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미디어위원회
2023-08-21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by Gavin Cox


개요 : 함이 노아 가족의 이름들과 지식, 홍수를 직접 겪었던 경험을 이집트로 가져갔다고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이 시리즈 글 4부에서는 대홍수의 생존자인 노아, 야벳, 셈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에서 알려져 있었을까? 그리고 이들이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을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시리즈 글 1부와 2부는 이를 입증하기 시작했으며, 3부에서는 첫 번째 테스트 사례로 함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증거들을 바탕으로, 4부에서는 노아, 야벳, 셈이 고대 이집트의 개인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대홍수의 족장 이름과 오그도아드를 비교하여, 이집트의 다신교 문화에서 노아와 아들들이 신격화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언어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


이 연구의 기본 전제


이집트의 파라오, 사제, 조상들은 이집트인들에 의해서 신격화되고 숭배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은 이집트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제3왕조 파라오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의 건축가이자 사제인 임호텝(Imhotep, 이모텝)은 신이 된 사람의 대표적인 예이다.[1] (참조 :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2). 이 연구에서는 함의 영향을 받아 신격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노아, 야벳, 셈의 이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나는 그들의 이름과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성한(신들의) 이름과 오그도아드 사이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확립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


히브리어 노아(Noa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누(Nu)'(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야벳(Japheth)'(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히브리어 셈(Shem)(소리 + 의미) ≈ 이집트어 '셈(Shem)'(소리 + 의미) ≈ 오그도아드 구성원(동등한 종교적 의미).


노아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히브리어 노아(ַחֹנ)와 가장 가까운 발음상의 인명을 찾기 위해 이집트 사전을 참조했다. 이집트어와 히브리어에서 어떤 소리가 동등한지 고려하여 단어 검색 매개변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고려했다. 로프리노(Loprieno)는 "아시아-아프리카어족(Afroasiatic, Hamito-Semitic)의 *n과 같은 '치음(dental consonants)'은 이집트어/n/으로 유지되었고"[2], 콥트어 n,은 이 강한 자음에서 유래했다고 지적한다. 맛소라 사본(MT)에서 öª로 지적된 히브리어 모음은 이집트 모음 /w/ 및 /u/에 해당한다. (w = u는 다른 표기법 내에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히브리어 노아(Noah)의 '말단 무성 인두 마찰음'()은 이집트어 //로 표현된다. 이러한 음성학적 사항들을 고려하여, 다음의 검색 음소에 대한 제약 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으로 3개의 자음 근 nwḥ와 그 기본적인 쌍자음 근 nw.을 테스트 사례로 사용하였다.[4] 표 1의 데이터는 대표적인 예로 이집트어 어휘에서 검색되었다.


결과 논의

사전에서 이중자음 어근 'nw'가 접두사로 붙은 18개의 개인 이름들과 146개의 신성한 이름들이 집계되었으며, 그 예는 표 3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OK) 피라미드 텍스트(PT)에 일찍부터 등장한다. 히브리어 노아 'nwḥ'와 정확히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름의 10가지 예는 제6왕조 시대부터 일반적으로 신성한 별칭의 접두사로 발견되었다. 비슷한 이름인 nwy는 제6왕조 PT-1525에 등장한다. 대부분의 누(Nu) 이름에는 히브리어 노아에 있는 마찰음 'ḥ'가 없는데, 이는 그리스어(Νῶε)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다. 누는 히브리어 노아와 비슷한 가장 일반적인 이집트어 이중자음 발음 이름이다.

표 1. 노아(Noah)와 '유사음'을 가진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


노아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성경 본문은 홍수 이야기의 음성학적 단서에서 파생된 '노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출발점이다. 가르시엘(Garsiel)은 이렇게 말한다 :

"학자들은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에 다양한 미드라쉬 이름 파생어[midrashic name derivations, MNDs]가 부착되어있다고[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를 확고히 하며] 지적했다."[5]

홍수 이야기에서 노아의 이름은 주요 단계에서 반영되어 있는데,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이 현상을 '확장된 언어유희(paronomasia)'(단어의 유희)라고 불렀다.[6] 폴락(Polak)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노아라는 이름은 홍수 이야기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유사한 어휘들의 광범위한 집합의 중심에 서 있다." [7]

이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창세기의 핵심 구절은 다음 5개 구절이다 :

וַיִּקְרָ֧א אֶת־שְׁמ֛וֹ נ֖חַֹ לֵאמ֑רֹ זֶה יְנחֲַמֵ֤נוּ מִֽמַּעֲשֵׂ֙נוּ...

“(라멕이) 이름을 노아(nōaḥ)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naḥăm)하리라 하였더라” (창세기 5:29).

ווַיּנִָּח֣םֶ יְהוָ֔ה כִּֽי־עָשָׂ֥ה אֶת־הָֽאָדָ֖ם בָּאָ֑רֶץ...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nähem) 마음에 근심하시고"(창세기 6:6).

... ותַָּנ֤חַ הַתֵּבָה֙ ... עַ֖ל הָרֵ֥י

"... 방주가 아라랏 산에 머물러 쉬었다(naḥ) ..."(창세기 8:4, 새번역).

... וְלֹֽא־מָצְאָה֩ הַיּוֹנהָ֙ מָנ֜וֹח לְכַף־רַגְלָ֗

"... 그 비둘기(nāh)는 발을 붙이고 쉴 만한(nôªḥ) 곳을 찾지 못하여..."(창세기 8:9, 새번역).

...ויַּרַָ֣ח יְהוָה֮ אֶת־רֵ֣יחַ הַניִּחחַֹ֒... וַיִּבֶ֥ן נ֛חַֹ מִזְבֵּ֖חַ

"노아(nôªḥ)가 제단을 쌓으니.... 여호와께서 그 향기(nîḥōaḥ)를 받으시고..."(창세기 8:20-21).

노아에 대한 라멕의 예언적 이름에 대한 설명(창세기 5:29)에서, naḥăm(piel imperfect, 강한 능동 미완료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라멕이 동사 어근의 '편안함/안식'이라는 측면을 끌어들였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홍수 이야기에서 "방주가 쉬었다", "비둘기가 안식을 찾지 못했다", "여호와께서 달콤한 향기를 맡으셨다"와 같은 언어유희(paronomasia)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으로 관찰된다. (BDB-5967은 nîḥōaḥ를 "하나님이 받으시는 제물의 평온한 진정시키는 향기(냄새)"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는 여호와께서 심판하시는 일을 쉬시도록 하게 한다는 뜻이다). 창세기 6:6절에서 한탄(nahem)은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으로,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BDB-6037은 이것을 "미안해하고, 동정심을 느끼고, 동정심을 가지고 ... [더 나아가 보살피다]"로 번역하고 있다.)

성경 본문은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제공한다. 노아의 이름 어원(etymology)에 대한 TWOT-1323f 해설은 주목할 만하다 :

"[노아와 공유된] 어근(root)은 움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장소에 정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mānôaḥ, 휴식처(resting place)... 이 명사는 동물이나 사람을 위한 nûaḥ (움직이지 않는, 안전)의 장소, 즉 정착할 장소, 집을 나타낸다."

이러한 성경적 개념을 염두에 두고, 표 2는 '노아'에 대한 성경적 의미 범위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TWOT는 어근과 관련된 5개의 단어가 나열되어 있는데, 표 2를 보라.

노아의 이름에 대한 의미 범위를 설정한 후, 의미와 소리가 동일한 이집트어 단어(의미 및 음성 대응어)를 TLA(Thesaurus Linguae Aegyptiae)에서 검색했다. 표 3에는 이 검색 결과가 나와 있다.

표 2. 음성 어근에 의한 노아의 의미 범위


결과 논의

nw 음성 어근이 포함된 단어에 대한 TLA 검색을 수행하여 116개의 단어가 검색되었다. 표 3에는 창세기 홍수에 상응하는 확장된 언어유희로 사용된 17개의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음성 어근 nw(N35 '물결(water ripple)'과 W24 '누 포트(nu pot)'로 상징됨)는 이중자음 어근 또는 가장 가까운 음성 등가로 간주되었다. 이들 중 13개 단어는 고왕국(OK)에서, 4개 단어는 중왕국(MK) 이후에서 유래했다. 표 3에 제시된 TLA 데이터는 노아라는 성경적 이름의 의미 범위와 강력한 음성적, 의미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의 이름을 지을 때 사용된, 히브리어 피엘 불완전 동사 '위로/슬픔'(naḥăm)과 인류를 창조하신 여호와의 '슬픔/한탄'을 묘사하는 6:6절의 단순 수동 미완료형(niphal imperfect) nahem과 고왕국 이집트어가 유사하다는 점이다. "세상에 대한 창조주의 관심"(Wb II, 223.4)으로 번역된 고왕국 'nwr'과, "돌보다"(Wb II, 220.5–14)로 번역된 고왕국 'nwi'에서도 놀랍도록 동일한 개념이 등장한다. 또한 노아의 이름에 내재된 '안식'과 '가정'의 측면은 '안식처', '휴식', '거처'를 의미하는 고왕국 nni, ḫni, mn.w에 반영되어 있다. 특히 이집트어 어휘(Wörterbuch)는 niwy를 "쉼을 얻다(홍수와 관계되어)"라고 번역하고 있다(Wb II, 203.2).

표 3. 음성 'nw' 어근 단어를 포함하는 이집트어 어휘


표 3은 '노아'와 직접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갖거나, 의미를 공유하는 단어들이 고왕국에 걸쳐 후대에 퍼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고왕국의 신 'Nu(누)'는 (이집트인들이 태고의 홍수에서 출현했다고 믿었던 8명의 신들로 구성된) 오그도아드(Ogdoad, 1~3부에서 설명함)의 우두머리 남성 신으로, 그 이름 자체는 nwnn이다.


문맥에서 nw의 어원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고왕국 텍스트 예시

아래 목록은 문맥에서 nw와 관련된 어근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집트어 텍스트 다섯 가지이다(더 많은 예가 인용될 수 있음).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와 이름에 발음 어근 nw가 있는 오그도아드 구성원을 다시 선택한 예시이다. (로그인 후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user'로 로그인 화면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림 1. 함이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하여 미친 영향.


중왕국. 세소스트fl스 1 세의 비문, 엘 토드의 달 사원, col.[7]

(MK. Inscription of Sesostris I, Month-temple of El-Tod, col. 7.)

    …wbnmsbꜢwꜤ,tjḫr=sḥrwn(n)ẖrnw,ttꜢpn

"... 이 땅에 대한 염려로 가득 차 있으면서 ... 그들과 함께 외로운 별이 되어 떠오르는 사람."[8]


c. BC 518년, 다리우스 1세, 하이비스 신전, 창조주 찬가, 아문 레의 탄생, cols. 22, 23.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Creator Hymn, Birthof Amun Re, cols. 22 and 23.)

nwi.n=fp.ttꜢdwꜢ.t

"하늘과 땅과 지하 세계를 돌보셨다."[9]


고왕국. 파피루스 베를린 P 10474AB recto, 92A-93A, Line b3-6/7.

(OK. From Papyrus Berlin P 10474 AB recto, 92A–93A, line b3–6/7.)

šmirẖnwrjni.tḥtp-nṯr

"신에게 바칠 제물을 가져오기 위해 집(거주)으로 가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 PT 578§1534a.

(OK. Pyramid Pepis I, PT 578§1534a.)

jnṯwtjśḫ(w)inni.w=śnm-ẖnwꜤ=k

"그들이 당신의 품에서 지치거나/피곤하여 [쉬는] 것을 막는 것은 바로 당신이기 때문입니다."


고왕국. 피라미드 페피스 II, PT 486§1040a-c.

(OK. Pyramid Pepis II, PT 486§1040a-c)

{i:} mi.w mnw, w n ẖpr.t p, t n ẖpr.t tꜢn ẖpr.t

"나는 (?) 하늘이 존재하기 전에 땅이 존재하기 전에 누/(물)에서 태어났다."


c. BC 518년, 다리우스 I. 하비스 신전, 카르낙의 대아문찬송, cols. 40–42.

(c. 518 bc, Darius I. Hybis Temple, Great Amun Hymn of Karnak, cols. 40–42.)

ntkNwn-wr,nniswḥrꜢḫ.t

"당신은 들판에 정착하는 눈(Nun) 대왕이시여..."


대아문찬송가의 이 언어유희에서 편안함으로서의 nw의 개념이 드러난다. 클로츠(Klotz)는 "문자 그대로 '움직임이 완만하게 되다'라는 동사 nni는 범람을 기술할 때 '가라앉다' 또는 '정착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10] (즉, '쉬다'라는 의미)라고 지적한다.


요약

위에서 설명한 언어적 증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히브리어 노아(Noah) ('위로', '집', '안식') ≈ 이집트 누(Nu) ('위로', '집', '안식') 

  ≈ 오그도아드 누(Nu) ('위로', '집', '안식').

이집트의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노아와 음성적으로 동일하며, 홍수의 별칭을 형성한다. 누(Nu)에 어원을 가진 어휘는 노아라는 이름의 의미와 고왕국(OK)에서 동등한 의미 범위를 공유하므로, 이 이름들이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고, 노아와 그의 아내가 오그도아드 부부 누(Nu)와 누트(Nu.t.)처럼 신성한 조상이 되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1).


야벳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성경의 이름 '야벳(Japheth)'은 영어 자음 'j'와 'th'가 포함된 발음으로 영어화 되었다. 히브리어 yäºpet(יֶפֶת)을 영어로 옮기면 'j'는 'j'로, ‘t’는 'th'로 대체된다; 그러한 것은 이집트 자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야벳'의 첫 모음에 관해서는 로프리에노(Loprieno)의 주석이 적절해 보인다 : "반자음 또는 반모음 활음/j/[‘i’로 발음] 과, /w/, 모음은... 대부분 표현되지 않고 남아있다."[11] 그리고 "후기 이집트에서는 삭제되었다."[12] 이집트어 순음의 ‘동음이의자음(homorganic sounds)’ /p/ 과 /b/에 대해, 로프리에노는 그것들은 합쳐졌다고(즉,../p/ > /b/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석하였다.[13] 또한 '치간 마찰음(interdental fricative)' 음소 ḏ와 t는 고왕국 이집트어에서 후기 이집트어 /t/ 및 /d/로 합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였다.[14] 이러한 음성학적 고려 사항을 염두에 두고, 삼자음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개인 및 신성한 이름 ipt/ibt/wpt/wbt가 검색어로 사용되었다. 아래 표 4는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4. 히브리어 야벳(Japheth)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인명 및 신명.


결과 논의

RPN에서 6개의 ipt, 7개의 ibt, 6개의 wpt, 1개의 wbt 개인 이름이 발견되었고, LGG에서는 19개 ipt; 1개 ibt; 0 wbt; 41 wpt의 신성한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는 표 4에 나와 있다. 이 이름들은 고왕국-신왕국 시대에서 발견된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하며 홍수 별칭으로도 나타난다. 그러나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 변형은 ipt와 wpt 두 가지뿐이다.


야벳: 성경적 이름의 의미

    ...ַיְ֤פּתֱאֹלהיםְליֶפת

    "하나님이 야벳(yapT)을 창대하게(yeºpet) 하사..."(창세기 9:27).

'야벳'의 성경적 의미는 창세기 9:27절의 본문에서 유래되었다. 노아는 창 9:21-27에 기록된 야벳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따라, 야벳의 이름에 담긴 의미를 바탕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축복을 공식화했다. 히브리어 ְתְּפַ֤י (HALOT-3882)는 노아가 분명히 사용하고 있는 단어이다. 단순 능동인 칼(qal) 1 어간에서는 "단순하다", 니팔(niph’al)과 푸엘(puel)에서는 "속다", 피엘(piel)에서는 "유혹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야벳이 축복을 받은 문맥에서는 이러한 측면 중 어느 것도 의미가 없다. 또는 ‘ְתְּפַ֤י는 칼 2 어간에서 "열리다"를 의미하고, 히필(hiphil)에서는 "넓게 하다"를 의미한다. 동사를 분석해 보면, 히필은 형태와 의미 모두에서 불완전하고 불규칙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넓게'와 '넓게 열리다'라는 의미가 받아들여져야 한다(HALOT-7802). 존스(Jones)는 야벳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 몇 가지 적절한 언급을 하고 있다 :

"노아의 장남. 그는 야벳이라고 불려졌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하나님의 약속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나님이 야벳을 창대하게 하시겠다는 약속에 응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후손들이 많고, 널리 퍼진 것은 그의 이름의 어원과 잘 일치하며, 그는 영토와 자녀 모두에서 확대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 고대에 스키타이인들이 살았던 지구의 광활한 지역을 소유했으며, 지구의 서쪽과 북쪽 지역을 망라했다."[15]

표 5. '야벳'에 대한 히브리어 어휘 범위


다른 연구자들은 야벳의 이름이 그리스의 신 이아페토스(Iapetos)[16] 또는 주피터(Jupiter)와[17]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이는 그의 후손들이 북쪽으로 이주한 것과 잘 어울린다. 표 5는 야벳의 이름과 의미 범위를 갖는 연관된 성경 어휘들을 나열한 것이다. 성경의 '야벳(Japeth)'이 이집트 이름과 공통된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검색어로 wb/wp/pḏ 어근을 사용하였다. 표 6은 TLA에 대한 이집트어 탐색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표 6. wb/wp/pḏ 어근이 포함된 이집트 어휘


결과 논의

TLA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찾아주었다: ip–34; ib–72; wp–38; wb–33. 표 6에는 '야벳'과 의미를 공유하는 모든 어근들이 나열되어 있다. 표 5와 표 6은 야벳과 유사한 음성 어근을 가진 이집트 단어의 의미 범위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집트어 ḏ는 '넓은', '넓직한'이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pötè와 의미적으로 공유된다. 고왕국(OK) 개인 이름 Wepet(wp.t)은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난다 ; 즉, "창시자"와 홍수 별칭인 wp-n.t "홍수를 나눈 자"로 나타난다. 이집트어 'wpt'는 '열리다, 넓다'('홍수' 관련)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ypt'와 음성학적으로 유사하며, 이는 'wpt'가 '야벳'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되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함이 이름과 관련 어휘 측면에서 이집트 언어와 관계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2).

그림 2. 이집트 어휘에 미친 함의 영향 


'야벳'과 오그도아드 비교하기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의 이름은 1부와 2부 글에서 언급되어 있으며, 특히 한 구성원인 헤흐(Heh)는 '확장(expansiveness, 광활)'이라는 개념 측면에서 야벳과 즉각적인 의미적(음성적 의미는 아님) 연관성을 갖고 있다. 표 7에는 '헤흐(Heh)'의 음성 어근을 비교할 때, 공유되는 어휘들을 나타내고 있다.

표 7. 헤흐(Heh)의 관련 의미 범위


야벳의 이름의 의미 범위에는 '뻗다', '넓다', '열리다'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헤흐(Heh)와 잘 일치한다. 헤흐의 이름은 고왕국 단어들, 즉 '영원', '무한', '백만', '탐사' 등에 해당하는 단어들과 음성적 어근을 공유한다. 또한 헤흐(Heh)는 이집트 홍수를 묘사하는 신왕국 단어이기도 하다. 더나아가 헤흐(Heh)는 민족 집단인 '부족, 씨족'을 의미하는 고왕국 단어로, 야벳의 후손(Gentiles-Gôyìm)이 멀리 퍼져나간 것과 일치한다.


어근 ipt, pd을 가진 대표적인 텍스트 예 

아래는 음성 어근 ipt, pḏ를 가진 단어가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텍스트이다. 선택된 예문은 야벳의 이름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헤흐(Heh)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OK. Unas Pyramid, PT 54, line 52.

    (w)sjr (|wnjs|) wpi rꜤ = k m mḥ.t im = k 

    "오시리스 우나스, 이것으로 입을 벌려라."

    

OK. Pyramid of Neith, PT 71J, line 328.

    pḏ pf aḥa pn

    "저쪽은 펴고, 이쪽은 서 있어요."

    

OK. Pyramid of Teti, PT 406, line 340.

    …gwꜢ = k m-ḫnt ḥḥ.y = f

    “... 그의 헤흐(하늘을 지지하는) 신들 앞에 착륙한다면.”

    

OK. Pyramid Pepis I., PT 1007, line 95.

    wḏ = k mdw n ḥḥ ḥwi n = k ḥfn. sḏb

    “주께서 악을 물리치라는 수십만, 수백만의 명령을 [당신에게] 주실 것입니다.”


NK. KV 9: Tomb of Ramses VI, Celestial Cow, line 6.

    bꜢ pw n ḥḥw ḥw.t

    "헤흐(Heh)의 바[ba, 정신-spirit]는 홍수이다." ('Heh'의 ḥḥw와 'flood'의 ḥw.t에서 보여지는 언어유희에 주목하라).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브리어 야벳 (Japheth 열린, 넓은)

≈ 이집트어 wb/wp/pḏ (열다, 넓다) ≈ 이집트어 헤흐(Heh 무한, 백만, 홍수).

히브리어 야벳과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적 이름은 동등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이름이 성경의 야벳과 일치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이름들은 신성한 이름과 홍수의 별칭으로 등장하며, 오그도아드의 신성한 쌍(남신과 여신)인 헤흐(Heh) 및 헤헤트(Heh.t)와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셈 -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은? 


로프리에노(Loprieno)는 세 가지 관련 치찰음(sibilants)에 대해 설명한다 : "고왕국 이집트어는 세 개의 음소를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z(또는 s), s(또는 ś), š로 표기된다".[18] 로프리에노는 함셈어족(Hamo-Semitic) š와 ś가 이집트어 s(ś)로 이어졌다고 말한다. 이집트어 š는 콥트어 로 살아남았다. 또한 단자음 /m/은[10] 콥트어 비강 순음으로 살아남았다.[19] 이러한 음성적 고려를 통해, 동등한 소리를 내는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을 음성 어근으로 검색할 수 있다 : šm, sm, śm. 아래 표 8은 이집트어 사전에서 이러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표 8. šm/sm/śem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


결과 논의

RPN으로부터 33개의 šm, 32개의 šm, 12개의 śm의 개인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LGG는 300개의 šm, 223개의 šm, 11개의 śm의 변형된 신성한 이름들을 기록하고 있다. 표 8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치찰음(sibilant) š, s, ś를 가진 대표적인 예로, 고왕국 텍스트에 나타나지만, 신왕국에도 지속되어 세 치찰음을 가진 이름 변형들이 모두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 이름들은 결정될 수 있는 한, 성경의 셈과 동일하게 들린다.


셈 : 성경적 이름의 의미

       

    "셈(šëm)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라..." (창세기 9:26).

셈의 의미는 창세기 9:24~27절에서, 셈의 분별력(discretion, 신중)에 대한 노아의 공식적인 축복 내에서 문맥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로스(Ross)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여호와는 셈의 하나님이 됨으로써, 자신의 이름을 셈의 이름으로 삼고, 자신의 이름과 셈의 이름을 엮어 놓았다." [20] 신학적으로 셈은 여호와와 매우 밀접하고 동일시되는 제사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21] 존스의 언급은 주목할 만하다 :

"셈... 노아의 아들. 그가 형제들 앞에 위치시킨 것은, 아마도 하나님께서 그에게 메시아의 조상이라는 영광을 주셨기 때문이며, 그가 우상숭배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를 형제들 중에서 구별하셨고, 노아가 단호하게 선언한 것처럼, 그는 독특하게 그분의 것이 되었다." [22]

셈의 의미론적 범위는 표준 히브리어 사전에 의해 주어진다 : šëm "이름, 브랜드(brand), 마크(mark), 명성, 대표, 영광"[23]; "이름, 신의 이름, 명성, 유명"[24]; "이름, 유명한, 구별된"[21]. 표 9는 문맥에서 'šëm'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론적 의미 범위를 보여주는 예이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의 '셈'이 공통적 의미를 공유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šm, sm, śm 어근을 검색어로 사용했다. 표 10은 TLA에 대한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셈(Shem)'이라는 이름과 연관된 의미 범위

표 10.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이집트어 어휘들 


결과 논의

음성 어근 šm, sm, śm을 포함하는 단어에 대해 TLA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 šm-141; sm-284; śm-85개의 단어들. 표 10은 히브리어 셈의 의미 범위와 šm, sm, śm 음성 어근을 포함하는 이집트 어휘들 간에 공유되는 어휘의 예를 제시하며, 이는 함의 영향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한다(그림 3). (그러나 일부 주요 상관 어휘는 후기 텍스트에만 나타나며, 여기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이름'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 rn은 중왕국에서만 '제목'을 의미하는 smꜢ, šmꜢ 과, '이름을 영속하다'를 의미하는 śmnḫ과 같이, 의미적으로 동등한 음성 단어가 등장한다. '형상(image)'과 '상(statues)'들은 중왕국 śmnḫ와 신왕국 śšm.w.로 나타난다(형상 또는 상은 이름이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람 또는 신을 나타낸다). 제사장으로서의 셈의 개념은 'sem’, “priest(제사장)"이라는 고왕국 용어에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노아, 함, 야벳에 대해 제시된 증거들에 비해, 이 세 가지 음성 어근과의 의미적 연결은 고왕국에서는 약하다. 고왕국에서 셈의 '비슷한 소리' 이름들이 성경의 셈과 같은 의미로 이해되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림 3.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한 함의 영향


성경의 셈은 오그도아드에 해당한다. 

'셈(Shem)'은 '이름(nam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된다. 1부와 2부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숨겨진 이름"(jmn-rn, Wb 1, 84.1)은 괜찮은 제목이다.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은 이와 동일한 음성 어근(jmn)을 가지고 있다. 표 11은 셈의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 단어들과 오그도아드 구성원인 '아문(mn)'이 공유하는 이중자음의 음성적 어근을 갖는 어휘들을 비교한 것이다.

표 11은 성경의 셈과 어휘 영역을 공유하는 단어들을 음성적 어근별로 나열한 것으로, 아문이라는 이름이 셈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해되었을 가능성, 특히 '정체성(identity)'을 나타내는 명사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흥미롭게도 mn 어근(mndf.ti)이 포함된 고왕국 단어는 "홍수의 저자(창시자)(Author of the Flood)"를 의미하는데, 이는 피라미드 텍스트(Pepis I, PT 486)에도 등장한다.


문맥에서 어근 šm, sm, śm이 포함된 대표적인 텍스트 예시

아래는 음성 어근 šm, sm, śm을 가진 단어들이 포함된 네 개의 이집트어 문장이다. 선택한 예문은 셈과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아문(Amun)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MK. Tomb of Chnumhotep II (Beni Hasan 3), Biography Chnumhoteps II, lines 41.

smn.n = fn = j wḏ šma smnḫ wḏ = sn mi pt

    "... 그는 나를 위해 남쪽 석비(stele)를 세웠고, 하늘처럼 훌륭한 북부 석비를 만들었다..." 

    

NK. Papyrus Cairo CG 24095 (pMaiherperi), Tb 127, line 559.

dwꜢ nṯr. sšm, w. ḏwꜢ.t jn ḏd = f

    "지하 세계의 신들과 형상들을 경배하라 ... 그는 말한다 ..."

    

OK. Unas Pyramid, PT 301, line 558.

    jmn ḥna jmn.t m ẖnm, tj nṯr. šnm nṯr. m š {j} w = sn

    "아문 아무네트, (당신) 둘 다... 신들과 그들의 그림자를 하나로 묶는..."

    

NK. Papyrus Anastasi (Pap. Brit. Mus. 10247), Line 12, 6.

wn-f nk Ꜣs ḥr pꜢi-i smi

    "... 그가 내 평판을 빨리 당신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25]

표 11. 셈의 어휘 영역과 mn 어근 단어 비교


요약

언어적 증거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가 이루어진다 :

히브리어 셈(이름, 평판...) ≈ 이집트어 sm, šm, śm(이름, 평판...) 

≈ 아문(Amun) mn(외관, 형상).

이집트의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들은 히브리어 셈과 음성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고왕국에서는 동등한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려우나, 중왕국 이후에는 더 강한 의미가 부여된다. 고왕국에서 셈의 의미는 오그도아드의 부부인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t.)와 연속적으로 비교된다.


결론


3부와 4부 글에서는, 노아, 함, 셈, 야벳은 함의 영향을 받아 고대 이집트에서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개인 이름들과 신성한 이름들로 알려졌음을 보여준다. 3부에서는 성경의 이름이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그리고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단어가 이름 의미를 도출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이름도 비슷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을까? 이 이름들은 히브리어 이름과 비교했을 때, 동등한 의미 범위를 가지고 있는가? 이 '소리가 비슷한' 이름들은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는가? 4부 글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경적-역사적 관점에서 문화적-언어적 영향력이 가장 강한 고왕국(OK)에서 증거가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요약하면, 히브리어 대홍수의 족장들의 이름들은 이집트의 음성학적 이름과 비교할 때, 동등한 의미를 공유한다. 이것은 가장 오래된 예에서 발생하므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그도아드의 이름들과 비교하면, 의미적으로 매우 유사한 점이 눈에 띈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은 이집트의 '비슷한' 개인/신의 이름 및 오그도아드 이름과 비교될 수 있다 :

노아 ≈ nw ≈ Nw(누)

함 ≈ ḥm/hm/ḫm/km ≈ Kek(켁) 

야벳 ≈ ipt/wpt ≈ Heh(헤흐)

셈 ≈ šm/sm/śm ≈ Amun(아문)

오래 전에 사라진 고대 이집트인들을 개인적으로 참조할 수 없기 때문에, 제시된 증거들은 이러한 이름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홍수 족장들의 이름이 함의 영향을 통해, 이집트의 어휘체계(onomastics)와 관련 어휘에 근본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이는 히브리어와 의미적 연관성을 공유하는 동등한 음성학적 이집트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함이 이집트의 음운론과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 즉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적 범위를 뒷받침한다(그림 1-3). 이러한 의미의 공유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을 오그도아드(Ogdoad) 이름들과 비교할 때 관찰되며, 따라서 오그도아드가 노아 가족에 대한 다신교적 기억을 나타낸다는, 이 시리즈 글에서 설정했던 가설을 강화시켜 준다.


*Gavin M. Cox has two masters degrees, one in biblical studies from Exeter University, the other in Egyptology from Birmingham University, an honours degree in theology from London Bible College, and a Higher National Diploma of minerals engineering from Camborne School of Mines. He now works full time for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UK/Europe) as a speaker/writer since June of 2018. Prior to this, his work included 10 years in the seismic industry as a geophysicist and topographic land surveyor both on land and marine in Africa, the Middle East, Europe, and the UK.


References and notes

1. Wildung, D., Egyptian Saints: Deificationin Pharaonic Egypt, New York University Press, NY, p. 34, 1977.

2.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31, 40, 1995.

3. Loprieno,ref. 2, p. 40.

4. Why the terminal fricative ḥ is dropped in some cases is a matter of speculation.

5.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203, 1991.

6. Cassuto, U., Commentary on Genesis I, Magnes Press, Jerusalem, p.289, 1972.

7. Polak, F.H., The restful waters of Noah, JANES 23:69–74, 1995; p.71.

8. Redford, D.B., The Tod Inscription of Senwosret Iandearly 12th dynasty involvement in Nubia and the South, figs. 1–5, SSEAJ 17:36–55, 1987.

9.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eminars, p. 155, 2006.

10. Klotz, ref. 9, p. 129.

11. Loprieno,ref. 2, p. 12.

12. Loprieno,ref. 2, p. 44.

13. Loprieno,ref. 2, p. 24.

14. Loprieno,ref. 2, pp. 34, 38.

15. Jones, A., The Proper Names of the Old Testament Scriptures(JNS), Expounded and Illustrated, p. 176, 1872.

16. Cooper, B., The early history of man: part 1. The table of nations, CEN Tech. J. 4:67–92, 1990; p. 70.

17. Hunt, H. and Grigg, R., The sixteen grandsons of Noah, Creation 20(4):22–25,1998.

18. Loprieno,ref. 2, p. 34.

19. Loprieno,ref. 2, p. 40.

20. Ross, A.P., The curse of Canaan, Bibliotheca Sacra 137:223–240, 1980; 235.

21. Garsiel, ref. 5, p. 202.

22. Jones, ref. 15, pp. 329–330.

23. HALOT, 1549–1551; BDB-10046.

24. BDB-10047.

25. Gardiner, A.H., Egyptian Hieratic Texts, Leipzig,pp.15, 42, 1911.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4(2): 75–84, August 2020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37/c13758/j34-2_75-84.pdf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8-17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orus—the deified Ham : part 2)

by Gavin Cox


    이집트의 많은 신들 중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신 중 하나는 팔콘 태양신(falcon sun-god)인 호루스(Horus)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 호루스 신과 노아의 셋째 아들 함(Ham) 사이의 연관성들을 탐구해 볼 것이다. 2부에서는 창세기 5~11장에서 드러난 특색(motifs) 5~12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특색들 간의 비교 즉, 5)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6) 함과 호루스, 그리고 전 지구적 홍수 심판, 7) 성경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의 여정, 8)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9)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10)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11)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12) 함과 호루스는 매우 오래 살았다는 점 등이다. 나는 이 일곱 가지 성경적 특색들을 이집트에서의 증거들과 비교하여,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

그림 1. ‘사자의 서(BOD)’에 수록된 삽화: “두 번 죽지 않는 방법”, 제18왕조 초기(BC 1275년) 아니(Ani)의 파피루스 EA10470(역자 주: Ani는 제18왕조 때의 서기관) (Budge[14]).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1부에서는 노아의 셋째 아들인 함(Ham)과 이집트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신들 중 하나인 호루스(Horus, 일반적으로 태양 매, 또는 매의 머리를 가진 사람으로 표현됨) 사이에 흥미로운 유사점이 있다는 긍정적인 사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2부에서는 함의 삶에서 가져온 다음 8가지 특색들(창세기에서 추출)을 호루스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특색 5 - 함의 아버지와 호루스의 아버지 비교, 

특색 6 - 함과 호루스의 홍수 여정, 

특색 7 - 노아의 방주와 이집트의 태양 배, 

특색 8 - 함과 호루스의 성적, 정치적, 형제적 적대감, 

특색 9 - 함과 호루스의 네 아들, 

특색 10 - 함과 호루스의 동방으로부터의 여행, 

특색 11 - 함과 호루스가 시조로서 이집트라는 이름, 

특색 12 - 함과 호루스가 오래도록 산 것 등이다.


여기서 논의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는다.


특색 5(a~d) - 함과 호루스의 아버지


특색 5a, 아버지 : 게브/오시리스 대 노아

함의 아버지는 홍수 시의 족장 노아(Noah)였다(창세기 5:32ff).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의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의 아버지는 대부분 오시리스(Osiris)이지만, 몇몇 경우에는 게브(Geb)이다. 게브는 대지의 신(earth-god, of the Ennead)으로, 동시에 오시리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Pepis 1세 피라미드 텍스트 Pepis I PT-518§1195a-b). 예를 들면 :

Pepis II PT-478§973a

jy r=f ḥr.w Ꜣ(.t)=f tp=f ẖsf ḥr=f m jt(j)=f gbb.

"그래서 호루스는 그의 힘을 가지고, 그의 아버지 게브(Geb)에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나온다."


Unas PT-219§176a (역주: Unas는 제9왕조의 파라오)

ḥr(.w) jt(j)=k pw p(w)-nn (w)sjr ḏi.n=k sḏb=f anẖ=f.

"호루스, 이 사람은 당신이 부활시켜 살게 한 당신의 아버지 오시리스이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게브와 오시리스는 어떤 면에서 노아와 비슷할까? 게브의 역할에 대해 이집트 학자인 벨데(H. te Velde)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이집트 역사의 모든 시대에서 거슬러 올라가는 수많은 텍스트들과 표현은 게브와 대지(땅) 사이의 연관성을 증언해 준다... 땅이라는 의미의 gbb 라는 단어[Wb 5, 164.7-8] 역시 신의 이름에서 파생된 것이다...[1]

예를 들어, 관 텍스트(Coffin Text) CT-78은 슈(Shu)가 창조 과정에서 그의 아이 게브(Geb, the earth, 땅)를 어떻게 누트(Nut, the sky, 하늘)로부터 분리했는지를 설명한다.[2] 창세기 5:29절에서 노아는 라멕에 의해서 예언적으로 땅과 연관되어 있다: 

"... 이름을 노아라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ăd̲āmāh]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이 구절은 창세기 8:20-21절과 연결되는데, 여기서 노아의 위로하는(nîḥōaḥ) 희생제사가 땅/흙(ăd̲āmāh)에 대한 여호와의 저주로부터 구원를 가져다주었다. 나중에 창세기 9:20절은 이렇게 말씀한다 : "노아가 농업을[ʾîš hāʾăd̲āmāh] 시작하여 포도나무를 심었더니."(ESV). 여기서 노아는 홍수 이후의 새로운 세상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 "흙의 사람(man of the soil)"인 둘째 아담이 되었다. 노아가 땅에서 얻은 소산(포도주)은 노아의 수고함(새로운 저주)에 대해 위로하는/(nîḥōaḥ) 쉼(rest)을 가져왔다.(창세기 9:21). (특색 8 참조).


특색 5b : 노아의 쉼과 오시리스의 피곤함

오시리스의 신성한 별명으로 Nny가 있는데, 이는 음성학적으로 '노아(Noah)'를  연상시킨다. Nny는 '피곤한 자(The Tired One)'(LGG IV, 248-249)를 의미하는 중왕국(Middle Kingdom) 시대의 상형 문자로 '쉬는 모습', ‘nupot’, '앉아있는 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CT-431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 "물의 심연(nn)에서 올라오는 무기력한 자(nny)".[3] 중요한 것은 ,nny는 또한 '지쳐있는(tired)'을 의미하는 고왕국의 형용사라는 점이다(예: PT-578§1534a). 신성한 이름인 ‘Nun(Nw.w)’(Wb 2, 215.5-6)은  PT(Pyramid Texts)에서 흔히 발견된다(예: PT-233§237a). 제26왕조 텍스트(BC 664-610년)에서도 오시리스를 심연에 직접 위치시킨다 :

pBrooklyn 47.218.84

wnn wsjr m n.t nw.w

"오시리스(Osiris)심연(Nun)에 있다“

노아는 '쉼/안위(rest/comfort)'을 의미하며(창세기 5:29 참조), 개념적으로 오시리스(Nw/nny)('피곤/무기력(tired/inert)')과 동일하여, 뜻과 발음에서 노아와 놀라운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색 5c.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Ogdoad Nu)

이전 글[4]에서 오그도아드(Ogdoad)의 일원인 누(Nu)를 노아(Noah)에 대한 이교화된 기억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를 누(Nu)와 연결시킬 수 있을까?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오시리스와 오그도아드의 누(Nu)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다며, 언급하기를 :

"엔네아드(Ennead)의 목록 중 하나에서 오시리스의 이름은 태고의 물(primaeval water)인 누(Nu)의 이름으로 대체되어 있다... ."[5]

티라드는 아마도 제30왕조의 "위대한 기도(Great Litany)"를 언급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Nun(Nu)는 "기도문 11-20"에서 오시리스(Osiris)를 대체하며, 헬리오폴리스의 "위대한 엔네아드(Great Ennead)"를 "아툼(Atum), 케프리(Khepri), 슈(Shu), 테프누트(Tefnut), 게브(Geb), 누트(Nut), 이시스(Isis), 네프티스(Nephthys), 호루스(Horus), 눈(Nun)"으로 구별하고 있다.[6]


특색 5d. 코이악 축제는 노아의 반영인가? (특색 7, 8 포함)

코이악(Khoiak)이라 불리는 오시리스(Osiris)의 한 축제(festival)는[7] 오시리스와 세트(Seth) 사이의 투쟁을 극화하여,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로 결론지어진다. 이 축제는 1년 중 세 번째 달인 하토르(Hathor)(그리스어로 Athyr)의 12일과, 아케트(Akhet, 홍수)의 계절에 시작한다. 코이악은 새 농사가 시작될 때 농작물을 심는 것으로, 오시리스의 소생을 기념하며 월말까지 계속되었다. 학자들은 여러 자료들을 활용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재구성했다. 그 자료들로는 아비도스(Abydos)에서 발견된 제12왕조(BC 1870~1831년)의 한 석비(stela)와, (이케르노프레(Ikhernofret)에 속하는) 제13왕조(BC 1741~1730년)의 네페로테프 1세(Neferhotep I)의 왕실 석비 등이 포함된다.[8] 중요한 것은 코이악의 많은 면면들이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s)에서 메아리처럼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 축제는 세트(Seth)에 의해 수장된 왕 오시리스(King Osiris)를 기념한다. 그의 시신은 토막 내어져 조각들은 오시리스의 왕국 전역에 전달되었다.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Isis)는 끈질기게 조각들을 찾아 나섰고, 남근을 제외한 모든 조각들을 찾아냈다. 그래서 이시스는 새로운 남근을 만들었다. 이시스는 그 조각들을 미라로 만들어 오시리스를 부활시켰고, 그녀는 새로운 오시리스와 관계하여, 호루스(Horus)를 낳았다. 그 후 오시리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 죽은 자들의 왕이 되었다. 이 일 후에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호루스는 세트와 격렬한 근친 간의 투쟁을 벌였고, 결국 호루스가 승리한다(특색 8 참조). 그러나 축제에서 세트는 오시리스의 아들이 아니라(일부 PT에 따르면), 그의 사악한 형제로 나온다.

덴데하(Dendera, 역주: 나일강 동안(東岸)에 있는 도시)에 있는 그리스-로마 신전 텍스트(Greco-Roman Temple Text)에는 코이악(Khoiak) 축제가 각색되어 있다. 사제들은 호루스가 오시리스의 시신을 신성한 호수 물에서 건져내 신전으로 옮긴다. 오시리스는 역청(bitumen)으로 만든 미라 모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작은 나무 배에 실려 의례용 호수(Nu/Primeval Ocean)를 건너 호루스 사제들에 의해 신전에 묻힌다. 사제들은 다른 신들과 함께 오시리스의 부활을 상징하기 위해 세워진 덴데라의 오벨리스크(Benben 또는 태고의 언덕을 상징)를 지나 줄지어 걸어간다.[9]

그리스 철학자 풀르타르크(Plutarch, BC 46~119년)는 이집트 사제들[10]이 오시리스가 아티르(Athyr, 역주: 이집트 달력의 3번째 달, 하토르(Hathor)와 동일)의 17일에 죽었다고 믿고 있었는데, 그때 세트(Seth, Typhon)가 속임수로 오시리스를 나무 상자에 가두어 나일강에 던져 바다로 보냈다고 한다(13, 356C-D, 69, 378E).[11] 풀르타르크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오시리스에 대한 한 별명은 "상자 안에 있는 남자(He-who-is-in-the-box, 오시리스)(dbn.j)"(Wb 5, 437.17)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우나스(Unas), PT-219§179-184에서 오시리스의 잘린 팔다리에 대한 암시와 함께 등장한다 : 

§179. "누트(Nut), 이것은 당신의 아들 오시리스이다. 당신이 '나에게서 태어났다'고 말한 그이다... 그의 사랑하는 아들 호루스가 입을 열고, 신들이 그의 팔다리를 세고 나서, 당신은 말했다.“  

§184a. "당신의 이름으로"... 상자(dbn) 안에 있는 사람...“

오시리스의 '물로 인한 시련', 그의 dbn '둥근 나무 상자'(Wb 5, 437.16) 안에서의 시련은 노아 및 모세와 흥미로운 유사점을 갖고 있다. 후자의 두 성경 인물에 대해 구약학자 존 커리드(John Currid)는 이렇게 말한다 :

"... 모세가 겪은 물의 시련은 창세기 6~8장에 나오는 노아의 구원을 연상시킨다. 모세가 태어난 후 그의 어머니 요게벳은 그를 석 달 이상 숨길 수 없어서 '갈대상자(tēb̲at̲ gōme)에 넣었다(출 2:3)... '궤, 관'을 의미하는 테바(Tēb̲at)는 노아의 방주에도 사용되었다. [ʿTēb̲at̲ ăṣê-g̲p̲er' 고페르 나무로 만든 방주, 창 6:14]. 출애굽기 2:3절에서 요게벳이 노아가 방주를 만들 때처럼, 갈대 상자를 '타르와 피치(tar and pitch)'로 칠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창세기 6:14). 노아의 구원을 재창조로 볼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창세기 1:28절의 문명적 명령을 노아와 그의 후손에게 지시하셨기 때문이다 : “하나님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창세기 9:1). 이 명령은 출애굽기 1장에서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서 번성하고 증가하면서 성취했던 것과 동일한 명령이다. 따라서 성경 기자는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구출된 것을 재창조로 묘사하고 있다."[12]

노아(와 가족)는 둘째 달 17일(창세기 7:11)에 방주(Tēb̲at̲̲)에 들어갔고, 그 이듬해 일곱째 달 17일(창세기 8:4)에 아라랏에 안착했다. 노아가 방주에서 나온 것(홍수로부터의 구원)과 홍수 이후의 문명을 다시 시작한 것은 신학적으로 부활/재창조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오시리스가 홍수의 계절인 셋째 달 17일에 자신의 무덤에 들어간 후 부활/재창조됐다는 플루타르크의 증언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오시리스의 역청 미라(bitumen mummy)는 노아의 방주에 칠한 '역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창세기 6:14). 물론 그러한 증거는 이집트 역사 후반에도 나타난다.


특색 5a-d 요약

호루스의 아버지를 함의 아버지 노아와 비교하면, 몇 가지 놀라운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색 5a의 게브를 통한 오시리스와 땅의 연관성은 땅이 저주를 받았기 때문에, 그 저주로부터 안식을 가져다주는 '땅의 사람'으로서의 노아를 연상시킨다. 특색 5b의 '지친' 오시리스는 '안식하는' 노아와 유사하다. 특색 7에서 노아가 홍수가 있던 해 둘째 달 17일에 방주에 들어가고, 그해 일곱째 달 17일에 아라랏에 안착하는 것은, 나일강 범람의 달 17일에 오시리스가 자신의 상자에 들어가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호루스의 아버지로서의 오시리스/게브는 함의 아버지로서의 노아와 닮았다.


특색 6~7. 전 지구적 홍수 심판 때, 함과 호루스의 방주를 통한 여정


창세기(7:7, 8:16-18)는 함을 포함한 노아의 가족들이 어떻게 노아의 방주에서 전 지구적 홍수로부터 심판을 피할 수 있었는지를 이야기한다. 호루스도 마찬가지일까? ‘사자의 서(BOD)’ 175장은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두 번 죽지 않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아니의 파피루스(papyrus of Ani, 제18왕조 BC 1275년경)의 왼쪽 상단의 삽화 이미지(그림 1)는 죽은 아니(Ani)와 그의 아내가 토트(Thoth, 켐뉘(Khemnw, Ogdoad city)의 군주)를 경배하는 모습이다.[13] 

이 장의 문맥을 보면, 이 홍수는 "악"과 "반역"을 행한 "누트(Nut)의 자식들"에 대해 토트(Thoth)가 아툼(Atum)에게 제기한 신성한 불평에 대한 심판으로 보내진 것이 분명하다.[15] 이집트 학자 티라드(H.M. Tirard)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175장에는 땅을 파묻어버릴 대홍수[ḥwḥw]가 언급되어 있다... 본문은 계속해서 오시리스가 백만 크기의 배[ḥḥ]를 타고... 그의 아들 호루스가 왕좌를 물려받을, 화염의 섬(Isle of Flames)으로 항해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16]

이집트 학자 에드워드 네빌(Edward Neville)은 이 장(175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광범위하게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

"... 신[Atum]은 지구 표면의 모든 것을 물로 덮어 파괴하여, 다시 큰 바다, 모든 것이 시작된 태고의 물인 누(Nu)가 되게 할 것이다. 태초와 같이 다시 누(Nu)가 될 것이다... ."[17]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18], ’사자의 서’ 175장 내에서 오그도아드(Ogdoad) 이름은 본문 내에서 언어유희로 나타난다 : Nu(누, 태고의 바다), Amun(아문, 숨겨진), Heh(헤흐, 수많은), Kek(켁, 어둠)이 그것이다. 누(Nu)에서 오시리스, 호루스(오시리스의 아들), 세트(형제), 토트(가까운 동료/형제, 특색 8 참조)와 함께 배(bark)을 타고 항해한다.[19] 또한, 배의 이름(wi Ꜣ-n-ḥḥ, Wb 1, 271. 11; 3, 153.15)은 오그도아드의 쌍들(ḥḥ and ḥḥ.t.)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오그도아드의 한 변형인 여덟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 ḥḥ)과 음성학적 뿌리로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6:15-16절에 방주의 치수(300 × 50 × 30 규빗)가 나와 있다. MK CT-759는 거대한 태양의 배(solar bark)의 치수를 제공하고 있다 :

"1백만(ḥḥ, 규빗, cubits)은 배 길이의 절반이고 : 우현, 선수, 선미, 좌현[포트]의 길이는 4백만(ḥḥ, 규빗)이다..."[20]


특색 6, 7 요약

호루스가 아버지 오시리스, 형제 세트, 토트와 함께 '거대한 배(ḥḥ)'를 타고 전 지구적 심판의 홍수를 헤쳐나가는 여정은 노아와 형제들과 함께 홍수에서 살아남은 함의 방주에서의 여정과 매우 유사하다.


특색 8. 함과 호루스의 정치적, 성적, 형제적 적대성


창세기(9:22, 9:24-27)는 함이 벌거벗고 술에 취한 채 장막에 누워 있던 노아에게 심각한 죄를 저질렀음을 알려준다. 함의 범죄, 즉 "... 그의 아버지의 하체를 보고... 그의 두 형제에게 알리매"(9:22)의 의미에 대해서는 수세기 동안 논쟁이 계속 되어왔다. 다양한 랍비들의 추측에 따르면, 함의 죄에는 남색, 거세(emasculation), 심지어 노아의 거세(castration)까지 포함된다는 것이다. 노아의 거세에 대한 추측은 노아가 함 이후 추가로 후손을 낳지 않았다는 것으로 설명된다는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노아의 아내와 함이 근친상간을 통해 권력을 잡으려는 시도를 했고, 가나안에게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1] 그러나 움베르토 카수토(Umberto Cassuto)는 성경은 의도적으로 "고상한 언어와 간결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현명하게 훈계하고 있다 :

"... 우리는 오경의 이야기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지, 실제보다 더 많은 것을 읽어서는 안된다."[22]

노아의 축복과 저주에 대한 반응은 가나안에 대한 셈과 야벳의 지배권과 관련하여, 그의 아들들에게 정치적 파급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이 사건에서 함이 "가나안의 아버지"라고 두 번이나 불린 것은 주목할 만하다(창세기 9:18, 22). 그들의 죄의 본질은 레위기 18:3절에서 이스라엘에게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며...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라고 권고하면서(참조: 레 18:24, 27, 28b), 근친상간(18:6-16), 성적 부도덕, 변태(18:17-20, 22, 23), 우상 숭배(18:21)를 금지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이 목록은 이러한 죄의 범주를 이집트와 가나안에 관련된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성경은 함의 형제들에 대한 감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함의 아들 가나안이 셈과 야벳의 "종들의 종(a servant of servants)"으로 전락한 것에 대한 함의 질투와 분노를 생각하면, 당연히 형제간의 적대감을 예상할 수 있다(창세기 9:25). 특히 가나안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받은 함의 형 셈(Shem)에 대한 분노는 컸을 것이다.(창세기 9:26).

호루스(Horus)를 둘러싼 초기 신화와 관련하여, 그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비슷한 특색들을 식별해 낼 수 있을까? 형제간의 적대감? 정치적 지배에 대한 투쟁? 성적 변태, 근친상간? 호루스의 아버지의 거세에 관한 이집트인의 추측들이 있을까?

이집트 신화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The Contendings of Horus and Seth)“(제26왕조, Chester Beatty Pap. I, Oxford)에서도 비슷한 특색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신화는 오시리스 왕위의 정치적 계승과 관련하여,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지저분하고 폭력적인 투쟁을 묘사하고 있다. 이 싸움은 '형제로 보이는' 신(오그도아드 도시(Ogdoad city)의 군주)인 토트(Thoth)가 중재한다. 

코이악(Khoiak) 축제(특색 5에 설명되어 있음)는 이 투쟁의 서막이었다. 세트는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그의 시신을 dbn 상자에 넣어 물 위에 띄워 보냈다. 그로 인해 야기된 쌍방간의 싸움은 격렬한데, 호루스는 눈을, 세트는 고환을 잃게 된다. 따라서 두 장기는 정치적 상징으로 보여질 수밖에 없다. 이후의 비문에 따르면, 호루스는 세트에 의해 남색을 당하는데, 이는 호루스를 지배하기 위한 정치적 책략으로 보인다.[23].


특색 8 요약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은 함과 그의 가족 사이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투쟁의 이교도 버전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저자의 의견이다. 나는 이집트인들이 셈(Shem)을, 왕관을 훔치기 위해 오시리스를 살해하고 호루스를 (성적으로) 지배했던, 악당 세트(Seth)로 다시 캐스팅했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함은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에 '반기'를 든 것이며, 정치적 교란을 시도한 것이었다. 그 결과 함은 형 셈(창세기 9:22-27) 밑에서 (맏아들 가나안을 통해) 정치적 예속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함은 형 야벳(Japheth)과 더 가까운 관계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는 호루스와 세트 사이에 평화를 유지하도록 개입하는 토트(Thoth)로 다시 캐스팅되었다고 제안한다. 정치적 음모, 성적 폭력(오시리스의 거세, 세트의 부분 거세 포함)은 함이 아버지와 가족을 상대로 저지른 범죄에 대한 후대 랍비들의 추측을 낳게 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추정에 불과하지만, PT(Pyramid Text)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이 후대의 축제(코이악)는, 실제적인 성경적 역사를 함(Ham)의 눈으로 바라본,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된 이교도적-정치적 재해석으로 볼 수 있다.


특색 9. 함과 호루스는 4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림 2.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로 표현된, 호루스의 네 아들( <Image: British Museum / PublicDomain>


창세기 10:6절은 함에게 네 아들(붓, 구스, 미스라임, 가나안)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호루스에게도 네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목적은 사후(死後)에 죽은 파라오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그들의 내부 장기를 네 개의 뚜껑달린 항아리인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안에 보관하는 것이었다(그림 2).[24] ‘사자의 서(BOD)’ 141:4에서 이들은 나침반(compass)의 네 지점(방향)과 연관되어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PTs)에 보면 호루스의 아들들 이름이 있는데, 예를 들면:

PT Pepis I, 580§1548a

"... 그가 사랑하는 호루스의 자녀들 : 하피(Hapi), 암세트(Amset), 두아무테프(Duamutef), 케베세누프(Qebehsenuef).“

PT-688§2078-2079는 이 네 사람을 "켐(Khem, ḥr.w ḫm)의 호루스의 아이들"로 묘사하고 있어, 특히 주목할만하다.[25]

호루스의 네 아들은 후네페르(Hunefer, 역주: 제19왕조 시대 서기관)의 ‘사자의 서’에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이집트 학자 버지(E.A.W. Budge)는 이 그림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그림 3) : 

"신[오시리스]은 신전 안 왕좌에 앉아 있고... 연꽃 앞에는 호루스의 네 자녀가 서 있다... 신의 왕좌는 물[Nu] 위에 놓여 있다... 호루스가 오시리스에게 죽은 아니(Ani)의 의로움을 설명하고 있다...."[26]

그림 3. 호루스와 그의 네 아들들이 오시리스와 함께 등장한다(후네페르의 ‘사자의 서’ 17장 삽화에서...) (Vignette from Hunefer BOD chapter 17, EA9901-3, c.1450BC19thDyn).[26] <Image: Universität Heidelberg / Public Domain>


특색 9. 요약

숫자적으로 호루스의 네 아들은 함의 네 아들과 일치한다. 이 이름들의 의미 사이의 언어적 연관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색 10. 함과 호루스는 동방으로부터 이주해 왔다.


창세기 11:2절은 이렇게 말한다: "이에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가 시날 평지를 만나 거기 거류하며." 여기서 함의 손자 니므롯(Nimrod)은 바벨을 건설하고 탑을 쌓아 반란을 일으켰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스럽게 하시고,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창세기 11:8). 지리적으로 시날은 이집트 동쪽에 있으며, 카이로에서 현대의 바빌론 구역까지 약 1,300km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경로는 함과 그의 부족이 이집트로 들어가기 위해 따라갔을 경로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 길은 거친 사막과 산들로 이루어진 광활한 광야를 횡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옵션은 배를 이용하는 것이다. GoogleEarth를 사용하여 측정한 두 가지 경로(그림 4, 녹색-북쪽, 빨간색-남쪽)가 가능하다.

그림 4. 빨간색 루트는 함이 시날에서 가장 실용적으로 여행할 수 있는 경로를 나타낸다. 붉은색 원은 호루스의 사각형 배(Horus-square boat) 암벽화가 발견된 유적지. <Image: Google Earth (modified)>


북쪽(녹색) 경로는 항해 가능한 최단 거리인 1,846km이지만, 시리아 북부의 산과 사막을 가로지른 후에 188km을 배로 이동해야 하므로, 쉽지 않은 일이다. 

남부(빨간색) 경로는 아라비아 반도를 경유하며 총 거리는 약 6,823km이다. 홍해 서부 해안(Quseer 근처)에서 나일강 계곡(Luxor 근처)까지의 최단 육로 횡단 거리는 약 142km이다. 북쪽 경로의 4배가 넘는 거리이지만, 남쪽 경로는 대부분 물로 가기 때문에,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다.

성경 본문의 의미는 함의 지파가 동쪽에서부터 최단거리 육로로 이동해 왔음을 암시한다. 이 여정과 일치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그렇다, 몇몇 놀라운 왕조시대 이전의 암각화들은 창세기 11:2,8절이 예언한 대로, 호루스의 추종자인 셈수 호르(Shemsu Hor)가 그러한 여정을 떠났음을 나타낸다. 쿠세르(Quseer)와 룩소르(Luxor)의 중간 지점에 있는 고고학 유적지(지도-그림 4)에는 호루스의 휘장이 새겨진 대형 배 그림이 많이 남아 있다(그림 6a, b). 이집트 학자 한스 윙클러(Hans Winkler)[27]는 이를 처음 기술했으며, 최근에는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롤(David Rohl)[28]도 더 많은 것을 기술하고 있다. 높은 뱃머리와 선미를 가진, 독특한 정사각형에 평탄한 용골을 가진 암각화의 배 이미지는 우루크 시대(Uruk Period)의 원통인장(cylinder-seal) 모양의 배(BC 4천 년, 수메르/시날의 것)와 놀랍도록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그림 7).[29] 이 암각화는 동쪽에서부터 해로 이동을 증명하는 것으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이 된 에드푸(Edfu) 근처 사막을 가로질러, 70명이 탑승한 대형 배(그림 8)를 끌고 가는 것으로 절정을 이룬다.


‘특색 10’. 호루스는 ‘아주 먼 곳에서 온 사람’, 또는 ‘동쪽에서 온 사람’을 의미한다

고왕국 PT에 나오는 호루스(ḥr.w)에 대한 신성한 별칭은 공통된 음성학적 어근을 통해, 그의 이름이 '먼 곳에서 온 사람(far distant one)'(ḥr.tj)을 의미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eti PT-370§645 c-d

sja kw n ḥr.w j: ms k(w)jr=f m ḥri jr=f m rn k n(.j) ḥr.t(j)

"가까이 가라 호루스여 ; 그[오시리스]에게 가라. 당신의 이름 '멀리 있는 자'로 그로부터 멀어지지 말라.“

호루스는 또한 '동쪽에서(from the east) 온 사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nas PT-301§450c

jy.n(|wnjs|)ẖr=k ḥr.w -jꜢ b.tj

"우나스(Unas)가 당신에게 왔다, 동방의 호루스여.“

호루스에 대한 이러한 신성한 별칭('먼 곳에서 온 자', '동방의 호루스')은 함이 동방의 시날로부터 해상 및 육상 경로로 약 7,000km의 여행을 했다는 것과 일치한다.


특색 10. 요약

창세기 11:2, 9절은 함과 그의 부족이 동쪽의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음을 알려준다. 가장 실용적인 여정은 배를 타고 와서 가장 짧은 육지를 횡단하는 것이었으며, 가장 가까운 지점은 홍해 연안(쿠세르)에서 나일강 계곡(룩소르/에드푸)까지였을 것이다. 인근에 있는 왕조시대 이전의 암벽화는 많은 호루스 추종자들이 배를 끌고 사막을 가로질러 이러한 여행을 했음을 보여준다. 호루스가 동쪽에서 멀리 왔다는 것은 피라미드 텍스트(PT)에 나오는 신성한 별칭 '동방의 호루스'와 '먼 곳에서 온 자'에서 알 수 있으며, 이는 함의 여정과 일치한다. 수메르에서 유래한 배의 독특한 높은 뱃머리와 선미, 평탄한 용골, 고정된 후미 형태 등은 이집트 예술의 종교적 상징 그림(iconography, 圖像)인 ‘태양의 배(solar barks)’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배는 함과 그의 부족을 구세계에서 신세계로 데려다줬던, 새로운 '노아의 방주'가 되었다.


특색 11. 함 대 호루스 – 시조의 이름을 딴 이집트


성경은 이집트의 시조로서 함(Ham)을 연결하고 있다(시편 78:51; 105:23, 27; 106:22). 이집트와 그 민족을 의미하는 최초 상형문자 비문(고왕국 이후)은 km.t 이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히브리어 ḥām과 유사하며(1부의 ‘음성학적 고려 사항’ 참조), 여성 보통명사는 km.t 로(그래서 t로 끝남) 비옥하고 검은 나일강 홍수 토양을 나타내는 '검은 땅'(Wb 5, 127.4-127.17)을 의미한다. "이집트인" Km.tı는 문자 그대로 "검은 땅의 사람들"(Wb 5, 127.18-20)을 의미한다. 창세기 11:3, 14:10과 출애굽기 2:3(ḥēmār, ḥōmer)의 검은 땅의 소산물과 이집트의 "검은 땅"(km) 사이의 연관성은 이제 함(ḥām)이 이집트를 건국했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증거로 분명해진다(1부 참조). 이집트에 대한 명칭인 km.t는 다음과 같은 고왕국 PT에서 나타난다 :

Pyramid Pepis I., PT 674 + PT 462§1998b

ꜤḥꜤ =k ẖntj km.t(j).w

"당신[네프티스]은 이집트 백성들 앞에 설게 될 것이다... ...“

'검은 땅의 사람' 함은 호루스 및 '검은 땅' 아프리카의 이집트인들과 잘 어울린다. 

그림 5. 카움움부(Kawm Umbu, 남쪽)와 나일강 서쪽의 지역 퀴나(Qina, 북쪽) 사이에 있는 암각화 유적지.[30] <Archéologie et Arts/Open Access>


아트리비스(Athribis, km)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나일강 동안(東岸)의 Tell Atrib(그리스어로 Athribis)는 하이집트의 10번째 지역(영토 구분)이다. 원래 이집트 이름인 km-wr은 "위대한 검음"을 의미하며, 그것의 상형문자는 검은 황소 km을 포함하며, 그 지역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                 

호루스는 아트리비스에서 "장엄한 검은 황소"의 모습으로 숭배되었다(LGG VII, 285). Km-wr은 고왕국 PT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eti PT-342§556b–c

m(j) mꜢ =ṯ sꜢ = ṯ pḫr n=f km-wr

"...와서 위대한 검은 황소(Great black-bull)에 의해 섬김을 받는, 당신의 아들을 보시오...“


레토폴리스(ḫm)

호루스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레토폴리스(Letopolis, Λητοῦς Πόλις)라고 불리는, 켐(Khem, ḫm)의 신이기도 했다. 켐은 하이집트의 두 번째 주의 이름이다. 이 도시는 PT에서 언급된 Khenty-khem의 형태로 호루스 숭배의 중심지였다 :

Pepis I 438§810a–b

Ꜥnḫ Ꜥnḫ n m(w)t=k js m(w)t.t mj Ꜥnḫ ḥr.w ḫnt(.j) ḫm.“

"살아라, 살아라 – 당신은 호루스처럼, 죽지 않을 것이다." 그는 hm(Letopolis)의 수장으로 살아있다.“

그림 6a–c. 사각형의 배와 호루스 휘장(insignia)이 새겨진 암각화 (Winkler [27]).


텍스트 증거에 따르면, 호루스 신전은 이집트 역사의 초기부터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31] 비문은 호루스가 ‘이집트’라는(두 강둑으로 불려지는) 이름을 지었음을 암시하는데, 이것은 나일강이 '두 강둑(two banks)'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Pyramid of Pepi II, PT 439§812a

(|ppy|) (|nfr-kꜢ-rꜤw|) [p]w [s] ṯ.t j ṯi.t tꜢ, rkḥ.t šsp.t jdb=s.

"이는 페피 네페르카르(Pepi Neferkare), 사테트(Satet, 역주: 나일강 범람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그녀는 두 나라를 소유하고... 그들의 두 강둑[이집트]을 받았다.

의미심장하게도 호루스는 '두 강둑(two banks)'이라고도 불리며, 그래서 그는 이집트의 시조로 직접 연결된다. 즉, "호루스(이집트)의 두 강둑(jdb.wj-ḥr.w) "(Wb 1, 153.7). 여기서 이집트는 두 개의 강둑을 의미하는 상징과 호루스를 상징하는 매(falcon)로 묘사된다 :

예를 들어 : 

(Ptolomaic) Papyri of Nesmin from Thebes, pBM 10208

sb ḥr m ḥꜤꜤ.

"호루스(이집트)의 기슭은 (그때) 환희에 차 있었다!“


PT-532§1258

ḥr.w nb-tꜢ (.wj).

"호루스, 두 땅의 군주."[32]

따라서 호루스(Horus)는 성경의 함(Ham)과 동의어이고, 마찬가지로 이집트(Egypt)와 동의어인 것이다.

그림 7. 우루크(Uruk, Sumer/Shinar)와 이집트의 암각화에서 배 그림. (Winkler가 비교했다)[27]. <Hans Alexander Winkler / Open Source>


일반적인 고왕국의 한 용어(함과 정확히 음성학적으로 동일한)는 'ḥm' 이다. 이는 '왕 또는 신의 위엄'을 의미하는 말이다(Wb 3, 91.1-92.11). Ḥm은 호루스에 대한 별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면  

12thDyn. (1971–1926 BC) Sesostris I Month Temple of Tod, Column 32 

ḥm ḥr  “… the majesty of Horus… ”

"..호루스위엄..."


특색 11. 요약

함(Ham, ḥām)은 이집트(시편 78:51, 105:23,27, 106:22) 이름의 시조이고, 시조로서 호루스는 수호신이자 위엄자로서, 이집트(km.t)와 두 지역의 이름을 지었다. 이는 음성학적으로 함(km,ḫm,ḥm)과 관련된 이름들이다.


특색 12. 함과 호루스 – 매우 오래 살았다.


창세기 11:11절은 셈이 600년을 살았다고 알려주는 데, 성경에는 없지만 함의 경우도 그 정도의 수명을 살았음을 지지해 준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호루스는 고대의 원로 신으로 기념되고 있을까? 그렇다. PT 303§466a에서 호루스는 '최고 원로의 신(the eldest god)'으로 불린다. 호루스의 신적 별칭은 (PT-256§301b)에 나오는 Hr.w-sms.w 이며, 이는 "원로신 호루스"(LGG V, 290)를 의미한다. 이미 ‘1부’ 글에서 언급했듯이, ‘죽음의 서’ 19장(제22왕조)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이시스의 아들이자 오시리스의 아들 호루스는 수백만 번의 희년(jubilees)을 반복했다..." 이러한 별칭은 호루스가 고대 신으로 간주되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함이 대단한 나이까지 살았다는 것과 일치된다.

표 1. 창세기 5~11에 묘사된 함의 생애에 관한 특색 12개와 호루스 관련 이집트 증거들과의 비교 

그림 8. 이집트 중동부의 사막, 와디 바라미야-9(Wadi Baramiya-9)에 있는 왕조 이전 암벽화. 70명의 사람들이 탄 호루스의 '사각형 보트'가 사막을 가로질러 끌려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Lankester[30] 그림 7).


결론  


필자는 2편의 글을 통해, 창세기 5~11장에 나오는 함의 생애에 대한 12가지 특색을 호루스와 비교하여 조사했다(표 1). 2부에서는 특색 5~12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다음으로 요약된다.


∙ 특색 5 : 함의 아버지 노아 대 호루스의 아버지 ‘오시리스/게브’는 다음과 같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즉, '안위'와 '피곤함', '땅의 사람'과 '대지의 신'. 또한 오시리스는 노아에 대한 이교도의 기억인 오그도아드(Ogdoad) 누(Nu)와 동의어이다.

∙ 특색 6 : 노아는 17일에 방주(ark, tbt)에 들어갔다 vs 오시리스는 17일에 상자(chest, dbn)에 들어갔다.

∙ 특색 7 : 홍수에서 살아남은 방주 안의 함의 가족은 Nun(역주: Nu와 동일한 이집트 최고의 신, 태고의 바다를 의미)의 ‘태양의 배’에 있는 호루스, 오시리스, 토트, 세트를 연상시킨다(BOD-175).

∙ 특색 8 : 노아의 저주와 축복은 코이악 축제와 호루스와 세트의 다툼에서 극명하게 전환될 수 있다.

∙ 특색 9 : 호루스와 함은 4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 특색 10 : 창세기 11:2, 9절에 의하면, 함의 부족은 동방, 특히 시날에서 이집트로 이주했던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왕조 이전의 암각화는 호루스의 추종자들이 사막을 건너 나일강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 특색 11 : 이집트는 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이집트(두 개의 지명 포함)는 호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특색 12 : 함은 매우 오래 살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호루스는 ‘원로 신’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두 글에서 제시된 증거들을 종합해보면, 고대 이집트인들이 함을 호루스로 신격화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증거들(물론 해석에 좀 더 추측적인 부분이 있음을 인정하면서)은 창세기 5~11장의 역사적 사건과 일치한다. 대홍수 생존자인 함은 문명의 재개에 도움을 주었고, 이집트를 건국했으며, 매우 장수했다. 따라서 이교도 이집트인들은 함(Ham)을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인 호루스(Horus)로 신격화했던 것이다.


감사의 말

초안에 대해 유용한 제안을 해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비판적인 의견을 주신 익명의 검토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Posted on homepage(CMI) : 17 March 2023


References and notes

1. te Velde, H., “Geb” In Lexikon der Ägyptologie II, Wiesbaden, Germany, pp. 427–429, 1977. 

2. Pinch, G.,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Oxford, pp. 65–66; 195–197, 2002. 

3.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vol. II, Spells 355–787, Aris & Phillips Ltd., Warminster, p. 73, 1977.

4.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J. Creation 34(2):75–78, 2020. 

5.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PCK, London, p. 91, 1910. 

6. Manassa, C., The Late Egyptian Underworld: Sarcophagi and related texts from the Nectanebid period,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Germany, p. 265, 2007. 

7. Hedges, A., The Egyptian Dionysus: Osiris and the development of theater in Ancient Egypt; in: Proceedings of the XI International Congress of Egyptologists Florence Egyptian Museum Florence, pp. 271–275, August 23–30, 2015. 

8. Hedges, ref. 7, p. 274. 

9. Chassinat, E., Les Mystères d’Osiris au mois de Khoiak, IFAO, Cairo, 1966. 

10. Griffiths, J.G., Plutarch’s De Iside et Osiride, University of Wales Press, Cardiff, pp. 56, 68, 75, 1970. 

11. Griffiths, ref. 10, pp. 63, 139, 181, 185. 

12.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Books, Grand Rapids, MI, p. 114, 1997. 

13.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J. Creation 33(3):105–106, 2020. 

14. Budge, E.A.W., The book of the dead (BOD): the Papyrus Ani in the British Museum, The Egyptian text with interlinear transliteration and translation, a running translation, intros, etc., Longmans & Co., London, 1894;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43. 

15. Cox, ref. 13, p. 104. 

16. Tirard, H.M.,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London, pp. 92–93, 1910. 

17. Naville, E., Mention of a flood in the Book of the Dead,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vol. 26, Harrisons and Sons, London, pp. 251–257; 287–294, 1904; p. 289. 

18. Cox, ref. 13, p. 104–105. 

19. Cox, ref. 13, p. 105. 

20. Faulkner, ref. 3, p. 290. 

21. Bergsma, J.S. and Hahn, S.W., Noah’s Nakedness and the Curse on Canaan (Genesis 9:20–27), JBL 124(1):25–40, 2005. 

22. Cassuto, U., A Commentary on the Book of Genesis II, Verda Books, Woodstock, IL, p. 152, 2005. 

23. Allen, T.G., Horus in the Pyramid Tex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IL, p. 12, 1916. 

24. Pinch, ref. 2, p. 204. 

25. Faulkner, ref. 3, p. 296. 

26. Budge, E.A.W., Facsimiles of the papyri of Hunefer, Ankhai, Kērasher and Netchemet, Longmans and Co., Oxford, plate 5, 1899; digi.ub.uni-heidelberg.de/diglit/budge1894bd1/0018. 

27. Winkler, H.A., Rock Drawings of Southern Upper Egypt I,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938. 

28. Rohl, D., Legend, the Genesis of civilisation, Century, UK, pp. 1–9, 1988; Rohl, D., The Lost Testament, Century, UK, pp. 80–90, 2002. Rohl does not equate Horus directly with Ham but sees the followers of Horus as the descendants of Ham. 

Winkler, ref. 27, pl. XXXIX. 

29. Lankester, F.D., Predynastic Egyptian rock art as evidence for early elites’ rite of passage, Afrique: Archéologie & Arts 12:81–92, 2016. 

30. Snape, S., The Complete Ci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London, p. 185, 2014. 

31. Faulkner, R.O.,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Press, Oxford, p. 200, 1969. 


Related Articles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Horus—the deified Ham: part 1


Further Reading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5(3):64–72, December 2021

주소 : https://creation.com/horus-and-ham-2

번역 : 석원석

미디어위원회
2023-07-27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by Gavin Cox


개요 : 성경은 이집트의 영토를 "함의 땅(Land of Ham)"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열국에 대한 표(창세기 10-11장)에는 함의 후손들이 이집트와 북아프리카에 어떻게 정착했는지에 대해 기록해 놓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함의 영향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홍수 생존자들의 이름(노아, 함, 셈, 야벳)이 알려져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홍수에 대한 기억과 함께,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관련된 소리와 의미가 함에 의해 이집트어 안에 보존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의 이름이 신격화되었는지, 그리고 이 시리즈의 1부와 2부에서 다룬 오그도아드(Ogdoad,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아내로 이루어진, 창조의 태고의 바다와 관련된 '여덟 도시' 아슈무네인에서 숭배됐던 8명의 창조의 신들)의 이름과 비교될 수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부와 4부에서는 이러한 성경의 이름들이 이집트의 인명 및 신의 이름들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증거들은 함의 영향과 이집트의 다신교 문화에서 노아와 아들들이 신격화되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이 연구의 기본 전제

3부에서는 함(Ham)이라는 이름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

히브리어 함(의미+소리) ≈ 이집트 함(의미+소리) ≈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종교적 의미).

다음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결 고리를 설정하는 방법과 함의 이름의 의미를 결정할 것이다. 첫째, 이 논의는 바벨부터 시작하여 성경적 맥락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이집트의 언어, 문화, 종교에 대한 함의 영향력

창세기 10장은 바벨탑 분산 이후 사람들의 정착에 대한 광범위한 역사적 개요를 제공한다. 함(Ham)에게는 미스라임(Mizraim), 붓(Phut), 구스(Cush), 가나안(Canaan)이라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영토는 각각 이집트, 북아프리카(붓과 구스의 경우), 가나안과 연관되어 있다. 시편 3편에서 이집트는 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시 105:23, 27, 106:22, 참조: 78:51), 구약성경 전체에서 이집트는 함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으로 588번이나 언급된다. 따라서 함과 이집트라는 땅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다(함족 혈통이 나중에 다른 곳에서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함은 홍수에서 살아남은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이집트 언어, 문화, 종교의 기초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그림 1 참조). 이는 공유된 홍수 신화와 고유명사학(onomastics, 명명학, 이름의 어원 연구)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림 1. 이집트 언어(어휘)에 대한 함의 영향


그림 1은 대홍수의 생존자 함이 이집트 언어, 특히 아버지 노아와 그의 형제들의 이름의 소리와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와 소리가 함을 통해 이집트어(바벨 이후의 언어)로 건너갔는지를 살펴보았다. 함이 아버지와 형제들의 이름에 대한 기억을 보존하려 했을 것은 분명히 예상되는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경적 맥락에서 노아, 함, 셈, 야벳의 이름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집트 자료에서 이러한 성경적 이름에 해당하는 발음과 관련된 의미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눈(Nun) 또는 '누(Nu)'로 불리는 이집트 대홍수와 관련된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아내로 나타나는 여덟 명의 창조의 신인 이집트의 오그도아드(Ogdoad)와, 그들의 이름을 비교하였다.


이름들의 파생 현상

두 언어(히브리어와 이집트어)에서 이름의 의미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이름이 어떻게 이해되었고, 그 의미가 어떻게 파생되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대 근동(ANE, Ancient Near East, 이집트 포함) 문화에서 고유명사에 대한 설명과 장소, 사물, 사건을 이름의 의미와 연결하는 것은 반복적이고 눈에 띄는 문학적 현상이다. 카사노비츠(Casanowicz)[1]는 창세기에 나오는 22개의 중요한 이름들을 포함하여, 구약성경에 나오는 502개의 '언어유희'(paronomasia, play-on-words, puns, 말장난) 사례를 알파벳 순서로 철저히 나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레아와 라헬 구절(창세기 29-30장)은 야곱의 12명의 아들이 각자의 출생 이름에 대한 설명과 함께 등장하는 '확장된 언어유희'의 전형적인 사례이다.[2] 이 전체 과정은 각 이름의 의미에 따라, 야곱이 각 아들에게 축복과 저주를 내리는 근거를 형성하면서, 논쟁적으로 반복되고 있다(창세기 49:1-28).

할로(Hallo)는 가르시(Garsie)의 글을 인용하고 있는데, 가르시는 성경에서 '문자 그대로 수백 가지'의 암시적 어원(etymologies)의 예들을 수집하였는데, 그것들을 '미드라쉬 이름 파생어'(Midrashic Name Derivations, MND)라고 부르고 있었다. 이것은 '과학적 어원'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을 부여하거나 부여받은 사람이, 또는 히브리어 본문을 읽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었다.[3] 크라쇼벡(Krašovek)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이름들 어원의 50가지 예들을 나열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창세기는 장소나 인물의 이름에 대한 어원학적 설명이나, 적어도 이름의 어원적 의미에 대한 암시를 제공하는 가장 풍부한 예시 자료이다 : 이브(3:20), 가인(4:1), 셋(4:25), 노아(5:29) [등] "[4]

카사노비츠는 이런 종류의 작명 관행이 다양한 시대, 문화, 언어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고 말한다. 셈족과 그리스인 모두 "엄숙하고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 이름의 소리와 의미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5]

카사노비츠는 브루그쉬(Brugsch)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그는 이집트의 신화적 저술에서도 "신학적 이름과 표현이... 자주 등장하며, 신화의 캐치워드(catchwords, 신호 단어)는 그 형식과 취지로부터 내용을 증명하기 위해서, 언어학적, 어원학적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인정하고 있었다.[5]

요약하면, 성경과 고대 문헌에서 이름을 부여한 사람과 부여받은 사람 모두, 이름의 의미와 파생어에 큰 의미를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로 주변 텍스트들은 문학적 문맥 내에서 음성 표식이나 암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름을 이해하는 맥락을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는 성경 본문 내의 음성학적 및 의미적 연결(단어의 의미)에서부터 파생되고 있었다. 근본적인 수준으로 성경에서 노아가 아들들에게 한 예언적 선언은 공유된 언어와 경험으로 인해 이해될 수 있다. 노아의 가족은 특정 의미를 가진 비슷한 소리의 단어가 연상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이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있었다. 이러한 음성적, 의미적 연결이 함으로부터 이집트 언어로 전해졌을까? 이 성경의 이름들이 이집트인들에 의해서 같은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가 있을까?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 – 고대 근동의 신화속 홍수 영웅들과 동일하지 않다.

한 세기가 넘도록 자유주의 성서학자들은 창세기를 쓴 '익명의 편집자'가 대홍수 기록의 출처를 BC 7세기경 ‘길가메시 서사시(Gilgamesh Epic)’에서 빌려왔다고 주장했다. 이 가설은 1883년 칼 하인리히 그라프(Karl Heinrich Graf)와 율리우스 벨하우젠(Julius Whellhausen)이 발표한 ‘문서가설(DH, Documentary Hypothesis)’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들의 문서가설(DH)이 맞다면, '우트나피쉬팀(Utnapishtim)'이라 불리는 홍수 영웅이 등장하는 길가메시에서(Tablet 11),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은 왜 보이지 않는 것일까? 다른 바빌로니아 판본(BC 1966년)에서 그는 '아트라하시스(Atra-Hasis)'라고 불린다. 수메르 석판(BC 2100년경)에서는 이 영웅의 이름이 '지우수드라(Ziusudra)'로[6], 갈데아 기록(BC 660년)에서는 '시싯(Sisit)'으로 기록되어 있다.[7]

이러한 고대 근동(ANE) 기록들에서 공통적 주제인 대홍수에서 영웅의 이름은 있지만, 그의 가족은 익명으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문서가설(DH)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고대 홍수 신화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을 보여주지 못했다. 오직 성경만이 홍수 생존자들의 이름과 함께, 홍수의 무오한 역사를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참조 : 창세기의 문서가설). 함(Ham)도 대홍수와 그의 아버지, 형제들의 이름과 그 의미에 대한 기억을 어느 정도 보존하고 있었을 것이다. 노아의 가족들은 실존 인물이자, 문명의 창시자로서, 역사에 뚜렷한 문화적, 언어적 발자취를 남겼을 것이고,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이름과 어휘를 분석할 것이다.

문서가설(DH)의 세속적 전제에 눈이 먼 자유주의 신학계는 노아의 홍수를 신화로 치부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아들들의 존재를 모두 부정하면서, 노아와 아들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찾지 않았다.[8] 그러나 이 연구에서 추진하는 기본 전제는 무오한 창세기 기록은 진정한 역사(true history)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즉, 고대 이집트인들은 함을 통해 홍수 족장들의 이름을 알고 있었을 것이고, 그들은 함을 신격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전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했다 :


1)노아와 아들들은 이집트에서 '소리가 비슷한' 개인 이름들을 갖고 있는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소리(발음)와 의미는 대홍수 전후의 이야기와 함께 충실하게 보존되었다. 이 기록들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수집하고 편집한 모세를 통해 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로 완성되었다. 함이 이집트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노아와 아들들의 원래 성경적 이름을 이집트 이름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영어 성경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영어화'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게다가 일부 히브리어 소리는 이집트 소리와 직접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이는 모음을 비교할 때 중요한데, 현대 학계에서는 대부분의 이집트 모음이 어떻게 발성되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일반적으로 상형문자에 주석을 달지 않았음). 이집트학자들은 음역의 편의를 위해, 이집트 모음(vowels)들을 '에(e)'로 표준화했다.[9] 또한 특정 자음(consonants)이 이집트어와 히브리어에서 어떻게 동등한 것으로 이해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성경의 이름을 음성학적으로(즉, 단어의 음성 소리로) 평가하였다.

안토니오 로프리에노(Anthonio Loprieno)[9]에 의해 수행된 이집트어에 대한 표준 작업은 이 연구에서 고려해야하는 이집트어의 음성학적 사항들을 알려주었으며, 음성학적 소리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문적 표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에 나오는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소리(발음)들은 숙련된 편집자였던 모세의 손을 거쳐 성경에 보존되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2)의미 결정하기 - '의미론적 범위'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이집트어 이름과 동등한 의미, 즉 같은 소리(발음상 대응어)를 갖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름과 연관된 히브리어 어근을 성경 본문에서 비슷한 소리를 내는 히브리어 단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히브리어 사전(Hebrew lexicons)을 보완하여[10], 성경 주석가들이 사용하는 표준 방법인 이들의 이름과의 의미적 연관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11] 의미론적 또는 어휘적 범위(semantic or lexical range)는 특정 주제(이 연구의 경우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를 지칭하는 의미별로 그룹화된 단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리(발음)가 비슷한' 이집트어 이름이 홍수 족장들의 이름과 같은 의미를 공유하는지를 알아보았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 모두 단어의 소리는 단어를 구성하는 자음으로 표현된다. 어떤 단어의 '치찰음(sibilant)'의 핵심 구조를 '어근(root)'이라고 한다. 레프리노(Leprieno)는 이집트어 어근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

"이집트어 단어의 기본 구조는 어근(lexical root)으로, 자음 또는 반자음의 시퀀스로 구성된 난해한 음운론적 실체로서, 그 수는 1에서 4까지 다양하며, 이중자음과 삼중자음이 압도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예시]... ."[12]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이름과 관련 어휘가 같은 소리로 들리고, 같은 의미라면, 성경의 히브리어 이름과 잠재적인 이집트어 이름 사이에 언어적 연결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발성 시스템은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음소(phonemes, 음운)는 다른 언어에서도 발생할 것이고, 분명히 다른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림 1은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그 의미론적 의미 측면에서, 이집트 언어에 함이 미친 영향이 예측된다. 반대로, 노아 가족이 원래 사용하던 언어와 의미론적 관계가 없는,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소리를 내던 단어들은 바벨 이후 처음부터 다시 새로운 언어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3)이집트의 개인 이름이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가?

다음 질문은 이러한 개인 이름들이 신성한(신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숭배를 받았을 가능성에서 비롯된다. 특히 조상 숭배라는 개념은 이집트 학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13] 홍수 생존자들의 엄청난 수명을 고려할 때, 그러한 가능성이 제기된다. 게다가 그들은 대홍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대홍수 이전과 이후의 세계에 대한 인류 지식의 총합을 보유하고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의 다신교적 사고에서 이러한 특권은 필연적으로 노아의 가족에게 신적 지위를 부여했을 것이다.[14] 이집트에서 노아와 가족들이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됐다면, '소리가 비슷한' 이집트의 개인 이름은 자연스럽게 오그도아드를 포함한 신성한(신의) 이름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4)이 이름들이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의미가 같을까?    

마지막으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를 오그도아드 이름과 비교해 보았다. 오그도아드 이름은 누(Nu), 아문(Amun), 켁(Kek), 헤(Heh)이며, 여성 이름은 남성 이름의 여성형에 불과하다. 그 의미는 이 연구의 1부와 2부에서 밝혔으며, 이집트 학계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오그도아드 이름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을까? 만약 이것이 입증된다면, 이 신들은 노아 가족의 다신교적 버전이라는 가설이 크게 강화된다.


방법론적 주의

이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적 대조(control)는 다음과 같다: 1)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그 발음의 히브리어 의미를 이집트어와 비교하여 가능한 최대한으로 가깝게 유지하고, 2)이집트어 이름과 어휘의 가장 오래된 예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이집트어의 고유명사에 나오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집트어 사전[15]과 현대 학자들의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인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를 사용하여,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과 음성학적으로 거의 일치하는 이름과 어휘들을 검색했다. 이집트어의 어휘는 방대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연결 가능성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는 주의가 제기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통계적으로 증명하거나 반증할 방법이 없다. 그러나 고대 이집트어에서 알려진 홍수 생존자의 이름이 신과 오그도아드 이름과 일치하는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 증거들을 단순히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통계적 인공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역사적 사람들의 언어적 영향에 대한 증거로 볼 것인지는 상반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표 1. hm/hm/km/hm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들의 예시. (OK = 구왕국, MK = 중왕국, NK = 신왕국).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의 소개

온라인 TLA 검색 엔진(그림 2)에는 현재 약 140만 개의 단어들이 액세스되어 있으며[16], 여기에는 이집트어 사전(Wörterbuch der Aegyptischen Sprache) 및 기타 학술 표준사전이 포함된다. 이집트학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최신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리소스로, 방대한 어휘 데이터 세트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결과는 연대가 기록된 원본 자료와 연결된다.

그림 2. 온라인 Thesaurus Linguae Aegyptiae(TLA) 이집트어 검색 엔진


이집트어 사전으로 보완된 TLA는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과 비교한 이집트어 이름들과 어휘들의 음성 및 의미적 일치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었다. 다음 논의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TLA 텍스트 검색에는 음역 규칙이 필요하며[17], 특히 다음과 같은 관련 음소가 코딩된 마누엘 드 코다지(MdC, Manuel de Codage, 이집트 상형문자의 음역을 컴퓨터로 인코딩하기 위한 표준 시스템)[18]가 필요하다: (ḥ, h, ḫ, ẖ š, s, ś = H, h, x, X, S, z, s).[19]


첫 번째 테스트 사례 : 함- 이집트어로 발음되는 이름

이 조사는 함의 성경적 이름의 발음과 의미에 대한 히브리어의 이해와, 존재할 수 있는 이집트식 이름과 비교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함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첫 번째 테스트 사례가 될 것이다. 히브리어 이름 함(חָם)은 ḥām으로 발음된다. 이니셜 '인두 마찰음' <>는 구개 마찰음과 함께 그룹화된다 : <>, <>, <h>. 음성적으로 유사한 '무성 정지' /k/와 /kh/는 이집트어에서 공존하며, 콥트어로 살아남았는데, 예를 들어 <> 와 <>는 두 가지 형태의 km.t('이집트')를 나타낸다.[20] 이집트어 사전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관련 음소 그룹이 성경의 함과 동일한 인격적이고 신성한 이름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했다. 다음 결과가 대표적인 예로 제공된다(표 1).

결과에 대한 논의 : RPN 어휘집 기록:  2 hm, 44 ḥm, 14 ḫm, 0 ẖm, 33 km, 인명별 변형 이름. LGG 어휘집 기록: 230 ḥm, 13 hm, 100 ḫm, 2 ẖm, 47 km 변형된 신성한 이름. 표 1.1은 OK(고왕국)에서 NK(신왕국)에 이르는 ḥm/hm/km/ḫm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의 대표적인 예로, 이러한 이름은 일반적이고, 고대적이며, 성경의 증언에 따라 함(Ham)이 이집트를 세웠다는 것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함 : 성경 이름의 의미, 창세기 6:10-11          

     

   "세 아들을 낳았으니 셈과 함(Ham, ḥām)과 야벳이라... 포악함(ḥāmās)이 땅에 가득한지라"(창세기 6:10-11).

창세기 6:11절에는 홍수의 원인이 땅이 '포악함(violence, wrong, 하마스, ḥāmās) (HALOT-2980)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성경에서 이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대목이다. '함(Ham)'이라는 이름과의 음성적 대응은 11절에서 분명하다(히브리어 텍스트에서 색으로 강조된 부분). 가르시엘(Garsiel)은 이렇게 말한다 : "언어유희는... 여기에서 단순히 소리나는 유희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함과 '불법(lawlessness)' 사이의 연관성을 암시한다. 나중에(창 9:22-27), 이 아들(함)은 실제로 형제들에 비해 자신의 본성이 열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21]

표 2에는 함이라는 이름과 어근이 같은 히브리어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각 단어는 성경에 처음 등장하는 단어이므로, 최소한의 의미론적 범위를 제공한다.

표 2. ‘함’ 이름에 대한 이론적인 의미론적 범위 < 0678/a '폭력, 잘못된'(하마스, ḥāmās), 677a-c ‘더위, 뜨거움’(함, ham), 625a ‘검정, 어두움’(훔, hûm), 507 ‘고난, 파괴’(홈, hom), 505 ‘분노, 외침’(하무, hāmû) >


히브리어 '함'의 의미가 이집트어 '함'과 같은가?

표 3에는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km/ḥm/hm/ḫm 어근을 포함하는 관련 이집트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것은 성경의 함이 이해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집트인들이 이 이름을 음성학적으로 동등한 이름으로 이해했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표 3. ḫm/hm/km 어근을 포함하는 히브리어와 이집트어 어휘 비교


결과 논의 : TLA에서 음성학적 어근별로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어휘들을 나타내었다 : km - 29개; hm - 10개; ḫm - 41개; ḥm - 116개 단어. 표 3에는 발견된 어근들 중 성경의 함과 의미를 공유하는 모든 어근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함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림 1.3 참조). 히브리어 함(ḥm)과 가장 가까운 음성학적으로 상응하는 어근은 놀랍게도 두 가지 의미적 연관성만 보여준다. 그러나 발음 어근 hm, ḫm, km, dem이 포함된 어휘는 성경의 '함(Ham)'과 강한 의미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의미론적 범위는 OK(고왕국)에서 NK(신왕국)까지 이 세 특정 기식 폐쇄음(aspirated stops)에 걸쳐 확산되어있다. '포악함(violence, ḫmṯ)‘이라는 단어가 셈어(ḥāmas)에서 이집트어로 다시 수입된 것은 MK(중왕국) 시대에 이미 의미론적 연결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며, 표 2의 증거를 통해 OK(고왕국)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은 '함'이라는 이름에 대한 최소한의 성경적 의미 범위를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어근을 가진 어휘들의 어휘장과 함께 보여준다. 이집트 사전에는 196개의 단어들이 나와 있는데, 대부분 성경의 '함'에 대한 어휘 영역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의미적으로 동일하고 음성적으로 동일한 이집트 단어들은 이론적으로 함이 이집트 언어에 미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을 보면, 성경의 함과 비교했을 때,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이집트어 이름(hm, ḫm, km)은 의미적 연결을 공유하며, 이러한 이름이 함의 영향을 받았으며, 성경의 함이 이해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림 3. 이집트 언어에 대한 함의 영향


성경의 함은 오그도아드의 일원에 해당된다.

이 시리즈 글 1부와 2부에서 이미 논의했듯이[22, 23], 오그도아드의 머리 위에 새겨진 카르투슈(cartouche, 이집트에서 사용하던 상형문자 기호 중 하나로, 파라오의 이름을 둘러싸고 있는 곡선의 테두리)에는 이집트 학계에 의해 그 의미가 확고하게 정립된, 그들(오그도아드의 구성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성경에 나오는 함의 이름과 오그도아드의 이름이 일치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오그도아드의 이름을 조사하여 성경의 함과 동등한 의미 영역을 공유하는지를 조사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켁(Kek)은 '어둠(darkness)'을 의미하는데[24], 이는 부분적으로 히브리어 이름 함(Ham)과, '어둠', '어두운색', '검은색'의 개념을 전달하는 이집트어 음성 어근과 의미적으로 일치한다. 표 4는 더 상응하는 어휘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어근 'kk'가 포함된 어휘들을 나열하였다. 

표 4. 켁(Kek)의 음성적 어근을 가진 이집트어 어휘들.


결과 논의 : 성경의 '함(Ham)'과 '켁(Kek)'을 비교한 결과, '공격', '소음', '어둠'(그러나 '뜨겁다'는 아님)이라는 개념이 OK(고왕국)에서부터 공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켁’은 함(이집트의 지명이 되는)과 상당한 연관성을 공유하고 있는데, kk.t는 고대 아프리카의 초기 문명 중 하나였던 중부 누비아(Middle Nubia)를 언급하고 있는 카르나크(Karnak)의 투트모시스 목록(Tuthmosis list)에 등장한다. 이는 함이 이집트 땅의 이름으로 붙여진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켁’은 OK(고왕국, Gisa, 중부 지역)에서부터 개인의 이름으로 나타나며, 16개의 변형이 기록되어 있는데, 오그도아드의 멤버인 ‘켁’을 포함하여, 변형된 10개의 신성한 이름들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성경의 함과 이집트의 켁 사이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으며, 이는 함이 오그도아드에서 켁으로 신격화되었다는 증거와 일치한다.


문맥에서 km/kk 음성 어근을 공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텍스트 예들 

아래는 문맥에서 km kk와 관련된 어근의 발생을 드러내는 이집트 비문(inscriptions)의 예들이다. 선택된 비문은 함의 이름의 의미와 관련된 주요 어휘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의 이름이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켁과 이론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하이퍼텍스트 링크는 로그인 후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user'로 로그인해도 충분히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NK. 누의 파피루스, 튜빙겐 134, 8행.

(NK. Papyrus of Nu, Tubingen 134, line 8)

ḫmi.yw ḫmi, yt ḫmi.t (j) = sn m wsjr —NN— mꜢꜤ-ḫrw m wjꜢn jti = f rꜤ, w

"그의 아버지 레(Re)의 배에서 오시리스 NN을 추방했던 침략자공격자들“


OK. Deir el-Gebrawi, Henqu II의 무덤, 동쪽 벽, 중간 등록부, 큰 비문, 21행.

(OK. Deir el-Gebrawi, tomb of Henqu II, east wall, middle register, large inscription, line 21.)

hm(hm)=jsnwśr=jr=fśjwi=fḥr

"나는 (호전적인) 남자에게 결코 고함치지 않는다. 나는 그보다 강하기 때문에, ...“


OK. 사카라, 테티 묘지, 니카우이세이의 묘소, 니카우이세이의 마스타바, 정면, 문 공개, 오른쪽 처마, 11행.

(OK. Saqqara, Teti Cemetery, Nicauisesi’s mausoleum, Mastaba of Nikauisesi, facade, door reveal, right soffit, line 11)

sꜢ=fśmśwmry=fśmr-wꜤ.t(.j)n(.j)-kꜢ(Ni-kꜤu-Teti) kmśmśw

"그의 장남, 그의 연인, 유일한 친구 니-카우-테티(Ni-kau-Teti), 어두운 피부의 노인.“


제18왕조 누의 파피루스, BM EA 10477, 108행.

(18th Dyn. Papyrus of Nu, BM EA 10477, line 108)

jm.jhm=frn=f

"[뜨거움]을 가진 사람은 그녀의 ... 이름이다."


MK. 파피루스 베를린 P 10499, 렉토: 웅변하는 농민, 버전 R, 1,3행.

(MK. Papyrus Berlin P 10499, Recto: The Eloquent Peasant, version R, line 1,3)

m=twjmhꜢi.trkm.trbjnib.tꜤq.wjmnẖrd.w=j

"보라, 나는 아이들을 위해 음식을 가져오고 사러 이집트로 내려갈 것이다."


켁(Kek)의 텍스트 예


OK. 테티의 피라미드, PT 362, 605a-b 줄.

(OK. Pyramid of Teti, PT 362, line 605a-b)

jt(.j)n(.j)ttjmkk.wjt(.j)n(.j)ttj(.j)tm(.w)mkk.w

"어둠 속에서 테티의 아버지! 테티의 아버지, 어둠 속의 아툼!"


프톨레마이오스. 카르나크, 오페템펠, 중앙 홀 (VII), 남쪽 벽, 3번째 등록기, 2단계 (문 'S' 위).

(Ptolemaic. Karnak, Opettempel, central hall (VII), south wall, 3rd register, 2nd stage (above door ‘S’)).

ḏd-mdwjnkk(.w);ḏi=jn=kḫꜤ =kmjrꜤ;ḏd-mdwjn kk.t; ḏi = j mn rn = k ḥr-śꜢtꜢ

"Kekou가 부른 가사; 나는 너에게 Re처럼 너의 외모를 준다. Keket이 말한 가사; 나는 당신의 이름을 지상에 세우려한다." (참고: Kekou/Keket은 오그도아드어에서 유래).


프톨레마이오스. 카르나크, 오페트 신전, 외동쪽 성벽, 기슭, 첫 번째 정남쪽.

(Ptolemaic. Karnak, Opet Temple, outer-east walls, basement, first reg. south.)

(kysrs)ḫr=kjni=fn=kḥapjkk.w

"카이사르, 홍수, Kekou 물을 가져오기 위해 당신에게 가까이 왔다."


OK. 우나스 피라미드, PT 292, 544행.

(OK. Unas pyramid, PT 292, line 544)

nktkk.ntk,jjkn-hj(.w)

"당신은 공격자공격한 사람 중 한 사람이다“


요약

이 글에서 논의된 언어적 증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브리어 함(폭력, 어둠) ≈ 이집트어 함(폭력, 어둠) ≈ 오그도아드 구성원 켁/켁.트(폭력, 어둠).

Hebrew Ham (violence, dark) ≈ Egyptian Ham (violence, dark) ≈ Ogdoad member Kek/Kek.t (violence, dark).

이러한 증거는 성경의 함(Ham)이 이집트의 개인 및 신성한 이름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되었다는 것과 일치한다. 이 이름들은 히브리어 함과 음성적으로 동일하며, 의미 범위도 동일하다. 이 이름들은 홍수 후의 신성한 이름인 신의 이름으로 전이되었으며, 오그도아드의 부부 신인 켁과 케켓(Kek and Kek.t)과 성공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이집트 이름들과 어휘에 함이 영향을 미쳤고, 이집트의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결론

이 시리즈의 3부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면서, 함의 이름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히브리어와 이집트어에서 고유명사의 공유에 관한 언어학적 탐구를 위해 네 가지 연구 질문이 제시되었다. 첫째, 홍수 족장들의 이름은 성경적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을까? 잘 알려진 언어 현상인 언어유희를 통해 성경 본문의 음운에서 이름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성경은 함의 이름을 '불법/폭력'과 문맥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발음의 맥락은 의미론적으로 발음 단위 자체 내의 음성적 연결에서 파생되었으며(창세기 6:10-11), 고려 중인 이름과 음성적 유사성을 지닌 관련 어휘들을 바탕으로 언어유희가 만들어진다. 다음 질문은 '함'이라는 이름의 음성적 대응어가 이집트의 개인 이름 및 신성한 이름으로 등장하느냐는 것이다. 이 질문은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개인 이름과 신성한 이름의 예로 hm, ḫm, ḥm, km,로 긍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름들 중 몇은 성경의 함과 동등한 의미 범위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같은 방법으로 오그도아드의 한 이름을 테스트하여, 성경의 함과 오그도아드 부부인 켁과 케켓 사이의 언어적 연관성을 밝혀냈다. 

데이터들은 성경의 함이라는 이름과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이집트어 이름이 비슷하게 이해되었다는 가설과 부합하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함이 이집트의 창시자로서 영향을 미쳤으며,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이 시리즈의 4부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노아, 야벳, 셈의 이름을 계속 분석할 것이다. 증거들은 이 이름들이 고대 이집트에서 개인적 및 신성한 이름들로 존재했으며, 동등한 의미를 지니며, 노아 가족의 다신교적 신격화로 나타내는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비교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 의미는 성경의 역사를 확증한다.


감사의 말

초기 초안에 대해 유용한 제안을 해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로버트 카터(Robert Carter), 그리고 비판적인 의견을 주신 익명의 검토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References and notes

1. Casanowicz, I.M., Paronomasia in the Old Testament, Boston, MA, pp. 44–84, 1892.

2. For instance, Reuben means, “behold a son!” TWOT–2095j.

3. Hallo, W.W., Scurrilous etymologies; in: Freedman, D.N. (Ed.), Pomegranates and Golden Bells, IN, Eisenbrauns, p. 769, 1995.

4. Krašovec, J., The transformation of biblical proper names, Library of Hebrew Bible, Old Testament studies 418, T&T Clark International, New York, pp. 1–144, 2010.

5. Casanowicz, ref. 1, p. 18.

6. Frazer, J.G., Ancient stories of a great flood, J.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46:231–283, 1916.

7. Smith, G., The Chaldean account of the Deluge,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2:213–234, 1873.

8. See the excellent discussion of ANE vs Hebrew cosmology; in: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Academic, MI, pp. 27–40, 1997.

9.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8, 237, 1995.

10. Harris, R.L., Archer, G. Jr., and Waltke, B.K.,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Press, 1980 (TWOT); Koehler, L., Baumgartner, W., and Stamm, J.J.,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Brill, Leiden, 2001 (HALOT); F. Brown, S.R. and Driver, C.A. Briggs,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Clarendon Press, Oxford, 1907, (BDB).

11. For instance, see the classic historic treatment of biblical names in Jones, A., The proper names of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expounded and illustrated, 1872, (JNS).

12. Loprieno, ref. 9, p. 52.

13. Harrington, N., Living with the Dead, Ancestor Worship and Mortuary Ritual in Ancient Egypt, Oxbow Books, Oxford, 2012.

14. I am not arguing that Noah’s family willingly accepted worship while alive.

15. Ranke, H., The Ancient Egyptian personal names, vols I–II, Glückstadt 1935 and 1952, (RPN); Leitz, C., Lexikon der Ägyptischen Götter und Götterbezeichnungen, vols 1–8, Peeters, L., 1995–2003, (LGG); Meeks, D., Année Lexicographique, vols 1–3, Cybèle, Paris, 1977–1979, (AL); Gauthier, H.,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vol. V, De L’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1928, (DNG); Lesko, L.H., A Dictionary of Late Egyptian B.C. Scribe, Rhode Island, 2002, (Lesko).

16. In its current version (October 2014), aaew2.bbaw.de/tla/index.html.

17. For vocabulary searches, TLA was restricted to “common substantive nouns (excluding names etc.)”.

18. Anon, Manuel de Codage System, pyramidtextsonline.com/mdc.html, accessed 25 October, 2019.

19. MdC notation is not used in these articles, rather, Allen’s 2000 system of hieroglyphic transliteration.

20. Loprieno, ref. 9, p. 42.

21.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86, 1991.

22.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J. Creation 33(3):94–101, 2019.

23.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J. Creation 33(3):102–108, 2019.

24. Silverman, D.,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20–121, 1997.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4(2): 67–74, August 2020

주소 : https://dl0.creation.com/articles/p137/c13758/j34-2_67-74.pdf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7-25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이집트 신왕국에서 잘 알려진 파라오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는 증거들을 살펴본 다음, 이후 ‘사자의 서’를 살펴보고, 신전에서의 숭배 증거, 오그도아드의 매장 무덤을 조사하는 등,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조사를 이어갈 것이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투탕카멘(제18왕조 파라오)의 장례 가면(Tutankhamun’s funerary mask)


이집트 신왕국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2부 글에서는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NK)의 여러 정보 출처들에서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 무리)와 대홍수와 관련된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에 대해 논의하겠다. 이 출처들은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파라오의 장례식 비문(funerary inscriptions)에 등장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두 종교적 출처인, ‘천상의 소에 관한 서(Book of the Heavenly Cow, HC)’와 ‘사자(死者)의 서(Book of the Dead, BD)’를 분석할 것이며, 특히 ‘사자의 서’ BD 175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와 오그도아드

‘천상의 소(Heavenly Cow)’ 신화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39~1077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버전으로 보존되어 있다.[1]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야기 속에서 슈(Shu)를 도와 하늘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의 등장이다.[2] 여덟 명의 신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창조 세계가 홍수의 화신인 눈(Nun)으로 대표되는 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3] HC(‘천상의 소에 관한 서’)는 인류가 레(Re)에 대한 반란(sbi)을 일으켜, 레가 인류의 파괴를 명령하고, 이후 우주를 재조직한 후, 영구적으로 천국으로 은퇴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집트 학자들은 HC가 대홍수에 의한 반란과 심판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인해, 대홍수와 인류의 멸망에 관한 메소포타미아 및 성경 구절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4] HC에서 '신들의 아버지'인 누(Nu)는 자문을 얻는 신성한 회의에서 하토르(Hathor, 그의 딸 신)에게 인류 파괴의 심판을 선포한다. 이후 한 '홍수'[5]가 발생하는데, 그 목적은 하토르를 속이고, 그녀의 분노를 진정시켜, 남은 인류를 구하는 것이었다.[6]

HC는 투탕카멘(제18왕조, BC 1324년경)의 시대부터 처음으로 입증되었으며, 이후 세티 1세, 람세스 2세, 3세, 4세[7](제19왕조)의 무덤 비문(tomb inscriptions)에 등장하는데, 이 비문은 전용으로 마련된 왕의 석관이 있는 방의 보조 방에 위치해 있다. 이 텍스트의 연대는 신왕국 제18왕조부터 제20왕조까지 넓게 확장되어 있다.

HC의 구절은 투탕카멘의 신전 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지만, 이 신화의 출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특히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Cow)의 명칭은 mḥyt-wrt, "대홍수(Great Flood)"는 5개의 철자(1부에서 설명한 대로)로, 하늘을 지지하는 8명의 헤흐-신들(Ḥeḥ-gods)과 함께 등장한다.[8] 관 텍스트(Coffin Texts, CT)에서 HC를 직접 암시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CT 79에서 여덟 명의 헤흐-신들은 누(Nu)와 함께 등장하는데, 여기서 레(Re)는 천상의 소들(Heavenly Cow), 즉 "대홍수(Great Flood)" 위에서 쉬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투탕카멘, 대홍수, 그리고 여덟 헤흐-신들

'외관(外棺, Shrine, 석관들이 놓여있는 커다란 상자 모양의 구조물) 1'은 투탕카멘의 외관들 중에서 가장 큰 외관으로(그림 1), 안팎이 텍스트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왼쪽 면과 뒷쪽 면에는 ‘천상의 소에 관한 서’의 구절들이 있고, 뒤쪽 면에는 슈(Shu)가 여덟 헤흐 신(Ḥeḥ-gods)들의 도움을 받아, 대홍수(천상의 소로 표현됨)를 지탱하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 소의 배는 하늘을 상징하는 별(stars)들로 덮여 있으며, 태양신 라(Ra)가 그의 태양 배(solar bark, 태양 껍질 배)를 타고 항해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그림 2).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엘-바위티(el-Bawiti)의 제26왕조 무덤에서 볼 수 있듯이, 하늘을 지탱하는 슈를 돕는 여덟 신(Ḥeḥ-gods)의 기능이 오그도아드(Ogdoad)의 기능과 동일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여덟 신들의 정체성은 오그도아드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여덟 신을 대표하는 오그도아드는 대홍수로 인해 우주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있었다.

그림 1. 투탕카멘의 외관(外棺, shrine) I (Wikipedia Commons CC BY-SA 2.5)


투탕카멘의 외관 1에 있는 천상의 소 그림은 비문(inscription)으로 둘러싸여 있다 :

"대홍수(천상의 소)에 의해 말해진 말 : 내 몸의 아들이여 오라, 나의 사랑하는 자여, 두 땅의 군주 네브케페루레(Neb-Kheperu-Re). 당신의 아버지 레(Re)와 함께, 대홍수(Great Flood, Cow)의 곁에서 그를 따르는 이 신들 중 한 명으로 있네. 오시리스, 투탕카멘 왕, 남부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는 살아나서, 그는 네크로폴리스에서 다시 죽지 않을 것이다!!"[10]

투탕카멘(Tutankhamun, Amen-tut-ankh)이라는 이름 자체가 오그도아드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그 소년 왕(18세에 사망)의 이름은 "아문의 살아있는 형상(living image of Amun)"을 의미하며, 아문(Amun)은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 중 한 명으로, 이 시기까지 그 자체로 중요한 신이었다. 따라서 투탕카멘의 장례 신전에 대홍수와 여덟 신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은 그의 아문이라는 칭호와 일치한다. 여덟 신들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몇몇 파라오의 이름에도 공유되어있는 것이다.

그림 2. 투탕카멘의 외관 I 에서, 천상의 소(대홍수)를 지탱하고 있는 슈를 돕고 있는 여덟 헤흐-신들(eight Ḥeḥ-gods). (in Piankoff[9])


사자의 서

이집트인들이 "빛으로 나오기(위한 책) (going out in daylight)"(prt m hrw)이라고 부르는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BD)’는 BC 1450년부터 AD 50년까지 약 1,500년에 걸친 역사를 갖고 있다.[11] 신왕국(New Kingdom, 제18왕조) 초기에 BD는 아직 형성 과정에 있었고, 사이스 왕조(Saite period, 제26왕조)에 이르러서야 모든 주문(spells)들이 일정한 장의 순서로 정리된 최종 정경이 완성되었다. BD는 죽은 자의 부활과 내세에서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 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BD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수집되어 새겨진 종교적 장례 의식과 주문을 대표하는 중왕국 관 텍스트(CT)와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PT)의 후속작으로, 구매자가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BD 텍스트는 필기체 상형문자를 사용했으며, 화려한 잉크 그림과 함께 쓰여져 있다.


사자의 서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사자의 서(BD)에서 오그도아드를 언급하고 있는 본문으로는, BD 27:2 "나의 이 마음은 오그도아드 안에 있는 큰 마음이라"[12], BD 164:2(제26왕조 사본으로부터 알려진, BC 350년경)[13] "오그도아드(와) 그들의 관(ḏbꜢ t) 안에 살아있는 영혼들이 당신의 존엄을 찬양하고 있다..."[14] (흥미롭게도 노아의 방주(ark)에 사용된 히브리어는 ‘테밧(tēbat)’으로, 관(coffin)을 뜻하는 이집트어인 ḏbꜢ t의 음역(transliteration)으로 확인되고 있다.[15] (그들의 관 속의 오그도아드는 '죽은 신들(dead gods)'로 보는 개념은 나중에 설명한다).[16] 헤흐(Heh)는 BD 150:2에서 "헤흐의 거처(Abode of Ḥeḥ)"로 단독으로 언급되어 있다.[17] BD의 한 중요한 삽화(vignette)에는 오그도아드가 나타나 있는데(그림 3), 이것은 아문(Amun)의 제사장이었던 제21왕조의 콘수메스의 파피루스(papyrus of Khenumose)에서 나온 것이다.(오른쪽 상단에서 그의 상형문자를 볼 수 있음). 

그림 3. 콘수메스 파피루스(Khonsumes papyrus), 오그도아드가 땅을 괭이로 파고 있다.(in Silverman)[18]


이 삽화에는 창조의 첫째 날에 세 단계로 떠오른 태양이 태초의 한 쌍의 산 지평선 뒤로 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북쪽(오른쪽)과 남쪽(왼쪽)을 상징하는 두 여신이 눈(Nun, 홍수)의 물을 쏟아붓고 있다. 태초의 땅에는 8명의 창조 신들이 대지를 괭이질하는 모습의 오그도아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창세기 9:18절에 묘사된 대로 노아의 가족들이 방주에서 내려 농업을 시작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그림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홍수 이후 토양에서 새롭게 농업을 시작하여 첫 번째 작물을 수확함으로써, 인류의 삶이 번성할 수 있는 여건을 새롭게 조성한 문화적 기억을 상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을 창조의 신들로 기념했을 것이다.

누(Nu)가 일곱 신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 및/또는 오그도아드를 들고, 눈(Nun)에 서 있는 모습은 파라오의 신전 벽에서 볼 수 있는 그림으로, 제19왕조 아니(Ani)의 BD 파피루스[20]에 묘사되어 있다(그림 4). 누(Nu)는 하늘을 지탱하는 여덟 신들(Ḥeḥ-gods)과 오그도아드의 기능을 완전히 대신하여, 라(Ra)가 태양의 배를 타고 항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늘이 무너지고 혼돈과 눈(Nun)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


BD 175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BD(사자의 서) 175에는 대홍수로 파괴되는 우주에 대한 기술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비인간적인 개념인 누(Nu)와 헤흐(Ḥḥw)와 함께, 오시리스(Osiris)와 아툼(Atum, 뱀으로 변형된)이 홀로 남게 된다. 이는 오그도아드의 개별 신들이 장례 문헌에서 나타나는 한 사례가 되고 있다.[22] 토트(Thoth)는 시작부터 언급되고 있는 주요 신으로, 그는 ḫmnw(Khemnw, 켐뉘, 8 신들의 도시)의 군주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구절에는 인류의 악, 반역(sbi), 폭력에 반대하는 한 신의 불만이 포함되어 있다. 신성한 심판의 일부는 인류의 시간(수명)이 제한되고, 창조된 모든 것이 홍수로 파괴된다는 것이다. BD 175의 다음 구절은 쿼크(Quirke)의 2013년 번역본에서 발췌한 것이다:

"(4) 오 토트(Thoth), 누트(Nut)의 자녀들에게 (5)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6) 그들은 소란을 일으켰고, 분쟁을 일으켰고, (7) 악을 행했고, 반역(sbiw)을 일으켰고, (8) 도살의 원인이 되었다... (13) 당신은 악을 보지 않을 것이며, 고통을 겪지 않을 것이다. (14) 그들의 연한은 제한되었고, (15) 그들의 달은 가까워지고 있으며... (51) 내가 참으로 내가 만든 모든 것을 멸하리니, (52) 이 땅은 눈(Nun)으로 돌아갈 것이다 (53) 홍수 물로서, 원래의 상태대로 ... ." [23]

그림 4. 누(Nu)가 레(Re)와 일곱 신들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를 지탱하고 있다. (in Wilkinson)[21]


표 1은 BD 175의 심판과 멸망 구절에서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네 이름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어휘들을 탐색하고,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 1. BD 175의 오그도아드 어휘들(Ogdoad vocabulary)


여기에 묘사된 혼돈(chaos)과 눈(Nun)의 귀환은 오그도아드를 혼돈의 신으로 언급하는 언어유희에 의해 강조되고 있을 수 있다. 홍수 심판을 초래한 신의 불만은 인류의 도덕적 실패에 기인한 것으로, 반역(sbi), 악, 폭력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창세기 6:5,11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탄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BD 175:14에서 인간의 연한을 "제한"으로, 달(months)을 "가까워짐"으로 묘사하는 것은 창세기 6:3절에서 인류의 기간을 120년으로 제한하는 신성한 저주(아마도 홍수 심판 전)를 연상시킨다. BD 175에서 사용된 "홍수 물(floodwater)"이라는 용어는 Wb 3, 56:15에서 "태고의 신(primeval god)"으로 정의된 ḥwḥw로, 아마도 오그도아드의 멤버 ḥḥ의 대체된 철자일 가능성이 높다.


제20왕조 라메시드 편지에서 오그도아드

라메시드(Ramesside) 후기(제20왕조)에 신관서체(hieratic)로 쓰여진, 50개의 파피루스 편지(papyri letters)들이 수집되어 연구되어왔다. 이 파피루스들은 테베(Thebes)에서 일했고,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살았던 서기관 데후티모세(Djehutymose)와 그의 아들 부테하문(Butehamun)의 가족 기록 보관소에서 나왔다. 이 편지들은 묘지의 수석 서기관들이 행정적인 목적으로 특정 개인에게 보낸 서신들이다. 이 편지들은 어느 정도 확실하게 람세스 11세(Ramses XI)의 통치 기간인 재위 1~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4]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것은 오그도아드를 언급하는 네 개의 편지로서, 긴 소개의 축복과 간구(재위 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의 일부로 오그도아드를 언급함으로써,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Khemnw)와 오그도아드 및 그들의 무덤의 연관성에 대한 우발적인 문서적 입증자료가 되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편지들(표 2)은 다음과 같다: 15번-파피루스 필립스, 16번-파피루스 토리노 1971, 28번-파피루스 대영박물관 10375, 50번-파피루스 토리노 2026.

표 2. 후기 라메시드 편지(Late Ramesside Letters, LRL)에 언급된 오그도아드.[25]


15, 16, 28번 편지는 "케프테-하이-네보스(Khefte-hi-nebos, meaning ‘opposite her lord’, 즉 메디넷 하부)에 안식하는 자"라는 문구에서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고 있다. 15번 편지는 오그도아드를 위해 만들어진 언덕과 오그도아드 무덤을 나타내는 "제메의 아문(Amun of Djeme)"을 언급하고 있다.[26] 이 라메시드 편지에서 한 중요한 관찰은 제20왕조 동안 메디넷 하부의 제메에 대해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는 전통이 확립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언급된 오그도아드의 무덤은 이 글의 뒷부분에서 설명하겠다.


제25왕조 피안키의 승전 석비 - 오그도아드 숭배에 대한 증언

제25왕조 동안인 BC 753~723년 이집트를 통치했던 누비아(Nubia, 수단 누비아 지방)의 침략 왕, 피안키(Piankhi, Piye, 피예)의 승전 석비(Victory Stela)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헤르모폴리스(Khemnw) 신전이 언급되어 있다. 화강암 비석(그림 5)은 159줄의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피안키(Piankhi)가 이집트와 헤르모폴리스에서 승리한 후, 오그도아드 신전에 들어가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비문 §13:l.58-60(그림 6)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그의 위엄은 그의 궁전에 가득했고, 케멘누(Khemennu, 켐뉘, 오그도아드의 도시)의 군주인 토트(Thoth) 신전으로 향했다. 그는 케멘누의 군주인 아버지 토트와 오그도아드 신전에서 황소, 뿔이 짧은 소, 가금을 오그도아드에게 제물로 바쳤다."[27]

피안키 석비에 나오는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은 짧고, 그룹 신들에 대한 이름은 없지만, "여덟 도시"인 켐뉘(Khemnw)에서 오그도아드가 숭배되었다는 제25왕조의 문헌적 증거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림 5. 피안키 석비(Piankhi stela)의 상단 부분. 오귀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iette, 1821-1881).

그림 6. 피안키 석비의 오그도아드 비문(Piankhi stela Ogdoad inscription). 그리말(Grimal) [28]


여덟 도시와 오그도아드 사원

엘-아슈무네인(El-Ashmunein)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이집트 북부에 있는 한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아랍어 이름으로, 이곳에는 오그도아드(Ogdoad)를 숭배하던 한 신전이 표기된 고고학적 유적지가 있다. 엘-아슈무네인 유적지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그리스-로마 시대의 토트 신전(temple of Thoth)이 있는데, 현대에 와서 파괴되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 아래에 제18왕조의 기초가 놓여있는 흔적이 남아 있다. 아슈무네인(Ashmunein)은 오그도아드를 기리는 콥트어(Ϣⲙⲟⲩⲛ, 슈문)에서 유래한 말로 "여덟의 도시(City of the Eight)"를 뜻한다.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헤르모폴리스 마그나(Hermopolis Magna, 이집트 신 토트와 연관된 그들의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을 따서)라고 불렀다. 이집트인들에게 그것은 켐뉘(Khemnw, "여덟 도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 보고서에서 스펜서(Spencer)는 이렇게 말한다 : "엘-아슈무네인의 초기 신전들 중 알아볼 수 있는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유적은 현재 지하수 수준보다 깊은 곳에 있을 것이다."[29] 그러나 엘-아슈무네인에서는 제18왕조 통치자 아메노피스 3세(Amenophis III)의 비문과 켐뉘(Khemnw)의 비문이 새겨진 네 개의 거대한 개코원숭이 조각상(baboon statues)이 출토되었다. 아부 바크르(Abu Bakr) 교수는 원래 8마리의 개코원숭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오그도아드와 일치하며, 오그도아드가 숭배되던 신전을 지키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스펜서는 지적한다.[30]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노아와 그의 가족을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했으며, 그들 자신의 신전에서 함께 숭배했을 것이라는 예측 5와 일치한다.


다리우스 1세, 제27왕조 히비스 신전과 오그도아드 신전

남부 엘-카게 오아시스(el-Khargeh Oasis)의 중앙에 있는 히비스 신전(temple of Hibis)은 이집트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페르시아 기념물로서[31], 다리우스 1세(Darius I) 통치 시절부터 화려하게 장식되어있다(다니엘서 5장 참조). 히비스 신전은 특이한 형태의 모호한 신들을 포함하여, 성소에 약 700명의 신들이 묘사되어 있는 등, 후기 종교를 거의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다.[32] 가장 주목할만한 비문은 홀 기둥 아래의 남쪽 벽면에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로, 이 찬가에는 오그도아드를 눈(Nun), 누네트(Nunet), 켁(Kek), 케켓(Keket), 게레(Gereh), Gerehet(게레엣) (그림 7)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비문에는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밤(night)" 또는 "중단(cessation)"이 나타나 있다.[33] 오그도아드의 이름은 독특한 방식으로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et)가 대체되어 있다.

그림 7. 오그도아드 이름이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34]


오그도아드 남성은 개구리 머리(frog-headed), 여성은 뱀 머리(serpent-headed)로 묘사되어 있는데, 두 동물 모두 물과 홍수와 연관된 동물이다. 히비스(Hibis) 신전에 있는 오그도아드의 다른 묘사에는, 그들이 창조 첫날에 태양을 숭배하고 있는, 원숭이(simian)의 모습들로 그려져 있다.


제18왕조 아문 사원 - 오그도아드 무덤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시대와 로마 시대의 전통[35]과 라메시드 편지(Ramesside letters)에 따르면, 제18왕조의 아문을 숭배하던 작은 신전을(그림 8)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의 무덤으로 믿고 있었다. 이 사원은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데, 더 큰 제20왕조의 라메시드 3세 사원 단지(Ramesside III temple complex, 그림 9) 내에 위치한다. 아문 신전 안에 있는 오그도아드 무덤의 비문에는 독특한 일련의 복합 이름, 특히 Imn-NwnImn.t-Nwn.t, Kk.w Kk.t, ḤḥḤḥ.t, NiwNiw.t.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36] 시카고 대학 동양학 연구소는 1926년부터 1933년까지[37] 메디넷 하부 유적지를 발굴하여 14권의 고고학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브레스트(Breasted)와 머네인(Murnane)이 두 권의 책을 추가로 출간했다.

그림 8. 제18왕조 오그도아드 무덤 사원(Temple Ogdoad tomb)의 복원 <by Hölscher> [40]


그림 9. 라메시드 3세 신전(Ramesside III temple). <Gavin Cox>. (A)제20왕조 람세스 3세(Ramesses III) 신전, (B)제18왕조 아문 오그도아드 무덤, (C)눈(Nun) 또는 태초의 홍수를 상징하는 신성한 호수(lake).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호렘헤브(Horemheb), 세티 1세(Seti I) 시대로부터 내려오던 제18왕조 아문 신전의 입구와 바크 외관(bark shrine)은, 프톨레마이오스 8세 에우에르게테스 2세(Ptolemy VIII Euergetes II, BC 116년 사망)의 통치 시기에 프톨레마이오스 양식(Ptolemaic style)으로 다시 재조각되었다.[38] 신전 내부 그림들에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오그도아드는 네 명씩 의인화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앉아있으며, 모두 하늘의 기둥(pillars of the sky)들을 상징하는 와스 홀(Was-sceptres, 와스-셉트레, 끝이 갈라진 길고 곧은 지팡이)을 들고 있는데, 이 홀은 우주가 눈(Nun-홍수)으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문턱과 상인방에 새겨진 긴 우주론적 텍스트(그림 10)는 창조 당시 오그도드의 역할과 메디넷 하부(Djeme, 제메)에 묻힌 그들의 장례를 기술하고 있으며, 맥클레인(McClain)은 이 텍스트가 히비스의 ‘위대한 아문 찬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으로 기술했다.[39]

그림 10.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바크 외관(bark shrine)으로 가는 문.[41] (A)아문 신전에 묻힌 오그도아드에 대한 찬가로 덮인 문설주와 문턱, 프톨레미 8세와 클레오파트라의 제물을 받고 앉아있는 오그도아드의 모습, (B)바크 외관(bark shrine, 태양 (껍질) 배에 바쳐진 방).


바크 외관 안의 텍스트에는 대홍수와, 외관 안에 매장된 오그도아드에 대한 놀라운 언급이 담겨져 있다 :

"... 땅이 완전히 어둠 속에 있고, 존재하는 모든 것이 침수되었을 때, 눈(Nun, 홍수)에서 빛을 발한 태초를 가져온 고귀한 아버지들 ... 구름 폭발로 눈(Nun)이 왔을 때, 완전한 어둠 뒤에 빛을 열었다... 위대한 어른(great elder)으로, 저세상에서 그의 미라가 확장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의 앞에서, 그 시대의 범람(inundation)을 열었다: 그것은 아문 조세르와 함께(Amun Djeser-set), 눈(Nun)으로부터 앞으로 나간, 아버지들의 아버지, 아문의 영토 오그도아드와 함께 나란히 있다. (그들) 모두의 매장이 그안에 완성되고, (즉) 제메(Djeme)의 언덕에 잠자는 자들, 신들의 아버지가 있는 장소, 그들은 첫 번째로 모든 신들을 낳았고, 그들은 싸매어져(wrapping) 매장되었고, 그들은 그안에 있다. 제메의 언덕에..."[42]

맥클레인은 2011년에 발간한 고고학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외관의 재건축 목적에 대한 부가된 설명으로, 이 텍스트는 특별히 위대한 어른 레(Re)의 아버지로서 아문(Amun)의 특징을 조명하고 있는데... 그는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여기 제메의 언덕에 '나타난다' ... 우리는 또한 '제메의 언덕에서 잠을 자고있는 오그도아드의 숭배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그들은 싸매어져 묻혔고, 그들의 구성원들이 그 안에 있으며, 제메의 언덕이 아문의 안식처이며, 그들의 매장 장소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텍스트는 이들 숭배되는 '죽은' 창조 신들의 매장 장소를 분명히 선언하고 있었다."[43]

아문 신전 아래에서는 어두운 모래로 채워져 있었고, 기능을 알 수 없는, 미확인 지하 방들이 여러 개 발견되었다. 신전 내 다른 방의 바닥 아래에 더 많은 구덩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포장도로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 이 방들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다.[44] 현재까지 오그도아드 무덤으로 여겨지는 제18왕조 신전 아래에 오래된 구조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현대적 조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이곳에 묻혔다고 믿고 있지만, 신전 아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노아와 그의 가족이 이곳에 묻혔다는 사실은 알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


결론

1부에서는 창세기 9:29절, 11:11절에 기록된 노아와 그의 가족이 오랜 세월 동안 살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10가지 예측을 제시했다. 인류 역사에서 그들의 독특한 경험은 그들이 이교도 후손들로부터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성경은 이집트라는 이름이 노아의 아들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특정 조사에 초점을 제공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예측을 탐색 기준으로 사용했다. 

예측 1: 노아와 대홍수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두 용어, '대홍수(Great Flood)'와 함께 '여덟(the Eight)'이라는 개념의 용어가 발견되는데, 이는 후기 그리스 문헌에서 오그도아드(Ogdoad), 또는 이집트어로 켐뉘(Khemnw)로 알려져 있다. 두 용어는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Nuw, Nuw.t and Amun, Amun.t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이름인 Kek과 Heh는 우주론적 개념으로 등장한다. 이 이름들은 이후 ‘관 텍스트(Coffin Texts)’와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로 알려진 텍스트 모음집에 등장한다. 특히 BD(사자의 서) 175에는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보내진 홍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이름들은 혼돈의 세력에 대한 단어들의 어근들로 나타난다.

홍수와 관련된 여덟 신들의 그룹을 통칭하여, 여덟 헤흐 신(eight Heh gods, chaos)이라고 부르는데(하늘이 눈(Nun)으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막는 오그도아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 이 이름은 오그도아드에서 유래한 것으로, 투탕카멘, 세티 1세, 람세스 2, 3, 4세의 장례식 비문에도 나타난다. 또한 오늘날의 엘-아슈무네인('여덟 개의 도시'라는 뜻의 이집트 콥틱어에서 유래)에는 오그도아드 자체를 섬기는 제18왕조의 숭배 사원이 있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메디넷 하부에 있는 제18왕조의 아문 신전에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첫 번째 1부 글의 시작 부분(1부 글 그림2 참조)에 명시된 성경에 근거한 예측과 일치한다:

● '8이라는 숫자' (2번 예측);

● '홍수 개념' (3번);

● '신격화 된 조상' (5번);

● '파라오 관련 문헌' (6번);

● '사원과 숭배' (7번), 

● '여덟 명의 무덤' (9번).

다음 예측은 이어진 글에서 조사할 예정이다:

●'창조 개념' (4번 예측). 함이 홍수 이전의 지식을 가져왔다면, 창세기 1-4장과 비교했을 때, 고대 이집트의 창조 개념 사이에는 현저한 유사점이 있을 것이다.

●'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8번). 논문 1부에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가 어떻게 오그도아드의 이름의 의미로 이어졌는지 간략하게 설명했다. 이는 이집트 오그도아드가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에 대한 다신교적 개념을 나타낸다는 전반적인 사례를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별도의 기사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이름들의 시조(개척자)' (10번): 고대 이집트에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를 기념하여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기본 개념들, 발명품 또는 일상용품들이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들은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나타날까? 이러한 질문은 향후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글의 초고를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익명의 검토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이 글은 2023년 3월 31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References and notes

1.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Brill, Leiden, p. 492, 2006.

2.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CA, p. 197, 2002. Shu, an air god separated his children earth (son, Geb) and sky (daughter, Nut) from their embrace. He then held up Nut—an image of creation—keeping the sky from collapsing and returning to Nun. Shu was aided by the eight Heh gods.

3. Hornung, E., Der Ägyptische Mythos von der Himmelskuh: Eine Ätiologie des Unvollkommenen, University of Zurich, Freiburg, pp. 42–43, HC Line 157–168, 1982.

4. Lichtheim, M., Ancient Egyptian Literature—vol. II: The New Kingdom,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 198, 1976; also recognized by Pinch, ref. 2, p. 173, in her discussion of Nu’s role in the Heavenly Cow myth.

5. Hornung, ref. 3, pp. 39–40, HC Line 69–100. Specifically, a flood of beer, coloured by red ochre.

6. Piankoff, A. (Rambova, N., Ed.), The shrines of Tut-Ankh-Am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p. 29, 1962.

7. Hornung, E. (Lorton, D., trans.), 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p. 148, 1999.

8. PT 406§709a in Teti and Pepis II pyramids.

9. Piankoff, ref. 6, p. 142.

10.  Piankoff, ref. 6, pp. 142–143.

11.  Quirke, S., Going Out in Daylight: prt m hrw—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translation, sources, meanings, Golden House Publications, London, p. vii, 2013.

12.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in the Oriental Institute Museum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Chicago, IL, p. 112, 1960.

13.  Quirke, ref. 11, p. 399. Found on the papyrus of Nespasef, papyrus Marseille 291.

14.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or Going Forth by Daylight, The Un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60, 1974.

15.  HALOT 10032 states: “2) The sbst. is a loanword from Egyptian and may be derived either a) from ḏb’t shrine, sarcophagus; or b) from tbt chest (see Erman-G. Wb. 5: 561; 261).”

16.  HALOT 10032, see Wb 5, 261.6; 434.10–11; 561.

17.  Allen, ref. 14, p. 273. Allen states Ḥeḥis ‘One of the Ogdoad of Hermopolis’.

18.  Silverman, D.P.,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121, 1997.

19.  Wilkinson, R.H.,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Egypt, Thames & Hudson Inc., London, p. 117, 2003. New Kingdom tombs in the Valley of the Kings including Ramses VI, where the descending shafts and associated images of Nun depict a return to Nun as an image of rebirth of the deceased.

20.  Wilkinson, ref. 19, p. 117, Papyrus EA 10470/35.

21.  Wilkinson, ref. 19, p. 117.

22.  Zivie-Coche, C., ‘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pp. 167–225, 2009; p. 170.

23.  Quirke, ref. 11, pp. 437–438, 2013, line numbers added for reference.

24.  Wente, E.F., Late Ramesside Lett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1967.

25.  Wente, ref. 24, pp. 189, 193, 194, and 197.

26.  Helck, W. and Otto, E. (Eds.), Lexikon der Ägyptologie, band I, Wiesbaden, O. Harrassowitz, Germany, pp. 296 and 300, 1986.

27.  Grimal, N.C., La Stèle Triomphale de Pi(‘ankh)y au Musée de Cair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Paris, pp. 68–69, 1981.

28.  Grimal, ref. 27, Pl.VIII:59.

29.  Spencer, A.J., Excavations at El-Ashmunein II, the Temple Area, British Museum Press, London, p. 63, 1989.

30.  Spencer, ref. 28, p. 64.

31.  Cruz-Uribe, E., Hibis Temple Project,vol. 1, Van Siclen Books, San Antonio, p. 194, 1988.

32.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tudies, Yale Egyptological Institute, New Haven, pp. 1–5, 2006.

33.  Cruz-Uribe, ref. 31, p. 22.

34.  Davies, N. de G., The Temple of Hibis in el Khargêh Oasis III, The Decoration, Plantin Press, New York, Pl.33, 1953.

35.  The Book of Fayyum, where the Ogdoad describe themselves as ‘resting in our bodies in the mound of Djeme’. O’Connor, D. and Quirke, S. (Eds), Mysterious Lands—Encounters with Ancient Egypt, UCL Press, London, p. 86, 2003.

36.  The names are unique compound names, but are all forms of the Ogdoad names. McClain, B., The Cosmogonical Inscriptions of Ptolemy VIII Euergetes II and the Cultic Evolution of the Temple of Djeser-Set; in: Dorman, P.F. and Bryan B.M. (Eds.), Perspectives on Ptolemaic Thebes: Papers from the Theban Workshop 2006, pp. 69–96, Chicago, IL, 2011, p. 46.

37.  The first expedi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1927. and officially concluded in March 1933. Nelson, H.H, and Hoelscher, U., Medinet Habu, Chicago, IL., pp. 37–38; 91–92, 1924–1928.

38.  McClain, ref. 36, p. 71.

39.  McClain, ref. 36, p. 64.

40.  Holscher, U., 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Plate 4, 1939.

41.  McClain, ref. 36, p. 74.

42.  McClain, ref. 36, pp. 79 and 83.

43.  McClain, ref. 36, pp. 84–85.

44.  Hölscher, U., The Excavation of Medinet Habu, vol. I—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5, 1939.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102–108,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2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7-13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대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들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부로 구성된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집트 제5왕조의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증거부터 조사를 시작하여, 관 텍스트(Coffin Texts, 관구문, 죽은 사람의 관 속에 미라와 함께 넣어두는 장례 문서),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파라오 신전 비문(Pharaonic temple inscriptions) 등을 조사하여, 역사를 통해 후대까지 진행하겠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며, 이는 이 연재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

이집트 역사에서 노아와 대홍수의 흔적을 찾아보려 하지 않는 이유

간단히 말해, 이것은 세계관의 문제이다. 현대 성서학은 창세기 초기 장들이 전설이 아닌, 다른 것(역사)로 간주하는 개념을 버렸다. 한 세기 이상 동안 창세기는 바빌로니아 신화, 특히 에누마 엘리시(Enuma elish)에서 창조와 홍수 이야기를 빌려왔으며, 창세기 1-11장은 바빌로니아 유배 기간, 또는 그 이후에 제사장인 편집자 'P'의 작품이라고 주장해 왔다. 다시 말해, 노아와 그의 아들들 같은 신화 속 인물이나, 신화 속 전 지구적 홍수를 찾아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이러한 의문을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바빌론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이러한 신화의 근원을 찾을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Photo 7024110 / Pyramid © Luciano Mortula | Dreamstime.com>


성경 : 노아와 대홍수

히브리어 성경은 그리스어 '아이깁토스'(Aigyptos, Αἴγυπτος)에서 유래한 오늘날의 ’이집트(Egypt)‘ 영토에 대한 이름과 노아의 가족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다.[1] 시편에는 이집트를 노아의 손자인, 함(Ham)의 아들 '미스라임(Mizraim)'으로 네 번이나(시 78:51, 105:23, 27, 106:22) 부르고 있으며, 이 셈어 명칭인 '미스라임'은 히브리어 성경에 약 680번이나 등장한다.

창세기 외에도 노아와 홍수는 역대상 1:4; 이사야 54:9; 에스겔 14:14,20 등의 구절에 등장한다. 신약성경에는 누가복음 3:36절의 예수님 족보에서 노아와 셈은 역사적 인물로서 등장한다. 예수님은 노아 시대의 홍수라는 현실을 바탕으로, 그분의 재림과 그에 수반되는 보편적인 죄의 심판을 언급하고 계신다(마 24:37-38, 눅 17:26-27). 신약성경의 기자들은 노아를 역사적 인물로서, 대홍수를 전 지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히 11:7, 벧전 3:20, 벧후 2:5). 성경이 일관되게 노아와 대홍수를 역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면,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 따라서 노아와 대홍수는 분명 어떤 형태로든 역사에 흔적을 남겼을 것이므로, 성경 외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500여 개가 넘는 홍수 전설들이 알려져 있지만[2],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찾아볼 것이다.


주의 : 홍수인가, 대홍수인가?   

이집트가 존재한 이래로 나일강은 매년 범람해 왔으며,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에 의존했기 때문에, 매년 홍수를 종교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파라오의 책임은 창조세계(마아트, ma’at)의 균형을 유지하여, 나일강의 홍수로 농작물과 건물이 파괴되거나, 수량 감소에 의한 식량 부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홍수'를 언급하는 모든 텍스트들은 문맥을 면밀히 파악하여, 나일강의 홍수를 성경의 전 지구적 홍수 개념에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3]


창세기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와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까지 살았다.

창세기 5장과 11장에 나오는 MT(마소라 사본)의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의 아들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에도 살아있었다. 이는 특히 연대기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더욱 분명해지는데(그림 1 참조), 노아가 죽었을 때 아브라함이 태어났고, 셈은 아브라함과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노아와 그의 가족들의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긴 수명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노아와 그의 가족들을 알고 있었고, 그들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사람들에게 노아와 그의 가족들은 놀랍고, 심지어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졌을 것이다. 게다가 노아의 가족들은 홍수 이전의 모든 지식, 기술, 역사,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참된 믿음을 가지고 홍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관련 질문을 하고,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탐색 사항 또는 예측들을 설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그림 2).

그림 1. 창세기 5장과 11장은 노아의 후손들이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after Paul Hansen[4]). (확대 사진은 여기를 클릭).


검토

성경 본문에 기초하면, 이집트는 바벨탑 이후의 문명으로 이해해야 한다(창세기 11:1-9). 노아와 그의 가족, 대홍수가 세속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집트의 초기 기록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카라(Saqqara)에 있는 제5왕조 피라미드는 BC 2321~2306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연대가 평가되어 있는데, 여기서 발견된 문서는 이집트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5] 그러나 성경적 시간틀을 가정할 때, 이러한 전통적인 이집트 연대는 피라미드의 건설 시기를 노아 홍수 당시(BC 2304±11년)로 설정하기 때문에[6], 받아들일 수 없다. 

창세기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노아의 아들 함과 손자인 미스라임은 노아의 가족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비록 이교화된 형태이긴 하지만) 이집트에 정착했다. 그러나 함과 그의 가문은 배교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창세기 9:20~27절의 의미에 비추어 볼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창조와 대홍수에 관한 설명은 우상 숭배로 인해 변질되었지만, 진실의 일부 측면이 간직되어 있었을 것이다.


노아와 그의 가족 : 신격화된 조상들

창세기 9:28~29절과 11:11절에 따르면, 노아와 셈은 각각 950년과 600년을 살았으며, 주변 사람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 지식의 총합을 새로운 세계로 가져가 새로운 삶을 시작한 노아와 그 아들들은 이교도 종교에서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관련 문헌에서 그들을 신으로 언급했을까? 따라서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파라오의 비문에서 홍수와 여덟 명의 기억에 대한 언급이 있는지 찾아볼 것이다.

노아의 그의 가족이 신격화된 조상으로서 이교적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면, 그들만의 성전과 사원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그들의 신전과 설화, 전통적 문서들에서 '8인 숭배(cult of the eight)'가 존재했을 것이 예측된다.

또한 노아, 함, 셈, 야벳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의 고유명사학(onomastics, 지명학이나 인명학)에 보존되어 있어야 하며[7], 만약 함이 그의 아들들에 지식 등을 전수했다면, 그 이름도 보존되어 있어야 한다. 히브리어 성경과 이집트 언어와 비교했을 때, 이름뿐만 아니라, 그 의미도 전승되었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문명의 창시자(founders)가 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발명가/선구자 시조'로 사용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즉, 발명한 사람들은 그들의 이름이 발명품에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8]

그림 2. 성경 본문을 기반으로 한 10가지 탐색 사항 : 1)가장 오래된 문서들, 2)이름들과 8이라는 숫자, 3)홍수 개념, 4)창조 개념, 5)신격화 된 조상들, 6)파라오 관련 문헌, 7)사원과 숭배, 8)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9)8명의 무덤, 10)이름들의 시조.


그렇게 긴 수명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아의 가족은 결국 죽었는데, 그들은 어디에 묻혔을까?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은 당연히 이집트에 묻혔을 것이므로, 홍수에서 살아남은 여덟 명의 무덤들은 실제 시신은 아니더라도, 그들에 대한 기억을 남겨놓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덤의 비문에서 그들과 대홍수를 분명히 언급하고 있는, 그러한 무덤이 있을까?

여기서 논의한 탐색 기준/예측은 노아와 그의 아들들, 대홍수를 다룬 성경 본문의 함의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것들이다. 그들의 경험은 비범했기 때문에, 세계사, 특히 이집트 역사 및 종교에 어떤 종류의 발자취를 남겼을 것이며, 이는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어디에서부터 시작할까? - 오그도아드(Ogdoad)의 소개

이집트학자들은 그리스어로 ‘오그도아드(Ogdoad)’로 알려진, '여덟 명의 신들 그룹(a group of eight gods)‘을 잘 알고 있다. 이 단어는 현대 상형문자 음역에서는 ḫmnw (Khemnw, 켐뉘)로 표기된다. 오그도아드는 후기 프톨레마이오스(Ptolomaic) 시대와 로마(Roman) 시대의 문서들에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신학적 추측을 불러일으켜 왔다.[9]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실버만(David Silverman)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watery abyss)에서 우주가 창조되었다는, 이집트의 우주론적 신학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 일련의 추상적 개념으로, 물(water, Nu, Nun)의 이름에 깃든 가장 기본적인 특성인 물성(nwj), 무한성(hhw), 어둠(kkw), 문자 그대로 '잃어버림(tnmw)', 또는 숨겨짐(jmnw) ... 이들은 보통 네 쌍의 남신과 여신으로 묘사되며, 서로 남성과 여성에 대응하는 이름을 갖고 있다 : 누(Nu, Nun)와 누네트(Nunet, Naunet), 헤흐(Heh, Huh)와 헤헤트(Hehet, Hauhet), 켁(Kek, Kuk)과 케켓(Keket, Kauket), 아문(Amun, Ammun)과 아무네트(Amunet, Amuanet). 이 여덟 신들을 '오그도아드(Ogdoad)'라고 하는데, 이들은 '최초의 신들 이전에 있었던 아버지와 어머니'인 창조주 신들로 숭배받았다..."[10]

고고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오그도아드의 가장 오래된 완전한 이름과 그림은 바하리야 오아시스(Bahariya Oasis)에 있는 엘-바위티(El-Bawiti) 제26왕조 무덤(BC 664-525년)에서 나온 것이다. 1942년 파크리(Fakhry)가 이곳을 발굴한 결과, 엘-바위티 마을의 부유했던 개인 무덤 4기가 발견되었다. 두 사람(Ba-n-nentiu and Ped’ashtar)의 무덤에는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그림이 새겨진 비문이 보존되어 있어 특히 흥미롭다(그림 3).

그림 3. 오그도아드가 공기의 신(air-god)인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1]).

그림 4. 오그도아드가 네 명의 신과 함께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2]).


그림 3(하단부)에 묘사된 오그도아드는 의인화된 뱀 머리(이집트인들에게 물과 관련된 생물)를 하고 있으며,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 위에는 카르투시(cartouches, 카르투슈) 안에 이름이 적혀 있다. 그림 4(하단)는 오그도아드를 원숭이(이집트인들이 창조 당시 첫 일출을 숭배하는 것과 관련된 생물)로 묘사하고 있으며[13], 이름 없는 그림이 중왕국 초기 신전의 비문에 등장한다(2부 참조). 두 그림 모두 오그도아드가 하늘을 지탱하는 공기의 신 슈를 도와주고 있으며, 위로 태양신 레(Re, Ra, 라)의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가 항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은 나중에 고대 파라오 비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집트인들은 이집트 우주론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이 창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즉, 눈(Nun, 이집트식 태고의 홍수 개념) 안으로 하늘이 다시 무너지는 것을, 창조물이 출현한 혼돈의 상태로 되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창세기 1장에 드러난 창조의 개념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며, 홍수 이야기에서 테홈(tehôm, Great Deep, 큰 깊음)의 역할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신들의 이름은 머리 위에 카르투시로 쓰여 있으며, 다음과 같다. 최고 신은 누(Nu)로, 노아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며, 누의 아내는 여성형인 누네트(Nunet, Naunet)이다. 다른 신들은 헤흐와 헤헤트, 켁과 케켓, 아문과 아무네트이다.[14] (이 이름들의 현대식 음역은 다음과 같다: nw, nw.t; ḥḥ, ḥḥ.t; kk, kk.t; jmn, jmn.t. 그 의미는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별도의 기사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남성 이름인 누, 헤흐, 아문, 켁은 노아, 야벳, 셈, 함의 이집트식 종교적 이름이라고 나는 확신한다(배우자 이름은 같은 이름의 여성형일 뿐이다). 이 이름들의 의미를 간단히 비교해 보겠다(표 2 참조). 이는 가설일 수 있지만, 별도의 글에서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의미 : 노아와 아들들 대 오그도아드의 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 이름의 의미는 관련된 음성 어근(phonetic roots, 일반적으로 단어의 핵심 소리를 형성하는 세 글자)에서 확립된다.[15] 이는 특히 창세기에서 볼 수 있는데, 창세기에서는 이름의 의미를 확립하기 위해서, 관련 소리 단어의 관점에서 이름을 자주 사용한다. 구약에는 80개 이상의 명시적인 어원(etymologies)들이 있는데, "사람과 장소를 지정하는 고유명사는 음성적 대응(일치)에 따라 의미 해석이 주어진다"는 것이다.[16] 노아의 이름의 의미는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를 예언적으로 명명할 때, "안위(comfort)"라는 관련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셈과 야벳의 이름은 술에 취한 후에 노아의 축복과 저주(창 9:25~28)에서 이해될 수 있다. 셈은 자신의 정체성/"이름(name)"을 여호와(YHWH)와 공유하며(셈의 하나님), 야벳의 축복은 "창대하게(enlarge)" 될 것이라고 말한다. 두 축복은 모두 아들의 이름에 해당하는 음성적 대응어를 사용하고 있다. 표준 히브리어 사전[17]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련 어근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를 정의한다(표 1).

표 1. 노아, 함, 셈, 야벳의 관련 어근


오그도아드 이름들의 의미는 그 이름이 등장하는 본문의 문맥적 증거에서 파생되었다. 이집트 학자 제랄딘 핀치(Geraldine Pinch)는 이 이름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

"누와 그의 아내 누네트는 태고의 바다(primeval waters)의 신들이고... 아문과 아무네트는 보이지 않는 힘(invisible power) 또는 생명의 호흡(breath of life)의 신들이고... 켁과 케켓은 태고의 어둠(primeval darkness)을 나타내고... 헤흐와 헤헤트는 태고의 바다에서 강한 해류(strong currents)를 형상화했을 것이다."[18]

"단일 헤흐(single Heh) 신은 '수많은' 또는 ‘영원’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였다."[19]

표준 이집트어 사전에 따르면[20], 표 2에서 선정한 오그도아드 이름과 어원을 공유하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21]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예는 일반적으로 이집트 고왕국(Old Kingdom) 시대에 나온 것이 선호된다.

표 2. 오그도아드 이름과 관련된 이집트어의 어근 


표 1과 2를 비교해 보면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오그도아드 남성 이름과 동등한 의미 또는 유사한 개념으로 겹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아(Noah) 이름의 "안위"와 "평안"의 측면은 nw라는 공통된 어근으로 공유되고 있다. 함(Ham)의 "어둠"은 켁(Kek)과 공유되고 있다. 셈(Shem) "이름"의 정체성은 "(이름의) 숨겨짐", "비밀" 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단어의 어근으로 나타나는 아문(Amun)과 공유된다. "창대"를 의미하는 야벳(Japheth)은 "수많은" 및 "영원"과 어근을 공유하는 헤흐(Heh)와 비슷한 개념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어근 nw, kk, jmn, ḥḥ 들은 모두  그 자체가 홍수(flood)라는 뜻이 들어있는데, 이는 주목할만한 관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성립될 수 있다 :

노아 ≈ 누

함 ≈ 켁

셈 ≈ 아문

야벳 ≈ 헤흐

이 연결은 흥미롭고 추가 조사가 필요하므로, 더 많은 증거들은 별도의 기사에서 논의할 것이다.

그림 5. 이집트 사카라(Saqqara)에 있는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개빈 콕스, 1999년 사진).


피라미드 텍스트에 나타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고왕국(Old Kingdom) 말기의 파라오 피라미드(현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사카라(Saqqara) 평야에 위치)의 벽과 회랑에 오늘날의 학계에서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로 알려진 글들이 새겨져 있었다. 사카라는 이집트에서 최초로 건설된 피라미드인 조세르왕(Djoser, 제3왕조)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가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림 5를 참조하라.[22] 제5왕조 텍스트는 사후 세계에 대한 매우 난해한 주문이 쓰여져 있는데, 고대 이집트에서 보존된 가장 오래된 종교적 언어 기록이다. 이러한 마법의 주문을 피라미드에 도입한 최초의 파라오는 제5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우나스(Unas, W)였다. 이 글들은 그의 매장실에서 발견되었다(아래 그림 6 참조).

표 3.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용어의 발생 빈도.


다른 흥미로운 피라미드들로는 페피 메리레 1세(Pepi Meryre I) 피라미드, 네이트 여왕(Queen Neith, Nt, 페피 1세의 딸) 피라미드, 메렌레(Merenre) 피라미드 등이 있다. 여기에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들이 발견되는데, 특별히 우나스 피라미드(Unas pyramid)에는 W 301§446로 철자가 되어 있는 두 쌍의 누와 누네트, 아문과 아무네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24] 네이트 여왕의 방에 있는 피라미드 텍스트 585§1580b-1581에는 오그도아드를 이름 없는 집단으로, 또는 그들에게 헌정된 도시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25](2부를 보라), 메렌레 피라미드와 페피 메리레 1세 피라미드(740§2270 and 585§1580b-1581)에서도 반복되고 있다.[26] 대홍수에 대해서도 두 용어가 등장한다. 신성한 칭호인 mḥy.t-wr.t("Great Flood")는 W 317§508에 등장하며, Nt 493§1059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대홍수(Great Flood) 위에 있는 오시리스(Osiris)처럼, 네이트(Neith)가 그곳에서 와서 네[페르](Ne[per])처럼 먹게 하소서."[27] "대홍수"의 다른 용어는 페피 1세 피라미드와 우나스 피라미드에서도 Ꜣgb.w-wr로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 학자인 포크너(R.O. Faulkner)의 번역본 PT311§498-500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

"...곤경에 처한 자들과 그것을 파괴하려는 자들과 함께 맹렬한 격랑(fierce roaring)(?)에 맞서라. 내가 당신에게로 향할 때, 그들이 반대하지 않기를 바란다... 대홍수(Great Flood)라는 당신의 이 이름..."

이 대홍수 제목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피라미드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모든 이름들은 신의 이름이거나, 인격체가 아닌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와 함께 우주적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에는 모든 사례가 요약되어 있다.

제시된 증거들로부터, '오그도아드'라는 용어는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와 함께 신성한(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피라미드 텍스트 전체에서 그 제목과 함께 등장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이름들은 가장 오래된 이집트 텍스트에 나타나기 때문에, 후대에 발명된 것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는 나중에 논의될 텍스트에서도 등장하는데, 그 범위는 우주적이고 종교적인 것이며, 나일강의 홍수와 관련하여 사용된 적이 없다).


관 텍스트 속의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이러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의 이름과 개념이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남아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려면, 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인 '관 텍스트(Coffin Texts, CT, 코핀텍스트, 관구문)'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관 텍스트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Middle Kingdom, BC 1980~1760년경)에 관(coffins)에 장식되어 있는 장례 주문(funerary spells)을 나타낸다(그림 7).[28] 관 텍스트라는 이름은 중왕국의 부유했던 이집트인들의 관 내부, 드물게는 관 외부에 잉크로 쓰여졌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29] 그리고 파피루스(papyri), 미라 가면(mummy masks),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무덤 벽, 석비(stelae) 등에서도 희귀한 텍스트가 발견되었다.[30] 관 텍스트는 찬가, 기도문, 마법 주문 등 다양한 장르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는 신, 악마, 사후세계의 장소에 대한 식별 등이 포함되며, 종종 매우 난해하고 뒤죽박죽이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31] 이러한 관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사후 세계에 대한 안내서로 간주하는 소장품으로, 고왕국의 피라미드 텍스트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32] 다음 관 텍스트의 기록된 주문은 오그도아드를 논의하는 관점에서 흥미를 끌 수 있다.

그림 6. 우나스 피라미드의 3D 평면도. (in Lehner)[23]


오그도아드의 일원인 헤흐(Heh)의 이름에서 따온, "8명의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이라는 제목의 글은 CT 76, 78-81[33] ('슈의 책(Book of Shu)'으로 알려져 있음. 슈는 공기의 신 이름)에 등장하며, "혼돈의 신들(Chaos-gods)"이라는 제목은 CT 48, 50, 75, 107에 등장한다. 이들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포크너의 번역에서 발췌).[34]

그림 7. 엘-비르사(el-Birsha)의 이것과 유사한 관에는 관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관 텍스트의 여덟 혼돈의 신들(Chaos-gods, Ḥeḥ-gods)

76:1 "하늘의 방을 책임지는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6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혼돈의 신들을 다시 낳은 나는... 7 내가 창조한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심연이 창조되었을 때 아툼(Atum)이 만든 너희들의 이름... 8 아툼이 혼돈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누(Nu)와 그 안에서 말을 했을 때..."

78:2 "너희 슈(Shu)가 잉태한... 누(Nu)가 낳은...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79:23 "너희 슈에서 나온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그 이름은... 아툼이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암흑 속에서 누의 말씀에 따라 창조한 것이다..."

80:1 "오,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너희 팔로 하늘을 에워싸는 진정한 혼돈의 신들아... 나는 혼돈의 신들을 만들었고 영원하다..."

81:3 "여덟 혼돈의 신들 위에 낭송되리니..."

107:118 "오 누(Nu), 혼돈의 신들과 함께..."

665:1 "게브(Geb)가 그 옆에 앉았고, 혼돈의 신이 나가고... 분쟁을 일으키는 자들은 처형(?)되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약탈을 일으키고, 홍수(Ꜣgb)를 예언하고, 투쟁이 올 때 정해진 것을 보고..."

1130:470 "내가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만들었다... 나를 위해 길을 준비하라, 누(Nuw)와 아문(Amun)을 볼 수 있게 하라."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신성한 이름, 또는 비인격적 암시가 있는 관 텍스트

포크너[35]의 관 텍스트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과 그에 상응하는 어휘들의 목록은 표 4에 나와 있다. 이들은 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있다.

표 4. 오그도아드의 이름 및/또는 우주적 힘이 등장하고 있는 관 텍스트들.


CT 1130은 켐뉘(Khemnw, Eight City, 후에 논의)의 시립묘지인 엘 비르사(el-Bersha)에서 발견된 다섯 개의 관(그림 7, 대영 박물관, EA30842)으로부터 알려진 것이다. CT 1130에는 대홍수(Great Flood)를 의미하는 Ꜣgb-wr 라는 용어와 함께, 오그도아드의 이름 누(Nu)와 아문(Amun)을 볼 수 있다. 문맥상 대홍수를 창조의 "좋은 행위"로 묘사하고 있는 것 같다. 그 후에 인류의 반역(sbi)과 불순종이 언급되고, 신의 눈물로부터 인간을 창조하는 것을 다루는 구절이 나온다. '홍수'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CT, Coffin Texts)에 등장하지만, 문맥이 혼동되거나(CT 1130의 경우처럼), 너무 짧아서, 어떤 종류의 홍수인지, 즉 유익했던 나일강의 홍수를 언급하는지, 우주적인 하늘의 홍수 또는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를 언급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위에서 언급한 CT 665는 예외일 수 있는데, 이는 헤흐(Ḥeḥ) 신에 의한 심판의 맥락에서 홍수 구절로 읽힌다.


이 CT(관 텍스트)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1. 오그도아드 이름은 중왕국의 관 텍스트(CT)에서 신들 이름과 우주적 힘으로 모두 등장한다.

2. 켐뉘(Khemnw, 오그도아드의 여덟 도시)와 여덟 혼돈의 신(ḥḥ)이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에 함께 등장한다.

3. nw는 신의 이름과 비인격적인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4. kk는 일반적인 우주적, 비인격적 용어이다.

5. nw, tnm.w, ḥḥ는 신들의 이름과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tnm.w는 PT 585§1579에서 파생된 오그도아드의 아문(Amun)의 대체 이름으로 인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6]

6.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힘의 중요한 사중주는 신성한 칭호인 여덟 혼돈의 신과 함께 나타난다: nw, kk, ḥḥ, tnm.w. 이 조합은 특히 CT 76에서 이 사중주가 12번, CT 79, 80에서 한 번씩 함께 명명된 것이 특히 두드러진다.

7. 켐뉘 + 혼돈의 신들은 CT 50에서 함께 등장하는데, 이는 오그도아드의 장소와 혼돈의 신들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8. CT 1130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누(Niw)와 아문(Amun)은 우주적 힘으로서 ḥḥ와 함께 나타나 있는데, 이들은 창조(creation), 인간의 반역(rebellion, sbi),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언급한 구절에서 등장한다.

9. CT에서 홍수라는 단어는 자주 등장하지만, 그 문맥이 너무 짧거나, 홍수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판단하기 너무 애매한 경우가 많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대홍수를 기록하고 있는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10가지 탐색 사항들 또는 예측을 확인해보았다. 이러한 예측은 대홍수, 노아와 그의 아들들이 종교와 문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을 고려한 것이었다. 성경은 이집트와 함, 그의 아들 미스라임을 분명히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이집트에 집중하였다.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문헌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제기되었다. 1부의 글은 이러한 목적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제26왕조 종교적 문헌에서 알려져 있던 8명의 신들 그룹(group of eight gods)이 유력한 후보로 확인되었고, 이들은 4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배우자인 여성 신들(그리스인들에게는 오그도아드로, 이집트인들에게는 '여덟'이라는 뜻의 켐뉘로 알려져있음)로 구성되었다. 이 신들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과 관련된 이집트의 우주론적 사상과 분명히 연결되어 있으며, 신들의 머리 위 카르투시에 쓰여진 완전한 이름을 갖고 있다. 오그도아드의 가장 우두머리인 남성 신은 누(Nu)라고 불리는데, 이는 성경의 노아(Noah)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다.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의 의미를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의 이름과 비교해 보면, 직접적인 의미나 병렬적인 개념 측면에서 흥미로운 연관성이 드러난다.

예측 1은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의 기록에서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들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5th Dynasty Pyramid Texts)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신성한 칭호(신들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텍스트들은 후대의 역사에서 알려진 ‘오그도아드(Ogdoad)’를 구성하고 있는 이름들과 함께, 켐뉘(Khemnw, 여덟 신 또는 오그도아드의 도시인 '여덟 도시'를 의미, 2부 참조)와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 중왕국의 관 텍스트(Middle Kingdom Coffin Texts)으로 알려진, 이어진 자료 기록들에서도 추적될 수 있다.

2부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에 대해 알려진 사례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장례 비문과 신전 비문을 포함한 후기 텍스트 자료들을 조사할 것이다. 별도의 글에서는 노아의 가족과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어적 의미와 종교적 측면의 연관성에 대해 더 조사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논문의 초기 초안을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시고, 익명의 검토자의 추가 의견을 제공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3년 3월 24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References and notes

1. “Egypt” is possibly derived from the Greek pronunciation/corruption of the ancient Egyptian name Hwt-Ka-Ptah(meaning “Mansion of the Spirit of Ptah”), being the temple of Aneb-Hetch, an ancient capital city of the first nome of lower Egypt, called “Memphis” by the Greeks.

2. Conolly, R. and Grigg, R.,Flood! Creation 23(1):26–30, 2000. Also, creation.com/many-flood-legends, accessed 8 February 2019.

3. There are specific Egyptian terms for the Nile flood e.g. Wb 3, 42.11–43.4; 13–14Hapj.

4. creation.com/images/pdfs/other/timeline_of_the_bible.pdf, accessed 1 February 2019.

5.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Leiden, p. 491, 2006.

6. Osgood, J. The Date of Noah’s Flood, J. Creation 4(1):10–13, 1981; creation.com/the-date-of-noahs-flood.

7. The study of the history and origin of proper names, especially personal names.

8. en.wikipedia.org/wiki/List_of_inventions_named_after_people.

9. The classic treatment of Sethe, von K.Amun und die acht Urgötter von Hermopolis. Eine Untersuchung über Ursprung und Wesen des ägyptischen Götterkönigs,, Berlin, 1929, and more recently Zivie-Coche, C.,‘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167–225, 2009, have concentrated on Roman and Ptolemaic sources for the Ogdoad.

10. Silverman, D.,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20–121, 1997.

11. Fakhry, A.,Baḥria Oasis Vol. 1, Cairo, p. 72, 1942.

12. Fakhry, ref. 11, p. 75.

13.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New York, p. 176, 2002.

14. Hornung, E. (Baines, J. trans.),Conceptions of God in Ancient Egypt: The one and the many, Ithaca, NY, pp. 218, 1996.

15. Weingreen, J., A practical grammar for classical Hebrew,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p. 99–100, 1959.

16. Marks H., Biblical Naming and Poetic Etymology, J. Biblical Literature114(1):21–42, 1995; p. 61.

17. Harris, R.L., Archer, G.L. Jr., and Waltke, B.K.,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Chicago, IL, 1980.

18. Pinch, ref. 13, p. 176.

19. Pinch, ref. 13, p. 139.

20. Grapow, H. and Erman, A.,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Berlin, 1961, and its online descendant at aaew.bbaw.de/tla/index.html, accessed 12 February 2019.

21. A separate article will offer more in-depth evidence. Only roots possessing the same hieroglyphic ‘spelling’ as used in the Ogdoad names were considered, and not merely their phonetic values.

22. Djoser’s pyramid was designed by the priest architect Imhotep who is arguably the most famous non-royal Egyptian.

23. Lehner, M.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Thames & Hudson Ltd, London, p. 155, 1997.

24. “Recitation. You have your bread-loaf, Nu and N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you have your bread-loaf, Amun and Am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Atlanta, GA, p. 55, 2005.

25. Silverman, ref. 10, p. 121.

26. “Recitation. Sun, Neith has negated crookedness for the Lord of the Ogdoad. [Neith] is the eighth [of them]”. Allen, ref. 24, p. 312. And Faulkner sup. 81.

27. Schenkel, W., Loprieno, A., and Quack, J.F.,The Organization of the Pyramid Texts, Brill, Boston, MA, p. 399, 2012.

28. Hornung, ref. 5, p. 491.

29. Faulkner, R.O.,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Oxford, UK, preface, 1969.

30. Hornung, E. (Lorton, D., trans.),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London, p. 7, 1999.

31. Lichtheim, M.,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 The old and middle kingdoms, Berkeley, CA, p. 131, 1973.

32. Bard, K.A. and Shubert, S.B.,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London, p. 972, 1999.

33. Faulkner, ref. 29, pp. 77, 81–87.

34. Faulkner, ref. 29, “Chaos-gods”, pp. 44, 47, 72, 78.

35.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 Spells 355-787,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7;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I: Spells 788-1185,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8.

36.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Atlanta, GA, pp. 435, 438, 2005.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94–101,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1

번역 : 양승원

미디어위원회
2023-05-23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orus—the deified Ham : part 1)

by Gavin Cox


    이집트의 많은 신들 중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신 중의 하나는 팔콘 태양신(falcon sun-god)인 호루스(Horus)였다. 이번 글은 두 번에 나누어(part 1, part 2), 창세기에 기록된 노아의 셋째 아들 함(Ham)의 삶에 대한 12가지 핵심 특색(motifs)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이집트의 증거들 중 가장 오래된 것에 집중하여, 묘사된 호루스와 비교할 것이다. 1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색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함은 아담으로부터 11대 후손, 2)‘함(Ham)’ 이름의 어원, 3)함의 가족은 8명, 4)함은 삼형제 중 막내. 이러한 함의 특색들을 호루스와 비교해보면, 이교도 이집트인들이 함(Ham)을 호루스(Horus)로 신격화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성경의 역사적 기초

 시편 105:23,27, 106:22에서 이집트(Egypt)는 노아의 셋째 아들인 "함의 땅(the land of Ham)"으로, 그리고 시편 78:51에서는 "함의 장막(tents of Ham)"으로 불리고 있다. 함과 미스라임(Mizraim, 함의 셋째 아들)은 시편 105:23에서 이집트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함께 나온다.

“이에 이스라엘이 애굽(miṣrāyim)에 들어감이여 야곱이 함(ḥām)의 땅에 나그네가 되었도다.”(시 105:23, 개역개정)

여기서 '미스라임(Mizraim)'은 성경 전체에 걸쳐 애굽(이집트)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이름이다. 함은 대홍수의 직접적인 목격자였으며, 그의 형 셈과 비슷한 나이까지 살았을 것이다(대홍수 이후 500년, 창세기 11:11). 노아의 가르침을 통해, 함은 창조와 대홍수 이전의 세계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는 그 지식들을 자연스럽게 후손에게 물려줬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이집트인들에 의해 이교화되었다. 대홍수 이후 함이 대단히 오래 살았고, 대홍수 이후 문명의 재건에 관여한 일, 그리고 홍수 이전의 세계에 대한 지식들은, 이집트인들이 그에게 신성한 지위를 부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함의 인생에 있어서 12개의 주요 특색 

함의 인생의 12가지 주요 특색(motif)들을 창세기 5~11장(표 1)에서 뽑아내어, 호루스와 비교할 것이다. 함이 호루스로 신격화되었다면, 이교적 방식이기는 하지만, 호루스는 식별 가능할 정도로 이러한 특색들이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이번 글(1부)은 특색 1~4를, 다음 글(2부)은 특색 5~12를 탐색할 것이다. 

 

함의 성경적 특색

함에 대한 기록

창세기 구절

1

아담의 11대 손

아주 오랜 수명을 산 아담의 11대 손에 위치함

5:1~32

2

이름의 어원

이름/특징이 육체적으로 폭력, 흙 같은 검은색, 태양의 열과 연관됨

6:11, 8:22, 11:3

3

8명의 가족

4명의 남자와 그들의 아내들

6:18, 7:7,13

4

총 3형제

함(막내), 셈, 야벳(장자)

5:32, 6:10, 7:13

5

아버지 노아

노아(저주받은 땅을 위로하는 이름)

5:9~32 6:8~10

6

방주(300×50×30 규빗, 3층)

방주로 들어간 노아와 가족

6:15~16, 7:11, 8:16~18

7

대홍수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

6:17

8

노아의 저주와 축복

함의 죄(형제 간 원한), 성적 무력화(랍비의 추정-거세), 정치적 지위 추락

9:22,24~27

9

함의 4 아들

구스, 미스라임, 붓, 가나안

10:1

10

동쪽에서 시날 땅으로 이동

바벨탑 사건에서 여호와가 인류를 흩으신 이후(함과 아들들 포함)

11:2,8~9

11

‘함의 땅’

시조인 함의 이름을 딴 애굽(Egypt)

시편 105:23 등

12

긴 수명의 삶

셈과 비슷한 수명을 살았을 것으로 보임

11:11

표 1. 함(Ham)의 인생의 12가지 주요 특색들

 

1부와 2부 글 모두 각 특색들에 대해 가장 오래된 이집트 문서들의 증거에 집중하여, 이러한 연관성을 탐구할 것이다. 탐구에 앞서 호루스가 누구였는지에 대한 간략한 논의가 순서일 것이다.

 

팔콘(매) 태양신 호루스의 소개

호루스(Horus)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이며, 적어도 이집트 왕조 시대(Dynastic Period) 초기부터 있었으며, 친숙한 형태로 ‘호루스의 매(Horus falcon)’가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Narmer Palette)에 나타난다(그림 1).

그림 1. 나르메르 왕의 실트석 팔레트, 나르메르와 호루스가 적을 정복하는 모습. (Siltstone Narmer Palette (recto), CG14716 Narmer and Horus vanquishing foes).

그림 2. 검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호루스 조각상, 에드푸의 호루스 신전. (Horus statue in black granite, Temple of Horus, Edfu.)

 

호루스(Horus)는 그의 아들,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고왕국 피라미드 문서(Old Kingdom Pyramid Texts, OK PT)’에 나타난다(2부 글 참조). 호루스는 매(falcon, 그림 2), 또는 매의 머리를 한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다. 호루스는 태양의 한 형태로서, 창조의 신(a creator god)으로 여겨진다. 그의 아버지는 오시리스/게브(Osiris/Geb)였고, 유명한 세트(Seth)를 형제로 두고 있다. 이 가족과 관련된 신화는 오시리스가 살해된 후,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투쟁을 포함하고 있다(2부 참조). 여기에서 두 형제는 폭력적인 지배권 다툼으로 서로에게 상처를 입힌다. 호루스는 눈 하나를 잃게 되고, 그것은 달(토트, Thoth)로 신격화되었으며, 건강한 눈은 태양(레, ReꜤ)으로 신격화되었다. 호루스의 다양한 면들은 별개의 신들이 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 호루스(Horus the child)', '노인 호루스(Horus the elder)', ‘태양 형태의 호루스’ 등이 있다. 파라오(Pharaohs)는 호루스의 살아있는 화신이 되었고, 그들의 '호루스 이름'을 받았다. 죽으면 그들은 호루스의 매처럼 하늘로 날아가서, 영원히 하늘을 가로지르는 태양 배(solar barge)에 있는 태양신 레(, 라)와 합류한다고 믿고 있었다.[1] 호루스에 대해 많은 것을 쓸 수 있지만, 나의 두 글은 노아의 셋째 아들 함과 호루스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로 제한하여 말할 것이다.

 

 특색 1. 아담의 11대 손 : 함과 호루스의 비교

 

창세기 5:1~32 연대기에 의하면, 함(그의 형제들과 함께)은 아담의 11번째 후손으로 위치하고 있다.[2] 호루스에 관한 이집트 신화에서 유사한 연대기적 관계가 식별될 수 있을까? 이집트의 고왕국 피라미드 문서에는 엔네아드(Ennead, 九神)라고 불리는 9명의 신들의 그룹이 기록되어 있다. 그들의 표시는 9개의 깃발(9 flags), 또는 수직 선(vertical dashes)이었다 : psḏ.t (Wb 1, 558.12). 그들은 Pepis II PT-600§1655에 수록되어 있다 :

"오 헬리오폴리스에 계시는 위대한 아홉 분이여! - 아툼(Atum), 슈(Shu), 테프누트(Tefnut), 게브(Geb), 누트(Nut), 오시리스(Osiris), 이시스(Isis), 세트(Seth), 네프티스(Nephthys) - 아툼의 자손들이여!“

 "위대한 엔네아드(The Greater Ennead)" psḏ.t-ꜤꜢ .t(Wb 1, 559.5)에는 토트(Thoth)와 호루스가 포함되어 있다. 방관자로 나타나는 (아버지 또는 형제) 오리시스(Osiris)가 설명될 때, 호루스의 위치는 아툼에서부터 11번째로 나타난다. Unas PT-219§167–177 :

"아툼... 슈...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토트(Thoth)... 호루스."

이전 글[3]에서 나는 아툼(Atum)이 이집트인들이 기억하는 이교화된 아담(Adam)이라고 주장했다. 여기 PT-219§167–177에서 호루스는 ‘위대한 엔네아드’ 내에서 오시리스를 방관자(bystander)로 고려할 때, 아툼으로부터 11번째에 위치한다. 이것은 창세기 5:1~32절의 족보에 대한 이교화된 기억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함(및 형제들)은 아담으로부터 11번째 줄에 서 있다. 엔네아드는 하나로 통합된 그룹(전형적으로 9명)으로 생각되었지만, 증거에 따르면(예: PT-600§1655), 그들은 동시에 아툼의 연속적인 자손으로 고려될 수 있다.[4] 그러나 ‘위대한 엔네아드’들의 나이는 어떻게 될까? 여기 창세기 5:1~32의 족장들의 수명과 비교될 수 있을까?

그림 3. 제19왕조의 튜린(토리노) 왕의 목록(19th Dynasty Turin King List, in hieratic script).

 

제19왕조의 튜린(토리노) 정경 파피루스(Turin Canon papyrus, 그림 3)는 많이 손상되었지만, 이집트의 초기 역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문서에서 이집트 초기 왕조의 통치자들은 "호루스의 계승자들(Followers of Horus, asšms.w-ḥr.w) (Wb 4, 486.16–19)로 기술되어 있다. 호루스는 1열과 2열(단편 11, 150)에서 세트(Seth), 토트(Thoth)와 함께 특별한 통치 기간을 가진, '신과 반신반인' 사이의 위치로 나타난다.[5] 흥미롭게도 목록의 첫 번째 이름들에는 호루스, 세트, 토트(위대한 엔네아드로부터 알려진)에 더하여, 창조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코펜하겐 대학의 이집트학 교수인 리홀트(K. Ryholt)의 설명에 따르면,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왕들은 신(gods), 반신반인(demigods), 정령(spirits)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첫 번째 이름[n ib[...]]은 땅과 물이 모든 곳에 존재하기 이전의 원시 바다와 관련될 수 있다. '해변의 흙(clod of the shore, pns.t n spt)이라는 이름은 생명체가 없던 물질인 땅에서 생명체를 창조한 것을 가리키는 말일 수밖에 없다. 뒤에 나오는 두 이름('고귀한 여성의 소유주(possessor of noble women, ẖrḥm.wt-šps.w[t])‘와 '[고귀한?] 여성의 보호자(protector of [noble?] women, ḫw-ḥm.wt-[šps.wt?])’는 아마도 여자의 창조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더 아래에 있는, 2열의 사라진 부분에는 반신반인에서 정령으로의 추가 전환이 있으며, 이는 3열의 처음 9줄에서 계속된다. 정령은 일반적으로 선사시대의 왕들로 해석되어왔다. 하지만, 왕들의 목록(King-list)이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많은 역사적 중요성을 부여해야할 지는 불분명한 채로 남아있다.”[6]

 이것은 창세기 5:1~32절에 기록되어 있는, 아담(흙으로 만들어진)과 이브에서부터 시작되어 계승되고 있는 연대기적 인물들에 대한 이교화된 언급처럼 들린다. 9개의 잃어버린 행에는 위에 설명된 신화적 통치자의 숫자가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파피루스 문서가 창조부터 대홍수까지 창세기와 평행을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에 대해, 가이사랴의 주교였고 로마의 역사가이자 해석가였던 유세비우스(Eusebius, AD 260년경~339년)는 길을 잃지 않았다. 그는 마네토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다. 1964년 와델(W.G. Waddell)은 유세비우스의 아르메니아어 버전 번역본에서 그가 생각한 바를 이렇게 말했다 :

“마네토(Manetho)가 자신의 해석을 세 권의 책으로 집필한 ‘이집트 역사(Egyptian History)’에서, 신들, 반신반인, 죽은 자의 정령, 그리고 이집트를 다스린 필멸하는 왕들을 다루고 있다... [유세비우스는 이 신들을 그리스 이름으로 족보(계보) 상으로 나열하고 있다]... 태양력 2,206년에 해당하는 태음력 24,900년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제 이 숫자들을 히브리 연대기와 비교해 보면, 그것들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집트는 히브리인들에 의해 메스트라임(Mestraim, 미스라임)이라고 불린다. 메스트라임은 대홍수 이후 오래 살지 못했다. 대홍수 후에 노아의 아들 참(Cham, or Ham(함))이 메스트라임(Mestraim, or Aegyptus(에집투스, 아이깁투스))을 낳았다. 노아의 후손들이 흩어지기 시작할 때에, 그는 이집트에 처음으로 정착한 자였다. 이제 아담으로부터 대홍수까지의 전체 시간은 히브리인들에 따르면 2,242년이었다...”[6]

(칠십인역(extended LXX) 연대기에 의존하는) 유세비우스는 이집트 연대기가 월 단위로 계산되어야 한다는 있을 법하지 않은 주장을 한다. 각주에서 와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Fn. 1) 왕조 이전 시대는 한 그룹의 신들로 시작되는데, 이들은 멤피스에서 숭배되었던 형태로 헬리오폴리스의 위대한 엔네아드(Great Ennead of Heliopolis)로 구성된다… 튜린(토리노)의 파피루스에서 신들은 동일한 순서로 기록되어 있다 : 프타(Ptah), 레(Rê), 슈(Shu), 게브(Geb), 오시리스(Osiris), 세트(Sêth, 200년), 호루스(Horus, 300년), 토트(Thoth, 3126년), 마아트(MaꜤat), 하르(Har) … "[6]

 “(Fn. 5) '반신반인들(Demigods)'은 죽음의 정령(Spirits of the Dead)과 동격이어야 한다… 이들은 아마도 튜린(토리노) 파피루스에서 호루스의 추종자 또는 숭배자였던 셈수 호르(Shemsu Hor)일 것이다…

 유세비우스가 사건을 과장하긴 했지만, 튜린 문서와 아담에서 노아의 가계에 이르는 창세기 연대기의 이집트 버전인 ‘위대한 엔네아드(Ennead, 구신)’는, 비록 이교도 형태로 기록 보존되었지만, 함에 대한 원래의 기억으로부터 유래했고, 함은 호루스로 신격화된 것으로 보인다.

 

특색 2. 호루스와 함이라는 이름의 어원 : 폭력, 검음, 뜨거움

 

함의 이름의 어원(Etymology of Ham’s name)

이전 글에서 논의한 바와같이[8], 함의 이름은 히브리 텍스트 내에서 비슷한 소리를 내는 단어에 대한 음성학적 연결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성서학자들은 이것을 'paronomasia'(언어유희, 말장난)이라 한다. 창세기 6:11절에 홍수의 원인이 나오며, 이 땅에는 하마스(ḥāmas) 즉, "폭력(violence), 그릇됨(wrong)"(HALOT-2980)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말한다. '함(Ham)'과 음성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11절에서 명백하다(아래 주황색으로 강조 표시된 텍스트 참조).

       

“세 아들을 낳았으니 셈과 함(hām)과 야벳이라 그 때에 온 땅이 하나님 앞에 부패하여 포악함(ḥāmās)이 땅에 가득한지라”(창세기 6:10-11).

 신학자 무쉐 가르시엘(Moshe Garsiel)은 언어유희에 대해 언급하기를

“… 여기서 단순히 건전한 언어유희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함과 '불법' 사이의 연관성을 암시한다. 나중에(9:22-27), 이 아들은 실제로 형제들에 비해 자신의 본성이 열등하다는 것을 드러낸다”[9]

 하마스(ḥāmās)라는 단어는 창세기에 세 번 나온다(6:11, 13; 49:5). 이 단어의 의미는 창세기 49:5절에서 야곱의 저주와 그의 아들들의 축복에서 분명해진다. 문제의 구절은 이렇게 말한다.

"시므온과 레위는 형제요 그들의 칼은 폭력(ḥāmās)의 도구로다".

 문맥상 단순한 도덕적 잘못이 아니라, '폭력(violence)'을 구사했다는 것이다. 이 하마스(ḥāmās)의 특별한 면은 홍수 심판을 초래한 바로 그것이었다. 홍수 이후에 '함'에 대한 음성학적 연결은 두 개 더 발견될 수 있다.

 

1. 여호와께서 노아와 그의 가족과 언약을 맺으시며, 확실한 계절(창 8:22)과 추위와 ‘더위’(heat, ḥōm)가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땅이 있을 동안에는 심음과 거둠과 추위와 더위(heat, ḥōm)와 여름과 겨울과 낮과 밤이 쉬지 아니하리라.”

2. 함의 손자 니므롯(Nimrod)은 바벨탑을 건축함으로써(창 10:8~10) 인류의 두 번째 심판을 야기시켰다. 카수토(Cassuto)는 특히 바벨탑의 건축 재료에 내포된 창세기 11:3절의[10] 언어유희에 주목했다. 

       

… wəhaḥēmār hāyāh lāhem laḥōmer

“… and the bitumen hath been to them for mortar

“... 역청으로 진흙을 대신하고”(창 11:3, YLT)

바벨의 반란은 바벨탑의 건축을 통해 실현되었는데, 여기에는 특별히 땅에서 얻어진 검고, 어두운 색의 물질인 역청이 회반죽용으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 ḥēmār(역청)는 구약에서 세 번 더 나온다. 다음은 창세기 14:10절에 소돔과 고모라 왕들이 '역청 구덩이(tar pits)'에 빠진 내용이고, 그리고 출애굽기 2:3절에는 애굽에서 갓난아기 모세의 광주리를 역청(tar)으로 방수한 사건이 나온다. 다음으로 ḥōmer 는 출애굽기 1:14절에서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인들을 위해 흙 이기기를 할 때 나온다.

이들 유사한 '어휘'(ḥāmās, ḥōm, ḥēmār, ḥōmer)들은 음성학적으로 함(Ham)과 연결된다. 함의 이름에 대한 이론적 의미는 창세기의 초기 장들에서 비슷한 소리를 내는 히브리어 단어들과 비교할 때, 확립될 수 있다.[11] 표 2는 음성학적으로 히브리어 단어들과 그 의미를 연결하는 최초의 출현을 나열하고 있다. 이는 함이라는 '이름'이 사용하는 어휘와 의미 범위를 제공하며, 함이란 이름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표 2. 음성학적으로 ‘Ham’과 동등한 단어, 의미 및 가장 오래된 사례들(음성 어근은 주황색으로 강조하여 표시함)

 

표 2에 제시된 증거로부터, 창세기(및 고대 욥기)에 나오는 히브리어 단어들에서 음성학적으로 함의 이름과 연결되는 세 가지 주요 개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폭력' 2) (흙) '검음/어두움' 3) (태양의) '열'. 그래서 어원학적으로 함의 이름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세 가지 개념이 호루스에도 통합되어 있을까? 다음 증거(A~C)는 이것이 사실임을 지지해 준다.

 

히브리어 및 이집트어와 관련된 함의 이름에 대한 음성학적 고려 사항

히브리어 단어 ḥām(함)에서 초성은 무성(無聲) 인두 마찰음인 'ḥ', 중성 (히브리어 기호) 알레프 'a' 모음, 종성 양순비음(兩脣鼻音) 'm'으로 발음된다.[11] 또한 'ḥ'는 목구멍 마찰음 'ḫ', 'ẖ'와 함께 그룹화되어 발음된다.[12]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무성(無聲) 정지' /k/와 /kh/(ḳ 제외)는 이집트어에서 공존했으며, 콥트어로 살아남았다. 예를 들어 ⲕⲏⲙⲉ ⲭⲏⲙⲓkm.t('이집트')의 두 가지 형태를 나타낸다.[13]

셈어(Semitic)인 외래어가 이집트어로 번역된 증거를 통해[14], 히브리어 ḥeth(חֽ)는 이집트어에서 일관되게 /ḥ/로 표기된다. 히브리어 kaph כּ는 이집트어로 /k/ 또는 /g/로 표기되며, /ḥ/로 표기하지 않는다. 양음 기호 km(km.t 에서와 같이)을 포함하는 단어들은 셈어와의 교환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음성학적 증거로는 히브리어 Ḥam과 이집트어 km이 표면적인 음성학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관련된 이름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검은'(욥기 3:5, hapax legomenon)과 '뜨거움'(창세기 43:30, 세 번 등장)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의 두 가지 예는 히브리어 'k'로 철자가 표기되어 있어 음성학적 관계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이는 추가적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A) 폭력적인 호루스는 공격자-정령(attacker-spirit, kk)이다.

다음 텍스트 증거는 호루스를 투쟁, 폭력, 전쟁과 연관시킨다. 예를 들어, 신성한 별칭인 tkk는 '공격자, 공격하다'라는 뜻이다. 어근 kk의 중요성은 ‘특색 3‘에서 논의될 것이다. 이것은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OK PT, Old Kingdom Pyramid Text)에서 찾을 수 있다 :

Teti PT-292§433a.

ntk tkk.n tk.j jkn-hj

"당신은 뱀(jkn-hj-Snake)을 공격한 공격자(attacker attacked)입니다!"

중왕국 관 텍스트(Middle Kingdom Coffin Text, MK CT)에서 호루스에게 적용된 ‘공격자’에 대한 설명과 별칭이 설명되어 있다: CT-885.

jntk tkk ntk ḥr.w nn.w sp-2 ḏ.t r p.t

“당신은 공격자, 당신, 호루스! 코브라여 하늘에서 지쳐 가라앉아라!”

‘이집트 사자의 서’(The Egypt Book of the Dead, BOD)는 호루스의 폭력을 미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장(제22 왕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시리스(Osiris N.)는 그의 모든 적들이 쓰러지고 전복되고 죽임을 당했기 때문에, 4번이나 찬양을 반복했다. 이시스의 아들이자 오시리스의 아들인 호루스는 그의 모든 적들이 쓰러지고 전복되고 살해되었기 때문에 수백만의 희년을 반복했다. 그들은 동방인의 도살장인 사형장으로 끌려갔다. 목이 잘리고, 목이 졸리고, 팔이 잘리고, 심장이 제거되었다. 그것들은 계곡에서 (위대한) 절멸자에게 주어졌다. 그들은 결코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15]

이집트 학자인 블랙맨(A.M. Blackman)과 페어맨(H.W. Fairman)은 호루스를 전쟁의 신으로 인정하고 있다. 호루스는 이집트의 창시자로서, 역사적으로 실재했을 수 있다.

“정커(Junker)는 다음과 같은 이유 있는 의견을 표명했는데, 에드푸(Edfu)의 신인 베르데트(Behdet)의 호루스는 전사의 신이자, 신성한 왕이었으며, 그의 업적에 대한 이야기는 궁극적으로 역사적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 세테(Sethe)가 그의 ‘Urgeschichte(원역사, prehistory)’에서 제시한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그 근거는 왕조 이전 시대에 에드푸를 거점으로 한 헬리오폴리스의 호루스 왕이 옴보스(Ombos)와 남부 이집트의 왕인 세트(Seth)와 벌인 전쟁에서 찾을 수 있다.”[16]

 

B) 함과 호루스의 비교 : (흙 같은) 검은색/어둠

이집트어로 '검은색(black)'을 뜻하는 중요한 단어는 km(Wb 5, 124.10-12)이며, 이집트의 이름인 km.t는 검은 비옥한 나일강의 충적토를 가리키는 "검은 땅(the black land)"을 의미한다(part 2 참조). 위의 논의에서 이집트어 'km'와 히브리어 'Ham'은 '흙빛의 검은색/어둠'이라는 의미상 동일한 개념이다. 여기서 우리는 함과 이집트의 이름들에 내재된 검은 흙빛과 즉각적으로 명료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새까만 호루스

이집트학자 알렌(T.G. Allen)은 "호루스는 그의 이름 km-wr에서 볼 때, 검고 위대하다(또는 '매우 검다')"라고 말했다.[17]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PT-600§1657a–1658d.

(§1657a) ḥr.w… (§1658a) km.t wr.t m rn=k n(.j) ḥw.t-km-wr … (§1658d) ḥr.w

호루스 ... 당신은 검고, 거대한 검은 [황소]의 집(House of the Great Black [Bull])'이라는 이름에서 위대하고/매우 검습니다... 호루스...”

그림 4. 태양원반(solardisk)을 갖고 있는 아피스 황소(Apis bull, 검은 사문석(black serpentine)), BC 400~100년, 클리블랜드 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

 

프랑스의 이집트학자 에밀(Émile Chassinat)은 "아주 초기 단계"부터 km-wr이 호루스를 의미했으며[18], 아트리비스(Athribis)의 검은 황소(black bull)는 호루스의 화신으로 숭배되었다고 말한다.[19] 예를 들어, 카바시(Khabash, 제31왕조의 파라오) 2년에 죽은 그의 아피스 황소의 석관에 새겨진 비문은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 : "아피스-오시리스(Apis-Osiris)와 호루스 검은 황소(Horus the black bull)에 의해서 사랑받았던..."[18] 에밀은 이렇게 말했다 : "위대한 검은 황소'의 지위는 오시리스에 대한 지역적 의례에 기인하며, 그를 황소의 화신인 호루스와 연관시키고 있다."[20] (그림 4).

호루스는 또한 "어둠"(darkness, kk)에 거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8th Dyn.) pKairo G51189 (pJuja), Tb153.

ḥr.w {tw} pw ḥmsi(.w) wꜤi.yw m kk.w jw.tj mꜢꜢ=f“

”저것은 어둠 속에 홀로 앉아 있는, 보이지 않는 호루스입니다.“

이제 나는 어근 kk(특색 3에서)를 포함되어있는 호루스 별칭의 의미로 돌아가겠다.

 

C) 태양의 뜨거움 : 호루스와 함의 비교

창세기 8:22절의 “계절에 관한 언약”에서 태양의 열(heat)을 설명하기 위해 ‘ḥōm’을 사용한다. (그래서 태양의 '열' 개념을 포함하도록 함의 이름의 의미 범위를 확장함). 호루스는 근본적으로 태양 및 열과 연결되어 있으며, 가장 이른 시기부터 태양신 레-하라크티(RēꜤ-Ḥarakhti, raw-ḥr.w-Ꜣḫ.tj)로 숭배되었고. 이는 태양신 레(RēꜤ, 또는 라)와 '지평선에 거하는' 호루스를 결합한 삼중의 별칭이다.

이집트학자 앨런(T.G. Allen)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호루스의 눈(The eye of Horus)은 더 나아가 태양과 동일시되었다...Pyr. 698, 레(Re)와 호루스(Horus)를 동일시하고 있거나, 원래 호루스 자신이 거주하는 장소로 추가되어 가정된 사례이다.”[21]

예를 들어, Pepis II, PT-402§698d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ppy|)(|nfr-kꜢ-rꜤw|)pw jr.t tw n.t{ḥr.w} ‹raw› sḏr.t jj.t msi.t raw-nb.

“페피 네페르카레(Pepi Neferkare)는 매일 밤에 잉태되고 태어나는 호루스 (레)( {Horus} ‹Re›)의 눈이다.”

이집트학자 에드워드(S. Edwards)는 피라미드 "T[eti]에는 레의 눈이 있고, N[eith]에는 호루스의 눈이 있다"[22]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호루스와 레가 동의어로 생각되었음을 의미한다. 호루스의 눈의 불꽃과 열은 특히 중왕국 관 텍스트(MK CTs)에서 자세히 설명되고 있된다. 예를 들어, CT-313:91에는 :

“나는 신성한 이시스(Isis)에게서 태어난, 오시리스(Osiris)의 아들 호루스이다. 나는 켐미스(Chemmis)의 왕이고, 내 얼굴은 신성한 매의 얼굴이다. 나는 화염 속에서 내 눈을 창조했다… .”[23]

이집트 학자 송크와일러(R.L. Shonkwiler)는 호루스가 태양의 열과 불꽃(heat and flame)에 의해 태어났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태양의 아이(solar child)'인 호루스는 불꽃에 의해 잉태된 후, 불의 섬에서 태어났다."[24]

호루스의 또 다른 별칭은 고왕국 피라미드 문서(OK PT)에서 그를 "불같은 숨결(fiery breath)"(Wb 1, 471.16) bḫḫ.w와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Unas PT-313§503a–503b.

ḥr.w sp 2 sbn(|wnjs|) [j]m m bḫḫ.w pn ẖr jkn.t nṯr jri=śn wꜢ .t n(|wnjś|) śwꜢ(|wnjś|) jm =ś(|wnjś|) pj ḥr.w

"... 호루스(두 번) ... 저 타오르는 불빛 우나스(Unas) 안에 있고... 아래에.. 신들이

그들은 우나스가 그 길을 지나갈 수 있도록, 우나스를 위한 길을 닦는다, 우나스는 (하나의) 호루스이다."

더욱이, '타오르는 불빛(‘fiery glow, bḫḫ.w(ḫḫ))의 음성학적 어근은 고왕국(Old Kingdom)의 신성한 이름 ‘황혼(twilight)’(jḫḫ.w, Wb 1, 126.5)과 공유된다. 즉, Teti PT-421§751b는 kk 어근 단어와 음성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특색 3 참조).

 

특색 2의 요약

성경의 함(Ham)과 마찬가지로, 호루스(Horus)는 다음과 같은 개념과 동의어이다. A) (물리적) ‘폭력’(tkk); B) (흙빛) ‘검음’(km)/‘어두움’(kk)/ ‘황혼’(jḫḫ.w) C) (태양의) ‘열’(bḫḫ.w). 어근 ‘kk’ 의 의미는 특색 3에서 논할 것이다.

  

특색 3. 8명의 가족 — 호루스와 함의 비교

 

창세기(6:18 등)는 함이 4명의 남자와 그들의 아내로 구성된 8명의 가족의 일원이었음을 알려준다. 고대 이집트에는 4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아내 신들로 구성된 8명의 신 그룹(Ogdoad)이 있었으며, 이들의 이름은 고왕국 피라미드 문서(OK PT)에 나타난다. 이전 기고문에서[25] 나는 이 그룹이 노아 가족의 이교화된 기억을 나타낸다고 결론내렸다. 호루스가 신격화된 함이라면, 호루스도 8명의 가족과 연결되어 있을까? 아래에 제시된 증거들은 그랬음을 가리킨다. 특히, Kek(kk)과 Keket(kk.t) 쌍의 이름들이 들어있는 오그도아드(Ogdoad, ‘8’을 뜻하는 그리스어, 여덟 신의 무리)가 그 예이다.[11]

위에서 설명한 함(Ham)의 의미처럼, 호루스(Horus)도 비슷한 개념으로 연결된다. 즉, ‘공격자’(tkk), ‘어둠/황혼’(kk, jḫḫ.w), 및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뜨거움’(bḫḫ.w)과 연결된다. 오그도아드 kk는 음성학적 어근 kk가 포함된 단어에서 의미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ḫḫ를 비교해보라). 따라서 성경의 함, 호루스, 오그도아드 쌍들 kk(.t) 사이에는 의미적으로 공유되는 범위가 존재한다.

호루스와 오그도아드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문서나 그림 증거로는 [사자의 서, BOD, Book of Dead’s Spells](그림 5~7)에서 나온 것이 있다.

 그림 5. 후네페르의 사자의 서(BOD)의 삽화. 17장, EA9901-8,c. BC 1292~1190. 이집트 제19왕조. (from Budge[26] plate 1). <E.A.W. Budge/Public Domain>

 

이집트학자 버지(E.A.W. Budge)는 ‘사자의 서’ 17장(그림 5)에서 후네페르(Hunefer)의 삽화의 맥락을 설명한다.

"일출(The sunrise). 아치형 하늘 아래에는 뱀(serpent)으로 둘러싸인 원반을 머리에 얹은 한 마리의 매[hawk, 호루스]... 라-하르마키스(Ra-Harmachis, 원문 그대로)가 서 있다. 오른쪽에는 세 마리, 왼쪽에는 네 마리의 원숭이들이 있는데, 이는 해가 뜨자마자 원숭이로 변하는 새벽의 정령(spirits of the dawn)들을 상징한다. 수반된 전설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라(Ra)가 지평선에 떠오를 때, 경배하라. 오! 이 원숭이들, 라-하르마키스를 숭배하라.'”[26]

그림 6에서 보듯 ‘사자의 서’에서 나온 다른 증거들은 호루스를 오그도아드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이집트학자 버지(E.A.W. Budge)는 이 삽화의 맥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케멘누(Khemennu, 오그도아드 도시)의 이중 계단 꼭대기에 누워 있는 안하이(Anhai, 원문 그대로)의 미이라 … 여덟 개의 흰색 디스크[Khemennu/Ogdoad를 나타냄]는 푸른빛의 땅 위에 있다 … 누 신(god Nu, 노아처럼 들린다)이 딱정벌레와 태양 원반, 그리고 일곱 신들을 실은 배를 들어올리고 있다 … .”[27] 

그림 6. 아니(Ani)의 파피루스 EA10470. 누(Nu)가 호루스(뒷면, 왼쪽)와 의인화된 7명의 신들이 탄 태양의 배를 들고 있다. 아마도 오그도아드(Ogdoad)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from Budge[26], plate 8).

 

여기서 질문해야 할 의문점 하나는 태양의 배(solar bark)의 모양이다. 만약에 그것이 방주를 의미한다면, 노아의 방주와는 모습이 같지 않다. 신성한 배는 평평한 용골, 눈에 띄게 높고 구부러진 뱃머리, 선미 및 고정된 후방 노가 있다. 이 특별한 모양은 2부(특색 10)와 그것의 치수(특색 6)에서 설명할 것이다.

 

여덟 명의 신들과 호루스

'새벽의 정령(spirits of the dawn)'들은 일반적으로 첫 일출을 알리는 여덟 마리의 개코원숭이(baboons)었으며, 이는 오그도아드(Ogdoad)를 의미한다. 이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오아시스 바리아(Bahria Oasis)에 있던 제26왕조의 반넨티우(Ba-n-nentiu) 무덤 벽의 비문에서 입증되었다. 그림 7의 아랫 부분에서 원숭이 형태의 오그도아드를 보여주며, 윗 부분에서는 태양으로 숭배받는 호루스와, 다양한 신들을 태운 태양의 배가 하늘을 가로질러 항해하고 있다. 

그림 7.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수(Shu)를 돕는 개코원숭이(아랫 단)들로서 오그도아드. (from Fakhry28).

 

오그도아드(Ogdoad) 위에 쓰여진 카르투슈(Cartouche,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하던 상형문자 기호 중 하나로 파라오의 이름을 둘러싸는 테두리)는 다음과 같다(오른쪽에서 왼쪽으로) : 누(Nu), 누네트(Nunet), 아문(Amun), 아무네트(Amunet), 헤헤트(Hehet), 헤흐(Heh), 케켓(Keket), 켁(Kek). 또한 오그도아드는 히비스(Hibis) 신전의 아문(Amun)에게 바치는 대찬가에서 결정적으로 볼 수 있듯이, 한 마리의 개코원숭이로 상징되기도 한다.[29] 이집트학자 데이비드 클로츠(David Klozt)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히비스 신전에서 개코원숭이는 갓 태어난 태양(newborn sun)으로 다뤄지는데,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의 태양 신전(Solar Chapel)에도 있다. 동시에 개코원숭이 위의 가로 텍스트는 실제로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에서 발췌한 것인데, 이는 이들 여덟 마리의 개코원숭이들이 동시에 오그도아드로 이해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오그도아드는 메디넷 하부의 소신전(Small Temple of Medinet Habu)에서만 아문(Amun)과 연관되어 있으며, 히비스(Hibis)에서 그들의 눈에 띄는 존재는 메디넷 하부와 히비스의 신학 사이의 어떤 관계를 암시한다…

[각주 68] "그레이트 아문 찬가의 0열 … '오그도아드'를 개코원숭와 함께 적고 있다[결정적임]."[30]

사자의 서 후네퍼 그림(그림 5)에서 숭배하는 개코원숭이 모습에는 오그도아드()를 가리키는 상형문자 htt "Screamer"(Wb 2, 504.4-6)가 함께 동반되어 있다. 그러나 호루스 라-하라크티(Horus Ra-Harakhty)를 숭배하는 개코원숭이는 일곱 마리뿐이다. 그것은 오그도아드 멤버 중 한 명이 호루스가 된 것을 나타내는 것 같다. CT의 한 구절이 이 이론을 뒷받침해준다.

CT-50:223–225

“추종자들이 혼돈의 신들(Chaos-Gods)에게 손을 내밀었다. 그의 아버지의 수호자인 호루스는 기뻐했다… 켐(Khem)에서 가장 뛰어난 호루스 … 당신은 두 혼돈의 신 중 하나에 속한다 …”[31]

나는 이전에 여덟 명의 혼돈의 신이 오그도아드와 연결된다는 것을 증명했다.[32] 혼돈의 신은 쌍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혼돈의 신 쌍들 중 하나가 "호루스에 속한다"고 묘사돼 있다. 이는 원시적인 어둠을 상징하는 kk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kk가 태양으로 올라가는 것은 황혼에서 새벽으로 가는 자연스러운 과정과도 같은 것이다.

 

특색 3 요약

함(Ham)이 노아의 여덟 가족에서 나왔듯이, 호루스(Horus)도 여덟 신의 무리에서 나온다.

  

특색 4. 함과 호루스는 삼형제

 

성경은 노아에게 세 아들이 있었다고 말한다 : “그의 막내” 함(창세기 9:24)과 “장자 야벳의 형제, 셈… 여기서 성경은 함을 묘사하기 위해 형용사 קָטָן(qāṭān) HALLOT-8338 '작고, 막내의(small, younges)'를 사용한다. 호루스의 가계에서 이와 유사한 관계가 발견될 수 있을까? 다음의 증거는 이것이 사실임을 시사해 준다.

호루스는 Pepis I PT-539§1320c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Hr.w nẖn(.w) ḫrd

호루스, 작은 아이야”

호루스에게는 세트(Seth)라는 주목할만한 형제가 있었는데, 그는 그와 격렬하게 싸웠다(특색 8 참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Merenre PT-615§1742a.

jmi.y jr(.t)-ḥr.w ḥr ḏnḥ n.j sn=f stš

호루스의 눈을 그의 형제(brother) 세트의 날개에 꽂으라.”

또한 Pepis I-667a§1948b

“[호루스는] [그의] 형제[세트]가 그에게 행한 일에서 깨끗해질 것이며, [세트는 그의 형제 호루스]가 그에게 행한 일에서 깨끗해질 것이다 … 호루스는 아버지 오시리스를 포옹함으로써 정화될 것이다 ”

토트(Thoth)라고 불리는 또 다른 신은 파피루스 텍스트(PTs)에서 호루스(Horus) 및 세트(Seth)와 지속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체르막(Cermark)이 지적한 바와 같이, 세트와 토트 사이에는 중첩된 점이 분명히 있으며, 실제로 가족 관계가 종종 모순된다.[33] 세트는 호루스의 형제이다. 그러나 동시에 파피루스 텍스트에서는 오시리스의 형제이다. 그러나 세트와 토트는 다음처럼 함께 형제로 묘사된다.

Neith PT-218§163d (역주 : Neith(네이트)는 이집트 신화의 여신)

m=k jri.t.n stš ḥna ḏḥw.tj sn

“당신의 형제들(brothers), 세트(Seth)토트(Thoth)가 한 일을 보라”(Pharaoh Neith 참조).

Neith PT-370–375.

ḫai.t(j) m bj.t(j) ḥr.w ḏḥw.tj snsn.w jr=k m sn bj.t(j) {ḥr.w} {ḏḥw.tj}

“당신은 하(下)이집트의 왕으로 나타났다. 호루스(Horus)토트(Thoth)는 하이집트 왕의 두 형제로 당신과 합류했다”(Pharaoh Neith 참조).

다음 중왕국 관 텍스트(Middle Kingdom Coffin Text)는 호루스(Horus), 세트(Seth), 및 토트(Thoth)의 형제애를 분명히 보여준다: CT-681.

"오 토트, 창잡이(Harpooner)의 아들, 호루스와 세트의 형제, 그는 당신의 왕좌에 있다. 세트를 잠잠케 하소서." (Faulkner 2004: II, 246).34

체르막은 신화 속 두 형제 호루스와 세트의 싸움에서 "그는 두 싸움꾼 호루스와 세트를 진정시켜 세상의 불화의 원형을 종식시켰다"[35]는 점에서 토트의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특색 8 참조).

그리고 ‘사자의 서’에서 Pennesuttawy의 TIP 파피루스(Egyptian Museum JE95881)는 오시리스를 토트의 아버지로 기술하고 있다.

“말씀 신들의 주이신 토트에 의해서 말해진 말씀(Words), 영원의 주[wsir nb ḥḥ]이신 그의 아버지 오시리스 앞에서, 위대한 아홉 신들을 위해 옳은 것을 썼다.”[36]

 

특색 4 요약

호루스에게는 형제 세트(Seth, 두 형제 모두 오시리스의 아들)가 있었는데, 그와 정치적 지배권을 놓고 격렬하게 싸웠다(part 2의 특색 8 참조). 밀접하게 나란히 있는 토트(Thoth)라는 신은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세트(Seth), 또는 호루스(Horus)의 형제로 묘사되고 있으며, 관 텍스트(Coffin Texts)에서 호루스, 세트, 토트는 한 형제로 묘사되고 있다. 사자의 서에서 토트는 호루스 및 세트와 같은 아버지(Osiris)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고려할 때, 호루스는 다른 두 형제가 있었고, 자신이 '막내'로 묘사된다는 점에서 함과 비슷하다.

  

결론

 

이 글에서는 함의 삶에서 네 가지 특색을 살펴보았고, 이를 이집트의 팔콘 태양신 호루스와 비교하여 보았다.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긍정적인 연관성을 발견했다 :

특색 1. 함(Ham)은 아담(Adam)의 11대 후손이었다. 위대한 엔네아드(Great Ennead) 관련 파피루스 텍스트(PT)의 증거들에 오시리스가 방관하던 아버지로 포함되면, 호루스(Horus)는 아툼(Atum)의 11번째 후손이 될 수 있다.

특색 2. 함의 이름의 어원에는 (물리적) "폭력", (흙빛의)"검음/어둠", (태양의) "뜨거움“이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은 호루스의 신성한 별칭과 매우 유사하다.

특색 3. 함은 4명의 남자와 4명의 여자로 구성된, 8명의 가족 중 일원이었다. 호루스는 4명의 남성 신과 4명의 여성 신들로 구성된 오그도아드(Ogdoad)에서 권좌에 오른다. 특히 호루스는 오그도아드의 일원 중에서 kk(어둠)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경우 kk는 어둠이 빛으로 자연스럽게 승격되어, 태양으로서의 호루스로 변모하는 과정을 따르고 있다.

특색 4. 야벳, 셈, 함의 세 형제 중에서 함은 막내였다. 호루스는 주목할 만한 형인 세트를 둔 '아이'이며, 또 다른 형제 신인 토트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관성은 흥미롭기 때문에 더 연구할 가치가 있다. 2부에서는 특색 5~12를 분석할 것이다.

 

References and notes

1. See introduction in: Pinch, G.,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ABC-Clio, CA, pp. 143–147, 2002.

2. creation.com/timeline.

3. Cox, G., In search of Adam, Eve and creation in Ancient Egypt, J. Creation35(1):61–69, 2021.

4.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eminar, CT, p. 118, 2006.

5. Ryholt, K., The Turin King List, Ägypten und Levante 14:135–155, 2004; p. 139.

6. Waddell, W.G., Manetho,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p. 3, 1964.

7. Waddell, ref. 6, p. 5.

8. Cox, G.,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J. Creation34(2):67–74, 2020.

9. Garsiel, M., Biblical Names: A literary study of midrashic derivations and puns, Graph Press, Jerusalem, p. 86, 1991.

10. Cassuto, U., A commentary on the book of Genesis II, Verda Books, IL, p. 234, 2005.

11. Cox, ref. 8, p. 71.

12. Loprieno, A.,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35, 1995.

13. Loprieno, ref. 12, p. 42.

14. Hoch, J.E., Semitic Words in Egyptian Texts of the New Kingdom and Third Intermediate Peri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NJ, pp. 230, 456 ̶ 520, 1994.

15.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p. 35, 1960.

16. Blackman, A.M. and Fairman, H.W., The Myth of Horus at Edfu- II, J. Egyptian Archaeology,28:32–38, 1942; p. 32.

17. Allen, T.G., Horus in the Pyramid Tex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p. 27, 1916.

18. Chassinat, E., Le Mystère D’osiris au Mois de Khoiak, Le Caire Imprimerie de L’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translated from original French.), p. 182, 1966.

19. Chassinat, ref. 18, p. 175.

20. Chassinat, ref. 18, p. 183.

21. Allen, ref. 17, p. 13.

22. Edwards, S.,The symbolism of the eye of Horus in the Pyramid Texts, Ph.D. thesis, University College of Swansea, p. 137, 1995.

23. Faulkner, R.O.,The 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vol. I, Spells 1–354, Aris & Phillips, Warminster, p. 234, 1973; also CT-205:145; 249:343; 316:98.

24. Shonkwiler, R.L.,The Behdetite: A study of Horus the Behdetite from the Old Kingdom to the conquest of Alexander, Ph.D. thesis, University of Chicago, IL, p. 413, 2014.

25.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 part 1and part 2, J. Creation33(3):94–108, 2019.

26. Budge, E.A.W., Facsimiles of the papyri of Hunefer, Ankhai, Kērasher and Netchemet, Longmans and Co., Oxford, p. 4, 1899.

27. Budge, ref. 26, p. v, plate 8.

28. Fakhry, A., The Egyptian deserts—Bahria Oasis, Cairo Gov. Press, Bulâq, p. 75, 1942.

29. Fakhry, ref. 28, p. 77; example from temple of Kharga.

30. Klozt,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eminar, New Haven, CT, p. 10, 2006.

31. Faulkner, ref. 23, p. 47.

32. Cox, ref. 25, p. 99.

33. Čermák, M., Thoth in the Pyramid Texts, Ph.D. thesis, Univerzita Karlova v Praze, Filozofická fakulta, Ústav filosofie a religionistiky, pp. 22, 62, 2015.

34. Faulkner, R.O.,The 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vol. II, Warminster, Aris and Phillips, 1977.

35. Čermák, ref 33, p. 75.

36. Quirk, S., Going out in Daylight—prt m hrw, Golden House Publications, Croydon, UK, p. 515, 2013.

 

Related Articles

Horus—the deified Ham : part 2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4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3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Further Reading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16067923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5(2):44–52, August 2021 (Posted on CMI homepage: 24 February 2023)

주소 : https://creation.com/horus-and-ham-1

번역 : 석원석

미디어위원회
2023-02-20

새로 발견된 이집트 석비는 

예레미야서에 기록된 왕이 실존했음을 증거한다.

(Newly discovered Egyptian relic witnesses to biblical king)

by Gavin Cox


     최근 이집트의 한 농부의 밭에서 훌륭하게 보존되어 있는, 상형문자들이 새겨져 있는 커다란 사암 석판(Slab of Sandstone)이 발굴되었다.[1] 이 석판은 길이 230cm, 너비 103cm, 두께 45cm의 것으로[2], 수에즈 운하의 서안(西岸)에 있는 이스마일리아(Ismailia) 마을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스마일리아는 필자가 1999년 이집트의 내진(耐震) 산업체에 근무하던 중 우연히 방문한 곳이기도 함).

.약 2,6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비(stela)가 이집트 이스마일리아 시 근처의 한 농부의 밭에서 발견되었다. 거기에는 15줄의 상형문자 비문(hieroglyphic writtings)들이 새겨져 있었다. <BAR/ Egyptian Antiquities Ministry> 


석비(stela or stele)로 말해지는 이 석판은 와히브레 하아이브레(Wahibre Haaibre)라 불리는,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pharaoh, 바로)에게 헌정된 것이다.(아래의 '파라오의 이름' 박스글 참조). 고고학자들은 이 파라오를 예레미야 44:30절에서 ‘호브라(Hophra, חָפְרַע)’로 언급된 이집트 왕으로 인정하고 있다.[3] 또한 그리스인들, 특히 역사가 헤로도토스(Herodotus, 기원전 484~425년경)와 디오도로스(Diodorus 기원전 90~30년경)에 의해서, 와히브레는 아프리에스(Apries)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세기 초의 이집트인 역사가였던 마네토(Manetho)는 이 왕을 그리스어는 Uaphris로, 이집트어로는 Waḥibprê로 표기했다.[4]

학자들은 이 다른 이름들이 같은 사람을 가리킨다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이 이름들은 동일하게 보이지 않는데 말이다. 이집트 학자들은 성경의 기자(biblical writers)들이 파라오의 다양하고 긴 공식 명칭을 생략하고, 자주 축약형을 사용했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것은 호브라(Hophra)에게도 행해졌는데, 이에 따라 그의 이집트식 이름이 히브리 문자로 음역되었고, 약간 변경되었다고 보는 것이다(아래 박스글 참조). 이것은 히브리어로 두 단어의 조합처럼 들리는 그의 이름을 의도적으로 재치있게 표현한 것일 수 있다: 1) ‘hepha’는 비탄한 상태, 특별히 처형 전에 천으로 머리를 덮는 것(cover/veil one’s head)을 의미하고 2) ‘ra’는 악(evil)을 의미한다.[6] 결합된 단어는 '처형을 당하기 전에 악한 자의 머리를 가리다'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예레미야가 호브라에게 일어날 것이라고 예언한 문맥과 잘 어울린다. 또 다른 언어적 유희는 호브라(Hophra)의 이름에 들어있는 ‘ra’가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히브리어로 '악마'를 뜻하는 것처럼 들리는데, 이집트의 태양신을 나타낸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파라오 아프리에스(Pharaoh Apries)의 스핑크스, 카일루스 백작 소장품, 현재 루브르 박물관 소장. <Ram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성경의 이야기와 역사.

BC 589년에서 570년 사이에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은 호브라는 유다 왕 시드기야(Zedekiah)와 동시대의 왕이었다.[7] 호브라는 유대인들이 바벨론 포로로 잡혀가고 예루살렘이 약탈되기 전인, 이스라엘과 유다의 분열왕국이 끝나는 시대에 이집트를 통치했다.

호브라는 예레미야서에 그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보라 내가 유다의 시드기야 왕을 그의 원수 곧 그의 생명을 찾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의 손에 넘긴 것 같이 애굽의 바로 호브라 왕을 그의 원수들 곧 그의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넘겨주리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 하셨느니라”(예레미야 44:30)

선지자 예레미야는 느부갓네살 2세(Nebuchadnezzar II)의 바빌로니아 군대가 예루살렘를 포위했다가, 호브라의 군대가 예루살렘을 방어하기 위해 왔을 때, 어떻게 철수했는지를 기록하고 있다.

“바로의 군대가 애굽에서 나오매. 예루살렘을 에워쌌던 갈대아인이 그 소문을 듣고 예루살렘에서 떠났더라”(예레미야 37:5).

그러나 예레미야에게 주신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면, 느부갓네살 2세의 철수는 예루살렘을 멸망시키기 위해 돌아올 것이기 때문에, 일시적이었던 것이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를 보내어 내게 구하게 한 유다 왕에게 아뢰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빼앗아 불사르리라”(예레미야 37:7~8).

하나님은 또한 유다 성읍들은 주민이 없어 처참한 황무지가 될 것이라고 말씀한다(예레미야  34:2-22). 바빌로니아 연대기(Babylonian chronicles)에 의하면, 예루살렘은 18개월에 걸친 오랜 포위 공격 후에, BC 587년 또는 586년에 바빌로니아에 의해 파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8] 그러나 느브갓네살 2세는 호브라를 죽이지 않았는데, 예레미야의 예언에 따르면 오히려 호브라의 내부 적들이 그렇게 했을 것이다. 이집트와 그리스 자료의 증거에 따르면, 이집트에 내전이 있었고, 그 기간 동안 호브라와 그의 그리스 용병 군대는 해외로 도망갔다가, 나중에 이집트로 돌아와 아마시스(Amasis, Ahmose II)의 손에 살해당했다. 아마시스는 BC 570~526년 사이의 통치자이다.[9] 따라서 예레미야서의 기록은 성경 밖의 외부 자료들과 함께, 호브라의 불운했던 이스라엘 여정의 세부 사항들을 채워 준다(예레미야 37:7~8).

 .석비가 발견된 곳 근처의 도시 이스마일리아.


결론

이스마일리아에서 새로 발견된 이 석비는 성경에 나오는 파라오(바로) 호브라에게 헌정된 것으로, 그의 존재를 확증해 주는 성경 외적의 중요한 증거의 한 조각이다. 그리스와 이집트의 자료에 따르면, 호브라는 내부 적들의 손에 죽었으며, 바빌로니아 왕이 죽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성경 밖의 자료들은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에게 하신 말씀이 사실임을 확증해 준다.

학자들은 여전히 석비의 번역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호브라와 예루살렘 왕 시드기야와 느부갓네살 2세와의 상호관계나, 아마시스의 손에 의한 호브라의 죽음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면, ‘성서고고학’ 분야에서 하나의 빅 뉴스를 제공할 것이다.


----------------------------------------------------------

파라오의 이름(Pharaonic names)


이집트 파라오(바로)의 이름은 5개의 왕실 칭호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는 '호루스 이름(Horus name, 성씨와 같은)'으로, 파라오의 칭호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왕조 이전 시대(이집트의 시작, 아마도 노아의 아들 함(Ham), 및/또는 함의 아들 미스라임(Mizraim, 이집트를 나타내는 히브리어 이름)로 거슬러 올라간다. 호브라(Hophra)의 개인 이름은 ‘와히브레(Wahibre)’로, 'Re의 마음이 변하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10] 이집트 상형문자에서 개인 이름은 소위 카르투시(Cartouche)라 하는 난(卵)형의 심볼 안에 쓴다.

오리 기호는 '아들'을 의미하고, 점찍은 원은 태양신 ‘Ra’를 나타낸다. 붙여서 sa ra로 발음하며, 'Ra(태양신)의 아들'을 의미한다.

이집트학자인 케네스 키친(Kenneth Kitchen)은 이집트식 이름인 와히브레(Wahibre)는 성경의 히브리식 이름인 호브라(Hophra, חָפְרַע)와 동일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그는 "히브리어와 그리스어에서 Wahibre의 처음 부분 ‘Wa’의 생략으로 Hophra와 Apries가 형성되었다고 언급한다.[11] ‘b’ 와 ‘ph’ 사이의 소리 차이는 이집트인들이 세월이 지나면서 어떤 자음에 대해서는 하나로 합치는 경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가끔 ‘p’와 ‘ph’로 발음하였다.[12]

-----------------------------------------------------------


References and notes

1. Steinmeyer, N., New Stele of Biblical Pharaoh Found, biblicalarchaeology.org, 1 Jul 2021

2. Jarus, O., Farmer discovers 2,600-year-old stone slab from Egyptian pharaoh, livescience.com, 18 Jun 2021

3. Kitchen, K.,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Michigan, pp. 16, 24, 66, 2003

4. Waddell, W.G.,Manetho,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pp. 170–171, 1964

5. This word also occurs inII Samuel 15:30;Jeremiah 14:3–4;Esther 7:8

6. Koehler, L.,et al.,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Vols. 1–5, Brill, Leiden, 2000, nos. 3079, 8868

7. Kitchen, ref. 3, pp. 24

8. Kitchen, ref. 3, p. 66

9. Leahy, A., The Earliest Dated Monument of Amasis and the End of the Reign of Apries,The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74:183-199, 1988. Greek historians Herodotus (II, 162–9) and Diodorus Siculus (I, 68, 2–5) give differing accounts of the location of Hophra’s death. A stela of Amasis from Elephantine (BM 952) indicates the Egyptians went over to Amasis en masse from Hophra. A fragment of a Babylonian royal text (BM 33041) gives corroborating dates for Nebuchadnezzar’s campaign into the Levant

10. Clayton, P.A.,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London, pp. 195–197, 2001

11. Kitchen, main text ref. 3, p. 16

12. Loprieno, A.,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24, 1996.


*참조 : 자료실/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자료실/고고학

https://creation.kr/archaeology


출처 : Creation 44(1):21–23, January 2022   

주소 : https://creation.com/egyptian-relic-witnesses-to-biblical-king

번역 : 석원석

미디어위원회
2022-11-15

성경의 연대를 확인해주는 지구자기장 데이터

: 고대 이스라엘의 파괴된 도시들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Magnetism Confirms Biblical Dates)

David F. Coppedge


 지구자기장은 인류와 생물들이 살아가는 데에 여러 이유로 중요하다.

 이제 또 다른 이점이 밝혀졌다. 고고학적 유적지의 연대측정이다.

 

    고대의 제국들이 중동(Middle East)의 도시들을 파괴했을 때, 그들은 수천 년 후에 지구물리학자(geophysicists)라고 불리는 똑똑한 사람들이 나타나, 언제 도시들이 파괴됐는지를 기웃거리고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은 정복자들이 파괴한 불에 탄 벽돌들에 남겨져 있는, 보이지 않는 힘(지구자기장, earth’s magnetic field)을 읽음으로써, 그것을 할 수 있었다. 지구자기장은 태양과 먼 우주로부터 오는 치명적인 방사선으로부터 모든 생명체들을 보호한다.

역사학자들은 자기 나침반(magnetic compass)이 그리스도보다 몇 세기 전인, 중국 한나라(Han dynasty)에서 발명되었다고 말한다. 그 이전 수세기 동안, 왕들은 그들의 제국을 확장하려고 노력하면서, 도시들을 정복해갔다. 성경에는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왕국을 침략해온 시리아, 블레셋, 이집트, 에돔, 아시리아, 바빌론의 군대들로부터 도시들을 지키기 위해 싸웠던 많은 전투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 도시들 중 일부는 불에 탔고, 파괴되었다. 불에 탄 물질에 있던 용융된 금속과 점토에는, 수천 년 후에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이 발명한 정밀한 기구로 측정될 수 있는, 지구자기장의 강도와 방향을 서명으로 남겨놓았다. 아리엘 데이비드(Ariel David)는 이스라엘 신문 하레츠(Haaretz, 2022. 10. 25) 지에 글을 썼다.

성경에 따르면, 성지(Holy Land)는 고대 이집트인부터 아람인까지, 아시리아인부터 바빌로니아인까지, 여러 제국들이 정복하려 했던 빈번한 목표였다. 물론 성경은 이러한 비극들을 종교적 관점에서, 대게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징벌로서 해석한다. 그러나 성경 본문에 언급되어 있는 많은 전쟁들은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이제 텔아비브 대학(Tel-Aviv University)의 과학자들은 과거 사건들의 연대 표시로, 그들의 자기적 서명(magnetic signatures)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고고학적 장소들은 오랫동안 한 다른 힘의 장(약한 핵력, weak nuclear force)에 의존하는, 방사성 측정 기술인 방사성탄소(C-14) 연대측정법에 의해서 연대가 측정되어왔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radiocarbon dating)은 또한 지구자기장에 의존하는데, 왜냐하면 대기에 들어있는 C-14의 비율은 우주선으로부터 질소 원자를 보호하기 위한 지구자기장의 강도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은 수천 년 정도의 범위 내에서는 정확하지만, C-14의 생성 속도에 대한 가정 때문에, 그 이전 시간에 대한 측정은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다른 문제점들이 있다(2022. 7. 28. 참조).

사람들이 살던 도시들은 종종 불에 타버렸고, 어떤 경우에는 100년 정도 후에 다시 약탈당했다. 오늘날 고고학자들은 여러 파괴된 층들에 대해 곤혹스러워하며, 누가 무엇을 언제 파괴했는지 알아내려고 애쓰고 있다.

때때로 고고학자들은 잔해의 연대를 밝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서와 비문을 갖고 있다. 적은 경우이지만, 고대 관측자들에 의해서 개기일식과 같은 천체 현상이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천문학자들은 천체역학을 사용하여 그 날짜를 정확하게 계산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에서 텔스(tells)라 불리는 언덕에 있는 많은 파괴 층들의 연대는 문제를 갖고 있다. 아리엘 데이비드는 "레반트(Levant, 근동의 팔레스타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등이 있는 지역) 지역의 고대 유적지들에 대한 연대 관련 질문들은 순수하게 학문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썼다. "그 연대들은 성경이 사실인지 허구인지에 대한 오랜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다.“

방사성탄소는 유기물 잔해를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이 방법을 항상 사용할 수 없음을 뜻한다. 그리고 유기물 잔해가 있다 하더라도, 오류의 정도는 종종 너무 커서, 확실성을 입증할 수 없다. 연대를 독립적으로 확인하려는 작업은 성경의 역사성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도움이 될 것이다. 유명한 이스라엘 핀켈슈타인(Israel Finkelstein)을 비롯한 일부 자유주의 고고학자들은 철기시대 유적에 대해 "저연대(low chronology)" 설을 주장하면서, 다윗과 솔로몬은 성경의 열왕기와 역대기에 기록된 광범위한 제국을 건설할 수 없었던, 지역적 군주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성경 본문을 신뢰할 수 있는 역사적 서술로 받아들이는 보수주의자들은, 핀켈슈타인의 연대기가 제안된 이후, 줄곧 성경적 기록을 입증할 증거들을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 새로운 고지자기 데이터는 그러한 논쟁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 팀의 연구는 "인상적"이라고, 이번 토론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텔아비브 하이파 대학의 고고학자인 핀켈슈타인은 말한다. "특히 기원전 8세기 중반 이후 방사성탄소 연대가 신뢰할 수 없는 시기에, 고지자기 연대는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다"라고 고지자기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핀켈슈타인은 말한다.

하레츠 지의 기사는 "성경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에서 종종 반대편에 서 있는 12명 이상의 최고 고고학자"들이 연구에 참여했다고 말한다. 초기 결과는 PNAS 지(2022. 10. 24)에 “지구 자기장 데이터를 활용한 성경적 군사 활동의 재구성”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논문의 맨 앞에 설명되어 있다.

히브리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을 연구하는 것은 원문 조사와 고고학적 조사를 수반하는 복잡한 작업이며, 종종 매우 논쟁적인 결과를 낳는다. 여기에서 우리는 화재로 파괴된 고대 도시의 잔해에 대해 고고학적 조사를 적용한 한 접근법을 소개한다. 새로운 자기 자료(magnetic data)는 고고학적 전후 사정을 특정한 군사 작전과 연결할 수 있는 시간적 통찰력을 제공했고, 성경의 이스라엘 역사와 유다 왕국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했다. 여러 분야가 협력한 이 연구는 또한 지구자기장(geomagnetic field)이 빠르게 변화(붕괴)하여, 오늘날의 자기장보다 두 배나 더 강렬했던 그 시기에, 지구자기장의 독특한 행동을 재구성하였다. 이것은 지구물리학(geophysics)에서 지구역학적 모델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연구 분야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역사적 확인

텔아비브 대학의 보도자료는 낙관적이다. '성경: 사실인가 허구인가(The Bible: Fact or Fiction?)'라는 제목하에, “연구자들은 지구자기장을 이용해,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이 침략당한 전쟁들을 확인하였다”라며, 구체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텔아비브 대학과 히브리 대학의 공동 연구는 여러 국적의 다른 학문들을 하는 20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불에 탄 잔해에 기록된 지구자기장의 방향 및/또는 강도를 재구축함으로써, 이스라엘에 있는 17개의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21개의 파괴층들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 새로운 자료는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왕국에서 일어났던 이집트, 아람(시리아), 아시리아, 바빌로니아의 침략 전쟁들에 대한 성경적 기록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예를 들어, 아람-다마스쿠스(Aram-Damascus)의 왕 하사엘(Hazael)의 군대가 성경에 기록된 블레셋의 가드(Gath of the Philistines)를 포함하여, 텔 레호브(Tel Rehov), 텔 자이트(Tel Zayit), 호르밧 테벳(Horvat Tevet) 등 여러 도시들을 파괴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이 연구는 하사엘이 텔 벧산(Tel Beth-Shean)을 파괴한 정복자였다는 지배적인 이론을 반박한다.

다른 지자기학적 발견은 바빌론 사람들에 의해서 예루살렘과 유다 왕국이 파괴된 틈을 타서, 에돔인(Edomites)들이 네게브(Negev)의 도시들을 파괴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도 자료에서 수석 연구자인 요아브 바크닌(Yoav Vaknin)은 고지자기 기법(paleomagnetic technique)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방사성탄소와 성경 본문의 증거 모두 보정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구자기장의 강도와 극성의 변화가 알려져있는 범위에서, 고지자기 기법은 독립적인 연대측정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아브 바크닌은 말했다. "자기장의 강도와 방향(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의 유사성이나 차이를 근거로, 특정 장소가 동일한 군사작전 동안 불에 탔다는 가설을 입증하거나 반증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방법과 유사하게, 과학적 연대측정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시간에 따른 자기장 강도의 변동 곡선(variation curve)을 구축했다.“

이 새로운 연대측정 기법은 지구에 생명체가 출현한 이래로, 생물권을 보호해 온 지구자기장의 또 다른 기능을 과학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지구물리학적 측면과 지자기 연대측정법(geomagnetic dating method)의 개발을 이끈 론 샤르(Ron Shaar) 교수는 "지구자기장은 우리가 존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구자기장은 우주방사선과 태양풍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장 없이는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또한 인간과 동물 모두 장거리 항해를 위해 자기장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성경은 정확했을까?

이 논문은 역사적으로 알려진 연대와 지자기 연대가 일치하고 있는 몇 가지 예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 기법은 벧산(Beth-Shan)의 파괴층에 관한 연대 논쟁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아직 시작 단계이다. PNAS 지의 논문은 더 많은 장소들에서 그 유용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으로 끝나고 있었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기원전 8세기 이전 기간)에 의존하는 연대학에서, 조밀한 고지자기 데이터들로부터 구성된 고지자기 강도 곡선과 확인된 역사적 연대가(기원전 8세기 이후) 어떻게 강력한 연대측정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것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이 제한적인 기간인, 할슈타트 고원(Hallstatt Plateau, 기원전 800~400년) 시기에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이 연구는 고고학적 상황들이 동시대였는지와 같은 질문을 해결하는데, 특히 동시성을 부정하는 데에, 고지자기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람, 아시리아, 바빌로니아의 전투들은 지구자기장의 강도가 매우 높은 시기에 일어났으며, 뚜렷하게 최소값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이것은 레반트 역사의 다른 기간과 구별되는 주요 전투들의 연대를 구별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동시성을 부정하는“ 것은 두 장소가 서로 다른 고지자기 특성을 갖고 있다면, 서로 다른 시간에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리엘 데이비드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고지자기 연대측정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면서, 어떤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하레츠 기사를 끝마치고 있었다. 그러나 고고학자들을 잘 알고 있는 그는, 분쟁이 계속될 것을 예상하고 있었다.

고지자기 연대측정이 성경의 역사성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을 해결해줄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을까? 글쎄, 그것은 확실히 강력한 새로운 도구이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해 보자. 고고학자들은 논쟁하기를 좋아하고, 현장에서 나온 데이터들에 대한 상반된 해석을 내놓기를 좋아한다. 따라서 이 새로운 방법은 대부분의 좋은 연구처럼, 많은 질문들에 대해 일부 해답을 제공하는 데에만 도움이 될 것이다.

PNAS 지의 논문은 성경의 어떤 본문이 사실로 확인되었다고 명시하지 않았지만, 어떤 본문이 오류로 밝혀졌다고 명시하지도 않았다. 앞으로 고고학에서 이 방법이 사용될 것인지 지켜보자.

 

----------------------------------------------------------

 모든 연대측정 방법들은 가정(assumptions)들에 의존한다. 이 측정방법도 그렇다. 세 가지 가정을 생각할 수 있다: (1) 시간에 따른 자기장의 일정한 쇠퇴(붕괴) 여부, (2) 시간에 따른 강도와 극성이 각인되는 과정의 변화 여부, (3) 작은 지자기 서명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의 신뢰성 등에 달려 있다. 우리는 이 방법이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에 대한 교차 점검의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시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이 하나님의 시험 앞에 서야 하는 것이다(로마서 1:18~32). 우리는 우리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에게 죄의 형벌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제공하셨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몇 가지를 좋아한다. 우선, 이 연구는 지구자기장이 지속적으로 쇠퇴(붕괴)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 젊은 지구를 가리키는 이 증거는 헨리 리히터(Henry Richter) 박사의 책 "우주선 지구: 승객들을 위한 안내서(Spacecraft Earth: A Guide for Passengers)" 7장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최근 업그레이드한 개정판이 나왔다). PNAS 지의 논문은 구약성경의 시대에 지구자기장은 "오늘날의 자기장보다 두 배 이상 강했다"고 말한다.

.리히터 박사의 책, "우주선 지구: 승객들을 위한 안내서(Spacecraft Earth: A Guide for Passengers)"은 우리의 몸, 행성, 우주의 많은 놀라운 지적설계의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작업의 또 다른 놀라운 측면은 지구의 거주 가능성(habitability)에 관한 것이다. 론 샤르 교수는 지구자기장이 "우리가 존재하는 데에 얼마나 중요하며", "인간과 동물 모두가 항해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동물들의 장거리 항해는 흥미로운 주제이다. 과학자들은 바다거북, 제왕나비, 철새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들이 자기장의 강도와 방향을 어떻게 감지하여, 어떻게 좌표를 설정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러스트라 미디어(Illustra Media)의 영화 '리빙 워터스(Living Waters)‘는 지자기력을 이용한 바다거북의 항해를 다루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은 태양풍과 우주방사선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시기 위해서, 자기장 방패를 설치해 놓으셨다. 이것은 그분의 지혜와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대표적 사례이다. 그분은 자신의 형상을 따라 만드신 사람과 각 종류의 생물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특별한 행성(Privileged Planet) 지구에는 자기장을 만들어놓으셨지만, 이웃 행성인 수성, 금성, 화성에는 그렇게 하시지 않으셨다. 그것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완벽한 거주지를 준비하시고, 우리를 부르신 창조주를 기억하라는 또 다른 이정표(signpost)인 것이다.

 창조주의 지혜를 가리키는 작은 서명이 성경에 기록된 3,000년 전 사건들의 불탄 도자기 조각들에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멋진 일이 될 것이다.

  


출처 : CEH, 2022. 10. 27.

주소 : https://crev.info/2022/10/magnetism-confirms-biblical-date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미디어위원회
2022-07-18

니므롯 : 노아 홍수 이후 최초의 폭군이자 제국의 건설자

(Nimrod : The first post-Flood tyrant and empire builder)

by James R. Hughes


지구상에 폭군이 나타나다

대홍수 후 몇 세대 안에 지구 역사상 최초의 폭군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의 이름은 니므롯(Nimrod)으로 함의 손자였다. 일부 주석가들은 '니므롯'이라는 이름이 '반역(revolt or rebellion)'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어근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1] 그렇지 않더라도 그의 이름은 반란을 의미한다.


니므롯—용사

창세기 10:8절은 니므롯이 '용사(mighty man)'가 된 최초의 사람이라고 알려준다(형용사 '용사(용감한 사람)'는 창세기 10:8~9절에 세 번 사용되었다. 추가로 역대상 1:10절 참조). '용감한(mighty)'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폭군(tyrant)'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2] 그가 다른 사람들과 다른 점은 홍수 이후에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기 위해 공격적인 힘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노아와 셈과 같은 존귀한 사람들보다 자신을 높이고, 또한 전능하신 하나님보다 높은 위치에 자신을 높이려고 시도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노아와 셈이 아직 살아 있어서, 당시의 폭군들을 포함하여 홍수 이전 사람들에게 임한 심판을 증언할 수 있는 시기임에도, 니므롯은 권력을 강화하고, 사람들에 대한 권위를 행사하며, 하나님께 도전하는 야심찬 행로를 추구했다. 니므롯 세대의 사람들은 약 400년을 살았을 것이다(창 11:17). 그의 긴 생애 동안(그가 암살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그는 계속해서 권력을 확장하고, 그가 행한 악의 정도를 증가시켰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무자비함은 전설이 되었다.

<en.wikipedia.org>

니므롯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역사적 인물은 악카드(Akkad) 왕조를 창시한 ‘악카드의 사르곤(Sargon of Akkad)’ 또는 ‘사르곤 대왕(Sargon Great)’이다. 


니므롯 - 강력한 사냥꾼

성경은 또한 그를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으로 언급한다(창 10:9). 구약의 다른 모든 곳에서 이 단어는 동물을 사냥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많은 주석가들은 니므롯이 용(dragon)을 잡는 큰 경기에서 그것들을 추적하고 쓰러뜨리는 능력으로 유명해졌다고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이것은 그가 최초로 인정된 '용' 사냥꾼이라는 언급일 가능성이 있다.[3]  당시에 방주에서 내린 용(공룡)의 후손들은 사람이 사는 세계 전역에 퍼졌을 것이다. 니므롯은 이 '용'을 쓰러뜨리고, 사납고도 약탈적인 동물로부터 인간의 정착지를 보호하는 것으로 유명해졌을 것이다. 그랬다면 하나님도 그의 행동을 기뻐하셨을 것이다. 그러나 성경의 문맥은 우리가 이것을 다르게 이해해야 함을 시사한다. 니므롯은 ‘용감한 사냥꾼’이었다. 그러나 그는 사냥을 동물 사냥으로 제한하지 않고, 대신 그의 이웃을 사슴이나 가젤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했을 수 있다. 따라서 '여호와 앞에서'(창 10:9)라는 표현은 '여호와를 대적하여'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4]


니므롯—도시의 건설자

가인처럼(창 4:17) 니므롯은 바벨(Babel)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창 10:10). 바벨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평탄한 계곡에 있는 시날(Shinar, 이 지역의 남쪽 부분에 대한 초기 성경적 지명으로, 나중에는 바빌로니아(Babylonia, 바벨론)으로 불림)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 이 지역은 이사야가 예언한 대로 건조하고 황폐하다(사 13:19~22). 그러나 홍수 직후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은 물이 풍부하고 생산성이 높았을 것이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에게 바벨이라는 이름은 '신의 문(gate of god)'을 의미했다.[5]  이는 바알(Baal)을 숭배하는 이교도들의 터전이었기 때문에 얻어진 이름으로 보여진다. 거기에서 탑은 이교도 신들(pantheon)을 기리며, 살아계신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기 위해 세워졌다. 언약의 백성들은 그 도시 이름의 의미를 히브리어의 비슷한 소리 ‘바랄(balal)’을 사용하여 '하나님이 혼란스럽게 하셨다'라는 의미로 재해석했다(창 11:9).

바벨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임시적이었을 바벨의 배후 지역은 그 인구를 지탱하기에는 너무 커져버렸을 것이다. 또한, 넓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단일 도시에서 인구를 통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었을 것이다. 이것이 니므롯이 수메르에 다른 도시들을 세운 이유일 수 있다(창 10:10). 그는 이 도시들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고, 홍수 이후의 첫 번째 왕국(kingdom)을 형성했을 것이다(창 10:10). 이것은 성경에서 언급된 최초의 나라이다.


니므롯 — 제국의 건설자

창세기는 니므롯이 앗수르(Assyria, 앗시리아)로 가서 그곳에 성읍들을 건설했다고 기록하고 있다(창 10:11-12). 이 지역은 처음에 셈의 후손들이 정착한 곳이었다. 그래서 니므롯은 최초의 왕국을 형성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들을 거듭 정복하여 왕국을 확장해서 제국을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니므롯은 그의 제국 내의 영토를 통제할 수 있는 영구적인 정착지(고고학적 발굴의 발견에 기초하여 볼 때, 도시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을 가능성이 있음)를 설립했다. 앗시리아에서 그는 티그리스 강 유역(이라크 북부)에 처음으로 니느웨(Nineveh)를 세웠고, 이것이 앗시리아의 수도가 됐다. 우리는 요나(Jonah)가 방문했던 후대의 역사를 통해서, 니느웨가 상당히 넓은 지역을 차지했던 도시임을 알게 된다. 르호보딜(Rehoboth-Ir)과 레센(Resen)의 위치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갈라(Calah)는 19세기 중반에 발굴된 니므롯을 따서 명명된 님루드(Nimrud)라는 도시인 것으로 믿어진다. 헨리 레이어드(Henry Layard)는 그 도시 유적에서 2개의 커다란 날개 달린 사자상을 많은 운반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영박물관으로 옮겼다. 유적지에서 발굴된 님루드의 보물들, 즉 황금보석류와 귀중한 석조물들은 2003년에 이라크의 약탈로 살아남았고, 바그다드에 보존되어 있다.  


니므롯—바벨에서 반란의 지도자

하나님은 인류에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고, 그분의 멋진 피조세계를 다스리라고 지시하셨다(창 9:1). 그러나 그들 대부분은 다른 방향으로 이주하는 대신에, 자신들을 하나의 중심 도시 주변에 함께 뭉치고 조직화하기로 결정했다(창 11:4). 이것이 당시 지구상의 모든 거주자가 하나의 도시 바벨에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창 10:10; 11:1). 바벨에서의 반란은 빠르면 홍수 후 아마도 130년 경에 일어났을 것이고, 늦으면 홍수 후 340년 경에 일어났을 것이다. 나중 시기인 340년 경으로 할지라도, 노아(창 9:28)와 적어도 노아의 아들들 중 셈(창 11:11)은 홍수 전 하나님에 대한 반역(창 6:5)과 그 결과를 목격한 증인으로 여전히 살아있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무지를 변명할 수 없다. 오히려 바벨론의 반역은 분명히 하나님의 법과 권위에 대한 노골적인 반역 행위였다. 창세기 11장에는 니므롯이 탑의 건축 책임자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바벨의 창시자로서 그가 탑 건설을 감독했을 것으로 추측하는 것은 타당하다.[7] 요세푸스(Josephus), 탈무드(the Talmud) 그리고 후대의 구약성경 주석가들은 이 견해를 지지한다. 고대 중동의 이방 종교와 지구라트(ziggurats, 바벨탑과 유사한 것)의 본질에 대한 현재의 이해에 기초해 볼 때, 니므롯 지배하에 바벨론 사람들은 하늘의 성상들(태양, 달, 행성, 별)과 땅에 근거한 것들(바다, 강, 폭풍)과 연관된 신들의 종교를 창시했다는 것은 가능한 일이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들은 점성술의 별자리와 징조의 사용을 위한 기초를 쌓았고, 그들이 만든 것이 나중에 아카드(Akkad)와 수메르(Sumer)의 주민들에 의해 전해졌고, 언어의 혼란(창 11:7~9) 후에 분산된 종족 그룹들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니므롯 — 역사적 인물

니므롯은 일부 세속적 역사가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신화적 존재가 아니라, 한 명의 역사적 인물이었다.[8]  '니므롯(Nimrod)'이라는 이름은 창세기에서 이 부분을 기록한 저자가 사용한 폄훼어법(dysphemism, 비방어법)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성경 외의 역사에서 그가 누구로 언급되었는지를 물을 수 있는 것이다. 앗시리아 왕 투쿨티 니누르타 1세(Tukulti-Ninurta I), 이집트 왕 아메노피스 3세(Amenophis III), 또는 신화적 영웅인 마르두크(Marduk), 오리온(Orion), 길가메시(Gilgamesh) 등 다양한 가능성들이 제시되었다.[9] 그러나 가장 가능성이 있는 인물은 고고학자 머레이 아담스웨이트(Murray Adamthwaite)가 CMI의 ‘Journal of Creation’[10] 글과 ‘New Bible Dictionary’[11]에서 제시했던, ‘사르곤 대왕(Sargon Great)’, 또는 아카드(Akkad) 왕국의 창시자인 ‘아카드의 사르곤(Sargon of Akkad)’이다. (*사르곤(Šarru-kin: “왕은 정당하다”)라는 이름은 수세기 후에 ‘구 앗시리아 제국’의 왕 사르곤 1세(BC 1850)에 의해서, 그리고 천년 후 ‘신 앗시리아 제국’의 사르곤 2세(재위 BC 721~705)에 의해 사용된 왕조의 이름이다.) 

한때 역사가들은 사르곤의 통치 기간을 BC 2568년에서 2513년으로 추정했다.[12] 우리는 세속적 역사가들이 노아 홍수(약 BC 2345년경) 이전의 사건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들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나 1990년대에 그의 통치 기간은 BC 2334년에서 2279년으로 수정되었다.[13] 이러한 연대 범위도 아카드의 통치자 사르곤을 위치시키기에 노아 홍수의 시기와 너무 가깝다. 아담스웨이트가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르곤의 통치 기간은 BC 2296년에서 2240년으로 연대가 변경되어야 한다.[14] 보다 최근에 사르곤의 재위 기간은 BC 2270~2215로 측정되기도 한다.[15] 이들 2개의 연대 범위는 사르곤 대왕의 통치 기간이 니므롯의 시대와 정확하게 맞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들은 바벨에서 바벨탑을 건축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대(아마 BC 2245년에서 2215년 사이)와도 들어맞는다.

사르곤 제국의 영역은 본질적으로 창세기 10장 기록(시날과 악갓)에 언급된 것과 동일했지만, 소아시아로도 확장되었다(창세기 10장이 기록된 이후에 발생했을 수도 있음). 역사가들은 사르곤 대왕(아카드의 사르곤)을 제국을 만든 최초의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것은 니므롯에 대해 우리가 말하고 있는 내용과 잘 들어맞는다. 성경은 니므롯을 최초로 제국을 건설한 사람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그들은 같은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니므롯 제국의 종말

역사가들은 사르곤 대왕의 왕조가 1세기 반 동안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했으며, 그가 BC 221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제국의 신민들은 그의 죽음을 듣고 반란을 일으켰다고 믿고 있다. 사르곤의 두 아들이 그를 계승했지만, 짧은 기간 동안만 통치했다. 그 후, 그의 제국은 쇠퇴했고, 엘람(Elamites) 사람들은 그의 제국의 남은 것들을 파괴했다. 


니므롯은 하나님 도성의 건설을 추구하기보다, 사람 도성의 건설을 위해 일했다. 


역사가들은 사르곤 대왕이 죽고 그의 왕조가 멸망한 후, 혼돈의 시기가 있었음을 확인했는데, 그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에는 한 세기 이상 동안 중앙 권력이 없었다. 이러한 혼돈은 언어의 혼란으로 초래된 파괴로 설명될 수 있다(창 11:7-9). 사르곤이 통치했던 아카드 시대 이후에 남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왕조가 메소포타미아에서 권력을 공고히 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것은 ‘우르 제3왕조(Third Ur Dynasty)’ 시대이다. 우르 왕조는 BC 약 2000년경까지 지속되었다고 한다. 아브라함은 이 시기에 태어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갈대아 우르에서 살았다(창 11:28, 31). 메소포타미아의 이러한 혼란으로부터 아모리족 왕 함무라비(Hammurabi, BC 1792-1750년 경에 통치한 것으로 보임)가 바벨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제국을 건설했다. 이것이 단명한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Old Babylonian Empire)이었고, 느부갓네살의 신바빌로니아 제국(Neo-Babylonian Empire)과는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권력을 통합하는데 성공했고, 어느 정도 중앙집권적 질서를 회복했다. 그는 법전으로 유명하며, 그중 일부는 비석과 점토판에 보존되어 있다.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했던 왕조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유한 기간 내내 중요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들과 중요한 상호작용을 했기 때문이다. 함무라비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이 제국의 주인공들은 신앗시리아인(예로, 티글랏-필레세르 및 사르곤 2세), 신바빌로니아인(느부갓네살 시대에 절정에 달함), 페르시아인(예로, 키루스 대왕), 그리스인(예로, 알렉산더 대왕,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Antiochus Epiphanes, 알렉산더의 장군 셀레우코스의 후손), 그리고 로마인들 이었다. 사르곤 대왕은 후대의 메소포타미아 제국 건설자들에게 전제적 통치의 모델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바빌론의 왕인 나보니두스(Nabonidus, BC 555~539)는 사르곤 왕조의 역사에 큰 관심을 보였고, 사르곤 궁전에서 발굴 작업을 수행했었다.

하나님은 바벨에서 언어를 나누셔서, 니므롯의 야망과 세계 역사상 최초의 제국을 종식시키셨다. 니므롯은 거짓된 이방신들을 섬겼고, 하늘에 대항하여 높이 솟은 탑을 세워 하나님을 폐위시키려는 시도를 했으며, 사람들을 압제적으로 통치했기 때문에, 하나님을 모독했다. 그는 노아와 아브라함이 했던 것처럼 살아계신 하나님께 제단을 쌓기보다는, 악한 가인처럼 도시를 건설해서 사람을 기념하려고 했다(창 8:20, 12:7-8). 그는 하나님의 도성(히 11:10, cf. 어거스틴) 건설을 추구하기 보다, 사람 도성의 건설을 위해 일했던 것이다.


References and notes

1. Lange, J. P., Schaff, P., Lewis, T., & Gosman, A. A commentary on the Holy Scriptures: Genesis (Bellingham, WA: Logos Bible Software 2008), p. 367. 

2. Brown, F., Driver, S. R., & Briggs, C. A. Enhanced Brown-Driver-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1977), p. 150. 

3. Sarfati, J., The Genesis account—a theological, historical, and scientific commentary on Genesis 1–11 (Powder Springs, GA: Creation Book Publishers 2015), p. 641.

4, Sarfati, J. ref. 3, p. 642. 

5. Brown, F., Driver, S. R., & Briggs, ref. 2, p. 93. 

6. aina.org/nimrud/nimrudtreasures.htm.

7. Sarfati, J., ref. 3, pp. 642, 659–660. 

8. britannica.com/biography/Nimrod

9. Wexler, Gertrude, “Nimrod”, Collier’s Encyclopedia (Vol 17), (New York: Macmillan Educational, 1981), p. 556. 

10. Adamthwaite, M.R., . Perspectives on ancient chronology and the Old Testament—part 1,  J. Creation 31(3):61–67,2017. 

11. Wiseman, D. J. “Nimrod”, in D. R. W. Wood, I. H. Marshall, A. R. Millard, &J. I. Packer (Eds.), New Bible dictionary (3rd ed.), (Leicester, England;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6), p. 825. 

12. Jones, Tom B. “Sargon I”, Collier’s Encyclopedia (Vol 20), (New York: Macmillan Educational, 1981), p. 433.

13. britannica.com/biography/Sargon

14. Adamthwaite, ref. 10.  

15. military.wikia.org/wiki/Sargon_of_Akkad


Related Articles

Perspectives on ancient chronology and the Old Testament—part 1

The Tower of Babel account affirmed by linguistics

Dating the Tower of Babel events with reference to Peleg and Joktan

The sixteen grandsons of Noah

The oldest example of applied geometry in the world


Further Reading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고고학은 성경을 지지하는가? 1, 2, 3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7&bmode=view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8&bmode=view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9&bmode=view

성경에 언급된 건축물들이 고고학자들에 의하여 발굴된 적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8&bmode=view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6&bmode=view

고고학은 여러 종교 경전들 가운데서, 성경이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것임을 입증하였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5&bmode=view

성경 밖의 기록에서 성경 사건들에 대한 어떤 확증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4&bmode=view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성경의 내용들이 신화인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58&bmode=view

창세기 1장은 바벨론의 신화를 재편집했는가?

http://creation.kr/Genesis/?idx=3863816&bmode=view

모세는 창세기를 정말로 썼는가? : 성경을 훼손하고 있는 사기적인 문서가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30&bmode=view

성경 창조 기록의 독특성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9&bmode=view

바벨탑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9&bmode=view

바벨탑 : 전설인가, 역사인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8&bmode=view

바벨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6&bmode=view

바벨탑 사건과 민족 이동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9&bmode=view

고대 인류에 대한 DNA 분석은 바벨탑의 인류 분산을 확증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139&bmode=view

바이킹 DNA는 바벨탑 이후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준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5200676&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인류는 3 조상 가족으로부터 유래했음을 유전자 연구는 가리킨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08&bmode=view

가나안 인의 DNA 분석은 성경의 정확성을 입증했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1289005

아프리카인의 유전체 분석은 성경적 역사와 일치한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1288993

유태인들에 대한 유전자 분석은 창세기를 확증한다.

http://creation.kr/Genesis#1289103

창세기와 잃어버린 점토판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7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은 구약성경의 역사성을 확증한다 : 느부갓네살 왕의 관리 이름이 기록된 점토판은 예레미야서의 역사성을 지지한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89862&bmode=view


출처 : CMI, 6 July 2021 (GMT+10)

주소 : https://creation.com/nimrod-post-flood-empire-builder

번역 : 석원석

미디어위원회
2021-09-27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2

(Could Joseph and Imhotep have been the same person?)

 by gospelclips


이스라엘 백성을 핍박한 바로는 누구였을까?

바로의 초청으로 야곱과 그의 가족이 요셉(임호텝)이 총리로 있던 이집트에 살기위해 내려왔을 때는 약 70명이었다. 그들은 그 땅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 고센(Goshen) 땅에서 살도록 허락받았다. 이집트의 2인자였던 요셉의 보호를 받으며 그들은 그곳에서 번성하였다. 요셉은 흉년이 오기 전에 곡식을 비축하여 7년의 기근에서 이집트를 구했다. 요셉은 애굽 온 땅을 사들여 바로를 매우 부요하고 강력하게 만들었다. 요셉은 110세까지 살면서 여러 바로들을 섬겼다. 그가 죽었을 때, 그는 방부 처리되어, 이집트 왕실 묘역에 매장되었다. 그가 이집트에 처음 들어간 지 약 80년이 지난 후였다.

야곱의 가족들은 네제리케트(Netjerikhet)가 바로였을 때인 이집트 제3왕조 때에 이집트에 내려왔다. 네체리케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셉으로 인해서 바로 조세르(Pharaoh Djoser, pharaoh of Joseph)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요셉이 살아있는 동안인 제3왕조, 제4왕조 동안 번성했고, 요셉의 사후인 제5왕조, 제6왕조 동안에도 계속 번성했다. 하이집트(Lower Egypt)의 멤피스(Memphis)에 기반을 둔 제6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Herakleopolis)에 기반을 둔 9왕조와 10왕조, 그리고 테베(Thebes)에 기반을 둔 제11왕조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요셉이 죽은 지 약 100년이 지나고 요셉을 알지 못하는 바로가 집권했다. 아메넴헤트 1세(Amenemhet I)는 테베에 기반을 둔 제11왕조(상이집트)의 멘투호테프 4세(Mentuhotep IV)의 총리(vizier)였다. 그는 제11왕조의 멘투호테프 4세를 암살하고,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모두 장악하여 제12왕조(또는 이집트의 중왕국)로 알려진 것을 시작했다. 중왕국의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싫어했고 위협으로 느꼈다. 이스라엘 백성이 적군과 합류할 것을 두려워하여 그들을 노예로 내몰았다.

제12왕조의 바로는 석회암을 외벽부에만 사용한 진흙 벽돌로 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제12왕조의 바로는 피라미드 건설에 필요한 진흙벽돌들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노예들이 필요했다. 이 일은 출애굽 당시에 200만 명이 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주 임무가 되었다. 제12왕조는 약 20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7개의 피라미드와 미궁(Labyrinth)이 건설되었다. 미궁은 헤로도토스(Herodotus)에 의해 쓰여진 고대사에서 고대 세계의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모세는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 통치 4년 경인, 세누스레트 3세(Senusret III)와 아메넴헤트 3세의 공동 통치 기간에 태어났다. 아메넴헤트 3세는 두 개의 피라미드와 미궁을 지었다. 그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매우 잔인했으며, 아마도 산파들에게 히브리 남자 아기들을 죽이라고 명령한 바로였을 것이다. 그의 딸 소벡네페루(Sobeknefru)는 자식이 없었고, 왕위를 계승할 남자가 없었다. 소벡네페루는 나일강 갈대 사이 바구니에서 발견한 히브리 아기 모세를 입양했고, 그를 그녀의 궁에서 자신의 아들로 키웠다. 그는 아메넴헤트 4세(Amenemhet IV)로 알려져 있다.

아메넴헤트 4세가 30세였을 때, 그는 아메넴헤트 3세와 공동 섭정을 시작했다. 이것은 9년 동안 지속되었고, 아메넴헤트 4세는 갑자기 사라졌다. 이로 인해 왕위를 계승할 남자 후계자가 없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소벡네페루가 왕위를 계승했고, 그녀는 8년 동안 살다가 죽었다. 그녀가 죽자 제12왕조가 끝났고, 이집트는 불안정해졌다. 제13왕조로 바로의 급속한 승계가 있었고, 가장 긴 통치는 11년 동안 통치한 네페르호텝 1세(Neferhotep I) 였다. 모세(아메넴헤트 4세)가 망명에서 돌아왔을 때, 이집트의 바로였던 사람은 네페르호텝 1세였다. 네페르호텝 1세는 이스라엘 백성을 뒤를 쫓아가다 홍해에서 그의 군대와 병거들이 몰살당한 출애굽 당시의 바로였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출애굽으로 이집트는 치명상을 입었고, 침략에 취약해졌다. 출애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라비아의 유목민 왕인 힉소스(Hyksos)가 이집트를 침략하여 아바리스(Avaris)에 요새를 건설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하이집트를 점령했고, 다음 400년 동안 지배했다.


곡물저장고는 요셉의 보증서이다.

요셉은 이집트의 주요 도시들에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들을 지었다. 만약 누군가가 이집트에서 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요셉의 유산을 찾으려한다면, 그것은 곡물저장고(grain silos)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약 누군가가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살았었다는 유산을 찾으려한다면, 그들이 만들었던 수많은 진흙벽돌(mudbricks)들이 될 수 있다. 이 두 가지는 오랜 세월을 견딜 수 있어서, 고대 이집트에서 요셉과 그의 가족들이 살았었다는 성경의 기록을 확인해줄 수 있는 독특한 것들이다. 요셉은 이집트에서 곡물저장고를 건설했을 최초의 사람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이집트에서 건설된 가장 오래된 곡물저장고를 찾으려할 것이다.


요셉(임호텝)이 건설한 최초의 곡물저장고. 계단식 피라미드 아래에 숨겨져 있다!

곡물저장고에 네체리케트를 묻고, 그 위에 마스타바를 쌓아 올려, 바로를 위한 거대한 무덤과 기념비의 선례를 세운 사람은 요셉이었다.

요셉은 그의 바로(네제리케트, 조세르)를 곡물저장고에 묻었고, 마스타바(Mastabas,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됐던 왕과 귀족의 직사각형 형태의 분묘)를 피라미드 크기로 확장했다. 그는 뒤를 이은 바로들에게 선례를 남겼다. 요셉(임호텝)이 세운 단단한 석회암 피라미드를 능가하는 피라미드를 세운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것은 미래의 왕조에서 바로의 매장을 위한 표본과 선례가 되었다.

.왼쪽 입구로 드나들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밧줄이 필요했을 것이나, 반면에 오른쪽 입구에는 계단이 있었다.


주 입구(main entrance)는 조세르의 석관이 있던 중앙 수직통로로 곧장 연결된다. 오른쪽 터널(right tunnel)은 또 다른 터널로 이어지며, 이 터널은 점차 내려가 수직통로의 바닥에 연결된 갤러리로 연결된다. 왼쪽 입구 터널(left entrance tunnel)은 약간 미로와 같은 다른 세트의 갤러리에 연결되는 수직통로로 이어진다. 유일한 탈출구는 중앙 수직통로를 통해 계단과 연결된 갤러리로 이동하거나 수직통로로 올라가는 것이다. 수직통로가 곡물로 가득 차 있었다면, 이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왼편 입구 터널의 수직통로로 떨어진 사람들은 (사다리나 밧줄이 없는 한) 추락해서 살아남았다면 갇혔을 것이다. 이것은 무서운 일일 것이다! 조세르의 석관은 수직통로의 바닥에 연결된 갤러리와 터널의 높이보다 높은 플랫폼에 배치되었다. 따라서 수직통로가 무덤으로 사용되었을 때, 조세르의 석관 아래에 있는 중앙 수직통로를 통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건너가는 것이 가능했다.


네체리케트(바로 조세르)은 기근 5년째에 죽었고, 임호텝(요셉)에 의해서 묻혔다.

네체리케트는 원래 곡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던 수직통로에 묻혔다. 터널은 환기가 잘 안 되어 작업자들은 질식했을 수 있다.

조세르는 29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 세헬 섬(Island of Sehel)에 있는 '기근 비석(Famine Stele)'의 기록에 따르면, 임호텝은 조세르 즉위 18년에 왔다. 기근이 시작되기 전에 7년의 풍년이 있었다는 것을 감안할 때, 조세르는 흉년 4년 또는 5년째에 죽었을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기근 비석은 또한 조세르(Djoser)와 네체리케트(Netjerikhet)가 동일 인물임을 나타낸다. 조세르라는 명칭은 네체리케트의 사망한 후에야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고고학자들은 기근 비석이 발견되기 전까지, 네체리케트와 조세르가 동일 인물임을 확신할 수 없었다. 그때까지 네체리케트가 조세르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네체리케트를 기념하는 제18왕조의 훼손된 유적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기근 비석은 7년 풍년과 7년 흉년에 대한 네체리케트(조세르)의 꿈을 임호텝이 해석하여 어떻게 이집트를 구했는지를 알려주고 있었다. 기근 비석은 조세르가 그 땅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었고, 제사장들에게 땅을 주었다고 말한다. 이것은 임호텝이 요셉과 동일 인물이었다는 것을 더욱 뒷받침해준다.

성경은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이 풍년에 저장해둔 곡식을 흉년에 팔아 제사장들의 땅 외에 애굽의 온 땅을 사들여 바로에게 바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세르는 제사장들에게 곡식을 주어 그들의 땅을 팔지 않게 해주었다.


계단통로를 사용하여 곡물을 회수하는 것을 보여주는 이집트의 상형문자.

계단식 피라미드 아래에 있는 터널은 강도를 속이는 데 사용되었을까? 아니면 곡식을 꺼내오는 데 사용되었을까?

위의 그림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입구 터널은 조세르의 석관이 배치된 중앙 방으로 직접 연결되는 4개의 다른 터널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터널은 실제로 석관이 배치된 플랫폼 바로 아래에 있다.

.열린 계단통로를 사용하여 곡물을 회수하는 것을 보여주는 이집트의 상형문자(hieroglyph). 이것은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작업자가 질식할 수 있었던 첫 번째 곡물저장고의 통로를 크게 개선한 것이다.


이 터널에는 끝이 막힌 지로(branches)들이 있어서, 누군가가 길을 잃고 중앙 방을 찾지 못할 것 같지는 않다. 이 터널은 도굴꾼들에게 무덤으로 바로 인도했을 것이다. 이 일은 정확하게 일어났다. 실제로 네체리케트(조세르)의 미라는 도굴꾼들에 의해서 도난당했으며, 남은 것은 네체리케트의 발 하나뿐이었다.

중앙 수직통로는 원래 곡물저장고(grain silo)로 사용되었고, 곡물은 이 지하 터널로 어느 정도 유입되어, 저장고의 용량을 늘리고, 곡물에 파묻히지 않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했을 것이다. 환기 문제가 있어서, 계단식 피라미드에 매우 가깝게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또 다른 일련의 상호 연결된 수직통로를 건설해야 할 필요가 있었고, 입구 터널을 통해서 계단식 피라미드 단지(Step Pyramid Complex)의 벽 내의 구덩이 바닥에 접근할 수 있었다. 

계단식 피라미드 단지는 원래 곡물저장고 및 배급 센터로 설계되었다. 입구는 옥수수 모양의 높은 기둥이 있는 건물을 통해 나있었다. 이 건물은 옥수수가 거래되는 곳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곡물저장고에 연결된 지하터널에서 곡물을 회수한 구덩이까지 도보로 짧은 거리에 있었다.

요셉(임호텝)은 조세르(네케체리케트)를 매장하게 되자, 첫 번째 곡물저장고 바닥에 플랫폼을 건축하고 수직통로에 화려한 석회암을 깔았다. 조세르의 석관은 위에서 수직통로를 통해 내려졌을 것이다. 그런 다음 수직통로의 상단을 거대한 화강암 석판으로 밀봉하고, 그 위에 마스타바를 건설했다. 조세르의 다른 가족 구성원이 죽었을 때, 매장을 위해 연속적으로 마스타바가 추가되었다. 결국 쌓여진 마스타바 더미는 계단식 피라미드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수세기에 걸쳐 계단식 피라미드는 조금씩 떨어져 내렸고, 결국 매끄러운 석회암들이 노출되었고, 현재 상태의 계단식 피라미드로 남겨지게 되었다.

따라서 사카라(Saqqara)의 계단식 피라미드 단지는 원래 곡물저장고 및 배급 센터(grain storage and distribution center)로 의도되었다. 요셉(임호텝)의 바로인 네체리케트(조세르)가 죽었을 때, 원래의 수직통로는 매장실로 사용되었고, 그 위에 마스타바가 세워졌다. 연속적으로 마스타바가 추가되었고, 계단식 피라미드를 형성하게 되었고, 인접해서 건축한 단지는 수세기 동안 곡물저장고 및 배급 센터로 사용되었다. 

이집트인들은 요셉(임호텝)의 업적을 그들의 신이었던 라(Ra)에게 돌렸지만, 사실 모든 것 뒤에는 여호와가 있었다!


이집트 역사에서 실존했던 요셉

요셉이 이집트의 2인자인 총리가 되었다면, 이집트 역사에 이에 대한 언급이 있어야 한다. 요셉이 7년의 기근에서 이집트와 주변 민족을 구해냈고, 애굽 온 땅을 바로에게 바쳤다면, 그는 이집트 역사에서 매우 유명한 인물이 되었을 것이다. 요셉은 여러 이집트 도시들에 곡물을 저장하기 위해 거대한 곡물저장고들을 건설해야 했으며, 실제로 오늘날에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많은 이집트 도시(예로 사카라)에서 대규모 곡물저장고를 찾을 수 있다.

요셉은 이집트의 대제사장 중 한 사람의 딸과 결혼했다. 그는 이집트를 7년의 흉년에서 구하고, 바로가 양식을 공급해준 제사장들의 땅을 제외하고 이집트의 온 땅을 사들였다. 백성들은 요셉이 한 일 때문에 바로의 충성스러운 신하들이 되었다. 그러므로 요셉은 바로를 부요하고 강력하게 만들었던 일등 공신이었다.

요셉은 30살부터 바로를 섬겼고, 11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이집트 왕실 묘역에 매장되었다. 그의 가족인 야곱(이스라엘)의 후손들은 이집트에서 430년 동안 진흙벽돌을 생산하며 번성했다. 제12왕조의 피라미드들은 수백만 개의 진흙벽돌로 만들어졌는데, 200년에 걸쳐 그러한 피라미드 7개가 지어졌으며,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의 피라미드가 끝이었다. 그는 미궁(Labyrinth)이라 불리는 거대한 진흙벽돌 구조물을 건축했다. 제12왕조의 피라미드들이 건설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노동력과 노예들이 필요했다. 제12왕조 피라미드에 사용됐던 진흙벽돌들은 히브리 노예들이 생산했을 가능성이 크다. 제13왕조에 있었던 출애굽 사건 이후 거대한 피라미드는 더 이상 건설되지 않았다.

이집트에 커다란 재앙들이 닥쳤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탈출했을 때, 모세에 의해 인도된 사람들은 성인 남자만(여자와 어린이는 제외) 60만 명이 넘었다.

요셉(임호텝)은 이집트 왕실 묘역에 매장되었고, 이집트 문화에서 거의 신격화되었으며, 7년의 기근에서 이집트를 구했고, 바로를 위해 이집트 전역의 땅을 사들였으며, 기둥이 있는 건물을 최초로 건축했으며, 첫 번째 피라미드를 설계했으며, 곡물을 저장하기 위해 곡물저장고들을 건설했고, 미라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첫 번째 곡물 저장고에 네체리케트를 묻었고, 그 위에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바로의 매장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렸다. 


이집트 역사에서 요셉은 어디에 해당되는가?

연대 평가는 고고학자와 역사가들이 고대 역사의 조각들을 하나로 묶을 때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고고학자 팀들이 특정 유물의 나이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대측정 방법들을 사용해왔다. 예를 들어, 한 층에서 우세한 도자기 유형을 사용하여, 해당 층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창조론자들이 지적했듯이 연대측정 방법은 매우 비현실적이며, 권위 있는 것으로 신뢰받을 수 없으며, 성경과 모순되는 곳에서는 확실히 그렇다.

다양한 연대측정 방법의 기초에 있는 가정(assumptions)들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이들 가정으로 인해 유물의 연대가 1000년에서 2000년까지 부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특정 왕조의 추정된 연대만을 기준으로 조각들을 짜맞춘다면 결과는 상당히 틀려질 수 있다. 평가 연대가 서로 달랐기 때문에, 이집트 역사와 히브리 역사가 서로 맞지 않으며, 전통적 이집트 역사에서 요셉에 해당하는 인물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역사가들이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스위니(Sweeney)[15, 19, 21, 48], 벨리코프스키(Velikovski)[49, 50, 51], 프라이(Fry)[12, 16, 20, 52-59], 라일리(Reilly)[13, 17, 22, 60], 다운(Down)[18] 등이 그들이다. 그들은 전통적인 표준 이집트 연대기를 축소하고, 이집트 왕조들을 끌어내리는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를 제안했다.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를 성경적 연대기와 정렬시킬 때, 고고학적 발견에 의해 확인되는 성경적 인물에 대한 새로운 후보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를 사용하면,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역사적 기록은 서로 잘 들어맞고, 중요한 성경적 인물과 동시대 인물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식별 가능하게 해준다.

이것은 하와라(Hawara)에 있는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 이집트 제12왕조의 6번째 바로)의 피라미드이다. 수백만 개의 커다란 진흙벽돌들이 아메넴헤트 3세의 두 번째 피라미드를 건축하는 데에 들어갔다. 원래는 돌로 덮여 있었지만, 지금은 진흙벽돌 더미로 남아있다. 성경(출 5:6-21)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노예였을 때, 바로가 그들에게 짚으로 보강된 진흙벽돌을 만들도록 강요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에는 진흙벽돌로 된 다른 많은 건축물들이 존재한다.

이것은 하와라에 있는 아메넴헤트 3세의 피라미드를 이루고 있는 진흙벽돌들이다. 수세기에 걸친 침식, 지진, 인위적 훼손 등으로 바깥쪽 석회암은 떨어져 나갔고, 내부의 진흙벽돌이 노출되어 있다. 이 지역은 강수량이 매우 적어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진흙벽돌의 상태는 비교적 좋다. 이것은 건설된 마지막 거대한 피라미드였다. 이집트에는 많은 진흙벽돌 구조물들이 있지만, 제12왕조의 피라미드에는 수백만 개의 진흙벽돌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들의 생산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매우 많은 노예들과 노동력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역사가인 요세푸스(Josephus)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피라미드를 만드는 임무가 주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부풀려진 표준 이집트 연대기를 믿어온 전통적 학자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에 살았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고, 요셉의 가능한 후보 인물을 찾지 못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기초하여, BC 1700년경으로 추정되는 힉소스 왕조에서 요셉에 대한 증거를 찾고 있었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집트에 병거(chariots)가 처음 도입된 시기와 관련된 논쟁으로 인해, 출애굽의 시기를 제18왕조 때로 해석해 왔다. 이 한 가지에 중점을 두다보니, 많은 고고학자들은 제18왕조에서 노예들의 대대적 탈출의 증거를 찾기 위해 헛된 노력을 기울여왔다(물론 출애굽은 제13왕조 시기에 일어났기 때문에 그 증거들을 찾을 수 없었다).

4개, 6개, 8개 바퀴살을 가진 수백 개의 병거바퀴들이 홍해의 누웨이바(Nuweiba) 앞바다에서 여러 사람들에 의해서 발견되었지만, 이 병거바퀴들은 제15왕조 또는 그 이후 시기의 것으로 연대를 결정함으로써 제12왕조는 간과되었다. 제12왕조에서 병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출애굽 당시 이집트의 모든 군대와 병거가 홍해에서 수장되었다고 성경은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놀라운 일이 아니다.

'병거 바퀴(Chariot Wheels)'를 찾기보다 '진흙벽돌'을 더 많이 찾아야 하고, 그것은 제12왕조에서 풍부하게 발견된다. 진흙벽돌은 제12왕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미궁(Labyrinth)과 같은 건물뿐만 아니라, 제12왕조의 피라미드들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는 결과적으로 이스라엘 역사와 이집트 역사가 "고고학적" 기록을 통해 매우 잘 일치한다는 다른 그림을 낳고 있으며, 물론 이 점은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경우에 아브라함은 메네스(Menes, 이집트 제1왕조를 창건한 이집트의 바로)와 동시대 사람으로 간주되고, 임호텝(Imhotep)은 성경의 요셉으로 간주되고, 조세르(Djoser)는 요셉이 섬기던 바로로 간주될 수 있다.[13, 15, 17, 21, 52, 54].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에 의하면, 아메넴헤트 3세는 이스라엘 백성을 억압하여 진흙벽돌을 만들게 했던, 모세 시대의 바로였을 것이다[18]. 또한 아메넴헤트 3세의 피라미드는 짚이 들어 있는 진흙벽돌로 만들어졌다.[18] 아메넴헤트 3세는 제12왕조의 6대 바로로, 제3왕조의 조세르 이후 450~500년 후의 사람이다.[18] 그에게는 딸만 있었다. 그의 딸 중 하나인 소벡네페루(Sobekneferu)에게는 왕이 되기 전에 사라진 입양아(아메넴헤트 4세, Amenemhet IV)가 있었는데, 그는 모세(Moses)로 추정되고 있다.[18]

그렇다면 출애굽은 기원전 1445년경 제13왕조 네페르호텝 1세 통치 기간에 일어났다.[18] 이 사건 직후에 힉소스(Hyksos)는 거의 저항 없이(홍해에서 이집트의 군대가 수장되었음으로) 하이집트(Lower Egypt)를 점령했다. 힉소스는 약 400년 동안 하이집트를 통치했다. 이 시기는 약속의 땅에서 지낸 사사시대와 일치한다. 힉소스는 마침내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of Egypt)의 시작인 제18왕조를 세운 아흐모세 1세(Ahmoses I)에게 패배한다. 그러므로 여호수아와 사사들과 동시대에 있었던 힉소스(제15왕조, 제16왕조)는 제18왕조(이집트 신왕조)를 세운 아흐모세 1세에 의해서 이집트에서 쫓겨났고[61], 사울 왕이 아말렉(힉소스)을 멸망시켰을 때, 끝이 났을 것이다.[18] 이것은 제17왕조를 제16왕조와 동시대로 위치시키는 것이다.[18] 마찬가지로 제18왕조는 사울, 다윗, 솔로몬이 왕위에 있을 때인 통일 이스라엘 왕국과 동시대에 있었다. 이것은 또한 제18왕조의 아멘호텝 1세(Amenhotep I)와 투트모세 1세(Thutmosis I)가 다윗과 동시대 사람이었음을 의미한다.[18] 하트셉수트(Hatshepsut, 제18왕조의 5번째 바로)는 솔로몬을 방문했던 시바의 여왕(Queen of Sheba)이었다.[62, 63] 투트모세 3세는 여로보암의 통치 기간에 집권하여 이집트의 가장 위대한 바로가 되었다.[18]

출애굽 이전의 성경적 연대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에서 장기간 체류했는지 또는 단기간 체류했는지, 어떻게 가정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은 성경적 연대를 200년이나 잘라버리고, 결과적으로 출애굽 이전의 사건들을 잘못 정렬하는 우를 범할 수 있는 또 다른 혼란스러운 요소이다.


요셉이 이집트 제3왕조의 임호텝이고, 모세가 제12왕조의 아메넴헤트 4세라면, 다윗과 솔로몬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성경은 요셉이 바로의 총리(vicroy)였으며, 이집트 제3왕조의 총리였던 임호텝은 요셉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모세는 바로의 딸에게 입양되어, 그녀의 자식처럼 길러졌다. 40세에 시작한 40년 동안의 미디안 망명생활을 하지 않았다면, 모세는 바로가 되었을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로를 위해 진흙벽돌을 만들면서 밭을 일구어야 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에서 살았던 기간 중 적어도 1/2의 기간은 노예로 있었고, 인구수는 200만 명에 이르렀다. 한 사람이 하루에 단지 1개의 커다란 진흙벽돌을 만들었다고 해도, 엄청나게 많은 진흙벽돌들이 만들어졌을 것이다. 제12왕조 피라미드의 중심부는 진흙벽돌들로 만들어졌다.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는 피라미드를 건설했던 제12왕조의 마지막 바로였다. 사실, 그는 내부가 진흙벽돌들로 된 두 개의 피라미드를 건축했고, 미궁(Labyrinth)도 건축했다. 그는 46년 동안 통치했으며, 소벡네페루(Sobekneferu)라는 딸이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자녀가 없었다. 아메넴헤트 4세(Amenemhet IV)라는 또 다른 인물은 족보가 없는데, 아메넴헤트 3세와 9년간 공동 통치하다가, 갑자기 사라졌다. 모세는 아마도 아메넴헤트 4세였을 것이다. 이것은 의미가 있는데, 모세가 바로의 궁전에서 양육되었고, 다음 바로로 키워지고 있었기 때문에, 성경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세는 미디안으로 도피해야 했다. 소벡네페루는 아메넴헤트 3세가 사망한 후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4~8년 동안 통치한 후 그녀가 사망하고, 제12왕조가 끝났다. 제13왕조와 제2중간기로 바로의 급속한 승계가 있었다. 80세 나이의 모세는 네페르호텝 1세(Neferhotep I) 통치기간 중에 이집트에 들어왔고, 이스라엘 백성을 430년 만에 이집트에서 인도해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40년 동안 광야생활을 했고, 여호수아에 의해서 약속의 땅으로 인도되었다. 사사시대가 약 400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런 다음 사울은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이 되었고, 다윗과 솔로몬으로 왕위가 승계되었다.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한 날짜는 대략 BC 960년경으로 세속 고고학자들에게도 상당히 확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성경은 출애굽이 이보다 480년 전에 일어났다고 말한다.

.이집트 왕국들과 왕조들과 이스라엘 백성들의 노예생활과 광야생활, 사사시대, 통일왕국, 분열왕국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스라엘 민족은 솔로몬 이후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로 분열되었다. 1차 중간기는 없었다.


사울과 다윗은 이스라엘의 왕이었다. 다윗과 솔로몬이 이스라엘을 다스리고 있을 때, 이집트에는 어떤 바로가 있었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내가 아는 바에 따르면, 제2중간기의 마지막 바로인 아포피 2세(Apopi II, 힉소스)는 세케넨레(Sekenenre)의 아들이자 아흐모세 1세(Ahmose I)의 형제인 카모세(Kahmose)의 반란에 의해 이집트에서 쫓겨난 것으로 보인다. 아포피 2세(Apopi II)와 힉소스는 애굽을 떠나 북쪽으로 향하다가, 당시 사울이 이끄는 이스라엘 군대와 마주쳤다. 사무엘은 사울에게 그들을 모두 죽이라고 지시했다. 사울은 지시에 따라 힉소스를 거의 전멸시켰지만, 아각(아포피 2세)을 살려주어 사무엘에게 불순종했다. 사무엘은 그를 직접 죽였다. 사울이 이스라엘에서 계속 통치하는 동안, 아흐모스 1세는 이집트의 새로운 왕조의 첫 번째 바로가 되었다. 그 후 이스라엘의 왕위는 사울에게서 다윗과 솔로몬에게 승계되었고, 이집트는 아흐모세 1세의 뒤를 이어 아멘호텝 1세(Amenhotep I), 그 다음 투트모세 1세(Thutmoses I), 그 다음 투트모세 2세(Thutmoses II), 그 다음 하트셉수트(Hatshepsut, 솔로몬을 방문했던 시바의 여왕)가 그 뒤를 이었다. 하트셉수트의 뒤를 이어 바로가 된 투트모세 3세(Thutmoses III)는 분단된 이스라엘 왕국 기간 동안 이스라엘을 약탈한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바로가 되었다. 그는 성경의 시삭(Shishak)이었다. 다윗은 BC 1000년경, 사울은 BC 1040년경에 있었다. 전통적인 표준 이집트 연대기가 성경의 역사와 일치하지 않는 것은, 그것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표준 이집트 연대기는 수정되어야 한다. 


*참조 :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모세를 찾아서 1, 2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1&bmode=view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2&bmode=view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스바 여왕 : 솔로몬은 이집트 파라오의 방문을 받았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5&bmode=view


출처 : gospelclips, November 13, 2015.

주소 : https://josephandisraelinegypt.wordpress.com/

번역 : 장경태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