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NASA가 촬영한 젊은 혜성 : 하틀리 2

NASA가 촬영한 젊은 혜성 : 하틀리 2 

(NASA Photographs Young Comet)


      인류의 역사 내내 혜성(comets)들은 줄곧 보는 이들을 매료시켜왔다. 혜성들은 어디에서 왔는가? 그들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그들은 어떻게 태양을 돌기 시작했는가? 그들은 생성된 지 얼마나 되었는가?

현대 기술은 이러한 질문들에 해답을 주는데 약간의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달(2010. 11) NASA의 웹사이트에는 NASA의 EPOXI 미션 우주선이 촬영한 하틀리 2 (Hartley 2) 혜성의 밀착 사진들이 게재되었다.[1] 이 혜성은 과학자들이 2005년에 템펠 2 (Tempel 2) 혜성을 탐사했던 혜성탐사 우주선(Deep Impact spacecraft)의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우주선의 대부분의 연료들은 하틀리 2 혜성을 만나는 여정에 소모되었다.

이 ”매우 활동적이고 작고 혈기 왕성한” 하틀리 2 혜성은 겨우 811km 떨어진 곳에서 촬영되었다. 분출구에서는 CO2가 왕성하게 뿜어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볼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사진은 2008년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하틀리 혜성의 이미지와 스펙트럼 데이터를 결합시킨 것으로, 한 팀의 천문학자들이 혜성 핵의 물질 손실율 뿐만 아니라, 유효 지름을 측정하는데도 사용되었다.

연구원들은 이미 하틀리 2 혜성의 궤도 경로와 주기를 알고 있었다. 가스 분출에 기인한 혜성 물질의 손실을 감안했을 때, ”격변적 파괴나 심각한 깨어짐이 없다면, 혜성 하틀리는 현재의 질량 손실율로 볼 때 향후 100번 정도(공전주기 6.46년이므로 700년 이내 수명) 더 출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

어떤 혜성의 '출현(apparition)'은 그 혜성을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하틀리 2 혜성은 2010년 11월 초 한밤중에 북반구 근처에서 볼 수 있었다. 하틀리 2 혜성의 다음 출현은 2017년 4월경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료는 우리에게 질문을 생겨나게 한다. 만일 이 혜성이 예측할 수 있는 유한한 수명을 가졌고, 만일 그 수명이 대략 겨우 수백 년이라면, 그러면 왜 그 혜성은 추정상 장구한 연대를 가지는 태양계의 일원으로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인가?

다른 혜성들처럼 하틀리 2 혜성도 빠르게 질량을 잃어버리고 있다. 특히 하틀리의 궤도가 태양과 가까워져서 태양풍이 바깥 표면 물질을 없애버릴 때 혜성의 크기는 급속하게 줄어든다. 혜성의 분출구로 잃어버리는 것보다 더 많은 물질을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것은 또 다른 질문을 생겨나게 한다. 어째서 이 혜성은 여전히 가스를 분출하는 에너지를 갖고 있는 것일까? 

태양계 기원의 표준 진화이야기에 의하면, 이와 같은 혜성들은 오늘날까지 ‘혈기왕성’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대신 그들은 생명력이 없고, 비활성의 우주 암석들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 혜성은 젊음에 틀림없다. 하틀리 2와 같은 젊은 혜성들을 수십억 년의 태양계 나이와 적합시키기 위해, 진화론자들은 ‘오르트 구름(Oort Cloud)’이라 불리는 혜성-생성 구역이라는 것을 제안했다. 그들은 오래된 혜성들은 사라지고, 이 ‘구름’에서 새로운 혜성들이 생겨난다고 주장하는데, 그러나 이것은 지금까지 한 번도 관측된(발견된) 적이 없다.[4] 설사 오르트 구름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그곳에서 한 암석이 우연한 충돌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질서 정연한 태양계 궤도 안으로 들어와 태양을 돌게 될 가능성은 극도로 작다.

혜성들을 생성하는 자연적 근원이 관측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함께, 혜성들의 짧은 수명은 혜성들의 기원을 수십억 년의 연대에 기초하여 이론화시키려는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가시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하틀리 2 혜성이 매 6.5년 정도의 주기로 출현하면서, 혜성 물질을 잃어버리고 활발한 가스 분출을 보여줄 때마다, 지구와 태양계의 역사는 성경의 기록과 같이 매우 젊다는 것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EPOXI: Encounter With Comet Hartley 2. NASA Mission Pages. Posted on nasa.gov November 4, 2010, accessed November 8, 2010.
2. Black, S. NASA Deep Impact probe sends images of Hartley 2 comet from space. News.com.au. Posted on news.com.au November 5, 2010, accessed November 8, 2010.
3. Lisse, C. M. et al. Spitzer Space Telescope Observations of the Nucleus of Comet 103P/Hartely 2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21 (883): 968-975.
4. Morris, H. 1999. The Stardust Trail. Acts & Facts. 28 (1).

 

*참조 : 얼음 내뿜는 땅콩모양의 혜성! (ZD Net Korea)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01105172349

'하틀리2 혜성 구경하세요” (2010. 10. 11.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286722800409828096


번역 - 오경숙

링크 - http://www.icr.org/article/nasa-photographs-young-comet/

출처 - ICR News, 2010. 11. 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