이다.    

 

Reference and note

1. For the technically minded, G = 6.672 x 10–11 Nm2kg–2

2. Thompsen, D., ‘Gravity very precisely’, Science News 118(1):13, 1980

 

* 참조 : Gravity : The mystery force
http://creation.com/gravity-the-mystery-forc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22/i3/gravity.asp 

출처 - Creation 22(3):40–44, June 2000.

미디어위원회
2004-10-02

자연에 나타난 지적 설계와 창조주 하나님

(Design In Nature To A Personal Creator)

David F. Coppedge 


     단지 자연을 통하여 하나님의 존재를 아는 것이 가능할까요? 성경의 대답은 '그렇다' 이다.

”창세기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 찌니라.” (로마서 1:18~22)

이제, 그 증거를 알아보자!


우연의 법칙

우연에 의하여 생명을 만들 수 있을까? 우연이라는 것이 얼마나 바보 같은 것인지를 알고 있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예를 들어, 당신이 임의로 1에서 10까지 새겨져 있는 10개의 동전들 중에서 하나씩 선택할 때, 우연히 1에서 10까지 순서대로 배열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100억 분의 1의 확률과 같은 것이다. 매번 시도하는 데에 5초 가량 걸린다고 한다면, 우연에 의해 1에서 10까지 순서대로 나오는 것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계속하여도, 약 1,500년의 세월이 흐른다. 생명을 우연에 의하여 창조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인가? 어떤 사람들은 불가능한 일도 우연히 일어날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충분한 시간만 있다면, 백만 마리의 원숭이가 백만 대의 타자기에서 타이핑을 한다면 우연히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것은 잘못된 비유이다. 왜냐하면,

1.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 우주는 시작을 가지고 있다. 우연적 사건이 영원히 일어날 수 없다.

2. 타자기는 고장 날 것이고, 원숭이들은 지겨워할 것이며, 죽게 될 것이다.

3. 글자들은 종이 위에 남아있지 않는다. 우연에 의해 생명이 발생하게 된 '최초의 원시 스프(primordial soup)' 에서 유용한 분자들은 생성되는 것보다 더 빠르게 파괴되었을 것이다.


우주와 지구

우주는 생명체들의 존재를 위하여 자체가 매우 정교하게 조정되어져 있다. 전자의 전하량이나 중력상수와 같은 물리학의 기본적인 수치들이 조금이라도 변한다면, 생명체는 유지되어질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정해진 법칙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생명체가 사라질 수 있는 여러 가지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목성은 위험한 소행성이나 혜성 등의 대부분을 안전하게 휩쓸어 간다. 지구는 움직임이 강한 내부 물질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단단한 지각(crust)을 가지고 있다. 내부 물질의 움직임이 더 클 경우, 지각은 녹을 것이고, 생명체는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태양으로부터의 지구의 거리, 지구로부터의 달의 거리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지축의 경사는 각 계절과 기후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달은 해양을 깨끗하게 하는 조수를 일으키기에 알맞은 크기와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달의 적절한 지름은 태양의 지름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일식을 만들어 낸다. 일일이 열거하기에 너무도 많은 이러한 사항들이 존재한다.


세포

분자 수준에서의 생명체(life)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다. 단백질, 효소, DNA에서 일어나는 화학적인 반응은 빠르고 정확하게 조화를 이루며 일어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세포에게도 최소한 239개의 단백질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단백질들 중에 하나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가장 이상적인 조건 아래에서도 1/10161 보다도 작다. 가장 단순한 세포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1/1040,000 이다. 1/1050 보다 작은 확률이 일어난다는 것은, 전 우주 내에서 사실상 불가능하다.


당신의 눈은 컴퓨터화 된 어떠한 TV 회로 시스템보다도 뛰어나다. 만들어 낸 색깔과 실제처럼 보여주는 높은 질의 움직이는 동영상들도 눈과 비교될 수 없다. 각 렌즈들은 수정 벽돌 같은 22,000 개의 투명 세포들의 미세한 층들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이 만드는 렌즈와 다르게, 눈은 최고의 굴절률과 유연성, 다양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눈의 조리개(홍채)는 불빛의 강도를 100에서 1까지 조절할 수 있다. 각막은 구면 수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매우 얇게 고루 퍼져있다. 눈의 안쪽 부위는 난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어둡다. 눈은 자신의 방어를 위한 일종의 윤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눈은 두 개의 눈동자를 협력해서 움직일 수 있는 근육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눈은 또한 1억 배나 되는 명암 차이를 감지해낼 수 있다. 망막은 1억2500만 개에 달하는 간상체(rods)와 추상체(cones)를 가지고 있다. 간상체는 마치 빠른 속도의 흑백 필름 같고, 추상체는 8백만 개의 색깔들을 인식할 수 있는 좋은 칼라 필름과 같다. 근육은 이러한 극도로 복잡한 세포들이 포화(피로화)되지 않도록 상들을 움직이게 한다. 망막의 중심부에는 원추체가 밀집되어져서 존재하는데, 각각의 시신경들은 뇌로 연결되어 있다. 당신의 눈은 당신의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아무런 수리 없이도 평생 동안을 작동할 수 있다.


당신의 귀는 대개 30만개 이상의 소리 종류를 구분해낼 수 있다. 이것은 생존하는 데에는 별 필요가 없지만, 음악을 감상하고 즐기기에 충분하다. 우리의 귀는 1에서 100억 까지의 소리 강도를 감지해낼 수 있다. 귀의 안쪽에는 20,000 개의 모세포(hair cell)가 있다. 각 모세포는 100개의 분리된 모세포로 나뉘어지는데 (모두 200만 개), 각 모세포들은 자신의 주파수와 소리 강도에 반응한다. 중이의 뼈들은 미세한 기계적 조정 역할을 담당한다. 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이들 소골(ossicles)들은 일정한 크기를 반드시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소골들은 태어나서부터 늙을 때까지 자라지 않는 유일한 뼈이다. 당신의 귀는 복잡한 스테레오 음향기기를 당신의 머릿속에서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손은 기계공학의 경이이다. 손은 27개의 뼈, 떨어져 있는 엄지손가락, 독특한 지문, 그리고 유연성을 가지고, 복잡한 다수의 일들을 수행한다. 타자를 치고, 수화를 하며,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얇은 금속에 나있는 미세한 흠집을 감지해낼 수 있으며, 야구공을 쳐내고, 망치질을 하고, 박수를 치고, 뜨개질을 하고, 악기들을 연주하고, 수영을 하고, 벽돌을 격파하고, 곡예를 하고, 손으로 마술을 하고, 그리고 셀 수 없을 정도의 평범하거나, 평범하지 않은 모든 기능들을 할 수 있다. 손톱은 매우 작은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게 하며, 기타 소리를 내게 할 수 있다. 손의 피부는 많은 학대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거칠다. 그러나 매우 작은 접촉들을 느낄 수 있을 만큼 민감하기도 하다.


얼굴

우리의 얼굴은 28 겹의 종이처럼 얇은 피하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근육들은 우리가 250,000개의 표정을 짓는데 뼈보다도 더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자신들의 종 내에서 다른 개체와 잘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 50억의 사람들은 각자 매우 독특한 얼굴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가 구별되어 진다. 사람은 얼굴을 통해 감정의 대부분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모든 것들은 사람으로서 서로 서로가 관계를 맺고 지내도록 디자인되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하나님은 각 개인을 하나님과 개인적으로 관계를 가지도록 창조하셨음을 의미한다.


우리의 뇌는 천 억 개의 뉴런(neurons)을 가지고 있다. 각 뉴런들은 다른 뉴런들과 1,000번 이상의 연결로 이어져 있다. 이것은 뉴런들 사이의 1조 개 이상으로 상호 연결이 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전기적 장치들의 연결과 맞먹는 것이다. 생각하고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뇌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적 기호와 복잡한 화학적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로봇 제작자들은 로봇들이 종이컵을 움켜쥐거나 눌러 부수는 일 없이, 가볍게 들어 올리거나 하는 단순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는 데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작은 아이들도 종이컵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다른 수천만 명의 사람들도 특별한 생각 없이도 누구나 이 일을 할 수 있다.


유전정보 (DNA)

당신의 몸 전체는 바늘 끝 보다도 훨씬 작은 수정란 세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안에는 당신 몸의 조직, 기관, 기능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완벽한 암호 체계가 들어 있다. 만약에 살고 있는 모든 인류의 수정란 속의 DNA를 다 모은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우표 무게의 1/50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우리 몸에 있는 세포들 속에 들어있는 DNA의 총 길이는 달까지 100,000번을 왕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한 스푼 안에 다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책으로 그것을 기록한다면, 정보의 양은 그랜드 캐년 40개를 채우고도 남을 책들이 될 것이다.


수많은 설계의 사례

70-80 년 동안 한번도 쉬지 않고 작동하는 심장, 순환기관, 소화기관, 호흡기관, 배설기관, 생식기관, 림프계, 내분비선, 골격, 감각기관, 면역기관, 그밖에 신체에 있는 모든 기관이나 조직들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들의 긴밀한 관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쉬지 않고 42km를 달리는 마라토너, 공중 2번 제비돌기를 하는 체조선수, 그리고 신체적 결함으로 인해 수학적 계산을 오로지 머리로만 해야 하는 물리학자에게서 이들 기관들이 함께 일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실제로 우리들은 경이롭고 신묘막측하게 만들어져 있다 (시편 139:14). 예전에 무신론자인 칼 세이건(Carl Sagan)은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150억년 동안의 우주 진화에 의해 수소 원자들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을 믿을 수 있겠는가? 이 극도로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들이 우연히 저절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인가? 성경에서 전하는 말씀을 다시 한번 읽어 보자.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나나니 이는 하나님을 알 만한 것이 그들 속에 보임이라 하나님께서 이를 그들에게 보이셨느니라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하나님을 알되 하나님을 영화롭게도 아니하며 감사하지도 아니하고 오히려 그 생각이 허망하여지며 미련한 마음이 어두워졌나니 스스로 지혜 있다 하나 어리석게 되어"  (로마서 1:18~22) 

설계(design)는 설계자(designer)가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극도로 복잡한 질서의 설계는 전지하시며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미한다. 우리들이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각각 설계되었다는 것은 한 사람 한 사람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의미한다. 당신을 만든 창조주이시며, 하늘에 계신 당신의 아버지를 알기를 원하는가? 오늘부터 성경 읽기를 시작하라.


번역 - 한동대 창조과학연구소

링크 - http://www.christwatch.com/journals/body.htm

출처 - Christ Watch



한국창조과학회
2004-08-07

창조의 증거들 

(Evidence for Creation)


1. 화석 기록

 진화론자들은 오늘날 관측되는 '원시적인' 생명체로부터 '좀더 복잡한' 생명체로의 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지질주상도(Geologic Column)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지구 표면의 단지 극히 일부분만이 지질주상도를 충족하기 때문에, 전 지구에 걸쳐 암석/생명체/시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었던 장소들이 있었다는 그들의 주장은 환상이고 상상에 의거한 주장인 것이다.'1  ”일련의 전이형태 화석들의 결여는 화석 증거의 부족으로 더 이상 변명될 수 없다. 이러한 결여는 사실이며, 결코 채워지지 않을 것이다."2  이 상상의 지질주상도는 실제로 한 지질시대의 지층과 다른 지질시대의 지층에 걸쳐서 놓여져 있는 ”다지층 화석(polystrate fossils)”으로 이해될 수 있다. "편견 없이 보면, 식물들의 화석 기록은 특별한 창조를 지지하고 있다.”3


2. 지구 자기장의 감소

 텍사스 대학의 물리학 명예교수인 토마스 반즈(Tomas Barnes) 박사는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4 1829년 이래로 계속된 과학적 관측은, 지구의 자기장(earth's magnetic field)이 측정가능 하도록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되어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그는 자기장의 반감기가 대략 1,400 년 정도인 것을 증명하였다. 실질적인 적용을 해본다면, 20,000년 전 지구는 엄청난 자기력을 가지고 있는 자기 별(magnetic star)과 같아야만 한다. 이러한 상항에서는, 생명 과정에 필요한 많은 분자들이 형성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에 의하면, 전 지구의 역사는 수 천년 이내로 매우 젊음을 가리키고 있다.


3. 전 지구적 홍수

성경은 노아의 시대에 전 지구적인 홍수가 있었음을 명백히 묘사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수백 의 홍수전설들이 전 세계의 많은 문화들에 걸쳐서 전해져 오고 있다.5 클라크(M. E Clark)와 헨리 보스(Henry Voss)는 모든 대륙에서 볼 수 있는 층을 이룬 퇴적 지층들이 그러한 한 번의 홍수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을 논증하고 있다고 하였다.세속적인 학자들도 지구의 퇴적지층에는 매우 빠른 퇴적과 엄청난 탄소화합물의 퇴적 기간이 있었음을 보고하고 있다.7  이제 성경의 홍수가 역사적으로 실제 했었다는 것이 입증 가능하게 되었다.8


4. 인구 통계학

최근의 세계 인구 성장률(population growth rate)은 한 해에 약 2% 정도 이다. 인류 역사를 통한 인구 성장률의 실제적인 적용은 그 수치의 반 정도였을 것이다. 전쟁, 질병, 기근 등은 평균적으로 82년 마다 대략 인구의 1/3 정도를 휩쓸어 버렸다. 노아의 홍수 이후 (대략 4,500년 전에) 8명으로부터 이러한 인구 성장률을 적용한다면, 오늘날 인구수는 60억명 이하로 주어질 수 있다. 하지만 진화론적 시간 척도로 이것을 적용한다면, 심각한 어려움에 봉착한다. 한 예로 41,000년 전에 단 한 쌍으로 인류가 시작했다면, 오늘날 전체 인구수는 2x1089 명이 된다.9 지구는 그 많은 시체들을 수용할 공간이 없다.


5. 방사성 후광

물리학자 로버트 젠트리(Robert Gentry)는 화강암 결정에서 분리된 폴로늄(polonuim)-214의 방사성 후광(Radio Halos)을 보고하여 왔다. 이 원소의 반감기(half-life)는 0.000164초 이다! 이처럼 짧은 반감기를 가진 원소의 존재가 기록되기 위해서, 화강암은 그 순간에 결정 상태로 있었음에 틀림없다.10 이것은 화강암이 형성되는 데에 3억 년이 걸렸다는 진화론적인 평가와 반대된다.


6. 전 지질주상도에 나타나는 인간의 유물들

 인간이 만든 유물들과 인간의 흔적들이(가령 백악기 암석에서 나온 망치, 캄브리아기 암석에 삼엽충과 같이 나있는 사람의 발자국, 백악기 암석에 사람 손자국과 사람 발자국들...) 전 지질시대에 걸쳐서 나타난다는 사실은, 모든 지질학적 시대들이 사실은 가까운 과거에 거의 동시에 일어났었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11

  

7. 지구 대기 중의 헬륨의 양

 노벨상 수상자인 물리학자 멜빅 쿡(Melvin Cook)은 헬륨-4가 태양풍과 우라늄의 방사성 붕괴로부터 우리의 대기권으로 들어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현재의 율로 계산하면, 대기권에 있는 오늘날의 헬륨-4의 양은 10,000년 이내에 축적되어졌다.12


8. 우주 구조의 팽창

여러 은하들의 거리에 대한 천문학적인 평가들은 상충되는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13 성경의 기록은 창조주에 의해서 우주가 팽창되고 있음을 전하고 있다.14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하늘을  펴셨다 라고 기록되어 있음). 천문학자인 러셀 험프리 (Russell Humphries)는 그러한 우주의 팽창이 먼 우주에 대한 시간을 팽창시켰을 것이라고 논증하였다.15 이것은 최근의 창조로도 엄청난 거리에 있는 별들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

 

9. 생체 시스템의 설계

하나의 살아있는 세포는 경외심을 일으킬 만하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호 의존하고 있는 세포 구성물들은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하며 진화론적인 상상을 0무너뜨리고 있다. 하나의 작은 세포는 100개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60,000 개가 넘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16 이러한 세포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104,478,286 분의 1 이다.17


10. 인간 뇌의 설계

 인간의 뇌(Human brain)는 우주에서 알려진 구조물 중 가장 복잡하다.18 인간의 뇌는 1천억 개 이상의 세포들로 구성되어있고, 각 세포들은 다른 뇌세포들과 연결되어 있는 5만개 이상의 뉴런(neuron)들을 가지고 있다.19  이 구조는 매 초마다 전체 몸에서부터 나오는 일억 개 이상의 분리된 신호들을 감지하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매초마다 새로운 무언가를 배운다 하더라도, 인간의 뇌 능력을 다 쓰는 데에는 3백만 년이나 걸릴 것이다.20 자각적인 생각에 부가해서, 사람들은 논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어떤 일을 해보지 않고도 결과를 예측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다.21

  

 

References

 1. Woodmorappe, John, 'The Essential Non-Existence of the Evolutionary Uniformitarian Geologic Column: A Quantitative Assessment,'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vol. 18, no.1 (Terre Haute, Indiana, June 1981),pp. 46-71

2. Nilsson, N. Heribert, as quoted in Arthur C. Custance, The Earth Before Man, Part II, Doorway Papers, no. 20 (Ontario, Canada: Doorway Publications), p. 51

3. Corner, E.J.H., Contemporary Botanical Thought, ed. A.M. MacLeod and L.S. Cobley (Chicago: Quadrangle Books, 1961), p. 97

4. Barnes, Thomas, ICR Technical Monograph #4, Origin and Destiny of the Earth's Magnetic Field (2nd edition, 1983)

5. Blick, Edward, A Scientific Analysis of Genesis (Oklahoma City: Hearthstone, 1991) p. 103

6. Clark, M.E. and Voss, H.D., 'Fluid Mechanic Examination of the Tial Mechanism for Producing Mega-Sedimantary Layering'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 Pittsburg, July 1994)

7. Ager, Derek, The Nature of the Stratigraphical Recor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 43 and p. 86

8. West, John Anthony, Serpent in the Sky: The High Wisdom of Ancient Egypt (New York: Julian Press, 1987) pp. 13-14

9. See Morris, Henry, Scientific Creationism (El Cajon, CA: Master Books)

10. Gentry, Robert, Creation's Tiny Mystery (Knoxville, Tenn.: Earth Science Assoc.,1988)

11. Baugh, Carl, Why Do Men Believe Evolution AGAINST ALL ODDS? (Oklahoma City: Hearthstone, 1999)

12. Cook, Melvin, 'Where is The Earth's Radiogenic Helium?' Nature, Vol. 179, p. 213

13. Cowan, R., 'Further Evidence of a Youthful Universe,' Science News, Vol. 148, p. 166

14. Psalm 104:2; Isaiah 40:22

15. Humphries, Russell, Starlight and Time (Green Forest, AR: Master Books, 1994)

16. Denton, Michael, Evolution: A Theory in Crisis (Bethesda, Maryland: Adler & Adler, 1986) p. 263

17. Mastropaolo, Joseph, 'Evolution Is Biologically Impossible,' Impact # 317 (El Cajon, CA: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1999) p. 4

18. Restak, Richard, The Brain: The Last Frontier, 1979, p. 390

19. The Brain, Our Universe Within, PBS Video

20. Wonders of God's Creation, Moody Video Series

21. Weiss, Joseph, 'Unconscious Mental Functioning,' Scientific American, March 1990, p. 103



번역 - 한동대 창조과학연구소

링크 - http://www.creationevidence.org/scientific_evid/evidencefor/evidencefor.html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139

참고 : 5438|5430|5426|5432|5335|5351|5352|5359|5317|5382|5327|5287|5224|5158|5128|5104|5088|4764|4762|4849|4856|4759|4728|4693|4219|4212|4197|4151|4056|4041|3947|3806|3976|3855|3394|3803|2988


미디어위원회
2004-07-26

생명의 분자적 기초에서 볼 수 있는 설계의 증거 

: 눈, 섬모, 편모, 그리고 설계에 대한 이해

Michael J. Behe 


역주 : 이 글은 미국 Lehigh 대학의 생화학 교수인 마이클 베히(Michael J. Behe)가 1999년 웨더스필드(Wethersfield) 연구소(미국 뉴욕 소재)에서 강연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이다. 베히는 최근 그 영향력을 넓혀 가고 있는 '지적설계운동 '(intelligent design movement)의 대표적인 학자로서, 이 분야에 있어 그의 기념비적 저서인 <다윈의 블랙박스>를 통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저자가 카톨릭 신자인 관계로 추기경 라칭거(Ratzinger)의 글을 창조론 쪽의 대표적인 글로 인용하고 있으며, 성경적인 내용을 좀 더 강하게 전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순수 과학자로서 종교를 배제하고 어떻게 기원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최신의 생화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 정연하고 설득력 있게 잘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으로 믿는다.

 

요소(尿素)와 목적

1828년 독일의 화학자 Friedrich Wohler는 실험실에서 암모늄 시안산염을 가열했을 때 거기서 요소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암모늄 시안산염은 생물체에는 존재하지 않는 무기화학물이지만, 요소는 생물체의 대사분비물이기 때문이었다.

이 일로 Wohler는 비생체물질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준 첫 번째 사람이 되었다. 그의 실험은 당시까지 존재하던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구분에 대한 믿음을 깨뜨리게 되었고, 더 나아가 모든 생물체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길을 열게 되었다.  

만약 생물체도 바위나 기타 다른 물질과 같이 보통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면, 과학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실제로 그 후 170년 이상 지난 오늘날, 과학은 생명에 대하여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DNA의 구조가 밝혀졌으며, 유전암호를 해독하였고, 유전자와 세포, 그리고 전체 생물 개체까지도 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과학의 진보는 우주와 생명의 궁극적인 본성에 대하여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물론 많은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크게 두 개의 반대되는 견해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견해는 아마도 옥스퍼드 대학에서 과학의 대중적 이해를 가르치는 교수로 있는 리처드 도킨스(Richrd Dawkins)로 대표될 것이다. 도킨스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가 관찰하는 이 우주는 본질적으로 설계와 목적, 선과 악이 없이 단지 방향성 없는 무관심만 존재할 때에 우리가 볼 것으로 기대되는 성질들을 정확하게 갖고 있다.”1  분명히 이것은 매우 황량한 그러나 심각하게 제안된 견해이다.  

두 번째 견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hn Paul Ⅱ)의 고문으로 있는 추기경 조세프 라칭거(Joseph Ratzinger)에 의해 대표된다. 약 15년 전 추기경 라칭거는 <태초에: 창조와 타락에 대한 카톨릭의 이해>(In the Beginning: A Catholic Understanding of the Story of Creation and the Fall)라는 제목의 작은 책을 썼는데, 그 책에 아래와 같이 썼다 :

”......진화론과 그 작용기작의 질문으로 직접 가 보자. 미생물학과 생화학의 발전은 혁명적인 통찰을 가져다주었다.....특별히 생물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나무(역주: 보통 계통도라고 알려진 것으로 생물간의 유연 관계를 보여 준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진화와 창조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계통도가 있다)가 어떻게 발전하고 새로운 가지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자연과학의 일이고, 신앙의 문제는 아니다(역주: 여기서 추기경이 어떤 의도로 이런 말을 하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진화냐 창조냐 하는 문제가 신앙과 관련이 없다는 뜻은 아니고, 다만 구체적인 생물 다양성의 작용기작을 연구하는 일은 자연과학에서 다루어야 하는 일임을 강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우리는 생명창조의 위대한 계획이 우연과 실수의 산물이 아니라고 말할 용기가 있어야만 한다....(그것은) 창조적인 이성을 가리키고, 창조적인 지성을 보여 준다.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 더 밝고 눈부시게 나타난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 새로운 확신과 기쁨을 가지고 인류는 정말로 하나님의 계획이었으며, 오직 창조적인 지성이 그것을 잉태할 만큼 충분히 강하고 위대하며 대담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인류는 실수가 아니라 어떤 의지의 산물인 것이다...”2

나는 추기경의 주장 가운데에서 세 가지 요점을 잡아내고 싶다.

첫째, 도킨스 교수와는 달리, 라칭거는 자연은 목적과 설계를 보여준다고 말하였다.

둘째,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기 의해서 그는 물리적 증거 -”창조적 이성을 가리키는 살아있는 창조의 위대한 생산물들”-를 지적하였다. 철학적이거나 신학적 혹은 성경적 주장이 아니라, 바로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구조들을 지적하였다.  

셋째, 라칭거는 그의 결론과 특별히 관계 있는 것으로, 생명의 분자적 기초를 연구하는 학문인 생화학을 인용하였다.

왜 라칭거 추기경이 보다 더 강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왜 도킨스 교수가 이 우주의 목적 없음에 대하여 절망할 필요가 없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 글을 쓴다.

 

눈을 설명함

물론 생명의 본성에 관한 많은 토론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 <종의 기원>을 출간한 1859년에 시작되었다. 그의 책에서 다윈은 그가 나기 전에 어느 누구도 할 수 없었던 일-생명의 대단한 다양성과 복잡성이 어떻게 누군가에 의해 안내되지 않고 자연과정만으로 생겨날 수 있었는가 설명한 것-을 제안하였다.  

그가 제안한 작용기작은 물론 무작위적 변이 위에서 작용하는 자연선택이었다. 아주 간단하게, 다윈은 모든 종 안에 변이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같은 종 안에서 어떤 것은 다른 것보다 크고, 어떤 것은 빠르고, 어떤 것은 색깔이 어둡다. 단순히 다윈은 그들이 모두 먹고 살 만한 먹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한 종에 속하는 생물의 모든 개체들이 자손을 이어갈 수 있도록 생존하지는 못할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연히 생존 경쟁에서 유리한 변이 개체가 생존하여 자손을 낳는 경향이 높다고 추론하였다. 만약 그 변이가 유전된다면 오랜 시간에 걸쳐 종의 특성이 변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리고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다면, 아주 커다란 변화도 일어날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다윈의 이론은 매우 고상한 생각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이 아닌 이미 19 세기 중엽의 생물학자들도 다윈이 상상한 것과 같은 점진적인 방식으로 될 수 없는 몇 가지 생물체계를 알고 있었다. 특별히 그 중의 한 가지는 눈이었다.  

그 시대의 생물학자들도 눈이 렌즈, 망막, 눈물관, 안구근 등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를 갖는 매우 복잡한 구조물인 것을 알고 있었다. 만약 어떤 동물이 불행히도 그들 구성요소 중 어떤 하나를 갖지 않고 태어나면, 심하게 시력을 잃거나 장님이 될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런 체계적인 구조가 여러 단계를 거친 자연선택에 의해 한데 모아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심하였다.  

하지만 다윈도 눈에 대하여 알고 있었다. 그리고 <종의 기원>에서 ”극단적으로 완벽하고 복잡한 기관”이라고 적당하게 제목을 붙인 한 섹션에서 눈에 대하여 적고 있는데, 거기에서 그는 눈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 정말로 모르겠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우리가 만약 현재 생물체들의 눈을 바라본다면, 상당한 변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썼다.

어떤 생물체들은 진짜 '눈'이 아니라, 단지 빛에 민감한 세포들의 집합체를 갖고 있을 뿐이다. 이런 구조는 밝은 곳에 있는지 혹은 어두운 곳에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주지만, 빛이 어느 방향에서 오는지를 알 수는 없다. 왜냐하면 어느 각도에서 빛이 오든지 빛에 민감한 세포들을 자극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의 어떤 생물체에서 보듯이 빛에 민감한 세포들의 집합체를 압축하여 놓으면, 어느 한쪽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은 빛에 민감한 한 부분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그림자를 드리울 것이고, 다른 한쪽은 밝게 비출 것이라고 다윈은 진술하였다.

이론적으로 그와 같은 구조는 생물체로 하여금 어느 방향에서 빛이 오는지를 알 수 있게 할 것이고 그것은 일종의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세포들을 컵 모양으로 압축할수록 방향을 찾는 능력이 증가될 것이다. 그리고 만약 컵을 아교성 물질로 채운다면, 아직은 조악하지만 렌즈의 시작이 될 것이고 그것은 더욱 발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논쟁을 통하여 다윈은 빛에 민감한 세포들의 집합과 같이 단순한 것으로부터 현대 척추동물의 눈과 같이 복잡한 것이 점진적인 진화의 경로를 통하여 생겨났다고 당시 사람들을 설득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진화론이 눈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면, 다른 무엇인들 설명할 수 없었겠는가?

그러나 다윈의 이론적 구성에는 다루지 않은 질문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도대체 빛에 민감한 그 세포의 집합체는 어디서 왔는가 하는 점이다. 대부분 관찰되는 대상은 빛에 대하여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다윈의 주장은 이상한 출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다윈은 그 같은 질문을 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는 ”어떻게 하나의 신경세포가 빛에 민감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은 어떻게 생명 그 자체가 기원하였는가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지는 않다”라고 말하였다.3

지난 반세기 동안 과학은 시각의 작용기작과 생명의 기원, 두 질문에 모두 관심을 가져 왔다. 그렇지만 내 생각에 다윈이 그 같은 질문을 제기하지 않은 것은 옳았다. 왜냐하면 당시의 과학은 그것을 조사할 물리적이거나 개념적인 도구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잠시 맛보기로 19세기 중엽의 과학 수준을 말해보면, 당시에는 모든 화학의 기초가 되는 원자에 대해서 단지 이론적인 존재로만 여겼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그 어느 누구도 원자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실히 알지 못했다.

우리가 오늘날 생명의 기초라고 알고 있는 세포도 당시에는 단지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작은 젤로 조각 이상의 어떤 것도 아닌 단순한 원형질 덩어리라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다윈은 질문을 제기하지 않고 미래에는 그의 이론을 지지해 줄 발견이 있으리라는 희망 아래 그것을 하나의 블랙박스로 남겨 놓았던 것이다.  

'블랙박스'란 흥미 있는 일을 하지만, 누구도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르는 어떤 기계나 체계를 지칭할 때 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그 속을 들여다보며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작동을 볼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들이 매우 복잡하여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의 작용기작을 알 수 없다.

우리들 대부분(그리고 나의 경우 분명히)에게 있어 블랙박스의 좋은 예는 컴퓨터이다. 글을 쓰거나 게임을 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만, 그것이 어떻게 작동되는지는 아주 희미하게도 알지 못한다. 심지어 겉을 뜯어내어 안에 있는 회로를 들여다보더라도 나는 여전히 컴퓨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말할 수 없다. 말하자면 다윈 시대의 과학자들에게 있어서는 세포가 하나의 블랙박스였다. 세포는 매우 흥미 있는 일을 하지만, 어느 누구도 어떻게 그 일이 이루어지는 줄 몰랐다.  

사람들은 블랙박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어떤 간단한 작용기작, 즉 상자 안은 복잡하지 않아야 하고, 이해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해야 한다는 식으로 가정하는 심리적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바다 진흙 속에서 세포 생명체가 저절로 생겨났다고 믿는 믿음이다.

19세기에 두 명의 저명한 과학자이며 다윈의 지지자였던 헥켈(Ernest Haeckel)과 헉슬리(Thomas Huxley)는 탐험선이 퍼 올린 바다의 진흙 중 어떤 것은 살아 있는 세포일지 모른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에게 있어 세포란, 헥켈의 말을 빌리면 ”하나의 단순하고 작은 탄소의 단백질성 조합의 덩어리”4였기 때문에 그렇게 믿을 수 있었다.

물론 금세기에 이루어진 생물학의 굉장한 발전으로 우리는 이와는 다르게 알고 있다. 이제 현대 과학이 세포의 블랙박스를 열었기 때문에, 다윈을 힘들게 했던 그 질문을 다시 제기해 볼 필요가 있다. 빛에 민감한 부위를 만들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가? 빛의 광자가 망막에 부딪혔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하나의 광자가 처음에 망막에 부딪히면 11-씨스-레티날(11-cis-retinal)이라고 불리는 작은 유기분자와 작용을 한다.5 레티날의 모양은 보통 구부러져 있는데, 광자와 작용을 하면, 똑바로 펴지면서 트랜스-레티날 (trans-retinal)로 바뀌게 된다. 이것이 시각을 일으키는 하나의 전체적인 연쇄사건의 작동을 일으키는 신호가 된다.  

레티날은 모양을 바꿀 때 그것에 붙어 있는 다른 단백질 로돕신(rhodopsin)의 모양도 변하게 한다. 로돕신의 모양 변화는 다른 종류의 단백질인 트랜스듀신(transducin)이 달라붙을 연결 부위를 노출시킨다. 이제 로돕신과 결합된 트랜스듀신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면서 포스포다이에스터라제(phosphodiesterase)라고 불리는 단백질과 결합을 한다.

그 일이 일어날 때, 포스포다이에스터라제는 싸이클릭 GMP(cyclic GMP)라고 불리는 작은 유기분자를 잘라내어 그것을 5-GMP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세포 내에는 많은 싸이클릭 GMP가 있고 그 중 어떤 것은 이온 통로 역할을 하는 다른 종류의 단백질에 달라붙는다.

정상적으로 이온 통로는 나트륨 이온을 세포 안에 들어가게 한다. 하지만 포스포다이에스터라제의 활동으로 싸이클릭 GMP의 농도가 줄어들면, 이온 통로에 붙어 있던 싸이클릭 GM가 떨어지며, 이온 통로의 모양이 변화돼 결국 통로를 닫게 한다. 그 결과 나트륨 이온은 세포 안으로 더 이상 들어갈 수 없게 되고, 세포 안의 나트륨 농도가 감소해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전압이 변하게 된다.

그것이 차례로 전기적 극성을 띠는 파동을 일으켜 시신경 아래 뇌까지 전달된다. 그리고 이제 뇌가 받아들인 전기신호를 해석하게 되면, 그것이 바로 시각이다. 바로 이것이 다윈이 말한 '간단한' 빛에 민감한 세포 부위가 어떻게 기능을 하는지에 대하여 현대과학이 발견한 것이다.

 

다윈의 판단 기준

대부분의 사람들은 분명히 위에서 기술한 시각정보 처리과정이 복잡하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단지 기능하는 시각체계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몇 가지 것들을 무시한, 시각의 화학적 성질의 간단한 그림에 불과하다. 가령 나는 체계의 복구, 즉 어떻게 시각체계가 다음 번에 들어오는 광자를 위해서 처음의 출발점으로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위에 기술한 설명이 다윈과 그의 동시대 사람들이 간단한 출발점으로 여겼던 것이 사실은 다윈이 상상했던 그 어느 것보다도 훨씬 엄청나게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어떻게 우리가 눈이나 혹은 다른 생물체들의 구조가 너무도 복잡해서 다윈의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는지의 여부를 말할 수 있을까? 사실은 다윈 자신이 우리에게 판단할 기준을 주었다. 그는 <종의 기원>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만약 수많은 연속적인 작은 변화에 의해서 형성될 수 없는 어떤 복잡한 기관이 존재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면, 나의 이론은 절대적으로 깨어지고 말 것이다.”6

그러면 과연  ”수많은 연속적인 작은 변화”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는 것은 어떤 종류의 기관이나 체계일까? 우선 그것은 환원불가능한 복잡성(irreducibly complex,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을 가질 것이다.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이란 상상적인 어구이지만, 매우 간단한 개념을 나타낸다.

내가 <다윈의 블랙박스: 진화론에 대한 생화학적 도전>에서 쓴 것처럼,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갖는 체계란 ”기본적인 기능에 기여하는 몇 개의 잘 짝지어지고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그 중의 어느 한 부분을 제거하면 효과적인 체계의 기능을 멈추게 하는 그런 하나의 체계를 말한다.”7  

덜 형식적으로 말하면,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이란 한 체계가 서로 상호 작용하는 몇 개의 부분들을 갖고 있는데, 만약 그 중의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그 체계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의 한 가지 좋은 예는 간단한 쥐덫이다.  

철물점에서 보통 살 수 있는 쥐덫은 일반적으로 밑에 나무판이 있고 거기에 다른 부분들이 붙어 있다. 또한 양끝이 연장된 스프링이 하나 있는데, 한쪽 끝은 나무판에 붙어 있고 다른 한쪽은 실제로 쥐를 붙잡는 역할을 하는 해머(hammer)라고 부르는 금속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누군가 해머를 아래로 누르면 쥐가 그리로 지나갈- 때까지 그 위치에 그대로 있어야 하는데, 쥠막대(holding bar)가 그 일을 한다. 쥠막대 끝 부분도 고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캣취(catch)라고 불리는 금속 조각에 붙어 있다. 그리고 이 모든 부품들은 다양한 꺾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제 만약 이 쥐덫이 스프링, 혹은 해머, 혹은 나무판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될까? 전에 하던 것의 절반 아니면, 1/4 정도만 쥐를 잡지 못하게 될까? 아니, 쥐를 전혀 잡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갖고 있다.

결과적으로 환원불가능한 복잡성 체계는 다윈의 이론에게는 두통거리가 되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다윈이 생각한 것과 같이 점진적으로 한 계단 한 계단 변해 가는 식으로 만들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가 쥐덫을 진화시키기 원한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나무판으로 시작해서 비록 비효율적이지만 쥐 몇 마리를 잡을 수 있기를 바랄 수 있을까?  거기에 쥠막대를 첨가하고 효율을 조금 더 개선시킬까? 그리고는 한번에 하나씩 다른 부품들을 더해가면서 전체 장치를 꾸준히 향상시킬까? 아니, 그렇게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쥐덫은 완전하게 조립될 때까지는 전혀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윈주의에 대한 생화학적 도전

쥐덫은 그렇다 치지만, 생물학적 체계는 어떤가?  우리가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은 과연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갖는 어떤 생물학적 세포나 생화학적 체계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대답은 그와 같은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의 체계가 사실은 매우 많다는 것이다.  

두 가지 예를 들어 보자. 첫 번째는 섬모이다. 섬모라는 것은 여러 형태의 세포 표면에 나와 있는 작은 머리털 같은 소기관이다. 섬모는 앞뒤로 채찍 모양의 움직임을 통하여 세포 표면 위로 액체를 움직이는 흥미로운 능력을 갖고 있다. 허파 내 어떤 조직에서는 각각의 세포가 수백 개의 섬모를 갖고 있으며, 그것들은 또한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그림. 1  (위) 외부 미세관들의 융합된 이중-고리 구조, 중앙 미세관들의 단식-고리 구조, 연결 단백질들, 그리고 다이네인 발동기를 보여 주는 섬모의 단면도.  (아래) 이웃하는 미세관을 '걸어' 올라가는 다이네인에 의해 유도된 미끄럼 운동이 휘어지는 연결 단백질 넥신에 의하여 굴곡 운동으로 전환됨.

섬모성 세포 사이에는 가블릿(goblet) 세포라고 불리는 더 커다란 세포가 있는데, 허파의 벽면에 점액을 분비한다. 이 점액은 섬모의 운동에 의하여 목구멍까지 휩쓸려 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허파에 들어갔을지도 모르는 어떤 먼지 입자나 다른 외부 물질들과 함께 기침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무엇이 작은 머리털 같은 소기관을 앞뒤로 채찍 같이 움직이게 하는가? 과거 수십 년간의 연구는 섬모가 사실은 매우 복잡한 분자기계라는 것을 보여 준다.  

섬모는 아홉 개의 이중 미세관(double microtubule)으로 이루어져 있다8 (그림 1 참조). 각각의 이중 미세관은 다시 각각 10개와 13개의 튜불린(tubulin) 단백질 줄로 이루어진 두 개의 고리를 가진다. 섬모의 중앙에는 두 개의 단식 미세관(single microtubule)이 있고, 모든 미세관들은 여러 형태의 연결 단백질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웃하는 이중 미세관들은 넥신(nexin)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깥쪽에 위치한 이중 미세관들은 안쪽의 단식 미세관에 방사상 단(radial spoke)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중심에 있는 두 개의 단식 미세관 끼리는 작은 연결 다리에 의하여 붙어 있다. 게다가 각각의 이중 미세관에는 두 개의 부속물이 붙어 있는데, 각각 바깥과 안쪽에 있는 다이네인(dynein) 다리이다.

비록 이 모든 것이 복잡해 보이지만, 이것은 단지 간략한 기술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으로 섬모 전체의 복잡성을 다 말했다고 할 수는 없다. 실제로 수많은 생화학적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바에 의하면, 섬모는 대략 200여 종류의 서로 다른 단백질 부품을 갖고 있다!  

그러면 섬모는 과연 어떻게 작동하는가?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섬유-미끄러짐 기작' (sliding-fiber mechanism)에 의하여 움직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웃하는 미세관들은 섬유 (fiber)이고, 다이네인은 '발동 단백질'(motor protein)이다.

섬모가 작동할 때, 한쪽 튜불린 줄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네인은 길게 뻗어 옆에 이웃하는 미세관에 달라붙어 그것을 아래로 잡아당긴다. 이 일이 일어날 때, 미세관들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져 움직이기 시작한다. 만약 연결 단백질인 넥신을 통해 서로 붙잡고 있지 않다면, 서로 떨어질 때까지 미끄러져 움직일 것이다.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헐거운 편이지만, 섬유가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넥신은 점점 더 긴장된다. 넥신과 미세관의 긴장 상태가 어떤 점 이상으로 증가되면, 미세관이 구부러지게 된다. 그러면 미끄럼 운동은 이제 굴곡 운동으로 바뀐다.  

누구나 이것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섬모가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만약 미세관이 없다면, 미끄럼 운동은 일어나지 못할 것이다. 만약 다이네인이 빠진다면, 섬모를 구성하는 전체 기구는 빳빳하고 무 운동 상태에 놓여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만일 넥신 연결체가 없다면, 다이네인이 미세관을 밀어내기 시작할 때 섬모를 구성하는 전체 기구가 서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넥신을 제거한 실험에서도 확인되었다.

쥐덫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섬모도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부품이 필요하다. 또한 쥐덫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 계단 한 계단 진행하는 다윈 식의 점진적인 방법으로 섬모가 생성되었다는 것은 매우 상상하기 어렵다.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갖는 생화학적 체계의 또 다른 한 예는, 운동을 위한 소기관이라는 점에서는 섬모와 비슷하다. 그러나 다른 점에서 볼 때는 완전히 다르다. 박테리아의 편모는, 박테리아가 헤엄쳐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문자 그대로 배 밖에 붙어 있는 하나의 발동기 (motor)와 같다.9 (그림 2를 보라)

사람이 만든 모터보트에 힘을 주는 기계장치처럼 편모는 하나의 회전 기구여서, 회전하는 표면이 액체 매체를 밀어내면서 박테리아를 움직이는 힘을 얻는다. 추진기(propeller) 역할을 하는 편모의 부분은 기다란 채찍 같은 구조로 플라젤린(flagellin)이라고 부르는 단백질로 만들어진다.

추진기는 갈고리(hook) 단백질에 의해 구동축(drive shaft)에 붙어 있는데, 갈고리는 만능 이음새(universal joint) 역할을 하며 추진기와 구동축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한다. 구동축은 회전 발동기(rotary motor)에 붙어 있고, 회전 발동기는 그것을 돌아가게 하기 위한 힘을 얻기 위하여 박테리아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는 산(acid)의 흐름을 사용한다.

구동축은 박테리아의 세포막을 뚫고 통과하여 박혀 있어야 하는데, 몇 가지 종류의 단백질이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투관 물질(bushing material)로 사용된다. 여기까지만 말해도 편모가 복잡한 구조인 것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편모가 보여 주는 복잡성은 이보다 더하다.

기능을 제대로 하는 하나의 편모를 만들기 위해서는 편모 자체의 부품이나 세포 안에서 이것을 만드는 체계의 부분으로서 약 40여 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철저한 유전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의 단백질이 없는 경우 정상적인 편모의 절반 혹은 1/4 빠르기로 회전하는 편모를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편모가 아예 만들어지지 않거나, 만들어져도 전혀 작동되지 않는다.  

섬모나 쥐덫과 같이, 편모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부품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섬모는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가지며, 그것의 기원은 다윈의 이론에 상당한 걸림돌이 된다.  

 

다윈 식의 상상

나는 섬모나 편모를 발견하지는 않았다. 그것의 작용 기작을 밝혀낸 사람은 내가 아니다.  그 일은 수십 년 동안 세계의 수많은 연구실에서 행해졌다. 그러나 내가 주장한 것처럼 이들 구조들이 다윈 식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다면, 다른 과학자들은 분자 기계들에 대하여 무엇이라고 말해왔을까?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분자진화학회 지(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JME)를 한 번 보자. 그 이름이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JME는 생명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그 후 어떻게 다양해졌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하여 특별히 만들어졌다. 흥미롭고 엄격한 자료를 출간하는 좋은 학회지로 편집위원을 맡고 있는 약 40 여명의 과학자 가운데 대략 15명 정도가 미국국립과학회의 회원이다.  

하지만 최근에 나온 어느 한 권을 보면 거의 대부분의 논문이 '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이라고 불리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발견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 분자 기계의 구성물질인 단백질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만일 누군가가 단백질(혹은 그것의 유전자)의 아미노산 배열을 안다면 다른 종에서 얻은 유사한 단백질의 배열과 비교할 수 있고 어디에서 두 배열이 똑같은지, 유사한지, 혹은 다른지 알 수 있다.

가령 어떤 사람이 개의 산소 운반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의 배열을 말의 것과 비교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우리는 두 개의 단백질 첫 번째 위치에 있는 아미노산이 같은지 다른지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위치에선 어떤지? 세 번째는? 네 번째는? 그 질문의 답을 아는 것은 흥미로울 일일 테고 두 종이 얼마나 관계가 가까운지 가르쳐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아미노산 배열을 비교해 보는 것이 섬모나 편모와 같이 복잡한 분자 기계들이 어떻게 다윈식의 단계적 방법으로 생겨났는지에 대해서 결론을 내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아마도 다음의 예를 통해 왜 그런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당신이 개 앞발에 있는 뼈와 말 앞발의 뼈를 비교한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은 뼈의 수가 똑같고, 유사한 양상으로 놓여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러한 사실을 아는 것은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또한 흥미로운 일은 그것들이 두 동물이 얼마나 서로 가까운지를 말해줄 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개 앞발의 뼈와 말 앞발의 뼈를 비교한다고 해서 처음에 어디에서 뼈가 왔는지 알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모델을 만들고 실험을 하는 등등의 일을 해야만 한다.

지난 십 년 동안에 분자진화학회지에 실린 논문 중 그 같은 실험적인 작업이나 모델을 만드는 일을 했던 것은 거의 어느 것에서도 찾을 수가 없다.10  발표되는 논문들은 압도적으로 배열 분석에 관심이 있다. 다시 말하지만 배열 분석은 흥미롭고 또 우리에게 많은 것을 말해줄 수 있다. 그러나 배열 분석만으로는 어떻게 복잡한 분자 기계들이 다윈식의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지 말할 수 없다.  

다른 학회지, 이를테면 미국국립과학학회 지(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세포(Cell), 분자생물학학회 지(Journal of Molecular Biology) 등을 조사해 본다 하더라도, 이야기는 똑같다.  

배열을 비교해 보는 연구는 수도 없이 많지만, 복잡한 분자 기계의 다윈 식 생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다윈 식의 진화론에 대한 문제들을 고려하는 몇 안 되는 연구들도 그나마 모두 다루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엄밀하게 테스트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만약 과학적 문헌-학회지들-이 어떻게 다윈식의 과정이 그같이 정교한 분자 기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담고 있지 않다면, 왜 많은 과학자들은 그것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는 것일까?

자세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과학자들이 과학적 훈련의 한 부분으로 다윈주의가 사실이라고 교육을 받았다는 점이 답변의 일부분이 된다. 한 가지 좋은 예를 Voet와 Voet가 공동으로 저술한 훌륭한 교과서 <생화학>(Biochemistry)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림. 2  추진기, 갈고리, 그리고 내부와 외부의 세포막과 세포벽에 박혀 있는 발동기를 보여 주는 박테리아 편모의 그림.

첫 번째 장에는 학생들에게 세상에 대한 생화학적 견해를 소개하고 있는데, 어떻게 이 땅에 생물이 생겨났고 다양해졌는가에 대한 진화론적 견해를 보여주는 믿기 어려운 칼라 그림이 있다.

그림을 3등분으로 나눴을 때 윗부분에는 화산, 번쩍이는 번갯불, 희미한 햇빛과 둘레에 가스들이 그려져 있고, 학생들로 하여금 어떻게 생명이 시작되었는지 말해주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그림의 가운데 부분에는 진화론자들이 생명이 처음 생겨났다고 믿는 원시바다에서 뻗어져 나오는 DNA가 박테리아 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있어 우리에게 생명이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를 설명해 준다.(박테리아는 한 개의 편모를 갖고 있는데, 아주 멀리서 봐서인지 한 개의 머리카락 같이 간단해 보인다.)  

그림의 밑부분에는 진화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많은 동물들과 에덴 동산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그 중앙에는 벌거벗은 남녀의 모습이 있다(그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학생들의 관심을 끌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자가 남자에게 사과를 건네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그것이 어떻게 이 땅에 다양한 생명이 생겨났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암시적으로 믿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그런 과정들이 일어날 수 있었는가에 대해 심오한 과학적 답을 찾기 위하여 교과서를 뒤져본다면 답을 찾지 못할 것이다. <종의 기원>에서 다윈은 몇 군데에서 독자의 상상력에 호소하였다.

그러나 상상은 일종의 두 개의 날을 가진 칼과 같다.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은 다른 사람이 놓치는 것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면 실제는 없는 어떤 것을 볼지도 모른다. 과학 문헌을 조사하면 할수록 다윈주의가 단지 상상의 세계에 갇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설계에 대한 이해

다윈주의에 대한 나의 비판들은 정말로 새로운 것은 아니다. 몇 명의 다른 과학자들이 이미 전에도 생명의 생화학은 너무 복잡해서 다윈이 제안한 점진적인 기작은 맞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했다.  

더 나아가 다른 과학자들이 과학적 문헌에는 생명의 분자적 기초의 기원에 대한 진짜 설명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이미 지적해 왔다. 산타페(SantaFe) 연구소의 스튜어트 카우프만(Stuart Kauffman), 시카고 대학의 제임스 사피로(James Shapiro), 그리고 매사츄세츠 대학의 린 마굴리스(Lynn Margulis) 같은 과학자들은 모두 자연선택이 좋은 설명이 되지 못한다고 진술했다.  

내가 그들과 다른 점은 내가 제안한 대안에 있다. 나는 만약 여러분이 섬모나 편모 혹은 다른 분자 기계들을 본다면, 그것들이 어떤 지성체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설계되었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썼다. 그 제안은 어느 정도 주목을 끌었다.  

나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내가 로마 카톨릭 신자이고 따라서 지적설계의 제안은 종교적인 생각이지 과학적이 아님을 의미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이 경우 지적설계의 결론은 전적으로 경험적인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전적으로 물리적 증거에 기초한 그것은 어떤 사물이 설계되었다고 어떻게 결론을 맺게 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통해 더 잘 알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의식적이든 아니든, 우리는 어떤 것은 설계되었고 다른 것은 그렇지 않다고 결정한다. 어떻게 그렇게 하는가? 어떻게 우리는 그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는가?

어떤 사물이나 체계가 설계되었다는 결론을 어떻게 내릴 수 있는지 보기 위하여 한 번 이런 상상을 해 보자. 여러분이 친구와 함께 숲 속을 거닐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여러분의 친구가 넝쿨에 발목이 잡혀 끌려 올라가 공중에 매달리게 되었다. 이제 넝쿨을 잘라 친구를 구한 다음, 상황을 재구성해 본다. 주위를 살펴보다가 아래로 굽어져 말뚝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나뭇가지에 넝쿨이 묶여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나뭇잎으로 넝쿨이 덮여져 있어서 그것을 알지 못했다, 그리고 그런 식으로 계속 발견해 간다.

각 부분들이 배열된 방식을 보면서 여러분은 이것이 우연이 아니고 설계된 올가미였다 라고 금새 결론을 내리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은 결론은 종교적 신념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 확실히 물리적 증거에 기초를 둔 것이다.  

넝쿨 올가미에 대해서 몇 가지 질문을 더 해보기로 하자. 우선 그것을 설계한 사람은 누구인가? 잠시 생각해 본 후에, 그 질문에 답할 충분한 정보가 없음을 알게 된다. 아마도 당신의 적이거나 친구일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저 장난꾸러기의 짓일 수도 있다. 더 많은 정보가 없이는 우리는 누가 올가미를 설계하였다고 결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가미를 구성하는 부분들 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우리는 그것이 정말로 설계되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두 번째 질문은, 언제 올가미가 설계되었냐는 것이다.  잠시 생각한 후에, 우리는 그 질문에 답할 충분한 정보가 없음을 알게 된다. 더 많은 자료가 없이는 그 올가미가 한 시간, 하루, 아니면 일주일 전에 설계되었는지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올가미 부분들간의 상호작용을 볼 때 설계 그 사실 자체에 대해서는 부인할 수 없게 된다.

누가, 언제, 어디에서, 왜, 그리고 어떻게 올가미를 설계하였는가 하는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더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올가미가 설계되었다는 사실은 그 체계를 관찰함으로써 바로 이해된다.  

비록 우리가 설계의 사실을 쉽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그것은 학문적으로 엄격한 방법으로도 다룰 수 있다. 설계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엄격한 방법으로 다루는 일이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윌리엄 뎀스키(William Dembski)에 의해 그의 전공논문인 <설계에 대한 추론: 작은 확률들을 통한 우연의 제거 (The Design Inference: Eliminating Chance through Small Probabilities)11>에서 훌륭하게 시작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을 시작하면서 인용한 내용에 다시 귀 기울이고 싶다. 내 견해로는 엄밀한 경험적 관찰을 토대로 볼 때 Ratzinger 추기경이 말한 대로 결론을 맺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본다:

”생명창조의 위대한 계획은 우연과 실수의 산물이 아니다....(그것은) 창조적인 이성을 가리키고, 우리에게 창조적인 지성을 보여 준다.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도 오늘날 더 밝고 눈부시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1. G. Eastbrook, '과학과 하나님: 화해의 경향? (Science and God: A Warming Trend?)' Science 277 (1997): 890-93.

2. J. Ratzinger, <태초에: 창조와 타락에 대한 카톨릭의 이해 (In the Beginning: A Catholic Understanding of the Story of Creation and the Fall)>,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86, pp. 54-56.

3. C. Darwin, <종의 기원 (On the Origin of Species)>, 1876; 재판, New York: New York 대학 출판부, 1988, p. 151.

4. J. Farley, <데카르트부터 오파린 까지의 우연 발생 논쟁(The Spontaneous Generation Controversy from Descartes to Oparin)>, Baltimore: Johns Hopkins 대학 출판부, 1977, p. 73.

5. T. M. Devlin, <생화학 교과서 (Textbook of Biochemistry)>, N ew York: Wiley-Liss, 1977, chap.22.3.

6. Darwin, <기원 (Origin)>, p.154.

7. M. J. Behe, <다윈의 블랙박스: 진화론에 대한 생화학적 도전 (Darwin's Black Box: The Biochemical Challenge to Evolution)>, New York: Free Press, 1996, p. 39.

8. D. Voet and J. G. Voet, <생화학 (Biochemistry)>, New York: J. Wiley and Sons, 1995, pp. 1252-59.

9. 위의 책, pp. 1259-60.

10. Behe, 위의 7번 책, chap. 8.

11. W. Dembski, <설계에 대한 추론: 작은 확률들을 통한 우연의 제거 (The Design Inference: Eliminating Chance through Small Probabilities)>, Cambridge: Cambridge 대학 출판부, 1998.     

 

번역 - 김정훈 교수

출처 - 창조지, 제 135호 [2003. 1~3]

Walt Brown
2004-07-26

살아있는 기술 

(Living Technology)


      살아있는 생물체의 체내에는 과학의 발달로 알려지게 된 가장 복잡한 현상들이, 즉 전기적, 음향학적,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현상들이 발견되어진다. 여러 동물들의 생체에 대한 세밀한 연구들에 의하면, 동물들은 세상에서 가장 우수하게 디자인된, 그리고 가장 정교한 기술로 만들어진, 또한 중복되지 않은 신체 장비와 능력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된 장치들의 예를 들면, 고성능의 소형 초음파 시스템을 갖고 있는 고래와 돌고래, 주파수 조절 레이더와 인식 시스템을 갖고 있는 박쥐,1 효율적인 공기역학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벌새(hummingbird), 조절시스템, 폭발낭, 사격장치를 갖추고 있는 폭격수 딱정벌레,2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항해 시스템들을 갖고 있는 많은 새들, 물고기들, 곤충들,3 그리고 특별한 자가회복 능력을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생물체들이다.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들의 각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불리한 시스템을 가진 생물체의 존재없이, 갑자기 진화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모든 증거들은 설계자가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살모넬라, 대장균, 연쇄상구균과 같은 많은 세균들은 소형 모터들에 의해서 매초당 자기 몸길이의 15 배 정도를 갈 수 있는 놀라운 추진력을 얻고 있다.4 이 추진력을 자동차에 비교하면 액체 속에서 시속 240 km (150 마일)의 추진력이다. 이 극도로 효율적이며, 역추진도 가능한 모터들은 1분에 10만 번을 회전할 수 있다.5 각 축들은 한 다발의 채찍과 같은 편모(flagella)를 프로펠러처럼 회전시킨다. 모터들은 회전자(rotors)와 고정자(stators)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전기 모터들과 많은 면에서 비슷하다.6 그러나, 전기적 전하는 전자(electrons)의 흐름에 의해서가 아니라, 양자(protons)의 흐름에 의해서 일어난다. 세균은 정지할 수 있고, 출발할 수 있으며, 속도, 방향, 심지어 프로펠러의 모양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7 그들은 또한 복잡한 센서, 스위치, 조절 메커니즘, 단시간 기억장치 등을 가지고 있다. 이 모든 것은 고도로 소형화되어 있다. 사람 머리카락 단면 안에 이러한 모터 8백만 개가 들어갈 수 있다.8 진화론은 세균은 생명체가 진화된 가장 처음의 형태 중의 하나라고, 그러므로 그들은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졌다고 가르치고 있다. 세균은 작지만, 단순한 구조가 아니다.                        

몇몇 식물들은 세균의 모터의 1/5 크기의 모터들을 가지고 있다.9 반도체 등에서와 같은 초미세기술(nanotechnology)이 세계적인 관심을 끌면서, 살아있는 생명체들은 다윈이 상상했던 것을 뛰어넘어 놀랍게 설계되어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림 18 : 북극 제비갈매기의 이동 경로와 조종실. 평균 크기의 새인 북극 제비갈매기(Arctic Tern)는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현대적인 대륙간 여객기가 가지고 있는 항해장비와 같은 고도로 정교한 기술을 가지고 바다를 횡단하여 항해한다. 제비갈매기의 여행 경로는 22,000 마일 정도로 추정된다. 제비갈매기의 항해장비들은 고도로 소형화 되어있고, 매우 신뢰할 만하며, 유지하기가 쉽고, 쉽게 재생된다. 더군다나 이 놀라운 새는 훈련될 필요가 없다. 만약 아래 그림의(여객기 조종실의) 장비들이 진화될 수 없었다면, 어떻게 제비갈매기의 더 놀라운 장비들이 진화될 수 있었는가?      

 

똑같은 놀라움을 군주 나비(monarch butterfly)에서 갖게 된다. 이 나비는 북아메리카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보내러 멕시코로 수천의 마일을 날라 간다. 군주 나비는 핀 머리(pin head) 크기의 뇌에 들어있는 정보를 가공해서, 자기장의 약한 세기와 태양을 이용하여 항해한다.

그림 19 : 세균의 모터. 살모넬라 세균의 편모에 대한 현미경적 사진에 근거한 그림.


그림 20 : 세균의 모터에 대한 개략도. 비록 이 작은 모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위에서 묘사한 구성요소들의 존재가 추정되고 있다. From “Learning How Bacteria Swim Could Set New Gears in Motion,” by Tom Koppel, figure by Johnny Johnson. ⓒ September 1991 by Scientific American, Inc. All rights reserved.

 

 

References and Notes

1. “Ounce for ounce, watt for watt, it [the bat] is millions of times more efficient and more sensitive than the radars and sonars contrived by man.”  Pitman, p. 219.

2. Robert E. Kofahl and Kelly L. Segraves, The Creation Explanation (Wheaton, Illinois: Harold Shaw Publishers, 1975), pp. 2-9.

* Thomas Eisner and Daniel J. Aneshansley, “Spray Aiming in Bombardier Beetles: Jet Deflection by the Coanda Effect,” Science, Vol. 215, 1 January 1982, pp. 83-85.

* Behe, pp. 31-36.

3. Jason A. Etheredge et al., “Monarch Butterflies (Danaus plexippus L.) Use a Magnetic Compass for Navig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96, No. 24, 23 November 1999, pp. 13845-13846.

4. David H. Freedman, “Exploiting the Nanotechnology of Life,” Science, Vol. 254, 29 November 1991, pp. 1308-1310.

* Tom Koppel, “Learning How Bacteria Swim Could Set New Gears in Motion,” Scientific American, Vol. 265, September 1991, pp. 168-169.

* Howard C. Berg, “How Bacteria Swim,” Scientific American, Vol. 233, August 1955, pp. 36-44.

5. Y. Magariyama et al., “Very Fast Flagellar Rotation,” Nature, Vol. 371, 27 October 1994, p. 752.

6. Could a conventional electrical motor be scaled down to propel a bacterium through a liquid? No. Friction would overcome almost all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inertial-to-viscous forces is proportional to scale. In effect, the liquid becomes stickier the smaller you get.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bacterial motor itself, which approaches 100% at slow speeds, is remarkable and currently unexplainable.

7. C. Wu, “Protein Switch Curls Bacterial Propellers,” Science News, Vol. 153, 7 February 1998, p. 86.

8. Yes, you read this correctly. The molecular motors are 25 nanometers in diameter while an average human hair is about 75 microns in diameter.

9. “... the smallest rotary motors in biology. The flow of protons propels the rotation ...” Holger Seelert et al., “Proton-Powered Turbine of a Plant Motor,” Nature, Vol. 405, 25 May 2000, pp. 418-419.

* Hiroyuki Noji et al., “Direct Observation of the Rotation of F1-ATPase,” Nature, Vol. 386, 20 March 1997, pp. 299-302.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cience.com/

출처 - CSC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68

참고 : 3857|3855|3840|3839|3638|3828|3817|3806|3803|3740|3690|3674|3402|3324|3670|3639|3629|3624|3610|3394|3358|3318|3313|3276|3267|3269|3231|3143|3105|3075|3034|3005|2988|2952|2940|2920|2910|2899|2857|2733|2610|2606|2603|2475|2396|2393|2371|2340|2318|2299|2125|2133|2020|1896|957

미디어위원회
2004-07-26

”하나님이 계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떻게 대답하시렵니까?

Ken Ham 


”하나님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또는, 하나님이 모든 것을 만드셨다면, 하나님은 누가 만드셨나요?”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우리의 일상생활 중에 모든 것은 예외 없이 시작이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사실상, 과학의 법칙들은 비록 태양이나 수많은 별들과 같이 전혀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까지도 하나같이 소진되고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태양은 생성된 후부터 쉼 없이 초당 수백만 톤의 연료를 소모하고 있다. 결국 태양도 영원토록 존속할 수 없는 존재인 이상 탄생도 있어야 마땅하다. 이 법칙은 전체 우주에도 해당된다.

크리스천들이 우주는 성경의 하나님께서 창조하셨다고 주장하면, "그렇다면 하나님은 어디에서 왔는가?"라고 묻는 사람들이 있다. 어찌 보면 당연한 논리적 질문처럼 들린다.

성경은 여러 곳에서 하나님이 시간 밖에 존재하신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시작이나 종말과는 관계없이 영원하시며 무한하신 존재다. 또한 그는 모든 것을 아시는 분인 까닭에 끝없는 지성을 지녔다.1

이 관념은 논리적인가? 현대과학이 이 관념을 인정할 수 있을까? 그리고 지적 창조주의 증거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창조주의 지성을 알아보기 (Recognizing Intelligence)

과학자들은 동굴 안에서 고대인의 석기들을 발견하고 흥분한다. 그 석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지성을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구는 스스로 설계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뿐일까! 러시모어 산(Mt. Rushmore)의 암벽에 조각된 미국 대통령들의 조각상들은 수백만 년 동안 우연한 풍화작용으로 새겨진 결과물이 아니다. 우리는 우리 주변에 수없이 많은 제작물들이 지성의 산물이라는 증거와 마찬가지로, 그 조각상들도 설계자의 작품이라는 증거를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윌리엄 팰리(William Paley)의 저 유명한 시계 비유에서 그 시계의 제작자가 있었음을 암시한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많은 지도급 과학자들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식물이나 동물을 포함하여 시계와 자동차 같은 것을 만들어내는 놀랍도록 복잡한 인간의 두뇌를 하나님의 지성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지성적인 진화의 과정에서 우연히 생겨난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그들의  입장은 변호 될 수 있을까?

 

생명체의 디자인 (Design in Living Things)

분자생물학자 마이클 덴튼 박사(Dr. Michael Denton)는 불가지론자로서 이렇게 결론지고 있다.

”정교하고 복잡한 생명체의 분자조직과 비교하면 우리의 20세기 최고수준의 기술이라는 것도 서툴러 보인다. 우리가 현재 생물학 분야에서 알고 있는 정도가 생물계 전체의 디자인 중에서 어느 단편적인 것 이상은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그것은 환상일 것이다. 실제로 기본적 생물학탐구의 모든 분야에서 수그러들 줄 모르고 늘기만 하는 생명체의 디자인과 복잡성에 관한 새로운 발견들은 그 속도를 더하고 있다.” 3

다윈주의와 무신론의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리차드 도킨즈(Richard Dawkins) 교수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생명체들은 너무도 정말 같지 않게, 또 너무도 아름답게 '디자인 되어서' 우연한 존재라고 할 수 없다.” 4

이렇게 해서 심지어 더없이 열렬한 무신론자까지도 우리 주변은 온통 디자인 된 것들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고 있다. 크리스천들은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디자인들은 모두가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성경의 설명과 완전히 일치한다고 이해한다.

그러나 도킨즈와 같은 진화론자들은 생명체가 설계자의 디자인에 의한다는 관념을 거부한다. 그는 이렇게 설명하고(강조를 겸해서) 있다.

모든 모양과는 반대로, 자연 안에 있는 시계공은 눈먼 물리력 (blind forces of physics)일 뿐이다, 아주 특별한 방법으로 전개된 힘을 가진 진짜 시계공은 선견지명이 있다. 그는 마음의 눈으로 미래의 목적을 내다보면서, 자기 시계의 톱니와 스프링을 설계하며 그런 부품들의 연결 계획을 세운다. 우리가 지금 알기로는 다윈이 발견한 맹목적, 무의식, 그리고 자동과정을 거치는 자연선택이야말로 존재에 대한 설명이며, 겉보기에 합목적적인 형태를 갖춘 모든 생명체도 실은 목적을 가진 마음이 없다. 자연선택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그것은 눈먼 시계공일 뿐이다.”

 

선택과 디자인 (Selection and Design)

생명은 유전 인자, 즉 DNA 안에 들어있는 정보의 바탕 위에 세워진다. 도킨즈는 자연선택6과 돌연변이 (DNA 안에서 목적 없이 저질러진 복사과정의 실수)가 합쳐져서 생명체의 디자인을 책임지는 막대한 정보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고 믿었다.7

자연선택은 관찰될 수 있는 논리적 과정이다. 그러나 선택은 유전인자 안에 이미 포함되어있던 정보만을 따라서 작동할 뿐이다. 자연선택은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지 않는다.8 실질적으로 이것은 기원에 관한 성경의 말씀과 일치한다. 즉, 하나님은 동물과 식물을 그 '종류대로' 지으셔서 각각의 종류가 종류별로 뒤를 잇게 하셨다.

하나의 종류 안에서 엄청난 변종들을 볼 수 있고, 또 그 속에서 자연선택의 결과도 알 수 있다. 예컨대, 들개들(dingoes), 늑대들(wolves), 그리고 코요테들(coyote)은 늑대/개 종류의 유전인자 안에 들어있는 정보에 오랜 시간에 걸쳐 작용한 자연선택의 결과다.

어쨌거나 자연선택 과정에서 산출되는 새로운 정보는 전혀 없다. 변종들은 개의 원래종에 있던 정보를 재배치, 또는 추려낸 결과로 생긴 것들이다. 하나의 종류가 예전에 없던 새로운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혀 새로운 종류로 바뀐 예는 일찍이 관찰된 적이 없다!

정보증가의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한 자연선택은 진화의 메커니즘으로서 작업할 수 없는 것이다. 진화론자들도 이 점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알 수는 없지만 돌연변이가 어떻게든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자연선택을 가능하게 한다고 믿고 있다.

 

돌연변이는 새로운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가? (Can Mutation Produce New Information?)

실질적으로 그 대답은 분명히 no! 다. Johns Hopkins 대학교에서 정보통신 이론을 가르치고 있는 리 스페트너 (Dr. Lee Spetner) 박사는 그의 최근 저서에서 이 문제를 명백히 하고 있다.

”본 장(章)에서 나는 진화의 몇 가지 예를 (그들이 진화의 예라고 주장하는 경우들), 특히 돌연변이의 예를 살펴보고 정보는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역설하겠다. 내가 읽은 모든 생명과학의 문헌에서 정보를 증가시키는 돌연변이의 경우는 나는 단 한 건도 발견하지 못 했다.” 9

       ”분자 수준에서 연구된 모든 중요한 돌연변이들은 유전인자의 정보를 감소시키면 시켰지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10

       ”NDT (neo-Darwinian theory; 신다윈주의 이론)은 진화의 과정에서 정보구축의 방법이 설명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인간과 박테리아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근본적 생물학적 차이점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에 있다. 둘 사이에 있는 생물학적 차이점들은 다 그 정보의 차이점에서 유래된 것이다. 인간의 게놈은 박테리아의 게놈이 가지고 있는 정보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보는 그것을 잃기만 하는 돌연변이에 의해서는 결코 구축될 수 없다. 사업가가 조금씩 돈을 잃기만 하는데 돈을 벌 수 없다.”

진화론 과학자들은 스페트너 박사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이 도달한 결론의 근처에도 못 가보았다. 돌연변이는 진화과정을 촉진시키는 메커니즘이 아니다.

 

더 많은 문제점들! (More Problems!)

과학자들은 세포 속에 수천 개의 '생화학적 기계' 라고 부를만한 장치들을 발견하였다. 그 장치의 모든 부품들은 동시적으로 제 자리에 있어야만 하지 그렇지 않을 때는 세포는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단순한 기계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왔던 것들이 사실은 상당히 복잡하다. 예컨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전기적 충격기동(起動)으로 변질되는 것과 같은 경우다.

생명체는 이와 같은 '기계 장치들' 위에 구축되었기 때문에, 자연과정이 생명체계를 만들 수 있었다는 이념은 더 이상 주장할 수 없게 되었다. 생화학자 마이클 베헤 박사 (Dr. Michael Behe) 는 그와 같은 생화학적 '기계 장치들'을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복잡성' 이라는 용어로 묘사하였다.

”도저히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복잡한 시스템이 세포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고 생명체는 어떤 지성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 결과, 생명체가 단순한 자연법칙의 결과라는 사상에 익숙해진 20 세기에 살고 있는 우리한테는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다른 세기들에 살던 인간들도 다 나름으로의 충격을 경험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 맥락에서 우리라고 충격적인 발견을 하지 못하리라는 법은 없다.”12

리차드 도킨즈는 시작에 앞서 '기계적 장치'의 필요성을 인정하여야 하는 문제를 인정하고 이렇게 진술하였다.

”복제(replication)와 이어지는 누적 선택(cumulative selection)의 전제가 허용되는 가정 하에서는 눈먼 시계공의 이론은 더없이 강력하다. 그러나 복제에 복잡한 기계장치가 필요한 것이라면, 복잡한 기계장치가 궁극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유일한 방법은 누적 선택이기 때문에, 우리는 또 하나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13

진정, 또 하나의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생명체를 탐구하면 할수록, 우리는 점점 더 복잡한 생명체의 구조를 만난다. 그리고 우리는 ”생명체는 스스로 생겨날 수 없다” 라는 사실을 더욱 확신하게 된다. 생명체의 발생에는 정보의 원천이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생명체의 화학적 성분이 가지고 있는 복잡한 '기계장치'가 애초부터 존재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다!

 

여전히 남아있는 더 큰 문제 (A Greater Problem Still)

최초의 기계장치 세포가 순전히 우연으로 태어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다. 예컨대 무작위로 hat라는 단어를 알파벳 순서로 긁적이다가 때로는 단순한 BAT라는 단어를 쓰는 수가 있을 것이다.14 그렇듯이 오랜 시간이 흐르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보다 더 복잡한 정보가 우연히 생기지 말라는 법이 왜 없겠는가?

그러나 도대체 'BAT' 라는 단어가 독일 사람이나 중국 사람한테 무슨 뜻을 전할 수 있다는 것인가? 요점은, 글자의 순서 따위는 진정 의미있는 언어의 협약이나 번역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한 세포 속에는, DNA(또는 다른 분자들)에 의미를 부여해 주는 순서를 만드는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다. 언어/번역 시스템이 없는 DNA는 아무런 의미도 담지 못한다. 그리고 DNA가 없는 시스템도 아무런 역할도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마지막 남은 복잡성은 DNA 안에 있는 글자의 순서를 읽을 수 있는 번역 기계장치도 그 자체는 DNA에 의해서 일일이 지시받는다는 사실이다.

 

정보는 무정보로부터 발생할 수 있을까? (Can Information Arise from Non-information?)

독일 연방의 물리학과 기술원 교수 베르너 깃드 박사 (Dr. Werner Gitt)는 과학을 통해서 확실히 인지(認知)하는 사실 중 한 가지는 정보가 혼돈(混沌)으로부터 우연히 발생할 수 없다는 사실이라고 명백히 밝혔다. 정보는 (보다 더 큰) 정보에서 생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정보는 지성에서 산출된 결과라고 했다.

”암호 시스템은 언제나 두뇌운동의 과정에 생기는 결과물이다 (암호체계는 지성적인 창조자, 즉 발명자가 있고 나서야 생산된다). 물질은 그 나름으로서는 어떤 암호도 발생시킬 수 없다. 모든 실험을 통해서 보면, 정보의 생산에는 자유로운 의지, 인식, 그리고 창조력을 자발적으로 작동하는 어떤 사유능력의 소유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극명하게 밝혀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15

”물질이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자연법칙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이 없다. 또한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그 어떤 물리적 과정이나 물질적 현상도 알져진 것은 없다.”16

 

정보의 원천은 무엇인가? (What is the Source of Information?)

그러므로 우리는 생물체 안에 있는 막대한 양의 정보는 과학이 매일 밝히고 있는 바처럼 인간의 지성을 훨씬 능가하는 어떤 지성적 존재로부터 기원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연역(演繹)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결론에 대해서도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즉, 그와 같은 정보의 원천은 그 자체보다 더욱 큰 정보/지성의 존재에 의해서 지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그 이론이 타당하다고 하면, 그때엔 바로 그 더 큰 정보/지성의 존재는 어디서 오는가? 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그 다음 것은 어디서 오는가? 하고 마침내 외삽법(外揷法)에 의해서 무한대로 영원히 추정하다가 마침내…

마침내 무한한 지성의 원천까지 가게 될 것이다. 그 무한한 지성은 유한한 인간의 지성의 이해를 초월한다. 그런데 바로 이 무한한 지성이야말로 성경이 ”태초에 하나님이 계셨으니… ” 에서 밝힌 바 그 하나님이 아닌가? 성경의 하나님은 시간과 공간, 그리고 지식 또한 그 어떤 제약에 의해서도 제한 받지 않으시는 무한한 존재이시다.

그런 즉 어느 쪽이 당당히 변론 가능한 논리인가? 즉, 외적으로 존재하게 된 물질 (즉 아무런 이유도 없이 그 스스로 존재하게 된 물질)이 실제적으로 과학에서 관찰된 모든 현상에 역행하면서 어떤 정보체계로 정리된다는 이론이 변론 가능한 논리인가? 그렇지 않으면, 무한한 지성의 존재가 생명체의 정보체계를 창조하여 존재하게 하였다는 이론, 즉 실물과학에 순응하는 이론이 변론 가능한 논리인가?

그 대답은 자명하다. 그런데, 왜 모든 지적인 과학자들은 이 이론을 수용하지 않는가? 마이클 베헤가 이렇게 대답한다.

”나에게 소중하고 존경스러운 과학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초월하는 그 어떤 존재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초자연적 존재가 자연에 영향을 주어 아무리 미세하고 심지어 건설적인 간섭까지도 하지 않기를 원한다. 다시 말해서 … 그들은 물질세계에 대한 설명을 그들이 수용하는 범위로 제한하려는 어떤 선험적 철학적 언질을 그들의 과학에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때때로 이러한 그들의 고집때문에, 그들은 어쩐지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하는 수가 없지 않다.”18

문제의 요점은 이런 것이다. 즉, 일단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셨다는 것을 인정하고 나면 하나님 한 분만이 우리를 지배하게 된다. 그래서 그는 우리에게 규범을 세울 수 있으며, 우리는 그 규범에 따라 살아야만 한다. 성경에 의하면, 하나님은 우리 인간이 창조주를 반항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주셨다. 죄라고 불려지는 이 반항으로 인해서, 우리 인간의 육신은 죽어야만 하는 것으로 선고되었다. 어쨌거나 우리는 하나님과 더불어 살든가, 하나님을 정죄하는 자리에 두고 살든가 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쁜 소식이 있으니 그것은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서 우리가 저지른 배반의 죄에서 건지시는 길을 마련하여 주셨다는 소식이 그것이다. 그리하여 자기의 죄를 회개하고 그를 믿는 사람들은 거룩한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으며 주님과 영원을 같이 살 수 있게 하신다.

 

그러면 누가 하나님을 창조하였는가? (So Who Created God?)

무한하고 영원하신 존재는 언제나 존재해 왔었다. 하나님을 창조한 것은 없다. 그는 스스로 계신 존재다. 그는 성경에서 'I am' 이라고 하신 그다.19 그는 시간 밖에 계신다 ━ 사실은 그가 시간도 만드셨다.

어쩌면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저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말씀을 신앙의 차원으로 받아들여야 하겠습니다!'

히브리서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 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히브리서 1:6).

이것은 맹목적 신앙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없지 않다. 사실을 말하자면, 하나님을 부인하는 진화론자들이야말로 맹목적 신앙을 믿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실제 관찰되는 과학을 거역하는 그 무엇을 믿고있다. 예컨대, 정보는 혼돈으로부터 우연히 생길 수 있다는 이론이 그것이다.

크리스천의 신앙은 맹목적 신앙이 아니다. 그것은 논리적으로 변호가 가능한 신앙이다. 이것이 성경에서 누구든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는 변명할 수 없다 하신 그 이유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 그러므로 저희가 핑계치 못할지니라.” (로마서 1:20).

 

Reference

1. Psalms 90:2; 106:48; 147:5; Notice that it is only things which have a beginning which have to have a cause. See J. Sarfati, 'If God created the universe, then who created God?' CEN Technical Journal 12(1)20-22, 1998. See condensed online version.  

2. W. Paley, Natural Theology, 1802. Reprinted in 1972 by St Thomas Press, Houston, Texas.

3. M. Denton, Evolution: A Theory in Crisis, Adler and Adler, maryland, 1986, p.342.

4. R. Dawkins, The Blind Watchmaker W.W. Norton & Co. N.Y. 1987. p.43.

5. Ref. 4, p.5.

6. Natural selection, The concept that some variants in a population will be less 'fit' to survive and/or produce offspring than others in a given environment.

7. See C. Wieland, Stones and Bones, Creation Science Foundation Ltd. Australia, 1995, and G. Parker, Creation; Facts of Life, Master Books, Green Forest, Arkansa, 1996.

8. L. Lester and R. Bohlin, The Natural Limits to Biological Change, Probe Books, Dallas Texas, 1989. pp.175

9. L. Spetner, Not by Chance, The Judaica Pess Inc, Booklyin, New York, pp. 131

10. Ref. 9, p. 138.

11. Ref. 9, p. 143.

12. M. Behe, Darwin's Black Box, The Free Press, New York. 1996, pp. 252-153.

13. Ref. 4. pp. 139-140.

14. Actually generating word is far simpler than sentences or paragraphs. Simple calculations show that even a billion years would not be enough time to generate even one protein 'sentence'.

15. W. Gitt, In the Beginning was Information, CLV, Bielenfeld, Germany, pp. 64 .

16. Ref. 15, p.89.

17. This, capable of generating infinite information, and certainly the enormous, though finite, information of life.

18, Ref. 12, p. 243.

19. Exodus 3:14; Job 38:4; John 8:58, 11:25; et al.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www.answersingenesis.org/docs/3270.asp

출처 - AiG, 1998. 6. 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