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미디어위원회
2일전

유전학과 고고학 사이의 줄다리기

: 창세기 10장, 11장의 기록과 바벨 이후 인류의 분산

(The Tug of War Between Genetics and Archaeology)

by Troy Lacey


요약

바벨탑 이후 빙하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 기간 동안에 유럽에 대규모 이주가 이루어졌다. 한때 단일 문화로 여겨졌던 벨 비커 문화(Bell Beaker culture)는 이제는 유럽을 지배했던 독특한 도자기 스타일을 가졌던 두 개의 별개의 문화로 밝혀졌다. 이것은 정복, 무역, 또는 문화적 동화를 통해 이루어졌을까? 고고학(archaeology)과 유전학(genetics)은 이 주제에 대해 서로 상충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들을 검토하고, 창세기 10장의 민족들의 표(Table of Nations)가 이 주제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세계의 역사를 이해하려는 우리의 탐구에서 고고학과 유전학 분야는 종종 상충되는 경우가 많으며, 간단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드물게 서로를 보완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Nature 지에 실린 논문과 기사는 고고학적 발견과 유전자 연구 사이의 때때로 불안한 휴전을 강조하고 있었다.[1] 이 두 분야의 충돌은 때때로 다른 결론으로 이어지거나, 유적지의 역사에 대해 이전에 갖고 있던 생각을 뒤집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비커 문화(Beaker culture)에 관한 위의 논문과 기사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간단히 보기

∙유럽은 빙하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에 이주의 물결에 휩싸였다.

∙이주와 침입을 했던 벨 비커(Bell Beaker) 집단은 두 개의 다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지역은 유라시아 벨 비커 민족의 정복을 피했고, 다른 지역은 거의 완전히 전멸하고 대체되었다.

∙창세기 10장과 11장은 유전학적 및 고고학적 데이터와 잘 연관되며 타당하다.

 

고분, 뼈, 벨 비커

오래된 전통적 고고학 연구에서 도자기의 종류나 양식(pottery types or styles)은 종종 한 문명의 연대를 측정하거나(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함께) 문명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였다. 이후 고고학적 사고의 변화로 인해, 이러한 포괄적인 주장이 축소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도자기 유형을 특정 문화와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다. 도자기 유형의 변화는 특정 유적지의 문화가 점령되어 변화했거나, 토착 문화가 새로운 스타일을 채택했거나 발명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잉글랜드 남서부, 스톤헨지(Stonehenge)에서 약 30km 떨어진 아베베리(Avebury) 마을 근처에는 최대 46명의 유해들이 묻혀있던 긴 무덤(long barrow, 언덕이나 언덕 아래에 파묻어 놓은 무덤)이 있다.[2] 일반적으로 BC 3600년 전으로 추정되는[3] 이 지역은 BC 2450년까지 지속적으로 점령된 것으로 여겨졌었다. 거의 천 년 동안 사람들이 무덤으로 돌아와 도자기와 구슬 등을 기념품으로 가져갔다는 증거가 있다.[4]

이 시기(BC 2750~2500년 경으로 평가되는)[5]에는 동유럽에서 새로운 도자기 양식이 등장했고, 이 새로운 종 모양의 도자기 양식(이하 벨 비커<Bell Beaker>라고 표기)은 중부, 서부, 북부 유럽을 휩쓸고 영국까지 점령했다.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이것이 이주 영향인지, 아니면 문화적 접촉/교역 영향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앞에서 언급한 웨스트 케넷 긴 무덤(West Kennet Long Barrow)과 유럽 전역의 매장된 유해 시료에서 채취한 대규모 유전자 프로젝트가 그 해답을 밝혀주었다.

 .독일 베를린의 포르-운드 프뤼게시히테 박물관(Museum für Vor- und Frühgeschichte, 선사 및 초기 역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벨 비커(Bell Beaker) 문화권의 도자기들. <Image by Alfons Åberg, via Wikimedia Commons>.

 

죽은 사람은 이야기를 들려준다(하지만 그들의 연대는 아니다)

벨 비커 문화(Bell Beaker culture)는 포르투갈 리스본(Lisbon) 인근 유적지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BC 2700년 경)의 벨 비커 도자기가 나왔기 때문에[6], 이베리아 반도(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이 있었다.[7] 그러나 다른 고고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벨 비커 문화의 동유럽 기원을 얌나 또는 얌나야 문화(Yamna or Yamnaya culture)로 추정했다.[8] 최근 Nature 지의 논문은 둘 다 부분적으로는 사실이라는 것을 밝혀냈다.[9]

Nature 지 논문의 저자들은 136곳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BC 4700~800년 사이로 추정되는 고대 유럽인 400명의 새로운 DNA 염기서열 데이터를 분석했다.[10] 이 중 266명은 벨 비커 문화(BC 2750~1800년경)와 관련된 개인들이었고, 174명은 벨 비커 문화 전후로 추정되는 다른 문화권에서 발굴된 개인들이었다.[11] 후자 그룹 중 118명은 영국에 묻힌 개인이었고, 51명은 벨 비커 이전, 67명은 벨 비커 이후였다. 데이터를 정제하고, 다른 알려진 고대 유전체 세트 및 현대 개인과 결합한 후, 3,500명 이상의 표본 크기를 확보했다.[12]

이 유전자 데이터는 이베리아 벨 비커인 그룹과 동유럽 또는 유라시아 벨 비커인 그룹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유라시아 벨 비커와 관련된 개인들은 세 가지 주요 유전적 요소를 갖고 있었는데, 하나는 유럽 수렵채집인(European hunter-gatherers)의 특성이었고, 다른 하나는 레반트(Levant-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와 아나톨리아(Anatolia-터키) 사람들에서 보여지는 특성을, 다른 하나는 이란 사람에서 극대화되고 대초원 개체군(현재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일부 포함)에서는 적게 갖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그들[유라시아 벨 비커 민족]의 조상은 중석기시대 서유럽 수렵채집인, 북서부 아나톨리아 신석기시대 농경민, 초기 청동기시대 대초원 인구가 혼합된 것으로 모델링됐으며, 이중 처음 두 집단은 초기 신석기시대 유럽인의 조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칠리아를 제외한 이베리아 이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표본으로 추출한 비커 혼합체와 관련된 개체의 대부분이 대초원 집단 조상으로부터 상당 부분 파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베리아에서는 분석 대상 32명 중 8명만이 그러한 조상을 갖고 있었다.[13]

그들의 연구 결과는 벨 비커 혼합체와 관련된 개체의 기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뒷받침했으며, 이베리아 관련 벨 비커 그룹이 유라시아 혼합체와 섞여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없었다. 이는 특정 출처에서 비롯된 하나의 "비커 민족"이라는 생각을 불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베리아의 개인들은 동유럽 및 중부 유럽의 사람들과 조상을 거의 공유하지 않았다.

벨 비커 이전과 이후의 영국인의 데이터를 조사했을 때, 훨씬 더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유라시아 벨 비커 그룹은 초기 영국인들을 거의 완전히 대체했다. 수백 년 만에 인구의 90% 이상이 벨 비커인이 된 것이었다. 유전자 분석은 또한 벨 비커 민족의 "영국 침략"이 네덜란드에서 온 것으로 강력하게 시사했다.[14] 유라시아 벨 비커에게는 일반적이지만, 초기 영국인에게는 없는 특정 대립유전자(특정 염색체의 동일한 지점에 있는 유전자 변이체)를 통해 연구자들은 벨 비커 이후 영국인의 밝은 피부 색소 침착과 눈 색깔의 증가를 추적할 수 있었다.[15]

 

도자기는 도자기고, 사람은 사람이다

이 글의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과 데이터가 인류의 이주와 문화적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그리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고고학자, 유전학자,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짧은 인용문에서 이러한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

"고고학자의 절반은 고대 DNA가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머지 절반은 고대 DNA가 악마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독일 뮌헨의 루드비히 막시밀리안(Ludwig-Maximilians) 대학에서 유전학자 및 분자생물학자와 긴밀히 협력하며 몇 년 전 두 분야 간의 가교 역할을 위해 설립된 연구소의 연구원인 필립 스톡하머(Philipp Stockhammer)는 말한다. 그는 이 기술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고고학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일부 고고학자들은 분자적 접근 방식이 뉘앙스의 영역(the field of nuance)을 빼앗아 갔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생물학과 문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부당하고 심지어 위험한 가정을 하는 광범위한 DNA 연구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고고학자 마크 밴더 린든(Marc Vander Linden)은 "그들은 마치 모든 것을 정리한 듯한 인상을 준다"라고 말했다. "그것은 약간 짜증나게 한다."[16]

저자인 유웬 캘러웨이(Ewen Callaway)는 그의 Nature 지 글에서 당면한 몇 가지 문제를 언급하고 있었다. 고고학자들에게 이주(migrations)는 항상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정복을 통한 문화와 도자기 및 기타 유물의 교체가 고고학 기록에 나타나는 것일까? 아니면 문화가 섞이면서 더 나은 도구/도구를 제공하거나 모방을 촉발하는 문화 간의 교역이 더 나은 설명일까?

연구자들은 유전학을 통해 이러한 질문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위치한 하버드 의과대학의 인구 유전학자인 데이비드 라이히(David Reich) 박사는 "유전학이 특히 잘하는 것은 인구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17]

라이히 박사는 일부 유전자 연구에도 참여했으며, 2018년 Nature 지의 기고 저자이기도 하다. 또한 그는 현대 독일인과 북유럽인의 유전체를 조사하여, 그들의 유전체에 얌나야(Yamnaya) 조상이 생존해 있다는 결론을 내린 2015년 Nature 지의 두 논문 중 하나에도 참여했다. 이러한 유사성은 유럽 동쪽 가장자리에서 중앙 유럽으로 대규모 이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18]

이들 Nature 지 논문들을 모두 종합해보면, 아마도 무역을 통해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이베리아 및 동유럽) 간에 도자기 스타일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 영국인이 벨 비커 민족으로 90% 교체된 시기와 일치하는 영국 정복으로 인해, 도자기 스타일이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조상을 가진 대규모 민족 집단들이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이주한 것도 지적했다. 이 그룹들은 먼 거리를 이동했지만, 폭발적으로 이동했다. 캘러웨이(Callaway)의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오늘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대초원에서 이주해온 목축인들의 유입은 구덩이 고분과 같은 얌나야 문화 유물 및 관습과 연관되어 약 4,500~5,000년 전에 중부 및 서유럽의 유전자 풀(the gene pool)의 대부분을 대체했다. 이는 신석기시대 도자기, 매장 양식 및 기타 문화적 표현이 사라지고, 북부 유럽과 중부 유럽 전역에 분포하는 코드웨어 문화(Corded Ware cultural, 매듭무늬토기 문화, 또는 전부문화, Battle Axe culture)의 유물들이 출현한 시기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고고학계에 충격을 주었다"라고 크리스티안센(Kristiansen,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은 말한다.[19]

 

벨 비커, 또는 바벨탑 이후 성경적 이주?

그렇다면 성경적 관점에서 이 연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그리고 세속적인 중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는 성경적 연대기에서 어디에 부합할까? 두 벨 비커 그룹과 유라시아 벨 비커 혼합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전자 그룹의 이주 패턴이 바벨탑 사건 이후의 이야기 및 연대기와 일치할까?

우선 세속적 이야기는 이들 유라시아 인류가 중석기 시대 수렵채집인으로서 시작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런 다음 신석기 시대 목동과 초보적인 농경민으로 발전하여, 이제 막 영구적인 마을에 정착하고 도자기를 만드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속 도구와 무기를 개발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에 농경민으로 발전했다. 이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북유럽은 일반적으로 남유럽, 중동, 터키의 시기보다 뒤쳐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럽에서는 세속적 연대 틀로 BC 12,000년에서 BC 600년까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성경에 따르면, 인류 역사가 시작될 때부터 인간은 농부(창세기 2:15, 4:2)였으며[20], 목동이었고(창세기 4:2, 20), 금속 가공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켜(22절), 악기를 만들고(21절) 도시를 건설하여 살았다(17절). 사실 이러한 기술은 창조 후 7세대 만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홍수 이후와 바벨 이후 세상에서 '석기 시대'는 없었고, 야금, 목축, 농경, 도시화가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이 모든 것들은 홍수 이후에 상당히 빠르게 시작되었지만, 빙하기와 홍수와 바벨로 인한 초기 기술적 좌절과 리셋으로 인해, 일부 그룹, 특히 북유럽의 일부 그룹은 한동안 기술적으로 퇴보했던 것을 볼 수 있다.[21]

유럽의 역사는 대홍수 이후 그리고 바벨탑 사건 이후 한 그룹의 사람들의 역사이다. 그리고 적절한 시간 틀을 고려하면, 위의 서술은 유전학[22] 및 고고학[23] 데이터들과 매우 잘 맞아떨어진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베리아(Iberia)에 정착한 민족 그룹으로 시작하여, 러시아 및/또는 우크라이나 대초원을 떠나, 중앙 및 북부 유럽을 침략하기 전에, 얌나(또는 얌나야) 민족을 구성한 사람들을 살펴보겠다.

바디 호지(Bodie Hodge)는 그의 책 '바벨탑(Tower of Babel)'에서 여러 족보들, 지도들, 역사를 수집하여, 창세기 10장(민족들의 표<the Table of Nations>라 불려짐)과 창세기 11장을 비교했다. 그는 성경에 언급된 지파, 민족, 국가, 고대 및 현대 국가의 지명과 성경의 이름을 동일시하려고 시도했다. 인류가 우라르투(Urartu, 아라랏 산맥) 지역(현재의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조지아, 이라크, 이란, 아제르바이잔 일부 포함)에 거주하게 된 창세기 9장의 홍수 이후 성경 이야기를 시작으로, 우리는 인류가 바벨(일반적으로 이라크 남부와 관련됨)에 모여 하나님의 명령대로 땅을 채우기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 후 하나님은 언어를 혼잡하게 하시고, 민족들을 흩으셨다(창세기 11:7~9).

성경과 역사 기록에 따르면, 유럽은 주로 노아의 장남 야벳의 후손들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창세기 10:21). 그러나 일부 함족 조상(Hamitic ancestry)도 있었는데, 그들의 후손들 대부분은 튀르키예 일부 지역에 정착한, 함의 손자인 헷(Heth, 15절)의 후손들인 헷 족속(Hittites, 헷 또는 히타이트 족속)들이었다. 그리고 2018년 Nature 지 논문에서 논의된 데이터와 성경 및 고대 역사 기록 사이에는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다.

 

창세기 : 문화들을 이해하는 열쇠

바디 호지는 이베리아인에 대한 기록을 야벳의 아들들, 주로 두발(Tubal, 그림 8)[24] 뿐만 아니라, 고멜과 고멜의 아들 리밧(Ripath, 그림 2)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25] 이 그룹은 상당히 가까운 시간 간격으로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에 정착한 후 결혼했을 가능성이 높다. 원래 형제들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인구 집단은 비슷한 유전적 프로필을 가졌을 것이다.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이베리아 반도는 당시 사람들이 이주한 가장 먼 서쪽 지역이었으며, 고멜에서 유래된 창시자(founders)들은 이전에 프랑스, 갈라티아(튀르키예), 루마니아에 정착해 있었기 때문에, 이베리아인들은 유럽 역사에서 훨씬 후대까지 전쟁과 침략의 위협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완충지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주 지도

이 지도들은 창세기 10장의 민족들의 표(the Table of Nations)에 따라 노아의 아들 야벳, 함, 셈의 후손들 중 일부의 분포를 보여준다*.

 

야벳의 후손들

그림 1. 고멜(Gomer)의 아들 아스그나스(Ashkenaz)의 이주.

그림 2. 고멜과 그의 아들 리밧(Riphath)의 이주.

그림 3. 야완(Javan)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4. 야벳의 아들 마대(Madai)와 셈의 아들 엘람(Elam)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5. 마곡(Magog)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6. 메섹(Meshech)의 후손들의 이주.

 그림 7. 고멜의 아들 도갈마(Togarmah)의 이주.

 

그림 8. 두발(Tubal)의 후손들의 이주.

 

셈의 후손들

 그림 9. 아람(Aram)의 후손들의 이주.

 

함의 후손들

그림 10. 가나안(Canaan)의 이주.

그림 11. 함의 아들 구스(Cush)의 이주.

<* 이미지 제공: 바디 호지(Bodie Hodge). 노아 아들들의 나이와 거주 지역에 따라 지도가 표시되었다.>

 

이제 유라시아 대초원(Eurasian Steppe)으로 눈을 돌리면 여러 민족들이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멜의 아들 도갈마(Togarmah)와 그의 후손들은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의 대부분에 정착했다(그림 7).[26] 야벳의 아들 마곡(Magog)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헝가리의 대부분에 정착했고(그림 5),[27] 야벳의 다른 아들 메섹(Meshech)도 러시아, 핀란드, 조지아의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그림 6).[28] 그러나 유라시아에는 특히 중국, 몽골, 시베리아(동부 스텝 지역 대부분) 일부에 정착한 가나안의 두 아들, 즉 신 족속(Sinites)과 하맛 족속(Hamathites)(창 10:17-18) 등의 함족 조상(Hamitic ancestry)들도 많이 있었다. 또한 함의 아들 구스(Cush))로부터 유전적 유입이 있었는데, 그 후손 중 일부는 인도 북부에 정착했다(그림 11).[29] 마지막으로 페르시아(Persia, 이란 Iran, 그림 4)에 정착한 엘람(Elam)과 박트리아(Bactria-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 그림 9)에 정착한 아람(Aram)을 통해 이 지역에도 셈족의 조상들이 있었다.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위의 민족들과 유라시아 대초원의 벨 비커 그룹(the Bell Beaker group)에 대한 유전자 연구를 비교해 보면, 몇 가지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세 개의 다른 유전자 그룹(셈족, 함족, 야벳족)은 성경과 세속 역사에서 이들이 이주한 것으로 기록된 지역(서부 및 동부 대초원, 레반트, 터키, 이란,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같은 "교차로" 국가)에서 유래했다. 이베리아 벨 비커 그룹의 고립과 구별은 성경적 세계관에서도 이해가 되는데, 특히 여러 세대에 걸쳐 다른 민족 집단과 결혼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텝 벨 비커(Steppe Bell Beaker) 민족이 서쪽으로 이동해오면서 결국 뒤늦게 유전적 상호작용이 있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스텝 벨 비커 그룹의 영국 침공이다. 유전학은 매우 짧은 기간에 거의 완전한 인구 교체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성경적 증거와 다시 한 번 매우 잘 일치한다. 영국은 이베리아처럼 야벳의 아들과 손자 두발, 고멜, 리밧에 의해 처음에 정착한 것으로 보이지만, 나중에 스페인 남부 일부에 정착한 야벳의 아들 야완(Javan)이 지브롤터(Gibraltar) 해협을 거쳐 영국 남부 일부에 정착한 해안 이동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그림 3).[31] 이베리아처럼 영국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한동안 침략의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러한 해안 이주가 영국인의 DNA에 추가되었다는 사실은 Nature 지 논문에서도 언급되었다 :

프랑스 남부와 영국의 신석기인은 중부 유럽 초기 신석기인보다 이베리아 초기 신석기인과 훨씬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일랜드의 신석기 유전체에 대한 이전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혼합 그래프 프레임워크(an admixture graph framework)에서 신석기시대 인구와 중석기시대 서유럽 수렵 채집인을 모델링은 이러한 결과를 재현해주고 있으며, 수렵채집인의 혼합 비율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결과는 영국 신석기시대 인구의 조상 중 일부가 대서양 연안을 따라 퍼져 나간 이주민에게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32]

벨 비커 이후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구(위에서 언급한)의 유전적 친화성은 바벨탑 사건 이후 사람들의 이동을 보면 알 수 있다. 야벳의 손자 아스그나스(Ashkenaz)는 처음에는 튀르키예(Turkey)로 이주했다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흑해 연안 지역(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에 정착하여, 일부 함족 및 셈족을 정복하거나 혼합되었다(그림 1).[33] 이후 서쪽으로 눈을 돌려 중부 및 서유럽 대부분을 정복하고 정착하기 시작했다.

흥미롭게도 중세 독일에서 유대인의 이름은 아스그나스(Ashkenaz 아슈케나즈)이며, 독일 또는 중부 유럽 혈통의 유대인은 여전히 아슈케나지(Ashkenazi 아슈케나즈 땅에 사는 유대인)로 불린다. 그리고 아스그나스의 손자 인가본(Ingaevon) 또는 증손자 이스타에본(Istaevon)이 독일 북부에 정착한 후, 덴마크와 네덜란드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그 연관성을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후 아스그나스(Ashkenaz, Suevus)로부터 8대까지는 스웨덴을 식민지로 삼고 영국을 정복했다. [34] 역사학자 제임스 앤더슨(James Anderson)에 따르면, 이 시기는 BC 1900~1652년 사이로, 북유럽의 빙하기 말기와 빙하기 이후 초기에 딱 들어맞는다.[35]

세속적 고고학과 역사의 재구성에서 지배적인 진화론적 가정을 버리고, 실제 성경과 세속 족보를 연구해보면, 이주, 식민지화, 무역/문화적 상호작용, 유전자 데이터의 시기가 상당히 잘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창세기 10장과 11장을 읽을 때 우리는 (이 특별한 경우) 바벨-이후 유라시아인(post-Babel Eurasians)으로 추적할 수 있는 진정한 역사와 민족들을 보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다. 창세기 10장에 기록된 민족들의 표(또는 열국의 표)는 실제로 바벨 이후 민족 집단(과 그들의 이주)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며, 벨 비커의 연구에서 지적됐듯이 이베리아인의 경우처럼 "이동은 사람이 아니라, 토기(pots)가 했지만“[36], 인구 교체가 90% 이상인 영국에서는 때때로 이동을 한 것은 사람이었다. 바벨(그리고 창세기 10장)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해준다.

  

Footnotes

1.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Nature, March 28, 2018, https://www.nature.com/magazine-assets/d41586-018-03773-6/d41586-018-03773-6.pdf; and Iñigo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Nature 555 (March 8, 2018): 190–196, doi:10.1038/nature25738.

2. “History of West Kennet Long Barrow,” English Heritage, http://www.english-heritage.org.uk/visit/places/west-kennet-long-barrow/history/.

3. The conventional dating is based on anthropological evolutionary assumptions and radiocarbon dating methods which also have built-in assumptions. All of the supposed stone age, bronze age and iron age time periods are post-Flood, and most are post-Babel. In Eurasia as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we are looking at dates of c. 2200–1700 BC.

4.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Nature 555 (2018): 573.

5. See footnote 3.

6. See footnote 3.

7. João Luís Cardoso, “Absolute Chronology of the Beaker Phenomenon North of the Tagus Estuary: Demographic and Social Implications,” Trabajos de Prehistoria 71, No. 1, (2014): 73, doi:10.3989/tp.2014.12124.

8. “Bell Beaker Culture,” Indo-European.info, https://indo-european.info/wiki/index.php/Bell_Beaker_culture.

9.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0–192.

10. See footnote 3.

11. See footnote 3.

12. Olalde et.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0.

13. Ibid., 191.

14. Ibid., 193.

15. Ibid., 194.

16.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4.

17. Ibid.

18. Wolfgang Haak et al.,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Nature 522 (June 11, 2015): 207, doi:10.1038/nature14317 (Abstract).

19.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5.

20. All Scripture references are from NKJV unless otherwise noted.

21. David Menton and John UpChurch, “Who Were Cavemen?,”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who-were-cavemen/.

22. Georgia Purdom, “How Are Cavemen Different?,”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how-are-cavemen-different/.

23. Andrew Snelling and Mike Matthews, “When Did Cavemen Live?,” Answers 7, no. 2 (2012),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cavemen/when-did-cavemen-live/.

24. Bodie Hodge, Tower of Babel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2014), 169–171.

25. Ibid., 149–151.

26. Ibid., 157–159.

27. Ibid., 160–163.

28. Ibid., 173–174.

29. Ibid., 129–131.

30. Ibid., 133–134.

31. Ibid., 165–168.

32. Olalde, et al.,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192.

33. Hodge, Tower of Babel, 151–155.

34. Ibid.

35. James Anderson, Royal Genealogies (Westminster Hall, England, 1732), 441–442, https://archive.org/details/AndersonJRoyalGenealogiesOrTheGenealogicalTablesOfEmperorsKingsAndPrincesTo1732 (PDF).

36. Ewen Callaway, “The Battle for Common Ground,” 576.

 

*참조 :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왕국들 : 고고학으로 확인되고 있는 암몬, 모압, 에돔 족속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389145&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고고학적 연대가 성경적 연대와 충돌할 때 : 방사성탄소 연대와 나무 나이테 연대의 문제점

https://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6277984&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16067923

바벨탑 사건과 민족 이동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9&bmode=view

바벨탑 : 전설인가, 역사인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8&bmode=view

고대 인류에 대한 DNA 분석은 바벨탑의 인류 분산을 확증하고 있었다.

https://creation.kr/Genesis/?idx=1289139&bmode=view

가나안 인의 DNA 분석은 성경의 정확성을 입증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5&bmode=view

Y-염색체 연구는 창세기 시간 틀을 확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2881356&bmode=view

인류는 3 조상 가족으로부터 유래했음을 유전자 연구는 가리킨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08&bmode=view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는 무엇인가?

https://creation.kr/Apes/?idx=12687892&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대홍수 후 인류 이동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02&t=board

▶ 구석기시대와 타제석기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1060&t=board

▶ 동굴인과 동굴벽화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1100&t=board

▶ 문명의 시작

https://creation.kr/Topic4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80905&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22&t=board

 

출처 : AiG, Answers, May 5, 2018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tug-war-between-genetics-and-archaeolog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9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왕국들

: 고고학으로 확인되고 있는 암몬, 모압, 에돔 족속 

(Ancient Jordan's Forgotten Kingdoms)

by Mark Looy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많은 사건들의 실체에 대해 뜨거운 논쟁이 있어 왔다. 우리는 이스라엘에 관한 많은 논쟁에 익숙하지만, 이웃해 있는 고대 요르단은 어떤가? 성경은 그곳에서 여러 왕들이 일어나 이스라엘에 대항했다고 말한다. 성경의 기록은 믿을 수 있는 것일까?


    성경에는 -ite로 끝나는 이상하게 들리는 여러 나라들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우리에게는 그저 한 페이지에 나오는 이름일 뿐이지만, 고대 유대인들에게는 때때로 두려워하거나 정복해야 할 무시무시한 이웃들이었다. 그중에는 암몬 족속(Ammonites), 모압 족속(Moabites), 에돔 족속(Edomites)이 있었다. 그들은 누구였을까? 그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2,000~3,000년 전에 살았던 이 민족의 유물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고고학자들은 이들을 유대인의 상상의 산물이나, 미화된 유목민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경에는 그들의 존재가 분명히 드러나 있다. 이들에 대한 하나님의 정죄는 종종 맹렬하다. 예를 들어 말라기(Malachi)는 에돔(Edom)에 대해 이렇게 예언하고 있다 : 

“에서는 미워하였으며 그의 산들을 황폐하게 하였고 그의 산업을 광야의 이리들에게 넘겼느니라” (말라기 1:3).

그들의 존재에 대해 누구의 말이 옳을까? 온 세상의 심판자이신 분, 아니면 회의적인 고고학자들?

이에 대한 답은 현대 요르단을 방문하기만 하면 알 수 있다.[1] 블록버스터 영화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으로 유명해진 페트라(Petra)의 유명한 사암 황무지를 걸어보라. 페트라의 빈 방들과 절벽을 깎아 만든 무덤에서 발자국 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들으면, 적막감을 느끼며,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 수 있다. 이 지역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초기 민족이 살았던 곳이다.

.요르단의 고대 유적도시 페트라의 알 카즈네(Al Khazneh).


성경 시대의 고대 요르단

페트라는 요르단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고학 유적지이지만, 요르단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른 많은 유적지들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구약과 신약의 주요 사건들이 이곳에서 일어났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2] 요르단(Jordan)은 그 이름 자체가 성경의 강(요단)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성경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요르단의 국경은 독수리가 날아가는 정도의 거리인, 예루살렘에서 불과 32km 정도 떨어져 있다.

창세기 14:1절부터 아브라함의 이웃들이었던 '평지 성읍들(cities of the plain, 그 지역의 도시들, 창 13:12, 개역한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도시들은 거의 틀림없이 요르단에 있었을 것이다. 민수기에는 광야에서 방황하던 이스라엘 백성이 기적적으로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까지의 마지막 여정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그 마지막 여정은 요르단에서 이루어졌는데, 그곳에서 모세는 느보산(Mt. Nebo)에서 사망한다. 


고고학은 이들 세 민족 그룹에 대한 성경 기록이 정확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약 성경에서 세례 요한(John the Baptist)은 요단강(Jordan River) 동쪽에서 예수님께 세례를 베풀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가 요세푸스(Josephus)는 세례 요한은 사해 근처 요르단에 있는 헤롯의 요새인 마케루스(Machaerus)에서 참수당했다고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 바울도 예루살렘에서 갈릴리로 가는 길에 이 지역을 지나가셨을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의 초점은 구약 시대에 요르단에 살았던 세 고대 민족에 맞추도록 하겠다. 흥미롭게도 이 세 민족은 사무엘상 14:47절 한 구절에 모두 언급되어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암몬 족속, 모압 족속, 에돔 족속이 살았다.

그들의 역사는 성경을 제외하면, 상당히 모호하다. 따라서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낮게 보는 많은 고고학자들은 최소주의(minimalism)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들은 암몬 족속(Ammonites), 모압 족속(Moabites), 에돔 족속(Edomites)에 대한 성경의 언급을 독립적인 확증이 없다면, 의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상호 작용한 역사와 모든 사람에게 선포된 하나님의 구속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역사서라고 할 수 있다. 고고학이라는 과학은 오늘날 요르단으로 알려진 이 지역에 위치했던 이들 세 민족들에 대한 성경 기록이 정확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150년 동안의 발견으로 고고학자들은 암몬 족속, 모압 족속, 에돔 족속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하지만 구약성경에 기록된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발견을 주의 깊게 해석해보면, 매번 성경의 기록이 진실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대 요르단의 잊혀진 세 민족

.성경은 이스라엘 동쪽 국경에 있던 고대 세 민족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고고학자들은 이들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회의적인 태도를 취해 왔다. 새로운 증거들은 이스라엘의 이웃에 있던 이 국가들이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왕국이었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암몬 족속

요르단 북쪽에는 암몬 족속(Ammonites)이 살았다. 성경의 여러 곳에서 언급된 암몬 족속은 아브라함의 조카인 롯(Lot)의 후손이다(창세기 19:38). 요르단의 현대 수도인 암만(Amman)의 철자에서 암몬 족속의 역사성을 엿볼 수 있다. 암만은 성경에 언급된 유일한 암몬 족속의 성읍이자 수도였던, 고대 랍바-암몬(Rabbath-Ammon, 신명기 3:11 참조)이 있던 자리에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 근처의 이웃 도시 국가 중 하나인 암몬 족속은 이스라엘과 자주 싸웠다(사사기 11:33, 사무엘하 12:29-31, 역대하 27:5). 헷 사람 우리아(Uriah)가 간음을 은폐하기 위한 다윗의 명령에 따라 죽음을 맞이한 곳도 랍바-암만이다(사무엘하 11장). BC 9세기(이스라엘의 다윗과 솔로몬 왕 직후)에 만들어진 암몬 비문(Ammonite inscription)은 한 암몬 왕의 봉헌을 나타내고 있다.

고고학 및 성경 외 고대 문헌의 증거들은 그리스도 시대 훨씬 이전에 암몬 족속이라 불렸던 집단이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암만의 한 요새(랍바-암만에 있는 고대 언덕)에서 고고학적 발굴 작업을 통해, 방어 성벽을 포함하여 암몬 족속의 궁전 유적이 발견되었다.

.암몬 왕 예라 아자르(Yerah Azar)의 동상(BC 8세기)이 2010년 암만 요새(Amman Citadel, 암만 성채)에서 발견되었다. <Erich Lessing Culture and Fine Arts Archive>


모압 족속

요르단 한가운데에 위치한 모압 족속(Moabites)도 롯의 후손이었다(창세기 19:37). 그들은 이스라엘 건너편 사해 동쪽에 살았다. 모압 족속은 창세기 19:37과 신명기 2:9절에 언급되어 있다. 민수기 22~24장에서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발람(Balaam)을 불러온 사람은 모압 왕 발락(Balak)이었다. 또한 룻기에는 그리스도의 혈통에 등장하는 모압 여인 룻(Ruth)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마태복음 1:5).

성경 밖에서 모압 족속이라는 고대 민족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1868년, 구약성경의 왕들로 연대가 거슬러 올라가는 모압 석비(Moabite Stone, 메사 석비)가 발견되었다. 모압의 왕 메사(Mesha, 열왕기하 3:4-27절에 나오는 유다에 반란을 일으킨 왕)에 의해서 세워진 이 기념비에는 "이스라엘의 왕 오므리(Omri, king of Israel)"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이 석비에는 모압 신의 이름인 그모스(Chemosh, 민수기 21:29)뿐만 아니라, 구약성경에 기록된 다른 많은 지명들이 새겨져 있었다.

비문의 손상된 한 부분은 "다윗의 집(The House of David)"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첫 글자 "D"는 소실되어 있다. 이 판독이 정확하다면, 다윗 왕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최소주의자(minimalists)들에게 또 다른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에돔 족속

암몬 족속과 모압 족속의 남쪽에는 야곱의 쌍둥이 형 에서(Esau)의 후손인 에돔 족속(Edomites)이 살았다.(창세기 36장).

성경에 나오는 에돔 족속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더 이상 심각한 논란이 없지만, 대부분의 최소주의자들은 역대상 1:43절에 나오는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 전에 에돔 땅을 다스린 왕은 이러 하니라..."는 주장을 거부해 왔다. 하지만 최근 요르단의 키르밧 엔 나하스(Khirbat en-Nahas)에서 발견된 유적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키르밧 엔 나하스에서의 발굴 작업을 통해서, BC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대규모 구리 제련(copper-smelting) 작업의 증거가 발견되었다.[3] 이 시기는 도자기 잔해, 올리브 구덩이(olive pits)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이집트 유물 등에 의해서 뒷받침된다. 솔로몬이 이 지역을 통치했을 당시, 이집트와 무역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BC 10세기 솔로몬의 사후에 이집트가 잠시동안 이곳을 지배했었다.[4]

수천 톤의 슬래그(slag, 광석을 제련할 때 나오는 부산물)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대규모 구리 광산이 운영되고 있었음이 분명하다.[5] 단순한 부족 사회에서는 이 정도 규모의 채굴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에돔은 분명히 한 국가(또는 다른 잘 정립된 왕국의 일부)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강력한 증거는 최소주의자들의 주장과 상반된다.

.최근 고대 에돔에서 구리 슬래그(copper slag)라고 불리는 폐기물 더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왕들이 대규모로 광산을 운영했음을 시사한다. <Daniel Frese/BiblePlaces.com>


에돔(Edom)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붉은(red)"이라는 뜻이다. 원래 에서(Esau, 창 25:30)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이 지역의 유명한 붉은 사암과도 연결될 수 있다. 에돔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말라기 선지자는 그들의 몰락을 예언했다. 그리고 우리는 페트라에 버려진 웅장한 수도를 포함하여, 결국 그들을 대체한 나바테아인(Nabataeans)들의 석조 건축물을 여전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기독교인이 요르단을 방문해보면, 성경과 그 역사에 대한 이해가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창세기부터 시작하여 성경을 로드맵으로 삼으면, 성경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들이 요르단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요르단을 방문하면, 우리가 이미 사실로 알고 있는 구약의 역사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Footnotes

1. Technically, this tourist-friendly Muslim nation is called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The Jordan Tourism Board hosted the author on a media tour of the country last year.

2. For a listing of the several Bible places located in modern-day Jordan, go to the ABR website, www.biblearchaeology.org. Or see the book Travel through Jordan by Edward Dawson, although some of the ancient dates presented in the book are not necessarily accepted by all biblical creationists. The author extends his thanks to Mr. Dawson, an instructor at JETS seminary in Jordan, for his kind assistance with parts of this article.

3. Answers magazine is well known for taking carbon dates with a great deal of salt. However, the margin of error is lower when it comes to dating things within the past 3,000 years; it becomes more unreliable further back into history.

4. Contrary to popular opinion, the Bible does not speak of a “King Solomon’s Mine.” It’s the fictional theme of a popular novel and a few Hollywood movies. Yet 1 Kings and 2 Chronicles do mention gold in relation to Solomon, suggesting there may have been mining operations under his control (though Solomon may have imported the gol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ines near Khirbat en-Nahas may have belonged to Solomon. Hence the possible origin of a real King Solomon’s Mine.

5. Claire Harlin, “UCSD Professor Uncovers Clues that King Solomon’s Mines Existed,” http://sdnews.com, November 2010.

*Mark Looy is CCO of Answers in Genesis and is one of the ministry’s founders. Mark has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history from San Diego State University and is the author of countless articles on a great variety of topics.


*Excerpt from a Christian Travel Guide to Jordan

https://assets.answersingenesis.org/doc/articles/am/v7/n3/jordan-travel-guide-excerpt.pdf


*참조 :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적 사실성! :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임을 계속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0&bmode=view

솔로몬 시대의 광산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0&bmode=view

팀나의 구리 광산은 솔로몬 왕국의 부강함을 보여준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6&bmode=view

성경 밖의 기록에서 성경 사건들에 대한 어떤 확증이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4&bmode=view

새로 발견된 이집트 석비는 예레미야서에 기록된 왕이 실존했음을 증거한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426800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예언자 발람의 존재를 증명할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2&bmode=view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성경 속 이름의 인장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 느헤미야에 기록된 데마의 인장은 성경의 고고학적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0&bmode=view

이사야 선지자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 왕의 인장에 이은 놀라운 발견!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7&bmode=view

느헤미야의 성벽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8&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출처 : AiG, July 1, 2012; last featured May 24, 2020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the-forgotten-kingdoms-of-jordan/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2

앗수르의 최근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을 확증하고 있다.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Assyria Corroborate Scripture)

by Troy Lacey


     2014년 이슬람 테러리스트 단체 ISIS는 고대 앗수르(Assyria, 아시리아)의 수도였던 니느웨(Nineveh, 니네베)가 있던 모술(Mosul) 전역을 포함하여, 이라크 일부를 다시 장악했다. 이 지역을 장악한 3년 동안 그들은 문화 파괴 캠페인을 시작하여, 여러 모스크와 무덤들을 파괴했다. (2014. 7. 24일에는 전통적으로 무슬림과 일부 기독교인들이[1] 예언자 요나(Jonah)의 무덤으로 믿고 있는[2] 모스크가 파괴되었다). 이슬람교의 엄격한 해석에 따르면, 이러한 모스크 내에 있는 제단과 무덤들은 이슬람교에 위배되거나 부패한 것으로 여겨져,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2017년 1월 말 ISIS가 패배하면서, 모술과 주변 지역은 이라크군에 의해서 재탈환되었다.


피의 도시

성경에서 니느웨(앗수르 나라를 의미하는)는 북왕국 이스라엘의 적이자, 정복자이자, 유다 왕국을 괴롭혔던 국가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요나의 설교를 듣고 일괄 회개한 나라로도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니느웨 사람들은 분명히 우상 숭배로 되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후에 나훔과 같은 선지자들은 그들을 꾸짖고, 니느웨 성읍과 앗수르 제국의 멸망을 예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앗수르 왕들 중 몇몇이 언급되고 있는데, 대개 분열왕국 기간 동안 북이스라엘이나 유다 왕국과의 무역과 관련해서이다.

최근 이라크 매거진(Iraq magazine,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발행하는 고고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에서[3], 저자인 알리 야신 알주부리(Ali Yaseen Al-Juboori) 박사는 니느웨에서 발굴된 여러 비문(inscriptions)과 유물 중 아직 공개되지 않은 1987~1992년에 발굴된 비문과 유물을 살펴보았다. 최근 ISIS가 묻혀 있는 앗수르의 보물이나 유물을 찾기 위해 파놓은 터널에서 다른 유물과 비문들이 발견되었는데[4], 암시장에서 그것들을 판매하여 테러 조직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러니하게도 1987~1992년 네비 유누스(Nebi Yunus, 선지자 요나) 언덕과 네르갈 게이트(Nergal Gate)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은 모스크와 요나의 전통 무덤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ISIS는 그러한 제약을 받지 않고, 이라크 및 외국 고고학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까지 깊숙이 파고들어 도굴하고 있었다.

2017년 1월 도시가 탈환된 후, 고고학자들은 철거(파괴)되거나 약탈당한 유적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들은 수많은 터널들을 발견했다. 일부 유물들이 약탈당하고, 다른 유물들은 깨지거나 손상되었지만, 많은 유물들이 가치가 없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아마도 해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ISIS에 의해 약탈당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발견 중 일부는 앗수르 왕들이 남긴 비문들이었다. 저자들은 2017년 3월에 이 새로운 발견을 조사하고,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되었지만 공개되지 않은 유사한 비문들을 리뷰했다. 아래에서는 번역된 비문 중 일부를, 특히 성경의 역사와 사건을 다룬 비문을 소개한다.


벽에 새겨진 글

새로 발견된 비문(inscriptions) 중 일부는 1987~1992년에 발견된 비문과 마찬가지로 벽면 패널(wall panels)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비문은 동상과 기둥(statues and pillars, 또는 거상(colossi))에서 발견되었다. 저자들이 앗수르어로부터 영어로 번역한 문장은 아래와 같다.


에살핫돈(Esarhaddon, 에사르하돈)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Sumer)와 아카드(Akkad)의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Sennacherib)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Sargon Ⅱ)의 후손.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인 에살핫돈의 궁전,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성전을 (재)건설한 사람

아슈르 신(god Aššur)은 에사길(Esagil)과 바빌론(Babylon)을 (재)건설하고, (그리고) 위대한 신들의 동상을 복원했다.

산헤립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후손,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인 에살핫돈의 궁전,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하부) 이집트와 상부 이집트의 왕, 네 지역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아들,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아들.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에살핫돈의 아들,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후손.


성경의 증언

에살핫돈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는 앗수르 왕들은 모두 성경에 정확한 순서로 언급되어 있다. 사르곤 2세(Sargon II, 성경에서는 그냥 사르곤이라고 부름)는 이사야 20:1절에 한 번만 언급되어 있고, 산헤립(Sennacherib)은 여러 번 언급되어 있다(열왕기하 18~19장, 역대하 32장, 이사야 36~37장). 성경은 산헤립이 두 아들(아드람멜렉, 사레셀)에게 암살당했으며, 다른 아들인 에살핫돈이 그의 뒤를 이어 통치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에살핫돈은 열왕기하 19:37절과 이사야 37:38절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고, 세 번 언급되어 있다. 에스라서 4:2절에도 앗수르가 정복한 사마리아인과 다른 나라의 혼합 민족이 에살핫돈에 의해 그곳에 정착했다고 언급되어 있다(BC 722년 이스라엘 북왕국이 정복된 후 언젠가). 위의 마지막 비문의 저자인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은 에살핫돈의 아들로서, 성경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번역에 따라 아슈르바니팔로 불리기도 하고, 에스라 4:10절에서 오스납발(Asnappar, Osnapper, or Asenaphar)로 불리기도 하며, 사마리아 지역으로 비-이스라엘 사람들을 이주시킨 앗수르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몇몇 비문은 ...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된 몇 가지 비문과 새로 발견된 터널 비문은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 위에 언급된 왕의 전임 통치자, 통치 기간은 일반적으로 BC 883-859년으로 알려져 있음)의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다,

나 이전의 통치자였던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Shalmaneser)이 건설했던 옛 도시 갈라(Calah)는 황폐해져 폐허의 언덕으로 변해버렸다. 나는 이 도시를 재건했다. 나는 내가 정복한 땅들에서 사람들을 데려와, 즉 수쿠(Suḫu) 땅, 라쿠(Laqû) 땅 전체, 유프라테스 강 건너편에 있는 성읍 시르쿠(Sirqu), 자무아(Zamua) 전 지역, 비트-아디니(Bīt-Adini), 하티(Ḫatti), 루바르나(Lubarna, 리부르나-Liburna), 하티누(Ḫatinu)의 사람들을 데려와 (그들을) 그 안에 정착시켰다. 


위의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의 비문에 쓰여진 글은 에스라 4:10절(NKJV)의 기록처럼,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도 이주 정책은 여전히 실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창세기 10:11~12절에 언급되어 있는 성읍 갈라(Calah)가 실존했음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소수의 비문들만 살펴보더라도, 성경과 모순되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실제로 모두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확증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성경은 사건들이 기술된 후 수백 년이 지난 후에 짜깁기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서술, 예언의 많은 부분들(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예언을 제외하고), 고대 민족과 왕국의 사람, 장소, 이름, 칭호, 관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부분들이 지난 150년 동안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발견되기 전까지 현대 고고학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이는 디모데후서 3:16~17절과 베드로후서 1:20~21절에 언급된 것처럼, 성경의 저자들이 성령의 영감을 받아 기록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해석학(hermeneutics)을 논의할 때 사용되는 주의점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면[5], 성경의 역사적 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인간의 죄와 그 죄에 대한 해결책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하여 말하는 것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


Footnotes

1. Accepted more so by Muslims than by the majority of Christians. “What Is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The Gates of Nineveh, July 11, 2014, https://gatesofnineveh.wordpress.com/2014/07/11/what-is-the-tomb-of-the-prophet-jonah/.

2. But Nineveh as the burial place for Jonah seems highly unlikely since Jonah detested the city and its inhabitants, even though God spared them. It is much more likely he was buried near his hometown of Gath-hepher (now called Mashad).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in Mashad,” Mystagogy Resource center, September 21, 2012, http://www.johnsanidopoulos.com/2012/09/the-tomb-of-prophet-jonah-in-mashad.html.

3. Ali. Y. Al-Juboori, “Recently Discovered Neo-Assyrian Royal Inscriptions from the Review Palace and Nergal Gate of Nineveh,” Iraq 79 (2017): doi:10.1017/irq.2017.7.

4. Josie Ensor, “Previously Untouched 600 BC Palace Discovered Under Shrine Demolished by Isil in Mosul,” February 28, 2017, The Telegraph, http://www.telegraph.co.uk/news/2017/02/27/previously-untouched-600bc-palace-discovered-shrine-demolished/.

5. We often state if you can’t trust the historical sections of Scripture then how can you be consistent and say you trust the sections which speak on moral issues, the miracles of the NT and the gospel?


*참조 : Evidentialism : the Bible and Assyrian chronology

https://creation.com/evidentialism-the-bible-and-assyrian-chronology

The Historic Jonah

https://creation.com/images/pdfs/tj/j02_1/j02_1_105-116.pdf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1.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 of Judah’s deliverance from Assyrian invaders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1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2.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Hezekiah’s preparations in Jerusalem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2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3.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Jerusalem’s deliverance and Sennacherib’s end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3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6&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적 사실성! :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임을 계속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0&bmode=view

성경의 연대를 확인해주는 지구자기장 데이터 : 고대 이스라엘의 파괴된 도시들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3449526&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인장(이세벨, 이사야, 히스기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34&t=board

▶ 느헤미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27&t=board


출처 : AiG, March 13, 2018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recent-archaeological-finds-assyria-corroborate-scripture/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10

에발 산에서 여호수아의 제단과 저주 서판의 발견.

: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의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다.

(Joshua’s Altar and the Mount Ebal Curse Tablet.

An archaeological find confirms biblical history)

by Simon Turpin


     성경 비판론자들은 종종 구약성경의 역사적 기록을 허구나 신화로 간주한다. 하지만 고고학(archaeology)이 구약성경에 기록된 내용을 확증해주고 있다면, 어떻게 말할까? 최근 에발 산(Mount Ebal)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은 구약성경의 기록들이 역사적 사실이었음을 강력하게 확인시켜주고 있었다.


여호수아의 제단이 발견되었는가?

신명기 27장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을 차지하기 전에, 모세는 가나안에 들어가면, 여섯 지파(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요셉, 베냐민 지파)는 그리심 산(Mount Gerizim)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지킬 경우에 받게 될 축복을 큰 소리로 낭독하고,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말할 것을 명령하셨다. 나머지 여섯 지파(르우벤, 갓, 아셀, 스불론, 단, 납달리 지파)는 에발 산(Mount Ebal)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불순종할 경우 받게 될 저주를 낭독하고, 백성들은 응답하여 말해야 했다.

여호수아 8장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요새(또는 도시)인 아이(Ai) 성에서 승리를 거둔 후, 한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에발 산이 있는 세겜 근처에서, 여호와(YHWH, יהוה)와 언약식을 거행했다(수 8:33). 여호수아가 여호와께 제단을 쌓은 곳은 에발 산이었다(여호수아 8:30). 에발 산은 사해 북서쪽,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에발 산 남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그 사이에는 세겜(city of Shechem)이 있다(수 24:25).[1] 세겜 북쪽의 에발 산의 높이는 약 940m(3,084 feet)이며, 산 동쪽에는 이스라엘 하이파 대학(University of Haifa)의 세속적 고고학자인 아담 제르탈(Adam Zertal, 1936~2015) 교수가 발견했던 제단(altar)이 있다.[2]

1980년 제르탈 교수는 에발 산에서 대형 직사각형 제단(30㎡, 높이 3m, 아래 그림 참조)을 발견했고, 1982년부터 1989년까지 발굴 작업이 이어졌다. 제르탈 교수는 이 대형 직사각형 구조물이 여호수아의 언약 기념 제단(Joshua’s covenant ceremony altar, 여호수아 8:30-35)이라고 믿었다. 제르탈의 발견에 대해 고고학계의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히브리 대학의 벤자민 마자르(Benjamin Mazar) 교수 등 몇몇 저명한 고고학자들은 확신을 가졌다.

대형 구조물 주변을 발굴한 결과, 많은 양의 재(ash)와 주로 어린 수컷 동물(주로 정결한)의 뼈 1,000여 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이 유적지가 성경적 기준에 따라, 동물 희생 제사를 지내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르탈은 발견된 도자기(pottery)와 스카라베(scarabs, 스카라브, 스캐럽, 부적으로 사용된 풍뎅이 모양의 조각)를 근거로, 이 제단의 연대를 BC 13세기에서 12세기(BC 1225년경)로 추정했다.[3] 이것이 여호수아의 제단이라면, BC 15세기(BC 1446~1400년) 경에 일어난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시기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르탈의 발굴 결과, 거대한 직사각형 제단 아래에 더 이른 초기의 제단이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아래 그림 참조).[4] 이 초기 제단은 원형으로, 지름이 2m에 불과했으며, 가공되지 않은(다듬지 않은) 중간 크기의 돌들로 만들어져 있었다. 제르탈은 이 작은 제단 바로 위에 깨끗한 재와 동물의 뼈들로 이루어진 10cm의 층이 있었고, 그 대부분은 불에 태워졌다고 말한다(신명기 27:7, 여호수아 8:31 참조). 제르탈은 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고 믿고 있었지만, 그 연대는 거의 같은 시기(BC 1250년경)로 추정했다.

몇 년 전, 고고학자 스콧 스트리플링(Scott Stripling)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했던 것에 주목했다. 그러나 정치적 이유로 인해,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한 것에 대한 발굴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제르탈이 발견한 대형 구조물(제단) 옆의 파편 더미에 남겨져 있는 물질들을 습식 선별(wet-sift, 물로 체에 쳐서)할 수 있었다.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작은 원형 제단이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으며, 이 제단에 대한 제르탈의 연대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높으며, 연대는 BC 15세기(BC 1400년경)로 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5]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제르탈에서 출토된 유물을 습식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증거들을 통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었다.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 유적지에서 더 이른 시기의 도자기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 장소가 더 일찍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원형 제단(round altar)과 관련된 물질에서, 파라오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BC 1504~1450년경)의 스크라베(scarab)가 발견되었다. 전통적인 견해는 투트모세 3세 스크라베는 기념품(commemorative)이며, BC 13세기의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에발 산, 실로(Shiloh), 여리고(Jericho)와 같은 유적지에서 제18왕조(Eighteenth Dynasty, BC 15세기) 스크라베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기념품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발견들은 지배적인 후기 연대설(late-date theory, 후기 출애굽설)에 도전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 경우도 그 이론이 해석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6] 그러나 스트리플링이 믿고 있는 것처럼, 투트모세 3세의 스크라베가 기념품이 아니라면, 이 풍뎅이 모양의 스크라베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일찍 건설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원형 제단은 초기 가나안 인들의 제단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여호수아는 그들의 제단을 허물라는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다.(따라서 모두 허물었을 것이다).(사사기 2:2; 출 34:13 참조). 또한 원형 제단에 속한 모든 돌들은 가공되지(쇠 연장으로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이는 여호수아 8:31절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경의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에발 산에 있는 여호수아의 제단(Joshua’s altar). <Image courtesy of Melissa Barreiro/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에발 산의 저주 서판

2022년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의 스트리플링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에발 산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비문이 새겨진 작은 납판(lead tablet, 가로 세로 2cm)을 발견했다고 밝혔다.[7] 이 납판은 2019년에 제르탈이 에발 산에서 발굴한 동쪽 파편 더미를 습식선별(wet-sift)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되었다. 고고학적 배경과 서문 분석에 따르면, 이 저주 서판(curse tablet, Defixio, 데픽시오)은 후기 청동기시대(BC 1400~12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었다.[8] 이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알려진 히브리어 비문보다 최소 2세기 이상 더 오래된 것이다.[9] 접힌 납으로 된 판에는 철필(iron stylus)로 납에 새겨놓은 고대 히브리어 비문이 들어 있었는데(욥기 19:23-24 참조), 원시 알파벳 문자(또는 원시 히브리어 문자)인 48개의 철자(하나는 하나님의 다른 히브리어 이름인 엘(El)과 결합된 신성한 이름 YHW(YHWH)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10] 비문은 교차대구 병행법(chiastic parallelism)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이렇게 읽혀진다 :

당신은 yhw 신의 저주를 받았다, 저주를 받았다.

당신은 죽을 것이다, 저주받고 저주받고, 당신은 반드시 죽을 것이다.

저주받은 당신은 yhw에 의해서 저주받았다.[11]

.에발 산에서 발굴된 납으로 된 저주 서판(Curse Tablet). <Image courtesy of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The Mount Ebal Curse Tablet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그분에 대한 다른 이름을 갖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


동일한 하나님을 두 히브리어 이름(YHW and EL)을 사용하여 함께 지칭하고 있는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문서가설((documentary hypothesis)의 한 주요 요소를 반박하는 것이다. 성경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토라(Torah, 오경)는 BC 15세기 경에 모세에 의해 쓰여진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시기(BC 960~550년경)에 여러 저자(약칭 J, E, D, P)들에 의해 편찬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신, 즉 여호와(YHWH)와 엘/엘로힘(El/Elohim)을 경배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The Documentary Hypothesis, 참조). 그러나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이름이 서로 달랐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Evidence for Mosaic Authorship of the Torah 참조). 또한 히브리인들이 글을 읽을 줄 알았다는 사실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6:9).

발견된 위치와 연대는 신명기 11:29절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가 가서 차지할 땅으로 너를 인도하여 들이실 때에 너는 그리심 산에서 축복을 선포하고 에발 산에서 저주를 선포하라”는 성경 말씀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신명기 27장과 여호수아 8장에 따르면, 에발 산은 저주의 산이었다.[12] 서판의 연대가 BC 1400년경이라면, 이는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정복한 시기와 일치하며, 성경의 출애굽 연도인 BC 1446년 경에서 약 46년 후(광야 40년 + 가나안 정복 약 6년)로서, 출애굽의 성경적 연대를 확고히 지지해주는 것이다(열왕기상 6:1 참조).

여호수아는 에발 산에서 모세의 율법을 돌에 새겼다(여호수아 8:32). 이 예표적 사건은 우리들 자신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갈라디아서 3:10절에서 사도 바울은 무릇 율법 행위에 의존하고 있는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다며 이렇게 말씀한다 : 

“무릇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나니 기록된 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모든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아담의 후손인 인류는 율법의 저주 아래 있으며, 그 저주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3:13절에서 이렇게 말씀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심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사람들은 죄의 저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예수님은 축복의 장소인 하늘로부터, 하나님의 저주 장소인 땅으로 오셔서(창세기 3:17), 인류의 죄를 사하시기 위한 희생 제물로 자신을 바치셨던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마땅히 받아야 할 저주를 받지 않고, 받을 수 없는 신령한 복을 받게 되는 것이다.(에베소서 1:3).


Footnotes

1. Shechem is where Abraham first sacrificed to God when he entered Canaan around 600 years earlier (Genesis 12:6–7).

2. The altar is oriented toward the east (a ramp was uncovered on the western side of the altar). If a priest was ascending the altar on the ramp to offer sacrifices, then he would be facing east (cf. Exodus 27:13).

3. Adam Zertal, “Has Joshua’s Altar Been Found on Mt. Ebal?” BAR 11, no. 1 (1985): 26–43.

4. Adam Zertal, “An Early Iron Age Cultic Site on Mount Ebal: Excavation Seasons 1982–1987,” Tel Aviv 14 (1987): 110.

5. Scott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in Five Views On the Exodus, ed. Mark D. Janzen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2021), 47.

6.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47–48.

7. The findings have been peer-reviewed. See Dr. Scott Stripling et al., “‘You are Cursed by the God YHW:’ an early Hebrew inscription from Mt. Ebal,” Heritage Science 11, no. 105 (May 2023): https://heritagesciencejournal.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40494-023-00920-9.

8. There are only two choices for dates for contents from the dump piles from Mount Ebal: Late Bronze Age II (1400–1200 BC) or Iron Age I (1200–1100 BC).

9. It would predate the Khirbet Qeiyafa ostracon (tenth century BC) by at least two centuries.

10. The inside of the curse tablet contains 48 “proto-alphabetic” letters, 9 of which are aleph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In the 23-word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scription, the word curse (’arur) appears six times and the sacred name, YHW, appears twice.

11. A tomographic scanner from the Institute of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in Telč (Czech Republic) was used to find the reading on the inside of the lead tablet. On the tablet, there was an image of an “Ox-Head,” the symbol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aleph. This symbol was part of the “proto-alphabetic” script and was used prior to 1200 BC. Some of the earliest known “proto-alphabetic” texts were discovered near turquoise mines in the Sinai Peninsula. These are similar to the text in the Mount Ebal curse tablet.

12. It is possible that the Mount Ebal curse tablet reflects a verdict against an individual sinner under a divine curse (see Deuteronomy 21:22–23).


*참조 :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창세기의 문서가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109&t=board

▶ 문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960&t=board

▶ 점토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20&t=board

▶ 출애굽의 증거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723&t=board

▶ 여리고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794&t=board


출처 : AiG, 2023. 7. 12.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joshuas-altar-and-mount-ebal-curse-tablet/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9-05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의 어떤 왕이었을까?

: 크세르크세스 1세? 다리우스 1세?

(Which Persian monarch was the Ahasuerus of the Book of Esther?)

James R. Hughes


    에스더서(book of Esther)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성경 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Ahasuerus) 왕은 크세르크세스 1세(Xerxes I)라고 믿고 있다. 가장 주된 이유는 아하수에로라는 이름과 고대 페르시아어인 크샤야르샤(xshayârshâ) 사이의 명백한 단어적 연관성 때문이다. 그러나 아하수에로를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인 다리우스 1세(Darius I, Hystaspes)로 보는 여러 이유들이 있는데, 다리우스 1세는 그가 지었던 중요한 궁전인 수산(Susa, Shushan) 궁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냈던 반면에, 크세르크세스 1세는 수산궁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았고,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에서 지냈다는 사실이 포함된다. 다리우스 1세 생애의 사건들은 크세르크세스 1세 생애의 사건보다, 에스더서의 사건들에 부여된 연대들과 더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다.

-----------------------------------------


   페르시아의 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아하수에로(Ahasuerus)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성경에서만 등장한다. 에스더서에서 여러 번 등장하며, 다른 두 곳(다니엘 9:1, 에스라 4:6)에서 등장하고 있다. 다니엘서 9:1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와 에스더서에 언급된 아하수에로는 같을 수 없는데, 다니엘서 9:1절의 아하수에로는 메대 족속 다리오(Darius the Mede)의 아버지였기 때문이다. 반면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의 통치는 그보다 후대(전통적 연대에 따르면 BC 522~486년, 또는 BC 486~465년)이다[1]. 에스라 4:6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 역시 에스더서에 언급된 왕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는 아마도 고레스(Cyrus)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캄비세스 2세(Cambyses II)일 것이다[2].

에스더서의 시작(그리고 전체에 걸쳐)에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는 페르시아 왕은 누구였을까? 그는 인도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의 통치자였기 때문에, 페르시아 제국의 전성기에 통치했던 왕이었음이 분명하다(에 1:1). 그리스도 시대 이전부터 그에 대한 다양한 페르시아 왕들이 거론되어 왔다(예로, 외경(Apocrypha)과 칠십인역(LXX)에서는 아하수에로를 아닥사스다(Artaxerxes)로 번역함). 에스더서에 기록되어 있는 페르시아 영토의 범위(에 1:1), 왕이 수산궁에서 거주한 사실(에 1:2), 임명된 일곱 지방관(에 1:14), 연안/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함(에 10:1) 등은 다리우스 1세 이전의 왕들을 배제시킨다.

대부분의 현대 주석가들 사이에서 압도적인 합의는 아하수에로가 다리우스 1세(재위 BC 522~486년)의 아들인, 크세르크세스 1세(재위 BC 486~465년)라는 페르시아 왕이었으며, 다니엘서에 언급된 다리오(Darius)라는 왕과는 다른 인물이라는 것이다(단 5:31, 6:1ff, 9:1, 11:1). 일부 주석가들은 이러한 신원(identification)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 NIV의 번역자들은 이러한 신원 확인을 가정하여 에스더서의 번역본에 크세르크세스라는 이름을 포함시켰다. 이 견해는 네덜란드 학자였던 조셉 스칼리거(Joseph Scaliger, AD 1540~1609)가 역사 연대기 연구에서 처음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3] 제임스 어셔(James Ussher, AD 1581~1656)는 스칼리거와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데, 아하수에로를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 즉 다리우스 1세로 이해했다. 


에스더서에 등장하는 페르시아의 왕 아하수에로는 크세르크세스 1세(Xerxes I)였다는 주장에는 주로 세 가지 논거가 제시된다 :


1. 크세르크세스의 통치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성경 외의 사건들은[4] 에스더서에 기록된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과 서로 연관시켜볼 수 있다. 에스더서 1장에 기록된 잔치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와의 마라톤 전투(Battle of Marathon, BC 490년)에서 패배한 아버지(다리우스 1세)의 복수를 위해 준비하던 시기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이 잔치에는 수산궁에 소집된 각 지방의 지도자(종속된 왕과 총독)들과 함께 계획을 세우고, 그리스를 공격하기 위해 함대와 군대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려는 기회였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크세르크세스가 페르시아에 있을 때에는, 에스더서의 사건이 일어난 수산(Susa, Shushan)이 아닌,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에서 10년 이상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수산궁을 왕실 거주지로 사용하는 일은 다리우스 1세 이후 아닥사스다 2세 시대까지 줄어들었다.[5] 크세르크세스가 수산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증거는 없다.[6] 살라미스(Salamis)에서 크세르크세스의 해군이 패배하고(BC 480) 페르시아로 돌아온 후, 그가 재위 7년(BC 479년 또는 478년)에 에스더와 결혼했다면(2:16), 그 전 해에 멀리 그리스에 있었는데, 어떻게 수산성의 후궁(harem)으로 처녀들을 모으기로 한 결정(에 2:1-4, 12)에 동의했는지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헤로도토스(Herodotus, 고대 그리스 역사가)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변덕스럽고 폭압적인 성격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것은 에스더에 묘사된 아하수에로의 성격과 일치된다고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인에 대한 애정이 없던 그리스 사람이었다. 그는 그리스인들의 적이었던 많은 인물들에 대하여 가혹한 평가를 내리곤 했다.[7] 그리고 크세르크세스에게 부여된 것과 동일한 성격적 특성은 다른 페르시아(그리고 그 이전에는 바빌로니아, 그 이후에는 그리스와 로마) 왕들에게도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절대적인 권력을 갖게 되고, 신처럼 숭배받게 된다면, 폭압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며,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은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현상을 알 수 있다.


3. 펜실베니아 대학의 언어학자인 롤랜드 켄트(Roland G. Kent)는 당시의 많은 설형문자 비문(예: 수산 및 페르세폴리스 유적의 기둥, 석판, 벽, 동상 등)을 번역했다. 설형문자에서 크세르크세스는 자신을 크샤야르샤 크샤야티야(xshayârshâ xshâyathiya)라고 지칭하는데[8], 켄트는 이를 '크세르크세스 왕(Xerxes the King)'으로 번역했다. 일부 구약학자들은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의 크샤야르샤(khshayarsha)를 히브리어로 유사하게 기술한 것(approximation)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전 페르시아(또는 메대) 왕이었던 캄비세스 1세(Cambyses I)도 성경에서 아하수에로라고 불려지고 있다(단 9:1). 그는 메대 족속 다리오(Darius the Mede, 아마도 고레스 대왕)의 아버지였다. 그의 이름이 크세르크세스였다는 증거는 없다.[9] 또한 에스라 4:6절에 언급된 아하수에로 역시 에스더서에 언급된 아하수에로와는 다른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10] '아하수에로(ahasuerus)'(이것이 고대 페르시아어 ‘크샤야르샤’의 비슷한 발음으로 음역된 것이라면)는 '아하(aha)'와 '수에로(suerus)'에서 '강력한 사람(mighty man)' 또는 '강력한 눈(mighty eye)'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칠십인역에서 에스더 1:1절의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이 번역된 것처럼, '아르타(arta)’와 '크세르크세스(xerxes)‘와 같을 수 있다. 만약 이 경우라면, 아하수에로는 영어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Artaxerxes, 아닥사스다)'로 번역될 수는 있지만, '크세르크세스(Xerxes)'로는 번역될 수는 없다. 구약 성경의 일부 기자들은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을 페르시아 왕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 에스더서의 저자는 "아하수에로 (왕) 때에(in the days of Ahasuerus), 아하수에로는...다스리는(the Ahasuerus who reigned)"(에 1:1)라는 문장으로 이것이 증명되는데, 이것은 "왕 때에(in the days of the king), 다스렸던 왕(the king who ruled),..."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크세르크세스 1세 이전에 메대-페르시아 제국에는 크세르크세스(Xerxes)라는 왕은 결코 없었다. 유대인의 관점에서, 구약에서 바로(Pharaoh, '큰 집(great house)'이라는 뜻의 히브리어 'pr-'o'에 해당하는 단어)라는 호칭이 개인 이름과 관계없이 많은 이집트 왕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페르시아 왕들의 개인 이름이라기보다는 호칭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카이사르(Caesar)'라는 호칭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가능성으로, 아하수에로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버지인 다리우스 1세(Darius I, Hystaspes, 재위 BC 522~486년)였다는 것이다.[11] 이러한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여러 이유들이 있다 :


1. 에스드라서 1서(1 Esdras, 외경) 3:1-2절은 이집트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을 통치한 왕으로 다리우스(Darius)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에스더 1:1-3)도 마찬가지이다.


2. 아하수에로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닌, 다리우스 1세(Darius I)라는 것은 에스라 6:14절에서 아닥사스다(Artaxerxes)라는 이름이 다리오와 같이(...Cyrus, Darius and Artaxerxes, kings of Persia) 등장하는 것을 통해 뒷받침된다. 만약 우리가 '그리고(and)'를 '같은(even)'으로 번역한다면[12], 아닥사스다는 다리우스 1세가 되며, 이는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이 아닥사스다라는 이름의 히브리어 묘사라는 롤랜드 켄트(Roland Kent)의 제안을 지지하는 것이다.


3. 다리우스 1세의 생애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시기는 성경 외적인 출처를 통해 에스더에 기록된 아하수에로 통치 기간과 상호 비교될 수 있다 : 

• 다리우스 1세는 여섯 명의 제후(1:14에 언급된 일곱 명 중 여섯 명일 가능성이 높음)들의 도움을 받아, 찬탈자 가우마타(Gaumata)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BC 522년에 왕위에 올랐다[13]. 그는 통치 초기 몇 년 동안 지방의 반란을 진압하고, 키루스(Cyrus, 고레스)가 세웠던 제국을 재정복하는 데 몰두했다.

• 이 기간 동안 그는 고레스의 딸인 아토사(Atossa)와 결혼했고, 그녀에게서 아들(Xerxes, 크세르크세스)을 낳았다(BC 518년).[15] (제임스 어셔는 ’세계 연대기(The Annals of the World)‘에서 아토사를 와스디(Vashti)와 동일시 하고 있다.[14])

• 다리우스 1세는 수산(Susa, Shushan)에 중요한 궁전을 지었고(그림 1)[16], 재위 3년째인 BC 519년에 수산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아하수에로가 재위 3년째에 수산에 있었던 것과 일치한다(1:3).

• 왕비 와스디(Vashti)가 폐위된 후, 다리우스 1세는 바빌론에서 일어난 반란에 대처하기 위해 수산을 떠나야 했다. 그는 바빌론을 포위 공격하여 탈환했다(BC 519년). 바빌론에서 돌아온 후, 그는 다시 수산에서 시간을 보냈다. 이 기간 동안 후궁(harem)으로 처녀들을 모으기로 결정하고(에 2:1-4), 1년 후(에 2:12) 에스더를 데려와 왕비로 임명한다(BC 516년).

• 그후 그는 스키티아(Scythia)를 침공하기 위해 몇 년을 떠나있었고, BC 515년에 인더스 강 유역까지 제국을 확장했다(에 1:1).

• 그가 돌아온 후, 하만(Haman)은 유대인들을 제거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에스더는 정복에서 돌아온 이후 아하수에로의 면전에 부름을 받지 못했다.

그림 1. 에스더가 살았던 수산에 있는 다리우스 궁전의 벽면 장식.


4. 페르시아 제국의 영토는 다리우스 1 세 통치 기간 동안 가장 컸다. 투키디데스(Thucydides, 고대 그리스 역사가)에 따르면[18], 다리우스는 에게 해의 섬들을 정복했다. 수산에 있는 한 비문에서 다리우스는 말하고 있었다 : "아후라마즈다(Ahuramazda)의 은총으로 내가 페르시아 밖에서 정복한 민족들이 여기 있다. 그들은 내게 복종하고 조공을 바친다. 내가 명령하는 것은 무엇이든 성취된다. 그들은 내 법을 존중한다... 바다를 지키는 그리스인들..."[19]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다리우스 1세는 연안/섬들에 세금을 부과했다 : "그의 통치 후반에 섬들과 먼 테살리아(Thessaly)까지 유럽 국가들의 조공은 그 액수가 늘어났다. 대왕은 이렇게 받은 조공물을 녹여, 액체 상태일 때 흙 그릇에 넣고 나중에 꺼내어 금속을 고체 덩어리로 만들어 저장했다. 돈이 필요할 때, 그는 이 금괴를 녹여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 주조했다."[20] 에스더 10:1절은 이러한 조공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영토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BC 480년 살라미스 전투에서 그리스군에게 패배한 후 잃어버렸다. 즉 에스더서의 왕이 크세르크세스 1세였다면, 에스더서가 작성되기 전에 조공들은 사라졌을 것이다.

표 1. 다리우스 1세 생애의 사건들과 에스더서의 사건들과의 상관관계


5.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수산에 도착하여 페르시아의 일곱 제후 공의회를 설립한 것은 다리우스 1세였다 (에 1:14).[21]


6.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내는 아메스트리스(Amestris)였다. 그녀가 크세르크세스로부터 폐위되었다거나, 좋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다. 그녀는 그녀의 아들 아닥사스다 1세(Artaxerxes I, 아르타크세르크세스)가 왕이 되었을 때에도, 계속해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다리우스 1세는 왕비 아토사(Atossa, 와스비일 가능성)를 폐위시켰거나, 덜 호의적으로 보았을 가능성이 있다. 다리우스 1세는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적 이유로, 이전에 두 번 결혼한 고레스의 딸인 아토사와 결혼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토사는 다리우스 1세의 여러 아내 중 한 명이었지만, 가장 총애를 받았던 아내는 아니었다고 한다. 다리우스 1세가 가장 총애했던 부인은 처녀 아르티스톤(Artystone)으로, 헤로도토스는 그녀가 고레스(Cyrus)의 어린 딸이라고 말하지만[22], 어셔(Ussher)는 그녀가 페르시아 역사가들에 의해 유대인 출신임이 숨겨졌던, 에스더(Esther, 에 2:17)라고 주장한다. 다리우스는 그녀의 황금 동상을 만들어 아르티스톤을 기렸다.[23] 아토사는 크세르크세스의 어머니였지만, 페르세폴리스 요새화 석판(Persepolis Fortification Tablets)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24]. 그러나 아르티스톤(요새화 석판에서 Irtašduna)은 큰 영지를 소유한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언급되고 있다(에 8:1).[25] 이것은 에스더서에 와스디(에 1:19-22)에 대해 기록되어있는 것처럼, 아토사가 다리우스에게 호감을 잃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7. 아하수에로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민(에 2:21) 왕의 내시인 빅단과 데레스(Bigthan and Teresh)의 이름은 그리스 외경의(모르드개 시대의) 에스더서에서는(12:1) 가바타와 타라(Gabatha and Tharra)로 알려져 있다. 외경에서 모르드개(Mordecai, 그리스어로는 Mardocheus)는 아닥사스다(Artaxerxes)에게 이 음모를 알렸다. 이 아닥사스다는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에서 에티오피아까지 127개 지방을 통치했다(에스더서의 외경 부분, 13:1).


8. 하만의 아들 중 한 사람의 이름은 바마스다(Vaizatha, 에 9:9)이다. 야마우치(Yamauchi)는 언어학 연구들을 인용하여, 이중모음 'ai'가 크세르크세스 1세와 아닥사스다 1세 통치 사이에 'e'로 바뀌었다고 결론내렸다.[26] "이것은 에스더서에 전해지는 이름들이 놀랍도록 오래되고 정통하다는 것을 나타낸다."[27] 이것은 에스더서가 종종 제안되는 것처럼 헬레니즘 후기 시대가 아니라, 에스더와 동시대에 쓰여졌다는 증거이다. 또한 에스더서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닌 다리우스 1세의 생애 중(또는 그 직후)에 히브리어로 작성되었음을 암시한다.


9. 에스더 2:6절에 보면 모르드개는 유다 왕 여고냐(Jeconiah) 시대(BC 597년)에 포로로 잡혀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을 BC 486~465년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13년(BC 473년)에 총리로 승진했다면(에 8:1-2), 최소 124세였을 것이다. 그러나 다리우스 1세에 의해 승진했다면, 대궐 문에 앉아 있던(에 2:19) 연장자에게 더 현실적인 나이인 대략 88세였을 것이다.


결론

이러한 역사적 증거들의 분석은 에스더의 남편인 아하수에로가 오늘날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믿고 있는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니라, 다리우스 1세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Traditional dates for the Persian period are used in this article in order to correlate the dates provided in extra-biblical writings with the events in Esther. However, as David Austin has shown (Is Darius, the king of Ezra 6:14–15, the same king as the Artaxerxes of Ezra 7:1? J. Creation 22(2):46–52, 2007) the dates used to calculate the duration of the Persian period may be incorrect since they are generally based on Claudius Ptolemy’s king records, which could be mistaken, since he wrote centuries after the Persian period. Austin’s conclusions do not affect the relative correlation of dated events in the lives of Darius I and Xerxes I with the dates in the reign of Ahasuerus provided in Esther.

2. Easton, M.G., Easton’s Bible Dictionary, Harper & Brothers, New York, 1893.

3. Tyrwhitt, R.E., Esther and Ahasuerus: An Identification of the Persons So Named ..., Burntisland, Scotland, p. 3, 1868.

4. Identifying exact dates for most of the events in the lives of Persian monarchs is difficult. Dates for specific ev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source consulted.

5. Perrot, J. (Ed.), The Palace of Darius at Susa: The Great Royal Residence of Achaemenid Persia, I.B. Tauris, pp. 22, 119, 2013.

6. Perrot, ref. 5, pp. 454, 461, 464.

7. Baragwanath, E., Motivation and Narrative in Herodot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 Old Persian Texts, www.avesta.org/op/op.htm.

9. Based on this suggested word association, the NIV translates Ahasuerus as Xerxes in Daniel 9:1.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name, translated as Xerxes, was used by the Medes prior to the consolidation of the MedoPersian Empire under Cyrus. In addition, Xerxes I (518–465 bc) could not have been the father of the Darius (Cyrus) of Daniel, who was 62 years old in 539 bc (Daniel 5:31). The NIV translation introduces unnecessary confusion by translating Ahasuerus as Xerxes.

10. Spence-Jones, H.D.M. (Ed.), Esther, Funk & Wagnalls, London, p. 1, 1909; p. 45.

11. See, Jones, F.N., The identity of Ahasuerus in the Book of Esther; in: The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Master Books, Green Forest, AK, pp. 199–205, 2009.

12. Austin, ref. 1.

13. en.wikipedia.org/wiki/Darius_I; see: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84; 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dt.+3.84&fromdoc=Perseus%3Atext%3A1999.01.0126, accessed 29 June 2016.

14. James Ussher, The Annals of the World, archive.org/stream/AnnalsOfTheWorld/Annals_djvu.txt; sections: 1009, 1027, 1035, accessed 29 June 2016.

15. If Xerxes was born in 518 bc (some place his birth in 520 bc), this could appear to present a problem for the identification of Ahasuerus as Darius, since Vashti was deposed before Xerxes was born. However, the banquet lasted 180 days(1:4). It may have been started in late 520 bc and continued into 519 bc. If Xerxes was conceived near the end of the banquet period, he could have been born after his mother was deposed as queen, in 518 bc.

16. Jean Perrot (Ed.), John Curtis (Introduction), The Palace of Darius at Susa: The Great Royal Residence of Achaemenid Persia (I. B. Tauris, 2013).

17. Perrot, ref. 16, pp. 411–412.

18. Thucydides, History of Peloponnesian War; bk 1, chapter 1, classics.mit.edu/Thucydides/pelopwar.1.first.html, accessed 29 June 2016.

19. Perrot, ref. 16, p. 283.

20.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96;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1.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s 70, 71, 74, 76;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2.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3, chapter 88; mcadams.posc.mu.edu/txt/ah/herodotus/Herodotus3.html, accessed 29 June 2016.

23.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7, chapter 69; 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dt.+7.69&fromdoc=Perseus%3Atext%3A1999.01.0126, accessed 29 June 2016.

24. www.livius.org/pen-pg/persepolis/fortification_tablets.html, accessed 29 June 2016.

25. www.livius.org/da-dd/darius/darius_i_4.html,  www.livius.org/arl-arz/artystone/artystone.html, accessed 29 June 2016.

26. Diphthong: two adjacent vowel sounds occurring within one syllable.

27. Yamauchi, E.M., The archaeological background of Esther: archaeological backgrounds of the exilic and postexilic era, pt 2, Bibliotheca Sacra 137(April–June):99–117, 1980; www.biblicalstudies.org.uk/pdf/bsac/1980_099_yamauchi.pdf, accessed 29 June 2016. 

*James R. Hughes is a graduate of Harvard University(B.A. cum laud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M.A.), and Ottawa Theological Hall. He taught Statistics for the Behavioural Sciences at Tyndale University College for ten years, served on the board of the Pregnancy Care Centre for over twenty-five years, and serves as an Elder in the RPCNA congregation in Toronto. He began his career as an urban planner, has managed large, complex, systems integration projects, and currently leads the Business Analysis capability for a major technology company.


*참조 : Is Darius, the king of Ezra 6:14–15, the same king as the Artaxerxes of Ezra 7:1?

https://creation.com/darius-is-artaxerxes

The Times of the 'Great Kings' of Persia.

https://dl0.creation.com/articles/p028/c02821/j03_1_128-134.pdf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요셉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07&t=board

▶ 모세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04&t=board

▶ 출애굽의 증거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723&t=board

▶ 하솔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788&t=board

▶ 인장(이세벨, 이사야, 히스기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34&t=board

▶ 느헤미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27&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0(3) 2016.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06/c10615/j30_3_74-77.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3-08-21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by Gavin Cox


개요 : 함이 노아 가족의 이름들과 지식, 홍수를 직접 겪었던 경험을 이집트로 가져갔다고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이 시리즈 글 4부에서는 대홍수의 생존자인 노아, 야벳, 셈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에서 알려져 있었을까? 그리고 이들이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을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시리즈 글 1부와 2부는 이를 입증하기 시작했으며, 3부에서는 첫 번째 테스트 사례로 함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증거들을 바탕으로, 4부에서는 노아, 야벳, 셈이 고대 이집트의 개인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대홍수의 족장 이름과 오그도아드를 비교하여, 이집트의 다신교 문화에서 노아와 아들들이 신격화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언어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


이 연구의 기본 전제


이집트의 파라오, 사제, 조상들은 이집트인들에 의해서 신격화되고 숭배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은 이집트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제3왕조 파라오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의 건축가이자 사제인 임호텝(Imhotep, 이모텝)은 신이 된 사람의 대표적인 예이다.[1] (참조 :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2). 이 연구에서는 함의 영향을 받아 신격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노아, 야벳, 셈의 이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나는 그들의 이름과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오그도아드 사이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확립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


히브리어 노아(Noa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누(Nu)'(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셈(Shem)(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셈(Shem)'(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노아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히브리어 노아(ַחֹנ)와 가장 가까운 발음상의 인명을 찾기 위해 이집트 사전을 참조했다. 이집트어와 히브리어에서 어떤 소리가 동등한지 고려하여 단어 검색 매개변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고려했다. 로프리노(Loprieno)는 "아시아-아프리카어족(Afroasiatic, Hamito-Semitic)의 *n과 같은 '치음(dental consonants)'은 이집트어/n/으로 유지되었고"[2], 콥트어 n,은 이 강한 자음에서 유래했다고 지적한다. 맛소라 사본(MT)에서 öª로 지적된 히브리어 모음은 이집트 모음 /w/ 및 /u/에 해당한다. (w = u는 다른 표기법 내에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히브리어 노아(Noah)의 '말단 무성 인두 마찰음'()은 이집트어 //로 표현된다. 이러한 음성학적 사항들을 고려하여, 다음의 검색 음소에 대한 제약 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으로 3개의 자음 근 nwḥ와 그 기본적인 쌍자음 근 nw.을 테스트 사례로 사용하였다.[4] 표 1의 데이터는 대표적인 예로 이집트어 어휘에서 검색되었다.


결과 논의

사전에서 이중자음 어근 'nw'가 접두사로 붙은 18개의 개인 이름들과 146개의 신성한 이름들이 집계되었으며, 그 예는 표 3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OK) 피라미드 텍스트(PT)에 일찍부터 등장한다. 히브리어 노아 'nwḥ'와 정확히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름의 10가지 예는 제6왕조 시대부터 일반적으로 신성한 별칭의 접두사로 발견되었다. 비슷한 이름인 nwy는 제6왕조 PT-1525에 등장한다. 대부분의 누(Nu) 이름에는 히브리어 노아에 있는 마찰음 'ḥ'가 없는데, 이는 그리스어(Νῶε)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다. 누는 히브리어 노아와 비슷한 가장 일반적인 이집트어 이중자음 발음 이름이다.

표 1. 노아(Noah)와 '유사음'을 가진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


노아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성경 본문은 홍수 이야기의 음성학적 단서에서 파생된 '노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출발점이다. 가르시엘(Garsiel)은 이렇게 말한다 :

"학자들은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에 다양한 미드라쉬 이름 파생어[midrashic name derivations, MNDs]가 부착되어있다고[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를 확고히 하며] 지적했다."[5]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은 주요 단계에서 반영되어 있는데,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이 현상을 '확장된 언어유희(paronomasia)'(단어의 유희)라고 불렀다.[6] 폴락(Polak)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노아라는 이름은 홍수 이야기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유사한 어휘들의 광범위한 집합의 중심에 서 있다." [7]

이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창세기의 핵심 구절은 다음 5개 구절이다 :

וַיִּקְרָ֧א אֶת־שְׁמ֛וֹ נ֖חַֹ לֵאמ֑רֹ זֶה יְנחֲַמֵ֤נוּ מִֽמַּעֲשֵׂ֙נוּ...

“(라멕이) 이름을 노아(nōaḥ)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naḥăm)하리라 하였더라” (창세기 5:29).

ווַיּנִָּח֣םֶ יְהוָ֔ה כִּֽי־עָשָׂ֥ה אֶת־הָֽאָדָ֖ם בָּאָ֑רֶץ...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nähem) 마음에 근심하시고"(창세기 6:6).

... ותַָּנ֤חַ הַתֵּבָה֙ ... עַ֖ל הָרֵ֥י

"... 방주가 아라랏 산에 머물러 쉬었다(naḥ) ..."(창세기 8:4, 새번역).

... וְלֹֽא־מָצְאָה֩ הַיּוֹנהָ֙ מָנ֜וֹח לְכַף־רַגְלָ֗

"... 그 비둘기(nāh)는 발을 붙이고 쉴 만한(nôªḥ) 곳을 찾지 못하여..."(창세기 8:9, 새번역).

...ויַּרַָ֣ח יְהוָה֮ אֶת־רֵ֣יחַ הַניִּחחַֹ֒... וַיִּבֶ֥ן נ֛חַֹ מִזְבֵּ֖חַ

"노아(nôªḥ)가 제단을 쌓으니.... 여호와께서 그 향기(nîḥōaḥ)를 받으시고..."(창세기 8:20-21).

노아에 대한 라멕의 예언적 이름에 대한 설명(창세기 5:29)에서, naḥăm(piel imperfect, 강한 능동 미완료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라멕이 동사 어근의 '편안함/안식'이라는 측면을 끌어들였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홍수 이야기에서 "방주가 쉬었다", "비둘기가 안식을 찾지 못했다", "여호와께서 달콤한 향기를 맡으셨다"와 같은 언어유희(paronomasia)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으로 관찰된다. (BDB-5967은 nîḥōaḥ를 "하나님이 받으시는 제물의 평온한 진정시키는 향기(냄새)"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는 여호와께서 심판하시는 일을 쉬시도록 하게 한다는 뜻이다). 창세기 6:6절에서 한탄(nahem)은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으로,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BDB-6037은 이것을 "미안해하고, 동정심을 느끼고, 동정심을 가지고 ... [더 나아가 보살피다]"로 번역하고 있다.)

성경 본문은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제공한다. 노아의 이름 어원(etymology)에 대한 TWOT-1323f 해설은 주목할 만하다 :

"[노아와 공유된] 어근(root)은 움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장소에 정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mānôaḥ, 휴식처(resting place)... 이 명사는 동물이나 사람을 위한 nûaḥ (움직이지 않는, 안전)의 장소, 즉 정착할 장소, 집을 나타낸다."

이러한 성경적 개념을 염두에 두고, 표 2는 '노아'에 대한 성경적 의미 범위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TWOT는 어근과 관련된 5개의 단어가 나열되어 있는데, 표 2를 보라.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설정한 후, 의미와 소리가 동일한 이집트어 단어(의미 및 음성 대응어)를 TLA(Thesaurus Linguae Aegyptiae)에서 검색했다. 표 3에는 이 검색 결과가 나와 있다.

표 2. 음성 어근에 의한 노아의 의미 범위


결과 논의

nw 음성 어근이 포함된 단어에 대한 TLA 검색을 수행하여 116개의 단어가 검색되었다. 표 3에는 창세기 홍수에 상응하는 확장된 언어유희로 사용된 17개의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음성 어근 nw(N35 '물결(water ripple)'과 W24 '누 포트(nu pot)'로 상징됨)는 이중자음 어근 또는 가장 가까운 음성 등가로 간주되었다. 이들 중 13개 단어는 고왕국(OK)에서, 4개 단어는 중왕국(MK) 이후에서 유래했다. 표 3에 제시된 TLA 데이터는 노아라는 성경적 이름의 의미 범위와 강력한 음성적, 의미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의 이름을 지을 때 사용된, 히브리어 피엘 불완전 동사 '위로/슬픔'(naḥăm)과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한탄'을 묘사하는 6:6절의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 nahem과 고왕국 이집트어가 유사하다는 점이다. "세상에 대한 창조주의 관심"(Wb II, 223.4)으로 번역된 고왕국 'nwr'과, "돌보다"(Wb II, 220.5–14)로 번역된 고왕국 'nwi'에서도 놀랍도록 동일한 개념이 등장한다. 또한 노아의 이름에 내재된 '안식'과 '가정'의 측면은 '안식처', '휴식', '거처'를 의미하는 고왕국 nni, ḫni, mn.w에 반영되어 있다. 특히 이집트어 어휘(Wörterbuch)는 niwy를 "쉼을 얻다(홍수와 관계되어)"라고 번역하고 있다(Wb II, 203.2).

표 3. 음성 'nw' 어근 단어를 포함하는 이집트어 어휘


표 3은 '노아'와 직접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갖거나, 의미를 공유하는 단어들이 고왕국에 걸쳐 후대에 퍼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고왕국의 신 'Nu(누)'는 (이집트인들이 태고의 홍수에서 출현했다고 믿었던 8명의 신들로 구성된) 오그도아드(Ogdoad, 1~3부에서 설명함)의 우두머리 남성 신으로, 그 이름 자체는 nwnn이다.


문맥에서 nw의 어원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고왕국 텍스트 예시

아래 목록은 문맥에서 nw와 관련된 어근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집트어 텍스트 다섯 가지이다(더 많은 예가 인용될 수 있음).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와 이름에 발음 어근 nw가 있는 오그도아드 구성원을 다시 선택한 예시이다. (로그인 후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user'로 로그인 화면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림 1. 함이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하여 미친 영향.


중왕국. 세소스트fl스 1 세의 비문, 엘 토드의 달 사원, col.[7]

(MK. Inscription of Sesostris I, Month-temple of El-Tod, col. 7.)

    …wbnmsbꜢwꜤ,tjḫr=sḥrwn(n)ẖrnw,ttꜢpn

"... 이 땅에 대한 염려로 가득 차 있으면서 ... 그들과 함께 외로운 별이 되어 떠오르는 사람."[8]


c. BC 518년, 다리우스 1세, 하이비스 신전, 창조주 찬가, 아문 레의 탄생, cols. 22, 23.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Creator Hymn, Birthof Amun Re, cols. 22 and 23.)

nwi.n=fp.ttꜢdwꜢ.t

"하늘과 땅과 지하 세계를 돌보셨다."[9]


고왕국. 파피루스 베를린 P 10474AB recto, 92A-93A, Line b3-6/7.

(OK. From Papyrus Berlin P 10474 AB recto, 92A–93A, line b3–6/7.)

šmirẖnwrjni.tḥtp-nṯr

"신에게 바칠 제물을 가져오기 위해 집(거주)으로 가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 PT 578§1534a.

(OK. Pyramid Pepis I, PT 578§1534a.)

jnṯwtjśḫ(w)inni.w=śnm-ẖnwꜤ=k

"그들이 당신의 품에서 지치거나/피곤하여 [쉬는] 것을 막는 것은 바로 당신이기 때문입니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I, PT 486§1040a-c.

(OK. Pyramid Pepis II, PT 486§1040a-c)

{i:} mi.w mnw, w n ẖpr.t p, t n ẖpr.t tꜢn ẖpr.t

"나는 (?) 하늘이 존재하기 전에 땅이 존재하기 전에 누/(물)에서 태어났다."


c. BC 518년, 다리우스 I. 하비스 신전, 카르낙의 대아문찬송, cols. 40–42.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Great Amun Hymn of Karnak, cols. 40–42.)

ntkNwn-wr,nniswḥrꜢḫ.t

"당신은 들판에 정착하는 눈(Nun) 대왕이시여..."


대아문찬송가의 이 언어유희에서 편안함으로서의 nw의 개념이 드러난다. 클로츠(Klotz)는 "문자 그대로 '움직임이 완만하게 되다'라는 동사 nni는 범람을 기술할 때 '가라앉다' 또는 '정착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10] (즉, '쉬다'라는 의미)라고 지적한다.


요약

위에서 설명한 언어적 증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히브리어 노아(Noah) ('위로', '집', '안식') ≈ 이집트 누(Nu) ('위로', '집', '안식') 

  ≈ 오그도아드 누(Nu) ('위로', '집', '안식').

이집트의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노아와 음성적으로 동일하며, 홍수의 별칭을 형성한다. 누(Nu)에 어원을 가진 어휘는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고왕국(OK)에서 동등한 의미 범위를 공유하므로, 이 이름들이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고, 노아와 그의 아내가 오그도아드 부부 누(Nu)와 누트(Nu.t.)처럼 신성한 조상이 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1).


야벳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성경의 이름 '야벳(Japheth)'은 영어 자음 'j'와 'th'가 포함된 발음으로 영어화 되었다. 히브리어 yäºpet(יֶפֶת)을 영어로 옮기면 'j'는 'j'로, ‘t’는 'th'로 대체된다; 그러한 것은 이집트 자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야벳'의 첫 모음에 관해서는 로프리에노(Loprieno)의 주석이 적절해 보인다 : "반자음 또는 반모음 활음/j/[‘i’로 발음] 과, /w/, 모음은... 대부분 표현되지 않고 남아있다."[11] 그리고 "후기 이집트에서는 삭제되었다."[12] 이집트어 순음의 ‘동음이의자음(homorganic sounds)’ /p/ 과 /b/에 대해, 로프리에노는 그것들은 합쳐졌다고(즉,../p/ > /b/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석하였다.[13] 또한 '치간 마찰음(interdental fricative)' 음소 ḏ와 t는 고왕국 이집트어에서 후기 이집트어 /t/ 및 /d/로 합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였다.[14] 이러한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염두에 두고, 삼자음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개인 및 신성한 이름 ipt/ibt/wpt/wbt가 검색어로 사용되었다. 아래 표 4는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4. 히브리어 야벳(Japheth)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인명 및 신명.


결과 논의

RPN에서 6개의 ipt, 7개의 ibt, 6개의 wpt, 1개의 wbt 개인 이름이 발견되었고, LGG에서는 19개 ipt; 1개 ibt; 0 wbt; 41 wpt의 신성한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는 표 4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신왕국 시대에서 발견된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하며 홍수 별칭으로도 나타난다. 그러나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 변형은 ipt와 wpt 두 가지뿐이다.


야벳: 성경적 이름의 의미

    ...ַיְ֤פּתֱאֹלהיםְליֶפת

    "하나님이 야벳(yapT)을 창대하게(yeºpet) 하사..."(창세기 9:27).

'야벳'의 성경적 의미는 창세기 9:27절의 본문에서 유래되었다. 노아는 창 9:21-27에 기록된 야벳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따라, 야벳의 이름에 담긴 의미를 바탕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축복을 공식화했다. 히브리어 ְתְּפַ֤י (HALOT-3882)는 노아가 분명히 사용하고 있는 단어이다. 단순 능동인 칼(qal) 1 어간에서는 "단순하다", 니팔(niph’al)과 푸엘(puel)에서는 "속다", 피엘(piel)에서는 "유혹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야벳이 축복을 받은 문맥에서는 이러한 측면 중 어느 것도 의미가 없다. 또는 ‘ְתְּפַ֤י는 칼 2 어간에서 "열리다"를 의미하고, 히필(hiphil)에서는 "넓게 하다"를 의미한다. 동사를 분석해 보면, 히필은 형태와 의미 모두에서 불완전하고 불규칙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넓게'와 '넓게 열리다'라는 의미가 받아들여져야 한다(HALOT-7802). 존스(Jones)는 야벳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 몇 가지 적절한 언급을 하고 있다 :

"노아의 장남. 그는 야벳이라고 불려졌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하나님의 약속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나님이 야벳을 창대하게 하시겠다는 약속에 응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후손들이 많고, 널리 퍼진 것은 그의 이름의 어원과 잘 일치하며, 그는 영토와 자녀 모두에서 확대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 고대에 스키타이인들이 살았던 지구의 광활한 지역을 소유했으며, 지구의 서쪽과 북쪽 지역을 망라했다."[15]

표 5. '야벳'에 대한 히브리어 어휘 범위


다른 연구자들은 야벳의 이름이 그리스의 신 이아페토스(Iapetos)[16] 또는 주피터(Jupiter)와[17]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이는 그의 후손들이 북쪽으로 이주한 것과 잘 어울린다. 표 5는 야벳의 이름과 의미 범위를 갖는 연관된 성경 어휘들을 나열한 것이다. 성경의 '야벳(Japeth)'이 이집트 이름과 공통된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검색어로 wb/wp/pḏ 어근을 사용하였다. 표 6은 TLA에 대한 이집트어 탐색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표 6. wb/wp/pḏ 어근이 포함된 이집트 어휘


결과 논의

TLA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찾아주었다: ip–34; ib–72; wp–38; wb–33. 표 6에는 '야벳'과 의미를 공유하는 모든 어근들이 나열되어 있다. 표 5와 표 6은 야벳과 유사한 음성 어근을 가진 이집트 단어의 의미 범위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집트어 ḏ는 '넓은', '넓직한'이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pötè와 의미적으로 공유된다. 고왕국(OK) 개인 이름 Wepet(wp.t)은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난다 ; 즉, "창시자"와 홍수 별칭인 wp-n.t "홍수를 나눈 자"로 나타난다. 이집트어 'wpt'는 '열리다, 넓다'('홍수' 관련)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ypt'와 음성학적으로 유사하며, 이는 'wpt'가 '야벳'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되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함이 이름과 관련 어휘 측면에서 이집트 언어와 관계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2).

그림 2. 이집트 어휘에 미친 함의 영향 


'야벳'과 오그도아드 비교하기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의 이름은 1부와 2부 글에서 언급되어 있으며, 특히 한 구성원인 헤흐(Heh)는 '확장(expansiveness, 광활)'이라는 개념 측면에서 야벳과 즉각적인 의미적(음성적 의미는 아님) 연관성을 갖고 있다. 표 7에는 '헤흐(Heh)'의 음성 어근을 비교할 때, 공유되는 어휘들을 나타내고 있다.

표 7. 헤흐(Heh)의 관련 의미 범위


야벳의 이름의 의미 범위에는 '뻗다', '넓다', '열리다'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헤흐(Heh)와 잘 일치한다. 헤흐의 이름은 고왕국 단어들, 즉 '영원', '무한', '백만', '탐사' 등에 해당하는 단어들과 음성적 어근을 공유한다. 또한 헤흐(Heh)는 이집트 홍수를 묘사하는 신왕국 단어이기도 하다. 더나아가 헤흐(Heh)는 민족 집단인 '부족, 씨족'을 의미하는 고왕국 단어로, 야벳의 후손(Gentiles-Gôyìm)이 멀리 퍼져나간 것과 일치한다.


어근 ipt, pd을 가진 대표적인 텍스트 예 

아래는 음성 어근 ipt, pḏ를 가진 단어가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텍스트이다. 선택된 예문은 야벳의 이름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헤흐(Heh)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OK. Unas Pyramid, PT 54, line 52.

    (w)sjr (|wnjs|) wpi rꜤ = k m mḥ.t im = k 

    "오시리스 우나스, 이것으로 입을 벌려라."

    

OK. Pyramid of Neith, PT 71J, line 328.

    pḏ pf aḥa pn

    "저쪽은 펴고, 이쪽은 서 있어요."

    

OK. Pyramid of Teti, PT 406, line 340.

    …gwꜢ = k m-ḫnt ḥḥ.y = f

    “... 그의 헤흐(하늘을 지지하는) 신들 앞에 착륙한다면.”

    

OK. Pyramid Pepis I., PT 1007, line 95.

    wḏ = k mdw n ḥḥ ḥwi n = k ḥfn. sḏb

    “주께서 악을 물리치라는 수십만, 수백만의 명령을 [당신에게] 주실 것입니다.”


NK. KV 9: Tomb of Ramses VI, Celestial Cow, line 6.

    bꜢ pw n ḥḥw ḥw.t

    "헤흐(Heh)의 바[ba, 정신-spirit]는 홍수이다." ('Heh'의 ḥḥw와 'flood'의 ḥw.t에서 보여지는 언어유희에 주목하라).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브리어 야벳 (Japheth 열린, 넓은)

≈ 이집트어 wb/wp/pḏ (열다, 넓다) ≈ 이집트어 헤흐(Heh 무한, 백만, 홍수).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적 이름은 동등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이름이 성경의 야벳과 일치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이름들은 신성한 이름과 홍수의 별칭으로 등장하며, 오그도아드의 신성한 쌍(남신과 여신)인 헤흐(Heh) 및 헤헤트(Heh.t)와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셈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로프리에노(Loprieno)는 세 가지 관련 치찰음(sibilants)에 대해 설명한다 : "고왕국 이집트어는 세 개의 음소를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z(또는 s), s(또는 ś), š로 표기된다".[18] 로프리에노는 함셈어족(Hamo-Semitic) š와 ś가 이집트어 s(ś)로 이어졌다고 말한다. 이집트어 š는 콥트어 로 살아남았다. 또한 단자음 /m/은[10] 콥트어 비강 순음으로 살아남았다.[19] 이러한 음성적 고려를 통해, 동등한 소리를 내는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을 음성 어근으로 검색할 수 있다 : šm, sm, śm. 아래 표 8은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8. šm/sm/śem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


결과 논의

RPN으로부터 33개의 šm, 32개의 šm, 12개의 śm의 개인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LGG는 300개의 šm, 223개의 šm, 11개의 śm의 변형된 신성한 이름들을 기록하고 있다. 표 8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치찰음(sibilant) š, s, ś를 가진 대표적인 예로, 고왕국 텍스트에 나타나지만, 신왕국에도 지속되어 세 치찰음을 가진 이름 변형들이 모두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 이름들은 결정될 수 있는 한, 성경의 셈과 동일하게 들린다.


셈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셈(šëm)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라..." (창세기 9:26).

셈의 의미는 창세기 9:24~27절에서, 셈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대한 노아의 공식적인 축복 내에서 문맥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로스(Ross)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여호와는 셈의 하나님이 됨으로써, 자신의 이름을 셈의 이름으로 삼고, 자신의 이름과 셈의 이름을 엮어 놓았다." [20] 신학적으로 셈은 여호와와 매우 밀접하고 동일시되는 제사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21] 존스의 언급은 주목할 만하다 :

"셈... 노아의 아들. 그가 형제들 앞에 위치시킨 것은, 아마도 하나님께서 그에게 메시아의 조상이라는 영광을 주셨기 때문이며, 그가 우상숭배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를 형제들 중에서 구별하셨고, 노아가 단호하게 선언한 것처럼, 그는 독특하게 그분의 것이 되었다." [22]

셈의 의미론적 범위는 표준 히브리어 사전에 의해 주어진다 : šëm "이름, 브랜드(brand), 마크(mark), 명성, 대표, 영광"[23]; "이름, 신의 이름, 명성, 유명"[24]; "이름, 유명한, 구별된"[21]. 표 9는 문맥에서 'šëm'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론적 의미 범위를 보여주는 예이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의 '셈'이 공통적 의미를 공유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šm, sm, śm 어근을 검색어로 사용했다. 표 10은 TLA에 대한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셈(Shem)'이라는 이름과 연관된 의미 범위

표 10.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이집트어 어휘들 


결과 논의

음성 어근 šm, sm, śm을 포함하는 단어에 대해 TLA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 šm-141; sm-284; śm-85개의 단어들. 표 10은 히브리어 셈의 의미 범위와 šm, sm, śm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이집트 어휘들 간에 공유되는 어휘의 예를 제시하며, 이는 함의 영향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3). (그러나 일부 주요 상관 어휘는 후기 텍스트에만 나타나며, 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이름'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 rn은 중왕국에서만 '제목'을 의미하는 smꜢ, šmꜢ 과, '이름을 영속하다'를 의미하는 śmnḫ과 같이, 의미적으로 동등한 음성 단어가 등장한다. '형상(image)'과 '상(statues)'들은 중왕국 śmnḫ와 신왕국 śšm.w.로 나타난다(형상 또는 상은 이름이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람 또는 신을 나타낸다). 제사장으로서의 셈의 개념은 'sem’, “priest(제사장)"이라는 고왕국 용어에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노아, 함, 야벳에 대해 제시된 증거들에 비해, 이 세 가지 음성 어근과의 의미적 연결은 고왕국에서는 약하다. 고왕국에서 셈의 '비슷한 소리' 이름들이 성경의 셈과 같은 의미로 이해되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림 3.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한 함의 영향


성경의 셈은 오그도아드에 해당한다. 

'셈(Shem)'은 '이름(nam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된다. 1부와 2부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숨겨진 이름"(jmn-rn, Wb 1, 84.1)은 괜찮은 제목이다.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은 이와 동일한 음성 어근(jmn)을 가지고 있다. 표 11은 셈의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 단어들과 오그도아드 구성원인 '아문(mn)'이 공유하는 이중자음의 음성적 어근을 갖는 어휘들을 비교한 것이다.

표 11은 성경의 셈과 어휘 영역을 공유하는 단어들을 음성적 어근별로 나열한 것으로, 아문이라는 이름이 셈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해되었을 가능성, 특히 '정체성(identity)'을 나타내는 명사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흥미롭게도 mn 어근(mndf.ti)이 포함된 고왕국 단어는 "홍수의 저자(창시자)(Author of the Flood)"를 의미하는데, 이는 피라미드 텍스트(Pepis I, PT 486)에도 등장한다.


문맥에서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대표적인 텍스트 예시

아래는 음성 어근 šm, sm, śm을 가진 단어들이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문장이다. 선택한 예문은 셈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MK. Tomb of Chnumhotep II (Beni Hasan 3), Biography Chnumhoteps II, lines 41.

smn.n = fn = j wḏ šma smnḫ wḏ = sn mi pt

    "... 그는 나를 위해 남쪽 석비(stele)를 세웠고, 하늘처럼 훌륭한 북부 석비를 만들었다..." 

    

NK. Papyrus Cairo CG 24095 (pMaiherperi), Tb 127, line 559.

dwꜢ nṯr. sšm, w. ḏwꜢ.t jn ḏd = f

    "지하 세계의 신들과 형상들을 경배하라 ... 그는 말한다 ..."

    

OK. Unas Pyramid, PT 301, line 558.

    jmn ḥna jmn.t m ẖnm, tj nṯr. šnm nṯr. m š {j} w = sn

    "아문 아무네트, (당신) 둘 다... 신들과 그들의 그림자를 하나로 묶는..."

    

NK. Papyrus Anastasi (Pap. Brit. Mus. 10247), Line 12, 6.

wn-f nk Ꜣs ḥr pꜢi-i smi

    "... 그가 내 평판을 빨리 당신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25]

표 11. 셈의 어휘 영역과 mn 어근 단어 비교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가 이루어진다 :

히브리어 셈(이름, 평판...) ≈ 이집트어 sm, šm, śm(이름, 평판...) 

≈ 아문(Amun) mn(외관, 형상).

이집트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셈과 음성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고왕국에서는 동등한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려우나, 중왕국 이후에는 더 강한 의미가 부여된다. 고왕국에서 셈의 의미는 오그도아드의 부부인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t.)와 연속적으로 비교된다.


결론


3부와 4부 글에서는, 노아, 함, 셈, 야벳은 함의 영향을 받아 고대 이집트에서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로 알려졌음을 보여준다. 3부에서는 성경의 이름이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그리고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단어가 이름 의미를 도출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이름도 비슷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을까? 이 이름들은 히브리어 이름과 비교했을 때, 동등한 의미 범위를 가지고 있는가? 이 '소리가 비슷한' 이름들은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는가? 4부 글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경적-역사적 관점에서 문화적-언어적 영향력이 가장 강한 고왕국(OK)에서 증거가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요약하면, 히브리어 대홍수의 족장들의 이름들은 이집트의 음성학적 이름과 비교할 때, 동등한 의미를 공유한다. 이것은 가장 오래된 예에서 발생하므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그도아드의 이름들과 비교하면, 의미적으로 매우 유사한 점이 눈에 띈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은 이집트의 '비슷한' 개인/신의 이름 및 오그도아드 이름과 비교될 수 있다 :

노아 ≈ nw ≈ Nw(누)

함 ≈ ḥm/hm/ḫm/km ≈ Kek(켁) 

야벳 ≈ ipt/wpt ≈ Heh(헤흐)

셈 ≈ šm/sm/śm ≈ Amun(아문)

오래 전에 사라진 고대 이집트인들을 개인적으로 참조할 수 없기 때문에, 제시된 증거들은 이러한 이름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홍수 족장들의 이름이 함의 영향을 통해, 이집트의 어휘체계(onomastics)와 관련 어휘에 근본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이는 히브리어와 의미적 연관성을 공유하는 동등한 음성학적 이집트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함이 이집트의 음운론과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 즉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적 범위를 뒷받침한다(그림 1-3). 이러한 의미의 공유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을 오그도아드(Ogdoad) 이름들과 비교할 때 관찰되며, 따라서 오그도아드가 노아 가족에 대한 다신교적 기억을 나타낸다는, 이 시리즈 글에서 설정했던 가설을 강화시켜 준다.


*Gavin M. Cox has two masters degrees, one in biblical studies from Exeter University, the other in Egyptology from Birmingham University, an honours degree in theology from London Bible College, and a Higher National Diploma of minerals engineering from Camborne School of Mines. He now works full time for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UK/Europe) as a speaker/writer since June of 2018. Prior to this, his work included 10 years in the seismic industry as a geophysicist and topographic land surveyor both on land and marine in Africa, the Middle East, Europe, and the UK.


References and notes

1. Wildung, D., Egyptian Saints: Deificationin Pharaonic Egypt, New York University Press, NY, p. 34, 1977.

2.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31, 40, 1995.

3. Loprieno,ref. 2, p. 40.

4. Why the terminal fricative ḥ is dropped in some cases is a matter of speculation.

5.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203, 1991.

6. Cassuto, U., Commentary on Genesis I, Magnes Press, Jerusalem, p.289, 1972.

7. Polak, F.H., The restful waters of Noah, JANES 23:69–74, 1995; p.71.

8. Redford, D.B., The Tod Inscription of Senwosret Iandearly 12th dynasty involvement in Nubia and the South, figs. 1–5, SSEAJ 17:36–55, 1987.

9.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eminars, p. 155, 2006.

10. Klotz, ref. 9, p. 129.

11. Loprieno,ref. 2, p. 12.

12. Loprieno,ref. 2, p. 44.

13. Loprieno,ref. 2, p. 24.

14. Loprieno,ref. 2, pp. 34, 38.

15. Jones, A., The Proper Names of the Old Testament Scriptures(JNS), Expounded and Illustrated, p. 176, 1872.

16. Cooper, B., The early history of man: part 1. The table of nations, CEN Tech. J. 4:67–92, 1990; p. 70.

17. Hunt, H. and Grigg, R., The sixteen grandsons of Noah, Creation 20(4):22–25,1998.

18. Loprieno,ref. 2, p. 34.

19. Loprieno,ref. 2, p. 40.

20. Ross, A.P., The curse of Canaan, Bibliotheca Sacra 137:223–240, 1980; 235.

21. Garsiel, ref. 5, p. 202.

22. Jones, ref. 15, pp. 329–330.

23. HALOT, 1549–1551; BDB-10046.

24. BDB-10047.

25. Gardiner, A.H., Egyptian Hieratic Texts, Leipzig,pp.15, 42, 1911.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4(2): 75–84, August 2020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37/c13758/j34-2_75-84.pdf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8-17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orus—the deified Ham : part 2)

by Gavin Cox


    이집트의 많은 신들 중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신 중 하나는 팔콘 태양신(falcon sun-god)인 호루스(Horus)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 호루스 신과 노아의 셋째 아들 함(Ham) 사이의 연관성들을 탐구해 볼 것이다. 2부에서는 창세기 5~11장에서 드러난 특색(motifs) 5~12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특색들 간의 비교 즉, 5)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6) 함과 호루스, 그리고 전 지구적 홍수 심판, 7) 성경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의 여정, 8)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9)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10)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11)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12) 함과 호루스는 매우 오래 살았다는 점 등이다. 나는 이 일곱 가지 성경적 특색들을 이집트에서의 증거들과 비교하여,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

그림 1. ‘사자의 서(BOD)’에 수록된 삽화: “두 번 죽지 않는 방법”, 제18왕조 초기(BC 1275년) 아니(Ani)의 파피루스 EA10470(역자 주: Ani는 제18왕조 때의 서기관) (Budge[14]).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1부에서는 노아의 셋째 아들인 함(Ham)과 이집트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신들 중 하나인 호루스(Horus, 일반적으로 태양 매, 또는 매의 머리를 가진 사람으로 표현됨) 사이에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다는 긍정적인 사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2부에서는 함의 삶에서 가져온 다음 8가지 특색들(창세기에서 추출)을 호루스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특색 5 -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비교, 

특색 6 - 함과 호루스의 홍수 여정, 

특색 7 - 노아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 

특색 8 -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특색 9 -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특색 10 -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특색 11 -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특색 12 - 함과 호루스가 오래도록 산 것 등이다.


여기서 논의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는다.


특색 5(a~d) - 함과 호루스의 아버지


특색 5a, 아버지 : 게브/오시리스 대 노아

함의 아버지는 홍수 시의 족장 노아(Noah)였다(창세기 5:32ff).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의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의 아버지는 대부분 오시리스(Osiris)이지만, 몇몇 경우에는 게브(Geb)이다. 게브는 대지의 신(earth-god, of the Ennead)으로, 동시에 오시리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Pepis 1세 피라미드 텍스트 Pepis I PT-518§1195a-b). 예를 들면 :

Pepis II PT-478§973a

jy r=f ḥr.w Ꜣ(.t)=f tp=f ẖsf ḥr=f m jt(j)=f gbb.

"그래서 호루스는 그의 힘을 가지고, 그의 아버지 게브(Geb)에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나온다."


Unas PT-219§176a (역주: Unas는 제9왕조의 파라오)

ḥr(.w) jt(j)=k pw p(w)-nn (w)sjr ḏi.n=k sḏb=f anẖ=f.

"호루스, 이 사람은 당신이 부활시켜 살게 한 당신의 아버지 오시리스이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게브와 오시리스는 어떤 면에서 노아와 비슷할까? 게브의 역할에 대해 이집트 학자인 벨데(H. te Velde)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이집트 역사의 모든 시대에서 거슬러 올라가는 수많은 텍스트들과 표현은 게브와 대지(땅) 사이의 연관성을 증언해 준다... 땅이라는 의미의 gbb 라는 단어[Wb 5, 164.7-8] 역시 신의 이름에서 파생된 것이다...[1]

예를 들어, 관 텍스트(Coffin Text) CT-78은 슈(Shu)가 창조 과정에서 그의 아이 게브(Geb, the earth, 땅)를 어떻게 누트(Nut, the sky, 하늘)로부터 분리했는지를 설명한다.[2] 창세기 5:29절에서 노아는 라멕에 의해서 예언적으로 땅과 연관되어 있다: 

"... 이름을 노아라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ăd̲āmāh]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이 구절은 창세기 8:20-21절과 연결되는데, 여기서 노아의 위로하는(nîḥōaḥ) 희생제사가 땅/흙(ăd̲āmāh)에 대한 여호와의 저주로부터 구원를 가져다주었다. 나중에 창세기 9:20절은 이렇게 말씀한다 : "노아가 농업을[ʾîš hāʾăd̲āmāh] 시작하여 포도나무를 심었더니."(ESV). 여기서 노아는 홍수 이후의 새로운 세상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 "흙의 사람(man of the soil)"인 둘째 아담이 되었다. 노아가 땅에서 얻은 소산(포도주)은 노아의 수고함(새로운 저주)에 대해 위로하는/(nîḥōaḥ) 쉼(rest)을 가져왔다.(창세기 9:21). (특색 8 참조).


특색 5b : 노아의 쉼과 오시리스의 피곤함

오시리스의 신성한 별명으로 Nny가 있는데, 이는 음성학적으로 '노아(Noah)'를  연상시킨다. Nny는 '피곤한 자(The Tired One)'(LGG IV, 248-249)를 의미하는 중왕국(Middle Kingdom) 시대의 상형 문자로 '쉬는 모습', ‘nupot’, '앉아있는 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CT-431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 "물의 심연(nn)에서 올라오는 무기력한 자(nny)".[3] 중요한 것은 ,nny는 또한 '지쳐있는(tired)'을 의미하는 고왕국의 형용사라는 점이다(예: PT-578§1534a). 신성한 이름인 ‘Nun(Nw.w)’(Wb 2, 215.5-6)은  PT(Pyramid Texts)에서 흔히 발견된다(예: PT-233§237a). 제26왕조 텍스트(BC 664-610년)에서도 오시리스를 심연에 직접 위치시킨다 :

pBrooklyn 47.218.84

wnn wsjr m n.t nw.w

"오시리스(Osiris)심연(Nun)에 있다“

노아는 '쉼/안위(rest/comfort)'을 의미하며(창세기 5:29 참조), 개념적으로 오시리스(Nw/nny)('피곤/무기력(tired/inert)')과 동일하여, 뜻과 발음에서 노아와 놀라운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색 5c.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Ogdoad Nu)

이전 글[4]에서 오그도아드(Ogdoad)의 일원인 누(Nu)를 노아(Noah)에 대한 이교화된 기억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를 누(Nu)와 연결시킬 수 있을까?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Nu)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다며, 언급하기를 :

"엔네아드(Ennead)의 목록 중 하나에서 오시리스의 이름은 태고의 물(primaeval water)인 누(Nu)의 이름으로 대체되어 있다... ."[5]

티라드는 아마도 제30왕조의 "위대한 기도(Great Litany)"를 언급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Nun(Nu)는 "기도문 11-20"에서 오시리스(Osiris)를 대체하며, 헬리오폴리스의 "위대한 엔네아드(Great Ennead)"를 "아툼(Atum), 케프리(Khepri), 슈(Shu), 테프누트(Tefnut), 게브(Geb), 누트(Nut), 이시스(Isis), 네프티스(Nephthys), 호루스(Horus), 눈(Nun)"으로 구별하고 있다.[6]


특색 5d. 코이악 축제는 노아의 반영인가? (특색 7, 8 포함)

코이악(Khoiak)이라 불리는 오시리스(Osiris)의 한 축제(festival)는[7] 오시리스와 세트(Seth) 사이의 투쟁을 극화하여,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로 결론지어진다. 이 축제는 1년 중 세 번째 달인 하토르(Hathor)(그리스어로 Athyr)의 12일과, 아케트(Akhet, 홍수)의 계절에 시작한다. 코이악은 새 농사가 시작될 때 농작물을 심는 것으로, 오시리스의 소생을 기념하며 월말까지 계속되었다. 학자들은 여러 자료들을 활용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재구성했다. 그 자료들로는 아비도스(Abydos)에서 발견된 제12왕조(BC 1870~1831년)의 한 석비(stela)와, (이케르노프레(Ikhernofret)에 속하는) 제13왕조(BC 1741~1730년)의 네페로테프 1세(Neferhotep I)의 왕실 석비 등이 포함된다.[8] 중요한 것은 코이악의 많은 면면들이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s)에서 메아리처럼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 축제는 세트(Seth)에 의해 수장된 왕 오시리스(King Osiris)를 기념한다. 그의 시신은 토막 내어져 조각들은 오시리스의 왕국 전역에 전달되었다.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Isis)는 끈질기게 조각들을 찾아 나섰고, 남근을 제외한 모든 조각들을 찾아냈다. 그래서 이시스는 새로운 남근을 만들었다. 이시스는 그 조각들을 미라로 만들어 오시리스를 부활시켰고, 그녀는 새로운 오시리스와 관계하여, 호루스(Horus)를 낳았다. 그 후 오시리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 죽은 자들의 왕이 되었다. 이 일 후에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호루스는 세트와 격렬한 근친 간의 투쟁을 벌였고, 결국 호루스가 승리한다(특색 8 참조). 그러나 축제에서 세트는 오시리스의 아들이 아니라(일부 PT에 따르면), 그의 사악한 형제로 나온다.

덴데하(Dendera, 역주: 나일강 동안(東岸)에 있는 도시)에 있는 그리스-로마 신전 텍스트(Greco-Roman Temple Text)에는 코이악(Khoiak) 축제가 각색되어 있다. 사제들은 호루스가 오시리스의 시신을 신성한 호수 물에서 건져내 신전으로 옮긴다. 오시리스는 역청(bitumen)으로 만든 미라 모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작은 나무 배에 실려 의례용 호수(Nu/Primeval Ocean)를 건너 호루스 사제들에 의해 신전에 묻힌다. 사제들은 다른 신들과 함께 오시리스의 부활을 상징하기 위해 세워진 덴데라의 오벨리스크(Benben 또는 태고의 언덕을 상징)를 지나 줄지어 걸어간다.[9]

그리스 철학자 풀르타르크(Plutarch, BC 46~119년)는 이집트 사제들[10]이 오시리스가 아티르(Athyr, 역주: 이집트 달력의 3번째 달, 하토르(Hathor)와 동일)의 17일에 죽었다고 믿고 있었는데, 그때 세트(Seth, Typhon)가 속임수로 오시리스를 나무 상자에 가두어 나일강에 던져 바다로 보냈다고 한다(13, 356C-D, 69, 378E).[11] 풀르타르크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오시리스에 대한 한 별명은 "상자 안에 있는 남자(He-who-is-in-the-box, 오시리스)(dbn.j)"(Wb 5, 437.17)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우나스(Unas), PT-219§179-184에서 오시리스의 잘린 팔다리에 대한 암시와 함께 등장한다 : 

§179. "누트(Nut), 이것은 당신의 아들 오시리스이다. 당신이 '나에게서 태어났다'고 말한 그이다... 그의 사랑하는 아들 호루스가 입을 열고, 신들이 그의 팔다리를 세고 나서, 당신은 말했다.“  

§184a. "당신의 이름으로"... 상자(dbn) 안에 있는 사람...“

오시리스의 '물로 인한 시련', 그의 dbn '둥근 나무 상자'(Wb 5, 437.16) 안에서의 시련은 노아 및 모세와 흥미로운 유사점을 갖고 있다. 후자의 두 성경 인물에 대해 구약학자 존 커리드(John Currid)는 이렇게 말한다 :

"... 모세가 겪은 물의 시련은 창세기 6~8장에 나오는 노아의 구원을 연상시킨다. 모세가 태어난 후 그의 어머니 요게벳은 그를 석 달 이상 숨길 수 없어서 '갈대상자(tēb̲at̲ gōme)에 넣었다(출 2:3)... '궤, 관'을 의미하는 테바(Tēb̲at)는 노아의 방주에도 사용되었다. [ʿTēb̲at̲ ăṣê-g̲p̲er' 고페르 나무로 만든 방주, 창 6:14]. 출애굽기 2:3절에서 요게벳이 노아가 방주를 만들 때처럼, 갈대 상자를 '타르와 피치(tar and pitch)'로 칠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창세기 6:14). 노아의 구원을 재창조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창세기 1:28절의 문명적 명령을 노아와 그의 후손에게 지시하셨기 때문이다 : “하나님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창세기 9:1). 이 명령은 출애굽기 1장에서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서 번성하고 증가하면서 성취했던 것과 동일한 명령이다. 따라서 성경 기자는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구출된 것을 재창조로 묘사하고 있다."[12]

노아(와 가족)는 둘째 달 17일(창세기 7:11)에 방주(Tēb̲at̲̲)에 들어갔고, 그 이듬해 일곱째 달 17일(창세기 8:4)에 아라랏에 안착했다. 노아가 방주에서 나온 것(홍수로부터의 구원)과 홍수 이후의 문명을 다시 시작한 것은 신학적으로 부활/재창조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오시리스가 홍수의 계절인 셋째 달 17일에 자신의 무덤에 들어간 후 부활/재창조됐다는 플루타르크의 증언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오시리스의 역청 미라(bitumen mummy)는 노아의 방주에 칠한 '역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창세기 6:14). 물론 그러한 증거는 이집트 역사 후반에도 나타난다.


특색 5a-d 요약

호루스의 아버지를 함의 아버지 노아와 비교하면, 몇 가지 놀라운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색 5a의 게브를 통한 오시리스와 땅의 연관성은 땅이 저주를 받았기 때문에, 그 저주로부터 안식을 가져다주는 '땅의 사람'으로서의 노아를 연상시킨다. 특색 5b의 '지친' 오시리스는 '안식하는' 노아와 유사하다. 특색 7에서 노아가 홍수가 있던 해 둘째 달 17일에 방주에 들어가고, 그해 일곱째 달 17일에 아라랏에 안착하는 것은, 나일강 범람의 달 17일에 오시리스가 자신의 상자에 들어가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호루스의 아버지로서의 오시리스/게브는 함의 아버지로서의 노아와 닮았다.


특색 6~7. 전 지구적 홍수 심판 때, 함과 호루스의 방주를 통한 여정


창세기(7:7, 8:16-18)는 함을 포함한 노아의 가족들이 어떻게 노아의 방주에서 전 지구적 홍수로부터 심판을 피할 수 있었는지를 이야기한다. 호루스도 마찬가지일까? ‘사자의 서(BOD)’ 175장은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두 번 죽지 않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아니의 파피루스(papyrus of Ani, 제18왕조 BC 1275년경)의 왼쪽 상단의 삽화 이미지(그림 1)는 죽은 아니(Ani)와 그의 아내가 토트(Thoth, 켐뉘(Khemnw, Ogdoad city)의 군주)를 경배하는 모습이다.[13] 

이 장의 문맥을 보면, 이 홍수는 "악"과 "반역"을 행한 "누트(Nut)의 자식들"에 대해 토트(Thoth)가 아툼(Atum)에게 제기한 신성한 불평에 대한 심판으로 보내진 것이 분명하다.[15]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175장에는 땅을 파묻어버릴 대홍수[ḥwḥw]가 언급되어 있다... 본문은 계속해서 오시리스가 백만 크기의 배[ḥḥ]를 타고... 그의 아들 호루스가 왕좌를 물려받을, 화염의 섬(Isle of Flames)으로 항해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6]

이집트 학자 에드워드 네빌(Edward Neville)은 이 장(175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광범위하게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

"... 신[Atum]은 지구 표면의 모든 것을 물로 덮어 파괴하여, 다시 큰 바다, 모든 것이 시작된 태고의 물인 누(Nu)가 되게 할 것이다. 태초와 같이 다시 누(Nu)가 될 것이다... ."[17]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18], ’사자의 서’ 175장 내에서 오그도아드(Ogdoad) 이름은 본문 내에서 언어유희로 나타난다 : Nu(누, 태고의 바다), Amun(아문, 숨겨진), Heh(헤흐, 수많은), Kek(켁, 어둠)이 그것이다. 누(Nu)에서 오시리스, 호루스(오시리스의 아들), 세트(형제), 토트(가까운 동료/형제, 특색 8 참조)와 함께 배(bark)을 타고 항해한다.[19] 또한, 배의 이름(wi Ꜣ-n-ḥḥ, Wb 1, 271. 11; 3, 153.15)은 오그도아드의 쌍들(ḥḥ and ḥḥ.t.)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오그도아드의 한 변형인 여덟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 ḥḥ)과 음성학적 뿌리로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6:15-16절에 방주의 치수(300 × 50 × 30 규빗)가 나와 있다. MK CT-759는 거대한 태양의 배(solar bark)의 치수를 제공하고 있다 :

"1백만(ḥḥ, 규빗, cubits)은 배 길이의 절반이고 : 우현, 선수, 선미, 좌현[포트]의 길이는 4백만(ḥḥ, 규빗)이다..."[20]


특색 6, 7 요약

호루스가 아버지 오시리스, 형제 세트, 토트와 함께 '거대한 배(ḥḥ)'를 타고 전 지구적 심판의 홍수를 헤쳐나가는 여정은 노아와 형제들과 함께 홍수에서 살아남은 함의 방주에서의 여정과 매우 유사하다.


특색 8. 함과 호루스의 정치적, 성적, 형제적 적대성


창세기(9:22, 9:24-27)는 함이 벌거벗고 술에 취한 채 장막에 누워 있던 노아에게 심각한 죄를 저질렀음을 알려준다. 함의 범죄, 즉 "... 그의 아버지의 하체를 보고... 그의 두 형제에게 알리매"(9:22)의 의미에 대해서는 수세기 동안 논쟁이 계속 되어왔다. 다양한 랍비들의 추측에 따르면, 함의 죄에는 남색, 거세(emasculation), 심지어 노아의 거세(castration)까지 포함된다는 것이다. 노아의 거세에 대한 추측은 노아가 함 이후 추가로 후손을 낳지 않았다는 것으로 설명된다는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노아의 아내와 함이 근친상간을 통해 권력을 잡으려는 시도를 했고, 가나안에게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1] 그러나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성경은 의도적으로 "고상한 언어와 간결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현명하게 훈계하고 있다 :

"... 우리는 오경의 이야기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지, 실제보다 더 많은 것을 읽어서는 안된다."[22]

노아의 축복과 저주에 대한 반응은 가나안에 대한 셈과 야벳의 지배권과 관련하여, 그의 아들들에게 정치적 파급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이 사건에서 함이 "가나안의 아버지"라고 두 번이나 불린 것은 주목할 만하다(창세기 9:18, 22). 그들의 죄의 본질은 레위기 18:3절에서 이스라엘에게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며...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라고 권고하면서(참조: 레 18:24, 27, 28b), 근친상간(18:6-16), 성적 부도덕, 변태(18:17-20, 22, 23), 우상 숭배(18:21)를 금지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이 목록은 이러한 죄의 범주를 이집트와 가나안에 관련된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성경은 함의 형제들에 대한 감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함의 아들 가나안이 셈과 야벳의 "종들의 종(a servant of servants)"으로 전락한 것에 대한 함의 질투와 분노를 생각하면, 당연히 형제간의 적대감을 예상할 수 있다(창세기 9:25). 특히 가나안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받은 함의 형 셈(Shem)에 대한 분노는 컸을 것이다.(창세기 9:26).

호루스(Horus)를 둘러싼 초기 신화와 관련하여, 그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비슷한 특색들을 식별해 낼 수 있을까? 형제간의 적대감? 정치적 지배에 대한 투쟁? 성적 변태, 근친상간? 호루스의 아버지의 거세에 관한 이집트인의 추측들이 있을까?

이집트 신화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The Contendings of Horus and Seth)“(제26왕조, Chester Beatty Pap. I, Oxford)에서도 비슷한 특색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신화는 오시리스 왕위의 정치적 계승과 관련하여,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지저분하고 폭력적인 투쟁을 묘사하고 있다. 이 싸움은 '형제로 보이는' 신(오그도아드 도시(Ogdoad city)의 군주)인 토트(Thoth)가 중재한다. 

코이악(Khoiak) 축제(특색 5에 설명되어 있음)는 이 투쟁의 서막이었다. 세트는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그의 시신을 dbn 상자에 넣어 물 위에 띄워 보냈다. 그로 인해 야기된 쌍방간의 싸움은 격렬한데, 호루스는 눈을, 세트는 고환을 잃게 된다. 따라서 두 장기는 정치적 상징으로 보여질 수밖에 없다. 이후의 비문에 따르면, 호루스는 세트에 의해 남색을 당하는데, 이는 호루스를 지배하기 위한 정치적 책략으로 보인다.[23].


특색 8 요약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은 함과 그의 가족 사이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투쟁의 이교도 버전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저자의 의견이다. 나는 이집트인들이 셈(Shem)을, 왕관을 훔치기 위해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호루스를 (성적으로) 지배했던, 악당 세트(Seth)로 다시 캐스팅했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함은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에 '반기'를 든 것이며, 정치적 교란을 시도한 것이었다. 그 결과 함은 형 셈(창세기 9:22-27) 밑에서 (맏아들 가나안을 통해) 정치적 예속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함은 형 야벳(Japheth)과 더 가까운 관계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는 호루스와 세트 사이에 평화를 유지하도록 개입하는 토트(Thoth)로 다시 캐스팅되었다고 제안한다. 정치적 음모, 성적 폭력(오시리스의 거세, 세트의 부분 거세 포함)은 함이 아버지와 가족을 상대로 저지른 범죄에 대한 후대 랍비들의 추측을 낳게 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추정에 불과하지만, PT(Pyramid Text)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이 후대의 축제(코이악)는, 실제적인 성경적 역사를 함(Ham)의 눈으로 바라본,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된 이교도적-정치적 재해석으로 볼 수 있다.


특색 9. 함과 호루스는 4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림 2.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로 표현된, 호루스의 네 아들( <Image: British Museum / PublicDomain>


창세기 10:6절은 함에게 네 아들(붓, 구스, 미스라임, 가나안)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호루스에게도 네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목적은 사후(死後)에 죽은 파라오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그들의 내부 장기를 네 개의 뚜껑달린 항아리인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안에 보관하는 것이었다(그림 2).[24] ‘사자의 서(BOD)’ 141:4에서 이들은 나침반(compass)의 네 지점(방향)과 연관되어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PTs)에 보면 호루스의 아들들 이름이 있는데, 예를 들면:

PT Pepis I, 580§1548a

"... 그가 사랑하는 호루스의 자녀들 : 하피(Hapi), 암세트(Amset), 두아무테프(Duamutef), 케베세누프(Qebehsenuef).“

PT-688§2078-2079는 이 네 사람을 "켐(Khem, ḥr.w ḫm)의 호루스의 아이들"로 묘사하고 있어, 특히 주목할만하다.[25]

호루스의 네 아들은 후네페르(Hunefer, 역주: 제19왕조 시대 서기관)의 ‘사자의 서’에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이집트 학자 버지(E.A.W. Budge)는 이 그림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그림 3) : 

"신[오시리스]은 신전 안 왕좌에 앉아 있고... 연꽃 앞에는 호루스의 네 자녀가 서 있다... 신의 왕좌는 물[Nu] 위에 놓여 있다... 호루스가 오시리스에게 죽은 아니(Ani)의 의로움을 설명하고 있다...."[26]

그림 3. 호루스와 그의 네 아들들이 오시리스와 함께 등장한다(후네페르의 ‘사자의 서’ 17장 삽화에서...) (Vignette from Hunefer BOD chapter 17, EA9901-3, c.1450BC19thDyn).[26]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특색 9. 요약

숫자적으로 호루스의 네 아들은 함의 네 아들과 일치한다. 이 이름들의 의미 사이의 언어적 연관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색 10. 함과 호루스는 동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


창세기 11:2절은 이렇게 말한다: "이에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가 시날 평지를 만나 거기 거류하며." 여기서 함의 손자 니므롯(Nimrod)은 바벨을 건설하고 탑을 쌓아 반란을 일으켰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스럽게 하시고,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창세기 11:8). 지리적으로 시날은 이집트 동쪽에 있으며, 카이로에서 현대의 바빌론 구역까지 약 1,300km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경로는 함과 그의 부족이 이집트로 들어가기 위해 따라갔을 경로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 길은 거친 사막과 산들로 이루어진 광활한 광야를 횡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옵션은 배를 이용하는 것이다. GoogleEarth를 사용하여 측정한 두 가지 경로(그림 4, 녹색-북쪽, 빨간색-남쪽)가 가능하다.

그림 4. 빨간색 루트는 함이 시날에서 가장 실용적으로 여행할 수 있는 경로를 나타낸다. 붉은색 원은 호루스의 사각형 배(Horus-square boat) 암벽화가 발견된 유적지. <Image: Google Earth (modified)>


북쪽(녹색) 경로는 항해 가능한 최단 거리인 1,846km이지만, 시리아 북부의 산과 사막을 가로지른 후에 188km을 배로 이동해야 하므로, 쉽지 않은 일이다. 

남부(빨간색) 경로는 아라비아 반도를 경유하며 총 거리는 약 6,823km이다. 홍해 서부 해안(Quseer 근처)에서 나일강 계곡(Luxor 근처)까지의 최단 육로 횡단 거리는 약 142km이다. 북쪽 경로의 4배가 넘는 거리이지만, 남쪽 경로는 대부분 물로 가기 때문에,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다.

성경 본문의 의미는 함의 지파가 동쪽에서부터 최단거리 육로로 이동해 왔음을 암시한다. 이 여정과 일치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그렇다, 몇몇 놀라운 왕조시대 이전의 암각화들은 창세기 11:2,8절이 예언한 대로, 호루스의 추종자인 셈수 호르(Shemsu Hor)가 그러한 여정을 떠났음을 나타낸다. 쿠세르(Quseer)와 룩소르(Luxor)의 중간 지점에 있는 고고학 유적지(지도-그림 4)에는 호루스의 휘장이 새겨진 대형 배 그림이 많이 남아 있다(그림 6a, b). 이집트 학자 한스 윙클러(Hans Winkler)[27]는 이를 처음 기술했으며, 최근에는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롤(David Rohl)[28]도 더 많은 것을 기술하고 있다. 높은 뱃머리와 선미를 가진, 독특한 정사각형에 평탄한 용골을 가진 암각화의 배 이미지는 우루크 시대(Uruk Period)의 원통인장(cylinder-seal) 모양의 배(BC 4천 년, 수메르/시날의 것)와 놀랍도록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그림 7).[29] 이 암각화는 동쪽에서부터 해로 이동을 증명하는 것으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이 된 에드푸(Edfu) 근처 사막을 가로질러, 70명이 탑승한 대형 배(그림 8)를 끌고 가는 것으로 절정을 이룬다.


‘특색 10’. 호루스는 ‘아주 먼 곳에서 온 사람’, 또는 ‘동쪽에서 온 사람’을 의미한다

고왕국 PT에 나오는 호루스(ḥr.w)에 대한 신성한 별칭은 공통된 음성학적 어근을 통해, 그의 이름이 '먼 곳에서 온 사람(far distant one)'(ḥr.tj)을 의미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eti PT-370§645 c-d

sja kw n ḥr.w j: ms k(w)jr=f m ḥri jr=f m rn k n(.j) ḥr.t(j)

"가까이 가라 호루스여 ; 그[오시리스]에게 가라. 당신의 이름 '멀리 있는 자'로 그로부터 멀어지지 말라.“

호루스는 또한 '동쪽에서(from the east) 온 사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nas PT-301§450c

jy.n(|wnjs|)ẖr=k ḥr.w -jꜢ b.tj

"우나스(Unas)가 당신에게 왔다, 동방의 호루스여.“

호루스에 대한 이러한 신성한 별칭('먼 곳에서 온 자', '동방의 호루스')은 함이 동방의 시날로부터 해상 및 육상 경로로 약 7,000km의 여행을 했다는 것과 일치한다.


특색 10. 요약

창세기 11:2, 9절은 함과 그의 부족이 동쪽의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음을 알려준다. 가장 실용적인 여정은 배를 타고 와서 가장 짧은 육지를 횡단하는 것이었으며, 가장 가까운 지점은 홍해 연안(쿠세르)에서 나일강 계곡(룩소르/에드푸)까지였을 것이다. 인근에 있는 왕조시대 이전의 암벽화는 많은 호루스 추종자들이 배를 끌고 사막을 가로질러 이러한 여행을 했음을 보여준다. 호루스가 동쪽에서 멀리 왔다는 것은 피라미드 텍스트(PT)에 나오는 신성한 별칭 '동방의 호루스'와 '먼 곳에서 온 자'에서 알 수 있으며, 이는 함의 여정과 일치한다. 수메르에서 유래한 배의 독특한 높은 뱃머리와 선미, 평탄한 용골, 고정된 후미 형태 등은 이집트 예술의 종교적 상징 그림(iconography, 圖像)인 ‘태양의 배(solar barks)’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배는 함과 그의 부족을 구세계에서 신세계로 데려다줬던, 새로운 '노아의 방주'가 되었다.


특색 11. 함 대 호루스 – 시조의 이름을 딴 이집트


성경은 이집트의 시조로서 함(Ham)을 연결하고 있다(시편 78:51; 105:23, 27; 106:22). 이집트와 그 민족을 의미하는 최초 상형문자 비문(고왕국 이후)은 km.t 이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히브리어 ḥām과 유사하며(1부의 ‘음성학적 고려 사항’ 참조), 여성 보통명사는 km.t 로(그래서 t로 끝남) 비옥하고 검은 나일강 홍수 토양을 나타내는 '검은 땅'(Wb 5, 127.4-127.17)을 의미한다. "이집트인" Km.tı는 문자 그대로 "검은 땅의 사람들"(Wb 5, 127.18-20)을 의미한다. 창세기 11:3, 14:10과 출애굽기 2:3(ḥēmār, ḥōmer)의 검은 땅의 소산물과 이집트의 "검은 땅"(km) 사이의 연관성은 이제 함(ḥām)이 이집트를 건국했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증거로 분명해진다(1부 참조). 이집트에 대한 명칭인 km.t는 다음과 같은 고왕국 PT에서 나타난다 :

Pyramid Pepis I., PT 674 + PT 462§1998b

ꜤḥꜤ =k ẖntj km.t(j).w

"당신[네프티스]은 이집트 백성들 앞에 설게 될 것이다... ...“

'검은 땅의 사람' 함은 호루스 및 '검은 땅' 아프리카의 이집트인들과 잘 어울린다. 

그림 5. 카움움부(Kawm Umbu, 남쪽)와 나일강 서쪽의 지역 퀴나(Qina, 북쪽) 사이에 있는 암각화 유적지.[30] <Archéologie et Arts/Open Access>


아트리비스(Athribis, km)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나일강 동안(東岸)의 Tell Atrib(그리스어로 Athribis)는 하이집트의 10번째 지역(영토 구분)이다. 원래 이집트 이름인 km-wr은 "위대한 검음"을 의미하며, 그것의 상형문자는 검은 황소 km을 포함하며, 그 지역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                 

호루스는 아트리비스에서 "장엄한 검은 황소"의 모습으로 숭배되었다(LGG VII, 285). Km-wr은 고왕국 PT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eti PT-342§556b–c

m(j) mꜢ =ṯ sꜢ = ṯ pḫr n=f km-wr

"...와서 위대한 검은 황소(Great black-bull)에 의해 섬김을 받는, 당신의 아들을 보시오...“


레토폴리스(ḫm)

호루스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레토폴리스(Letopolis, Λητοῦς Πόλις)라고 불리는, 켐(Khem, ḫm)의 신이기도 했다. 켐은 하이집트의 두 번째 주의 이름이다. 이 도시는 PT에서 언급된 Khenty-khem의 형태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지였다 :

Pepis I 438§810a–b

Ꜥnḫ Ꜥnḫ n m(w)t=k js m(w)t.t mj Ꜥnḫ ḥr.w ḫnt(.j) ḫm.“

"살아라, 살아라 – 당신은 호루스처럼, 죽지 않을 것이다." 그는 hm(Letopolis)의 수장으로 살아있다.“

그림 6a–c. 사각형의 배와 호루스 휘장(insignia)이 새겨진 암각화 (Winkler [27]).


텍스트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 신전은 이집트 역사의 초기부터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31] 비문은 호루스가 ‘이집트’라는(두 강둑으로 불려지는) 이름을 지었음을 암시하는데, 이것은 나일강이 '두 강둑(two banks)'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Pyramid of Pepi II, PT 439§812a

(|ppy|) (|nfr-kꜢ-rꜤw|) [p]w [s] ṯ.t j ṯi.t tꜢ, rkḥ.t šsp.t jdb=s.

"이는 페피 네페르카르(Pepi Neferkare), 사테트(Satet, 역주: 나일강 범람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그녀는 두 나라를 소유하고... 그들의 두 강둑[이집트]을 받았다.

의미심장하게도 호루스는 '두 강둑(two banks)'이라고도 불리며, 그래서 그는 이집트의 시조로 직접 연결된다. 즉, "호루스(이집트)의 두 강둑(jdb.wj-ḥr.w) "(Wb 1, 153.7). 여기서 이집트는 두 개의 강둑을 의미하는 상징과 호루스를 상징하는 매(falcon)로 묘사된다 :

예를 들어 : 

(Ptolomaic) Papyri of Nesmin from Thebes, pBM 10208

sb ḥr m ḥꜤꜤ.

"호루스(이집트)의 기슭은 (그때) 환희에 차 있었다!“


PT-532§1258

ḥr.w nb-tꜢ (.wj).

"호루스, 두 땅의 군주."[32]

따라서 호루스(Horus)는 성경의 함(Ham)과 동의어이고, 마찬가지로 이집트(Egypt)와 동의어인 것이다.

그림 7. 우루크(Uruk, Sumer/Shinar)와 이집트의 암각화에서 배 그림. (Winkler가 비교했다)[27]. <Hans Alexander Winkler / Open Source>


일반적인 고왕국의 한 용어(함과 정확히 음성학적으로 동일한)는 'ḥm' 이다. 이는 '왕 또는 신의 위엄'을 의미하는 말이다(Wb 3, 91.1-92.11). Ḥm은 호루스에 대한 별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면  

12thDyn. (1971–1926 BC) Sesostris I Month Temple of Tod, Column 32 

ḥm ḥr  “… the majesty of Horus… ”

"..호루스위엄..."


특색 11. 요약

함(Ham, ḥām)은 이집트(시편 78:51, 105:23,27, 106:22) 이름의 시조이고, 시조로서 호루스는 수호신이자 위엄자로서, 이집트(km.t)와 두 지역의 이름을 지었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함(km,ḫm,ḥm)과 관련된 이름들이다.


특색 12. 함과 호루스 – 매우 오래 살았다.


창세기 11:11절은 셈이 600년을 살았다고 알려주는 데, 성경에는 없지만 함의 경우도 그 정도의 수명을 살았음을 지지해 준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호루스는 고대의 원로 신으로 기념되고 있을까? 그렇다. PT 303§466a에서 호루스는 '최고 원로의 신(the eldest god)'으로 불린다. 호루스의 신적 별칭은 (PT-256§301b)에 나오는 Hr.w-sms.w 이며, 이는 "원로신 호루스"(LGG V, 290)를 의미한다. 이미 ‘1부’ 글에서 언급했듯이, ‘죽음의 서’ 19장(제22왕조)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이시스의 아들이자 오시리스의 아들 호루스는 수백만 번의 희년(jubilees)을 반복했다..." 이러한 별칭은 호루스가 고대 신으로 간주되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함이 대단한 나이까지 살았다는 것과 일치된다.

표 1. 창세기 5~11에 묘사된 함의 생애에 관한 특색 12개와 호루스 관련 이집트 증거들과의 비교 

그림 8. 이집트 중동부의 사막, 와디 바라미야-9(Wadi Baramiya-9)에 있는 왕조 이전 암벽화. 70명의 사람들이 탄 호루스의 '사각형 보트'가 사막을 가로질러 끌려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Lankester[30] 그림 7).


결론  


필자는 2편의 글을 통해, 창세기 5~11장에 나오는 함의 생애에 대한 12가지 특색을 호루스와 비교하여 조사했다(표 1). 2부에서는 특색 5~12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다음으로 요약된다.


∙ 특색 5 : 함의 아버지 노아 대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게브’는 다음과 같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즉, '안위'와 '피곤함', '땅의 사람'과 '대지의 신'. 또한 오시리스는 노아에 대한 이교도의 기억인 오그도아드(Ogdoad) 누(Nu)와 동의어이다.

∙ 특색 6 : 노아는 17일에 방주(ark, tbt)에 들어갔다 vs 오시리스는 17일에 상자(chest, dbn)에 들어갔다.

∙ 특색 7 : 홍수에서 살아남은 방주 안의 함의 가족은 Nun(역주: Nu와 동일한 이집트 최고의 신, 태고의 바다를 의미)의 ‘태양의 배’에 있는 호루스, 오시리스, 토트, 세트를 연상시킨다(BOD-175).

∙ 특색 8 : 노아의 저주와 축복은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에서 극명하게 전환될 수 있다.

∙ 특색 9 : 호루스와 함은 4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 특색 10 : 창세기 11:2, 9절에 의하면, 함의 부족은 동방, 특히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던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왕조 이전의 암각화는 호루스의 추종자들이 사막을 건너 나일강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 특색 11 : 이집트는 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이집트(두 개의 지명 포함)는 호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특색 12 : 함은 매우 오래 살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호루스는 ‘원로 신’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두 글에서 제시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고대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증거들(물론 해석에 좀 더 추측적인 부분이 있음을 인정하면서)은 창세기 5~11장의 역사적 사건과 일치한다. 대홍수 생존자인 함은 문명의 재개에 도움을 주었고, 이집트를 건국했으며, 매우 장수했다. 따라서 이교도 이집트인들은 함(Ham)을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인 호루스(Horus)로 신격화했던 것이다.


감사의 말

초안에 대해 유용한 제안을 해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비판적인 의견을 주신 익명의 검토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Posted on homepage(CMI) : 17 March 2023


References and notes

1. te Velde, H., “Geb” In Lexikon der Ägyptologie II, Wiesbaden, Germany, pp. 427–429, 1977. 

2. Pinch, G.,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Oxford, pp. 65–66; 195–197, 2002. 

3.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vol. II, Spells 355–787, Aris & Phillips Ltd., Warminster, p. 73, 1977.

4.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J. Creation 34(2):75–78, 2020. 

5.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PCK, London, p. 91, 1910. 

6. Manassa, C., The Late Egyptian Underworld: Sarcophagi and related texts from the Nectanebid period,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Germany, p. 265, 2007. 

7. Hedges, A., The Egyptian Dionysus: Osiris and the development of theater in Ancient Egypt; in: Proceedings of the XI International Congress of Egyptologists Florence Egyptian Museum Florence, pp. 271–275, August 23–30, 2015. 

8. Hedges, ref. 7, p. 274. 

9. Chassinat, E., Les Mystères d’Osiris au mois de Khoiak, IFAO, Cairo, 1966. 

10. Griffiths, J.G., Plutarch’s De Iside et Osiride, University of Wales Press, Cardiff, pp. 56, 68, 75, 1970. 

11. Griffiths, ref. 10, pp. 63, 139, 181, 185. 

12.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Books, Grand Rapids, MI, p. 114, 1997. 

13.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J. Creation 33(3):105–106, 2020. 

14. Budge, E.A.W., The book of the dead (BOD): the Papyrus Ani in the British Museum, The Egyptian text with interlinear transliteration and translation, a running translation, intros, etc., Longmans & Co., London, 1894;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43. 

15. Cox, ref. 13, p. 104. 

16.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London, pp. 92–93, 1910. 

17. Naville, E., Mention of a flood in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vol. 26, Harrisons and Sons, London, pp. 251–257; 287–294, 1904; p. 289. 

18. Cox, ref. 13, p. 104–105. 

19. Cox, ref. 13, p. 105. 

20. Faulkner, ref. 3, p. 290. 

21. Bergsma, J.S. and Hahn, S.W., Noah’s Nakedness and the Curse on Canaan (Genesis 9:20–27), JBL 124(1):25–40, 2005. 

22. Cassuto, U., A Commentary on the Book of Genesis II, Verda Books, Woodstock, IL, p. 152, 2005. 

23. Allen, T.G., Horus in the Pyramid Tex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IL, p. 12, 1916. 

24. Pinch, ref. 2, p. 204. 

25. Faulkner, ref. 3, p. 296. 

26. Budge, E.A.W., Facsimiles of the papyri of Hunefer, Ankhai, Kērasher and Netchemet, Longmans and Co., Oxford, plate 5, 1899;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18. 

27. Winkler, H.A., Rock Drawings of Southern Upper Egypt I,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938. 

28. Rohl, D., Legend, the Genesis of civilisation, Century, UK, pp. 1–9, 1988; Rohl, D., The Lost Testament, Century, UK, pp. 80–90, 2002. Rohl does not equate Horus directly with Ham but sees the followers of Horus as the descendants of Ham. 

Winkler, ref. 27, pl. XXXIX. 

29. Lankester, F.D., Predynastic Egyptian rock art as evidence for early elites’ rite of passage, Afrique: Archéologie & Arts 12:81–92, 2016. 

30. Snape, S., The Complete Ci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London, p. 185, 2014. 

31.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Press, Oxford, p. 200, 1969. 


Related Articles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Horus—the deified Ham: part 1


Further Reading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5(3):64–72, December 2021

주소 : https://creation.com/horus-and-ham-2

번역 : 석원석

미디어위원회
2023-08-07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1 : Problem, Data, and Methodology) 

by Kenneth C. Griffith and Darrell K. White


개요 :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이라고 불리는 이 20편의 논문 시리즈는 주류 학자들이 선호하는 자료들을 포함하여, 고대 자료들의 광범위한 합의가 어셔(Ussher)의 성경 연대기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결과 고대 근동의 12,000년 전통적인 역사가, 노아 홍수로부터 알렉산더 대왕까지 총 2018년 동안의 상호 연결된 평행(동시에 있었던) 왕조들의 집합으로 깔끔하게 들어맞는다는 증거를 제시할 것이다. 이 첫 번째 논문에서는 그 문제점을 정의하고, 자료들을 소개하며, 사용할 방법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키워드: 고대, 연대기, 이집트, 성경, 역사, 분산, 바벨, 홍수


들어가며


이 일련의 논문들은 고대 자료들의 강력한 합의가 어셔의 성경 연대기(Ussher’s chronology of the Bible)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결과 고대 근동(Ancient Near East, ANE)의 12,000년 전통 역사가 홍수부터 알렉산더 대왕까지 총 2,018년 동안 상호 연결된 평행(동시에 존재하던) 왕조들의 모음으로 깔끔하게 들어맞는다는 증거를 보여줄 것이다. 이 일련의 역사적 고증은 구약성경의 벌게이트 성경(Vulgate, 라틴어 번역 성경) 및 마소라 본문(Masoretic Text, MT)과 일치하는 틀 안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고대 근동의 역사를 수정하려는 시도이다. 그 결과 BC 2348/2347년에 대홍수가 있었고, BC 2192/2191년에 바벨에서의 분산이 있었다는, 35개의 성경 외적인 연대기 경로들을 발견했다(그림 1).

그림 1. 노아 홍수의 연대에 대한 50가지 경로들.


이 논문들의 시리즈에서는 7가지 단계를 따를 것이다(그림 2):

1. 문제점, 자료 세트, 방법론을 정한다.

   논문 1.

2. 바벨, 분산, 노아 홍수, 창조에 대한, 그리고 칼리 유가(Kali Yuga, 힌두), 삽타르쉬(Saptarshi Era, 힌두), 중국 왕조들의 세 시기에 대한 알려진 연대들로부터 그림 조각 맞추기의 가장자리를 찾는다.

   논문 2~4.

3. 다른 알려진 연대들로부터, 주어진 고대 역사의 기준점(anchor points)들을 정한다.

   논문 3.

4.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역사로부터, 바벨에서 분산, 출애굽, 아카드(Akkad)의 멸망, 힉소스의 퇴출, 캄비세스(Cambyses)에 의한 이집트의 멸망, 알렉산더에 의한 바빌론의 멸망, 로마의 세계 제국 건설 등의 기간을 찾는다. 이를 통해 바벨에서 알렉산더까지의 첫 번째 기간이 정확했음을 확인한다.

   논문 5~12.

5. 이집트 왕들에 대한 연대기적 날짜들을 정하고, 신아시리아 연대기(Neo-Assyrian Annals)에서 이집트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히타이트의 상대했던 왕들을 확인한다.

   논문 13.

6. 무르실리(Mursilis)에 의한 바빌론의 침략에서부터 귀환, 함무라비, 아카드의 함락, 분산에 이르는 기간을 다시 계수한다. 이것은 바벨의 분산에서 알렉산더 대왕까지의 총 기간에 대한 두 번째 확인이다.

   논문 14~18.

7. 결과들을 적용하여, 세 시대 시스템(Three Age System)을 재보정한다.

   논문 19~20.

그림 2. 연대기 입증 경로.


고대 세계의 연대기 개정이 필요한 이유


성경과 고대 세계의 역사를 모두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한 문제가 있다. BC 722년 샬만에셀(Shalmaneser)이 사마리아를 포위 공격한 시점부터 로마시대까지, 알려진 역사와 성경은 밀접하게 일치하지만, 샬만에셀을 넘어 과거로 올라갈수록, 고고학은 성경의 역사와 닮은 점이 줄어드는 것 같다는 것이다. 이스라엘 핀켈스타인(Israel Finkelstein)과 같은 고고학자들은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성은 물론, 모세의 역사성도 부정한다(Finkelstein and Silberman 2002, 5). 그는 이렇게 말했다 :

성경의 역사는 특정 시대에 기술된 것처럼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 중 일부는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고고학의 세 시대 체계(Three Age system,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에 따르면, 석기시대는 300만 년 이상 지속되었고, 그 후 2,000년 동안 청동기시대가 이어졌으며, BC 12세기부터 철기시대가 이어졌다는 것이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BC 12,000년으로 측정된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 튀르키예(터키) 동남아나톨리아 지역의 산맥 능선에 있는 유적지)의 신전과 같은 최근의 발견은, 성경으로부터 도출되는 연대기와 완전히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둘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성경의 무오성을 믿지 않는 학자들은 성경이 포로기 이후에 쓰여진 반신화적인 이야기 모음집이라고 말해지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성경의 무오성을 옹호하는 성경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그냥 넘길 수 없다. 이 학자들은 두 가지 가능한 해결책에 주목하고 있다.


해결 방법 A : 홍수 연대를 더 이전으로 끌어내리고, 가장 최근의 사건에만 집중한다.

고고학이 초기 단계였던 18세기와 19세기에 조지 롤린슨(George Rawlinson)과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와 같은 고고학의 창시자들은 일반적으로 기독교 세계관을 갖고 있었지만, 성경의 연대기를 문자 그대로 믿지는 않았던 것 같다. 기독교 교회의 전통 내에서도 약 8세기 정도 차이가 나는 벌게이트 성경과 칠십인역(LXX)의 두 가지 경쟁적인 연대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초기 고고학자들은 이집트의 왕조들에 대한 마네토(Manetho)의 연대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했으며, 성경과 모순되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았다.

20세기 초 진화론이 대학에 자리를 잡으면서, 고고학은 네안데르탈인의 나이가 10만 년이 넘었다고 주장하고, 구석기시대의 연대를 330만 년 전으로 추정하는 등 기독교적 뿌리를 완전히 거부했다. 이후 올브라이트(Albright), 와이즈먼(Wiseman), 키친(Kitchen)과 같은 몇몇 기독교 학자들은 성경의 역사가 대체로 사실이라고 계속 옹호했지만, 과학 분야로서의 고고학은 성경의 연대기와는 전혀 관련이 없게 되었다.

적지 않은 기독교 고고학자들, 역사가들, 단체들이 성경의 원래 연대기를 기록한 진정한 기록으로 칠십인역(LXX)을 받아들였다. (ABR 2019; Gertoux 2022a, 7; Rudd 2019, 24).

칠십인역(LXX)은 노아 홍수와 아브라함 사이에 약 8세기를 추가했기 때문에, 이 그룹들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왕조 시대가 BC 약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았고, 진화론적 연대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이 그룹의 성경 주석을 뒷받침하는 무언의 기본적 가정은, 마네토가 언급한 이집트(Egypt, Aegyptiaca)의 31개 왕조들이 순차적으로 발생했으며, 이집트의 연대기가 성경보다 더 확실하다는 믿음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특정 시점에 대한 연대기를 뒷받침하는 사본 전통에 따라, LXX 또는 MT의 구절을 함께 연결하였다(Petrovich 2016; 2019). 덧붙여서, 이들 대부분은 논쟁이 되고 있는 네 시대 중 세 시대, 즉 이집트 체류 기간, 사사시대, 분열왕국 시대에 대해, LXX 연대기를 소상하게 설명한 요세푸스(Josephus)에 대해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만약 LXX가 히브리어 구약성서 원문을 가장 정확하게 번역한 것이라면, LXX 본문을 무오류로 간주하고, 그 내부 연대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연대기에 대해서는 LXX를 사용하지만, 이집트에서의 체류 시기와 사사시대에 대해서는 MT를 사용하고, 분열왕국 시기에 대해서는 틸레(Thiele)의 연대기에 의존하고 있다.

서로 다른 사본들의 연대 관련 구절들을 혼합하고, 일치시키는 것은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믿음에 문제를 일으킨다. 틸레가 히스기야와 호세아가 동시에 통치했다는 열왕기하 18:9-10절이 틀렸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던 것을 감안할 때(Thiele 1994, 168), 그는 무오성을 전혀 고수하지 않았던 것 같다.

우리가 보기에 주류 기독교 연대기는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쓰여진 마네토(Manetho)의 텍스트에, 그리스(Greek) 대조 연대표를 추가한 것으로 보이는 ‘이집트사(Aegyptiaca)’의 발행인들로부터 시작된 긴 오류와 잘못된 가정을 약간 개조한 것일 뿐이다.(Luban 2012).


해결 방법 B : 성경 연대기와 일치하도록 이집트와 고대 근동 연대기를 수정한다.

1950년 이래로 고대 역사와 층서학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 서로 일관된 일치성을 갖도록, 성경뿐만 아니라 연대를 수정해야 한다는 20명 이상의 수정주의자(revisionists)들의 동료 검토 논문들, 책 등이 지속적으로 출판되었다. 여기에는 Velikovsky, Hoeh, Courville, Martin, Danelius, Rohl, Down, Bimson, James, Liel, Sweeney, Keyser, Ginenthal, Zwick, Heisman, Hickman, Osgood, Montgomery, Newgrosh, Stewart, Reilly, Scott, Clapham, Aitchison, Waite, Curnock, Heathcotte 등 여러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연구의 질과 결론은 매우 다양했고, 일부는 무신론자이기도 했지만, 한 그룹으로서 기존의 연대기를 뒷받침하는 대부분의 가정들을 면밀히 조사했으며, 매우 흥미로운 부분들을 조사하여 뒤집어버렸다. 

지난 20년 동안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우리와 거의 동일한 결과에 도달한 다섯 편의 특별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그것들은 ‘출애굽 미스터리 풀기(Solving the Exodus Mystery. Stewart 2003)’, ‘벨리코프스키 재조명(Revisiting Velikovsky. Aitchison 2016)’, ‘성경과 이집트(The Bible and Egypt. Waite 2016)’, ‘그들은 한 목소리로 말한다(They Speak With One Voice. Osgood 2020)’, ‘시대의 순서(Ages in Order. Montgomery 2021)’ 등이다. 레일리(Reilly, 2015)의 카사이트족(Kassites)에 대한 작업도 꽤 훌륭했다.

이러한 일련의 논문들로부터 노아 홍수에서 그리스도까지의 전체 시대를 포함하여, 히타이트, 수메르,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아일랜드, 중국, 페르시아, 인도가 더 광범위하게 포함되도록, 이들의 작업들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미세 조정되고,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문제점

    

오늘날 우리가 계승하고 있는 고대사 모델은 모든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구축된 것이 아니다. 그 대신 BC 1세기경 그리스-로마 학자들이 마네토의 이집트 31개 왕조들에 대한 순차적 해석(sequential interpretation)을 바탕으로, 지난 2,000년 동안 다양한 수정과 추가를 거쳐 구축된 것이다. 어셔(Ussher)도 그의 ‘세계 연대기(Annals of the World)’의 이집트 항목에 마네토의 순차적 해석을 사용했다.

지난 2세기 동안 발굴된 서판(tablets)들에서 발견된 고대 왕들의 목록은 마네토의 틀(Manethoan framework)에 접목되었고, 석기시대에 대한 진화론적 가정을 수용하기 위해서, 모델들은 수만 년에서 수십만 년까지 확장되었다.

그 결과 연대기가 수세기, 수천 년씩 늘어나면서, 진정한 역사와 성경과의 동시화가 완전히 모호해질 정도로, 실제 연대가 확장되고 대체되었다. 진화론자들이 공룡들의 진화와 같은 추정 이야기를 지어내는 것처럼, 트레버 브라이스(Trevor Bryce, 1998)와 같은 학자들은 가짜 역사를 만들어내어, 그 간격들을 메우고, 능숙하게 연대표를 이어 붙였다. 그 결과 대학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고대사의 많은 부분들이 맥락에서 완전히 벗어났거나, 완전히 거짓이 되었다.

고대사(ancient history)에 대한 주류 학계의 접근 방식에는 세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


1. 잘못된 권위

고고학(archaeology)의 권위(기념물, 유물,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등)는 성경이나, 고대 역사 기록들(고대 연대기들), 미드라시(Midrash)같은 유대인 구전 전승들, 그리고 이들의 조합보다 더 큰 권위를 갖고 있다.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온 히브리 역사는 그들의 인접한 왕국들에 대한 종종 조각난 불연속적 기록을 수정하고 해석하는데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반대가 되고 있다. 오늘날의 관습처럼 말이다. (Jones 2019, 177)

학계는 동시대의 비문(inscriptions)들에 의해 지지되는 고대 역사 기록을 도외시하고, 의도적으로 성경을 무시하는 것 같다. 게르툭스(Gertoux, 2022b, 2)는 이렇게 요약했다 :

점진적으로 고고학자들이 역사가들을 대체하고 있으며, 따라서 역사를 ... 학술적 선전으로 바꾸고 있다. 그들은 어떻게 그러한 일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 고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역사의 두 가지 토대인 증언들과 연대기를 파괴함으로써,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역사적 증언들은 오류가 있다는 구실로 거부되고, 오래된 역사적 연대는 고고학적 연대측정으로 대체된다.

역사가들은 시대들 사이의 기간을 더 길게 계산하고 기록하는 경향이 있지만, 비문(inscriptions)은 당시 왕의 연도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고고학의 지배는 더 오랜 기간에 대한 강한 학문적 편견을 초래했다.

깨진 꽃병을 다시 붙이려면, 가장 큰 조각부터 시작하여, 작은 조각들이 붙는 위치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큰 조각(즉, 역사적 존속기간)들을 제외하고, 먼저 작은 조각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면, 원래의 꽃병은 다른 모양으로 복원될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을 갖고, 이와 비슷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했다(White 2003).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제시한 큰 조각(기간)들을 제외하면,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지며, 학자들 자신이 믿고 싶어하는 그림과 맞도록 조각들을 가져다 붙일 유연성이 훨씬 더 커진다.

올브라이트(Albright)와 틸레(Thiele)의 뒤를 따랐던 성경 연대기 학자들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카르타고(Carthage), 이집트, 아시리아(Assyria)의 연대기가 확실하다고 가정한 다음, 그에 맞춰 성경을 해석하는 것이었다. 틸레는 심지어 히스기야와 호세아가 통치한 시기에 대해서 성경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Thiele 1994, 168).

러드(Rudd, 2019, 1)는 성경의 올바른 사본을 결정하기 위해서, 고고학적 연대로부터 논증하는 유사한 접근 방식을 취했는데, 그가 주장한 전통적 성경은 칠십인역(LXX)이었다.


올바른 연대기, 올바른 지도 제작, 올바른 고고학을 갖게 될 때, 올바른 성경 본문을 갖게 될 것이다.


우리는 성경이 최우선이며, 최고의 권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의 연대는 성경과 일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의 증언도 크게 무시한다.

성경 주석과 역사 문제 해결 모두에서 진실을 찾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명확한 정보로부터 가장 모호한 정보를 추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학자들이 연대기에 도달한 해석학은 거꾸로 되어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성경이 무오한 진실된 기록으로서 고대 근동역사에 빛을 비춰줄 것이라는 생각 대신에, 카르타고, 이집트, 아시리아의 불확실한 연대기로부터 성경의 전통적 사본들과 연대를 수정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 2019)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역사적 수정주의의 목표는 실패했다고 단언했다. 왜냐하면 :

한 사람이 이들 수천 가지의 함의를 모두 파악할 수 없으며, 전체 고대 근동(ANE) 연대기를 수정하는데 요구되는 필요한 지식을 모두 갖출 수 없다.

이 말은 양날의 검과도 같다. 만약 어떤 한 사람이 기원전 연대기를 수정할 만큼 충분히 알 수 없다면, 어떤 한 사람도 받아들여진 연대기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알 수 없다. 하나님만이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알고 계신다. 따라서 성경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칠십인역(LXX) 연대기를 받아들이는 성서학자들은 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잘라내기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한 기존의 고대사 모델에 일반적으로 만족해한다(Wood and Smith 2012).

그러나 마소라 본문(MT)과 벌게이트(Vulgate) 성경이 구약성경의 원래 연대기에 대한 두 증거라고 믿고 있는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노아 홍수가 BC 24세기 경에 일어났다는 데 동의한다. 따라서 이는 고대 근동(ANE)의 공인된 연대기와 피할 수 없는 충돌을 일으킨다.

수십 명의 수정주의자들이 있었지만, 성경의 우위를 고수하는 사람들은 최근에야 벌게이트 성경과 마소라 본문의 숫자(연대)를 사용하여, 일관되고 포괄적인 고대사 모델을 구축하려고 시도했다. 그들의 수는 손가락으로 셀 수 있을 정도로 적다. 여기에는 호(Hoeh, 1967, 1969), 웨이트(Waite, 2016), 오스굿(Osgood, 2020), 몽고메리(Montgomery, 2021)가 포함된다. 쿠르빌(Courville, 1971)은 그 문제의 이집트 부분에서 큰 공헌을 했다. 벨리코프스키(Velikovsky, 1952, 1955, 1960, 1977, 1978)와 롤(Rohl, 1995)의 영향을 받아, 스튜어트(Stewart, 2003)와 다운(Down, 2006)은 이집트 연대기를 수정하려고 시도했다.

이 작업은 방대하고 어렵지만, 우리의 신앙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고, 성경의 진리를 반영하는 연대기에 도달하기 위해, 그러한 고대사 모델을 계속 연구할 것을 요구한다. 진리를 찾는 일은 언제나 노력할만한 가치가 있다.


2. 오해와 편견

고고학적 기념물들과 유물들은 오해와 오인에 취약하다. 진화론자들이 돼지 이빨로 네브라스카인(Nebraska Man)이라는 유인원을 만들어냈던 것처럼(Taylor 1991),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도 단편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실타래를 짜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편견은 벨리코프스키(Immanuel Velikovsky)가 기존의 역사 연대기에 이의를 제기했다는 이유로, 그의 책에 대한 불매운동, 학술 저널에 대한 검열, 배척 등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진화론적 연대기 틀 안에 있을 때에만, 학자의 견해는 허용되는 것이다.

전통적 역사의 몇 가지 중요한 기둥들은 단지 이름 연관성만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추측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네페르호텝 1세(Neferhotep I) 치하의 비블로스(Byblos)의 왕이었던 인틴(Intin)은, 짐리림(Zimri-Lim) 통치 시기에 마리 왕(King of Mari)에게 선물을 보냈던 비블로스의 얀틴암무(Yantin-Ammu)와 같은 인물로 가정되고 있다. 이러한 동시성(synchronism) 하나만을 근거로, 레반트(Levant)의 중기 청동기시대(Middle Bronze Age II)는 이집트 제13왕조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그 시대에 이 두 시간 틀을 하나로 묶도록 지지해주는 다른 동시성이나 기간은 없으며, 상당한 증거들은 이 두 시기가 전혀 동시대가 아니었음을 가리키고 있다.

만약 우리가 비블로스의 왕들의 전체 목록을 갖고 있고, 그중 단 한 명만 얀틴 또는 인틴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면, 이 동시성을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BC 612년 니느웨가 함락되기 전까지 16세기 동안, 비블로스의 왕들 10명 미만의 이름만을 알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동시화는 수세기 간격으로 비블로스를 통치했던 얀틴이라는 두 명의 다른 인물을 혼동한 것일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 동시성은 바지 한 벌을 가져다가 한쪽 다리의 소맷자락을 다른 쪽 다리의 무릎에 꿰매는 것과 비슷하다. 그 바지를 입고 잘 걸을 수 있기를 빈다! 이러한 잘못된 동시화는 역사를 수 세기나 뒤바꿔 놓을 수 있다.

두 번째 예는 유세비우스(Eusebius)와 신셀루스(Syncellus)가 말했던 것처럼, 마네토의 31개의 이집트 왕조들이 미스라임 후손들의 평행한(parallel, 동시에 있었던) 도시 왕조들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sequentially, 연속적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것이다(Manetho, 1964, 9). 이러한 잘못된 해석은 세속적 연대기의 기초가 되었으며, 모든 국가들의 역사를 서로 연결하는, 전통적인 역사 모델이 되었다.

평행했던(동시에 있었던) 왕조들을 일렬로(순차적으로) 나열하는 오류는 여러 타임라인에서 유령 사건들을 만들어낸다(그림 3과 4). 이러한 예들로서, 요셉의 기근은 이집트 제2, 제5, 제12왕조들에서 발견되고, 출애굽 이후 이집트의 붕괴는 제1중간기와 제2중간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타하르카(Taharqa)의 하이집트 탈출은 여러 이집트 왕조들에서 발견되는 등 다른 여러 경우에서 이러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림 3. 동시대 왕조들의 시간 틀에서 발생된 사건.

그림 4. 왕조들을 순차적으로 직렬화하면, 유령 사건들이 생성된다.


애치슨(Aitchison, 2016, 485), 레일리((Reilly, 2015), 다운(Down, 2002)과 같은 일부 수정주의자들은 이집트, 히타이트, 그리스, 앗수르 왕조의 고정되어 있는 연도를, 애치슨의 경우는 631년을, 레일리의 경우는 450년을 재배치(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림 5).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일련의 평행(동시에 있던) 왕조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함으로 만들어졌던 유령 사건들은, 그 사건을 기록했던 각 왕조들에서 서로 차이(offsets)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림 3과 그림 4의 가상 예시에서, BC 400년에 다섯 왕조가 경험했던 동일한 사건을 순차적으로 직렬화하면, BC 750년, 900년, 1280년, 1750년에 4개의 유령사건들이 만들어진다. 1~4번 왕조를 350년씩 아래로 이동하면, 4번 왕조만 재조정되고, 다른 왕조는 동시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비드 다운(David Down)이 했던 것처럼 모든 왕조를 단순히 X 년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그림 5). 대신 왕조들을 신중하게 연구하고, 역사적 기간과 강력한 동시성을 기반으로 하여 병렬 배치해야 한다.

그림 5. 데이비드 다운의 모든 왕조들에 대한 X 년씩 이동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Down 2002).

    

마네토의 이집트 왕조들, 수메르 왕 목록(Sumerian King List), 바빌로니아 왕 목록(Babylonian King List)이 고대와 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실수로, 경우에 따라서는 고의적으로, 다른 도시들에 있는 평행(동시대에 있었던) 군주들의 목록이었는지, 순차적으로 기재된 목록이었는지에 관한 증거들을 살펴볼 것이다.


3. 오류의 토대 위에 성을 쌓았다.

오류는 더 많은 오류를 낳고, 그 결과 역사에 공백(존재하지 않는 암흑기)이 생기고, 역사의 누락이 발생하였다.


간격

평행(parallel, 동시에 있었던) 왕조를 연속적으로(serializing, 순차적으로) 나열함으로써 발생한 간격(gaps)의 예로는 청동기시대 붕괴기(Bronze Age Collapse)와 할슈타트 고원(radiocarbon Hallstatt Plateau,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표시하는 그래프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평평한 영역)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 붕괴기는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의 이집트 연대기에서, 그리스(Greece)와 아나톨리아(Anatolia)에서 수 세기 동안 주거지 층(habitation layers)이 누락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발명되었다(그림 6). 빅뱅 우주론에서 모순되는 관측을 설명하기 위해 암흑물질(dark matter)과 암흑에너지(dark energy)를 발명해낸 것처럼, 청동기시대 붕괴 이후에 암흑시대(dark age)가 여러 왕조들에서 연쇄적으로 생겨났다.

그림 6. 이집트 왕조들의 순차적 배열로 인해 원인된 층서학적 암흑시대(dark age).(Roger Waite. Used with permission).


우리는 본질적으로 그리스나 아나톨리아에는 암흑시대가 없었고(비록 고전 역사에서 지중해에서 한 전쟁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청동기시대 붕괴기 자체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선사시대(prehistoric times)도 없었다고 주장할 것이지만,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잃어버린 역사의 시대들이 있었다. 고대 연대기 기록들과 서판(tablets)들은 BC 4004년 경의 창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성경을 보완하며, 기록된 역사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동시에 존재했던 왕조들이 역사가들에 의해서 연대기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면, 방사성탄소 연대측정(radiocarbon dating) 결과는 기존 연대기로 몇 세기씩 구분된 왕조들의 유물들에 대해, 동일한 연대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실제로 할슈타트 고원에서 바로 그런 문제가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방사성탄소 붕괴가 BC 800년에서 400년 사이 4세기 동안 효과적으로 멈췄다고 단호하게 말한다(van der Plicht, 2005, 46, 48, 51). 이러한 주장이 얼마나 비과학적인지는, 인지 부조화라는 표현으로도 부족할 지경이다. 피터 제임스(Peter James)는 이를 첫 번째 밀레니엄 방사성탄소 재앙(first millennium radiocarbon disaster)이라고 불렀다(James et al. 1993,  Appendix 1).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평행(동시에 있었던) 왕조를 실수로 순차적으로 나열시켰을 때, 예상되는 결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방법에는 학문적 부정이 만연해있다. 왜냐하면 이 측정방법은 이중 맹검(double blinding)이 결여되어 있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시료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며, 책임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Bergman 2009; Harding 2005).


잃어버린 역사 : 다윗과 솔로몬, 출애굽, 여호수아의 정복, 아비멜렉

기원전 근동의 거의 모든 도시들이 여러 번 파괴되었지만, 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독특한 세부 사항을 갖는 파괴 패턴이, 수 세기 일찍 동일한 도시에서 발견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볼 수 있다. 성경은 여리고 성벽이 무너져 내렸고, 여호수아가 그 도시를 약탈하지 않고 불태웠다고 기록하고 있다(수 6:20-24).

여리고(Jericho)는 기존의 전통적인 정복 날짜보다 몇 세기 이전인 초기 청동기시대 말기(Early Bronze III)에 불태워졌던 것으로 발견되어왔다. 청동기시대 말기의 여리고 성의 파괴는 성벽의 벽돌들이 바깥쪽으로 무너져 내렸고, 불에 탄 곡물들이 남아 있었는데, 이는 도시가 불에 탔지만, 약탈당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었이다. 이것은 여리고에 관한 성경 기록이 사실임을 가리키는 세 가지 세부 사항들이다. 캐슬린 케년(Kathleen Kenyon)은 이러한 여리고의 파괴가 여호수아 시대보다 몇 세기 이전에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Kenyon, 1957, 258-259).

세겜(Shechem)에는 바알브릿(Baal Berith) 신전이 있었고, 그 안에 사람들이 숨어 있는 망대(tower)가 있었는데, 사사시대에 화재로 소실되었다(사사기 9장). 1926년 세겜이 발굴되었을 때, 화재로 파괴된 망대가 있는 큰 신전이 발견되었고, 불에 탄 사람들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청동기시대 중기(Middle Bronze Age IIC)로 연대가 평가되었고, 화재로 인한 파괴는 기드온의 아들 아비멜렉 시대보다 4세기 반 이전인, BC 1650년 경으로 평가되었다.(Courville 1971, 172; Montgomery 2019, chapter 3). 다시 한 번, 성경에 기록된 특별한 세부 사항들을 보여주고 있는 도시들의 파괴가 수세기 이전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헤스본(Heshbon), 아랏(Arad), 여리고(Jericho), 하솔(Hazor), 아이(Ai) 등 많은 초기 청동기시대의 도시들이 가나안 유목민 침략자들에 의해 완전히 영구적으로 파괴되었지만, 이는 전통적인 정복 날짜보다 7세기 이전인 BC 2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연대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고고학자들은 침략자들이 누구였는지 알지 못한다.

지금까지 조사된 팔레스타인의 모든 마을들은 동일한 단절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 들어온 사람들은 마을 생활에 관심이 없는 유목민이었으며, 이미 약화되고 쇠퇴된 오래된 인구 집단을 완전히 몰아내거나, 흡수하여, 초기 청동기시대 문명의 모든 흔적들이 사라졌다. (Kenyon 1965, 134)

이 논문 시리즈에서는 이스라엘 왕 이스보셋(Ishbosheth), 솔로몬(Solomon), 여호아하스(Jehoahaz)의 실제 서신들을 포함하여, 고대 도시의 외교 기록보관소와 같은 추가 사례들을 보여줄 것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수 세기나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 인식되지 않고 있는 잃어버린 역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간격과 누락된 역사는 현재의 표준 연대기가 잘못되었으며, 모든 것들이 들어맞을 때까지 진지하게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는 것이다.


수정주의자 버섯

키친(Kitchen)과 우드(Wood)는 아마추어들이 ANE(고대 근동)의 연대기를 계속 수정하려 시도한다고 불평했다(Kitchen 1996, preface; Wood 1999; ABR 2019). 버섯은 죽은 나무에서 자라난다. 기독교인이나 무신론자를 막론하고, 고대사 수정주의자들이 우후죽순처럼 계속 생겨나는 이유는 학계가 우리에게 팔고 있는 ANE 연대기가 알려진 모든 정보들을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고학자들은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지만, 특별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는 동일한 사건이 몇 세기 전에 일어났었다는 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발견들이 성경에 기록된 사건이나 사람들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한다.

만약 여러 문화권의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고대사의 틀을 형성하는 연대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들의 확언이 (우리가 이 세계의 진정한 역사로 알고 있는) 성경 연대기와 일치한다면, 고대 근동의 실제 역사는 더 쉽게 결정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우리의 연대기 틀(chronological framework)이 절대적이지도, 완전하지도 않지만, 우리는 이 연대기 틀이 어셔-존스(Ussher-Jones)의 성경 연대기와 합리적인 방식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이는 알려진 대부분의 정보들을 존중하면서, 고대사에 대한 우리의 실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기존 연대기보다 역사적 데이터들을 더 잘 설명한다고 믿는 한 새로운 모델을 창조론자 커뮤니티에 검토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ARJ 저널(Answers Research Journal)에 제출된 20편의 논문들로 구성된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CFAH,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시리즈의 첫 번째 논문이다.


이 연대기적 틀은 어떻게 다른가?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학문이 좁은 기간(시대)에 초점을 맞춘 다음, 동료 학자들의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연대기적 틀을 만들어내는 첫 번째 단계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s, 기준점)들을 찾아내는 것으로, 이것은 일반적인 접근 방식과 다르다. 우리는 두 가지 질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

1.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정확한 정보를 기록했는가? 그리고

2. 서로 다른 문화권 간에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는가?

한 대학이나 국가의 연대학자들은 자신의 연대기가 표준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여러 고대 문화의 연대기 기록자들이 그렇게 할 기회나 권한을 가졌을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여러 고대 국가의 연대기들이 서로 일치되는 것이 발견된다면, 이는 그들의 증언이 신뢰할 만하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우리는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서로를 확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어떤 말을 했었는지 알아보기 시작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대기에서 어셔-존스 연대기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 논문은 다섯 편의 논문 중 첫 번째 부분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우리는 연대 틀을 더 작은 기간으로 세분화하기 위해서, 다른 기간들을 조사했다.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강요됨 없이 그 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이것이 6-18번째 논문이다.

데이터들이 강제되었는지(억지로 맞추어졌는지)에 대한 한 테스트는, 주요 기간들이 다른 일련의 데이터들을 지지하도록 결정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다. 데이터로 작동되는 대안적인 틀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다른 연구자들이 시도해 보기를 권장한다.


기간에 대한 데이터와 표

이 연대기 틀(chronological framework)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가 포함된 보충 자료들은 이 논문의 부록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 자료들은 기간, 기준점, 가정된 동시성, 참고문헌 등의 탭(tab)으로 나뉘어진다. 우리는 서판(tablets)과 비문(inscriptions)뿐만 아니라, 연대 기록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고대 연대기 데이터의 전체 세트를 포괄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기간

기간(durations)  탭은 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 세트이다. 여기에는 사건들 사이의 고대 자료들로부터 보고된 약 400개의 기간들을 목록화하였다.

사건, 기간 길이, 출처 및 참고문헌과 같은 부문 외에도, 출처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개의 열(column)이 더 있다. 첫 번째 열은 기간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참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색인 열은 기간의 길이를 나열하여, 표를 길이별로 정렬할 수 있게 해준다.


기준점

각 논문에서 우리는 사건의 연대를 삼각 측량하여(triangulate), 그것들을 앵커 포인트(anchor points, 기준점)로 숫자를 정하였다. 이 탭에는 처음 5개 논문들로 결정된 순서대로 기준점들이 나열되며, 이 시리즈의 논문들은 CFAH-X로 목록화된다(여기서 X는 논문 번호). 당신은 현재 CFAH-1을 읽고 있다. 이 시리즈가 완료될 때까지, 각 세트의 논문들이 포함된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의 업데이트를 실행할 예정이다.


잘못 가정된 동시성

이 탭은 역사가들이 기록된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 양쪽 모두에서 연대측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이름 붙이지 않고, 가정되고 있는 연대기를 기반으로 동시 발생한 것으로 만들어버린 경우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시리아의 투쿨티 니누르타 1세(Tukulti Ninurta I)는 니흐리야 전투(Battle of Nihriya)에서 히타이트 왕 투드할리야 4세(Tudkhaliya IV)를 물리친 것으로 종종 인용된다. 문제는 두 왕 모두 상대 왕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고, 투드할리야의 편지에는 전투에 대한 언급조차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 연대기에서 두 왕이 동시대에 있었고, 상대방이었을 것으로 가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학자들은 투쿨티 니누르타가 아닌 샬만에세르 1세( Shalmaneser I)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다른 방법에서 그들이 다른 시기에 살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면, 이 동시성(synchronisms, 사건의 동시적 처리)은 먼지가 되어 무너질 것이다.

역사책과 백과사전에는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이러한 가정된 동시화가 많이 존재하며, 우리 스스로도 이러한 동시화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


방법론

    

우리는 성경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조지 롤린슨(George Rawlinson)이 처음 사용하고, 나중에 플로이드 놀렌 존스(Floyd Nolen Jones)가 개선한 삼각측량(triangulation)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Jones 2019, 135-137). 우리는 존스의 방법을 성경 외의 역사적 데이터들에 적용했다.


우리의 가정 

1. 성경은 창조주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무오한 말씀이며, 인류의 구속과 관련된 역사를 기록한다는 점에서 세계의 진정한 역사를 담고 있다. 성경은 외부 왕국과 제국의 통치 기간에 일어난 많은 사건들의 연대를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적 역사를 다른 고대 왕국들과 연결시키는 동시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창세기 대홍수는 전 지구적으로 일어났으며, 방주 안에 보존된 것을 제외한, 코로 기식을 호흡하는(air-breathing) 모든 육상 척추동물들을 파괴했다. 따라서 오늘날 지구상의 모든 인간은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탔던 일곱 명의 후손이며, 모든 육상 척추동물도 방주 안에 있던 동물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또한 노아 홍수는 지구의 지형을 완전히 파괴하고 다시 만들었기 때문에, 퇴적암 아래에 묻혀있는 도시를 제외하고, 알려진 모든 고고학적 유적들은 홍수 이후의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의 역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병목 사건이었던 노아 홍수의 날짜는 모든 역사적 연대기를 보정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데이터 지점이다. 바벨탑의 건축과 인류의 분산은 모든 국가에 비슷한 수준과 보편성을 가지고 남아 있다.

3.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사원과 왕실 도서관의 정확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당대의 사건부터 과거의 주요 사건들까지 정확한 연대를 계산할 수 있었다. 메소포타미아 도시의 사원에는 초기 청동기시대인 BC 4천 년 전까지 연대가 표기된 대여(loans) 기록이 있다. 고대 연대기 작가들은 이러한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2세기 동안 수만 개의 서판(tablets)들이 발굴되어 번역되었다. 연대기 기록자 중 일부는 특정 지점에서 오류를 범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증언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고, 두세 명의 독립적인 증인이 동의할 정도로 서로 확인된다면, 과거의 주요 사건에 대한 확실한 날짜로 설정한다.

4. 우리는 창세기의 연대기가 연대기적 간격(gaps)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시대들의 정확한 연대를 구축하는 데 신뢰할 수 있다고 믿는다.

5. 인간은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 연대기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달력과 날짜 기록 방법으로 인해, 고대 역사에서 대부분의 날짜는 최소 1년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천문학은 천문학자의 가정들이 모두 정확하다면, 날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최선은 약 1년 정도 오차의 정확도를 가진 표준 연대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Jones 2019, v).

6. 성경에는 창조(Creation)부터 고레스 대왕(Cyrus the Great, 키루스 대왕)의 칙령까지,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는 연대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성경 연대기를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서기(AD) 시대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대 제국들의 연대기를 참조해야 한다.


그러나 각 주요 구절에 대해 두 가지, 때로는 서너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경 데이터로부터 10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중 하나만 모든 시점에서 정확할 수 있다. 올바른 성경 연대기는 해당 예언을 포함하여, 성경에 주어진 모든 기간들을 조화시켜야 한다(Montgomery 1998).

우리는 외부 증인들이 성경을 뒷받침하도록 해야지, 성경 해석을 강요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우리의 성경 해석이 정확하고, 외부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정확하다면, 두 가지가 일치해야 한다.

성경 연대기와 성경 외 자료 사이에 충돌이 발견된다면, 어느 쪽의 해석이 잘못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우리는 성경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잘못되었을 수 있는지, 성경 외 자료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잘못되었을 수 있는지, 아니면 성경 외 자료 자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는 틸레(Thiele 1994, 168)가 주장했던 것처럼, 성경 자체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성경은 우리에게 완전한 연대기적 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성경의 무오성에 근거하여 정확한 연대기 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한 어떠한 연대표도 성경의 해석에 기초한 파생적 저작물이므로, 무오성을 주장할 수는 없다.

우리는 플로이드 놀렌 존스(Floyd Nolan Jones, 2019)의 ‘구약성경 연대기(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가 BC 536년 고레스 칙령 이전의 날짜들에 대한 성경적 연대기의 가장 일관된 해석으로 간주하고, 그의 작업을 어셔-존스 연대기(Ussher-Jones Chronology, 표 1)로 지칭할 것이다. 비록 사사시대 일부 날짜들에서 최대 10년의 차이가 있지만 말이다.

표 1. 어셔-존스(Ussher-Jones)를 사용하여 만든 성경적 연대기


그러나 우리는 어셔-존스의 연대기에 맞추기 위해 결과를 구부리지 않았다. 우리는 어셔와 존스 모두 BC 721년경 사마리아 함락 이전의 이방인 통치자들에 대한 거의 모든 역사적 사실에 오류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 일련의 논문에서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을 제시하는 것은, 성경에 충실하면서도,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며, 이러한 시도를 한 것은 우리가 처음도 아니고, 마지막도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기간과 삼각측량

“...두세 증인의 입으로 말마다 확정하리라” (고린도후서 13:1)

역사(history) 연구는 오늘날에 다시 실험으로 검증해볼 수 있거나, 반복해볼 수 없기 때문에, 과학(science)이 아니다. 역사는 실제로 현장에 있었던 고대 목격자와 목격자의 증언을 기록한 다른 목격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규명하려는 법정 소송에 더 가깝다.

법정 소송과 달리 우리는 고대 증인들에게 질문을 던져 반대 심문을 해볼 수가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그들의 증언은 다른 여러 사람을 통해 걸러졌기 때문에, 증언의 상당수가 소문(hearsay)에 불과하다. 아슈르바니팔 도서관(the library of Ashurbanipal)에 있는 고대 학자들의 기록조차도 사건이 일어난 지 수 세기가 지난 후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소문에 불과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가정이 정확하다면,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서로 확인한 모든 연대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견고한 연대기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과 성경 외의 역사 사이의 동시성(synchronisms)이 결과로 나타나야 하며, 그 결과 국가들이 연대순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우리의 방법은 고대 문헌의 인용문에서,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기간을 검색하여 찾는 것이다:

1. 신뢰성

2. 날짜가 잘 기록된 사건에 근거할 것

3. 두세 명의 증인으로부터

4. 삼각검증(三角檢證, triangulation)을 통해 상호 확인한다.(Jones 2019, 109).


1. 신뢰할 수 있는 기간들. 만약 고대 연대기 기록자가 한 고대 사건이 훨씬 후대의 사건보다 정확히 몇 년 이전에 발생했다고 언급했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는 한, 이 연대기 기록자가 해당 기간을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에 접근(access, 이용)할 수 있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기간은 정확한 원래 목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은... 후기 아시리아 군주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바빌론의 역사에서 일어난 사건의 정확한 날짜를 자신들로부터 1600~1700년이나 먼 시간까지 고정(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있었다고 믿고 있었다는 것이다." (Rawlinson 1879, vol. 1, 152–153).

2. 연대가 잘 알려진 사건에 기준점을 두기. 주어진 기간의 한쪽 끝은 알려진 날짜의 것이어야 한다. "BC 385년부터 BC 61년까지... 1,200개 이상의 천문 일기(astronomical diaries) 조각들이... 이 시기의 연대기를 확고하게 정립"하고 있으므로, BC 747년 나보나사르 시대(Era of Nabonassar)부터 고대 후기까지의 날짜들은 알려진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다.(Jonsson 1998, 157-158).

3. 복수의 독립적인 고대 자료들. 진실을 확립하려면 두 명 이상의 증인이 필요하다.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나온 증언은 강력한 증거가 된다. 고대 자료는 일반적으로 AD 455년 로마 멸망 이전에 작성된 자료로 간주 된다. 만약 우리가 더 오래된 출처를 확인할 수 없고, 더 강력한 증언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중세 연대기 기록자나 필사자가 제공한 연대는 받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네토(Manetho)와 베로수스(Berossus)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고대와 중세의 연대기 저자들을 통해 전적으로 보존되었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데이터에 직접 접근했거나, 직접 접근했던 이전 연대기 기록자의 기록을 인용하는 것이다.

4.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면, 삼각검증으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출처에서 사건 A가 사건 B보다 50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고, 두 번째 출처에서 사건 B가 사건 C보다 75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고, 세 번째 출처에서 사건 A가 사건 C보다 125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면 AB + BC = AC(Jones 2019, 135)가 되기 때문에 삼각검증을 할 수 있다.

    

존스(Jones)는 롤린슨(Rawlinson)이 처음 사용한 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삼각검증(triangulation)이라는 단어를 만들었지만, 기하학적으로 이것은 삼각형을 형성하지 않는다. 실제로 사용되는 규칙은 "전체는 부분의 합과 같아야 한다"는 것으로, 수학자들은 이를 "분할 가정(partition postulate)"이라고 부른다. 즉, 더 긴 지속 시간은 더 짧은 지속 시간들의 합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존스가 삼각검증에서 의미했던 바이며, 여기서는 삼각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이 용어를 계속 사용할 것이다. 즉, 날짜가 다른 세 개의 사건 사이의 기간들이 하나의 날짜에 수렴한다는 의미이다.

최소 두 곳 이상의 서로 다른 출처에서 주어진 세 개의 기간은 이 규칙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서로를 확인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세 기간 간의 이러한 관계가 입증되면, 세 사건 모두에 대해 확정 날짜가 설정된다.

서로 다른 출처의 연대를 사용하여 만든 단일 삼각검증만으로도, 한 고대 사건에 대해 도출된 날짜가 정확하고 사용된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이 연대가 실제로 정확하다면, 이 연대와 삼각측량된 다른 연대가 추가로 발견되어, 그 정확성이 더욱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것을 보는 또 다른 방법은 회로가 완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알려진 날짜에서 고대 사건까지 한 세트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간 다음, 다른 기간 세트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알려진 날짜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회로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다. 회로를 완료하면, 두 기간 세트와 삼각측량한 날짜가 모두 확인된다.


삼각검증은 얼마나 정확할 필요가 있는가?    

모든 측정값에는 측정값의 가장 작은 정확도의 1/2에 해당하는 오차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기간이 연 단위로 제공되었으므로, 대부분의 기간에 대한 기본 오차율은 ±6개월이다.

여러 개의 작은 측정값들을 합산하여 하나의 큰 측정값을 결정함으로써 과도한 오차가 누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열왕기, 역대기, 마네토, 또는 바빌로니아 왕조 목록의 왕조들을 합산하여 왕조의 기간을 구하려는 시도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역사적 날짜는 통치했던 왕이나 왕조의 년(year)를 기준으로 제공되므로, 역사적 기간에는 약간의 오류 검사가 내장되어 있다. 일부 고대근동 문화권에서는 연대기에서 누적된 오류를 제거하는 즉위년 연대법(accession-year dating)을 사용했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왕 당 최대 1년의 오차가 추가되는 비-즉위년 연대법(non-accession year dating)를 사용하기도 했다.

근사치나 반올림된 숫자가 분명한 연대의 경우, 훨씬 더 넓은 범위에서 삼각 연대측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600년은 가장 가까운 100년으로 반올림하여 오차 범위가 ±50년이다. 이것은 정확한 기간이 1,550년에서 1,650년 사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1,600년 이상이라는 진술은 1,601년에서 1,650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삼각 측량된 날짜를 확인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한 날짜가 이미 최소 한 번의 정확한 삼각검증으로 확립된 경우, 그리고 두 번째 기간이 논쟁 중인 날짜 기간의 1% 이내에 해당할 경우, 삼각측량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느슨한 삼각검증(loose triangulation)으로 분류할 것이다.

동일한 사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계산된 두 개의 기간이 오차 범위 내에서 겹치는 경우, 삼각검증이 되었다고 말해질 수 있다.


가장 먼 지점으로 보정

토지 측량을 수행할 때, 가능한 가장 긴 측정을 수행하면, 작은 오차들이 누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가장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홍수, 바벨탑의 건축, 분산 및 국가의 건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긴 기간은 처음부터 유효하다면, 그 사이의 날짜에 대한 연대기를 보정할 수 있는 책버팀(bookend, 세워 놓은 책들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것)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모서리와 가장자리를 먼저 찾아서 그림 조각을 맞추는 것과 비슷하다. 가장 오래된 사건의 기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누적 오차를 알고 있는 한, 더 작은 기간들을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어원적 이름 식별    

우리는 다른 증거에 의해 두 사람이 시간적으로 같은 기간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이름 연관성의 증거로서 고려할 것이다. 우연적으로 유사할 가능성이 너무 많고, 역사상 이전 영웅과 왕들의 이름을 딴 인물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이름 연관성만으로 연대기를 결정할 수는 없다.


시간 단위

    “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다는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 (베드로후서 3:8, NKJV)

우리가 확인한 정확한 기간 중 상당수는 아카드어와 이집트어에서 그리스어로, 아리안어, 산스크리트어, 중국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것이다. 이러한 연대는 종종 텍스트에서 매우 큰 숫자로 표시된다. 그러나 원래 숫자는 일, 월, 분기 또는 계절인 경우도 있고, 힌두교의 경우 두 시간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거기에는 간혹 연(years)으로 인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세 개의 짧은 시간 단위도 사용됐던 것으로 보인다.

말라라스(John Malalas)에 의해서 보존된 마네토의 기록 중 하나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말을 듣게 된다 : 

"캄(Kham) 가문의 메스트라임(Mestraim)이 이집트인들을 다스렸다... 그 후 헤파이스토스(Hephaistos)가 1,680일 동안 이집트인을 다스렸으니, 이는 4년 7개월 3일에 해당된다 : 당시 이집트인들은 연(years)을 측정하는 방법을 몰랐지만, 하루의 주기를 '년'이라고 불렀다 ... 당시 이집트인이나 다른 누구도 숫자를 계산하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달의 주기를 년으로 계산하는 사람도 있었고, 낮의 주기를 년으로 계산하는 사람도 있었다. 12개월 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나중에 과세 간격에 대한 명칭이 도입된 후 발전했다." (Verbrugghe and Wickersham 1996, 153)

우리는 말라라스의 추론과는 달리, 고대 이집트인들이 하루, 한 달, 1년의 차이를 완벽하게 잘 알고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베로수스(Berossus), 마네토, 바빌로니아 왕 목록 및 수메르 왕 목록에서 우리는 각 사례에서 사제들이 일, 월, 기타 시간 단위를 년으로 계산함으로서 숫자를 다루고 있는 예들을 볼 수 있다.

우리의 400여 개의 기간들 중 약 12개는 일, 분기, 또는 힌두교의 경우 두 시간 등 특이한 단위들로 기록되어 있지만, 텍스트에서는 연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해석이 필요하지만, 적합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동시성

우리는 역사적 주장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고대 역사가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성(synchronism, 동시 발생, 동기)의 질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동시성이란 한 사건이 서로 다른 두 사람, 또는 다른 두 왕국의 역사 시간표(타임라인)에서 식별되는 것으로, 두 왕국의 시간 또는 역사를 서로 동시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우리가 이상적으로 양쪽 모두에 기록되기를 원하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가 있다 : 사건의 세부 사항, 상대 왕의 이름, 날짜(보통 재위 연도 단위로 표시됨)이다.

많은 역사적 동시성은 두 왕국 중 한 왕국의 기록만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단면 동시성(one-sided synchronism)라고 하는데, 양면 동시성(two-sided synchronism)보다 품질이 훨씬 떨어진다. 완전한 양면 동시성을 인정받으려면, 양쪽에서 모두 사건을 언급하고 있고, 양쪽에서 독립적으로 연대 평가가 가능해야 한다. 양측 모두 상대방 왕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으면, 추가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예시 : 단면 동시성

쿠르크 석비(Kurkh Monolith)에는 살만에셀 3세(Shalmaneser III)가 카르카르(QarQar) 시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12명의 왕으로 구성된 연합군과 싸웠으며, 그중 한 명이 야우브 스릴리트(Yaub Srilit)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이스라엘의 아합(Ahab) 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두 가지 이유로 품질이 낮은 동시성이다. 첫째, 이스라엘 연대기에는 이 전투나 원정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아시리아 단어는 스릴리트가 아니라, 쿰리(Khumri)였다. 둘째, 성경에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 대해 이 시기를 다루고 있는 5개의 연대기 데이터 세트들이 있는데, 모두 아합의 죽음을 살만에셀 3세가 즉위하기 40여 년 전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이스라엘 측의 연대기와 모순되는 약한 단면 동시성이다. 아마도 더 나은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예시 : 양면 동시성

이집트 국경의 도시 펠루시움에서 벌어졌던, 페르시아 캄비세스(Cambyses) 군대와 이집트 제26왕조의 프삼티크 3세(Psamtik III) 군대가 벌인 여러 전투 중 하나인 펠루시움 전투(Battle of Pelusium)는 양측 모두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 헤로도토스(Herodotus)와 다른 여러 자료들은 그 이야기를 페르시아 측에서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 사제 마네토의 기록은 우리에게 BC 332년 알렉산더의 이집트 정복부터 펠루시움 전투까지, 제27~31왕조의 통치 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집트 데이터는 세 명의 다른 편집자들이 제공한 것으로, 그 범위가 조금씩 달라서, BC 332년 이전의, 191~204년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그리스와 페르시아 자료는 캄비세스 제5년에 일어난 정복을 BC 560년 키루스(Cyrus, 고레스)가 안산(Anshan)을 점령한 것에서 아래로 다른 방향으로 계산하여, BC 525년이라는 날짜를 제시한다. 두 문화권 모두 사건의 세부 사항, 일반적인 날짜, 적이었던 두 왕의 이름이 일치하기 때문에, 이것은 강력한 양면 동시성이다.

단면 동시성은 모순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지만, 양면 동시성은 훨씬 더 높은 확실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역사의 다른 시대에 비슷한 이름을 가진 두 세트의 통치자가 있는 경우와 같이, 명백한 양면 동시성조차도 잘못된 경우가 드물게 있을 수 있다.


줄리안력

고대 근동 문화권에서는 새해를 세는 날이 서로 달랐다. 바빌로니아력(Babylonian calendar)의 BC 747년은 줄리안력(Julian calendar)으로는 BC 747년 3월 ~ BC 746년 2월까지이다. 줄리안력으로 주어진 연도는 단순히 BC 747년으로 표시되는 반면, 다른 문화권에서 새해 연도는 BC 747/746년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어서, 해당 연도의 시작과 끝이 되는 줄리안력을 알 수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할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기존의 고대사(ancient history) 모델은 잘못된 권위, 잘못 알려진 증거들에 대한 의존, 오류의 토대 위에 역사 모델을 구축했기 때문에,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고대 자료에서 사건들 사이의 기간을 검색한 다음, 다른 목격자와 삼각검증을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기간을 걸러내는(filtering) 방법을 정의했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고대 근동의 연대기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처리했다. 그 결과 바벨에서 알렉산더 대왕까지 세 주요 경로들과, 성경 외부의 총 49개의 작은 경로들을 통해서 얻어진 동일한 수의 연대들을 시간 틀에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의 결과는 특히 이집트의 제12왕조와 제18왕조에 대한 스튜어트(Stewart), 다운(Down), 웨이트(Waite), 오스굿(Osgood), 몽고메리(Montgomery)의 연대기와 상당히 일치한다. 주요 차이는 솔로몬의 사망 날짜에 관한 것과(이것은 어셔-존스와 일치한다), 히타이트, 수메르, 바빌로니아 왕조에 대한 우리의 배치이다.

모든 세부 사항들을 의심의 여지없이 증명할 수는 없으며, 아직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남아 있다. 그러나 이 결과로 도출된 시간 틀은 고대사를 구약성서 본문, 특히 거기서 파생된 어셔-존스 연대기와 조화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이스라엘의 왕들 중 몇 명이 고고학 기록에 등장한다.

다음 논문에서는 그림 맞추기의 가장자리 퍼즐인, 바벨탑 사건에 의한 분산 이후 국가들의 건국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References

Aitchison, J. Eric. 2016. Revisiting Velikovsky: An Audit of an Innovative Revisionist Attempt. Fremantle, Australia: Vivid Publishing.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2019. “Statement on Ancient Near Eastern and Biblical Chronologies.” 7 June. https://biblearchaeology.org/about/neareasternstatement.

Bergman, Jerry. 2009. “Fraud and Forgery in Paleoanthropology.” Answers Research Journal 2 (December 23): 201–210.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fraud-and-forgery-in-paleoanthropology/.

Bryce, Trevor. 1998.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ted Kingdom: Clarendon Press.

Courville, Donovan. 1971. The Exodus Problem and Its Ramifications. Vols. 1 and 2. Challenge Books, Loma Linda, California.

Down, David. 2002. “False History—‘Out With David and Solomon!’ Archaeological Challenges to the Historicity of the Bible are the Latest ‘Fad’. What are the Facts?” Creation 24, no. 4 (September): 16–19.

Down, David. 2006. Unwrapping the Pharaohs: How Egyptian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Timeline.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Finkelstein, Israel and Neil Asher Silberman. 2002.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Sacred Texts. New York, New York: Free Press.

Gertoux, Gerard. 2022a. “Dating the Biblical Chronology.” https://www.academia.edu/3290630/Dating_the_Biblical_Chronology.

Gertoux, Gerard. 2022b. “Dating the Birth of Israel: ca. 1500 or 1200 BCE?” https://www.academia.edu/3807111/Dating_the_Birth_of_Israel_ca_1500_or_1200_BCE_.

Harding, Luke. 2005. “History of Modern Man Unravels as German Scholar is Exposed as Fraud.” The Guardian, 19 February.

Hoeh, Herman L. 1967. Compendium of World History. Vol. 1. Pasadena, California: Ambassador College.

Hoeh, Herman L. 1969. Compendium of World History. Vol. 2. Pasadena, California: Ambassador College.

James, Peter, I. J. Thorpe, Nikos Kokkinos, Robert Morkot, and John A. Frankish.1993. Centuries of Darkness: A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Chronology of Old World Archaeology. New Brunswick,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Jones, Floyd Nolen. 2019.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A Return to Basics. 21st ed.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Jonsson, Carl Olof. 1998. The Gentile Times Reconsidered. Atlanta, Georgia: Commentary Press.

Kenyon, Kathleen M. 1957. Digging Up Jericho. London, United Kingdom: Ernest Benn.

Kenyon, K. 1965. Archaeology in the Holy Land. London, United Kingdom: Ernest Benn Limited

Kitchen, Kenneth. 1996. The Third Intermediate Period in Egypt: 1100–650 BC. Oxford, United Kingdom: Oxbow Books.

Luban, Marianne. 2012. Manetho Demystified. Utah, United States: Pacific Moon Publications.

Manetho of Sennebytus. 1964. Manetho. Translated by W. G. Waddell.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Montgomery, Alan. 1998. “Towards a Biblically Inerrant Chronology.” In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 edited by R. E. Walsh, pp. 395–406.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Montgomery, Alan. 2021. Ages in Order: A Velikovskian Revision. Kanata, Ontario: Best Bard Press.

Osgood, John. 2020. They Speak With One Voice: A Correlation of the Biblical Record with Archaeology. Bunjurgen, Queensland, Australia: Self Published.

Petrovich, Douglas. 2016. The World’s Oldest Alphabet: Hebrew as the Language of the Proto-Consonantal Script. Jerusalem, Israel: Carta.

Petrovich, Douglas. 2019. “Determining the Precise Length of the Israelite Sojourn in Egypt.” Near East Archaeological Society Bulletin 64: 21–41.

Rawlinson, George. 1879. The Five Great Monarchies of the Ancient Eastern World. 4th ed. London, United Kingdom: John Murray.

Reilly, Jim. 2015. “Paper #2: Babylonian Dynastic History—A Late 10th to Late 8th Century Outline. The Beginning of a Revision of Babylonian History.” http://www.displaceddynasties.com/uploads/6/2/6/5/6265423/paper_2__babylonian_dynastic_history_%E2%80%93_a_late_10th_to_late_8th_century_outline.pdf.

Rohl, David M. 1995. Pharaohs and Kings: A Biblical Quest. New York, New York: Crown Publishers.

Rudd, Steven. 2019. Nimrod and the Archaeology of the Tower of Babel: Christian Archaeological Dating (CAD). Ontario, Canada: Bible.ca.

Stewart, Ted T. 2003. Solving the Exodus Mystery. Vol. 1: Discovery of the True Pharaohs of Joseph, Moses and the Exodus. Houston, Texas: Biblemart.com.

Taylor, Ian T. 1991. “‘Nebraska Man’ Revisited.” Creation 13, no. 4 (September): 13.

Thiele, Edwin R. 1994.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Illustrated ed. Grand Rapids, Michigan: Kregel Ministry.

Ussher, James. 2007. The Annals of the World, translated by Larry Pierce and Marion Pierce.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van der Plicht, J. 2005. “Radiocarbon, The Calibration Curve and Scythian Chronology.” In Impact of the Environment on Human Migration in Eurasia, vol. 42, edited by E M. Scott et al., pp. 45–61.

Velikovsky, Immanuel. 1952. Ages in Chaos: A Reconstruction of Ancient History From the Exodus to King Akhnaton.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55. Earth In Upheaval.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60. Oedipus and Akhnaton: Myth and History.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77. Peoples of the Sea.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78. Ramses II and His Time.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rbrugghe, Gerald, and John M. Wickersham. 1996. Berossos and Manetho Introduced and Translated: Native Traditions in Ancient Mesopotamia and Egypt.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Waite, Roger. 2016. The Bible and Egypt: In Search of a Correct Egyptian Chronology. http://www.rogerswebsite.com/articles/TheBibleandEgypt.pdf.

White, Monty. 2003. “The Piltdown Man Fraud.” Answers in Genesis, November 24.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piltdown-man/the-piltdown-man-fraud/.

Wood, Bryant. 1999. “An Editorial Comment.” Bible and Spade 12, no. 4 (Fall): 99–99.

Wood, Bryant; and Henry Smith. 2012. “We Hear You!” Bible and Spade 25 no. 3 (Summer): 58.


*Supplementary Material

Available in a single file at https://assets.answersresearchjournal.org/doc/articles/arj/v15/cfah-data.xlsx.


*참조 1 :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2 : Founding of the Nations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tower-of-babel/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2/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3: Anchor Points of Ancient History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ancient-egypt/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3/


*참조 2 :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여호수아의 파괴 이후의 여리고 성 : 성경과 고고학의 일치.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3837349&bmode=view

여리고의 성벽 : 고고학적 확인에 의하면 여리고성의 벽은 정말로 무너져 내렸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3&bmode=view

여호수아의 아이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 또 다시 확인된 성경 기록의 정확성.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2&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출애굽의 역사성을 확증하고 있는 영화, “증거의 패턴 : 출애굽”이 개봉되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0&bmode=view

“증거의 패턴 : 홍해의 기적” - 성경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영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3156850&bmode=view

▶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들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출처 : Answers Research Journal 15(2022): 377–390.

주소 :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ancient-egypt/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1/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7-27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by Gavin Cox


개요 : 성경은 이집트의 영토를 "함의 땅(Land of Ham)"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열국에 대한 표(창세기 10-11장)에는 함의 후손들이 이집트와 북아프리카에 어떻게 정착했는지에 대해 기록해 놓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함의 영향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홍수 생존자들의 이름(노아, 함, 셈, 야벳)이 알려져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홍수에 대한 기억과 함께,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관련된 소리와 의미가 함에 의해 이집트어 안에 보존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의 이름이 신격화되었는지, 그리고 이 시리즈의 1부와 2부에서 다룬 오그도아드(Ogdoad,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아내로 이루어진, 창조의 태고의 바다와 관련된 '여덟 도시' 아슈무네인에서 숭배됐던 8명의 창조의 신들)의 이름과 비교될 수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부와 4부에서는 이러한 성경의 이름들이 이집트의 인명 및 신의 이름들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증거들은 함의 영향과 이집트의 다신교 문화에서 노아와 아들들이 신격화되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이 연구의 기본 전제

3부에서는 함(Ham)이라는 이름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

히브리어 함(의미+소리) ≈ 이집트 함(의미+소리) ≈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종교적 의미).

다음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결 고리를 설정하는 방법과 함의 이름의 의미를 결정할 것이다. 첫째, 이 논의는 바벨부터 시작하여 성경적 맥락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이집트의 언어, 문화, 종교에 대한 함의 영향력

창세기 10장은 바벨탑 분산 이후 사람들의 정착에 대한 광범위한 역사적 개요를 제공한다. 함(Ham)에게는 미스라임(Mizraim), 붓(Phut), 구스(Cush), 가나안(Canaan)이라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영토는 각각 이집트, 북아프리카(붓과 구스의 경우), 가나안과 연관되어 있다. 시편 3편에서 이집트는 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시 105:23, 27, 106:22, 참조: 78:51), 구약성경 전체에서 이집트는 함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으로 588번이나 언급된다. 따라서 함과 이집트라는 땅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다(함족 혈통이 나중에 다른 곳에서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함은 홍수에서 살아남은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이집트 언어, 문화, 종교의 기초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그림 1 참조). 이는 공유된 홍수 신화와 고유명사학(onomastics, 명명학, 이름의 어원 연구)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림 1.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한 함의 영향


그림 1은 대홍수의 생존자 함이 이집트 언어, 특히 아버지 노아와 그의 형제들의 이름의 소리와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와 소리가 함을 통해 이집트어(바벨 이후의 언어)로 건너갔는지를 살펴보았다. 함이 아버지와 형제들의 이름에 대한 기억을 보존하려 했을 것은 분명히 예상되는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경적 맥락에서 노아, 함, 셈, 야벳의 이름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집트 자료에서 이러한 성경적 이름에 해당하는 발음과 관련된 의미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눈(Nun) 또는 '누(Nu)'로 불리는 이집트 대홍수와 관련된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아내로 나타나는 여덟 명의 창조의 신인 이집트의 오그도아드(Ogdoad)와, 그들의 이름을 비교하였다.


이름들의 파생 현상

두 언어(히브리어와 이집트어)에서 이름의 의미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이름이 어떻게 이해되었고, 그 의미가 어떻게 파생되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대 근동(ANE, Ancient Near East, 이집트 포함) 문화에서 고유명사에 대한 설명과 장소, 사물, 사건을 이름의 의미와 연결하는 것은 반복적이고 눈에 띄는 문학적 현상이다. 카사노비츠(Casanowicz)[1]는 창세기에 나오는 22개의 중요한 이름들을 포함하여, 구약성경에 나오는 502개의 '언어유희'(paronomasia, play-on-words, puns, 말장난) 사례를 알파벳 순서로 철저히 나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레아와 라헬 구절(창세기 29-30장)은 야곱의 12명의 아들이 각자의 출생 이름에 대한 설명과 함께 등장하는 '확장된 언어유희'의 전형적인 사례이다.[2] 이 전체 과정은 각 이름의 의미에 따라, 야곱이 각 아들에게 축복과 저주를 내리는 근거를 형성하면서, 논쟁적으로 반복되고 있다(창세기 49:1-28).

할로(Hallo)는 가르시(Garsie)의 글을 인용하고 있는데, 가르시는 성경에서 '문자 그대로 수백 가지'의 암시적 어원(etymologies)의 예들을 수집하였는데, 그것들을 '미드라쉬 이름 파생어'(Midrashic Name Derivations, MND)라고 부르고 있었다. 이것은 '과학적 어원'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을 부여하거나 부여받은 사람이, 또는 히브리어 본문을 읽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었다.[3] 크라쇼벡(Krašovek)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이름들 어원의 50가지 예들을 나열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창세기는 장소나 인물의 이름에 대한 어원학적 설명이나, 적어도 이름의 어원적 의미에 대한 암시를 제공하는 가장 풍부한 예시 자료이다 : 이브(3:20), 가인(4:1), 셋(4:25), 노아(5:29) [등] "[4]

카사노비츠는 이런 종류의 작명 관행이 다양한 시대, 문화, 언어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고 말한다. 셈족과 그리스인 모두 "엄숙하고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 이름의 소리와 의미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5]

카사노비츠는 브루그쉬(Brugsch)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그는 이집트의 신화적 저술에서도 "신학적 이름과 표현이... 자주 등장하며, 신화의 캐치워드(catchwords, 신호 단어)는 그 형식과 취지로부터 내용을 증명하기 위해서, 언어학적, 어원학적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인정하고 있었다.[5]

요약하면, 성경과 고대 문헌에서 이름을 부여한 사람과 부여받은 사람 모두, 이름의 의미와 파생어에 큰 의미를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로 주변 텍스트들은 문학적 문맥 내에서 음성 표식이나 암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름을 이해하는 맥락을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는 성경 본문 내의 음성학적 및 의미적 연결(단어의 의미)에서부터 파생되고 있었다. 근본적인 수준으로 성경에서 노아가 아들들에게 한 예언적 선언은 공유된 언어와 경험으로 인해 이해될 수 있다. 노아의 가족은 특정 의미를 가진 비슷한 소리의 단어가 연상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이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었다. 이러한 음성적, 의미적 연결이 함으로부터 이집트 언어로 전해졌을까? 이 성경의 이름들이 이집트인들에 의해서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가 있을까?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 – 고대 근동의 신화속 홍수 영웅들과 동일하지 않다.

한 세기가 넘도록 자유주의 성서학자들은 창세기를 쓴 '익명의 편집자'가 대홍수 기록의 출처를 BC 7세기경 ‘길가메시 서사시(Gilgamesh Epic)’에서 빌려왔다고 주장했다. 이 가설은 1883년 칼 하인리히 그라프(Karl Heinrich Graf)와 율리우스 벨하우젠(Julius Whellhausen)이 발표한 ‘문서가설(DH, Documentary Hypothesis)’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들의 문서가설(DH)이 맞다면, '우트나피쉬팀(Utnapishtim)'이라 불리는 홍수 영웅이 등장하는 길가메시에서(Tablet 11),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은 왜 보이지 않는 것일까? 다른 바빌로니아 판본(BC 1966년)에서 그는 '아트라하시스(Atra-Hasis)'라고 불린다. 수메르 석판(BC 2100년경)에서는 이 영웅의 이름이 '지우수드라(Ziusudra)'로[6], 갈데아 기록(BC 660년)에서는 '시싯(Sisit)'으로 기록되어 있다.[7]

이러한 고대 근동(ANE) 기록들에서 공통적 주제인 대홍수에서 영웅의 이름은 있지만, 그의 가족은 익명으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문서가설(DH)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고대 홍수 신화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을 보여주지 못했다. 오직 성경만이 홍수 생존자들의 이름과 함께, 홍수의 무오한 역사를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참조 : 창세기의 문서가설). 함(Ham)도 대홍수와 그의 아버지, 형제들의 이름과 그 의미에 대한 기억을 어느 정도 보존하고 있었을 것이다. 노아의 가족들은 실존 인물이자, 문명의 창시자로서, 역사에 뚜렷한 문화적, 언어적 발자취를 남겼을 것이고,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이름과 어휘를 분석할 것이다.

문서가설(DH)의 세속적 전제에 눈이 먼 자유주의 신학계는 노아의 홍수를 신화로 치부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아들들의 존재를 모두 부정하면서, 노아와 아들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찾지 않았다.[8] 그러나 이 연구에서 추진하는 기본 전제는 무오한 창세기 기록은 진정한 역사(true history)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즉, 고대 이집트인들은 함을 통해 홍수 족장들의 이름을 알고 있었을 것이고, 그들은 함을 신격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전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했다 :


1)노아와 아들들은 이집트에서 '소리가 비슷한' 개인 이름들을 갖고 있는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소리(발음)와 의미는 대홍수 전후의 이야기와 함께 충실하게 보존되었다. 이 기록들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수집하고 편집한 모세를 통해 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로 완성되었다. 함이 이집트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노아와 아들들의 원래 성경적 이름을 이집트 이름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영어 성경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영어화'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게다가 일부 히브리어 소리는 이집트 소리와 직접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이는 모음을 비교할 때 중요한데, 현대 학계에서는 대부분의 이집트 모음이 어떻게 발성되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일반적으로 상형문자에 주석을 달지 않았음). 이집트학자들은 음역의 편의를 위해, 이집트 모음(vowels)들을 '에(e)'로 표준화했다.[9] 또한 특정 자음(consonants)이 이집트어와 히브리어에서 어떻게 동등한 것으로 이해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성경의 이름을 음성학적으로(즉, 단어의 음성 소리로) 평가하였다.

안토니오 로프리에노(Anthonio Loprieno)[9]에 의해 수행된 이집트어에 대한 표준 작업은 이 연구에서 고려해야하는 이집트어의 음성학적 사항들을 알려주었으며, 음성학적 소리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문적 표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에 나오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소리(발음)들은 숙련된 편집자였던 모세의 손을 거쳐 성경에 보존되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2)의미 결정하기 - '의미론적 범위'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이집트어 이름과 동등한 의미, 즉 같은 소리(발음상 대응어)를 갖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름과 연관된 히브리어 어근을 성경 본문에서 비슷한 소리를 내는 히브리어 단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히브리어 사전(Hebrew lexicons)을 보완하여[10], 성경 주석가들이 사용하는 표준 방법인 이들의 이름과의 의미적 연관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11] 의미론적 또는 어휘적 범위(semantic or lexical range)는 특정 주제(이 연구의 경우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를 지칭하는 의미별로 그룹화된 단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리(발음)가 비슷한' 이집트어 이름이 홍수 족장들의 이름과 같은 의미를 공유하는지를 알아보았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 모두 단어의 소리는 단어를 구성하는 자음으로 표현된다. 어떤 단어의 '치찰음(sibilant)'의 핵심 구조를 '어근(root)'이라고 한다. 레프리노(Leprieno)는 이집트어 어근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

"이집트어 단어의 기본 구조는 어근(lexical root)으로, 자음 또는 반자음의 시퀀스로 구성된 난해한 음운론적 실체로서, 그 수는 1에서 4까지 다양하며, 이중자음과 삼중자음이 압도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예시]... ."[12]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이름과 관련 어휘가 같은 소리로 들리고, 같은 의미라면, 성경의 히브리어 이름과 잠재적인 이집트어 이름 사이에 언어적 연결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발성 시스템은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음소(phonemes, 음운)는 다른 언어에서도 발생할 것이고, 분명히 다른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림 1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그 의미론적 의미 측면에서, 이집트 언어에 함이 미친 영향이 예측된다. 반대로, 노아 가족이 원래 사용하던 언어와 의미론적 관계가 없는,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소리를 내던 단어들은 바벨 이후 처음부터 다시 새로운 언어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3)이집트의 개인 이름이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가?

다음 질문은 이러한 개인 이름들이 신성한(신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숭배를 받았을 가능성에서 비롯된다. 특히 조상 숭배라는 개념은 이집트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13] 홍수 생존자들의 엄청난 수명을 고려할 때, 그러한 가능성이 제기된다. 게다가 그들은 대홍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대홍수 이전과 이후의 세계에 대한 인류 지식의 총합을 보유하고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의 다신교적 사고에서 이러한 특권은 필연적으로 노아의 가족에게 신적 지위를 부여했을 것이다.[14] 이집트에서 노아와 가족들이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됐다면, '소리가 비슷한' 이집트의 개인 이름은 자연스럽게 오그도아드를 포함한 신성한(신의) 이름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4)이 이름들이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의미가 같을까?    

마지막으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를 오그도아드 이름과 비교해 보았다. 오그도아드 이름은 누(Nu), 아문(Amun), 켁(Kek), 헤(Heh)이며, 여성 이름은 남성 이름의 여성형에 불과하다. 그 의미는 이 연구의 1부와 2부에서 밝혔으며, 이집트 학계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오그도아드 이름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을까? 만약 이것이 입증된다면, 이 신들은 노아 가족의 다신교적 버전이라는 가설이 크게 강화된다.


방법론적 주의

이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적 대조(control)는 다음과 같다: 1)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그 발음의 히브리어 의미를 이집트어와 비교하여 가능한 최대한으로 가깝게 유지하고, 2)이집트어 이름과 어휘의 가장 오래된 예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이집트어의 고유명사에 나오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집트어 사전[15]과 현대 학자들의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인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를 사용하여,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음성학적으로 거의 일치하는 이름과 어휘들을 검색했다. 이집트어의 어휘는 방대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연결 가능성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는 주의가 제기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통계적으로 증명하거나 반증할 방법이 없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어에서 알려진 홍수 생존자의 이름이 신과 오그도아드 이름과 일치하는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 증거들을 단순히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통계적 인공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역사적 사람들의 언어적 영향에 대한 증거로 볼 것인지는 상반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표 1. hm/hm/km/hm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들의 예시. (OK = 구왕국, MK = 중왕국, NK = 신왕국).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의 소개

온라인 TLA 검색 엔진(그림 2)에는 현재 약 140만 개의 단어들이 액세스되어 있으며[16], 여기에는 이집트어 사전(Wörterbuch der Aegyptischen Sprache) 및 기타 학술 표준사전이 포함된다. 이집트학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최신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리소스로, 방대한 어휘 데이터 세트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결과는 연대가 기록된 원본 자료와 연결된다.

그림 2. 온라인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 이집트어 검색 엔진


이집트어 사전으로 보완된 TLA는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과 비교한 이집트어 이름들과 어휘들의 음성 및 의미적 일치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었다. 다음 논의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TLA 텍스트 검색에는 음역 규칙이 필요하며[17], 특히 다음과 같은 관련 음소가 코딩된 마누엘 드 코다지(MdC, Manuel de Codage, 이집트 상형문자의 음역을 컴퓨터로 인코딩하기 위한 표준 시스템)[18]가 필요하다: (ḥ, h, ḫ, ẖ š, s, ś = H, h, x, X, S, z, s).[19]


첫 번째 테스트 사례 : 함-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

이 조사는 함의 성경적 이름의 발음과 의미에 대한 히브리어의 이해와, 존재할 수 있는 이집트식 이름과 비교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함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첫 번째 테스트 사례가 될 것이다. 히브리어 이름 함(חָם)은 ḥām으로 발음된다. 이니셜 '인두 마찰음' <>는 구개 마찰음과 함께 그룹화된다 : <>, <>, <h>. 음성적으로 유사한 '무성 정지' /k/와 /kh/는 이집트어에서 공존하며, 콥트어로 살아남았는데, 예를 들어 <> 와 <>는 두 가지 형태의 km.t('이집트')를 나타낸다.[20] 이집트어 사전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관련 음소 그룹이 성경의 함과 동일한 인격적이고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했다. 다음 결과가 대표적인 예로 제공된다(표 1).

결과에 대한 논의 : RPN 어휘집 기록:  2 hm, 44 ḥm, 14 ḫm, 0 ẖm, 33 km, 인명별 변형 이름. LGG 어휘집 기록: 230 ḥm, 13 hm, 100 ḫm, 2 ẖm, 47 km 변형된 신성한 이름. 표 1.1은 OK(고왕국)에서 NK(신왕국)에 이르는 ḥm/hm/km/ḫm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의 대표적인 예로, 이러한 이름은 일반적이고, 고대적이며, 성경의 증언에 따라 함(Ham)이 이집트를 세웠다는 것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함 : 성경 이름의 의미, 창세기 6:10-11          

     

   "세 아들을 낳았으니 셈과 함(Ham, ḥām)과 야벳이라... 포악함(ḥāmās)이 땅에 가득한지라"(창세기 6:10-11).

창세기 6:11절에는 홍수의 원인이 땅이 '포악함(violence, wrong, 하마스, ḥāmās) (HALOT-2980)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성경에서 이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대목이다. '함(Ham)'이라는 이름과의 음성적 대응은 11절에서 분명하다(히브리어 텍스트에서 색으로 강조된 부분). 가르시엘(Garsiel)은 이렇게 말한다 : "언어유희는... 여기에서 단순히 소리나는 유희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함과 '불법(lawlessness)' 사이의 연관성을 암시한다. 나중에(창 9:22-27), 이 아들(함)은 실제로 형제들에 비해 자신의 본성이 열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21]

표 2에는 함이라는 이름과 어근이 같은 히브리어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각 단어는 성경에 처음 등장하는 단어이므로, 최소한의 의미론적 범위를 제공한다.

표 2. ‘함’ 이름에 대한 이론적인 의미론적 범위 < 0678/a '폭력, 잘못된'(하마스, ḥāmās), 677a-c ‘더위, 뜨거움’(함, ham), 625a ‘검정, 어두움’(훔, hûm), 507 ‘고난, 파괴’(홈, hom), 505 ‘분노, 외침’(하무, hāmû) >


히브리어 '함'의 의미가 이집트어 '함'과 같은가?

표 3에는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km/ḥm/hm/ḫm 어근을 포함하는 관련 이집트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것은 성경의 함이 이해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집트인들이 이 이름을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이름으로 이해했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표 3. ḫm/hm/km 어근을 포함하는 히브리어와 이집트어 어휘 비교


결과 논의 : TLA에서 음성학적 어근별로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어휘들을 나타내었다 : km - 29개; hm - 10개; ḫm - 41개; ḥm - 116개 단어. 표 3에는 발견된 어근들 중 성경의 함과 의미를 공유하는 모든 어근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함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림 1.3 참조). 히브리어 함(ḥm)과 가장 가까운 음성학적으로 상응하는 어근은 놀랍게도 두 가지 의미적 연관성만 보여준다. 그러나 발음 어근 hm, ḫm, km, dem이 포함된 어휘는 성경의 '함(Ham)'과 강한 의미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의미론적 범위는 OK(고왕국)에서 NK(신왕국)까지 이 세 특정 기식 폐쇄음(aspirated stops)에 걸쳐 확산되어있다. '포악함(violence, ḫmṯ)‘이라는 단어가 셈어(ḥāmas)에서 이집트어로 다시 수입된 것은 MK(중왕국) 시대에 이미 의미론적 연결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며, 표 2의 증거를 통해 OK(고왕국)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은 '함'이라는 이름에 대한 최소한의 성경적 의미 범위를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어근을 가진 어휘들의 어휘장과 함께 보여준다. 이집트 사전에는 196개의 단어들이 나와 있는데, 대부분 성경의 '함'에 대한 어휘 영역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의미적으로 동일하고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단어들은 이론적으로 함이 이집트 언어에 미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을 보면, 성경의 함과 비교했을 때,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이집트어 이름(hm, ḫm, km)은 의미적 연결을 공유하며, 이러한 이름이 함의 영향을 받았으며, 성경의 함이 이해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림 3. 이집트 언어에 대한 함의 영향


성경의 함은 오그도아드의 일원에 해당된다.

이 시리즈 글 1부와 2부에서 이미 논의했듯이[22, 23], 오그도아드의 머리 위에 새겨진 카르투슈(cartouche, 이집트에서 사용하던 상형문자 기호 중 하나로, 파라오의 이름을 둘러싸고 있는 곡선의 테두리)에는 이집트 학계에 의해 그 의미가 확고하게 정립된, 그들(오그도아드의 구성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성경에 나오는 함의 이름과 오그도아드의 이름이 일치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오그도아드의 이름을 조사하여 성경의 함과 동등한 의미 영역을 공유하는지를 조사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켁(Kek)은 '어둠(darkness)'을 의미하는데[24], 이는 부분적으로 히브리어 이름 함(Ham)과, '어둠', '어두운색', '검은색'의 개념을 전달하는 이집트어 음성 어근과 의미적으로 일치한다. 표 4는 더 상응하는 어휘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어근 'kk'가 포함된 어휘들을 나열하였다. 

표 4. 켁(Kek)의 음성적 어근을 가진 이집트어 어휘들.


결과 논의 : 성경의 '함(Ham)'과 '켁(Kek)'을 비교한 결과, '공격', '소음', '어둠'(그러나 '뜨겁다'는 아님)이라는 개념이 OK(고왕국)에서부터 공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켁’은 함(이집트의 지명이 되는)과 상당한 연관성을 공유하고 있는데, kk.t는 고대 아프리카의 초기 문명 중 하나였던 중부 누비아(Middle Nubia)를 언급하고 있는 카르나크(Karnak)의 투트모시스 목록(Tuthmosis list)에 등장한다. 이는 함이 이집트 땅의 이름으로 붙여진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켁’은 OK(고왕국, Gisa, 중부 지역)에서부터 개인의 이름으로 나타나며, 16개의 변형이 기록되어 있는데, 오그도아드의 멤버인 ‘켁’을 포함하여, 변형된 10개의 신성한 이름들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성경의 함과 이집트의 켁 사이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으며, 이는 함이 오그도아드에서 켁으로 신격화되었다는 증거와 일치한다.


문맥에서 km/kk 음성 어근을 공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텍스트 예들 

아래는 문맥에서 km kk와 관련된 어근의 발생을 드러내는 이집트 비문(inscriptions)의 예들이다. 선택된 비문은 함의 이름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의 이름이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켁과 이론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하이퍼텍스트 링크는 로그인 후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user'로 로그인해도 충분히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NK. 누의 파피루스, 튜빙겐 134, 8행.

(NK. Papyrus of Nu, Tubingen 134, line 8)

ḫmi.yw ḫmi, yt ḫmi.t (j) = sn m wsjr —NN— mꜢꜤ-ḫrw m wjꜢn jti = f rꜤ, w

"그의 아버지 레(Re)의 배에서 오시리스 NN을 추방했던 침략자공격자들“


OK. Deir el-Gebrawi, Henqu II의 무덤, 동쪽 벽, 중간 등록부, 큰 비문, 21행.

(OK. Deir el-Gebrawi, tomb of Henqu II, east wall, middle register, large inscription, line 21.)

hm(hm)=jsnwśr=jr=fśjwi=fḥr

"나는 (호전적인) 남자에게 결코 고함치지 않는다. 나는 그보다 강하기 때문에, ...“


OK. 사카라, 테티 묘지, 니카우이세이의 묘소, 니카우이세이의 마스타바, 정면, 문 공개, 오른쪽 처마, 11행.

(OK. Saqqara, Teti Cemetery, Nicauisesi’s mausoleum, Mastaba of Nikauisesi, facade, door reveal, right soffit, line 11)

sꜢ=fśmśwmry=fśmr-wꜤ.t(.j)n(.j)-kꜢ(Ni-kꜤu-Teti) kmśmśw

"그의 장남, 그의 연인, 유일한 친구 니-카우-테티(Ni-kau-Teti), 어두운 피부의 노인.“


제18왕조 누의 파피루스, BM EA 10477, 108행.

(18th Dyn. Papyrus of Nu, BM EA 10477, line 108)

jm.jhm=frn=f

"[뜨거움]을 가진 사람은 그녀의 ... 이름이다."


MK. 파피루스 베를린 P 10499, 렉토: 웅변하는 농민, 버전 R, 1,3행.

(MK. Papyrus Berlin P 10499, Recto: The Eloquent Peasant, version R, line 1,3)

m=twjmhꜢi.trkm.trbjnib.tꜤq.wjmnẖrd.w=j

"보라, 나는 아이들을 위해 음식을 가져오고 사러 이집트로 내려갈 것이다."


켁(Kek)의 텍스트 예


OK. 테티의 피라미드, PT 362, 605a-b 줄.

(OK. Pyramid of Teti, PT 362, line 605a-b)

jt(.j)n(.j)ttjmkk.wjt(.j)n(.j)ttj(.j)tm(.w)mkk.w

"어둠 속에서 테티의 아버지! 테티의 아버지, 어둠 속의 아툼!"


프톨레마이오스. 카르나크, 오페템펠, 중앙 홀 (VII), 남쪽 벽, 3번째 등록기, 2단계 (문 'S' 위).

(Ptolemaic. Karnak, Opettempel, central hall (VII), south wall, 3rd register, 2nd stage (above door ‘S’)).

ḏd-mdwjnkk(.w);ḏi=jn=kḫꜤ =kmjrꜤ;ḏd-mdwjn kk.t; ḏi = j mn rn = k ḥr-śꜢtꜢ

"Kekou가 부른 가사; 나는 너에게 Re처럼 너의 외모를 준다. Keket이 말한 가사; 나는 당신의 이름을 지상에 세우려한다." (참고: Kekou/Keket은 오그도아드어에서 유래).


프톨레마이오스. 카르나크, 오페트 신전, 외동쪽 성벽, 기슭, 첫 번째 정남쪽.

(Ptolemaic. Karnak, Opet Temple, outer-east walls, basement, first reg. south.)

(kysrs)ḫr=kjni=fn=kḥapjkk.w

"카이사르, 홍수, Kekou 물을 가져오기 위해 당신에게 가까이 왔다."


OK. 우나스 피라미드, PT 292, 544행.

(OK. Unas pyramid, PT 292, line 544)

nktkk.ntk,jjkn-hj(.w)

"당신은 공격자공격한 사람 중 한 사람이다“


요약

이 글에서 논의된 언어적 증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브리어 함(폭력, 어둠) ≈ 이집트어 함(폭력, 어둠) ≈ 오그도아드 구성원 켁/켁.트(폭력, 어둠).

Hebrew Ham (violence, dark) ≈ Egyptian Ham (violence, dark) ≈ Ogdoad member Kek/Kek.t (violence, dark).

이러한 증거는 성경의 함(Ham)이 이집트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되었다는 것과 일치한다. 이 이름들은 히브리어 함과 음성적으로 동일하며, 의미 범위도 동일하다. 이 이름들은 홍수 후의 신성한 이름인 신의 이름으로 전이되었으며, 오그도아드의 부부 신인 켁과 케켓(Kek and Kek.t)과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이집트 이름들과 어휘에 함이 영향을 미쳤고, 이집트의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결론

이 시리즈의 3부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면서, 함의 이름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에서 고유명사의 공유에 관한 언어학적 탐구를 위해 네 가지 연구 질문이 제시되었다. 첫째, 홍수 족장들의 이름은 성경적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을까? 잘 알려진 언어 현상인 언어유희를 통해 성경 본문의 음운에서 이름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성경은 함의 이름을 '불법/폭력'과 문맥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발음의 맥락은 의미론적으로 발음 단위 자체 내의 음성적 연결에서 파생되었으며(창세기 6:10-11), 고려 중인 이름과 음성적 유사성을 지닌 관련 어휘들을 바탕으로 언어유희가 만들어진다. 다음 질문은 '함'이라는 이름의 음성적 대응어가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으로 등장하느냐는 것이다. 이 질문은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의 예로 hm, ḫm, ḥm, km,로 긍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름들 중 몇은 성경의 함과 동등한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같은 방법으로 오그도아드의 한 이름을 테스트하여, 성경의 함과 오그도아드 부부인 켁과 케켓 사이의 언어적 연관성을 밝혀냈다. 

데이터들은 성경의 함이라는 이름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어 이름이 비슷하게 이해되었다는 가설과 부합하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함이 이집트의 창시자로서 영향을 미쳤으며,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이 시리즈의 4부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노아, 야벳, 셈의 이름을 계속 분석할 것이다. 증거들은 이 이름들이 고대 이집트에서 개인적 및 신성한 이름들로 존재했으며, 동등한 의미를 지니며, 노아 가족의 다신교적 신격화로 나타내는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비교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 의미는 성경의 역사를 확증한다.


감사의 말

초기 초안에 대해 유용한 제안을 해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로버트 카터(Robert Carter), 그리고 비판적인 의견을 주신 익명의 검토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References and notes

1. Casanowicz, I.M., Paronomasia in the Old Testament, Boston, MA, pp. 44–84, 1892.

2. For instance, Reuben means, “behold a son!” TWOT–2095j.

3. Hallo, W.W., Scurrilous etymologies; in: Freedman, D.N. (Ed.), Pomegranates and Golden Bells, IN, Eisenbrauns, p. 769, 1995.

4. Krašovec, J., The transformation of biblical proper names, Library of Hebrew Bible, Old Testament studies 418, T&T Clark International, New York, pp. 1–144, 2010.

5. Casanowicz, ref. 1, p. 18.

6. Frazer, J.G., Ancient stories of a great flood, J.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46:231–283, 1916.

7. Smith, G., The Chaldean account of the Deluge,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2:213–234, 1873.

8. See the excellent discussion of ANE vs Hebrew cosmology; in: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Academic, MI, pp. 27–40, 1997.

9.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8, 237, 1995.

10. Harris, R.L., Archer, G. Jr., and Waltke, B.K.,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Press, 1980 (TWOT); Koehler, L., Baumgartner, W., and Stamm, J.J.,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Brill, Leiden, 2001 (HALOT); F. Brown, S.R. and Driver, C.A. Briggs,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Clarendon Press, Oxford, 1907, (BDB).

11. For instance, see the classic historic treatment of biblical names in Jones, A., The proper names of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expounded and illustrated, 1872, (JNS).

12. Loprieno, ref. 9, p. 52.

13. Harrington, N., Living with the Dead, Ancestor Worship and Mortuary Ritual in Ancient Egypt, Oxbow Books, Oxford, 2012.

14. I am not arguing that Noah’s family willingly accepted worship while alive.

15. Ranke, H., The Ancient Egyptian personal names, vols I–II, Glückstadt 1935 and 1952, (RPN); Leitz, C., Lexikon der Ägyptischen Götter und Götterbezeichnungen, vols 1–8, Peeters, L., 1995–2003, (LGG); Meeks, D., Année Lexicographique, vols 1–3, Cybèle, Paris, 1977–1979, (AL); Gauthier, H.,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vol. V, De L’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1928, (DNG); Lesko, L.H., A Dictionary of Late Egyptian B.C. Scribe, Rhode Island, 2002, (Lesko).

16. In its current version (October 2014), aaew2.bbaw.de/tla/index.html.

17. For vocabulary searches, TLA was restricted to “common substantive nouns (excluding names etc.)”.

18. Anon, Manuel de Codage System, pyramidtextsonline.com/mdc.html, accessed 25 October, 2019.

19. MdC notation is not used in these articles, rather, Allen’s 2000 system of hieroglyphic transliteration.

20. Loprieno, ref. 9, p. 42.

21.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86, 1991.

22.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J. Creation 33(3):94–101, 2019.

23.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J. Creation 33(3):102–108, 2019.

24. Silverman, D.,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20–121, 1997.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4(2): 67–74, August 2020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37/c13758/j34-2_67-74.pdf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7-25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이집트 신왕국에서 잘 알려진 파라오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는 증거들을 살펴본 다음, 이후 ‘사자의 서’를 살펴보고, 신전에서의 숭배 증거, 오그도아드의 매장 무덤을 조사하는 등,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조사를 이어갈 것이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투탕카멘(제18왕조 파라오)의 장례 가면(Tutankhamun’s funerary mask)


이집트 신왕국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2부 글에서는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NK)의 여러 정보 출처들에서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 무리)와 대홍수와 관련된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에 대해 논의하겠다. 이 출처들은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파라오의 장례식 비문(funerary inscriptions)에 등장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두 종교적 출처인, ‘천상의 소에 관한 서(Book of the Heavenly Cow, HC)’와 ‘사자(死者)의 서(Book of the Dead, BD)’를 분석할 것이며, 특히 ‘사자의 서’ BD 175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와 오그도아드

‘천상의 소(Heavenly Cow)’ 신화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39~1077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버전으로 보존되어 있다.[1]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야기 속에서 슈(Shu)를 도와 하늘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의 등장이다.[2] 여덟 명의 신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창조 세계가 홍수의 화신인 눈(Nun)으로 대표되는 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3] HC(‘천상의 소에 관한 서’)는 인류가 레(Re)에 대한 반란(sbi)을 일으켜, 레가 인류의 파괴를 명령하고, 이후 우주를 재조직한 후, 영구적으로 천국으로 은퇴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집트 학자들은 HC가 대홍수에 의한 반란과 심판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인해, 대홍수와 인류의 멸망에 관한 메소포타미아 및 성경 구절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4] HC에서 '신들의 아버지'인 누(Nu)는 자문을 얻는 신성한 회의에서 하토르(Hathor, 그의 딸 신)에게 인류 파괴의 심판을 선포한다. 이후 한 '홍수'[5]가 발생하는데, 그 목적은 하토르를 속이고, 그녀의 분노를 진정시켜, 남은 인류를 구하는 것이었다.[6]

HC는 투탕카멘(제18왕조, BC 1324년경)의 시대부터 처음으로 입증되었으며, 이후 세티 1세, 람세스 2세, 3세, 4세[7](제19왕조)의 무덤 비문(tomb inscriptions)에 등장하는데, 이 비문은 전용으로 마련된 왕의 석관이 있는 방의 보조 방에 위치해 있다. 이 텍스트의 연대는 신왕국 제18왕조부터 제20왕조까지 넓게 확장되어 있다.

HC의 구절은 투탕카멘의 신전 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지만, 이 신화의 출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특히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Cow)의 명칭은 mḥyt-wrt, "대홍수(Great Flood)"는 5개의 철자(1부에서 설명한 대로)로, 하늘을 지지하는 8명의 헤흐-신들(Ḥeḥ-gods)과 함께 등장한다.[8] 관 텍스트(Coffin Texts, CT)에서 HC를 직접 암시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CT 79에서 여덟 명의 헤흐-신들은 누(Nu)와 함께 등장하는데, 여기서 레(Re)는 천상의 소들(Heavenly Cow), 즉 "대홍수(Great Flood)" 위에서 쉬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투탕카멘, 대홍수, 그리고 여덟 헤흐-신들

'외관(外棺, Shrine, 석관들이 놓여있는 커다란 상자 모양의 구조물) 1'은 투탕카멘의 외관들 중에서 가장 큰 외관으로(그림 1), 안팎이 텍스트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왼쪽 면과 뒷쪽 면에는 ‘천상의 소에 관한 서’의 구절들이 있고, 뒤쪽 면에는 슈(Shu)가 여덟 헤흐 신(Ḥeḥ-gods)들의 도움을 받아, 대홍수(천상의 소로 표현됨)를 지탱하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 소의 배는 하늘을 상징하는 별(stars)들로 덮여 있으며, 태양신 라(Ra)가 그의 태양 배(solar bark, 태양 껍질 배)를 타고 항해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그림 2).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엘-바위티(el-Bawiti)의 제26왕조 무덤에서 볼 수 있듯이, 하늘을 지탱하는 슈를 돕는 여덟 신(Ḥeḥ-gods)의 기능이 오그도아드(Ogdoad)의 기능과 동일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여덟 신들의 정체성은 오그도아드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여덟 신을 대표하는 오그도아드는 대홍수로 인해 우주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있었다.

그림 1. 투탕카멘의 외관(外棺, shrine) I (Wikipedia Commons CC BY-SA 2.5)


투탕카멘의 외관 1에 있는 천상의 소 그림은 비문(inscription)으로 둘러싸여 있다 :

"대홍수(천상의 소)에 의해 말해진 말 : 내 몸의 아들이여 오라, 나의 사랑하는 자여, 두 땅의 군주 네브케페루레(Neb-Kheperu-Re). 당신의 아버지 레(Re)와 함께, 대홍수(Great Flood, Cow)의 곁에서 그를 따르는 이 신들 중 한 명으로 있네. 오시리스, 투탕카멘 왕, 남부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는 살아나서, 그는 네크로폴리스에서 다시 죽지 않을 것이다!!"[10]

투탕카멘(Tutankhamun, Amen-tut-ankh)이라는 이름 자체가 오그도아드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그 소년 왕(18세에 사망)의 이름은 "아문의 살아있는 형상(living image of Amun)"을 의미하며, 아문(Amun)은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 중 한 명으로, 이 시기까지 그 자체로 중요한 신이었다. 따라서 투탕카멘의 장례 신전에 대홍수와 여덟 신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은 그의 아문이라는 칭호와 일치한다. 여덟 신들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몇몇 파라오의 이름에도 공유되어있는 것이다.

그림 2. 투탕카멘의 외관 I 에서, 천상의 소(대홍수)를 지탱하고 있는 슈를 돕고 있는 여덟 헤흐-신들(eight Ḥeḥ-gods). (in Piankoff[9])


사자의 서

이집트인들이 "빛으로 나오기(위한 책) (going out in daylight)"(prt m hrw)이라고 부르는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BD)’는 BC 1450년부터 AD 50년까지 약 1,500년에 걸친 역사를 갖고 있다.[11] 신왕국(New Kingdom, 제18왕조) 초기에 BD는 아직 형성 과정에 있었고, 사이스 왕조(Saite period, 제26왕조)에 이르러서야 모든 주문(spells)들이 일정한 장의 순서로 정리된 최종 정경이 완성되었다. BD는 죽은 자의 부활과 내세에서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 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BD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수집되어 새겨진 종교적 장례 의식과 주문을 대표하는 중왕국 관 텍스트(CT)와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PT)의 후속작으로, 구매자가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BD 텍스트는 필기체 상형문자를 사용했으며, 화려한 잉크 그림과 함께 쓰여져 있다.


사자의 서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사자의 서(BD)에서 오그도아드를 언급하고 있는 본문으로는, BD 27:2 "나의 이 마음은 오그도아드 안에 있는 큰 마음이라"[12], BD 164:2(제26왕조 사본으로부터 알려진, BC 350년경)[13] "오그도아드(와) 그들의 관(ḏbꜢ t) 안에 살아있는 영혼들이 당신의 존엄을 찬양하고 있다..."[14] (흥미롭게도 노아의 방주(ark)에 사용된 히브리어는 ‘테밧(tēbat)’으로, 관(coffin)을 뜻하는 이집트어인 ḏbꜢ t의 음역(transliteration)으로 확인되고 있다.[15] (그들의 관 속의 오그도아드는 '죽은 신들(dead gods)'로 보는 개념은 나중에 설명한다).[16] 헤흐(Heh)는 BD 150:2에서 "헤흐의 거처(Abode of Ḥeḥ)"로 단독으로 언급되어 있다.[17] BD의 한 중요한 삽화(vignette)에는 오그도아드가 나타나 있는데(그림 3), 이것은 아문(Amun)의 제사장이었던 제21왕조의 콘수메스의 파피루스(papyrus of Khenumose)에서 나온 것이다.(오른쪽 상단에서 그의 상형문자를 볼 수 있음). 

그림 3. 콘수메스 파피루스(Khonsumes papyrus), 오그도아드가 땅을 괭이로 파고 있다.(in Silverman)[18]


이 삽화에는 창조의 첫째 날에 세 단계로 떠오른 태양이 태초의 한 쌍의 산 지평선 뒤로 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북쪽(오른쪽)과 남쪽(왼쪽)을 상징하는 두 여신이 눈(Nun, 홍수)의 물을 쏟아붓고 있다. 태초의 땅에는 8명의 창조 신들이 대지를 괭이질하는 모습의 오그도아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창세기 9:18절에 묘사된 대로 노아의 가족들이 방주에서 내려 농업을 시작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그림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홍수 이후 토양에서 새롭게 농업을 시작하여 첫 번째 작물을 수확함으로써, 인류의 삶이 번성할 수 있는 여건을 새롭게 조성한 문화적 기억을 상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을 창조의 신들로 기념했을 것이다.

누(Nu)가 일곱 신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 및/또는 오그도아드를 들고, 눈(Nun)에 서 있는 모습은 파라오의 신전 벽에서 볼 수 있는 그림으로, 제19왕조 아니(Ani)의 BD 파피루스[20]에 묘사되어 있다(그림 4). 누(Nu)는 하늘을 지탱하는 여덟 신들(Ḥeḥ-gods)과 오그도아드의 기능을 완전히 대신하여, 라(Ra)가 태양의 배를 타고 항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늘이 무너지고 혼돈과 눈(Nun)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


BD 175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BD(사자의 서) 175에는 대홍수로 파괴되는 우주에 대한 기술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비인간적인 개념인 누(Nu)와 헤흐(Ḥḥw)와 함께, 오시리스(Osiris)와 아툼(Atum, 뱀으로 변형된)이 홀로 남게 된다. 이는 오그도아드의 개별 신들이 장례 문헌에서 나타나는 한 사례가 되고 있다.[22] 토트(Thoth)는 시작부터 언급되고 있는 주요 신으로, 그는 ḫmnw(Khemnw, 켐뉘, 8 신들의 도시)의 군주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구절에는 인류의 악, 반역(sbi), 폭력에 반대하는 한 신의 불만이 포함되어 있다. 신성한 심판의 일부는 인류의 시간(수명)이 제한되고, 창조된 모든 것이 홍수로 파괴된다는 것이다. BD 175의 다음 구절은 쿼크(Quirke)의 2013년 번역본에서 발췌한 것이다:

"(4) 오 토트(Thoth), 누트(Nut)의 자녀들에게 (5)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6) 그들은 소란을 일으켰고, 분쟁을 일으켰고, (7) 악을 행했고, 반역(sbiw)을 일으켰고, (8) 도살의 원인이 되었다... (13) 당신은 악을 보지 않을 것이며, 고통을 겪지 않을 것이다. (14) 그들의 연한은 제한되었고, (15) 그들의 달은 가까워지고 있으며... (51) 내가 참으로 내가 만든 모든 것을 멸하리니, (52) 이 땅은 눈(Nun)으로 돌아갈 것이다 (53) 홍수 물로서, 원래의 상태대로 ... ." [23]

그림 4. 누(Nu)가 레(Re)와 일곱 신들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를 지탱하고 있다. (in Wilkinson)[21]


표 1은 BD 175의 심판과 멸망 구절에서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네 이름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어휘들을 탐색하고,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 1. BD 175의 오그도아드 어휘들(Ogdoad vocabulary)


여기에 묘사된 혼돈(chaos)과 눈(Nun)의 귀환은 오그도아드를 혼돈의 신으로 언급하는 언어유희에 의해 강조되고 있을 수 있다. 홍수 심판을 초래한 신의 불만은 인류의 도덕적 실패에 기인한 것으로, 반역(sbi), 악, 폭력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창세기 6:5,11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탄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BD 175:14에서 인간의 연한을 "제한"으로, 달(months)을 "가까워짐"으로 묘사하는 것은 창세기 6:3절에서 인류의 기간을 120년으로 제한하는 신성한 저주(아마도 홍수 심판 전)를 연상시킨다. BD 175에서 사용된 "홍수 물(floodwater)"이라는 용어는 Wb 3, 56:15에서 "태고의 신(primeval god)"으로 정의된 ḥwḥw로, 아마도 오그도아드의 멤버 ḥḥ의 대체된 철자일 가능성이 높다.


제20왕조 라메시드 편지에서 오그도아드

라메시드(Ramesside) 후기(제20왕조)에 신관서체(hieratic)로 쓰여진, 50개의 파피루스 편지(papyri letters)들이 수집되어 연구되어왔다. 이 파피루스들은 테베(Thebes)에서 일했고,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살았던 서기관 데후티모세(Djehutymose)와 그의 아들 부테하문(Butehamun)의 가족 기록 보관소에서 나왔다. 이 편지들은 묘지의 수석 서기관들이 행정적인 목적으로 특정 개인에게 보낸 서신들이다. 이 편지들은 어느 정도 확실하게 람세스 11세(Ramses XI)의 통치 기간인 재위 1~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4]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것은 오그도아드를 언급하는 네 개의 편지로서, 긴 소개의 축복과 간구(재위 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의 일부로 오그도아드를 언급함으로써,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Khemnw)와 오그도아드 및 그들의 무덤의 연관성에 대한 우발적인 문서적 입증자료가 되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편지들(표 2)은 다음과 같다: 15번-파피루스 필립스, 16번-파피루스 토리노 1971, 28번-파피루스 대영박물관 10375, 50번-파피루스 토리노 2026.

표 2. 후기 라메시드 편지(Late Ramesside Letters, LRL)에 언급된 오그도아드.[25]


15, 16, 28번 편지는 "케프테-하이-네보스(Khefte-hi-nebos, meaning ‘opposite her lord’, 즉 메디넷 하부)에 안식하는 자"라는 문구에서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고 있다. 15번 편지는 오그도아드를 위해 만들어진 언덕과 오그도아드 무덤을 나타내는 "제메의 아문(Amun of Djeme)"을 언급하고 있다.[26] 이 라메시드 편지에서 한 중요한 관찰은 제20왕조 동안 메디넷 하부의 제메에 대해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는 전통이 확립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언급된 오그도아드의 무덤은 이 글의 뒷부분에서 설명하겠다.


제25왕조 피안키의 승전 석비 - 오그도아드 숭배에 대한 증언

제25왕조 동안인 BC 753~723년 이집트를 통치했던 누비아(Nubia, 수단 누비아 지방)의 침략 왕, 피안키(Piankhi, Piye, 피예)의 승전 석비(Victory Stela)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헤르모폴리스(Khemnw) 신전이 언급되어 있다. 화강암 비석(그림 5)은 159줄의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피안키(Piankhi)가 이집트와 헤르모폴리스에서 승리한 후, 오그도아드 신전에 들어가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비문 §13:l.58-60(그림 6)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그의 위엄은 그의 궁전에 가득했고, 케멘누(Khemennu, 켐뉘, 오그도아드의 도시)의 군주인 토트(Thoth) 신전으로 향했다. 그는 케멘누의 군주인 아버지 토트와 오그도아드 신전에서 황소, 뿔이 짧은 소, 가금을 오그도아드에게 제물로 바쳤다."[27]

피안키 석비에 나오는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은 짧고, 그룹 신들에 대한 이름은 없지만, "여덟 도시"인 켐뉘(Khemnw)에서 오그도아드가 숭배되었다는 제25왕조의 문헌적 증거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림 5. 피안키 석비(Piankhi stela)의 상단 부분. 오귀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iette, 1821-1881).

그림 6. 피안키 석비의 오그도아드 비문(Piankhi stela Ogdoad inscription). 그리말(Grimal) [28]


여덟 도시와 오그도아드 사원

엘-아슈무네인(El-Ashmunein)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이집트 북부에 있는 한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아랍어 이름으로, 이곳에는 오그도아드(Ogdoad)를 숭배하던 한 신전이 표기된 고고학적 유적지가 있다. 엘-아슈무네인 유적지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그리스-로마 시대의 토트 신전(temple of Thoth)이 있는데, 현대에 와서 파괴되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 아래에 제18왕조의 기초가 놓여있는 흔적이 남아 있다. 아슈무네인(Ashmunein)은 오그도아드를 기리는 콥트어(Ϣⲙⲟⲩⲛ, 슈문)에서 유래한 말로 "여덟의 도시(City of the Eight)"를 뜻한다.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헤르모폴리스 마그나(Hermopolis Magna, 이집트 신 토트와 연관된 그들의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을 따서)라고 불렀다. 이집트인들에게 그것은 켐뉘(Khemnw, "여덟 도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 보고서에서 스펜서(Spencer)는 이렇게 말한다 : "엘-아슈무네인의 초기 신전들 중 알아볼 수 있는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유적은 현재 지하수 수준보다 깊은 곳에 있을 것이다."[29] 그러나 엘-아슈무네인에서는 제18왕조 통치자 아메노피스 3세(Amenophis III)의 비문과 켐뉘(Khemnw)의 비문이 새겨진 네 개의 거대한 개코원숭이 조각상(baboon statues)이 출토되었다. 아부 바크르(Abu Bakr) 교수는 원래 8마리의 개코원숭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오그도아드와 일치하며, 오그도아드가 숭배되던 신전을 지키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스펜서는 지적한다.[30]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노아와 그의 가족을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했으며, 그들 자신의 신전에서 함께 숭배했을 것이라는 예측 5와 일치한다.


다리우스 1세, 제27왕조 히비스 신전과 오그도아드 신전

남부 엘-카게 오아시스(el-Khargeh Oasis)의 중앙에 있는 히비스 신전(temple of Hibis)은 이집트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페르시아 기념물로서[31], 다리우스 1세(Darius I) 통치 시절부터 화려하게 장식되어있다(다니엘서 5장 참조). 히비스 신전은 특이한 형태의 모호한 신들을 포함하여, 성소에 약 700명의 신들이 묘사되어 있는 등, 후기 종교를 거의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다.[32] 가장 주목할만한 비문은 홀 기둥 아래의 남쪽 벽면에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로, 이 찬가에는 오그도아드를 눈(Nun), 누네트(Nunet), 켁(Kek), 케켓(Keket), 게레(Gereh), Gerehet(게레엣) (그림 7)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비문에는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밤(night)" 또는 "중단(cessation)"이 나타나 있다.[33] 오그도아드의 이름은 독특한 방식으로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et)가 대체되어 있다.

그림 7. 오그도아드 이름이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34]


오그도아드 남성은 개구리 머리(frog-headed), 여성은 뱀 머리(serpent-headed)로 묘사되어 있는데, 두 동물 모두 물과 홍수와 연관된 동물이다. 히비스(Hibis) 신전에 있는 오그도아드의 다른 묘사에는, 그들이 창조 첫날에 태양을 숭배하고 있는, 원숭이(simian)의 모습들로 그려져 있다.


제18왕조 아문 사원 - 오그도아드 무덤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시대와 로마 시대의 전통[35]과 라메시드 편지(Ramesside letters)에 따르면, 제18왕조의 아문을 숭배하던 작은 신전을(그림 8)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의 무덤으로 믿고 있었다. 이 사원은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데, 더 큰 제20왕조의 라메시드 3세 사원 단지(Ramesside III temple complex, 그림 9) 내에 위치한다. 아문 신전 안에 있는 오그도아드 무덤의 비문에는 독특한 일련의 복합 이름, 특히 Imn-NwnImn.t-Nwn.t, Kk.w Kk.t, ḤḥḤḥ.t, NiwNiw.t.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36] 시카고 대학 동양학 연구소는 1926년부터 1933년까지[37] 메디넷 하부 유적지를 발굴하여 14권의 고고학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브레스트(Breasted)와 머네인(Murnane)이 두 권의 책을 추가로 출간했다.

그림 8. 제18왕조 오그도아드 무덤 사원(Temple Ogdoad tomb)의 복원 <by Hölscher> [40]


그림 9. 라메시드 3세 신전(Ramesside III temple). <Gavin Cox>. (A)제20왕조 람세스 3세(Ramesses III) 신전, (B)제18왕조 아문 오그도아드 무덤, (C)눈(Nun) 또는 태초의 홍수를 상징하는 신성한 호수(lake).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호렘헤브(Horemheb), 세티 1세(Seti I) 시대로부터 내려오던 제18왕조 아문 신전의 입구와 바크 외관(bark shrine)은, 프톨레마이오스 8세 에우에르게테스 2세(Ptolemy VIII Euergetes II, BC 116년 사망)의 통치 시기에 프톨레마이오스 양식(Ptolemaic style)으로 다시 재조각되었다.[38] 신전 내부 그림들에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오그도아드는 네 명씩 의인화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앉아있으며, 모두 하늘의 기둥(pillars of the sky)들을 상징하는 와스 홀(Was-sceptres, 와스-셉트레, 끝이 갈라진 길고 곧은 지팡이)을 들고 있는데, 이 홀은 우주가 눈(Nun-홍수)으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문턱과 상인방에 새겨진 긴 우주론적 텍스트(그림 10)는 창조 당시 오그도드의 역할과 메디넷 하부(Djeme, 제메)에 묻힌 그들의 장례를 기술하고 있으며, 맥클레인(McClain)은 이 텍스트가 히비스의 ‘위대한 아문 찬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으로 기술했다.[39]

그림 10.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바크 외관(bark shrine)으로 가는 문.[41] (A)아문 신전에 묻힌 오그도아드에 대한 찬가로 덮인 문설주와 문턱, 프톨레미 8세와 클레오파트라의 제물을 받고 앉아있는 오그도아드의 모습, (B)바크 외관(bark shrine, 태양 (껍질) 배에 바쳐진 방).


바크 외관 안의 텍스트에는 대홍수와, 외관 안에 매장된 오그도아드에 대한 놀라운 언급이 담겨져 있다 :

"... 땅이 완전히 어둠 속에 있고, 존재하는 모든 것이 침수되었을 때, 눈(Nun, 홍수)에서 빛을 발한 태초를 가져온 고귀한 아버지들 ... 구름 폭발로 눈(Nun)이 왔을 때, 완전한 어둠 뒤에 빛을 열었다... 위대한 어른(great elder)으로, 저세상에서 그의 미라가 확장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의 앞에서, 그 시대의 범람(inundation)을 열었다: 그것은 아문 조세르와 함께(Amun Djeser-set), 눈(Nun)으로부터 앞으로 나간, 아버지들의 아버지, 아문의 영토 오그도아드와 함께 나란히 있다. (그들) 모두의 매장이 그안에 완성되고, (즉) 제메(Djeme)의 언덕에 잠자는 자들, 신들의 아버지가 있는 장소, 그들은 첫 번째로 모든 신들을 낳았고, 그들은 싸매어져(wrapping) 매장되었고, 그들은 그안에 있다. 제메의 언덕에..."[42]

맥클레인은 2011년에 발간한 고고학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외관의 재건축 목적에 대한 부가된 설명으로, 이 텍스트는 특별히 위대한 어른 레(Re)의 아버지로서 아문(Amun)의 특징을 조명하고 있는데... 그는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여기 제메의 언덕에 '나타난다' ... 우리는 또한 '제메의 언덕에서 잠을 자고있는 오그도아드의 숭배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그들은 싸매어져 묻혔고, 그들의 구성원들이 그 안에 있으며, 제메의 언덕이 아문의 안식처이며, 그들의 매장 장소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텍스트는 이들 숭배되는 '죽은' 창조 신들의 매장 장소를 분명히 선언하고 있었다."[43]

아문 신전 아래에서는 어두운 모래로 채워져 있었고, 기능을 알 수 없는, 미확인 지하 방들이 여러 개 발견되었다. 신전 내 다른 방의 바닥 아래에 더 많은 구덩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포장도로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 이 방들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다.[44] 현재까지 오그도아드 무덤으로 여겨지는 제18왕조 신전 아래에 오래된 구조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현대적 조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이곳에 묻혔다고 믿고 있지만, 신전 아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노아와 그의 가족이 이곳에 묻혔다는 사실은 알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


결론

1부에서는 창세기 9:29절, 11:11절에 기록된 노아와 그의 가족이 오랜 세월 동안 살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10가지 예측을 제시했다. 인류 역사에서 그들의 독특한 경험은 그들이 이교도 후손들로부터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성경은 이집트라는 이름이 노아의 아들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특정 조사에 초점을 제공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예측을 탐색 기준으로 사용했다. 

예측 1: 노아와 대홍수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두 용어, '대홍수(Great Flood)'와 함께 '여덟(the Eight)'이라는 개념의 용어가 발견되는데, 이는 후기 그리스 문헌에서 오그도아드(Ogdoad), 또는 이집트어로 켐뉘(Khemnw)로 알려져 있다. 두 용어는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Nuw, Nuw.t and Amun, Amun.t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이름인 Kek과 Heh는 우주론적 개념으로 등장한다. 이 이름들은 이후 ‘관 텍스트(Coffin Texts)’와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로 알려진 텍스트 모음집에 등장한다. 특히 BD(사자의 서) 175에는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보내진 홍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이름들은 혼돈의 세력에 대한 단어들의 어근들로 나타난다.

홍수와 관련된 여덟 신들의 그룹을 통칭하여, 여덟 헤흐 신(eight Heh gods, chaos)이라고 부르는데(하늘이 눈(Nun)으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막는 오그도아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 이 이름은 오그도아드에서 유래한 것으로, 투탕카멘, 세티 1세, 람세스 2, 3, 4세의 장례식 비문에도 나타난다. 또한 오늘날의 엘-아슈무네인('여덟 개의 도시'라는 뜻의 이집트 콥틱어에서 유래)에는 오그도아드 자체를 섬기는 제18왕조의 숭배 사원이 있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메디넷 하부에 있는 제18왕조의 아문 신전에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첫 번째 1부 글의 시작 부분(1부 글 그림2 참조)에 명시된 성경에 근거한 예측과 일치한다:

● '8이라는 숫자' (2번 예측);

● '홍수 개념' (3번);

● '신격화 된 조상' (5번);

● '파라오 관련 문헌' (6번);

● '사원과 숭배' (7번), 

● '여덟 명의 무덤' (9번).

다음 예측은 이어진 글에서 조사할 예정이다:

●'창조 개념' (4번 예측). 함이 홍수 이전의 지식을 가져왔다면, 창세기 1-4장과 비교했을 때, 고대 이집트의 창조 개념 사이에는 현저한 유사점이 있을 것이다.

●'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8번). 논문 1부에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가 어떻게 오그도아드의 이름의 의미로 이어졌는지 간략하게 설명했다. 이는 이집트 오그도아드가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에 대한 다신교적 개념을 나타낸다는 전반적인 사례를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별도의 기사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이름들의 시조(개척자)' (10번): 고대 이집트에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를 기념하여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기본 개념들, 발명품 또는 일상용품들이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들은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나타날까? 이러한 질문은 향후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글의 초고를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익명의 검토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이 글은 2023년 3월 31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References and notes

1.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Brill, Leiden, p. 492, 2006.

2.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CA, p. 197, 2002. Shu, an air god separated his children earth (son, Geb) and sky (daughter, Nut) from their embrace. He then held up Nut—an image of creation—keeping the sky from collapsing and returning to Nun. Shu was aided by the eight Heh gods.

3. Hornung, E., Der Ägyptische Mythos von der Himmelskuh: Eine Ätiologie des Unvollkommenen, University of Zurich, Freiburg, pp. 42–43, HC Line 157–168, 1982.

4. Lichtheim, M., Ancient Egyptian Literature—vol. II: The New Kingdom,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 198, 1976; also recognized by Pinch, ref. 2, p. 173, in her discussion of Nu’s role in the Heavenly Cow myth.

5. Hornung, ref. 3, pp. 39–40, HC Line 69–100. Specifically, a flood of beer, coloured by red ochre.

6. Piankoff, A. (Rambova, N., Ed.), The shrines of Tut-Ankh-Am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p. 29, 1962.

7. Hornung, E. (Lorton, D., trans.), 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p. 148, 1999.

8. PT 406§709a in Teti and Pepis II pyramids.

9. Piankoff, ref. 6, p. 142.

10.  Piankoff, ref. 6, pp. 142–143.

11.  Quirke, S., Going Out in Daylight: prt m hrw—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translation, sources, meanings, Golden House Publications, London, p. vii, 2013.

12.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in the Oriental Institute Museum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Chicago, IL, p. 112, 1960.

13.  Quirke, ref. 11, p. 399. Found on the papyrus of Nespasef, papyrus Marseille 291.

14.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or Going Forth by Daylight, The Un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60, 1974.

15.  HALOT 10032 states: “2) The sbst. is a loanword from Egyptian and may be derived either a) from ḏb’t shrine, sarcophagus; or b) from tbt chest (see Erman-G. Wb. 5: 561; 261).”

16.  HALOT 10032, see Wb 5, 261.6; 434.10–11; 561.

17.  Allen, ref. 14, p. 273. Allen states Ḥeḥis ‘One of the Ogdoad of Hermopolis’.

18.  Silverman, D.P.,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121, 1997.

19.  Wilkinson, R.H.,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Egypt, Thames & Hudson Inc., London, p. 117, 2003. New Kingdom tombs in the Valley of the Kings including Ramses VI, where the descending shafts and associated images of Nun depict a return to Nun as an image of rebirth of the deceased.

20.  Wilkinson, ref. 19, p. 117, Papyrus EA 10470/35.

21.  Wilkinson, ref. 19, p. 117.

22.  Zivie-Coche, C., ‘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pp. 167–225, 2009; p. 170.

23.  Quirke, ref. 11, pp. 437–438, 2013, line numbers added for reference.

24.  Wente, E.F., Late Ramesside Lett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1967.

25.  Wente, ref. 24, pp. 189, 193, 194, and 197.

26.  Helck, W. and Otto, E. (Eds.), Lexikon der Ägyptologie, band I, Wiesbaden, O. Harrassowitz, Germany, pp. 296 and 300, 1986.

27.  Grimal, N.C., La Stèle Triomphale de Pi(‘ankh)y au Musée de Cair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Paris, pp. 68–69, 1981.

28.  Grimal, ref. 27, Pl.VIII:59.

29.  Spencer, A.J., Excavations at El-Ashmunein II, the Temple Area, British Museum Press, London, p. 63, 1989.

30.  Spencer, ref. 28, p. 64.

31.  Cruz-Uribe, E., Hibis Temple Project,vol. 1, Van Siclen Books, San Antonio, p. 194, 1988.

32.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tudies, Yale Egyptological Institute, New Haven, pp. 1–5, 2006.

33.  Cruz-Uribe, ref. 31, p. 22.

34.  Davies, N. de G., The Temple of Hibis in el Khargêh Oasis III, The Decoration, Plantin Press, New York, Pl.33, 1953.

35.  The Book of Fayyum, where the Ogdoad describe themselves as ‘resting in our bodies in the mound of Djeme’. O’Connor, D. and Quirke, S. (Eds), Mysterious Lands—Encounters with Ancient Egypt, UCL Press, London, p. 86, 2003.

36.  The names are unique compound names, but are all forms of the Ogdoad names. McClain, B., The Cosmogonical Inscriptions of Ptolemy VIII Euergetes II and the Cultic Evolution of the Temple of Djeser-Set; in: Dorman, P.F. and Bryan B.M. (Eds.), Perspectives on Ptolemaic Thebes: Papers from the Theban Workshop 2006, pp. 69–96, Chicago, IL, 2011, p. 46.

37.  The first expedi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1927. and officially concluded in March 1933. Nelson, H.H, and Hoelscher, U., Medinet Habu, Chicago, IL., pp. 37–38; 91–92, 1924–1928.

38.  McClain, ref. 36, p. 71.

39.  McClain, ref. 36, p. 64.

40.  Holscher, U., 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Plate 4, 1939.

41.  McClain, ref. 36, p. 74.

42.  McClain, ref. 36, pp. 79 and 83.

43.  McClain, ref. 36, pp. 84–85.

44.  Hölscher, U., The Excavation of Medinet Habu, vol. I—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5, 1939.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102–108,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2

번역 : 양승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