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Timing is everything : A talk with field archaeologist David Down)
Tas Walker
2년 전, 고고학자인 데이비드 다운(David Down, 아래 사진)은 이스라엘에서 반원 모양의 고대의 돌들이 있는 곳에서 발굴을 하고 있었다. 그때 그는 비명 소리를 들었다. 주변을 둘러보았을 때, 그는 자원봉사자들 중 한 여성의 다리가 구멍 아래로 사라져있는 것을 보았다.
데이비드는 중동지역의 고고학 발굴지들을 20 여년동안 발굴해 왔기 때문에 그 상황을 잘 대처할 수 있었다.
”그녀를 구하려고 뛰어 들었지만, 솔직히 말하면 나는 그 구멍에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가 말했다.
데이비드는 성경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많은 발견들을 해왔다. 최근에 그는 성경의 연대기에 이집트의 고고학을 연결시키면서, 성경의 바로(pharaohs)들에 관한 고정관념을 완전히 뒤집어엎는 책을 썼다.[1]
노련한 고고학적인 솜씨로 데이비드는 곧 그 입구를 통해 어둡고 서늘한 무덤으로 내려갔다.
”나는 2300년 만에 그 무덤에 들어간 첫 번째 사람이었습니다! 나는 도굴꾼들이 모든 것을 가져갔으리라 생각했지만 모든 것들이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86세의 나이에도 데이비드는 활기차게 최선을 다해서 발굴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는 아직도 일주일 중 세 번 오전 업무 시작 전에 테니스를 친다.
.작은 통로를 통하여 기어들어가는 것은 현장 고고학에서 흥미진진한 일이다. 이 사진은 데이비드가 이집트의 첫 번째 피라미드를 건축한 세네페루(Seneferu)의 아들 무덤(mastaba, tomb)을 기어 들어가고 있다. 데이비드는 이렇게 설명하였다. "그는 실제로 세 개의 피라미드를 건축했고, 고금을 통털어 가장 위대한 피라미드 건축가였습니다. 그의 아들 쿠푸(Khufu)는 기자(Giza)에서 가장 큰 피라미드를 건축했습니다. 무덤이 완성되고 시체가 안치되면, 도굴꾼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입구를 막아 버립니다. 도굴꾼들은 결코 통로를 뚫고 들어갈 수 없을 것이지만, 무덤의 다른 측면으로 돌아서 무덤 방 안으로 들어가는 터널을 팠습니다.” 그들은 큰 통로를 파느라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았고, 다만 비좁게 들어가는 것으로 충분했다. 오늘날 이 통로는 무덤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길이다.
현장 고고학자로서 데이비드는 이스라엘에 자원봉사자로서 발굴을 시작했다.
”점차 나는 나의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에서 대부분의 고고학자는 학문적인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고고학을 한 후에 공부를 했고 경험을 얻습니다.”
데이비드는 또한 ‘고고학적 발굴들(Archaeological Diggings)’ 이라는 고대 역사와 고고학에 관한 두 달에 한번 나오는 컬러 잡지의 편집을 맡고 있다.[1] ”나의 잡지는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잡지입니다” 라고 데이비드는 설명했다.
”다른 고고학 잡지들, 예컨대 ‘성서고고학(Biblical Archaeology)’ 또는 ‘성서고고학 리뷰(Biblical Archaeology Review)' 등과 같은 것들은 그들의 잡지명에 '성서' 라는 단어는 사용하고 있지만, 거기에 실린 기사들 모두가 성경의 정확성을 반드시 지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떻게 모든 것이 시작되었나.
데이비드의 고고학에 대한 열정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그의 삼촌이 그를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공식 회의에 가자고 했을 때 시작되었다.
”그것은 한 극장에서 열렸고, 그래서 나는 이것이 정치 강좌라고 생각했습니다.” 라고 데이비드는 회상한다. ”그렇지만 그들이 기도로 시작하고 헌금을 드렸을 때 나는 도대체 무슨 일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만약 내가 삼촌과 같이 있지 않았다면 나는 떠났을 것입니다.”
데이비드는 생애 처음으로 바벨론(Babylon)의 왕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과 성경의 다니엘서 2장에 기록된 정금으로 된 머리와 은으로 된 가슴과 팔들을 지닌 한 신상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렇지만 데이비드는 회의적이었다.
”나는 생각했습니다. 바벨론과 메데-바사(Medo-Persia)에 관한 것이 도대체 뭐란 말인가? 나는 그가 우리를 속이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데이비드는 공공 도서관에 갔고, 결국 바벨론과 메데-바사가 그곳에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는 다른 강좌에도 참석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서,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때로부터 계속해서 데이비드는 바벨론을 방문하였고, 그 스스로 그것을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성서의 땅들, 즉 예루살렘, 베들레헴, 나사렛, 갈릴리, 그리고 특별히 바벨론과 니느웨를 보고자 하는 야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나는 그 땅들에서 일어난 성경적 역사의 사실성 때문에 변화되었기 때문에 그것들을 보기를 원했습니다.”
그의 기회는 인도에서 선교사로서 마지막 기한을 보내고 있던 1958년에 찾아왔다. 본국인 호주로 귀향하는 대신에 그는 자동차와 캐러밴으로 성서의 땅들을 여행했다.
그의 아내와 네 명의 아이들(가장 어린 막내가 한 살도 채 안되었지만)과 함께 그들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으로 가는 카이버 고개(Khyber Pass), 이란, 이라크, 결국에는 바벨론에 도착하는 여행을 했다. ”우리들은 몸만 달랑 그곳에 있었습니다” 데이비드는 회상했다. 성경은 ”바벨론은 ‘온전한 황무지가 될 것'(예레미아 50:13)이라고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곳 온전한 황무지인 바벨론에서 우리 가족은 홀로 야영을 하였습니다.”
그들은 7개월 반의 여행을 했지만, 집에 돌아오자마자 데이비드는 이미 다음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문제들을 발견하다
그 당시에 기독교인들 사이의 대중적인 의견은 고고학이 성경의 진실성을 증명했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했다. 1960년대 들어서서 세속적인 고고학자들이 성경과 충돌되는 이야기들을 말하기 시작했다. 데이비드는 그가 호주에 있는 한 기독교 대학에서 고고학을 가르칠 때 이것을 발견했다.
”나는 이집트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었고,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의하면 아멘호텝 2세(Amenhotep II)가 출애굽 시기에 애굽을 다스리던 바로(pharaoh)였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제 나는 이집트에 가보았었고, 카이로 박물관에서 아멘호텝 2세의 미라를 보았습니다.”
데이비드는 그것이 그곳에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만약 그가 출애굽기의 바로였다면 그는 홍해(Red Sea)의 밑바닥에 있어야만 했을 것입니다.”(출애굽기 14:5~9, 28) [2].
데이비드는 미국 최고의 크리스천 고고학자인 지그프리드 혼(Siegfried Horn) 박사에게 그가 강의실에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를 물었다. 혼 박사는 ”유감스럽지만 해답이 없군요.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십시오.” 라고 답장을 해왔다.
데이비드가 발견했던 또다른 문제는 솔로몬 왕과 관련된 것이었다. 고고학자들은 솔로몬이 살았음직한 시기에서 풍요로운 기간을 발견하지 못한다. 대신에 그들은 궁핍함을 발견하고 있다.
”이것은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데이비드는 설명했다.
”만약 당신이 고고학자들이 '철기 시대 IB (Iron Age IB)' 라고 불리는 곳을 발굴해 들어간다면, 당신은 오직 겉만 번드르르하게 보이는 도기류(pottery)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그곳에는 강력한 도시들이나 성벽들이나 요새들이나 그와 비슷한 어떠한 증거도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곳에는 어떠한 보석류도 없을 것입니다.”
오늘날, 세속적인 고고학자들은 솔로몬 왕의 이야기를 지지할 만한 아무런 증거도 없다고 말하면서, 맹렬하게 성경의 그 이야기를 공격하고 있지만, 그들의 말과 모순되는 솔로몬이 존재했다는 많은 증거들이 있다.
”만약 솔로몬 왕의 이야기가 위조된 것이라면, 성경의 어떤 부분을 신뢰할 수 있겠는가?” 데이비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해답들이 있어야 할 것임을 알았지만, 2년 동안 그는 그것들을 찾을 수 없었다. ”나는 성경이 옳다는 것을 알았지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했습니다.”
연대기의 핵심
그 무렵 어느 날 그는 도노반 쿠빌(Donovan Courville) 박사가 쓴 '출애굽 문제와 그것의 파생 문제들 (The Exodus Problem and Its Ramifications)' 이란 책을 발견했다. 이 책은 이집트 연대기가 축소되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데이비드는 ”그것은 나에게 빛을 비춰 주었습니다” 라고 밝게 말했다. ”나는 그것이 답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때로부터 줄곧, 그는 이집트의 '연대기를 개정하기 위한' 헌신적인 사람이 되었다.
오랫동안 고고학자들에게 있어서 이집트 연대기(Egyptian chronology)는 '절단되고 건조된(cut and dried)' 것이었다고 데이비드는 설명했다.
”그것은 천랑성 주기(Sothic cycle)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주장되었고, 고고학자들은 그 날짜들이 천문학적으로 고정된 것으로 주장했습니다.”
”이집트 역사의 표준 시각을 표시하고 있는 태양의 일식(eclipses)들이 그 연대들이 정확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랑성 주기는 일식들과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데이비드는 말한다.
데이비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천랑성 주기는 기괴하고 놀라운 것입니다. 이집트 역사에서 약간의 언급들이 천랑성의 떠오름(the rising of Sothis)을 말하고 있지만, 그것으로부터의 모든 것은 억측입니다. 천랑성(Sothis, Dog Star)은 무엇인가? 시리우스 별(Sirius) 인가? 금성(Venus)인가? 그것에 대한 어떤 동의도 없습니다. '떠오른다(rising)'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언제 그것은 수평선 위로 나오는가? 그것은 전부 추측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표면적으로는 그들의 연대를 지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그냥 그것을 받아들입니다.”
데이비드는 눈썹을 치켜 올리면서 말했다.
”사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천랑성 주기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집트의 연대들에 대해서 의문을 갖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천문학적으로 고정되었다(astronomically fixed)’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3]
”이집트 연대기가 단축되어야하는 이유는 왕조들이 겹치고(overlapping dynasties) 있기 때문입니다” 라고 데이비드는 설명한다.
”몇몇 왕조들이 동시대적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부인하는 고고학자는 없을 것입니다. 사실 제3중간기(Third Intermediate Period) 에서도 있었는데, 그 시기에 대해 가장 권위를 가지고 있는 케네쓰 킷첸(Kenneth Kitchen)까지도 같은 시기에 4개의 왕조가 지배하고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어떠한 왕조들이 동시대적으로 있었는가?’ 라는 질문이 아닙니다. 그 질문은 ‘얼마나 많은 왕조들이 그리고 얼마나 오랜 기간동안 그랬는가?' 하는 것입니다. 그곳에는 이전에 확인되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동시대적인 왕조들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에서의 고고학은 이집트와 관련이 있고, 그들 자신만의 어떤 연대기도 가지고 있지 않고 있다고 데이비드는 설명했다.
”그래서 만약 당신이 이스라엘에서 바로(pharaoh)와 관련된 기록이 새겨져있는 도기 파편들을 발견한다면, 사람들은 그것에 그 바로에 해당하는 연대와 같은 연대를 부여합니다. 그러나 만약 바로의 연대가 틀렸다면, 이스라엘에서 발견된 도기류들의 연대도 또한 틀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증거들은 아름답게 들어맞다
데이비드는 이집트의 연대기가 줄어든다면 증거들은 아름답게 들어맞을 것임을 발견했다.
”그들이 솔로몬에 대한 그 어떤 증거도 발견하지 못한 이유는 그들이 초기 철기시대(Early Iron Age)를 찾아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곳은 틀린 곳입니다. 그러나 중기 청동기시대(Middle Bronze period)에서는 솔로몬의 영광스러움을 보여주는 풍부한 증거들이 있습니다.”
옥합(alabaster jar)을 발굴해서 들고 있는 데이비드의 이 사진은 특별히 흥미로운 것이다. 그는 말한다.
"나는 그것을 벳산(Bethshan)에서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이집트로부터 수입되어온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막달라 마리아(Mary Magdalene)가 향유를 가득 담아두었던 옥합과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것입니다. 그녀는 봉인된 마개를 뜯고서 그 내용물을 예수님께 부었습니다.”
”그 시기에는 빠른 돌림판 위에서 만들어진 아름다운 도기류(pottery)들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평범한 구리 대신에 청동(bronze)을 가졌습니다. 그곳에는 아름답고 잘 건축된 도시들을 포함하여 아주 많은 발명들과 대단한 번영이 있었습니다. 어떠한 고고학 서적도 중기 청동기 제2기(Middle Bronze II)는 중동지역에서 알려졌던 어떠한 시기보다 가장 영향력 있고 강력했던 시기였다고 이야기해 줄 것입니다. 이 시기는 개정된 연대기에 의하면 솔로몬의 시기입니다.” 라고 데이비드는 말한다.
데이비드는 또한 세소스트리스 1세(Sesostris I) 때에 살았던 요셉에 대한 많은 증거들을 발견했다. ”그는 너그러운 바로 였습니다” 데이비드는 생각에 잠겨 말했다. ”당신은 카이로 박물관(Cairo Museum)에서 그의 조각상을 볼 수 있습니다. 말쑥하게 보이는 조각상 말입니다.”
”그리고 노예의 시기(period of slavery)라고 인정되고 있는 시기에 오게 되면, 추잡하게 보이는 성격의 세소스트리스 3세(Sesostris III)를 보게 되는데, 이 이집트의 새로운 왕은 요셉을 알지 못했습니다 (출 1:8). 이것은 제12왕조(12th Dynasty) 였습니다.”
고고학 분야에서 표준적인 이집트 연대기에 과감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데이비드 혼자만이 아니다. 예를 들면, 그는 ‘시간의 시험(Test of Time, 미국에서의 제목은 ‘Pharaohs and Kings’)이라고 불리는 책을 쓴 데이비드 롤(David Rohl)을 언급하고 있다.
데이비드는 성경과 개정된 연대기에 대해서 친숙한 것이 다른 고고학자들이 가지지 못하는 장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는
”발굴현장에서 뭔가를 발견할 때,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즉시 알고 연대기적으로 그 물건을 정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성경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유대인들과 발굴을 할지라도, 그들은 나만큼 성경에 친근하지 못합니다.”
그는 새로운 구조틀 안에서 이집트의 역사를 재해석한 최근의 책을 쓰면서 느꼈던 우려를 회상하였다.
”나는 표준적인 연대기가 틀렸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러나 처음에는 바로들을 올바른 장소에 두려고 감히 노력하지 못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나는 출애굽과 솔로몬으로부터 시작했고, 보기 좋게 들어맞는 많은 왕조들의 왕들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매우 흥분되는 일이었습니다.”
데이비드는 그의 작업이 기독교 신앙과 성경을 방어하는 데에 매우 긴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만약 당신이 성경이 역사적으로 틀렸다고 말하게 될 때, 어디에서 그것을 멈출 것입니까?”
”전투는 모두 연대기(chronology)에 관한 것입니다” 라고 데이비드는 열정적으로 말한다.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의하면 BC 700년 이전의 성경적 기록에 대한 증거는 없게 됩니다. 그러나 개정된 연대기에 의하면 풍부한 증거들이 나타납니다. 그것은 모두 너무나도 아름답게 들어 맞습니다.”
References and notes
1. Contact Archaeological Diggings (Australia) for publishing details, editor@diggings.com.au
Phone: +61 2 9477 3595.
2. See also David’s article, Searching for Moses, TJ 15(1):53-57, 2001.
3. See also Mackey, D.F., Fall of the Sothic Theory: Egyptian chronology revisited, TJ 17(3):70-73, 2003; based on his M.A. thesis from the University of Sydney in Australia.
방사성 탄소(C-14) 연대측정법은 성경이 틀렸음을 입증하였는가?
”나는 방사성 탄소(C-14) 연대측정법을 사용해 왔습니다” 라며 데이비드는 재미있어 한다. ”솔직히 말해서,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은 하나의 큰 농담입니다. 그들은 실험실들에 연대가 측정될 시료들을 보냅니다. 만약 그 결과가 도기류의 형태로부터 이미 결정된 날짜들과 일치하면, ‘이 시료의 C-14 연대는 우리의 결론을 확증해준다’ 라고 말할 겁니다. 그러나 그 연대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들은 단지 연구소에서 그것을 잘못 취급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끝입니다. 그것은 단지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고고학자들은 결코(나에게 이 점을 강조함) 결코 결코 그들이 발견한 것을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로 연대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것이 그들의 결론과 부합할 때에만 그것을 인용할 뿐입니다.”[1]
Reference
1. The same is true in geology. See Walker, T., The way it really is: little-known facts about radiometric dating, Creation 24(4):20-23, 2002.
히타이트 (Hittites) : 성경에 기초한 개정된 연대기에 의해 풀려진 종래의 연대기적 문제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이집트 연대기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알고 있지만, 그냥 넘어가 버립니다. 하나의 예를 들면 히타이트와 같은 것입니다” 데이비드는 말한다.
이스라엘처럼, 히타이트도 그들만의 그 어떤 연대기도 가지고 있지 않다. 히타이트와 이집트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발생했던 일들이 많이 있으며, 그래서 히타이트의 날짜들은 이집트의 연대기적 기초 위에서 부여된다. 그렇지만, 삼각형의 세번째 구성원인 앗수르가 있다.
데이비드는 그 문제를 요약하였다.
”이집트 연대기에 따르면, 히타이트는 BC 1200년에 소멸되었지만, 앗수르인들은 BC 8세기와 9세기에 히타이트에 대항하여 싸운 전쟁들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히타이트인들이 소멸되고 난 후 500년이 지났는데 그들은 누구와 전쟁을 하였을까요? 고고학자들은 그것이 무엇을 뜻하든지 간에 '뒤에 남은 광채(afterglow)'라고 말합니다. 앗수르인들은 8세기와 9세기에 히타이트에 대항하여 전쟁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은 히타이트 기록에 의하면 500년 전에 살았던 왕들과 동일한 이름들을 가진 왕들과 전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점점 더 악화된다.
”작년에 터어키에 있는 히타이트 유적들을 방문했을 때, 나는 공예품(artefacts)에서 그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하나는 고왕국 시대에 만들어진 공예품이 있었고, 다른 하나는 후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정확하게 꼭 같았습니다. 우리들은 왕조가 바뀌고 스타일이 바뀌면 공예품도 바뀐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공예품들은 같은 것이었습니다. 하나는 이집트와 관련해서 연대가 정해진 것이었고, 다른 것은 앗수르와의 관련해서 500년 후로 정해진 것이었습니다.”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알고 있지만, 그들은 그것들을 묻어 두고자 한다. 그러나 데이비드 다운에게 있어서, 이러한 문제들은 성경적인 개정된 연대기에 의해서는 풀려지기 때문에 흥미로운 것이다.
------------------------------------------------------------
개정된 이집트 연대기
표준 이집트 연대기는 BC 3000년을 넘어서 확장되어 있다. 이것은 노아의 전 세계적인 홍수가 고왕국(Old Kingdom) 시대 동안 일어났다는 것이 된다. 또한, 요셉은 제2 중간기(Second Intermediate Period) 동안 애굽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그 당시에 그에 대한 아무런 흔적도 남아있지 않다. 그리고 모세는 신왕국(New Kingdom) 시대에 이집트에 놓여지게 되지만, 번성했던 왕국에서 애굽 전역을 황폐화시켰던 질병들, 홍해에서 바로와 그의 군대의 괴멸 등과 같은 사건들의 영향을 찾아볼 수 없다.
왕조들이 동시대에 존재했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서, 개정된 연대기는 극적으로 시간 척도를 무너뜨리고, 성경적인 연대기와 조화된다. 제1 중간기(First Intermediate Period)는 제2 중간기와 같은 것이 되며, 여호수아와 사사기의 시기와 부합한다. 제3 중간기(Third Intermediate Period) 또한 사라지게 되고, 그 왕들은 신왕국(New Kingdom)과 후기 페르시아 시기(Late and Persian Periods)들의 왕들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집트는 대홍수 이후, 그리고 바벨에서의 분산 이후 미스라임(Mizraim, 노아의 손자이며 함의 아들)의 후손들에 의해서 자리잡게 되었던 것이다. (창세기 10:6) (현재의 이집트(Egypt) 라는 이름은 미스르(Misr)에서 나왔다. 참조; 창50:11)
아브라함은 고왕국 시대 동안 이집트를 방문했으며, 요셉은 중왕국 시대 동안 이집트에 있었다. 이스라엘의 출애굽은 중왕국을 몰락시켰고, 한때 장엄했던 땅들에 황폐한 시기를 가져왔다.
References and notes
1. Contact Archaeological Diggings (Australia) for publishing details, editor@diggings.com.au
Phone: +61 2 9477 3595.
2. See also David’s article, Searching for Moses, TJ 15(1):53–57, 2001.
3. See also Mackey, D.F., Fall of the Sothic Theory: Egyptian chronology revisited, TJ17(3):70–73, 2003; based on his M.A. thesis from the University of Sydney in Australia.
*참조 : Egyptian history and the biblical record: a perfect match?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4857
Fall of the Sothic theory: Egyptian chronology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1682
The Times of Abraham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4226
From Abraham to Exodus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4222
The Times of the Judges–The Archaeology: (a) Exodus to Conquest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4910
The Time of the Judges—The Archaeology: (b) Settlement and Apostasy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025
The times of the 'Great Kings' of Persia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03_1/j03_1_128-134.pdf
Evidentialism–the Bible and Assyrian chronology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1802
A reliable historical record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20_2/j20_2_20-23.pdf
Is there evidence that the Israelites once lived in Egypt as the Bible says? Has Joseph's original tomb been found?
http://christiananswers.net/q-abr/abr-a027.html
Is the story of Joseph in the Bible a true story?
http://christiananswers.net/q-abr/abr-a016.html
*추천자료 : Egyptian chronology and the Bible—framing the issues.
Do the dates ascribed to the Egyptian dynasties falsify the date of biblical creation?
http://creation.com/egypt-chronolog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creation/v27/i3/down.asp
출처 - Creation 27(3):30-35, June 2005.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Monuments from Ancient Assyria confirm biblical history.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 British Museum)
Peter Masters
대영박물관(British Museum)은 성경 역사에 대한 광범위한 직접적인 증거와 배경적 증거들을 제공하는 막대한 양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1]
성경과 관련이 있는 고고학적 발견의 전체 영역을 간결하게 요약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한 박물관의 전시물들을 관람할 수도 있다. 오늘날과 같은 세속적 분위기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경 기록의 문자적 정확성에 대한 강력한 증거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알지 못한다.
앗수르 왕궁의 발굴로 발견된 전시품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기원전 880년 경에 앗수르 제국 (Assyrian empire)은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거의 3세기 동안 공포와 전제정치가 횡행했으며, 여러 왕국들을 점령하여 복속시켰다. 몇몇 앗수르의 왕들은 성경의 이스라엘과 유다 땅을 침략하고 협박하여 항복과 조공을 받아냈다. 오랜 세월 동안 이러한 상호간의 투쟁으로 말미암아, 성경과 앗수르의 기념비와 연대기들 모두에서 다양한 이름과 전투들이 언급되어있는 것은 당연하다. 앗수르의 기록은 성경 기록의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성경 외적인) 독립적인 증거가 된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의 석비 [ANE 118883] (대영박물관 6호실)
오늘날과 같은 세속적 분위기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경 기록의 문자적 정확성에 대한 강력한 증거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알지 못한다.
구약 성경에 등장하고 있는 두 왕의 이름을 언급한 앗수르 기념비는 흥미롭고도 중요하다. 세 개의 유사한 기념비가 박물관에 같이 서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883~859 BC)를 기념하는 기념비이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제국의 확장과 건설 정책을 시작한 앗수르 왕이며, 앗수르의 무기체계에 새로운 공성(攻城) 기술, 특히 투석기와 궁수의 엄호를 받는 토성(土城)과 공성기(攻城機)를 도입했다.
.살만에셀 3세(Shalmaneser III)의 석비 [ANE 118884] (대영박물관 6호실)
성경 역사에 있어서 매우 큰 중요성을 갖는 옅은 갈색의 기념비도 볼 수 있다. 살만에셀 3세의 석비(Stela of Shalmaneser III)로 알려져 있으며, 쿠르크 석비(Kurkh Monolith)라 부르기도 한다. 살만에셀 3세는 앗수르를 기원전 859~824년에 통치했다. 석비를 보면 손 위에 위치한 작은 그림으로 상징되어있는 신들에게 경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석비에 글은 왕의 모습 위에도 쓰여있고, 뒷면에도 쓰여있는데, 이스라엘의 왕인 아합(Ahab)과 수리아(Syria = 아람 Aram)의 왕인 벤하닷 1세(Benhadad I)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포함하여, 살만에셀 3세의 여섯 번의 초기 전쟁을 기술하고 있다.
석비의 기록들은 <열왕기하>와 <역대하>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람들을 확인해줌으로써, 그들이 실제로 존재했던 역사적 인물이었다는 것을 확증하고 있다.
살만에셀 3세는 (기원전 853년에) 서쪽으로 진격하여 여러 나라를 압박하였으나, 하마스(Hamath)의 왕 이루렐니(Iruleni)는 (아합과 벤하닷을 포함한) 12명의 왕들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연합 방어군을 조직했다. 아합과 벤하닷 두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서로 전쟁을 벌였지만, 3년 평화기에는(왕상 22:1절에 언급됨) 살만에셀 3세를 격퇴하기 위해 하마스와 연합했다.(이 시기는 선지자 엘리사가 사역한 기간이다.) 전투는 하마스 근처 카르카르(Karkar, Qarqar라고도 씀)에서 벌어졌다. 살만에셀은 그의 석비에서 이 전투를 다음과 같이 기술해놓고 있었다 :
”나는 카르카르로 진격하여, 파괴하고, 정복하고, 왕족들을 사로잡았다. 다마스커스의 하닷에셀(Hadadezer, 벤하닷 1세)은 도우려 전차 1,200대, 기병 1,200명, 보병 20,000명… 이스라엘 왕 아합은 전차 2,000대, 보병 10,000명을…보냈다.”
동맹군의 전력은 보병 50,000명, 기병 14,000명, 전차 4,000여대로 기록되어 있다. 살만에셀 3세는 큰 승리를 거두었고, 시체로 강이 막히고, 계곡은 피로 물들었다고 자랑하고 있다. 그런데 고대 근동의 왕들은 자신들의 업적을 과장하고,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한다. 사실상 이 전투는 패배였는데, 살만에셀은 실질적으로 진격에 실패했으며, 적의 영토를 결코 점령한 적이 없다. 성경에는 아합이나 벤하닷이 그러한 규모의 후퇴를 했다는 언급이 없다. 이 일이 일어난 다음, 아합은 벤하닷을 공격하다가 전장에서 죽었다.(왕상 22:34~35)
카르카르 전투는 성경에 기술되어 있지는 않지만, 석비를 보면 <열왕기하>와 <역대하>에 기록되어 있는 여러 사람들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들이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기념비는 발굴되어, 성경의 인물들이 성경에 기록된 장소와 연대에 실제로 살았었다는 것을 확증해주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고 있는 것이다.
Related Articles
False History—‘out with David and Solomon!’
Archaeologist confirms creation and the Bible
Archaeology supports the Bible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1
Further Reading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References and notes
1.See documentation in Masters, P., Heritage of Evidence in the British Museum, The Wakeman Trust, London, 2004.
번역 - 홍기범
링크 - http://creation.com/assyrian-monuments
출처 - Creation 35(3):48–49, July 2013.
영국에서 로마시대 이전의 도로가 발견됐다.
(British Pre-Roman Roads Lead to Genesis)
by Brian Thomas, Ph.D.
고고학자들은 2011년 영국에서 로마시대의 도로 아래에서, 잘 건설되고 유지됐던 고대 도로의 잔해를 발견했다. 이 증거는 줄리어스 시저(Juliu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영국을 정복하기 이전에 영국 땅에 살던 사람들은 원시적인 이교도들이었다는 현대 교과서가 가르치는 내용과는 다른 것이다. 또한 이것은 인류의 발달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진화론적 주장에도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슈루즈버리(Shrewsbury) 바로 남쪽에서 발견된 고대 도로는 자갈로 포장되어 있었고, 심지어 배수를 위해서 도로의 중앙 부분이 약간 볼록하게(camber) 설계되어 있었다. Daily Mail 지는 보도했다. ”그 도로는 심지어 가장자리 돌들을 붙잡기 위한 도로 경계석 시스템(kerb fence system)을 가지고 있었다.”[1] 연구자들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사용하여 그 도로의 연대가 로마시대 이전인 것으로 결정하였다.
발굴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고고학자인 팀 마림(Tim Malim)은 Daily Mail 지에서 말했다. ”오늘날 전통적인 견해는 로마인들이 영국에 와서 도로들을 건설하고 사람들을 문명화시켰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로마의 침공 이전에 도로가 건설되어 있었음을 우리는 발견했다.”[1]
지식이 있는 문명화된 사람들만이 그러한 잘 설계된 도로들을 구축할 수 있다. 이것은 이들 고대인들이 전혀 '원시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오늘날과 같이 도로를 멋지게 건설하고 설계할 수 있었다.
이전 엑서터 대학 연구원이었던 그레이엄 롭(Graham Robb)은 새로운 책 ‘고대의 길(The Ancient Paths)’에서 자세히 영국의 로마시대 이전의 도로 및 다른 토목 구조물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했다. 그 책에서 롭은 수백 개의 고대 마을들이 어떻게 배열되어 있었으며, 특정 순서로 연결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는 Telegraph 지에서 말했다. ”나는 그것이 사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매우 진보된 문명을 가지고 있었다.”[2]
”매우 진보된”이란 말은 석기시대나 철기시대 사람들이었을 것이라는 표준 개념과는 적합하지 않은 표현이다. 그러나 그 말은 고대의 기록과는 일치하는 것이다.
‘홍수 이후(After the Flood)’라는 책에서, 역사가인 빌 쿠퍼(Bill Cooper)는 로마의 침공 이전의 수세기 전까지 올라가는 왕들의 목록이 포함되어있는 고대 웨일스(Welsh)기록에 대해 쓰고 있었다. 쿠퍼는 ‘초기 영국의 연대기(The Chronicle of the Early Britons)’를 웨일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했던, 12세기 웨일스의 승려이며 학자였던 몬머스의 제프리(Geoffrey of Monmouth)를 참조하였다.[3] 쿠퍼는 이렇게 썼다. ”제프리는 우리에게 벨리누스(Belinus, 영국의 전설적인 왕)는 훌륭한 도로 건축가였다. 런던에 있는 빌링스게이트(Billingsgate)는 그에 의해서, 그리고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썼다.”[4] 벨리누스 왕은 ”왕국(전체 영국)을 BC 380~374년에 지배했다.”[5, 6]
최근 고대 웨일스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연대기는 그들의 도로 배치가 어떻게 영국 국기의 줄무늬 패턴을 연상시키는 지를 포함하여, 이들 도로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래서 벨리누스는 영국의 모든 석공들을 소집하고, 법으로 그들에게 돌과 모르타르(mortar)로 된 도로를 건설할 것을 명령했다. 그리고 그 도로는 콘월(Cornwall, Totnes)의 끝에서 알바니의 케이프 블라돈(Cape Bladdon, Caithness)에 이르기까지(영국의 전체 길이) 해당 경로에 놓여있는 도시들을 관통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명령으로 또 하나의 도로가 건설되었다. 그 도로는 메네비아(Menevia, 오늘날의 St David's)에서 육지를 가로질러 오늘날의 사우샘프턴(Southampton)인 포트 하몬(Port Hamon) 해안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한 구석 구석을 연결하는 두 개의 다른 도로가 경로에 있는 도시들을 관통하며 구축되었다.[7]
따라서 잘 관리되던 돌포장 도로와 같은 유물이 줄리어스 시저가 BC 55년 영국을 침공하기 이전에 이미 존재했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는 고대 연대기는 막연하게 철기시대, 청동기시대, 석기시대, 원시시대, 심지어 유인원 시기가 있었다는 세속 역사가들의 주장을 전혀 지지하지 않는다.(오늘날 빌링스게이트는 벨리누스 왕의 연대기적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말하지 않고 있다.)[8] 결국 다른 유럽과 여러 고대 국가들의 연대기와 마찬가지로, 영국의 연대기는 그들의 왕들의 조상을 추적하다보면, 결국 야벳(Japheth, 노아의 아들)으로까지 올라가는 것이다.
장구한 진화론적 시대들과 대립되고 있는, 성경 창세기에 기초한 인류 역사는 로마시대 이전 영국은 이미 문명화되어 있었다는 기록된 증거와 파묻혀있던 증거에 의해서 확증되고 있는 것이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는가? 좀 더 자세히 조사해본다면, 모든 길은 창세기(Genesis)로 통한다.
References
1. Ellicott, C. So what did the Romans do for us? Archaeologists find cobbled road that was built 100 years BEFORE they invaded. Mail Online. Posted on dailymail.co.uk March 16, 2011, accessed October 16, 2013.
2. Dixon, H. 'Roman' roads were actually built by the Celts, new book claims. The Telegraph. Posted on telegraph.co.uk October 13, 2013, accessed October 18, 2013.
3. The work of Geoffrey of Monmouth and others 'was consigned to oblivion after the massacre, at the instigation of Augustine, of the [1,200] British monks at Bangor in AD 604 and was thus entirely unknown or ignored by the later Saxon and Norman chroniclers of England.' See Cooper, B. 1995. After the Flood. Chichester, England: New Wine Press, 69.
4. Ibid, 74.
5. 'Belinus' is his Latinized name, which in Welsh was Beli. His brother Bran (Brennius in Latin) was famous because he 'eventually led the Celtic sack of Rome in ca 390 BC,' an event that Roman records separately verify. See Ibid, 74.
6. Ibid, 73.
7. Cooper, B. (trans.) 2002. Chronicle of the Early Britons. Digital book, accessed October 28, 2013.
8. Thomas, B. Were Stone Age Britons Trigonometry Expert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September 21, 2009, accessed October 18, 2013.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7737/
출처 - ICR News, 2013. 10. 30.
솔로몬의 것으로 확증된 그의 구리 광산.
(Solomon Corroborated: It’s His Copper Mine)
새로운 연대 평가에 의하면, 이스라엘의 아라바흐(Aravah)에 있는 구리 광산(copper mines)은 이집트인의 것이 아니라, 솔로몬의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성경적 연대기를 지지한다는 것이다.
PhysOrg(2013. 9. 3) 지의 헤드라인은 ”이스라엘에 솔로몬 광산의 증거”였다. 홍해 에일랏(Eilat) 부근의 이스라엘 국립공원 팀나(Timna)에 있는 유명한 구리 광산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및 올리브 구덩이(olive pits)에 의해서 솔로몬 시대의 것으로 연대가 재확인되었다. 상세한 내용은 Haaretz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새로운 연대측정은 그 광산이 이집트가 가나안을 지배했던 시기의 청동기 광산이라고 주장되던 '이집트 패러다임'으로부터, 정말로 솔로몬 왕의 광산, 또는 적어도 그의 통치 동안에 운영되던 광산이라는 '솔로몬 패러다임'으로 돌아오게 하고 있었다. 솔로몬은 강력한 왕이었다. 그가 광범위한 채굴 작업을 감독하고 있었다는 것은 합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재평가는 에돔(Edom)에 있는 구리 광산에도 빛을 비춰주고 있었다. Bible Places Blog의 토드 보렌(Todd Bolen)은 그 구리 광산을 소유했던 사람에 대해 예측하고 있었다. 에돔 사람들은 솔로몬의 지배를 받고 있었고, 조공을 바치며 광산을 운영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이집트 패러다임에서 솔로몬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옹호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내가 시간이 있다면, 성경의 기록이 틀렸다는 증거로서, 솔로몬의 시기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했던 사람들의 진술을 검토하고 문헌들을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다시 한번 우리는 고고학적 연구에 의한 확실한 결과를 가지는 것이 중요함을 보고 있다.
BASOR에 대한 고고학자들의 공개 보고서는 여기를 클릭하라.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의심하는 주장들은 오래 되지 않아 곧 폐기된다는 또 하나의 사례를 우리는 보고 있는 것이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3/09/solomon-corroborated-its-his-copper-mine/
출처 - CEH, 2013. 9. 5.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741
참고 : 5116|4458|4852|3233|5625|3148|4376|4405|4409|4422|5852|5969|5985|6017|6066|6089|6179|6283|6351|6353|6387|6401|6432
다윗 왕은 부족장이 아니라, 도시들을 지배했다.
(King David Ruled Cities, Not Shepherds)
by David F. Coppedge
고대 유다의 키르벳 케이야파(Khirbet Qeiyafa)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고학 발굴 결과는 결론부터 말해서 당대에 그 지역이 강력한 성벽, 관청 건물, 청동기구와 철기구, 및 외국 강대국과의 상당한 무역 거래를 암시하는 유물들을 보유하거나 생산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발견들을 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다윗 왕은 존재했다하더라도 유목민의 부족장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축소 지향적' 연대기가 믿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이다.
토드 보렌(Todd Bolen)은 그의 블로그(Bible Places Blog)에서 주요한 발견물의 내용을 요약한바 있다. 요시 가핑클(Yossi Garfinkel) 등이 운영하는 이스라엘 문화재 관리청에 제출된 상세 보고서는 작년에 수행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발굴의 목표가 방사성 연대측정에 의해 기원전 11세기 말과 10세기 초로 추정되는 예루살렘 남쪽의 고대 군사 도시의 특징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그 시대에 명문이 새겨진 도자기가 발견되어 2008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11/16/2008, 1/07/2010). 그 새로운 보고서가 새겨진 내용까지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물들은 다윗 시대 동안에 고도화된 문명을 암시하고 있다:
하부 지층은 기원전 11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사이의 철기시대 IIA(Iron Age IIA)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드러난 이 정착지의 유적들을 살펴보면 그 지역의 상층부에서 두 개의 성문, 두 개의 성문 광장, 28개의 참호(20개는 완전한 형태로 발굴됨), 10개의 주거 건물, 행정 관청 건물 등이 발굴되었다. 대량의 인공유물들이 각 지역의 가옥 마루에서 발견되었으며, 복구가 가능한 수백 개의 도자기 그릇, 수백 개의 석조 물체, 수십 개의 금속 물체 및 소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 지층이 어느 날 갑자기 파괴되었다는 것이다. 제례 의식에 관련된 많은 증거들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는 묘석(mazzevot), 제례실(cultic chamber), 사원 모형(2개는 세라믹, 1개는 돌로 만들어졌음), 소조각상 등이 있었다.
철기시대 도시에서 발견된 인상적인 구조물과 유물들 :
1. 유대 왕국의 도시 계획 특징. 이것은 베트 쉬메쉬(Bet Shemesh), 텔 엔 나스베(Tell en-Nasbeh), 텔 베이트 미르심(Tell Beit Mirsim) 및 브엘 쉐바(Be’er Sheva)와 같은 다른 지역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포곽벽(casemate wall)이 이들 지역 모두에 세워졌으며, 이 도시의 집들은 거주하는 하나의 방처럼 포곽벽과 접해져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당시의] 가나안, 팔레스타인 또는 이스라엘 왕국과 같은 지역의 양식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2. 대대적인 도시 요새화. 각각 8톤이 나가는 암석을 사용하여 건축되었다.
3. 2개의 성문. 오늘 날까지 이스라엘이나 유다에서 2개의 성문이 있는 철기시대 도시가 발견된 사례가 없다.
4. 각 성문 가까이 성문 광장을 위한 개방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C 지역에서는 세 개의 포곽벽과 병렬되게 오픈되어 있었고, D 지역에서는 네 개의 포곽벽과 병렬로 공간이 확보되어 있었다.
5. 이 도시의 주택들은 다닥다닥 붙어 있는 형태로 건축되었다.
6. 약 500개의 단지(jar) 손잡이에서 손가락 한 개의 지문이, 일부에서는 두 개 또는 세 개 손가락의 지문이 발견되었다. 단지 손잡이는 유대 왕국의 독특한 양식이며, 이러한 모양은 Iron Age IIA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7. 대량의 청동기구와 철기구들이 발견되었다. 철기구들에는 검 3자루, 단검 약 20자루, 창촉2개, 화살촉 다수가, 청동기에는 도끼 한 자루, 다수의 화살촉 및 반지, 작은 사발 한 개가 포함되어 있다.
8. 무역을 통해서 수입된 물품. 해안 평야 지역으로부터 수입된 아슈도드(Ashdod) 물품들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현무암으로 만든 그릇들이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수입되었으며, 사이프러스 산 점토 물병(clay juglet, 물을 차갑게 보관하기 위한 병)들과 두 개의 이집트 산 앨러베스터 그릇(alabaster vessels)들이 발견되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비교적 작은 유대의 외곽지역의 요새였다. 유적 발굴단이 내린 결론은 다음의 증거를 볼 때 축소지향적 연대기는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키르벳 케이야파의 발굴은 기원전 11세기 말에 이미 유대에 도시 사회가 존재했음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대 왕국이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이후의 다른 시기에 이르러서야 발전되었다는 주장은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우연히도 이 요새에서 보면 다윗과 골리앗이 싸웠던 엘라 계곡(Elah valley)이 보인다.
2012년 5월 8일 업데이트 :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제사 도구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이스라엘 외무성의 보도 자료를 통해 발표되었다. 두 개의 제단은 수세기 이후에 나타난 그리스 신전을 연상시키는 정밀한 건축 요소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나타내는 사실은 정교한 건축 양식이 다윗 왕 시기만큼이나 이른 시기에도 발전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건축 양식은 왕족 사회 양식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서, 국가 형성, 엘리트 집단의 구축, 그 지역의 사회적 수준과 도시 생활 등의 모습이 이스라엘의 초기 왕들의 시기에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유물들은 솔로몬 시대의 왕궁과 성전에 대한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과 높은 건축 기술 수준을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다.
BiblePlaces.com에서 토드 보렌의 기고 글을 읽어보면, 이 유물들의 성경적 중요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림 끝에 나온 희소식이 아닌가? 최소주의자(minimalists)들은 다윗 왕이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이었다 하더라도, 실제 도시들을 통치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부족장 정도로) 주장해왔다. 그러나 당신이 그러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사실이 밝혀질 때까지 판단을 유보했던 것은 잘한 일이 아니었을까? 최소주의자들을 축소시켜야 한다. [고고학적] 인공 유물들에 대한 팩트(fact)를 찾아내는 사람들의 의견을 최대화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개의 경우 이들이야말로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회의론자들을 굴복시키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은 일종의 지적설계 과학임을 잊지 말라. 이 인공 유물들을 통해서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지성과 목적을 추론할 수 있다. 물론 우리는 그것을 디자인한 사람들을 만난 적도 없고, 그들의 이름도 모르며, 그 작품을 존재하도록 한 모든 과정을 설명할 수도 없다. 추론되는 사실로부터, 지적설계는 과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과학적 원칙과 방법임을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전 암호나 네트워크, 미세하게 조정된 물리법칙들과 같은 현상들에서 지적 원인을(어떤 초월적 지성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 다윗 왕이 강력한 중앙집권 통치를 했다는 증거 (2011. 8. 17. 기독일보)
다윗의 궁전이 발견되다 (2011. 9. 1. 기독일보)
다윗 시대: PAX Israel (2013. 9. 23. 크리스천투데이)
되살아나고 있는 이스라엘 수도, 예루살렘 (2018. 9. 19. CTS TV)
다윗 왕조 상징, 구조물 발견 ... "석회암 기둥머리, 이스라엘 화폐 5세켈 동전에 새겨져 있다." (2020. 10. 2.NewsJesus)
번역 - 김형중
링크 - http://crev.info/2012/04/king-david-ruled-cities-not-shepherds/
출처 - CEH, 2012. 4. 24.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 발굴되었다.
('Oldest' European Town News Misses the Obvious)
by Brian Thomas, Ph.D.
연구자들은 불가리아의 프로바디아(Provadia) 근처에서 발굴된 고대 유적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라고 부르고 있었다.[1] BC 4700~4200년으로 평가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는 고대 그리스(ancient Greece)의 추정 연대보다 1,500여 년이나 앞서는 것이었다.[2] 발굴자들은 흥미로운 그 장소로부터 고대 거주민들의 삶을 재구성해볼 수 있는 충분한 단서들을 발견했다. 하지만 핵심적인 결론은 언급하지 않고 있었다.
벽은 매우 높았고 돌로 된 벽돌로 만들어져 있었다. 그곳에는 2층 집, 대문, 요새(bastion) 구조도 포함되어 있었다. 종교 의식에 사용됐던 구덩이(pits)가 있는 마을은 하나의 종교적 중심지였다. 그리고 주요 산업은 소금 생산이었다. 그 도시의 고대 거주자들은 근처에 있는(오늘날에도 나오는) 퇴적물로부터 소금을 가공하고 팔았다. 그리고 그 소금은 그들을 부유하게 만들어주었다.
그 도시로부터 21마일 떨어진, 바르나(Varna)의 해안가 도시 근처의 한 고대 매장지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제 유물들이 1972년에 우연히 발견됐었다. 바르나에 있는 무덤과 올해 프로바디아에서 발견된 작은 공동묘지에는 점토 그릇들과 물품 등 사람의 유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BBC 기자인 닉 소프(Nick Thorpe)는 BBC News에서 ”최근의 이 발견은 거의 확실히 바르나의 보물을 설명해주고 있다”라고 말했다.[2]
불가리아의 고고학 국립연구소의 바실 니콜로프(Vasil Nikolov)는 AFP에서 ”바퀴와 수레를 알지 못하던 시기에, 어떻게 이 사람들은 거대한 바위를 운송하여 대대적인 성벽을 지을 수 있었을까?”라고 말했다.[1] 그러나 그들이 바퀴와 수레를 알지 못했을 것이라고는 누가 장담할 수 있는가? 아마도 그들은 수천 년간 지속될 수 없는 재질로 바퀴와 수레를 만들었을 수도 있지 않았겠는가? 혹은 그들은 바퀴를 매장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 않았겠는가?
고대 장소에 바퀴의 부재는 당시에 바퀴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의 주민들은 확실히 원 모양의 장신구와 둥근 도자기를 만들고 있었고, 따라서 바퀴를 만드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이 문화는 종교가 있었고, 매장 관습이 있었으며, 상업을 했고, 건축 기술이 있었으며, 예술 능력이 있었다. 진화론자들이 상상하는 것처럼 바퀴가 출현하기 이전 시기의 원시 문명이라는 어떠한 징후도 없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제 보물들과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은 둘 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반영하고 있다. 대륙에 처음 등장할 때부터, 인류는 현대의 유럽인들처럼 완벽한 사람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Europe's oldest prehistoric town found in Bulgaria. AFP via ABC News. Posted on abc.net.au November 2, 2012, accessed November 5, 2012.
2. Europe's oldest prehistoric town unearthed in Bulgaria. BBC News. Posted on bbc.co.uk October 31, accessed November 5, 2012.
*참조 : 불가리아서 7천년 전 고대도시 발견 (2012. 11. 1.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558653.html
불가리아에서 그리스보다 1500년 앞선 도시 발견 (2012. 11. 1. 경향신문, 사진 게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1011137561&code=970100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7105/
출처 - ICR News, 2012. 11. 14.
야고보의 유골함은 진품이었다.
('James...Brother of Jesus' Ossuary Is Rock Solid)
by Brian Thomas, Ph.D.
2002년 성서고고학회(Biblical Archaeological Society)와 디스커버리 채널은 아람어로 ‘야고보, 요셉의 아들, 예수의 형제(James, son of Joseph, brother of Jesus)’라는 글자가 새겨진 2000년 된 고대의 유골함(ossuary)이 진품이라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비문(inscription)의 진실성에 대한 논란과 소송이 이어졌다. 이제 2012 년에 그 논란이 끝났다. 그리고 판결이 내려졌다.
2002년 11월/12월 성서고고학 리뷰(Biblical Archaeology Review) 지는 번역글을 게재했었다. 고대 비문에 대한 전문가인 고문서 학자 앙드레 르메르(Andre Lemaire)에 의해서 그 유물은 AD 6~70년 사이로 연대가 평가됐다. 그 유골함은 이전의 무덤 속 사람의 뼈를 후에 보관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그 유골함이 발견되었을 때, 그것은 평범한 파종용기(planter box)로 취급되었다.
워싱턴 발표 후 즉각적으로 유골함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그것을 신약 시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그것은 예수님, 세속적 아버지 요셉, 동생 야고보 사이에 정확한 성경적 관계를 입증했기 때문이다.[2] 한때 이 유골함이 예수님 동생의 뼈를 담고 있었다고 생각해 보라. 이것은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3]
그러나 워싱턴 보도 시까지 유골함의 발견을 알지 못했던 이스라엘 문화재청(Israel Antiquities Authority)은 그 소유자를 비문 위조범으로 고소했다. 수년 동안 전문가들은 그 비문은 오늘날에 새겨진 위조라고 말해왔다.[4] 5년 간을 끌어온 이 사건에 대한 재판이 2012년 3월에 끝났다. 예루살렘의 아하론 파카쉬(Aharon Farkash) 판사는 검찰측은 그 비문이 위조라는 합리적인 근거를 보여주지 못했다며, 고소된 모든 혐의에 대해서 무죄라고 판결했다.[5]
이제 2012년 7월/8월 성서고고학 리뷰 지의 한 기사 제목은, ”야고보의 유골함에 새겨진 비문의 진위를 의심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이었다.[1] 또한 그 기사는 야고보 유골함이 나사렛 예수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상세한 통계학적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있었다. 그 당시 예수, 요셉, 야고보 라는 이름을 같이 가졌을 사람들의 가능한 숫자를 고려하고, 그런 다음 당시 추정되는 전체 성인 남자 인구수에서, 세 사람의 이름이 아버지와 동생 관계에 있을 경우의 수를 평가했는데, 그 수는 1.71(하나 또는 둘)이었다. [1]
물론, 성경에는 아버지가 요셉이며 예수님을 형제로 둔 사람 야고보가 있었음을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형제인 예수님은 유골함에 이름을 기록할 만큼 고결하고 존경할만한 분이었다. 확실성 높은 여러 현대적 분석들을 통해, 이 유골함과 비문은 진품이었다. 그리고 다른 많은 고고학적 발견처럼, 그것은 성경이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기록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6]
References
1. Shanks, H. 'Brother of Jesus' Inscription Is Authentic! Biblical Archaeology Review. Posted on bib-arch.org July/August, 2012.
2. Rose, M. 2003. Ossuary Tales. Archaeology. 56 (1).
3. More accurately, James was Jesus' step-brother.
4. Kalman, M. The Burial Box of Jesus' Brother: Fraud? Time. Posted online September 5, 2009, accessed June 25, 2012.
5. Breaking News: Golan and Deutsch Acquitted of All Forgery Charges. Bible History Daily. Posted on biblicalarchaeology.org March 14, 2012, accessed June 25, 2012.
6. For example, the account written in the earliest Flood tablet 13539, written in cuneiform about 150 years after the Flood occurred and found in the ancient ruined Babylonian city of Nippur during the 19th century, does not differ in a single detail from the Flood narrative recorded in Genesis. See: Cooper, B. 2011. The Authenticity of the Book of Genesis. Portsmouth, UK: Creation Science Movement.
* 이전 기사들 : 역사적 예수 증명하는 최초 고고학적 발견 : 야고보 유골함 (2002. 10. 30. 크리스찬투데이)
http://christiantoday.us/sub_read.html?uid=314§ion=section9
‘2천년 전 유골함’ 주인은 예수 동생? (2002. 12. 5. 주간동아)
아람어로 또렷이 ‘형제 야곱’ 새겨져 있어… 사실 땐 예수 실존 입증할 결정적 증거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02/11/27/200211270500032/200211270500032_1.html
야고보 유골함, 위조품 '판명' (2003. 6. 19. 크리스천투데이)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141764
Oh, Brother: Jesus Box Is A Fake (2002. 10. 21. CBS News)
https://www.cbsnews.com/news/oh-brother-jesus-box-is-a-fake/
The James Ossuary. Is the James Ossuary authentic or fake? (2021. 12. 29. BibleDiscovery)
https://biblediscoverytv.com/history/2021/the-james-ossuary/
*참조 : The Authenticity of the James Ossuary (2014. Touro College University System)
https://touroscholar.touro.edu/cgi/viewcontent.cgi?article=1014&context=lcw_pubs
James, Brother of Jesus - The James Ossuary Discovery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fJzhkZfpfvo
Is the “Brother of Jesus” Inscription on the James Ossuary a Forgery? (2017. 1. 31. Bible History Dail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6911/
출처 - ICR News, 2012. 7. 9.
베들레헴이 고대에 실제로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
(Artifact Confirms Ancient Bethlehem)
by Brian Thomas, Ph.D.
베들레헴(Bethlehem)이라는 도시는 매우 오랜 역사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 위대한 고대의 역사가 ‘불라’(bulla, 공문서용 인장)라 불리는 한 작은 점토 도장(clay seal)의 발견에 의해서 확인되었다(사진은 여기를 클릭). 이스라엘 문화재청에 따르면, 제1차 성전시대((BC 1024~586년) 동안 베들레헴 사람들은 예루살렘 행 화물의 세금 지불에 대한 확인 도장으로 불라를 사용했다.[1] 따라서 그것은 고고학적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베들레헴의 실존에 대한 증거가 되었다.[2]
베들레헴은 창세기에 처음 언급되고 있고(창 35:19), 이스라엘 사사 중 한 사람(입산, 삿 12:8~10)의 고향이었다. 선지자 미가는 다음과 같이 예언했고, 이 예언은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 작을지라도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가 네게서 내게로 나올 것이라 그의 근본은 상고에, 영원에 있느니라” (미 5:2).
영원히 존재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시다. 왜냐하면 예수님 외에 모든 인간은 시간을 초월하여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베들레헴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탄생하셨을 때,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약속된 이스라엘의 통치자가 정말로 영원하신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헤롯왕 앞에서 미가서를 인용할 때(마 2:4~6) 미가서 5:2절의 마지막 구절을 생략했기 때문이다.
그 상황은 오늘날에도 동일하다. 예언의 성취에 대한 불신(기적, 초자연, 성경의 하나님을 불신하는 태도)을 조장하기 위해서 어떤 학자들은 성경의 예언은 사건이 성취되고 나서 쓰여진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실제 역사를 무시하는 것이며, 저자가 쓴 내용이 고대의 일이었다면, 어떻게 동시대에서 확신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문제를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베들레헴이라는 이름이 들어있는 이 불라를 통해, 이 작은 고대 도시의 역사성은 이제 고고학적으로 확고하게 확립되었다. 예루살렘의 고대 다윗 성의 발굴 책임자였던 엘리 수크론(Eli Shukron)은 이스라엘 외무부 보도 자료에서 말했다. ”이것은 베들레헴이라는 이름이 성경 밖에서 나타난 최초의 사례이다. 이것은 베들레헴이 실제로 유다 왕국의 한 도시였고, 그 이전에도 존재했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1]
베들레헴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진정한 탄생지였다. 그리고 베들레헴에서 예수님의 탄생은 미가의 예언에 대한 정확한 성취였던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베들레헴에서 탄생하셨음을 거부하는 자들과, 미가가 예언할 당시에 베들레헴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던 자들은 이제 예수 그리스도, 베들레헴, 미가의 역사성을 인정하는 사람들보다 더 큰 믿음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References
1. Earliest evidence of Bethlehem in First Temple period.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ress release, May 23, 2012.
2. The seal was dated to sometime during the reign of Hezekiah, Manasseh, or Josiah, who lived within 700-850 B.C. (See ref. 1).
3. Micah 5:2.
4. "And when he [Herod] had gathered all the chief priests and scribes of the people together, he demanded of them where Christ should be born. And they said unto him, In Bethlehem of Judaea: for thus it is written by the prophet, And thou Bethlehem, in the land of Juda, art not the least among the princes of Juda: for out of thee shall come a Governor, that shall rule my people Israel" (Matthew 2:4-6).
*참조 : History of Bethlehem Documented by First Temple Period Bulla from the City of David. (2019. 6. 16. Bible History Daily)
Israeli Archaeologists Find Earliest Evidence of Bethlehem's Existence in Jerusalem Dig. (2012. 5. 23. Haaretz)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6891/
출처 - ICR News, 2012. 6. 18.
언어의 기원에 대해 논쟁하고 있는 언어학자들.
(Linguists Argue over Language Origins)
by Brian Thomas, Ph.D.
사람이 지구상에서 최초로 말(language)을 시작한 것은 어디일까? 2011년 Science 지에 게재된 한 연구에 의하면, 증거는 사람의 기원에 관한 유행하는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 이야기와 일치하여 언어가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음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오클랜드 대학의 인류학자 쿠엔틴 앳킨슨(Quentin Atkinson)은 자음과 모음과 같은 기본적인 소리 단위인 음소(phonemes)의 분포를 조사했다.[1] 그는 아프리카에서 멀리 떨어진 언어는 적은 음소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의 응구니족(Nguni)의 언어는 뻥 소리와 딸깍거리는 소리를 포함하여 다른 언어보다 꽤 다양한 소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언어는 음소들이 모여진 것 이상이다. 왜냐하면, 특별한 단어를 만들기 위해서 다른 소리들이 결합될 뿐만 아니라, 단어 자체가 특별한 문법에 의해서 조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앳킨슨은 그의 연구를 위한 데이터들을 손으로 골랐다(hand-picked)고 말한다. 또한 Science 지에 게재된 한 논평에서, 마이클 시소우(Michael Cysouw)와 두 명의 사람들은 앳킨슨의 발견이 가지는 문제점을 말하고 있었다. 그 중 하나는 어떤 기원이 인접한 지리적 지역을 거쳐 필연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거쳤다고 보고 있다는 것이다.[2]
뮌헨의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대학(Ludwig-Maximilians-Universität)의 양적 비교 언어학 전문가인 시소우는 앳킨슨의 방법이 예를 들어 ”종속절의 구조”와 같은, 음소보다 다른 언어 측면에 적용되었다면, 그 결과는 언어의 기원이 동부 아프리카, 또는 코카서스(Caucasus), 또는 완전히 다른 어떤 곳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대학 보도 자료에서 말했다.[3]
앳킨슨은 그러한 비판은 자신의 원래의 결론을 훼손시키지는 않는다고 말하면서, 그의 논지를 방어했다.[4]
LMU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언어학자들은 오랫동안 언어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여 언어의 기원을 밝혀보려고 시도해왔다.[3] 그러나 연구자들이 이러한 방법론을 두고 오락가락 하더라도, 단지 분석 패턴에 초점을 맞춘다면 그들은 아마도 큰 그림의 해답을 결코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그 주제에 관한 최고의 정보인 성경을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언어가 원숭이 같은 유인원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진화되었다고 주장하는 진화론에 기초하여, 경험적 증거들을 제한적으로 해석함으로써[5], 연구자들은 4,000여년 전에 바벨탑 사건으로 인류가 분산되면서, 사람의 각종 언어들이 갑자기 초자연적으로 생겨났다는 사실을 결코 발견할 수 없는 것이다.[6]
References
1. Atkinson, Q. D. 2011. Phonemic Diversity Supports a Serial Founder Effect Model of Language Expansion from Africa. Science. 332 (6027): 346-349.
2. Cysouw, M., D. Dediu and S. Moran 2012. Comment on 'Phonemic Diversity Supports a Serial Founder Effect Model of Language Expansion from Africa.' Science. 335 (6069): 657.
3. Out of Africa? Data fail to support language origin in Africa. Ludwig-Maximilians Universität news release, February 15, 2012. ScienceDaily, 2012. 2. 15.
4. Atkinson, Q. D. 2012. Response to Comments on 'Phonemic Diversity Supports a Serial Founder Effect Model of Language Expansion from Africa.' Science. 335 (6069): 657.
5. Thomas, B. 2010. Human Language: An All or Nothing Proposition. Acts & Facts. 39 (6): 18.
6. Genesis 11:1-9. See also Morris, J. 2003. What Happened at the Tower of Babel? Acts & Facts. 32 (10).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6746/
출처 - ICR News, 2012. 3. 30.
사람의 언어는 젊은 지구 모델과 적합하다.
(Human Languages Fit a Young Earth Model)
by Brian Thomas, Ph.D.
성경에 의하면, 하나님은 대략 4천 년 전쯤 바벨에서 사람의 언어(languages)를 다르게 하셨다[1].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일치되게, 이것은 같은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의 분산과 이동을 가져왔다.[2] 대조적으로 진화론적 언어학자들은 모든 언어들은 지난 1만2천년 이상에 걸쳐서 발달되었다고 믿고 있다.
만약 창조 모델에서 말하는 최근의 분산과 이동이 사실이라면, 바벨에서 기원한 동일한 언어 계통으로부터 유래한 지역적 언어들이 발견될 것이 기대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 사이의 차이는 4,000여 년 동안에 일어난 차이에 (세대를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단어나 발음 변화와 같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차이) 불과할 것이다. 한 새로운 연구는 중앙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의 두 언어 계통(어족)이 같은 조상 언어에서 왔다고 결론지었다. 이것은 성경이 기록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공통의 그리고 최근의 기원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CLA의 제리드(Jared Diamond)는 네이처 지에 ”언어학: 언어들 사이의 깊은 관계”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여기에서 그는 에드워드 바쟈(Edward Vajda)의 작업을 요약했다.[3] 알래스카 대학의 2010년 인류학 논문집에 게재됐던 연구에서, 에드워드는 케트(Ket) 언어(시베리아의 200여 종족에서 사용되는)로 대표되는 예니세이(Yeniseian) 언어의 문법 구조와 북아메리카의 나데네(Na-Dene) 언어(나바조 인디언에 의해서 대표되는)의 문법 구조 사이에 매우 중요한 통계적 연결을 발견했다.
그것은 두 어족 내에 있는 모든 언어들이 한때 한 언어였다는 것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화론적 언어학자들에 의하면(이것은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 다른 언어들은 5,000~10,000년 후에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갈라졌음에도, 왜 예니세이와 나데네 언어는 1만2천 년 전에 분기됐음에도 아직도 그러한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가?”라고 제리드는 썼다.[3]
그 의문은 실제로 몇 가지 의문들로 나뉘어져야 한다 : 이들 언어가 1만2천 년 전에 갈라졌다면 왜 이들 언어들은 그렇게도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는가? 모든 언어들은 한 언어로부터 시작되어 오랜 진화의 기간을 거치면서 갈라졌는가? 아니면 첫 시작부터 구별되는 언어로 창조되었는가?
첫째, ”다른 언어”들은 서로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결코 갈라지지 않았다. 대신에 그들 언어들은 바벨에서 출발할 때 서로 알아들을 수 없도록 창조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여러 가계 그룹들 사이에 의사전달을 불가능하게 했고, 분산을 유도했다.
더 중요한 것으로, 이들 언어들이 아직도 그러한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이유는 그 언어들을 사용하는 현대인들의 조상은 단지 4,000여 년 전쯤에 동일한 가계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12,000년의 동안에 예니세이 어와 나데네 어의 언어적 진화 동안에 발생했을 그 모든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변화는 발생해왔다. 그러나 12,000년 동안에 일어났을 만한 정도의 변화가 아니다.
홍수 후 빙하기 동안에 해수면은 100m 정도는 낮아, 베링해협은 육지다리로 연결되어 걸어서 건널 수 있었다. 후에 해수면은 상승되었고 이들은 분리되었다.[4] 그러나 두 어족 내의 언어들은 진화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오랜 기간에 의해 분리되지 않았다. 두 언어는 아직도 너무도 유사하다. 언어들이 보여주는 증거는 최근의 공통된 기원을 가리키고 있으며, 이 시나리오는 성경적인 젊은 지구 모델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다.
Reference
1. Genesis 11:6-7.
2. Genesis 1:28.
3. Diamond, J. 2011. Linguistics: Deep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s. Nature. 476 (7360): 291-292.
4. Hoesch, B. 2007. Megafloods in the English Channel. Acts & Facts. 36 (10): 14.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6337/
출처 - ICR News, 2011. 8. 30.