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먼지에서 새로운 행성이 형성되고 있는가?
(A New Planet from Cosmic Dust?)
한 팀의 천문학들은 한 거대한 행성이 형성되고 있는 과정 중에 있는 직접적인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었다.[1, 2, 3] 이러한 주장은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것일까?
LkCa 15b로 알려진 그 행성은, 지구에서 약 450광년 거리에 있는 LkCA 15 별을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둘 또는 세 개의 천체들 중 하나이다. 먼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들의 발견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대략 2,000여 개의 외계행성들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왔다.[1] 이들 외계행성의 상당수는 세속적 과학자들은 설명하기 매우 어려운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4]
창조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이 창조주간의 넷째 날에 하늘의 천체들을 창조하시고, 여섯째 날에 창조 사역을 마치신 이후로, 오늘날 새로운 행성이 형성되는 것은 발견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창 1:14~19, 2:2) 그러나 세속적 과학자들은 우주에서는 아직도 많은 천체들이 형성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몇몇 세속적 과학자들은 LkCa 15b는 특별하다고 믿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아직도 주요한 성장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 주장에 대한 다수의 논거를 발표했다. 첫째, 행성은 항성을 둘러싸고 있는 먼지 고리(ring of dust)의 안쪽에 있었다.[5] 세속적 과학자들은 고리는 그 행성이 근처의 먼지 입자들을 중력적으로 잡아당김으로서 형성됐다고, 그래서 원반에 구멍을 형성했다고 믿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형성 과정 중에 있는 행성은 그러한 원반 내에 줄(lanes) 또는 고리를 지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6] 둘째, 새로운 논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LkCa 15b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있었다. 세속적 과학자들은 이것을 그 위에 재료 물질이 떨어지는(또는 강착하는) 결과로서 생각하고 있었다.
세속적 과학자들은 창조주 없이, 자연적 과정이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자연적 과정은 하늘에 있는 모든 천체들의 기원을 설명하기에 충분해야한다. 그러나 그들의 기원 이야기가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멀리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들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 태양계에 있는 행성들의 기원을 설득력 있게 설명해야만 한다.
행성들의 형성에 대한 가장 대중적인 세속적 설명은 별(항성)의 형성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중력의 힘이 거대한 가스 구름을 천천히 회전시켜 수축시켰다고 믿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가스구름의 중심부 근처의 물질은 항성(star)이 되고, 남겨진 물질들은 먼지와 가스의 납작한 원반(flattened disk)이 되었다는 것이다. 원반 내의 먼지 입자들은 충돌했고, 결과적으로 미행성체(planetesimals)라 불리는 훨씬 큰 물체를 형성했다는 것이다. 미행성체는 스스로 충돌했고, 더 큰 물체로 자라났고, 결국 행성(planets)들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나리오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이 거대한 가스 구름은 처음부터 너무도 확산되는 경향이 있어서, 중력은 그것들이 붕괴되어 뭉쳐지는 원인으로는 매우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붕괴의 시발 원인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것은 외부에서 날아온 (초신성 폭발의) 충격파(shockwave)이다.[7] 그러나 항성의 형성 이론으로 이미 존재하는 다른 항성의 폭발로 인한 충격파를 요구하는 것은 설득력 있는 이론이 될 수 없다!
둘째, 형성 과정은 ‘각운동량의 보존(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이라 불리는 물리학의 기본적 법칙을 위반하는 것이다. 세속적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왔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은 설득력이 매우 떨어진다.[8] 마찬가지로, 그 설명은 다른 이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7] 물론, 새로운 항성(star)의 형성에 대한 모든 장애물들이 어떻게든 해결될 때까지, 새로운 행성(planet)의 형성은 진행될 수 없는 것이다.
셋째, 세속적 과학자들은 먼지 입자들이 충돌하여 어떻게 더 큰 미행성체를 형성했는지에 대해서, 극도로 불분명해 하고 있다. 먼지 입자들은 서로 뭉쳐지기 보다, 서로 충돌하여 튀어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실제로 이 이슈를 자세히 다뤘던 대중적 과학 잡지의 기사에서 인터뷰했던 한 천체물리학자에 의해서 언급됐던 것이다 : ”어떻게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자라서 14자리 수 이상의 거대한 행성이 될 수 있었는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3]
이러한 어려움에 덧붙여, 세속적 과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행성 형성의 직접적인 증거라는 것은 매우 모호하다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많은 별들 주변에 먼지 원반과 고리들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원반들은 세속적 과학자들이 성숙하다고 믿고 있는 별 주위에도 있고, 새로운 행성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 곳 주변에도 있다.[9] 세속적 과학자들은 이들 '재생' 또는 '파편' 원반들은 소행성들 간의 충돌과 같은, 다른 근원으로부터 기원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특별한 경우에서만 원반 또는 고리의 존재가 새로운 행성 형성의 증거라고 가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먼지들은 LkCa 15b 위로 부착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우리에게 그것의 나이나 기원에 대해 아무 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결국, 이러한 주장의 기초가 되는 측정은 불과 지난 6년 동안에 이루어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것을 행성 형성의 증거로 인용하고 있었지만, 그들 자신은 어느 정도 그것에 대해 놀라고 있었다. 2백만 년이라는 나이를 가진, 멀리 떨어져 있는 별에서, 세속적 과학자들은 LkCa 15b가 여전히 (6년 동안에도) 성장하고 있다는 관측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다.[2]
세속적 과학자들의 이러한 과대선전에도 불구하고, 행성이 오늘날에도 형성되고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직접적인 증거를 얻으려면, 행성 형성의 소문이 들리는 곳으로 직접 여행을 하든지, 현재의 기술 수준을 훨씬 뛰어 넘는 강력한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계를 매우 매우 오랜 시간 동안 관측해야만, 하나의 행성이 형성되는 것을 실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들은 그렇게 할 수 없다.
References
1.Sallum, S. et al. 2015. Accreting protoplanets in the LkCa 15 transition disk. Nature. 527 (7578): 342-344.
2.Rzetelny, X. 2015. First images of a planet in the act of forming. Posted on arstechnica.co.uk November 18, 2015, accessed November 24, 2015.
3.Sample, I. Scientists watch cosmic dust transform into newborn planet. The Guardian. Posted on theguardian.com November 18, 2015, accessed November 24, 2015.
4.Thomas, B. Exoplanet Discoveries Demolish Planet Formation Theorie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24, 2011, accessed November 24, 2015.
5.Thomas, B. Did Astronomers Find an Evolving Planet?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November 3, 2011, accessed November 24, 2015.
6.Thomas, B. Distant Dust Disk Mixes Fact with Fiction.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ne 21, 2013, accessed November 24, 2015.
7.Lisle, J. 2012. Blue Stars Confirm Recent Creation. Acts & Facts 41(9): 16.
8.Sarfati, J. Solar system origin: Nebular hypothesis. Creation. 32 (3): 34-35.
9.Darling, D. regenerated disk. Encyclopedia of Science: The Worlds of David Darling. Accessed December 1, 2015.
* Dr. Hebert is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received his Ph.D. in 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9025 ,
출처 - ICR News, 2015. 12. 7.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300
참고 : 4317|6238|4045|4003|5106|5873|4727|2373|5156|4703|3952
젊은 모습의 명왕성, 혜성, 행성들 (2015년 톱 뉴스)
(Top 2015 News: Comets, Planets, and Pluto)
2015년 최고의 과학 뉴스로는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 우주선이 보내온 명왕성(Pluto)과 위성 카론(Charon)의 상세한 모습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명왕성의 상세한 촬영 이전부터, 태양계의 행성들과 위성들은 최근 창조됐음을 가리키는 젊은 우주의 증거들을 보여주고 있었고, 이것은 성경에 기록된 말씀을 확증하고 있었다.
지난 2014년에 로제타(Rosetta) 우주선은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comet 67P/Churyumov-Gerasimenko)에 작은 탐지기를 착륙시켰다. 올해 과학자들은 이 혜성에서 반응성이 매우 강한 분자상태의 산소를 포함하여, 놀라운 몇몇 발견들을 발표했다. 이 혜성은 40억 년 이상 존재해왔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산소 분자들은 주변의 다른 화학물질과 오래 전에 반응하여 사라졌어야만 했다. 과학자들은 오래된 녹슨 혜성의 발견 대신에, 산소를 풍부히 갖고 있는, 젊게 보이는 혜성을 관측했던 것이다.[1]
*참조 : 혜성 67P에서 산소가 발견되었다.
: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현대 이론이 틀렸을 수 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26167p 혜성에서 발견된 산소 분자는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273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Enceladus)는 많은 량의 물-얼음(water-ice)을 주변 우주로 지금도 분출 중에 있다. 2015년에 연구자들은 또한 실리카 및 메탄도 배출되고 있음을 밝혀냈다.[2] 세속적 천문학자들은 이 모든 물질들의 근원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분출하는 힘도, 위성 고유의 열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세속적인 모델과 모순된다. 그러나 엔셀라두스의 나이가 수십억 년이 아니라, 단지 수천 년에 불과하다면, 이러한 미스터리들은 풀리는 것이다.
*참조 : 엔켈라두스의 간헐천들은 넓게 커튼처럼 분출되고 있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169엔셀라두스가 젊다는 추가적 증거들
: 물 뿐만 아니라, 실리카와 메탄도 같이 분출되고 있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140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101개의 간헐천들
: 증가하고 있는 젊은 태양계의 증거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5982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까이에 있는 금성(Venus)은 짙은 대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금성의 지표면을 관측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2015년에 천문학들은 비너스 익스프레스(Venus Express) 우주선에 의해서, 금성 지표면에서 ‘열점(hotspots)’의 증거들을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금성의 대기 아래에서 최근에도 화산 활동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곤 놀랐다. 연구의 저자인 제임스 헤드(James Head)는 그것을 ‘활발한 비정상(active anomalies)‘이라고 불렀다.[3] 금성은 아직도 활발한 지질활동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참조 : 금성의 활발한 화산활동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194
뉴호라이즌스 우주선이 9년여의 항해 후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있는 난쟁이 행성 명왕성에 접근하던 2015년 초에 여러 예측들이 있었다. 창조론적 천문학자 및 물리학자들은 명왕성에서 젊은 모습의 증거들을 발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4] 결국, 태양계 전역에 있는 행성들, 위성들, 혜성들은 추정되는 수십억 년의 나이와 모순되는 모든 종류의 미스터리들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2015년 7월에 NASA의 보도자료 헤드라인은 ”휴스턴, 여기에 지질활동이 있다”였다.[5] 후에 도착한 고해상도 사진은 그 이유를 보여주고 있었다.
뉴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충돌크레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충돌크레이터가 전혀 없는 매끄러운 평원도 있었다.[7] 또한 산들, 평야, 균열, 협곡 등과 같은 최근에 형성된 것처럼 보이는 현저히 대조되는 지형들을 가지고 있었다. 만약 명왕성이 수십억 년 동안 태양을 공전하고 있었다면, 충돌크레이터들로 가득해야만 한다. 활발한 지질학적 과정이 그것들을 지워버리지 않았다면 말이다. 그러나 활발한 지질활동은 아직도 열이 남아있음을 의미하는데, 그 추운 곳에 있는, 난쟁이 행성 내부의 열은 46억 년 동안 지속될 수 없고, 오래 전에 냉각됐어야만 하는 것이다.
*참조 : 명왕성은 젊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195
명왕성도 간헐천을 분출하고 있을까?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196
명왕성에는 빙하가 흐르고 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202
‘계속되는 경탄’ : 명왕성의 새로운 사진은 예측치 못했던 명왕성의 활발함을 보여준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231
명왕성에 얼음 화산이 분출 중일 수 있다!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6267
2015년 7월 17일 NASA의 언론 브리핑에서, 뉴호라이즌스 호의 공동 연구자인 콜로라도 대학의 프랜 바제날(Fran Bagenal)은 명왕성의 가벼운 무게는 자신의 대기를 붙잡아둘 수 있는 충분한 중력을 발생시키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모델은 명왕성이 매 시간당 500톤의 질소(nitrogen)를 분출시키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8] 한 시간에 500톤이면, 1년에는 400만 톤 이상의 질소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46억 년 동안이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량?) 이러한 분출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됐던 것일까?
2015년에 전 세계는 그 어떤 과학 뉴스보다 명왕성에 대한 뉴스를 보도했었다. 그리고 사람들은 명왕성의 최근 창조를 가리키는 놀라운 증거들을 보고 들었던 것이다.
References
1.Thomas, B. Unexpected Oxygen on Young-Looking Comet.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November 16,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2.Thomas, B. Saturn's Enceladus Looks Younger than Ever.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pril 9,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3.Thomas, B. Discovery: Volcanoes on Venu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ly 13,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4.For example, Hebert, J. New Horizons, Pluto, and the Age of the Solar System.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ly 14,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5.New Image of Pluto: 'Houston, We Have Geology.' NASA. Posted on nasa.gov July 10, 2015, accessed December 10, 2015.
6.Lisle, J. New Horizons at Pluto.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ccessed December 9, 2015.
7.Thomas, B. Pluto's Craterless Plains Look Young.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November 23,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8.NASA Press Conference. New Horizons: Capturing the Heart of Pluto. 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oratory. Posted on pluto.jhuaple.edu July 17, 2015, accessed December 9, 2015.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9096 ,
출처 - ICR News, 2015. 12. 28.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298
참고 : 6708|6538|6517|6509|6482|6473|6460|6454|6412|6398|6368|6362|6357|6356|6343|6342|6298|6273|6267|6261|6231|6213|6202|6195|6194|6169|6140|6121|6068|6045|5993|5987|5982|5937|5929|5890|5865|5846|5833|5811|5798|5791|5777|5745|5696|5693|5685|5662|5659|5585|5575|5537|5422|5404|5388|5329|5315|5304|5246|5187|5188|5184|5077|5075|5039|5012|4666|4665|4664|4475|4429|4428|4327|4316|4216|4196|4180|4179|4129|4123|4065|4051|4036|3992|3984|3972|3955|6265|6577|6666|6667|6672|6339|6581
태양계의 완벽한 균형은 설계를 가리킨다.
(The Perfect Balance of Our Solar System)
Frank Sherwin
수십 년 동안 세속 천문학자들은 우리의 태양계가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 다소 미스터리로 생각해왔다 : 4개의 가스 자이언트 행성들 - 주로 헬륨과 수소로 되어 있는 토성과 목성, 그리고 태양의 먼 궤도를 돌고 있는 천왕성과 해왕성. 그리고 태양의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는, 4개의 암석질로 된 작은 행성들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천문학자들은 최근에 발견된 다른 외계 행성계들이 우리 태양계와 너무도 다름에 의아해하고 있다. 한 진화론자는 말하고 있었다 : ”이 분야에는 많은 놀라움이 있다. 우리의 예상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은 거의 없다.”[1] 정말로 태양계의 기본 행성 구조는 세속 천문학자들에게 수수께끼인 것처럼 보인다.
곤경은 이것이다 : 행성(planet)은 원시행성이 항성(star)에 의해 안쪽으로 끌어당겨기기 전에, 빠르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무수한 작은 먼지들이 원시행성으로 멋지게 뭉쳐지고, 둥글게 형태를 갖추어, 하나의 적절한 행성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발견된 적이 없다. 우리 은하에 있는 많은 항성들은 회전하는 물질의 원반(disks)들을(궤도를 도는 가스와 먼지들)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재료들로부터 행성이 형성되는 데에는 세 가지의 심각한 문제점들이 있다. 그것은 1)죽음의 나선, 2)강착(accretion, 부스러기들의 축적에 의한 점진적인 행성의 성장), 3)난류(turbulence) 이다.[2] 크고 작은 행성들이 형성됐다는 것은 하나의 수수께끼이다. 그리고 ”자이언트 행성의 형성에 관한 많은 부분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3] Nature 지에서 한 진화론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
우리 태양계와 매우 다른 수천 개의 항성계의 발견은 행성들이 어떻게 형성됐을 지에 관한 개념을 완전히 붕괴시켰다. 천문학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찾고 있다.[4]
어떻게든 우리의 이웃 행성들이 우주의 먼지를 축적시켜 빠르게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최근에 발견된 외계 행성계는 세속적 태양계 형성 이론을 변경시키고 있다.[5] 우리의 태양계는 확실히 독특하다. ”오늘날 행성계는 매우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경우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외계 행성계들은 우리 태양계와 너무도 다르다.”[6] 핑크바이너(Finkbeiner)도 동의하고 있었다 : ”아마도 가장 큰 문제는 우리 태양계는 왜 그렇게도 다른가? 하는 것이다.”[7]
예외적인 항성계(star system)는 한 예외적인 항성(star)을 필요로 한다 :
한 항성계가 생명체의 출현에 적대적(hostile)이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충분히 진화하여 살아남도록 하는 데에는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우주의 다른 곳에서 거주 가능한 완벽한 행성을 가지고 있는 항성은 어떤 종류여야 할까?[8]
우리의 태양(sun)은 완벽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너무 작지도 않고(즉, 너무 어둡거나 춥지 않고), 너무 크지도 않다(즉, 너무 뜨거워 숯불구이가 되지 않는다). 우리의 태양은 다른 별처럼 강렬한 폭발 활동이 없으며, 현저하게 온화하고, 안정적이다(즉 태양은 다른 별과 같은 거대한 플레어와 펄스가 없다). 태양 플레어가 발생해도, 그것이 너무도 강력해서 우리의 바다가 끓거나... 환경이 악화되지 않는다.
국소적 수준에서, 우리의 달(moon)도 동일하게 놀랍다. 두 명의 선도적 저자(Knight and Butler)들은 쓰고 있었다.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 ”달의 크기는 태양보다 400배 작지만, 지구와 태양의 거리보다 400배 짧은 거리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달과 태양은 지구의 하늘에서 정확히 같은 크기로 보인다. 이것은 개기일식(solar eclipses)을 만든다. 또한 저자들은 말했다 : ”절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자연의 어떤 기괴함으로, 달은 매달 태양의 년간 움직임을 정밀하게 모방하여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보여진다.”[9]
또 다른 세속적인 저자는 달의 놀라운 공전궤도에 대해서 놀라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
회전하는 지구의 둘레를 공전하고 있는 달의 궤도는 극도로 설명하기 어렵다. 지구와 달은 함께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본질적으로) '이중 행성'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 그것은 3차원적 및 중력적 삼체 문제(three-body problem)의 전형적인 사례이다.[10]
태양으로부터 정확한 거리, 질량, 중력적 인력, 궤도 특성을 갖는 우리 행성의 정확한 위치를 보고난 후, 한 진화론자는 말했다 이것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천체들이 아무런 이유 없이 태양계를 가로질러 분산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태양계의 어떤 조각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것이 추가될 때, 전체 구성은 정상 상태를 벗어나 치명적 혼란에 빠질 것이다. 어떻게 이러한 정확하고 섬세한 천체 구조가 생겨났는가?[11]
어떤 조각을 이동하거나 추가한다면, 전체 태양계가 정상 상태를 벗어나 치명적 혼란에 빠지게 된다고? 이것은 태양계가 절묘한 균형을 가지고 있음을, 마치 태초부터 정밀하게 조율된 우주의 춤과 같은 것임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한 프랑스 천체물리학자는 지구와 우리 외행성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놀라운 정밀도를 확인해 주고 있었다 :
자크 라스카(Jacques Laskar)는 목성과 토성의 궤도는 지구 궤도가 무질서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목성과 토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궤도 안정성이 없다면, 지구의 공전 궤도는 극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우리 기후의 불안정과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없도록 만드는 원인이 될 것이다.[12]
결론적으로 우리의 태양계는 너무도 독특해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세속적 천문학자인 마이크 브라운(Mike Brown)은 탄식하고 있었다 : ”그것은 정말로 내가 깊은 전율을 느꼈던 어떤 것이다 .... 그 모든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모르겠다.”[13]
”예상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은 거의 없다”, ”천문학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찾고 있다”, ”절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자연의 어떤 기괴함”, ”설명하기 극히 어렵다”, ”치명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깊은 전율을 느끼게 된다”...등과 같은 말들은 전혀 과학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한 말들은 세속 과학자들이 갖고 있는 세계관의 절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태양계의 기원에 대한 만족스러운 답변은 창세기의 첫 구절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의 태양계는 단지 수천 년 전인 창조주간 동안에, 우리 피조물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완벽하고, 완전하게, 정확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창조주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다.
References
1.Woo, M. Y. 2010. Discovering New Worlds. Engineering & Science. 73 (3): 18-23.
2.Asphaug, E. 2009. Growth and Evolution of Asteroids.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37: 413-48.
3.Chaisson, E. and S. McMillan. 2014. Astronomy Today. Boston: Pearson Publishers, 154.
4.Finkbeiner, A. 2014. Astronomy: Planets in chaos. Nature. 511 (7507): 22-24.
5.Chambers, J. E. 2009. Planetary Migration: What Does It Mean for Planet Formation?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37: 321-344.
6.Chaisson and McMillan, Astronomy Today, 379.
7.Finkbeiner, Astronomy: Planets in chaos.
8.Nicholson, B., B. Carter, and J. Horner. For life to form on a planet it needs to orbit the right kind of star. The Conversation. Posted on theconversation.com December 1, 2014, accessed September 21, 2015.
9.Knight, C. and A. Butler. 2005. Who Built the Moon? London: Watkins Publishing, 4-5.
10.Dumé, B. Moon’s bulge linked to early orbit. PhysicsWeb. Posted on physicsworld.com August 3, 2006, accessed September 21, 2015.
11.Webb, R. 2009. Unknown solar system 1: How was the solar system built? New Scientist. 2693: 31.
12.Bickel, B. and S. Jantz. 2001. Creation & Evolution 101: A Guide to Science and the Bible in Plain Language. Eugene, OR: Harvest House Publishers.
13.Krulwich, R. Our Very Normal Solar System Isn’t Normal Anymore. National Public Radio. Posted on npr.org May 7, 2013, accessed September 1, 2015.
* Mr. Sherwin is Research Associate, Senior Lecturer, and Science Writ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Cite this article: Frank Sherwin, M.A. 2015. The Perfect Balance of Our Solar System. Acts & Facts. 44 (12).
* Solar system formation theory wrong too: From its physics to its major predictions, the nebular hypothesis theory of solar system formation has failed.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anages NASA's exoplanet database. Caltech's astronomer Mike Brown stated: "Before we ever discovered any [planets outside the solar system] we thought we understood the formation of planetary systems pretty deeply… It was a really beautiful theory. And, clearly, thoroughly wrong." Exoplanet discoveries, with their masses, sizes, composition and orbital characteristics different than what has been predicted for decades by the standard model of solar system formation, including with their retrograde orbits, highly inclined orbits and hot jupiters, have effectively falsified that model. So, the impressive scientific discoveries that taken together completely falsify the nebular hypothesis include:
- exoplanets contradicting the predictions of the theory
- the theory depending upon ubiquitous catastrophism
- that our Sun is missing nearly 100% of its predicted spin
- that our Sun's rotation is seven degrees off the ecliptic
- planets would not form because as admitted in Nature in 2013 'according to standard theory, dust grains orbiting newborn stars should spiral into those stars rather than accrete to form planets”
- even when dust grains and small rocks collide gently they break apart instead of accreting to form planetesimals
- even if the laws of physics enabled planet formation 4.5 billion year is far too little time to build large planets
- the missing predicted uniform distribution pattern of solar system isotopes
- the missing expected uniform distribution of Earth's radioactivity
- the contrary-to-expectations fine tuning of the solar system
- the many contrary-to-expectations transient events in the solar system
- star formation has similarly intractable physics problems
- planet formation has similarly intractable physics problems
- contrary to an Oort or Kuiper origin, comets contain earth-like minerals and rounded boulders
- short-period comets still exist even though they have lifespans of only thousands of years
- that Mercury has greater density than can be accounted for by evolutionary accretion
- the MNRAS published analysis showing simulations can never demonstrate both planet and asteroid formation
- Mercury has greater density than can be accounted for by evolutionary accretion
- the rocky planets Mercury, Venus, Earth, and Mars would rotate far more slowly if accreted from a condensing nebula
- the origin of the gas giants Jupiter and Saturn has no 'satisfying explanation' per the journal Science in 2002
- that Uranus rotates perpendicularly and that Venus rotates backwards.
So the Corporation for Public Broadcasting, the BBC, Nova, Bill Nye, Lawrence Krauss, etc., wrongly built public confidence in that secular origins story. The longstanding claims of solar system formation were invented ad hoc to account for the particulars of our own solar system. Now that thousands of exoplanets are being discovered, the story telling will simply become, as with epicycles and levels of Darwinian selection, shall we say, more complex.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9006
출처 - ICR, Acts & Facts. 44 (12). 2015.
혜성 67P에서 산소가 발견되었다.
: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현대 이론이 틀렸을 수 있다.
(News from Comet 67P)
유럽우주국(ESA)이 발사한 혜성탐사선 로제타호는 혜성 67P의 코마(coma, 핵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증발되고 있는 가스와 먼지)에서 풍부한 산소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 발견은 과학자들을 매우 당황시키고 있었는데, 왜냐하면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기존의 이론과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태양계의 기원을 다시 써야할 정도의 놀라운 발견이라는 것이다. 산소는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46억 년 전에 형성되었다고 추정하는 혜성에서 많은 량의 산소가 아직도 존재할 수는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산소는 혜성이 형성된 후 짧은 기간 내에 수소와 결합하여 물로 변해있어야만 했다. Nature 지에 게재된 논문에 의하면, 산소 분자는 혜성에서 수증기(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이 얼마나 놀라고 있는지를 언론 매체의 글들을 통해 살펴보자 :
놀라운 발견은 태양계가 '온화하게‘ 시작했음을 가리킨다. (BBC News. 2015. 10. 28) : ”산소는 행성들의 형성 시기에 다른 원소와 반응해버렸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과학자들에게, 이 발견은 완전한 놀라움이었다.” BBC의 기자인 팔랍 고쉬(Pallab Ghosh)는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되었을 지에 관한 현재의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음을 가리킨다” Nature 지의 논문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comet 67P/Churyumov–Gerasimenko)’의 코마에 존재하는 풍부한 산소 분자들”을 읽어보라.
현대의 미스터리 : ”고대 혜성에서 산소가 분출되고 있다”(Space.com. 2015. 10. 28). 이 뉴스는 '커다란 놀라움'이다 :
새로운 발견에 대해 천문학자들이 당혹스러워 하는 것은, 태양계의 형성 동안에 산소가 소멸되지 않은 이유에 관한 것이다. 산소 분자는 수소 분자와 극도로 잘 반응한다. 수소는 태양과 행성들이 만들어질 때 매우 풍부하게 소용돌이 치고 있었다. 오늘날의 태양계 형성 모델은 혜성67P가 형성됐던 46억 년 전에 산소 분자들은 사라졌어야만 함을 제안하고 있었다.
혜성 꼬리에서 산소 분자의 발견은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되었을 지에 대한 생각을 재고하게 만들고 있다.(Christian Schroeder in The Conversation) : 산소 분자는 전체 태양계 모델에 충격파를 보내고 있었다 : ”그것은 우리의 태양계가 흔치않게 따뜻한 구름으로부터 형성됐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그 온도 상승을 일으킨 원인이 무엇이었는지에 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과학자들은 다른 가능성들을 바쁘게 찾고 있었다. 슈뢰더는 당혹함을 감추고 행복한 미소로 위장하며 말했다 : ”이 혜성이 다음 번에 우리에게 어떠한 놀라움을 가져다줄지 기대가 된다.”
로제타 미션 : 프톨레마이오스는 혜성 퍼즐의 다음 조각을 냄새 맡다.(Science Daily. 2015. 9. 15) : 프톨레마이오스는 우주선에 있는 장비 중 하나이다. 그것은 얼음과 이산화탄소를 탐지했다. 그러나 예측되었던 일산화탄소는 매우 적은 량만 발견했다. '혜성 67P의 표면에 대한 분석 결과는 우리 모두를 놀라게 만들었다. 그리고 혜성은 어떻게 형성됐을지,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관한 다양한 의문들을 쏟아내고 있다.'
로제타 과학자들은 혜성 67P에서 얼음과 먼지 제트의 근원을 밝혀냈다 (Monica Grady in The Conversation. 2015. 9. 25) : 혜성은 추정했던 것보다 더 어두웠다. 예상은 모두 틀렸다. ”그러나 연구자들 눈앞에 드러난 이러한 풍부한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혜성이 단지 얼음이 아닌 유기물질로 덮여 있는 이유와 먼지와 얼음의 강력한 제트가 발생하는 이유를 포함하여, 우리는 여전히 혜성에 관해 모르는 것이 많다.”
완전히 틀렸을 수도 있는 주장을 하고도, 여전히 직장을 유지할 수 있는 분야가 있다. 과학의 한 분야가 그렇다. 그들은 자신들의 주장과 모순되는 증거들을 보면서, 오히려 흥미로워하며 재미있어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관련기사 : 혜성에 산소가 있다? (2015. 10. 29.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292142271&code=970211
67P혜성에서 산소 발견됐다 (2015. 10. 29.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51029000042?koost=hotnews
로제타 탐사선, 67P 혜성 코마에서 산소분자 첫 발견 (2015. 10. 29.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28/0200000000AKR20151028202500063.HTML
알코올을 뿌리며 달리는 주정뱅이 혜성이 있다 (2015. 10. 28. 허핑턴포스트)
http://www.huffingtonpost.kr/2015/10/28/story_n_8404916.html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5/10/inventing-stars/
출처 - CEH, 2015. 10. 31.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261
참고 : 2870|3748|3222|4129|4036|3992|3294|2631|1393|6036|5937|5803|6055|5027|4403|5187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
(Liquid Water on Mars?)
화성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발표되었다. 이것은 세속적 과학자들 사이에서 '붉은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있었다.[1, 2, 3] 그들이 이러한 희망을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러한 희망은 현실적인가?
화성정찰위성(Mars Reconnaissance Orbiter, MRO)이 보내온 사진은 화성표면에서 경사면 아래로 달리고 있는 어둡고 좁은 줄무늬(대략 100m 길이)들을 보여주었다. ‘반복되는 경사면의 지선(recurring slope lineae)’으로 불려지는 이 줄무늬들은 따뜻한 계절 동안에는 어둡고 길어지지만, 추운 계절에는 사라진다. 분광 영상은 이 줄무늬들이 수화된(물을 포함하는) 소금(hydrated salts)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화성의 얇은 대기와 종종 극한의 표면 온도는 지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나 소금물은 순수한 물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일시적이긴 하지만, 이들 소금이 화성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줄무늬들을 만든 물의 출처는 아직 알 수 없다. 그러나 한 제안은 소금이 ‘조해(deliquescence)’라는 과정을 통해서 화성 대기로부터 수증기를 끌어들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에 의한 주장이 사실인지를 확인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아마도 무기한 지연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국제적 협약에 의해서 천체들에 대한 '유해한 오염'은 금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에서 가져간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전히 살균되지 않은 차량이나 로봇은 물이 있다고 추정되는 장소에 접근할 수가 없다.[4,5] 그러나 화성에서 물이 확인된다면, 그것은 진화과학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만큼은 아니더라도, 확실히 중요한 발견이 될 것이다.
첫째, 화성에 존재할 수도 있는 액체 상태의 물은 있어도 매우 소량이다. NASA의 보도 자료가 ‘반복되는 경사면의 지선’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처럼, 과학자들은 그 어두운 모습은, 표면으로 충분한 물을 스며나오게 할 수 있는, 얕은 표면아래 흐름(subsurface flow)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2]
둘째, 비록 짧은 기간 동안이었지만, 많은 량의 액체 상태의 물이 화성 표면에 존재했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었다. 또한, 화성에 격변적인 대홍수가 있었다는 광범위한 증거들이 있다.[6] 그것은 창조-진화 논쟁에 있어서 하나의 아이러니이다. 왜냐하면, 진화 과학자들은 오늘날 화성 표면에 소량의 물만이 존재함에도(그것도 가능성), 화성에서 과거 격변적인 대홍수가 있었다는 개념을 받아들이는 데에 아무런 이의도 제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행성 표면의 70%가 막대한 량의 물로 뒤덮여 있는 지구에서 과거에 격변적인 대홍수가 있었다는 개념에 대해서는 맹렬하게 반대하며 조롱하고 비난한다![6]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물어볼 수도 있다. ”왜 진화 과학자들은 다른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에 대해서 그토록 흥분하는 것일까?” 왜냐하면,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체의 존재에 있어서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외계 행성에서 물이 존재한다면,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부분의 창조과학자들은 성경에 기초하여, 지적인 외계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절대적으로 부정하고 있다. 그리고 우주에 비-지적인 다른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없다고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믿고 있다.[7,8,9] 미생물들은 다세포 생물들에게 유익을 주기 위하여 설계된 것처럼 (일부 병원성 미생물들은 타락한 세계에서 유전적 쇠퇴의 결과로 보여진다) 보이기 때문에[10], 미생물이 화성과 같은 황량한 세계에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것은 발견될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해, 진화 과학자들은 다른 천체에서 외계생명체가 발견되기를 필사적으로 원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생명체가 너무도 복잡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는 없어 보인다는 것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행성에서 생명체가 발견된다면, 그것은 창조주를 배제한 진화이야기가 어느 정도 설득력 있게 들려질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외계생명체의 존재에 대한 실제적 증거는 없기 때문에, 생명체를 위한 전제 조건인 액체 상태의 물의 발견은 차선책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행성에서 액체상태 물의 존재 가능성도 진화이야기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액체 상태의 물은 지구에도 풍부하다. 그러나 생명의 기원(origin of life)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은 그 문제점이 너무도 커서, 세속적 연구자들도 지구에 생명체가 어떻게 기원했는지에 대해 아직도 알지 못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총괄적으로 그들은 막다른 골목에 도착해 있는 것이다.[11] 또한, 진화론적 생명의 기원에서 원시의 물은 실제로는 하나의 문제가 된다. 물은 가수분해(hydrolysis)로 알려진 화학반응을 통해서 복잡한 생체분자들을 분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체에는 필요하지만, 원시수프에서 물의 존재는 우연히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는 많은 생체분자들을 사실상 파괴한다![12]
단세포 생물일지라도 너무도 복잡하여 자연적 과정으로는 생겨날 수 없어 보이기 때문에, 화성에서 미생물과 같은 생명체가 발견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기적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멀리 떨어진 두 해변에서 정밀한 시계가 같이 발견되어도, 그것은 한 디자이너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진화 과학자들은 두 번째 행성에서 복잡한 미세 기계가 존재한다면, 첫 번째 행성에 있는 복잡한 기계도 디자이너를 필요로 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물론, 그러한 논리는 불합리한 것이다.[13]
그러나 물론 화성에서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단지 소량의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만이 있을 뿐이다.
한 창조 천문학자가 말했던 것처럼, 이 이야기는 ”아주 작은 것으로 너무도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14]
References
1. Ojha, L. et al. 2015. Spectral evidence for hydrated salts in recurring slope lineae on Mars. Nature Geoscience. DOI: 10.1038 / 2546.
2. Brown, D., L. Cantillo, G. Webster, and G. Anderson. NASA Confirms Evidence That Liquid Water Flows on Today's Mars. NASA press release. Posted on nasa.gov September 28, 2015, accessed September 30, 2015.
3. Pearson, M. Liquid water exists on Mars, boosting hopes for life there, NASA says. Posted on cnn.com September 29, 2015, accessed September 30, 2015.
4. Crew, B. Here's why NASA's Mars rovers are banned from investigating that liquid water. Posted on sciencealert.com September 30, 2015, accessed October 1, 2015.
5. United Nations Resolution 2222 (XXI).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Article IX. Posted on unoosa.org.
6. Snelling, A. 2007. Water Activity on Mars: Landscapes and Sedimentary Strata. Acts & Facts. 36 (2).
7. Hebert, J. Strong Evidence for Life on Mars? Science News Update. Posted on icr.org February 8, 2013, accessed September 30, 2015.
8. Because of the universality of the curse imposed on the creation as a result of Adam's sin (Romans 8:19-22), any intelligent life that might exist in the universe would also be suffering as a result of Adam's sin, which hardly seems fair. Moreover, 1 Corinthians 4:9 may suggest that men and angels are the only intelligent created beings in the universe.
9. See Isaiah 45:18.
10. Francis, J. What About Bacteria? Posted on answersingenesis.org January 23, 2015, accessed October 1, 2015.
11. Gish, D. 2007. A Few Reasons an Evolutionary Origin of Life is Impossible. Acts & Facts. 36 (1).
12. Sarfati. J. 1998. Origin of life: the polymerization problem. Journal of Creation. 12 (3): 281-284.
13. Psarris, S. 2009. DVD. What You Aren't Being Told About Astronomy, Volume 1: Our Created Solar System. Creation Astronomy Media.
14. Faulkner, D. Mars Water: Much Ado About Very Little. Posted on aig.org September 28, 2015, accessed September 30, 2015.
*Dr. Hebert is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received his Ph.D. in 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관련기사 : NASA '화성에 물 흐른다'…'생명체' 존재 가능성 (2015. 9. 29.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29/2015092900319.html
화성에 지금도 물 흐른다…'소금물 개천' 외계생명 가능성 시사 (2015. 9. 29.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29/0200000000AKR20150929001253091.HTML
화성 바다 행방 찾았다…행성 덮을 만큼 '지하수' 존재 (2024. 8. 13. 동아사이언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6953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980 ,
출처 - ICR News, 2015. 10. 8.
행성들은 초신성 폭발의 충격파로 형성됐는가?
: 여러 가정들에 기초한 모델링이 사실처럼 말해지고 있다.
(Protoplanetary Disc Model Falls Flat)
by Brian Thomas, Ph.D.
태양계(solar system)는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을까? 창조됐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사람들은 순수한 자연적 힘이 태양, 독특한 각 행성들, 그 위성들의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을 상상한다. 새로운 컴퓨터 모델링 결과는 그런 것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명백하게 중요한 요소들을 간과하거나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운가설(nebular hypothesis)에 의하면, 태양계의 행성들은 성운(nebula)이라 불리는 먼지구름의 소용돌이와 응축으로 인해 형성되었다. 카네기 연구소의 앨런 보스(Alan Boss)와 산드라 케이저(Sandra Keiser)는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2015. 8. 13)에 게재한 논문에서, 한 초신성 폭발의 충격파(a supernova’s shock wave)가 초기 태양 주위의 먼지 원반의 회전을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보여주었다는 것이다.[1] 그들의 컴퓨터 모델은 그러한 이론적 거대 성운의 충돌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두 연구자는 운석(meteorites)에서 관찰되는 짧은 수명의 방사성 동위원소(short-lived radioactive isotopes)들이 성운에 추가될 수 있었던 방법에 관한 수수께끼를 풀어보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성운 스스로는 그것들을 만들 충분한 중력(gravity)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세속주의자들은 근처의 항성이 폭발하면서 나오는 여분의 압력을 상상하고 있었다.
보스와 케이저는 그들의 모델 안으로 성운 가스구름의 밀도를 포함하여, 충격파가 얼마나 빠르게, 그리고 어떤 각도에서 도달하는 지와 같은 일련의 요인들을 집어넣었다. 작년에 보고된 그 결과는 가스 충돌이 R-T 손가락(R-T fingers)이라 불리는 주름(folds)을 압착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주름은 가스구름 안으로 동위원소들을 주입하였고, 결국 운석들을 형성하도록 압축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들의 결과는 이 손가락 모양의 동일한 주름 일부가 한때 소용돌이를 일으켰고, 구름에 들어갔음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앨런 보스는 Carnegie Science에서 ”우리의 원시 태양 주위에 회전하는 원반이 형성됐다는 사실은, 충격파 전면에서 유도된 회전의 결과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2]
”회전하는 원반이 우리의 원시 태양 주위에 형성됐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실한 것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이 ‘사실’을 관측한 어떤 과학자가 있는가? 그것은 정말로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가정(assumption)에 불과하다. 이 컴퓨터 모델링에 입력된 일련의 요인들은 유사한 여러 가정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보스는 말했다. ”회전하지 않는다면, 구름은 원시 태양 안으로 사라져버린다”고 말했다. ”회전을 한다면, 행성 형성에 적합한 원반이 만들어진다.”[2] 그들의 모델은 특정한 속도를 가진 한 초신성의 충격파가 특정한 밀도의 회전하는 성운과 충돌할 때, 주름이 원시 태양의 주변을 감싸게 되고, 행성들의 정교한 움직임과 위치가 어떻게 생겨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그 모델은 충격파가 성운을 때리기 전에, 이미 성운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만 작동된다. 연구의 저자는 썼다. ”초기 3D 구름이 전혀 회전하지 않을 때인, 즉 Ωc = 0 일 때를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때에는 R-T 손가락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명백한 원반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1] 그래서 그 시뮬레이션은 실제로 성운의 초기 회전을 설명하지 못한다. 그들의 모델은 이미 그 위치에서 정확한 속도에 가깝게 회전하고 있는 성운을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모델은 소용돌이 R-T 손가락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힘을 제공하는 초신성이 근처에 충분히 발생되어 있었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 초신성이 가정되는 성운과 충돌했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적합한 초신성의 잔해를 확인하지 못했다. 화석 별 또는 어떤 종류의 실제적 증거가 없다면, 이 초신성에 대한 설명은 순전히 추측에 불과한 것이다.
그리고 R-T 손가락이 정말로 어떤 회전을 설명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모델은 아직도 어떻게 딱 적합한 회전을 얻게 되었는지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 오래 전에 우주과학자 데이비드(David Coppedge)는 태양계의 행성들과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들을 비교하면서, ICR에 글을 썼다 : ”과학자들은 이제 별의 먼지 원반은 행성들을 낳는 병실이 아니라, 파멸의 컨베이어 벨트라는 것을 깨닫고 있다.” 원시 행성은 원시 태양으로 나선으로 떨어져서 타버릴 가능성이 더 높다.
성운가설(nebular hypothesis)은 다른 거대한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가스 압력의 바깥쪽 힘은 일반적으로 성운 내 중력의 끌어당김보다 훨씬 더 강하다. 그렇다면 처음부터 구름은 흩어지지 않았겠는가? 또한 자기장과 각운동량의 보존은 별 안으로 성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입자들은 행성들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뭉쳐지지 않는다. 거의 자주 그들은 서로 서로 충돌하여 부서진다.
모든 내행성(inner planets)들이 같이 회전하던 성운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됐다면, 행성들의 구성 물질들은 왜 그렇게도 다양한가? 내행성들은 서로 다른 질량, 조성, 밀도, 회전 주기, 다른 대기 등을 가지고 있다. 각 행성들은 고유하게 제작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왜 금성(Venus)은 역방향 회전(backward rotation)을 하는가? 천체물리학자인 제이슨 리슬(Jason Lisle)은 썼다
: 세속주의자들은 금성의 역박향 회전에 대해서 적절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세속적 시나리오에 의하면, 태양계는 회전하는 성운의 붕괴로 형성되었다고 추정한다. 이 경우에 자연적 예측은 모든 행성들이 동일한 방향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행성들은 모두 매우 작은 축 방향의 기울기를 가질 것이 예상된다. 금성은 이 시나리오에서 최대의 골칫거리이다. 왜냐하면 금성은 진화론적 모델의 예상과는 정확히 반대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경적 관점에서 그러한 다양성은 예상되는 것이다.[4]
게다가, 천왕성(Uranus)은 다른 행성과는 달리 옆으로 회전하고 있다. 창조주는 목적을 가지고 이들 특별한 행성들을 그 자리에 놓아두신 것일까? 이론적인 R-T 손가락은 이들 성운가설에 대해서 아무것도 대답하지 못한다. 이러한 모델링 연구에 많은 전문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의 태양계가 실제로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데에 너무도 부족해 보인다.
References
1. Boss, A. P., and S. A. Keiser. 2015. Triggering Collapse of the Presolar Dense Cloud Core and Injecting Short-Lived Radioisotopes with a Shock Wave. IV. Effects of Rotational Axis Orient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809 (1): 103.
2. Solar System formation don’t mean a thing without that spin. Carnegie Science. Posted on carnegiescience.edu August 18, 2015, accessed August 19, 2015.
3. Coppedge, D. 2008. Nebulous Hypothesis. Acts & Facts. 37 (2): 15.
4. Lisle, J. 2013. The Solar System: Venus. Acts & Facts. 42 (9): 10-12.
*관련기사 : 초신성 폭발이 태양계 만들었다...탄생 과정 규명 (2015. 8. 25. 나우뉴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829601012
'우리는 모두 우주먼지 속에서 나왔다' (2015. 3. 26.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50325001010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961
출처 - ICR News, 2015. 9. 17.
달에 물이 있다니!
: 세속 과학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Water in the Moon! : ‘Wholly unexpected’ says secular science)
Jonathan O'Brien
미시건 대학의 과학자들이 한 중요한 발견을 했다. 그들은 달의 내부 깊은 곳에서 기원(起源)한 암석에서 많은 물(water)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 물은 달 암석 내에서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었다.[1]
오늘날 달의 기원에 관한 세속적 주류 이론은, 45억 년 전에 화성 크기 만한 물체가 지구와 충돌하여, 지구에서 떨어져 나간 용융 상태의 물질이 달(moon)이 되었다고 말한다.[2] 매우 뜨거웠던 용융 상태의 물질이 뭉쳐져서 달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 이론에 근거하여, 세속 과학자들은 초기 용융상태의 달에 있던 물은 끓어서, 우주 공간으로 증발해버렸을 것이고, 달과 달의 암석들은 건조한(dry) 상태로 남아있을 것으로 예측했었다. 이것이 그들이 발견하고자 했던 것이고, 아폴로 달 탐사 때 가져온 암석들에 대한 수년 동안의 분석을 통해 확증됐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진실은 그 반대임이 명백히 드러났다. 달의 맨틀 깊은 곳으로부터의 화산 분출물은 지표면에서 냉각되었고, 1969~1972년 달 착륙 때 수집되었다. 최근에 이 암석 시료들은 다시 재분석되었다.[3]
세속적 행성 과학자들은 새로운 발견으로 당황하고 있으며,
달의 형성 기원은 이제 하나의 수수께끼가 되고 있다.
달 암석의 재조사
달에서 물의 발견은 최근 2~3년 간 일련의 증거들이 ‘젖은’(wet) 달 이론을 지지하기 시작한 이후에 이루어졌다. 과학자들은 최근에 아폴로 월석(月石) 시료를 다시 재조사하기로 결정하고, 이번에는 더 주의 깊게 살펴보기로 했다. 그들은 더욱 발전된 현대적 분석기술을 사용했으며, 작은 화산성 유리알(volcanic glass beads)이 상당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놀랍게도, 시료를 최초로 분석했던 1970년대 과학자들은 어떠한 물도 발견하지 못했었다. 그리고 만약 물을 발견했다하더라도, 암석을 지구로 가져오는 동안에 발생한 오염에 의한 것으로 가정했을 것이다. 그들은 건조한 달 이론(dry moon theory)은 확증됐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선입견이 그들의 분석 방법에 미친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들은 물을 찾지 못할 것이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물의 흔적을 찾기 위해 아폴로 월석을 꼼꼼히 분석해보려는 마음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그것은 오랜 연대/진화론이 과학 지식의 발전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또 하나의 사례인 것이다.
월석(月石)은 화학적으로 ‘매우 건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장석(長石, feldspar) 류의 암석이기 때문에, 지질학자들은 새로운 발견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보이고 있다. 세속적 행성과학자들은 당혹스러워 하고 있으며, 달의 형성은 현재 ‘미스터리’ 상태라고 선언했다.[4] 달 내부의 암석에서 물이 발견되었을 뿐만 아니라, 달 표면에서도 다량의 물이 최근 달에 보낸 탐사선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한 분화구에는 수십억 갤런의 물 얼음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행성과학자인 폴 루시(Paul G. Lucey)는 새로운 발견으로 인해 ”완전히 넋을 잃었다”고 말했다.[6] 달 표면에 존재하는 물은 운석충돌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있지만, 과학자들은 달 내부에 물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메커니즘도 알려져 있지 않음을 인정하고 있다. 화학적으로 말하자면 물은 ‘처음부터’ 그곳에 있었던 것이다.
이제 과학자들은 달 형성의 초기 시점부터 많은 양의 물이 있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있다. 달이 형성되기 시작할 때, 달을 만든 물질은 젖어 있었음에 틀림없다. 물의 양은 많았다. 중앙해령(mid-ocean ridges) 아래의 해저 현무암처럼[7], 월석에도 다량의 물이 함유되어 있었던 것이다.[8]
이론의 문제점
세속 과학자들이 갖게 된 문제점은 행성들, 달과 같은 천체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전통적 이론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다. 세속 이론에 따르면, 천체들은 용융 상태의 구(spheres)로 시작해서 천천히 냉각되었다. 세속 행성과학자들은 (달에 물이 있다는 새로운 발견을 염두에 두고) 최근에 그것을 설명해보려는 이론을 발표했으나, 그들이 발표한 각각의 이론은 앞에서 언급한 용융상태 문제와 다른 문제들을(아래 참조) 해결할 수 없었다. 용융상태의 암석은 모든 휘발성 물질들을 몰아냈을 것이다. 그래서 달은 초기 지구에서 그 물을 얻어갔을 것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또는 그 가정을 버리고, 운석으로부터 물을 얻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어떤 이론도 세속적 달 형성 가설과 적합하지 않다.
지구는 어떤가? 지구의 물은 어디에서 왔는가? 행성과학자들은 지구가 태양에 너무 가까워서, 세속 과학자들이 태양계의 형성 기원으로 믿고 있는 물질들의 원반(disc)으로부터 물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어떤 세속 과학자는, 지구가 태양계 밖의 먼 곳에서 많은 물을 획득한 후, 행성들 사이를 헤치고 태양에 훨씬 가까운 현재의 위치로 과격하게 이동해 왔다는, 있을 법하지 않은 지구 이야기를 상상해내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일이 가능했다 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그 이야기처럼 그런 일이 발생했을 아무런 이유가 없으며, 그러한 행성의 이동이 일어났었다는 증거도 관측 결과도 없다. 또 그러한 메커니즘으로 지구에 물을 공급했을 수 있었다는 증거도 관측 결과도 없다. 이것은 터무니없는 추측에 불과하다.
성경은 하나님이 물로부터, 그리고 물에 의해서 지구를 지으셨다고 말씀하고 있다
또한 시간(time)도 다른 방법으로 세속적인 자연주의적 가설을 기각시키고 있다. 지구 바다의 대부분은 얼음 운석의 충돌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믿고 있는 과학자들이 많다. 그러나 지구 대양의 물(그리고 내부 암석이 함유한 물)은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이론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 운석 충돌에 의한 물의 증가는 그 증가 속도가 너무 느려서 답답해서 속이 터질 지경인데, 지구에 그 많은 물이 모이는데 필요한 시간을 어떻게 확보했겠는가? 세속주의자들은 물이 스스로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곤경에 처해있다. 그들은 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자연주의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지만, 아이디어가 고갈되어 가고 있다.[9]
지구에 그 많은 물이 어떻게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제쳐 놓고, 얼음 운석들이 달에 물을 공급했다고 말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그러나 그렇다면 물이 달의 내부 암석에 어떻게 화학적으로 결합했는가? 달이 형성되어 굳어진 후에 얼음 운석이 달에 물을 가져왔다면, 달의 내부 암석에 함유되어 있는 물은 그 이론과 모순된다. 그러나 달이 완전한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얼음 운석이 충돌했다면, 열 문제 때문에 얼음 운석 충돌 가설은 ‘침몰’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모든 물은 우주로 증발해서 날아갔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학자들이 암석 ‘지질화학’으로부터 달 형성의 매우 초기부터 물이 있었음을 알게 된 것처럼, 그러한 폭격은 달의 형성 시작 시점부터 발생했어야만 했다.
최근에 밝혀진 또 다른 사실은 달이 아직도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상태라는 것이다.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보면, 달 표면의 용암으로 보이는 여러 개의 빛을 자주 볼 수 있다.[10] 이것은 달이 지질학적으로 젊다는 표시이다.[11] 세속 과학은 달의 나이는 너무 오래되어 내부 열이 남아 있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었다. 왜냐하면 수십억 년 이상 내부 열이 남아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었다.
하나님이 창조하셨다.
성경에서 하나님은 물과 함께 지구를 창조하셨다고 말씀하고 계신다.[12] 다른 말로 하면, 지구는 처음부터 물이 있었으며, 용융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이다.[13] 하나님이 넷째 날 달을 만드시고, 달이 그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셨다. 달에 처음부터 물이 있었다는 부인할 수 없는 증거는 현대과학의 놀라운 발견이며, 성경의 주장과 전적으로 일치한다. 이것은 성경이 지구와 그 친구인 달의 창조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사실이다.
Related Articles
The moon: the light that rules the night
Problems for ‘giant impact’ origin of moon
Evidence of a watery origin for the solar system
Water on Mars: A Creationist Response
Christmas and Genesis connected by Apollo 8 Astronauts
Further Reading
Solar System and Extra-solar Planets Questions and Answ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Questions and Answers
References and notes
1.Erickson, J., Water on the moon: it’s been there all along, ns.umich.edu, accessed 31 May 2013.
2.Postulated by long-agers, but never observed by science.
3.It is known that the rock samples represent the deep interior of the moon by their composition.
4.Khan, A., New look at Apollo moon rocks reveals signs of ‘native’ water, Los Angeles Times articles.latimes.com, accessed 31 May 2013.
5.The surface of the moon gets very hot from the sun, but areas that are in permanent shade, such as the bottom of craters, remain cold.
6.Water found on moon could lead to lunar colonies,www.news.com.au, 24 September 2009, accessed 31 May 2013.
7.Hauri, E.H., Weinreich, T., Saal, A.E., Rutherford, M.C. and Van Orman, J.A., High pre-eruptive water contents preserved in lunar melt inclusions, Science 333(6039):213–215, 2011.
8.Further amazing confirmation of a watery beginning for the moon is seen in granite found on its surface. It was long-believed granite formation on the moon was impossible. See Silvestru, E., The not-so-dark side of the Moon, creation.com/young-moon-active-mantle, 23 August 2011.
9.See also independent evidence in Samec, R.G., Lunar formation—Collision theory fails, J. Creation 27(2):11–12, 2013.
10.Walker, T., NASA pictures support biblical origin for Moon, Creation 33(2):50–52, 2011; creation.com/nasa-shrinking-moon.
11.The moon is too small to retain significant internal heat over the vast ages claimed by secular scientists.
12.Genesis 1:2; 2 Peter 3:3–5. One of the leading scientists involved in the new research, Alberto Saal, recently said 'The implication, though I cannot absolutely prove it, is that probably the earth formed with water.”
13.See Humphreys, D.R., Starlight and Time: Solving the Puzzle of Distant Starlight in a Young Universe, Master Books, USA, 1994. In Chapter 2, the author gives a possible scenario for the beginnings of the earth’s molten core, consistent with Scripture and the laws of physics.
번역 - 홍기범
링크 - http://creation.com/water-in-moon
출처 - Creation 36(1):52–53, January 2014.
명왕성에서 뉴호라이즌스
(New Horizons at Pluto)
우주선을 명왕성(Pluto)에 보내는데 성공한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 팀의 놀라운 업적에 축하드린다. 임무는 완벽한 성공이었다. 이제 우리는 전에는 결코 본 적이 없었던, 이 먼 작은 천체의 지표면 형상의 고해상도 사진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 사진들은 많은 사람들을 감탄시키고 있었지만, 세속적인 생각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별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천문학자들에게 흥미진진한 시기였다. 태양계의 외행성들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이미지들을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 전까지, 사람들은 지구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자이언트 행성들의 흐릿한 사진들만을 갖고 있었다. 우주탐사선 파이오니어 10호, 파이오니어 11호, 보이저 1호, 보이저 2호의 발사로 모든 것이 변화되었다. 인류 역사 최초로, 사람은 다른 행성에 날아가 고해상도의 사진을 촬영하고, 그것을 다시 지구로 전송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게 되었다. 1989년에 이르러, 무인 우주탐사선은 모든 태양계 행성들은 방문할 수 있게 되었고, 사진들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명왕성만은 예외였다.
명왕성은 클라이드 톰보(Clyde Tombaugh)에 의해 1930년에 발견되었다. 명왕성은 무수한 별들을 배경으로 작은 반점(speck)으로 나타났는데, 단지 위치의 변화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었다. 명왕성은 지구 달의 2/3 크기로, 2370k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1] 태양에서 평균 59억km나 멀리 떨어져 있는 명왕성의 표면은 지구에서 가장 큰 망원경을 통해서도 잘 볼 수 없었고, 허블 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을 사용해야만 겨우 볼 수 있을 정도였다. 명왕성의 많은 것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곳에 가는 것뿐이었다. 그래서 뉴호라이즌스 우주탐사선이 발사되게 되었다.
뉴호라이즌스 우주선은 정말 놀라운 성취였다. 그랜드 피아노 정도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탐사선에는 7개의 과학 장비들이 실려 있다.[2] 우주선은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되었고, 시속 48,000km의 속도로 여행했으며, 명왕성에 도달하는 데에 9년 6개월이 걸렸다. 뉴호라이즌스는 고속으로 데이터를 기록하지만, 저장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는 데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우주선이 단지 몇 시간 동안 명왕성 근처에 있었지만, 모든 사진들과 다른 데이터들을 수신하기 데에는 몇 개월이 소요될 것이다.
명왕성은 매우 다양한 모습의 천체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것은 붉은 색이며, 예상치 못한 지형을 가지고 있었다. 뉴호라이즌스 팀은 명왕성의 발견자를 기념하기 위하여 하트 모양의 넓은 지역을 톰보지역(Tombaugh Regio)이라 명명했다. 명왕성은 미국 서부의 로키산맥의 크기에 필적하는 산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명왕성의 산들은 주로 물 얼음(water-ice)으로 이루어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들은 명왕성의 차가운 온도에서 바위처럼 단단하다. 톰보지역은 거대한 평원으로, 태양 표면의 알갱이 같은 반점을 연상시키는 세포같은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한 준-다각형 지형(quasi-polygonal terrain)은 우리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명왕성은 예상했던 것보다 매우 적은 충돌크레이터(impact craters, 충돌분화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태양계 천체들의 표면은 많은 충돌크레이터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계가 수십억 년이 됐음에 틀림없다고 주장해왔던 세속적 과학자들에게 이것은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는 것이다. 충돌크레이터의 부족은 명왕성의 표면이 비교적 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경적 창조론자들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이전의 많은 충돌크레이터들을 지워버린, 최근의 지질활동이 있었다는 실제적인 증거인 것이다. 이것은 세속 과학자들에게 추가적인 문제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명왕성은 태양으로부터 너무도 멀리 떨어져 있고, 작은 천체라서, 그것이 수십억 년 동안 열(heat)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 방법을 상상하기 어렵다. 우라늄(Uranium)과 같은 방사성원소는 열을 낼 수 있지만, 그것은 무거운 중원소(heavy elements)이다. 명왕성은 낮은 밀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명왕성은 주로 가벼운 원소(lighter elements)들로 이루어져 있음에 틀림없다.
조석가열(tidal heating, 중력적 인력에 의한 마찰)은 일반적으로 태양계 외행성들의 작은 위성들이 내부적 열을 분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자주 말해지고 있는 설명이다. 그러나 명왕성은 조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인 카론(Charon)과 동주기 자전(synchronous rotation)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명왕성과 카론은 함께 질량의 공통 중심점의 주위를 돌면서, 그들은 서로 같은 측면을 향해있는 채로 유지되고 있다. 물론, 성경적 관점에서, 명왕성은 일부 내부적 열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나이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아, 그 열을 잃어버릴 충분한 시간이 흐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경적 창조론자들은 명왕성에서 지질활동의 증거가 발견되었다는 것에 놀라지 않는 것이다.[4]
또한, 뉴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인 카론의 멋진 고해상도 사진을 우리에게 보내왔다. 카론 역시 지질활동의 증거를 가지고 있었다. 카론은 협곡과 절벽들을 가지고 있었고, 충돌크레이터들이 거의 없었다. 이 작은 위성의 명왕성을 향한 쪽의 반구는, 카론의 직경 정도 길이의 절벽과 골짜기들의 거대한 사슬을 가지고 있었다. 카론은 또한 북극에 어두운 지역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태양계에서 독특한 모습이다.
카론은 그 자체가 세속적 천문학으로 잘 설명되지 않고 있다. 카론은 직경이 명왕성의 반 정도, 무게는 1/10 정도이다. 명왕성과 그렇게 가깝게 커다란 위성이 존재하는 것은 세속적 모델에 위반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세속적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에 거대한 천체가 비스듬히 충돌했다는 가설에 호소하고 있다. 그 충돌은 궤도를 도는 부스러기들을 발생시켰고, 그것들이 카론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이야기는 계속되어, 그 시기에 명왕성의 빠른 자전 속도는 편구(oblate spheroid, 찌그러진 구체)로 응축되게 하는 원인이 되었고, 고정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전은 점점 느려졌고, 명왕성은 카론과 조석이 없게 잠겨졌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뉴호라이즌스 호의 사진에 의하면, 명왕성은 거의 완전한 구형으로 나타났다.[5]
우리는 데이터들이 계속적으로 도착하여, 명왕성에 관한 더 많은 발견들이 있기를 기다리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에 관한 더 많은 증거들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References
1.How Big Is Pluto? New Horizons Settles Decades-Long Debate. News Center. Posted on jhuapl.edu on July 13, 2015, accessed August 3, 2015.
2.New Horizons, NASA's Mission to Pluto: Mission, Spacecraft, Payload. Posted on jhuapl.edu, accessed August 3, 2015.
3.Feltman, R. Pluto's surface surprisingly full of mountains and lacking craters. The Washington Post. Posted on washingtonpost.com July 15, 2015, accessed August 3, 2015.
4.Hebert, J. 2015. New Horizons, Pluto, and the Age of the Solar System.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ly 14, 2015, accessed August 3, 2015.
5.New Horizons, NASA's Mission to Pluto: Media Briefing July 24, 2015. Posted on jhuapl.edu on July 24, 2015, accessed August 3, 2015.
* Dr. Lisle is Director of Research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received his Ph.D. in astro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Colorado.
More Related Articles
•Most of Venus' History Is Missing?
•Water in Rocks May Support Moon's Bible Origins
•Youthful Solar System Bodies Puzzle Evolutionary Scientists
•New Comet Origins Idea Adds New Problems
•Methane on Mars: The Stuff of Life?
•Harsh Unfriendly Mars
•Life on Mar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951
출처 - ICR News, 2015. 8. 13.
명왕성에는 빙하가 흐르고 있다.
(Ski Pluto: Glaciers Are Flowing)
행성과학자들은 명왕성의 지표면과 대기 모두에서 더 많은 젊음의 증거들로 인해 당황하며 할 말을 잊고 있었다.
지난 금요일의 기자 회견에서 명왕성의 더 많은 자세한 사진들이 공개되었다. 먼저 앨런 스턴(Alan Stern)은 잘못된 색으로 처리되었던 이전 사진의 두 배 해상도를 가진 명왕성의 사진을 공개했다.
톰보 지역(Tombaugh Regio)으로 지칭된 명왕성의 '하트' 모양 지역에서 밝은 왼쪽(서쪽) 부분은 인접 지역으로 바람이나 승화(sublimation)에 의해서 얼음들을 확산시키고 있는 얼음 근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채워진 크레이터들이 분명 존재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래된 표면을 가리키는 충돌크레이터들을 제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Space.com은 기자회견에서 사진들을 공개했다.
.2015. 7. 24, 뉴호라이즌 호로부터의 잘못된 색상의 명왕성 사진
마이클 썸머(Michael Summers)는 과학팀을 기절시키게 만든, 태양풍에 의해 탈출되고 있는, 예상보다 5배나 높은, 지표면 위로 160km에 이르고 있는 대기의 아지랑이(haze)를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대기층 사진에 즐거워하고 있었다. 대기층은 구조적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층 기저부의 압력은 예상보다 낮았다고 스턴은 말했다. 에틸렌(ethylene), 아세틸렌(acetylene)과 같은 복합 탄화수소들은 메탄에 태양 빛이 조사될 때 만들어지는데, 지표면에 붉은 색조의 톨린(tholins)을 만든다고 썸머는 설명했다. 그는 45억 년 동안 얼마나 많은 물질들이 만들어졌을지, 그리고 오늘날 관측되는 수준으로 대기가 방출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재보충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빙하 활동을 보여주는 있는 스푸트니크 평원(Sputnick Planum), 뉴호라이즌스 2015. 7. 24.
윌리엄 맥키넌(William McKinnon)은 질소 빙하(nitrogen glaciers)의 움직임이 분명한, 톰보 지역(Tombaugh Regio)의 북쪽 가장자리에 대한 고해상도 사진을 보여주었다. Science 지에서 에릭 핸드(Eric Hand)는 명왕성 빙하의 물리학을 요약하고 있었다. 물 얼음(water ice)은 바위처럼 단단할 수 있다. 하지만,
명왕성 온도에서, 질소, 메탄, 일산화탄소의 얼음은 충분히 흐를 정도로 부드럽고 연성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을 지구에서 빙하의 흐름처럼 해석하고 있다.” 그 흐름은 지난 수천만 년(지질학적으로 눈 깜짝할 시간) 이내인 최근에 발생했다고, 맥키넌은 말했다.
그런데 빙하를 이루고 있는 얼음들은 어디에서 왔는가? 현재의 움직임과 활동성에 대한 모든 설명들은 이 작은 행성의 역사도 고려해서 말해야할 필요가 있다.
빙하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진은 ”숨이 막힐 듯이” 아름다운 것이라고, 코넬 대학의 행성 과학자인 알렉산더 헤이즈(Alexander Hayes)는 말한다. ”우리는 활동 중에 있는 지표면을 보고 있는 중이다. 그것은 무언가에 의해 구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두 가지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나는 상향식(bottom-up)으로, 얼음 물질은 명왕성 내부에 남아있는 열로 인해 구동되어, 명왕성의 지각을 통과하여 지표면으로 솟아 올라온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하향식(top-down)으로, 명왕성 대기로부터 서리(frosts)가 결과적으로 두터운 빙하로 축적되었다는 것이다. 헤이즈는 상향식 메커니즘을 선호한다. 왜냐하면 빙하처럼 흐르는 데에 필요한 수백 미터 두께의 층들로 서리가 축적되는 것을 상상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그는 발견했기 때문이다. ”최초 사진으로부터의 나의 직감은 그것은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는 말했다.
그러나 맥키넌은 하트 지형 안으로 얼음이 흐르는 것으로 나타나는, 톰보 지역 주변의 언저리에 다른 장소들이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명왕성의 극단적 계절에 저장된 얼음을 전 행성적으로 밀어내고 있을 수 있다. 톰보 지역은 단지 그 끝일 수 있다. 하트 지역은 명왕성의 수원(wellspring)이 될 수도 있고, 명왕성의 욕조(bathtub)일 수도 있다.
Nature 지는 덧붙였다. ”그러나 질소 얼음(nitrogen ice)이 만약 약 1km 두께이고, 명왕성의 내부에서 누출되어 나오는 방사성 붕괴(radioactive decay)에 의해서 가열된다면, 그것은 흐를 수 있다.” 그러나 한 작은 천체에 수십억 년이 지난 후에도 방사성 열이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같은 물질이 해마다 행성 전체로 이동될 수 있는가?
과학팀은 명왕성의 대기 탈출은 1989년의 근일점 이후 태양으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쇠퇴 단계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아마도 명왕성의 대기 탈출은 공전주기인 248년의 간격을 두고 부활할 것이다. 그렇다 할지라도, 추정되는 45억 년의 나이 동안에 명왕성은 지금까지 1800만 번 이상을 공전했어야만 했다.
그 기사의 어디에서도, 명왕성이 그 메탄을 어디에서 얻고 있는지를 묻고 있지 않았다. 만약 메탄이 재보충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태양광선에 의해서 표면에 톨린을 형성하면서, 빠르게 고갈됐을 것이다. 이것은 토성의 위성 타이탄(Titan)에서도 이전부터 제기되어왔던 동일한 문제인 것이다. (see 4/16/13, 6/21/14).
다른 지형들도 젊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명왕성 남부의 산들은 로키산맥에 비교할 정도로 높다고, 맥키넌은 논평했다. ”이것은 정말로 젊은 지형이다”(National Geographic). 그리고 그는 스푸트니크 평원(충돌 분화구가 없고, 다각형의, 매끄러운, 텍사스 크기의 톰보 지역 가운데 위치한)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그래서, 우리는 실제로 최근의 지질학적 활동에 대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BBC News).
그가 말한 '최근'이라는 단어는 '수천만 년 이내'를 뜻한다. ”그리고 질소얼음에 대해 알고 있는 것과, 명왕성의 내부에서 오는 열-흐름에 대한 추정이, 오늘날에는 진행되지 않는다고 말할 이유가 없다.”'
National Geographic 지는 사진들로 만들어진 근접비행 영상을 게재했다. 다운로드 중인 자료들과 궤도수정이 이루어진 이후인 9월에는 더 많은 사진 자료들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자들은 분명 뉴호라이즌스 호의성공을 기뻐하고 있었지만, 그러한 명왕성의 젊음 모습들은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것임이 분명하다. 데이터들은 '커다란 놀라움(big surprises)'이었다고 기자들은(예로, Space.com) 말하고 있었다. 우주생물학(Astrobiology) 지는 ”어떠한 과학자도 예상하지 못했던, 최근의 지질활동”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National Geographic 지의 기자는 말하고 있었다. ”영원히 어두운 곳에서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되는 데에 실패했던, 태양계의 일부인 한 작은 천체에서... 그러한 정도의 활발함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것은 너무도 흥미롭다. 새로운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스릴이 넘친다. 그리고 증거들로 인해 당황하고 있는 모이보이(moyboys, millions of years boys)들을 바라보는 것은 또 다른 재미이다.
*관련기사 : '은색 반지' 명왕성 아지랑이 촬영…메탄·에틸렌·아세틸렌 (2015. 7. 25.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25/0200000000AKR20150725004500091.HTML
NASA, 명왕성에서 빙하 발견…'지질 활동 활발하다는 증거' (2015. 7. 25.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25/2015072500741.html
명왕성의 '본색'은 복숭아색…흑백 이미지에 실제 색깔 입혀 (2015. 7. 25.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25/0200000000AKR20150725005600091.HTML
첫 공개된 명왕성 ‘스푸트니크평원’의 비밀 (2015. 7. 18.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50718000069
”명왕성이 꼬리를 흔든다”…태양풍에 날리는 플라스마 (2015. 7. 19.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18/0200000000AKR20150718005700091.HTML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5/07/ski-pluto-glaciers-are-flowing/
출처 - CEH, 2015. 7. 28.
금성의 활발한 화산활동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Discovery: Volcanoes on Venus)
금성(Venus)의 일그러진 지표면은 최근의 지질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 암석들은 장구한 시간에 대한 모습을 갖고 있지 않다.[1] 그러한 지표면 모습은 금성의 짙은 대기를 통해서 과학자들에 의해서 새롭게 관측되었고, 금성의 나이가 45억 년보다 젊다면, 그러한 모습은 잘 설명될 수 있다.
구름으로 덮여진 금성에서 지표면의 단서를 수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브라운 대학의 천문학자들은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Venus Express) 우주선이 금성 궤도를 돌면서 촬영한 가니키 차스마(Ganiki Chasma)라 불리는 열곡대(rift system)의 2463장의 사진들을 함께 이어 붙였다. 천문학자들은 열곡대의 시간 경과별 모자이크를 만들었고, 갑자기 밝게 타올랐다가 빠르게 사라지는 흥미로운 점(spots)들을 보게 되었다.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지에 게재된 그들의 보고서에서, 과학자들은 설명했다. 그 밝은 점들은 열곡대의 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그 점들이 대기권에서 기원한 것이 아님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금성의 끔찍한 기후 패턴은 빠르게 부는 독성가스의 바람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밝은 점들이 대기 중에서 기원한 것이라면, 시야를 가로지르며 이동할 것이기 때문이었다.[2] 그리고 고정된 밝은 점은 열곡의 가장자리에(지구에서 화산활동이 발생하는 지점) 위치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실제로 금성에서 발생하고 있는 화산활동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브라운 대학의 보도 자료에서, 수석 저자인 제임스 헤드(James Head)는 말했다,
우리는 가니키 차스마가 지질학적 측면에서 꽤 최근에 발생했던 화산활동의 결과임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어저께 형성됐는지, 십억 년 전에 형성됐는지는 알지 못한다. 비너스 익스프레스호에 의해서 탐지된 활발한 비정상적 모습은 비교적 젊은 표면을 지도화 했었던 곳과 정확하게 일치했고, 이것은 지속적인 화산활동을 가리킨다.[3]
그들의 데이터는 화산성 용암 분출(volcanic eruptions of lava)이 '수일(days)의 시간 틀로 밝아졌음'을 보여주었다.[3]
금성의 화산활동은 태양계 도처에서 발견되고 있는 젊은 지질학적 연대와 일치한다. 거기에는 목성의 과도한 내부 열,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Enceladus)의 간헐천들, 빠르게 소멸되고 있는 혜성들의 존재, 줄어들고 있는 행성들의 자기장, 목성의 위성인 이오(Io)의 맹렬한 화산 분출, 그리고 이제 금성에서 발견된 화산활동 등이 포함된다.
태양계의 행성들, 위성들, 혜성들이 수십억 년 전에 형성되었다면, 이러한 모든 현상들은 설명되기 어렵다. 그들의 나이가 수십억 년이라면, 차갑고, 죽은 상태여야만 한다. 그러나 그들은 활발했고 맹렬했다. 이들 천체들이 수십억 년 후에도 아직도 뜨겁고, 연료를 태우고 있고, 자기장을 가지고 있고, 화산활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태양계의 나이가 수십억 년이라는 가정(assumptions)을 제거한다면, 금성의 화산분출에 대한 흥미로운 미스터리는 해결된다. 단지 수천 년 전에 창조된 행성들이기 때문에 아직도 엄청난 에너지가 남아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Thomas, B. Most of Venus' History Is Missing?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31, 2014, accessed June 24, 2015.
2.Shalygin, E. V. et al. Active volcanism on Venus in the Ganiki Chasma rift zon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Posted online before print, May 23, 2015, accessed June 24, 2015.
3.Stacey, K. Study suggests active volcanism on Venus. News from Brown. Posted on news.brown.edu June 18, 2015, accessed June 22, 2018..
*관련기사 : 금성에 활화산 있나?…용암류 증거 발견 (2015. 6. 19. 나우뉴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619601007
금성 화산은 살아 있다…용암 내뿜는 활화산 증거 확인 (2020. 1. 4.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4024200009?input=1195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824
출처 - ICR News, 2015.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