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약용 스프링이 설계되어 있는 곤충
(Insect Designed with a Spring in Its Step)
과학자들은 몇몇 생물들이 그들의 신체 크기에 비해 매우 멀리 도약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생물학적 구조들에 대한 세부적 사항들을 발견하고 있는 중이다. 거품벌레(froghopper)는 그들의 몸길이의 100배 정도를 뛸 수 있는 곤충이다. 그리고 그러한 업적은 단순히 근육의 힘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음이 드러났다.
연구자들은 거품벌레의 용맹스런 도약은 정확한 크기, 모양, 힘을 지닌 세 가지 해부학적 모습들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1)곤충의 외골격(chitin, 키틴)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딱딱한 아치(stiff arch) 2)유연성 있는 단백질 결합층(resilin, 레실린) 3)그리고 부착된 강력한 근육이다. 곤충이 도약을 할 때, ”저장에너지는 이 복잡한 구조에 다른 중요한 성질들을 추가시키고 있는 레실린(resilin)과 함께, 주로 키틴질의 아치 내에 들어있다.”[1] 근육은 적절한 압력이 걸릴 때까지 곤충의 뒷다리에 연결되어있는 이 아치를 구부린다. 그리고 고관절과 대퇴골 위에 있는 기계적 걸쇠(latches)가 풀려지고, 자기 몸무게의 414 배에 이르는 힘으로 스프링처럼 튀어나가게 한다.[2]
또 다른 놀라운 공학적 사실들이 밝혀졌는데, ”그 늑막 아치는 양궁에서 사용되는 합성 활(bow)처럼 작동되고 있었다.”[1] 아치에 있는 두 물질인 키틴과 레실린의 결합은 마모로부터 저항하게 하며, 여러 번 사용 후에도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오랜 기간 동안 그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명백한 불합리성에도 불구하고, 입증되지 않은 ”그랬을 것이다”라는 동화같은 이야기들에 대한 과학사회의 관용에도 불구하고”[3], 표준 진화론에 의하면 이 거품벌레의 미세하게 조정된 스프링과 발사 기계를 포함하여 모든 생물체들의 몸체, 장기, 기능, 수많은 구성 물질들은 목적이 없는 자연에 의해서 우연히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학 세계(engineering world)에 있어서 상호의존적 모습(interdependent features)들은 목적이 있는 설계(purposeful design)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레실린과 키틴 물질의 정확한 결합, 알맞게 부착된 근육, 골격, 신경계, 다리 등은 거품벌레가 세계적 점프 기록을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정교한 도약 메커니즘이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들과 관측되지 않는 자연적 힘에 의해서 어쩌다 우연히 생겨나게 되었다는 믿음은 엄청난 도약임에 틀림없다. 오히려 그러한 정교한 구조는 지적 존재이신 성경의 창조주 하나님에 의해서 창조되었다는 것이 더 적절한 설명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Burrows, M. et al., 2008. Resilin and cuticle form a composite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in jumping by froghopper insects. BMC Biology. 6: 41.
[2] Amos, J. 2003. Garden insect is jump champion. BBC News. Posted on news.bbc.co.uk July 30, 2008, accessed September 30, 2008.
[3] Lewontin, R. 1997. Billions and Billions of Demon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44 (1): 31, a review of The Demon-Haunted World: Science as a Candle in the Dark by Carl Sagan. The sentence that is quoted begins, 'We take the side of science...,” but the presumption that 'science” must exclude the possibility of design by creation is entirely belief-based and counter-scientific. Rather, the science shows—in this case, by observation and inference—that interdependent structures like this must have been purposefully manufactured.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4148/
출처 - ICR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4456
참고 : 4359|4365|4443|4396|4356|4355|4338|4322|4319|4274|4239|4220|4219|4212|4209|4197|4193|4151|4056|4041|4070|3999|3990|3977|3976|3947|3942|3926|3912|3908|3870|3864|3857|3855|3840|3839|3828|3817|3806|3803|3740|3690|3674|3670|3639|3638|3629|3624|3610|3402|3394|3358|3324|3318|3313|3276|3231|3143|3105|3075|3034|3005|2988|2952|2940|2920|2910|2899|2857|2733|2610|2606|2603|2475|2396|2393|2371|2340|2318|2299|2125|2133|2020|1896|668
도약용 스프링이 설계되어 있는 곤충
(Insect Designed with a Spring in Its Step)
과학자들은 몇몇 생물들이 그들의 신체 크기에 비해 매우 멀리 도약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생물학적 구조들에 대한 세부적 사항들을 발견하고 있는 중이다. 거품벌레(froghopper)는 그들의 몸길이의 100배 정도를 뛸 수 있는 곤충이다. 그리고 그러한 업적은 단순히 근육의 힘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음이 드러났다.
연구자들은 거품벌레의 용맹스런 도약은 정확한 크기, 모양, 힘을 지닌 세 가지 해부학적 모습들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1)곤충의 외골격(chitin, 키틴)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딱딱한 아치(stiff arch) 2)유연성 있는 단백질 결합층(resilin, 레실린) 3)그리고 부착된 강력한 근육이다. 곤충이 도약을 할 때, ”저장에너지는 이 복잡한 구조에 다른 중요한 성질들을 추가시키고 있는 레실린(resilin)과 함께, 주로 키틴질의 아치 내에 들어있다.”[1] 근육은 적절한 압력이 걸릴 때까지 곤충의 뒷다리에 연결되어있는 이 아치를 구부린다. 그리고 고관절과 대퇴골 위에 있는 기계적 걸쇠(latches)가 풀려지고, 자기 몸무게의 414 배에 이르는 힘으로 스프링처럼 튀어나가게 한다.[2]
또 다른 놀라운 공학적 사실들이 밝혀졌는데, ”그 늑막 아치는 양궁에서 사용되는 합성 활(bow)처럼 작동되고 있었다.”[1] 아치에 있는 두 물질인 키틴과 레실린의 결합은 마모로부터 저항하게 하며, 여러 번 사용 후에도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오랜 기간 동안 그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명백한 불합리성에도 불구하고, 입증되지 않은 ”그랬을 것이다”라는 동화같은 이야기들에 대한 과학사회의 관용에도 불구하고”[3], 표준 진화론에 의하면 이 거품벌레의 미세하게 조정된 스프링과 발사 기계를 포함하여 모든 생물체들의 몸체, 장기, 기능, 수많은 구성 물질들은 목적이 없는 자연에 의해서 우연히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학 세계(engineering world)에 있어서 상호의존적 모습(interdependent features)들은 목적이 있는 설계(purposeful design)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레실린과 키틴 물질의 정확한 결합, 알맞게 부착된 근육, 골격, 신경계, 다리 등은 거품벌레가 세계적 점프 기록을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정교한 도약 메커니즘이 무작위적인 돌연변이들과 관측되지 않는 자연적 힘에 의해서 어쩌다 우연히 생겨나게 되었다는 믿음은 엄청난 도약임에 틀림없다. 오히려 그러한 정교한 구조는 지적 존재이신 성경의 창조주 하나님에 의해서 창조되었다는 것이 더 적절한 설명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Burrows, M. et al., 2008. Resilin and cuticle form a composite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in jumping by froghopper insects. BMC Biology. 6: 41.
[2] Amos, J. 2003. Garden insect is jump champion. BBC News. Posted on news.bbc.co.uk July 30, 2008, accessed September 30, 2008.
[3] Lewontin, R. 1997. Billions and Billions of Demon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44 (1): 31, a review of The Demon-Haunted World: Science as a Candle in the Dark by Carl Sagan. The sentence that is quoted begins, 'We take the side of science...,” but the presumption that 'science” must exclude the possibility of design by creation is entirely belief-based and counter-scientific. Rather, the science shows—in this case, by observation and inference—that interdependent structures like this must have been purposefully manufactured.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4148/
출처 - ICR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4456
참고 : 4359|4365|4443|4396|4356|4355|4338|4322|4319|4274|4239|4220|4219|4212|4209|4197|4193|4151|4056|4041|4070|3999|3990|3977|3976|3947|3942|3926|3912|3908|3870|3864|3857|3855|3840|3839|3828|3817|3806|3803|3740|3690|3674|3670|3639|3638|3629|3624|3610|3402|3394|3358|3324|3318|3313|3276|3231|3143|3105|3075|3034|3005|2988|2952|2940|2920|2910|2899|2857|2733|2610|2606|2603|2475|2396|2393|2371|2340|2318|2299|2125|2133|2020|1896|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