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흰개미는 생태계 구축의 달인

미디어위원회
2024-09-08

흰개미는 생태계 구축의 달인

(Termites Are Master Ecosystem Builders)

by Jerry Bergman, PhD


     흰개미가 지구 생태계에 중요한 이유와 그들의 진화는 진화론자들을 당황시키고 있다.


   우리가 살아있는 생물 세계에 대해 더 많이 배울수록, 더 복잡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최근 흰개미(termites, white ants)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흰개미는 다음과 같다는 것이다 :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되는 데 가장 중요한 생물체 중 하나이다. 그들이 없다면, 열대우림과 같은 서식지는 쇠약해질 것이고, 흰개미에 의존하는 동물들은 죽게 될 것이다."[1]

더 나아가 "흰개미는 생태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무척추동물 분해자(decomposers)"라는 것이다.[2] 흰개미를 이해하는 것은 "자연생태계를 보존하고, 인간의 인프라와 투자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3]

흰개미는 그들의 지하 둥지를 위한, 환기 시스템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터널들과 통로들로 이루어진, 진흙으로 쌓아올린 커다란 흙무더기에 살고 있다. 지하 둥지 위에 지어진 이 흰개미집은 수많은 갤러리 공간들, 잘 설계된 방들, 통로들로 구성되어 있다.[4] 일반적으로 이 집에서 100만 마리가 넘는 흰개미들이 살고 있다.

개미와 마찬가지로, 흰개미는 "매우 복잡한 사회생활과 엄청나게 복잡한 생활환경"을 갖고 있다.[5] 연구자들이 흰개미가 어떻게 땅을 파고 먹이를 찾는지 이해하기 위해, 복잡한 수학 방정식을 개발해야 할 정도로, 사회적으로,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흰개미 집단은 다양한 계급(castes)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왕, 여왕, 병정, 일꾼 개미들이 있다. 병정 개미들의 임무는 원치 않는 생물들로부터 서식지를 방어하는 것이다. 일꾼 개미들은 완전히 눈이 멀어있고, 날개가 없으며, 성적으로 미성숙하다. 그들은 크기가 가장 작고, 흰개미 유형에서 가장 숫자가 많다. 그들의 임무는 다른 모든 흰개미들에게 먹이를 가져다주고, 집을 짓고, 손질하는 것이다. 왕과 여왕은 둥지를 번식시키고 지배한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에는, 매우 다른 신체 특징을 필요로 한다.

성적으로 발달한 흰개미는 성숙하면, 날개를 달아 둥지 밖으로 날아가, 새로운 군집을 형성할 수 있다. 새로운 군집이 형성되면, 날개를 잃고 왕이나 왕비가 된다. 이러한 "사회적 군집"은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봄 또는 여름 저녁에 발생한다. 이러한 군집 형성이 끝나면 창턱, 타일, 틈새, 문간에 버려진 수많은 날개들을 볼 수 있다.[6]


흰개미 둥지

흰개미 둥지(nests)는 "분산되어 선형 및 나선형 경사로로 연결된, 규칙적으로 간격을 둔 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

흰개미 둥지(집)은 서식지에서 일꾼 개미들의 집단적 행동으로 지어진, 살아있는 세계의 건축적 경이로움 중 하나이다. 각 집에는 효율적인 환기, 냉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특징적인 구조적 특색이 있다.[7]

흰개미 둥지는 동물 사회에서 생성되는 가장 복잡한 구조 중 하나이다.[8] 흰개미 집에 대한 주요 연구들은 흰개미가 진흙, 짚, 기타 식물 재료들로 이러한 복잡한 둥지를 건설하는 능력을 어떻게 진화시켰는지에 대한 문제를 무시하고 있다.


흰개미의 진화

흰개미의 진화를 이해하려면, 복잡한 둥지를 짓는 방법을 배우기 전에 어떻게 생존했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들의 뇌와 페로몬(pheromone) 시스템은 둥지를 만들기 위해 먼저 진화해야 했다.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이었으며, 자연선택에 의해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을까? 다윈은 자연선택은 "약간의 연속적이고 유리한 변형을 축적함으로써만 작동하며, 크거나 갑작스러운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짧고 느린 단계들로만 작동될 수 있다"고 말했다.[9]

레이븐(Raven)은 이들의 복잡성과 생태계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한 후, 이들의 진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부분은 완전히 무시했다. 흰개미의 진화에 대한 세부 이론들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는 이해될 수 있다. 흰개미 진화의 주요 문제 중 일부는 변화 속도와 관련이 있다. 느리게 점진적으로 진화했을까, 아니면 빠르게 진화했을까? [10]

또 다른 문제는 흰개미의 화석기록은 진화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흰개미가 진화했다면, 약 4천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기록에서 흰개미의 진화에 대한 증거가 밝혀질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는 엄청난 시간이지만, 발트해 호박에는 흰개미가 놀랍도록 잘 보존되어 있었다. 세부 모습들이 보존되어 있는 4천만 년 전 화석 흰개미는 오늘날의 흰개미와 동일했다. 또한 진화론자들은 흰개미의 전구체 조상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발트해 호박(Baltic amber)에 갇혀있는 수백 마리의 흰개미들 중 두 사례이다. 이 표본은 완전히 현대적 흰개미이지만, 3,8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From: Okinaw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rozen behaviors’ in amber fossils: How to reconstruct mating behavior of long-extinct termites,” PhysOrg, March 6, 2024.)


요약

흰개미는 지구에서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매우 복잡하고 잘 설계된 생물이다. 호박에 보존된 수백의 흰개미 표본들에서 볼 수 있듯이, 흰개미는 수천만 년 동안 변하지 않은, 살아있는 화석의 좋은 예이다. 흰개미의 진화에 대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으며, 진화론자들도 어떤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했는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추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References

[1] Raven, C.,“White ants: The Earth’s backboneless backbone. Phys.org, How termites serve the biosphere,” University of the Sunshine Coast, A. US; https://www.usc.edu.au/about/unisc-news/news-archive/2024/august/white-antsthe-earth-s-2 August 2024.

[2] Raven, 2024.

[3] Raven, 2024.

[4] Lüscher, M., “Air-conditioned termite nests,” Scientific American 205(1):138–147, 1961.

[5] Raven, 2024.

[6] Raven, 2024.

[7] Heyde, A., et al., “Self-organized biotectonics of termite nests,”Proceedings of the Natural Academy of Sciences 118(5):e2006985118, https://doi.org/10.1073/pnas.2006985118, 2021.

[8] Heyde, A.,et al., 2021

[9] Darwin, C.,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John Murray, London, UK, P. 413, 1859.

[10] Venditti, C., and M. Pagel, “Speciation and bursts of evolution,” Evolution: Education and Outreach 1: 274–280, https://doi.org/10.1007/s12052-008-0049-4, 2008.

[11] Mizumoto, N., et al., “Extinct and extant termites reveal the fidelity of behavior fossilization in amber,” 121(12):e2308922121, https://doi.org/10.1073/pnas.2308922121, 2024.

[12] Chouvenc, T., “Termite evolution: Mutualistic associations, key innovations, and the rise of Termitidae,” Cellular Molecular Life Sciences 78(6):2749–2769, March 2021.


*참조 : 흰개미의 둥지에서 보여지는 놀라운 설계

https://creation.kr/animals/?idx=1833899&bmode=view

다윈의 흰개미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348&bmode=view

1억 년 전(?) 개미는 현대 개미와 동일한 감각기관을 갖고 있었다.

https://creation.kr/LivingFossils/?idx=39921686&bmode=view

병정개미는 1억 년(?) 동안 진화하지 않았다.

https://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698&bmode=view

개미는 고등 수학으로 자신의 길을 찾아간다. 

https://creation.kr/animals/?idx=1290974&bmode=view

▶ 개미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88525&t=board

▶ 살아있는 화석 2 - 곤충

https://creation.kr/Topic2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62198&t=board


출처 : CEH, 2024. 9. 4.

주소 : https://crev.info/2024/09/termites-ecosystem-builders/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