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구피, 동굴물고기에서 보여지는 연속환경추적(CET)
(God’s Providence in Salmon, Guppies, and Cavefish)
by James J. S. Johnson, J.D., TH.D.
물고기의 삶은 매우 고단하다. 물고기들은 다양한 염도, 용존 산소, pH, 계절적 일조량, 수온, 영역 경쟁, 은신처 이용, 그들을 잡아먹는 포식자 등과 같은 변화무쌍한 환경 조건에서 살아가기 위해, 24시간 365일, 신속하고 목표화된 자가-조정(self-adjustments)이 필요하다.
물고기들에게도 삶을 살아가는 것은 끊임없는 도전이다. 그러나 창조주간 다섯째 날 이후, 물고기들은 "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다.[1] 어떻게 물고기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전 세계의 소금물과 민물 서식지를 성공적으로 채울 수 있었을까?

창조주 하나님은 물고기들이 중요한 외부 정보들을 신중하게 수집하도록 연속환경추적(CET, continuous environmental tracking)이라는 시스템을 설계하시고, 장비들을 내장시키셨다. 따라서 연속환경추적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들은 "만약/그렇다면(if/then)" 프로그램 논리 메커니즘(program-logic mechanisms)에 의해 처리되어, 실제 환경에 대한 의도적 반응을 활성화하고 구현한다.[2, 3]
물고기는 그들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야 하고, 그리고 그것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우리처럼 물고기들도 빛 센서, 화학 수용체, 온도 감지기 등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그들 주변 세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그들은 위협과 기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3]
물고기에서 연속환경추적(CET) 기반의 적응 반응들은 수없이 많다.[1] 노르웨이에서 양식되는 연어는, 그물망 높은 곳의 인공 안전조명에 연속환경추적을 사용해 생리적으로 자가 조정을 하여, ’성장모드‘에서 '산란모드'로의 그들의 일상적인 전환을 지연시킨다. 실제로 연어는 밤에 양식업 종사자들의 작업을 돕기 위해 설치된 인공조명을 여름 동안의 "한밤의 태양"으로 해석하며, 이 계절 동안 노르웨이산 연어는 계속해서 먹고 커진다.[4]
또 다른 예로, (관상용 열대어로 송사리과 민물고기인) 트리니다드 구피(Trinidadian guppies)는 포식자인 파이크 시클리드(pike cichlids)의 위험에 직면하여, 생존하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연속환경추적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활용한다!
트리니다드 구피들은 스페인 투우사들로부터 회피 기술을 배운 적이 있는가?... Current Biology 지의 한 논문은 용감한 구피들이 투우사처럼 파이크 시클리드라는 포식자와 어떻게 맞서는지 보고하고 있었다. 그들은 공격자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유인한다. 그런 다음 마지막 순간에, 구피는 안전을 위해 회전한다... 구피의 회피전략은 공격자에게 구피 눈의 색깔을 바꾸는데 달려있다. 특히 위협을 받은 구피는 홍채가 검게 변해, 눈에 띄는 관심을 끌기 때문에, 포식자는 구피의 머리를 겨냥한다. 포식자가 공격 각도로 돌진하면, 구피는 회피한다.[5]
속도와 타이밍이 중요하다. 투우사와 같은 회피 행동은 진화적 행운 때문인가? 아니다. 구피는 "적자생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번성할 수 있도록 창조주가 연속환경추적을 가능하도록 설계하셨기 때문이다.[5] 물론, 더 많은 것들이 있다.[2-4]
한편, ICR의 과학자들은 이전에 보도했던 것과 같이, 물고기에서 특히 장님 동굴물고기(Astyanax mexicus)에 대한 연속환경추적 기반 표현형 적응 및 행동 적응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6] 이제 사람들은 물고기에 장착되어 있는 창조주의 경이로운 생명공학을 보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Genesis 1:21-22. See also Job 9:10.
2. For several years, ICR’s Dr. Randy Guliuzza has systematically documented how creatures continuously track environmental changes “using the same key elements [that] man-made tracking systems use—sensors, logic algorithms, and response mechanisms”—thus showing the Lord Jesus as the ultimate Bioengineer who purposefully built His creatures to promptly track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ey can beneficially and rapidly self-adjust by applying “internal logic [programmed] to select targeted responses to changed conditions.”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Creatures’ Adaptability Begins with their Sensors. Acts & Facts. 47 (3): 17-19.
3. Fish need information! “Fish constantly interact with living and nonliving entities: aquatic animals and plants, microbes and toxins, predators, parasites, and poisons.” Johnson, J. J. S. 2016. Even Fish Need to Know! Acts & Facts. 45 (1): 21. See also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Designed Mechanisms Best Explain Convergent Traits. Acts & Facts. 47 (5): 17-19.
4. Johnson, J. J. S. 2015. The Moon Rules. Acts & Facts. 44 (9): 21. Salmon fish-farming benefits when natural conditions are imitated. See Johnson, J. J. S. God’s Plan Is Best: Salmon Need Saltwater Acclimation.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ugust 3, 2020. Also, some finfish thrive better if their natural or artificial habitat is shelter-enriched. See Johnson, J. J. S. Artificial Plants Help Keep the Peace at Tilapia Farm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ne 26, 2020, accessed June 30, 2022.
5. Johnson, J. J. S. Guppies Dodge Predators Like Spanish Bull-Fighter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ne 16, 2020.
6. See Tomkins, J. P., S. Arledge, and R. J. Guliuzza. 2022. Catching the Vision: Blind Cave Fish (Astyanax mexicanus) as a Model System for Continuous Environmental Tracking and Adaptive Engineering.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58 (4): 289-296. See also Tomkins, J. P. Blind Cavefish Illuminate Divine Engineering.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October 23, 2017, accessed June 30, 2022; Tomkins, J. P. Oxygen-based Adaptive Engineering in Blind Cavefish.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March 21, 2022, accessed June 30, 2022. How magnificently Christ providentially designed and equipped these little fish to carefully recognize and successfully interact with the many moving parts of their watery world. These little finfish are truly some of our Creator’s “wonders without number” (Job 9:10).
*Dr. Johnson is Associate Professor of Apologetics and Chief Academic Offic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Cite this article: James J. S. Johnson, J.D., Th.D. 2022. God’s Providence in Salmon, Guppies, and Cavefish. Acts & Facts. 51 (9).
*참조 : 장님 동굴물고기의 산소기반 적응 공학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1064069&bmode=view
시클리드 물고기에 내재되어 있는 적응형 유전체 공학.
http://creation.kr/Variation/?idx=3759191&bmode=view
회충의 DNA는 미래를 대비하고 있었다 : 장래 일에 대한 계획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3&bmode=view
조류 종의 빠른 변화는 진화인가?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32&bmode=view
기생충은 그들의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한다.
https://creation.kr/animals/?idx=11084868&bmode=view
지네의 적응은 경이로운 공학 기술이다
https://creation.kr/animals/?idx=7884258&bmode=view
초파리의 계절에 따른 빠른 유전적 변화 : “적응 추적”은 진화가 아니라,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1298959&bmode=view
사람의 고산지대 거주는 설계에 의한 적응임이 밝혀졌다 : 환경 적응은 자연선택이 아니라, 후성유전학이었다.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6163272&bmode=view
세포도 인간 공학자처럼 제어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https://creation.kr/LIfe/?idx=2867103&bmode=view
설계된 적응은 진화론에 도전한다.
https://creation.kr/Mutation/?idx=3298366&bmode=view
급속한 진화는 진화론을 부정하고, 창조론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0&bmode=view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51&bmode=view
새로운 유전자 없이 적응하는 방법 : 아홀로틀 도롱뇽과 흰파리에서 놀라운 발견
https://creation.kr/Mutation/?idx=10971754&bmode=view
재배선되는 생쥐의 뇌는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animals/?idx=3037692&bmode=view
식물에서 연속환경추적(CET)은 명확해지고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12440278&bmode=view
식물의 환경 적응을 위한 유전적 및 후성유전학적 변화
https://creation.kr/Plants/?idx=11516918&bmode=view
씨앗의 수분 센서는 연속환경추적(CET) 모델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7675605&bmode=view
식물의 연속적 환경 추적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Plants/?idx=4754280&bmode=view
식물의 후성유전체 연구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 유전암호의 변경 없이 환경에 적응하는 식물
http://creation.kr/Plants/?idx=1291400&bmode=view
식물의 빠른 변화는 내재된 것임이 입증되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2268884&bmode=view
수수는 가뭄 시에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식물의 환경변화 추적 및 대응 메커니즘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Plants/?idx=3017770&bmode=view
진화의 메커니즘이 부정되고 있다. - 새로 밝혀진 후성유전학
https://creation.kr/Topic401/?idx=6776421&bmode=view
출처 : ICR, 2022. 8.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gods-providence-sal-gup-cavefish/
번역 : 미디어위원회
연어, 구피, 동굴물고기에서 보여지는 연속환경추적(CET)
(God’s Providence in Salmon, Guppies, and Cavefish)
by James J. S. Johnson, J.D., TH.D.
물고기의 삶은 매우 고단하다. 물고기들은 다양한 염도, 용존 산소, pH, 계절적 일조량, 수온, 영역 경쟁, 은신처 이용, 그들을 잡아먹는 포식자 등과 같은 변화무쌍한 환경 조건에서 살아가기 위해, 24시간 365일, 신속하고 목표화된 자가-조정(self-adjustments)이 필요하다.
물고기들에게도 삶을 살아가는 것은 끊임없는 도전이다. 그러나 창조주간 다섯째 날 이후, 물고기들은 "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다.[1] 어떻게 물고기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전 세계의 소금물과 민물 서식지를 성공적으로 채울 수 있었을까?
창조주 하나님은 물고기들이 중요한 외부 정보들을 신중하게 수집하도록 연속환경추적(CET, continuous environmental tracking)이라는 시스템을 설계하시고, 장비들을 내장시키셨다. 따라서 연속환경추적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들은 "만약/그렇다면(if/then)" 프로그램 논리 메커니즘(program-logic mechanisms)에 의해 처리되어, 실제 환경에 대한 의도적 반응을 활성화하고 구현한다.[2, 3]
물고기는 그들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야 하고, 그리고 그것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우리처럼 물고기들도 빛 센서, 화학 수용체, 온도 감지기 등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그들 주변 세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그들은 위협과 기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3]
물고기에서 연속환경추적(CET) 기반의 적응 반응들은 수없이 많다.[1] 노르웨이에서 양식되는 연어는, 그물망 높은 곳의 인공 안전조명에 연속환경추적을 사용해 생리적으로 자가 조정을 하여, ’성장모드‘에서 '산란모드'로의 그들의 일상적인 전환을 지연시킨다. 실제로 연어는 밤에 양식업 종사자들의 작업을 돕기 위해 설치된 인공조명을 여름 동안의 "한밤의 태양"으로 해석하며, 이 계절 동안 노르웨이산 연어는 계속해서 먹고 커진다.[4]
또 다른 예로, (관상용 열대어로 송사리과 민물고기인) 트리니다드 구피(Trinidadian guppies)는 포식자인 파이크 시클리드(pike cichlids)의 위험에 직면하여, 생존하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연속환경추적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활용한다!
트리니다드 구피들은 스페인 투우사들로부터 회피 기술을 배운 적이 있는가?... Current Biology 지의 한 논문은 용감한 구피들이 투우사처럼 파이크 시클리드라는 포식자와 어떻게 맞서는지 보고하고 있었다. 그들은 공격자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유인한다. 그런 다음 마지막 순간에, 구피는 안전을 위해 회전한다... 구피의 회피전략은 공격자에게 구피 눈의 색깔을 바꾸는데 달려있다. 특히 위협을 받은 구피는 홍채가 검게 변해, 눈에 띄는 관심을 끌기 때문에, 포식자는 구피의 머리를 겨냥한다. 포식자가 공격 각도로 돌진하면, 구피는 회피한다.[5]
속도와 타이밍이 중요하다. 투우사와 같은 회피 행동은 진화적 행운 때문인가? 아니다. 구피는 "적자생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번성할 수 있도록 창조주가 연속환경추적을 가능하도록 설계하셨기 때문이다.[5] 물론, 더 많은 것들이 있다.[2-4]
한편, ICR의 과학자들은 이전에 보도했던 것과 같이, 물고기에서 특히 장님 동굴물고기(Astyanax mexicus)에 대한 연속환경추적 기반 표현형 적응 및 행동 적응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6] 이제 사람들은 물고기에 장착되어 있는 창조주의 경이로운 생명공학을 보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Genesis 1:21-22. See also Job 9:10.
2. For several years, ICR’s Dr. Randy Guliuzza has systematically documented how creatures continuously track environmental changes “using the same key elements [that] man-made tracking systems use—sensors, logic algorithms, and response mechanisms”—thus showing the Lord Jesus as the ultimate Bioengineer who purposefully built His creatures to promptly track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ey can beneficially and rapidly self-adjust by applying “internal logic [programmed] to select targeted responses to changed conditions.”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Creatures’ Adaptability Begins with their Sensors. Acts & Facts. 47 (3): 17-19.
3. Fish need information! “Fish constantly interact with living and nonliving entities: aquatic animals and plants, microbes and toxins, predators, parasites, and poisons.” Johnson, J. J. S. 2016. Even Fish Need to Know! Acts & Facts. 45 (1): 21. See also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Designed Mechanisms Best Explain Convergent Traits. Acts & Facts. 47 (5): 17-19.
4. Johnson, J. J. S. 2015. The Moon Rules. Acts & Facts. 44 (9): 21. Salmon fish-farming benefits when natural conditions are imitated. See Johnson, J. J. S. God’s Plan Is Best: Salmon Need Saltwater Acclimation.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ugust 3, 2020. Also, some finfish thrive better if their natural or artificial habitat is shelter-enriched. See Johnson, J. J. S. Artificial Plants Help Keep the Peace at Tilapia Farm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ne 26, 2020, accessed June 30, 2022.
5. Johnson, J. J. S. Guppies Dodge Predators Like Spanish Bull-Fighter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ne 16, 2020.
6. See Tomkins, J. P., S. Arledge, and R. J. Guliuzza. 2022. Catching the Vision: Blind Cave Fish (Astyanax mexicanus) as a Model System for Continuous Environmental Tracking and Adaptive Engineering.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58 (4): 289-296. See also Tomkins, J. P. Blind Cavefish Illuminate Divine Engineering.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October 23, 2017, accessed June 30, 2022; Tomkins, J. P. Oxygen-based Adaptive Engineering in Blind Cavefish.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March 21, 2022, accessed June 30, 2022. How magnificently Christ providentially designed and equipped these little fish to carefully recognize and successfully interact with the many moving parts of their watery world. These little finfish are truly some of our Creator’s “wonders without number” (Job 9:10).
*Dr. Johnson is Associate Professor of Apologetics and Chief Academic Offic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Cite this article: James J. S. Johnson, J.D., Th.D. 2022. God’s Providence in Salmon, Guppies, and Cavefish. Acts & Facts. 51 (9).
*참조 : 장님 동굴물고기의 산소기반 적응 공학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1064069&bmode=view
시클리드 물고기에 내재되어 있는 적응형 유전체 공학.
http://creation.kr/Variation/?idx=3759191&bmode=view
회충의 DNA는 미래를 대비하고 있었다 : 장래 일에 대한 계획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IntelligentDesign/?idx=1291773&bmode=view
조류 종의 빠른 변화는 진화인가?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32&bmode=view
기생충은 그들의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한다.
https://creation.kr/animals/?idx=11084868&bmode=view
지네의 적응은 경이로운 공학 기술이다
https://creation.kr/animals/?idx=7884258&bmode=view
초파리의 계절에 따른 빠른 유전적 변화 : “적응 추적”은 진화가 아니라,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1298959&bmode=view
사람의 고산지대 거주는 설계에 의한 적응임이 밝혀졌다 : 환경 적응은 자연선택이 아니라, 후성유전학이었다.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6163272&bmode=view
세포도 인간 공학자처럼 제어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https://creation.kr/LIfe/?idx=2867103&bmode=view
설계된 적응은 진화론에 도전한다.
https://creation.kr/Mutation/?idx=3298366&bmode=view
급속한 진화는 진화론을 부정하고, 창조론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0&bmode=view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51&bmode=view
새로운 유전자 없이 적응하는 방법 : 아홀로틀 도롱뇽과 흰파리에서 놀라운 발견
https://creation.kr/Mutation/?idx=10971754&bmode=view
재배선되는 생쥐의 뇌는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animals/?idx=3037692&bmode=view
식물에서 연속환경추적(CET)은 명확해지고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12440278&bmode=view
식물의 환경 적응을 위한 유전적 및 후성유전학적 변화
https://creation.kr/Plants/?idx=11516918&bmode=view
씨앗의 수분 센서는 연속환경추적(CET) 모델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7675605&bmode=view
식물의 연속적 환경 추적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Plants/?idx=4754280&bmode=view
식물의 후성유전체 연구는 진화론을 부정한다 : 유전암호의 변경 없이 환경에 적응하는 식물
http://creation.kr/Plants/?idx=1291400&bmode=view
식물의 빠른 변화는 내재된 것임이 입증되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2268884&bmode=view
수수는 가뭄 시에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식물의 환경변화 추적 및 대응 메커니즘은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Plants/?idx=3017770&bmode=view
진화의 메커니즘이 부정되고 있다. - 새로 밝혀진 후성유전학
https://creation.kr/Topic401/?idx=6776421&bmode=view
출처 : ICR, 2022. 8.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gods-providence-sal-gup-cavefish/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