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벽으로 고립된 산의 생물들은 진화를 부정한다.
: 격리된 생물들의 낮은 유전적 차이가 의미하는 것은?
(Brazil’s Islands in the Sky Defy Evolution)
David F. Coppedge
남미의 깎아지른 절벽을 가진 (지질생태학적으로) 고립된 납작한 산들은 진화에 대한 자연적 실험실이 됐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브라질 북부와 베네수엘라 및 가이아나에 걸쳐 있는 판테푸이(pantepui)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고립된 생태 환경의 일부를 가지고 있다. 테이블 산(table mountains, tepui, 테푸이)은 너무도 외지고, 접근하기 어려워서, 사람들이 달보다도 적게 방문했을 수 있다. 사면이 1,000m에 이르는 깎아지른 절벽이기 때문에, 진화론자들은 그 생태학적 서식지가 진화에 대한 자연적 실험실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왜냐하면, 테푸이 꼭대기에서 고립되어 겨우 살아가는 생물들은 다른 곳에서 사는 생물들과 유전자를 공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사암층은 15억 년 된 것으로 말해지고 있고, 테푸이가 분리되어 고립된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부터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꼭대기에 고립된 생물들은 진화하여 다양화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졌을 것이다.
이러한 ‘종 분화의 이상적인 탁아소(ideal nursery of speciation)’는 하나의 자연적 실험실이 되어, 수백 수천만 년 동안의 진화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로서 과학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한 국제 연구팀이 17곳의 테푸이들을 방문하여 양서류와 파충류들을 채집하고, 그들의 유전자들을 서로 비교하는 힘든 작업을 수행했다. 연구자들은 서로 매우 큰 유전적 차이를 기대했다. ”만약 각 테푸이 정상지역이 정말로 고대의 남아있는 고유지역이었다면, 이들 생물군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분석은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육상에 사는 가까운 친척에는 없는, 각 테푸이 별로 독특한 개체군으로 확인될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표면상으로는 ”현재 서로 구별된 종으로 인식되는, 그리고 현저한 표현형의 차이를 보여주는 가장 적은 유전적 거리의 일부가 개체군에서 관찰되었다”고 말했지만 말이다. 이 논문은 2012년 8월 7일 Current Biology 지에 게재되었다.[1]
이들 생물이 분리되었다고 추정되는(백악기 이후) 장구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당한 다양성이 기대됐었다. 하지만 연구자들이 ”다른 속도로 진화하는 두 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조각을 분석”했을 때, 매우 놀랐다. ”각 정상부위 지역에 사는 생물 종들의 개체군은 다른 정상부위에 사는 개체군과(e.g., Oreophrynella), 또는 주변 고지대에 사는 개체군과(e.g., Tepuihyla) 매우 일치하였다”. 차이의 대부분은 1% 미만이었다. ”두 유전자에서 비교정 쌍 거리(uncorrected pairwise distances)는 예상과는 다르게, 여러 테푸이 정상부위 생물 종들 또는 개체군 6그룹 중 5그룹(Stefania 만 예외)에서 제로에 가깝도록 낮은 유전적 분기를 가리켰다. 그리고 구별된 종으로 기술된 일부 정상부위 생물 종들 또는 고지대 개체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이론과 관측 사이의 극적인 충돌로 인해, 과학자들은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발명해내야만 했다. 누구도 개구리와 뱀이 한 테푸이에서 다른 테푸이로 자력으로 이동했다는 생각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한 생각은 1천 미터의 절벽을 내려와서, 낮은 고도의 완전히 다른 생태계를 횡단한 후에, 다시 1천 미터의 절벽을 기어 올라가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자들은 다른 옵션을 바라보고 있었다 :
만약 그 테푸이들이 자주 언급되는 것처럼 정말로 오래되었다면, 정상부위에 사는 현존하는 동물군의 젊은 (유전적) 나이는 정상부위 동물들 사이의 능동적 분산, 또는 수동적 분산(새와 태풍 등에 의한)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 테푸이 정상부위과 같은 고도로 특별한 생태학적 적소(ecological niche)에 살아가는 몇몇 생물들은 능동적인 분산에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Oreophrynella(두꺼비) 종은 빈약한 식물상을 가지는 암석질의 서식지를 독점적으로 점령하고 있다. 각 테푸이들은 백악기에서부터 신생대 제4기의 범위를 가지고 고립되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광범위한 생물학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장 젊은 테푸이가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다면, 분단분포(vicariance, 지형학적 고립)는 종 분화의 하나의 가능성 있는 메커니즘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메커니즘과 관계없이, 우리의 연구는 특정 서식지인 정상부위에 제한적으로 살아가는 소형 척추동물들까지도, 대체적으로 단일 테푸이 고유성을 만들지 못하면서, 유전자 흐름을 최근까지 유지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연구된 몇몇 생물군(e.g., Oreophrynella and Stefania(개구리))은 판테푸이 지역에 제한된 계통유전학적 구별된 가계를 나타냄으로써, 이 지역은 대체적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의 고유성(endemism)의 저장고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문용어를 치워버리고, 이 문장에서 과학자들의 놀라움을 명백히 읽어내야 한다. 그들은 수억 수천만 년이라는 장구한 연대 개념에 갇혀있다. 문제는 테푸이가 오래 되었다고 생각하는데서 발생한다. 그들은 지질학자들이 테푸이의 분리가 수천만 년 전에 일어났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벗어나지 못한다. 진화론에 의하면, 육상에 살던 소 같은 생물이 고래로 진화하여 바다로 되돌아간 시간(2천만 년)은 이 시간보다 더 적다. 테푸이 정상에서 살아가는 동물군의 유전적 나이는 젊어 보인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연구자들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 분산을 고려하고 있었다. 아마도 태풍이 한 테푸이에 살던 개구리를 수마일 떨어져 있는 다른 테푸이로 날려 보냈고, 그곳에서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그 개구리는 계속 살아왔을까? 아니면, 커다란 새가 이쪽 정상에서 발톱에 뱀을 붙잡고 가다가 저쪽 정상에서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었을까?
그들의 최선의 추론은 테푸이의 고립 시기를 가장 적은 시점(신생대 제4기, 2백만년 전)으로 선택하는 것이었다. 이 젊은 시기에 대한 광범위한 생물학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연구자들은 멸종은 빙하기에 일어났을 것이며, 정상부위에 고립된 생물들은 최근에 진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설명은 다른 의문들을 불러일으킨다. 그 암석 지층이 15억 년 된 것이라면, 그렇게 최근에 이 산들을 하늘로 들어 올린 것은 무슨 사건이었는가? 왜 17개의 테푸이들 중에서 고유성(endemism, 독특한 동물상을 가지는 고립된 개체군)을 보여주는 것은 예외적으로 소수에 불과한가?
테푸이의 수수께끼에 대한 그들의 대답은 단지 제안일 뿐이다. 테푸이들은 ‘종 분화의 이상적인 탁아소’로서 자격을 얻지 못했지만, 전체 판테푸이 지역은 그와 같은 곳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그들은 긍정적인 말로 마무리하면서 희망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그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남겨놓고 있었다.
1. Kok, McCulloch et al., Low genetic diversity in tepui summit vertebrates, Current Biology Volume 22, Issue 15, R589-R590, 7 August 2012.
이 연구는 그랜드 캐년의 고립된 뷰트(buttes, 고산)의 생물군을 조사했던 수십 년 전의 한 연구와 유사하다. 특히 정상 부위에 숲을 가지고 있는 시바 템플(Shiva Temple)은 유전적으로 수백만 년 동안 고립되었다고 생각됐었다. 그러나 브라질의 테푸이처럼, 그곳에서 어떠한 진화도 발견되지 않았다. 만물의 기원을 진화로 설명하려는 진화론자들의 테푸이에 대한 연구가 실패로 끝났다는 사실을 당신이 교과서나 TV에서 들을 수 없다는 사실은 슬픈 일이다.
테푸이에서 관측된 사실은 최근 창조, 전 지구적 홍수, 한 번의 빙하기와 양립될 수 있다는 것을 크리스천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은 오늘날의 진화론적 과학에 의해서 철저히 배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을 지지하는 증거들은 무수히 쌓여가고 있다.
*참조 : SHIVA TEMPLE: ISLAND IN THE SKY?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history of the 1937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expedition to Shiva Temple, a butte in the Grand Canyon. The purpose of that study was to search for evolutionary development of animals isolated on this 'sky island,' as it was called. Preparations for the work and the actual expedition itself were noted by global publicity regarding the expected, positive, evolutionary implications. When it was finally determin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hiva's population of small mammals, the isolation of Shiva and its status as a 'sky island' were called into question. A sequel to this paper will examine preliminary research data consistent with significant and recent biological isolation of Shiva and the implications this has for the age of the Canyon itself. - JOHN R. MEYER, CRSQ Abstracts, Volume 24, Number 3
진화는 없었다 (No evolution) : 그랜드 캐년의 북쪽 가장자리에 사는 다람쥐(squirrels)들과 남쪽 가장자리에 사는 다람쥐들은 약간의 점진적인 변화를 보이는 아종들이다. 그들의 주된 차이점은 털 색깔(fur color)이다. 만약 이 종들이 적어도 500만년 동안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었다면, 왜 그들은 더 많은 진화들을 하여 구별된 모습을 보이지 않는가? 사람은(한 세대의 길이도 다람쥐보다 훨씬 길다) 같은 기간 동안에 원숭이 같은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고 진화론자들은 주장하고 있지 않은가.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2/08/brazils-islands-in-the-sky-defy-evolution/
출처 - CEH, 2012. 8. 9.
진화론자들은 암수 성에 의한 유성생식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아직도 모른다.
(Evolutionists Have No Idea How Sex Evolved)
by Jerry Bergman Ph.D.
오늘날 진화론자들은 암수 성에 의한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이 어떻게 시작됐는지 여전히 당혹해하고 있다.[1] 분열하여 번식을 하는 미생물들이나, 절단된 가지도 재생될 수 있는 식물과 같이, 성 없이도 잘 번식할 수 있는 생물들이 있기 때문에, 성(sex)이 존재하는 이유는 진화론에서 미스터리인 것이다. 무엇보다 유성생식이 진화론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항상 암수의 생식시스템이 서로 완벽하게 일치되지 않는다면 유성생식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식체(gametes, 난자와 정자 모두)는 둘 다 완전히 기능적이어야만 하고, 두 세포는 결합될 수 있어야만 되고, 결합체는 생존 가능한 후손을 생산할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암수 성에 의한 번식은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irreducible complexity,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전형적인 사례인 것이다.
이들 두 시스템이 이전의 무성생식을 하던 시스템에서 어떻게든 진화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진화론적 견해는, 두 시스템이 모두 완전히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는 번식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무성생식에서 유성생식으로의 진화는 상상하기조차 힘들며, 어떻게든 진화했을 것이라는 추정은 입증과는 너무도 먼 거리에 있는 것이다. Science Daily(2017. 5. 26) 지는 최근에 성(sex)의 기원에 대한 지식은 간격이 있다면서 이렇게 보도했다 :
스웨덴의 룬드 대학(Lund University)의 성염색체(sex chromosomes)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암수 성의 진화에 관한 지식은 상당한 간격(gap)이 있다는 것이다. 1세기 이상의 연구 후에도, 연구자들은 암컷과 수컷의 출현을 이해하기 위한 성염색체의 진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다.[2]
또 다른 문제점은 자연계에는 많은 종류의 유성생식 시스템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성을 결정하는 염색체조차도 생물계 내에서 매우 다양하다. 포유류(mammals)는 XY 시스템(XX는 암컷, XY는 수컷)를 사용하지만, 뱀과 조류(snakes and birds)는 ZW 시스템을 사용한다(ZW는 암컷, ZZ는 수컷). 오리너구리(platypus)는 무려 10개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오리너구리 정자는 XXXXX(암컷을 생산), 또는 YYYYY(수컷을 생산) 이다. 반수체(haploid) UV 성염색체 및 기타 독특한 형태들은 거의 연구가 되지 않고 있다.
진화론의 또 다른 추가적 문제점은, 무성생식 세포들에 의해서 사용되는 유사분열의 세포분할로부터, 어떻게 염색체를 반수체(난자와 정자)로 나누는 감수분열(myiosis)이라 불리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다르고 보다 복잡한 유형의 세포분열로 진화할 수 있었느냐는 것이다. 그리고 수컷과 암컷은 배우자를 유혹하기 위한 특수한 기관들을 가진 행동적 변형을 어떻게 소유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암수 성에 의한 번식은 진화생물학에서 문제의 여왕이다.
많은 파충류 및 일부 물고기에 의해 사용되는 것처럼, 몇몇 생식 시스템은 배아 또는 애벌레 발달 도중의 온도 감수성 기간 동안에, 특정 온도가 후손의 성을 결정하는, 온도 의존성 성결정(temperature-dependent sex determination)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 도마뱀들은 심지어 알을 낳거나(난생), 새끼를 출산할 수 있는(태생) 옵션을 가지고 있다. 도마뱀과(family Scincidae)의 스킹크 도마뱀(skink lizard)과 같은 파충류는 두 가지 유형의 번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은 알을 낳을 수도 있고, 포유류처럼 살아있는 새끼를 낳을 수도 있다. 그들은 암컷의 생식기관 내부에서 알들이 부화되도록 하여, 새끼를 낳는 것이다. 지렁이는 배우자를 찾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성생식으로, 또는 유성생식으로 번식할 수 있다. 이러한 번식 시스템들은 진화론에서 설명되어야만 하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많은 변형 시스템들 가운데 하나이다. 예를 들어, 개미 집단과 꿀벌 집단 모두에서, 두 가지의 암컷 유형이, 즉 일꾼과 번식을 하는 여왕이 존재한다. 그리고 또한 다른 역할들을 하는 몇 가지 유형의 수컷들이 있다.
따라서 진화론자들은 각 시스템들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모든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들이 최초의 단세포 무성생식 유기체로부터 후손되었다고 한다면, 커다란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많은 연구들과 논문들이 보고됐음에도 불구하고, 35년 전에 작성됐던 그라함 벨(Graham Bell) 교수의 결론은 (35년은 과학 분야에서는 한 평생이다) 지금도 여전히 정확하다. 그는 말했다. ”암수 성에 의한 번식은 진화생물학에서 문제의 여왕이다.” 그라함 벨은 이것이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다 :
유성생식은 다른 어떤 자연현상 보다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혼란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미스터리들을 밝혀냈던 다윈과 멘델의 통찰력도 암수 성에 의한 번식의 미스터리를 밝혀내는 데에는 실패했다. 그것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커져갔고, 이 어려움의 뿌리가 매우 깊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3]
유성생식과 생물들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이 축적되면서, 그의 진술은 한 세대 전보다 오늘날 더욱 진실이 되고 있다. 진화론자들은 유성생식의 진화뿐만 아니라, 동물계에 존재하는 여러 형태의 번식 시스템들의 기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무성생식에서부터 유성생식에 이르는 어떠한 진화적 경로도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하등한 생물처럼 보이는 몇몇 생물들은 비교적 발달된 유성생식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고등한 생물처럼 보이는 몇몇 생물들은 비교적 단순한 유성생식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진화론의 커다란 문제로 남아있다. 한 진화론자는 ”궁극적인 실존적 불합리(The Ultimate Existential Absurdity)”라는 제목 하에, 진화 생물학자들은 왜 암수 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풀리지 않는 문제로 괴로워하고 있다고 썼다. ”암수 성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 수수께끼이다.” 마크 리들리(Mark Ridley)는 말했다. ”왜 그것이 존재하는지 아무도 모른다.”[4]
References:
1. Jessica K. Abbott, Anna K. Nordén, Bengt Hansson. Sex chromosome evolution: historical insights and future perspectiv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17; 284 (1854): 20162806 DOI: 10.1098/rspb.2016.2806
2. Lund University, Knowledge Gap on the Origin of Sex. Science Daily, 26 May 2017.
3. Bell, Graham. 1982. The Masterpiece of Nature: The Evolution of Genetics and Sexuali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9.
4. Ridley, Mark. 2001. The Cooperative Gene. New York: The Free Press p. 111.
*관련자료 : The origin of gender and sexual reproduction
https://creation.com/images/pdfs/tj/j18_1/j18_1_120-127.pdf
Hall of Life—Origins of Life Exhibits: Reproductive Habits
https://answersingenesis.org/kids/evolution/reproductive-habits/
Refuting Evolution 2—Chapter 11 ; Argument: Evolution of sex
http://creation.com/refuting-evolution-2-chapter-11-argument-evolution-of-sex
Evolutionary theories on gender and sexual reproduction
https://creation.com/images/pdfs/tj/j18_1/j18_1_97-104.pdf
Plants and Darwinism
http://creation.com/plants-and-darwinis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crev.info/2017/05/evolutionists-no-idea-sex-evolved/
출처 - CEH, 2017. 5. 31.
흰돌고래와 일각고래의 잡종이 발견됐다.
(The surprising ‘belwhal’: DNA reveals beluga-narwhal hybrid)
by Philip Robinson
1980년대 후반 그린란드에서 이누이트 사냥꾼들에 의해서 일찍이 보지 못했던, 매우 특이한 모습의 고래(whale) 세 마리가 잡혔다. 각각은 회색을 띠고 있었으며, 흰돌고래(beluga)와 같은 지느러미발(flippers)과 일각고래(narwhal, 외뿔고래)와 같은 꼬리를 갖고 있었다.
그들의 두개골 중 하나가 보존되었다. 이제 한 DNA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 고래들은 수컷 흰돌고래와 암컷 일각고래 사이의 1세대 잡종(hybrid)인 ‘belwhal(흰돌일각고래)’로 밝혀졌다. (몇몇 기사들은 ‘narluga’라고 불렀지만, 전통적으로는 수컷의 이름을 앞에 붙인다.) 진화생물학자인 엘린 로렌젠(Eline Lorenzen)은 그것을 “북극의 두 고래 종이 서로 교배될 수 있다는 최초의 유일한 증거”라고 말했다.
.흰돌고래와 일각고래의 잡종, ‘belwhal(흰돌일각고래)’
잡종 ‘흰돌일각고래(belwhal)’
독특한 하얀 색의 흰돌고래(beluga, Delphinapterus leucas)와, 어두운 회색의 얼룩덜룩한 일각고래(narwhal, Monodon monoceros)는 외뿔고래 과(Monodontidae)의 유일한 살아있는 구성원들이다. 그들은 4~5.5m 길이의 비슷한 크기이고, 같은 지역에 서식하지만, 그들은 서로 충분히 달라서, 현재 두 개의 다른 속(genera)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들의 두개골 중 하나가 보존되었다. 이제 한 DNA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수컷 흰돌고래와 암컷 일각고래 사이의 1세대 잡종(hybrid)인 ‘belwhal(흰돌일각고래)’로 밝혀졌다.
흰돌고래는 치아를 최대 40개까지 가질 수 있지만, 일각고래처럼 비정상적으로 길게 돌출되어(대부분 수컷에서만) 있는 왼쪽 위 송곳니(canine)를 갖고 있지 않다. 일각고래의 이 길게 확장된 이빨은 윗입술을 관통하여 뻗어있다. 그것은 최대 2.5m까지 자라는 나선형의 '엄니(tusk)'처럼 보인다. 이 고래들은 한때 ‘유니콘 뿔(unicorn horns)’로 판매됐었다. 드문 경우에 상응하는 오른쪽 이빨도 분출되어서, 두 번째 이빨을 형성한다. 긴 이빨은 퇴행성 돌연변이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잡종 고래의 이빨은 특이했다 : 많은 것들이 “수평적으로 멈췄고, 일부는 일각고래의 이빨처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을 갖고 있었다.”
교잡
진화론자들은 흰돌고래와 일각고래 계통은 약 5백만 년 전에 분기되었고, “흰돌고래와 일각고래 사이의 유전자 흐름은 125~165만 년 전에 끊어졌다”고 믿고 있다.[1] 두 고래는 1백만 년 이상 서로 독립적으로 진화해 온 것으로 생각해왔던 것이다.
.(a)흰돌고래, (b)잡종 (c)일각고래의 두개골 형태.
이 놀라운(진화론자들에게) 발견이 코네티컷에서 열린 한 학회에서 발표되었을 때, “우리가 그것이 1세대 잡종이라고 말했을 때, 청중들은 너무도 놀랐고, 숨소리 하나 들리지 않을 만큼 정적이 흘렀다”고 로렌젠은 말했다. 수백만 년에 걸친 돌연변이들이 축적되었다면, 결국 서로 교배가 되지 않는, 상호 불임이 되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사람과 침팬지는 같은 시기에 분리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측은 외뿔고래 과의 분기가 단지 수천 년 전에 일어났다고 믿고 있는 성경적 창조론자들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창조된 종류는 많은 생물 종들을 발생시켰다.
또한 다윈의 시대 이전에도 그리고 이후에도, 성경적 창조론자들은 창조주간에 창조된 종류(kind, baramin, 바라민)들은 여러 생물 '종(species)'들과, 종종 다른 '속(genera)'들도 발생시켰을 것으로 인식해왔다. 흰돌고래와 일각고래는 서로 교배될 수 있기 때문에, 6,000년 조금 이전에 있었던 창조주간 5일째에 창조됐던, 동일한 창조된 종류(아마도 외뿔고래 종류)의 후손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교배되지 않는다고 반드시 다른 종류라고 볼 수는 없다).
새로운 품종들, 종들, 속들이 원래 창세기 종류로부터 후손되어 생겨날 수 있었다. 이것들은 '진화'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자, 호랑이, 재규어, 검치호랑이, 고양이 등은 모두 같은 '고양이 종류(cat kind)'에 속할 수 있다. 이것이 아직도 사자와 호랑이가 교배되어 라이거(ligers)와 타이곤(tigons)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다양성(diversity)은 새로운 DNA 유전정보가 추가되어 일어난 것이 아니라, 손실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실제로 필요한 모든 유전정보들은 원래 개체군의 DNA 내에 있었다. 수년에 걸쳐 많은 종들이 생겨났고, '가지'들로 분화가 발생하면서, 이제 각 종들은 더 다양하게 변화할 잠재력이 줄어들었다. 인상적인 다양한 변종들이 생겨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과정은 결코 한 종류의 생물을 완전히 다른 종류로 변형시킬 수 없다. 이것이 애완용 고양이들을 교배시켜, 호랑이와 같은 고양이과 동물을 더 이상 얻을 수 없는 이유이다.
-------------------------------
일각고래(narwhal, 외뿔고래)의 이빨
모든 치아와 같이 신경 조직이 풍부히 있는 이 '이빨'은 일종의 감각기관으로도 사용된다. 창조론자인 장 라이트너(Jean Lightner)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돌연변이적 변성의 결과일 가능성을 제안했다. 엄니가 뚫고 지나가는 윗입술에 변형은 없다.[1] 흰돌고래와 일각고래는 분명 같은 종류이기 때문에, 그리고 그 과(family)의 다른 고래(멸종된 고래 포함하여)들에서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빨은 창조된 종류에 원래부터 설계되어 있었던 것이 아님을 가리킨다.
Note
1.See creation.com/the-enigmatic-narwhal.
-----------------------------------------
Related Articles
References and notes
1. Skovrind, M. et al.,Hybridization between two high Arctic cetaceans confirmed by genomic analysis, Scientific Reports 9(7729), Jun 2019.
2. Cockburn, H., Hybrid ‘narluga’ whale discovered by scientists in the Arctic, independent.co.uk, 21 Jun 2019.
3. See creation.com/the-enigmatic-narwhal.
4. Yong, E., Narlugas are real, theatlantic.com, 20 Jun 2019.
5. Saey, T.H.,DNA confirms a weird Greenland whale was a narwhal-beluga hybrid, sciencenews.org, 20 Jun 2019.
6. Catchpoole, D., Cats big and small. Creation 37(4):34–37, 2015; creation.com/cats.
*참조 : 돌연변이의 행진 - 족보견과 인공선택 : 인공선택과 자연선택 모두 유전자 풀의 감소 과정이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318&bmode=view
릴리거(Liligers) : 창조된 종류에 대한 증거
http://creation.kr/Variation/?idx=1757459&bmode=view
코끼리와 매머드는 모두 한 종류였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78&bmode=view
라이거와 홀핀, 다음은 무엇?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343&bmode=view
출처 : CMI
주소 : https://creation.com/beluga-narwhal-hybrid
번역 : 미디어위원회
식물의 빠른 변화는 내재된 것임이 입증되었다.
(Rapid Changes in Plants Demonstrate Innate Tracking)
by Randy J. Guliuzza, P.E., M.D.
최근 겨자(mustard) 과의 한 식물(Brassica Rapa)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식물은 환경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세대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었다. 순무(Brassica Rapa)는 수분을 매개하는 꿀벌의 존재, 잎을 갉아 먹는 애벌레의 존재, 동시에 두 일이 일어나는 경우 등에 대해, 신속한 그리고 고도의 맞춤형 반응을 나타내기 위한, 내재되어 있는 조절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있었다.[1]
식물은 환경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세대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었다.
취리히 대학(University of Zurich)의 식물학자들은 2년 동안 온실 내에서 이들 겨자식물에 대한 조절된 실험을 수행했다. 순무는 빠른 주기의 식물이다. 연구자들은 순무를 4그룹으로 나누어, 6 세대에 걸쳐 4 조건에 노출시켰다 : 1)수분을 매개하는 꿀벌의 존재, 2)수분을 매개하는 꿀벌 및 애벌레(해충)의 존재, 3)애벌레 없이, 인공 수분, 4)애벌레 존재 하에, 인공 수분.
취리히 대학의 보도 자료는 1세대에서 6세대까지 순무의 고도로 추적된 반응을 요약했다 :
해충(식물을 갉아먹는 애벌레) 없이, 꿀벌에 의해 수분되는 식물은 수분자(pollinators)에 가장 매력적이었다. 그들은 더 향기로운 꽃을 발전시켰고, 더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 식물은 실험 동안 꿀벌의 선호에 적응했다”라고 세르히오 라모스(Sergio Ramos)는 설명했다. 대조적으로, 애벌레가 있으면서 꿀벌에 의해 수분이 되는 식물은 방어용 독성 대사산물의 농도가 높아졌고, 더 작아지며, 향기가 줄어드는 경향의 꽃으로 인해, (꿀벌에게) 덜 매력적이게 되었다. “식물은 방어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기 때문에, 애벌레의 존재는 매력적인 꽃으로의 진화를 훼손한다”라고 라모스는 말했다.[2]
식물의 행동과 심지어 구조적 변화조차도, 세대를 거치며 빠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꽃가루를 수분하는 꿀벌 및 잎을 갉아먹는 애벌레에 노출된 식물은 자가-수분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생식기관의 공간적 분리가 줄어들었다.[1] 중요한 점은 이러한 커다란 모든 변화가 어떻게 그렇게 빨리 발생하는가? 라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선택론자(selectionist, 대부분의 진화적 변화가 자연선택에 의해 일어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세계관 내에서 그들의 설명을 구한다. 선택론에서 생물들은 찰흙과 같이 수동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환경은 생물의 특성을 만들어내는 주체로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3] 진화론자들은 장구한 시간을 동안 자연의 불확실하고 무작위적 과정이 어떻게든 수동적인 생물체를 구동시켰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지구상의 다양한 생물들이 존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 식물학자들은 순무 내에서 작동되고 있는 메커니즘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대신에 식물의 환경이 그러한 변화를 초래한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식물의 빠른 진화는 꿀벌과 애벌레에 의해서 유발되었다“고 주장한다. 대학의 언론 보도는 이렇게 보도하고 있었다 : ”자연에서 식물은 그들의 특별한 특성의 진화를 유도하면서, 생물의 전 영역에서 상호 작용을 한다.“[2] 연구자들은 이들 식물의 특별한 특성은 그들의 (환경적) 폭로에 기인했다고 믿고 있었다 : "우리는 식물이 수분자와 해충에 의한 자연선택의 압력 하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논문의 제목을 “수분 매개와 초식행동에 의해서 유도된 식물의 신속한 진화"라고 붙였다.[1] Science 지에 게재된 또 다른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특성은 수분매개자에 의해서 부여받은 선택적 압력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4]
그러나 환경이 적응을 주도한다는, 즉 식물이 꿀벌에 의해서 선택적 압력을 받았다는 선택론자들의 주장은 정당한 것인가? 선택론자들의 이러한 주장은 자연을 인격화시키고, 자연이 미스터리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매우 비과학적인 주장이다.
자연을 인격화하는 선택론자들의 주장은 한 어려운 도전에 직면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연이 선택을 진행하는 것을 관측해야만 하고, 선택 압력을 계량화해야만 한다. 그리고 "선택의 단위"를 모호하지 않게 구별해야만 한다.
신속하고, 표적을 갖는, 반복적인 반응은 진화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진화론적 적응은 점진적이고 방향이 없이 일어난다고 말해지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이 식물들 사이의 생존 투쟁에 대한 어떠한 것도 문서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적응이 어떻게든 "진화"된 것이라는 그들의 주장은 모순이다. 그러나 모든 시스템 요소들을 포함하여, 신속하고 표적화 된 반응을 예상하는, 이러한 실험적 관측을 재해석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틀이 있을 수 있을까?
상이한 노출 상황에 대한 식물의 이러한 신속한 반응은 고도로 맞춤화 된 자가-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적응시스템의 핵심 요소에 대한 증거일 수 있을까?
미국 창조과학연구소(ICR)는 선택론보다 더 과학적인 설명으로, 식물 내에 적응시스템이 처음부터 내재되어 있다는 이론을 개발 중이다. 한 중요한 가정은 생물학적 기능이 공학적 원리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ICR의 ‘연속적 환경 추적(CET, continuous environmental tracking)’ 모델은 적응에 대한 생물학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것은 인간 공학자가 움직이는 표적을 탐지하고, 감시하는, 추적 시스템을 설계, 구축, 사용하는 것처럼, 생물도 이와 유사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5] 이 모델은 생물도 추적 시스템의 자체-조정 가능한 특성과 동일한, 잘 매치되는 요소들을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 (1)입력 센서, (2)특수 적응형 반응의 내부적 선택을 조절하는 프로그램 된 논리적 메커니즘; (3)반응을 실행하는 "작동기"의 출력.
이러한 발견은 식물과 동물에 들어있는 생물학적 제어시스템이 인간의 논리와 매우 밀접한 논리적 메커니즘을 그 뿌리에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6] 생물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작동하고 있다. 생물 내에는 “만약” “그렇다면” “그리고” “혹은” “안됨”과 같은 명령어나 상황적 지시문과 같은, 스위치를 켜고 끄는 다양한 설정 조합이 들어있음이 분명하다. 분명히 식물에는 꿀벌과 유충을 탐지하는 특별한 센서가 있으며, 이들을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들어있다. 또한 반응은 다음과 같이 기능을 하는 내부의 논리적 메커니즘이 있음을 가리킨다 : 꿀벌이 있다면 향기로운 꽃을 생성하라, 애벌레가 있다면 독성 대사산물을 생성하라, 꿀벌과 애벌레가 같이 있다면 꽃을 작게 만들고 독성 대사산물을 단계적으로 생성하라... 순무 내에는 꿀벌이나 애벌레에 노출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사전에 프로그래밍 된 지시문이 들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지시문은 꿀벌이나 애벌레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 아니다. 식물은 문자 그대로 준비되어 있었고, 다양한 노출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미리 계획되어 있던 특별한 사전 계획대로 신속하게 반응한 것처럼 보인다. 그 반응들이 예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은 이러한 결론을 가리킨다.
과학적으로 ‘연속적 환경 추적(CET)’ 모델은 선택론에 비해 더 합리적인 설명이다. 그 이유는? ‘연속적 환경 추적’ 모델은 가장 단순한 가정을 채택하고 있고, 미스터리한 "선택 사건"과 정량화되지 않은 "선택 압력"을 배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증거들과 들어맞는 가장 간단한 과학적 설명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저자들은 생물체의 처음부터 들어있던 내재된 자가-조절을 "진화"로 얻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었던 것이다.
References
1. Ramos, S. E. and F. P. Schiestl. 2019. Rapid plant evolution driven by the interaction of pollination and herbivory. Science. 364(6436): 193-196. DOI: 10.1126/science.aav6962
2. Interplay of Pollinators and Pests Influences Plant Evolution. ScienceDaily, April 11, 2019. University of Zurich, Posted at media.uzh on April 11, 2019 accessed April 17, 2019.
3. Guliuzza, R. 2017. Engineered Adaptability: Adaptability Via Nature or Design:? What Evolutionists Say. Acts & Facts. 46 (9):17-19.
4. Agren, J. 2019. Pollinators, herbivores, and the evolution of floral traits. Science. 364(6436): 122-123. DOI: 10.1126/science.aax1656
5.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Adaptive Changes Are Purposeful, Not Random. Acts & Facts. 47 (6): 17-19.
6. Guliuzza, R. J. 2018. Engineered Adaptability: Logic Mechanisms Direct Creatures' Innate Adaptability. Acts & Facts. 47 (11): 17-18.
*Randy Guliuzza is ICR’s National Representative. He earned his Doctor of Medicine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his Master of Public Health from Harvard University, and served in the U.S. Air Force as 28th Bomb Wing Flight Surgeon and Chief of Aerospace Medicine. Dr. Guliuzza is also a registered Professional Engineer.
*참조 :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51&bmode=view
형질 변이와 종 분화는 무작위적 돌연변이가 아니라, 내장된 대립유전자에 의해서 일어난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7316410&bmode=view
출처 : ICR, 2019. 5. 10.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rapid-changes-plants-demonstrate-innate-tracking
번역 : 미디어위원회
‘수렴진화’라는 도피 수단
: 유사한 구조가 우연히 여러 번 진화했다?
(Convergence Convenience)
David F. Coppedge
진화론자들은 진화론과 모순되는 증거들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 '수렴진화(convergent evolution)'를 사용한다.
진화론은 패배할 수 없는 논리 체계를 가지고 있다. 다윈의 원래 진화계통나무의 그림은 변이의 축적으로 인해서 종의 분화가 일어났다는 ‘분기 진화(divergent evolution)’이다. 그래서 두 나뭇가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유사성을 잃게 된다. 같은 나뭇가지에 있는 유사한 구조를 가진 동물은 상동적 특성(homologous traits)으로 말해진다. 왜냐하면 그들은 같은 공통 조상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나뭇가지에 있는 생물들도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그렇다면 진화론자들은 그것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아! 그러한 특성은 수렴진화(convergent evolution)에 기인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러한 유사성은 상사적 특성(analogous traits)이라고 말해진다. 왜냐하면 그들은 같은 공통조상에서 유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류 체계를 가지고, 진화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만약 유사한 동물들이 서로 관련이 있는(같은 나뭇가지에 있는) 생물이라면, 그들은 진화한 것이다. 만약 유사한 동물들이 서로 관련이 없는(다른 나뭇가지에 있는) 생물이라면, 그들도 진화한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실제적인 설명이 될 수 있는가? 아니면 진화론의 오류를 숨기기 위한 교묘한 전략인가? (날씨를 예보를 하면서 ”내일은 비가 올 수도 있고 안 올 수도 있다”라고 한다면, 이 예보는 틀릴 수가 없다). 최근 발표된 '수렴진화'의 예들이 여기에 있다.
말미잘과 조류의 수렴진화 : PhysOrg (2012. 7. 26) 지는 ”신경 신호 채널(neuronal signaling channels)에서 이온 선택성은 동물에서 두 번 진화했다”라고 보도하고 있었다. 말미잘(sea anemones)과 조류(birds)는 그들의 세포막에 신경을 따라 신호들을 통과시키는 voltage-gated sodium channels라 불리는 복잡한 채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진화계통나무 상에서 6억 년 전에 분리된 다른 나뭇가지에 멀리 위치하고 있다. ”바다무척추동물에 있는 채널은 고등동물에서 발견되는 채널과 다르지만, 나트륨에 대한 동일한 선택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그 채널의 많은 부분들이 동일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 자포동물(cnidarians)과 고등동물의 진화 동안에 수렴적 방법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고 그 기사는 주장했다. ”이것은 신경계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 하등동물과 고등동물에서 두 번 진화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써, 그러한 이온 선택성 채널에 의존하는 더 복잡한 신경계가 두 번 독립적으로 진화할 수 있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해파리와 사람의 수렴진화 : Nature (2012. 7. 11) 지는 또한 근육(muscles)도 두 번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진화 생물학: 근육의 이중 기원”(2012년 7월 12일)이라는 글에서 안드레아스 헤즈놀(Andreas Hejnol)은 이렇게 말했다. ”해파리(jellyfish)는 척추동물의 횡문근(striated muscles)과 매우 유사하게 보이는 일련의 근육을 사용해서 이동한다. 그러나 새로운 데이터는 이들 두 근육 타입은 다른 분자들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그들이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의미한다.” 더욱 미스터리한 것은 다른 나뭇가지에 있는 빗해파리(comb jellies)도 또한 횡문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대부분의 다른 무척추동물들은 횡문근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빗해파리의 횡문근이 해파리의 것과 관련 있는 것인지, 아니면 척추동물의 것과 관련 있는 것인지, 아니면 또 하나의 수렴진화의 결과인지(우연한 돌연변이가 세 번 일어난 것인지)는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들의 놀라운 주장은 이렇다 :
”이러한 결과는 해파리와 사람의 횡문근이 놀랍도록 물리적으로 닮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른 일련의 유전자들을 사용하여 건설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스타인메츠(Steinmetz)와 동료들은 진화계통수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생물들에서 매우 유사한 특성이 생겨난 수렴진화(convergent evolution)의 특별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었다.”
곤충들의 수렴진화 : Nature (2012. 9. 19) 지의 한 논문은 이렇게 시작하고 있었다 : ”수렴진화의 한 놀라운 예로서, (딱정벌레, 나비, 파리, 노린재 등 4개 목에 속하는 곤충 18종에 대한 실험 결과) 3억 년 전에 분기된 곤충 종들은 식물 카데놀라이드(cardenolide; 금관화 등에 들어있는 유독성분) 독소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는 동일한 단일-아미노산 치환을 진화시켜 왔다”. 이것은 앞의 두 사례보다 극적인 수렴진화 사례는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의 아미노산의 치환이고, 종들은 모두 곤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들은 이것을 정말로 뭔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진화계통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곤충 종들이 단일 유전자에 한 공통적인 적응 반응을 진화시켰다는 점에서 수렴적 분자 진화의 훌륭한 사례이다”라고 말했다. 수렴적 분자 진화의 놀라운 사례로서, 공통적 특성이 같은 종류의 숙주 식물을 먹는 서로 관련 없는 곤충들에서 4번 발생했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분자적 수준에서의 수렴진화 사례”를 자동생태학적 수렴성(autoecological convergence) 및 기능적 수렴성(functional convergence)과 같은 형용사들을 사용하여 그럴듯하게 포장하며 꾸며대고 있었다. (Whiteman and Mooney, 'Evolutionary biology: Insects converge on resistance,” Nature 489, 20 Sept 2012, pp. 376–377, doi:10.1038/489376a.)
초파리와 사람의 수렴진화 : PLoS Biology (2012. 10. 2) 지에 게재된 두 편의 후각에 관한 논문에서 수렴진화의 개념은 또 다시 등장하고 있었다. 초파리 유충(fruit fly maggots)과 사람은 진화계통나무 상에서 너무도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나 세 명의 케임브리지 대학의 진화론자들은 냄새를 맡는 장비 사이에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수준의 유사성”을 발견했다는것이다. 그들은 말했다. ”우리의 결과는 척추동물과 초파리 유충 사이에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수준의 유사성을 나타낸다.” (Prieto-Godino LL, Diegelmann S, Bate M (2012) Embryonic Origin of Olfactory Circuitry in Drosophila: Contact and Activity-Mediated Interactions Pattern Connectivity in the Antennal Lobe. PLoS Biol 10(10): e1001400. doi:10.1371/journal.pbio.1001400). 같은 저널에서 쟈넬 위버(Janelle Weaver)는 특별히 ‘수렴진화’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그러한 놀라운 사실에 대해 논평했다 : ”그 발견은 후각 네트워크의 형성에 있어서 척추동물과 곤충 유충 사이에 놀라운 유사성을 나타낸다.” 그녀는 심지어 철학적 설명까지 발명해내고 있었다. ”왜냐하면 다른 감각계와 운동계의 신경 회로들은 유사한 성질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발견은 신경계의 네트워크 발달에 내재되어 있는 일반적인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도 있다.” (Weaver J (2012) Striking Similarities in Fly and Vertebrate Olfactory Network Formation. PLoS Biol10(10): e1001401. doi:10.1371/journal.pbio.1001401.) 위버는 요약 글에서 진화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화에 대한 다른 참고문헌들에 대해서 동의하고 있었다.
흡혈동물의 수렴진화 : PLoS ONE(2012. 9. 25) 지의 벼룩(fleas)에 관한 논문은 이렇게 쓰고 있었다 : ”수렴진화를 나타내는 흡혈 습성은 절지동물 내에서 적어도 10번은 각각 진화했다.” (Ribeiro JMC, Assumpção TCF, Ma D, Alvarenga PH, Pham VM, et al. (2012) An Insight into the Sialotranscriptome of the Cat Flea, Ctenocephalides felis. PLoS ONE7(9): e44612. doi:10.1371/journal.pone.0044612.)
바다가재의 수렴진화 : PLoS ONE (2012. 9. 26) 지의 또 다른 논문은 애팔래치안 가재(Appalachian crayfish) 12 아속(subgenera)에 수렴진화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아속을 같은 단일계통나무로 두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수렴성을 사용해야만 했다. 그들은 ”수렴진화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무척추동물에 매우 흔함을 제시했던” 이전 연구를 언급했다. 단지 그것만이 아니라, 그들은 수렴성이 모든 곳에서 발생해 있어서, 분류학자(taxonomists)들을 혼란하게 만들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가재(Cambarus) 아속의 경계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형태학적 특성에 수렴진화가 충격을 주고 있음을 우리는 발견했다. 바다가재(crayfish) 오르코넥테스(Orconectes) 속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아속의 경계를 구분하는 데에 사용했던 생식각(gonopod) 형태는 수렴진화에 의해서 또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가재 분류법에 기초한 형태학적 판단은 가재 속에 걸쳐서 일어나있는 수렴진화에 의해서 혼동될 수 있으며, 자연적 그룹을 정의하거나 관련성을 판단하는 데에 거의 사용될 수 없음을 가리킨다. 나아가서 수렴적 형태학적 진화가 무척추동물에 흔하게 발생하여 있음으로, 무척추동물 계통분류학에서 형태학적 진화에 기초한 계통발생학적 해석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Breinholt JW, Porter ML, Crandall KA (2012) Testing Phylogenetic Hypotheses of the Subgenera of the Freshwater Crayfish Genus Cambarus (Decapoda: Cambaridae). PLoS ONE 7(9): e46105. doi:10.1371/journal.pone.0046105.)
모든 것들의 수렴진화 : 식물, 무척추동물, 척추동물 사이의 유사성이 발견되면서, 진정 하나의 수수께끼가 등장하고 있었다. (진화론적으로 전혀 관련이 없는) 이들 세 종류의 생물 그룹은 그들의 면역시스템에서 유사한 신호 경로를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프레데릭(Frederick M Ausubel)으로 하여금 분기(divergence)를 거부하고 수렴진화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었다. ('Are innate immune signaling pathways in plants and animals conserved?” Nature Immunology 6, 973 — 979 (2005), 21 September 2005 | doi:10.1038/ni1253):
선천적 면역의 이러한 유사성은 고대 식물계와 동물계의 분기 이전인 고대 단세포 진핵생물의 분기적 진화 과정을 나타낸다고 흔히 보고되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데이터는 식물과 동물의 선천면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사하게 보이는 조절 모듈은 수렴진화의 결과이며, 선천면역계가 어떻게 구축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내재적 제약을 반영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이 인용문에서 프레데릭은 전혀 관련 없는 생물 그룹들 사이에 유사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흔한 설명 장치(수렴진화)를 사용했다. 자연이 그러한 시스템을 진화시키도록 공통의 압력을 가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생물체가 비행을 하려면 날개가 필요하다. 그것은 요구 사항이다. 그러므로 조류, 곤충, 익룡, 박쥐 등은 비행을 위한 요구 사항을 준수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로켓을 장착하거나 헬리콥터 날개를 장착한 동물도 생겨나야하지 않는가? 자주 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더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위키백과(Wikipedia)에서 '수렴진화' 항목을 들어가 보면,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기능적 수렴(functional convergence), 성인적상동(homoplasy), 공유파생형질(synapomorphy), 평행진화(parallel evolution), 재진화(re-evolution), 진화 릴레이(evolutionary relay) 등. 수렴성은 형태학적 수준 또는 분자적 수준에서 감지될 수 있다. 수렴진화가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유사한 환경에 노출된 생물들은 유사한 기관들을 진화시켰기 때문이라고 그 기사는 주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자연의 법칙이 될 수 없어 보인다. 왜야하면 유사한 환경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생물들이 수렴성 없이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수렴성에 대해서 ”내일은 비가 올 수도 있고 안 올 수도 있다”와 같은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위키백과의 글도 ‘수렴진화’는 불완전하고 논란이 되고 있는 개념이다 라고 끝을 맺고 있다.
정지 신호가 자동차를 진화시킬 수 없듯이, 제약 조건이 어떤 특성을 진화시킬 수 없다. 공기가 비행기를 만들어낼 수 없듯이 '공학적 특수성'이 어떤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없다. 이 사람들은 우스꽝스러운 농담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런 복잡한 메커니즘이란 말을 하고 있으면서 그것들이 여러 번 우연히 생겨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들은 누구인가? 형이상학자들인가? 진화하는 동물들에 감동을 주는 어떤 Universal Form이 있는가? ICR에 게재된 일련의 글에서 랜디(Randy Guliuzza)가 설명했듯이, 진화론자들은 지능도 없고, 계획도 없고, 방향도 없는, 눈 먼 자연이 생물에 공학적 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처럼 둘러대고 있는 책략가들이다. 생물의 적응 능력은 탁월한 공학자이신 창조주에 의해서 생물체 안에 설계되어 들어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수렴진화' 라는 용어는 진화론자들이 진화론의 허구성이 입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낸 전략적 용어이다. 정말로 창조주가 계신다고 생각해보자. 창조주는 사람들이 먼 훗날 모든 만물은 스스로 우연히 만들어졌다는 진화론을 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계층 그룹의 생물들에 동일한 유전적 암호를 사용하는 유사한 구조들을 가지도록 생물들을 창조하신 것은 아닐까? 이것은 월터 리마인(Walter ReMine)이 그의 책 ‘생물 메시지(The Biotic Message)’에서 주장한 것이다. 그 책은 진화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신 한 분 창조주를 드러내고 있다. 복잡성은 우연을 배제한다. 보편적 유전암호는 다신교를 배제한다. 그리고 계층 그룹을 뛰어 넘는 유사성은 진화론을 배제한다. 이것이 생물 세계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진화론과 모순되는 수많은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분명한 생물 메시지를 따르기보다, 의도적으로 진화론을 믿으려 하고 있는 것이다. 진화가 아니면 창조인데, 그것은 창조주 하나님을 인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수렴 진화'와 같은 교묘한 말장난으로, 결코 빠져나갈 수 없는 치명적인 결함이다. 수렴진화는 진화론에 결정적 타격이며, 쐐기인 것이다. 생물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진화론자들의 믿음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들은 기적이 여러 번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고도로 복잡한 구조가 2번, 3번, 12번 독립적으로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examples: 9/20/2011, 7/27/2011 #9, 2/25/2011 #1, 11/10/2010 #2). 진화론 일색인 위키백과(Wikipedia)에도 주머니승냥이(thylacine)와 회색 늑대는 서로 관계가 없지만, 그들의 두개골은 많은 부분에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믿을 수 없는 수렴진화의 예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고도로 정교하고 복잡한 기관들이 기적적으로 여러 번 우연히 생겨났다는 주장은 창조론자들의 주장과 비슷해 보인다.
'수렴진화' 되었다는 주장은 그 분의 지혜를 담아 복잡한 생물계를 창조하신 창조주에 대한 모독이다. 랜디가 지적했던 것처럼,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은 설계 과정이 아니다. 그것은 더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이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유전정보를 만들어낼 수 없다.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니다. 진화론자들은 마치 자연선택을 설계자를 대체할 수 있는 마법의 단어처럼 말한다. 우리는 이 세계가 경이로운 공학적 설계들로 가득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자주 매우 다른 그룹의 생물들에서 유사한 구조들이 발견된다. 그것은 ‘공통설계(common design)’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매우 간단하고 우아한 설명은 하나님을 거부하는 자들의 귀에는 거슬리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은 창조를 지지하지, 수렴진화를 지지하지 않는다.
관련이 없는 생물 그룹들 간의 유사성에 관한 놀라운 예들은 Brett Miller’s humorous와 EvidentCreation.com의 'The Convergence Concoction”를 참조하라.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2/10/convergence-convenience/
출처 - CEH, 2012. 10. 8.
급속한 진화(변화)는 진화론을 부정하고, 창조론을 확증하고 있다.
(Fast Evolution Confirms Creationist Theory)
Dr. Randy J. Guliuzza
창조론의 견해는 생물들은 견고한 종 분화(speciation)를 위해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생물들은 근본적으로 다른 종류(kinds)로 바뀔 수는 없지만, 변화하는 환경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특성들이 빠르게 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17년 1월에 왕립협회의 생명과학 저널에[2] 게재된 이 주제에 대한 한 헤드라인은 ”빠른 진화는 모든 개체에, 모든 곳에서 영향을 미친다”였다.[1] 이러한 내용은 사실 진화론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론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었다.
생물 내에서 변화의 속도는 관심의 대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진화론을 의심하는 한 가지 이유는, 한 종류의 생물체가 다른 종류의 생물체로 진화(변화)하는 것을(종류 내의 작은 변이들 말고) 본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이다. 식물과 동물 육종가들이 수천 수만 년 동안 그러한 시도를 해볼 수는 없다. 진화론자들이 강제로 진화를 일으켜보려고, 생물에 급진적인 유전적 돌연변이를 유발시키는 많은 실험들을 해왔지만, 생물의 불구나 기형을 초래했을 뿐, 기본적인 형태는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놀랍게도, 창조론자들과 진화론자들 모두 이 사실에 만족해하고 있다.
창조론과 진화론은 서로 다른 변화 속도를 예상한다.
진화론자들은 진화적 변화 속도가 상당히 느릴 것으로 예상한다. 그들이 예상하는 변화는 수천 세대를 지나면서 일어나기 때문에, 아무도 그것을 관측하거나 볼 수 없다. 왕립협회의 그 주제에 관한 최근 한 보고는, ”진화의 속도에 대한 25년 전 과학계의 견해는 100년도 더 이전의 다윈의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우리는 장구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이러한 느린 발전을 볼 수 없다”고 말했다.[3] 사실, 진화생물학자였던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 Gould)도 다윈의 말을 동일하게 인용하고 있었다. ”실제적인 변화는 극히 드문 사건으로 일어난다. 그래서 장구한 시간 틀에서 대부분의 변화는 잘 감지되지 않는다. 점진주의(gradualism)는 진화론에서 가장 중심적인 신념이다”라고 그는 덧붙였다.[4]
반대로, 단지 약 4600년 전에 코로 숨을 쉬는 육상동물들이 모두 멸절됐다면, 그리고 방주에 태워진 소수의 각기 종류대로의 동물들만 살아남았다면, 창조론자들은 오늘날 목격되고 있는 엄청난 생물 다양성을 설명해야하는 문제에 봉착한다. 창조론자들은 생물들에 내재되어 있는 선천적 시스템이, 특별히 창조와 홍수 이후에, 환경적 적소들을 가득 채울 수 있도록, 빠른 특성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5] 진화론자들은 창조론자들이 진화론자들의 얼굴을 붉게 만들 정도의 빠른 변화 속도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신속한 특성의 발현을 ”홍수 이후의 빅뱅”, 또는 ”급진적 진화론”이라고 조롱하고 있다.[6]
.용암 위에 놓여진 도마뱀은 1주일 만에 몸체 색깔을 바꿀 수 있었다.
*참조 :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빠른 특성 발현이 관측되고 있다.
최근 ScienceDaily 지는 생물체에서 보여지는 ”급속한 진화(rapid evolution)”에 관해 보도하고 있었다. 그들의 보도와 최초의 연구 논문이 '진화'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최근의 인간 활동에 반응하여 생물들에서 발현된 새로운 형질(특성)이다. ScienceDaily 지가 요약하고 있는 것처럼, ”과학 저널인 PTRS B에 게재된 한 논문에서, 맥길 대학(McGill University)의 연구자들은 이 현상에 대한 최신 연구를 함께 수행했다.”[7]
ScienceDaily 지는 최근의 인간 활동으로 변경된 3가지의 환경조건 사례와, 이로 인해 새로운 특성을 신속하게 발현시킨 생물들의 반응에 관한 연구를 보도했다. 첫째는 어업(fishing)이었는데, 이에 인해 ”어류는 더 젊고, 더 작은 시기에 번식하도록 진화하여, 적은 수의, 작은 크기의 새끼들을 낳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간에 의해서 도입된 외래 생물 종으로 인해, ”토착 종은 이에 대응하여 때때로 진화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물은 도시화로 인한 도로포장의 확장을 보상하기 위해서, 종자 분산을 감소시키도록 진화하고 있으며, 동물은 산업용 및 주거용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진화시켰다”는 것이다.
그 주제에 대한 왕립협회의 편집위원인 앤드류 헨드리(Andrew Hendry)는 ScienceDaily 지에서 ”진화는 항상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의 환경, 우리의 건강, 우리의 전반적인 안녕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했다. ”많은 경우에서 이러한 영향은 생물학자들이 전통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수년에서 수십 년 만에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화론과 반대된다. 그러나 헨드리는 ”사람이 개입됐을 때, 종에 대한 선택 압력은 종종 강해져서, 빠르게 진화하게 된다”며 어깨를 으쓱거렸다. 그러한 생각은 과학적 결론인가, 가정에 근거한 추측인가?
빠른 특성 발현이 가리키는 것은?
생물체에서 특성 발현이 빠르게 일어난다는 발견은, 생물은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창조론자들의 이론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한 진화론자가 지적했던 것처럼, 빠르고 급격한 변화는, 능동적 환경으로 인해 유전물질의 변경이 수동적으로 일어나는 생물체를 강조하는 진화론과는 조화되기 어렵다. 즉, 유전자들에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들이 발생하고, 오랜 기간 동안 자연선택이 작동되어 생겨나는, 느리고 점진적인 변화를 주장하는 이론과는 조화되기 어렵다는 것이다.[8] 왕립협회의 논문에 보고된, 그러한 빠르고 급격한 변화는, 생존을 위해 투쟁하며 쌓여지는, 무작위적인 유전적 돌연변이의 점진적 축적 과정과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생물체가 감지기(sensors), 세포 알고리즘, 출력 반응 등으로 구성된 정교한 내장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서, 생물체가 어떻게 환경 변화(자연적 또는 인공적)를 추적할 수 있는지, 그래서 환경 변화에 어떻게 빠르게 적응하여, 생태학적 적소들을 채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최신 연구와 훨씬 잘 어울린다. 최신 연구들에 의하면, 생물들에는 많은 메커니즘들이 장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들로는 후성유전학(epigenetics), 잡종형성(hybridization), 숨은 변이(cryptic variation), 행동 변화(behavioral changes), 비감수 배우자(unreduced gametes), 지시된 교차(directed crossover), 조절된 마이크로 RNA(regulated micro-RNAs) 또는 RNA 스플라이싱(RNA splicing), 수평 유전자 전달(이동)(horizontal gene transfer), 심지어 숙주생물의 미생물총(microbiota)의 조절 등 수십 가지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생물체에 들어있는 이러한 고도로 복잡한 메커니즘들이 모두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들에 의해서 우연히 생겨났을까? 이들 메커니즘들 중 어느 것도 삶과 죽음을 위한 생존경쟁을 요구하지 않는다! 창조론자들은 생물체가 단 한 세대 만에도 외부적 환경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러한 메커니즘들에 대해 보고해 왔다.[9]
그러나 왕립협회와 ScienceDaily 지는 이러한 진화론과 반대되는 증거들을 마치 그들의 이론에 대한 증거인 것처럼 선전하고 있었다. 코넬리우스 헌터(Cornelius Hunter)는 진화론자들이 자신들의 이론과 모순되는 후성유전학과 같은 발견들을 어떻게 교묘한 속임수로 비틀어버리는 지를 폭로하고 있었다.[10] 그는 진리가 3단계를 거치면서 밝혀진다는 오래된 격언을 들려주었다. 첫째, 조롱 받는다. 둘째, 맹렬한 반대에 부딪친다. 셋째,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세 단계를 약간 수정한다면, 우리는 이제 후성유전학(이 경우에서는 ”급속한 진화”)과 같은 과학적 발견에 대한 창조론자들의 주장을, 진화론이 어떻게 반대해왔고, 왜곡시켰는지에 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 거부하고, 조롱한다.
2. 권위를 깎아내리고, 최소화한다.
3. 이름을 바꾸고, 자신들의 이론으로 포함시킨다.
헌터의 틀은 지금도 진화론자들이 ”급속한 진화(변화)”를 관측했을 때, 3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법으로 실패한 점진주의 이론을 은폐하고 있는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자신들의 이론과 모순되는 과학적 발견들을, 오히려 찬성하는 증거로 왜곡하면서, 그와 같은 방식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McGill University. Fast evolution affects everyone, everywhere. ScienceDaily. Posted on sciencedaily.com December 6, 2016, accessed December 10, 2016.
2. Hendry, A. P., K. M. Gotanda, E. I. Svensson. 2017. Human influences on evolution, and the ecological and societal consequenc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72 (1712): 20160028.
3. Ibid.
4. Gould, S. J. 2002.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47, 148.
5. Jeanson, N. 2010. The Impetus for Biological Change. Acts & Facts. 39 (8): 6.
6. Anonymous. The Lost World of South American Ungulates: A YEC Ungulate Problem. Naturalis Historia. Posted by thenaturalhistorian.com January 13, 2015, accessed December 13, 2016.
7. McGill University, Fast evolution, December 6, 2016.
8. Anonymous. The Lost World.
9. See: Tomkins, J. 2012. Mechanisms of Adaptation in Biology: Molecular Cell Biology. Acts & Facts. 41 (4): 6.; Tomkins, J. 2012. Mechanisms of Adaptation in Biology: Genetic Diversity. Acts & Facts. 41 (5): 8.; Thomas, B. 2011. Yeast: Single Cells That Fit and Fill. Acts & Facts. 40 (9): 18.; Lightner, J. K. 2008. Life: Designed by God to Adapt. Answers in Depth. 3:37–39.
10. Hunter, C. Michael Skinner on Epigenetics: Stage Three Alert. Darwin's God. Posted at darwins-god.blogspot.com on November 15, 2016, accessed on December 11, 2016.
* Dr. Guliuzza is ICR's National Representative. Article posted on January 16, 2017.
*참조 :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51&bmode=view
조류 종의 빠른 변화는 진화인가?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32&bmode=view
식물의 빠른 변화는 내재된 것임이 입증되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2268884&bmode=view
꽃에서 작동되고 있는 진화가 발견됐는가?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25&bmode=view
시클리드 물고기에 내재되어 있는 적응형 유전체 공학.
http://creation.kr/Variation/?idx=3759191&bmode=view
고둥의 변화는 진화의 느린 걸음을 앞지르고 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09&bmode=view
모기의 매우 빠른 변화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57&bmode=view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9770
출처 - ICR News, 2017. 1. 16.
후성유전학에 대한 새로운 소식들
(Epigenetics in the News)
David F. Coppedge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주류가 되고 있다. 유전학 보다 우위에 있는 이 과정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후성유전학이라는 과학 분야는 DNA가 유전학의 ”마스터 분자(master molecule)”라는 개념인,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를 뒤흔들어 놓았다. 이 1960년대의 교리는 DNA의 정보로부터 단백질들이 만들어지고, 주변에 다른 길은 없다는 것이었다. 이제 후성유전학(epigenetics, epi: 위(above), genetics: 유전학)은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와 모순된다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이 맞는다면, 후성유전학을 고려하지 않았던 진화론적 설명은 심각하게 왜곡됐을 위험이 있다. 이제 DNA에 유전암호만 있다고 더 이상 말할 수 없게 되었다. 거기에는 후성유전학적 암호, 막 암호, 분자기계들에 대한 암호, 히스톤 암호, 스플라이싱 암호,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수많은 다른 암호 근원들이 들어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암호들에 있는 정보는 종종 대물림(유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세포는 DNA 도서관에서 작동되고 있는, 초고도 복잡성의 일련의 암호 및 조절 시스템으로 간주되고 있다. 아래는 후성유전학에 대한 최근 뉴스들이다.
동물에서 후성유전학적 유전의 기능과 메커니즘.(Nature Reviews Molecular Biology, 2018. 11. 13). 후성유전학적 과정에 대한 새로운 지식들은 생물체의 복잡성이 거대한 스케일임을 일깨워주고 있다. 고등한 생물에서 그것은 점점 더 복잡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
DNA 메틸화(DNA methylation), 히스톤 변형(histone modifications), 또는 RNA와 같은 후성유전학적 결정인자들이 감수분열 생성물(생식세포)을 통해 다음 세대로 전달될 수 있다는 생각은 오랫동안 견지되어 왔었다. 그러한 감수분열성 후성유전학적 대물림(meiotic epigenetic inheritance, MEI)은 효모, 식물, 선충(nematodes)에서는 매우 일반적이지만, 포유류에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제 유전체학(genomics)의 기술적 발전으로, 생식세포계열과 접합체 후성유전체에 대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고, 다양한 종에서의 후성유전학적 대물림에 대해 더 많은 이해를 하게 되었다. 후성유전학적 대물림에서 DNA 메틸화의 역할은 불분명하지만, 유전체 전반에 걸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이전에는 잘 인식되지 못했던 포유류 유전체의 일부가 발달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으로 재프로그램 되어 우회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었다. 특히 히스톤 변형, tRNA 조각, microRNA의 세대간 대물림은 자손의 유전자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트론은 기아(starvation)에 대한 세포 반응의 조정자이다.(Nature, 2019. 1. 16). 메신저 RNA(mRNA)가 단백질 조립을 위해 핵에서 나와 리보솜으로 보내지기 전에, 스플라이오솜(spliceosomes)에 의해 잘려질 필요가 있는 유전자 내에서, 암호가 없는 이 미스터리한 인트론이 확장되는 이유가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인트론은 진화론적 과거로부터 남겨진 ”쓰레기 DNA(junk DNA)”가 아니라,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한 가지 경우에서 분명했는데, 인트론은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단백질 생산의 수준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출아하는 효모(budding yeast)의 유전자에서 알려진 인트론을 모두 체계적으로 제거하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인트론의 결실(deletion)이 있는 세포는 영양소가 고갈될 경우 손상을 입고 있었다. 인트론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숙주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이 없었으며, 숙주 mRNA의 번역이 차단된 경우에도 번식되었다. 전사된 전사체와 유전자들에 대한 분석에 의하면, 인트론은 영양소 감지 TORC1 및 PKA 경로의 하단에 있는 리보솜 단백질 유전자의 억제를 강화하여, 기아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결과는 유전자내에서의 진화적 보존(evolutionary preservation)을 설명할 수 있고, 기아에 대한 세포 적응의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인트론의 기능을 보여준다.
지적설계 진영은 이 사실을 인트론이 기능적이고 유익하다는 예측을 확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Evolution News & Science Today, 2019. 1. 24). ”유전자내에서의 진화적 보존”이라는 그들의 말은 DNA와 유전자들이 처음부터 진화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부터 온 순환논법임을 주목하라.
후성유전학 : 그것은 우리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The Conversation, 2019. 1. 24) 후성유전학이 우리 각자에게 가까이 다가와 있다.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 Dublin)의 유전학 및 신경과학 부교수인 케빈 미첼(Kevin Mitchell)은 이렇게 말했다 :
‘본성 대 양육(nature versus nurture)’ 논쟁에서, 양육은 후생유전학이라는 새로운 지원군을 갖게 되었다. 분자생물학에서 도입된 후생유전학은 유전자가 운명이 아니라는 주장에 과학적인 힘을 실어주고 있다. 우리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유전적 영향에 대한 압도적인 증거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숙명론적 시각을 갖게 했다. 그것 중에 하나가 우리가 자신의 정신과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의 노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인 후성유전학은 유전적 결정론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즉 우리의 선천적 본성을 초월하여, 우리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유전자 조절은 디지털 방식이고, 확률론적(추측통계학)적 방식일 수 있음을 연구는 보여준다. (Science Daily, 2018. 8. 23). 이 기사는 유전체(genome)를 하드웨어로, 후성유전체(epigenome)를 소프트웨어에 비유하고 있었다. 또한 후성유전체를 온도조절 장치에 비유하기도 했다. 디지털 방식은 특별한 상황 하에서 유전자의 스위치를 켜고 끄는 프로그램이다. 확률론적 방식은 그 상황이 도달했을 때, 스위치가 변환될 확률이다. 조건이 강할수록 반응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연구자들은 후성유전학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들의 논의는 진화론보다 지적설계와 훨씬 더 친근하게 들린다.
우리 몸의 모든 세포들은 동일한 유전자 세트, 또는 유전체를 갖고 있으며, 잠재적으로 모든 유형의 세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성유전체는 발달(성장) 동안에 한 세포가 피부세포가 되도록, 또는 신경세포가 되도록 이끄는 과정을 조정한다. 유전체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같은 것이라면, 후성유전체는 특정 유전자를 켜고, 다른 유전자를 꺼서, 피부세포를 생겨나게 하거나, 다른 유전자들을 켜고, 꺼서, 신경세포가 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후성유전학과 진화론
흥미롭게도 이들 논문이나 기사들 중에 어떤 것도 진화(evolution)를 언급하고 있지 않았으며, 후성유전학이 무작위적인 진화론적 과정으로 어떻게 생겨날 수 있었는지 말하고 있지 않았다. 인트론에 대한 Nature 지의 두 번째 논문만이,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대사를 조절하는 그들의 능력이 진화적 이점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단순히 제안하고 있었다. 그것이 언제, 어떻게, 왜 특화되었는지를 명시하지 않고 말이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사실상 세포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영양분 이용성(nutrient availability)이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의 성장 속도를 보상해줄 수 있는 하나의 기능으로서, 주요한 진화적 이점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우리는 주장한다.
그것이 ”설계적 이점” 대신에, ”진화적 이점”이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좋은 설계자는 풍부하거나 결핍될 수 있는 자원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전력망 회로에는 순간적인 높은 전압(spikes), 지속적 높은 전압(surges), 지속적 낮은 전압(brown-outs) 등의 경우에 전력망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내장되어 있다. 이 인용문의 핵심은 존재하고 살아남은 것들은 모두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들에 의해서 우연히 생겨났다는 ”만물 우연발생의 법칙(Stuff Happens Law, 자연선택)”의 결과였음을 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새로운 암호나 조절기능들이 발견되어도, 이러한 것들이 모두 우연히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들은 우연에 모든 것을 걸었다! CEH는 유용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세속적 전문용어에서 진화론적 용어를 골라내는 스플라이오솜(spliceosomes)과 같다.
”본성 대 양육”에 대해 말하면, 그것은 잘못된 이분법이다. 본성이나 양육 모두 우리를 유전이나 환경에 좌우되도록(치우치도록) 만들기 때문에, 확률론적이고, 결정론적이다. 미첼은 말한다.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습관을 고치고 바꿀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잠재의식적 성향을 어느 정도 뛰어넘을 수 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이렇게 말할 때, 그는 본성과 양육을 초월한 어떤 것을 그의 사고 안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유의지, 선택, 책임이다. 그것들(자유의지, 선택, 책임)은 정말로 유물론자의 낡은 세계관을 뛰어넘고 있는 것이다. 다르게 생각하는 것은 자신의 말을 훼손하는 것이다. 그는 후성유전학과 심리학에 관한 글쓰기를 선택한 것일까? 그는 자신의 본성을 초월하여, 그렇게 하도록 양육되었는가? 분명히 본성과 양육은 그의 글에 영향을 주었지만, 본성과 양육이 그의 글을 결정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선택했다. 그런 다음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자신의 본성(손가락)과 양육(교육)을 사용했다. 우리도 그렇게 한다. 우리는 유전학이나 환경의 희생자라고 주장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crev.info/2019/01/epigenetics-in-the-news/
출처 - CEH, 2019. 1. 26.
노르웨이의 한 새는 진화론적 종 분화를 거부한다.
(Norway's Redchat Defies Evolutionary Speciation)
James J.S. Johnson, J.D
진실-거짓(true-vs.-false) 논쟁을 조사할 때, 사용되는 용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때때로 기독교인들도 진화론적 가정이 숨어있는 용어를 잘못 사용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거짓된 가르침을 퍼트리고 있다.[1, 2] 이것은 법정에서 쟁점의 혼란(confusion of issues)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는 너무도 중요하여, 재판 시에 증거규칙 403(Evidence Rule 403)이 생겨나게 했던 것으로,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될 때 혼란스러운 용어는 금지시키고 있다.[3]
예를 들어, ‘종의 기원’은 하나의 혼란스러운 주제이다. 종(species)은 정확히 무엇인가?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가 다른 사람에게는 다른 것을 의미한다면, 어떻게 기원에 대해서 적절히 분석하고 토론할 수 있겠는가? 진화론을 과학적으로 간주하고 있는, 여러 사람이 편집할 수 있는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백과(Wikipedia)에 의하면 :
종(species)은 종종 적절한 성별, 또는 짝짓기 유형의 두 개체가 후손을 생산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생물 그룹으로서 정의된다.[4]
한 종의 구성원은 같은 종 내에서 번식한다. 여기까지는 그런대로 괜찮다. 그러나 위키백과는는 종의 기원을 진화론적으로 비틀고 있다 :
종이라는 번식적으로 독립된 구별된 그룹으로 생물학적 개체군이 진화하는 과정은 종 분화(speciation)로 불려진다... 종 분화는 번식적 격리, 감소된 유전자 흐름의 측정에 달려있다. 이것은 개체군이 지리적으로 분리되고, 돌연변이가 누적되면서, 점차적으로 분기될 수 있는 이소적 종분화(allopatric speciation)에서 가장 쉽게 발생한다.[4]
따라서 구별되는 분리된 종의 발달은 진화적 전진을 위한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가 된다. 그러나 지리학적 고립 등에 기인한 유전자 풀의 분리(gene pool split-offs)라는, 진화론이 가정하는 종 분화 개념은 현실 세계에서는 반복적으로 잡종교배(hybridization) 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같은 진화계통 나무의 서로 다른 가지에 있는 생물들은 서로 교배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어떤 동물들은 교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3년에 노르웨이에서 놀랍게도 이전에 결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rødskvett (redchat, literally 'red splash”)로 불려지는, 작은 새가 관측됐다.(사진은 여기를 클릭). 그 이름은 노르웨이 단어인 rødstjert(redstart, 'red tail”)과 buskskvett(whinchat, 'bush splash”)가 합성된 이름이다. 그 이름은 두 개의 부모를 가리킨다.[5] DNA 검사 결과 놀랍게도 친자 관계가 확증되었다.[6]
영어로 redchat bird는 redstart(상딱새)와 whinchat(딱새)를 부모 사이에서 잡종 교배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위키백과의 정의에 의하면, redstarts와 whinchats가 동일한 종임을 의미한다.[7] 만약 redstarts와 whinchats가 서로 다른 종이라면, 잡종교배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분류학적 놀라움은 새의 유전학 때문이 아니었다. 놀라움은 단순한 사실을 무시했던, 진화론적 가정에 기초한 '종 분화'라는 용어 때문이었다. 즉, redstarts와 whinchats는 생물학적 개체군이 진화하는 진화적 과정을 나타내지 않는다.[4] 대신 그들은 하나님이 창조주간 다섯째 날에 특별하게 창조됐던, 하나님이 방주에 보존해 놓았던, 한 종류의 조류 조상으로부터 생겨난 후손이라는 것이다.[8]
하나님의 진리는 더 명확하게 전달된다. 거짓은 연기 가득한 혼돈 속에서 이익을 취한다. 때때로 어떤 용어의 의미는 매우 애매모호하고, 너무도 다른 의미를 전달하고 있으며,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혼란과 착오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른 용어를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진화론적 '쟁점의 혼란'을 일으키는 용어적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한다는 것이다!
References
1. Johnson, J. J. S. 2012. What Good Are Experts? Acts & Facts. 41 (11): 8-10.
2. Johnson, J. J. S. 2012. The Creator’s Glory Reflected Everywhere: True Treasure in the Cayman Islands.Acts & Facts. 41 (4): 8-10.
3. Evidence Rule 403, which applies to both federal and state courts, permits a judge to identify misleading sources of confusion, including the distractive use of deceptive terminology, from being admitted into evidence.
4. Species. Wikipedia. Posted on en.wikipedia.org. Although Wikipedia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on many topics, it has a long track record of omitting or misrepresenting matters involving Genesis-based creation science.
5. This unexpected hybrid is discussed in Spilde, I. Mysterious bird was unique cross of two unrelated species. ScienceNordic. Posted on sciencenordic.com March 11, 2015.
6. See Hogner, S. et al. 2015. Intergeneric Hybridization Between Common Redstart Phoenicurus phoenicurus and Whinchat Saxicola rubetra Revealed by Molecular Analyses. Journal of Ornithology. 156 (3): 829-836, cited in Appleton, D. Common Redstart x Whinchat. Bird Hybrids. Posted on birdhybrids.blogspot.com January 13, 2016.
7. Moreover, to the chagrin of taxonomic 'splitters,” the whinchat is also known to hybridize with the Siberian stonechat and the Common stonechat of western and southern Europe, proving that those three chats descended from a common ancestral pair. See McCarthy, E. 2006. Handbook of Avian Hybrids of the Wor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8.
8. Genesis 1:20-23.
9. Consider Paul’s statement in Galatians 1:13, KJV: 'For ye have heard of my conversation in time past in the Jews’ religion, how that beyond measure I persecuted the church of God, and wasted it.” The English noun 'conversation” meant 'behavior” 400 years ago, so Paul was referring to his walk, not his talk! To get Paul’s meaning today, the word 'behavior” should be used, not 'conversation.”
* Dr. Johnson is Associate Professor of Apologetics and Chief Academic Offic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링크 - https://www.icr.org/article/norway-redchat-defies-evolutionary-speciation/
출처 - ICR, 2018. 12. 28.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969
참고 : 6919|6805|6627|6337|1439|6636|5938|5420|4541|6550|6597|3863|3315|2169|5930|5624|6211|5516|6098|5994|5683|3935|6189|5768|5730|6618|6366|4549|5328|4853|4177|6901|6890|6836|6668|6660|6938
메기의 다양한 크기가 가리키는 것은?
(Catfish, big and small)
David Catchpoole
이 인상적인 물고기는 메콩 자이언트 메기(Mangong Giant Catfish, Pangasianodon gigas)로 2005년 어부들의 그물에 걸려 잡혔던 것이다. 메콩강의 태국측 수역에서 잡힌 길이 2.7m, 무게 293kg의 이 물고기는 라오스 수역을 넘나들며 끌어내는 데에 한 시간 이상이 걸렸다.[1]
세계야생생물기금(World Wildlife Fund)의 환경보존가인 젭 호간(Zeb Hogan)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계 강에서 아직도 이러한 자이언트들이 수영을 하고 있다는 것은 놀랍다. 우리는 이 메기(catfish, 캣피쉬)가 현재의 기록 보유자이며, 놀라운 발견이라고 믿고 있다. 나는 불가리아에서 3m 크기의 메기가 잡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 보고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태국에서 잡힌 세계 기록의 293kg의 거대한 메기(catfish, 캣피쉬). (©AP via AAP/Suthep Kritsanavarinbear-size-catfish)
세계야생생물기금(World Wildlife Fund)의 환경보존가인 젭 호간(Zeb Hogan)은 ”세계 강에서 아직도 이러한 자이언트들이 수영을 하고 있다는 것은 놀랍다”고 말했다.
어떤 사람들은 세계의 비슷한 지역에 있는 생물들에 대한 보고를 토대로, 그 지역의 강, 늪지대, 정글에 거대 생물체(심지어 공룡까지도)가 숨어있을 수 있는지 궁금해 한다. 메콩강 지역은 놀라운 생물들이 발견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과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거대한 포유류를 포함하여, 많은 새로운 종들이 그곳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공룡처럼 수백 수천만 년 전에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일부 생물들이 그 지역에 살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가정 수족관에서 볼 수 있는 코리 캣피쉬(Corydoras spp. Cory catfish). (Matthew Jones/123RFaquarium-catfish)
메기(catfish, 고양이 수염처럼 긴 수염을 가진 데서 생긴 이름)로 돌아가서, 이들의 크기 편차는 특별하다. 경골어류의 메기목(order Siluriformes)은 가장 큰 몸체 크기 편차 중 하나를 보이고 있는 그룹이다. 메콩 자이언트 메기에 비해, 가정 수족관에 있는 단지 8cm 정도의 소형 코리 캣피쉬(Corydoras spp.)는 난장이처럼 보인다. 일부 메기 종은 단지 1cm 크기에서도 성적 성숙을 나타낸다.
이러한 다양성은 진화론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오히려, 그것은 원래 창조된 메기 종류(catfish kind)에 내장된 가변성(variability)을 반영하는 것이다.(창세기 1:21) 현대에 만들어진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는 '종(species)'은 성경적 '종류(kind)'와 동일한 범주가 아니다. 많은 경우에 '종류'는 사람이 만든 분류체계에서 '과(family)'에 해당하지만, 메기(catfish)에서는 아마도 전체 '목(order)'에 해당할 것이다. 메기는 다른 종의 메기가 될 수는 있지만, 다른 종류의 생물은 될 수 없다. 살아있는 생물들에서 관찰되는 변화(variation)는 언제나 한계 내에서 일어난다. 모든 다양한 종류의 생물에서 볼 수 있듯이, 생물들은 어제나 '그 종류대로(after their kind)' 번식되고 있는 것이다.[3]
References and notes
1. Owen, J., Grizzly bear-size catfish caught in Thailand, news.nationalgeographic.com, 29 June 2005.
2. Catchpoole, D., More Mekong ‘hidden animals’ found, Creation 32(4):38–39, 2010, creation.com/mekong-hidden-animals.
3. Common examples are horses and people; see creation.com/horse-variation and creation.com/tallest-man.
*거대한 메기들(사진)
*11 BIGGEST Fish Ever Caught (동영상)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creation.com/catfish-big-small
출처 - Creation 39(2):15–15—April 2017.
릴리거 : 창조된 종류에 대한 증거
(Liligers : A testimony to the created kind)
Joel Tay
세상에서 제일 큰 고양이는 숫사자와 암호랑이의 자손인 라이거(Liger)이다. 이전에는 라이거가 불임이라고 생각했었는데, 2012년 이래로 암컷 라이거가[1] 사자와 성공적으로 교미하여, 릴리거[2]라고 알려진 후손을 낳은 사례가 최소한 10건이 넘는다.
릴리거(Liligers)는 크기가 큰 고양이 중 2위를 차지한다. 라이거보다 작고 사자와 호랑이보다 크다. 사자와 라이거 둘 다와 같이, 릴리거는 밝은 황갈색 모피를 가지고 있는데, 또한 표범의 반점과 다소 닮은 밝은 반점을 그 몸에 가지고 있다. 이 반점은 그것의 사자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아기 사자들도 반점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나이가 들면서 그 반점이 없어진다(반면에 표범은 보통 그렇지 않다 – 예레미아 13:23 참고). 그러나 릴리거는 평생 동안 그들의 반점을 지닌다.
.릴리거(Liligers) : 라이거(사자와 호랑이의 잡종)와 사자의 잡종. 그것은 모든 살아있는 고양이들이 자기들끼리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 관련은 진화론자들이 말하듯이 개나 말 등과의 연관이 아니라, 고양이들끼리의 연관을 말한다.
발표된 10건의 릴리거 탄생 중 오직 하나만 수컷이다. 수컷 릴리거는 암컷보다 약간 크며, 또한 수컷 사자와 공유하는 특징인 갈기를 갖고 있다.
경계를 넘은 번식(breeding)
살아있는 고양이의 종은 세계적으로 39개가 있다. 호랑이와 사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많은 고양이들이 다른 종의 고양이와 이종교배(잡종교배)가 가능하다. 또한 때로는 다른 속의 고양이와도 이종교배가 가능하며, 심지어 다른 아과(subfamily)의 고양이와도 가능하다.[3] DNA 염기서열 연구의 결과, 이제는 과학자들이 현존하는 모든 고양이 종을 7개의 주요 계열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놀랍게도 같은 계열 내의 다른 종과는 교배가 불가능할지라도, 일부 고양이 종은 이들 계열을 뛰어넘어 교배가 가능하다.
잡종교배는 릴리거가 하나의 사례가 되듯이, 길들여진 고양이가 세계에서 가장 힘센 정글 고양이와 동일한 조상 종류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정확히 종(species)이 무엇인지에 대한 세속적인 이해가 혼란스러워진다. 종의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중적인 것은 그것의 구성원들 간에 교배가 가능한 그룹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고양이 집단이 생식이 가능하다면, 그들은 동일한 생물 종으로 불려야 한다.
반대로, 사물들이 ‘그 종류대로’만 번식한다는 성경의 가르침은 매우 견고한 형태로 남아있다. 이 고양이들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범주와 심지어 다른 DNA 계열의 범주를 넘어서서 이종교배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그들 모두가 방주에 탔던 한 조상의 고양이과 종류에서 나온 것임을 가리킨다.(부록 참조).[4]
종의 불변성은 성경적인 것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성경이 ‘종의 불변성’을 가르치고 있다고 잘못 주장한다. 이것은 새로운 종들이 생겨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창세기 1장은 사물들이 그 종류(kind)대로만 번식할 것이라고 말하는데, 그러나 이것이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우리가 종(species)이라고 부르는 범주와 일치한다고 가정할 이유가 없다. 다윈 이전과 이후를 막론하고, 성경적 창조론자들은 관측과 창세기의 역사(노아 방주와 대홍수 이후의 분산을 포함하여)와 일치하는 창조 모델은, 실제로 종 분화(새로운 종의 발생)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종이 불변한다면, 고양이의 경우만 해도 노아가 39종(여기에 대홍수 이후 멸종된 것들을 추가하여) 모두의 대표들을 태웠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고양이의 잡종교배가 가리키는 대로, 모든 고양이 종들이 성경적인 하나의 종류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는 사자 두 마리, 호랑이 두 마리, 퓨마 두 마리 등을 태우지 않고, 원래 고양이 종류 한 쌍만 태우면 된다.
.레오폰(Leopon, 사진)은 숫표범(학명: Panthera pardus)과 암사자(학명: Panthera leo) 사이의 잡종이다. 숫사자와 암재규어(학명: Panthera onca) 사이의 잡종은 라이규어(liguar)라고 한다. 숫 레오폰과 암 라이규어를 교배해서 나온 것을 레오라이규어(leoliguar)라고 한다.
게다가, 그러한 종 분화는 비교적 빨랐을 것이다.[5] 대홍수 이후 수천 년이 아니라, 수세기 밖에 안 지난 고대 기록은 여러 종류의 고양이가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예를 들어, 성경은 아가서 4:8절에서 사자와 표범 모두를 말하고 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길들여진 고양이를 갖고 있었다.
빠른 종 분화가 발견된다.
한 종의 번식가능 개체군이 두 개의 새로운 개체군으로 분리되는, 종 분화 과정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과 몇 세대 만에 매우 신속하게 일어났다. 그래서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창세기의 창조모델에 대한 ‘예측’을 만족시켜주는 것이다.[6] 그러나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던 진화론자들은 놀라고 있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새로운 종의 출현에 어떤 새로운 유전정보가 나타났다는(증가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이것은 미생물에서 사람으로의 진화에 필요한 것임). 딸 개체군 내의 모든 유전정보들은 부모 개체군에 있던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종 분화는 고양이 사육자들에 의한 인공선택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선택에 의해서 동물들이 다른 환경들에 각기 적응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7] 이것은 ‘진화’와 동일한 것이 아니다. 각각의 ‘딸’ 개체군은 원래 유전정보의 부분집합만 가지고 있다.
노아 홍수 이후에 방주에서 나온 동물들은 바로 뒤이은 빙하기를 맞아 지구가 회복하는 동안, 새롭게 급격히 변화했던 여러 환경들에 직면했을 것이다. 그래서 자연선택에 대한 압력은 높아졌고, 많은 새로운 종들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었던 이상적인 조건이었을 것이다. 릴리거, 라이거, 다른 고양이 잡종들과 살아있는 39종의 현존하는 모든 고양이 종들은(길들여진 집고양이를 포함하여), 노아의 방주에 탔던 원래의 고양이 종류로부터 파생되어서, 노아 홍수 직후에 급속하게 다양화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증거인 것이다.[4]
(부록) 잡종교배와 창조된 종류
본문에서 언급한 ‘선택에 의한 분화’를 통해, 원래의 종류로부터 분리된 종들이 생기고, 특히 다시 그들 안에서 그 이상의 종 분화가 있는 경우에, 어떤 종은 같은 종류에서 유래한 다른 종들과 교배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교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반드시 두 종이 같은 종류가 아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들이 교배가 가능할 때는(자손이 생식이 가능하든 아니든) 성경적 창조론자들에게 이것은 그들이 같은 종류의 구성원이라는 단서이다. 그러한 잡종교배의 기준은 때때로 창조된 동일한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두 종이 서로 교배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아래 도표를 보라): A 종이 다른 종인 B와 교배를 할 수 없다고 하자. 그러나 A 종은 B 종과 번식할 수 없는 C 종과 교배할 수 있다. 그러나 C 종은 네 번째 종인 D 종과 번식할 수 있고, D 종은 다시 B 종과 교배할 수 있다. 그러면 연역에 의하여, A와 C는 같은 종류이고, C와 D, 그리고 D와 B도 같은 종류라면, A와 B와 C와 D 종은 같은 종류여야 한다. 예로써, 사자는 호랑이와 교배가 가능하고, 퓨마와는 교배할 수 없지만, 사자와 퓨마는 표범과 교배할 수 있다. 그리고 퓨마는 오셀롯(ocelots)과 교배할 수 있고, 오셀롯은 살쾡이(margays)와 교배할 수 있으며, 살쾡이는 집고양이와 교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성경적 창조론자들은 일반적으로 현존하는 고양이 종들이 모두 같은 조상 종류(kind)의 후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1]
A≠B : 같은 종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B≠C : 같은 종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A≡C : A와 C는 같은 종류이다.
C≡D : C와 D는 같은 종류이다. 따라서 A와 C와 D는 같은 종류이어야 한다.
D≡B : D와 B는 같은 종류이다. 따라서 B는 A와 C와 D와 같은 종류이어야 한다.1. Pendragon, B., and Winkler, N., The family of cats—delineation of the feline basic type, J. Creation 25(2):118–124, August 2011, creation.com/the-cat-family.
References and notes
1. The male hybrids are sterile, an example of Haldane’s rule—hybrids of the sex with different sex chromosomes are more likely to be sterile; male mammals are XY and females are XX.
2. Liliger—An offspring of lion and liger, Liger World, 2017, ligerworld.com/liliger. html. Where not referenced otherwise, the information on liligers is from this source.
3. Catchpoole, D., Cats big and small, Creation 37(4): 34–37, October 2015,
creation.com/cats.
4. Pendragon, B., and Winkler, N., The family of cats—delineation of the feline basic type, J. Creation 25(2):118–124, August 2011, creation.com/cat-family.
5. For several informative articles on species and kinds, see creation.com/speciation.
6. Catchpoole, D., and Wieland, C., Speedy species surprise, Creation 23(2):13–15, 2001, creation.com/speedy.
7. See creation.com/selection for informative articles on the topic of natural selection.
8. Oard, M., What caused the Ice Age? Creation 36(3):52–55, 2014; creation.com/ice-age-cause.
*JOEL TAY, Dip. Biotech, B.Sc., M.Div., Th.M.
With qualifications in genetics and evolutionary biology as well as theology and philosophy, Joel’s previous roles in youth ministry and street evangelism have greatly reinforced his conviction on the vital importance of creation apologetics. Originally from Singapore, Joel is currently a speaker, researcher, and writer with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US). For more: creation.com/joel-tay.
*관련기사 : 라이거 엄마와 사자 아빠...최초의 '릴리거' 공개! (2012. 9. 18. YTN)
http://www.ytn.co.kr/_ln/0109_201209180922085326
라이거가 낳은 최초의 '릴리거'…고양이가 돌봐 생생영상 (2012. 9. 18.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280157
번역 - 이종헌
주소 - https://creation.com/liliger
출처 - Creation Magazine. Vol. 40(2018), No. 2 pp.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