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과 월리스는 나비 날개의 패턴을 설명했는가?
(Did Darwin Plus Wallace Explain Butterfly Patterns?)
David F. Coppedge
자연선택이든 성선택이든, 선택론은 과학을 소설 수준으로 끌어내린다.
나비 진화에 대해 다윈과 월리스가 모두 옳았다는(?) 연구 결과(University of Essex via Phys.org, 2024. 7. 1). 수컷 나비는 성선택을 통해 암컷 나비에게 선택됨으로서 아름다운 날개를 진화시켰다고 다윈(Darwin)은 말했다. 월리스(Wallace)는 암컷의 색깔도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누구 말이 맞을까? 이제 몇몇 진화론자들은 둘 다 옳다고 말하며, 둘 다 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다윈은 암컷이 종종 수컷의 외모를 기준으로 짝을 선택하기 때문에, 수컷이 더 많은 변이(variation)를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월리스는 성별을 가로질러 자연선택이 차이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했다.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과학자들은 수컷의 차이가 더 분명하기 때문에 주로 수컷을 연구해왔고, 진화적으로 미묘한 변화가 있는 암컷은 덜 연구되어 왔다.
진화생물학자들은 이 결론을 내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을까? 이들은 컴퓨터를 사용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하여, 박물관 표본으로부터 16,000장의 버드윙 나비(birdwing butterfly, 가장 큰 나비 종류) 사진을 살펴보았다.
컷힐(Cuthill) 박사는 "버드윙 나비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비 중 하나로 묘사되어 왔다. 이 연구는 놀랍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버드윙 나비의 진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들은 선택론으로 그것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윈과 월리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었다.
"이 버드윙 나비 사진 사례 연구에서 가장 큰 진화적 변화를 이끈 것은 극단적으로 수컷의 형태, 색상, 패턴을 이끌어낸 성(sex)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버드윙 나비 그룹 내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눈에 보이는 표현형이 더 다양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대조적인 사례를 발견했다.
"수컷 나비의 높은 가시적 다양성(visible diversity)은 다윈이 처음 제안했던 것처럼 수컷 변이에 대한 암컷의 배우자 선택에 따른 성선택의 실제적 중요성을 뒷받침한다. 암컷 나비가 같은 종의 수컷보다 눈에 띄게 더 다양한 사례는 월리스가 제안했던 것처럼 종 간 다양성에서 자연선택된 암컷 변이가 추가적인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에식스 대학의 진화론자들은 모든 표본들이 세 개의 속(genera)을 가진, 한 과(family)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종의 기원과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이다.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조차도 속(genus)과 과(family) 내에서 색깔과 무늬의 변화를 인정하고 있다.
--------------------------------------------------------------
그렇다면 왜 이것을 진화라고 부를까? 그것은 단순히 과 내의 변이(inter-family variation)일 뿐이다. 새로운 속이나 과가 진화하지 않았다. 새로운 기관도 진화하지 않았다. 이것보다 아름다움에 대해서, 관절이 있는 다리, 겹눈, 동력 비행, 변태의 기원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철학적으로 복합적인 설명은 모호함을 더하는 것이다. 두 가지 과정을 모두 설명에 사용한다면, 자연선택과 성선택은 어떤 비율로 관여했을까? 어쨌든 선택은 발전이 아니다. 선택은 기존에 이미 있던 것에서 고르는 일이다.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과정이 아니다. "선택"이 이것을 설명한다면, 선택자는 누구일까?
진화론자들은 사소한 것에만 열중하고, 중요한 질문은 무시하고 있다. 진화론이라는 마약은 빨리 끊어버려야 한다. 다-와인(Dar-wine)에 취하지 말라. 나비의 진짜 경이로움에 대해서는 일러스트라의 영상물 '변태(Metamorphosis)'를 보고, 나비가 왜 진화론적 설명을 부정하는지를 살펴보라.
덧붙여서, 월리스는 자연선택이 인간의 마음을 설명한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이는 다윈을 화나게 만들었다.
*Butterfly wing pattern (구글 이미지)
*참조 : ▶ 성선택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63144&t=board
▶ 자연선택
https://creation.kr/Topic401/?idx=6830079&bmode=view
▶ 나비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90596&t=board
▶ 나방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90469&t=board
▶ 진화론자들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37684&t=board
출처 : CEH, 2024. 7. 1.
주소 : https://crev.info/2024/07/darwin-plus-wallace-butterfly-pattern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다윈과 월리스는 나비 날개의 패턴을 설명했는가?
(Did Darwin Plus Wallace Explain Butterfly Patterns?)
David F. Coppedge
자연선택이든 성선택이든, 선택론은 과학을 소설 수준으로 끌어내린다.
나비 진화에 대해 다윈과 월리스가 모두 옳았다는(?) 연구 결과(University of Essex via Phys.org, 2024. 7. 1). 수컷 나비는 성선택을 통해 암컷 나비에게 선택됨으로서 아름다운 날개를 진화시켰다고 다윈(Darwin)은 말했다. 월리스(Wallace)는 암컷의 색깔도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누구 말이 맞을까? 이제 몇몇 진화론자들은 둘 다 옳다고 말하며, 둘 다 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다윈은 암컷이 종종 수컷의 외모를 기준으로 짝을 선택하기 때문에, 수컷이 더 많은 변이(variation)를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월리스는 성별을 가로질러 자연선택이 차이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했다.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과학자들은 수컷의 차이가 더 분명하기 때문에 주로 수컷을 연구해왔고, 진화적으로 미묘한 변화가 있는 암컷은 덜 연구되어 왔다.
진화생물학자들은 이 결론을 내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을까? 이들은 컴퓨터를 사용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하여, 박물관 표본으로부터 16,000장의 버드윙 나비(birdwing butterfly, 가장 큰 나비 종류) 사진을 살펴보았다.
컷힐(Cuthill) 박사는 "버드윙 나비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비 중 하나로 묘사되어 왔다. 이 연구는 놀랍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버드윙 나비의 진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들은 선택론으로 그것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윈과 월리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었다.
"이 버드윙 나비 사진 사례 연구에서 가장 큰 진화적 변화를 이끈 것은 극단적으로 수컷의 형태, 색상, 패턴을 이끌어낸 성(sex)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버드윙 나비 그룹 내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눈에 보이는 표현형이 더 다양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대조적인 사례를 발견했다.
"수컷 나비의 높은 가시적 다양성(visible diversity)은 다윈이 처음 제안했던 것처럼 수컷 변이에 대한 암컷의 배우자 선택에 따른 성선택의 실제적 중요성을 뒷받침한다. 암컷 나비가 같은 종의 수컷보다 눈에 띄게 더 다양한 사례는 월리스가 제안했던 것처럼 종 간 다양성에서 자연선택된 암컷 변이가 추가적인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에식스 대학의 진화론자들은 모든 표본들이 세 개의 속(genera)을 가진, 한 과(family)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종의 기원과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이다. 젊은 지구 창조론자들조차도 속(genus)과 과(family) 내에서 색깔과 무늬의 변화를 인정하고 있다.
--------------------------------------------------------------
그렇다면 왜 이것을 진화라고 부를까? 그것은 단순히 과 내의 변이(inter-family variation)일 뿐이다. 새로운 속이나 과가 진화하지 않았다. 새로운 기관도 진화하지 않았다. 이것보다 아름다움에 대해서, 관절이 있는 다리, 겹눈, 동력 비행, 변태의 기원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철학적으로 복합적인 설명은 모호함을 더하는 것이다. 두 가지 과정을 모두 설명에 사용한다면, 자연선택과 성선택은 어떤 비율로 관여했을까? 어쨌든 선택은 발전이 아니다. 선택은 기존에 이미 있던 것에서 고르는 일이다.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과정이 아니다. "선택"이 이것을 설명한다면, 선택자는 누구일까?
진화론자들은 사소한 것에만 열중하고, 중요한 질문은 무시하고 있다. 진화론이라는 마약은 빨리 끊어버려야 한다. 다-와인(Dar-wine)에 취하지 말라. 나비의 진짜 경이로움에 대해서는 일러스트라의 영상물 '변태(Metamorphosis)'를 보고, 나비가 왜 진화론적 설명을 부정하는지를 살펴보라.
덧붙여서, 월리스는 자연선택이 인간의 마음을 설명한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이는 다윈을 화나게 만들었다.
*Butterfly wing pattern (구글 이미지)
*참조 : ▶ 성선택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63144&t=board
▶ 자연선택
https://creation.kr/Topic401/?idx=6830079&bmode=view
▶ 나비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90596&t=board
▶ 나방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90469&t=board
▶ 진화론자들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37684&t=board
출처 : CEH, 2024. 7. 1.
주소 : https://crev.info/2024/07/darwin-plus-wallace-butterfly-patterns/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