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미디어위원회
2022-05-11

거대한 박테리아는 잃어버린 고리인가?

(Big Bacterium—a Missing Link?)

by Frank Sherwin, D.SC. (HON.)  


    박테리아(bacteria, 세균)는 아주 작은 단세포 생물로서,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존재하며, 대사적 변이 및 유전적 변이를 보여준다. 또한 원핵생물(Prokaryotes)에 속하는 박테리아는 분류학적으로 세 부류 중 하나이며, 나머지 두 부류는 진핵생물(Eukarya, 핵을 가진 유기체)과 고세균(Archaea, 원핵생물의 두 번째 그룹)이다. 고세균(또는 고균)은 박테리아처럼 핵이 없지만,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매우 다른 세포벽(cell walls)을 가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박테리아를 "단순하다"라고 말하지만, 이러한 말은 틀렸다. 모든 박테리아들은 매우 복잡한 세포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일부는 심지어 광합성까지 한다.[2] 사실, 많은 박테리아들은 공생자(symbionts, 식물과 동물과 상호작용)이고, 지구 생물들에 필수적이다.


2022년 초, 약 2cm 크기의 거대한 박테리아가 발견되었다. 그것은 가느다란 끈처럼 보이고, 카리브해의 맹그로브(mangroves) 숲 사이에 서식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 박테리아를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nifica)라고 이름 붙였다.[3]

이 박테리아에서 단순한 것은 없었다. 과학자들은 이 박테리아의 유전체(genome, 전체 유전물질)이 거대하여 명확히 구별되는 약 11,000개의 유전자들을 갖고 있으며, 1천1백만 개의 염기서열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인 박테리아의 유전체는 평균 약 3,900개의 유전자들과 약 4백만 개의 염기서열을 갖고 있다."[3]

몇몇 진화론자들은 이 거대한 박테리아가 박테리아(원핵생물)와 세포막과 핵을 가진 세포(진핵생물) 사이의 진화적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사람, 곰팡이, 식물, 동물들은 모두 진핵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진핵세포는 DNA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막-결합 핵을 갖고 있다. 이 거대한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 박테리아의 DNA는 막 주머니 안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로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진화론이라는 안경을 쓰지 않고, 이 구조를 바라볼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세포의 유전물질은 작은 구역 내에 집중되어있는데, 이것은 창조/설계 관점에서 이치에 맞는다. 실제로 Science 기사에 따르면 :

리보솜(ribosomes)이라 불리는 단백질 생산 공장도 DNA로 채워진 주머니 안에 있어서, 유전자 암호를 단백질로 더 효율적으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전물질을 다른 모든 것과 분리하는 것은 더 정교한 통제를 가능하게 하며, 더욱 큰 복잡성을 가리킨다"라고 모나쉬 대학(Monash University)의 미생물학자인 크리스 그리닝(Chris Greening)은 말한다.[3]

게다가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는 세포 부피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물로 채워진 큰 주머니(pouch)를 갖고 있었다. 그것은 세포의 내용물을 외벽에 대고 밀어낸다. "세포는 살아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를 따라서 박테리아의 필수 분자들은 여전히 안과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라고 이 박테리아 그룹을 연구한 매사추세츠 대학의 미생물학자인 베레나 카르발호(Verena Carvalho)는 말한다.[3] 이것은 분명히 박테리아의 대사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무작위적 진화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중요한 설계적 특성이다.

창조론자들은 이 독특한 박테리아를 이전에 ‘잃어버린 고리’라고 주장됐던, 멸종된 육기어류인 틱타알릭(Tiktaalik)과 같다고 본다.[4] 틱타알릭의 특징은 지느러미와 다리 사이의 전이형태를 나타내는 대신에, 홍수 이전 세계의 물과 육지 사이의 습지 경계에서 적합하게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생물이었다.

동일하게 이 거대한 세균은 작은 스케일의 틱타알릭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미생물" 대신에[3], 창조주께서 열대 맹그로브 숲 사이에서 독특한 생태학적 적소에서 번식하도록 특별하게 설계하신 미생물인 것이다.


References

1. Sherwin, F. Bacterial Complexity.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February 7, 2022.

2. Kim, M. and J. Lee. 2011. Comprehensive Biotechnology, 2nd ed. Waltham, MA: Elsevier. Consider also Chloroflexi (green, non-sulfur bacteria), and the large group called cyanobacteria.

3. Pennisi, E. 2022. Largest bacterium ever discovered has an unexpectedly complex cell. Science. 375 (6584).

4. Sherwin, F. Banner Fossil for Evolution Is Demoted.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27, 2010.

* Dr. Sherwin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Cite this article: Frank Sherwin, D.Sc. (Hon.). 2022. Big Bacterium--a Missing Link?. Acts & Facts. 51 (5).


*관련기사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공룡 박테리아’ 발견 (2022. 2. 25. 코메디닷컴)

https://news.v.daum.net/v/20220225213102011


*참조 : 세균의 편모 : 고도로 복잡한 초미세 구조가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1291258&bmode=view

박테리아 편모의 모터는 단백질 클러치를 가지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66&bmode=view

회전하는 엔진 : 진화에 대한 도전 초소형 추진체인 세균들의 편모가 우연히?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9&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는 많은 모터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 더욱 복잡한 것으로 밝혀진 지적설계의 상징물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5477172&bmode=view

가장 간단한 미생물도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했다 : 마이코플라즈마는 200개의 분자기계들과 689 개의 단백질들을 만드는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40&bmode=view

가장 작은 세포는 진화론에 도전한다 : 473개 유전자들을 가진 세포가 자연발생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65&bmode=view

놀랍고, 독특하고, 진정 기괴한 옐로스톤의 미생물 

http://creation.kr/LIfe/?idx=1793661&bmode=view

미생물도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9&bmode=view

박테리아의 놀라운 빛 감지 능력 : 렌즈와 같은 세포 

http://creation.kr/LIfe/?idx=1291303&bmode=view

지구에는 막대한 수의 박테리아들이 존재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11&bmode=view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은 도시 전력망을 닮았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1&bmode=view

복잡한 세포는 박테리아로부터 진화될 수 없었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44&bmode=view

20억 년(?) 동안 진화하지 않은 황세균. : 가장 오래된 '살아있는 화석'의 발견에도 진화론은 유지된다.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800&bmode=view

동전의 앞면은 진화론의 승리, 뒷면은 창조론의 패배? : 20억 년 이상 동일한 황세균의 발견.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803&bmode=view

20억 년 동안 진화가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기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34&bmode=view

진핵생물 곰팡이는 24억 년 전에도 존재했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5069&bmode=view

진화론자들에게 충격적인 소식 : 1억 년 전 미생물이 다시 살아났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4423710&bmode=view

1억 년 전의 박테리아가 살아있었다는 불합리한 주장.

http://creation.kr/YoungEarth/?idx=5300063&bmode=view

소금의 전설 (Salty saga) : 2억5천만 년 전(?) 소금에서 다시 살아난 박테리아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35&bmode=view

2억5천만 살의 박테리아, 조금 많지 않은가?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42&bmode=view

수백만 년(?) 전 소금 결정 속에서 발견된 살아있는 박테리아를 설명해보려는 과학자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32&bmode=view

4천5백만 년 전의 호박 속에 있던 효모로 발효시킨 맥주?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21&bmode=view

진화의 상징물로 떠올랐던 틱타알릭의 추락 : 물고기-사지동물의 진화 이야기는 백지 상태로 되돌아갔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67&bmode=view

틱타알릭은 잃어버린 고리가 아니었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51&bmode=view

3억9천5백만 년(?) 전의 네 발 달린 육상동물의 발자국 화석? : 틱타알릭이나 판데릭티스 이전에 이미 사지동물이 존재했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65&bmode=view

진화의 상징물로 떠올랐던 틱타알릭의 추락 : 물고기-사지동물의 진화 이야기는 백지 상태로 되돌아갔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67&bmode=view


출처 : ICR, 2022. 4. 29.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big-bacterium-a-missing-link/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2-23

세균의 복잡성에 대한 추가적 발견

(Bacterial Complexity)

by Frank Sherwin, D.SC. (HON.)


     하등하다는 박테리아에서 또 다른 복잡성이 추가되었다. 박테리아 세포는 돌연변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유전자 침묵(genetic silencing)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발견은 "지금까지 인정받지 못했던 극도로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한 연구자는 말했다.[1]

이 발견 이전에는 세균 염색체의 모든 부분은 완전히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됐었다. 다른 말로 하면, 박테리아가 염색체 접근성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기사에 따르면,

 박테리아는 그들의 유전체(genomes) 안으로 결합되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프로파지(prophages)라고 불리는 유전 인자(genetic elements)가 될 수 있다. 특정 조건하에서, 이러한 프로파지는 박테리아 세포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세포의 생존을 위해서는 이러한 부위를 찾아 침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1]

이제 박테리아는 간단한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어디에나 있는, 흥미롭고 에너지가 풍부한 분자인 폴리인산(polyphosphate or polyP)을 통해서 이다. 그것은 문제가 있는 유전 인자(예: 프로파지)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유전체(전체 유전정보)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그들의 전사(transcription, 세균 DNA 가닥을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RNA 분자의 생성 과정)를 보호한다. 그러한 중요한 단계는 해로운 돌연변이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박테리아 염색체의 일부(유전 인자)를 침묵시킨다. 폴리인산이 존재하지 않으면, 유해한 트랜스포존(transposons, DNA 인자)과 프로파지가 동원되어, DNA 손상을 통해 세포가 사망한다.

또한 박테리아는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이 촘촘하게 함유된 염색질 영역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것들 중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DNA의 매우 촘촘한 형태이다. 미생물학자들은 폴리인산이 박테리아에서 이질염색질의 형성에 필수적이라고 제안한다. 이 발견은 중요한데, 그것은 "폴리인산의 부족은 MGE(mobile genetic elements, 이동성 유전 인자)의 억제해제(derepression)로 이어지고, 폴리인산이 독성 MGE의 동원을 방지하여 DNA 손상 조절에 작용할 수 있다는 증거를 최초로 제공하기 때문이다."[2]

선택적 유전자 침묵을 통한 자기보호의 발견은 박테리아가 다시 한번 단순한(하등한) 세포와는 거리가 멀고[3], 전능하신 창조주의 지혜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References

1. Bacterial genome is regulated by an ancient molecule.’ Phys.org. Posted on phys.org January 6, 2022, accessed January 28, 2022.

2. Beaufay, F. et al. 2021. Polyphosphate drives bacterial heterochromatin formation. Science Advances 7: (52).

3. Sherwin, F. 2001. Just How Simple Are Bacteria? Acts & Facts. 30 (2); Thomas, B. Bacteria Study Shoots Down ‘Simple Cell’ Assumption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4, 2010, accessed February 3, 2022.

* Dr. Sherwin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참조 : 가장 간단한 미생물도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했다 : 마이코플라즈마는 200개의 분자기계들과 689 개의 단백질들을 만드는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40&bmode=view

가장 작은 세포는 진화론에 도전한다 : 473개 유전자들을 가진 세포가 자연발생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65&bmode=view

가장 작은 세포도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 : 마이코플라즈마는 387개의 단백질이 필수적이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48&bmode=view

단순한 생물체 같은 것은 없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6&bmode=view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발견된 다연발의 작살! : 하등하다는 원생동물에서 고도로 복잡한 기관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1291308&bmode=view

세포 내의 초정밀 분자기계들이 모두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3094830&bmode=view

미생물도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9&bmode=view

박테리아의 놀라운 빛 감지 능력 : 렌즈와 같은 세포

http://creation.kr/LIfe/?idx=1291303&bmode=view

지구에는 막대한 수의 박테리아들이 존재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11&bmode=view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은 도시 전력망을 닮았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1&bmode=view

복잡한 세포는 박테리아로부터 진화될 수 없었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44&bmode=view

세균의 편모 : 고도로 복잡한 초미세 구조가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1291258&bmode=view

박테리아 편모의 모터는 단백질 클러치를 가지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66&bmode=view

회전하는 엔진 : 진화에 대한 도전 초소형 추진체인 세균들의 편모가 우연히?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9&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는 많은 모터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 더욱 복잡한 것으로 밝혀진 지적설계의 상징물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5477172&bmode=view

생체 분자 모터 시스템의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연구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02&bmode=view

세포의 분자 모터들은 함께 협력해서 작동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4&bmode=view

놀라운 모터를 가지고 있는 세균

http://creation.kr/animals/?idx=1290966&bmode=view

고도로 복잡한 단백질 모터는 진화를 부정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96&bmode=view

세균의 대사는 컴퓨터 회로판과 같이 작동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0&bmode=view

DNA의 이중 나선을 푸는 모터, 국소이성화효소 :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한 사례

http://creation.kr/LIfe/?idx=2229846&bmode=view

기능을 하지 못하는 중간체의 문제 : 진화론의 근본적인 결함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35&bmode=view

또 하나의 복잡하고 강력한 분자 모터

http://creation.kr/LIfe/?idx=1291262&bmode=view

브롬이 없다면, 생물들은 존재할 수 없었다 :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필수적 원소는 28개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60&bmode=view

 

출처 : ICR, 2022. 2. 7.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bacterial-complexit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2-11

진화를 막도록 설계된 생명체
: 세포내 복구 시스템들은 돌연변이를 제거한다.
(Life is Designed to Prevent Evolution)

by Jerry Bergman, PhD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는 돌연변이를 바로잡는 또 다른 시스템이 세포 내에서 발견되었다.

    연구가 진행되면 될수록, 세포가 진화를 막기 위해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는 것이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가장 좋은 예들은 DNA 완전성을 유지하는 수많은 복구(수선) 메커니즘(repair mechanisms)이다. 이 시스템은 진화론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돌연변이(mutations)를 완전히 기각시키고 있다.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는 일어날 수 없다.[1]


세포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유지한다.

자연선택이 작동되게 하는, 모든 유전적 변화의 궁극적인 원천은 유전적 돌연변이라고 진화론자들은 주장한다. 그러나 세포 내에서 복잡한 많은 유전자 복구 시스템들이 발견되었고, 이것은 돌연변이의 발현을 극도로 억제한다. 복구되지 않고 이 시스템을 통과하는 돌연변이는 10만 개 중 하나도 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구 시스템은 진화론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는데, 그 이유는 우발적인 염기쌍의 변화로 인한 사실상 모든 유전적 변화는 수정(복구)되거나 (따라서 발현되지 않거나), 세포자멸사(apoptosis, 프로그램된 세포자살)에 의해서 세포 자체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유전자 복구 시스템은 99.99% 이상의 효과가 있어서, 대진화(macroevolution)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결론의 대부분은 수십 년 동안의 돌연변이 연구에서 이미 관찰되어왔다. 생물 종들이 돌연변이 부하로 무너지지 않고, 여러 세대 동안 충실히 번식한다는 것 또한 명백하다.

이러한 복잡한 유전자 복구 시스템은 돌연변이들의 축적에 의존하는 대진화를 효과적으로 무효화시킨다. 채터지(Chatterjee) 등은 2017년에 "생물의 유전체 염기서열에서 유전정보를 보존하는 것이 생물의 영속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2] 전 Science 지 편집자인 브루스 앨버트(Bruce Alberts)는 그의 교과서 ’세포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2002년)‘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DNA의 자발적인 변화는 일시적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DNA 복구라고 불리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즉시 수정되기 때문이다. 인간 세포의 DNA에서는 열, 대사오류, 다양한 종류의 방사선, 환경 내 독성물질의 노출 등에 의해서, 매일 일어나는 수천 개의 무작위적 변화들 중에서, 단지 몇 개만이 DNA 염기서열에 돌연변이로 축적된다. 우리는 이제 DNA에서 1000개 중 1개 미만의 우발적 염기 변화들만이 영구적인 돌연변이를 초래하고, 나머지는 DNA 복구 시스템에 의해서 놀랍도록 효과적으로 제거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3]

과학자들은 이미 수많은 DNA 복구 시스템(DNA repair systems)들을 발견했다. 그들은 돌연변이를 막기 위해 세포핵에서 끊임없이 활동한다. 여기에는 이중가닥 절단 복구(double-strand break repair, DSB), 염기 삭제 복구(base excision repair, BER), 뉴클레오티드 삭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 NER), 불일치 염기 복구(mismatch base repair, MMR), 상동 재조합 복구(homologous recombination repair, HR), 비상동 말단결합 복구(non-homologous end-joining repair, NHEJ) 등이 포함된다. 또한 단백질들과 세포 전체의 다양한 시스템들을 복구하기 위한 추가적인 경로들이 존재한다. 최근 또 다른 복구 시스템이 발견되었다. 중국과 미국 과학자들이 Nature Communications 지(2022. 1. 18)에 보고한 이 시스템은 ’53BP1 복구 시스템(53BP1 repair system)‘이라고 불린다.[4]


53BP1 복구 : DNA를 복구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이번에 발견된 새로운 메커니즘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단백질인, 종양 단백질 P53 결합 단백질 1(53BP1)이다. 이 시스템은 적절한 구조적 형태를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복구함으로써, 핵에서 DNA의 무결성(integrity, 완전성)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DNA는 모든 생물에서 사용되는 유전자 명령을 저장하여 정보를 갖고 있는 고분자이다. 작동하려면 특정 구조(conformation)를 유지해야 한다.

53BP1 단백질은 세포가 특정 유형의 DNA 손상(위험한 DNA 이중가닥 절단, DSB)을 복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비교적 큰 단백질이다. 이것은 DNA의 두 가닥이 함께 끊어져, 세포의 핵에 떠다니는 자유 DNA 말단을 남길 때 관여한다. 이러한 DNA 말단은 부적절하게 융합되어 유전정보의 교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복되지 않은 DSB를 가진 세포들은 세포자멸사(apoptosis)에 의해 사멸되지만, 복구되지 않으면, 소두증(microcephaly) 및 일부 유형의 암과 같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5] 채터지와 워커가 2017년에 설명했던 것처럼, "DNA 복구 및 손상 우회 메커니즘은 전체적인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서, 손상을 제거하거나 내성을 갖게 함으로써 DNA를 충실하게 보호한다"는 것이다.[6]

새로운 발견에서, 연구자들은 53BP1이 액체방울(liquid droplets)이라고 불리는 핵의 응축된 DNA 영역에서 단백질 축적에 관여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액체방울은 다른(유사하지 않은) 액체와의 혼합으로 인해 구조를 형성한다. 이 액체-액체 상 분리(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LLPS)는 많은 샐러드 드레싱에서 볼 수 있듯이, 기름과 물을 섞는 것과 유사하다. 53BP1 단백질은 다른 단백질들과 함께 액체방울을 형성하는 것을 촉진한다. 함께 이들은 구조 내에서 복구하는 동안 DNA를 안정화시켜, 다른 복구 단백질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로 응축된 DNA 형태를 유지한다.

인간 53BP1은 주로 DNA 이중가닥 절단(DSB)의 복구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에서 이전에 특성화되지 않은 53BP1 기능을 보고한다. 이곳에서 53BP1은 이질염색질 단백질 HP1α와 함께 상호 의존적인 방식으로 액체-액체 상 분리(LLPS)를 진행한다. 53BP1을 제거하면, 이질염색질 중심이 감소하고, 이질염색질에서 반복되는 구조(tandem repetitive)의 DNA가 억제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의 액체-액체 상 분리에 필요한 53BP1의 도메인과 잔여물을 식별했고, 이는 이중가닥 절단의 복구와 관련된 도메인과 겹치지만 구별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중가닥 절단 복구에서 53BP1 돌연변이 결여와 숙련된 액체-액체 상 분리는 이질염색질의 탈억제를 복구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DNA 손상과 노화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본 연구는 이중가닥 절단 복구의 조절 외에도, 53BP1이 액체-액체 상 분리를 통해 이질염색질 무결성 및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53BP1은 결과적으로 DNA의 구조(즉 적절한 기능)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DNA 영역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 저자들은 이것을 "이질염색질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고 결과적으로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는 53BP1의 예상하지 못했던 중요한 역할"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요약하면, 이 발견은 DNA를 정상 작동상태로 유지하는 분자 시스템과 협력하여 작동하는 이 단백질의 새로운 중요한 역할을 확인한 것이었다.

종합적으로, 우리의 연구는 이중가닥 절단의 복구에서 알려진 역할과는 다른,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서 53BP1의 이전에 특성화되지 않은 조절을 밝혀냈다고 믿는다. 최근의 논문들과 함께, 액체-액체 상 분리 개념을 53BP1에 도입하여, 53BP1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53BP1 단백질은 이미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을 갖고 있던 단백질로, 이제 복잡성은 더욱 커졌다. 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려면 매우 구체적인 환경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한계가 존재하며, 환경 변화가 너무 커서 시스템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암이나 질병이 발생하고,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결론

세포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세포와 각 부분들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통합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지식의 발전은 더 높은 수준의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irreducible complexity)‘을 보여주고 있다. 복잡성이 커질수록, 이러한 것들이 모두 무작위적인 과정으로 우연히 생겨났다는 다윈의 진화론은 매우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

다윈의 상자 밖으로 나와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은 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돌연변이에 의한 진화는 점점 더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깨닫고 있다. 이 새로운 53BP1 복구 시스템에 대한 발견은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다.


References
[1] Bergman, Jerry, The Mutational Repair System: A Major Problem for Macroevolution, CRSQ 41(4):265-273, March 2005.
[2] Chatterjee, Nimrat, and Walker, Graham C., Mechanisms of DNA damage, repair and mutagenesis, Environmental Molecular Mutagenesis 58(5):235–263, doi:10.1002/em.22087, June 2017.
[3] Alberts, Bruce, et a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4th edition, Garland, New York, NY, 2002, p. 242.
[4] Zhang, Lei, et al., 53BP1 regulates heterochromatin through liquid phase separation, Nature Communications 13(1), DOI: 10.1038/s41467-022-28019-y, 18 Jan 2022.
[5] Tumor Protein P53 Binding Protein 1 Gene Cards. The Human Gene Database. https://www.genecards.org/cgi-bin/carddisp.pl?gene=TP53BP1.
[6] Chatterjee, et al., 2017.


*참조 : DNA 복구 효소에서 발견된 극도의 정밀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5&bmode=view

DNA 수선 기작의 놀라운 조화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2&bmode=view

DNA 수선은 팀웍을 필요로 한다 : DNA 사슬간 교차결합의 수선에 13개의 단백질들이 관여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5&bmode=view

DNA 손상 연구는 놀라운 복잡성을 드러냈다.
http://creation.kr/LIfe/?idx=2237710&bmode=view

유전자 고속도로의 손상을 수리하는 분자 로봇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8&bmode=view

세포가 어떻게 DNA의 오류를 수정하는지는 아직도 신비이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59&bmode=view

세포 안에서 재난 복구 계획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1&bmode=view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http://creation.kr/LIfe/?idx=5333076&bmode=view

엔코드 프로젝트에 뒤이은 4D 뉴클레옴 프로젝트는 DNA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을 밝혀낼 것이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2&bmode=view

DNA에서 제2의 암호가 발견되었다! 더욱 복잡한 DNA의 이중 언어 구조는 진화론을 폐기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31&bmode=view

3차원적 구조의 DNA 암호가 발견되다! : 다중 DNA 암호 체계는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3&bmode=view

유전자의 이중 암호는 진화론을 완전히 거부한다 : 중복 코돈의 3번째 염기는 단백질의 접힘과 관련되어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3&bmode=view

4차원으로 작동되고 있는 사람 유전체 : 유전체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은 자연주의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768&bmode=view

DNA 암호는 또 다른 암호들에 의해서 해독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7&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경탄스런 극소형의 설계 : DNA에 집적되어 있는 정보의 양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7&bmode=view

책으로 700억 권에 해당하는 막대한 량의 정보가 1g의 DNA에 저장될 수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3&bmode=view

미래의 데이터 저장 장치로 DNA가 떠오르고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7&bmode=view


출처 : CEH, 2022. 2. 3.
주소 : https://crev.info/2022/02/life-is-designed-to-prevent-evolution/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12-05

7개의 모터가 하나로 연결된 편모를 갖고 있는 세균!

(Germ with seven motors in one!)

by Jonathan Sarfati

   

    지난 20년 동안, 과학자들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놀라운 기계들을 발견해왔다. 여기에는 세균이 헤엄칠 수 있게 해주는 꼬리(편모, flagellum)에서 파동을 일으키는 초소형 모터들이 포함된다. 이 꼬리에는 심지어 모터를 분리하는 클러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 더욱 초소형인 것으로 ATP 생성효소(ATP synthase)는 우주에서 가장 작은 모터이다. 이 효소는 생명체의 에너지 분자인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만든다.[3] 놀랍게도, 바이러스는 DNA를 촘촘하게 포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작은 모터를 갖고 있다.[4] 

어떤 세균들은 하나 이상의 편모를 갖고 있다. 때때로 그들은 개별적으로 작동하지만, 세균은 모터들을 조정하며 관리한다. 다른 세균에는 꼬리들이 느슨하게 뭉쳐져 있다. 그러나 해양 박테리아인 MO-1은 다르다. 이곳에는 7개의 편모가 빽빽하게 묶여 있다.

.해양 박테리아 MO-1 편모의 이러한 설계는 빠르고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하여, 이 미생물이 빠르게 헤엄치는 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함에 틀림없다 — Juanfang Ruan 등. 


수수께끼는 어떻게 그것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제 프랑스와 일본 대학의 연구팀은 그 방법을 알아냈다.[5] 그들은 일련의 단면 사진들을 계속 찍어 CAT scan처럼 3차원 사진(초저온에서 전자현미경 촬영)을 얻을 수 있었다.

7개의 편모는 실제로 24개의 미소섬유(fibril)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육각형 배열이다. 그리고 이 미소섬유들은 편모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것들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었다. 아래의 그림은 편모들은 큰 기어 바퀴이고, 미소섬유들은 작은 기어 바퀴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어 또는 베어링은 편모가 매우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 세균은 대장균이나 살모넬라보다 10배 더 빠르게 약 300 μm/s로 헤엄칠 수 있다.

.빠르게 헤엄치는 자기주성(magnetotactic) 박테리아 MO-1의 편모 구조 <www.pnas.org> 한 수초(sheath) 안에 다발로 묶여져 회전하는 7개의 편모와 역회전하는 24개의 미소섬유의 개략적인 모델. 애니메이션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라.


저명한 진화론자였던 할데인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바퀴나 자석은 찾아볼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이러한 것들은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다면 작동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에서 진화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고 있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복잡하고 정교한 건축"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러한 디자인은 MO-1의 빠른 수영이 가능하도록, 편모의 빠르고 부드러운 회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마지막 단락에서 연구자들은 관측되지 않은 진화에 대한 의무적인 경의를 표하고 있었다 :

"MO-1 편모의 이러한 특성은 이동 장치의 발전된 수준을 나타낸다. 진화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시스템에서, 즉 MO-1의 편모 및 미소섬유의 기본 구조와 척추동물 골격근의 두껍고 얇은 미세섬유(filaments)에서 육각형 배열의 패턴이 동일하게 보여지는 것은 흥미롭다. 유사한 미세섬유의 구조들은 아마도 이동 및 운동을 해야하는 서로 매우 다른 별개의 두 메커니즘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것이다.

이것은 '수렴진화'에 호소하고 있는 또 다른 사례로서, 동일한 설계적 특성이 한 번이 아니라, 두 번 생겨났다고(진화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요점은, 1940년대 말에 유명한 진화론자였던 할데인(J.B.S. Haldane)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바퀴(wheels)나 자석(magnets)은 찾아볼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었다.[6] 이러한 것들은 부품들이 모두 있고, 완전히 형성된(조립된) 상태가 아니라면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을 거쳐 하나씩 개선된 작은 단계들을 거쳐 점진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만들어낼 수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진화론자였던 할데인의 말을 통해서도, 이러한 세균의 모터들은 진화론을 부정하는 것이다. 또한 MO-1은 지구장을 감지하여, 자기 북극을 따라 나선형 경로로 나아간다.[7] 그래서 MO-1은 진화론을 부정하는 두 가지 측면을 제공해주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DeVowe, S., The amazing motorized germ, Creation 27(1):24–25, 2004; creation.com/flagellum.
2.Sarfati, J., Germ’s miniature motor has a clutch, J. Creation 22(3):9–11; December 2008; creation.com/clutch.
3.Thomas, B., ATP synthase: majestic molecular machine made by a mastermind, Creation 31(4):21–23, 2009; creation.com/atp-synthase.
4.Sarfati, J., Virus has powerful mini-motor to pack up its DNA, J. Creation 22(1):15–16, 2008; creation.com/virusmotor.
5.Juanfang Ruan and 8 others, Architecture of a flagellar apparatus in the fast-swimming magnetotactic bacterium MO-1, PNAS 26 November 2012 | doi:10.1073/pnas.1215274109. See an animation here.
6.Dewar, D., Davies, L.M. and Haldane, J.B.S., Is Evolution a Myth? A Debate between D. Dewar and L.M. Davies vs. J.B.S. Haldane, Watts & Co. Ltd / Paternoster Press, London, 1949, p. 90.
7.Compare: Helder, M., The world’s smallest compasses: An amazing discovery of how humble bacteria can sense direction, Creation 20(2):52–53, 1998; creation.com/compass.


Related Articles

Design in living organisms (motors: ATP synthase)

The amazing motorized germ

Even a tiny virus has a powerful mini-motor

Germ’s miniature motor has a clutch

ATP synthase: majestic molecular machine made by a mastermind

Incredible Kinesin!

Toothed gears in jumping insects

E. Coli’s electric engine: a marvel of design


Further Reading

Biological ‘machines’ and other irreducibly complex mechanisms


출처 : CMI, 2013. 1. 15. (GMT+10)
주소 : https://creation.com/germ-7-motors-in-1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10-19

정크 DNA의 또 다른 기능이 발견되었다.

(Another Function of 'Junk DNA' Discovered)

by Frank Sherwin


    수십 년 동안, 진화론자들은 우리 유전체(genome)의 거대한 부분들)이 단백질이나 폴리펩타이드의 생산을 위한 암호를 갖고 있지 않았고, 그래서 쓸모없는 또는 "쓰레기(junk) DNA"라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놀랄 일도 아니지만, 더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가치 없는" DNA 염기서열에 대한 기능들을 밝혀냈다.[1] 한 창조과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

한 DNA 염기서열 부분이 기능이 없다고(즉 쓰레기라고) 결론짓기 위해서는, 인간 유전체의 모든 염기쌍(DNA의 4 염기쌍 A, T, G, C)의 기능을 시험해야 한다. 이것은 불가능한 일이다.[2]

워싱턴 주립대학의 주지웨(Jiyue Zhu) 교수팀은, 정크 DNA 이슈와 관련된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3] 주지웨는 노화(aging) 과정에 대한 권위자로서, 최근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러한 DNA 염기서열들은 유전체에서 "정크 DNA" 또는 암흑물질로 간주되어왔는데, 그것들을 연구하기 어렵다. 우리의 연구는 그러한 단위 중 하나가 텔로머라제(telomerase)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실제로 기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4]

텔로미어(telomeres)는 인간 유전체에서 평균 5,000~15,000의 염기 길이를 갖고 있는(염기들은 유전 암호에서 철자와 같다) DNA의 한 부분이다.[5, 6] 

텔로머라제 유전자는 텔로머라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데, 텔로머라제 효소는 텔로미어의 생산을 돕는다. 텔로미어(telomere)는 진핵생물 염색체의 양쪽 말단을 덮고 있는 DNA 조각으로, 정상적인 세포에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지는데, 텔로미어가 너무 짧아지면, 세포는 더 이상 번식할 수 없어, 노화되고 죽는다.[4]

주지웨와 그의 연구팀은 이전에 VNTR2-1이라고 불렸던, "정크"로 여겨지는 한 DNA 영역을 연구해왔다. 그것의 기능은 텔로머라아제 유전자의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흥미로운데, 이 염기서열은 특정한 종류의 세포에서 노화를 막고, 암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만약 한 사람이 긴 텔로미어를 갖고 있다면, 노화는 느려지고, 그들은 더 오래 살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주지웨는 짧은 텔로미어를 갖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명이 짧은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텔로미어 유전자의 활성이 떨어지고,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 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4]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조론자들의 예측대로, "정크 DNA라는 진화론의 주장은 완전히 틀렸으며, DNA의 모든 부분들이 기능이 있으며, 극도로 복잡하다는 새로운 모델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계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DNA의 막대한 복잡성은 전지전능하신 창조주를 가리키고 있는, 진화론자들에게는 불편한 사실이다."[7]


References

1. Sherwin, F. 2007. Revealing Purpose in “Junk” DNA. Acts & Facts. 36 (8): 13.

2. Jeanson, N. 2013. Does “Junk DNA” Exist? Acts & Facts. 42 (4): 20.

3. Xu, T. et. al. 2021. Polymorphic tandem DNA repeats activate the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gen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8 (26): e2019043118.

4. The potential role of ‘junk DNA’ sequence in aging, cancer. MedicalXpress. Posted on medicalxpress.com July 23, 2021, accessed August 12, 2021.

5. Tomkins, J. 2012. Internal Telomere Sequences: Accidents of Evolution or Features of Functional Design? Acts & Facts. 41 (2): 6.

6. Tomkins, J. 2016. Internal Telomere-like Sequences Are Abundant and Functional. Acts & Facts. 45 (10): 9.

7. Tomkins, J. Human Genome 20th Anniversary—Junk DNA Hits the Trash.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pril 12, 2021, accessed August 10, 2021.

* Dr. Sherwin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Cite this article: Frank Sherwin, D.Sc. (Hon.). 2021. Another Function of 'Junk DNA' Discovered. Acts & Facts. 50 (10).


*관련기사 : '노화·암' 관여 텔로머라제 효소, '정크 DNA'가 제어한다 (2021. 7. 27.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727154900009


*참조 : ‘정크 DNA’ : 진화론자들의 무지와 오만

http://creation.kr/LIfe/?idx=4598034&bmode=view

엔코드’ 연구로 밝혀진 유전체의 초고도 복잡성 : ‘정크 DNA’ 개념의 완전한 몰락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8&bmode=view

DNA의 놀라운 복잡성이 밝혀지다 : '정크 DNA(쓰레기 DNA)'는 없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45&bmode=view

‘정크 DNA’ 개념의 사망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37&bmode=view

비암호화된 DNA는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6&bmode=view

정크 DNA에서 더 많은 중요한 역할들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25&bmode=view

DNA에서 제2의 암호가 발견되었다! 더욱 복잡한 DNA의 이중 언어 구조는 진화론을 폐기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31&bmode=view

3차원적 구조의 DNA 암호가 발견되다! : 다중 DNA 암호 체계는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3&bmode=view

유전자의 이중 암호는 진화론을 완전히 거부한다 : 중복 코돈의 3번째 염기는 단백질의 접힘과 관련되어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3&bmode=view

4차원으로 작동되고 있는 사람 유전체 : 유전체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은 자연주의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768&bmode=view

DNA 암호는 또 다른 암호들에 의해서 해독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7&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경탄스런 극소형의 설계 : DNA에 집적되어 있는 정보의 양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7&bmode=view

책으로 700억 권에 해당하는 막대한 량의 정보가 1g의 DNA에 저장될 수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3&bmode=view

자연이 생물학적 암호를 지시하였는가?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57&bmode=view

선도적 과학자들이 진화론을 비판하다. 1부 : 유전정보는 자연주의적 과정으로 생겨날 수 없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47&bmode=view

암호는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 없다 : 생명체에 들어있는 유전정보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LIfe/?idx=1870910&bmode=view

최첨단 공학기술도 DNA의 초고도 복잡성에는 한참 뒤처져 있다.

https://creation.kr/LIfe/?idx=7417838&bmode=view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https://creation.kr/LIfe/?idx=5333076&bmode=view

엔코드 프로젝트에 뒤이은 4D 뉴클레옴 프로젝트는 DNA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을 밝혀낼 것이다.

https://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2&bmode=view


출처 : ICR, 2021. 9. 30.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another-function-of-junk-dna-discovered/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08-03

최첨단 공학기술도 DNA의 초고도 복잡성에는 한참 뒤처져 있다.

(Latest DNA Tech Still Light Years Behind)

Brian Thomas, PH.D.  


    도서관의 책들을 모두 DNA에 기록해놓는다고 가정해 보자. 수많은 책들을 손가락 끝에 저장해놓을 수 있지만, 원하는 책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축구장 크기의 엑사바이트 데이터 센터에 수많은 외장 하드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대략 10억 달러가 소요될 것이다. 그러나 DNA는 더 안정적이고 더 저렴한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 주요한 문제는 DNA 창고에서 어떻게 바늘(원하는 자료)을 찾아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MIT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연구자들은 우주에서 가장 정보 밀도가 높은 초압축 데이터 저장 매체인 DNA를 구축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그리고 그들의 연구는 어떻게 수많은 식물과 동물 세포가 이 연구자들처럼 필요한 정보를 조용히 그리고 쉽게 찾아낼 수 있는지, 궁금증을 갖게 한다. 그 기술을 재설계해보면, 그것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Nature Materials 지에[1] 연구를 보고한 MIT의 생물공학자이자 선임저자인 마크 바스(Mark Bath)는 DNA 데이터 파일을 "6㎛ 크기의 실리카 입자"로 캡슐화 하였다.[2] 연구자들은 마트의 상품 바코드처럼 각 파일을 식별하기 위해서, DNA 꼬리표(DNA tags)를 추가시켰다.

그들의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 파일 검색 시스템(file retrieval system)은 살아있는 세포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데이터 호출(data call-up) 프로토콜과는 다르며, 훨씬 더 거칠게 작동한다. 세포 시스템은 파일을 깊은 저장 공간에 넣어두고, 배아 발달 도중에, 또는 필요가 발생할 시에,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조직 안에 있는, 필요한 파일을 찾아내어서, 반복적이고 자동적으로 파일을 추출하고, 세포의 DNA 판독기계와 가장 가까운 곳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DNA를 위치시킬 수 있다.[3]

그것은 마치 각 세포들이 멈추지 않고 일하는 수많은 소형 로봇 도서관 사서들을 고용하고 있는 것과 같다. 작지만 간단한 실리카 입자 형성체를 만드는 데에도 천재적인 공학기술이 필요했다면, 세포에 들어있는 훨씬 우수한 시스템이 무작위적 과정으로 우연히 생겨날 수 있었을까?

이러한 사실을 깊이 생각해보면, 마음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윈주의에 대한 과학적 반대(Dissent from Darwinism)"에 서명한 1,000명의 과학자들에 자신의 이름을 추가한 마르코스 에벌린(Marcos Eberlin)은 Discovery Institute에서 이렇게 말했다 : "생화학자로서 나는 유전 암호의 극단적 복잡성과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고, 해독하고, 보호하는, 많은 지능적인 전략에 직면했을 때, 진화론에 대해 회의적이 되었다"고 말했다.[4]

인간이 만든 DNA 데이터 검색 시스템에 비해, 극도로 우수한 세포의 DNA 시스템을 생각해볼 때, 진화론을 의심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새로운 이러한 소식은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들고 계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신뢰하고 찬양할 이유를 새롭게 제공한다.



References

1. Banal, J.L., et al. 2021. Random access DNA memory using Boolean search in an archival file storage system. Nature Materials.

2. Trafton, A. Could all your digital photos be stored as DNA? MIT News. Posted on news.mit.edu June 10, 2021, accessed June 10, 2021.

3. Thomas, B. 2010. Cell systems—what’s under the hood continues to drop jaws. Journal of Creation. 24(2): 13-15.

4. Skepticism About Darwinian Evolution Grows as 1,000+ Scientists Share Their Doubts. Evolution News. Posted on evolutionnews.org February 4, 2019, accessed July 14, 2021. 

*Dr. Brian Thomas is a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aleobiochemistry from the University of Liverpool.


*참조 : DNA에서 제2의 암호가 발견되었다! 더욱 복잡한 DNA의 이중 언어 구조는 진화론을 폐기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31&bmode=view

3차원적 구조의 DNA 암호가 발견되다! : 다중 DNA 암호 체계는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3&bmode=view

유전자의 이중 암호는 진화론을 완전히 거부한다 : 중복 코돈의 3번째 염기는 단백질의 접힘과 관련되어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3&bmode=view

4차원으로 작동되고 있는 사람 유전체 : 유전체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은 자연주의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768&bmode=view

DNA 암호는 또 다른 암호들에 의해서 해독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7&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경탄스런 극소형의 설계 : DNA에 집적되어 있는 정보의 양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7&bmode=view

책으로 700억 권에 해당하는 막대한 량의 정보가 1g의 DNA에 저장될 수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3&bmode=view

미래의 데이터 저장 장치로 DNA가 떠오르고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7&bmode=view

DNA 손상 연구는 놀라운 복잡성을 드러냈다.

http://creation.kr/LIfe/?idx=2237710&bmode=view

DNA 복구 효소에서 발견된 극도의 정밀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5&bmode=view

세포 안에서 재난 복구 계획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1&bmode=view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http://creation.kr/LIfe/?idx=5333076&bmode=view

엔코드 프로젝트에 뒤이은 4D 뉴클레옴 프로젝트는 DNA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을 밝혀낼 것이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2&bmode=view

과학자들이 말하는 DNA : 초고도 복잡성의 DNA는 자연 발생될 수 없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879&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선도적 과학자들이 진화론을 비판하다. 1부 : 유전정보는 자연주의적 과정으로 생겨날 수 없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47&bmode=view

암호는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 없다 : 생명체에 들어있는 유전정보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LIfe/?idx=1870910&bmode=view


출처 : ICR, 2021. 7. 19.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latest-dna-tech-still-light-years-behind/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04-20

세균의 단백질은 양자역학을 사용한다. 

(Bacterial Proteins Use Quantum Mechanics)

by Brian Thomas, PH.D. 


      연구자들은 한 단백질에서 일종의 밝기조절 스위치(a dimmer switch)를 발견했다. 그 스위치는 광합성(photosynthesis)을 하는 동안 양자역학의 장점을 사용하기 위해서 단백질의 구성을 조정한다. 이 스위치가 인간이 만든 기계와 유사하다는 사실은 이 광수집기(light collector)의 기원에 대한 의구심을 남겨 놓는다.

시카고 대학의 과학자들은 밝기조절 스위치와 연결된 우아한 센서를 발견했다. 시카고 대학 뉴스에 따르면, 이 단백질의 두 주요한 화학 부위가 함께 "방아쇠(a trigger)"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1]

그레고리 엥겔(Gregory Engel)은 시카고 대학의 화학자로서, PNAS 지에 발표된 논문의 수석 저자이다.[2] 그의 연구팀은 방아쇠가 산소를 감지할 때를 기술하고 있었다. 너무 많은 산소는 박테리아가 그것을 재구축하는 것보다 빠르게 광 수집 기계를 손상시킬 것이다. 방아쇠는 일종의 안전장치(failsafe)로서 역할을 한다. 산소 레벨이 높으면 방아쇠가 작동되고, 이것은 양자역학을 사용하여, 가장 민감한 에너지 전달 장비로부터 광 에너지를 멀어지도록 유도한다.

오늘날의 방아쇠들은 우연히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박테리아는 단백질 내부에 의도적인 장치를 어떻게 얻을 수 있었는가?

엥겔은 대학 뉴스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단지 분자로부터 우연히 만들어진 결과였을까요? 아니면 목적이 있었을까요? 생물학이 양자 효과(quantum effects)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 연구팀은 많은 말을 하면서, 공학자들이 특별한 목적을 의도할 때만 발생하는 장치들, 즉 센서와 발기조절 스위치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이 의도적으로 광합성 세균을 만드실 때에, 양자 효과를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신 것을 보고 있는 것이다.

시카고 대학 뉴스는 말했다 : "이 박테리아들은 살아가기 위해 빛이 필요하지만, 적은 양의 산소라도 그들의 섬세한 광합성 장비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그래서 박테리아들은 산소를 감지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만 했다.“ 하지만 박테리아가 이 장비를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기다렸다면, 그들은 죽었을 것이다! 박테리아는 부품들은 하나씩 하나씩 천천히 만들어내는 대신에, 인간 공학자가 설계하는 것과 같이, 시스템 패키지 내에 모든 필수 부품들을 한꺼번에 장착시켰어야 했다. 이 박테리아는 상향식(bottom-up)이 아닌, 하향식(top-down)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3]

인간 공학자들이 어떤 기계를 만들 때, 부품들은 의도적으로 특수 제작되며, 부품들이 모두 동시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작동되지 않는다(all-or-nothing, 전부-아니면-무 시스템이다). 이것은 이 박테리아에서도 유사했다. 연구자들은 이것을 설명할 수 없었다. 그저 이 박테리아 내부에서 멋지게 작동되고 있는, 초미세한 크기의, 고도로 복잡한 양자역학 방식을 사용하며, 빛을 수확하고 있는 나노기술들을 보면서 놀라고 있을 뿐이었다.      

이것을 설계하신 분은 누구일까? 그 분을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PNAS 지의 저자들은 보고서의 마지막 문장에서, "여기에서 보여준 산화-환원 의존 진동 전자 결합(redox-dependent vibronic coupling)은 광합성 유기체가 흥분 상태의 에너지 전달 동력학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상태와 진동상태 사이의 양자 혼합을 이용할 수 있는 진화적 메커니즘을 발전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하면서, 자연적 진화 과정에 그 원인을 돌리고 있었다.[2] 진화적 메커니즘? 그것은 무슨 뜻인가?

무작위적 진화 과정이 어떤 정교한 메커니즘을 발생시키는 것을 관측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인간이 만든 것보다 더 뛰어난 구조나 장치가 무작위적인 과정으로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이러한 정교한 생물학적 메커니즘 뒤에 계시는 분이 있다. 그 분은 어떤 사람보다도 많은 지식을 갖고 계시며, 무작위적인 자연적 과정보다 훨씬 더 지혜로우시다. 


References

1. Evans, S. Bacteria know how to exploit quantum mechanics, UChicago study finds. UChigago News. posted on news.uchicago.edu March 9, 2021, accessed March 15, 2021.

2. Higgins, J.S. et al. 2021. Photosynthesis tunes quantum-mechanical mixing of electronic and vibrational states to steer exciton energy transfer.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8(11): e2018240118.

3. Coppedge, D. 2009. Bottom-Up Science. Acts & Facts. 38 (11): 18.

*Dr. Brian Thomas is a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aleobiochemistry from the University of Liverpool.


*참조 : 해조류는 양자역학을 알고 있었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362&bmode=view

식물의 광합성은 양자물리학을 이용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386&bmode=view

광합성의 양자 비밀이 밝혀졌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407&bmode=view


출처 : ICR, 2021. 4. 8.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Bacterial-Proteins-Use-Quantum-Mechanic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03-22

해조류에서 발견된 고도로 복잡한 메커니즘. 

(How Algae Do Fine When Tossed at Sea) 

by Brian Thomas, PH.D. 


      만약 어떤 것이 하루 종일 몇 초마다 뒤집혀진다면, 어떤 기분이들까? 해조류(marine algae)는 해안가 파도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던져진다. 그리고 그들은 꽤 잘 대처한다. 연구자들은 그 방법을 알아내기를 원했다. 최근 일련의 실험은 이 단세포 생물들이 난류(turbulence) 속에서 번성하도록 해주는 내장된 분자기계들을 밝혀냈다. 이러한 세포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살펴보면, 처음에 이 시스템이 어떻게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커다란 질문이 생겨난다.

한 국제 연구팀은 전 세계 해안에서 물고기에 치명적인 적조(algal blooms)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유명한, 침편모조류(Heterosigma akashiwo)에 대한 실험 결과를 PNAS 지에 발표했다.[1] 연구자들은 조류는 평화롭던 개체군에서 충분히 수가 많아지면, 그것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절반 정도는 위쪽으로 헤엄쳐 나가고, 나머지 절반은 아래로 향한다. 그래서 이들 연구자들은 조류들이 어떻게 이러한 전환(switch)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려고 했다.

연구자들은 한 개의 세포(조류)가 10바퀴를 돌면, 작은 세포 내부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떻게 이런 작은 생명체들은 그들이 회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일까? 그들은 회전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삶의 전략을 개편한다. 바다에서 하강하는 세포는 해저 진흙에 도달하여, 일종의 식물인간 상태로 들어간다. 충분한 열과 빛을 받으면, 그들은 다시 소생되어 표면을 향해 헤엄쳐 간다.

개편(retooling)은 입력 및 출력의 통합적 배치를 통해 빠르게 일어난다. 2002년 한국의 한 연구팀은 "대부분 생존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 신호전달 회로는 여러 입력 단서들로부터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라고 썼다.[2] 이들이 말한 입력(inputs)은 무엇인가?

조류 세포들은 중력(gravity)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고 있어서, 어느 방향이 아래쪽인지를 알고 있다. 그리고 조류 내부에 들어있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그들이 상향으로 이동해야할 시점을 알려준다.[1] 그렇다. 이 단세포 생물은 세포 내에 온도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조류 세포들은 질소, 인, 염분 탐지기도 갖고 있다. 그러나 사전에 준비된 대응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면, 이러한 미세 감지기들로 탐지한 모든 데이터들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2002년 연구의 저자들은 "유기체는 선택된 환경적 단서들을 인지하고, 그러한 신호들을 조류 삶의 단계에서 생존에 최적화를 결정하는 대사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고 썼다.[2] 조류에 장착된 프로그램에는 평평한 신체에서 배 모양의 신체로 변경되는 것이 포함된다. 그들은 커다란 형태로도, 작은 형태로도 자랄 수 있다. 조류들은 기름이 물 위에 뜬다는 사실을 활용하여, 기름 함유량을 관리하여 부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너무 많이 출렁거리거나, 너무 많은 빛에 노출되면, 그들은 곧 수영을 하기 시작한다.

PNAS 지에 논문을 게재한 룩셈부르크 대학의 아누판 센굽타(Anupan Sengupta) 생물물리학 실험실의 연구자들은, 빛과 난류와 같은 외부적 요인이 조류들의 특별한 내부적 변화를 어떻게 이끄는 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고, 세포 내부에 너무도 많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들이 세포의 반응을 촉발한다는(triggered) 것을 발견했다. 활성산소는 단백질과 DNA를 손상시키는 화학물질이다. 세포는 일반적으로 이 치명적인 독을 다룰 수 있는 장비를 갖고 있다. 침편모조류(Heterosigma akashiwo) 내부에 들어있는 장비가 만들어지는 활성산소를 따라잡지 못하면, 센서가 악성 활성산소를 감지한다. 농도가 한계점에 도달하면, 세포가 전략을 바꿔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모든 공중제비(tumbling)는 세포를 압착하고 스트레스를 주어 활성산소를 발생시킨다. 너무 많은 빛도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연구팀은 해조류가 삶의 방식을 바꾸는 활성산소 임계값을 측정했다. 위쪽으로 이동하는 바다조류의 활성산소가 표준 농도의 2.3배에 도달하면, 조류의 절반 정도는 동작을 멈추고, 아래쪽으로 수영해간다.[1] 누가 이 임계값과 다른 내부 임계값들을 설정했는가?

굽타(Gupta) 박사는 자신의 결과를 설명하는 온라인 비디오에서, "미생물의 건강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인 햇빛 수준, 영양분 이용성, 물 흐름 조건을 조합하여, 미생물들은 자연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정교한 메커니즘을 갖고 있으며, 환경에서의 생존을 위한 그들의 진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 적응성을 줄곧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3]

진화에 대한 공허한 주장은 제쳐두고, 우리는 더 큰 문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정밀한 메커니즘"은 어디에서 왔는가? 이것도 무작위적 과정인 돌연변이로 우연히 생겨났는가? 자연적인 과정으로 미세하고 정밀한 기계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조잡한 기계 같은 것이라도 우연히 만들어지는 것을 관측한 과학자가 있는가? 더군다나 이 분자기계들을 만드는데 필요한 유전정보가 우연히 만들어져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어 또 다시 이 분자기계들이 만들어지는 것을 관측한 과학자가 있는가? 정교한 메커니즘은 정교한 계획으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이것은 자연에는 없는, 지성을 필요로 한다.  


References 

 1. Carrara, R. et al. 2021. Bistability in oxidative stress response determines the migration behavior of phytoplankton in turbul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8 (5): e2005944118.

 2. Han, M-S., Y-P Kim, and R.A. Cattolico. 2002. Heterosigmaakashiow (Raphidophyceae) Resting Cell Formation in Batch Culture: Strain Identity Versus Physiological Response. Journal of Phycology. 38: 304-317.

 3. Microbes are crucial in tackling the climate crisis | Anupam Sengupta | TEDxUniversityofLuxembourg. Posted on youtube.com November 18, 2020, accessed February 3, 2021.

 *Dr. Brian Thomas is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aleobiochemistry from the University of Liverpool.    


*참조 :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발견된 다연발의 작살! : 하등하다는 원생동물에서 고도로 복잡한 기관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1291308&bmode=view

플랑크톤은 그렇게 단순한 생물이 아니다

http://creation.kr/LIfe/?idx=1757483&bmode=view

미생물도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9&bmode=view

하등하다고 주장되는 생물들이 어떻게 첨단 물리학을 알고 있는가?

http://creation.kr/LIfe/?idx=1291310&bmode=view

토양 곰팡이가 철을 캐내는 방법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4&bmode=view

단순한(?) 아메바가 박테리아를 사육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85&bmode=view

세포가 저절로 만들어졌다고?

http://creation.kr/LIfe/?idx=1291302&bmode=view

세포 내의 초정밀 분자기계들이 모두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3094830&bmode=view

세포 내의 수많은 대사경로들이 모두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3413369&bmode=view

세포도 인간 공학자처럼 제어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http://creation.kr/LIfe/?idx=2867103&bmode=view

암호는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 없다 : 생명체에 들어있는 유전정보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LIfe/?idx=1870910&bmode=view

DNA의 경이로운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가상 이야기 : 미스터리한 외계 서판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3962115&bmode=view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http://creation.kr/LIfe/?idx=5333076&bmode=view

춤을 추고 있는 세포의 소기관들 : 세포의 초고도 복잡성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http://creation.kr/LIfe/?idx=1812772&bmode=view

생체모방공학과 경이로운 세포에 관한 새로운 소식들

http://creation.kr/LIfe/?idx=1291314&bmode=view

페일리의 시계가 생물체 내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13&bmode=view

바이러스는 바다를 좋게 만들 수 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99&bmode=view

건강은 좋은 바이러스와 미생물에 달려있을 수 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12&bmode=view

바이러스에 감염된 박테리아가 보여주는 창조의 복잡성.

http://creation.kr/LIfe/?idx=2478526&bmode=view

규조류 진화의 미스터리 

http://creation.kr/Plants/?idx=1291389&bmode=view

점균류의 네트워크는 철도 시스템을 능가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7&bmode=view

해조류의 진화적 기원에 관한 나쁜 소식

http://creation.kr/Variation/?idx=3579204&bmode=view

해조류는 양자역학을 알고 있었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362&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는 많은 모터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 더욱 복잡한 것으로 밝혀진 지적설계의 상징물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5477172&bmode=view


출처 : ICR, 2021. 2. 22.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how-algae-do-fine-when-tossed-at-sea/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1-01-27

RNA는 스스로 묶여지고 풀어진다.
(RNA Ties and Unties Itself)

by Frank Sherwin


        핵산(nucleic acids, 유전 분자)에는 DNA와 RNA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DNA(deoxyribonucleic acid)는 모든 세포에서 유전정보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거대한 선형 분자이다. RNA(ribonucleic acid)는 단백질의 설계도(blueprint) 역할을 하며, transfer-RNA, ribosomal RNA, messenger-RNA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핵산은 양파(onion)와 같다고 말해진다. 생물학자들이 복잡한 한 층을 벗겨 내면, 그 아래에는 설명될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층이 들어있었다. 예를 들어, 2010년 토론토 대학의 연구자들은 “생체 세포가 제한된 수의 유전자를 사용하여, 뇌와 같은 엄청나게 복잡한 기관을 만들어내는 방법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새로운 관점을 발견했다.”[1]

최근 대장균(Escherichia coli) 박테리아에서 RNA 분자의 놀라운 특성이 발견되었다. 대장균의 RNA는 "기능적 구조로서 효율적인 공동-전사(cotranscriptional)를 위한 구조적 재배열을 생성하기 위해, 한 주요 모양 내에서 특별한 국소적 구조 변동(specific local structural fluctuations)을 일으킨다."[2]  

놀라운 새로운 영상물은 RNA(세포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유전분자)가  형성될 때, 어떻게 스스로 매듭으로 엉키고, 마지막 순간에 풀리는 지를 보여주어, 과학자들을 놀라게 만들고 있었다.[3]

정말로 놀랍다. 이 "뉴클레오타이드의 춤추는 것처럼 튀어다니는 가닥(bouncing conga line)“은 사실상 매듭을 만든다. 만약 이것이 부정확하다면, 그것은 RNA의 기능 장애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신호인식 입자 RNA(signal recognition particle(SNP) RNA) 라고 불리는 RNA의 한 고유한 타입과 컴퓨터 알고리즘, 고해상도 비디오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은 RNA 분자가 최종 형태를 이루기까지 자라가는 것을 실제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RNA가 형성될 때, 그리고 매듭으로 묶여질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

.... 더 많은 뉴클레오타이드가 염기서열에 추가됨에 따라, 새로운 뉴클레오타이드는 내부에서 엉킨 뉴클레오타이드를 대체해 매듭을 풀기 위해 더해진다. "마지막의 작은 뉴클레오티드는 전체 RNA가 정확한 형태로 튀어 나오도록 하는 방아쇠와 같다"고 럭스(Lucks)는 말했다. 종이접기에서 마지막 접는 단계를 생각해보라. 갑자기 주름진 종이가 아름다운 학으로 바뀐다.[3]

이 기사에서 진화가 언급된 유일한 곳은 SNP RNA가 "모든 생물계에서 발견된 진화적 고대 분자"라고 언급한 부분이었다. 이렇게 초고도로 복잡한 RNA가 우연히 생겨났는가? 창조과학자들은 생명체가 세균이든지, 새들이든지, 고래이든지, 창조주가 음식을 분해하는 특정 효소를 여러 생물들에 장착시키셨던 것처럼, 모든 생물들에서 이 독특한 분자를 설계하시고 사용하셨다고 믿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생물학에서 명백히 창조주를 가리키는 더욱 놀라운 발견들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References
1. Pidutti, Mario. U of T researchers crack “splicing code,” solve a mystery underlying biological complexity. Posted on media.utoronto.ca on May 5, 2010, accessed January 21, 2021. See also: ICR News. Posted on icr.org November 15, 2010.
2. Yu, A. et al. Computationally reconstructing cotranscriptional RNA folding from experimental data reveals rearrangement of non-native folding intermediates. Molecular Cell. Posted on cell.com January 15, 2021, accessed January 21, 2021.
 3. Lanese, N. RNA ties itself in knots, then unties itself in mesmerizing video. Posted on msn.com January 19, 2021, accessed January 21, 2021.

*Mr. Frank Sherwin is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master’s degree in invertebrate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참조 : RNA 편집 : 새로운 차원의 초고도 생물복잡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9&bmode=view

산호에서 발견된 RNA 편집은 진화론과 모순된다 : RNA 편집이라는 초고도 복잡성이 다양한 생물들에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6&bmode=view

새로운 차원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고리모양의 원형 인트론 RNAs의 발견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7&bmode=view

DNA의 이중 나선을 푸는 모터, 국소이성화효소 :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한 사례
http://creation.kr/LIfe/?idx=2229846&bmode=view

밝혀지고 있는 유전체 내 단백질 비암호 부위의 기능들 : VlincRNAs의 제어 및 조절 특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5&bmode=view

‘엔코드’ 연구로 밝혀진 유전체의 초고도 복잡성 : ‘정크 DNA’ 개념의 완전한 몰락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8&bmode=view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http://creation.kr/LIfe/?idx=5333076&bmode=view

DNA의 경이로운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가상 이야기 : 미스터리한 외계 서판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3962115&bmode=view

3차원적 구조의 DNA 암호가 발견되다! : 다중 DNA 암호 체계는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3&bmode=view

회충의 DNA는 미래를 대비하고 있었다 : 장래 일에 대한 계획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3&bmode=view

재배선되는 생쥐의 뇌는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animals/?idx=3037692&bmode=view

점핑 유전자의 새로운 기능 : DNA 폴딩 패턴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3293797&bmode=view

춤을 추고 있는 세포의 소기관들 : 세포의 초고도 복잡성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http://creation.kr/LIfe/?idx=1812772&bmode=view

세포도 인간 공학자처럼 제어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http://creation.kr/LIfe/?idx=2867103&bmode=view

바이러스에 감염된 박테리아가 보여주는 창조의 복잡성.
http://creation.kr/LIfe/?idx=2478526&bmode=view

DNA 손상 연구는 놀라운 복잡성을 드러냈다.
http://creation.kr/LIfe/?idx=2237710&bmode=view

플랑크톤은 그렇게 단순한 생물이 아니다.
http://creation.kr/LIfe/?idx=1757483&bmode=view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발견된 다연발의 작살! : 하등하다는 원생동물에서 고도로 복잡한 기관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1291308&bmode=view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은 도시 전력망을 닮았다.
http://creation.kr/LIfe/?idx=1291301&bmode=view

DNA 생산의 정교한 균형 : DNA 복제 시에 뉴클레오티드의 정확한 량이 요구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30&bmode=view

점균류의 네트워크는 철도 시스템을 능가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7&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는 많은 모터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 더욱 복잡한 것으로 밝혀진 지적설계의 상징물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5477172&bmode=view

초고도 복잡성의 ATP 합성효소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757501&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암호는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 없다 : 생명체에 들어있는 유전정보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LIfe/?idx=1870910&bmode=view

후성유전체 연구는 세포에서 교향악단을 발견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8&bmode=view

 

ICR, 2021. 1. 25.
https://www.icr.org/article/rna-ties-and-unties-itsel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0-11-16

‘ENCODE III’ 프로젝트의 시작과 '정크 DNA'의 종말을 축하한다.

: 엔코드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한 진화론자들의 반응

(Celebrate ENCODE III and the demise of ‘Junk DNA’)

by Margaret Helder, PhD


       2012년에 있었던 ENCODE II 선언이 논란을 초래했던 것은 생물학자들 사이에 비밀이 아니다. ENCODE 컨소시엄의 국제과학자들은 인간 유전물질의 80%가 “기능적”이라고 선언했었다.[1] 그러나 기능적이라는 용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진화론적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인 진화론적 개념은 세포 DNA 염기서열의 대부분은 기능적이지 않고, "정크(쓰레기) DN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세포 유전물질의 진화론적 기원을 입증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ENCODE II 팀의 보고는 많은 동료 진화생물학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는데, 왜냐하면 유전체(genome)에서 높은 수준의 기능을 제안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제 2020년에 세 번째 ENCODE 프로젝트가 게시되었다. ENCODE II 팀의 결론을 더 강화해줄까, 아니면 기능적 추정치를 대폭 하향 조정하게 될까?

국제 유전체 조사에 따르면, 엄청난 양의 비암호화 DNA가 전사되고 있는데, 이것은 진화론자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정크'가 아닌 기능적일 가능성을 가리킨다.

이 모든 것은 2000년에 지미 카터 대통령과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가 인간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초기 단계가 완료되었다고 공동 발표했던 때부터 시작되었다. 1990년 이후로 국제적 과학자 팀은 인간 세포의 염색체에서 뉴클레오티드의 정확한 순서를 알아내려고 시도해 왔다. 이 아이디어는 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단백질에 대한 암호화된 올바른 순서의 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는 것이었다. 단백질(proteins)들은 살아있는 세포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정교한 분자이다. 우리의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약 100,000개의 유전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리보솜(ribosome)의 단순화된 묘사 : 메신저 RNA(노란색)가 들어가, 단백질(녹색)이 출력된다.(Illustra Media)


과학자들이 인간 유전체(게놈)에 있는 30억 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에 약 23,000개(또는 그 이하)의 유전자들이 있다고 발표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랐던 것을 상상해보라. 이것은 인간 게놈의 단지 2% 미만이 단백질 암호라는 것을 의미한다! 나머지 거대한 수의 비암호화 뉴클레오티드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 발견은 인간 DNA의 대부분이 명백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 같았다.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유럽 생물정보학 연구소(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의 이원 버니(Ewan Birney) 소장에 따르면, 사람들은 유전자에 대한 통제(조절)가 있을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고, 두 배 정도의 뉴클레오티드들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32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중 기껏해야 8~9% 정도가 기능적 정보를 갖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정크(쓰레기) DNA라는 진화론적 견해

이 놀라운 발견에 대해 두 가지 반응이 가능했다. 하나는 인간 유전체가 ‘정크 DNA’로 가득 차 있다고 선언하는 것이었다. 이 관점에 의하면, 유전체는 원래 유용했던 DNA들이 이제는 깨져서 다른 염기서열이 통제를 하게 된, 오랜 연대 동안의 진화적 산물임이 분명했다. 반복되고 있는 거대한 DNA 영역은 쓸모없는 DNA의 개념을 확인해주는 것처럼 보였다. 인간 유전체는 진화론을 확고하게 지지하고, 창조론을 거부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창조주가 쓰레기도 만들었는가? 진화론자들은 이렇게 되물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기능이 없다는 소위 ‘정크(쓰레기) DNA’는 창조-진화 논쟁에서 자주 등장했던 것이다. 이에 반해 다른 그룹의 과학자들은 비암호화된 나머지 유전체는 무슨 기능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 했다. 이 긴 염기서열이 작동하고 있다면,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진화론은 원래 물질의 무작위적인 돌연변이에 의한 자연선택에 의존한다.


어떤 기능이 있는 지에 대한 탐색

유전체(게놈)의 본질에 대한 호기심이 깊어지면서, 2003년 10개국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컨소시엄은 인간 유전체의 1%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DNA의 1% 길이에 있는 것이 무엇이든지, 유전자(단백질 코딩)이든 뉴클레오티드의 비암호 서열이든 상관없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나머지 유전체에서도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었다. 그래서 2007년에 ENCODE(ENCyclopedia of DNA Elements) 컨소시엄은 마침내 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놀랍게도, 연구된 대부분의 DNA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였고, 적어도 세포의 다른 분자로 복제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독립적으로 전사되고 있는 분리된 유전자좌(유전자)의 구분되는 세트를 갖고 있다는, 유전체에 대한 단순한 견해는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2]

초기의 ENCODE 보고서는 미국의 국립인간게놈 연구소가 전체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자금을 지원할만큼 충분히 흥미로웠다. 그 결과 2012년에 한 새로운 대형 ENCODE 컨소시엄이 결과를 발표했다. 요약해서 그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

유전체의 광활한 사막 지역은 이제 유전자 조절에 기여하는 수십만 가지 특성들로 채워져 있었다. 그리고 모든 세포 유형은 고유한 생물학을 생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특성들의 다양한 조합과 변경을 사용한다.[3]

이것은 ENCODE II 연구에서 나온 폭탄과 같은 선언이었다. 사실 그 결과는 첫 번째 보고서에서 암시된바 있었다. 그것은 “정크 DNA” 개념에 대한 완전한 거부였다. "이 데이터를 통해  유전체의 80%에 해당하는, 특히 잘 연구된 단백질 코딩 영역 바깥쪽에서, 생화학적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는 제안에 많은 진화생물학자들은 깊은 분노를 느꼈다.[4] 같은 이슈에 대한 논평은 이 사실을 강화해주고 있었다 : “왜 진화가 많은 양의 '쓸모없는' DNA를 유지하고 있었는지 그 이유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고, 낭비적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 DNA를 유지해야하는 타당한 이유가 있음이 밝혀졌다.”[5]

DNA 연구 분야의 많은 다른 과학자들은 ENCODE 프로젝트의 모든 측면에 반대했던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처음에는 연구의 체계적인 성격을 좋아하지 않았다. 체계적인 연구는 조사자가 무엇을 찾을 지에 대한 기대 없이 연구에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선입견이 없기 때문에 모든 관측은 똑같이 환영받는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은 가설 주도 프로젝트를 선호한다. 이 경우 조사자는 특정 질문을 한다. 질문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반드시 준수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일부 저명한 과학자들은 ENCODE 컨소시엄이 진화론에 기반한 질문을 하지 않고 있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선언했었다.

ENCODE 프로젝트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 중 하나로, 워싱턴 대학의 신 에디(Sean Eddy, 현재는 하버드 대학)는 그의 블로그인 Cryptogenomicon에서 “엔코드는 무엇을 말하는가?(ENCODE Says What?)”라는 글에서 이렇게 말했다 :

개인적으로 유전체에서 작동되고 있는 요란하고, 다르며, 중립적인 진화적 과정을 인식하지 않는다면, 유전체를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6]

그러나 ENCODE 프로젝트에 대한 공격으로 가장 잘 알려진 사람은 댄 그라우(Dan Graur) 였다. 인간 유전체의 80%가 기능적이라는 콘소시움의 주장과 관련하여 댄 그라우와 그의 동료들은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DNA 염기서열의 기능적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발전은 진화적 원리를 무시하지 않을 때에만 달성될 수 있다.[7]

대안으로 그라우와 그의 동료들은 유전체에서 기능적 비율이 10%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8] 그들의 기사는 다음과 같이 도발적인 제목을 붙이고 있었다. “TV의 불멸성에 대하여: ENCODE 복음에서 말하는 진화가 없는 인간 유전체의 '기능'”[9]


반론과 더 많은 단서들

.DNA를 전사하고 있는 RNA 중합효소(녹색).(Illustra Media). 세포는 쓰레기를 왜 그렇게 열심히 전사하고, 편집하고, 복사하고, 포장할까?


공격을 당한 ENCODE 컨소시엄의 일부 과학자들은 PNAS 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비판가들의 공격에 응답했다. 그들은 "기능적 DNA 세그먼트에 대한 정의, 그리고 추정된 게놈 범위에서 관찰된 차이의 잠재적인 근원, 이러한 불일치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생화학적, 진화적 및 유전적 접근의 강점과 한계“ 등을 검토했다.[10] 그러면서 그들은 이전 결론에서 후퇴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들은 "비코딩 및 비보존 영역, 그리고 반복 요소를 포함하여, 예상치 않게 많은 유전체 부분의 골고루 미치는 활동"을 언급했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적 염기서열의 상한 추정치를 크게 증가시킨다”고 말했다.[11]

그러나 그들의 응답에서, 첫째로 ENCODE II 컨소시엄은 그들의 보고서와 관련된 또 다른 폭탄을 언급했는데, 그것은 2005년 이후로 특정 질병과 관련된 중요한 유전적 마커(markers, 표지자)가 유전체의 비암호화 부분(유전자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 아마도 정크 DNA로 말해지는 부분)에서 점점 더 많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이었다. 컨소시엄은 이것을 식별하기 위해서 GWAS(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전장유전체 연관분석)를 부분적으로 사용했다. 한편, 점점 더 많은 사람들로부터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얻는 능력이 발전했다. 전문가들은 특정 질병(또는 상태)을 가진 사람들의 독특한 마커를 찾기 시작했고, 이러한 특성이 없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놀라웠다 :

보다 최근에, 유전체 전반에 걸친 연관성 분석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질병과 감수성에 기여하는 유전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형질 관련 유전자좌(loci, locations)는 단백질 코딩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인간 유전체의 비암호화 영역이 다양한 조절 및 기타 기능을 가진, 기능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보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12]

과학자들은 유전체의 비암호화 영역에서 많은 중요한 활동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질병의 마커가 유전자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발견된다면, 이것은 어떤 중요한 일이 비암호화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영역이 중요하지 않다면, 뉴클레오티드의 DNA 순서 변화는 어느 쪽이든 상관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분명히 중요했다.


돌연변이 된 비코딩 DNA이 유전질환의 원천

과학자들이 처음으로 인간 유전체를 자세히 연구하기 시작했을 때, 많은 유전적 질병의 원인은 관련 단백질과 유전자 코딩을 연구함으로써 해결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이것은 일부 질병의 경우 확실히 사실이었다. 예를 들어 겸상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은 헤모글로빈의 베타글로빈 사슬을 암호화하는 441개 뉴클레오티드 사슬에서 17번째 뉴클레오티드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 한 번의 실수는 전체 분자의 모양을 바꾸고, 그 결과는 이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전적으로 유발된 질병이나 발달이상의 대부분 또는 전부의 원인이 그러한 연구를 통해 해결될 것이라는 희망이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과학자들이 대규모 인구집단에 대해서 GWAS를 조사하기 시작하기 전까지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GWAS 연구는 관련 돌연변이가 DNA 분자에서 실제로 발생했던 곳을 찾기 위해서, 특정 유전자 검사를 통과하도록 했다.


더 많은 빛을 비춰줄 ENCODE III 프로젝트

유전체 전체에서 기능성을 가진 비율이 높다는 것과, 유전체의 비암호화 부분에 대부분의 질병 관련 마커들이 위치한다는 이 두 가지 폭탄적 사실은 ENCODE II 프로젝트[13] 이후 8년 만에 이루어지는 ENCODE III 프로젝트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주요 주제이다. 질병 마커라는 이슈에 있어서, ENCODE III의 한 논문은 “GWAS 및 암 유전체학 연구는 질병 관련 염기서열 변이를 공공 데이터베이스에 계속해서 축적해가고 있으며, 이러한 돌연변이의 대부분은 비코딩 영역에 속한다”라고 선언하였다.[14] 이 사실을 반영하여, 컨소시엄의 한 팀은 “이제 우리는 그동안 알지 못했던 질병의 유전적 구조의 근본적인 특징"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지적하고 있었다.[15] ”우리가 이제 관측하고 있는 것은 질병의 유전적 구조와 표적 유전자와 연결되는 유전적 신호 문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및 실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것은 이들 질병의 치료에 결정적일 수 있다.”[16]

이러한 통찰력은 많은 질병의 유전적 원인에 대해 배울 것이 많이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분명히 질병과 관련된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관련된 단백질 코딩 유전자 근처에는 없었다. 따라서 ENCODE Encyclopedia Version 3의 온라인 개요는 "GWAS에서 보고한 변종의 80% 이상이 유전체의 비암호화 영역에서 발생해 있으며, 질병 발병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라고 선언하고 있었다.


기능적이라는 것의 의미

이러한 질병 관련 연구는 유전체의 조절(비코딩) 영역을 지적하지만, 실제로 중요한 문제는 유전체 얼마나 많은 부분이 기능적인가 라는 것이다. 우선, 모든 사람이 "기능적"이라는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에 대해 동의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ENCODE II 프로젝트의 사람들은 다른 분자로 복제되는 모든 DNA 염기서열이 기능적이어야 한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댄 그라우(Dan Graur)는 "전사되는 것과 기능적이라는 것은 동일하지 않다"고 말하면서, 이 가정에 반대했다.[17] 그의 요점은 분자 활동의 단순한 존재가 반드시 그 활동이 세포에 도움이 되거나, 진화적 성공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분자 생성물이 우연히 생성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ENCODE III 팀은 컨소시엄의 이전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았다. 그들은 분자 생성물이나 화학적 활동을 유도하는 모든 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이 기능적이라는 견해를 계속 변호했다.[18]

ENCODE II 팀은 유전체의 기능성에 대해 높은 가치를 두는 전술적 오류를 범했지만, 새로운 팀은 그러한 실수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들은 실제로 ENCODE II 결론을 확장하고 있었다. 그들은 “중요한 것으로, 많은 수의 비코딩 요소들이 구분되어왔지만, ENCODE에서 확인된 요소들을 기능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라고 선언했다.[19] 그러한 발견은 더 많이 있을 것이다. 또한 그들은 “우리는 현재의 cCRE(조절 영역) 분류 체계가 유전체에서 암호화된 조절 활동의 전체 생물학적 스펙트럼을 반영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20]

.인간 세포의 핵에는 최소 1.8m 길이의 DNA가 포함되어 있다. Illustra Media의 동영상 "당신의 몸에 있는 18조 피트의 DNA(18 trillion feet of you)"를 클릭하여 보라.


향후 전망

앞으로 더 많은 발견이 있을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ENCODE III 프로젝트는 “이전에 ENCODE 프로젝트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일련의 기능적 염기서열 요소”와 같은 새롭게 발견되는 조절 염기서열을 갖고 있는, 비코딩 DNA의 기능에 대한 증거들을 추가시켰다.[21] 이 발견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데이터는 RNA 결합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RNA 수준에서 기능하는 많은 요소 세트들을 추가하여, 인간 유전체에서 인코딩 된 기능적 요소의 목록을 확장시키고 있다.”[22] 유사하게 그들은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 “ENCODE III 데이터는 cis-조절 요소의 수를 ENCODE II와 비교했을 때 거의 22%나 증가시켰다.”[23] 그들은 예를 들어 "조절 정보의 고밀도 인코딩"이라는 제목의 보고서 전체에서 이와 유사한 진술을 했다.[24]

분명히 ENCODE III 팀은 ENCODE II 팀보다 훨씬 더 많은 기능적 요소들을 확인하고 있는 중이다. 그들의 요약 글은 유전체의 비암호화 DNA 영역에서 기능적 사례들을 더욱 많이 발견할 것이라는 믿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

사실상 모든 유전체 부위에 전사, 염색질 조직, 스플라이싱, 기타 유전체 조절 및 기능적 측면을 담당하는 요소들이 인간 유전체 서열의 많은 부분에서 조밀하게 인코딩 되어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25]


우리에게 주는 교훈

ENCODE III 팀은 진화론자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후퇴하지 않았다. 그들은 계속해서 관찰하고, 증거들이 스스로 말하도록 했다. 대체로 그들은 실용적인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 “종합적으로 ENCODE 데이터와 기록은 과학계가 인간과 마우스 유전체의 조직과 기능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구축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26] 그들은 ‘정크 DNA’라는 진화이론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느꼈다. 특히 이전 ENCODE 결과에 의해서 오류였다는 것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이다.


Footnotes: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12. An integrated encyclopedia of DNA elements in the human genome. Nature 489 #7414: 57-74.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07.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functional elements in 1% of the human genome by the ENCODE pilot project. Nature 447 #7146: pp. 799- 816. See p. 812.

• Brendan Maher. 2012. The Human Encyclopaedia. Nature 489 #7414 pp. 46-48. See p.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12. An integrated encyclopedia of DNA elements in the human genome. Nature 489 p. 57.

• Ines Barroso. 2012. Non-coding but functional. Nature 489 p. 54.

• September 8, 2012.

• Dan Graur et al. Genome Biol. Evol. 5 (3): p. 587 italics mine.

• Graur et al. 578.

• Genome Biol. Evol. 5 (3): 578-590.

• Manolis Kellis et al. Defining functional DNA elements in the human genome. PNAS 111 #17 pp. 6131-6138. See p. 6131.

• Kellis et al. 6134.

• Kellis et al. 6131 italics mine.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Perspectives on ENCODE. 583 #7818: 693-698. And flagship article: Expanded encyclopaedias of DNA elements in the human and mouse genomes. pp. 699-710.

• Fabian Grubert et al. Landscape of cohesin-mediated chromatin loops in the human genome. Nature 583 #7818: PP. 737-743. See p. 743.

• Wouter Meuleman et al. Index and biological spectrum of human DNase I hypersensitive sites. Nature 584 #7820: pp. 244-251. See 250.

• Meuleman et al. 251.

• Graur et al. 581.

• The sequence of nucleotides “that specify molecular products (for example, protein coding genes or noncoding RNAs) or biochemical activities with mechanistic roles in gene or genome regulation (for example, transcription promoters or enhancers)” is functional.” p. 699 and there was a similar definition with ENCODE II p. 57.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Perspectives on ENCODE p. 697.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Flagship article p. 706.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Flagship article p. 702.

• Eric L. Van Nostrand et al. A large-scale binding and functional map of human RNA-binding proteins. Nature. 583 #7818: pp. 711-719. See p. 711.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Flagship article p. 706.

• Meuleman et al. 247.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Flagship article p. 709.

• ENCODE Project Consortium. 2020. Flagship article p. 699.

.DNA strands (Illustra Media). Lesson: Don’t be too hasty to dismiss what you don’t understand.


*Margaret Helder completed her education with a Ph.D. in Botany from Western University in London, Ontario (Canada). She was hired as Assistant Professor in Biosciences at Brock University in St. Catharines, Ontario. Coming to Alberta in 1977, Dr Helder was an expert witness for the State of Arkansas, December 1981, during the creation/evolution ‘balanced treatment’ trial. She served as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 of Occasional Papers of the Baraminology Study Group in 2001. She also lectured once or twice a year (upon invitation) in scheduled classes at University of Alberta (St. Joseph’s College) from 1998-2012. Her technical publications include articles in the Canadian Journal of Botany, chapter 19 in Recent Advances in Aquatic Mycology (E. B. Gareth Jones. Editor. 1976), and most recently she authored No Christian Silence on Science (2016) which promotes critical evaluation of scientific claims. She is married to John Helder and they have six adult children.



*참조 : 엔코드’ 연구로 밝혀진 유전체의 초고도 복잡성 : ‘정크 DNA’ 개념의 완전한 몰락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8&bmode=view

엔코드 프로젝트에 뒤이은 4D 뉴클레옴 프로젝트는 DNA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을 밝혀낼 것이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2&bmode=view

‘정크 DNA’ : 진화론자들의 무지와 오만

http://creation.kr/LIfe/?idx=4598034&bmode=view

일부 정크 DNA는 컴퓨터 메모리처럼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8&bmode=view

DNA의 놀라운 복잡성이 밝혀지다 : '정크 DNA(쓰레기 DNA)'는 없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45&bmode=view

‘정크 DNA’ 개념의 사망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37&bmode=view

4차원으로 작동되고 있는 사람 유전체 : 유전체의 슈퍼-초고도 복잡성은 자연주의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768&bmode=view

DNA에서 제2의 암호가 발견되었다! 더욱 복잡한 DNA의 이중 언어 구조는 진화론을 폐기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31&bmode=view

3차원적 구조의 DNA 암호가 발견되다! : 다중 DNA 암호 체계는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3&bmode=view

유전자의 이중 암호는 진화론을 완전히 거부한다 : 중복 코돈의 3번째 염기는 단백질의 접힘과 관련되어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3&bmode=view

비암호화된 DNA는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6&bmode=view

정크 DNA에서 더 많은 중요한 역할들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25&bmode=view

새로 밝혀지고 있는 정크 DNA의 용도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0&bmode=view

일부 정크 DNA는 신경세포 통로를 만드는 중요한 안내자였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9&bmode=view

DNA의 놀라운 복잡성이 밝혀지다 : '정크 DNA(쓰레기 DNA)'는 없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45&bmode=view

정크 DNA는 정말로 쓸모없을까? : 유사유전자를 통하여 본 정크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4&bmode=view

정크 DNA 패러다임에 도전한 한 젊은 과학자.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66&bmode=view

정크 DNA의 질질 끄는 죽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95&bmode=view

'전이인자(점핑유전자)'는 배아 발달 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정크 DNA 개념의 계속되는 실패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4&bmode=view

베타글로빈 유사유전자도 결국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17&bmode=view

일부 정크 DNA는 단백질 생성의 시동을 걸고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1&bmode=view

밝혀지고 있는 유전체 내 단백질 비암호 부위의 기능들 : VlincRNAs의 제어 및 조절 특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5&bmode=view

새로운 차원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고리모양의 원형 인트론 RNAs의 발견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7&bmode=view

진화론을 거부하는 유전체의 작은 기능적 부위 ‘smORFs’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28&bmode=view

유전체 내 바이러스성 정크의 기능이 발견되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63&bmode=view

정크 DNA에서 발견된 경이로운 기능 : 정확한 위치로 분자 화물을 유도하는 항로 표지자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5&bmode=view

정크 DNA가 기능이 있음이 또 다시 확인되었다. : 모티프라 불리는 DNA의 직렬반복과 유전자 발현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65&bmode=view

일부 정크 DNA는 컴퓨터 메모리처럼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8&bmode=view

효모 DNA의 인트론은 결국 쓰레기가 아니었다 : 정크 DNA 개념이 오류였음이 다시 한 번 밝혀졌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757502&bmode=view

경탄스런 극소형의 설계 : DNA에 집적되어 있는 정보의 양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17&bmode=view

암호는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 없다 : 생명체에 들어있는 유전정보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http://creation.kr/LIfe/?idx=1870910&bmode=view

생명체의 암호: 작은 낱말, 큰 메시지 

http://creation.kr/LIfe/?idx=1876348&bmode=view

과학자들이 말하는 DNA : 초고도 복잡성의 DNA는 자연 발생될 수 없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879&bmode=view

책으로 700억 권에 해당하는 막대한 량의 정보가 1g의 DNA에 저장될 수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03&bmode=view

DNA의 코돈에서 퇴화된 부분은 없었다. : 이중 삼중의 암호가 우연히 생겨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82&bmode=view

RNA의 발견들은 진화론적 주장을 논박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91&bmode=view

RNA 편집 : 새로운 차원의 초고도 생물복잡성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49&bmode=view

산호에서 발견된 RNA 편집은 진화론과 모순된다 : RNA 편집이라는 초고도 복잡성이 다양한 생물들에 있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6&bmode=view

세포 내의 초정밀 분자기계들이 모두 우연히? 

http://creation.kr/LIfe/?idx=3094830&bmode=view

DNA와 세포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878&bmode=view

DNA 암호는 또 다른 암호들에 의해서 해독된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37&bmode=view

미래의 데이터 저장 장치로 DNA가 떠오르고 있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7&bmode=view

DNA에서 발견된 숨겨진 메시지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40&bmode=view

유전 정보의 기원은 무엇인가? : 과학자들이 생명의 기원을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53&bmode=view

단백질들의 빅뱅? : 복잡한 단백질들과 유전정보가 갑자기 모두 우연히?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84&bmode=view

DNA의 경이로운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가상 이야기 : 미스터리한 외계 서판의 발견

http://creation.kr/LIfe/?idx=3962115&bmode=view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 대 지적설계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296&bmode=view

자연이 생물학적 암호를 지시하였는가?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657&bmode=view

선도적 과학자들이 진화론을 비판하다. 1부 : 유전정보는 자연주의적 과정으로 생겨날 수 없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47&bmode=view

지성을 가진 잉크?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58&bmode=view

유전암호가 자연적 과정들에 의해 저절로 생겨날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에 대해 1백만 달러의 상금이 제안되었다.

http://creation.kr/Influence/?idx=1289931&bmode=view


출처 : CEH, 2020. 11. 5.

주소 : https://crev.info/2020/11/encode-iii-junk-dna/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