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바닷가재의 마이크로바이옴
(Deep-Sea Lobster Microbiome)
by Frank Sherwin, D.SC. (HON.)
다양한 생물 내에서 발견되는 놀랍도록 복잡한 미생물군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당신의 피부 표면에 사는 박테리아(diptheroids), 대장에 있는 대장균군(coliforms), 그리고 아마도 눈에 있을 수 있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mastitidis)과 같이, 특정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는 미생물 군집이다.[2]
오랫동안 세계 바다의 가장 깊은 곳에서 개척자적 연구와 조사를 수행해오고 있는 잠수정 앨빈호(submersible Alvin)는 최근 캘리포니아만의 깊은 곳을 탐사했다.[3] 특히, 연구자들은 대양저의 열수분출공(hydrothermal vents) 안과 주변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그러한 어둡고, 춥고, 고압적인 환경은 정말로 기괴한 생태지역의 본거지이다. 예를 들어, 스쿼트 랍스터(squat lobster)라고 불리는 십각목 갑각류(decapod crustacean)의 일종인 무니돕시스 알비스카(Munidopsis alvisca)는 캘리포니아만의 열수분출공에서 흔히 발견되는 생물 중 하나이다. 그들의 껍질 위에는 박테리아들이 살고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독일 올덴부르크 대학(University of Oldenburg)의 과학자들은
이 갑각류의 등딱지에 사는 미생물 군집에 대한 최초의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군의 구성성분과, 퇴적물이나 주변 바닷물에 사는 다른 미생물군의 구성성분 사이의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그들은 이 미생물들과 갑각류가 서로 그들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상호 이익을 얻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수많은 메탄산화 박테리아(methane-oxidizing bacteria) 및 황산화 박테리아(sulfide-oxidizing bacteria)가 스쿼트 랍스터의 등딱지(carapace)에 살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
그들은 스쿼트 랍스터와 박테리아 둘 다 그들의 친밀한 관계에서 이익을 얻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스쿼트 랍스터는 그들의 등딱지에 사는 박테리아를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사용할지도 모른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 미생물들은 갑각류의 몸에서 독성 황화수소(hydrogen sulfide)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3]
"아마도 이 미생물들은 숙주를 보호하며 인간의 피부에 살고있는 미생물들과 비슷한 기능을 갖고 있을 것이다"라고 올덴부르크 대학의 토르스텐 브링크호프(Thorsten Brinkhoff) 교수는 설명한다.[3]
심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갑각류와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논문은 드물다), 전형적인 심해 생태계는 많은 생물들과 무수한 미생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특정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는 미생물군집 또는 마이크로바이옴의 많은 미생물들은 다른 생물들과 조화롭게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열악한 심해 환경에서 갑각류와 박테리아가 함께 일하고 있는 것을 바라볼 때, 우리는 그것을 설계하신 하나님께 경탄할 수밖에 없다.
References
1. Sherwin, F. Applying Design Analysis to Microbiome Research.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29, 2016, accessed July 26, 2022.
2. Sherwin, F. The Designed Interface of the Eye's Microbiome.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pril 30, 2018, accessed July 27, 2022.
3. Staff Wri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microbes and deep-sea crustaceans. PhysOrg. Posted on phys.org.com March 29, 2022, accessed July 26, 2022; Leinberger, J. et al. 2022. Microbial epibiotic community of the deep-sea galatheid squat lobster Munidopsis alvisca. Scientific Reports.
*Dr. Sherwin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invertebrate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참조 : 이타주의와 공생관계는 진화를 거부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66&bmode=view
바닷가재의 눈 : 놀라운 기하학적 디자인
https://creation.kr/animals/?idx=1290968&bmode=view
진화론자들이 이타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 싸우고 있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81&bmode=view
심지어 박테리아도 황금률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 이타주의적 행동은 적자생존의 진화론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96&bmode=view
친구와 공생하는 개미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77&bmode=view
5200만 년(?) 전의 한 딱정벌레는 오늘날과 너무도 유사했다. : 개미와 공생 관계도 동일했다.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796&bmode=view
식물은 적자생존의 대안을 보여주고 있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33&bmode=view
꽃들은 벌을 위한 ‘전기적 착륙유도등’을 켜고 있었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438&bmode=view
발광 박테리아와 오징어 사이의 팀워크는 진화하였는가?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88&bmode=view
귀상어는 360도 입체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 그리고 가오리와 청소물고기들의 상리공생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66&bmode=view
완두진딧물과 박테리아와의 공생 관계는 창조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46&bmode=view
지의류의 공생은 창조주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http://creation.kr/Plants/?idx=3052982&bmode=view
진화론적 비정상인 이타적 진딧물.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83&bmode=view
초식성 개미와 소화관 내의 공생하는 미생물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65&bmode=view
자기희생 세포들은 자신을 내어주신 설계자를 증거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3&bmode=view
심지어 해조류도 하나님의 섭리를 증거한다 : 갈조류와 해달의 상리공생
https://creation.kr/Plants/?idx=6857567&bmode=view
버킷 난초와 벌의 상호의존적 설계
https://creation.kr/Plants/?idx=10345557&bmode=view
다람쥐의 장내 미생물과 동면 : 겨울잠을 자는 동안 쇠퇴되지 않는 근력
https://creation.kr/animals/?idx=10614276&bmode=view
이타적인 새들로 인해 당황하고 있는 진화론자들
https://creation.kr/animals/?idx=11367801&bmode=view
7,000m 깊이의 초심해에서 문어가 촬영되었다! : 가장 깊은 바다에서 살아가는 하나님의 경이로운 창조물
https://creation.kr/animals/?idx=4072314&bmode=view
출처 : ICR, 2022. 8. 4.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lobster-microbiome/
번역 : 미디어위원회
심해 바닷가재의 마이크로바이옴
(Deep-Sea Lobster Microbiome)
by Frank Sherwin, D.SC. (HON.)
다양한 생물 내에서 발견되는 놀랍도록 복잡한 미생물군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당신의 피부 표면에 사는 박테리아(diptheroids), 대장에 있는 대장균군(coliforms), 그리고 아마도 눈에 있을 수 있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mastitidis)과 같이, 특정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는 미생물 군집이다.[2]
오랫동안 세계 바다의 가장 깊은 곳에서 개척자적 연구와 조사를 수행해오고 있는 잠수정 앨빈호(submersible Alvin)는 최근 캘리포니아만의 깊은 곳을 탐사했다.[3] 특히, 연구자들은 대양저의 열수분출공(hydrothermal vents) 안과 주변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그러한 어둡고, 춥고, 고압적인 환경은 정말로 기괴한 생태지역의 본거지이다. 예를 들어, 스쿼트 랍스터(squat lobster)라고 불리는 십각목 갑각류(decapod crustacean)의 일종인 무니돕시스 알비스카(Munidopsis alvisca)는 캘리포니아만의 열수분출공에서 흔히 발견되는 생물 중 하나이다. 그들의 껍질 위에는 박테리아들이 살고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독일 올덴부르크 대학(University of Oldenburg)의 과학자들은
이 갑각류의 등딱지에 사는 미생물 군집에 대한 최초의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군의 구성성분과, 퇴적물이나 주변 바닷물에 사는 다른 미생물군의 구성성분 사이의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그들은 이 미생물들과 갑각류가 서로 그들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상호 이익을 얻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수많은 메탄산화 박테리아(methane-oxidizing bacteria) 및 황산화 박테리아(sulfide-oxidizing bacteria)가 스쿼트 랍스터의 등딱지(carapace)에 살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
그들은 스쿼트 랍스터와 박테리아 둘 다 그들의 친밀한 관계에서 이익을 얻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스쿼트 랍스터는 그들의 등딱지에 사는 박테리아를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사용할지도 모른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 미생물들은 갑각류의 몸에서 독성 황화수소(hydrogen sulfide)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3]
"아마도 이 미생물들은 숙주를 보호하며 인간의 피부에 살고있는 미생물들과 비슷한 기능을 갖고 있을 것이다"라고 올덴부르크 대학의 토르스텐 브링크호프(Thorsten Brinkhoff) 교수는 설명한다.[3]
심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갑각류와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논문은 드물다), 전형적인 심해 생태계는 많은 생물들과 무수한 미생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특정 서식지를 차지하고 있는 미생물군집 또는 마이크로바이옴의 많은 미생물들은 다른 생물들과 조화롭게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열악한 심해 환경에서 갑각류와 박테리아가 함께 일하고 있는 것을 바라볼 때, 우리는 그것을 설계하신 하나님께 경탄할 수밖에 없다.
References
1. Sherwin, F. Applying Design Analysis to Microbiome Research.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anuary 29, 2016, accessed July 26, 2022.
2. Sherwin, F. The Designed Interface of the Eye's Microbiome.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April 30, 2018, accessed July 27, 2022.
3. Staff Wri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microbes and deep-sea crustaceans. PhysOrg. Posted on phys.org.com March 29, 2022, accessed July 26, 2022; Leinberger, J. et al. 2022. Microbial epibiotic community of the deep-sea galatheid squat lobster Munidopsis alvisca. Scientific Reports.
*Dr. Sherwin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He earned an M.A. in invertebrate zoology from the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and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of Science from Pensacola Christian College.
*참조 : 이타주의와 공생관계는 진화를 거부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66&bmode=view
바닷가재의 눈 : 놀라운 기하학적 디자인
https://creation.kr/animals/?idx=1290968&bmode=view
진화론자들이 이타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 싸우고 있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81&bmode=view
심지어 박테리아도 황금률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 이타주의적 행동은 적자생존의 진화론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96&bmode=view
친구와 공생하는 개미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77&bmode=view
5200만 년(?) 전의 한 딱정벌레는 오늘날과 너무도 유사했다. : 개미와 공생 관계도 동일했다.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796&bmode=view
식물은 적자생존의 대안을 보여주고 있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33&bmode=view
꽃들은 벌을 위한 ‘전기적 착륙유도등’을 켜고 있었다.
http://creation.kr/Plants/?idx=1291438&bmode=view
발광 박테리아와 오징어 사이의 팀워크는 진화하였는가?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88&bmode=view
귀상어는 360도 입체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 그리고 가오리와 청소물고기들의 상리공생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66&bmode=view
완두진딧물과 박테리아와의 공생 관계는 창조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46&bmode=view
지의류의 공생은 창조주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http://creation.kr/Plants/?idx=3052982&bmode=view
진화론적 비정상인 이타적 진딧물.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83&bmode=view
초식성 개미와 소화관 내의 공생하는 미생물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65&bmode=view
자기희생 세포들은 자신을 내어주신 설계자를 증거한다.
http://creation.kr/LIfe/?idx=1291273&bmode=view
심지어 해조류도 하나님의 섭리를 증거한다 : 갈조류와 해달의 상리공생
https://creation.kr/Plants/?idx=6857567&bmode=view
버킷 난초와 벌의 상호의존적 설계
https://creation.kr/Plants/?idx=10345557&bmode=view
다람쥐의 장내 미생물과 동면 : 겨울잠을 자는 동안 쇠퇴되지 않는 근력
https://creation.kr/animals/?idx=10614276&bmode=view
이타적인 새들로 인해 당황하고 있는 진화론자들
https://creation.kr/animals/?idx=11367801&bmode=view
7,000m 깊이의 초심해에서 문어가 촬영되었다! : 가장 깊은 바다에서 살아가는 하나님의 경이로운 창조물
https://creation.kr/animals/?idx=4072314&bmode=view
출처 : ICR, 2022. 8. 4.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lobster-microbiome/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