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면역과 발달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식물의 수용체들

미디어위원회
2024-04-17

면역과 발달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식물의 수용체들

(Plant Receptors Are Designed to Control Immunity and Development)

by Frank Sherwin, D.SC. (HON.)


    하나님은 식물들이 지속적으로 환경을 추적하도록 설계하셨다.[1] 식물은 세포 표면에 특수하게 설계된 탐지기(detectors, 수용체(receptors)라고도 함)를 통해 이를 수행한다. 이러한 탐지기는 발달과 면역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식물학자들의 한 그룹은 "면역과 발달을 조절하는 식물 수용체들은 한 공통의 기원을 공유한다"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리켄 센터(RIKEN Center for Sustainable Resource Science, CSRS)의 연구자들은 "식물 면역 수용체의 기원과 진화 궤적을 추적했다"는 것이다.[2]

비교 분석 결과, 두 종류의 단백질 탐지기(RLK 및 RLP라고 함) 간에 (일부 병원균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고립 영역의 네 개의 반복 서열(류신(leucine)이 풍부한)은 매우 유사하여, 공통의 진화적 조상을 갖고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이 네 류신 반복 세트에는 BAK1이라는 동일한 공동 수용체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면역 관련 RLP와 성장 관련 RLK가 공통조상으로부터 BAK1과 결합하는 능력을 물려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2] 

리켄의 연구진자들은 "면역-관련 LRR-RLP와 성장-관련 LRR-RLK는 모두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고 말했다.[2] 그러나 과학자들은 수백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이 공통조상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조상이 존재했었다고 말하는 것은 순전히 추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식물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병원균에 대해 새로운 면역 수용체를 지속적으로 진화시키고 있다"고 말한다.[2] 그러나 식물이 새로운 면역 수용체를 진화시키는 방법은 밝혀지거나 문서화된 적이 없다. 오히려 식물은 처음부터 환경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 식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병원체'에 노출되면, 침입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전적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3]

그러나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전에 식물은 침입하는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를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식물 세포 표면에 있는, 위에서 언급한 특수 패턴 인식 수용체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원균과 관련된 분자 패턴을 감지하는 이러한 수용체의 능력은 RLP와 RLK라는 두 가지 유형의 단백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두 단백질 모두 류신이 풍부한 반복(아미노산 류신이 여러 번 나타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2]

연구자들은 Nature Communications 지에서, "RLP와 RLK의 계통 크기는 식물 종마다 다르며, 병원균의 압력에 반응하여 진화 시간에 따라 확장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4] 또한 저자들은 "면역 및 발달 관련 세포 표면 수용체가 한 공통의 기원을 공유한다"고 추론할 수밖에 없었다.[4]

흥미롭게도 연구자들은 "성장 관련 RLK와 면역 관련 RLP를 결합하여, 병원균을 인식하고 면역 및 성장 관련 반응을 모두 유도하는 하이브리드 수용체를 만들 수 있었다."[2] 이는 진화와는 무관한 훌륭한 과학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뛰어난 과학자들은 이 하이브리드 수용체를 처음부터 만든 것이 아니라, 식물에 이미 존재하는 복잡한 생체분자로부터 만들어냈다. 우연과 시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목적과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연구자들은 "생물체가 병원균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게 해주는" PAMP/패턴 인식 수용체(PRR)의 일부로서 복잡한 PAMP(병원균 관련 분자 패턴)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어서 "...식물의 PAMP 인식에 관여하는 PRR 계열의 기원은 대부분 불분명하다"고 말했다.[4]

식물의 발달과 면역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은 처음부터 명확하게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복잡한 단백질 검출기인 RLK와 RLP의 구조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의 진화적 공통조상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진화론자들은 "세포 표면 수용체가 어떻게 진화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특화되었는지는 여전히 알기 어렵다"고 말한다.[4] 창조론자들은 이러한 수용체의 진화는 항상 모호하고 미스터리한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모든 복잡성을 지닌 단백질 탐지기는 마스터 설계자인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혜로부터 나온 것이다.


References

1. Sherwin, F. CET Model in Plants is Clearly Seen.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ly 21, 2022.

2. RIKEN. Plant receptors that control immunity and development share a common origin, study finds. Phys.org. Posted on phys.org February 1, 2024.

3. Sherwin, F. An Amazing Plant Defense.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February 20, 2023.

4. Ngou, B. et al. 2024. Evolutionary trajectory of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in plants. Nature Communications. 15: 308.

* Dr. Sherwin is science news writ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참조 : 식물에서 연속환경추적(CET)은 명확해지고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12440278&bmode=view

식물의 연속적 환경 추적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Plants/?idx=4754280&bmode=view

식물의 냄새 감지, 대응 물질 생산, 구조 변경 등의 복잡한 적응 능력은 내재되어 있던 설계적 특성이다.

https://creation.kr/Plants/?idx=1291452&bmode=view

연속환경추적 : 공학에 기초한 생물들의 적응 모델

https://creation.kr/Variation/?idx=17131600&bmode=view

후성유전학 메커니즘 : 생물체가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마스터 조절자

https://creation.kr/Variation/?idx=16436574&bmode=view

연속환경추적(CET), 또는 진화적 묘기?

https://creation.kr/LIfe/?idx=14092341&bmode=view

▶ 새로 밝혀진 후성유전학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76421&t=board

▶ 식물의 복잡성

https://creation.kr/Topic103/?idx=6557069&bmode=view

▶ 식물의 설계적 특성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6932&t=board

▶ 식물의 통신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5814&t=board

▶ 씨앗의 경이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5332&t=board


출처 : ICR 2024. 3. 2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plant-receptors-control-immunity-development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